KR20190142612A -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 Google Patents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612A
KR20190142612A KR1020180069772A KR20180069772A KR20190142612A KR 20190142612 A KR20190142612 A KR 20190142612A KR 1020180069772 A KR1020180069772 A KR 1020180069772A KR 20180069772 A KR20180069772 A KR 20180069772A KR 20190142612 A KR20190142612 A KR 20190142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ule
output ports
signal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티에스라인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스라인시스템(주) filed Critical 티에스라인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8006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2612A/ko
Publication of KR2019014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해당 실내에 구비되는 각종 전력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실의 스케줄신호, 사용자의 조작신호 및 대기전력 상태에 따라 전력기기로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는 접속된 부하기기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의 출력포트;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의 전원 출력을 온오프하는 스위칭소자;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의 소비전력을 계측하는 전력량계측모듈;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터치모듈; 관리실과 통신하여 스케줄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전력량계측모듈의 소비전력과,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신호와, 상기 통신모듈의 스케줄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Power supply box}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해당 실내에 구비되는 각종 전력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실의 스케줄신호, 사용자의 조작신호 및 대기전력 상태에 따라 전력기기로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에 관한 것이다.
학교, 관공서, 병원 등의 건물은 여러 개로 실내로 구획되고, 각각의 실내에는 조명, TV, 에어컨, 선풍기 등의 각종 전력기기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학교의 강의실 처럼 거주인이 상주하지 않는 실내는 관리 소홀로 사용하지 않음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전력이 소비되는 전력기기가 많다.
그래서 일부의 건물은 관리실에서 원격으로 각 실내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관리실에서 실내의 상황을 모르는 상황에서 실내에 사람이 없을 것이라는 등의 예측으로 실내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건물의 관리실에서 각 실내 전원의 원격 제어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관리자가 실내를 직접 다니면서 확인하여 사용자가 없으면 실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력기기(예; 조명, 선풍기, 에어컨 등)를 오프시키고 있다.
이처럼 거주인이 실내에 상주하지 않는 건물은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어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23213호 "절전형 조명기구 제어장치", 등록특허 제10-1100371 "절전형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등은 스위치에 타이머를 달아서, 사용자가 타이머를 이용해 설정한 시간이 되면 조명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하거나, 스위치에 네트워크 등을 통해 외부에 접속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내장하여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조명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10-1357192호 "스마트 절전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실내의 전력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방지하고 있다.
종래기술처럼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여 절전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수시로 체크하고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음으로써 절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관리실에서 전송되는 스케줄신호,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작신호, 자체적으로 계측하는 소비전력에 따라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는
접속된 부하기기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의 출력포트;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의 전원 출력을 온오프하는 스위칭소자;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의 소비전력을 계측하는 전력량계측모듈;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터치모듈;
관리실과 통신하여 스케줄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전력량계측모듈의 소비전력과,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신호와, 상기 통신모듈의 스케줄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량계측모듈의 소비전력과,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신호와, 상기 통신모듈의 스케줄신호 중에서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신호를 우선순위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 시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스케줄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수의 출력포트와 터치모듈은 표면에 노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칭소자, 전력량계측모듈, 통신모듈 및 제어부는 내장되어 구비되는 함체;
바닥에 놓이는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함체가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는 관리실에서 전송되는 스케줄신호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작신호와, 자체적으로 계측하는 소비전력에 따라 각각의 출력포트에서의 전원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우선순위로 처리하여 전원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 조작신호의 입력 시기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스케줄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여 절전 효과를 높이고,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거치시키는 거치대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과 바닥의 물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의 함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와 탈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3의 요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수단의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fms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는 출력포트(11, 12, 13), 스위칭소자(21, 22, 23), 전력량계측모듈(31, 32, 33), 터치모듈(41, 42, 43, 44, 45), 통신모듈(50), 메모리(60),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포트(11, 12, 13)는 접속된 부하기기(즉, 전력기기)에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출력포트(11, 12, 13)에는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단자(11), 이더넷 케이블이 접속되는 POE포트(12), USB케이블이 접속되는 USB포트(1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소자(21, 22, 23)는 각각의 출력포트(11, 12, 13)에 연결되고 온오프하는 스위칭 동작으로 출력포트(11, 12, 13)에서 전원이 출력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소자(21, 22, 23)는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는 트랜지스터, 트라이악, 싸이리스터, 릴레이 등의 전자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력량계측모듈(31, 32, 33)은 각각의 출력포트(11, 12, 13)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계측한다. 상기 전력량계측모듈(31, 32, 33)을 통해 각 출력포트(11, 12, 13)에 접속된 전력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체크하고, 구동되고 있지 않지만 출력포트(11, 12, 13)에 접속되어 대기전력이 소비되고 있는 전력기기를 체크한다.
상기 제어부(70)는 대기전력 상태에 있는 출력포트(11, 12, 13)가 체크되면 그 출력포트(11, 12, 13)의 스위칭소자(21, 22, 23)를 오프시켜 대기전력의 소비를 차단한다.
상기 터치모듈(41, 42, 43, 44, 45)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상기 터치모듈(41, 42, 43, 44, 45)은 출력포트(11, 12, 13) 각각에 인접하여 구비되어서 출력포트(11, 12, 13)의 온오프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파워부(41, 42, 43), 모드를 설정하거나 시간을 설정하는 등의 조작을 위한 설정부(44), 상기 설정부의 설정 사항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상기 파워부(41, 42, 43)를 터치할 때마다 상기 스위칭소자(21, 22, 23)는 온, 오프를 반복한다.
상기 파워부(41, 42, 43)의 조작에 따른 스위칭소자(21, 22, 23)의 온,오프는 스케줄신호나 대기전력신호 보다 우선하여, 파워부(41, 42, 43)의 조작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70)는 스위칭소자(21, 22, 23)를 턴온 또는 턴오프 시킨다.
그리고 파워부(41, 42, 43)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소자(21, 22, 23)를 턴온시킨 후에 일정 시간(예; 1시간) 이내에는 스케줄신호나 대기전력신호가 입력되더라도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시점에서 전원 출력이 차단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출력포트(11, 12, 13)에서 전원이 예상치 못한 시점에서 차단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정부를 통해 해당 출력포트(11, 12, 13)의 스위칭소자(21, 22, 23)가 일정시간 동안 턴오프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50)은 관리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유선으로 통신시에는 상기 POE포트(12)를 통해 관리실과 연결된다.
상기 통신모듈(50)은 관리실에서 스케줄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70)로 전송하여, 제어부(70)가 스케줄에 따라 스위칭소자(21, 22, 23)들을 제어하도록 한다. 스케줄은 해당 실내의 시간별 사용여부에 관한 데이터이다.
더불어, 상기 통신모듈(50)은 출력포트(11, 12, 13), 스위칭소자(21, 22, 23), 전력량계측모듈(31, 32, 33) 등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관리실로 전송하여 관리실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관리실에서 전송하는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70)로 전달함으로써 제어부(70)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는 터치모듈(41, 42, 43, 44, 45)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 상기 통신모듈(50)을 통해 수신되는 관리실의 스케줄신호, 상기 전력량계측모듈(31, 32, 33)이 계측하는 소비전력에 따른 대기전력신호에 따라 스위칭소자(21, 22, 23)들을 제어하여서 출력포트(11, 12, 13)에서의 전원 출력을 온/오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용패턴을 분석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가 설치된 실내에서의 전원 사용 시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해당 실내의 스케줄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생성함으로써, 관리실에서 스케줄신호가 전송되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스케줄데이터에 따라 전원 사용을 관리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스케줄신호(조작 시기를 수집 및 분석한 스케줄데이터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실내를 사용하지 않는 시기에는 출력포트(11, 12, 13)에서 전원이 출력되지 않도록 스위칭소자(21, 22, 23)를 오프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설정부(44)를 통해 전원이 오프되지 않도록 설정한 출력포트의 스위칭소자는 오프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스케줄신호에 따라 스위칭소자(21, 22, 23)를 온한 상태에서도 전력량계측모듈에서 대기전력 상태로 감지되는 출력포트는 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때에는 다른 신호에 우선하여 스위칭소자(21, 22, 23)를 온 또는 오프시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우선하여 처리한다.
상기 메모리(60)는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스위칭소자(21, 22, 23)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관련된 수신한 스케줄신호, 계측된 소비전력, 생성된 스케줄데이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설정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의 일례로 함체(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함체(80)의 일면에는 다수의 출력포트(11, 12, 13)로서 플러그 접속구(11), POE포트(12), USB포트(13)가 구비되고, 각각의 출력포트(11, 12, 13)에는 사용자가 온오프 조작하는 파워부(21, 22, 23)가 인접하여 구비되고,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44)와 디스플레이부(45)가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함체에는 실내의 콘세트나 배선에 접속되어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케이블(81)이 연결된다.
상기 함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위칭소자(21, 22, 23), 전력량계측모듈(31, 32, 33), 통신모듈(50), 제어부(70) 등이 내장된다.
도3에는 상기 함체(80)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거치대(9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는 실내에 기 구축되어 있는 전원설비로서 콘센트나 배선라인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그래서 함체(80)는 통상 실내 바닥에 놓이게 된다. 실내 바닥에 놓인 함체(80)는 통행인 등에 의해 우발적인 충격을 받기 쉽고, 바닥에 쏟아진 물기에 접속되어 전기사고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거치대(90)에 함체(80)를 거치시켜 보호하고,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물기에 접촉되는 사고를 예방한다.
상기 거치대(90)는 바닥에 놓이는 다리부재(91)와, 상기 다리부재(9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함체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어 거치되는 거치부재(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는 탈착수단(S)을 통해 상기 거치부재에 형성되는 안착홈(9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탈착수단(S)은 상기 함체(80)를 거치부재(93)의 상기 안착홈(95)으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눌러 삽입시키면 함체(80)가 안착홈(95)에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함체(80)를 누르면 함체(80)가 안착홈(95)에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탈착수단(S)은 상기 안착홈(95)의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S11)과 상기 함체(80)의 측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S11)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S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S11)에는 전면에 톱니(S13)가 형성된 걸림판(S12)이 배치되고,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전면에는 상기 톱니(S13)와 결합되는 대응톱니(S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은 상기 함체(80)가 안착홈(95)에 삽입되는 것은 허용하나 후퇴하여 이탈하는 것은 불허한다.
상기 걸림판(S12)에는 막대(S14)가 가로질러 구비되고, 상기 막대(S14)의 양측은 전후스프링(S15)이 후방에서 탄성지지하여 막대(S14)를 전방으로 민다. 상기 함체(80)가 상기 안착홈(95)으로 삽입되어 상기 대응톱니(S23)가 상기 톱니(S13)를 밀면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막대(S14)와 걸림판(S12)은 후진하여 대응톱니(S23)의 삽입을 허용하고, 대응톱니(S23)가 삽입되면 상기 전후스프링(S15)에 의해 막대(S14)와 걸림판(S12)은 전진하여 대응톱니(S23)와 톱니(S13)가 결합되어 대응톱니(S23)의 후퇴를 불허한다.
상기 탈착수단(S)은 상기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으로 상기 함체(80)가 안착홈(9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함체(80)를 누르면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함체(80)가 안착홈(95)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홈(95)의 바닥에는 승강스프링(S25)으로 지지되는 승강판(S24)이 구비되어서 안착홈(95)에 안착된 함체(80)를 상부측으로 민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전면에서 상기 대응톱니(S23)의 옆에는 상기 대응톱니(S23)에서 이탈된 상기 톱니(S13)가 수용되는 가이드홈(S27)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응톱니(S23)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판(S12)을 옆으로 밀어 상기 톱니(S13)가 상기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여 수용되도록 하는 푸싱돌기(S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막대(S14)에는 상기 걸림판(S12)의 일측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푸싱돌기(S29)가 상기 걸림판(S12)을 미는 힘이 소멸하면 걸림판(S12)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S16)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탈착수단(S)을 통해 상기 함체(80)를 누를 때마나 상기 함체(80)가 상기 안착홈(95)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과정을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삽입돌출부(S21)가 상기 삽입홈(S11)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함체(80)를 안착홈(95)에 넣으면 상기 승강판(S24)이 함체(80)를 탄성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함체(80)를 손가락으로 살짝 누르면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대응톱니(S23)와 상기 삽입홈(S11) 내에 구비되는 걸림판(S12)의 톱니(S13)가 치합되어 걸림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판(S24)이 함체(80)를 상부로 탄성지지하고, 대응톱니(S23)와 톱니(S13)가 걸림결합되어서 함체(80)는 안착홈(9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안착홈(95)에 안착되어 있는 함체(8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함체(80)가 안착홈(95)의 바닥으로 하강을 한다. 함체(80)가 하강하면 삽입돌출부(S2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푸싱돌기(S29)가 상기 삽입홈(S11) 내에 구비되는 걸림판(S12)을 일측으로 밀게 된다. 일측으로 밀리는 걸림판(S12)의 톱니(S13)는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대응톱니(S23)를 벗어나기 시작하여 종국에는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게 된다. 톱니(S13)가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면 막대(S14)를 탄성지지하는 전후스프링(S15)에 의해 톱니(S13)는 전진하여 가이드홈(S27)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함체(80)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승강판(S24)이 함체(80)를 상부로 밀어 안착홈(95)에서 일부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S27)은 톱니(S13)를 따라 이동하여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충돌을 방지한다. 안착홈(95)에서 일부 이탈된 함체(80)는 손가락으로 집어서 분리시킬 수 있다. 함체(80)가 안착홈(95)에서 분리되면 걸림판(S12)을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S16)에 의해 걸림판(S12)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12, 13 : 출력포트 21, 22, 23 : 스위칭소자
31, 32, 33 : 전력량계측모듈 41, 42, 43 : 파워부
44 : 설정부 45 : 디스플레이부
50 : 통신모듈 60 : 메모리
70 : 제어부 80 : 함체
90 : 거치대 91 : 다리부재
93 : 거치부재 95 : 안착홈

Claims (4)

  1. 접속된 부하기기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의 출력포트;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의 전원 출력을 온오프하는 스위칭소자;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의 소비전력을 계측하는 전력량계측모듈;
    상기 출력포트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터치모듈;
    관리실과 통신하여 스케줄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전력량계측모듈의 소비전력과,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신호와, 상기 통신모듈의 스케줄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량계측모듈의 소비전력과,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신호와, 상기 통신모듈의 스케줄신호 중에서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신호를 우선순위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모듈의 조작 시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스케줄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력포트와 터치모듈은 표면에 노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칭소자, 전력량계측모듈, 통신모듈 및 제어부는 내장되어 구비되는 함체;
    바닥에 놓이는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함체가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KR1020180069772A 2018-06-18 2018-06-18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KR20190142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72A KR20190142612A (ko) 2018-06-18 2018-06-18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72A KR20190142612A (ko) 2018-06-18 2018-06-18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612A true KR20190142612A (ko) 2019-12-27

Family

ID=6906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772A KR20190142612A (ko) 2018-06-18 2018-06-18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26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36751B2 (en) Intelligent support box for electric hybrid switches, power outlets and combinations thereof
US8129859B2 (en) Extension cord with wireless timing function
KR100801042B1 (ko) 자동전원차단콘센트
JP6246186B2 (ja) プログラム可能な電気制御装置
US20110282509A1 (en) Occupancy based switching with advance notification
KR101216882B1 (ko) 스마트 전력 절감 지원 스위칭 장치 및 방법
US20150026890A1 (en)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for a piece of furniture,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and a corresponding piece of furniture
CN101243375A (zh) 改进的感测插座组合件
CA2714355C (en) Load condition controlled power circuit
TW201618148A (zh) 積木式插座面板及用於積木式插座面板的層模組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EP2579691B1 (en) Intelligent switch modu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041432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142612A (ko) 절전용 전원공급 박스
KR102327693B1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CN105867201A (zh) 一种智能开关
CN202470324U (zh) 室内环境调节监控装置
FI3355137T3 (fi) Sähköasennuksen kiskoon asennettava laite ja järjestely
KR20090005524A (ko) 대기전력 제어기능을 갖는 에이전트
CN103699034B (zh) 一种集中管理触摸节电开关控制系统
KR20140100229A (ko) 대기전력차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간별 전등제어방법
KR101063438B1 (ko) 대기전력 절감형 멀티콘센트
KR20120009280A (ko) 지능형절전 전원공급장치
KR20100030394A (ko)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대기전력 제어방법
JP7117936B2 (ja) 照明スイッ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