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749A -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s, vehicle controls and mobile devices - Google Patents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s, vehicle controls and mobil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749A
KR20190141749A KR1020197035034A KR20197035034A KR20190141749A KR 20190141749 A KR20190141749 A KR 20190141749A KR 1020197035034 A KR1020197035034 A KR 1020197035034A KR 20197035034 A KR20197035034 A KR 20197035034A KR 20190141749 A KR20190141749 A KR 20190141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range
portable device
sensitiv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3558B1 (en
Inventor
히로아키 마에하라
류스케 이시카와
다카유키 핫토리
데츠야 미와
다츠히토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1352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20987A1/en
Publication of KR2019014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 G07C2009/0033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and the lock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nsceiv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100, 300)가 송신하는 신호를 휴대기(1, 201)가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이며,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 중 한쪽은, 강도 판정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0)를 구비하고, 다른 쪽은,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하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3)와, 판정용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강도 판정용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8)를 구비한다.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은,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에 있는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14, 209)와, 휴대기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에 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수신 범위를,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휴대기가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설정부(7)를 구비하고 있다.It is a receiving range variable system in which the reception range which the portable apparatuses 1 and 201 can receive the signal whic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es 100 and 300 transmit is variable, and one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portable apparatus is intensity determination And a transmitting unit 10 for transmitting the signal for receiving the signal, and the other for determin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by the determination signal receiver 3 for receiving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and the determination signal receiver.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part 8 is provided. The reception range variable system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within an implementation range for enabling vehicl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or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 of the implementation range,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 14 and 209 and a reception range setting unit 7 for narrowing the reception range to be outside the reception range while making the reception rang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mobile device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side the range. ).

Description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s, vehicle controls and mobile devices

본 출원은, 2017년 6월 2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2017-110302호와 2017년 7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2017-143911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the JP Application No. 2017-110302 of an application on June 2, 2017, and the Japanese application No. 2017-143911 for an application on July 25, 2017, and uses the content of this description here. .

본 개시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portable device.

특허문헌 1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또는 패시브 엔트리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기능을 실시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열거된 선행 기술문헌의 기재 내용은,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기술적 요소의 설명으로서,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Patent document 1 is disclos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which performs a function called a keyless entry system or a passive entry system. The cont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listed as a prior art is used by reference as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element in this specification.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04823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6-204823

차량 제어 장치에서는, 웰컴 제어가 고려되어 있다. 웰컴 제어는, 휴대기를 소지한 유저를 차량으로 맞이하기 위한 차량 제어이다. 웰컴 제어는, 예를 들어 룸 램프의 점등 또는 차량의 발판에 마련된 라이트를 점등시키는 제어이다.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welcome control is considered. Welcome control is vehicle control for welcoming a user with a mobile device to a vehicle. Welcome control is control which turns on lighting of a room lamp or the light provided in the footrest of a vehicle, for example.

차량 제어 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을 구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전파로 송신한다. 휴대기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휴대기는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를 판정한다. 휴대기는, 판정한 수신 강도의 정보를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차량 제어 장치로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는,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웰컴 제어를 실시하는 범위인 실시 범위 내에 휴대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는, 휴대기가 실시 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웰컴 제어를 실시한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transmits, as a radio wave, a response request signal for obtaining a response from the portable device at regular intervals. The mobile device receives a response request signal. In patent document 1, a portable device determine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ceived electric wave. The portable device transmits the determined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by including the response signal. The vehicle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exists within an implementation range that is a range in which welcome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exist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the vehicle control device performs welcome control.

특허문헌 1과 같이, 휴대기가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에 휴대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휴대기는, 적어도 실시 범위보다도 넓은 범위에서 차량 제어 장치가 송신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As in Patent Literature 1,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ortable device exists within an implementation range that enables vehicle control to the portable device,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received by the portable device, the portable device is at least wid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Needs to be able to receive a response request signal sent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추가로, 실시 범위를 가변으로 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실시 범위를 가변으로 하는 경우, 휴대기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는, 가장 넓은 실시 범위보다도 넓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신 범위이지만 실시 범위 외인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there is a request to make the implementation range variable. When the implementation range is made variable, the reception range in which the mobile device can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needs to be wider than the widest implementation range. In this regard, there is an area outside the reception range but the implementation range.

그러나, 차량 제어 장치는, 휴대기가 실시 범위 외에 존재하는 경우, 휴대기로부터의 송신에 대하여 웰컴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기는, 수신 범위 내이기는 하지만 실시 범위 외에 존재하는 경우에 응답 신호를 송신해도, 불필요하게 전지의 수명을 저하시켜 버리게 된다. 편리성이라는 하나의 관점에서, 전지의 수명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does not perform welcome control for transmission from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Therefore, even if the portable device transmits a response signal when it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the portable device unnecessarily decreases the life of the battery. In view of convenience, an improvement in the life of a battery is required.

상술한 관점에 있어서, 또는 언급되어 있지 않은 다른 관점에 있어서,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에는 가일층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In view of the above, or in other aspects not mentioned, further improvement is required for the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the portable device.

본 개시의 하나의 목적은,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하여 휴대기가 회신하는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a portable device return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vehicle.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휴대기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which suppresses consumption of a battery included in the portable device.

본 개시의 가일층의 목적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를 가변으로 하면서, 휴대기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양립시키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portable device that make it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a battery included in the portable device while varying an implementation range that enables vehicl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There is.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은, 차량 제어 장치와 휴대기를 구비하고, 차량 제어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를 휴대기가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이며,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의 한쪽인 송신측 장치는, 강도 판정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차량 제어 장치 및 휴대기의 다른 쪽인 수신측 장치는,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하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와, 판정용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강도 판정용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를 구비한다.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은,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인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가,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것에 기초하여, 수신 범위를,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휴대기가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설정부를 구비하고 있다.A receiving range variabl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receiving range variable system includ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and the receiving range of which the portable device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is variable. The transmission-side device, which is one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signal for strength determination, and the reception-side device, which is the other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determination signal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or strength determination. And a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section for determining reception strength of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by the determination signal reception section.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the reception range variable system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where the portable device exists i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that enables vehicl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or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And the determining unit narrows the receiv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range while making the receiving rang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performing ran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portable unit exists is within the receiving range but out of the performing range. A reception range setting unit is provided.

상기 일 양태에 관한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에 의하면, 판단부는,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인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것에 기초하여, 수신 범위 설정부는, 수신 범위를,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휴대기가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한다.According to the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 which concerns on the said aspect, the determination part judges whether the position in which a portable device exists i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which enables vehicle control with respect to a portable apparatus, or it is in a reception range but outside an implementation range.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portable device exists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 of the implementation range, the reception range setting unit is arranged such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outside the reception range while the reception range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Narrow it.

이로써, 휴대기가 수신 범위 내에 존재했다고 해도, 감도 범위 설정부에 의해, 휴대기가 수신 범위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가 좁아진다. 따라서, 차량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하여 휴대기가 회신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회신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휴대기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Thereby, even if the portable device exists in the reception range, the reception range is narrowed by the sensitivity range setting unit so that the portable device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Therefore,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portable device returns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replies,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suppressed.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는,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을 구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휴대기가 회신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휴대기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휴대기가 존재하는 범위에 기초하여, 휴대기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인 수신 범위를 변경시키는 요구인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휴대기로 송신하는 변경 요구부와,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기의 수신 강도를 확인하는 수신 강도 확인부를 구비한다. 판단부는,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수신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인 실시 범위를 설정하고, 수신 강도가 소정의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 외에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를 갖는다. 변경 요구부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 외에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기가 수신 범위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를 좁게 하기 위해, 휴대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로 송신하는 감도 저하 요구부를 갖는다.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signal for obtaining a response from the portable device, a receiver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returned by the portable device in response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and a portable device. A judging section for judging the range, a change request section for sending a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to the mobile device, the request for changing the reception range being a range in which the mobile device can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based on the range in which the mobile device exists; And a reception strength checking unit for check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portable device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he determination unit sets an execution range that is narrower than the reception range that enables the vehicle control to the mobile device, and determines that the mobile device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and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when the reception intensity i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has an out-of-range judgment part. When the change request unit determines that the mobile device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and the mobile device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by the non-execution range judging unit, the change request unit decreas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to narrow the reception range so that the mobile device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And a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a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휴대기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휴대기이며, 응답 요구 신호 및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수신하는 휴대기 수신부와, 휴대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수신 감도 변경 요구에 따라, 수신 감도를 변화시키는 수신 감도 가변부와, 휴대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와, 수신 강도 판정부에서 판정한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 정보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차량으로 송신하는 휴대기 송신부를 구비한다.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portable device used together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includes a portable device receiver that receives a response request signal and a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and a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received by the portable device receiver. A response including a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for vary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a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section for determin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sponse request signal received at the portable device reception section, and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at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section; And a portable devic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vehicle.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휴대기는, 차량 제어 장치가 송신하는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하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와, 판정용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강도 판정용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와,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인지,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가, 현재 위치가 수신 범위 내이지만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수신 범위를,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현재 위치가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설정부를 구비하고 있다.A portable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etermination signal receiver that receives a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transmitted by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by the determination signal receiver. On the basis of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an implementation range that enables vehicle control of the mobile device or within a reception range where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can be received, but i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When the judging unit and the judging unit judge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 of the execution range,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lower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positioned outside the reception range while the reception rang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The receiving range setting part which narrows is provided.

본 개시에 대한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더 명확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신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4는 수신 범위 및 실시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5는 수신 범위 및 실시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6은 차량 제어 장치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휴대기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워크 어웨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bird's ey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ception range.
4 is a bird's ey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ception range and an implementation range.
5 is a bird's ey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ception range and an implementation range.
6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7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in the portable devic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alk away process.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서,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및/또는 구조적으로 대응하는 부분 및/또는 관련지어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100 이상의 위치가 다른 참조 부호가 붙는 경우가 있다. 대응하는 부분 및/또는 관련지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 형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A plurality of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some embodiments, functionally and / or structurally corresponding parts and / or associated parts may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 or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with positions of 100 or more. For corresponding parts and / or related parts, descriptions of other embodiments can be referred to.

(제1 실시 형태)(1st embodiment)

(휴대기)(Mobile)

이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1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기(1)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는 수신측 장치이다. 휴대기(1)는 휴대기 MCU(Micro Control Unit)(2)와, LF 수신부(3)와, LF 수신 안테나(4)와, UHF 송신부(5)와, 송신 안테나(6)를 갖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1 shows a port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ortable device 1 is a receiving side device. The portable device 1 has a portable device microcontrol unit (MCU) 2, an LF receiver 3, an LF reception antenna 4, a UHF transmitter 5, and a transmission antenna 6.

휴대기 MCU(2)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 MCU(2)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휴대기 MCU(2)가 제공하는 수단 및/또는 기능은, 실체적인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소프트웨어 및 그것을 실행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만, 하드웨어만, 혹은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기 MCU(2)가 하드웨어인 전자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그것은 다수의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디지털 회로, 또는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MCU 2 includes a CPU, a ROM, a RAM, and the like. The portable device MCU 2 executes various processes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The means and / or functions provided by the portable device MCU 2 can be provided by software written in an actual memory device and only a computer, software that executes it, onl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MCU 2 is provided by an electronic circuit that is hardware, it may be provided by a digital circuit or an analog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logic circuits.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가변부(7)와 수신 강도 판정부(8)를 갖는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변화시킨다. LF 수신부(3)는, 수신 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증폭기를 갖는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증폭기의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수신 감도를 변화시킨다. 수신 감도는, 증폭기에 흐르게 하는 전류량을 크게 하면 높아진다. 수신 감도는, 증폭기에 흐르게 하는 전류량을 작게 하면 낮아진다. 휴대기(1)는, 수신 감도가 높을수록, 차량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송신 전력이 동일해도, 그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가 길어진다. 즉, 수신 범위(30)(도 3 참조)가 넓어진다. 이와 같이, 수신 감도 가변부(7)가 수신 감도를 변화시키면, 수신 범위(30)가 변화된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수신 범위 설정부에 상당한다.The portable device MCU 2 has a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section 7 and a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section 8.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ying section 7 chang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1. The LF receiver 3 has an amplifier for adjusting reception sensitivity.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ying section 7 changes the reception sensitivity by adjusting the gain of the amplifi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mplifi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lowered whe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mplifier is reduced. As the portable device 1 has a higher reception sensitivity, even i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is the same, the distance from which the radio waves can be received increases. In other words, the reception range 30 (see Fig. 3) is widened. In this way, when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portion 7 changes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reception range 30 changes.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part 7 corresponds to a reception range setting part.

수신 강도 판정부(8)는 RSSI 회로를 사용하여, LF 수신부(3)에서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를 판정한다. LF 수신부(3)에서 수신하는 전파의 일례는 응답 요구 신호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응답 요구 신호는 강도 판정용 신호에 상당하고, LF 수신부(3)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에 상당한다. RSSI 회로는, 수신 감도 가변부(7)가 수신 감도를 변화시키는 회로와는 독립되어 있고, 수신 강도는 수신 감도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8 determine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LF receiver 3 using the RSSI circuit. An example of radio waves received by the LF receiver 3 is a response request signal. 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sponse request signal corresponds to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and the LF receiver 3 corresponds to the determination signal receiver. The RSSI circuit is independent of the circuit in which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portion 7 changes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reception strength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reception sensitivity.

LF 수신 안테나(4)는, 차량 제어 장치(10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LF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LF대란, 예를 들어 30㎑ 내지 300㎑의 주파수대이다. LF 수신부(3)는, LF 수신 안테나(4)가 수신한 전파를, 수신 강도 판정부(8)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LF 수신부(3)는, 변환한 신호를 수신 강도 판정부(8)로 출력한다.The LF receiving antenna 4 is an antenna for receiving the radio wave of the LF band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The LF band is, for example, a frequency band of 30 Hz to 300 Hz. The LF receiver 3 converts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LF receiver antenna 4 into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8. The LF receiving section 3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to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ing section 8.

휴대기 MCU(2)는, LF 수신 안테나(4)에서 LF대의 전파를 수신한 경우, 응답 신호를 UHF 송신부(5)로 출력한다. 응답 신호는, 수신 강도 판정부(8)에서 판정한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 정보와, 차량(22)과 대응하는 휴대기(1)인 것을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갖는다. 수신 강도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응답 신호는 측정 결과 신호에 상당한다. UHF 송신부(5)는, UHF대의 전파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6)로부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UHF대란, 예를 들어 300㎒ 내지 3㎓의 주파수대이다. LF 수신부(3)는 휴대기 수신부에 상당한다. UHF 송신부(5)는 휴대기 송신부에 상당한다.The portable device MCU 2 outputs a response signal to the UHF transmitter 5 when the LF reception antenna 4 receives the radio wave of the LF band. The response signal has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8 and regist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ortable device 1 corresponds to the vehicle 22. Since the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is included, the response signal corresponds to the measurement result signal. The UHF transmitter 5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6 for transmitting signals by radio waves of the UHF band. The UHF band is, for example, a frequency band of 300 MHz to 3 GHz. The LF receiver 3 corresponds to a portable receiver. The UHF transmitter 5 corresponds to a portable transmitter.

(차량 제어 장치)(Vehicle control unit)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제어 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는 송신측 장치이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MCU(9)와, LF 송신부(10)와, LF 안테나(11)와, UHF 수신부(12)와, UHF 수신 안테나(13)를 갖는다. 휴대기(1)와 차량 제어 장치(100)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을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으로 한다. 휴대기(1)는, 차량 제어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휴대기로 한다. 단, 휴대기(1)는, 다른 장치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2 illustrates a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s a transmission side devic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n MCU 9, an LF transmitter 10, an LF antenna 11, a UHF receiver 12, and a UHF receiver antenna 13. The system constituted by the mobile device 1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s a receiving range variable system. The portable device 1 is a portable device used with a vehicle control device. However, the portable device 1 may be used by another apparatus.

MCU(9)는, 휴대기(1)로부터의 응답을 구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LF 송신부(10)에 출력한다. LF 안테나(11)는, LF대의 전파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LF 송신부(10)는, LF 안테나(11)를 통해 응답 요구 신호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휴대기(1)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100)로 송신한다. 이 송신은,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회신이기도 하다. 응답 요구 신호 및 응답 신호는, 대조를 행하기 위한 신호의 일부이고, 대조 실시부(19)는, 이들 응답 요구 신호 및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대조를 행한다. 따라서, 응답 요구 신호는 대조 신호에 상당한다. 또한, LF 송신부(10)는 송신부에 상당한다.The MCU 9 outputs a response request signal for obtaining a response from the portable device 1 to the LF transmitter 10. The LF antenna 11 i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signals by radio waves of the LF band. The LF transmitter 10 transmits the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device 1 via the LF antenna 11. When the portable device 1 receives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t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This transmission is also a response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The response request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are part of the signal for performing the matching, and the matching execution unit 19 performs the matching based on these response request signals and the response signals. Therefor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cor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In addition, the LF transmitter 10 corresponds to a transmitter.

LF 안테나(11)는 차량(22)의 복수의 위치에 분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LF 안테나(11)는, 예를 들어 차량(22)의 보닛 내 등 전방면에 마련된다. LF 안테나(11)는, 예를 들어 차량(22)의 트렁크 하부의 리어 범퍼 내 등 후방면에 마련된다. LF 안테나(11)는, 예를 들어 차량(22)의 우측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노브 등의 우측면에 마련된다. LF 안테나(11)는, 예를 들어 차량(22)의 좌측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노브 등의 좌측면에 마련된다. 또한, LF 안테나(11)는, 차량(22)의 차 실내에도 마련된다. 또한, 이들 복수의 위치 모두에 LF 안테나(11)가 마련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차량(22)의 전방면에 LF 안테나(11)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The LF antennas 11 ar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vehicle 22. The LF antenna 11 is provided, for example, on the front face of the back of the bonnet of the vehicle 22. The LF antenna 11 is provided, for example, on the back rear surface of the rear bumper under the trunk of the vehicle 22. The LF antenna 11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door knob of the side door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22, for example. The LF antenna 11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oor knob of the side door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22, for example. The LF antenna 11 is also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of the vehicle 22. In addition, the LF antenna 11 need not be provided at all of these plurality of positions. For example, the LF antenna 11 may not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22.

UHF 수신 안테나(13)는, 휴대기(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UHF 수신부(12)는, 수신한 응답 신호를 MCU(9)로 출력한다. UHF 수신부(12)는 수신부에 상당한다.The UHF receiving antenna 13 is an antenna f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1. The UHF receiving unit 12 outputs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o the MCU 9. The UHF receiver 12 corresponds to the receiver.

MCU(9)는, 판단부(14)와, 변경 요구부(15)와, 이탈 동작 검출부(16)와, 탑승 동작 검출부(17)와, 수신 강도 확인부(18)와, 대조 실시부(19)와, 이그니션 SW(스위치) 검출부(20)와, 도어록 SW 검출부(21)를 갖는다.The MCU 9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14, a change request unit 15, a departure motion detection unit 16, a boarding motion detection unit 17, a reception strength confirming unit 18, and a check execution unit ( 19, an ignition SW (switch) detection unit 20, and a door lock SW detection unit 21.

이그니션 SW 검출부(20)는, 차량(22)의 이그니션의 온오프를 검출한다. 도어록 SW 검출부(21)는, 차량(22)의 도어록 장치의 시정 또는 해정을 검출한다. 수신 강도 확인부(18)는, 수신한 응답 신호로부터 휴대기(1)가 수신한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강도를 확인한다. 수신 강도 확인부(18)는, 확인한 수신 강도를 판단부(14)로 출력한다.The ignition SW detection unit 20 detects on / off of the ignition of the vehicle 22. The door lock SW detection unit 21 detects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lock device of the vehicle 22. The reception strength confirmation unit 18 confirm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sponse request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device 1 from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he reception strength confirmation unit 18 outputs the confirmed reception strength to the determination unit 14.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되어 간다고 추측할 수 있는 이탈 동작을 검출한다. 이탈 동작이란, 예를 들어 유저가 도어록 장치를 자물쇠를 채운 동작 또는 이그니션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한 동작이다. 또한, 이그니션 오프 후의 도어 개방 동작, 혹은 그 도어 개방 동작에 이어지는 도어 폐쇄 동작을 이탈 동작으로 해도 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이그니션 SW 검출부(20)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탈 동작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이그니션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된 경우, 이탈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도어록 SW 검출부(21)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탈 동작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탈 동작 검출부(16)는, 도어록 장치의 시정이 행해진 경우, 이탈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The departure motion detection unit 16 detects a departure motion in which the user can assume that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22. The detachment operation is, for example,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locks the door lock device or an operation in which the ignition is turned off from on.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operation after ignition-off or the door closing operation following the door opening operation may be used as the release operation. The departure motion detection unit 16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parture motion from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gnition SW detection unit 20. The departure operation detection unit 16 determines that the departure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departure operation detection unit 16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parture operation from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lock SW detection unit 21. The deviation motion detection unit 16 determines that the departure motion has been performed when the door lock device has been corrected.

탑승 동작 검출부(17)는, 유저가 차량(22)의 내부에 탑승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탑승 동작을 검출한다. 탑승 동작이란, 예를 들어 유저가 도어록 기능을 해정한 동작이다. 또한, 도어록 기능의 해정, 즉 도어록의 해제 후의 도어 개방 동작, 혹은 그 도어 개방 동작에 이어지는 도어 폐쇄 동작을 탑승 동작으로 해도 된다. 탑승 동작 검출부(17)는, 도어록 SW 검출부(21)의 검출 결과로부터 탑승 동작의 유무를 검출한다. 탑승 동작 검출부(17)는, 도어록 기능이 해정된 경우, 탑승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다.The boarding motion detection unit 17 detects a boarding motion that can be inferred that the user has boarded inside the vehicle 22. The boarding oper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releases the door lock function, for example. Further, the unlocking of the door lock function, that is, the door opening operation after the door lock is released, or the door closing operation following the door opening operation may be used as the boarding operation. The boarding motion detector 17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boarding motion from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lock SW detector 21. The boarding motion detection unit 17 determines that the board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when the door lock function is released.

판단부(14)는, 휴대기(1)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한다. 판단부(14)는, 범위 내 판단부(14a)와,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와, 차량 내부 판단부(14d)를 갖는다.The determination unit 14 determines the rang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The determination unit 14 includes an in-range determination unit 14a, an out-of-range determination unit 14b, and an in-vehicle determination unit 14d.

범위 내 판단부(14a)는, UHF 수신부(12)에 의해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 범위(30)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수신 범위(30)는,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이다.The in-range determination unit 14a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reception range 30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by the UHF reception unit 12. The reception range 30 is a range in which the mobile device 1 can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22)의 전방면, 후방면, 우측면, 좌측면에 LF 안테나(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LF 안테나(11)는, 각 LF 안테나(11)를 기점으로 차량(22)의 외부를 향해, 수평면 내의 지향성이 원형으로 되는 전파를 송신한다. 또한, 차량(22)의 차 실내에도, LF 안테나(11)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는 차 실내에 하나의 LF 안테나(11)를 도시하고 있지만, 차 실내에 둘 이상의 LF 안테나(11)를 배치해도 된다.As shown in FIG. 3, the LF antenna 11 is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the right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vehicle 22. As shown in FIG. These LF antennas 11 transmit radio waves having a directivity in a horizontal plane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22 starting from the respective LF antennas 11. The LF antenna 11 is also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of the vehicle 22. Although one LF antenna 11 is shown in a vehicle interior in FIG. 3, you may arrange | position two or more LF antennas 11 in a vehicle interior.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는, LF 안테나(11)를 기점으로 차량의 내부를 향해 전파를 송신한다. 이로써, UHF 수신부(12)는, 차량(22)의 내부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도,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차량(22)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신 범위(30)가,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를, 차량(22)의 전방면, 후방면, 우측면, 좌측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와, 차량(22)의 전방면, 후방면, 우측면, 좌측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신 범위(30)는, 어느 쪽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와, 차량(22)의 전방면, 후방면, 우측면, 좌측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는, 어느 쪽이 선택적으로 전파를 송신하기 때문이다.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transmits an electric wave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starting from the LF antenna 11. As a result, the UHF receiver 12 can receive the response signal even when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side the vehicle 22. In FIG. 3, the reception range 30 formed to include the vehicle 22 conceptually illustrates the reception range 30 form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In addition, in FIG. 3, the reception range 30 form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is made into the reception range 30 provid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the right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vehicle 22. As shown in FIG. It is shown with the reception range 30 formed. However, the reception range 30 form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reception range form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on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22. Either one of 30 is selectively formed. This is because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LF antenna 11 provided on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22 selectively transmit radio waves.

다음의 판단은, 차량(22)의 외부를 향해 전파를 송신하는 LF 안테나(11)가 전파를 축차 송신하고 있을 때에 행하는 판단이다.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 확인부(18)에서 확인된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즉, 판단 결과는 긍정적으로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범위(31)는, 수신 범위(30)보다도 좁은 범위이다.The following judgment is made when the LF antenna 11 that transmits radio waves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22 is gradually transmitting radio waves. The outside range determination unit 14b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when the reception strength confirmed by the reception strength confirmation unit 18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I judge it. In other words, the judgment result becomes positive. As shown in FIG. 4,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s a narrower range than the reception range 30.

실시 범위(31)는, 휴대기(1)를 소지한 유저를 차량(22)에 맞이하기 위한 차량 제어인 웰컴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범위이다. 웰컴 제어한, 예를 들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또는 패시브 엔트리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시스템에서 실시되는 차량(22)의 도어의 개폐이다. 웰컴 제어란, 예를 들어 룸 램프의 점등 또는 차량의 발판에 마련된 라이트를 점등시키는 제어이다. 웰컴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 휴대기(1)의 대조를 행한다. 따라서, 실시 범위(31)는, 대조를 행하는 범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The implementation range 31 is a range which enables the welcome control which is a vehicle control for welcoming the user who carries the portable device 1 to the vehicle 22. Welcome control i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f the vehicle 22 implemented in a system called, for example, a keyless entry system or a passive entry system. Welcome control is control which turns on lighting of a room lamp or the light provided in the footrest of a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welcome control is performed, the portable device 1 is collated.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may be called a range to perform a matching.

차량 제어 장치(100)는,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웰컴 제어를 실행한다. 실시 범위(31)가 넓을수록 웰컴 제어를 먼 곳으로부터 실시 가능해진다. 실시 범위(31)는, 도난 방지를 위해, 차량(2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범위(31)는, 예를 들어 차량의 주변 1m 이내로 설정된다.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가 클수록 차량(22)의 근처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제1 역치는, 설정된 실시 범위(31)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에 의해 설정된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executes welcome control when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wider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better the welcome control can be from far a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lementation range 31 b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22 in order to prevent theft.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s set within 1 m of the periphery of a vehicle, for example. The outside determination unit 14b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near the vehicle 22 as the reception intensity is larger. The first threshold is set by the reception strength indicating the size of the set range 31.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가 아닌 경우,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즉, 판단 결과는 부정적으로 된다.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가 아닌 경우란, 수신 강도가 제1 역치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The outside range determination unit 14b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range 31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not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In other words, the judgment result becomes negative. The case where the reception strength is not below the first threshold indicates the case where the reception strength is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차량 내부 판단부(14d)는, 차량(22)의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로부터 전파가 축차 송신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22)의 내부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 내부 판단부(14d)는, 수신 강도가 제2 역치보다 작은 경우, 차량(22)의 내부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제2 역치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로부터 전파를 송신하고, 차실의 코너, 혹은 차량(22)의 코너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어, 차실의 코너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를 그대로 제2 역치로 한다.The in-vehicle determination unit 14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22 in a state where radio waves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of the vehicle 22. To judge. The in-vehicle determination unit 14d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side the vehicle 22 when the reception intensity is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second threshold transmits radio waves from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measures the reception strength at the corner of the vehicle compartment or the corner of the vehicle 22 and sets the received strength based o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 For example, the reception strength at the corner of the vehicle compartment is used as the second threshold.

변경 요구부(15)는, 수신 범위(30)를 변경시키는 요구인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LF 송신부(10)로 출력한다. LF 송신부(10)는, LF 안테나(11)로부터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수신 감도 가변부(7)는, 수신 감도 변경 요구에 따라,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변화시킨다. 수신 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변경할 수 있다. 수신 범위(30)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가 낮아질수록 좁아진다. 수신 감도 변경 요구에는, 후술하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 및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있다.The change request unit 15 outputs a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which is a request to change the reception range 30, to the LF transmitter 10. The LF transmitter 10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from the LF antenna 11 to the mobile device 1.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part 7 chang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device 1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for chang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By chang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reception range 30 can be changed. The reception range 30 becomes narrower a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1 decreases. The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includes a reception sensitivity drop request and a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described later.

변경 요구부(15)는, 감도 저하 요구부(15a)와 감도 향상 요구부(15b)를 갖는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The change request unit 15 includes a sensitivity decrease request unit 15a and a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5b.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requests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non-execution determination unit 14b that the mobile device 1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that the mobile device 1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t transmits to the portable device 1.

수신 감도 저하 요구는,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30)를 좁게 하는 요구이다. 수신 감도 저하 요구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요구이다. 예를 들어,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범위(30)를 소정의 범위씩 좁게 하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is a request for narrowing the reception range 30 so that the mobile device 1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30. The request for lowe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a request for lowe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1. For example, when the mobile device 1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part 15a narrows the reception range 30 by a predetermined range.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is sent to the portable device 1.

수신 감도 가변부(7)는, 수신한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킨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범위(30)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의해 좁혀진다. 또한, 실시 범위(31)는 수신 강도로 정해지고, 또한 수신 강도는 수신 감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수신 감도가 저하된 것에 의해 수신 범위(30)가 좁아져도, 실시 범위(31)의 크기는 변화되지 않는다.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part 7 reduc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1 based on the received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As shown in FIG. 5, the reception range 30 is narrowed by the request for lowering the sensitivity of reception. In addition, sinc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s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and the reception strength is not affected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even if the reception range 30 is narrow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size of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s It does not change.

도 5에서는, 휴대기(1)는, 수신 범위(30)가 좁혀짐으로써,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지점에 존재하고 있다. 휴대기(1)는, 도 5에서의 지점에 있어서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는 없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한다.In FIG. 5,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at a point wher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cannot be received because the reception range 30 is narrowed. Since the portable device 1 cannot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at the point in Fig. 5, it does not transmit a respons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device 1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may not be able to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Until the reception sensitivity decreases.

소정의 범위는,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범위(30)는, 소정의 범위를 크게 설정한 경우, 한번의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의해 극단적으로 좁아진다. 수신 범위(30)가 미리 설정된 실시 범위(31)보다도 좁아지는 경우, 실시 범위(31)도 수신 범위(30)와 동일한 범위로 된다. 실시 범위(31)가 극단적으로 좁은 범위로 된 경우, 예를 들어 휴대기(1)를 LF 송신부(10)에 인접하는 지점까지 갖고 가지 않으면 차량(22)의 도어록을 해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실시 범위(31)가 극단적으로 좁은 범위로 됨으로써, 본래는 웰컴 제어를 실시해야 할 위치임에도, 웰컴 제어를 실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소정의 범위를 작게 설정한 경우,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범위(30)를 조금씩 좁게 하게 된다. 조금씩 수신 범위(30)를 좁게 함으로써, 소정의 범위를 크게 설정한 경우에 비해, 휴대기(1)가 존재하는 지점을 포함하지 않도록 좁혀진 수신 범위(30)를 큰 범위로 할 수 있다. 다른 표현을 사용하면, 조금씩 수신 범위(30)를 좁게 함으로써, 수신 범위(30)를, 실시 범위(31)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도, 휴대기(1)가 존재하는 지점을 겨우 포함하지 않는 범위로 할 수 있다. 동등이란, 조금이라면 수신 범위(30)가 실시 범위(31)보다도 좁아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신 범위(30)가 실시 범위(31)의 95%의 크기라면 동등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퍼센트는 95%에 한정되지 않고, 90% 등 다른 수치여도 된다. 또한, 겨우 포함하지 않는 범위란, 예를 들어 휴대기(1)와 휴대기(1)에 가장 가까운 수신 범위(30)의 가장자리와의 거리가 50㎝인 범위를 나타낸다. 이로써, 수신 범위(30)를 가능한 한 넓게 남길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수신 범위(30)를 휴대기(1)의 위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set predetermined range small. When the predetermined range is set large, the reception range 30 is extremely narrowed by one request for lowering the sensitivity. When the reception range 30 becomes narrower than the preset implementation range 31,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lso becomes the same range as the reception range 30. FIG. Whe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becomes an extremely narrow ran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22 cannot be released unless the portable device 1 is taken to a point adjacent to the LF transmitter 10, for example. . Sinc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becomes the extremely narrow range of implementation range 31,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it may not be able to perform welcome control even if it is a position which should originally perform welcome control. When the predetermined range is set small,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narrows the reception range 30 little by little. By narrowing the reception range 30 little by littl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redetermined range is set large, the reception range 30 narrowed so that it may not contain the point where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can be made into a large range. By using other expressions, the reception range 30 is narrowed little by little to make the reception range 30 the same size as the implementation range 31 or more, but not including the point where the mobile device 1 exists. You can do Equivalence means that the reception range 30 may be narrow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s little as possible. For example, if the reception range 30 is 95% of the size of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t can be said to be equivalent. The specific percentage is not limited to 95%, and other numerical values such as 90% may be used. In addition, the range which is barely included represents the range whos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device 1 and the edge of the reception range 30 closest to the portable device 1 is 50 cm, for example. In this way, the reception range 30 can be left as wide as possibl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an adjust the reception range 3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1.

한편, 한번의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의해,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도록 수신 범위(30)를 좁히는 것이, 휴대기(1)의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휴대기(1)의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우선하는 경우, 한번의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의해,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외로 되도록, 소정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narrow the reception range 30 so that the portable device 1 cannot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by one request for lowering the sensitivity of sensitivity, in order to suppress consumption of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1. Therefore, when giving priority to suppressing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1, it is desirable to set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portable device 1 is out of the reception range 30 by one request for a decrease in reception sensitivity. desirable.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는, 예를 들어 현재의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유지하는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는, 예를 들어 수신 범위(30)를 0m 좁게 하는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The sensitivity lowering request unit 15a transmits a signal that does not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out of range determination unit 14b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 signal that does not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for example, a signal indicating a request for maintain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current portable device 1. The signal that does not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for example, a signal indicating a request to narrow the reception range 30 to 0 m.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may not transmit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when the out of implementation range determination unit 14b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차량 제어 장치(100)는,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웰컴 제어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해 버리면, 실시 범위(31)가 좁아질 우려가 있다.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실시 범위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executes welcome control when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n this case,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he implementation range 31 may be narrowed. When it is judged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ransmission ran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narrowed by transmitting the signal which does not reduce reception sensitivity.

감도 향상 요구부(15b)는, 수신 범위(30)를 넓게 하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는, 후술하는 탑승 감도 향상 요구 및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있다. 감도 향상 요구부(15b)는, 탑승 동작 검출부(17)에 의해 탑승 동작이 검출된 경우, 수신 범위(30)를 넓게 하는 탑승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여기서의 수신 범위(30)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30)이다. 전술한 실시 범위(31)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30)보다도 좁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차량(22)의 외부에 형성되는 수신 범위(30)를 실시 범위(31)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도, 그 수신 범위(30)에 근접하도록 수신 감도를 저하시킨다.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5b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1 to widen the reception range 30.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ncludes a rid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and a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boarding motion detection unit 17 detects a boarding motion, the sensitivity improving requesting unit 15b transmits a boarding sensitivity improving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1 to widen the reception range 30. The reception range 30 here is a reception range 30 that can receive radio waves transmitt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31 is narrower than the reception range 30 that can receive radio waves transmitt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reduces the reception sensitivity so as to approach the reception range 30 while the reception range 30 formed outside the vehicle 22 is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따라서, 휴대기(1)를 소지한 유저가 차량(22)에 탑승해도, 휴대기(1)의 수신 감도가 저하된 상태에서는,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30)는, 차량(22)의 전체를 커버하는 범위로 되지 않는다.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수신 범위(30)가, 적어도 차량(22)의 주위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넓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수신 범위(30)가, 적어도 차량(22)의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넓어진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carrying the portable device 1 boards the vehicle 22, in the state wher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device 1 is lowered, the radio wave transmitt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can be received. The reception range 30 which is possible does not become a range which covers the whole of the vehicle 22. Due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he reception range 30 is widened to a range including at least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22. In other words,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widens the reception range 30 to a range including at least the entire vehicle 22.

차량(22)의 주위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넓히는 이유는, 휴대기(1)가 차량(22)의 내부의 어느 것에 존재했다고 해도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휴대기(1)는, 차량(22)의 주위를 포함하는 범위보다도 수신 범위(30)가 좁은 경우, 차량(22)의 내부에 존재했다고 해도, 차량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차량 내부 판단부(14d)는, 차량(22)의 내부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와 차 실내 대조할 수 없음으로써, 차내 대조를 조건으로 하는 차량 제어, 예를 들어 이그니션 SW를 온으로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감도 향상 요구부(15b)는, 휴대기(1)가 차량(22)의 내부 어디에 존재했다고 해도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 범위(30)를 넓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기(1)가 차 실내 혹은 차량(22) 내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행한다. 따라서,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30)가 차량(22)의 외측까지 넓어져 있어도, 잘못된 차량 제어를 해 버리는 것은 억제되어 있다.The reason for widening the range including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22 is to enable the mobile device 1 to receive a response request signal even if it exists in any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22. When the reception range 30 is narrower than the range including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22, the portable device 1 receives the response request signal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even if it exists inside the vehicle 22. There is a fear that it cannot be received. Therefore, the vehicle internal determination unit 14d may not be a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side the vehicle 22. Sinc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annot perform interior contrast with the portable device 1,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vehicle control, for example, ignition SW which cannot be turned on on condition of an interior vehicle, cannot be turned ON. Therefore, 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5b needs to widen the reception range 30 so that the response request signal can be received even if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anywhere inside the vehicle 22. In addition,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vehicle interior or the vehicle 22 is made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Therefore, even if the reception range 30 which can receive the radio wave transmitted by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22, it is suppressed that wrong vehicle control is performed.

감도 향상 요구부(15b)는, 이탈 동작 검출부(16)에 의해 이탈 동작이 검출된 경우, 수신 범위(30)를 실시 범위(31)보다도 넓게 하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수신 범위(30)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시하는 범위까지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시하는 범위가, 웰컴 제어를 실시하는 실시 범위(31), 및 차 실내 대조를 실시하는 범위보다도 넓은 경우에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최대의 수신 범위(30)까지 넓어지게 된다. 유저의 이탈 동작이 행해진 것을 조건으로 수신 범위(30)를 넓게 함으로써,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범위를, 본래,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시하는 범위까지 넓게 할 수 있다. 워크 어웨이 제어란,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된 때에 실시하는 차량 제어이다. 워크 어웨이 제어는, 예를 들어 휴대기(1)를 소지한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되면, 개방되어 있는 트렁크 룸이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제어이다. 워크 어웨이 제어는, 예를 들어 휴대기(1)를 소지한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되면, 도어록이 실시되는 제어이다. 워크 어웨이 제어에서는,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수신 범위(30)를 확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eparture operation detection unit 16 detects the departure operation, 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5b transmits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o make the reception range 30 wid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o the portable device 1. do.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reception range 30 wide to the range which walk-away control is requested | required of the devia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When the range in which the walk away control is performed is wider than the range in which the welcome control is performed and the range in which the interior control is performed, the maximum reception range 30 is widened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 By widening the reception range 30 on the condition that the user's disengagement operation is performed, the range in which the walk away control can be executed can be widened to the range in which the walk away control is originally performed. Walk away control is vehicle control performed when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22. The walk away control is a control in which an open trunk room is automatically closed when, for example, the user carrying the portable device 1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22. Walk-away control is control in which the door lock is implemen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who carries the portable device 1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22. In the walk away control,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22, it is preferable to enlarge the reception range 30.

대조 실시부(19)는, 휴대기(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갖는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한다. 즉, 휴대기(1)의 정당성 및 유효성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확인한다.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대조라고도 한다. 대조 실시부(19)는, 차량 외측에 수신 범위(30)를 형성하는 LF 안테나(11)를 사용하여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던 경우, 웰컴 제어 및 워크 어웨이 제어의 실행을 허가한다. 또한, 대조 실시부(19)는, 휴대기(1)가 차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차 실내에 마련된 LF 안테나(11)를 사용하여 차 실내 대조를 실시한다.The matching unit 19 confirms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mobile device 1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1. That is, at least one of the validity and the validity of the portable device 1 is confirmed. Confirming justification and / or validity is also called control. When the verification implementation unit 19 can confirm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mobile device 1 using the LF antenna 11 forming the reception range 30 outside the vehicle, the welcome control and the walk away control Allow execution of In addition, the matching unit 19 performs interior verification using the LF antenna 11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차량 제어 장치의 처리)(Process of Vehicle Control Unit)

도 6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22)의 이그니션이 온 및 오프로 되어 있는 동안, 도 6에 도시하는 처리를 항상 행한다. 단, 휴대기(1)가 차량(22) 중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이 도 6에 도시하는 처리 대신에 차 실내 대조를 실시한다.The process execut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6.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lways performs the process shown in FIG. 6 while the ignition of the vehicle 22 is turned on and off. However, in the stat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vehicle 22, the vehicle interior verification is performed instead of the processing shown in FIG.

스텝 S1에서는, MCU(9)는, LF 송신부(10)에 응답 요구 신호를 출력하고, 스텝 S2로 이행한다. 스텝 S2에서는, MCU(9)는, UHF 수신부(12)에 의해 응답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 범위(30)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MCU(9)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없던 경우, 수신 범위(30)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2를 실행함으로써 범위 내 판단부(14a)를 제공한다.In step S1, the MCU 9 outputs a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LF transmitter 10 and proceeds to step S2. In step S2, the MCU 9 determines whether the response signal has been received by the UHF receiver 12. When the MCU 9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it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 When the MCU 9 cannot receive the response signal, it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does not exist 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ends this flow. The MCU 9 provides the in-range determination unit 14a by executing step S2.

스텝 S3에서는, MCU(9)는, 휴대기(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갖는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스텝 S4로 이행한다. MCU(9)는, 스텝 S3을 실행함으로써 대조 실시부(19)를 제공한다.In step S3, the MCU 9 confirms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mobile device 1 based 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1, and proceeds to step S4. The MCU 9 provides the matching unit 19 by executing step S3.

스텝 S4에서는, MCU(9)는, 수신한 응답 신호로부터 휴대기(1)의 수신 강도를 확인하고, 스텝 S5로 이행한다. 스텝 S5에서는, MCU(9)는, 휴대기(1)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한다. MCU(9)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MCU(9)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텝 S7로 이행한다. MCU(9)는, 스텝 S5를 실행함으로써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를 제공한다. 스텝 S6에서는, MCU(9)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하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6을 실행함으로써 감도 저하 요구부(15a)를 제공한다.In step S4, the MCU 9 confirm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portable device 1 from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proceeds to step S5. In step S5, the MCU 9 determines the rang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MCU 9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MCU 9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 The MCU 9 provides the out of implementation determination section 14b by executing step S5. In step S6, MCU 9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fall request to portable device 1, and ends this flow. The MCU 9 provides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by executing step S6.

스텝 S7에서는, MCU(9)는, 탑승 동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탑승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8로 이행한다. MCU(9)는, 탑승 동작이 행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7을 실행함으로써 탑승 동작 검출부(17)를 제공한다. 또한, 이 스텝 S7이 긍정 판단된 상태에서는,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수신 강도가,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 또는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이다.In step S7, the MCU 9 determines whether the board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When the MCU 9 determines that the board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8. When the MCU 9 determines that the board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e flow ends. The MCU 9 provides the boarding motion detection unit 17 by executing step S7. In a state where this step S7 is affirmatively judged,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portable device 1 is confirmed, and the reception strength is that when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or the vehicle. The strength can be judged.

스텝 S8에서는, MCU(9)는, 탑승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하고, 스텝 S9로 이행한다. MCU(9)는, 스텝 S8을 실행함으로써 감도 향상 요구부(15b)를 제공한다.In step S8, MCU 9 transmits a boarding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o portable device 1, and proceeds to step S9. The MCU 9 provides 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5b by executing step S8.

스텝 S9에서는, MCU(9)는, 이탈 동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이탈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MCU(9)는, 이탈 동작이 행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9를 실행함으로써 이탈 동작 검출부(16)를 제공한다. 또한, 이 스텝 S9가 긍정 판단된 상태도,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수신 강도가,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 또는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이다.In step S9, the MCU 9 determines whether the detachment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When the MCU 9 determines that the detachment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 When the MCU 9 determines that the departure operation has not been performed, the flow ends. The MCU 9 provides the deviation motion detection unit 16 by executing step S9. In addition,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portable device 1 are also confirmed in the state where this step S9 is positively determined, and the reception strength is that when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or the vehicle. The strength can be judged.

스텝 S10에서는, MCU(9)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하고, 스텝 S11로 이행한다. MCU(9)는, 스텝 S10을 실행함으로써 감도 향상 요구부(15b)를 제공한다. 스텝 S11에서는, MCU(9)는, 후술하는 워크 어웨이 처리를 행하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In step S10, the MCU 9 transmits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 The MCU 9 provides 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15b by executing step S10. In step S11, MCU 9 performs the walk away process mentioned later, and complete | finishes this flow.

(휴대기의 처리)(Handling of mobile)

도 7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휴대기(1)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기(1)가 실행하는 처리는,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The processing executed by the mobile device 1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7. The processing executed by the portable device 1 is executed on the condition that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s received.

스텝 S20에서는, 휴대기 MCU(2)는, LF 송신부(10)로부터 송신된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스텝 S21로 이행한다. 스텝 S21에서는, 휴대기 MCU(2)는, LF 수신부(3)에서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고, 스텝 S22로 이행한다. 휴대기 MCU(2)는, 스텝 S21을 실행함으로써 수신 강도 판정부(8)를 제공한다. 스텝 S22에서는, 휴대기 MCU(2)는, 송신 안테나(6)로부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스텝 S23으로 이행한다.In step S20, the portable device MCU 2 receives the respons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F transmitter 10 and proceeds to step S21. In step S21, the portable device MCU 2 determine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adio wave received by the LF receiver 3, and proceeds to step S22. The portable device MCU 2 provides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8 by executing step S21. In step S22, the portable device MCU 2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6 and proceeds to step S23.

스텝 S23에서는,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24로 이행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25로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휴대기 MCU(2)는, 수신한 수신 감도 저하 요구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In step S23, the portable device MCU 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has been received. When the portable device MCU 2 determines that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has been received, the portable device MCU 2 proceeds to step S2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device MCU 2 has not received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the portable device MCU 2 proceeds to step S25. In step S24, the portable device MCU 2 lower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1 based on the received reception sensitivity drop request, and ends the present flow.

스텝 S25에서는,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26으로 이행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본 플로를 종료한다.In step S25, the portable device MCU 2 determines whether a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has been received. When determining that the portable device MCU 2 has received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he portable device MCU 2 proceeds to step S2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device MCU 2 has not received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he portable device MCU 2 ends this flow.

스텝 S26에서는, 휴대기 MCU(2)는, 수신한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기초하여,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 휴대기 MCU(2)는, 수신한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이탈 감도 향상 요구와 탑승 감도 향상 요구의 어느 것에 의해,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비율을 변화시킨다. 이것 대신에, 이탈 감도 향상 요구와 탑승 감도 향상 요구의 어느 것이었다고 해도, 동일한 비율만큼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최대의 수신 범위(30)까지 넓어지도록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휴대기 MCU(2)는, 적어도 스텝 S23으로부터 스텝 S26의 어느 것을 실행함으로써 수신 감도 가변부(7)를 제공한다.In step S26, the portable device MCU 2 improv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1 based on the received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and ends the present flow. The portable device MCU 2 changes the rate at which the received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mproves the reception sensitivity by either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or the rid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nstead of this, either of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and the boarding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he reception sensitivity may be improved by the same ratio. For example,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improved to be widened to the maximum reception range 30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he portable device MCU 2 provides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section 7 by executing at least one of steps S23 to S26.

차량 제어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와 휴대기(1)가 실행하는 처리에 있어서,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존재하는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휴대기(1)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킨다. 이로써,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의 수신 범위(30)를 좁게 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의 수신 범위(30)가 좁아졌다고 해도,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존재하는 경우, 다시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이들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될 때까지 수신 범위(30)를 좁게 할 수 있다.In the process execu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process executed by the portable apparatus 1,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the portable apparatus 1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the implementation range 31. Otherwise,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device 1. When the portable device 1 receives the request for lowe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portable device 1 lowers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re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an narrow the reception range 30 of the portable device 1. Even if the reception range 30 of the portable device 1 is narrowe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receives the portable device 1 again 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Send a request for desensitization. By repeating these processe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can narrow the reception range 30 until the portable device 1 does not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차량 제어 장치(100)는, 유저의 탑승 동작이 검출된 경우,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휴대기(1)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수신한 경우,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에 의해 수신 범위(30)를 넓힐 수 있다. 이로써, 휴대기(1)가 차량(22)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1 when the user's riding motion is detected. When the portable device 1 receives the request for improv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portable device 1 improves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can widen the reception range 30 in response to a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hereby, it is possible to stably determine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side the vehicle 22.

(워크 어웨이 처리)(Work away processing)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가 실행하는 워크 어웨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워크 어웨이 처리는, 유저의 이탈 동작이 검출된 후,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범위로 넓어진 수신 범위(30)를 유지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이다.The walk away process execu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8. The walk away process i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aintain the reception range 30 widened to a range in which the walk away control can be executed after the user's departure operation is detected.

스텝 S30에서는, MCU(9)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스텝 S31로 이행한다. MCU(2)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보다 큰 경우, 실시 범위(31)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스텝 S30을 실행함으로써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를 제공한다.In step S30,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the MCU 9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larg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MCU 2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nd the flow ends. The MCU 9 provides the out-of-implement determination unit 14b by executing step S30.

스텝 S31에서는, MCU(9)는,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이었던 경우, 스텝 S32로 이행한다. MCU(9)는,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이 아닌 경우, 스텝 S33으로 이행한다. 소정의 시간은, 휴대기(1)가 선반 또는 책상 등의 두는 곳에 놓였다고 추측할 수 있는 시간이면 되고, 예를 들어 30초로 한다. 동일한 값이란, 엄밀하게 동치일 필요는 없고, 휴대기(1)가 이동하지 않는다고 추측할 수 있는 값이면 된다. 스텝 S32에서는, MCU(9)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In step S31, the MCU 9 determines whether the reception strength is the sam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CU 9 proceeds to step S32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the sam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CU 9 proceeds to step S33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not the sam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 time that can be estimated that the portable device 1 is placed in a place such as a shelf or a desk, for example, 30 seconds. The same value does not need to be exactly the same, and may be a value that can be assumed that the mobile device 1 does not move. In step S32, the MCU 9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drop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1.

스텝 S33에서는, MCU(9)는,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CU(9)는,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된 경우, 스텝 S33으로 이행하고,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소정의 상승은, 유저가 차량(22)으로 가까워지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는 값이면 된다. MCU(9)는,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본 플로를 종료한다. MCU(9)는, 적어도 스텝 S31 내지 스텝 S33의 어느 것을 실행함으로써 감도 저하 요구부(15a)를 제공한다.In step S33, the MCU 9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increase in the reception strength has been detected. When a predetermined rise is detected in the reception intensity, the MCU 9 proceeds to step S33 and transmits a request to decrease the reception sensitivity to the portable device 1. The predetermined rise may be a value that can be estimated that the user is nearing the vehicle 22. The MCU 9 ends this flow when a predetermined rise is not detected in the reception strength. The MCU 9 provides at least one of the steps S31 to S33 to provide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이상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인 경우,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수신 범위(30)를 좁게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the out of implementation determination unit 14b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in addition to the implementation range 31. do.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part 15a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1 when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narrows the reception range 30 until the portable device 1 cannot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에 존재했다고 해도, 감도 저하 요구부(15a)에 의해,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30)가 좁혀진다.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함으로써,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하여 회신하는 횟수가 적어진다. 이로써, 휴대기(1)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Even if the mobile device 1 exists in the reception range 30,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narrows the reception range 30 so that the mobile device 1 is located outside the reception range 30. . Since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30, the number of times the portable device 1 responds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s reduced. Thereby, consumption of the battery which the portable device 1 is equipped with can be suppressed.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또한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이었던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소정의 시간, 두는 곳에 놓여진 경우, 수신 범위(30)를 좁게 한다. 이로써,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30)가 조정된다. 휴대기(1)는, 수신 범위(30) 외에 존재함으로써,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회신을 반복하는 경우가 적어진다. 이로써, 휴대기(1)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After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by the out-of-execution determination unit 14b, and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When it is determined and the reception intensity is the sam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device 1.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narrows the reception range 30 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the reception range 30 is adjusted so that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30. Since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30, the response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s less likely to be repeated. Thereby, consumption of the battery which the portable device 1 is equipped with can be suppressed.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된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유저가 차량(2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 워크 어웨이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수신 범위(30)를 넓게 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수신 범위(30)의 광역화가 가능해진다.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하여 휴대기(1)가 수신 가능한 범위의 광역화와, 휴대기(1)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After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transmits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1 when a predetermined increase in the reception intensity is detected. When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22,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reception range 30 is widened in order to execute walk away control. This makes it possible to widen the reception range 30. The wide area of the range which the portable device 1 can receive with respect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can be made compatible with suppressing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which the portable device 1 has.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개시는, 예시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는, 예시된 실시 형태와, 그것들에 기초하는 당업자에 의한 변형 양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시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난 부품 및/또는 요소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는, 다양한 조합에 의해 실시 가능하다. 개시는, 실시 형태에 추가 가능한 추가적인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개시는, 실시 형태의 부품 및/또는 요소가 생략된 것을 포함한다. 개시는, 하나의 실시 형태와 다른 실시 형태 사이에 있어서의 부품 및/또는 요소의 치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기술적 범위는, 실시 형태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되는 몇 가지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나타나고,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이해되어야 한다.The disclosure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closure includes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thereon. For example, the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combination of parts and / or ele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The disclosure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combinations. The disclosure may have additional portions that may be added to the embodiment. The disclosure includes that parts and / or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The disclosure includes substitution or combination of parts and / or elements between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The technical range disclosed is not limited to description of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everal technical scope disclosed is indica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also includes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equivalent to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제2 실시 형태)(2nd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범위(30) 내이며 또한 실시 범위(31) 외에 휴대기(1)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범위(30)를 소정의 범위 좁게 하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한다. 이것 대신에,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범위 내 판단부(14a)에 의해 수신 범위(30) 내에 휴대기(1)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휴대기(1)의 회신이 없어질 때까지, 수신 범위(30)를 좁게 한다.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함으로써,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하여 회신하는 횟수가 적어진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narrows the reception range 30 to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mobile device 1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and in addition to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 request for a decrease in reception sensitivity is sent to the portable device 1. Instead,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requests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when the portable unit 1 exists in the reception range 30 by the in-range determination unit 14a. You may transmit by.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narrows the reception range 30 until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portable device 1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Since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30, the number of times the portable device 1 responds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s reduced.

휴대기(1)는, 수신 범위(30) 내에 존재했다고 해도, 감도 저하 요구부(15a)에 의해, 수신 범위(30)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수신 범위(30)를 좁힌다. 휴대기(1)는, 수신 범위(30) 외에 존재함으로써, 응답 요구 신호에 대한 회신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로써, 휴대기(1)가 구비하는 전지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Even if it exists in the reception range 30, the portable device 1 narrows the reception range 30 so that it exists in the outer side rather than the reception range 30 by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part 15a. The portable device 1 does not repeat the reply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because it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30. Thereby, consumption of the battery which the portable device 1 is equipped with can be suppressed.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휴대기(1)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한다. 이것 대신에, LF 송신부(10)는, 송신 출력을 변화시키면서 복수회, 응답 요구 신호를 휴대기(1)로 송신해도 된다.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는, 송신 출력마다의 휴대기(1)로부터의 회신의 유무에 의해, 휴대기(1)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해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out of range determination unit 14b determines the range in which the mobile device 1 exists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Instead of this, the LF transmitter 10 may transmit the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1 several times while changing the transmission output. The out-of-implement determination unit 14b may determine the rang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eply from the portable device 1 for each transmission output.

(제4 실시 형태)(4th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탑승 동작이 있었다고 판단한 때(S7: 예), 이탈 동작이 있었다고 판단한 때(S9: 예)에, 감도 향상 요구를 송신하고 있었다. S7, S9가 긍정 판단된 상태에서는,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수신 강도가, 휴대기(1)가 실시 범위 또는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boarding operation (S7: Ye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eparture operation (S9: Yes). In a state where S7 and S9 are positively judged,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portable device 1 is confirmed, and the reception strength can be determined to be the strength 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present in the implementation range or the vehicle. It is in a state.

그러나, 휴대기(1)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수신 강도가, 휴대기(1)가 실시 범위 또는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 state in which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portable device 1 has been confirmed and the reception strength is determined to be the strength when the portable device 1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or the vehicle is not limited thereto. Do not.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갔다고 판단한 시점에서 대조를 행한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수신 강도로 판단한다. 따라서,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갔다고 판단하여, 대조가 성립된 시점에서, 감도 향상 요구를 송신해도 된다. 이 감도 향상 요구가 지시하는 감도는, 탑승 감도 향상 요구와 동일해도 되고, 이탈 감도 향상 요구와 동일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감도 향상 요구는 1종류이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hecks at the time when the portable device 1 determines that it has entered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device 1 has entered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s the reception strength. Therefor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at the portable device 1 entered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nd may transmit a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at the time when a matching is established. The sensitivity indicated by this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may be the same as the boarding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or may be the same as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n this embodiment, there is one type of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 있으면, 감도를 저하시키고 있어도, 휴대기(1)는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한다. 따라서,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갔다고 판단한 후라면,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켜 둘 필요는 없다. 즉, 휴대기(1)가 실시 범위(31)에 들어간 후라면, 휴대기(1)의 감도를 향상시켜도 문제 없는 것이다.If the portable device 1 i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even if the sensitivity is reduced, the portable device 1 responds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device 1 has entered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t is not necessary to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device 1. That is, if the portable device 1 enters the implementation range 31, even if the sensitivity of the portable device 1 is improved, there will be no problem.

(제5 실시 형태)(5th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를 송신한 후에 실행하는 워크 어웨이 처리에 있어서,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로 되고, 또한 소정의 시간 동일한 수신 강도이거나, 혹은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된 때에,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하고 있었다.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walk-away process performed after transmitting the deviation sensitivity enhancement request, the reception intensity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the reception intensity is equal to the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increase in the reception intensity is detected. At that time,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was transmitted.

그러나,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로 된 것만을 갖고,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이탈 감도 향상 요구 이외의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에, 수신 강도의 판단을 행해도 된다. 또한, 수신 강도가 제1 역치 이하로 된 것은,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긍정적으로 판단된 것을 의미한다.However,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may transmit only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having only the reception intensity low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value after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In addition, aft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other than the devia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the reception strength may be judged.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reception intensity became below the 1st threshold value means that it was judged positively by the out of implementation determination part 14b.

즉, 감도 저하 요구부(15a)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에 의해 긍정적으로 판단된 경우에,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휴대기(1)로 송신해도 된다.That is, even if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transmits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to the mobile device 1 when it is positively determined by the out of range determination unit 14b aft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has been transmitted. do.

(제6 실시 형태)(6th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가,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한 후,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 정보를 갖고 있는 응답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100)로 송신하고 있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장치(100)가, 그 수신 강도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강도 저하 요구를 송신하고 있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portable device 1 transmits a response signal having the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ception strength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fter determin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sponse request signal. An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onfirmed the reception intensity, and transmitted the request for receiving intensity reduction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그러나, 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201)가 스스로 수신 감도의 저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도 9에 제6 실시 형태의 휴대기(201)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10에 제6 실시 형태의 차량 제어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다.However, in this sixth embodiment, the portable device 201 determines whether the reception sensitivity needs to be lowered by itself. 9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201 of the sixth embodiment. 10,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300 of 6th Embodiment is shown.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201)는, MCU(2)가 판단부(209)를 구비하고 있다. 판단부(209)는, 수신 강도 판정부(8)가 판정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실시 범위(31) 내인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인지를 판단한다. 수신 강도와 전파 발신원으로부터의 거리는 상관이 있고, 거리와 수신 강도는 상관이 있다. 따라서, 수신 강도로부터, 현재 위치가 실시 범위(31)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기(201)는, 실시 범위(31)의 경계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를 기억하고 있다. 실시 범위(31)의 경계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는, 전술한 제1 역치이다.As shown in FIG. 9, in the portable device 201, the MCU 2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209. The determination unit 209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or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8. do. The reception strength and distance from the radio wave source are correlated, and the distance and reception strength are correlated. Therefore, from the reception strength,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portable device 201 stores the reception strength at the boundary of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reception strength at the boundary of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s the first threshold value described above.

즉, 판단부(209)는, 수신 강도 판정부(8)가 판정한 수신 강도와 제1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위치가, 실시 범위(31) 내인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부(209)는,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지시하여 수신 감도를 변화시킨다.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209 compares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8 with the first threshold value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or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but i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We judge whether it is outside. The determination unit 209 then instructs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unit 7 to change the reception sensitivity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구체적으로는, 판단부(209)는, 현재 위치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지시를 낸다.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정도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해도 된다.Specifically,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09 determines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determination unit 209 issues an instruction to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unit 7. The degree to which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lowered may b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단, 판단부(209)는, 현재 위치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라고 판단해도, 차량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감도 저하 억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커맨드로 지시된 조건이 성립되어 있는 동안은,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지시를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차량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감도 저하 억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지시를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출력한다.However, even if the determination part 209 judges that a current position is in the reception range 30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the command which instruc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300 to suppress a sensitivity fall is contained. If so, the instruction to low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not output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section 7 while the condition indicated by the command is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300 does not include a command for instructing to decrease the sensitivity, an instruction for reduc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output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unit 7.

또한, 판단부(209)는, 현재 위치가 실시 범위(31)라고 판단한 경우이며, 수신 감도가 저하되어 있을 때에는, 수신 감도 가변부(7)에 지시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다.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정도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해도 된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part 209 is a case where it judges that the present position is the implementation range 31, and when reception sensitivity is falling, it instructs the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part 7 to improve reception sensitivity. The degree of improving reception sensitivity may also b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0에 제6 실시 형태의 차량 제어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다. 차량 제어 장치(300)의 MCU(9)는, 저하 억제 지시부(315)를 구비하고 있다. 저하 억제 지시부(315)는, 이탈 동작 검출부(16)가 이탈 동작을 검출한 경우, 응답 요구 신호에, 감도 저하 억제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포함시켜 송신한다.10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300 of the sixth embodiment. The MCU 9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300 includes a drop suppression indicating unit 315. When the departure operation detection unit 16 detects the departure operation, the reduction suppression instruction unit 315 includes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sensitivity reduction suppression to be transmitted in the response request signal.

이 커맨드에 의해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감도 저하 억제의 내용은, 예를 들어 일정 시간, 감도 저하를 금지한다는 내용이다. 또한, 수신 범위(30)가 실시 범위(31)보다도 넓은 범위로 설정된 역치 저하 범위를 나올 때까지 수신 감도 저하를 금지한다는 지시여도 된다. 또한, 휴대기(1)는, 역치 저하 범위를 나왔는지 여부를, 수신 강도로 판단하게 된다.The content of the sensitivity reduction suppression specifically instructed by this command is the content of inhibiting the sensitivity reduction for a certain time, for example. In addition, it may be an instruction to prohibit the decrease in reception sensitivity until the reception range 30 is outside the threshold lowering range set in a wider range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hreshold lowering range is out of the reception strength.

이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실시 범위(31)보다도 외측에서도, 일시적으로, 휴대기(1)와의 통신이 필요한 차량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커맨드로 지시한 조건이 성립되지 않게 되면, 휴대기(1)는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므로, 전지 소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By transmitting this command, vehicle control that require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1 can be temporarily executed even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n addition, when the condition indicated by the command is not satisfied, the portable device 1 lowers the reception sensitivity, so that battery consumption can be suppressed.

(제7 실시 형태)(Seventh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저하 혹은 향상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변화시키고 있고, 차량 제어 장치(100)가 송신하는 전파의 강도는 변화시키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차량 제어 장치(100)가 송신하는 전파의 강도는 변화시켜도, 수신 범위(30)는 변화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ception range 30 is changed by decreasing or improv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1, and the intensity of the radio wave transmitt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s not changed. However, even if the intensity of radio waves transmit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changes, the reception range 30 changes.

그래서, 이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가,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내이지만 실시 범위(31) 외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LF 송신부(10)로부터 송신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저하시킨다. 송신 전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실시 범위(31)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도, 휴대기(1)가 수신 범위(30)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한다.Therefore,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out of embodiment determination unit 14b determines that the mobile device 1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30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31.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F transmitter 10 is lowered. By lowering the transmission power, the portable device 1 is narrowed so that the portable device 1 is located outside the reception range 30 while the reception range 30 is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31.

(제8 실시 형태)(8th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가 송신측 장치이고, 차량 제어 장치(100)가 송신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강도 판정용 신호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휴대기(1)를 수신측 장치로 하고 있고, 휴대기(1)가 수신 강도를 판정하고 있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s a transmission side device, and the response request signal transmitt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s used as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And the portable device 1 was made into the receiving side apparatus, and the portable device 1 was determining reception strength.

그러나,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를 송신측 장치로 하고, 차량 제어 장치(100)를 수신측 장치로 한다. 따라서, 휴대기(1)가 송신하는 신호(예를 들어, 응답 신호)를 강도 판정용 신호로 하고, 차량 제어 장치(100)는, 휴대기(1)가 송신하는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한다.However,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portable device 1 is used as the transmitting side device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s used as the receiving side device. Therefore, using the signal (for example, response signal) which the portable device 1 transmits as a signal for intensity determinati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signal which the portable device 1 transmits. .

그리고,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가 수신 강도를 판정한 후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 강도 확인부(18)가 수신 강도를 확인한 후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제8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기(1)의 수신 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변화시킨다.In the eighth embodiment, afte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reception strength,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ception strength confirmation unit 18 performs the same processing as that after the reception strength has been confirmed. Therefore,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reception range 30 is changed by chang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1.

(제9 실시 형태)(Ninth embodiment)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휴대기(1)를 송신측 장치로 하고, 차량 제어 장치(100)를 수신측 장치로 한다.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가 수신 강도를 판정한 후의 처리는, 제7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9 실시 형태에서는, LF 송신부(10)의 송신 전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신 범위(30)를 변화시킨다.In the ni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eighth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1 is used as the transmitting side device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is used as the receiving side device. In the ninth embodiment, the process aft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e reception strength is the same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refore, in the ninth embodiment, the reception range 30 is changed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LF transmitter 10.

(제10 실시 형태)(10th embodiment)

차량 제어 장치(100, 300)가 송신에 사용하는 전파, 즉, 휴대기(1, 201)가 수신에도 사용하는 전파는 LF대 이외의 주파수대, 예를 들어 VLF대, UHF대로 해도 된다. 이 UHF대는, UHF 수신부(12)가 사용하는 주파수대와 동일한 주파수대로 할 수도 있다.The radio wave us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es 100 and 300 for transmission, that is, the radio wave used by the portable devices 1 and 201 for reception, may be a frequency band other than the LF band, for example, the VLF band and the UHF. This UHF band can be set to the same frequency as the frequency band used by the UHF receiver 12.

Claims (17)

차량 제어 장치(100, 300)와 휴대기(1, 201)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를 상기 휴대기가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상기 휴대기의 한쪽인 송신측 장치는, 강도 판정용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0)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상기 휴대기의 다른 쪽인 수신측 장치는, 상기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하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3)와, 상기 판정용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강도 판정용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8)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은,
상기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상기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상기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인지, 상기 수신 범위 내이지만 상기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14, 209)와,
상기 판단부가, 상기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상기 수신 범위 내이지만 상기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범위를, 상기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설정부(7)를 구비하고 있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It is a receiving range variable system which has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300 and the portable apparatuses 1, 201, The receiving range which the portable apparatus can receive the signal which the said vehicle control apparatus transmits is variable,
The transmission side device, which is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10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strength determination,
The receiving side device, which is the other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receives the reception signal strength of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by the determination signal receiver 3 that receives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and the determination signal receiver. It is provided with the reception intensity determination part 8 to determine,
The receiving range variable system,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where the portable device exists is within an implementation range enabling vehicl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or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Judgment unit 14, 209 to say,
The portable unit is positioned outside the reception range while the determination unit makes the reception rang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based on the determinatio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portable device exists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i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A reception range variable system provided with the reception range setting part 7 which narrows so that it may become narr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송신측 장치,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측 장치이고,
상기 휴대기는, 상기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상기 수신 강도를 포함하는 측정 결과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14)는, 상기 측정 결과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기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가, 상기 실시 범위 내인지, 상기 수신 범위 내이지만 상기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판단부가,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범위 내이지만 상기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감도 저하 요구부(15a)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범위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범위 설정부는,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휴대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수신 범위를, 상기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is the transmitting side apparatus and the portable apparatus is the receiving side apparatus.
The portable device transmits a measurement result signal including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The vehicle control device includes the determination unit,
The determination unit 14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where the portable device exists i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measurement result signal. ,
The vehicl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 of the implementation range, a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for transmitting a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for reduc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device to the mobile device. Having a portion 15a,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the reception range setting unit,
The reception range setting section is configured to reduc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receives the request for lowe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reby making the portable device receive the reception range while making the reception rang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A variable coverage system, narrowed to be out of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송신측 장치,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측 장치이고,
상기 휴대기가 상기 판단부(209)와 상기 수신 범위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범위 설정부는, 상기 판단부가,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범위 내이지만 상기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휴대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수신 범위를, 상기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가변 시스템.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is the transmitting side apparatus and the portable apparatus is the receiving side apparatus.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the determination unit 209 and the reception range setting unit,
The reception range setting section, when the determination section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i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decreases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ortable device, thereby making the reception rang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And narrow the portable device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reception range.
휴대기(1)로부터의 응답을 구하는 응답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0)와,
상기 응답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기가 회신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와,
상기 휴대기가 존재하는 범위를 판단하는 판단부(14)와,
상기 휴대기가 존재하는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기가 상기 응답 요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인 수신 범위(30)를 변경시키는 요구인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변경 요구부(15)와,
상기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기의 수신 강도를 확인하는 수신 강도 확인부(18)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상기 수신 범위보다도 좁은 범위인 실시 범위(31)를 설정하고,
상기 수신 강도가 소정의 역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상기 실시 범위 외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실시 범위 외 판단부(14b)를 갖고,
상기 변경 요구부는,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상기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상기 실시 범위 외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휴대기가 상기 수신 범위보다 외측에 존재하도록 상기 수신 범위를 좁게 하기 위해, 상기 휴대기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감도 저하 요구부(15a)를 갖는, 차량 제어 장치.
A transmission unit 10 for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signal for obtaining a response from the mobile device 1,
A receiver 12 receiving a response signal returned by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A determination unit 14 for determining a rang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exists,
A change request unit 15 for transmitting a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which is a request for changing the reception range 30 which is a rang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can receiv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based on the rang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exists. Wow,
A reception strength checking unit 18 for check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portable device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he determination unit,
The execution range 31 which is narrower than the said reception range which enables vehicle control with respect to the said portable device can be set,
When the reception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receiver has an out of range determination unit 14b that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and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exists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The change request uni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out of range determining unit that the portable device exists within the reception range and outside the range, the portable device is configured to narrow the reception range so that the portable device exists outside the reception range. A vehicle control apparatus having a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15a) for transmitting a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for decreasing reception sensitivity to the portable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상기 수신 범위 내이며 또한 상기 실시 범위 외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 범위를 소정의 범위씩 좁게 하는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The said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part is a said range which narrows the said reception range by a predetermined range, when it determines with the said outside of the implementation range in the said reception range and the portable apparatus exists outside the said implementation rang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which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fall request to the said portable devic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는, 판단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상기 실시 범위 내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상기 실시 범위 내에 상기 휴대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신호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egative,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device exist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And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transmits, to the portable device, a signal that does not reduce the reception sensitivity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out-of-implement range determination unit that the portable device exist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요구부는,
상기 수신 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 상기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감도 향상 요구부(15b)를 갖는, 차량 제어 장치.
The change request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wherein
And a sensitivity enhancement requesting portion (15b) for transmitting a reception sensitivity enhancement request for improv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to the portable device to widen the reception ran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기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하는 대조 실시부(19)를 구비하고,
상기 감도 향상 요구부는,
상기 대조 실시부가 상기 휴대기의 정당성 및/또는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고, 또한 상기 수신 강도가, 상기 휴대기가 상기 실시 범위 또는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할 때의 강도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감도 향상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verification unit (19) for verifying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portable device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portable device,
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The reception sensitivity based on the fact that the verification embodiment confirms the validity and / or validity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at the reception strength can be determined to be the strength when the portable device exists in the implementation range or the vehicl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which transmits an improvement request to the said portabl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가 차량 내부에 탑승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탑승 동작을 검출하는 탑승 동작 검출부(17)를 더 갖고,
상기 감도 향상 요구부는,
상기 탑승 동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탑승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휴대기가 상기 차량 내부에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 범위를 넓게 하는 상기 수신 감도 향상 요구인 탑승 감도 향상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boarding motion detection unit (17) for detecting a boarding motion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can be assumed to be boarded inside the vehicle.
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When the boarding mo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boarding motion, sending a boarding sensitivity enhancement request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ing request for widening the reception range so as to determine that the portable unit is in the vehicle, Vehicle control unit.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가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어 간다고 추측할 수 있는 이탈 동작을 검출하는 이탈 동작 검출부(16)를 더 갖고,
상기 감도 향상 요구부는,
상기 이탈 동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이탈 동작이 검출된 경우, 상기 수신 범위를 넓게 하는 상기 수신 감도 향상 요구인 이탈 감도 향상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further comprising a departure motion detection unit (16) for detecting a departure motion that can be assumed that the portable device is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Th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unit,
And when the departure motion is detected by the departure motion detection unit, sending a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which is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to widen the reception range, to the portable device.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수신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긍정적으로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said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part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7-10,
And after the recep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transmit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based on affirmative determination by the out-of-execution determination s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상기 실시 범위 외 판단부에 의해 긍정적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수신 강도가 소정의 시간 동일한 값이었던 경우,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Vehicle control, which transmits the received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deviation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and is positively judged by the out-of-execution determination unit and the reception intensity is the sam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Device.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저하 요구부는,
상기 이탈 감도 향상 요구가 송신된 후, 상기 수신 강도에 소정의 상승이 검출된 경우, 상기 수신 감도 저하 요구를 상기 휴대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or 12, wherein the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unit,
And when the predetermined increase in the reception strength is detected after the departure sensitivity improvement request is transmitted, send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reduction request to the portable device.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휴대기이며,
상기 응답 요구 신호 및 상기 수신 감도 변경 요구를 수신하는 휴대기 수신부(3)와,
상기 휴대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수신 감도 변경 요구에 따라, 수신 감도를 변화시키는 수신 감도 가변부(7)와,
상기 휴대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응답 요구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8)와,
상기 수신 강도 판정부에서 판정한 상기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수신 강도 정보를 포함한 상기 응답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휴대기 송신부(5)를 구비하는, 휴대기.
A portable device used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13,
A portable device receiver (3) for receiving the response request signal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A reception sensitivity variable section 7 for changing reception sensitivity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change request received by the portable receiver;
A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section 8 for determining a reception strength of the response request signal received at the portable device reception section;
And a portable device transmitter (5) for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차량 제어 장치가 송신하는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하는 판정용 신호 수신부(3)와,
상기 판정용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강도 판정용 신호의 수신 강도를 판정하는 수신 강도 판정부(8)와,
상기 수신 강도 판정부가 판정한 상기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휴대기에 대한 차량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실시 범위 내인지, 상기 강도 판정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 내이지만 상기 실시 범위 외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209)와,
상기 판단부가, 현재 위치가 상기 수신 범위 내이지만 상기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경우, 수신 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수신 범위를, 상기 실시 범위와 동등 이상의 크기로 하면서, 현재 위치가 상기 수신 범위 외에 위치하도록 좁게 하는 수신 범위 설정부(7)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기.
A determination signal receiver 3 for receiving a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8 for determining reception strength of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received by the determination signal reception unit;
Based on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by the reception strength determination unit,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an implementation range that enables vehicle control for a mobile device or within a reception range that can receive the strength determination signal, but in the implementation range A judging unit 209 for judging whether it is foreign;
If the determination unit judges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decreas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located outside the reception range while the reception range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mplementation range. The portable device provided with the receiving range setting part 7 which narrow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범위 설정부는,
상기 판단부가 현재 위치가 상기 실시 범위 내라고 판단하고, 또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대조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휴대기.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ception range setting unit,
And the determination unit judges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implementation range, and further improves the reception sensitivity based on receiving a check signal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범위 설정부는, 상기 수신 감도를 향상시킨 후, 상기 판단부가, 현재 위치가 상기 수신 범위 내이지만 상기 실시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감도 저하 억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감도 저하 억제를 지시하는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휴대기.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reception range setting unit improves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a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reception range but outside the implementation range, the reception range setting unit is sensitive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The portable device which reduces a reception sensitivity, if the command which instruct | indicates the suppression of a fall is not reduced, and reduces a reception sensitivity, unless the command which instruct | includes the sensitivity reduction suppression is contained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aid vehicle control apparatus.
KR1020197035034A 2017-06-02 2018-03-30 Variable range systems, vehicle controls and portable devices KR1023035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0302 2017-06-02
JP2017110302 2017-06-02
JPJP-P-2017-143911 2017-07-25
JP2017143911A JP6822340B2 (en) 2017-06-02 2017-07-25 Vehicle control device
PCT/JP2018/013521 WO2018220987A1 (en) 2017-06-02 2018-03-30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 vehicle control device, and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749A true KR20190141749A (en) 2019-12-24
KR102303558B1 KR102303558B1 (en) 2021-09-17

Family

ID=6495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34A KR102303558B1 (en) 2017-06-02 2018-03-30 Variable range systems, vehicle controls and portable devic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22340B2 (en)
KR (1) KR102303558B1 (en)
DE (1) DE112018002777T5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9946A (en) * 2004-09-21 2006-04-06 Tokai Rika Co Ltd Portable machine
JP2011223499A (en) * 2010-04-14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5113644A (en) * 2013-12-12 2015-06-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Keyless entry system
JP2015137502A (en)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On-vehicle device
JP2016204823A (en) 2015-04-15 2016-12-08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Vehicl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4904B2 (en) * 2005-08-01 2011-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In-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JP2013224566A (en) * 2012-04-23 2013-10-31 Aisin Seiki Co Ltd Unlock device, security system, unlock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9946A (en) * 2004-09-21 2006-04-06 Tokai Rika Co Ltd Portable machine
JP2011223499A (en) * 2010-04-14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5113644A (en) * 2013-12-12 2015-06-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Keyless entry system
JP2015137502A (en)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On-vehicle device
JP2016204823A (en) 2015-04-15 2016-12-08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Vehicle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22340B2 (en) 2021-01-27
JP2018207464A (en) 2018-12-27
KR102303558B1 (en) 2021-09-17
DE112018002777T5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4072B2 (en) Portable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438430B2 (en) On-vehicle device, mobile device, and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99984B2 (en) Vehicle system, portable device, and vehicle-mounted device
KR101320832B1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of radio wave transmitting/receiving body
JP7009328B2 (en) Distance measurement system
JP6241299B2 (en)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JP2015212137A (en) Compensation for magnetic field measurement
WO2014171081A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mobile terminal
US1044239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2014206496A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KR20070085139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locking the doors of a vehicle
US9384610B2 (en) On-board apparatus control system
JP7139791B2 (en) Portable position estimation system
CN110603176B (en) Reception range variable system, vehicle control device, and portable device
WO2019244495A1 (en) Mobile device position estimation system
US11699313B2 (en) Smart key storage case for vehicle
JP2020090159A (en) On-vehicle device, electronic key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7137751A (en) Wireless communication correctness determination system
US202200244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lay Attack Prevention Using Subzones
KR20190141749A (en) Variable reception range systems, vehicle controls and mobile devices
CN1113447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identity transmitter
JPWO2018186075A1 (en) On-board unit, portable unit, and keyless entry system
JP2021131264A (en) Portable device position estimation system
WO2017131116A1 (en) System for determining correct ope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s
JP2020112375A (en) Portable machine position estimation system and on-vehicl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