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617A -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617A
KR20190141617A KR1020190070730A KR20190070730A KR20190141617A KR 20190141617 A KR20190141617 A KR 20190141617A KR 1020190070730 A KR1020190070730 A KR 1020190070730A KR 20190070730 A KR20190070730 A KR 20190070730A KR 20190141617 A KR20190141617 A KR 2019014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ser
distance
ey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520B1 (ko
Inventor
노경현
박성용
윤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덴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덴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덴룩스
Priority to PCT/KR2019/0072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40540A1/ko
Publication of KR2019014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제어부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렌즈 장치의 가입 렌즈를 배치하도록 요청하되, 상기 렌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부와 함께 조절력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인, 렌즈 배치 요청 단계, 조절력 측정을 위해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디스플레이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가 연속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측정시표 보정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상태에서 비조절상태로 변경되거나 비조절상태에서 조절상태로 변경되는 거리를 기반으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EASURING AND TRAINING THE AMPLITUDE OF THE EYE WITH IMPROVED ACCURACY}
본 발명은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정상적인 건강한 눈은 무한히 먼 곳에서 눈 앞 10cm 정도의 가까이 있는 물체의 모습까지를 망막상에 맺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점의 깊이가 큰 것은 하나의 가까운 물체를 볼 때 동공을 작게 하여 망막상의 산광을 작게 하고 수정체의 굴절력을 바꾸어서 망막상에 결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눈의 굴절력을 바꾸는 작용을 눈의 조절 작용이라 하며 최대의 조정 능력을 조절력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조절력은 근점으로 조절하였을 때의 굴절력이 쉬고 있는 눈의 굴절력보다 얼마나 굴절력을 증가시켰는가로 표현될 수 있다.
청년자의 조절력은 10디옵터 정도이나,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10년마다 2.5디옵터 정도로 감소하여서 40세를 지나면 가까운 것을 보는 데 불편을 느낄 정도로 조절력이 감소된다.
조절력을 측정하는 것은 모양체근의 최대 활동 범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즉 모양체근의 운동에 따라 변화하는 수정체의 두께 변화의 폭을 역수화 한 디옵터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표현한 수치를 조절력으로서 측정하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3744호, 2012.02.27.
일반적으로 조절력을 측정하거나 훈련하는 방법은 조절력 측정 또는 훈련을 방해하는 요소들의 영향을 배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또는 훈련하는 것으로서, 조절력 이외의 요소들로 인하여 정확한 조절력을 측정하거나 정밀한 조절력 훈련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눈 조절근의 조절력 이외에 조절력 측정 또는 훈련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제외하여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정밀하게 훈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렌즈 장치의 가입 렌즈를 배치하도록 요청하되, 상기 렌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부와 함께 조절력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인, 렌즈 배치 요청 단계; 조절력 측정을 위해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디스플레이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가 연속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측정시표 보정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상태에서 비조절상태로 변경되거나 비조절상태에서 조절상태로 변경되는 거리를 기반으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렌즈 장치 내에 포함되어 위치 조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렌즈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사용자 단말기이며, 상기 제1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이동시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렌즈 장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측정시표 보정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 장치에 의해 사용자 안구 앞에 배치된 가입 렌즈의 배율을 반영하여 상기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렌즈 장치의 가입 렌즈를 배치하도록 요청하되, 상기 렌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부와 함께 조절력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인, 렌즈 배치 요청 단계; 조절력 측정을 위해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되는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변경된 굴절률을 기반으로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측정 시표 보정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상태에서 비조절상태로 변경되거나 비조절상태에서 조절상태로 변경되는 굴절률을 기반으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리볼버 방식으로 구성되어 리볼버 방식으로 가입 렌즈를 변경함으로써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과 가입 렌즈가 초점 가변 렌즈로 구성되어 초점을 변경함으로써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시력의 영향을 보정하되, 상기 사용자의 시력의 영향은 상기 사용자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인, 시력의 영향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가 평면렌즈가 아닌 경우, 상기 가입 렌즈의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하는, 가입 렌즈의 영향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의 조절 효과를 보정하되, 상기 가입 렌즈의 조절 효과는 정점간 거리, 가입 렌즈의 도수 및 사용자의 주시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인, 렌즈 조절 효과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측정 시표 보정단계는, 선명하지 않게 보이는 비교 시표를 상기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비교시표를 상기 측정시표와 동일하게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렌즈 사이에 별도의 착용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력의 영향 보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별도의 착용 렌즈를 착용한 상태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렌즈 사이에 별도의 착용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 조절 효과 보정 단계는, 상기 가입 렌즈 및 상기 착용 렌즈를 이용한 합성 렌즈의 조절 효과를 보정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사용자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획득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별도의 착용 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착용 렌즈에 해당되는 디옵터 값을 입력 받아 획득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측정 시표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변경된 측정 시표 확인 여부의 수신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측정 시표 형태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렌즈 장치와 별도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조절력 측정의 진행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력 측정의 진행 상태는,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해 인식된 위치를 사용자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반복적으로 변경하며 반복 자극 훈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눈 조절근의 조절력 이외에 조절력의 측정 또는 훈련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각각 보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정확한 조절력 측정 또는 조절력 훈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 시표 제공 또는 잔상 효과 제거를 통한 정확한 조절력 측정 또는 조절력 훈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 시표의 변경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훈련에 대한 집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조절력 측정 결과를 객관적인 지표로서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절력 측정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의 휘도 영향을 보정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휘도 변화가 있는 경우와 휘도변화가 없는 경우에서의 조절자극에 따른 조절반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의 영향을 보정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 효과를 보정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조절력 측정에 있어서, 비교 시표를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비교 시표를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측정 시표의 형태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에게 눈의 조절력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조절력 측정 또는 조절력 훈련 진행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사용자 단말기도 해당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조절력'은 수정체의 두께를 조정하는 눈의 모양체근의 최대 활동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조절력 측정 시스템'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조절력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조절력 훈련 및 조절 용이성 훈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입 렌즈'란 조절력 측정 시스템이 포함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렌즈 중 조절력 측정 또는 훈련을 위해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되는 렌즈이며, 가입 렌즈는 평면 렌즈, 다양한 디옵터의 볼록 렌즈 및 오목 렌즈,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초점 가변 렌즈'란 초점이 가변하는 렌즈로서, 렌즈가 물리적으로 변화하거나 위치적으로 변화하여 초점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렌즈 장치와 통신하여 조절력 측정, 조절력 훈련 또는 조절 용이성 훈련을 수행하거나 결과를 전송 받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렌즈 장치가 연동된다.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는 조절력 측정, 조절력 훈련 또는 조절력 용이성 훈련을 위해 시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근점'이란 사람의 눈이 명시(明視)할 수 있는 최단 거리로서, 사람의 눈으로 또렷이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점, 즉 수정체가 가장 두껍게 되었을 때 뚜렷이 볼 수 있는 점이다.
본 명세서에서 '조절 용이성'이란 조절 자극의 변화에 대응하는 조절 체계의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주시 거리에서 조절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능력이다. 즉, 조절 용이성은 주시 거리가 바뀔 때 초점을 얼마나 빠르게 잡는지에 대한 능력이다.
본 명세서에서 '정시' 또는 '정시안'이란 정상의 눈으로서 조절 없이 무한히 먼 곳으로부터 오는 평행광선이 망막면에 상을 맺는 눈이다.
본 명세서에서 '비정시' 또는 '비정시안'이란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체의 상이 정확히 망막에 위치하지 않는 눈이다. 비정시안은 근시, 원시 및 난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근시'란 정시와는 달리 망막 앞에 초점이 맺히는 굴절상태로, 먼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원시'란 정시와는 달리 망막 뒤에 초점이 맺히는 굴절상태로, 가까운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난시'란 정시와는 달리 초점이 망막에 정확히 맺히지 못하는 굴절상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조절 효과'란 착용하고 있는 렌즈와 주시하는 거리 값에 따라 나타나는 굴절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근시인 경우, 마이너스 렌즈를 착용하고 있어 주시하는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마이너스 렌즈 효과가 작아지는 굴절 변화가 일어나며, 원시인 경우, 플러스 렌즈를 착용하고 있어 주시하는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플러스 렌즈 효과가 커지는 굴절 변화가 일어난다.
본 명세서에서 '조도'란 어떠한 면이 받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즉 일정한 평면이 밝게 비추이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휘도'란 어떠한 방향으로부터 본 물체의 밝기로서, 발광체의 발광 정도를 의미한다.
먼저, 조절력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기본적인 의미와 조절력 측정 또는 훈련 시 통제가 필요한 다양한 요인들을 설명한다.
조절 측정 장치로 조절력을 측정한다는 것은 모양체근의 운동에 따라 변화하는 수정체의 두께 변화의 폭, 즉 수정체 두께변화에 따른 눈 전체 굴절력의 변화의 폭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조절력을 측정한다는 것은 자각적으로는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가장 먼 거리와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거리까지의 범주 또는 거리를 역수화한 디옵터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표현한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조절력을 측정한다는 것은 눈의 최소 디옵터 상태(눈의 가장 작은 굴절력 상태)와 눈의 최대 디옵터 상태까지의 범주 또는 거리를 역수화한 디옵터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표현한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주시하고자 하는 대상체와의 거리, 시표의 크기와 색상, 대비감도, 주변 환경의 조도, 주시하는 디스플레이 환경의 휘도 및 주변의 소음 등의 다양한 요인을 통제하여야 한다.
상술한 다양한 요인들은 눈의 양안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며, 양안시란 오른쪽 눈과 왼쪽 눈, 각각의 눈이 받아들이는 두 가지 이미지를 하나의 선명한 상으로 가공하는 눈과 뇌의 감각적, 기능적 활동이다.
양안으로 하나의 상을 선명하게 보는 기능인 양안시 기능의 반사적 작용은 모양체근 수축/이완 운동, 양안의 폭주/개산 운동 및 홍채의 축동/산동이 한번에 일어나는 협동안 운동(synkinetic eye movement)에 의한다.
예컨대, 협동안 운동은 근거리 자극을 받는 경우에는 모양체근의 수축 운동, 양안을 모으는 양안의 폭주 운동 및 각 안의 홍채 축동이 일어나고, 원거리 자극을 받는 경우에는 모양체근의 이완 운동, 양안을 벌리는 양안의 개산 운동 및 각 안의 홍채 산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훈련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통제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과 훈련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력 측정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장치,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장치는 조절력 측정 또는 조절력 향상 훈련을 위해 특정한 렌즈를 사용자 안구 앞의 특정한 위치에 배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양한 렌즈 장치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어부는 조절력 측정 또는 조절력 향상 훈련을 위해 렌즈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렌즈 변경, 굴절률 변경, 디스플레이 또는 렌즈 위치 변경 등을 수행할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예를 들어, 시표)의 생성 또는 변경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는, 조절력 측정 시스템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장치로 형성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분리된 각 장치에 포함되는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조절력 측정 또는 조절력 향상 훈련을 위한 시표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절력 측정 시스템은 렌즈 장치,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장치 또는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는 렌즈 장치와 일체로서 조절력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며, 양안에 각각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가 2개 포함된다. 이 때, 조절력 측정 시스템을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하였을 때, 사용자의 안구 앞에는 렌즈 장치가 배치되고, 렌즈 장치의 일정 거리 앞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2개의 디스플레이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렌즈 장치와의 거리가 조절된다. 즉, 디스플레이는 렌즈 장치 내에 포함되어 위치 조절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는 렌즈 장치에 일체로서 포함되지 않으며 별도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즉, 조절력 측정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과 렌즈 장치를 포함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도 함께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와 렌즈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또한, 일실시예로, 조절력 측정 시스템이 디스플레이와 렌즈장치가 하나의 장치(즉, 조절력 측정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는 하나의 조절력 측정장치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력 측정 시스템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과 별도의 렌즈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고, 사용자 단말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렌즈 장치는 연동되어 조절력 측정 또는 훈련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된다. 이하 기재되는 렌즈 장치의 구조는 디스플레이를 내장하여 하나의 조절력 측정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와 디스플레이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렌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리볼버 방식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리볼버 방식으로 렌즈의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 또는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렌즈를 변경시켜 가입 렌즈를 변경한다.
리볼버 방식이란 회전 방식으로서, 중심을 두고 복수의 렌즈가 원형 또는 기타 회전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는 형태로 둘러싸여 있어 조절력 측정, 조절력 훈련 또는 조절 용이성 훈련에서 사용할 렌즈를 회전함으로써 변경하며 배치시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렌즈 장치는, 단일 렌즈로 구성되어 해당 단일 렌즈가 곧 가입 렌즈에 해당되는 것이며 가입 렌즈는 교체 불가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가입 렌즈가 교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렌즈 장치는, 초점 가변 렌즈로 구성되고, 초점 가변 렌즈는 하나의 단일 렌즈 또는 2개 이상의 렌즈의 동심원이 같은 축으로 이루어진 공축광학렌즈으로 구성된다. 이때 초점 가변 렌즈가 가입 렌즈에 해당된다.
렌즈 장치의 제공 형태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형태(예컨대, 안경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착용될 수 있는 형태의 렌즈 장치의 경우에,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렌즈 장치를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하도록 요청하면, 사용자는 렌즈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렌즈 장치는, 거치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거치되어 있는 형태로 렌즈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에,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렌즈 장치를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하도록 요청하면, 거치되어 있는 렌즈 장치에 사용자의 눈을 가까이 배치함으로써, 제어부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장치가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되는 것은, 일 실시예로, 가입 렌즈로 인한 정점 간 거리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특정 안구와 렌즈 장치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정도로 배치되고, 다른 실시예로, 가입 렌즈로 인한 정점 간 거리 및 조절력의 영향이 있는 경우로서, 사용자의 특정 안구의 일정 거리 앞에 배치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렌즈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는, 디스플레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경우, 렌즈 장치와 디스플레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센서는, 사용자가 렌즈 장치를 착용함에 따라 안구로부터 렌즈 장치의 끝까지의 거리가 고정되는 경우, 렌즈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즉, 제1 거리)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조절력 측정시스템은, 제1 거리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값와 렌즈 장치의 길이(즉, 렌즈 장치 착용 시에 안구로부터 렌즈장치 말단까지의 길이)를 더하여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거리센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 혹은 초음파를 이용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거리센서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방식 혹은 RF(Radio Frequency) 방식을 적용하여 제1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거리센서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이 해당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내의 카메라 모듈이 렌즈장치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거리는 상술한 거리 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렌즈 장치는, 사용자의 안구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렌즈 장치 내의 렌즈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제2 거리 센서는 렌즈와 안구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렌즈 장치는, 정점 간 거리 변화 구동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렌즈 장치는, 거리 센서, 제1 통신부, 제1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입 렌즈가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되는 것이다.
조절력 측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가 렌즈 장치와 별도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제2 통신부, 제2 제어부 및 입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의 제2 통신부가 렌즈 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렌즈 중 가입 렌즈의 선택을 요청하면, 렌즈 장치의 제1 제어부는 가입 렌즈를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시킨다.
사용자 단말기의 제2 통신부가 렌즈 장치의 거리 센서로부터 도출되는 거리 값을 렌즈 장치의 제1 통신부로부터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제2 제어부는,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의 입력을 수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눈의 조절력 측정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00),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렌즈 장치의 가입 렌즈를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하도록 요청하는 단계(S200) 및 제어부가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측정 시표 보정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눈의 조절력 측정의 요청을 수신하면(S100),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렌즈 장치의 가입 렌즈를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하도록 요청한다(S200).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렌즈 장치의 가입 렌즈를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하도록 요청하는 단계(S200)에서, 렌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와 함께 조절력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조절력 측정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조절력 측정 시스템의 제공 형태 또한 상술한 바와 같다.
조절력 측정 시스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는, 렌즈 장치와 함께 일체로 구성되거나 렌즈 장치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해당된다.
제어부가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단계(S300)는,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안구와의 거리인 제1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 렌즈와의 거리인 제2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가입 렌즈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제어부가 사용자의 안구와 디스플레이와의 거리 및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의 배율을 기반으로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가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단계(S300)는, 제어부가 렌즈 장치에 의해 사용자 안구 앞에 배치된 가입 렌즈의 배율을 반영하여 상기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절력 측정 시스템을 특정 안구 앞에 배치한 후, 제어부 또는 사용자가 조절력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제1 거리인 디스플레이와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여 제2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또는 가입 렌즈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은, 일 실시예로, 조절력 측정 시스템 내 디스플레이가 렌즈 장치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어부가 거리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가입 렌즈와 디스플레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도록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가입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는, 디스플레이 또는 가입 렌즈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은, 조절력 측정 시스템 내 디스플레이가 렌즈 장치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에 배치되어 별도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어부가 거리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가입 렌즈와 디스플레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도록 디스플레이의 위치 또는 가입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라는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들고 팔의 가동 범위 안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이동함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이동되거나 사용자가 가입 렌즈를 이동함에 의해 가입 렌즈의 위치가 이동된다.
디스플레이와 가입 렌즈와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디스플레이를 이동하거나, 렌즈 장치 내의 렌즈를 이동하는 것은 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의 수정체가 두꺼워졌다가 얇아지거나, 얇아졌다가 다시 두꺼워지는 등의 상태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조절력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조절력 측정 시스템 내의 가입 렌즈가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 렌즈가 정점 간 거리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매우 가까운 정도로 배치되어 있고,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안구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처음 흐림을 인지(비조절상태)하는 지점 또는 디스플레이가 눈에서 멀어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처음 선명함을 인지(조절상태)하는 지점의 근처 지점에 해당하는 거리 데이터를 얻어 근점 데이터로 산출함으로써, 조절력을 산출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는, 사용자의 안구와 디스플레이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절력 측정 시스템 내의 가입 렌즈가 사용자의 안구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즉, 정점 간 거리 변화)에, 가입 렌즈가 눈에서 멀어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처음 흐림을 인지(비조절상태)하는 지점 또는 가입 렌즈가 눈에서 가까워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처음 선명함을 인지(조절상태)하는 지점의 근처 지점에 해당하는 거리 데이터를 얻어 근점 데이터로 산출함으로써, 조절력을 산출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상태에서 비조절상태로 변경되거나 비조절상태에서 조절상태로 변경되는 거리를 기반으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 때, 렌즈 가입 장치에는 정점 간 거리 변화 구동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렌즈 가입 장치에 배치되는 가입 렌즈는, 초점 가변 렌즈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가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단계(S300)는,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가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하며 조절력을 측정하되, 변경되는 굴절률을 기반으로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것이다.
이 때,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은, 일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리볼버 방식으로 구성되어 리볼버 방식으로 가입 렌즈를 변경함으로써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이고, 다른 실시예로, 가입 렌즈가 초점 가변 렌즈로 구성되어 초점을 변경함으로써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이다.
또한,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은, 디스플레이와 렌즈 장치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리볼버 방식의 가입 렌즈만을 변경하거나, 초점 가변 렌즈의 초점을 변경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와 렌즈 장치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면서 리볼버 방식의 가입 렌즈를 변경하거나, 초점 가변 렌즈의 초점을 함께 변경할 수도 있다.
초점 가변 렌즈는, 하나의 단일 렌즈 또는 2개 이상의 렌즈의 동심원이 같은 축으로 이루어진 공축광학렌즈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렌즈가 물리적으로 변화하거나 위치적으로 변화하여 초점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렌즈의 물리적 변화는 렌즈의 전면 및 후면 모두의 곡률이 변화하거나, 렌즈의 전면 또는 후면의 곡률이 변화하는 것이다.
렌즈의 위치적 변화는 눈과 렌즈가 떨어져 있는 거리가 변화되는 것 또는 렌즈가 2 이상일 때 렌즈의 간격이 변화하는 것이다.
초점 가변 렌즈는 렌즈의 초점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렌즈의 굴절력이 변화하며, 이와 상관되는 렌즈의 굴절력 및 상의 배율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점 가변 렌즈는, 렌즈 내부에 유체가 들어있어 외부의 물리적인 압력에 의한 유체의 이동으로 유체를 포함하는 공간의 형상이 변화하면서 초점이 가변하는 렌즈이다.
초점 가변 렌즈는, 일 실시예로, 액정(liquid crystal, LC)로 이루어져 분자의 배열 방향변화에 따라 액정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초점이 가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초점 가변 렌즈는 탄성이 있는 유연한 폴리머 소재를 이용하여 사람의 수정체와 같이 렌즈의 적도 부분을 물리적으로 늘이는 방식으로 초점이 가변될 수 있다. 탄성이 있는 유연한 폴리머 소재는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초점 가변 렌즈는 전면과 후면이 전기적인 인력 혹은 척력이 발생하면서 곡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초점이 가변될 수 있다.
조절력 측정에 있어서, 시표의 크기를 조절하여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와 가입 렌즈 간의 거리 변경을 이용하여 조절력을 측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이동에 따라 달라지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안구 사이의 거리는, 상술한 제1거리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조절력 측정에 있어서, 측정 시표는 먼 거리에서 가까운 거리로, 가까운 거리에서 먼 거리로 이동됨으로써 조절력 측정이 가능한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의 팔길이는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만큼의 가동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가 렌즈 장치에 일체로 구성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와 가입 렌즈와의 거리는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만큼의 거리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특히, 조절력이 부족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팔 길이보다 먼 거리에 있을 정도로 디스플레이와 가입 렌즈와의 거리가 먼 경우 선명함을 느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렌즈의 굴절률 변화를 이용하여 조절력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력 측정시스템은 리볼버 방식의 가입 렌즈 변경 또는 초점 가변 렌즈의 초점 변경을 통한 렌즈의 굴절률 변화를 통해 조절력을 측정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시표는 렌즈의 굴절률 변화에 의해 상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의 굴절률 변화에 의해 변경되는 상의 크기는, 시표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시표의 크기를 변경하여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조절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자각적으로 조절력을 측정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각 정보로는 주시하고 있는 시표의 흐린 정도인데, 시표의 흐린 정도를 빠르게 알아 차리기 위해서는 시표의 형상이 얇고 날카로운 형상이어야 한다. 시표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경우에는 조절력의 측정 지점에 다달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으므로 시표의 크기를 조절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검안학적으로 조절력을 측정 할 때에는 인지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 즉, 시표상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글씨를 이용하여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의 시력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검안학적으로 조절력을 측정할 때 시표상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글씨를 이용하여 측정한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의 시력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 크기만큼 글자를 키운 시표를 이용하여 조절력을 측정하는데, 시표가 눈과 가까워짐에 따라 상의 배율이 커지므로, 원래 측정해야 할 기준 시표와 상의 크기는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원래 측정해야 할 기준 시표와 상의 크기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상의 크기를 변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공되는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며, 원점을 근거리로 옮길 수 있는 가입 렌즈를 렌즈 장치에 배치함으로써, 짧은 거리 내에서 측정하여도 먼 거리에 위치한 시표와 같이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거리에 따라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면, 상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공되는 시표의 크기를 보정함으로써, 렌즈의 굴절률 변화에 의해 변화되는 상의 크기를 보정하여, 정확한 조절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거리에 따라 시표크기를 보정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력 측정을 위해 제작된 시 시력표는 시력 1.0을 기준으로 하여 5m 거리에서 1분 각을 구분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도구이다. 1분 각 구분을 위해 제작되는 시표는, 1분 각의 5배의 크기의 전체 시표높이 중 하나 이상의 1분 각 만큼의 빈 공간이 있어, 시표와 빈 공간의 대비를 인지할 수 있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1분 각은 원의 360도 중 1도를 60등분한 각도로써, 각도 단위 환산을 할 수 있다. 1분 각으로 시각이 일정한 상태에서 주시 거리가 변화하게 되면 시표의 높이 또한 변화된다. 따라서, 시표의 높이가 변화되는 값만큼을 계산하여 주시 거리에 따른 시표를 제작할 수 있다.
시 시력표는 1분 각을 구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1.0 시표를 포함하여, 기타 분 각을 구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시표를 포함하고 있다.
다양한 분 각에 따른 시 시력표의 크기 또한 분 각과 비례관계가 성립함으로 시표의 크기를 도출할 수 있다.
제1시표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5m 기준으로 하여 시력에 따른 시표 크기를 거리에 따라 5m 와의 비율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1.0 시력의 시표 크기를 거리에 따라 계산하는 경우에는, 1도는 원을 360등분 한 것이고, 1분은 1도를 60등분 한 것이므로, 1분각의 크기는 0.016666도가 된다. 이 때 tan1°의 값은 0.0175이므로, 1분 각을 유지하면서 거리가 1mm 증가하는 경우, 비례하여 커지는 이미지 크기의 비는 0.0002971이 된다.
1.0의 시표 크기는 상술한 예에 따라 0.0002917 값에 비례하여,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거리에 따른 1.0 시표의 크기= 0.0002917 X 거리(mm) X 5
수학식 1에서, 거리(mm)는 절대 값을 취한 값으로서, 눈 앞의 거리를 음수로 표현할지라도, 시표의 크기는 항상 양수로 도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기타 분각(기타 시력)의 경우에는 거리에 따른 1.0 시표의 크기에 비례하여 계산된다.
예컨대, 0.5 시력의 경우, 2분각으로서, 거리에 따른 1.0 시표의 크기에 2배를 하면 0.5 시표의 크기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거리 변화와 시력에 따른 시표 크기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거리와 시력에 따른 시표의 크기= 0.0002917 X (1/시력) X 거리(mm) X 5
제2시표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제어부가 가입 렌즈의 굴절력 및 가입 렌즈와 눈과의 정점간 거리를 기반으로 한 가입 렌즈의 배율에 따라 제1시표 크기를 제2시표 크기로 조절하는 것이다.
시력 측정에 있어서, 가입 렌즈 도수에 의하여 렌즈배율을 보정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 배율의 영향을 보정하는 목적은 모든 사용자가 표준정시가 보는 망막상의 크기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렌즈 배율의 영향을 보정함에 있어 눈 앞에 안경렌즈가 놓여있는 경우에는, 같은 물체를 두고 표준정시가 나안으로 본 망막상의 크기에 대한 안경렌즈로 교정된 비 정시 눈의 망막상의 크기 비인 상대배율과, 안경을 쓰고 볼 때와 나안으로 볼 때의 망막상의 크기의 비인 자기배율을 적용한다.
안경 미착용자의 경우 정시일 때, 자기배율(렌즈 장치에 가입된 렌즈 도수)의 보정이 필요하며, 안경 미착용자의 경우 비 정시일 때, 자기배율(렌즈 장치에 가입된 렌즈 도수 및 교정해야 할 안경 렌즈 도수)의 보정이 필요하다.
안경 착용자의 경우 교정된 정시화 상태일 때 상대배율(렌즈 장치에 가입된 렌즈 도수)의 보정이 필요하며, 안경 착용자의 경우 교정된 비 정시일 때, 상대배율(렌즈 장치에 가입된 렌즈 도수 및 교정해야 할 안경 렌즈 도수)의 보정이 필요하다.
가입 렌즈에 따른 시표 크기의 조절식은, 가입 렌즈 도수에 의한 상 변화를 자기배율 공식을 적용한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제2시표의 크기 = 제1시표의 크기 X (1/(1+l*D')
l은 정점 간 거리, D'는 렌즈 상측 정점 굴절력(렌즈 도수 부호).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가입 렌즈 도수에 의한 상 변화를 자기배율 공식을 적용하면, 제2시표의 크기는 가입 렌즈의 굴절력 및 가입렌즈와 눈과의 정점간 거리를 기반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안경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는, 제2시표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가입 렌즈의 굴절력 및 가입 렌즈와 눈과의 정점간 거리를 기반으로 한 가입 렌즈의 비율과, 안경 렌즈의 굴절력 및 안경 렌즈와 눈과의 정점간 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제1시표 크기를 제2시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안경 렌즈를 착용한 경우의 제2시표의 크기는, 안경 렌즈에 대한 굴절력 및 안경 렌즈와 눈과의 정점간 거리를 추가로 반영하여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안경 렌즈를 착용한 경우의 제2시표 크기 조절식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
제2시표의 크기 = 제1시표의 크기 X (1/(1+l1*D1') X (1/(1+l2*D2')
l1은 가입 렌즈와 눈과의 정점 간 거리, l2는 안경 렌즈와 눈과의 정점 간 거리, D1'는 가입 렌즈의 굴절력, D2'는 안경 렌즈의 굴절력.
상술한 바와 같이, 시표의 크기를 제1시표 크기로 조절하고, 제1시표 크기를 제2시표 크기로 조절하면, 거리에 따른 시표 크기의 조절과 렌즈 배율에 따른 시표 크기의 조절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시력 또는 사용자의 눈 상태에 따라 조절력 측정 시표의 사이즈를 사용자가 보았을 때 일정하게 유지되어, 정확한 조절력 측정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훈련 방법은, 제어부가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의 휘도 영향을 보정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제어부가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가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S400)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안구와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제어부가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와의 거리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는 제2 거리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협동안 운동에서 빛에 의해 동공이 축동 또는 산동으로 영향을 받게 되면 그와 동시에 조절 반응 또는 폭주/개산 반응의 정도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빛이 정확히 통제된 환경에서 조절력을 측정해야만 정확한 조절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가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보정하는 단계는, 일 실시예로, 렌즈 장치가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되어,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가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되며, 가입 렌즈로 인한 정점 간 거리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특정 안구와 렌즈 장치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정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안구에 접근하여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일정 기준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낮춘다. 반대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멀어져,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의 거리라 멀어지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높인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디스플레이의의 휘도를 낮추고,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휘도로 느끼는 환경에서 시력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가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은, 휘도가 달라질 경우 시력 측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도 3은 휘도 변화가 있는 경우와 휘도 변화가 없는 경우에서의 조절자극에 따른 조절반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휘도 변화가 있는 경우로서, 빛이 세기가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주시한 경우의 동공반응, 조절자극 및 조절반응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b)는 휘도 변화가 없는 경우로서, 종이 텍스트만을 주시한 경우의 동공반응, 조절자극 및 조절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휘도 변화가 있는 경우 동공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하여 조절자극에 따른 조절반응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 이유는 휘도가 낮으면 동공이 확대되고 휘도가 높으면 동공이 축소되는데, 동공이 확대되면 초점심도가 얕아지고 동공이 축소되면 초점심도가 깊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휘도변화에 따른 초점심도의 변화는 시력 측정 및 시력 훈련에 오차를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도 3의 (b)에서와 같이, 휘도 변화가 없는 경우 동공의 크기가 일정하여 조절자극에 따른 조절반응이 대체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휘도 하에서 시력 측정을 할 수 있도록 제어부가 사용자 안구와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의 영향을 보정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제어부가 시력의 영향을 보정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가 시력의 영향을 보정하는 단계(S500)는, 제어부가 사용자의 시력의 영향을 보정하되, 사용자의 시력의 영향은 사용자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이다.
시력이 완전하게 교정되지 않고 근시나 고도의 원시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시력이 정시안보다 낮게 측정되고, 조절력은 시력이 정시안으로 교정된 정시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시력이 완전하게 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확한 조절력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가 어렵다.
조절력 측정 또는 훈련에 있어 시력이 미교정된 경우로는, 시력이 정시안이 아닌 근시의 경우 가까운 곳을 잘 볼 수 있는 눈의 굴절 상태로서, 조절력 측정 또는 훈련에 있어서도 정시상태보다 더 가까운 지점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반면, 시력이 정시안이 아닌 원시의 경우 먼 곳을 잘 볼 수 있는 눈의 굴절 상태로서, 조절력 측정에 있어서도 정시상태보다 더 먼 지점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절력 측정시에, 정시상태 기준의 순수한 조절력을 반영하도록 시력의 영향을 보정하여야 한다.
근시의 경우에는,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는 굴절 상태로서, 측정된 조절력에 근시 영향만큼의 디옵터의 절대값을 빼준다.
원시의 경우에는, 초점이 망막 뒤에 맺히는 굴절 상태로서, 측정된 조절력에 원시 영향만큼의 디옵터의 절대값을 더해준다.
난시의 경우에는, 초점이 망막에 정확히 맺히지 못하는 굴절 상태로서, 근시성 난시는 난시의 디옵터 값을 1/2한 데이터를 근시 디옵터 값으로 환산하고, 원시성 난시는 난시의 디옵터를 1/2한 데이터를 원시 디옵터 값으로 환산한다.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 렌즈 사이에 별도의 착용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착용 렌즈를 착용한 상태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하여 조절력을 보정한다.
별도의 착용 렌즈는, 안경 렌즈 및 콘택트 렌즈를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은 조절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시력 측정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획득하거나,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 렌즈 사이에 별도의 착용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용 렌즈에 해당되는 디옵터 값을 입력 받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착용 렌즈에 해당되는 디옵터 값은, 사용자의 안경 디옵터 값 또는 콘택트 렌즈 디옵터 값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눈에 대한 굴절 이상을 측정한 안과, 안경원 등에서 적립된 디옵터 값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자가시력측정기를 이용하여 눈에 대한 디옵터를 측정한 값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착용 렌즈 자체에 대한 디옵터 값, 안경원 등에서 적립된 디옵터 값, 자가시력측정기를 이용한 디옵터 값 등의 외부적으로 획득한 디옵터 값은, 각각 서버에 전송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력 측정을 요청하여 조절력 측정 시에, 시력의 영향 보정을 위하여 제어부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조절력 측정 또는 훈련을 요청한 사용자의 외부적으로 획득한 디옵터 값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반영한다.
또는, 착용 렌즈 자체에 대한 디옵터 값, 안경원 등에서 적립된 디옵터 값, 자가시력측정기를 이용한 디옵터 값 등의 외부적으로 획득한 디옵터 값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어부에 직접 입력됨으로써 조절력 측정 시 즉시 반영할 수도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한 눈의 조절력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제어부가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가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하는 단계(S600)는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가 평면 렌즈가 아닌 경우, 가입 렌즈의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하는 것이다.
렌즈 장치는, 시력 훈련을 위하여 다양한 디옵터 값을 가지는 렌즈만을 포함하고 평면 렌즈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렌즈 장치에 평면 렌즈가 없는 경우에는, 굴절력을 갖는 렌즈가 가입 렌즈로서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되어 조절력을 측정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에는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하여야 정확한 조절력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입 렌즈가 평면 렌즈가 아닌 경우에는, 가입 렌즈의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하고, 이 때 보정하는 방법은 도 4의 안경 렌즈의 시력 영향을 보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안경 렌즈의 시력 영향을 보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가입 렌즈가 특정 디옵터를 가지고 사용자의 안구 앞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조절효과 및 정점간 거리의 영향을 보정한 상태의 렌즈 영향을 보정하는 것이다.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가 평면 렌즈인 경우에는, 평면 렌즈인 가입 렌즈로 인하여 조절효과 및 정점간 거리의 영향이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조절효과 및 정점간 거리의 영향의 보정은 적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가 평면 렌즈가 아닌 경우, 조절효과 및 정점 간 거리의 영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주시거리의 역수(근점 데이터)에 조절효과 영향과 유효 굴절력을 가감하여야 하는데, 조절효과 영향과 유효 굴절력을 각각 산출하여, 근점 데이터에 조절효과를 도출 된 부호의 방향대로 더해주고, 유효 굴절력은 도출된 부호의 방향대로 빼주면,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가 평면 렌즈인 것과 같이 보정이 된다.
이하에서는,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가 평면 렌즈가 아닌 경우, 가입 렌즈가 평면 렌즈인 것과 같이 보정을 하기 위한, 렌즈 조절 효과 및 유효 굴절력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절 효과를 보정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제어부가 렌즈 조절 효과를 보정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가 렌즈 조절 효과를 보정하는 단계(S700)는,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렌즈 사이에 별도의 착용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절 효과는 착용하고 있는 렌즈와 주시하는 거리 값에 따라 나타나는 굴절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근시인 경우, 마이너스 렌즈를 착용하고 있어 주시하는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마이너스 렌즈 효과가 작아지는 굴절 변화가 일어나며, 원시인 경우, 플러스 렌즈를 착용하고 있어 주시하는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플러스 렌즈 효과가 커지는 굴절 변화가 일어난다.
가입 렌즈의 조절 효과는, 정점간 거리, 가입 렌즈의 디옵터 값(가입 렌즈의 도수) 및 사용자의 주시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으로서, 하기의 수학식 5에 의해 보정한다.
<수학식 5>
ΔAc = 2 l · Dv · S
Ac는 조절효과 보정 값, l은 정점 간 거리, Dv는 렌즈의 디옵터 값, S는 사용자의 주시거리의 역수(근점 데이터)이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가입 렌즈의 영향만 있을 뿐, 별도로 착용 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렌즈 조절 효과는, 가입 렌즈만의 조절 효과를 보정하는 것이다.
가입 렌즈만의 조절 효과를 도출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6에 의한다.
<수학식 6>
조절효과 = 2 X (가입 렌즈와 사용자 눈과의 거리) X (특정 가입 렌즈의 디옵터) X (근점 데이터)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가입 렌즈뿐만 아니라, 별도의 착용 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렌즈 조절 효과 보정은, 가입 렌즈 및 착용 렌즈를 이용한 합성 렌즈의 조절 효과를 보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입 렌즈 및 착용 렌즈의 합성 렌즈 디옵터 값을 도출하여 합성 렌즈 디옵터 값을 이용하여 조절 효과를 보정할 수 있다.
합성 렌즈 디옵터 값을 도출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7에 의한다.
<수학식 7>
D = D1 + D2 -
Figure pat00001
D1D2
D는 합성 렌즈의 굴절력, D1는 가입 렌즈의 굴절력, D2는 착용 렌즈의 굴절력, t는 렌즈 중점간 거리, n은 가입 렌즈와 착용 렌즈 사이의 매질의 굴절률이다.
또한, 가입 렌즈 및 착용 렌즈의 합성 렌즈의 조절 효과를 도출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8에 의한다.
<수학식 8>
조절효과 = 2 X (가입 렌즈와 사용자 눈과의 거리) X (특정 가입 렌즈와 안경 렌즈의 합성 디옵터) X (근점 데이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와 렌즈 장치내 가입 렌즈와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정점 간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정점 간 거리 또한 조절력 측정에 있어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정점 간 거리의 영향을 보정하여 유효한 굴절력을 산출하여야 한다.
정점 간 거리의 영향을 보정하여 유효한 굴절력을 산출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9에 의한다.
<수학식 9>
Figure pat00002
Dv는 가입 렌즈의 굴절력, D는 유효 굴절력이며, 산출된 거리 값의 역수 또는 조절자극량일 수도 있고, l1은 최초 렌즈 장치 내의 렌즈와 사용자의 안구 사이의 거리, l2는 이동된 경우, 렌즈 장치 내의 렌즈와 사용자의 안구 사이의 거리이다.
도출된 조절효과 및 유효굴절력을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가 평면 렌즈가 아닌 경우에도, 평면렌즈와 같이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거리를 조절하면서 조절력을 측정하는 경우, 제어부가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상태에서 비조절상태로 변경되거나 비조절상태에서 조절상태로 변경되는 거리를 기반으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안구 앞에 배치된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함에 따라 조절력을 측정하는 경우(예를 들어, 복수의 디옵터를 가지고 있는 리볼버를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안구 앞에 배치되는 굴절률을 변경하거나 초점 가변렌즈가 안구 앞에 배치됨에 따라 굴절률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제어부가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상태에서 비조절상태로 변경되거나 비조절상태에서 조절상태로 변경되는 굴절률을 기반으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한다.
도 7는 조절력 측정에 있어서, 비교 시표를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비교 시표를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제어부가 비교 시표를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조절력 측정을 위해 시표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에는 측정 시표(10) 및 비교 시표(20)가 함께 제시되어 있다.
제어부가 비교 시표를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S800)는 제어부가 측정 시표(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선명하지 않게 보이는 비교 시표(20)를 측정 시표(10)와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조절력의 측정에 있어서, 조절이 가능한 범위(즉, 선명한 범위)와 조절이 불가능한 범위(즉, 선명하지 않은 범위)의 경계를 판단하기가 모호하여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측정 시표(10)와 함께 조절이 불가능한 범위일 때 보이는 선명하지 않은 정도로서, 선명하지 않게 보이는 비교 시표(20)를 제공한다.
즉, 측정 시표 보정 단계는, 선명하지 않게 보이는 비교 시표를 상기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비교시표를 상기 측정시표와 동일하게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력 측정시에 측정 시표(10)와 함께 조절이 불가능한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비교 시표(20)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조절이 가능한 범위와 조절이 불가능한 범위의 경계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조절이 가능한 범위와 조절이 불가능한 범위의 경계를 명확하게 판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9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측정 시표의 형태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측정 시표 형태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한다.
측정 시표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형태로서 제공된다.
측정 시표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은, 측정 시표의 잔상 효과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원거리에서 측정 시표(즉, 대상체)를 접근시키는 경우, 측정 시표가 보이다가 조절근에 의해 수정체가 더 이상 두꺼워지지 못하면 측정 시표가 보이지 않게 된다.
측정 시표가 보이지 않는 지점에서는 사용자가 보이지 않는 지점의 해당 경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하는데, 측정 시표가 보이는 범위에서 안보이는 범위로 진입할 때에 기존에 보이던 측정 시표의 잔상이 남음에 따라 측정 시표가 보이는 범위와 안보이는 범위의 경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측정 시표의 잔상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측정 시표를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측정 시표가 보이는 범위와 안보이는 범위의 경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표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은, 훈련 집중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조절력 측정(또는, 조절력 훈련) 시에 집중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또는 훈련을 수행한다면, 초점이 흐려져 시표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훈련 집중을 유도하기 위해 측정 시표를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형태로서 제공하고, 단순하게 제공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모양이 변경된 측정 시표 형태의 입력을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조절력 측정 시에 지속적으로 집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변경된 측정 시표 확인 여부의 수신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측정 시표 형태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사용자에게 눈의 조절력 측정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눈의 조절력 측정의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10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눈의 조절력 측정의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1000)에서 눈의 조절력 측정의 결과는, 객관적 지표로서 확인이 가능한 조절능력 나이 및 명시범위의 근점 거리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조절력 측정의 결과로서 일반적 수치를 제시한다면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는 조절력의 결과가 어느 정도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절력 측정의 결과를, 각 나이별 평균치에 따른 조절능력 나이로서 제시하고, 명시범위에서 근점 거리를 제시한다.
조절능력 나이 및 근점 거리로서 조절력의 결과를 제시하여 줌으로써, 조절력의 훈련의 필요성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는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제어부가 피드백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1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가 피드백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100)는 사용자로부터 조절이 가능한 범위와 조절이 불가능한 범위의 경계 지점에서의 피드백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다.
조절이 가능한 범위와 조절이 불가능한 범위의 경계 지점에서 사용자의 피드백의 입력을 수신하여야 정확한 조절력 측정이 가능하다.
피드백은 모션, 센서 또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 대한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입력 받는 것이다. 센서는, 적외선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모션 유형으로는 홀드방식, 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장치를 이동하는 방식 등을 포함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모션을 이용한 피드백 입력 방식은 모두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 상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는, 터치 조작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 사용자 단말기 상에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방식 등을 포함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사용자 단말기 상에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은 모두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은 조절력 측정 진행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방법은, 조절력 측정 시스템이 렌즈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어부가 조절력 측정 진행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단계(S1200)를 더 포함한다.
조절력 측정 진행 상태는, 조절력 측정 시스템에 배치된 거리 센서에 의해 인식된 위치를 사용자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안구와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를 화면 상에 나타내는 조절력 측정 진행 상태 제공 화면에는, 근거리 이미지(30), 원거리 이미지(40),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이미지(50) 및 현재 거리 위치 이미지(60)를 포함한다.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이미지(50)는 근점과 원점의 측정 거리 범위 이내로 제시되어, 해당 거리 범위 이내에서 현재 거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현재 거리 위치 이미지(40)는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구 앞에 렌즈 장치를 배치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들고 이동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는 고정한 상태에서,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를 이동하는 경우, 렌즈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안구와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에 따라 현재 거리 위치 이미지(40)는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이미지(3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제시되거나,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이미지(30)의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것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 안구와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 또는, 렌즈 장치 내의 렌즈와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가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범위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현재 거리 위치 이미지(40)는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이미지(30)의 범위 이내보다 근거리 이미지(10)에 가깝게 제시된다.
다른 실시예로, 렌즈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 또는, 렌즈 장치 내의 렌즈와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가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범위보다 먼 경우에는, 현재 거리 위치 이미지(40)는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이미지(30)의 범위 이내보다 원거리 이미지(20)에 가깝게 제시된다.
사용자는 실시간 거리 이미지를 통하여 팔을 더 뻗어 사용자 단말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것인지, 팔을 좀 더 접어 사용자 단말기를 이동시켜야 하는 것인지, 가입 렌즈를 사용자 안구에 더 가깝게 이동시켜야 하는 것인지, 가입 렌즈를 사용자 안구로부터 더 멀리 이동시켜야 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은, 양안의 조절력을 동시에 센싱하여 조절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조절력 측정 시스템 내 렌즈 장치가 리볼버 방식의 렌즈 변경이 가능한 경우, 렌즈 장치에 중첩 가능한 프리즘 렌즈를 더 포함하여, 프리즘 렌즈를 통해 사용자의 안위를 보정함으로써, 양안의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렌즈 장치 내 가입 렌즈가 단일 렌즈이며, 디스플레이가 렌즈 장치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양안의 조절력을 동시에 측정할 때에 2개의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표시되는 이미지의 중앙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안위를 보정함으로써, 양안의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렌즈 장치 내 가입 렌즈가 초점 가변 렌즈인 경우에는, 단일의 초점 가변 렌즈의 초점을 중앙부에서 편심(중심에서 편위)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안위를 보정함으로써 양안의 조절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은, 조절 대비 폭주 비(AC/A, Accommodative convergence/accommodation) 또는 폭주 대비 조절 비(CA/C, Convergence accommodation/comvergence)의 경우 눈의 협동안 운동과 관련하여 데이터와 직결되는 것으로서, AC/A 또는 CA/C의 영향을 보정하여 조절력을 측정함으로써, 조절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AC/A는 조절이 일어날 때 동시에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폭주의 정도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며, 같은 거리를 보더라도 동공 간 거리에 따라 폭주에 요구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어 중요한 비율이다.
예컨대, AC/A는 고정된 거리를 보고 있는 눈 앞에 -1.00D의 렌즈를 놓고 1D만큼의 조절을 자극하였을 때 두 눈이 얼마만큼 폭주하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비율로서, 폭주하는 정도(폭주각)는 프리즘을 단위로 사용하며 1프리즘의 꺽임각은 1M 전방의 물점의 고시점이 1cm 이동하였을 때 발생하는 각도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AC/A비는 4프리즘/1디옵터 ~ 6프리즘/1디옵터 정도에 해당된다.
또한, 반대로, CA/C비는 눈 앞에 프리즘으로 폭주 혹은 개산을 자극하여 조절력이 변화하는 정도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은, 디스플레이와 상기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와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가입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킴에 따라 반복 자극 훈련을 제공하되, 제어부가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와 상기 디스플레이와의 거리 및 상기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의 배율을 기반으로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은, 제어부가 상기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반복적으로 변경하며 반복 자극 훈련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가입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킴에 따라 모양체근을 반복 자극 훈련할 수 있고, 또는 굴절률을 반복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모양체근에 대하여 반복 자극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반복 자극 훈련이란, 모양체근을 반복 자극 시키는 훈련으로서, 조절력 훈련 또는 조절 용이성 훈련을 하는 것이다.
조절력 훈련은 조절력을 강화시켜 보고자 하는 가까운 거리 또는 먼 거리를 잘 보기 위한 훈련이다. 조절력은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가장 멀리 있는 지점(즉, 원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즉, 근점)을 잘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훈련으로서, 해당 기능을 하는 모양체근을 최대한 수축 또는 이완시켜야 한다. 모양체근의 수축 또는 이완의 훈련 방법은,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준까지 모양체근을 수축 또는 이완시키는 반복 자극을 주는 것이다.
조절 용이성 훈련은 플러스 렌즈에서 마이너스 렌즈로, 마이너스 렌즈에서 플러스 렌즈로 변경하며 초점을 빠르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훈련으로서, 플러스 렌즈와 마이너스 렌즈를 반복적으로 변경하여 반복 자극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모양체근을 반복 자극 시키는 훈련으로 조절력 훈련 및 조절 용이성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조절 용이성 훈련은, 일 실시예로, 리볼버 방식의 렌즈 변경을 이용하여 훈련하는 경우, 렌즈 장치 내에 플러스 렌즈와 마이너스 렌즈가 포함되어 있고, 플러스 렌즈에서 마이너스 렌즈로, 마이너스 렌즈에서 플러스 렌즈로 변경할 때에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변경되는 굴절률을 기반으로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가까운 거리에서 디스플레이와 렌즈 간의 반복적인 거리 변경을 이용해 조절력 훈련 또는 조절 용이성 훈련을 수행하거나, 반복적인 굴절률 변경을 이용하여 조절력 훈련 또는 조절 용이성 훈련을 수행할 때에도 도 1의 설명과 같이 시표의 크기를 보정함으로써, 정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표의 크기 보정뿐만 아니라, 도 1 내지 도 13의 설명에서 상술한 내용은 조절력 훈련 또는 조절 용이성 훈련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시스템은,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을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로 수행할 때의 조절력 측정 시스템과 호환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을 가상 현실로 수행할 때, 컨트롤러는 시표와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가입 렌즈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조절력 측정 또는 조절력 훈련 시,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조절력 측정 또는 조절력 훈련 결과는, 일 실시예로, 렌즈 장치가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의 배치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렌즈 장치와의 거리 조절에 의해 도출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가 이동됨으로써 도출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조절력을 측정 및 훈련할 경우,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가 사용자 단말기와 호환되어, 피드백의 입력을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외의 렌즈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특징은 도 1 내지 도 1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측정시표
20 : 비교시표
30 : 근거리 이미지
40 : 원거리 이미지
50 : 조절력 측정 적합 거리 이미지
60 : 현재 거리 위치 이미지

Claims (20)

  1. 제어부가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렌즈 장치의 가입 렌즈를 배치하도록 요청하되, 상기 렌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부와 함께 조절력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인, 렌즈 배치 요청 단계;
    조절력 측정을 위해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디스플레이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가 연속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측정시표 보정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상태에서 비조절상태로 변경되거나 비조절상태에서 조절상태로 변경되는 거리를 기반으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렌즈 장치 내에 포함되어 위치 조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렌즈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사용자 단말기이며,
    상기 제1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이동시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렌즈 장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시표 보정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 장치에 의해 사용자 안구 앞에 배치된 가입 렌즈의 배율을 반영하여 상기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7. 제어부가 사용자의 특정 안구 앞에 렌즈 장치의 가입 렌즈를 배치하도록 요청하되, 상기 조절력 측정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인, 렌즈 배치 요청 단계;
    조절력 측정을 위해 사용자의 안구 앞에 배치되는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변경된 굴절률을 기반으로 측정 시표의 크기를 보정하는, 측정 시표 보정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상태에서 비조절상태로 변경되거나 비조절상태에서 조절상태로 변경되는 굴절률을 기반으로, 사용자 안구의 조절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리볼버 방식으로 구성되어 리볼버 방식으로 가입 렌즈를 변경함으로써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과 가입 렌즈가 초점 가변 렌즈로 구성되어 초점을 변경함으로써 굴절률을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시력의 영향을 보정하되, 상기 사용자의 시력의 영향은 상기 사용자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인, 시력의 영향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가 평면렌즈가 아닌 경우, 상기 가입 렌즈의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가입 렌즈의 영향을 보정하는, 가입 렌즈의 영향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 장치에 배치된 가입 렌즈의 조절 효과를 보정하되, 상기 가입 렌즈의 조절 효과는 정점간 거리, 가입 렌즈의 도수 및 사용자의 주시거리를 기반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인, 렌즈 조절 효과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표 보정단계는,
    선명하지 않게 보이는 비교 시표를 상기 측정 시표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비교시표를 상기 측정시표와 동일하게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렌즈 사이에 별도의 착용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력의 영향 보정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별도의 착용 렌즈를 착용한 상태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을 기반으로 하여 보정하는 것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구와 가입렌즈 사이에 별도의 착용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 조절 효과 보정 단계는,
    상기 가입 렌즈 및 상기 착용 렌즈를 이용한 합성 렌즈의 조절 효과를 보정하는 것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력에 대한 디옵터 값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획득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별도의 착용 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착용 렌즈에 해당되는 디옵터 값을 입력 받아 획득하는 것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표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변경된 측정 시표 확인 여부의 수신으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모양이 변경된 측정 시표 형태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렌즈 장치와 별도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조절력 측정의 진행 상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력 측정의 진행 상태는,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해 인식된 위치를 사용자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제공되는 것인,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1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 장치 내의 가입 렌즈의 굴절률을 반복적으로 변경하며 반복 자극 훈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방법.
  20. 하드웨어인 제어부와 결합되어, 제1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70730A 2018-06-14 2019-06-14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1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7214 WO2019240540A1 (ko) 2018-06-14 2019-06-14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841 2018-06-14
KR20180067841 2018-06-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158A Division KR20210015994A (ko) 2018-06-14 2021-01-28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617A true KR20190141617A (ko) 2019-12-24
KR102211520B1 KR102211520B1 (ko) 2021-02-03

Family

ID=690222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730A KR102211520B1 (ko) 2018-06-14 2019-06-14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12158A KR20210015994A (ko) 2018-06-14 2021-01-28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158A KR20210015994A (ko) 2018-06-14 2021-01-28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1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431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에덴룩스 조절용이성 측정 및 시력 향상 가능성 제시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97A (ko) * 1996-10-22 1998-07-15 배순훈 시력측정이 가능한 tv와 tv를 이용한 시력 측정방법
KR101113744B1 (ko) 2008-12-15 2012-02-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Led 란돌트 링을 이용하여 안구의 조절력을 측정하는 검안 장치 및 방법
KR101580477B1 (ko) * 2014-08-12 2015-12-28 박성용 시력개선장치
KR20180019337A (ko) * 2016-08-16 2018-02-26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검안장치
WO2018062979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에덴룩스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97A (ko) * 1996-10-22 1998-07-15 배순훈 시력측정이 가능한 tv와 tv를 이용한 시력 측정방법
KR101113744B1 (ko) 2008-12-15 2012-02-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Led 란돌트 링을 이용하여 안구의 조절력을 측정하는 검안 장치 및 방법
KR101580477B1 (ko) * 2014-08-12 2015-12-28 박성용 시력개선장치
KR20180019337A (ko) * 2016-08-16 2018-02-26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검안장치
WO2018062979A1 (ko) * 2016-09-30 2018-04-05 주식회사 에덴룩스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431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에덴룩스 조절용이성 측정 및 시력 향상 가능성 제시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
KR20220070088A (ko) * 2020-11-20 2022-05-30 주식회사 에덴룩스 조절용이성 측정 및 시력 향상 가능성 제시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994A (ko) 2021-02-10
KR102211520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2581B2 (en) Display device for demonstrating optical properties of eyeglasses
CN109964167B (zh) 用于确定显示装置的使用者的眼睛参数的方法
US20180263488A1 (en) Variable Lens System for Refractive Measurement
JP5078616B2 (ja) 一対の累進焦点眼鏡レンズを決定する方法
CN103424891B (zh) 成像装置及方法
EP3228237B1 (en) A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s
EP295933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air of progressive ophthalmic lenses
CN115040069A (zh) 一种订购眼镜的系统
CN103595912A (zh) 局部缩放的成像方法和装置
CN103439801A (zh) 视力保护成像装置及方法
EP295933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air of progressive ophthalmic lenses
EP2450738A1 (en) Progressive power lens and progressive power lens design method
CN111699432B (zh) 使用沉浸式系统确定眼睛的屈光力的方法及其电子设备
CN106132283B (zh) 用于增强现实的方法
EP2901918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interactive adjustment of a parameter of a continuously variable optical lens
KR102211520B1 (ko) 정확도가 향상된 눈의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3569137B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ustomising an optical lens
CN110462494A (zh) 被适配为由配戴者配戴的光学装置
US202203951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t least one visual refraction feature of a subject
US20220304569A1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providing at least one eye of a subject with a first refraction correction and with a second refraction correction to be compared with each other
WO2016002296A1 (ja) 光学制御装置、および光学制御方法
CN110049710B (zh) 用于测量屈光的方法和系统、用于眼科镜片的光学设计的方法以及包括这种眼科镜片的眼镜
WO2018079835A1 (ja) 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評価装置
EP4364642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refractive errors
EP4364643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refractive err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