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336A - 윙바디 - Google Patents

윙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336A
KR20190141336A KR1020180067957A KR20180067957A KR20190141336A KR 20190141336 A KR20190141336 A KR 20190141336A KR 1020180067957 A KR1020180067957 A KR 1020180067957A KR 20180067957 A KR20180067957 A KR 20180067957A KR 20190141336 A KR20190141336 A KR 2019014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d plastic
cover
fiber
bracket
fiber rein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082B1 (ko
Inventor
고우석
Original Assignee
고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우석 filed Critical 고우석
Priority to KR102018006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0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윙바디는,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좌측덮개, 우측덮개, 전방덮개, 후방덮개가 만들어져, 덮개가 커지더라도 무게 증가가 크지 않아, 무게 증가로 인해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덮개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덮개의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가 커져 무게가 증가하더라도 충분히 버틸 수 있어, 덮개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Description

윙바디{WING BODY}
본 발명은 윙바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화물차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화물의 추락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공간을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는 윙바디가 화물차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윙바디는 적재공간에 화물을 싣거나 적재공간으로부터 화물을 내릴 때, 적재공간의 좌우측과 후측에서 덮개를 바깥으로 펼쳐 적재공간을 개방하고, 화물을 싣고 이동할 때는 좌우측과 후측에서 덮개를 안쪽으로 접어 적재공간을 폐쇄시킨다.
윙바디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혀지는 덮개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덮개는 샌드위치 패널로 만들어진다.
샌드위치 패널은 종이, 발포 플라스틱재 등과 같은 저밀도 단열성 심재(core materials)의 양면에, 목재 합판 또는 금속재(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재(FRP) 등의 면재(face plates)를 접착되어 만들어진다. 그러나, 샌드위치 패널은, 덮개가 커질수록 무게가 증가하여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10-1785212)에서는, 허니컴 패널로 덮개를 만들고 있다.
허니컴 패널은 하판, 상판, 하판과 상판 사이에 게재된 허니컴 코어로 구성된다. 허니컴 패널은 벌집 구조를 가지고 있어, 덮개가 커져 무게가 증가해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허니컴 패널은 하판, 상판, 허니컴 코어로 구성되어 그 무게를 줄이기 어렵다. 이 경우, 허니컴 패널을 펼치고 접는 데 많은 힘이 요구된다.
등록특허(10-178521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윙바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윙바디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의 좌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되며,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의 우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되며,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의 전측에 설치되며,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된 전방덮개; 및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의 후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되며,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된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하는 제3구동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를 탈착시키는 제1탈착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를 탈착시키는 제2탈착부; 및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를 탈착시키는 제3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좌측덮개, 우측덮개, 전방덮개, 후방덮개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덮개가 커지더라도 무게 증가가 크지 않아, 무게 증가로 인해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덮개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덮개의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가 커져 무게가 증가하더라도 충분한 강도로 버틸 수 있어, 덮개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좌측덮개, 우측덮개, 전방덮개, 후방덮개의 제조과정에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구조가 그 내면에 한꺼번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강구조를 별도의 공정에서 만들 필요가 없어, 윙바디의 제작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좌측덮개와 우측덮개가 대칭 형태를 가지므로, 좌측덮개와 우측덮개가 붙어있는 형상을 몰딩으로 만든 다음, 가운데 부분을 잘라 좌측덮개와 우측덮개를 한꺼번에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좌측덮개와 우측덮개를 별도의 공정에서 만들 필요가 없어, 윙바디 제작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좌측덮개, 우측덮개, 후방덮개가 가벼운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므로, 적재공간을 개방하기 위해, 좌측덮개, 우측덮개, 후방덮개를 바깥으로 펼치는 데 큰 힘이 필요 없다. 따라서, 좌측덮개, 우측덮개, 후방덮개를 바깥으로 펼치는 힘을 제공하는 제1,2,3구동부을 낮은 파워(low power)의 쇼바로 충분히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1,2,3구동부가 낮은 파워의 쇼바(shock absorber)로 구성하면, 제1,2,3구동부의 좌측덮개, 우측덮개, 후방덮개를 바깥으로 펼치려는 힘을 견디며, 좌측덮개, 우측덮개, 후방덮개를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2,3탈착부가 큰 부착력을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2,3탈착부를 네오디움 자석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바디가 설치된 화물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윙바디의 좌측덮개, 우측덮개, 후방덮개가 바깥쪽으로 펼쳐져 적재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윙바디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좌측덮개, 우측덮개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방덮개, 후방덮개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탈착부가 설치된 좌측덮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1탈착부와 제1-2탈착부가 아래 위로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탈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바디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바디(1)는 화물차(C)의 짐칸에 설치된다.
윙바디(1)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 섬유강화플라스틱 전방덮개(23),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 제1구동부(31), 제2구동부(32), 제3구동부(33), 제1탈착부(110), 제2탈착부(120), 제3탈착부(130)로 구성된다.
섬유강화플라스틱은 강화섬유가 혼합된 수지가 몰드에서 가압 및 가열되어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의 섬유강화플라스틱은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강화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화규소 섬유 등 다양할 수 있다. 강화섬유는 짧게 컷팅되어 수지에 혼합된다.
한편, 섬유강화플라스틱은 강화섬유직물 프리프레그가 몰드에서 가압 및 가열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강화섬유직물 프리프레그는 직조된 강화섬유에 수지가 함침된 상태를 가진다. 강화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화규소 섬유 등 다양할 수 있다. 강화섬유직물 프리프레그는 몰드에 여러 개가 적층될 수 있다. 적층되는 강화섬유직물 프리프레그의 종류는 한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종류 일 경우에는, 탄소섬유직물 프리프레그와 유리섬유직물 프리프레그가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탄소섬유직물 프리프레그와 유리섬유직물 프리프레그 사이에 보강재가 삽입될 수도 있다.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은, 제1프레임(11), 제2프레임(12), 제3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제1프레임(11), 제2프레임(12), 제3프레임(13)은 에폭시 접착제로 접착되어 연결된다. 물론, 제1프레임(11), 제2프레임(12), 제3프레임(13)에 구멍을 뚫고, 제1프레임(11), 제2프레임(12), 제3프레임(13)을 볼트와 너트로 연결할 수도 있다.
제1프레임(11)은 윙바디(10)의 상부에 위치되며 판 형상을 가진다. 제1프레임(1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리브(11a)들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리브(11a)는 제1프레임(11)이 몰딩되어 만들어질 때 한꺼번에 만들어진다.
제2프레임(12)은 제1프레임(11)의 좌측에 연결된다. 제2프레임(12)은 제2-1프레임(12a), 제2-2프레임(12b), 제2-3프레임(12c)로 구성된다.
제3프레임(13)은 제1프레임(11)의 우측에 연결된다. 제3프레임(13)은 제3-1프레임(13a), 제3-2프레임(13b), 제3-3프레임(13c)로 구성된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3)가 바깥쪽으로 펼쳐지면 적재공간은 개방되고, 우측덮개(21), 우측덮개(22), 후방덮개(23)가 안쪽으로 모두 접히면 적재공간이 폐쇄된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는 “ㄱ”자 형상을 가진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의 좌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의 우측단이 제1프레임(11)의 좌측면에 힌지 결합된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의 내면에는 보강구조(B)가 형성된다. 보강구조(B)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를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구조(B)는 엠보싱이다. 물론, 보강구조(B)는 가로 방향 돌기 또는 세로 방향 돌기 또는 가로 및 세로 방향 돌기등 다양할 수 있다. 미 설명 도면 부호 21a는 구멍으로, 좌측덮개(21)를 안쪽으로 접기 위해, 손이나 갈고리를 넣고 좌측덮개(21)를 아래로 잡아당기기 위한 구멍이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는 “ㄱ”자 형상을 가진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의 우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의 좌측단이 제1프레임(11)의 우측면에 힌지 결합된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의 내면에는 보강구조(B)가 형성된다. 보강구조(B)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를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구조(B)는 엠보싱이다. 물론, 보강구조(B)는 가로 방향 돌기 또는 세로 방향 돌기 또는 가로 및 세로 방향 돌기등 다양할 수 있다. 미 설명 도면 부호 22a는 구멍으로, 우측덮개(22)를 안쪽으로 접기 위해, 손이나 갈고리를 넣고 우측덮개(22)를 아래로 잡아당기기 위한 구멍이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를 만들기 위해, 도 3(a)에 도시된 몰드(M1)에 강화섬유(F)가 혼합된 수지(R)를 넣고, 프레스(P)로 가압하고 히터(미도시)로 가열한다. 그러면, 도 3(b)에 도시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와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가 붙은 덮개가 만들어진다. 좌측덮개(21)의 내면 및 우측덮개(22)의 내면에 보강구조(B)을 형성하기 위해, 프레스(P)의 하면에는 보강구조(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홈(G)이 형성된다. 수지(R)가 경화되면, 몰드(M2)로부터 좌측덮개(21)와 우측덮개(22)가 붙은 덮개를 꺼내어 중간부분을 컷팅한다. 그러면, 도 3(c)에 도시된 좌측덮개(21)와 우측덮개(22)가 한꺼번에 만들어진다. 미 설명 부호 M은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전방덮개(23)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전방덮개(23)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의 전측에 설치된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전방덮개(23)의 내면에는 보강구조(B)가 형성된다. 보강구조(B)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전방덮개(23)를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구조(B)는 엠보싱이다. 물론, 보강구조(B)는 가로 방향 돌기 또는 세로 방향 돌기 또는 가로 및 세로 방향 돌기등 다양할 수 있다.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의 후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의 상단이 제1프레임(11)의 후측면에 힌지 결합된다.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의 내면에는 보강구조(B)가 형성된다. 보강구조(B)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를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구조(B)는 엠보싱이다. 물론, 보강구조(B)는 가로 방향 돌기 또는 세로 방향 돌기 또는 가로 및 세로 방향 돌기등 다양할 수 있다. 미 설명 도면 부호 24a는 구멍으로, 후방덮개(24)를 안쪽으로 접기 위해, 손이나 갈고리를 넣고 후방덮개(24)를 아래로 잡아당기기 위한 구멍이다.
섬유강화플라스틱 전방덮개(23)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를 만들기 위해, 도 4(a)에 도시된 몰드(M2)에 강화섬유(F)가 혼합된 수지(R)를 넣고, 프레스(P)로 가압하고 히터(미도시)로 가열한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전방덮개(23)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가 만들어진다.
전방덮개(23)의 내면 또는 후방덮개(24)의 내면에 보강구조(B)을 형성하기 위해, 프레스(P)의 하면에는 보강구조(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홈(G)이 형성된다. 수지(R)가 경화되면, 몰드(M2)로부터 내면에 보강구조(B)가 형성된 전방덮개(23) 또는 후방덮개(24)를 꺼낸다. 미 설명 부호 M은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제1구동부(31)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 사이에 설치되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한다. 제1구동부(31)는 한 쌍의 쇼바(shock absorber)로 구성된다. 쇼바의 일단은 제2프레임(12)에 설치되고, 쇼바의 타단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에 설치된다.
제2구동부(32)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 사이에 설치되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한다. 제2구동부(32)는 한 쌍의 쇼바로 구성된다. 쇼바의 일단은 제3프레임(13)에 설치되고, 쇼바의 타단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에 설치된다.
제3구동부(33)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 사이에 설치되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한다. 제3구동부(33)는 한 쌍의 쇼바로 구성된다. 한 쌍의 쇼바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은 제2-1프레임(12a)에 설치되고, 타단은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에 설치된다. 한 쌍의 쇼바 중 다른 하나의 일단은 제3-1프레임(13a)에 설치되고, 타단은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탈착부(110)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 사이에 설치되어,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를 탈착시킨다.
제1탈착부(110)는 제1-1자석부(111), 제1-2자석부(112)로 구성된다.
제1-1자석부(111)는 제2-2프레임(12b)에 한 쌍이 고정 설치된다.
제1-1자석부(111)는 제2-2프레임(12b)에 고정된 제1브라켓(111a), N극 자석(111b), S극 자석(111c)으로 구성된다. 제1브라켓(111a)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N극 자석(111b)과 S극 자석(111c)은 네오디움 자석이다.
제1브라켓(111a)에 N극 자석(111b), S극 자석(111c)이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제1브라켓(111a)의 하측으로 제1핀공(111aa)이 구비된다.
제1핀공(111aa)에는 핀(N)이 설치된다.
제1-2자석부(112)는 좌측덮개(21)에 한 쌍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2자석부(112)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브라켓(112a), N극 자석(112b), S극 자석(112c)으로 구성된다. 제2브라켓(112a)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N극 자석(112b)과 S극 자석(112c)은 네오디움 자석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112a)과 제1브라켓(111a) 위아래에서 겹쳐질 때, 도 7에 도시된 제1-2자석부(112)의 S극 자석(112c)이 제1-1자석부(111)의 N극 자석(111b)에 붙고, 제1-2자석부(112)의 N극 자석(112b)이 제1-1자석부(111)의 S극 자석(111c)에 붙는다. 이에 맞게, 제2브라켓(112a)에 N극 자석(112b)과 S극 자석(112c)이 위치된다.
제2브라켓(112a)이 제1핀공(111aa)에 설치된 핀(N)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브라켓(112a)의 하측으로 핀(N)이 통과하는 제2핀공(112aa)이 구비된다. 제2브라켓(112a)의 상측에는 손잡이(H)를 제2브라켓(11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핀(N)이 통과하는 제3핀공(112ab)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좌측덮개(21)가 안쪽으로 접히면, N극 자석(111b)은 S극 자석(112c)에 붙고, S극 자석(111c)은 N극 자석(112b)에 붙는다. 그러면, 자력에 의해 좌측덮개(21)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좌측덮개(21)를 바깥으로 펼치려면, 손잡이(H)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손잡이(H)의 끝은 홈(21b)을 따라 이동하고, 제2브라켓(112a)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N극 자석(111b)과 S극 자석(112c)이 분리되고, S극 자석(111c)과 N극 자석(112b)이 분리된다. 이때, N극 자석(111b)이 N극(112b)에 반쯤 걸치게 되어, 같은 극의 반발력에 의해, N극 자석(111b)과 S극 자석(112c)과, S극 자석(111c)과 N극 자석(112b)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N극 자석(111b)과 S극 자석(112c)이 분리되고, S극 자석(111c)과 N극 자석(112b)이 분리되면, 제1구동부(31)의 힘에 의해, 좌측덮개(21)가 바깥으로 펼쳐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탈착부(120)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 사이에 설치되어,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를 탈착시킨다.
제2탈착부(120)는 제2-1자석부(121), 제2-2자석부(122)로 구성된다.
제2-1자석부(121)는 제3-2프레임(13b)에 한 쌍이 고정 설치된다. 제2-1자석부(121)의 구성은 제1-1자석부(11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2자석부(122)는 우측덮개(22)에 한 쌍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2자석부(122)의 구성은 제1-2자석부(112)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탈착부(120)가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22)를 탈착시키는 윈리는, 제1탈착부(110)가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를 탈착시키는 윈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탈착부(130)는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 사이에 설치되어,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를 탈착시킨다.
제3탈착부(130)는 제3-1자석부(131), 제3-2자석부(132)로 구성된다.
제3-1자석부(131)는 한 쌍이 제2-1프레임(12a)과 제3-1프레임(13a)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제3-1자석부(131)의 구성은 제1-1자석부(11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2자석부(132)는 후방덮개(24)에 한 쌍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2자석부(132)의 구성은 제1-2자석부(112)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탈착부(130)가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24)를 탈착시키는 윈리는, 제1탈착부(110)가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10)과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21)를 탈착시키는 윈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 윙바디
10: 프레임 21: 좌측덮개
22: 우측덮개 23: 전방덮개
24: 후방덮개 31: 제1구동부
32: 제2구동부 33: 제3구동부
110: 제1탈착부 120: 제2탈착부
130: 제3탈착부

Claims (7)

  1.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의 좌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되며,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의 우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되며,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의 전측에 설치되며,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된 전방덮개; 및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의 후측에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접히게 설치되며, 내면에 보강구조가 형성된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가 바깥으로 펼쳐지는 힘을 제공하는 제3구동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좌측덮개를 탈착시키는 제1탈착부;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우측덮개를 탈착시키는 제2탈착부; 및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프레임과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후방덮개를 탈착시키는 제3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 상기 제3구동부는 쇼바(shock absor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착부, 상기 제2탈착부, 상기 탈착부 각각은, 위 아래에서 겹쳐지는 2개의 브라켓들과, 상기 2개의 브라켓들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브라켓들이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달라붙는 자석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들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들은 네오디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착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과 S극 자석으로 구성된 제1-1자석부와, 상기 좌측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과 S극 자석으로 구성된 제1-2자석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탈착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과 S극 자석으로 구성된 제2-1자석부와, 상기 우측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과 S극 자석으로 구성된 제2-2자석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3탈착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과 S극 자석으로 구성된 제3-1자석부와, 상기 우측덮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과 S극 자석으로 구성된 제3-2자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위에 상기 제2브라켓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은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된 S극 자석에 붙고,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된 S극 자석은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에 붙으며,
    상기 제1브라켓 위에서 상기 제2브라켓이 회전되어 겹쳐진 상태를 벗어나면,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과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된 S극 자석은 떨어지고,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된 S극 자석과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된 N극 자석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
KR1020180067957A 2018-06-14 2018-06-14 윙바디 KR10211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57A KR102116082B1 (ko) 2018-06-14 2018-06-14 윙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57A KR102116082B1 (ko) 2018-06-14 2018-06-14 윙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336A true KR20190141336A (ko) 2019-12-24
KR102116082B1 KR102116082B1 (ko) 2020-05-27

Family

ID=6900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57A KR102116082B1 (ko) 2018-06-14 2018-06-14 윙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0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61A (ja) * 2001-02-08 2002-08-20 Toray Ind Inc トラックの貨物室およびトラック
CN201313524Y (zh) * 2008-12-17 2009-09-23 三河市新宏昌专用车有限公司 一种自卸车液压开关后门
KR20160143052A (ko) * 2015-06-04 2016-12-14 이순채 전자력을 이용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윙이나 게이트 개폐장치
KR101785212B1 (ko) 2016-06-29 2017-10-12 (주)대성특장 허니컴 패널을 적용한 윙바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61A (ja) * 2001-02-08 2002-08-20 Toray Ind Inc トラックの貨物室およびトラック
CN201313524Y (zh) * 2008-12-17 2009-09-23 三河市新宏昌专用车有限公司 一种自卸车液压开关后门
KR20160143052A (ko) * 2015-06-04 2016-12-14 이순채 전자력을 이용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윙이나 게이트 개폐장치
KR101785212B1 (ko) 2016-06-29 2017-10-12 (주)대성특장 허니컴 패널을 적용한 윙바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082B1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9508A (en) Resin transfer molding with honeycomb core and core filler
EP2253460B1 (en) Method of joining composite components
US5567499A (en) Resin transfer molding in combination with honeycomb core
EP1642826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inforcing a structural panel
US20110080020A1 (en) Bodyshell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S2936339T3 (es) Caja de batería
US20090025616A1 (en) Air cargo pallets having synthetic cor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JP2023054346A (ja) 繊維強化複合材料構造体の製造
JP2016043578A (ja) 部品同士の結合構造及び部品同士の結合方法
KR20130038139A (ko) Z-피닝 패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 적층 구조물의 제조 또는 결합 방법
KR20190141336A (ko) 윙바디
CA2424019C (en) Co-cured resin transfer molding manufacturing method
CN203681671U (zh) 一种热熔焊接厢体结构
US6991694B2 (en) Tailgate manufacturing process
CN104176134A (zh) 一种碳纤维复合材料汽车车架结构
CN206797482U (zh) 一种模块化多材料空间构架汽车车身
KR20200072660A (ko)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외부 패널을 포함한 트렁크 리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0579A (ko) 단프라 상자의 열융착 봉합방법 및 그 수납상자
CA2913903A1 (en) Carbon fiber equestrian tack trunk
CN105873812B (zh) 带有上加强蒙皮和用于通达空心体的开口的机动车底板
CN107244297A (zh) 一种新型重型货车用轻量化高架箱
CN204124215U (zh) 一种碳纤维复合材料汽车车架结构
CN206983992U (zh) 一种车厢及其装饰用侧顶板
CN206884898U (zh) 一种新型重型货车用轻量化高架箱
KR20150060451A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