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332A -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 - Google Patents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332A
KR20190141332A KR1020180067945A KR20180067945A KR20190141332A KR 20190141332 A KR20190141332 A KR 20190141332A KR 1020180067945 A KR1020180067945 A KR 1020180067945A KR 20180067945 A KR20180067945 A KR 20180067945A KR 20190141332 A KR20190141332 A KR 20190141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hole
cutting
plat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홍순
Original Assignee
박홍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순 filed Critical 박홍순
Priority to KR102018006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1332A/en
Publication of KR2019014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3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0445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annel signboard without making a separate mold comprises: a first step of integrally including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nd bending the second portion of a base plate, which is a strip-shaped plate on which the first portion, the third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a height direction in a direction that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faces; and a second step of bending the third portion to be closer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ortion opposite to the one side. The base plate is manufactured as a side plate including a body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and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a moun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hat the other side faces, and a bend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third portion and connecting the body unit and mounting uni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eps.

Description

채널 간판, 채널 간판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 채널 간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Channel Signs, Side Plates Forming Channel Signs,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hannel Signs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

본 발명은 채널 간판, 채널 간판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 채널 간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nnel sign, a side plate for forming a channel sign, a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channel sign.

종래에는 간판으로, 반투명한 일면을 가지는 프레임 내부에 발광체를 두어, 프레임 외부에 배치된 인쇄된 문구가 주야로 관찰될 수 있는 간판을 이용하거나, 원하는 형상으로 구부린 네온사인을 사용하였다. 최근 기존 종류의 간판들을 벗어나, 원하는 문구의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내부에 발광체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채널 간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signboard, a light emitter is placed inside a frame having a translucent surface, and a signboard in which printed text placed outside the frame can be observed day or night is used, or a neon sign bent in a desired shape. Recently, a channel signboard formed in a manner of accommodating a light emitting body inside a frame formed in the shape of a desired phrase, away from existing kinds of signboards, has been widely used.

이러한 채널 간판을 형성하기 위해, 소재를 원하는 문구의 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지정된 문구의 형상으로 단단한 소재를 가공하기 위해, 종래에는 금형을 이용해 사출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In order to form such a channel sign, it is necessary to form the material in the shape of the desired phrase. In order to process a hard material into the shape of the designated phrase, conventionally, injection molding using a mold was mainly used.

그러나 동일한 형상의 간판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새로운 형상의 간판을 생산하기 위해 매번 새로운 금형을 제작해야 하고, 금형을 이용해 채널 간판을 생산한 이후에는 그 금형이 다시 사용되지 않아서 버려진다는 경제적 비효율이 발생했다.However, it is very rare to produce large quantities of signs of the same shape. As a result, new molds must be produced each time to produce a new shape signboard, and after producing a channel signboard using the mold, there is an economic inefficiency that the mold is not used agai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 공정을 통해 소재를 구부림으로써 제작되는 채널 간판, 채널 간판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 채널 간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channel signage, side plate for forming a channel signage, a channel signage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manufactured by bending the material through one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 제작 방법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을 일체로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 제3 부분 및 제2 부분이 높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 띠형의 판재인 기초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부리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3 부분을, 상기 일 측면과 반대되는 상기 제1 부분의 타 측면과 가까워지도록 구부리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부분에 대응되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제2 부분에 대응되되 상기 타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 및 상기 제3 부분에 대응되되 상기 몸체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측면 플레이트로 제조된다.Channel signag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integrally, the first portion, the third portion and A first step of bend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base plate, which is a strip-shaped plate material in which the second portion i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faces; And a second step of bending the third portion to be closer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ortion opposite to the one side, wherein the base plate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ages to form the first portion. A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portion, a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other side, and a ben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portion and 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t is made of side plat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은,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덮개플레이트; 및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되 상기 제1 덮개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Channe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ver plates form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side plate forming a side surface, wherein the side plate includes a plate-shaped body portion, a ben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from the bent portion. Extends but includes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first cover plate is se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 제조 장치는, 측면 플레이트의 일 측면과 반대되는 타 측면을 가압하여 구부리는 절곡부재;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기 위해 상기 절곡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 측면과 가까워지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재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 측면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 측면에 접근할 때, 상기 절곡부재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 측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가 수용되는 홈을 가진다.Channel sign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ember for pressing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side plate; And a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bending member to bend the side plate, wherein the side plate has a flat body portion,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to be closer to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from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that is bent from the bent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bent member approaches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so as to press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It has a groove for receiving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can cont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플레이트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The side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body portion, a ben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from the bent portion.

이에 따라, 별도의 금형 제작 없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기초 플레이트를 구부려 측면 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채널 간판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de plate and the channel signboard using the same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base plate provided continuously without making a separate mold.

소재의 우그러듦이 없이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릴 수 있다.It is possible to bend the side plate without material warp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의 제2 부분을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의 제2 부분을 구부린 상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황에서 제3 부분을 더 구부린 상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황에서 엠보와 강성 부여 엠보를 더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을 형성하는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측면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구부리는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측면 플레이트의 다른 부분을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구부리는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측면 플레이트의 또 다른 부분을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구부리는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절곡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플레이트의 하측을 가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려 플랜지를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부분이 절삭된 기초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의 제2 부분을 절삭 공구로 절삭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의 제2 부분을 절삭 공구로 1회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2 부분을 중첩되게 절삭 공구로 1회 더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제2 부분을 중첩되게 절삭 공구로 1회 더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제2 부분의 홀의 모퉁이를 더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의 제2 부분을 일부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제2 부분의 다른 영역을 일부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로부터 남은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홀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19의 기준선을 따라 슬릿을 형성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ound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second portion of a foundation plate is c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 portion of the foundation plate is 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hird portion is further bent in the situation of FIG. 3.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mbossment and a rigid embossment are further formed in the situation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plate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forming a channel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part of the side plate of FIG. 6 is bent us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FIG.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other part of the side plate of FIG. 6 is bent us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FIG.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other portion of the side plate of FIG. 6 is bent us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a bending member for bending the side plate of FIG. 10.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nnel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nnel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flange is formed by bending the side plate of FIG. 14.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nnel sign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undation plate having a second portion c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 portion of the foundation plate is cut with a cutt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where the second portion of the foundation plate is cut once with a cutt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where the second part of FIG. 19 is cut once more with a cutting tool to overlap.
FIG. 2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where the second portion of FIG. 20 is cut once more with a cutting tool to overlap.
FIG. 2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ide plate of FIG. 21 is bent.
FIG. 2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corners of the holes of the second part of FIG. 21 are further cut.
24 is a front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 part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base plate is c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other region of the second part of FIG. 24 is partially cut.
FIG. 2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hole formed by removing a region remaining from FIG. 25.
FIG. 2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lit formed along the reference line of FIG. 19.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1)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oundation plat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1)는, 제1 부분(11), 제2 부분(12) 및 제3 부분(13)을 일체로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foundation plat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11, a second portion 12, and a third portion 13 integrally.

기초 플레이트(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초 플레이트(1)의 길이 방향은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표시되었다.The base plate 1 is continuous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form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 is indicat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기초 플레이트(1)는 제1 부분(11), 제2 부분(12) 및 제1 부분(11)과 제2 부분(12)을 연결하는 제3 부분(13)으로 구분된다. 제1 부분(11), 제3 부분(13) 및 제2 부분(12)은 높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기초 플레이트(1) 상에서 제1 부분(11), 제3 부분(13) 및 제2 부분(12)이 차지하는 영역은, 도면에서 점선으로 구분하였다. 후술하겠으나 제1 부분(11)은 일련의 기초 플레이트(1)를 구부려 측면 플레이트(도 4의 10)를 형성하는 과정을 거쳐 몸체부(도 4의 110)가 되고, 제2 부분(12)은 안착부(도 4의 120)가 되고, 제3 부분(13)은 절곡부(도 4의 130)가 된다.The base plate 1 is divided into a first part 11, a second part 12 and a third part 13 connecting the first part 11 and the second part 12. The first part 11, the third part 13 and the second part 12 are arranged in sequence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part 11, the third part 13, and the second part 12 on the base plate 1 was divided by dotted lines in the drawing.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portion 11 becomes a body portion (110 in FIG. 4) by bending a series of foundation plates 1 to form a side plate (10 in FIG. 4), and the second portion 12 is It becomes a seating part (120 of FIG. 4), and the 3rd part 13 becomes a bend part (130 of FIG. 4).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초 플레이트(1)의 높이 방향은, x축 방향과 수직한 일 방향인 z축과 나란한 방향이다. 따라서 기초 플레이트(1)는,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띠형의 판재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y축 방향은, x축과 z축에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따라서 y축 방향은, 기초 플레이트(1)와 수직한 방향으로 나타난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which is o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axis direction. Therefore, the base plate 1 has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trip-shaped plate materia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y-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x-axis and the z-axis. Therefore, the y-axis direction is show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1)의 제2 부분(12)을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 portion 12 of the foundation plate 1 is c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초 플레이트(1)의 제2 부분(12)의 높이 방향 말단부인 상단부에 외측으로 개구되는 홀(121, 122)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부분(12)의 상단부를 절삭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용이한 절삭을 위해서 가공되지 않은 기초 플레이트(1) 단계에서 제2 부분(12)의 절삭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술할 단계들에 의해서 기초 플레이트(1)가 구부러진 후에 제2 부분(12)의 절삭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Cut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 12 may be carried out to form holes 121 and 122 which are opened outwardly in the upper end, which is the height direction distal end of the second part 12 of the base plate 1. have. For ease of cutting, the cutting of the second part 12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an unprocessed base plate 1 step, but the second part 12 after the base plate 1 is bent by the steps described below. May be made.

제2 부분(12)이 절삭되어 형성된 홀(121, 122)로부터 기초 플레이트(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인 기준선(141, 142)이 그어질 수 있다. 기준선(141, 142)은 도면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기준선(141, 142)은, 일련의 기초 플레이트(1)를 구부리는 과정을 거친 후, 안착부(120)에 남아 있는 홀(121, 122)의 위치에서, 측면 플레이트(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 플레이트(10)를 지나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기준선(141, 142)을 중심으로, 제조 장치(A)에 의해 측면 플레이트(10)가 원하는 형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Reference lines 141 and 142, which are virtual line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 may be drawn from the holes 121 and 122 formed by cutting the second portion 12. Reference lines 141 and 142 are indicated by dashed lines in the figures. Accordingly, the reference lines 141 and 142 ar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0 at the positions of the holes 121 and 122 remaining in the seating part 120 after the series of bending of the base plate 1. Extends to and passes through the side plate 10.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s 141 and 142 thus formed, the side plate 10 may be bent into a desired shape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FIG.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구체적으로 제2 부분(12)이 절삭되어 형성되는 홀(121, 122)은, 안착부(120)가 기준선(141, 142)을 중심으로 구부러져야 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끼인각을 가지고, 상기 끼인각을 정의하는 두 변이 만나서 형성되는 꼭지점이 안착부(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제2 부분(12)의 상단부로부터 높이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제3 부분(13)에 가까워질수록 길이 방향에서의 폭이 줄어드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홀(121, 122)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holes 121 and 122 formed by cutting the second portion 12 have an included angle determined based on an angle at which the seating portion 120 should be bent around the reference lines 141 and 142. Vertices formed by meeting two sides defining 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le located inside the seating portion (120). That is, in FIG. 2, holes 121 and 122 ar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 which the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creases closer to the third portion 13 along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12 in the height direction. .

홀(121, 122)은 도 2에서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홀(121)과 같이 단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홀(122)과 같이 복수 개가 인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홀이 인접하게 형성됨으로써 구성되는 제2 홀(1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총 3개의 홀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측면 플레이트(10)를 원하는 만큼 구부리기 위해 필요한 둘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les 121 and 122 may be formed alone, such as the first hole 121 located on the left side in FIG. 2, or a plurality of holes 121 and 122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such as the second hole 122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FIG. 2. May be The second hole 122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is illustrated as being composed of a total of three hole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numbers necessary to bend.

제1 홀(121)과 같이 단독으로 홀이 형성되는 경우, 그 중심을 따라 기준선(141)이 형성된다. 제2 홀(122)과 같이 복수 개의 홀이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 각자의 홀에 대해 기준선(1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자의 기준선(141, 142)을 중심으로 측면 플레이트(10)가 구부러질 수 있다.When the holes are formed alone as in the first hole 121, the reference line 141 is formed along the center thereof. Whe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such as the second hole 122, a reference line 142 may be formed for each hole, and the side plate 10 may be formed around the respective reference lines 141 and 142. Can be bent.

제2 부분(12)의 상단부가 절삭되기 전 또는 절삭된 후에, 기준선(141, 142)을 따라 기초 플레이트(1)의 일 측면 또는 타 측면을 절삭하여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홈은 기초 플레이트(1)를 관통하여 형성되지 않고, y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만큼만 기초 플레이트(1)를 파서 형성된다. 기초 플레이트(1)가 측면 플레이트(10)가 된 후에 구부러질 때에는 기준선(141, 142)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것이므로, 홈이 형성됨에 따라 기준선(141, 142)이 지나가는 기초 플레이트(1)의 영역의 두께가 감소해, 측면 플레이트(10)가 보다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Before or after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12 is cu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 may be cut along the reference lines 141 and 142 to form a groove. The groove is not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1, but is formed by digging the base plate 1 only by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y-axis direction. When the base plate 1 is bent after the side plate 10, the base plate 1 will be bent around the base lines 141 and 142, so that the area of the base plate 1 through which the base lines 141 and 142 pass as the groove is formed. The thickness of the side plate 10 can be more easily bent.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1)를 구부려서 측면 플레이트(10)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the side plate 10 by bending the base plat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제1 단계First step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1)의 제2 부분(12)을 구부린 상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 portion 12 of the base plate 1 is 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단계에서는, 기초 플레이트(1)의 제2 부분(12)을 제1 부분의 일 측면(112)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부린다. 제1 부분의 일 측면(112)과 타 측면(111)은, y축 방향을 따라 제1 부분(11)이 가지는 일 측면(112)과, 이러한 일 측면(112)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바라보는 타 측면(111)을 의미한다. 도 3에서는 일 측면(112)이 도면상의 왼쪽을, 타 측면(111)이 도면상의 오른쪽을 바라보도록 도시하였다.In the first step, the second part 12 of the base plate 1 is bent in the direction viewed by one side 112 of the first part. One side surface 112 and the other side surface 111 of the first portion may be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112 of the first portion 11 along the y-axis direction and the direction viewed by the side surface 112. It means the other side 111 facing the direction. In FIG. 3, one side 112 is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other side 111 is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제2 부분(12)이 본래 기초 플레이트(1)의 높이 방향인 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던 것과 달리, 구부러진 이후에는 제1 부분(11)에 수직한 방향인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12)이 제1 부분(11) 및 제3 부분(13)과 직각을 이루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Unlike the second portion 12, which was originally arranged along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 it may be arranged along the y-axis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ortion 11 after being bent. have. That is, the second part 12 may be bent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part 11 and the third part 13.

제2 단계2nd step

도 4는 도 3의 상황에서 제3 부분(13)을 더 구부린 상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third part 13 is further bent in the situation of FIG. 3.

제1 단계 이후, 제2 단계가 이어진다. 제2 단계에서는 제3 부분(13)을, 일 측면과 반대되는 제1 부분의 타 측면(111)과 가까워지도록 구부린다. 제2 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기초 플레이트(1)로부터 측면 플레이트(10)가 형성된다.After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is followed. In the second step, the third part 13 is bent to come closer to the other side 111 of the first part opposite to the one side. As the second step is carried out a side plate 10 is formed from the base plate 1.

제3 부분(13)이 제2 부분(1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짐에 따라, 제3 부분(13)은 제1 부분(11)과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3 부분(13)은 제1 부분(11)의 일부 영역과 접촉할 수도 있으나, 매우 가깝게 위치하되 접촉하지는 않을 수 있다. 제3 부분(13)과 제1 부분(11)의 경계가 절곡되지 않고 만곡되는 경우, 기초 플레이트(1)를 구성하는 소재의 탄성에 의해서 제3 부분(13)과 제1 부분(11)간의 유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As the third part 13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art 12, the third part 13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first part 11. Accordingly, the third part 13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first part 11, but may be located very close to the first part 11 but may not be in contact. When the boundary between the third part 13 and the first part 11 is bent without bending, between the third part 13 and the first part 11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se plate 1. This is because play may occur.

제2 부분(12)이 구부러질 때와 달리, 제3 부분(13)이 구부러져 회동하는 각도는 180도와 가까울 수 있다. 반면에 제2 부분(12)은 상술하였듯이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구부러진다. 이렇게 제1 단계와 제2 단계를 거침으로써, 제1 부분(11)은 기초 플레이트(1)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처음의 상태를 유지하고, 제3 부분(13)과 제2 부분(12)은 제1 부분(11)의 상단부로부터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Unlike when the second portion 12 is bent, the angle at which the third portion 13 is bent and rotated may be close to 180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art 12 is bent at an angle close to the right angle as described above. By going through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in this way, the first part 11 maintains the initial state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 and the third part 13 and the second part 12 Is formed in a 'b' shap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portion (11).

상술한 대로, 기초 플레이트(1)는 제1 및 제2 단계를 통해, 제1 부분(11)에 대응되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110), 제2 부분(12)에 대응되되 상기 제1 부분의 타 측면(111)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120), 및 제3 부분(13)에 대응되되 몸체부(110)와 안착부(120)를 연결하는 절곡부(130)를 포함하는 측면 플레이트(10)로 제조된다. 따라서 측면 플레이트(10)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z축과 나란한 방향 중 하방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절곡부(130)와, 절곡부(130)로부터 몸체부(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안착부(120)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1 corresponds to the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part 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rt 11 but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eps. The bent part 130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art 120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side 111 of the one part faces, and the third part 13, and connecting the body part 110 and the seating part 120 to each other. It is made of a side plate 10 comprising a. Accordingly, the side plate 10 is formed from a flat body portion 110, a bent portion 130 that is bent down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and from the bent portion 130. It includes a seating portion 120 which is bent and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110.

도 5는 도 4의 상황에서 엠보(113)와 강성 부여 엠보(114)를 더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 플레이트(10)의 사시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emboss 113 and the rigidity embossing 114 are further formed in the situation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plate 10 of FIG. 5.

측면 플레이트(10)에는 엠보(113)와 강성 부여 엠보(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준선(141, 142)이 엠보(113) 또는 강성 부여 엠보(114)를 가로질러서는 안된다. 따라서 엠보(113) 또는 강성 부여 엠보(114)는, 측면 플레이트(10) 상에서 홀로부터 대각선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The side plate 10 may be further formed with an emboss 113 and the rigidity embossing 114. However, baselines 141 and 142 should not cross emboss 113 or rigidity emboss 114. Therefore, the emboss 113 or the rigidity giving emboss 114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spaced diagonally from the hole on the side plate 10. FIG.

엠보(113)는 제1 부분의 일 측면(112)을 가압함으로써 타 측면(111)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초 플레이트(1)가 측면 플레이트(10)로 제조되었으므로, 제1 부분의 일 측면(112) 및 타 측면(111)은 각각 안착부(120)의 일 측면(1102) 및 타 측면(1101)과도 동일하다. 따라서 형압을 통해 엠보(113)를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엠보(113)의 단면이 반원의 형태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으나, 엠보(113)의 단면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emboss 113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ther side 111 by pressing one side 112 of the first portion. Since the base plate 1 is made of the side plate 10, the one side 112 and the other side 111 of the first part may be formed with the one side 1102 and the other side 1101 of the seating part 120, respectively. same. Therefore, the embossing 113 is formed through the mold pressure. In the figure, the cross section of the embossing 113 is illustrated to have a semicircular shape, but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mbossing 113 is not limited thereto.

엠보(113) 외에 측면 플레이트(10)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돌출된 강성 부여 엠보(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강성 부여 엠보(114)는, 몸체부의 타 측면(1101)의 영역 중 엠보(113)와 안착부(120)의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 형성되도록, 제1 부분의 일 측면(112)이 형압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강성 부여 엠보(114)의 단면이 쐐기형으로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강성 부여 엠보(114)의 단면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o the emboss 113, a protruding rigidity embossing 114 for imparting rigidity to the side plate 10 may be further formed. The rigidity-embossing 114 is provided by pressing one side 112 of the first part so as to be formed in an area located between the emboss 113 and the seating part 120 among the areas of the other side 1101 of the body part. Can be. Although the cross section of the rigidity-embossing 114 is shown in a wedge shape,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rigidity-embossing 114 is not limited thereto.

강성 부여 엠보(114)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을 따라 엠보(113)와 안착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강성 부여 엠보(114)가 측면 플레이트(10)의 몸체부(110)에 형성됨에 따라, 판형으로 몸체부(110)가 형성되는 경우보다 외부 충격으로부터 덜 변형되고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Rigidity embossing 114 may be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emboss 113 and the seating portion 120 along the height direction. As the rigidity-embossing 114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of the side plate 10, it may be less deformed from external impact and bear more weight than when the body portion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엠보(113)는 몸체부의 일 측면(1102)을 가압하여, 안착부(120)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타 측면(1101)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러나 강성 부여 엠보(114)는, 엠보(113)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지만, 몸체부의 타 측면(1101)을 가압하여, 안착부(120)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되는, 일 측면(1102)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The emboss 113 presses one side 1102 of the body portion,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that the other side 1101 faces, which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120 extends. However, the rigidity-embossing 114 may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mboss 113, but presses the other side 1101 of the body portion, one side 1102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120 is extended ) May protrude in the direction seen.

엠보(113)와 강성 부여 엠보(114)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부분(12)과 제3 부분(13)을 구부리는 제1 단계 및 제2 단계 전에 실시되어도 되고, 제1 단계와 제2 단계 사이에 실시되어도 되고, 제1 단계 및 제2 단계가 실시된 이후 실시될 수도 있다.The forming of the emboss 113 and the rigidity-embossing 114 may be performed before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bending the second part 12 and the third part 13, and the first and second steps. It may be carried out between the two steps, or may be carried out after the first and second steps are carried ou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100)을 형성하는 제조 장치(A)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nufacturing apparatus A for forming a channel signboar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플레이트(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초 플레이트(1)의 일부분이 구부러져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10)도 제조 장치(A)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1 may be provid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ide plate 10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base plate 1 may also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채널 간판(100)을 형성하는 제조 장치(A)는, 절곡부재(P)와 구동부(M)를 포함하여, 절곡부재(P)가 회전하도록 구동부(M)가 구동력을 제공하여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려 채널 간판(100)을 형성한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forming the channel signboard 100 includes a bending member P and a driving unit M, and the driving unit M provid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bending member P so that the side plate 10 is formed. ) Bend to form a channel signage 100.

절곡부재(P)는, 측면 플레이트(10)의 측면을, 상기 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리는 핀 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절곡부재(P)는 측면 플레이트(10)의 일 측면과 반대되는 타 측면을 가압하여 구부릴 수 있고, 일 측면을 가압하여 구부릴 수도 있다. 측면 플레이트(10)의 일 측면은 몸체부의 일 측면(1102)이 위치하는 측면을 의미하며, 측면 플레이트(10)의 타 측면은 몸체부의 타 측면(1101)이 위치하는 측면을 의미한다.The bending member P is a pin-shaped component that bends the side plate 10 by pressing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plate 1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The bending member P may be bent by pressing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side plate 10, or may be bent by pressing one side. One side of the side plate 10 means a side on which one side 1102 is located, and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10 means a side on which the other side 1101 is located.

구동부(M)는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리기 위해 절곡부재(P)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동부(M)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동부(M)와 절곡부재(P)는 기어 장치(G)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기어 장치(G)를 통해서 구동력이 구동부(M)로부터 절곡부재(P)로 전달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 is a component that rotates the bending member P to bend the side plate 10. The driving unit M may be a motor capable of generating a driving force, but the type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The driving unit M and the bending member P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gear device G, and the driving forc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M to the bending member P through the gear device G.

이송부(SP)를 통해서 측면 플레이트(10)가 절곡부재(P)와 인접한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이송부(SP)는 측면 플레이트(10)를 측면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도록, 측면 플레이트(10)를 밀어줄 수 있는 롤러 등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The side plate 10 is continuously transferred to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bending member P through the transfer part SP. Therefore, the transfer part SP may include a roller or the like capable of pushing the side plate 10 therein so as to transfer the side plate 1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0.

이송부(SP)에 의해 이송된 측면 플레이트(10)는, 고정홈(S)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고정홈(S)은 측면 플레이트(10)가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홈으로, 측면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프로파일과 같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고정홈(S)에 의해 측면 플레이트(10)는, 몸체부(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side plate 10 transferred by the transfer part SP may be disposed through the fixing groove S. Fixing groove (S) is a groove formed to pass the side plate 10, may have a profile such as a profile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0). The side plate 10 may be fixed by the fixing groove S so as not to be sepa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110.

구동부(M)가 작동하여 구동력이 기어 장치(G)를 통해 절곡부재(P)에 전달된다. 절곡부재(P)는 회전하여 몸체부의 일 측면(1102)을 가압해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린다. The driving unit M is operated so that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ending member P through the gear device G. The bending member P rotates to press one side 1102 of the body portion to bend the side plate 10.

도 8은 도 6의 측면 플레이트(10)의 일부분을 제조 장치(A)를 이용하여 구부리는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 part of the side plate 10 of FIG. 6 is bent us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FIG .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계 후에, 안착부(120)에 남아 있는 홀 중 제1 홀(121)의 위치에서 형성된 기준선(141)을 중심축으로, 안착부(120)가 배치되지 않은 측면을 안착부(120)가 연장된 방향으로 가압해 절곡부재(P)가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린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홀(121)은 끼인각이 90도인 이등변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절곡부재(P)에 의해 제1 홀(121)에서 측면 플레이트(10)가 직각으로 절곡된다. 이 때 제1 홀(121)을 형성하는 두 내측면은, 서로 인접하게 된다. 홀(121, 122)은 개구의 형태를 하고 있으나, 측면 플레이트(10)가 구부러짐에 따라 틈과 같은 절삭 영역(1210, 1220)이 된다. 여기서는 제1 홀(121)이 측면 플레이트(10)의 구부러짐에 따라 제1 절삭 영역(1210)이 된다.As shown, after the second step, the side where the seating unit 120 is not disposed is positioned around the reference line 141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hole 121 among the holes remaining in the seating unit 120. The seating part 120 is press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so that the bending member P bends the side plate 10. As shown, since the first hole 121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sosceles triangle having an included angle of 90 degrees, the side plate 10 is bent at a right angle in the first hole 121 by the bending member P. At this time, the two inner surfaces forming the first hole 121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holes 121 and 122 have an opening, but as the side plates 10 are bent, they become cutting regions 1210 and 1220 such as gaps. In this case, the first hole 121 becomes the first cutting region 1210 as the side plate 10 is bent.

만일 홀(121, 122)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선(141, 142)을 기준으로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릴 경우, 안착부(120)에 해당하는 영역이 압축 및 변형되어 제1 덮개플레이트(20)를 안착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은 고르지 못한 표면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절삭 과정을 통해 미리 홀(121, 122)을 형성해 둠으로써, 용이하게 측면 플레이트(10)가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진 이후에도 제1 덮개플레이트(20)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편평한 안착부(120)가 형성된다.If the side plates 10 are bent based on the reference lines 141 and 142 in a state in which the holes 121 and 122 are not forme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art 120 is compressed and deformed to form the first cover plate ( 20) it will have an uneven surface that is not suitable for seating. However, by forming the holes 121 and 122 in advance through the cutting process, the side plate 10 may be easily bent, and even after the bent flat seating part in which the first cover plate 20 may be easily seated ( 120) is formed.

도 9는 도 6의 측면 플레이트(10)의 다른 부분을 제조 장치(A)를 이용하여 구부리는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situation where the other portion of the side plate 10 of FIG. 6 is bent us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FIG.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리는 단계는, 제2 홀(1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제2 홀(122)은 복수의 홀이 인접하게 배치된 것이므로, 측면 플레이트(10)의 몸체부(110)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인접하게 형성되는 홀들에 대응되는 기준선(142)들을 중심으로 각각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려서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구부러진 측면 플레이트(10)를 얻을 수 있다. 제2 홀(122)이 변형되어 각 변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제2 절삭 영역(1220)이 된다.The step of bending the side plate 10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second hole 122. Since the second hole 122 is a plurality of hol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body portion 110 of the side plate 10 is formed around the reference line 142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holes are formed so as to form a curved surface, respectively The side plate 10 may be bent to obtain the side plate 10 that is bent in the form as shown. As the second hole 122 is deformed and the sid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hole 122 becomes the second cutting area 1220.

즉 측면 플레이트(10)가 완만한 곡면을 가지도록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리기 위해서, 복수의 홀을 인접하게 형성하면 된다. 반대로 예리한 각을 가지는 면을 가지도록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리기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원하는 끼인각을 가지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홀을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형상의 측면 플레이트(10)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bend the side plate 10 so that the side plate 10 may have a smooth curved surface, you may form several hole adjacently. On the contrary, in order to bend the side plate 10 to have a surface having a sharp angle, as shown in FIG. 8, one hole having a triangular shape having a desired included angle may be formed. In this way, the side plate 10 of the desired shape can be formed.

도 10은 도 6의 측면 플레이트(10)의 또 다른 부분을 제조 장치(A)를 이용하여 구부리는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리는 절곡부재(P)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nother part of the side plate 10 of FIG. 6 is bent us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 FIG.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hape of the bending member P for bending the side plate 10 of FIG. 10.

측면 플레이트(10)는 몸체부의 일 측면(1102)이 절곡부재(P)에 의해서 가압되어 구부러지는 경우 외에도, 그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야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구부러질 때 안착부(120)가 우그러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므로, 별도로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o the case in which the side plate 1102 is pressed by the bending member P, the side plate 10 has to b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However, in such a case, since the problem that the seating portion 120 bends when bending is not generate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hole separately.

다만 단순히 핀형을 가지는 절곡부재(P)를 사용하면, 그 외주면이 몸체부의 타 측면(1101)을 밀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외측으로 더 돌출된 안착부(120)를 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절곡부재(P)의 외주면을 측면 플레이트(10)의 타 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절곡부재(P)는, 측면 플레이트(10)의 타 측면을 가압하기 위해 측면 플레이트(10)의 타 측면에 접근할 때, 절곡부재(P)와 측면 플레이트(10)의 타 측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측면 플레이트(10)의 안착부(120)가 수용되는 안착부 홈(G1)을 가질 수 있고, 그 외의 엠보(113)와 강성 부여 엠보(114)가 수용되는 엠보 홈(G2)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몸체부(110)보다 더 돌출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안착부 홈(G1) 및 엠보 홈(G2)을 구비함으로써, 절곡부재(P)는 몸체부의 타 측면(1101)에 접촉해 도 10과 같이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릴 수 있다.However, simply using the bending member (P) having a pin-shap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ushes the seating portion 120 further protruded to the outside despite having to push the other side 1101 of the body por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nding member P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10. That is, when the bending member P approaches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10 to press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10, the bending member P and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10 may contact. It may have a seating groove (G1) that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portion 120 of the side plate 10, and further embossed groove (G2) is accommodated in the other embossing 113 and rigidity embossing 114 Can have Thus, by having a seating groove G1 and an embossing groove G2 for receiving the components protruding more than the body portion 110, the bending member P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1101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side plate 10 can be bent as show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100)의 분해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nnel signag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100)은 제1 덮개플레이트(20), 제2 덮개플레이트(30) 및 상술한 내용에 따라 구부러진 측면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Channel signag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ver plate 20, the second cover plate 30 and the side plate 10 bent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측면 플레이트(10)는 채널 간판(100)의 측면을 형성하고, 제1 덮개플레이트(20)는 상면을, 제2 덮개플레이트(30)는 하면을 형성한다. The side plate 10 forms a side surface of the channel signage 100, the first cover plate 20 forms an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cover plate 30 forms a lower surface.

제1 덮개플레이트(20)는 안착부(120)에 안착되어 측면 플레이트(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덮개플레이트(20)의 형상은 구부러진 측면 플레이트(10)의 상면이 형성하는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된다. 나사 등의 체결구를 이용해 안착부(120)와 측면 플레이트(10)를 서로 체결할 수 있으며, 측면 플레이트(10)의 절곡부(130)가 형성하는 프로파일의 폭이 제1 덮개플레이트(20)의 폭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제1 덮개플레이트(20)가 측면 플레이트(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The first cover plate 2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20 and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10. Therefore, the shape of the first cover plate 20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hap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bent side plate 10. The mounting portion 120 and the side plate 1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using fasteners such as screws, and the width of the profile formed by the bent portion 130 of the side plate 10 may be the first cover plate 20.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cover plate 20 may be coupled to the side plate 1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측면 플레이트(10)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120)에, 몸체부(110)를 향해 절삭된 절삭 영역(1210, 1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삭 영역(1210, 1220)에서 측면 플레이트(10)를 상하방으로 지나가는 기준선(141, 142)을 기준으로 측면 플레이트(10)가 구부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절삭 영역(1210, 1220)을 정의하는 안착부(120)의 2개의 내측면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Referring to the side plate 10, as described above, the cutting regions 1210 and 1220 cut toward the body portion 110 ar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20, and the side plates in the cutting regions 1210 and 1220. It can be seen that the side plate 10 is bent based on the reference lines 141 and 142 passing up and down 10. Accordingly, two inner surfaces of the seating portion 120 defining the cutting regions 1210 and 1220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도면에서는 구부러진 측면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 말단이 서로 만나지 않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이는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일부를 생략한 것이다.In the drawings, the lengthwise ends of the bent side plates 10 are illustrated as not meeting each other, but some of them are omitt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structure.

제2 덮개플레이트(30)는 채널 간판(100)의 하면을 형성한다. 제2 덮개플레이트(30)는 클립(31)을 구비할 수 있다. 클립(31)은 측면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엠보(113)에 걸려, 제2 덮개플레이트(30)를 측면 플레이트(10)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립(31)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측면 플레이트(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측면 플레이트(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엠보(113)가 클립(31)과 결합되기 위해서 제2 덮개플레이트(30)가 측면 플레이트(1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측면 플레이트(10)에 가까워질 때, 클립(31)이 엠보(113)에 걸려 탄성변형 된 후, 엠보(113)가 돌출부에 도달함에 따라 클립(31)은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돌아간다. 엠보(113)는 돌출부의 오목한 내측에 수용되어, 용이하게 제2 덮개플레이트(30)가 측면 플레이트(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plate 30 forms a lower surface of the channel signage 100. The second cover plate 30 may have a clip 31. The clip 31 may be caught by an embossing 113 formed on the side plate 10 to fix the second cover plate 30 to the side plate 10. Therefore, the clip 31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y include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0 and protruding inwardly of the side plate 10. When the second cover plate 30 approaches the side plate 10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0 so that the emboss 113 is engaged with the clip 31, the clip 31 is embossed 113. After being deformed and elastically deformed, the clip 31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as the emboss 113 reaches the protrusion. The emboss 113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cave inner sid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second cover plate 30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ide plate 10.

제2 덮개플레이트(30)에는 광원(32)이 배치될 수 있다. 주변이 어두울 때 광원(32)에서 발생하는 빛을 이용해 채널 간판(100)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광원(32)이 발생한 빛을 이용하기 위해 제1 덮개플레이트(20)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32)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LED가 사용될 수 있으나, 광을 발하는 광원(32)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ight source 3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over plate 30. When the surroundings are dark, the visibility of the channel signage 100 may be increased by us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32. In order to use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32, the first cover plate 20 may be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In addition, although the LED may be used as shown as the light source 32, the kind of the light source 32 that emits ligh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100)의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nnel signag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덮개플레이트(20)와 제2 덮개플레이트(30)를 측면 플레이트(10)에 결합함으로써, 채널 간판(1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채널 간판(100)을 정해진 위치에 걸거나 안착시켜, 간판으로 사용한다.The channel signage 100 is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cover plate 20 and the second cover plate 30 to the side plate 10. The channel signboard 10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placed or se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used as a signboard.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플레이트(40)의 하측을 가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간판(도 16의 200)을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채널 간판(200)을 고정하는 구조를 보강한 실시예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signage 200 of FIG. 16 may be formed in another form. Another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channel signage 200 is reinforced.

측면 플레이트(40)의 하단과 인접한 일부 영역을, 측면 플레이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영역만큼 측면 플레이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절삭하여 제거함으로써, 도 14와 같은 형태의 측면 플레이트(40)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하방으로 돌출된 것과 같이 형성된 몸체부(410)의 일부분인 하방 돌출부(415)와, 직사각형 형태로 제거된 영역인 제거 영역(416)이, 측면 플레이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몸체부(410)의 일부분에는, 체결부재(419)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417)이 형성될 수 있다.By removing the partial reg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40 by repeatedly cut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40 by a rectangular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40, FIG. The side plate 40 of the form 14 can be obtained. Thus, as shown, the downward protrusion 415, which is a part of the body portion 410 formed as projecting downward in the rectangular form, and the removal region 416, which is the region removed in the rectangular form, the side plate 40 It can be arranged alternat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In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10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 fastening hole 417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419 may be inserted may be formed.

도 15는 도 14의 측면 플레이트(40)를 구부려 플랜지(418)를 형성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lange 418 is formed by bending the side plate 40 of FIG. 14.

하방 돌출부(415)를, 몸체부의 일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하방 돌출부(415)는 몸체부(410)로부터 본래 하방을 향해 돌출된 것과 같이 형성되었으나, 이를 구부림으로써 몸체부의 일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과 같이 변형된다. 이 영역은 플랜지(418)가 된다. 따라서 플랜지(418)는 측면 플레이트(40)의 하단에서, 몸체부의 일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플랜지(418)는 복수로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protrusion 415 may be bent in a direction that one side of the body part faces. Therefore, the lower protrusion 415 is formed as originally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410, but is bent as it protrudes in a direction facing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by bending it. This area becomes the flange 418. Accordingly, the flange 418 has a shap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40 in a direction facing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In addition, the flange 418 may be formed in plura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간판(20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annel signag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플랜지(418)가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40)의 안착부(420)에 제1 덮개플레이트(50)를 안착시키고, 측면 플레이트(40)의 하단에 제2 덮개플레이트(60)를 배치할 수 있다. The first cover plate 5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420 of the side plate 40 on which the flange 418 is formed, and the second cover plate 6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40.

측면 플레이트(40)와 제2 덮개플레이트(60)의 하단에는 프레임(7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70)은 채널 간판(200)을 구성하는 측면 플레이트(40)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측면 플레이트(40)와 제2 덮개플레이트(60)가 모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frame 7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plate 40 and the second cover plate 60. Frame 7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side plate 40 constituting the channel sign 200, so that both the side plate 40 and the second cover plate 60 can be seated Prepared.

플랜지(418)를 체결부재(419)를 이용해 프레임(70)에 결합함으로써, 측면 플레이트(40)를 프레임(70)에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재(419)는 체결공(417)을 관통하여 프레임(70)에 체결된다. 제2 덮개플레이트(60)는 제1 덮개플레이트(50), 측면 플레이트(40) 및 프레임(70)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로 이탈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내부 공간에서 제2 덮개플레이트(60)가 고정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덮개플레이트(60)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엠보(도 12의 113)와 클립(도 12의 31)을 이용해 측면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70)과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결합될 수도 있다.By coupling the flange 418 to the frame 70 using the fastening member 419, the side plate 40 can be fixed to the frame 70. The fastening member 419 is fastened to the frame 70 b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417. The second cover plate 60 is surrounded by the first cover plate 50, the side plate 40, and the frame 70, and does not leave the outside.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 cover plate 60 is not fixed in the inner space, the second cover plate 60 is embossed (113 in FIG. 12) and the clip (31 in FIG. 12)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may be coupled to the side plate 40, it may be coupled using a frame 70 and a separate fastening member.

이와 같은 방식으로 채널 간판(200)을 형성함으로써, 제1 덮개플레이트(50)가 안착된 측면 플레이트(40)를, 제2 덮개플레이트(60)가 안착된 프레임(70)에 안착시키고 체결부재(419)를 이용해 고정함으로써, 채널 간판(200)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By forming the channel sign 200 in this manner, the side plate 40 on which the first cover plate 50 is seated is seated on the frame 70 on which the second cover plate 60 is seated, and the fastening member ( By fixing using 419, the channel sign 200 can be easily configured.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의 형상 및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shape and a forming method of a h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부분(82)이 절삭된 기초 플레이트(8)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undation plate 8 in which the second portion 82 is c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8)는, 일 실시예와 같이 제1 부분(81), 제2 부분(82) 및 두 부분을 잇는 제3 부분(83)을 포함한다. 제2 부분(82)에는 제3 홀(821)과 제4 홀(822)이 형성되고, 각자의 홀에 대응되는 기준선(841, 842)이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se plate 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81, the second portion 82 and the third portion 83 connecting the two portions It includes. In the second portion 82, third holes 821 and fourth holes 822 are formed, and reference lines 841 and 842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holes are formed.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8)의 제2 부분(82)을 절삭 공구(T)로 절삭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8)의 제2 부분(82)을 절삭 공구(T)로 1회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 part 82 of the base plate 8 is cut with the cutting tool 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ront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econd part 82 of the foundation plate 8 is cut once by the cutting tool 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 홀(822)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3 홀(821)에 앞서 설명한다. 제2 부분(12)의 상단부를 절삭하여 홀을 형성하기 위해, 각 홀에 대응하는 형상의 절삭 공구(T)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82)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절삭 공구(T)가 제2 부분(82)을 지나감으로써 제2 부분(82)을 절삭할 수 있다. 이 때 제2 부분(82)에 형성되는 임시 홀인 제1 임시 홀(8221)의 형상은, 절삭 공구(T)가 지나간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삭 공구(T)를 자른 단면의 형상과 동일하다. 동시에 제1 임시 홀(8221)의 형상은, 절삭 공구(T)를 제2 부분(82)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제2 부분(82)에 투영한 가상의 면인 투영면(8225)과 동일하다.A method of forming the fourth hole 822 will be described before the third hole 821. In order to form the holes by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12, a cutting tool T of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hole may be used. As shown, the cutting tool T may cut the second portion 82 by passing the second portion 82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portion 82.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first temporary hole 821, which is a temporary hole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82,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n which the cutting tool T is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tting tool T has passed. .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he first temporary hole 821 is the same as the projection surface 8225, which is an imaginary surface in which the cutting tool T is projected on the second portion 82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portion 82.

도 20은 도 19의 제2 부분(12)을 중첩되게 절삭 공구(T)로 1회 더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where the second part 12 of FIG. 19 is cut once more with the cutting tool T so as to overlap.

절삭 공구(T)의 절삭면의 일부가 제1 임시 홀(8221)의 일부 영역을 지나감과 동시에, 절삭 공구(T)의 절삭면의 나머지 일부가 제2 부분(12)의 상단부를 절삭하여, 투영면(8225)이 제1 임시 홀(8221)과 일부분 중첩된 형상의 새로운 임시 홀인 제2 임시 홀(8222)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 임시 홀(8222)은, 제1 임시 홀(8221)과 일부분 중첩되며, 중첩된 영역은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삼각형의 영역이 된다.While a part of the cutting surface of the cutting tool T passes a part of the area of the first temporary hole 821, the remaining part of the cutting surface of the cutting tool T cut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12, The projection surface 8225 forms a second temporary hole 8222, which is a new temporary hole of a shape partially overlapping the first temporary hole 821. Accordingly, the second temporary hole 8222 partially overlaps the first temporary hole 8221, and the overlapped area becomes a triangular area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the drawing.

도 21은 도 20의 제2 부분(12)을 중첩되게 절삭 공구(T)로 1회 더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where the second part 12 of FIG. 20 is cut once more with the cutting tool T so as to overlap.

도 20의 제1 임시 홀(8221) 및 제2 임시 홀(8222)과 일부분 중첩되는 투영면(8225)을 가지는 절삭 공구(T)가, 제2 부분(12)을 한번 더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적인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되 꼭지점에 인접한 영역이 톱니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제4 홀(822)이 형성된다. The cutting tool T having the projection surface 8225 partially overlapping the first temporary hole 821 and the second temporary hole 8222 of FIG. 20 may cut the second part 12 once again. Accordingly, as illustrated, a fourth hole 822 having an approximately triangular shape but having a sawtooth-like area adjacent to the vertex is formed.

따라서, 제2 부분(12)의 상단부를 절삭 공구(T)가 복수 회 절삭하여, 절삭 공구(T)를 제2 부분(12)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제2 부분(12)에 투영한 가상의 면인 투영면(8225)이 상기 제2 부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되 인접한 투영면(8225)들이 일부분 중첩되어 형성되는 일체의 형태로 제4 홀(82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동일한 절삭 공구(T)를, 기초 플레이트(8)의 길이방향을 따라 임시 홀의 폭보다 작은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제2 부분(82)에 대해 절삭을 실시해서, 절삭을 실시할 때마다 일부분이 중첩되는 일체의 홀을 형성한다.Therefore, the cutting tool T cuts the upper end part of the 2nd part 12 multiple times, and the virtual which projected the cutting tool T to the 2nd part 12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2nd part 12 is carried out. The projection surface 8225, which is a plane of, may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12, and the fourth hole 822 may be formed in an integral form in which adjacent projection surfaces 8225 are partially overlapped. . That is, the same cutting tool T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8 by a distanc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emporary hole while cutting the second portion 82 so that a portion is cut every time the cutting is performed. It forms an integral hole that overlaps.

이러한 형태의 홀을 형성함에 따라, 도 2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2 홀(122)을 형성하여 측면 플레이트(10)를 구부려서 형성할 수 있는 곡면의, 측면 플레이트(10)의 높이 방향에서 바라본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가지도록 측면 플레이트(도 22의 80)를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측면 플레이트(80)를 구부릴 때, 측면 플레이트(80)의 몸체부(810)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절삭 공구(T)가 제4 홀(822)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부분(82)을 절삭할 때 마다 형성되는 기준선(842)들을 중심으로 측면 플레이트(80)를 구부린다. By forming the hole of this typ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0 of the curved surface that can be formed by forming the second hole 122, which can be seen in Figures 2 and 6 by bending the side plate 10 The side plate (80 in FIG. 22) can be bent to have a curved surface with a curvature greater than that seen. Thus, when the side plate 80 is bent, the cutting tool T forms the second portion 82 to form the fourth hole 822 such that the body portion 810 of the side plate 80 forms a curved surface. The side plate 80 is bent around the reference lines 842 that are formed each time the cutting.

도 22는 도 21의 측면 플레이트(80)를 구부리는 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2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side plate 80 of FIG. 21 is bent.

그러나 만일 도 21의 상태에서 그대로 측면 플레이트(80)를 구부리면, 제2 부분(8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 홀(822)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모서리와 제2 부분(82)의 상단, 즉 안착부(820)의 말단이 만나는 2개의 모퉁이(8223)가 충돌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원하는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측면 플레이트(80)를 구부릴 수밖에 없다.However, if the side plate 80 is bent as it is in the state of FIG. 21, the outermost corner of the fourth hole 82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82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82, namely, The two corners 8223 where the ends of the seating portion 820 meet will collide. In this case, the side plate 80 is bound to have a curvature smaller than the desired curvature.

도 23은 도 21의 제2 부분(82)의 제4 홀(822)의 모퉁이(8223)를 더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corner 8223 of the fourth hole 822 of the second portion 82 of FIG. 21 is further cut.

따라서, 상기 2개의 모퉁이(8223)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모퉁이(8223)에 해당하는 영역을 더 절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삭 공구(T)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절삭 공구(T)보다 더 큰 끼인각을 가지는 투영면(8225)을 만들 수 있는 절삭 공구(T)를 도입하여, 상기 제4 홀(822)의 꼭지점과 인접한 영역을 제외한 제4 홀(822)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부분을, 각각 더 절삭하여 추가 홀(8224)을 형성한다. 추가 홀(8224)을 형성함으로써, 제4 홀(822)의 꼭지점과 인접한 영역에는, 상기 꼭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톱니 형상의 내측면과 유사한 패턴으로 배치되는 제1 내측면(8225)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측면(8225)으로부터 제2 영역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내측면(8225)보다 더 외측으로 경사진 제2 외측면이 배치된다. 측면 플레이트(80)가 구부러질 때, 제1 내측면(8225)은 인접한 톱니 형상의 제4 홀(822)의 꼭지점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내측면에 인접하게 이동하고, 제2 내측면(8226)은 다른 일 측에 위치한 제2 내측면(8226)과 인접하게 이동하여 절삭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Therefor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ner 8223 may be further cut so that the two corners 8223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by cutting the cutting tool (T) or by introducing a cutting tool (T) capable of making a projection surface 8225 having a larger angle than the cutting tool (T), the fourth hole (822) A portion of the outermost edge of the fourth hole 822 except the area adjacent to the vertex is further cut to form an additional hole 8224. By forming an additional hole 8224, a first inner side surface 8225 disposed in a pattern similar to a sawtooth inner side surfac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vertex is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vertex of the fourth hole 822. And a second outer s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8225 in the second area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nclined outwardly from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822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side plate 80 is bent,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8225 moves adjacent to the inner side surfac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vertex of the adjacent serrated fourth hole 822, and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8262 ) Moves adjacent to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8262 located on the other side to form a cutting area.

이렇게 절삭함에 따라, 상기 모퉁이(8223)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큰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측면 플레이트(80)를 구부림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By cutting in this way, a curved surface having a large curvature can be formed by bending the side plate 80 without collision of the corner 8223.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 플레이트(8)의 제2 부분(82)을 일부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4 is a front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a part of the second portion 82 of the foundation plate 8 is c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홀(821)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부분(82)의 상단부의 일부 영역을 절삭 공구(T)가 절삭한다. 절삭 공구(T)를 제2 부분(82)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부분(82)의 일부 영역에 투영한 가상의 면인 제1 투영면(8225)의 형상을 가지는 제1 중간 홀(8211)을 도 24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A method of forming the third hole 821 will be described. The cutting tool T cuts a part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82. First intermediate hole 8211 having a shape of a first projection surface 8225, which is an imaginary surface in which a cutting tool T is projected on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portion 82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portion 82. )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24.

도 25는 도 24의 제2 부분(82)의 다른 영역을 일부 절삭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other region of the second part 82 of FIG. 24 is partially cut.

이후 제2 부분(82)의 상단부의 다른 일부 영역을 절삭 공구(T)가 절삭한다. 절삭 공구(T)를 제2 부분(82)의 다른 일부 영역에 투영한 가상의 면인 제2 투영면(8225)의 형상을 가지는 제2 중간 홀(8212)이 형성된다. 이 때, 제2 중간 홀(8212)과 제1 중간 홀(8211)의 꼭지점이 서로 만나도록 제2 중간 홀(8212)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중간 홀(8211) 및 상기 제2 중간 홀(8212)로 둘러싸이고, 제2 부분(82)으로부터 분리되는 남은 영역(823)이 발생하게 된다.The cutting tool T then cuts another partial region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82. A second intermediate hole 8212 having a shape of a second projection surface 8225, which is a virtual plane on which the cutting tool T is projected on another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portion 82, is formed. At this time,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8212 is formed such that the vertices of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8212 and the first intermediate hole 8201 meet each other. Accordingly, the remaining area 823 is surrounded by the first intermediate hole 8211 and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8212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portion 82.

도 26은 도 25로부터 남은 영역(823)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홀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 hole formed by removing the remaining area 823 from FIG. 25.

제2 부분(82)의 또 다른 일부 영역이자 남은 영역(823)을 제거해 제3 중간 홀(8213)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간 홀(8211), 제2 중간 홀(8212) 및 제3 중간 홀(8213)을 포함하는 홀인 제3 홀(821)이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은 끼인각을 가지는 투영면(8225)을 가지는 절삭 공구(T)를 이용해 복수 회 제2 부분(82)을 절삭함으로써, 큰 끼인각을 가지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intermediate hole 8213 may be formed by removing another partial and remaining region 823 of the second portion 82. Accordingly, a third hole 821, which is a hole including the first intermediate hole 8211,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8212, and the third intermediate hole 8213, is finally formed. Therefore, by cutting the second portion 82 a plurality of times using the cutting tool T having the projection surface 8225 having the small angle of inclination, a hole having a large angle of inclination can be formed.

도 27은 도 19의 기준선(841)을 따라 슬릿(831)을 형성한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2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lit 831 formed along the reference line 841 of FIG. 19.

제3 부분(83)에 슬릿(83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기준선(841)을 따라 제3 부분(13)을 절삭하여 제3 부분(13)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슬릿(83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릿(831)이 제3 부분(83)에 형성됨에 따라, 구부러져 측면 플레이트(80)로 형성되어 제3 부분(83)이 절곡부(830)가 된 이후에도, 절곡부재(P)를 이용한 절곡이 기준선(841)을 따라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 slit 831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third portion 83.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portion 13 may be cut along the reference line 841 to form the slit 831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portion 13. As the slit 831 is formed in the third portion 83, even after being bent to form the side plate 80 and the third portion 83 becomes the bent portion 830, bending using the bending member P is performed. It can be made easily along this baseline 841.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8 : 기초 플레이트 10, 40, 80 : 측면 플레이트
11, 81 : 제1 부분 12, 82 : 제2 부분
13, 83 : 제3 부분 20, 50 : 제1 덮개플레이트
30, 60 : 제2 덮개플레이트 31 : 클립
32, 62 : 광원 70 : 프레임
100, 200 : 채널 간판 110, 410, 810 : 몸체부
111 : 제1 부분의 타 측면 112 : 제1 부분의 일 측면
113 : 엠보 114 : 강성 부여 엠보
120, 420, 820 : 안착부 121 : 제1 홀
122 : 제2 홀 130, 430, 830 : 절곡부
141, 142, 841, 842 : 기준선 415 : 하방 돌출부
416 : 제거 영역 417 : 체결공
418 : 플랜지 419 : 체결부재
821 : 제3 홀 822 : 제4 홀
823 : 남은 영역 831 : 슬릿
1101 : 몸체부의 타 측면 1102 : 몸체부의 일 측면
1210 : 제1 절삭 영역 1220 : 제2 절삭 영역
8211 : 제1 중간 홀 8212 : 제2 중간 홀
8213 : 제3 중간 홀 8221 : 제1 임시 홀
8222 : 제2 임시 홀 8223 : 모퉁이
8224 : 추가 홀 8225 : 투영면
8225 : 제1 내측면 8226 : 제2 내측면
A : 제조 장치 G : 기어 장치
G1 : 안착부 홈 G2 : 엠보 홈
M : 구동부 P : 절곡부재
S : 고정홈 T : 절삭 공구
SP : 이송부
1, 8: foundation plate 10, 40, 80: side plate
11, 81: 1st part 12, 82: 2nd part
13, 83: 3rd part 20, 50: 1st cover plate
30, 60: 2nd cover plate 31: Clip
32, 62: light source 70: frame
100, 200: channel signboard 110, 410, 810: body
111: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 112: one side of the first part
113: emboss 114: rigidity emboss
120, 420, 820: Mounting portion 121: the first hole
122: second hole 130, 430, 830: bent portion
141, 142, 841, 842: baseline 415: downward protrusion
416: removal area 417: fastening hole
418: flange 419: fastening member
821: 3rd hole 822: 4th hole
823: remaining area 831: slit
1101: other side of the body 1102: one side of the body
1210: first cutting area 1220: second cutting area
8211: first intermediate hole 8212: second intermediate hole
8213: third intermediate hole 8221: first temporary hole
8222 Second Temporary Hall 8223 Corner
8224: additional hole 8225: projection plane
8225: first inner surface 8226: second inner surface
A: manufacturing device G: gear device
G1: Seating groove G2: Embossing groove
M: driving part P: bending member
S: Fixed groove T: Cutting tool
SP: Transfer section

Claims (24)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을 일체로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 제3 부분 및 제2 부분이 높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 띠형의 판재인 기초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부리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3 부분을, 상기 일 측면과 반대되는 상기 제1 부분의 타 측면과 가까워지도록 구부리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부분에 대응되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제2 부분에 대응되되 상기 타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 및 상기 제3 부분에 대응되되 상기 몸체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측면 플레이트로 제조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A band-shaped integrally comprising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the third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first step of bend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base plate, which is a plate, in a direction viewed by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And
A second step of bending the third portion closer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ortion opposite to the one side;
The base plate has a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but disposed in a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eps, a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other side; and Channel side manufactur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e third portion is made of a side plate including a bent portion 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late is continuous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hannel signboard manufactur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높이 방향 말단부인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개구되는 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절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후에, 상기 안착부에 남아 있는 상기 홀의 위치에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지나가는 기준선을 중심축으로,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utting an upper end of the second part to form a hole that is opened outwardly from an upper end that is a height direction distal end of the second part; And
After the second step, at the position of the hole remaining in the sea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bending the side plate with a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and passing through the side plate; How to make a sig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절삭하는 단계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구부러져야 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끼인각을 가지고, 상기 끼인각을 정의하는 두 변이 만나서 형성되는 꼭지점이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홀을 형성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A channel having an included angle determined based on an angle at which the seated portion should be bent about the reference line, and a vertex formed by two sides defining the included angle formed to form the hole in a triangular shape located inside the seated portion; How to make a sig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절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의 일부 영역을 절삭 공구가 절삭하여, 상기 절삭 공구를 상기 제2 부분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부분의 일부 영역에 투영한 가상의 면인 제1 투영면의 형상을 가지는 제1 중간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의 다른 일부 영역을 상기 절삭 공구가 절삭하여, 상기 절삭 공구를 상기 제2 부분의 다른 일부 영역에 투영한 가상의 면인 제2 투영면의 형상을 가지는 제2 중간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중간 홀 및 상기 제2 중간 홀로 둘러싸인 상기 제2 부분의 또 다른 일부 영역을 제거해 제3 중간 홀을 형성해, 상기 제1 중간 홀, 상기 제2 중간 홀 및 상기 제3 중간 홀을 포함하는 상기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The cutting tool cuts a part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and has a shape of a first projection surface which is an imaginary surface in which the cutting tool is projected onto the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portion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portion. Forming a first intermediate hole; And
The cutting tool cuts another partial region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to form a second intermediate hole having a shape of a second projection surface which is an imaginary surface projecting the cutting tool onto the other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portion; And removing another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portion surrounded by the first intermediate hole and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to form a third intermediate hole, the first intermediate hole, the second intermediate hole and the third intermediate hole. The channel signag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the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가 절삭되기 전 또는 절삭된 후, 상기 기준선을 따라 상기 기초 플레이트의 일 측면 또는 타 측면을 절삭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cutting a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along the reference line to form a groove before or after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is cu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과 상기 기준선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절삭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홀 중 둘 이상의 일부의 홀을 인접하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몸체부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기준선 중 상기 인접하게 형성되는 일부의 홀에 대응되는 기준선들을 중심으로 각각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hole and the reference line is composed of a plurality,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includes forming adjacent ones of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holes,
The bending of the side plate may include bending the side plate around the reference line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holes form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reference lines so that the body portion of the side plate forms a curved surface. Channel signage production method to s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절삭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절삭 공구가 복수 회 절삭하여, 상기 절삭 공구를 상기 제2 부분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부분에 투영한 가상의 면인 투영면이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되 인접한 투영면들이 일부분 중첩되어 형성되는 일체의 형태로 상기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몸체부가 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삭 공구가 상기 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부분을 절삭할 때 마다 형성되는 기준선들을 중심으로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A cutting tool cut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a projection surface which is an imaginary surface in which the cutting tool is projected onto the second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portion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And forming the hole in an integral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disposed but adjacent projection surfaces are partially overlapped,
The bending of the side plate may include bending the side plate about a reference line formed each time the cutting tool cuts the second portion to form the hole so that the body portion of the side plate forms a curved surface. The channel signag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상기 절삭 공구가 절삭하여, 상기 투영면의 형상을 가지는 임시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삭 공구의 절삭면의 일부가 상기 임시 홀의 일부 영역을 지나감과 동시에 상기 절삭 공구의 절삭면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절삭하여, 상기 투영면이 상기 임시 홀과 일부분 중첩된 형상의 상기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Forming the hole,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by the cutting tool to form a temporary hole having a shape of the projection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cutting surface of the cutting tool passes a part of the temporary hole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utting surface of the cutting tool cut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so that the projection surface partially overlaps the temporary hole. And forming the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단부를 절삭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릴 때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한 모서리와 상기 제2 부분의 상단이 만나는 2개의 모퉁이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모퉁이들을 더 절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ut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Cutting the corners fur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when bending the side plate such that the two corners at which the outermost corner of the hole meets the top of the second portion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Channel signage production method to s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을 따라 상기 제3 부분을 절삭하여 상기 제3 부분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슬릿을 상기 제3 부분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cutting the third portion along the reference line to form a slit in the third portion that is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제1 덮개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mounting a first cover plate on the seat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돌출된 엠보가 상기 몸체부의 타 측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면을 형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pressing the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so that the protruding emboss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하면을 형성하는 제2 덮개플레이트에 구비된 클립을 상기 엠보에 걸어, 상기 제2 덮개플레이트를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hooking the clip provided on the second cover plate forming the lower surface to the emboss, and coupling the second cover plate to the side plate.
제13항에 있어서,
돌출된 강성 부여 엠보가 상기 몸체부의 타 측면의 영역 중 상기 엠보와 상기 안착부의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부분의 일 측면을 형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pressing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so that the protruding rigidity-embossing is formed in an area located between the embossing and the seating part of an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flange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channel signboard manufacturing metho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과 인접한 일부 영역을,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영역만큼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절삭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 중 제거되지 않은 영역을, 상기 일 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Forming the flange,
Removing a portion of the region adjacent to a lower end of the side plate by repeatedly cutt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ide plate by a rectangular are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ide plate; And
And bending the non-removed area of the partial plate of the side plate in a direction facing the one sid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를, 체결부재를 이용해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And coupling the flange to a frame fixing the side plate using a fasten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을 따라 상기 제3 부분을 절삭하여 상기 제3 부분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된 슬릿을 상기 제3 부분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간판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cutting the third portion along the reference line to form a slit in the third portion that is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portion.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덮개플레이트; 및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되 상기 제1 덮개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채널 간판.
First and second cover plates forming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Including a side plate forming a side,
The side plate may include a plate-shaped body portion, a ben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bent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from the bent portion, wherein the first cover plate is seated. Channel signage including departmen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몸체부를 향해 절삭된 절삭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 영역에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상하방으로 지나가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측면 플레이트가 구부러져 있는, 채널 간판.
The method of claim 20,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utting region cut toward the body portion,
In the cutting area, the side plate is bent relative to a reference line passing the side plate up and down.
측면 플레이트의 일 측면과 반대되는 타 측면을 가압하여 구부리는 절곡부재;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를 구부리기 위해 상기 절곡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플레이트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 측면과 가까워지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지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재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 측면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 측면에 접근할 때, 상기 절곡부재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 측면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가 수용되는 홈을 가지는, 채널 간판 제조 장치.
A bending member bent by pressing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side plate; And
Includes a drive for rotating the bending member to bend the side plate,
The side plate includes a plate-shaped body portion,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to be closer to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from the bent portion. and,
The bending member has a groove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received so that the bend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may contact each other when approaching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to press the other side of the side plate. Channel signage manufacturing device.
평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측면 플레이트.And a plate-shaped body portion, a ben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from the bent portion.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몸체부를 향해 절삭된 절삭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 영역을 정의하는 상기 안착부의 2개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utting region cut toward the body portion,
And the two inner surfaces of the seating portion defining the cutting area are bent to contact each other.
KR1020180067945A 2018-06-14 2018-06-14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 KR201901413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45A KR20190141332A (en) 2018-06-14 2018-06-14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45A KR20190141332A (en) 2018-06-14 2018-06-14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332A true KR20190141332A (en) 2019-12-24

Family

ID=6900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45A KR20190141332A (en) 2018-06-14 2018-06-14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133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4482A (en) Pvc Molded Cotton Fasteners
EP3895770B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late members and assembly using the same
JP2009144848A (en) Frame structure
US7132145B2 (en) Vibration welding structure for fixing instrument panel attachment
US20060147732A1 (en) Metal plate, method for making same and method for folding same
KR20010040347A (en) Flat plate heat exchanger and flat plate therefor
KR20190141332A (en) Channel signboard, side plate mak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ame
JP5243494B2 (en) Braille stamping device
CN205316158U (en) Optics diaphragm, backlight unit and display panel
JP2004181539A (en) Punching die for rotary die cutter and ruled line marking mold of rotary ruled line marking device
JP3060169B2 (en) Panel structure
US8821005B2 (en) Edge-lit backlight model
JP2011143918A (en) Core metal for weatherstrip
JP2007200668A (en) In-vehicle operation unit
CN219231424U (en) Building block assembly connecting tenon
KR20070008843A (en) Letter sign
JP3087072U (en) Synthetic resin case and synthetic resin case manufacturing device
JP3089398U (en) Ruled line reinforcing members for folding corrugated cardboard
EP3831661A1 (en) Coupling kit for a tag for a license plate holder and related coupling element
JP2001180400A (en) Mounting structure of grille
JP2017120020A (en) Tile, metal fitting for fitting tile, fitting method of metal fitting, construction method of 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c concrete plate
JP2000130582A (en) Bellows
JP4638860B2 (en) Cylindrical structure
JP3065211U (en) Ruled line reinforcing member for bending when bending a corrugated ball
JP3166073B2 (en) Switch operatio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