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940A -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940A
KR20190140940A KR1020197032063A KR20197032063A KR20190140940A KR 20190140940 A KR20190140940 A KR 20190140940A KR 1020197032063 A KR1020197032063 A KR 1020197032063A KR 20197032063 A KR20197032063 A KR 20197032063A KR 20190140940 A KR20190140940 A KR 2019014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terminal device
target
feedback information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006B1 (ko
Inventor
옌안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4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43Properties of the code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75Space-tim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개시하였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효율적으로 업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5 세대(5G) 시스템, 또는 뉴 라디오(New Radio, NR)에서는 2 개의 길이가 상이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즉 숏 PUCCH(short-PUCCH) 및 롱 PUCCH(long-PUCCH)를 지원한다. 여기서, 숏 PUCCH는 하나 또는 2 개의 시간 도메인 심볼을 차지하고, 롱 PUCCH는 적어도 4 개의 시간 도메인 심볼을 차지한다. 숏 PUCCH를 사용하여 1 비트 또는 2 비트의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경우, 상이한 업링크 제어 정보는 상이한 시퀀스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실제로 피드백 되는 업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응한 시퀀스를 선택하여 전송해야 하므로, 단말 기기는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단말 기기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제1 시퀀스를 통해, 현재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획득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에는 제1 맵핑 관계를 만족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에는 제1 맵핑 관계를 만족함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가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 에 의해 송신된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상기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에 따라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시퀀스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시퀀스를 지시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를 통해, 현재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획득하여, 업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측면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오프셋과 상기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기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기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 트랜스시버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트랜스시버 및 메모리 사이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명령어가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할 경우,상기 수행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단말 기기가 제3 측면에서 제공된 단말 기기를 실시하도록 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 트랜스시버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트랜스시버 및 메모리 사이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명령어가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할 경우,상기 수행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4 측면에서 제공된 네트워크 기기를 실시하도록 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9 측면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며, 상기 명령어가 수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며, 상기 명령어가 수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이중 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이중 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및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단말 기기를 결합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휴대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의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기기를 결합하여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GSM 시스템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기기(10) 및 단말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0)는 단말 기기(2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말 기기를 코어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며, 단말 기기(20)는 네트워크 기기(10)에 의해 송신된 동기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20)와 네트워크 기기(1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업/다운 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D2D(Device to Device) 네트워크, M2M(Machine to Machine/Man)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도 1은 예를 든 개략도이며, 네트워크에는 다른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의 정보 전송 방법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단말 기기(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전송의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0에서, 단말 기기는 제1 시퀀스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상이한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해 상이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며, 상이한 피드백 정보는 상이한 송신 시퀀스(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간략하여 시퀀스라 함)에 반송되어 네트워크 기기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제1 시퀀스는 이들 시퀀스의 기본 시퀀스(base sequence)에 해당되고, 다른 시퀀스는 모두 이 기본 시퀀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단말 기기에 상기 제1 시퀀스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상기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를 직접 지시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 기기가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에 따라,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네트워크 기기는 리소스 위치 또는 크기와 같은 시퀀스 지시 정보의 물리적 리소스의 정보를 통해, 암시적으로 상기 제1 시퀀스를 지시한다.
단계 220에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결정 응답(Acknowledgement, ACK)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정 결정 응답(Negative Acknowledgement, NACK)을 포함한다.
단계 230에서,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제2 시퀀스의 시퀀스 코드는 제1 시퀀스의 시퀀스 코드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2 가지 방식을 제공하며, 아래에서 각각 설명한다.
방식 1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단계 230 즉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시퀀스를 결정하며, 단계 231 및 단계 2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231에서,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며,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는 제1 맵핑 관계를 만족한다.
단계 232에서, 단말 기기는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는 제2 시퀀스 및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제2 시퀀스는 제1 시퀀스와 동일한 시퀀스일 수 있으며, 이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제1 시퀀스에 기반하여 획득하는 다른 시퀀스일수도 있다.
다시 말해,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며, 이러한 복수 개의 시퀀스와 복수 개의 피드백 정보 사이에는 제1 맵핑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시퀀스와 복수 개의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며, 상기 대응관계는 예를 들어, 테이블, 공식, 이미지 등 방식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즉, 단말 기기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시퀀스와 복수 개의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 기기는 기설정된 공식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와 관련되는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시퀀스의 식별자 또는 번호를 계산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시퀀스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매번 시퀀스를 계산할 필요가 없이, 후속 전송에서 직접 타겟 피드백 정보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퀀스를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의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이 n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일 수 있으며, n은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이고,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n=1이면,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는 2 개 있으며, 하나는 ACK를 반송하고, 다른 하나는 NACK를 반송하며;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n=2이면,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는 22=4 개 있으며, 각각 ACK 및 ACK, ACK 및 NACK(우선 ACK 를 전송하고 다음 NACK를 전송), NACK및 ACK(우선 NACK를 전송하고 다음 ACK를 전송), NACK 및 NACK를 반송한다.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에 있어서, 각 스퀀스는 하나의 오프셋에 대응되고,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와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 사이에는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상기 오프셋 만큼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에서,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이와 같이 상이한 시퀀스 번호를 가지고 있는 시퀀스는 기본 시퀀스가 순환 시프트를 거쳐 생성된 일련의 시퀀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오프셋은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제1 맵핑 관계와 같이,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n=1이면, 시퀀스 총 개수는 2이며, 표 1은 n=1일 때의 제1 맵핑 관계이다. 피드백 정보가 ACK를 포함할 경우, 시퀀스 Si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고, 피드백 정보가 NACK를 포함할 경우, 시퀀스 Sioffset,0을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반송한다.
피드백 정보 시퀀스를 전송하는 리소스 번호
ACK Si
NACK Sioffset,0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시퀀스의 번호Si 및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에서 반송된 전송 블록(Transmission Block, Tb)의 개수 n=1을 획득한다. 단말 기기는 제1 시퀀스 및 표 1의 복수 개의 시퀀스 중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를 결정한다. 단말 기기는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고,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결과를 결정하며, 표 1에 도시된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에 대응되고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결정하며,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가 ACK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시퀀스 Si를 송신하고,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가 NACK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시퀀스 Sioffset,0을 송신하며, 상기 오프셋 Δoffset,0은 예를 들어, 1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 2에 도시된 제1 맵핑 관계와 같이,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n=2로 가정할 경우, 시퀀스 총 개수는 4이며, 표 2는 n=2일 때의 제1 맵핑 관계이다. 피드백 정보가 ACK와 ACK를 포함할 경우, 시퀀스 Si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고, 피드백 정보가 ACK와 NACK를 포함할 경우, 시퀀스 Sioffset,0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며, 피드백 정보가 NACK와 ACK를 포함할 경우, 시퀀스 Sioffset,1을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며, 피드백 정보가 NACK와 NACK를 포함할 경우, 시퀀스 Sioffset,2를 사용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반송한다.
피드백 정보 전송 시퀀스의 리소스 번호
ACK, ACK Si
ACK, NACK Sioffset,0
NACK, ACK Sioffset,1
NACK, NACK Sioffset,2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시퀀스 번호 Si를 획득한다. 단말 기기는 제1 시퀀스 및 표 2의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를 결정한다. 단말 기기는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결과를 결정하고, 표 2에 도시된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에 대응되고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결정하며, 상기 피드백 결과가 ACK 및 ACK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시퀀스 Si를 송신하며; 상기 피드백 결과가 ACK 및 NACK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시퀀스 Sioffset,0을 송신하며; 상기 피드백 결과가 NACK 및 ACK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시퀀스 Sioffset,1을 송신하며; 상기 피드백 결과가 NACK 및 NACK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시퀀스 Sioffset,2를 송신한다. 여기서, 오프셋은 Δoffset,0=1, Δoffset,1=2, Δoffset,2=3일 수 있다. 방식 2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단계 230 즉,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며, 단계 233 및 단계 2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233에서, 단말 기기는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복수 개의 오프셋 중에서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며,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과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단계 234에서,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시퀀스 및 상기 타겟 오프셋에 따라,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2 시퀀스는 제1 시퀀스와 동일한 시퀀스(타겟 오프셋은 0임)일 수 있거나, 각자가 대응되는 오프셋 및 제1 시퀀스에 기반하여 획득된 다른 시퀀스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기기는 우선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복수 개의 오프셋 중에서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과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대응관계는 예컨대 테이블, 공식, 이미지 등 방식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즉, 단말 기기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오프셋과 복수 개의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거나, 기설정된 공식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와 관련되는 파라미터를 통해,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 오프셋을 계산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시퀀스 및 상기 타겟 오프셋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타겟 오프셋을 더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방식 1과 같이 복수 개의 시퀀스를 미리 결정할 필요가 없이,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결정함으로써, 제1 시퀀스 및 상기 오프셋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직접 계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이 n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일 수 있으며, n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복수 개의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복수 개의 오프셋 중에서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맵핑 관계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것이다.
예를 들어, 표 3에 도시된 제2 맵핑 관계와 같이,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n=1로 가정하면, 오프셋의 개수는 2이며, 표 3은 n=1일때의 제2 맵핑 관계이다. 피드백 정보가 ACK를 포함할 경우, 오프셋은 Δoffset,0이며, 피드백 정보가 NACK를 포함할 경우, 오프셋은 Δoffset,1이다.
피드백 정보 오프셋
ACK Δoffset,0
NACK Δoffset,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시퀀스 번호 Si 및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 반송된 전송 블록 TB의 개수n=1을 획득한다. 단말 기기는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고,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결과를 결정하며, 표 3에 도시된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며,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가 ACK를 포함할 경우,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은 Δoffset,0이고,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가 NACK를 포함할 경우,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은 Δoffset,1이며, 상기 오프셋 Δoffset,0은 예컨대 0이 될 수 있으며, Δoffset,1은 1일 수 있다. 다음, 단말 기기는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타겟 오프셋을 더하여, 타겟 피드백 결과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를 획득하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한다. 다른 예로서, 표 4에 도시된 제2 맵핑 관계와 같이,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n=2로 가정하면, 시퀀스 총 개수는 4이고, 표 4는 n=2일때의 제1 맵핑 관계이다. 피드백 정보가 ACK 및 ACK를 포함할 경우, 오프셋은 Δoffset,0이고, 피드백 정보가 ACK 및 NACK를 포함할 경우, 오프셋은 Δoffset,1이며, 피드백 정보가 NACK 및 ACK를 포함할 경우, 오프셋은 Δoffset,2이며, 피드백 정보가 NACK 및 NACK를 포함할 경우, 오프셋은 Δoffset,3이다.
피드백 정보 오프셋
ACK, ACK Δoffset,0
ACK, NACK Δoffset,1
NACK, ACK Δoffset,2
NACK, NACK Δoffset,3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시퀀스 번호 Si를 획득한다. 단말 기기는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결과를 결정하고, 표 4에 도시된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며, 상기 타겟 피드백 결과가 ACK 및 ACK를 포함할 경우,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은 Δoffset,0이고, 상기 피드백 결과가 ACK 및 NACK를 포함할 경우,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은 Δoffset,1이며, 상기 피드백 결과가 NACK 및 ACK를 포함할 경우,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은 Δoffset,2이며, 상기 피드백 결과가 NACK 및 NACK를 포함할 경우,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은 Δoffset,3이다. 여기서, 오프셋은 Δoffset,0=0, Δoffset,1=1, Δoffset,2 =2, Δoffset,3=3일 수 있다. 다음, 단말 기기는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타겟 오프셋을 더하여, 타겟 피드백 결과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를 획득하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한다.단계 240에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5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 도 2에서 정보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0)에 의해 수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전송의 구체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10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시퀀스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제1 시퀀스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520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 530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송신한 제1 시퀀스는, 단말 기기가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한 후,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단계 210 내지 단계 24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시퀀스를 지시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를 통해, 현재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시퀀스를 획득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에서, 각 시퀀스의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오프셋은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각종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본 출원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아무런 한정이 되지 말아야 하며,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6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600)은 획득 유닛(610), 결정 유닛(620) 및 송신 유닛(6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획득 유닛(610)은 제1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결정 유닛(62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된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유닛(620)은 상기 획득 유닛(610)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제2 시퀀스를 더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유닛(63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결정 유닛(620)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제1 시퀀스를 통해, 현재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획득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에는 제1 맵핑 관계를 만족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과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620)이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620)이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620)이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를 더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맵핑 관계느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결정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복수 개의 오프셋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며 -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과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냄 -;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타겟 오프셋에 따라,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620)이 복수 개의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타겟 오프셋을 더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620)이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 중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구성 정보를 더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6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상기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6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에 따라,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7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700)는 송신 유닛(710) 및 수신 유닛(7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 유닛(710)은 단말 기기에 시퀀스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유닛(710)은 상기 단말 기기에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를 더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수신 유닛(720)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시퀀스를 지시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를 통해, 현재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시퀀스를 획득하도록 하여, 업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710)은 상기 수신 유닛(720)이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더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값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710)은, 상기 수신 유닛(720)이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더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710)은 상기 수신 유닛(720)이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더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유닛(710)은 상기 수신 유닛(720)이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기기에 제3 구성 정보를 더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오프셋과 상기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8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810), 트랜스시버(820) 및 메모리(8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810), 트랜스시버(820) 및 메모리(830) 사이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830)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810)는 상기 트랜스시버(820)가 신호를 수신 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상기 메모리(830)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810)는 제1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획득 유닛이 획득한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한다.
상기 트랜스시버(820)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한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도 2에 도시된 방법(200) 중의 단말 기기의 상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8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분리형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분리형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830)는 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81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83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83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8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위치결정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프로세서(8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8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3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800)는 상기 방법(200)에서 방법(200)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 기기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5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기기(800)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상기 방법(200)에서 단말 기기가 수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900)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910), 트랜스시버(920) 및 메모리(93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910), 트랜스시버(920) 및 메모리(930) 사이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930)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910)는 상기 트랜스시버(920)가 신호를 수신 또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상기 메모리(930)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시버(920)는 단말 기기에 시퀀스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 기기에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 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도 4에 도시된 방법(400)의 네트워크 기기에 상응한 동작을 수행하며, 간결함을 위해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9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9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분리형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분리형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930)는 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91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93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93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9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위치결정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프로세서(9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9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3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900)는 상기 방법(200)에서 방법(500)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7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상기 방법(500)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수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10의 시스템 온 칩(1000)은 입력 인터페이스(1001), 출력 인터페이스(10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3), 및 메모리(1004)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01), 출력 인터페이스(1002), 상기 프로세서(1003) 및 메모리(1004) 사이에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1003)는 상기 메모리(1004)의 코드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수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003)는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200)을 실시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수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003)는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500)을 실현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수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몇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다만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논의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위치에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밖에,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고 단독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몇개의 명령어를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52)

  1.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에는 제1 맵핑 관계를 만족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복수 개의 오프셋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과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타겟 오프셋에 따라,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의 개수는 2n이며, n는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복수 개의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타겟 오프셋을 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상기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에 따라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퀀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9.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시퀀스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6.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오프셋과 상기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7. 단말 기기로서,
    제1 시퀀스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따라,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획득 유닛에서 획득한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제2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2 시퀀스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에는 제1 맵핑 관계를 만족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1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에서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구성 정보를 더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4.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를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구성 정보를 더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5.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복수 개의 오프셋 중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과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시퀀스 및 상기 타겟 오프셋에 따라, 상기 제2 시퀀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이 복수 개의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타겟 오프셋을 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1. 제3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결정 유닛이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2 맵핑 관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오프셋 중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오프셋을 결정하기 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구성 정보를 더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2. 제3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리 협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3. 제36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상기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리소스에 따라,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시퀀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5. 네트워크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시퀀스 지시 정보 및 타켓 다운 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 상기 시퀀스 지시 정보는 제1 시퀀스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퀀스는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반송하는 시퀀스를 획득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제2 시퀀스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겟 피드백 정보를 반송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6. 제45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전송 블록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
    상기 타겟 다운 링크 데이터 중의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 및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개수의 곱셈값; 및
    상기 타겟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의 값은 n이고,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의 개수는 2n이며, n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8.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 파라미터를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9. 제4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퀀스 중 상기 제1 시퀀스를 제외한 다른 시퀀스 중, 각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는 상기 제1 시퀀스의 시퀀스 번호에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더 송신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각 시퀀스에 대응되는 오프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1. 제45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더 송신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맵핑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시퀀스와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2. 제45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퀀스에 따라 송신한 제2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 상기 단말 기기에 제3 구성 정보를 더 송신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제2 맵핑 관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맵핑 관계는 복수 개의 오프셋과 상기 다양한 피드백 정보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197032063A 2017-04-24 2017-04-24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329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1731 WO2018195729A1 (zh) 2017-04-24 2017-04-24 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940A true KR20190140940A (ko) 2019-12-20
KR102329006B1 KR102329006B1 (ko) 2021-11-19

Family

ID=6391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063A KR102329006B1 (ko) 2017-04-24 2017-04-24 정보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11101931B2 (ko)
EP (2) EP3606152B1 (ko)
JP (1) JP6999694B2 (ko)
KR (1) KR102329006B1 (ko)
CN (2) CN110419237A (ko)
AU (1) AU2017411422B2 (ko)
BR (1) BR112019021836A2 (ko)
CA (1) CA3061159C (ko)
IL (1) IL270062B2 (ko)
MX (1) MX2019012655A (ko)
PH (1) PH12019502396A1 (ko)
RU (1) RU2737171C1 (ko)
SG (1) SG11201909848UA (ko)
TW (1) TWI766007B (ko)
WO (1) WO2018195729A1 (ko)
ZA (1) ZA2019069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138A (ko) * 2019-03-22 2021-11-17 스프레드트럼 커뮤니케이션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9237A (zh) * 2017-04-24 2019-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3619989A4 (en) * 2017-05-05 2020-11-04 Motorola Mobility LLC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7306A1 (de) * 2001-09-26 2003-07-03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von Initialisierungszuständen bei Pseudo-Noise-Folgen
US7974261B2 (en) * 2005-06-13 2011-07-05 Qualcomm Incorporated Basest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iming synchronization
CN101296021B (zh) * 2007-04-28 2012-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信道复用传输方法与装置
EP2156629A4 (en) 2007-05-30 2016-03-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49938B2 (en) * 2007-08-07 2012-04-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CK/NACK bits and their embedding in the CQI reference signal
KR101514476B1 (ko) 2007-09-03 201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시퀀스 홉핑
JP5089804B2 (ja) * 2008-04-21 2012-12-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信号送信方法
CN101621361B (zh) * 2008-07-01 2013-07-24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广播、组播反馈信令的传输方法
PL2314008T3 (pl) * 2008-08-12 2014-05-30 Ericsson Telefon Ab L M Sposób i układ w systemie komunikacyjnym
CN101959303A (zh) * 2009-07-13 2011-01-26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E-hich上签名序列的分配方法
TWI628933B (zh) * 2009-10-01 2018-07-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傳輸上鏈控制資訊的方法及系統
US8848643B2 (en) * 2010-01-08 2014-09-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multi-carriers
KR20110120808A (ko) * 2010-04-29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ack/nack 신호 전송방법 및 기지국과, 하향링크 ack/nack 신호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
US20120039276A1 (en) * 2010-08-12 2012-02-16 Ming-Che Li Method and apparatus for harq feedbac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23273B2 (en) * 2010-09-28 2014-12-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ption confirmation in wireless system
WO2012051750A1 (zh) * 2010-10-19 2012-04-26 富士通株式会社 传输上行响应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基站
US9204453B2 (en) 2010-10-29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using sequences for resource sets for 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EP2448167B1 (en) * 2010-11-02 2019-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2761355A (zh) 2011-04-29 2012-10-31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道的通信方法和装置
CN103503330B (zh) * 2011-05-02 2017-06-06 黑莓有限公司 使用远程射频头的无线通信的方法和系统
US9497741B2 (en) * 2011-09-26 2016-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radio access system
KR102060999B1 (ko) * 2011-09-30 2019-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
CN103139916B (zh) 2011-11-29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在物理上行控制信道上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CN105490781B (zh) * 2011-12-21 2019-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控制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9001798B2 (en) * 2012-03-05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Q-ACK signal transmission in response to detection of control channel type in case of multiple control channel types
US9161241B2 (en) * 2012-03-30 2015-10-1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eference signal design and signaling for per-user elevation MIMO
US20150071262A1 (en) * 2012-04-20 2015-03-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hat Stations are Awake and Ready to Receive Data
KR20150013640A (ko) * 2012-04-30 2015-02-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협력형 직교 블록 기반 자원 할당(cobra)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183975A1 (ko) * 2012-06-08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12667B1 (ko) * 2012-07-03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4468030B (zh) * 2014-08-26 2018-06-0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及基站
CN105812106B (zh) * 2014-12-31 2019-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上行数据的方法和装置
US10630410B2 (en) *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1496255B2 (en) * 2017-04-17 2022-11-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for sequence based acknowledgement design for new radio
CN110419237A (zh) * 2017-04-24 2019-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11639* *
3GPP R1-170555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138A (ko) * 2019-03-22 2021-11-17 스프레드트럼 커뮤니케이션즈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리소스 할당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1931B2 (en) 2021-08-24
EP3606152A1 (en) 2020-02-05
ZA201906928B (en) 2020-09-30
WO2018195729A1 (zh) 2018-11-01
EP3917206B1 (en) 2024-05-22
CA3061159C (en) 2022-02-22
RU2737171C1 (ru) 2020-11-25
IL270062B2 (en) 2023-06-01
MX2019012655A (es) 2019-12-11
TWI766007B (zh) 2022-06-01
EP3606152B1 (en) 2022-01-12
JP6999694B2 (ja) 2022-02-04
SG11201909848UA (en) 2019-11-28
US11616601B2 (en) 2023-03-28
EP3917206A1 (en) 2021-12-01
PH12019502396A1 (en) 2020-12-07
BR112019021836A2 (pt) 2020-05-19
AU2017411422B2 (en) 2022-07-07
JP2020518181A (ja) 2020-06-18
AU2017411422A1 (en) 2019-11-07
EP3606152A4 (en) 2020-04-01
CA3061159A1 (en) 2019-10-23
TW201840229A (zh) 2018-11-01
IL270062A (ko) 2019-12-31
CN110419237A (zh) 2019-11-05
IL270062B1 (ko) 2023-02-01
CN111107585B (zh) 2021-03-05
CN111107585A (zh) 2020-05-05
KR102329006B1 (ko) 2021-11-19
US20200136757A1 (en) 2020-04-30
US20210344445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69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2532366B (zh) 传输上行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US1065196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616601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190102256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1525991B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KR20220054457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WO2018120159A1 (zh) 传输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525990B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7164607B2 (ja) 制御情報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