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015A -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015A
KR20190140015A KR1020197034470A KR20197034470A KR20190140015A KR 20190140015 A KR20190140015 A KR 20190140015A KR 1020197034470 A KR1020197034470 A KR 1020197034470A KR 20197034470 A KR20197034470 A KR 20197034470A KR 20190140015 A KR20190140015 A KR 20190140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control
control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time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652B1 (ko
Inventor
지 장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4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를 개시하였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는 단말 기기가 PD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춤에 있어서 유리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5G에 관한 논의에서, 단말 기기는 복수의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수신할 수 있고, 각 PDCCH는 하나의 대응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지시한다. 마찬가지로, 단말 기기는 복수의 PDCCH를 동시에 검출하여야 하므로,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가 PD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춤에 있어서 유리한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를 제공한다.
제 1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므로, 이는 단말 기기가 PD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춤에 있어서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각각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다른 다운 링크 제어 정보와 연관시킬 수 있다.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은 후속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에 매핑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 후,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에 따라 후속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모든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을 동일하게 설정할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말 기기는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한 후,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에 따라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N은 정수이고, N≤(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임 - ; 및 N이 자연수이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N 개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있음을 인식하며, 또는 N이 0이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단말 기기에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가 네트워크 기기에 구성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보다 적을 경우, 단말 기기의 블라인드 검출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며, 상기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복수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이한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다.
제 2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 1 송수신 노드가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단말 기기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제 2 다운 링크 데이터를 위해 할당된 다운 링크 리소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는 상기 제 1 송수신 노드를 포함하며, N은 정수이고, N≤(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다.
제 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측면 또는 제 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 1 측면 또는 제 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4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2 측면 또는 제 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 노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수신 노드는 상기 제 2 측면 또는 제 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5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측면 또는 제 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 6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송수신 노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상기 제 2 측면 또는 제 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 7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상기 제 1 측면 또는 제 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이나, 상기 제 2 측면 또는 제 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측면에 따라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은 하기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으로부터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노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노드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이해하여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각종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부호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원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ET)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유니버설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은 희소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과 같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에 기초한 각종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물론, SCMA 시스템과 LDS 시스템은 통신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사용한 멀티 캐리어 송신 시스템, 예를 들어,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 플렉싱(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기지국, 이동국, 이동대, 원격 기지국, 원격 단말, 모바일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반송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 차량용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지역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의 무선 제어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노드, 차량용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나 미래 진화된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5G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와 전통적인 3G와 4G 시스템은 상이하고, 5G는 복수의 주파수(고저주파 및 비인가 주파수 대역)로서, 여러 층이 오버레이되며(예컨대, 매크로셀+마이크로셀), 멀티 접속을 구현할 경우, UE에서 네트워크로의 접속은 멀티 주파수에서의 복수의 송수신 노드에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20)는 제 1 송수신 노드(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21)와 제 2 TRP(2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이며, 단말 기기(10)는 네트워크 기기(20)에 의해 송신되는 싱크 신호와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한 업/다운 링크 송신을 나타낼 수 있다.
현재의 5G/NR 논의에서, 단말 기기는 하나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복수의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PDCCH는 하나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대응하는 데이터가 차지하는 리소스 위치 또는 송신 포맷 등 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상응하는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자신에게 속하는 복수의 PDCCH를 블라인드 검출할 필요가 있으며, 복수의 PDCCH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일부 최적화 처리가 필요하다.
추후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선 PDCCH 블라인드 검출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단말 기기는 현재 PDCCH에 의해 점유된 제어 채널 유닛(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개수의 크기 및 어떠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포맷의 정보가 송신되는지를 모르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단말 기기는 자신이 현재 어떤 정보를 기대하고 있는지 알고 있으며, 예를 들어, 유휴(Idle) 상태에서 단말 기기가 기대하는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이며, 업 링크 데이터가 송신 대기 중일 때 업 링크 그랜트 등을 기대한다. 상이한 기대 정보에 대해 단말 기기는 상응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사용하여 CCE 정보와 순환 중복 검사를 수행하며, 순환 중복 검사가 성공하면, 단말 기기는 이 정보가 자신에게 필요한 것임을 알 수 있고, 상응하는 DCI 포맷 및 스케줄링 방식을 추가로 알 수 있어, DCI 콘텐츠를 해독한다. 이것이 바로 이른바 블라인드 검출 과정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100)의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00)은,
단말 기기가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110;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120를 포함한다.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에 탑재되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제어 정보이고, 단말 기기의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이며, 주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데어터의 리소스 할당,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정보, 전력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의 발전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는 하나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복수의 PDCCH를 구성할 수 있고, 이 복수의 PDCCH에 탑재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이한 데이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단말 기기가 PDCCH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동일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 중의 복수의 PDCCH를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는 다른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말 기기는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한 후에,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일부 정보를 더 얻을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는 블라인드 검출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각각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다른 다운 링크 제어 정보와 연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크기를 후속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에 매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수가 5 비트이면, 후속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는 0인 것을 표시하고,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수가 6 비트이면, 후속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는 1 인것 등을 표시한다. 단말 기기가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크기에 따라 후속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할 모든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그러면, 단말 기기는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한 후,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에 따라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지시하하도록, 각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전용 비트(bit)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4 개의 비트를 설정하여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을 지시할 수 있으며, 또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등을 지시할 수 있으며, 또는 전용 비트를 설정하여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반송하고 있으면, 단말 기기는 획득한 후, 제 1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단말 기기가 PDCCH를 블라인드 검출하는 과정을 서술하였지만, 단말 기기가 CCE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검색한다면, 특히 대역폭이 비교적 크고 CCE 개수가 많은 시스템에서는 단말 기기의 계산량이 상당하다. 이를 위해, 프로토콜에서 검색 공간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포맷의 PDCCH의 가능한 배치 위치에 대해 일부 제한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서로 다른 포맷의 PDCCH는 상이한 검색 공간에 대응된다. 즉,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을 반송하면, 단말 기기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배치 위치를 획득할 수 있어, 단말 기기에 의한 블라인드 검출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PDCCH 채널에 포함되는 CCE의 개수는 CCE의 집합 레벨이라 불리며, 예를 들어, 1, 2, 4, 8 개의 연속된 CCE일 수 있다. 즉,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을 반송하면, 단말 기기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탑재한 PDCCH에 포함된 CCE 개수를 인식하므로, 단말 기기가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할 경우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또는,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차지한 리소스의 위치가 반송되면, 단말 기기는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의 전체 제어 리소스 도메인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할 필요가 없이,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반송된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가 지시하는 위치에서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등이 반송될 경우, 마찬가지로, 단말 기기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이러한 정보를 미리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할 때 검출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과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N은 정수이고, N≤(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인 단계; 및 N이 자연수이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N 개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있음을 인식하며; 또는 N이 0이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획득된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거나, 후속에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더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보다 적을 경우, 단말 기기의 블라인드 검출 복잡도를 낮출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를 미리 구성하거나,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를 협상하게 되면 단말 기기는 그 개수에 따라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블라인드 검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어느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송신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네트워크에 의해 미리 구성된 개수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정해진 개수보다 적을 경우, 단말 기기는 여러번 검출할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단말 기기의 블라인드 검출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구성된 개수가 5개이고, 어느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네트워크가 실제로 3개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만을 단말 기기에 송신할 경우, 단말 기기는 다음의 2 개를 계속하여 검출할 필요가 없이 3개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만을 검출하면 된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만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경우, 단말 기기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한 후, 후속 검출을 정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해당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및 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다.
즉,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는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제외한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또는 모든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된 모든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이 경우, 단말 기기는 모든 개수에 따라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총 X 개의 PDCCH를 송신했음을 지시한다. 따라서, 하나의 PDCCH를 지시하는 하나의 PDCCH가 수신되면, UE는 더 이상 두 번째 PDCCH 검출을 시도할 필요가 없으며, 2 개의 PDCCH를 지시하는 하나의 PDCCH가 수신되어, UE가 두 번째 NR-PDCCH에 대한 검출을 시도할 경우, 검출에 실패하면 네트워크에 NACK를 피드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그 자체 외에 Y 개의 PDCCH를 더 송신했다는 것을 지시한다. 따라서, 다른 0 개의 PDCCH가 있음을 지시하는 하나의 PDCCH가 수신되면, UE는 더 이상 두 번째 PDCCH를 검출하려고 시도할 필요가 없으며, 다른 하나의 PDCCH가 더 있음을 지시하는 하나의 PDCCH가 수신되어, UE가 두 번째 PDCCH를 검출하려고 시도할 경우, 검출에 실패하면, 네트워크에 NACK를 피드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수신한 복수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는 구성을 통해 단말 기기가 다음과 같은 모드로 진입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첫째,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가 하나의 PDCCH를 수신하는 모드로부터 복수의 PDCCH를 수신하는 모드로 전환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이 모드에서, 단말 기기는 상기 방안을 사용하기로 결정하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복수의 PDCCH를 검출하도록 직접 지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하나의 비트를 사용하여, 다중 PDCCH의 모드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비트가 0이면, 단일 PDCCH의 모드임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비트가 1이면, 복수의 PDCCH의 모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이한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복수의 PDCCH는 복수의 TRP에 의해 송신되며, 동일한 하나의 TRP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TRP는 기지국과 같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마이크로셀, 핫스팟 등 단말 기기를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라면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TRP일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00)의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단계 S210에 있어서, 제 1 송수신 노드가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단말 기기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제 2 다운 링크 데이터에 구성된 다운 링크 리소스를 지시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PD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춤에 있어서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는 상기 제 1 송수신 노드를 포함하며, N은 정수이고, N≤(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제 2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설명된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의 상호 작용, 관련 특징, 기능 등은 단말 기기의 관련 특징, 기능에 상응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즉,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어떤 정보를 송신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그에 상응하는 어떤 정보를 수신한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각 종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은 어떠한 것도 한정하지 않으며,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선 통신의 단말 기기(300)의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300)는,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유닛(310); 및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3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선 통신의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PD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춤에 있어서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획득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330)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수 N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 N은 정수이고, N≤ (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임 - ; 및 N이 자연수이면,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N 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인식하거나, N이 0이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하는 인식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며, 상기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제 2 수신 유닛(360)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복수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지시함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이한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의 단말 기기(3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300)에서의 각 유닛의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2의 방법 중의 단말 기기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송수신 노드 (400)의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수신 노드(400)는,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단말 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제 2 다운 링크 데이터를 위해 할당된 다운 링크 리소스를 지시하는 송신 유닛(41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노드는 단말 기기가 PD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춤에 있어서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는 상기 제 1 송수신 노드를 포함하며, N은 정수이고, N≤(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제 2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노드(4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의 송수신 노드에 대응될 수 있으며, 송수신 노드(400)에서의 각 유닛의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3의 방법 중의 네트워크 기기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 사용되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도 2 중의 방법(100)에 대응하는 단말 기기의 콘텐츠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도 5의 단말 기기(300)일 수 있는 단말 기기(500)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500)는,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40)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메모리(5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프로세서(530)는 상기 메모리(540)에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510)을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5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PD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춤에 있어서 유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5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5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및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5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5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54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4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콘텐츠는 프로세서(5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개시 방법의 콘텐츠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5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530)는 메모리(54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콘텐츠를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기기(300)의 획득 유닛(320), 검출 유닛(330), 결정 유닛(340) 및 인식 유닛(350)은 도 6에서의 프로세서(5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300)에서의 제 1 수신 유닛(310) 및 제 2 수신 유닛(360)은 도 6의 입력 인터페이스(5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도 3의 방법(200)에 대응되는 송수신 노드의 콘텐츠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도 5의 송수신 노드(400)일 수 있는 송수신 노드(600)를 더 제공한다. 상기 송수신노드(600)는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상기 메모리(6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프로세서(630)는 상기 메모리(640)에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610)을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6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노드는 단말 기기가 PDCCH를 검출하는 복잡도를 낮춤에 있어서 유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630)는 중앙처리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6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및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6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6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64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4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콘텐츠는 프로세서(630)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나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개시 방법의 콘텐츠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6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30)는 메모리(64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콘텐츠를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수신 노드(400)의 송신 유닛(410)은 도 7의 출력 인터페이스(6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반송용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반송용 전자 기기로 하여금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서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을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전술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단계에 대해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단계를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에 대한 구획은 다만 하나의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 실제로 다른 구획 방식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외, 나타내거나 거론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즉 한곳에 배치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의해 그 중 일부분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 개 또는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다시 말해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일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수단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를 수행시키는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4)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N은 정수이고, N≤(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임 - ; 및
    N이 자연수이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N 개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있음을 인식하며, 또는 N이 0이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며, 상기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복수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이한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송수신 노드가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단말 기기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제 2 다운 링크 데이터를 위해 할당된 다운 링크 리소스를 지시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는 상기 제 1 송수신 노드를 포함하며, N은 정수이고, N≤(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단말 기기로서,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유닛; 및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 - N은 정수이고, N≤ (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임 - ; 및
    N이 자연수이면,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N 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인식하며, 또는 N이 0이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하도록 하는 인식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며, 상기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유닛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복수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지시함 -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이한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 송수신 노드로서,
    상기 송수신 노드는 제 1 송수신 노드이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단말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 유닛 - 상기 제 1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 1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를 반송하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제 2 다운 링크 데이터를 위해 할당된 다운 링크 리소스를 지시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노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검색 공간,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집합 레벨,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리소스 위치,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크기,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한 빔 정보 및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준 공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노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에서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 (N+1)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노드는 상기 제 1 송수신 노드를 포함하고, N은 정수이고, N≤(M-1)이며, M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미리 구성한 다운 링크 제어 정보의 개수이며, M은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노드.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운 링크 제어 정보는 제 2 송수신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노드.
KR1020197034470A 2017-04-27 2017-04-27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 KR102319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2216 WO2018195861A1 (zh) 2017-04-27 2017-04-27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传输与接收节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015A true KR20190140015A (ko) 2019-12-18
KR102319652B1 KR102319652B1 (ko) 2021-11-01

Family

ID=6391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470A KR102319652B1 (ko) 2017-04-27 2017-04-27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330615B2 (ko)
EP (1) EP3614756B1 (ko)
JP (1) JP6995880B2 (ko)
KR (1) KR102319652B1 (ko)
CN (1) CN110547007A (ko)
AU (1) AU2017411263A1 (ko)
BR (1) BR112019021666A2 (ko)
CA (1) CA3061079A1 (ko)
MX (1) MX2019012790A (ko)
RU (1) RU2730686C1 (ko)
SG (1) SG11201909820XA (ko)
WO (1) WO2018195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9678B2 (en) * 2018-04-04 2024-02-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for size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
CN111435845B (zh) * 2019-01-11 2023-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A3203321A1 (en) * 2020-12-24 2022-06-30 Liqing Zhang Apparatus and methods for downlink control signaling in wireless networ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595A (ko) * 2009-06-10 2012-03-1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운링크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WO2012146095A1 (zh) * 2011-04-29 2012-1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系统
KR20120131184A (ko) * 2010-02-16 2012-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위한 중계기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128028A1 (en) * 2014-10-31 2016-05-05 Qualcomm Incorporated Two-stage pdcch with dci flag and dci format size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6447A1 (en) 2007-08-21 2009-02-26 Tango Networks,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sioning dual-homed voice call continuity
US8942165B2 (en) 2008-08-01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53327B1 (en) 2008-11-04 2019-03-27 Apple Inc. Providing a downlink control structure in a first carrier to indicate control information in a second, different carrier
EP2386182B1 (en) 2009-01-07 2014-12-1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iscontinuous reception in carrier aggreg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610564B (zh) 2009-04-29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发送和检测方法
US8531961B2 (en) 2009-06-12 2013-09-10 Cygnus Broadban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ation of data for intelligent discard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2083223A (zh) * 2010-03-05 2011-06-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发送dci和上行传输的方法、系统及装置
CN102215570B (zh) 2010-04-02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链路边界的指示及确定方法、基站
CN102811495A (zh) * 2011-06-02 2012-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接收、发送调度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30003664A1 (en) 2011-06-28 2013-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of a User Equip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2291736B (zh) * 2011-08-08 2017-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的检测方法、用户设备及基站
WO2013044522A1 (zh) 2011-09-30 2013-04-04 富士通株式会社 增强的控制信令的发送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20160037757A (ko) 2014-09-26 2016-04-06 주식회사 케이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CN105992378B (zh) 2015-02-27 2019-11-29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增强的载波聚合中的pdcch方法和装置
CN106454901A (zh) * 2016-11-04 2017-0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的检测方法、指示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JP2020504540A (ja) 2017-01-06 2020-02-06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通信方法ならびに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595A (ko) * 2009-06-10 2012-03-1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운링크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20131184A (ko) * 2010-02-16 2012-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동작 모드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위한 중계기 장치 및 그 방법
WO2012146095A1 (zh) * 2011-04-29 2012-1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系统
US20160128028A1 (en) * 2014-10-31 2016-05-05 Qualcomm Incorporated Two-stage pdcch with dci flag and dci format size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652B1 (ko) 2021-11-01
EP3614756B1 (en) 2021-08-11
JP2020519080A (ja) 2020-06-25
JP6995880B2 (ja) 2022-01-17
EP3614756A4 (en) 2020-04-22
US20210289532A1 (en) 2021-09-16
EP3614756A1 (en) 2020-02-26
AU2017411263A1 (en) 2019-12-05
CA3061079A1 (en) 2019-10-22
CN110547007A (zh) 2019-12-06
WO2018195861A1 (zh) 2018-11-01
SG11201909820XA (en) 2019-11-28
MX2019012790A (es) 2019-11-25
US11330615B2 (en) 2022-05-10
BR112019021666A2 (pt) 2020-05-12
RU2730686C1 (ru)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963B2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1395287B2 (en) Method for blind detection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terminal device
RU2730002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20085880A (ko) 캐리어 집성을 이용하는 경우에서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 세트 스위칭
US20140161082A1 (en) Search space for component carrier specific ul/dl configuration
EP377127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and terminal device
US11974208B2 (en) Relay rou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US11038734B2 (en) Mini-slot configuration for data communication
KR20200118358A (ko)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기기
US11139854B2 (en) Method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20012859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272395B2 (en) Communication efficiency
KR102319652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
US20200178233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2021512518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端末装置
JP6847241B2 (ja) 情報送信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情報受信方法および装置
US202302095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KR102578338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US20220095344A1 (e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for harq feedback
WO2019174054A1 (zh) 确定第一多天线发送模式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301042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verage enhancement in wireless networks
WO2021088275A1 (zh) 资源集合的配置方法、终端、网络设备及存储介质
EP4307800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