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920A -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920A
KR20190139920A KR1020197032586A KR20197032586A KR20190139920A KR 20190139920 A KR20190139920 A KR 20190139920A KR 1020197032586 A KR1020197032586 A KR 1020197032586A KR 20197032586 A KR20197032586 A KR 20197032586A KR 20190139920 A KR20190139920 A KR 2019013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device
paging
terminal
network device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174B1 (ko
Inventor
젠화 류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3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45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와 시스템을 공개하는 바, 그 중에서 방법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또한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또한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명을 사용하면 페이징 성공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향상된 국제 이동 통신(IMT-Advance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Adv anced) 시스템에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 기술, 향상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 다중점 협력 전송(CoMP, Coordinated Multiple Points Transmission/Reception) 기술과 릴레이 기술 등을 사용하는 바, 종래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기초 상에서, 더욱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키고, 셀 변두리 사용자의 데이터 속도와 사용자 체험을 개선한다.
하지만,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 기지국(BS, Base Station)을 중심으로 하는 셀 커버리지와 서비스 제공 방식 자체에 존재하는 제한성으로 인하여, IMT-Advanced 시스템은 여전히 커버리지와 용량 등 방면의 문제가 존재한다.
단말 직통(Device-to-Device, D2D) 기술은 인접된 단말이 근거리 범위 내에서 직접 링크의 방식을 통하여 데이 전송을 진행하고, 중심 노드(즉 기지국)를 통하여 전달을 진행할 필요가 없는 것을 말한다.
연구에 따르면, D2D 기술은 자원을 절약하고 간섭을 감소시키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등 방면에 아주 큰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IMT-Advanced 시스템에 D2D 기술을 도입한다면, 네트워크 구조를 현저하게 개선하고, 커버리지를 증가시켜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IMT-Advanced 시스템 허가 주파수 대역에 D2D 기술을 도입하여, 셀룰러 통신과 D2D 통신이 공존하는 혼합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종래에 셀룰러 통신과 D2D 통신이 공존하는 혼합 네트워크의 도면이다.
상응하게, 단말을 두 가지 서로 다른 통신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바, 한 가지는 셀룰러 통신 모드인 바, 즉 단말이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을 진행하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D2D 통신 모드로서, 즉 단말이 D2D 링크를 통하여 직접 통신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혼합 네트워크에서, 일부 단말은 여전히 셀룰러 통신 모드로 기지국을 통하여 정보 전달과 통신을 진행하고, 일부 단말은 D2D 통신 모드로 데이터의 직접 전송을 진행한다.
그리고, 또한 D2D 릴레이(Relay)를 이용하여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보조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단말과 D2D 릴레이 사이는 D2D 통신 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D2D 릴레이와 기지국 사이에는 셀룰러 통신 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D2D 릴레이는 하프 듀플렉싱의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 및 전달하고, 또한 수신 및 전달 과정에 모드 전환을 진행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종래의 D2D 릴레이를 도입한 네트워크 도면이다.
상기 D2D 릴레이를 통하여 통신을 보조하는 상황에서, 단말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만일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고 있다면, 이러한 방식은 통상적으로 문제가 존재하지 않지만, 만일 단말이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고 있지 않다면,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하여 페이징 실패를 초래할 수 있는 바, 즉 페이징 성공율을 낮추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페이징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단말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단말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단말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릴레이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페이징 정보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이며;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는 것이 포함된다.
단말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페이징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인 것이 포함된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제1 처리 유닛 및 제2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처리 유닛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2 처리 유닛은 상기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제3 처리 유닛 및 제4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3 처리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4 처리 유닛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한다.
릴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5 처리 유닛 및 제6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5 처리 유닛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페이징 정보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이며;
상기 제6 처리 유닛은 상기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한다.
단말에 있어서, 제7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7 처리 유닛은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페이징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이다.
단말 페이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 상기 릴레이 장치 및 상기 단말이 포함된다.
상기 설명을 바탕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방안을 사용하면, 단말을 페이징하여야 할 때,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우선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그 후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릴레이 정보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는 바, 즉 네트워크 측은 릴레이 장치를 통하여 단말을 페이징할 수 있는 바, 이로써 종래 기술 중의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단말이 페이징을 수신하도록 확보하여, 페이징 성공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셀룰러 통신과 D2D 통신이 공존하는 혼합 네트워크의 도면.
도 2는 종래의 D2D 릴레이를 도입한 네트워크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단말 페이징 방법의 제1 실시예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단말 페이징 방법의 제2 실시예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단말 페이징 방법의 제3 실시예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단말 페이징 방법의 제4 실시예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 접속 네트워크 장치, 릴레이 장치 및 단말 사이의 메시지 흐름 방향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실시예의 조성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실시예의 조성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상기 릴레이 장치의 실시예의 조성 구조도.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방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단말 페이징 방법의 제1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이 포함된다.
301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다.
예를 들면,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의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 때,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을 페이징한다.
상응하게, 단말을 페이징하기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우선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릴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페이징을 릴레이하여야 한다.
그 중에서,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기 전,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우선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나아가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만일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한다면, 종래의 기술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어떻게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이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어떻게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가 하는 것은 실제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된 단말과 릴레이 장치 사이의 대응 관계에 의하여,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사전에 서로 다른 단말과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저장할 수 있고, 이로써 저장된 내용을 조회하는 것을 통하여 어느 한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알 수 있다.
302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또한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한다.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 후,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릴레이 장치의 접속 네트워크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접속 네트워크가 단말을 페이징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즉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바, 그 중에는 페이징 정보, 예를 들면 단말의 아이디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또는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나아가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왜냐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말하면, 만일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것이라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의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만일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것이라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방식에 따라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를 추가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알도록 하여야 한다.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 후,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고, 나아가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여, 단말을 페이징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단말 페이징 방법의 제2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이 포함된다.
401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을 페이징하여야 하고 또한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또한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또는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나아가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402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나아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여야 하는 바, 즉 어느 릴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페이징을 릴레이할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그 중에서,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의하여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에 의하여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403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여,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페이징 정보를 전용 메시지에 포함시켜 릴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용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계층2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메시지 등일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페이징 정보를 전용 메시지에 포함시켜 릴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릴레이 장치가 단말의 페이징 정보를 릴레이할 것을 요구하고, 상응하게, 릴레이 장치는 취득한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단말 페이징 방법의 제3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이 포함된다.
501에서, 릴레이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페이징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이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페이징 정보를 전용 메시지에 포함시켜 페이징 정보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용 메시지는 RRC 메시지 또는 PDU 메시지 등일 수 있다.
릴레이 장치는 상응한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된 전용 메시지에 대하여 분석 처리 등을 진행하여, 이가 단말로 송신한 정보인 것을 발견/식별할 수 있다.
502에서,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릴레이 장치는 단말에 적합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릴레이 장치는 블루투스, wifi 등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바탕으로, 도 6는 본 발명의 상기 단말 페이징 방법의 제4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구체적인 구현 방식이 포함된다.
601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을 페이징 하고,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여야 하다.
예를 들면,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의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 때,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을 페이징한다.
상응하게, 단말을 페이징하기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우선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나아가 릴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페이징을 릴레이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어떻게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가 하는 것은 실제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된 단말과 릴레이 장치 사이의 대응 관계에 의하여,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602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페이징 요청 메시지 중에는 페이징 정보, 예를 들면 단말의 아이디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또는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나아가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603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또는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나아가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의하여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에 의하여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604에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로 전용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그 중에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다.
전용 메시지는 RRC 메시지 또는 PDU 메시지 등일 수 있다.
605에서,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한다.
릴레이 장치는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어떤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것인지는 실제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요약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 접속 네트워크 장치, 릴레이 장치 및 단말 사이의 메시지 흐름 방향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실시예에 대한 기술은 모두 치중점을 갖고 있으며, 어느 한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기타 실시예의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의 상기 방식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측은 릴레이 장치를 통하여 단말을 페이징할 수 있는 바, 이로써 종래 기술 중의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단말이 페이징을 수신하도록 확보하여, 페이징 성공율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상황을 예로 들면, 상기 각 실시예 중의 단말은 도 2에 도시된 D2D 단말(D2D UE)일 수 있고, 상기 각 실시예 중의 릴레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D2D 릴레이일 수 있다.
위의 내용은 방법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고, 아래 장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상기 방안에 대하여 더욱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실시예의 조성 구조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처리 유닛(801) 및 제2 처리 유닛(802)이 포함된다.
제1 처리 유닛(801)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다.
제2 처리 유닛(802)은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또한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한다.
어느 한 단말을 페이징하여야 할 때, 제1 처리 유닛(801)은 우선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나아가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1 처리 유닛(801)은 저장된 단말과 릴레이 장치 사이의 대응 관계에 의하여,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처리 유닛(801)은 결정된 릴레이 장치를 제2 처리 유닛(802)으로 통지할 수 있고, 제2 처리 유닛(802)은 나아가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 처리 유닛(802)은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또는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나아가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왜냐하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말하면, 만일 제2 처리 유닛(802)이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것이라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의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만일 제2 처리 유닛(802)이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것이라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상술 방식에 따라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릴레이 장치 아이디 정보를 추가하여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알도록 하여야 한다.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 후,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고, 나아가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여, 단말을 페이징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의 실시예의 조성 구조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처리 유닛(901) 및 제4 처리 유닛(902)이 포함된다.
제3 처리 유닛(901)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다.
제4 처리 유닛(902)은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여,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한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을 페이징하여야 하고 또한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때,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고, 또한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응하게, 제3 처리 유닛(901)은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한다.
제3 처리 유닛(901)은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또는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나아가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제3 처리 유닛(901)은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의하여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제3 처리 유닛(901)은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에 의하여 릴레이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처리 유닛(901)은 결정된 릴레이 장치를 제4 처리 유닛(902)으로 통지할 수 있고, 제4 처리 유닛(902)은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여, 릴레이 장치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한다.
제4 처리 유닛(902)은 페이징 정보를 전용 메시지에 포함시켜 릴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용 메시지는 RRC 메시지 또는 PDU 메시지 등일 수 있다.
제4 처리 유닛(902)은 페이징 정보를 전용 메시지에 포함시켜 릴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릴레이 장치가 단말의 페이징 정보를 릴레이할 것을 요구하고, 상응하게, 릴레이 장치는 취득한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상기 릴레이 장치의 실시예의 조성 구조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처리 유닛(1001) 및 제6 처리 유닛(1002)이 포함된다.
제5 처리 유닛(1001)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페이징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이다.
제6 처리 유닛(1002)은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페이징 정보를 전용 메시지에 포함시켜 페이징 정보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용 메시지는 RRC 메시지 또는 PDU 메시지 등일 수 있다.
제5 처리 유닛(1001)은 상응한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된 전용 메시지에 대하여 분석 처리 등을 진행하여, 이가 단말로 송신한 정보인 것을 발견/식별할 수 있고, 나아가 제6 처리 유닛(1002)이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6 처리 유닛(1002)은 단말에 적합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울러 단말 실시예를 공개하는 바, 그 중에는 제7 처리 유닛이 포함되어,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페이징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이다.
제7 처리 유닛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페이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울러 단말 페이징 시스템을 공개하는 바, 그 중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 도 9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릴레이 장치 및 상술한 단말이 포함된다.
상기 각 장치 및 시스템 실시예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상응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각 실시예의 상기 방식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측은 릴레이 장치를 통하여 단말을 페이징할 수 있는 바, 이로써 종래 기술 중의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단말이 페이징을 수신하도록 확보하여, 페이징 성공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장치와 방법 등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한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한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직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직접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을 추가하는 형식으로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집적된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precessor)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9)

  1. 단말 페이징 방법으로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기 전, 나아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만일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저장된 단말과 릴레이 장치 사이의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해당 방법에는 나아가,
    상기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상기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6. 단말 페이징 방법으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의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에 의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전용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11. 단말 페이징 방법으로서,
    릴레이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페이징 정보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이며;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는 것에는,
    상기 릴레이 장치가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13. 단말 페이징 방법으로서,
    단말이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페이징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이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방법.
  15.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1 처리 유닛 및 제2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처리 유닛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2 처리 유닛은 상기 릴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유닛은 나아가,
    페이징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기 전, 상기 단말에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유닛은 저장된 단말과 릴레이 장치 사이의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단말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 유닛은 상기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제2 처리 유닛은 상기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 유닛은 나아가,
    상기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상기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20.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3 처리 유닛 및 제4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3 처리 유닛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4 처리 유닛은 상기 릴레이 장치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처리 유닛은 상기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또는, 상기 제3 처리 유닛은 상기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장치의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제3 처리 유닛은 상기 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 정보에 의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며;
    상기 릴레이 장치의 비특정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제3 처리 유닛은 상기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릴레이 장치의 아이디 정보에 의하여 상기 릴레이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처리 유닛은 상기 페이징 정보를 전용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메시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25. 릴레이 장치로서,
    제5 처리 유닛 및 제6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5 처리 유닛은 접속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페이징 정보는 상기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이며;
    상기 제6 처리 유닛은 상기 페이징 정보를 단말로 릴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처리 유닛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정보를 상기 단말로 릴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27. 단말로서,
    제7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제7 처리 유닛은 릴레이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페이징 정보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릴레이 장치로 송신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처리 유닛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하여 상기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단말 페이징 시스템으로서,
    제15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 항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 제20항 내지 제24항의 어느 한 항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 제25항 내지 제29항의 어느 한 항의 릴레이 장치 및 제27항 내지 제28항의 어느 한 항의 단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페이징 시스템.
KR1020197032586A 2017-04-26 2017-04-26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87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2001 WO2018195802A1 (zh) 2017-04-26 2017-04-26 终端寻呼方法、设备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920A true KR20190139920A (ko) 2019-12-18
KR102287174B1 KR102287174B1 (ko) 2021-08-06

Family

ID=6391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586A KR102287174B1 (ko) 2017-04-26 2017-04-26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29133B2 (ko)
EP (1) EP3609249A4 (ko)
JP (1) JP2020519063A (ko)
KR (1) KR102287174B1 (ko)
CN (1) CN110574451B (ko)
WO (1) WO20181958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488A1 (ko) * 2020-12-23 2022-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을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14171A1 (ko) * 2021-08-05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에서 페이징 모니터링에 관련된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0146B (zh) * 2020-07-16 2023-0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和通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9528A1 (zh) * 2014-08-06 2016-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网络设备、寻呼方法和区域信息更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5703A4 (en) * 2009-03-06 2016-08-03 China Mobile Comm Corp METHOD, SYSTEM AND NETWORK DEVICE FOR NETWORK ACCESS TO RELAY N UD
RU2491787C2 (ru) 2009-04-28 2013-08-27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поискового вызова, способ обнов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US8213396B1 (en) 2009-07-15 2012-07-03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systems for disabling pag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2469585A (zh) * 2010-11-09 2012-05-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mtc组进行寻呼的方法及系统
US20120184205A1 (en) * 2011-01-14 2012-07-19 Infineon Technologies Ag Stateful paging guard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tateful paging guard device
CN103857036B (zh) 2012-11-28 2020-05-1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寻呼移动中继下终端的方法及设备
CN104812069B (zh) * 2015-05-25 2019-01-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的位置管理方法、寻呼方法、装置和终端
US10660022B2 (en) * 2016-02-26 2020-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questing connection to network
WO2019031865A1 (ko) * 2017-08-09 2019-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절차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9528A1 (zh) * 2014-08-06 2016-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网络设备、寻呼方法和区域信息更新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8170* *
3GPP R2-170347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488A1 (ko) * 2020-12-23 2022-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단말을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14171A1 (ko) * 2021-08-05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에서 페이징 모니터링에 관련된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29133B2 (en) 2021-09-21
CN110574451B (zh) 2024-01-30
CN110574451A (zh) 2019-12-13
EP3609249A1 (en) 2020-02-12
WO2018195802A1 (zh) 2018-11-01
KR102287174B1 (ko) 2021-08-06
EP3609249A4 (en) 2020-04-01
JP2020519063A (ja) 2020-06-25
US20210120525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0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pa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80616B1 (en) Device-to-device advertisement
US94206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681684B (zh) 使用者裝置及基地台
CN109429217B (zh) 一种信息交互方法、第一基站、第二基站和移动通信终端
US11375509B2 (en) Support for receive-limited user equipment in wireless environments
KR102287174B1 (ko) 단말 페이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254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configuration and routing of relay system
CN114651480A (zh) 执行多路径通信
CN115699816A (zh) 用于在双连接下进行侧行链路中继通信的方法
EP4224900A1 (en) Routing method and apparatus
CN111727617B (zh) 上行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839228A (zh) 基于信令监听的NB-IoT的D2D通信方法、终端及系统
CN108293189A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
CN112237048B (zh) 对d2d复制的控制
CN112702800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EP3991509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3133786A1 (en) Aggregation link establishment and releas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40137745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20279486A1 (en) Method for Sending Two Levels of Control Channels,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2024005721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5669074A (zh) 终端连接方法及装置
CN115473559A (zh) 一种网络共享场景下的通信处理方法及装置
CN114557015A (zh) 信息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