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799A - Mattress for bed - Google Patents

Mattress for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799A
KR20190139799A KR1020190140421A KR20190140421A KR20190139799A KR 20190139799 A KR20190139799 A KR 20190139799A KR 1020190140421 A KR1020190140421 A KR 1020190140421A KR 20190140421 A KR20190140421 A KR 20190140421A KR 20190139799 A KR20190139799 A KR 2019013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eight
parts
heater
bed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주
Original Assignee
박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주 filed Critical 박성주
Priority to KR102019014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9799A/en
Publication of KR2019013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7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47C27/064Pocketed sp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0Liquid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tress for 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ttress for a bed comprises: a support unit; a plurality of Bonnell springs disposed i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a heat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nnell springs and providing a heating function; and a first buffer material disposed in an upper end of the Bonnell springs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vent for heat discharged from the heating unit to pass therethrough.

Description

침대용 매트리스{MATTRESS FOR BED}Bed mattresses {MATTRESS FOR BED}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따뜻한 열기를 전달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거나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침대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mattr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d mattress that delivers warm heat to induce a comfortable sleep or perform a heating function.

생활 양식이 온돌 문화(방바닥에 요를 깐 후 이불을 덮고 자는 문화)에서 침대 문화로 이동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침대를 구비 및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lifestyle shifts from the ondol culture (the bedding on the floor to bedding), the bed culture is used by many people.

침대는 일반적으로 목재 프레임 위에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이용되는데, 이때 목재 프레임은 그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나 의미가 있는 것이고, 실제 수면 만족도는 매트리스의 성능이나 기능에 따라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A bed is generally used by installing a mattress on a wooden frame, where the wooden frame is meaningful only in terms of its design, and the actual sleep satisfaction depends on the performance or function of the mattress.

그런데 침대의 경우에는 온돌과 달리 사람이 눕는 위치가 방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이유로 난방 등을 위해서는 방 자체를 따뜻하게 하거나 또는 전기 매트와 같은 별도의 전열 기구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bed, unlike ondol, the position of lying down must fall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ing itself or a separate heating device such as an electric mat is used for heating.

즉, 종래의 온돌방에서 요를 깔고 이불을 덮고 자는 경우에는 방바닥만 따뜻해도 이불 속 온도가 금세 올라가서 따뜻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데, 침대에서 잠을 자는 경우에는 방바닥 난방 온도를 상당히 높여 방안 전체 온도를 올리거나 또는 침대의 매트리스 위에 전기 매트를 놓고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sleeping with a blanket covered with a bed in a conventional ondol room, even if only the floor is warm, the temperature in the bed can quickly rise to get a warm night's sleep. Or use an electric mat on a bed mattress.

그러나 방안 전체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당한 난방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그렇다고 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중 창 등을 설치하는 공사를 하는 경우에도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significant heating cost occurs to increase the overall temperature of the room, but even if the construction to install a double window, etc.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is not that expensive.

이러한 과다한 비용 등의 문제로 많은 사람들이 전기 매트를 침대의 매트리스 위에 두는 것을 선호하고 있는데, 이때 전기 매트는 전열선을 따라 전자파가 발생하므로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Due to such an excessive cost, many people prefer to place an electric mat on the mattress of the bed. At this tim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electric mat may harm the health because electromagnetic waves are generated along the heating wire.

등록실용신안 실1995-0008862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1995-000886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침대 생활을 하는 경우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전자파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침대용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is to provide a bed mattress that minimizes the side effects such as electromagnetic waves, while enabling heating in bed lif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는, 지지부와;Bed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상기 지지부 상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본넬 스프링과; 상기 복수 개의 본넬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며 발열 기능을 제공하는 발열부와; 상기 본넬 스프링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방출되는 열기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구비된 제1 완충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plurality of bonnell springs disposed above the support; A heat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nnell springs and provid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uffer material disposed on the top of the bonnell spring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vent for passing the heat discharged from the heat generating por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용 매트리스 내부에 발열부가 구비되고, 이러한 발열부에 의해 방출되는 열기가 매트리스 내부의 3D 메쉬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침대에서의 난방 기능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unit is provided in the mattress for the bed, and the heat discharged by the heating unit is efficiently transmitted by the 3D mesh in the mattress, so that the heating function in the bed can be achieved. Of course, it can save energy.

특히 발열부가 끝단에 설치되는 히터와 이에 연결되는 관체 및 그 관체 내부에 충전된 방열유체에 의해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광범위한 영역에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기 매트와 비교하여 전자파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eat dissipation is performed by the heater installed at the end, the tube connected thereto, and the heat dissipation fluid charged inside the tube, thereby minimizing side effects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compared to an electric mat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 wide range of areas. have.

이러한 3D 매쉬와 특유의 히팅 파이프 구조로 인해 세균이나 곰팡이가 생기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며 전자파 걱정이 없는 친환경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3D mesh and the unique heating pip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friendly bed mattress without germs or mold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without worrying about electromagnetic wa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침대용 매트리스 내에 포함되는 발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발열부 히팅파이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3D 메쉬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ed mat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3 is an inter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unit included in the bed mattress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pipe heating pipe of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form of a 3D mesh.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ndividual function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서는 매트리스를 감싸는 원단(예를 들어 친환경 오가닉 원단)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외부 원단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었다.Exterior of the bed mat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In FIG. 1, a fabric (eg, an eco-friendly organic fabric) surrounding a mattress is illustrated, and a specific structure of the outer fabric i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참고로 도 2는 도 1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는 지지부(10), 본넬 스프링(30), 발열부(40), 제1 완충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매트리스는 포켓 스프링(60)과 제2 완충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mattress for a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10, a bonnell spring 30, a heating unit 40, and a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have. Furthermore, the bed mattres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cket spring 60 and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70.

우선, 지지부(10)는 침대 매트리스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견디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support 10 is to perform a function of firmly supporting the bed mattress,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material that withstands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0)는 압축펠트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10 is an example consisting of a compression felt.

여기서 압축펠트는 양털, 노일, 모반모(毛反毛) 등의 섬유를 원료로 하고, 그 축융성을 이용하여, 수증기, 열, 압력 등의 작용에 의해 섬유가 서로 엉기도록 한 후, 축융시켜서 천과 같이 만든 것으로서, 보온재, 방음재, 패킹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Compression felt is made of fibers such as fleece, foil, nevus hair, and the condensing properties, and the fibers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by the action of water vapor, heat, and pressure, and then condensed. As it is made of cloth, it is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insulation, sound insulation, packing.

한편, 본넬 스프링(30)은 지지부(10)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침대 고유의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쿠션 및 탄성 기능을 수행한다. 허리의 편안함을 위해 본넬 스프링(30)의 개수는 배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nnell spring 30 is disposed on the support 10, and performs a cushion and elastic function, which can be called a bed-specific function. For comfort of the waist, the number of bonnell springs 30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허리 부분에 위치하는 본넬 스프링(30)의 높이를 다른 위치의 본넬 스프링(30)의 높이보다 조금 낮게 하거나, 다른 위치의 본넬 스프링(30)과 다른 탄성율을 가지는 스프링을 허리 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bonnell spring 30 positioned at the waist portion is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onnell spring 30 at another position, or a spring having a different elastic modulus from the bonnell spring 30 at another position is disposed at the waist portion. You may.

도 2 및 도 3에는 상술한 지지부(10)와 본넬 스프링(30) 사이에 단열재(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2 and 3 is an example tha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0 is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support 10 and the bonnell spring 30.

여기서 단열재(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열부(4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침대 아래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 폴리스틸렌이나 또는 패브릭으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중앙에 공기층을 두는 열반사 단열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열반사 단열재 대신에 또는 열반사 단열재와 함께 방염원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Her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0 is to prevent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part 40 from escaping under the bed a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kinds such as made of foamed polystyrene or a fabric such as styrofoam may be used. In particular, a heat reflectio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n air layer in the center may be used. Flame retardant fabrics may be used in place of or in conjunction with heat reflective insulation.

발열부(40)는 복수 개의 본넬 스프링(30) 사이에 위치하며 발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에 해당한다.The heat generating portion 40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nnell springs 30 and provides a heat generating function, which corresponds to a key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발열부(40)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그 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히터(43), 해당 히터(43)와 맞닿는 히팅파이프(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발열부(40)의 분해 사시도가 도 4에 도시되었다.The heat generating unit 40 includes a case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heater 43 mounted in the case and generating heat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heating pipe 45 contacting the heater 43.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uch as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40 is shown in FIG.

도 4에서는 히터(43)에 전원선(46)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는데, 히팅파이프(45)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 도시)와, 히터(43) 및 온도센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그 동작을 다양한 시간과 온도 조건의 알고리즘을 통해 제어하는 제어박스(미 도시함)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4, the power line 46 is connected to the heater 43 as an example. The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ipe 45 and the heater 43 and the temperature sensor operate. Of course, a control box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supply power and control the operation through algorithms of various time and temperature conditions.

여기서 히터(43)는 열을 발산하는 다양한 종류가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heater 43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kinds of heat dissipation, but preferably may be composed of a PTC temperature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PTC 히터는 온도가 낮을 때에는 저항이 줄어들어 흐르는 전류가 많아져 열이 발생되고,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저항이 커지면서 전류가 줄어들어 발열량이 줄어드는 원리로 별도의 온도 조절 장치가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히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PTC 히터는 수명이 길고 ,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는 산화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열 전달을 빨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TC heater maintains constant temperature automatically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t means a heater to let. Since the PTC heater has a long lifespan and does not react with oxygen in the air, it does not generate oxidizing gas which causes air pollution, and thus has an advantage of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abling fast heat transfer.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40)는 크게 구분하면, 케이스와 그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히터(43) 및 히팅파이프(45)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내부의 히팅파이프(45)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뿜어져 나가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eat generating part 40 is largely divided into a case and a heater 43 and a heating pipe 45 inserted into the case, where the heating pipe is form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he heat generated by 45 is blown out.

물론 발열부(40)의 케이스의 옆면이나 아랫면에도 상면과 같이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침대에서 자는 사람에게 전달되는 열의 총양을 기준으로 할 때 도 4와 같이 상면에만 통공이 형성되는 경우 열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Of course,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 the side or the bottom of the case of the heating unit 40 as the upper surface, but when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ly in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ure 4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heat transmitted to the person sleeping in the bed This can be increased.

한편, 히팅파이프(45)는 히터(43)에 의한 전열시 방열 동작되어 매트리스 내에서 발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밀폐되고 일단이 히터(43)에 의해 가열되는 금속재질의 관체(47)와, 관체(47)의 내부에 충전되고 히터(43)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방열유체(48)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히팅파이프(45)의 단면의 일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pipe 45 is a heat dissipation operation during heat transfer by the heater 43 to provide a heat generating function in the mattress, the inside of the metal body 47 is hermetically sealed and one end is heated by the heater 43 And a heat-dissipating fluid 48 or the like filled in the tubular body 47 and heated by the heater 43 to generate thermal energy.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of the heating pipe 45 is as shown in FIG. 5.

히터(43)는, 관체(47)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전선(46)을 통해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발열 동작되는 발열수단으로서,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하는 공지의 전열히터(43), 특히 상술한 PTC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er 43 is a heat generating means that generates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operating power supplied through an electric wire 46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in a state connected to an end of the tube body 47.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well-known electrothermal heater 43 which makes energy convert into heat energy, especially the above-mentioned PTC heater.

히팅파이프(45)를 구성하는 관체(47)는, 중공을 가지고 내부가 밀폐되며 탄소강, 구리 및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을 가지는 통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공지의 전열수단인 히터(43)에 일단이 끼워져 히터(43)의 열이 관체(47)의 내부에 충전된 방열유체(48)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이처럼 관체(47)가 통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내부에 공기가 모두 제거되어 진공 상태가 된 후 후술하는 방열유체(48)만이 채워질 수 있다.The pipe body 47 constituting the heating pipe 45 may be formed in a tubular pipe structure having a hollow and hermetically sealed inside and having a material such as carbon steel, copper, stainless steel, and the like, and known heating means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in-heater 43 so that the heat of the heater 43 may be transmitted to the heat-dissipating fluid 48 filled in the inside of the tube 47. That is, when the tubular body 47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ular pipe as described above, only the heat-dissipating fluid 48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illed after all the air is removed to become a vacuum state.

방열유체(48)는, 이러한 통 파이프 형태의 관체(47)의 일단에서 히터(43)에 의해 증기화되어 관체(47)의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관체(47) 외부로 열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조성물질로서, 크게, 아세톤 50~62 중량부, 에탄올 10~15 중량부, 증류수 15~20 중량부, 중크롬산칼륨 5~10 중량부, 과붕산나트륨 3~6중량부, 음이온 분말 1~1.5 중량부 등을 포함한다.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is vaporized by the heater 43 at one end of the tubular pipe-like tubular body 47 and moves to the other end of the tubular body 47 while releasing heat and anion to the outside of the tubular body 47. As a large, 50 to 62 parts by weight of acetone, 10 to 15 parts by weight of ethanol, 15 to 2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dichromate, 3 to 6 parts by weight of sodium perborate, 1 to 1.5 parts by weight of anionic powder, etc. It includes.

또한, 방열유체(48)는, 상기 음이온 분말 1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0.005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further includes 0.005 parts by weight of surfactan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anionic powder.

상기와 같은 방열유체(48)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혼합 조성되는데, 먼저 상기 증류수를 85℃로 가열하여 상기 중크롬산칼륨 및 과붕산나트륨과 혼합하여 투명해질 때까지 잘 섞어주고, 상기 증류수, 중크롬산칼륨, 과붕산나트륨 혼합액에 상기 음이온 분말을 혼합한다. 여기서, 상기 중크롬산칼륨(기화점 398℃)과 과붕산나트륨(기화되기 어려움)은 상온(常溫) 및 상압(常壓)에서 안정화되어 고온에서 유리하다. 이후, 상기 음이온 분말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 0.005 중량부를 넣어준다. 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고분자 집합체로써, 나노급 음이온 분말이 분산될 때 상기 계면활성제가 상기 음이온 분말 입자를 감싸 상기 음이온 분말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음이온 분말이 혼합된 혼합액에 나머지 아세톤과 에탄올을 혼합한다. 상기 아세톤(기화점 56.5℃)과 에탄올(기화점 78.32℃)은 낮은 온도에서 기화되므로 빠르게 열을 운반할 수 있다. 여기서, 방열유체(48)의 음이온 분말의 양은 히팅파이프(45)의 규모 및 작동유체의 양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으나, 효과적인 열전달 및 음이온 발생을 위하여 상기 혼합 비율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이, 상기 음이온 분말 입자의 침전을 방지하여 방열유체(48)가 관체(47)의 내부에서 순환할 때 균일하게 분포되어 관체(47)의 전체 면적으로 고르게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heat-dissipating fluid 48 as described above is a mixed composition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distilled water is heated to 85 ℃ mixed with potassium dichromate and sodium perborate until the mixture becomes clear, the distilled water, dichromic acid The anion powder is mixed with a potassium and sodium perborate mixture. Here, the potassium dichromate (vaporization point 398 ℃) and sodium perborate (difficult to vaporize) is stabilized at room temperature (상) and atmospheric pressure (常壓) is advantageous at high temperatures. Then, 0.005 parts by weight of the surfactant is added to 1 part by weight of the anion powder. Here, the surfactant is a cationic polymer aggregate, and when the nano-grade anionic powder is dispersed, the surfactant surrounds the anionic powder particles to prevent the anionic powder from being precipitated. Thereafter, the remaining acetone and ethanol are mixed in the mixed solution in which the anion powder is mixed. The acetone (vaporization point 56.5 ℃) and ethanol (vaporization point 78.32 ℃) is vaporized at a low temperature it can be transported heat quickly. Here, the amount of the anion powder of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ting pipe 45 and the amount of the working fluid, but it is preferable to follow the mixing ratio for effective heat transfer and anion generation. Thu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circulates inside the tubular body 47 by preventing precipitation of the anion powder particles, the anion may be evenly genera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tubular body 47. .

반면, 단순히 방열유체(48)에 음이온 분말을 포함시킬 경우, 음이온 분말이 침전되거나 관체(47)의 내부에서 어느 한쪽으로 쏠려 관체(47)의 외부로 균일하게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방열유체(48)의 주역할인 열전달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음이온의 발생 및 그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nion powder is simply included in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the anion powder may not be precipitated or may be directed toward ei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tubular body 47 to uniformly generate anion out of the tubular body 47.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the main role of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may be reduced,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generation of anions and the effects thereof.

이에, 방열유체(48)에 포함되어 있는 음이온 분말은 관체(47)의 내부에서 순환하고, 관체(47)의 외부로 음이온이 발생되는 히팅파이프(45)는 인체에 작용하여 혈액의 정화, 저항력 증가, 자율신경계 조절 등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킨다.Thus, the anion powder contained in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circulates inside the tubular body 47, and a heating pipe 45 in which negative ions are generated outside the tubular body 47 acts on the human body to purify and resist blood. Effects such as increase, autonomic nervous system regula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열유체(48)에는, 상기 조성물질 이외에, 방열유체(48)의 조성물질들이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돌발적으로 끓어오르는 현상(돌비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돌비현상억제결정체가 더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발열 기능 제공시 조성물질들이 과가열되어 관체(47)의 내부 압력이 급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체(47)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heat dissipating fluid 4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ng fluid 48 is heated to a boiling point or more, thereby preventing a sudden boiling phenomenon (dolby phenomen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mix, and through this, the composition materials are prevented from being overheated when the exothermic function is provided, thereby preven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ubular body 47 from expanding rapidly,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tubular body 47.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끓임쪽이나 비등석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체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 중크롬산칼륨, 과붕산나트륨, 음이온 분말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좋다.The Dolby phenomenon inhibiting crystals include at least one of boiling or boiling stone crystals, and more preferab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cetone, ethanol, distilled water, potassium dichromate, sodium perborate, and anionic powder. 5 to 10 parts by weight is preferably mixed.

여기서,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입자크기가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방열유체(48)의 내부에 고르게 혼합 및 분포되는 것이 좋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lby phenomenon inhibiting crystals have a particle size of 1 mm or less, and through this, it is preferable to be evenly mixed and distributed inside the heat radiation fluid 48.

또한, 상기 돌비현상억제결정체가 방열유체(48)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돌비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다공의 개수가 현저히 적어 방열유체(48) 조성물질들의 과가열 방지 효과가 극히 미약하게 나타나게 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돌비현상 억제 효과가 증가하게 되지만 끓임쪽이나 비등석이 결정체 형태를 가지는 특성상 관체(47)의 중공에서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커지게 되어 방열유체(48)의 과열시 발생되는 고압 팽창시 관체(47)의 팽창률이 커지게 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dolby phenomenon inhibiting crystal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qu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the number of pores for suppressing the dolby phenomenon is significantly less, so that the overheating of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compositions The effect of prevention is extremely weak, and when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dolby phenomenon is increased, but the volume occupied in the hollow of the tubular body 47 becomes large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boiling side or boiling stone has a crystalline form. When the high pressure expansion generated during overheating of the 48, the expansion ratio of the tubular body 47 increases, which causes a problem of damage.

이에,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방열유체(48)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정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Thus, the dolby phenomenon inhibiting crystals are preferably included to have a critical significance of 5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파이프(45)의 다른 예를 설명하면, 히팅파이프(45)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관체(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플렉시블한 관체(47)의 내부에 충전되고 관체(47)에 구성되는 히터(43)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방열유체(48)가 포함될 수 있음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xample of the heating pipe 45 will be described. The heating pipe 45 may include a tubular body 47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inside of the flexible tubular body 47 may be described. I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that the heat-dissipating fluid 48 that is filled in and heated by the heater 43 configured in the tubular body 47 to generate heat energy may be included.

이 경우 관체(47)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통하여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는 호스나 파이프로서, 가벼우면서도 설치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굴곡을 가지면서 배관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tubular body 47 is a hose or pipe having a flexible property through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and is light and easy to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so that the pipe can be curved.

여기서, 플렉시블한 관체(47)는, 내부에 충전되는 방열유체(48)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재(미도시)가 결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재(미도시)는 고온에서도 변형이 없는 실리콘이나 테프론 재질로 제조된 상태에서, 스프링밴드 등에 의해 관체(47)의 단부에 압착 고정되는 것이 좋다.Here, the flexible tube 47 is coupled with a sealing member (not shown)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heat-dissipating fluid 48 filled therein, more preferably, the sealing member (not shown) deforms even at high temperatures. In a state made of silicon or Teflon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tubular body 47 is press-fitted by a spring band or the like.

히터(43)는, 플렉시블한 관체(47)의 내부 또는 단부에 구성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전손(46)을 통해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발열 동작되는 발열수단으로서, 양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하는 공지의 전열히터(43) 즉, 상술한 PTC 히터일 수 있다.The heater 43 is a heat generation that generates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operat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front loss 46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in a state configured at the inside or the end of the flexible tube 47. As a means, it may be a known electrothermal heater 43, that is, the above-described PTC heater so that the electrical energy is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when power of different polarity is input to both ends.

방열유체(48)는, 플렉시블한 관체(47)의 내부에 가득 충전되고 히터(43)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조성물질로서, 크게, 증류수 4 내지 12 중량%, 1,2-프로필렌글리콜(1,2-propyleneglycol ; HOCH2CH3CHOH) 88 내지 96 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 C6H15NO3) 0.0042 내지 0.0046 중량%, 메틸벤조트리아졸(5-methylbenzole ; C7H7N3) 0.00035 내지 0.00045 중량% 및 삼폴리인산나트륨(sodiumtripolyphosphate ; Na5P3010) 0.00028 내지 0.00032 중량% 등을 포함한다.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is a composition that is filled in the flexible tube 47 and heated by the heater 43 to generate heat energy.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is largely 4 to 12%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and 1,2-propylene glycol. (1,2-propyleneglycol; HOCH2CH3CHOH) 88 to 96% by weight, triethanolamine (C6H15NO3) 0.0042 to 0.0046% by weight, methyl benzotriazole (5-methylbenzole; C7H7N3) 0.00035 to 0.00045% by weight and sodium tripolyphosphate ( sodium tripolyphosphate; Na 5 P 3010) 0.00028 to 0.00032% by weight, and the like.

여기서, 1,2-프로필렌글리콜은 열전달 및 열교환을 위한 운반체 기능을 제공한다. Here, 1,2-propylene glycol provides a carrier function for heat transfer and heat exchange.

또한, 트리에탄올아민은 상기 조성물질들이 130℃ 이내에서 끓지 않도록 하고 약 -40 내지 130 ℃에서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플렉시블한 관체(47)의 내부 압력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에,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의 중량% 조절을 통하여 발열 온도의 상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 기능을 제공하는 매트 등에 활용되는 것이므로,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도 있는 만큼, 온열 효율을 최대화하면서 과열 등에 따른 화상 및 화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열유체(48)가 130℃까지만 가열되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iethanolamine provides a function to keep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exible tube 47 is stable by preventing the composition materials from boiling within 130 ℃ and phase change does not occur at about -40 to 130 ℃, Thus, the upper limit of the exothermic temperatur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triethanolamin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utilized in a mat or the like that provides a heat generating function, the heat-dissipating fluid 48 is only 130 ° C to prevent burns and fire due to overheating while maximizing the thermal efficiency as i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referred to be heated and used.

또한, 메틸벤조트리아졸은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methylbenzotriazole provides the function of preventing corrosion.

또한, 삼폴리인산나트륨은 관체(47)의 내주면에 이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sodium tripolyphosphate provides a function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being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47.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열유체(48)에는, 상술한 조성물질 이외에, 열에너지와 반응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발생결정체가 더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발열 기능 이외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생체세포 성장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이 더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heat radiation fluid 4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mix the far-infrared generating crystals that generate far-infrared rays and anions when reacting with the thermal energy, through which, far infrared rays and anions in addition to the heating function May be provided to further provide functions for promoting biological cell growth and health of the user.

원적외선발생결정체는, 맥반석, 숯, 황토, 코발트, 옥 및 게르마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체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류수, 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벤조트리아졸 및 삼폴리인산나트륨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좋다.Far-infrared crystals include crystals of at least one of elvan, charcoal, loess, cobalt, jade and germanium, and more preferably, the distilled water, 1,2-propylene glycol, triethanolamine, methylbenzotriazole and hemp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sodium polyphosphate is preferably mixed.

여기서, 원적외선발생결정체는, 입자크기가 1㎛ 내지 1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방열유체(48)의 내부에 고르게 혼합 및 분포되도록 한다. 또한, 입자크기가 1mm를 초과하게 되면 관체(47)가 직접 사용자의 몸무게 등에 의해 가압되어 부피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관체(47)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나, 입자크기가 1㎛ 내지 1mm인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ar-infrared crystals may have a particle size of 1 μm to 1 mm, and thus, may be uniformly mixed and distributed in the heat dissipating fluid 48. In addition, when the particle size exceeds 1mm, the tube body 47 is directly pressurized by the user's weight and the like, but if the volume change occurs, the tube body 47 may be torn or broken, but the particle size may be 1 μm or more. In the case of 1 mm, this problem can be prevented.

또한, 입자크기가 1㎛ 미만의 분말 타입을 가지게 되면 장시간 미사용시 관체(47)의 내부 하측부에 침전될 문제가 있으나, 입자크기가 1㎛ 내지 1mm인 경우 입자들 사이의 공극으로 인하여 방열유체(48)의 가열에 따른 팽창에 의해 쉽게 침전 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particle size has a powder type of less than 1㎛ there is a problem that will precipitate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tubular body 47 when not in use for a long time, when the particle size is 1㎛ to 1mm due to the gap between the particles heat dissipation fluid The settling state can be easily solved by expansion due to the heating of (48).

또한, 상기 원적외선발생결정체가 방열유체(48)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원적외선 발생량이 적어서 원적외선을 통한 찜질 효과 등이 극히 미약하게 나타나게 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적외선 찜질 효과가 증가하게 되지만 원적외선발생결정체가 분말 형태를 가지는 특성상 관체(47)의 중공에서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커지게 되어 방열유체(48)의 과열시 발생되는 고압 팽창시 관체(47)의 팽창률이 커지게 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ar-infrared crystals are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heat-dissipating fluid 48, the amount of far-infrared rays is generated so that the effect of steaming through the far-infrared rays is extremely weak, and exceeds 40 parts by weight. In the far infrared poultice effect increases but the volume of the far-infrared crystals in the form of powd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that occupy in the hollow of the tubular body 47 becomes large so that the high pressure expansion of the tubular body 47 during the high-temperature expansion generated when the heat radiation fluid 48 The expansion rate is increased, which causes a problem of damage.

이에, 상기 원적외선발생결정체는 방열유체(48)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정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Thus, the far-infrared ray generating crystals are preferably included to have a critical significance of 10 parts by weight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heat-dissipating fluid 48.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열유체(48)에는, 상술한 조성물질 이외에, 방열유체(48)의 조성물질들이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돌발적으로 끓어오르는 현상(돌비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돌비현상억제결정체가 더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발열 기능 제공시 조성물질들이 과가열되어 관체(47)의 내부 압력이 급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체(47)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dissipating fluid 4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the composition of the heat dissipating fluid 48 is heated to a boiling point or more to prevent the sudden boiling (dolby phenomenon) dolby phenomenon suppressed crystals It is preferable that the mixture be further mixed,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tubular body 47 by preven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ubular body 47 from expanding rapidly due to overheating of the compositions when providing the exothermic function.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끓임쪽이나 비등석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체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벤조트리아졸 및 삼폴리인산나트륨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좋다.The dolby phenomenon inhibiting crystals include at least one of boiling or boiling crystals, and more preferably, distilled water, 1,2-propylene glycol, triethanolamine, methylbenzotriazole and sodium tripolyphosphate are mixed.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terial is preferably mixed.

여기서,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입자크기가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방열유체(48)의 내부에 고르게 혼합 및 분포되는 것이 좋고 관체(47)가 직접 사용자의 몸무게 등에 의해 가압되어 부피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관체(47)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Here, the Dolby phenomenon inhibiting crystals, the particle size is preferably 1mm or less, through which, it is good to be evenly mixed and distributed inside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the tubular body 47 is directly pressurized by the user's weight and the like to change the volume If it occurs, it is good to prevent damage such as torn or broken tubular body 47.

또한, 상기 돌비현상억제결정체가 방열유체(48)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돌비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다공의 개수가 현저히 적어 방열유체(48) 조성물질들의 과가열 방지 효과가 극히 미약하게 나타나게 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돌비현상 억제 효과가 증가하게 되지만 끓임쪽이나 비등석이 결정체 형태를 가지는 특성상 관체(47)의 중공에서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커지게 되어 방열유체(48)의 과열시 발생되는 고압 팽창시 관체(47)의 팽창률이 커지게 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dolby phenomenon inhibiting crystal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quality of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the number of pores for suppressing the dolby phenomenon is significantly less, so that the overheating of the heat dissipation fluid 48 compositions The effect of prevention is extremely weak, and when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dolby phenomenon is increased, but the volume occupied in the hollow of the tubular body 47 becomes large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boiling side or boiling stone has a crystalline form. When the high pressure expansion generated during overheating of the 48, the expansion ratio of the tubular body 47 increases, which causes a problem of damage.

이에, 상기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방열유체(48)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정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Thus, the dolby phenomenon inhibiting crystals are preferably included to have a critical significance of 5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heat-dissipating fluid 48.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히팅파이프(45)를 이용하는 경우 그 히팅파이프(45) 가장자리 즉, 관체(47)의 일단부에만 발열 동작을 위한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짐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관체(47) 중앙 부분에는 전자파 발생이 최소화되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도 최소화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heating pipe 45 having such a structure, sinc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only at one edge of the heating pipe 45, that is, at one end of the tubular body 47, the central part of the tubular body 47 is mainly used.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minimized, so that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can be minimized.

특히 히팅파이프(45)의 관체(47) 내부의 발열 유체(48)는 히터에 의한 가열에 따라 발열유체가 기체로 전환하면서 관체(47)상에서의 빠른 열 전도 특성을 보이고 이에 따라 전기세 절감 효과가 크게 된다. 특히 가열된 관체(47)는 외부로 복사열을 방출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exothermic fluid 48 inside the tubular body 47 of the heating pipe 45 exhibits rapid heat conduction characteristics on the tubular body 47 as the exothermic fluid is converted to gas according to the heating by the heater, thereby reducing the electricity bill. It becomes big. In particular, the heated tube 47 emits radiant heat to the outside.

한편, 제1 완충재(50)는 본넬 스프링(30) 상부로 적층 구성되고, 히팅파이프(45)로부터 방열된 열을 그 상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material 50 is configured to be laminated to the bonnell spring 3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ferr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ing pipe 45 to the upper portion.

이를 위해 제1 완충재(50)는 망사 형태로 편직되고 상층과 하층 및 상하층의 이격된 공간 사이를 모노필라멘트사로 세로로 연결되도록 결합된 3층 구조의 3D 메쉬(일 예로 두께는 0.4cm - 3cm) 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is knitted in the form of a mesh, and a three-layer 3D mesh (for example, a thickness of 0.4 cm to 3 cm) coupled to be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spaced spaces of upper and lower layers and upper and lower layers by monofilament yarns.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즉, 제1 완충재(50)를 일반적인 부직포는 기타 패브릭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발열부(40)에서 방출되는 열이 위쪽으로 전달되기가 어렵다. 그러나 3D 메쉬와 같이 망사 형태로 편직되며 상층과 하층 및 상하층의 이격된 공간 사이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발열부(40)에서 방출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상부쪽으로 관통 및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general nonwoven fabric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is formed of other fabric material, heat emitted from the heat generating part 40 is hardly transmitted upward. However, in the case of knitting in the form of a mesh like a 3D mesh and spaced apart from the space between the upper layer and the lower layer and the upper and lower layers,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generating part 40 can be effectively penetrated and transferred upward.

특히 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경우라면 부직포와 같은 패브릭 재질 역시 열을 통과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관체와 발열 유체를 이용한 구조)를 갖는 히팅파이프(45)의 경우에는 직전 열전달을 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 복사열을 방출하는 것이므로 부직포와 같은 패브릭 재질을 관통하여 열이 전달되기는 쉽지 않다.In particular, if heat is transferred by conduction, a fabric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may also allow heat to pass therethrough, but in the case of the heating pipe 45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tructure using a tubular body and a heating fluid), immediately before It is not easy to transmit heat through the fabric material such as non-woven fabric because it radiates radiant heat to the outside rather than heat transfer.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완중채(50)를 3D 메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히팅파이프(45)에서 방출된 복사 열이 쉽게 3D 메쉬를 관통하여 외부(침대에 누운 사람)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first gentle fruit 50 as a 3D mesh as in this embodiment, the radiant heat emitted from the heating pipe 45 can be easily transmitted through the 3D mesh to the outside (the person lying in bed). will be.

특히 3D 메쉬는 그 구조상 통기과 원할히 이루어져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서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도 건강에 이롭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3D mesh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beneficial to health because it is made of a ventilation and smooth in structure, and does not inhabit bacteria or fungi.

이러한 3D 메쉬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3D 메쉬의 구조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데, 3D 메쉬 대신에 또는 3D 메쉬와 더불어 방염원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3D mesh is as shown in Figure 6, the structure of the 3D mesh itself is a known technique,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stead of the 3D mesh or in addition to the 3D mesh flame retardant may be used.

한편, 포켓 스프링(60)은 제1 완충재(50)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본넬 스프링(30)과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cket spring 60 is disposed on top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and performs a complementary fun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bonnell spring 30.

즉, 본넬 스프링(30)의 경우 금속 코일을 둥글고 크게 연결해 탄력이 강하고 그만큼 수명도 길고 또한, 단단한 타입이라 누웠을 때 안정감이 있지만, 판 구조라 충격에 약해 오래 사용하면 스프링이 주저앉게 되는 반면, 포켓 스프링(60)의 경우에는 부직포로 각각의 스프링을 감싸 만들어 옆 사람의 뒤척임이 전달되지 않아 좋은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포켓 스프링(60)의 경우 쿠션감이 좋지만, 본넬 스프링(30)과 비교했을 때 스프링 자체가 부드러워 수명이 더 짧은 단점이 있을 수는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bonnell spring 30, the metal coil is rounded and largely connected, and its elasticity is long, and its life is long, and it is a solid type, so there is a sense of stability when lying down. In the case of (60), each spring is wrapped with a non-woven fabric so that the torsion of the person next to it is not transmitted so that a good sleep can be obtain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cket spring (60) is good cushioning, compared to the bonnell spring 30, the spring itself is soft, there may be a shorter lifespan disadvantage.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제1 완충재(50)를 사이에 두고 본넬 스프링(30)과 포켓 스프링(60)을 배치하게 되면, 상술한 각 스프링 고유의 특징들이 결합됨으로써, 장점이 배가된다.However, when the bonnell spring 30 and the pocket spring 60 are disposed with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advantages of the respective springs are combined, thereby increasing the advantages.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포켓 스프링(60)은 독립 스프링이라 할 수도 있다.Due to this feature, the pocket spring 60 may be referred to as an independent spring.

제2 완충재(70)는 포켓 스프링(60) 상단에 배치되고 발열부(40)에서 방출되는 열기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1 완충재(50)와 마찬가지로 3D 메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shock absorbing material 7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pocket spring 60 and has a form having at least one vent to allow the heat discharged from the heat generating part 40 to pass therethrough, similarly to the first shock absorbing material 50 described above. It is preferred to consist of a 3D mesh.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장 최소한으로 필요한 구성만을 언급하였으나, 본넬 스프링(30)과 제1 완충재(50) 사이에 추가적으로 압축펠트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압축 펠트는 본넬 스프링(30)과 제1 완충재(50) 사이에 별도의 층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열 전달 효율을 높이면서도 제1 완충재(5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제1 완충재(50)의 주변만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minimum necessary configuration is mentioned, but a compression felt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bonnell spring 30 and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In this case, the compression felt may be present as a separate layer between the bonnell spring 30 and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or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may be used for the firm fixing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50 while improving heat transfer efficiency.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surround only the periphery.

또한, 제2 완충재(70) 상부에는 부드러운 감촉 및 접촉 신체의 편안함을 위해 일종의 솜(예를 들어 하이바 패딩솜) 형성 층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7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kind of cotton (for example, high bar padding cotton) forming layer for a soft touch and comfort of contact body.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각 층들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체결구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 구성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layer may be mutually coupled by fastener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uch a coupling configuration itself corresponds to a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술한 제1 완충재(50) 및 제2 완충재(70)는 안락함을 위해 3D 메쉬가 몇 개의 겹으로 겹쳐진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buffer member 5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70 may be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3D mesh is stacked in several layers for comfort.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 : 지지부 20 : 단열재
30 : 본넬 스프링 40 : 발열부
50 : 제1 완충재 60 : 포켓 스프링
70 : 제2 완충재 45 : 히팅파이프
47 : 관체 48 : 방열유체
43 : 히터
10: support 20: heat insulating material
30: Bonnell spring 40: heat generating portion
50: first buffer 60: pocket spring
70: second cushioning material 45: heating pipe
47: tube 48: heat dissipation fluid
43: heater

Claims (7)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본넬 스프링과;
상기 복수 개의 본넬 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며 발열 기능을 제공하는 발열부와;
상기 본넬 스프링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방출되는 열기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구비된 제1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
A support;
A plurality of bonnell springs disposed above the support;
A heat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nnell springs and provid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Bed mattr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cushioning material disposed on the top of the bonnell spring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vent for passing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gener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재는 3D 메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a bed mattres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3D mes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재 상단에 배치되는 포켓 스프링과;
상기 포켓 스프링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에서 방출되는 열기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가 구비된 제2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2,
A pocket spring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buffer member;
The bed mattress further comprises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disposed on the top of the pocket spring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vent for passing the heat discharged from the heat gener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와 맞닿는 히팅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히팅파이프는, 내부가 밀폐되고 일단이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금속재질의 관체와; 관체의 내부에 충전되고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방열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체는, 아세톤 50~62 중량부, 에탄올 10~15 중량부, 증류수 15~20 중량부, 중크롬산칼륨 5~10 중량부, 과붕산나트륨 3~6중량부, 음이온 분말 1~1.5 중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generating portion, the cas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on the upper surface; A heater mounted in the case and generating heat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t comprises a heating pipe in contact with the heater,
The heating pipe may include a tu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one end of which is heated by the heater; A heat dissipation fluid charged inside the tube and heated by the heater to generate heat energy,
The heat dissipation fluid is 50 to 62 parts by weight of acetone, 10 to 15 parts by weight of ethanol, 15 to 2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5 to 10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dichromate, 3 to 6 parts by weight of sodium perborate, and 1 to 1.5 parts by weight of anionic powder. Bed mattress characterized by hav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체는, 상기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 중크롬산칼륨, 과붕산나트륨, 음이온 분말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되는 돌비현상억제결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t dissipating fluid further comprises a dolby-inhibiting crystals mixed in an amount of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acetone, ethanol, distilled water, potassium dichromate, sodium perborate, and anionic powder. Bed matt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파이프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충전되고 상기 관체에 구성되고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방열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유체는, 증류수 4 내지 12 중량%, 1,2-프로필렌글리콜(1,2-propyleneglycol ; HOCH2CH3CHOH) 88 내지 96 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 C6H15NO3) 0.0042 내지 0.0046 중량%, 메틸벤조트리아졸(5-methylbenzole ; C7H7N3) 0.00035 내지 0.00045 중량% 및 삼폴리인산나트륨(sodiumtripolyphosphate ; Na5P3010) 0.00028 내지 0.0003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pipe, the tube of flexible material; A heat dissipation fluid filled in the tubular body and configured in the tubular body and heated by the heater to generate thermal energy,
The heat dissipation fluid is 4 to 12%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1,2 to propylene glycol (1,2-propyleneglycol; HOCH2CH3CHOH) 88 to 96% by weight, triethanolamine (C6H15NO3) 0.0042 to 0.0046% by weight, methyl benzotriazole (5-methylbenzole; C7H7N3) 0.00035 to 0.00045 wt% and sodium tripolyphosphate (sodiumtripolyphosphate; Na5P3010) 0.00028 to 0.00032 w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d mattres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체는, 상기 증류수, 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벤조트리아졸, 삼폴리인산나트륨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되는 돌비현상억제결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6,
The heat-dissipating fluid further comprises a dolby phenomena suppressing crystal mixed with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distilled water, 1,2-propylene glycol, triethanolamine, methylbenzotriazole, and sodium tripolyphosphate. Bed mattr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KR1020190140421A 2019-11-05 2019-11-05 Mattress for bed KR201901397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421A KR20190139799A (en) 2019-11-05 2019-11-05 Mattress for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421A KR20190139799A (en) 2019-11-05 2019-11-05 Mattress for be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046U Division KR20190002332U (en) 2018-03-12 2018-03-12 Mattress for b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799A true KR20190139799A (en) 2019-12-18

Family

ID=6905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421A KR20190139799A (en) 2019-11-05 2019-11-05 Mattress for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979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510A (en) 2022-10-04 2024-04-12 황재칠 Functional b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510A (en) 2022-10-04 2024-04-12 황재칠 Functional b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2636A2 (en) Mattress having cooling and heating function
CN103767391A (en) Temperature-adjustable thermostatic pad warm in winter and cool in summer
KR20190002332U (en) Mattress for bed
KR20160036898A (en) A Jjimjilbang inside structrue
KR20140110331A (en) Indoor heating and ondol bed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KR20190139799A (en) Mattress for bed
KR100603740B1 (en) Electric heating mattress for bed
KR101517952B1 (en) Heating Mattress For Bed
CN201509955U (en) Far-infrared warm spring mattress
KR20190000944U (en) Heating structure for bed
KR20140088478A (en) Heating apparatus
CN213128827U (en) Cooling and heating dual-purpose cushion
KR20110132778A (en) Electric spring mattress with heating wire piipe
KR101841674B1 (en) Sand-based thermal support
CN208425793U (en) A kind of bed graphene heating curtain structure
KR200440593Y1 (en) A health thermotherapy Dutch wife
KR20180136162A (en) Heating structure
KR200414838Y1 (en) Couch having amphibole ceramics
CN209825959U (en) Bedding capable of remotely adjusting temperature
CN203789532U (en) Temperature adjustable constant temperature mat warm in winter and cool in summer
KR200272818Y1 (en) Mattress for bedding
KR200216147Y1 (en) electric heating gem stone cushion
JP3042314U (en) Far infrared radiation mat
CN220442311U (en) Far infrared carbon fiber heating pad
CN216832579U (en) Graphene heat-conducting film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