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497A -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497A
KR20190139497A KR1020180066065A KR20180066065A KR20190139497A KR 20190139497 A KR20190139497 A KR 20190139497A KR 1020180066065 A KR1020180066065 A KR 1020180066065A KR 20180066065 A KR20180066065 A KR 20180066065A KR 20190139497 A KR20190139497 A KR 20190139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oupled
suspension
coupling
speak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4921B1 (en
Inventor
이은호
Original Assignee
이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호 filed Critical 이은호
Priority to KR102018006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921B1/en
Publication of KR2019013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assembly, which comprises: a frame using a planar vibration plate, having the length of a long axial direction formed by at least three times longer than that of a short axial direction,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 vibration plate; an elastic edge coupled to an edge of the vibration plate; a single voice coil; a suspension coupled to the voice coil through a lower surface thereof, coupled to the vibration plate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coupled to the edge through an upper surfac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part, a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art; and a magnetic circuit coupled to the center of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 yoke, a magnet, and a plate. The suspension includes: a single first coupling part located at the center and coupled to the voice coil through a bottom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arts formed by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vibration plate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 third coupling par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edge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parts extending from each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and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not to be coupled to other parts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ion plate.

Description

서스펜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Suspension and speaker device including the same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장치 또는 통신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강화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여 음압레벨을 향상할 수 있는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that can be used in an imaging device 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assembly that can improve the sound pressure level, including a suspension for selectively enhancing the rigidity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will be.

TV, 모니터 등의 영상장치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스피커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일측에 매립되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스피커 조립체의 길이는 폭의 3배 이상으로 형성된다. 분할진동 문제가 적은 원형 진동판과 달리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30)의 진동판(31)은 장축방향 양단의 분할진동으로 인한 음향특성 저하가 심하게 발생한다. 도 29는 영상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장방형 스피커를 도시하고, Matsushita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89-269396호 "스피커"는 종래의 장방형 스피커 구조를 개시한다. 종래의 스피커 조립체(30)의 진동판(31)은 높은 강성을 갖는 콘(cone) 진동판(31)을 채택하여 장축방향 양단의 분할진동을 완화할 수 있었다.The speaker assembly used as a component of an image device such as a TV and a monitor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narrow width and a long length so as to be embedded in one side of the display. Typically the length of the speaker assembly is formed at least three times its width. Unlike a circular diaphragm having a small number of vibration problems, the diaphragm 31 of the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30 suffers from severe degradati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due to split vibrations at both ends of the long axis direction. Fig. 29 shows a conventional rectangular speaker used in an imaging apparatus,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89-269396 "Speaker" of Matsushita discloses a conventional rectangular speaker structure. The diaphragm 31 of the conventional speaker assembly 30 adopts a cone diaphragm 31 having a high rigidity to alleviate the split vibrations at both ends in the long axis direction.

후술하는 평면 진동판을 사용한 "슬림 스피커(slim speaker)"와 구별하기 위해 콘 진동판(31)을 사용한 종래의 스피커 조립체는 "제너럴 스피커(general speaker)"로 통용된다. 콘 진동판(31)은 강성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원뿔 형상으로 인해 스피커 조립체(30) 높이가 높은 문제가 있다. 통상적인 제너럴 스피커(30)는 길이(L) 120 mm 이상, 폭(W) 30 mm 이상, 높이 30 mm 이상의 큰 규격을 갖는다. 따라서 제너럴 스피커(30)는 미려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평판 TV 등의 영상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The conventional speaker assembly using the cone diaphragm 31 to distinguish it from a "slim speaker" using a flat diaphragm described below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general speaker". The cone diaphragm 31 has the advantage of high rigidity, but has a problem of high speaker assembly 30 due to the conical shape. The typical general speaker 30 has a large size of 120 mm or more in length L, 30 mm or more in width W, and 30 mm or more in height. Therefore, the general speaker 30 is not suitable for a video device such as a flat panel TV that pursues a beautiful design.

이에 따라 콘 진동판(31)이 아닌 평면 진동판을 사용하여 스피커 조립체를 소형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평면 진동판은 콘 진동판(31)에 비해 진동판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장축방향 양단의 분할진동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이스코일 및 자기회로로 구성되는 구동계 크기를 확대하는 방법과 구동계 수를 늘리는 방법이 제안되었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miniaturize the speaker assembly by using a flat diaphragm rather than the cone diaphragm 31. However, the flat diaphragm has a problem in that the split vibration of both ends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further increased since the diaphragm rigidity is inferior to that of the cone diaphragm 31.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enlarging the size of the drive system composed of the voice coil and the magnetic circuit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drive coefficient have been proposed.

Panasonic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7-200891호 "스피커" 및 Panasonic의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590403호 "스피커", 한국토프톤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5530호 "장방형 슬림스피커에 적용되는 격판을 갖는 진동판"은 극단적으로 확대된 구동계가 평면 진동판을 구동하는 스피커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진동판의 장축방향 양단에 직접 구동력이 전달되어 분할진동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첫째, 보이스코일 크기 증가로 인해 진동계 질량이 무거워져 스피커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자석 크기 증가에 따라 스피커 조립체의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가격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영상장치에 사용되는 스피커 조립체는 개당 $ 0.5 내지 $ 1.5 의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제조원가 중 자석 부품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30% 정도이기 때문에 자석 크기 증가로 인한 가격 증가는 스피커 조립체의 가격경쟁력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The diaphragm applied to Panasonic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7-200891 "Speaker" and Panasonic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4590403 "Speaker" and Korean Topt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65530 "Rectangle Slim Speaker" Having a diaphragm "discloses a speaker assembly in which an extremely enlarged drive system drives a planar diaphragm.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driving for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both ends of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diaphragm, thereby reducing the divided vibration. However, first, due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oice coil, the mass of the vibration system is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eaker efficiency is lowered. Second, as the size of the magnet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peaker assembly increases, which lowers the price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the speaker assemblies used in the imaging device are traded at a low price of $ 0.5 to $ 1.5 per unit, and the price of the magnet parts accounts for about 30% of the manufacturing cost. Severely degrades.

삼성전자의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9-0001812호 "프레임 일체형 다중자기회로 스피커", Panasonic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89-027399호 "사각형 평면스피커" 및 Panasonic의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613881호 "스피커"는 복수의 구동부들이 평면 진동판을 구동하는 스피커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진동판 장축방향의 양단에 인접한 위치에 구동계들이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분할진동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진동판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종래의 패브릭 소재의 주름 댐퍼(32, corrugated damper)를 사용하는 문제가 있다. 주름 댐퍼(32)는 보이스코일을 관통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자기회로, 댐퍼, 진동판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보빈의 길이가 길어져 스피커 조립체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Korean Electron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89-0001812 by Samsung Electronics, "Frame integrated multi-magnetic circuit speaker",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89-027399 "Square Plane Speaker" and Panasonic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613881 "Speaker" discloses a speaker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drives drive a planar diaphragm.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driving systems are located at positions adjacent to both ends in the diaphragm long axis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eviating the divided vibra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using a corrugated damper 32 of a conventional fabric material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Since the corrugated damper 32 penetrates through the voice coi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ngth of the bobbin is increased to avoi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magnetic circuit, the damper, and the diaphragm, there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speaker assembly.

Kenwood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327491호 "스피커", 진영지앤티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199호 "장방형 박막스피커" 및 범진아이엔디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3559호 "슬림형 스피커"는 평면 서스펜션을 사용한 슬림 스피커 구조를 개시한다. 평면 서스펜션은 평면 진동판의 저면과 직접 결합하고, 보빈을 관통하지 않고 보빈의 상면과 결합하기 때문에 스피커 조립체의 높이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현재 상용화된 평면 진동판 및 평면 서스펜션을 사용한 슬림 스피커의 한 종류는 길이(L) 85 mm, 폭(W) 18 mm, 높이 13 mm의 컴팩트한 규격을 갖는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8-327491, "Speaker" by Kenwoo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1199 by Jin Young G & T, "Rectangle Thin Film Speaker"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63559 "Bumjin ID" Slim speaker "discloses a slim speaker structure using a planar suspension. The planar suspension is direct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lat diaphragm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bobbin without penetrating the bobbin, there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speaker assembly. For example, one type of slim speaker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flat diaphragms and flat suspensions has a compact size of 85 mm in length (L), 18 mm in width (W) and 13 mm in height.

한편, 콘 진동판에 비해 약한 평면 진동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볼록한 형상의 입체적인 강성 보강구조를 채택하여 분할진동을 다소 완화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너럴 스피커(30)에서 사용되는 저가의 페라이트 자석(33, Ferrite Magnet)이 아닌 고가의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을 채택하여 소형의 자석으로 충분한 구동력을 진동판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by adopting a three-dimensional rigid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vex shape as a method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lat diaphragm weaker than the cone diaphragm, the split vibration can be alleviated somewhat. In addition, an expensive neodymium magnet is used instead of a low-cost ferrite magnet 33 used in the general speaker 30 to transmit sufficient driving force to the diaphragm as a small magnet.

그런데, 네오디뮴 자석은 페라이트 자석 보다 높은 자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페라이트 자석 보다 낮은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로 인해 고온환경에서 감자(demagnetizaion)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네오디뮴 자석은 희토류 원소를 원료로 하여 가격이 비싸고 높은 가격 변동성을 갖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2011년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인해 네오디뮴 자석의 가격이 단기간에 11배 폭등한 바 있다. 따라서 복수의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하는 종래의 슬림 스피커는 높은 가격과 높은 가격 변동성을 갖는 문제가 있다.However, neodymium magnets have an advantage of providing higher magnetic force than ferrite magnets, but have a disadvantage in that demagnetizaion occurs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due to a lower Curie Temperature than ferrite magnets. In addition, neodymium magnets have a problem of high price volatility and high price volatility using rare earth elements as raw materials. Indeed, due to China's limited rare earth exports in 2011, the price of neodymium magnets soared 11 times in the short term. Therefore, a conventional slim speaker using a plurality of neodymium magnets has a problem of high price and high price volatility.

또한, 종래의 슬림 스피커는 복수의 구동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석 뿐 아니라 보이스코일, 보빈, 플레이트, 요크의 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lim speaker uses a plurality of drive systems, the number of voice coils, bobbins, plates, and yokes increases as well as magnets, resulting in high manufacturing costs,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es, and high manufacturing costs. .

마지막으로, 복수의 보이스코일을 사용한 종래의 슬림 스피커는 단일의 진동판에 복수의 구동계가 구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진동 간의 간섭으로 인해 음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Lastly, in the conventional slim speaker using a plurality of voice coils, since a plurality of driving systems transmit driving power to a single diaphragm, there is a problem that sound distortion occur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vibrations.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영상장치의 부품 스피커로서 제너럴 스피커(30)가 현재까지도 주로 사용되고, 슬림 스피커는 미려한 디자인이 중요한 고가의 영상장치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한계가 있다.Due to these problems, the general speaker 30 as a component speaker of the imaging device is still used mainly, and the slim speaker is limited to being used only for an expensive imaging device in which a beautiful design is important.

따라서, 종래의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와 같은 컴팩트한 크기를 가지면서 단순화된 구조와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갖는 새로운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구동계의 크기 증가 없이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기술적 문제가 존재한다. 첫째는 낮은 음압레벨(SPL : Sound Pressure Level)이고, 둘째는 장축방향 양단의 분할진동 문제이고, 셋째는 높은 발열로 인한 감자문제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having a compact size and a high cost competitiveness while having the same compact size as a conventional multi drive system slim speaker. Three technical problems exist to implement a single driveline slim speaker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riveline. The first is a low sound pressure level (SPL), the second is a split vibration problem at both ends of the long axis, and the third is a potato problem due to high heat generation.

단일 구동계는 구동력이 진동판 중앙에 집중되어 진동판 전체면적을 구동시키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진동판은 강체(rigid body)로서 진동판 전역이 피스톤 진동을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런데 강성이 낮은 장방형 평면 진동판의 중앙에 구동력이 집중되는 단일 구동계 환경에서는 진동원에서 멀리 떨어진 진동판 양단 부근까지 충분한 진동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진동판의 진동변위가 불충분해 전체적인 음압레벨이 떨어지거나 음압레벨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다.In a single drive system, the driving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diaphragm, so that it is difficult to drive the entire diaphragm area. In general, the diaphragm is a rigid body, and ideally, the entire diaphragm vibrates with a piston. However, in a single drive system environment in which driving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low rigid rectangular flat diaphragm, sufficient vibration energy is not transmitted to both ends of the diaphragm far from the vibration sourc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bration displacement of the diaphragm is insufficient and the overall sound pressure level falls or the sound pressure level is uneven.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진동판은 진동원에 인접한 중앙영역은 높은 강성을 가져 진동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진동원에서 떨어진 양단 부근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가져 적은 진동에너지로도 중분한 진동변위를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주)슬리비스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0365호 "스피커 장치의 진동판"은 진동판 중앙에 형성된 오목부의 높이가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오목부에 인접해 형성된 볼록부의 높이가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진동판 구조에 따르면 중앙부는 높은 강성을 갖고 양단부는 비교적 낮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diaphragm of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has high stiffness in the center area adjacent to the vibration source to minimize vibration energy loss, and relatively low stiffness at both ends away from the vibration source. It is configured to secure one vibration displace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60365 of Slivis Co., Ltd. "Diameter of Speaker Device" has a height of a concave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increasing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and a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concave portion is both ends at the center. The structure is lowered toward the start. According to the diaphragm structure, since the center portion has high rigidity and both ends have relatively low rigidity,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can be increased.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진동판 양단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해당영역에서의 비틀림 진동을 포함한 분할진동의 영향이 커져 특정영역에서 음압레벨이 국소적으로 급감하는 딥(dip)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진동판 양단의 비틀림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주)슬리비스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9264호 "진동판 조립체"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896호 "진동판 조립체"는 장축방향 양 끝단에 연장부가 형성된 진동판을 개시한다. 이러한 진동판 구조에 따르면 연장부가 진동판 양단에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하고 비틀림을 억제하여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분할진동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stiffness of both ends of the diaphragm is relatively low, the influence of the split vibration including the torsional vibration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s increased, thereby causing a dip problem in which the sound pressure level is locally dropped in a specific reg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torsional vibrations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9264 "Vibration Plate Assembly"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64896 "Vibration Plate Assembly" of Sleevis Co., Ltd. disclose a vibration plate having extensions at both ends in the long 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aphragm structure, the extension part can provide additional restoring force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and suppress the torsion, thereby alleviating the effect of the split vibration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주)슬리비스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7813호 "슬림 스피커의 진동판과 엣지 연결 구조"는 양단에 추가된 연장부와 엣지 사이에 점탄성재를 도포한 진동판을 개시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따르면 진동판 연장부에 도포된 점탄성재는 비틀림 진동을 포함한 분할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분할진동 영향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37813 to "Slibis Co., Ltd." discloses a diaphragm coated with a viscoelastic material between an extension and an edge added to both ends. According to this connection structure, the viscoelastic material applied to the diaphragm extension portion can effectively absorb the split vibration including torsional vibration, thereby further alleviating the split vibration effect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다음으로,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는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에 비해 발열에 취약하다. 예컨대 2개의 보이스코일이 병렬로 연결된 종래의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는 열저항이 각 보이스코일에 분배되어 연속 구동시 스피커 내부온도는 120℃까지만 상승하는 반면, 단일 보이스코일을 사용하고 별도 방열구조가 없는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는 열 저항이 단일에 보이스코일에 집중되어 연속 구동시 스피커 내부온도가 200℃ 이상으로 상승한다. 슬림 스피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 제약으로 인해 고출력의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하는데, 네오디뮴 자석은 200℃ 사용환경에서 심각한 감자가 발생한다. 따라서 장시간 구동시 스피커 출력특성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영상장치용 부품 스피커는 96시간 동안 정격입력 구동시 특성변화를 검사하는 신뢰성 테스트 기준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에 적합한 효율적인 방열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Next,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is more susceptible to heat generation than the multiple drive system slim speaker. 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multi-drive type slim speaker in which two voice coi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thermal resistance is distributed to each voice coil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eaker increases only up to 120 ° C during continuous driving, while using a single voice coil and no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the thermal resistance is concentrated on the voice coil in a single unit,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eaker rises above 200 ° C in continuous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lim speaker uses a high power neodymium magnet due to space constraints, and the neodymium magnet generates severe potatoes in a 200 ° C environmen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speaker output characteristics deteriorate when driving for a long time. The component speaker for the imaging device must pass the reliability test criteria that checks the characteristic change during the rated input drive for 96 hours. Thi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heat dissipation structure suitable for a single drive slim speaker.

종래의 부품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제너럴 스피커(30)는 열에 강한 페라이트 자석을 사용하고, 종래의 슬림 스피커는 열이 분산되는 복수 구동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방열구조가 고려되지 않았다. 스피커 방열구조는 주로 높은 구동전력으로 구동되는 고출력 스피커에서 고려되었다. 고출력 스피커는 영상장치 부품용 스피커와 비교하여 공간의 제약과 제조비용의 제약이 적기 때문에 고가의 방열소재를 사용하거나 복잡한 방열구조물을 추가하거나 부피가 큰 히트싱크를 부가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지만, 이러한 방열구조는 공간 및 제조비용의 제약이 큰 영상장치용 부품 스피커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component speaker assembly, the general speaker 30 uses ferrite magnets resistant to heat, and the conventional slim speaker uses a plurality of drive systems in which heat is dissipated, so that a special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not considered. Speaker heat dissipation is mainly considered for high power speakers driven by high driving power. High-powered speakers have less space and manufacturing cost constraints than speakers for video device components, so they use expensive heat-resistant materials, add complex heat-resistant structures, or add bulky heatsinks. The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component speaker for the image device having a large constraint of space and manufacturing cost.

(주)슬리비스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0363호 "스피커 장치"는 요크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는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스피커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라디에이터는 요크와 직접 접촉하여 스피커 조립체 내부의 열을 전도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60363 of "Sleevis Co., Ltd." discloses a speaker assembly including a radiator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yok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radiato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yoke and has the effect of quickly dissipating heat inside the speaker assembly through conduction.

한편,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에 있어서 진동판 구조에 더불어 서스펜션을 통해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스펜션은 진동판에 기계적 복원력을 제공하는 한편 진동판의 저면과 결합하여 진동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Meanwhile, in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center portion through the suspension in addition to the diaphragm structure. The suspension further provides a mechanical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while combining with the bottom of the diaphragm to further enhance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그런데, 종래의 제너럴 스피커(30)는 구동계가 중앙에 집중되어 있지만 콘형 진동판(31)의 강성이 높아 진동판(31) 양단에 비교적 충분한 진동 에너지가 전달되고, 종래의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는 강성이 낮은 평면 진동판을 사용하지만, 2개의 구동계가 각각 진동판 양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진동판 양단에 비교적 충분한 진동 에너지가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의 장방형 스피커 장치는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향상할 필요가 없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general speaker 30, the drive system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but the rigidity of the cone-shaped diaphragm 31 is high, so that sufficient vibration energy is transmitted to both ends of the diaphragm 31, and the conventional multiple drive system slim speaker has low rigidity. Although a planar diaphragm is used, relatively sufficient vibration energy is transmitted to both ends of the diaphragm because the two drive systems ar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diaphragm. Therefore,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speaker device does not need to selectively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center portion.

Pioneer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094092호 "스피커용 댐퍼", Pioneer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9-146488호 "콘형 스피커 유닛, 스피커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 스테레오 장치, 차량용 스테레오 장치", Panasonic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44997호 "스피커", 및 Panasonic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24769호 "댐퍼, 진동판 및 스피커 장치"는 콘형 진동판에 사용되는 나비 댐퍼(butterfly damper)를 개시한다. 나비 댐퍼는 종래의 패브릭 소재의 주름 댐퍼(corrugated damper)를 대치하는 것으로, 서스펜션과 유사하게 금속 등의 판재로 형성된다. 그러나 나비 댐퍼는 보빈을 관통하여 결합하고, 콘형 진동판에 사용되기 때문에 진동판 저면과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나비 댐퍼는 평면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향상할 수 없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8-094092 to Pioneer, " Damper for Speaker ",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9-146488 to Pioneer, "Cone type speaker unit, speaker system and display device, stereo device, car stereo device", Panasonic Japa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244997, "Speaker",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324769, "Damper, Diaphragm, and Speaker Device", disclose a butterfly damper for use in a cone-shaped diaphragm. The butterfly damper replaces a corrugated damper of a conventional fabric material, and is formed of a sheet of metal or the like similar to a suspension. But the butterfly damper penetrates through the bobbin and does not engage with the bottom of the diaphragm because it is used in a cone diaphragm. Therefore, the butterfly damper cannot selectively improve the rigidity at the center of the flat diaphragm.

엠소닉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2931호 "스피커의 서스펜션"은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에 사용되는 서스펜션을 개시한다. 이러한 서스펜션 구조에 따르면 서스펜션은 진동판 중앙부에는 결합하지 않고, 양 단부의 인근에만 결합하기 때문에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에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12931, "Suspension of Speakers," of Msonic discloses a suspension used for a multi-drive slim speaker. According to such a suspension structure, the suspension is not suitable for use in a single drive-type slim speaker because the suspension is no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diaphragm but only to the vicinity of both ends.

범진아이엔디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3559호 "슬림형 스피커" 및 진영지앤티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1550호 "장방형 서스펜션 및 이를 채용한 스피커 모듈"은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에 사용하는 다른 형태의 서스펜션을 개시한다. 이러한 서스펜션 구조에 따르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이 진동판 중앙부의 저면에 결합하지만 진동판 양단 부근에 서스펜션의 보이스코일 안착부 및 보강구조물이 결합하기 때문에 진동판 중앙부 보다 오히려 진동판 양단부의 강성이 더욱 보강되는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63559 of Bumjin I & D "Slim Type Speaker"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61550 of Jin Young G & T "Rectangle Suspension and Speaker Module Employing the Same" A suspension of the typ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is suspension structure, the suspension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as shown in FIG. 30, but the stiffness of both ends of the diaphragm is further reinforced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diaphragm because the voice coil seat and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suspension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iaphragm. There is a problem.

모토텍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6756호 "서스펜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및 (주)슬리비스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5932호 "스피커 장치용 서스펜션 및 이를 적용한 스피커 장치"는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에 사용하는 서스펜션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 결합부(61)가 진동판 중앙부에 결합하기 때문에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다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보이스코일 결합부(61)만으로는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충분히 보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진동판 및 프레임과 결합하지 않는 탄성지지부(62)가 프레임 결합부(63)에서 바로 보이스코일 결합부(61)로 연결되기 때문에 탄성지지부(62)는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보강에 기여하지 못한다.Mototech'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146756 "Suspension and Speaker Device Comprising It" and Slivis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25932 "Suspension for Speaker Device and Speaker Device Applying the Same" A suspension for use with a single drive slim speaker is disclos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voice coil coupling portion 61 is coupled to the diaphragm center portion as shown in FIG. 32,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center portion can be slightly increa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ly the voice coil coupling portion 61 cannot sufficiently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center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support 62 which is not coupled to the diaphragm and the fram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oice coil coupling portion 61 at the frame coupling portion 63, the elastic support 62 does not contribute to the rigid reinforcemen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89-269396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89-269396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7-200891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7-200891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590403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59040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553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65530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9-0001812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89-000181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89-027399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89-027399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613881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61388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327491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8-32749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199호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119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355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6355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0365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6036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9264호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926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89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6489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7813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3781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0363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6036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094092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8-09409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9-146488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1999-146488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44997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0-244997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24769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32476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293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1293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1550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61550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6756호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675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593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25932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는, 보이스코일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탄성지지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진동판 저면과 결합하는 강성보강부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을 통해 진동판 중앙영역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보강하여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을 증가하고 분할진동에 의한 영향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extends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center region through a suspension including a rigid reinforcement part extending from the voice coil coupling part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to provide a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The objective is to increase sound pressure levels and mitigate the effects of split vibra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은, 평면형상의 진동판을 사용하고, 장축방향의 길이가 단축방향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에 사용되고, 프레임 및 진동판과 결합하고, 중앙에 위치하고, 저면을 통해 보이스코일과 결합하는 단일의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을 통해 진동판의 저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제 2 결합부들; 상면을 통해 엣지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프레임의 상면과 결합하는 제 3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들 각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3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 복수의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using a flat diaphragm,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being formed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minor axis,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diaphragm, and located in the center A single first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voice coil through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through an upper surface; A thir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through the top surface, and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the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parts extending from each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and having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not coupled with other components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ion plat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장축방향 길이의 5 % 내지 15 %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of 5% to 15%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uspen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장축방향 길이의 10 % 내지 25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10% to 25% of the long axis length of the suspen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장축방향 중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들과, 장축방향 중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4 개의 제 2 결합부들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4 개의 탄성지지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pair of second coupling portions extending in on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a pair of second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Composed of the coupling portion, the elastic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four elastic support extending from each of the four second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들 간의 간격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들 간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econd coupling parts that face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facing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은, 평면형상의 진동판을 사용하고, 장축방향의 길이가 단축방향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에 사용되고, 프레임 및 진동판과 결합하고, 중앙에 위치하고, 저면을 통해 보이스코일과 결합하는 단일의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을 통해 진동판의 저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제 2 결합부들; 상면을 통해 엣지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프레임의 상면과 결합하는 제 3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 3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 복수의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using a flat diaphragm, the length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in the minor axis direction, combined with the frame and the diaphragm, A single first coupling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and coupled with the voice coil through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through an upper surface; A thir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through the top surface, and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the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parts extending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and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not coupled with other components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는, 평면형상의 진동판을 사용하고, 장축방향의 길이가 단축방향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형상의 프레임;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부와 결합하는 탄성재질의 엣지; 단일의 보이스코일; 저면을 통해 상기 보이스코일과 결합하고, 상면을 통해 상기 진동판과 결합하고, 외주부 상면을 통해 상기 엣지와 결합하고, 외주부 저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 상면과 결합하는 서스펜션; 및 상기 프레임 바닥면 중앙에 결합하고, 요크, 자석, 및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일의 자기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스펜션은, 중앙에 위치하고 저면을 통해 보이스코일과 결합하는 단일의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을 통해 진동판의 저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제 2 결합부들; 상면을 통해 엣지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프레임의 상면과 결합하는 제 3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들 각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3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 복수의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having a diaphragm having a planar shape and having a length in the major axis direction of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in the minor axis direction and having an open top surface; tympanum; An edge of an elastic material coupled to an edge of the diaphragm; Single voice coil; A suspension coupled to the voice coil through a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diaphragm through an upper surface, coupled to the edge throug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coupled to the frame upper surface throug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single magnetic circui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 yoke, a magnet, and a plate, wherein the suspension is positioned in the center and coupled with the voice coil through the bottom. 1 coupling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 thir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through the top surface, and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the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parts extending from each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and having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not coupled with other components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ion plat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장축방향 길이의 5 % 내지 15 %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of 5% to 15%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uspen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장축방향 길이의 10 % 내지 25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10% to 25% of the long axis length of the suspens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장축방향 중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들과, 장축방향 중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4 개의 제 2 결합부들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4 개의 탄성지지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es a pair of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in on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our elastic support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four second coupling por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들 간의 간격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들 간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econd coupling parts that face each oth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facing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평탄하게 형성된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에서 연결되는 진동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면은, 장축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와 상기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들은, 각각 상기 진동판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저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phragm includes a flat edge portion and a vibrating surface connected at the edge portion, wherein the vibrating surface includes a concave portion formed in a long axis direc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connecting the edge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portion of the diaphragm.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는, 영상출력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향출력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output module; And a sound output module, wherein the sound output module comprises a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는, 통신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향출력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sound output module, wherein the sound output module comprises a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는, 보이스코일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탄성지지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진동판 저면과 결합하는 강성보강부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을 통해 진동판 중앙영역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보강하여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을 증가하고 분할진동에 의한 영향을 완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extends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center region through a suspension including a rigid reinforcement part extending from the voice coil coupling part to be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to provide a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It provide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und pressure level and mitigating the effects of split vib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엣지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엣지의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및 엣지의 조립상태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및 엣지의 조립상태의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엣지 및 서스펜션의 조립상태의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조립체의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과 보빈의 결합상태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과 보이스코일의 솔더링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조립체의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저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 및 요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체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의 주파수 대 음압레벨 그래프.
도 26은 제 2 결합부를 포함하지 않는 서스펜션을 사용한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의 주파수 대 음압레벨 그래프.
도 27은 점탄성체를 포함하지 않는 진동판을 사용한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주파수 대 음압레벨 그래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의 신뢰성 테스트 전후의 주파수 대 음압레벨 그래프.
도 29는 종래의 제너럴 스피커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종래의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서스펜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종래의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서스펜션과 보이스코일의 솔더링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종래의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서스펜션을 도시하는 도면.
1 illustrates a top view of a speake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bottom view of a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components of a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diaphragm upper su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bottom of a diaphrag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 upper surface of an 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 bottom surface of an 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diaphragm and the e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diaphragm and e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 suspen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llustrates a suspen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diaphragm, edge and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 bottom view of a diaphrag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view showing the top surface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suspension and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soldering state of a suspension and a voice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shows a bottom view of a diaphrag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llustrates a cross section of a diaphragm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llustrates a top surface of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llustrates a heat sin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llustrates a heat sink and a yo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shows a top view of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25 is a graph of frequency versus sound pressure level of a single driveline slim speake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graph of frequency versus sound pressure level of a single driveline slim speaker assembly using suspension without a second coupling. FIG.
27 is a graph of frequency vs. sound pressure level of a single driveline slim speaker using a diaphragm not including viscoelastic material.
28 is a graph of frequency vs. sound pressure level before and after a reliability test of a single driveline slim speake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diagram showing a top surface of a conventional general speaker.
3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spension of a conventional multiple drive system slim speaker.
Fig.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ldering state of a suspension and a voice coil of a conventional multiple drive system slim speaker.
32 is a diagram showing a suspension of a conventional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다. "장방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L) 방향의 장축과 폭(W) 방향의 단축을 갖는 직사각형, 트랙형, 또는 타원형을 의미한다. "장축"은 스피커 조립체의 길이(L) 방향의 가상의 축을 의미하고, "단축"은 스피커 조립체의 폭(W) 방향의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장변"은 장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최외곽 변을 의미한다. "단변"은 단축방향으로 짧게 형성된 최외곽 변을 의미하고, 도 1과 같은 트랙형상의 실시예에서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as follows. "Rectangle" means a rectangular, track-shaped, or elliptical shape with a long axis in the length (L) direction and a short axis in the width (W) direction as shown in FIG. "Long axis" means a virtual axis in the length (L) direction of the speaker assembly, "short axis" means a virtual axis in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speaker assembly. "Long side" means the outermost side formed long in the long axis direction. "Short side" means the outermost side formed short in the short axis direction, and may be curved in the track-shap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상측"은 도 1의 스피커 조립체에서 진동판의 진동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하측"은 도 2의 스피커 조립체에서 요크 바닥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면"은 스피커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저면"은 "상면"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스피커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측"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Upper" means the direction that the vibrating surface of the diaphragm faces in the speaker assembly of FIG. “Lower” means the direction that the yoke bottom faces in the speaker assembly of FIG. 2. "Upper surface" means the surface facing the "upper side" in the state that the speaker is assembled. "Bottom" refers to a surface facing the "top" and facing the "bottom" in the state where the speaker is assembled.

"보이스코일"은 전기적인 설명에서는 전기가 도통하고 전자기력이 작용하는 보이스코일 자체를 의미하지만 구조적인 설명에서는 보이스코일과 보이스코일이 권취된 보빈을 의미한다.The term "boy coil" refers to the voice coil itself in which electrical conduction and electromagnetic force are applied in the electrical description, but in the structural description, it refers to the voice coil and the bobbin in which the voice coil is wound.

"제너럴 스피커" 또는 "제너럴 스피커 조립체"는 장방형 및 콘형 진동판을 사용하고, 보이스코일에 관통하여 결합하는 댐퍼를 사용한 스피커 조립체를 의미한다. "슬림 스피커" 또는 "슬림 스피커 조립체"는 장방형 및 평면 진동판을 사용하고, 보이스코일을 관통하지 않고 진동판 저면에 결합하는 서스펜션을 사용한 스피커 조립체를 의미한다."General speaker" or "general speaker assembly" means a speaker assembly using rectangular and cone diaphragms and using dampers to penetrate through the voice coil. "Slim speaker" or "slim speaker assembly" means a speaker assembly using rectangular and planar diaphragms and using a suspension that couples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without penetrating the voice coil.

"복수 구동계"는 단일의 진동판을 복수의 보이스코일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기회로가 구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일 구동계"는 단일의 진동판을 단일의 보이스코일 및 단일의 자기회로가 구동하는 것을 의미한다."Multiple drive systems" means that a single diaphragm drives a plurality of voice coils and a plurality of magnetic circuits corresponding thereto. "Single drive system" means that a single diaphragm is driven by a single voice coil and a single magnetic circui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 및 스피커 조립체(10)를 구성하는 부품들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speaker assembly 10 and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스피커 조립체][Speaker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는 진동판(100), 엣지(200), 서스펜션(300), 보이스코일(400), 프레임(500), 및 자기회로(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판(100), 엣지(200), 서스펜션(300), 및 보이스코일(4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4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 조립체(12)를 구성한다. 프레임(500) 및 자기회로(60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400) 진동에도 진동하지 않는 프레임 조립체(14)를 구성한다. 히트싱크(700) 및/또는 라디에이터(80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히트싱크(700) 및/또는 라디에이터(800)는 프레임 조립체(14)를 구성할 수 있다.The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aphragm 100, an edge 200, a suspension 300, a voice coil 400, a frame 500, and a magnetic circuit 600. The diaphragm 100, the edge 200, the suspension 300, and the voice coil 400 constitute a diaphragm assembly 12 that vibrates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400, as shown in FIG. 15. As shown in FIG. 24, the frame 500 and the magnetic circuit 600 form a frame assembly 14 that does not vibrate even with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400. For embodiments that further include a heat sink 700 and / or a radiator 800, the heat sink 700 and / or radiator 800 may constitute the frame assembly 1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의 상측을 도시한다. 진동판(100)의 가장자리부(110)와 결합된 엣지(200)는 프레임(500)의 상측에 결합한다.1 shows an upper side of a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dge 200 coupled with the edge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500.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는 장축방향(x) 길이(L)가 단축방향(y) 길이(W) 보다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장축방향(x) 길이(L)는 단축방향(y) 길이(W)의 3 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장축방향(x) 길이(L)는 85 mm, 단축방향(y) 길이(W)는 18 mm로서 장축방향(x) 길이(L)는 단축방향(y) 길이(W)의 4.72 배이다. 이러한 장방형 구조의 스피커 조립체(10)는 영상장치 베젤부위에 결합하기 적합하다.The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axis direction (x) length (L) is formed longer than the short axis direction (y) length (W), preferably the long axis direction (x) length (L) is a short axis direction ( y) may be formed to three times or more the length (W). 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length L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is 85 mm, the length W of the minor axis direction (y) is 18 mm, and the length L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is the minor axis direction (y). It is 4.72 times the length (W). The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10 is suitable for coupling to the image device beze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의 하측을 도시한다. 스피커 조립체(10)의 프레임(500) 저면에는 요크(610)가 결합한다. 프레임(500) 바닥면(510)은 요크(610)의 바닥면을 노출함으로써 스피커 조립체(10)의 방열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레임(500) 바닥면(510)에는 요크(610)와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히트싱크(700)가 더 결합할 수 있다. 히트싱크(700)가 결합하는 바닥면(510) 영역은 요크(610)가 결합하는 바닥면(510) 영역 보다 높게 형성되어 히트싱크(700)의 하측의 일부를 노출함으로써 스피커 조립체(10)의 방열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shows a lower side of a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yoke 61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500 of the speaker assembly 10.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frame 500 may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speaker assembly 10 by expo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yoke 610. In some embodiments, the pair of heat sinks 700 disposed adjacent to the yoke 61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frame 500.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510 to which the heat sink 700 is coupled is formed high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510 to which the yoke 610 is coupled, thereby exposing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heat sink 700 so as to expose the portion of the speaker assembly 10.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피커 조립체(10)는 라디에이터(800)를 더 포함함으로써 방열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ome embodiments, the speaker assembly 10 may further include a radiator 800 to improv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는 진동판 조립체(12) 및 프레임 조립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이스코일(400)은 자기회로(600)의 자기갭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자기회로(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610), 요크(610)의 중앙에 배치되는 자석(620), 자석(620)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630)로 구성된 내자형일 수 는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기회로(600)는 센터 폴, 센터 폴 주위에 위치하는 환형 자석, 자석 위에 배치되는 환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외자형이거나 보이스코일(400)의 내측과 외측에 자석(620)들이 배치되는 복합형일 수 있다.3 and 4 show a combined state of the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aphragm assembly 12 and a frame assembly 14. The voice coil 400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magnetic gap of the magnetic circuit 600. As shown in FIG. 3, the magnetic circuit 600 may be a magnetized shape including a yoke 610, a magnet 620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yoke 610, and a plate 630 disposed on the magnet 6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gnetic circuit 600 is an external magnet composed of a center pole, an annular magnet positioned around the center pole, and an annular plate disposed on the magnet, or magnets 620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oice coil 400. ) May be of a complex typ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 부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진동판][tympanum]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100)의 상면을 도시한다. 진동판(100)의 평면형상은 장축(x)과 단축(y)을 갖는 장방형 형태로 구성되며, 예컨대 직사각형 형상, 트랙 형상, 또는 타원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100)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으로 구성된다.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콘(cone) 진동판 및 돔(dome) 진동판과 비교하여 평면 진동판(100)은 강성은 떨어지지만 스피커 조립체(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진동판(100)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펄프, 폴리머 필름, FPCB, 허니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 일 수 있다.5 shows a top surface of a diaphragm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shape of the diaphragm 100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axis x and a short axis y, and may be, for example, rectangular, track or oval.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iaphrag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Compared to the cone diaphragm and dome diaphragm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flat diaphragm 100 may be less rigid but lower the height of the speaker assembly 10. The diaphragm 100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ulp, polymer film, FPCB, honeycomb, glass fiber, carbon fiber, or the lik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00)은 진동면(130)과 가장자리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면(130)은 강성보강을 위해 오목부(132)와 볼록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00)은 중앙에서 장축방향(x)의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볼록부(134)와 오목부(132)의 높이 차이가 적어지는 강성보강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진동판(100) 강성을 높여 분할진동을 완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앙부 강성이 장축방향(x)의 양 단부 강성 보다 높기 때문에 특히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 향상에 적합하다.As shown in FIG. 5, the diaphragm 100 includes a vibrating surface 130 and an edge portion 110. The vibration surface 130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portion 132 and a convex portion 134 for rigid reinforcement. As shown in FIG. 5, the diaphragm 100 preferably has a rigid reinforcing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nvex portion 134 and the concave portion 132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not only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100 can be increased to alleviate the split vibration, but also the center stiffness is higher than the stiffness at both ends in the long axis direction (x).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00)은 장축방향(x)의 양 끝단의 가장자리부(110)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9264호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89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0) 등의 고정단에 고정되거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781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0) 등의 고정단에 고정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aphragm 10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art 120 extending outward from the edge part 110 at both ends in the long axis direction x. The extension part 120 is fixed to a fixed end of the frame 500 or the like, 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89264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64896, 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37813. As disclosed in the call can be configured not to be fixed to a fixed end, such as the frame (500).

연장부(120)는 원하는 음향특성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꺽인 형상이거나, 수평하게 연장된 형상이거나 상측으로 꺽인 형상일 수 있다. 진동판(100)의 연장부(120)는 장축방향(x)의 양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등의 분할진동을 완화하여 음향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extension part 120 may be bent downward, or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or bent upward 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desired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extension part 120 of the diaphragm 100 provides an effect of relieving split vibration such as torsional vibration that may occur at both ends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to improve acoustic performanc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100)의 저면을 도시한다. 진동판(100)의 저면에서는 오목부(132)가 반대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볼록부(134)가 반대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110)의 저면과 오목부(132) 중앙영역의 저면은 평면 형상의 서스펜션(300)이 부착되기 위해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6 shows a bottom surface of a diaphragm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bottom of the diaphragm 100, the concave portion 132 has a convex shape on the contrary, and the convex portion 134 has a concave shape on the contrary. Meanwhile, as shown in FIG. 14, the bottom of the edge 110 and the bottom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recess 132 preferably have the same height in order to attach the suspension 300 having a planar shape.

[엣지][edg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엣지(200)의 상면을 도시한다. 엣지(200)는 중앙부를 통해 진동판(100)의 진동면(130)이 노출되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측 고정부(210), 외측 고정부(22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측 고정부(220)는 프레임(500)에 고정되고, 내측 고정부(210)는 진동판(100) 가장자리부(110)에 고정되어 연결부(230)의 탄성을 통해 엣지(200)는 진동판(100)을 탄성지지하여 진동판(1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엣지(20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 Thermoplastic Polyurethane),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 Nitrile Butadiene Rubber), 천연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7 illustrates a top surface of an ed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200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vibration surface 130 of the diaphragm 100 is expos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and includes an inner fixing portion 210, an outer fixing portion 220, and a connecting portion 230. The outer fixing part 220 is fixed to the frame 500, the inner fixing part 210 is fixed to the edge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the edge 200 through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230 is the diaphragm 100 The elastic support to perform a func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100. The material of the edge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nitrile butadiene rubber (NBR: Nitrile Butadiene Rubber), natural rubber, silicone, or the lik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엣지(200)의 저면을 도시한다. 내측 고정부(210)의 저면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면을 포함하여 진동판(100)의 가장자리 상면과 결합할 수 있고, 외측 고정부(220)의 저면은 평탄면을 포함하여 프레임(500)에 고정되는 서스펜션(300)의 가장자리인 제 3 결합부(340) 상면과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볼록한 형상의 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부로 볼록한 형상의 역롤형이거나 다수의 볼록부(134)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주름형일 수 있다.8 illustrates a bottom surface of an ed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9, the bottom of the inner fixing part 210 may be combined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bottom of the outer fixing part 220 may include a flat surface. It may be combi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340 that is the edge of the suspension 300 which is fixed to the 500. The connecting portion 230 may be formed in a roll shape having a convex shape upward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t may be an inverted roll shape having a lower convex shape or a corrugated shap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34.

도 9는 진동판(100)과 엣지(200)의 결합상태의 상면을 도시하고, 도 10은 진동판(100)과 엣지(200)의 결합상태의 저면을 도시한다. 엣지(200)의 개구부를 통해 진동면(130)의 상면이 노출된다. 진동판(100)이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연장부(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200)의 단변측의 연결부(23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9 illustrates a top surface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edge 200 in a coupled state, and FIG. 10 illustrates a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edge 200 in a coupled state. The upper surface of the vibrating surface 13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edge 200.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aphragm 100 includes the extension part 120, the extension part 12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230 on the short side of the edge 200 as shown in FIG. 10. .

[서스펜션][Suspens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을 도시한다. 서스펜션(300)은 엣지(200)와 함께 진동판(100)에 기계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과 진동판(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과 보이스코일(400)과 외부회로와의 전기적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12 shows a suspensio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spension 300 provides a mechanical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100 together with the edge 200,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100, and an electrical path between the voice coil 400 and an external circuit. You can perform a combination of functions.

종래의 제너럴 스피커(30)의 댐퍼(32)와 비교하면 댐퍼(32)는 진동판의 저면과 결합하지 않지만 서스펜션(300)은 공간상 제약으로 인해 진동판(100)의 저면과 결합하고, 댐퍼(32)는 보빈을 관통하여 결합하지만, 서스펜션(300)은 저면을 통해 보빈(410)의 상면과 결합하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종래의 제너럴 스피커(30)의 댐퍼(32)는 복원력을 보빈을 통해 진동판에 제공하는 반면 슬림 스피커의 서스펜션(300)은 복원력을 진동판(100)에 직접 제공하는 차이가 있다.Compared with the damper 32 of the conventional general speaker 30, the damper 32 is no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but the suspension 30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100 due to space constraints, and the damper 32 ) Is coupled through the bobbin, but the suspension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410 through the bottom surface. Due to this difference, the damper 32 of the conventional general speaker 30 provides the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through the bobbin, whereas the suspension 300 of the slim speaker directly provides the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100.

서스펜션(300)은 진동판(1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 진동판(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 및 보이스코일(400)에 전기적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suspension 300 may perform a combination of a function of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100,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100,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n electrical path to the voice coil 400.

서스펜션(300)이 진동판(100)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서스펜션(300)의 일부 영역은 진동판(100) 저면과 결합하고, 일부 영역은 고정단인 프레임(500) 측벽의 상면과 결합하고, 일부 영역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하지 않고 진동판(1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In order for the suspension 30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100, a portion of the suspension 30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100, and a portion of the suspension 300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frame 500, which is a fixed end. The region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diaphragm 100 without engaging other components.

진동판(100) 저면과 결합하는 서스펜션(300)의 일부 영역을 통해 진동판(100)의 강성을 추가적으로 보강하여 분할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 서스펜션(300)은 진동판(100) 중앙 영역만 선택적으로 보강함으로써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rtial vibration may be alleviated by additionall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100 through a portion of the suspension 30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100. The suspension 300 preferably increases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by selectively reinforcing only the central region of the diaphragm 100.

서스펜션(300)이 전기적 경로로 기능하기 위해 인청동 등의 도전성 재질로 서스펜션(300)을 제작하거나 절연성 재질의 서스펜션(300)의 일부 영역에 도전성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x)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분할된 서스펜션(300)이 각각 보이스코일(400)의 양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외부회로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장축방향(x)의 단부에는전극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3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suspension 300 to function as an electrical path, the suspension 30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phosphor bronze, or a conductive path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uspension 300 of an insulating material.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suspension 300 symmetrically divided about the long axis x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oice coil 400, respectively. The electrode unit 350 may b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to receive an audio signal from an external circuit. The electrode unit 350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

서로 인접한 전극부(350)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편(35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연결편(352)은 조립공정에서 분할된 서스펜션(300)을 연결하여 조립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고, 분할된 서스펜션(300)이 각각 전기적 경로로 기능하도록 진동판(100)의 조립 이후에 연결편(352)은 제거될 수 있다.The electrode pieces 350 adjacent to each othe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ece 352 as shown in FIG. 13. The connecting piece 352 serves to increase the assembly convenience by connecting the divided suspension 300 in the assembly process, and after the assembly of the diaphragm 100 so that the divided suspension 300 functions as an electrical path, the connecting piece 352. ) Can be removed.

공간적 제약이 많은 슬림 스피커에서 사용되는 서스펜션(300)은 실질적인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서스펜션(300)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기전도성, 탄성력, 제조비용을 고려하여 SUS(Steel Use Stainless) 또는 인청동 등의 금속소재를 사용하거나 FPCB를 사용할 수 있다.The suspension 300 used in the space-limited slim speaker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Suspension 300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metal material such as SUS (Steel Use Stainless) or phosphor bronze, in consideration of electrical conductivity, elastic force, manufacturing cost, or may use FPCB.

서스펜션(3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탄성지지부(330)이 보이스코일(400)을 지지하는 제 1 결합부(310)와 직접 연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2는 탄성지지부(330)이 진동판(100)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 2 결합부(320)를 통해 제 1 결합부(310)와 연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3은 탄성지지부(330)이 제 1 결합부(310)와 직접 연결되고, 진동판(100) 중앙부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 2 결합부(320)가 제 1 결합부(310)에서 탄성지지부(330)과 별도로 연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The suspension 3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IG. 1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310 supporting the voice coil 400, and FIG. 12 shows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being rigi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iaphragm 100.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through a second coupling portion 320 to reinforce the elastic support portion 3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and the diaphragm 100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that reinforces the stiffness of the central part extends separately from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in the first coupling part 310.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은 제 1 결합부(310), 제 3 결합부(340), 및 탄성지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결합부(310)는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보이스코일(400)의 상면 또는 보이스코일(400)이 권취된 보빈(41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고, 상면을 통해 진동면(130) 저면의 일부와 결합한다.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10)의 경우 제 1 결합부(310)는 서스펜션(30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 1 결합부(310)는 보이스코일(400)을 고정하고, 서스펜션(300) 중앙부를 진동면(13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uspension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310, a third coupling part 340, and an elastic support part 330.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s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oice coil 40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410 in which the voice coil 400 is woun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vibration surface 130 through the upper surface. Combine with part of the bottom. In the case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assembly 10,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uspension 300. Through this structure, the first coupling part 310 fixes the voice coil 4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upl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spension 300 to the vibration surface 130.

한편 진동면(130)이 오목부(132) 및 볼록부(134)와 같은 강성보강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판(100) 저면은 오목부(132) 및 볼록부(134)로 인해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판(100)의 가장자리부(110)와 서스펜션(300)의 제 1 결합부(310)가 교차하는 지점 및 진동판(100)의 오목부(132) 저면과 서스펜션(300)의 제 1 결합부(310)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 1 결합부(310) 상면의 일부는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진동판(100) 저면의 일부와 결합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vibrating surface 130 includes a rigid reinforcing structure such as the concave portion 132 and the convex portion 134, the bottom of the diaphragm 100 is not flat due to the concave portion 132 and the convex portion 134. Since the edge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of the suspension 300 intersect and the bottom of the recess 132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first coupling of the suspension 300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100 by a fix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at the point where the portion 310 intersects.

제 1 결합부(3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4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결합부(340)와 인접한 영역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진동면(130) 가장자리부(110)와 결합하는 영역을 더욱 증가시키는 한편 진동면(130) 중앙에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3, 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voice coil 400, but as shown in FIG. 11, an area adjacent to the third coupling part 340 is straight.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rease the area to be coupled to the edge portion 110 of the vibration surface 130 while providing additional rigidity in the center of the vibration surface 130.

제 3 결합부(340)는 서스펜션(300)의 최외곽을 형성한다. 제 3 결합부(340)의 평면 형상은 엣지(200)의 외측 고정부(220)와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엣지(200)의 외측 고정부(220)가 트랙형으로 형성된 경우 제 3 결합부(340)는 역시 트랙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coupling part 340 forms the outermost part of the suspension 300. The planar shape of the third coupling part 34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outer fixing part 220 of the edge 200. For example, when the outer fixing part 220 of the edge 200 is formed in a track shape, the third coupling part 340 may also be formed in a track shape.

제 3 결합부(340)는 상면을 통해 엣지(200)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프레임(500)의 상면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 3 결합부(340)는 상면을 통해 엣지(200)의 외측 고정부(220)와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프레임(500) 측벽의 상면과 결합한다. 제 3 결합부(340)의 장축방향(x) 양단에는 전극부(3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coupling part 34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200 through the top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rame 500 through the bottom surface. In detail, the third coupling part 340 is coupled to the outer fixing part 220 of the edge 200 through the top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frame 500 through the bottom surface. Electrode portions 350 may b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340.

탄성지지부(330)는 제 1 결합부(310)에서 연장되어 제 3 결합부(34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진동판(100)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다. 탄성지지부(330)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엣지(200)의 연결부(230) 하부에 위치하여 진동판(100)의 진동시 다른 부품과 간섭없이 진동판(100)에 적절한 기계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탄성지지부(3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330)의 개수, 형상, 길이는 스피커 조립체(10)에 요구되는 음향특성 및 서스펜션(300)에 요구되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part 330 extends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310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34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do not couple with other components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100. The elastic support 330 is located below the connecting portion 230 of the edge 200 having a convex shape upward to provide a suitable mechanical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100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during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100. Do this. The elastic support 330 may be configured as four, as shown in Figure 11, may be configured as two. The number, shape, and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33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speaker assembly 10 and the compliance required for the suspension 30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300)을 도시한다. 이러한 서스펜션(300)은 평면형상의 진동판(100)을 사용하고 장축방향(x)의 길이가 단축방향의 길이(y)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10)에 사용된다. 서스펜션(300)은 프레임(500) 및 진동판(100)과 결합한다.12 shows a suspension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ension 300 is used for the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10 in which the diaphragm 100 of the planar shape is used and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is formed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y of the minor axis direction. The suspension 300 is coupled to the frame 500 and the diaphragm 100.

서스펜션(300)은 제 1 결합부(310), 제 2 결합부(320)들, 제 3 결합부(340) 및 탄성지지부(33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결합부(310)는 중앙에 위치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을 통해 보이스코일(400)과 결합하는 단일의 제 1 결합부(310)로 구성된다.The suspension 300 includes the first coupling part 310, the second coupling parts 320, the third coupling part 340,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s composed of a single first coupling part 310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coupled to the voice coil 400 through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15.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32)와 볼록부(134)를 갖는 진동면(130)과 결합하는 경우, 진동판(100)의 가장자리부(110)와 서스펜션(300)의 제 1 결합부(310)가 교차하는 지점 및 진동판(100)의 오목부(132) 저면과 서스펜션(300)의 제 1 결합부(310)가 교차하는 지점을 통해 제 1 결합부(310) 상면의 일부는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진동판(100) 저면의 일부와 결합한다.As shown in FIG. 14, when combined with the vibration surface 130 having the concave portion 132 and the convex portion 134,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edge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suspension 300 (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is form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310 and the inters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132 of the diaphragm 10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of the suspension 300. It is coupled to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100 by the fixing means.

제 1 결합부(3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400)의 평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거나,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결합부(340)와 인접한 영역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진동면(130) 가장자리부(110)와 결합하는 영역을 더욱 증가시키는 한편 제 1 결합부(310)가 진동면(130) 중앙에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3, the first coupling part 310 has the same shape as the plane of the voice coil 400, or as shown in FIG. 11 or 12, an area adjacent to the third coupling part 340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s configured to provide additional rigidity in the center of the vibration surface 130 while increasing the area formed in a straight line to be coupled to the edge portion 110 of the vibration surface 130.

제 2 결합부(320)들은 제 1 결합부(310)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을 통해 진동판(100)의 저면과 결합한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00)이 평탄하게 형성된 가장자리부(110) 및 가장자리부(110)에서 연결되는 진동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진동면(130)은 장축방향(x)으로 형성된 오목부(132) 및 오목부(132)와 가장자리부(110)를 연결하는 볼록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제 2 결합부(320)들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진동판(100)의 가장자리부(110)의 저면과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s 320 extend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100 through the top surface as shown in FIG. 14.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diaphragm 100 includes an edge portion 110 having a flat surface and a vibration surface 130 connected from the edge portion 110. The vibration surface 130 has a long axis direction. In the case of including a concave portion 132 formed of (x) and a convex portion 134 connecting the concave portion 132 and the edge portion 110, the second coupling portions 320 are shown in FIG. As can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respectively.

서스펜션(300)의 최외곽을 형성하는 제 3 결합부(340)는 상면을 통해 엣지(200)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프레임(500)의 상면과 결합한다.The third coupling part 340 forming the outermost part of the suspension 30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200 through the top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rame 500 through the bottom surface.

복수의 탄성지지부(330)들은 제 2 결합부(320)들 각각에서 연장되어 제 3 결합부(340)와 연결되고, 진동판(100)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다. The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parts 330 extend from each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320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34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do not couple with other components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100.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결합부(320)가 장축방향(x) 중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320)들과, 장축방향(x) 중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320)들로 구성되는 경우 탄성지지부(330)는, 4 개의 제 2 결합부(320)들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4 개의 탄성지지부(330)들로 구성된다. 이 때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320)들 간의 간격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330)들 간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2, the pair of second coupling parts 320 extending in on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exten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In the case of a pair of second coupling parts 320,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is composed of four elastic support parts 330 extending from four second coupling parts 32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econd coupling parts 320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330 facing each other.

제 2 결합부(320)의 길이(L1)가 길어지면 진동판(100) 강성(stiffness)이 증가하고, 탄성지지부(330)의 길이(L2)가 길어지면 스피커의 컴플라이언스(compliance)가 증가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되 바와 같이 한정된 전체 서스펜션(300)의 길이(Lsus)에서 제 2 결합부(320)의 길이(L1)와 탄성지지부(330)의 길이(L2)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적절한 길이의 선택이 중요하다.If the length L 1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is longer, the stiffness of the diaphragm 100 is increased, and if the length L 2 of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is longer, the compliance of the speaker is increased. do. The length (L 2)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the length (L 1) and the resilient support 330 in the longitudinal (L sus) of limited overall suspension 300, as shown back in FIG. 12 is another tradeoff is in a trade off relationship. Therefore,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length is important.

피스톤 진동이 유리한 일반적인 스피커의 진동판과는 달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진동판(100)에 있어서는 진동판 전체가 아닌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진동판(100)에 부착되는 제 2 결합부(320)의 길이(L1)가 너무 길면 진동판(100) 전체 강성이 증가하여 오히려 음향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 2 결합부(320)의 길이(L1)는 탄성지지부(330)의 길이(L2)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형상의 서스펜션(300)에 대한 음향특성 실험 결과 제 2 결합부(320)의 길이(L1)는 서스펜션(300)의 장축방향(x) 길이(Lsus)의 5 % 내지 15 % 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지지부(330)의 길이(L2)는 서스펜션(300)의 장축방향(x) 길이(Lsus)의 10 % 내지 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In contrast to the diaphragm of the general speaker that piston vibration is advantageous, in the diaphragm 100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center, not the entire diaphragm. Therefore, if the length L 1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attached to the diaphragm 100 is too long, the overall rigidity of the diaphragm 100 may increase, and thu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may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L 1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is shorter than the length L 2 of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As a result of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test for the suspension 300 having various shapes, the length L 1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is 5% to 15%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length L sus of the suspension 300. Preferably, the length L 2 of the elastic support 330 is preferably 10% to 25%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length L sus of the suspension 300.

도 25는 제 2 결합부(320)를 포함하는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을 사용한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SPL : Sound Pressure Level)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26은 제 2 결합부(320)를 포함하지 않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을 사용한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 그래프를 도시한다. 제 2 결합부(320)를 포함하는 서스펜션(300)은 진동판(100) 중앙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강화하여 스피커 조립체(10)의 음향특성을 평탄화하는 것이 확인된다.FIG. 25 is a graph illustrating a sound pressure level (SPL) graph of a single driving system slim speaker using the suspension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including the second coupling unit 320, and FIG. 26 is a second diagram. 11 illustrates a sound pressure level graph of a single drive-type slim speaker using the suspension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that does not include the coupling part 320. It is confirmed that the suspension 300 including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selectively strengthens the rigidity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100 to flatte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assembly 10.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을 포함하는 스피커 조립체(10)는 평면형상의 진동판(100)을 사용하고, 장축방향(x)의 길이가 단축방향(y)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된다. 스피커 조립체(10)는 프레임(500), 진동판(100), 엣지(200), 단일의 보이스코일(400), 서스펜션(300) 및 단일의 자기회로(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peaker assembly 10 including the suspension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uses a flat diaphragm 100, and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is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minor axis direction y. Is formed. The speaker assembly 10 includes a frame 500, a diaphragm 100, an edge 200, a single voice coil 400, a suspension 300, and a single magnetic circuit 600.

이러한 스피커 조립체(10)는 영상출력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TV, 모니터 등 영상장치의 음향출력 모듈에 사용되거나, 통신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 등 통신장치의 음향출력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The speaker assembly 10 may be used in an audio output module of a video device such as a TV and a monitor including an image output module and an audio output module, or may be a smartphone, a tablet PC, a laptop PC, or the lik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n audio output module. It can be used in the sound output module of the device.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은 제 1 결합부(310), 제 2 결합부(320), 제 3 결합부(340), 및 탄성지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결합부(310)는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보이스코일(400)의 상면 또는 보이스코일(400)이 권취된 보빈(41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고, 상면을 통해 진동면(130)의 저면의 일부와 결합한다.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10)의 경우 제 1 결합부(310)는 서스펜션(30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 1 결합부(310)는 보이스코일(400)을 고정시키고, 서스펜션(300)의 중앙부를 진동면(13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uspension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3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310, a second coupling part 320, a third coupling part 340, and an elastic support part 330.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s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oice coil 40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410 in which the voice coil 400 is woun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vibration surface 130 through the upper surface. Combine with some of the bottom of the. In the case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assembly 10,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uspension 300. Through this structure, the first coupling part 310 fixes the voice coil 4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upl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spension 300 to the vibration surface 130.

제 2 결합부(320)는 제 1 결합부(3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진동판(100) 가장자리부(110) 저면과 결합하여 진동판(100) 중앙부의 강성을 선택적으로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3의 제 2 결합부(320)는 도 12의 실시예와 달리 제 3 결합부(340)에 연결되지 않는다. 제 2 결합부(320)는 실시예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310)의 내측으로도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320 extends outwar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310 to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part 110 of the diaphragm 100 to selectively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entral part of the diaphragm 100.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2,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of FIG. 13 is not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340.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also exten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제 3 결합부(340)는 상면을 통해 엣지(200)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프레임(500)의 상면과 결합한다. 제 3 결합부(340)는 서스펜션(300)의 최외곽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 3 결합부(340)는 상면을 통해 엣지(200)의 외측 고정부(220)와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프레임(500) 측벽의 상면과 결합한다. 제 3 결합부(340)의 장축방향(x) 양단에는 전극부(3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coupling part 34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200 through the top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frame 500 through the bottom surface. The third coupling part 340 forms the outermost part of the suspension 300. In detail, the third coupling part 340 is coupled to the outer fixing part 220 of the edge 200 through the top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frame 500 through the bottom surface. Electrode portions 350 may b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340.

탄성지지부(330)는 제 1 결합부(310)에서 연장되어 제 3 결합부(34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진동판(100)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다. 탄성지지부(330)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엣지(200)의 연결부(230) 하부에 위치하여 진동판(100)의 진동시 다른 부품과 간섭없이 진동판(100)에 적절한 기계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탄성지지부(3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330)의 개수, 형상, 길이는 스피커 조립체(10)에 요구되는 음향특성 및 서스펜션(300)에 요구되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part 330 extends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310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34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do not couple with other components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100. The elastic support 330 is located below the connecting portion 230 of the edge 200 having a convex shape upward to provide a suitable mechanical restoring force to the diaphragm 100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during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100. Do this. As shown in FIG. 13,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may be configured as four or two. The number, shape, and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33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speaker assembly 10 and the compliance required for the suspension 300.

[걸림홈을 포함하는 서스펜션의 실시예][Example of Suspension Including Hanging Groove]

보이스코일(400) 또는 보빈(410)은 서스펜션(300)의 저면에 부착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회로(600)의 플레이트(630) 외벽과 요크(610)의 내벽 사이의 자기갭 사이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310)가 보이스코일(400)을 정렬하는 걸림홈(311)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voice coil 400 or bobbin 41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spension 300, and the magnetic gap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plate 630 of the magnetic circuit 600 and the inner wall of the yoke 610, as shown in FIG. Located in between. Hereinafter, as shown in FIG. 12,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ncludes a locking groove 311 for aligning the voice coil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보이스코일(400)의 조립은 서스펜션(300)의 제 1 결합부(310) 저면에 보빈(410) 상면을 부착하는 접착공정과 보이스코일(400)의 양 단부를 서스펜션(300)의 분할된 부분에 각각 솔더링하는 솔더링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솔더링 공정은 매우 가는 선경의 보이스코일(400) 단부를 솔더링하기 때문에 조립 난이도가 높은 공정이다.The assembly of the voice coil 400 is a bonding process for atta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410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of the suspension 300 and the divided portions of the suspension 300 at both ends of the voice coil 400. It consists of a soldering process for soldering each. Soldering process is a process of high assembly difficulty because the soldering of the end of the very thin wire coil 400.

한편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종래의 보이스코일 조립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상면이 위를 향하도로 보빈이 재치된 제 1 지그와 상면이 위를 향하도록 서스펜션(40)이 재치된 제 2 지그를 결합하여 보빈과 서스펜션(40)을 조립한다. 이 후 조립지그에서 서스펜션(40) 및 보빈 조립체를 탈거하고, 보빈의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해당 조립체를 뒤집는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40) 중단의 걸림턱(41)에 보이스코일(50) 단부를 걸은 후 걸림턱(41)의 저면을 솔더링한다. 이때 솔더링 영역(52)이 서스펜션(40) 상면이 아닌 저면에 위치하여 작업물을 수차례 뒤집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조립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0 and 31, a conventional voice coil assembl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The worker assembles the bobbin and the suspension 40 by combining the first jig in which the bobbin is placed and the second jig in which the suspension 40 is placed so that the top face is upward. Thereafter, the suspension 40 and the bobbin assembly are removed from the assembly jig, and the assembly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bottom of the bobbin faces upward. Next, as shown in FIG. 30, the end of the voice coil 50 is hooked to the stopping jaw 41 of the suspension 4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ping jaw 41 is soldered. At this time, since the soldering region 52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spension 40 rather than the top surface, the work piece needs to be flipped several times.

또한 솔더링 영역(52)이 보이스코일 결합부와 이격되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50) 끝 부분(51)이 사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진동판 또는 서스펜션(40)의 분할진동에 의해 보이스코일(51)에 걸리는 장력이 시시각각 변화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보이스코일(51) 단선이 발생하여 스피커 조립체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soldering region 52 is spaced apart from the voice coil coupling portion, and the end portion 51 of the voice coil 50 is diagonally connected as shown in FIG. 31. On the other hand, the tension applied to the voice coil 51 changes due to the divided vibration of the diaphragm or the suspension 40. As a result, disconnection of the voice coil 51 due to stress occurs, thereby deteriorating the reliability of the speaker assembly.

걸림홈(311)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300)은 저면을 통해 보이스코일(400)이 권취된 보빈(410)의 상면과 결합하는 제 1 결합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결합부(310)는 확장영역(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확장영역(313)은 도 16에 파선으로 표시된 보빈(410)의 외경 이상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영역(313)은 보빈(410)의 접합공정에서 보빈(410)의 상측면을 보강접착 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Suspensio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locking groove 311 is formed in a planar shape. The suspension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31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bbin 410 in which the voice coil 400 is wound through a bottom surface there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ncludes an extension area 313. The expansion area 313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obbin 410 indicated by broken lines in FIG. 16. The extended area 313 also provides an effect of reinforcing and bonding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410 in the bonding process of the bobbin 410.

확장영역(313)은 걸림홈(3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걸림홈(311)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10)에 권취되지 않은 보이스코일(400) 단부가 걸쳐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걸림홈(311)은 확장영역(313)의 외주연에서 보빈(410)의 외경만큼 안쪽으로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pansion area 313 further includes a locking groove 311, and the locking groove 311 has an end portion of the voice coil 400 which is not wound on the bobbin 410 as shown in FIGS. 16 and 17. Losing functions. The locking groove 311 is preferably formed in a groove shape that is dug inwardly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bobbin 410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pansion region 313.

보이스코일(400) 단부는 보빈(410)을 따라 직선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진동판(100) 또는 서스펜션(300)의 분할진동에도 장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이스코일(400) 단선가능성을 저감하여 스피커 조립체(10)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end portion of the voice coil 400 extends straight along the bobbin 410, the tension change does not occur even when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100 or the suspension 300 is divided.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isconnection of the voice coil 400,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speaker assembly 10.

한편 솔더링 위치는 서스펜션(300)의 저면이 아닌 상면인 것이 공정효율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자는 작업물을 조립지그에서 탈거하거나 작업물의 상하를 뒤집을 필요 없이 조립지그에 작업물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이스코일(400)을 솔더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결합부(3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솔더링부(31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솔더링부(312)는 걸림홈(311)이 형성된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oldering position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process efficiency, rather than the bottom of the suspension 300. In this case, the worker can solder the voice coil 400 in a state in which the workpiece is coupled to the assembly jig without removing the workpiece from the assembly jig or inverting the workpiece upside down. To this end, the first coupling part 31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oldering part 312 extending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bobbin 410 as shown in FIG. 17. On the other hand, the soldering portion 312 is preferably formed adjacent to the region where the engaging groove 311 is formed.

솔더링부(312)의 상면에 일정 높이를 갖는 솔더가 위치하기 때문에 솔더링부(312)의 상면은 진동판(100) 저면에 접착되거나 밀착되어서는 안 된다. 예컨대 장축방향(x)의 길이가 단축방향(y)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10)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00)은 평탄하게 형성된 가장자리부(110) 및 상기 가장자리부(110)에서 연결되는 진동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진동면(130)은 장축방향(x)으로 형성된 오목부(132) 및 오목부(132)와 가장자리부(110)를 연결하는 볼록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솔더링부(31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134)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ince the solder having a certain heigh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dering portion 312, the upper surface of the soldering portion 312 should not be adhered or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100. For example, in the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10 in which the length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is formed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direction y, the diaphragm 100 is fla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edge portion 110 and the vibration surface 130 is connected to the edge portion 110 is formed, the vibration surface 130 is a concave portion 132 and the concave portion 132 form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x) and When the convex part 134 is connected to the edge part 110, the soldering part 312 may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convex part 134 as shown in FIG. 14.

하나의 보이스코일(400)에는 두 개의 단부가 있기 때문에 두 개의 걸림홈(311)만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서스펜션(300)에 방향성이 생기기 때문에 공정관리에 불리한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결합부(3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걸림홈(311)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더링부(312)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결합부(310)는 2개의 솔더링부(312)만 포함할 수도 있지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솔더링부(31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공정에서 서스펜션이 뒤집어지거나 180도 회전한 경우에도 동일한 위치에 보이스코일을 솔더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one voice coil 400 has two ends, only two locking grooves 311 may be forme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suspension 300,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e process manage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ur locking grooves 311 as shown in FIG. 17. In an embodiment that further includes a soldering portion 312,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may include only two soldering portions 312, but further includes four soldering portions 312 as shown in FIG. 17.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oldered to the voice coil in the same position even when the suspension is turned upside down or rotated 180 degrees in the assembly process,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311)을 포함하는 서스펜션(300)은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 또는 단일 구동계 스피커 조립체(10)에 제한되지 않고 평면형상의 진동판 및 평면형상의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다양한 스피커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는 원형 또는 정사각형의 스피커에 적용될 수도 있고,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수 구동계 슬림 스피커의 서스펜션(300)에도 적용될 수도 있고, 도 11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330)이 제 1 결합부(310)에서 연장되어 제 3 결합부(340)와 연결되는 서스펜션(3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330)이 제 2 결합부(320)에서 연장되어 제 3 결합부(340)와 연결되는 서스펜션(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suspension 300 including the locking groove 31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used in various speakers using a flat diaphragm and a flat suspension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or the single drive system speaker assembly 10. For example,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 circular or square speaker, and may also be applied to a suspension 300 of a conventional multi-drive slim speaker as shown in FIG. 30, and an elastic support unit as shown in FIG. 11 or 13. 330 may extend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310 to be applied to the suspension 300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340, and as shown in FIG. 12, the elastic support part 330 may be the second coupling part. It may also be applied to the suspension 300 extending from 320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ortion 340.

[점탄성체를 포함하는 진동판 조립체의 실시예]Embodiment of Diaphragm Assembly Including Viscoelastic Body

단일 구동계 장방형 슬림 스피커 조립체(10)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진동판(100) 면적이 협소하고 평면 진동판(100)의 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특히 진동판(100)의 장축방향(x)의 양단부근에서 분할진동이 심하게 발생한다. 양 끝 단에 추가된 연장부(120)와 엣지(200) 사이에 점탄성재(150)를 도포한 진동판(100) 구조에 따르면 진동판(100) 끝단의 분할진동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Since the single drive system rectangular slim speaker assembly 10 has a small area of the diaphragm 100 to which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and lacks the rigidity of the flat diaphragm 100, in particular, the vibration is divided near both ends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of the diaphragm 100. This happens badl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iaphragm 100 coated with the viscoelastic material 150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120 and the edge 200 added to both ends,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effect of the split vibration of the end of the diaphragm 100.

한편, 진동판(100) 양 끝단에 일정한 질량을 갖는 점탄성체(140)를 더 추가함으로써 점탄성체(140)가 진동판(100) 끝단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점탄성체(140)의 질량에 의해 비틀림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분할진동의 영향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further adding a viscoelastic body 140 having a constant mass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100, the viscoelastic body 140 can absorb the vibration of the end of the diaphragm 100, by the mass of the viscoelastic body 140 The resistance to torsional vibration can be increased to further mitigate the effects of split vibration.

이하에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점탄성체(14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조립체(12)는 장축방향(x)의 길이가 단축방향(y)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10)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조립체(12)는 진동에 의해 음압을 생성하는 평면 형상의 진동판(100)과 진동판(100) 및 고정단 사이를 연결하는 엣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단은 진동판(100)의 진동에 불구하고 진동하지 않은 구성요소로서 프레임(500) 상단 또는 서스펜션(300)의 제 3 결합부(340)일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includ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The diaphragm assembly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for the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10 in which the length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is formed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direction y. The diaphragm assembly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aphragm 100 having a planar shape for generating sound pressure by vibration, and an edge 200 connecting between the diaphragm 100 and a fixed end. The fixed end may be a third component 340 of the top of the frame 500 or the suspension 300 as a component that does not vibrate despite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100.

진동판(100)은 진동면(130), 연장부(120)들 및 점탄성체(14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면(130)은 가장자리부(110)를 갖는다.The diaphragm 100 includes a vibrating surface 130, extensions 120, and viscoelastic bodies 140. The vibrating surface 130 has an edge portion 110.

연장부(120)는 진동면(130)의 장축(x)의 양단 부근의 가장자리부(110)의 적어도 일부에서 바깥쪽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되 그 단부가 고정단에 고정되지 않는다. 연장부(120)는 단면 형상에 있어서 진동면(130)의 가장자리가 평탄하게 연장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고정부(210)를 기준으로 연결부(230)가 형성된 쪽으로 더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20)의 폭은 연결부(230)의 폭의 1/2 이상 2/3 이하로 연장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nsion part 120 i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part 110 near both ends of the long axis x of the vibration surface 130, but the end part is not fixed to the fixed end. The extension part 120 may include a form in which an edge of the vibrating surface 130 is extended in a cross-sectional shape, and as shown in FIG. 19, the connection part 230 is formed based on the inner fixing part 210. It may include a form that moves further toward or closer to th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extension part 120 is extended to 1/2 or more and 2/3 or less of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art 230.

점탄성체(140, viscoelastic body)는 진동면(130) 장축(x)의 양단 부근의 저면에 각각 결합한다. 점탄성체(140)는 일정한 질량을 갖고,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존재하고, 점탄성을 통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하며 예컨대 발포 부필 또는 발포 우레탄일 수 있다. The viscoelastic body 140, the viscoelastic body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near both ends of the long axis (x) of the vibration surface 130, respectively.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has a constant mass, exists in a solid state at room temperature, and is compos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 through viscoelasticity, and may be, for example, foamed buoy or foamed urethane.

점탄성체(140)의 결합 위치(L3)는 진동판(100)의 양 단에서 진동판(100) 장축방향(x) 길이(LDP)의 1/5 영역 이내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0)가 형성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Coupling positions (L 3 ) of the viscoelastic body 140 is preferably coupled to each other within 1/5 region of the longitudinal axis (x) length (L DP ) of the diaphragm 100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100, Figure 18 More preferably, it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extension 120 is formed.

점탄성체(140)의 질량이 너무 높으면 진동계의 질량이 증가하여 스피커 효율이 감소하고, 너무 낮으면 분할진동 완화의 효과가 적하기 때문에 적절한 질량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험결과 점탄성체(140)의 질량이 진동판(100) 질량의 10% 내지 20%일 때가 가장 우수한 음향특성을 나타내었다.If the mass of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is too high, the mass of the vibration system is increased, and speaker efficiency is decreased. If the mass of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is too low,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mass because the effect of mitigation of split vibration is small.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hen the mass of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is 10% to 20% of the mass of the diaphragm 100,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엣지(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고정부(210), 외측 고정부(22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 고정부(210)는 진동판(100)의 가장자리부(110)에 고정되고, 외측 고정부(220)는 고정단에 고정되고, 연결부(230)는 내측 고정부(210)와 외측 고정부(22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연결부(230)는 예컨대 볼록한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을 갖고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되지 않고 진동판(100)을 탄성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dge 200 includes an inner fixing portion 210, an outer fixing portion 220, and a connecting portion 230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inner fixing part 210 is fixed to the edge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the outer fixing part 220 is fixed to the fixing end, and the connection portion 230 is the inner fixing part 210 and the outer fixing part ( 220)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230 has a convex shape or a corrugated shape, for example, and functions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100 without being fixed to other components.

분할진동을 더욱 완화하기 위해 진동판 조립체(12)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탄성체(140)를 커버하도록 도포된 점탄성재(150, viscoelastic material)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탄성재(150)는 상온에서 고체인 점탄성체(140)와는 달리 상온에서 점조액(viscous liquid) 형태로 존재하고 예컨대 PVC 레진 또는 아크릴 레진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조액일 수 있으며, 동부정밀화학(Dongbu Fine Chemicals)의 D-747을 예시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alleviate the split vibration, the diaphragm assembly 12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viscoelastic material 150 applied to cover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as shown in FIG. 19. Unlike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which is a solid at room temperature, the viscoelastic material 150 exists in the form of a viscous liquid at room temperature and may be, for example, a viscous liquid mainly composed of PVC resin or acrylic resin, and Dongbu Fine Chemical Co., Ltd. Chemicals) D-747 can be exemplified.

점탄성재(150)는 진동판(100)의 연장부(120)까지 연결되어 도포될 수 있으며, 연결부(230)를 바라보는 연장부(120)의 상면과 연장부(120)의 저면에 도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점탄성재(150)는 연결부(230)를 바라보는 연장부(120)의 상면과 연장부(120)가 바라보는 연결부(230) 내면에 도포되며 연장부(120)와 연결부(23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The viscoelastic material 150 may be applied by being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120 of the diaphragm 100, and may be applied to the top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20 facing the connection part 23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20. h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scoelastic material 150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120 facing the connection portion 2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230 facing the extension portion 120 and the extension portion 120 and the connection portion ( The space enclosed by 230 may be filled.

한편 점탄성체(14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는 복수의 진동원을 사용하는 진동판(1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하나의 진동원을 구비하는 진동판(100)에 적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때의 진동원은 보이스코일(400) 뿐만 아니라 피에조 소자 등 다른 스피커 진동원일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may be applied to the vibration plate 100 using a plurality of vibration sources, but is applied to the vibration plate 100 having one vibration source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 18. Is more effective. In this case, the vibration source may be not only the voice coil 400 but also another speaker vibration source such as a piezo element.

도 25는 점탄성체(140) 및 점탄성체(140)와 연장부(120)에 도포된 점탄성체(140)를 포함하는 도 19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조립체(12)를 사용한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SPL : Sound Pressure Level)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27은 점탄성체(140)를 포함하지 않고, 연장부(120)에 도포된 점탄성체(140)를 포함하는 진동판 조립체(12)를 사용한 슬림 스피커의 음압레벨 그래프를 도시한다. 점탄성체(140)를 더 포함하는 진동판 조립체(12)는 진동판(100) 양 단부의 분할진동을 더욱 완화하여 분할진동에 의한 1kHz 내지 2kHz 사이의 딥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것이 확인된다.FIG. 25 illustrates a sound pressure level of a slim speaker using the diaphragm 140 and the diaphragm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9 including the viscoelastic 140 and the viscoelastic 140 applied to the extension 120. (SPL: Sound Pressure Level) graph, FIG. 27 shows a slim speaker using the diaphragm assembly 12 includ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applied to the extension 120 without including the viscoelastic material 140. The sound pressure level graph of is shown. The diaphragm assembly 12 further including the viscoelastic body 140 further relieves the split vibrations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100 to effectively remove the dip between 1 kHz and 2 kHz due to the split vibration.

[프레임 조립체][Frame Assembly]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프레임 조립체(14)를 설명한다. 프레임 조립체(14)는 프레임(500) 및 자기회로(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실시예에 따라 히트싱크(700) 및/또는 라디에이터(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frame assembly 1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hrough 24. The frame assembly 14 includes a frame 500 and a magnetic circuit 600, and may further include a heat sink 700 and / or a radiator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자기회로(600)는 요크(610), 자석(620), 플레이트(630)로 구성되는 내자형 자기회로(600)일 수 있으며, 자기갭을 통해 보이스코일(400)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기회로(600)는 실시예에 따라 센터폴, 자석(620), 플레이트(630)로 구성되는 외자형 자기회로(600)이거나 외자형과 내자형이 혼합된 혼합형 자기회로(600)일 수 있다.The magnetic circuit 600 may be a magnetic magnetic circuit 600 composed of the yoke 610, the magnet 620, the plate 630, and serves to provide a magnetic force to the voice coil 400 through the magnetic gap. Perform. The magnetic circuit 600 may be an external magnetic circuit 600 composed of a center pole, a magnet 620, and a plate 630, or a mixed magnetic circuit 600 mixed with an external magnet and a magnetic magnet. .

프레임(500)은 스피커 조립체(10)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510) 및 측면으로 구성된다. 프레임(500)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폴리머 수지 또는 금속일 수 있다.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10)의 경우 바닥면(510) 중앙에는 자기회로(600)가 결합한다. 요크(610)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프레임(500)을 사출성형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싱크(700) 및/또는 라디에이터(80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히트싱크(700) 및/또는 라디에이터(800)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프레임(500)을 사출성형할 수 있다.The frame 500 forms the outline of the speaker assembly 10, and has an open top surface, and consists of a bottom surface 510 and a side surface. The material of the frame 5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polymer resin or a metal. In the case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assembly 10, the magnetic circuit 60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510. In the state in which the yoke 610 is inserted, the frame 500 may be injection molded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In an embodiment that further includes the heat sink 700 and / or the radiator 800, the frame 500 may be injection molded while the heat sink 700 and / or the radiator 800 is inserted.

프레임(500)의 측벽의 상부에는 진동판 조립체(12)가 결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0) 측벽의 상부에는 서스펜션(300)의 외측 고정부(220)의 저면이 결합될 수 있다.The diaphragm assembly 12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frame 500, and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ixing part 220 of the suspension 30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frame 500 as illustrated in FIG. 3. .

한편, 단일의 보이스코일(400)에 저항열이 집중되는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10)에 있어서는 별도의 방열구조가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효율적인 히트싱크(700)를 수용할 수 있는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500)을 설명한다.Meanwhile, in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assembly 10 in which resistance heat is concentrated in a single voice coil 400, a separat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required. Hereinafter, a fram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an efficient heat sink 700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500)은 평면형상의 진동판(100)을 사용하고, 장축방향(x)의 길이가 단축방향(y)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10)에 사용된다. 또한 프레임(500)은 측면의 상부를 통해 진동판 조립체(12)와 결합하고, 바닥면(510)을 통해 요크(610)와 결합한다.Fram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flat diaphragm 100, the length of the long axis direction (x) to the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10 is formed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direction (y). Used. The frame 500 also engages the diaphragm assembly 12 through the top of the side, and engages the yoke 610 through the bottom surface 510.

프레임(500)의 바닥면(510)은 제 1 영역(520) 및 제 2 영역(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영역(52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0)의 중앙부이고, 요크(610)가 결합하는 제 1 결합공(521)이 형성된다. 제 1 결합공(521)은 요크(610)의 바닥면(510)을 프레임(500) 저면으로 노출함으로써 방열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frame 500 includes a first region 520 and a second region 530.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region 520 is a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500, and a first coupling hole 521 to which the yoke 610 is coupled is formed. The first coupling hole 521 may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by exposing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yoke 61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500.

제 2 영역(530)은 제 1 영역(520)의 장축방향(x)의 양쪽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 2 영역(530)은 한 쌍의 히트싱크(700)들이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 2 결합공(531)들을 포함한다. 이때 히트싱크(700)의 열전도율은 요크(610)의 열전도율 보다 높아야 한다. 요크(610)를 구성하는 강자성체로는 철, 니켈, 코발트, 퍼멀로이, MKS 강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재들은 100 W/(mㅇK) 미만의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다. 따라서 높은 방열효과를 위해서는 히트싱크(700)의 소재는 100 W/(mㅇK) 이상의 높은 열전도율을 갖아야 하며 예컨대 그래핀(graphene), 은, 구리, 금, 알루미늄 또는 복수의 금속의 합금일 수 있고, 제조비용을 고려하면 알루미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second region 530 is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of the first region 520. The second region 530 includes a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531 to which the pair of heat sinks 700 are coupled. In this cas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heat sink 700 sh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yoke 610. The ferromagne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yoke 610 can be exemplified by iron, nickel, cobalt, permalloy, MKS steel, these materials have a low thermal conductivity of less than 100 W / (mK).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high heat dissipation, the heat sink 700 must have a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100 W / (m · K) or higher, for example, graphene, silver, copper, gold, aluminum, or an alloy of a plurality of metals. In view of the manufacturing cost, aluminum is most preferable.

제 2 영역(5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610)의 최고점 보다 낮은 높이의 최고점을 갖고, 요크(610)의 최저점 보다 높은 높이의 최저점을 갖도록 형성되어 히트싱크(700) 높이의 적어도 1/5을 바닥면(510) 상측으로 노출하고, 히트싱크(700) 높이의 적어도 1/5을 바닥면(510) 하측으로 노출한다. 즉 히트싱크(700) 상부는 스피커 내부에 수용되어 가급적 많은 저항열을 흡수하고, 히트싱크(700) 하부는 스피커 외부로 노출되어 가급적 많은 열을 방출하는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region 530 has a highest point lower than the highest point of the yoke 610 and is formed to have a lowest point higher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yoke 610 so that the height of the heat sink 700 may be increased. At least one fifth is exposed above the bottom 510 and at least one fifth of the height of the heat sink 700 is exposed below the bottom 510.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sink 700 is accommodated in the speaker to absorb as much resistance heat as possibl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sink 7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and has a structure that emits as much heat as possible.

그리고 바닥면(510)의 제 2 영역(530)은 히트싱크(700)의 중간을 지지함으로써 히트싱크(7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히트싱크(700)에 의한 스피커 조립체(10)의 높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530 of the bottom surface 510 supports the middle of the heat sink 700 to stably support the heat sink 700 while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speaker assembly 10 by the heat sink 700. You can prevent it.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영역(530)은, 요크(610) 높이의 4/5 지점 보다 낮은 높이의 최고점을 갖고, 요크(610) 높이의 1/5 지점 보다 높은 높이의 최저점을 갖는 것을 수 있다. 예컨대 요크(610)의 높이가 8 mm 인 경우 제 2 영역(530)의 상면은 바닥에서 6.4 mm 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제 2 영역(530)의 저면은 바닥에서 1.6 mm 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second region 530 may have a peak having a height lower than 4/5 of the height of the yoke 610, and may have a lowest point having a height higher than 1/5 of the height of the yoke 610. have.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yoke 610 is 8 mm,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30 has a height lower than 6.4 mm from the bottom,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30 has a height higher than 1.6 mm from the bottom. desirable.

또한 제 2 영역(53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52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프레임(500)의 바닥면(510)은 요크(610)가 결합하는 가운데가 낮고, 히트싱크(700)가 결합하는 양 옆이 높은 계단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0, the second region 530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region 520 so that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frame 500 has a low center of engagement between the yoke 610 and a heat.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s of the sink 700 have a high stepped structure.

한편 히트싱크(700)가 프레임(500)과 결합할 때 결합하는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제 1 영역(5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히트싱크(700) 저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스피커 내부로 수용되는 히트싱크(700)의 상부영역의 높이와 스피커 외부로 노출되는 히트싱크(700)의 하부영역의 높이를 규정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define a position at which the heat sink 700 is coupled when the heat sink 700 is coupled to the frame 500,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gion 520 is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ink 700 as illustrated in FIG. It is preferably formed in contact with. Through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height of the upper region of the heat sink 700 accommodated inside the speaker and the height of the lower region of the heat sink 7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다음으로, 프레임(500)의 상기 바닥면(510)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520)에서 연장되어 제 2 영역(530)을 연결하는 제 3 영역(540)을 더 포함하고, 제 3 영역(5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 영역이 히트싱크(700)의 측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영역(540)은 히트싱크(700) 중앙부의 외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히트싱크(700) 및 프레임(500)의 조립안정성을 향상한다.Next,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frame 500 further includes a third region 540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520 and connecting the second region 530, as shown in FIG. 21. As illustrated in FIG. 3, the third region 54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region 540 contacts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heat sink 700. The third region 540 firmly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at sink 700 to improve the assembly stability of the heat sink 700 and the frame 500.

한편, 방열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프레임(500)은 라디에이터(800)가 결합되는 제 3 결합공(53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영역(530)은 제 1 결합공(521)의 장축방향(x)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한 쌍의 라디에이터(800)들이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제 3 결합공(53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the frame 500 may further include third coupling holes 532 to which the radiator 800 is coupled. To this end, the second region 530 is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of the first coupling hole 521, and the pair of third coupling holes 532 to which the pair of radiators 8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may further include them.

히트싱크(7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는 프레임(500), 진동판(100), 엣지(200), 보이스코일(400), 서스펜션(300), 자기회로(600), 및 히트싱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는 평면형상의 진동판(100)을 사용하고, 장축방향(x)의 길이가 단축방향(y)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된다. The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heat sink 700 may include a frame 500, a diaphragm 100, an edge 200, a voice coil 400, a suspension 300, a magnetic circuit 600, And a heat sink 700. The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flat diaphragm 100, and the length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is formed to be at least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minor axis direction y.

프레임(500)은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고, 탄성재질의 엣지(200)는 진동판(100)의 가장자리부(110)와 결합한다. 보이스코일(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하나가 위치한다. 복수의 보이스코일(400)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단일의 보이스코일(400)을 사용하는 경우 전력이 단일의 보이스코일(400)에 집중되기 때문에 저항열이 증가한다. 서스펜션(300)은 저면을 통해 보이스코일(400)과 결합하고, 일부 영역이 진동판(100)과 결합하고, 일부 영역이 프레임(500)과 결합하여 진동판(100)을 탄성지지한다.The frame 500 has an open top surface, and the edge 200 of the elastic material is coupled to the edge portion 110 of the diaphragm 100. The voice coil 400 is located in the middle as shown in FIG. Compared to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voice coils 400 are used, when a single voice coil 400 is used, resistance heat increases because power is concentrated in a single voice coil 400. Suspension 300 is coupled to the voice coil 400 through the bottom surface, a portion of the portion is coupled to the diaphragm 100, a portion of the portion is coupled to the frame 500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100.

자기회로(600)는 프레임(500) 바닥면(510) 중앙에 결합하고, 요크(610), 자석(620), 및 플레이트(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gnetic circuit 60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frame 500 and includes a yoke 610, a magnet 620, and a plate 630.

한 쌍의 히트싱크(700)들은 요크(610) 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갖고, 프레임(500) 바닥면(510)과 결합하고, 요크(610)의 외주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히트싱크(700)의 일부 영역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610)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과 접촉하거나 매우 근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요크(610)의 열을 수용할 수 있다. 히트싱크(7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610)의 외주면과 부합하는 곡면 영역(710)이 요크(610)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곡면 영역(71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방열 핀(720)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heat sinks 700 has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yoke 61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frame 50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610. As shown in FIG. 23, some regions of the heat sink 700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some reg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610 to receive heat from the yoke 610. As shown in FIG. 22, the heat sink 700 has a curved area 7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yoke 610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yoke 610 and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urved area 710.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720 may be formed.

프레임(500)의 바닥면(510)은 제 1 영역(520)과 제 2 영역(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영역(520)은 요크(610)가 결합하는 제 1 결합공(521)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결합공(531)들은 제 1 영역(520)의 장축방향(x)의 양쪽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히트싱크(700)들이 각각 결합한다. 제 2 영역(530)은 요크(610)의 최고점 보다 낮은 높이의 최고점을 갖고, 요크(610)의 최저점 보다 높은 높이의 최저점을 갖도록 형성되어 히트싱크(700) 높이의 적어도 1/5을 바닥면(510) 상측으로 노출하고, 히트싱크(700) 높이의 적어도 1/5을 바닥면(510) 하측으로 노출하도록 구성한다.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frame 500 includes a first region 520 and a second region 530. The first region 520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hole 521 to which the yoke 610 is coupled. The pair of second coupling holes 531 are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major axis direction x of the first region 520, and the pair of heat sinks 7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econd area 530 is formed to have the highest point lower than the highest point of the yoke 610 and the lowest point higher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yoke 610 so that at least one fifth of the height of the heat sink 700 is bottomed. 510 is exposed upward, and at least 1/5 of the height of the heat sink 700 is ex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510.

이하에서는 히트싱크(700)와 결합하는 프레임(500)의 실시예와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 of the frame 500 coupled to the heat sink 700 will be omitted.

도 28의 그래프는 히트싱크(70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조립체(10)와 인클로져를 결합한 스피커 시스템의 96시간 신뢰성 테스트 전후의 음압레벨을 도시한다. 실선은 신뢰성 테스트 전의 음압레벨을 표시하고, 파선은 신뢰성 테스트 후의 음압레벨을 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뢰성 테스트에도 불구하고 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히트싱크(700)를 포함하지 않은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의 온도는 장시간 구동시 200 ℃ 이상으로 상승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700) 및 프레임(500)을 포함한 단일 구동계 슬림 스피커 조립체(10)의 온도는 장시간 구동에도 120 ℃ 이하를 유지하였다.The graph of FIG. 28 shows sound pressure levels before and after a 96 hour reliability test of a speaker system incorporating an enclosure and a speaker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a heatsink 700. The solid line indicates the sound pressure level before the reliability test, and the broken line indicates the sound pressure level after the reliability test. As show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characteristics despite the reliability test.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of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assembly which does not include the heat sink 700 has risen to 200 ° C. or more when driven for a long time, but the single drive system slim speaker assembly including the heat sink 700 and the fram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10) was kept 120 degrees C or less even after driving for a long time.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700) 및 프레임(500)을 포함한 스피커 조립체(10)는 영상출력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TV, 모니터 등의 영상장치의 음향출력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싱크(700) 및 프레임(500)을 포함한 스피커 조립체(10)는 통신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통신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The speaker assembly 10 including the heat sink 700 and the fram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used in an audio output module of an image device such as a TV or a monitor including an image output module and an audio output module. . In addition, the speaker assembly 10 including the heat sink 700 and the fram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in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n audio output module.

10 : 스피커 조립체 12 : 진동판 조립체
14 : 프레임 조립체 100 : 진동판
200 : 엣지 300 : 서스펜션
400 : 보이스코일 500 : 프레임
600 : 자기회로 700 : 히트싱크
800 : 라디에이터
10 speaker assembly 12 diaphragm assembly
14 frame assembly 100 diaphragm
200: Edge 300: Suspension
400: voice coil 500: frame
600: magnetic circuit 700: heat sink
800: radiator

Claims (16)

평면형상의 진동판을 사용하고 장축방향의 길이가 단축방향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에 사용되고, 프레임 및 진동판과 결합하는 서스펜션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하고, 저면을 통해 보이스코일과 결합하는 단일의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진동판의 저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제 2 결합부들;
상면을 통해 엣지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결합하는 제 3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들 각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3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 복수의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
In a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using a flat diaphragm and having a length in the major axis direction of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in the minor axis direction, the suspension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diaphragm,
A single first coupling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and coupled with the voice coil through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 thir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an edge through an upper surface, a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a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parts extending from each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and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s, and having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not coupled with other components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Suspension of the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장축방향 길이의 5 % 내지 15 %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of 5% to 15% of the long axis length of the suspen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장축방향 길이의 10 % 내지 2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support,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10% to 25% of the long axis length of the suspen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장축방향 중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결합부들과, 장축방향 중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결합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4 개의 상기 제 2 결합부들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4 개의 상기 탄성지지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es a pair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in on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a pair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unit, the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our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s are formed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four second coupling portions.
청구항 5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결합부들 간의 간격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탄성지지부들 간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Suspension of the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acing each other is formed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ortions facing each other.
평면형상의 진동판을 사용하고, 장축방향의 길이가 단축방향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에 사용되고, 프레임 및 진동판과 결합하는 서스펜션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하고, 저면을 통해 보이스코일과 결합하는 단일의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진동판의 저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제 2 결합부들;
상면을 통해 엣지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결합하는 제 3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 3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 복수의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의 서스펜션.
In a suspension using a planar diaphragm and having a length in the major axis direction of at least three times the length in the minor axis direction, the suspension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diaphragm,
A single first coupling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and coupled with the voice coil through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 thir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an edge through an upper surface, a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a bottom surface; And
And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parts extending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art not being coupled with other components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aphragm. Suspension of the assembly.
평면형상의 진동판을 사용하고, 장축방향의 길이가 단축방향의 길이의 적어도 3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스피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조립체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의 프레임;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부와 결합하는 탄성재질의 엣지;
단일의 보이스코일;
저면을 통해 상기 보이스코일과 결합하고, 상면을 통해 상기 진동판과 결합하고, 외주부 상면을 통해 상기 엣지와 결합하고, 외주부 저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 상면과 결합하는 서스펜션; 및
상기 프레임 바닥면 중앙에 결합하고, 요크, 자석, 및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일의 자기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스펜션은, 중앙에 위치하고 저면을 통해 상기 보이스코일과 결합하는 단일의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을 통해 상기 진동판의 저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제 2 결합부들; 상면을 통해 상기 엣지의 저면과 결합하고, 저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결합하는 제 3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들 각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3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진동판을 탄성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이 다른 부품과 결합하지 않는 복수의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In the rectangular speaker assembly using a flat diaphragm, the length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at least three times or more of the length in the minor axis direction, wherein the speaker assembly,
A frame having an open top surface;
tympanum;
An edge of an elastic material coupled to an edge of the diaphragm;
Single voice coil;
A suspension coupled to the voice coil through a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diaphragm through an upper surface, coupled to the edge through an upper peripheral surface, and coupled to the frame upper surface through an outer peripheral bottom surface; And
And a single magnetic circui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nd including a yoke, a magnet, and a plate.
The suspension includes a single first coupling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and coupled to the voice coil through a bottom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diaphragm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 thir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edge through an upper surface a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through a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parts extending from each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and having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not coupled with other components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ion plate. Speaker assembl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장축방향 길이의 5 % 내지 15 % 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a length of 5% to 15% of the long axis length of the suspens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서스펜션의 장축방향 길이의 10 % 내지 2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elastic support,
And 10% to 25%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uspens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장축방향 중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결합부들과, 장축방향 중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결합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4 개의 상기 제 2 결합부들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4 개의 상기 탄성지지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es a pair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in on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a pair of the second coupling parts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major axis direc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the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four of the elastic support portions are formed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four second coupling portions.
청구항 12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결합부들 간의 간격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탄성지지부들 간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second coupling parts facing each other, the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facing each oth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평탄하게 형성된 가장자리부 및 상기 가장자리부에서 연결되는 진동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동면은, 장축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와 상기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들은, 각각 상기 진동판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저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diaphragm includes a flat edge portion and a vibrating surface connected at the edge portion,
The vibrating surface includes a concave portion formed in a long axis direction and a convex portion connecting the concave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The second coupling parts, the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 coupling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portion of the diaphragm.
영상출력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모듈은, 청구항 8의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Image output module; And
In the imaging device comprising a; audio output module, comprising:
The audio output module comprises the speaker assembly of claim 8.
통신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모듈은, 청구항 8의 스피커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Communication module; An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The sound output module, th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the speaker assembly of claim 8.
KR1020180066065A 2018-06-08 2018-06-08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534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65A KR102534921B1 (en) 2018-06-08 2018-06-08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65A KR102534921B1 (en) 2018-06-08 2018-06-08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97A true KR20190139497A (en) 2019-12-18
KR102534921B1 KR102534921B1 (en) 2023-05-19

Family

ID=6905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065A KR102534921B1 (en) 2018-06-08 2018-06-08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9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7170A1 (en) * 2020-07-06 2022-01-1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Sound production device

Citation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881B2 (en) 1975-02-24 1986-02-05 Colgate Palmolive Co
JPS6427399A (en) 1987-07-23 1989-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tangular flat speaker
KR890001812Y1 (en) 1986-09-17 1989-04-08 이용우 Billiard bull
JPH01269396A (en) 1988-04-21 1989-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peaker
JPH09200891A (en) 1996-01-23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peaker
JPH1094092A (en) 1996-09-17 1998-04-10 Pioneer Electron Corp Damper for speaker
JPH10327491A (en) 1997-05-22 1998-12-08 Kenwood Corp Loudspeaker
JPH11146488A (en) 1997-11-07 1999-05-28 Hitachi Ltd Cone shaped speaker unit, speaker system and display device, stereo device and on-vehicle stereo device
JP2000244997A (en) 1999-02-23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oudspeaker
JP2006324769A (en) 2005-05-17 2006-11-30 Pioneer Electronic Corp Damper, diaphragm, and speaker apparatus
KR100665530B1 (en) 2006-04-19 2007-01-09 주식회사 한국토프톤 Diaphragm with partitions for rectangle slim speaker
KR20100011199A (en)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Rectangle and lmina type speaker
KR100963559B1 (en) 2009-07-20 2010-06-15 범진아이엔디(주) Slim type speaker
JP4590403B2 (en) 2004-05-27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peaker
KR101061550B1 (en) 2010-03-08 2011-09-02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Rectangle suspension and rectangle speaker module having the suspention
JP2013157798A (en) * 2012-01-30 2013-08-15 Panasonic Corp Speaker, hearing aid, inner ear headphone,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v apparatus
KR101312931B1 (en) 2013-04-29 2013-10-01 주식회사 엠소닉 Suspention of speaker
KR20140128575A (en)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엠소닉 Suspention of speaker
KR20140146756A (en) 2013-06-18 2014-12-29 (주) 모토텍 Suspension and speaker device having same
KR101560363B1 (en) 2015-02-23 2015-10-19 주식회사 슬리비스 Speaker device
KR101560365B1 (en) 2015-08-07 2015-10-19 주식회사 슬리비스 Diaphragm for Speaker Device
KR101564896B1 (en) 2015-01-17 2015-10-30 주식회사 슬리비스 Diaphragm Assembly
KR101625932B1 (en) 2016-04-25 2016-05-31 주식회사 슬리비스 A suspension for speaker and a speaker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089264A (en) 2015-10-21 2016-07-27 주식회사 슬리비스 Diaphragm Assembly
KR101737813B1 (en) 2016-11-09 2017-05-19 주식회사 슬리비스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Diaphragm and Edge for Slim Speaker

Patent Citation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881B2 (en) 1975-02-24 1986-02-05 Colgate Palmolive Co
KR890001812Y1 (en) 1986-09-17 1989-04-08 이용우 Billiard bull
JPS6427399A (en) 1987-07-23 1989-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tangular flat speaker
JPH01269396A (en) 1988-04-21 1989-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peaker
JPH09200891A (en) 1996-01-23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peaker
JPH1094092A (en) 1996-09-17 1998-04-10 Pioneer Electron Corp Damper for speaker
JPH10327491A (en) 1997-05-22 1998-12-08 Kenwood Corp Loudspeaker
JPH11146488A (en) 1997-11-07 1999-05-28 Hitachi Ltd Cone shaped speaker unit, speaker system and display device, stereo device and on-vehicle stereo device
JP2000244997A (en) 1999-02-23 2000-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oudspeaker
JP4590403B2 (en) 2004-05-27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Speaker
JP2006324769A (en) 2005-05-17 2006-11-30 Pioneer Electronic Corp Damper, diaphragm, and speaker apparatus
KR100665530B1 (en) 2006-04-19 2007-01-09 주식회사 한국토프톤 Diaphragm with partitions for rectangle slim speaker
KR20100011199A (en)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Rectangle and lmina type speaker
KR100963559B1 (en) 2009-07-20 2010-06-15 범진아이엔디(주) Slim type speaker
KR101061550B1 (en) 2010-03-08 2011-09-02 주식회사 진영지앤티 Rectangle suspension and rectangle speaker module having the suspention
JP2013157798A (en) * 2012-01-30 2013-08-15 Panasonic Corp Speaker, hearing aid, inner ear headphone,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v apparatus
KR101312931B1 (en) 2013-04-29 2013-10-01 주식회사 엠소닉 Suspention of speaker
KR20140128575A (en)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엠소닉 Suspention of speaker
KR20140146756A (en) 2013-06-18 2014-12-29 (주) 모토텍 Suspension and speaker device having same
KR101564896B1 (en) 2015-01-17 2015-10-30 주식회사 슬리비스 Diaphragm Assembly
KR101560363B1 (en) 2015-02-23 2015-10-19 주식회사 슬리비스 Speaker device
KR101560365B1 (en) 2015-08-07 2015-10-19 주식회사 슬리비스 Diaphragm for Speaker Device
KR20160089264A (en) 2015-10-21 2016-07-27 주식회사 슬리비스 Diaphragm Assembly
KR101625932B1 (en) 2016-04-25 2016-05-31 주식회사 슬리비스 A suspension for speaker and a speaker device using the same
KR101737813B1 (en) 2016-11-09 2017-05-19 주식회사 슬리비스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Diaphragm and Edge for Slim Spe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7170A1 (en) * 2020-07-06 2022-01-1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Sound produ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921B1 (en)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105B1 (en) Actuator fix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having the same
JP4237702B2 (en) Dynamic microspeaker with dual suspension
KR101061550B1 (en) Rectangle suspension and rectangle speaker module having the suspention
KR20170135465A (en)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US20130156237A1 (en) High power micro-speaker
CN113115187B (en) Display device
US10924863B2 (en) Diaphragm and speaker
EP2475190A1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JP2012010148A (en) Electro-acoustic converter
WO2006064725A1 (en) Loudspeaker
CN107409259B (en) Electronic sound equipment changing device
KR101900072B1 (en) Speak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404119B1 (en) Slim type speaker
KR20230098143A (en) Flat speaker driven by a single permanent magnet and one or more voice coils
US11159889B2 (en) Sounding device
KR102534921B1 (en)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534918B1 (en) Suspension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JP5076237B2 (en) Magnetic circuit structure of multifunctional vibration actuator
KR102534922B1 (en) Diaphragm assembly and speaker assembly having the same
US11206490B2 (en) Sound generating actuator
KR102534923B1 (en) Frame and speaker assembly
KR101811730B1 (en) Slim type speaker with two-voice coil
WO2024036692A1 (en) Loudspeaker box
KR20140115015A (en) Speaker device
US11228826B2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