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994A -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994A
KR20190138994A KR1020180065435A KR20180065435A KR20190138994A KR 20190138994 A KR20190138994 A KR 20190138994A KR 1020180065435 A KR1020180065435 A KR 1020180065435A KR 20180065435 A KR20180065435 A KR 20180065435A KR 20190138994 A KR20190138994 A KR 20190138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file
event
inform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0813B1 (ko
Inventor
이혜원
이덕기
박종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813B1/ko
Priority to EP19814251.5A priority patent/EP3769498B1/en
Priority to CN201980035899.1A priority patent/CN112219384B/zh
Priority to PCT/KR2019/006706 priority patent/WO2019235804A1/en
Priority to US16/435,407 priority patent/US11700528B2/en
Publication of KR2019013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7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control plane, e.g. signalling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통신사업자 서버로부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로부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탐색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다른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참조하여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MANAGING A PROFILE BY USING MESSAGING SER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OTT(over the top) 등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smart card)이고 UICC 카드라고도 부른다. 상기 UICC에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제어 모듈의 예로는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ISIM (IP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등이 있다. USIM이 포함된 UICC를 통상 USIM 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SIM 모듈이 포함된 UICC를 통상적으로 SIM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용어 “SIM 카드”, “UICC 카드”, “USIM 카드”, “ISIM이 포함된 UICC”는 본 명세서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SIM 카드라 하여도 그 기술적 적용이 USIM 카드 또는 ISIM 카드 또는 일반적인 UICC 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traffic) 보안 키(key) 생성을 수행하여 안전한 이동통신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SIM 카드는 본 발명을 제안하는 시점에서 일반적으로 카드 제조 시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사업자를 위한 전용 카드로 제조되며, 해당 사업자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인증 정보, 예를 들어,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어플리케이션 및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K 값, OPc 값 등이 사전에 카드에 탑재되어 출고된다. 따라서 제조된 상기 SIM 카드는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가 납품 받아 가입자에게 제공하며, 이후 필요 시에는 OTA (Over The Air)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상기 UICC 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수정, 삭제 등의 관리도 수행할 수 있다. 가입자는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UICC 카드를 삽입하여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며, 단말기 교체 시 상기 UICC 카드를 기존 단말기에서 새로운 단말기로 이동 삽입함으로써 상기 UICC 카드에 저장된 인증정보, 이동통신 전화번호, 개인 전화번호부 등을 새로운 단말기에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SIM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이동통신사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SIM 카드를 물리적으로 획득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나라로 여행을 했을 때 현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현지 SIM 카드를 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로밍 서비스의 경우 상기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결해 주지만, 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통신사간 계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도 있다.
한편, UICC 카드에 상기 SIM 모듈을 원격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경우, 이러한 불편함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SIM 모듈을 UICC 카드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UICC 카드는 또한 복수개의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고 그 중의 한 개의 SIM 모듈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UICC 카드는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UICC를 eUICC (embedded UICC)라고 하는데, 통상적으로 eUICC는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를 eUICC로 통칭하겠다. 즉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 중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는 UICC 카드를 통칭하여 eUICC로 사용하겠다. 또한 다운로드 받는 SIM 모듈정보를 통칭하여 eUICC 프로파일, 또는 더 간단히 프로파일 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겠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여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온라인으로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사업자가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단말에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안전하게 공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에 포함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탐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업자 서버로부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2 단말 및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프로파일을 위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및 이벤트 코드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사업자 서버로부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2 단말 및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식별하며,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프로파일을 위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및 이벤트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입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업자 서버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입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업자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통신사업자 서버로부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탐색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다른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참조하여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사업자 서버는,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내지 사용자 대리인으로부터 적어도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프로파일 서버에 이벤트 생성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이벤트 생성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생성 요청 메시지 그리고/또는 이벤트 생성 결과를 참조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및 대상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통신사업자 서버로부터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수신한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검색하고 복호화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참조하여 프로파일 서버에 이벤트를 요청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수신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사업자 서버는, 사용자 내지 사용자 대리인으로부터 적어도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프로파일 서버에 이벤트 생성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이벤트 생성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이벤트 생성 요청 메시지 그리고/또는 이벤트 생성 결과를 참조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생성하고 암호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암호화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수신한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로부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탐색하고 감지하여 사용자의 별도 입력 없이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이벤트를 다운로드하고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사업자 서버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직접 송신하여 사용자의 개입 없이 단말에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사업자 서버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를 특정 단말만 복호화(decrypt)할 수 있도록 암호화(encrypt)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가 유출되는 경우의 보안 이슈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사업자 서버는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에 특정 단말의 정보(예를 들면 단말의 식별자)를 추가하여,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복수의 단말 중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사용해야 할 단말을 명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과 통신사업자 서버는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예측하기 어려운 사용자 실수를 줄이고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고정된 프로파일이 탑재된 UICC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통신사업자 서버와 프로파일 서버 연결의 예 및 단말이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는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기본 프로파일 서버 또는 기본 개통중개서버를 통해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는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이미지로 표현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는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로 수신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는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이벤트 다운로드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사업자 서버 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UICC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카드로서 이동통신 가입자의 네트워크 접속 인증 정보, 전화번호부, SMS와 같은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GSM, WCDMA, LTE 등과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보안 키 생성을 수행하여 안전한 이동통신 이용을 가능케 하는 칩을 의미한다. UICC에는 가입자가 접속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Universal SIM), ISIM(IP Multimedia SIM)등의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또한 전자지갑, 티켓팅, 전자여권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탑재를 위한 상위 레벨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eUICC(embedded UICC)는 단말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착탈식이 아닌 단말에 내장된 칩 형태의 보안 모듈이다. eUICC는 OTA(Over The Air)기술을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eUICC는 프로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한 UICC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eUICC에 OTA 기술을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방법은 단말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착탈식 UICC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는 OTA 기술을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 받아 설치 가능한 UICC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UICC는 SIM과 혼용될 수 있고, 용어 eUICC는 eSIM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Profile)은 UICC 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시스템, 인증키 값 등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징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USIM Profile은 프로파일과 동일한 의미 또는 프로파일 내 USIM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정보를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징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제공서버는 프로파일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프로파일을 암호화 하거나, 프로파일 원격관리 명령어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프로파일 원격관리 명령어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프로파일 제공 서버는 SM-DP(Subscription Manager Data Preparation), SM-DP+ (Subscription Manager Data Preparation plus), off-card entity of Profile Domain, 프로파일 암호화 서버, 프로파일 생성서버, 프로파일 제공자 (Profile Provisioner, PP), 프로파일 공급자 (Profile Provider), PPC holder (Profile Provisioning Credentials holder)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관리서버는 SM-SR(Subscription Manager Secure Routing), SM-SR+ (Subscription Manager Secure Routing Plus), off-card entity of eUICC Profile Manager 또는 PMC holder (Profile Management Credentials holder), EM (eUICC Manager)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프로파일 제공서버를 지칭할 때, 상기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기능을 합친 것을 통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즉, 이후의 기술에서 프로파일 제공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상기 동작은 프로파일 관리서버 에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프로파일 관리서버 또는 SM-SR에 대하여 기술하는 동작은 프로파일 제공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제공서버 또는 프로파일 관리서버는 프로파일 서버로 표현될 수 있다. 프로파일 서버는 프로파일 제공서버 또는 프로파일 관리서버 중 하나 일 수 있고, 프로파일 제공서버와 프로파일 관리서버를 모두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통중개서버는 SM-DS (Subscription Manager Discovery Service), DS (Discovery Service), 근원개통중개서버(Root SM-DS), 대체개통중개서버(Alternative SM-DS)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개통중개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제공서버 내지 개통중개서버로부터 이벤트 등록 요청(Register Event Request, Event Register Request)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개통중개서버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개통중개서버는 프로파일 제공서버뿐만 아니라 제2 개통중개서버로부터 이벤트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파일 서버는 개통중개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제공서버와 개통중개서버는 'RSP (Remote SIM Provisioning) 서버'라는 명칭으로 통칭될 수 있다. RSP 서버는 SM-XX (Subscription Manager XX)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2M(Machine to Machine) 단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말은 전자장치라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장치는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 가능한 UICC가 내장될 수 있다. UICC가 전자장치에 내장되지 않은 경우, 물리적으로 전자장치와 분리된 UICC는 전자장치에 삽입되어 전자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형태로 UICC는 전자장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단말은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가능한 UICC를 포함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단말에 UICC는 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과 UICC가 분리된 경우 UICC는 단말에 삽입될 수 있고, 단말에 삽입되어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가능한 UICC는 예를 들어 eUICC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말 또는 전자장치는 UICC 또는 eUICC를 제어하도록 단말 또는 전자장치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Local Profile Assistant(LPA)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구분자는 프로파일 식별자 (Profile ID), ICCID (Integrated Circuit Card ID), Matching ID, 이벤트 식별자 (Event ID),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 활성화 코드 토큰(Activation Code Token), ISD-P 또는 프로파일 도메인(Profile Domain, PD)과 매칭되는 인자로 지칭될 수 있다. 프로파일 식별자(Profile ID)는 각 프로파일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구분자는 프로파일을 색인할 수 있는 프로파일 제공서버(SM-DP+)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eUICC 식별자(eUICC ID)는, 단말에 내장된 eUICC의 고유 식별자일 수 있고, EID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eUICC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Provisioning Profile)이 미리 탑재되어 있는 경우 해당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식별자 (Provisioning Profile의 Profile ID)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단말과 eUICC 칩이 분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 ID일 수 있다. 또한, eUICC칩의 특정 보안 도메인 (Secure Domain)을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컨테이너(Profile Container)는 프로파일 도메인(Profile Domain) 으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파일 컨테이너 (Profile Container)는 보안 도메인 (Security Domain)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는 단말이 eUICC와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 일수 있다. 또한 APDU는 PP(Profile Provisioner) 또는 PM(profile manager)이 eUICC와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 일 수다.
본 명세서에서 PPC (Profile Provisioning Credentials)는 프로파일 제공서버와 eUICC 간 상호 인증 및 프로파일 암호화, 서명을 하는데 이용되는 수단일 수 있다. PPC는 대칭키, RSA (Rivest Shamir Adleman) 인증서와 개인키, ECC (elliptic curved cryptography) 인증서와 개인키, 최상위 인증 기관(Root certification authority (CA)) 및 인증서 체인(chai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제공서버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프로파일 제공서버 별로 다른 PPC를 eUICC에 저장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MC (Profile Management Credentials)는 프로파일 관리서버와 eUICC 간 상호 인증 및 전송 데이터 암호화, 서명을 하는데 이용되는 수단일 수 있다. PMC는 대칭키, RSA 인증서와 개인키, ECC 인증서와 개인키, Root CA 및 인증서 체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관리서버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프로파일 관리서버 별로 다른 PMC를 eUICC에 저장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ID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Application Identifier) 일 수 있다. 이 값은 eUICC 내에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을 구분해주는 구분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벤트(Event)는 프로파일 다운로드(Profile Download), 또는 원격 프로파일 관리(Remote Profile Management), 또는 기타 프로파일이나 eUICC의 관리/처리 명령어를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이벤트(Event)는 원격 SIM 제공 동작(Remote SIM Provisioning Operation, 또는 RSP 동작, 또는 RSP Operation) 또는 이벤트 기록(Event Record)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각 이벤트(Event)는 그에 대응하는 이벤트 식별자(Event Identifier, Event ID, EventID) 또는 매칭 식별자(Matching Identifier, Matching ID, MatchingID)와, 해당 이벤트가 저장된 프로파일 제공서버(SM-DP+) 또는 개통중개서버(SM-DS)의 주소(FQDN, IP Address, 또는 URL)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프로파일 다운로드(Profile Download)는 프로파일 설치(Profile Installation)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종류(Event Type)는 특정 이벤트가 프로파일 다운로드인지 원격 프로파일 관리(ex. 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교체, 업데이트 등)인지 또는 기타 프로파일이나 eUICC 관리/처리 명령인지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작 종류(Operation Type 또는 OperationType), 동작 분류(Operation Class 또는 OperationClass), 이벤트 요청 종류(Event Request Type), 이벤트 분류(Event Class), 이벤트 요청 분류(Event Request Class)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패키지(Profile Package)는 프로파일과 혼용되거나 특정 프로파일의 데이터 객체(data object)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Profile TLV 또는 프로파일 패키지 TLV (Profile Package TLV)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가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해 암호화된 경우 보호된 프로파일 패키지(Protected Profile Package (PPP)) 또는 보호된 프로파일 패키지 TLV (PPP TLV)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가 특정 eUICC에 의해서만 복호화 가능한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해 암호화된 경우 묶인 프로파일 패키지(Bound Profile Package (BPP)) 또는 묶인 프로파일 패키지 TLV (BPP TLV)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 TLV는 TLV (Tag, Length, Value) 형식으로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데이터 세트 (set)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원격 프로파일 관리(Remote Profile Management, RPM)는 프로파일 원격관리(Profile Remote Management), 원격관리(Remote Management), 원격관리 명령(Remote Management Command), 원격 명령(Remote Command), 원격 프로파일 관리 패키지(RPM Package), 프로파일 원격 관리 패키지(Profile Remote Management Package), 원격관리 패키지(Remote Management Package), 원격관리 명령 패키지(Remote Management Command Package), 원격명령 패키지(Remote Command Package)로 명명될 수 있다. RPM은 특정 프로파일의 상태(Enabled, Disabled, Deleted)를 변경하거나, 특정 프로파일의 내용(예를 들면, 프로파일의 별칭(Profile Nickname), 또는 프로파일 요약 정보(Profile Metadata) 등)을 변경(update)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RPM은 하나 이상의 원격관리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원격관리명령의 대상이 되는 프로파일은 원격관리명령마다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서(Certificate) 또는 디지털 인증서(Digital Certificate)는 공개 키(Public Key, PK)와 비밀 키(Secret Key, SK)의 쌍으로 구성되는 비대칭 키(Asymmetric Key) 기반의 상호 인증(Mutual Authentication)에 사용되는 디지털 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나타낼 수 있다. 각 인증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개 키(Public Key, PK)와, 각 공개 키에 대응하는 공개 키 식별자(Public Key Identifier, PKID)와, 해당 인증서를 발급한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CI)의 식별자(Certificate Issuer ID) 및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는 인증 발급자(Certification Issuer), 인증서 발급기관(Certificate Authority, CA), 인증 발급기관(Certification Authority)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개 키(Public Key, PK)와 공개 키 식별자(Public Key ID, PKID)는 특정 공개 키 내지 해당 공개 키가 포함된 인증서, 또는 특정 공개 키의 일부분 내지 해당 공개 키가 포함된 인증서의 일부분, 또는 특정 공개 키의 연산 결과(예를 들면, 해시(Hash))값 내지 해당 공개 키가 포함된 인증서의 연산 결과(예를 들면, 해시(Hash))값, 또는 특정 공개 키의 일부분의 연산 결과(예를 들면, 해시(Hash))값 내지 해당 공개 키가 포함된 인증서의 일부분의 연산 결과(예를 들면, 해시(Hash))값, 또는 상기 데이터들이 저장된 저장 공간을 지칭하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가 발급한 인증서들(1차 인증서)이 다른 인증서(2차 인증서)를 발급하는데 사용되거나, 2차 인증서들이 3차 이상의 인증서들을 연계적으로 발급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해당 인증서들의 상관관계는 인증서 연쇄(Certificate Chain) 또는 인증서 계층구조(Certificate Hierarchy)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 때 최초 인증서 발급에 사용된 CI 인증서는 인증서 근원(Root of Certificate), 최상위 인증서, 근원 CI(Root CI), 근원 CI 인증서(Root CI Certificate), 근원 CA(Root CA) 근원 CA 인증서(Root CA Certificate)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KA는 인증 및 키 합의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를 나타낼 수 있으며, 3GPP 및 3GPP2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알고리즘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K 는 AKA 인증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eUICC에 저장되는 암호키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OPc는 AKA 인증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eUICC에 저장될 수 있는 파라미터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NAA는 네트워크 접속 어플리케이션 (Network Access 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으로, UICC에 저장되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USIM 또는 ISIM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NAA는 망접속 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고정된 프로파일이 탑재된 UICC를 이용한 단말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연결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UICC(120)는 단말(110)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ICC(120)는 착탈형 일 수도 있고 단말(110)에 미리 내장된 것 일 수도 있다.
고정된 프로파일이 탑재된 UICC의 고정된 프로파일은 특정 통신사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가 고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접속정보는 가입자 구분자인 IMSI 및 가입자 구분자와 함께 망에 인증하는데 필요한 K 또는 Ki 값일 수 있다.
단말(110)은 상기 UICC(12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의 인증처리시스템 (예를 들면, 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나 AuC)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과정은 AKA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과정일 수 있다. 단말(110)은 인증에 성공하면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통신네트워크(130)를 이용하여 전화나 모바일 데이터 이용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220)이 통신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하고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아 처리하는 절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단말(220) 및 제2 단말(230)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단말(220)은 SIM 카드 또는 eSIM이 장착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220)은 통신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단말(210)은 주단말(primary terminal)로 명명할 수 있고, 제2 단말(230)은 보조단말(assistance terminal, secondary terminal)로 명명할 수 있다. 제2 단말(230)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eSIM이 장착된 제2 단말(230)의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임의의 통신사업자의 POS (Point of Sale) 그리고/또는 통신사업자의 IT 시스템 그리고/또는 통신사업자 서버(이하 "사업자 POS" 또는 "사업자" 또는 "사업자 서버"로 통칭, 210)에 온라인 그리고/또는 오프라인으로 접근(access)할 수 있다. 이 때 제2 단말(230)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하는 통신사업자는, 제1 단말(220)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도면 2에는 제1 단말(220)에 하나의 제2 단말(230)이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단말(220)에는 복수의 단말-즉 제2 단말(230) 이외 제3 단말(도면에 표시되지 않음) 내지 제n 단말이 연결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제1 단말(220)에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은 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별도의 고유 식별자(IMEI)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도 2뿐만 아니라 후술할 도면들에서 "제2 단말(230)"에 대한 표현은 복수의 제2 단말(230)을 고려하여 확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01 동작에서 사용자는 사업자 서버(210)에 접근하여 통신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가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입 정보는 제1 단말(220)의 정보, 제2 단말(230)의 정보, 사용자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220)의 정보 내지 제2 단말(230)의 정보는, 각 단말의 고유 식별자(IMEI), 각 단말의 모델, 단말에 내장 또는 장착된 SIM 식별자(ICCID) 내지 eSIM 식별자(EID), 각 단말에 내장 또는 장착된 SIM 내지 eSIM의 모델, 제1 단말(220) 또는 제2 단말(230)이 기존 통신서비스에 이미 가입되어 있는 경우 해당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정보 및 전화번호, 제1 단말(220) 내지 제2 단말(230)이 복호화(decrypt)할 수 있는 형태로 임의의 메시지를 암호화 하는데 사용되는 암호화(encrypt) 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이메일 주소, 서비스 요금 결제 정보, 사용자가 사용 중인 OTT 서비스의 개인식별정보(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203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210)는 프로파일 서버(240)에게 제2 단말(230)을 위한 이벤트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벤트의 생성에는 상기 201 동작에서 수신한 제1 단말(220) 정보 또는 제2 단말(230) 정보 및 사용자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활용될 수 있다. 이벤트는 프로파일 생성, 프로파일 설치, 프로파일 관리(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업데이트, 교체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벤트의 생성이 완료되면, 사업자 서버(210)와 프로파일 서버(240)는 생성된 이벤트의 고유 식별자(Matching ID 또는 Event ID)를 공유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203 동작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201 동작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 서버(240)는 사업자 서버(210)의 이벤트 생성 요청(즉, 203 동작)에 앞서 이벤트를 미리 생성해 둘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편의상 프로파일 서버(240)가 단일 서버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구현 및 실시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서버(예를 들어, SM-DP+)가 서버 구성에 포함될 수 있고, 특정 프로파일 서버와 단말의 연결 생성을 보조하는 하나 이상의 개통중개서버(예를 들어, SM-DS)가 서버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버의 구성을 이하 도면에는 간략하게 프로파일 서버(240)로 표기함에 유의해야 한다.
205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210)는 이벤트 다운로드를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서버(210) 또는 사업자 서버와 관련된 푸시 서버는 이벤트 다운로드를 위한 정보를 제1 단말(2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203 동작에서 이벤트가 준비된 프로파일 서버(240)의 주소와 이벤트의 고유 식별자(Matching ID 또는 Event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단순히 이벤트가 생성 및 다운로드 준비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지자(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 또는 명령 코드(Command Code)로 명명될 수도 있으며, 특정한 문자열(Text String)로 표현되거나, 해당 문자열을 바코드 내지 QR 코드와 같은 이미지로 변형한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종이나 플라스틱 등 인쇄 매체에 인쇄된 형태로 전달되거나, 이메일을 통해 전달되거나, 전자장치 및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데이터의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제1 단말(220) 내지 제2 단말(23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의 입력은, 문자열(Text String)로 표현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사용자가 단말에 타이핑하거나, 문자열(Text String)로 표현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단말이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하거나, 바코드 내지 QR 코드 등 이미지로 표현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단말로 촬영하거나,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통신 등을 통해 바이너리(Binary)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단말(230)의 이벤트 다운로드를 위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제1 단말(220)에 입력하는 경우, 제1 단말(220)은 입력 받은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제2 단말(230)로 전달(relay)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단말(220)과 제2 단말(230)은 유선(USB 또는 LAN 케이블 등) 또는 무선(WiFi 또는 Bluetooth 또는 NFC 등) 연결 되어 있고 상호 인증(mutual authentication)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220)에는 상기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2 단말(230)과 통신하고 제2 단말(230)을 제어(control)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207 동작에서 제1 단말(220) 및/또는 제2 단말(230)은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참조하여, 프로파일 서버(240)로부터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때 이벤트의 전체 또는 일부는 제1 단말(220)을 통해 제2 단말(23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230)의 인터넷 연결이 제한된 경우, 제1 단말(220)은 제2 단말(230)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테더링(tethering)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230)은 다운로드 받은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230)은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에 기반하여 이벤트 종류에 따라 새로운 프로파일을 설치하거나, 기 설치된 프로파일을 관리(활성화, 비활성화, 삭제 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단말(330)의 기본 프로파일 서버(Default SM-DP+) 또는 기본 개통중개서버(Root SM-DS)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아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및 단말간 연결 설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205 동작을 참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말(330)에는 기본 프로파일 서버(Default SM-DP+) 또는 기본 개통중개서버(Root SM-DS)의 주소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330)의 화면이나 제품 외관이나 제품 설명서 내지 제품 포장(335)에는, 제2 단말(330)에 내장 또는 장착된 eUICC의 식별자(EID)가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eUICC 식별자(EID)는 문자열(Text String)로 표현되거나, 해당 문자열을 바코드 내지 QR 코드로 변형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업자 POS(310)에는 문자열이나 바코드 내지 QR 코드를 감지하고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315)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301 동작에서 사업자 POS(310)는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가입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201 동작을 참조한다.
303 또는 305 동작에서 사업자 POS(310)는, 제2 단말의 화면이나 제품 외관이나 제품 설명서 내지 제품 포장(335)으로부터, 제2 단말(230)에 내장 또는 장착된 eUICC의 식별자(EID)를 스캔할 수 있다. 해당 동작에는 사업자 POS(310)에 연결된 스캐너(315)를 이용하거나, 사업자 POS(310)를 구동하는 직원이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는 제2 단말(330)의 eUICC 식별자(EID)만을 입력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도 2의 201 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1 단말(310)의 eUICC 식별자(EID)를 입력하거나, 제1 단말(310) 내지 제2 단말(330)의 고유 식별자(IMEI) 등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로 입력할 수도 있다.
307 동작에서 사업자 POS(310)는 프로파일 서버(340)를 통해 이벤트의 다운로드를 준비할 수 있다. 307 동작의 이벤트 다운로드 준비는, 상기 입력 받은 제2 단말(330)의 eUICC 식별자(EID)와 이벤트 고유 식별자(Matching ID 또는 Event 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07 동작의 이벤트 다운로드 준비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서버(예를 들어, SM-DP+)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개통중개서버(예를 들어, SM-DS)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307 동작에서 프로파일 서버(340)의 주소는, 제2 단말(330)에 이미 저장된 기본 프로파일 서버(Default SM-DP+) 또는 기본 개통중개서버(Root SM-DS)의 주소일 수 있다.
309 동작에서 제2 단말(330)은 eUICC 식별자(EID)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서버(340)에 이벤트를 요청하고, 프로파일 서버(34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때 309 동작의 시작을 위해, 제2 단말(330)은 제2 단말(330)의 최초 부팅 또는 재부팅 시 자동으로 기본 프로파일 서버(Default SM-DP+) 또는 기본 개통중개서버(Root SM-DS)에 접속하여 이벤트 다운로드가 준비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제2 단말(330)을 조작하여 기본 프로파일 서버(Default SM-DP+) 또는 기본 개통중개서버(Root SM-DS)에 접속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고, 사업자 POS(310) 또는 프로파일 서버(340) 또는 제3의 서버로부터 이벤트의 생성 및 다운로드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안내(indicator)를 입력(push)받을 수도 있다. 또한 309 동작에서 제2 단말(330)이 최초로 접속하는 서버는 단말에 이미 저장된 기본 프로파일 서버(Default SM-DP+) 또는 기본 개통중개서버(Root SM-DS)의 주소일 수 있으며, 기본 프로파일 서버(Default SM-DP+) 내지 기본 개통중개서버(Root SM-DS)가 단말을 다른 서버로 중계(re-routing or redirection)하는 경우, 실제로 제2 단말(330)이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는 서버는 상기 307 동작에서 사업자 POS(310)가 이벤트를 준비한 프로파일 서버일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330)은 다운로드 받은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330)은 새로운 프로파일을 설치하거나, 기 설치된 이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업자 POS(310)는 기본적인 장비 이외에 스캐너(315)를 추가로 구비해야 한다. 또한 사업자 POS(310)는 하나의 프로파일 서버(340)가 아니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서버(340) 그리고/또는 개통중개서버(SM-DS)와 연동하여 동작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 형태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제1 단말(420)을 통해 제2 단말(430)로 전달하여, 제2 단말(430)이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아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및 단말간 연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205 동작을 참조한다.
401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410)는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가입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201 동작을 참조한다.
403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410)는 프로파일 서버(440)를 통해 이벤트의 다운로드를 준비할 수 있다. 403 동작의 이벤트 다운로드 준비는, 이벤트 고유 식별자(Matching ID 또는 Event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403 동작의 이벤트 다운로드 준비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서버(예를 들어, SM-DP+) 그리고 하나 이상의 개통중개서버(예를 들어, SM-DS)를 포함할 수도 있다. 403 동작 이후 사업자 서버(410)는 상기 프로파일 서버(440)의 주소 및 프로파일 고유 식별자(Matching ID 또는 Event ID)를 이용하여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활성화 코드는 특정한 문자열(Text String)로 표현되거나, 해당 문자열을 바코드 내지 QR 코드와 같은 이미지로 변형한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405 또는 407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410)는, 상기 생성한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405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410)는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사용자의 이메일로 온라인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407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410)는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종이나 플라스틱 등 인쇄 매체에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오프라인으로 전달할 수 있다.
409 동작에서 사용자는 상기 405 내지 407 동작에서 전달받은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제1 단말(420) 및/또는 제2 단말(430)에 입력할 수 있다. 만일 409 동작에서 사용자가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제1 단말(420)에 입력한 경우, 411 동작에서 제1 단말(420)은 입력 받은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제2 단말(430)로 전달(relay)할 수 있다. 제1 단말(420)은 활성화 코드 중 일부 정보를 제2 단말(430)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의 입력 방법은 상기 도 2의 205 동작을 참조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단말(42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로 표현된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촬영하고 이를 제2 단말(430)로 전달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의 입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도 2의 205 동작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만일 409 동작에서 제1 단말(220)을 통하지 않고 제2 단말(230)에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411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413 동작에서 제2 단말(430)은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서버(440)에 이벤트를 요청하고, 프로파일 서버(44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230)은 다운로드 받은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은 새로운 프로파일을 설치하거나, 기 설치된 이벤트를 관리(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업데이트, 교체 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업자 서버(410)는 바코드 내지 QR 코드 등으로 표현된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온라인 내지 오프라인으로 전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달 받은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단말에 입력해야 하며, 만일 405 동작과 같이 온라인으로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수령한 경우 해당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확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별도의 제3 단말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해당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는 별도로 암호화(encrypt)되어 있지 않으므로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가 유출된 경우 다른 사용자가 이벤트를 다운로드 하는 보안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520) 또는 제2 단말(530)이 이미 통신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달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아 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및 단말 간 연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205 동작을 참조한다.
501 동작에서 사업자 사업자(510)는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자 서버(510)는 제1 단말(520)으로부터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입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및 가입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201 동작을 참조한다.
503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510)는 프로파일 서버(540)를 통해 이벤트의 다운로드를 준비할 수 있다. 프로파일 서버(510)는 입력된 사용자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준비를 할 수 있다. 이벤트 다운로드의 준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205 동작 및 도 3의 307 동작 내지 도 4의 403 동작을 참조한다.
505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510)는, 상기 501 동작에서 입력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업자 서버(510)는 사용자가 이미 가입한 통신서비스의 전화번호를 대상으로 SMS (Short Messaging Service) 또는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사용중인 OTT (Over The Top) 서비스(예를 들어, 메신저 서비스)의 사용자 식별번호(ID)를 대상으로 OT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MS, MMS 또는 OTT 메시지는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업자 서버가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SMS, MMS, 또는 OTT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는 특정 동작을 지시(indication)하는 헤더(header)와, 상기 501 동작에서 수신한 제2 단말(230)의 정보(예를 들면, 제2 단말(230)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503 동작에서 생성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즉, SMS,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는 제1 단말(520) 또는 제2 단말(530)에게 특정 동작(예를 들어, 프로파일 관련 동작)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 제2 단말(530)의 식별자 정보, 제2 단말(530)을 위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체는, 상기 501 동작에서 입력한 제1 단말(520) 내지 제2 단말(530)의 정보 중 암호화(encrypt) 키 정보를 사용하여, 제1 단말(220) 그리고/또는 제2 단말(230)만 복호화(decrypt)할 수 있는 형태로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더,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전체를 암호화 할 수 있고, 상기 정보들 중 일부 정보만 암호화 할 수도 있다. 또한, 헤더,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중 일부 정보는 제1 단말(520)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 하고, 일부 정보는 제2 단말(530)의 암호화 정보로 암호화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헤더,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단말(520)의 암호화 정보로 암호화하고, 나머지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는 제2 단말(530)의 암호화 정보로 암호화 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는 제1 단말(520)의 전화번호를 대상으로 문자열(Text String) 형태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포함하는 SMS를 제2 단말(530)이 복호화(decrypt)할 수 있는 형태로 암호화(encrypt) 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메시지의 종류를 SMS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SMS 메시지가 아닌, MMS 메시지 또는 OTT 메시지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507 동작에서 제1 단말(520)은 상기 헤더 및 제2 단말(530)의 정보 및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가 포함된 SMS를 감지(detect)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제1 단말(520)은 해당 SMS가 감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공지하고 사용자의 동의 내지 확인을 요구할 수도 있다. 상기 동의는 이벤트에 따른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또는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동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MS가 제1 단말(520)이 복호화(decrypt)할 수 있는 형태로 암호화(encrypt)되어 있는 경우, 제1 단말(520)은 상기 SMS의 복호화(decrypt)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507 동작에서 SMS의 감지 기준은 상기 SMS에 특정 헤더가 포함되었는지 여부가 될 수 있으며, 이 때 헤더의 양식은 사업자 서버(510) 및 제1 단말(520)의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해당 헤더로 "LPA:"와 같은 구문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적용은 해당 구문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업자 서버(510) 및 제1 단말(520)이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로부터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문자열 및 멀티미디어 포맷에 대한 다양한 조합으로 헤더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단말(520)은 헤더에 기 설정된 정보(예를 들어, LPA 등)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 다운로드 동작, 또는 프로파일 다운로드 등을 위한 동작이 트리거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헤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업자 서버(510)와 제1 단말(520)은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에 포함된 특정 문자열을 헤더 대신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에 포함된 프로파일 서버(예를 들어, SM-DP+) 또는 개통중개서버(예를 들어, SM-DS)의 주소 내지 이벤트 식별자(Matching ID 또는 Event ID)의 전체 또는 일부가 헤더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520)은 SMS 메시지에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또는 이벤트 식별자의 전체 또는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벤트 다운로드 동작, 또는 프로파일 다운로드 등을 위한 동작이 수행 또는 트리거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520)이 507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은 제1 단말(520)의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520)은, 수신하는 모든 SMS/MMS/OTT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MS/MMS/OTT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메시지 저장부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507 동작은 505 동작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단말(520)은 특정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507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조건은 다음과 같은 예가 있으나, 반드시 하기의 목록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 제1 단말(520)이 최초 부팅 또는 재부팅 되는 경우
- 제1 단말(520) 내 특정 어플리케이션(예: 제2 단말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 제1 단말(520)이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되는 경우
- 제1 단말(520)에 설정된 임의의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예: 1시간 후)
- 제1 단말(520)에 설정된 특정 주기가 만료되는 경우(예: 매 1개월)
- 제1 단말(520)에 사용자가 특정 동작(예: 물리적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버튼 클릭, 단말 흔들기와 같은 제스처 등)을 입력하는 경우
- 제1 단말(520)과 제2 단말(530)이 페어링되는 경우
- 제1 단말(520)이 제2 단말(53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한편, 제2 단말(530)이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2 단말(530)이 직접 SMS, MMS, 또는 OTT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단말(530)이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단말(520)의 조건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단말(520)은 제1 단말(520)의 SMS/MMS/OTT 수신함에 존재하는 전체 또는 일부 SMS/MMS/OTT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대상이 되는 SMS/MMS/OTT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으나, 반드시 하기의 목록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제2 단말(530)이 직접 메시지를 검색하는 경우, 제2 단말(530)은 다음과 같은 예에 따라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기의 목록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 전체 SMS/MMS/OTT 목록
- 조건 발생 전 임의의 시간 구간(예: 최근 1일, 지난 달)에 수신한 SMS/MMS/OTT
- 특정 발신자의 SMS/MMS/OTT(예: 특정 사업자 IT 시스템에서 발송한 SMS/MMS/OTT)
- 특정 수단으로 발송된 SMS/MMS/OTT(예: 웹 발신 SMS/MMS/OTT)
- 특정 양식의 MMS(예: 특정 형태의 이미지가 포함된 MMS)
509 동작에서 제1 단말(520)은 상기 507 동작에서 감지한 SMS에 포함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제2 단말(530)에 전달(relay)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하나의 제2 단말(530)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일 복수의 제2 단말(530)이 제1 단말(520)에 연결된 경우, 제1 단말(520)은 상기 507 동작에서 감지한 SMS에 선택적으로 포함된 제2 단말(530)의 정보(예를 들면, 제2 단말(53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2 단말(530) 중 어떤 제2 단말(530)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달(relay)할지 판단할 수도 있다. 도 5는 제2 단말(530)의 정보 중 제2 단말(530)의 식별자가 "IMEI2:"와 같은 형태의 문자열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적용은 해당 구문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상기 제2 단말(530)의 정보 중 다른 정보(예를 들면, 제2 단말(530) 내 포함된 eUICC의 식별자(EID))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상기 헤더에 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SMS 또는 MMS 또는 OTT 등의 메시지로부터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문자열 및 멀티미디어 포맷에 대한 다양한 조합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MS가 제2 단말(530)이 복호화(decrypt)할 수 있는 형태로 암호화(encrypt)되어 있는 경우, 제2 단말(530)은 상기 SMS의 복호화(decrypt)를 수행할 수도 있다.
511 동작에서 제2 단말(530)은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서버(540)에 이벤트를 요청하고, 프로파일 서버(54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후 제2 단말(530)은 다운로드 받은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받은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은 제2 단말(530)이 새로운 프로파일을 설치하거나, 기 설치된 프로파일을 관리(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업데이트, 교체 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활성화 코드 또는 명령 코드로 지칭할 수 있다.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정보 및 이벤트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WWW.SMDP.COM$0123456789는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중 "WWW.SMDP.COM"은 프로파일 서버(540)의 주소에 대응하는 정보이고 "0123456789"는 이벤트 코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은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서버 주소에 기반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요청(프로파일 다운로드, 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업데이트 등 에 대한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벤트 코드 정보에 따라서 단말이 수행해야 하는 이벤트의 유형(프로파일 다운로드, 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업데이트 등)이 결정될 수 있다. 프로파일 서버(540)는 제1 단말(520) 또는 제2 단말(530)로부터 이벤트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이벤트 코드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파일 서버(540), 제1 단말(520), 제2 단말(530)은 이벤트 코드 정보에 기반하여 프로파일 다운로드, 프로파일 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업데이트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단말(530)이 이동 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가입된 이동 통신 서비스 망을 이용할 수 있고, 와이파이, 테더링, 프로파일 관리를 위한 프로비져닝(provisioning)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특정 프로파일 서버(예를 들어, SM-DP+) 또는 개통중개서버(예를 들어, SM-DS)의 주소를 포함하는 명령 코드(Command Code) 등이 될 수 있다. 이 때 도 5의 프로파일 서버(540)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서버(SM-DP+)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개통중개서버(SM-DS)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5는 편의를 위해 제1 단말(520)이 이미 통신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제2 단말(530)이 이벤트를 처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단말(530)이 이미 통신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제2 단말(530)이 이벤트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절차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1 단말(520) 및 509 동작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단말(530)이 505 동작을 통해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사업자 서버(510)로부터 SMS 내지 MMS 내지 OTT 등 메시지의 형태로 직접 수신하고, 이를 507 동작을 통해 감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후 제2 단말(530)은 511 동작을 상기 설명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업자 서버(510)는 일반적으로 널리 구비된 SMS/MMS/OTT 발신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는 SMS/MMS/OTT를 통해 수신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제1 단말(520) 및/또는 제2 단말(530)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사업자 서버(510)는 특별한 스캐너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4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사업자 서버(510)는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별도로 전달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직접 제1 단말(520) 및/또는 제2 단말(530)에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한, SMS/MMS/OTT를 제1 단말(520) 및/도는 제2 단말(530)만 복호화(decrypt)할 수 있도록 암호화(encrypt)하여, 해당 SMS/MMS/OTT가 모종의 원인으로 다른 단말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이벤트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MS/MMS/OTT 내에 제2 단말(530)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하여, 복수의 단말이 제1 단말(52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1 단말(520)이 적절한 제2 단말(530)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단말(520)이 제2 단말(530)을 위한 이벤트를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단말(520)은 자신을 위한 이벤트 다운로드를 위해서 도 5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단말(520)이 제2 단말(530)에게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은 생략될 수 있고,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530)의 동작은 제1 단말(5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단말(520)은 SMS/MMS/OTT 메시지에 기반하여 자신의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관리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제2 단말(530)이 제1 단말(520)을 통해서 프로파일 서버(510)에 가입 정보를 입력하고, 제1 단말(520)을 통해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달받지만, 제2 단말(530)에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제2 단말(530)이 제1 단말(510)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이벤트 다운로드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사업자 서버(610), 주 단말(620), 보조단말(630), 프로파일 서버(6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단말(620)은 제1 단말로 지칭할 수 있고, 보조단말(630)은 제2 단말로 지칭할 수 있다.
601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610)와 프로파일 서버(640)는 프로파일을 준비하고,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602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610)는 주 단말(62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입 정보 입력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한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입 정보가 입력되면 601 동작에서 준비된 프로파일과 상기 가입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603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610)는 주단말(620)에게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는 SMS/MMS/OTT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5의 동작을 참조한다.
604 동작에서 주단말(620)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주단말(620)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제2 단말(630)을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605 동작에서 주단말(620)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기반하여 주단말(620)의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단말(620)에 저장된 SMS, MMS, OTT 메시지 등을 검색(또는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서버(6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헤더를 검색하거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의 특정 정보를 식별하는 동작에 기반하여 SMS, MMS, OTT 메시지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자세한 동작은 도 5의 관련 동작을 참조한다.
이벤트 다운로드를 위한 메시지가 확인된 경우, 606 동작에서 주단말(620)은 보조단말(630)에게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전달한다. 상기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는 보조단말(630)에서 복호화 가능한 키로 암호화되어 전달될 수 있다. 자세한 동작은 도 5의 관련 동작을 참조한다.
607 동작에서 보조단말(630)은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에 기반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단말(630)은 프로파일 서버(640)로부터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보조단말(630)은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파일을 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업데이트, 교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동작은 도 5의 관련 동작을 참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반 이벤트 다운로드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사업자 서버(710), 주 단말(720), 보조단말(730), 프로파일 서버(7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단말(720)은 제1 단말로 지칭할 수 있고, 보조단말(730)은 제2 단말로 지칭할 수 있다.
701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710)와 프로파일 서버(740)는 프로파일을 준비할 수 있다. 702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710)는 주 단말(72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입 정보 입력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한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703 동작에서 프로파일 서버(740)와 사업자 서버(710)는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준비된 프로파일,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생성할 수 있다.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는 가입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704 동작에서 주단말(720)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주단말(720)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제2 단말(730)을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705 동작에서 사업자 서버(710)는 주단말(720)에게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는 SMS/MMS/OTT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5의 동작을 참조한다.
706 동작에서 주단말(720)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기반하여 주단말(720)의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단말(720)에 저장된 SMS, MMS, OTT 메시지 등을 검색(또는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서버(7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헤더를 검색하거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의 특정 정보를 식별하는 동작에 기반하여 SMS, MMS, OTT 메시지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자세한 동작은 도 5의 관련 동작을 참조한다.
이벤트 다운로드를 위한 메시지가 확인된 경우, 707 동작에서 주단말(720)은 보조단말(730)에게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전달한다. 상기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는 보조단말(630)에서 복호화 가능한 키로 암호화되어 전달될 수 있다. 자세한 동작은 도 5의 관련 동작을 참조한다.
708 동작에서 보조단말(730)은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에 기반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단말(730)은 프로파일 서버(740)로부터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보조단말(730)은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파일을 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업데이트, 교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동작은 도 5의 관련 동작을 참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단말은 제1 단말(주 단말) 또는 제2 단말(보조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을 단말로 지칭한다.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송수신부(8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ICC(8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ICC(830)는 단말에 삽입될 수 있고, 단말에 내장된 eUICC 일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20)는 제어부로 명명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810)는 사업자 서버 또는 프로파일 서버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810)는 사업자 서버로부터 적어도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즉,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 또는 명령 코드(Command Code))를 포함하는 SMS 내지 MMS 내지 OTT 등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810)는 수신한 SMS 내지 MMS 내지 OTT 등의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정보를 활용하여 동일 메시지에 포함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810)는 SMS 내지 MMS 내지 OTT 등의 메시지를 통해 직접 수신하거나 다른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에 대응하여 프로파일 서버(840)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20)는 단말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8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20)는 수신한 SMS 내지 MMS 내지 OTT 등의 메시지를 복호화(decrypt)하고,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 및 단말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직접 사용할 것인지 혹은 다른 단말로 전달할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20)는 상기 송수신부(810)를 제어하여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이벤트 요청 메시지를 프로파일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이벤트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이벤트를 프로파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이벤트를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20)는 사업자 서버로부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2 단말 및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식별하며,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프로파일을 위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및 이벤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OTT(over the top)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는 프로파일 관련 동작을 지시하는 헤더,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프로파일 서버에게 상기 이벤트 코드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20)는 상기 사용자 서버에게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제1 단말의 암호화 키 또는 제2 단말의 암호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키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키 중 적어도 하나로 암호화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헤더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2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해 메시지 저장부를 검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에 포함된 헤더 또는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에 포함된 문자열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ICC(830)는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고, 프로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UICC(830)는 프로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
UICC(830)는 프로세서(8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또는 UICC(830)는 프로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는 프로세서(820)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단말은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20)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서버 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서버 또는 사업자 POS는 송수신부(9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910)는 단말 또는 프로파일 서버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910)는 프로파일 서버로 이벤트 생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910)는 단말로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즉,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 또는 명령 코드(Command Code))를 SMS 내지 MMS 내지 OTT 등의 메시지의 형태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프로파일 서버로 송신한 이벤트 생성 메시지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20)는 사업자 서버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9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업자 서버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20)는 제어부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20)는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입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OTT(over the top)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20)는 프로파일 서버로 이벤트 생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정보 중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OTT 서비스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이벤트 생성 메시지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생성하고,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SMS 내지 MMS 내지 OTT 등의 메시지 형태로 단말에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9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업자 서버 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업자 서버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20)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예: 제1 단말(220) 또는 제2 단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도 6의 프로세서(620) 또는 도 7의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제1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업자 서버로부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2 단말 및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프로파일을 위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및 이벤트 코드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OTT(over the top)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는,
    프로파일 관련 동작을 지시하는 헤더,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프로파일 서버에게 상기 이벤트 코드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서버에게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제1 단말의 암호화 키 또는 제2 단말의 암호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키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키 중 적어도 하나로 암호화 되어 있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해 메시지 저장부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에 포함된 헤더 또는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에 포함된 문자열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사업자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의 암호화 키 또는 제2 단말의 암호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가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입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사업자 서버로부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2 단말 및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식별하며,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프로파일을 위한 프로파일 서버의 주소 및 이벤트 코드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OTT(over the top)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는,
    프로파일 관련 동작을 지시하는 헤더,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프로파일 서버에게 상기 이벤트 코드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서버에게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제1 단말의 암호화 키 또는 제2 단말의 암호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키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키 중 적어도 하나로 암호화 되어 있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또는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단말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되고,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되는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해 메시지 저장부를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에 포함된 헤더 또는 상기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에 포함된 문자열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파일 관련 메시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사업자 서버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제1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의 암호화 키 또는 제2 단말의 암호화 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가입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입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단말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이벤트 다운로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업자 서버.
KR1020180065435A 2018-06-07 2018-06-07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00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435A KR102600813B1 (ko) 2018-06-07 2018-06-07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19814251.5A EP3769498B1 (en) 2018-06-07 2019-06-04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profile using message service
CN201980035899.1A CN112219384B (zh) 2018-06-07 2019-06-04 用于使用消息服务安装和管理配置文件的方法和装置
PCT/KR2019/006706 WO2019235804A1 (en) 2018-06-07 2019-06-04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profile using message service
US16/435,407 US11700528B2 (en) 2018-06-07 2019-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profile using messag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435A KR102600813B1 (ko) 2018-06-07 2018-06-07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994A true KR20190138994A (ko) 2019-12-17
KR102600813B1 KR102600813B1 (ko) 2023-11-10

Family

ID=6876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435A KR102600813B1 (ko) 2018-06-07 2018-06-07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00528B2 (ko)
EP (1) EP3769498B1 (ko)
KR (1) KR102600813B1 (ko)
CN (1) CN112219384B (ko)
WO (1) WO2019235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8564B2 (en) * 2018-10-05 2020-10-06 T-Mobile USA, Inc Machine-readable code-based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 profile download
DE102019000743A1 (de) * 2019-02-01 2020-08-06 Giesecke+Devrient Mobile Security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Verwalten von Subskriptionsprofilen eines Sicherheitselements
WO2021257659A1 (en) * 2020-06-16 2021-12-23 Google Llc Discovering an embedde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root discovery service endpoint
US11653197B2 (en) * 2020-11-05 2023-05-16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SIM provisioning
US11533605B2 (en) 2020-11-05 2022-12-20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SIM provisioning
US20240031805A1 (en) * 2020-11-13 2024-0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ownload of a subscription profile to a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6051A1 (en) * 2014-06-30 2017-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fil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54426B1 (en) * 2016-10-17 2017-12-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ssisted cellular device activation
WO2018076711A1 (zh) * 2016-10-31 2018-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简档下载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974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시스템들간 서비스 연동 방법
US9009475B2 (en) 2011-04-05 2015-04-14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toring electronic access clients
US8903953B2 (en) * 2011-09-27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vent media file discovery
US9934713B2 (en) * 2012-03-28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Multifunction wristband
WO2013187701A1 (ko) * 2012-06-15 2013-12-19 주식회사 케이티 인증 모듈의 프로파일을 이동하는 방법 및 시스템
FR3021835B1 (fr) * 2014-05-27 2016-06-17 Oberthur Technologies Procede et serveur de gestion de profils
KR102231948B1 (ko) * 2014-07-17 2021-03-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2311027B1 (ko) 2014-08-14 2021-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룹단말의 프로파일 설치 방법
CN104243484B (zh) * 2014-09-25 2016-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交互方法及装置、电子设备
WO2016167536A1 (en) * 2015-04-13 2016-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rofile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63275A (ko) * 2015-11-30 2017-06-08 폴스타헬스케어(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33138B1 (ko) * 2016-02-19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925868B (zh) * 2016-04-12 2019-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管理方法及设备
US10659955B2 (en) * 2016-12-0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managing eSIM profiles
KR102293683B1 (ko) * 2017-02-13 2021-08-26 삼성전자 주식회사 eSIM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3407204A (zh) * 2017-06-07 2021-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鉴权更新eUICC固件版本的方法及相关装置
WO2018227729A1 (zh) * 2017-06-14 2018-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嵌入式通用集成电路卡配置文件的管理方法及装置
WO2019086110A1 (en) * 2017-11-01 2019-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a subscriber entity
EP3741145B1 (en) * 2018-01-15 2022-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file handling of a communications device
WO2020035150A1 (en) * 2018-08-17 2020-0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of subscription profiles for a set of wireless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56051A1 (en) * 2014-06-30 2017-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fil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54426B1 (en) * 2016-10-17 2017-12-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ssisted cellular device activation
WO2018076711A1 (zh) * 2016-10-31 2018-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简档下载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9498A1 (en) 2021-01-27
WO2019235804A1 (en) 2019-12-12
EP3769498A4 (en) 2021-06-02
CN112219384B (zh) 2024-04-05
US11700528B2 (en) 2023-07-11
EP3769498B1 (en) 2023-12-27
CN112219384A (zh) 2021-01-12
KR102600813B1 (ko) 2023-11-10
US20190380026A1 (en)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813B1 (ko)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24648A (ko) 프로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 장치
EP38245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sp device and server to negotiate digital certificates
KR10238289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이벤트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46972B1 (ko) 프로파일 원격관리 예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8895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ng EUICC version
US202401719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euicc terminal
US202303796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vents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658615B1 (ko) SSP 단말의 번들 다운로드 과정과 eSIM 프로파일 다운로드 과정 호환 연동 방법
KR102637120B1 (ko) eUICC 프로파일 설치 권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53456A (ko) eUICC 단말을 변경시 프로파일 삭제를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231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벤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16413A (ko) 기기 변경을 위한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39417A (ko) 기기 변경 시 서로 다른 버전의 프로파일 이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280722A (zh) 当euicc终端变化时识别简档删除的方法和装置
KR20230115852A (ko) 기기 변경 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200016784A (ko) 프로파일 원격관리 권한 설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