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940A -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940A
KR20190138940A KR1020180065289A KR20180065289A KR20190138940A KR 20190138940 A KR20190138940 A KR 20190138940A KR 1020180065289 A KR1020180065289 A KR 1020180065289A KR 20180065289 A KR20180065289 A KR 20180065289A KR 20190138940 A KR20190138940 A KR 2019013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iquidity
rental
cryptocurrency
sub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형
홍종철
장중혁
최광용
Original Assignee
디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8940A/ko
Publication of KR2019013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중개기관 단말에 구비되어,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유동성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를 제공하는 기능 및 유동성 대여자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임대 신청에 따라, 상기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받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Description

기록매체{RECORDING MIDIUM}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를 위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은행이나 신용회사 등 금융기관의 대출금융 업무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금융 대출과 관련된 금융 서비스에 대해서는, 현재 자동화 및 전산화에 따른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대출 금융 서비스의 경우 대주로부터 지급된 금원을 일단 금융기관이 관리하면서 차주에게 대출해 주게 되므로, 대출금이 회수되지 못하는 리스크는 금융기관이 대부분 부담하여야만 하는 구조로서, 그 한계가 있었다.
이를 위해 은행이나 사금융이 아닌 다수의 투자자(채권자)가 돈을 모아 개인이나 기업에게 직접 빌려주는 새로운 대출 방식으로서, P2P(Peer to Peer) 대출이 제안되고 있다. P2P 대출은 온라인에서 모든 절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집 광고비나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은행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투자 대상은 자본을 은행보다 간편하고 사금융보다 저렴한 이율로 대출 받는 것이 가능하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들로 인해 그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인터넷 기반 기술혁신 등을 배경으로 P2P 대출시장은 빠른 성장을 시현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다양한 사업모델을 통한 스타트업 기업들이 대출자들과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P2P 대출 시스템 또한 개개인간의 직접 거래가 이루어진다기 보다는, 기본적으로 중앙에 집중된 특정의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가 대출을 위한 수요와 상품 개설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개인의 대출 및 담보물 설정, 반환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바, 결과적으로 중앙 집권화된 서비스로 인해 그 규모가 중앙 집권적으로 성장하게 되며, 현재는 대출기관과 같은 대형화된 사업자가 아니면 접근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중앙 집중된 대출 금융에서 대출 기관은 위험 부담과 초과 이익이 모두 중앙으로 집중되며, 대규모 자본 조달이 필요한 사업이기 때문에, 일반 개개인이나 소규모, 중규모 집단은 중앙 집권적 서비스에서 점차 배제되고, 그 이익을 취하기 어려워지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플랫폼 도입이 필요하다.
한편,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최근 대두된 암호화폐는 가상화폐라고도 불리우며, 물품과 서비스의 지급수단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화폐는 현재 그 사용에 대한 법적 기반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지 않아 발행과 유통이 자유롭고, 이로 인해 그 가치의 유동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9043호(2017.08.31)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0495호(2018.03.23)
본 발명은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탈 중앙화된 가상화폐 대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대출 서비스 대비 낮은 조달비용과 영업 비용을 가지면서도, 대출기관 뿐만아니라 개개인 또는 소규모의 전문가 그룹에서도 가상화폐 대여 기관으로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으며, 대출 미회수 손실에 대한 위험성이 제거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록매체는, 중개기관 단말에 구비되어,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유동성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를 제공하는 기능 및 유동성 대여자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임대 신청에 따라, 상기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받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담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유동성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를 제공하며,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임대 신청에 따라, 상기 유동성 가상화폐를 발급받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는 각 회수에 따른 신용 가상화폐를 지급하여, 탈 중앙화된 가상화폐 대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대출 서비스 대비 낮은 조달비용과 영업 비용을 가지면서도, 대출기관 뿐만아니라 개개인 또는 소규모의 전문가 그룹에서도 가상화폐 대여 기관으로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으며, 대출 미회수 손실에 대한 위험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가상화폐의 유동성이 분배됨에 따라 자금조달 비용이 자연스럽게 결정되며, 이에 참여한 참여자 노드에 대한 참여비율별 크레딧이 부가되므로, 사업 참여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가상화폐 대여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RD 및 LQD의 지급 및 블록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청약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을 각각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프로그램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말'이라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된 용어로서, '장치' 또는 '서버'로 표현될 수 있으며 대체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거래 단말기들에 의해 형성된 블록체인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 단말기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거래자 단말은 자신의 노드 접속에 따른 계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방식으로 공유되는 거래 장부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 화폐의 거래가 필요한 경우, 각 거래자 단말은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에 기록될 거래 정보를 각 거래자 단말에게 전파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상호 검증 처리에 따라, 예를 들어 일정 비율 이상의 노드 단말로부터의 승인이 처리된 경우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그 정보가 공유됨으로써, 암호 화폐의 거래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는 일정 시간 또는 단위에 대응하는 블록별로 현재의 블록이 이전에 생성된 블록에 대한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여 복수의 블록이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블록 체인(block chain)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장부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 검증은 상기 블록 체인의 해시값 검증에 따라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자 단말에서는 다음 블록의 해시값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 및 검증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록 체인의 보안 안정성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공유자들의 시스템 참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공유자 단말 사이의 공유에 대한 내역 및 화폐 발급/거래 내역 등을 포함하는 거래 정보 블록이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위변조 방지를 위한 해시값을 순차적으로 블록 체인화하기 위한 거래 검증(작업증명) 처리가 각 거래자 단말에서 분산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유동성 대여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유동성 대여 시스템은 신용에 대응하는 사회적 자산을 가상화폐인 CRD(credit)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유동성을 다른 가상화폐인 LQD(liquid)로 설정하며, 담보 설정에 따른 각 CRD 및 LQD 분배에 따라, 그 수요에 대응한 평가와, 시스템 기여에 따른 보상이 각각 처리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신용 담보 제공자, 유동성 대여자, 중개기관 운용자, 대출 채권 마켓, 유동성 제공자는 각 자신의 거래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록 체인 기반의 대여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거래 단말기는 각 처리 프로세스의 성격 및 네트워크 등록에 따라 각각의 노드로서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 있으며, 거래 단말기는 예를 들어, 이후 설명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담보 제공 단말(350) 및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거래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프로세스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금융 서비스에 따라 하나의 단말기에서 언제든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동성 대여 프로세스를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본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프로세스는, 임대 프로세스 또는 대출 프로세스라고도 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대여, 임대 또는 대출은 동일한 프로세스에 대하여 그 주체, 객체 및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서술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프로세스는 임대 프로세스 또는 대출 프로세스와 상호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성 대여, 임대 또는 대출은 모두 신용 가상화폐 담보 기반의 유동성 가상화폐 대여 프로세스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신용 가상화폐 CRD를 이용할 수 있으며, CRD는 담보 제공자의 신용을 사회적 자산으로서 환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고, 블록 체인 시스템 네트워크에서의 플랫폼 기여 대한 보상으로서도 부여될 수 있다.
한편,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실물경제에서 거래 가능한 유동성 화폐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적절한 화폐 가치로서 환산될 수 있다. 또한,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대여 청약 마켓을 통해, 대여 청약에 명시된 계약 조건에 따라 상기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로 하여, 유동성 제공자로부터 유동성 대여자로 지급될 수 있으며, 대여 중개기관은 이를 위한 CRD 담보 제공 및 청약 중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여 중개기관은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 제공자로부터 획득하거나 직접 담보를 제공하고, 이에 기반한 유동성 가상화폐 LQD에 대한 대여 청약을 설계하며, 설계된 대여 청약을 청약 마켓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대여 청약에 대응하여, LQD를 보유한 유동성 제공자는 담보된 CRD 및 청약 조건을 참고하여, LQD의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LQD는 대여 청약에 담보된 CRD를 기초로 지급되며, 계약 실행에 의해 담보된 CRD는 청약 마켓에서 일정 기간 보관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성 대여자는 대여 중개기관이 요구하는 인증 및 서류 제출을 통해, 상기 LQD가 지급된 대여 청약에 대한 LQD 임대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지급받아 사용하며, 상기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이용한 상환 및 사용료 납부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수행하는 각각의 단말 노드들의 프로세스에 따라, 각 노드들로 시스템 보상이 처리될 수 있다. 시스템 보상은 전술한 신용 가상화폐 CRD로서 지급될 수 있으며, 이는 LQD의 발행, 채굴 또는 다른 노드들로부터의 사용료 회수 형태로서 지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가상화폐 대여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RD 및 LQD의 지급 및 블록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 대여 시스템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담보 제공자 단말(350) 및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밸런스 풀 제공자 단말(50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에 의해 운영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가상화폐의 거래 및 대여에 따라 운용되며,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가상화폐 거래 프로세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되는 가상화폐는 제1 가상화폐로서 신용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CRD와, 제2 가상화폐로서 유동성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LQD가 설정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 가상화폐 CRD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가상화폐로서, 발행량은 로그 스케일로 증가하는 인플레이션 화폐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신용 가상화폐 CRD는 제공자의 신용을 사회적 자산으로서 환산한 가상화폐일 수 있으며, 각 거래자는 플랫폼 기여 보상 또는 별도의 거래를 통해 보유한 CRD를 LQD에 대응하는 담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채굴자와 거래자는 블록 생성 보상 및 거래 수수료를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의 거래 수수료 보상부(410)에 의해 CRD로 보상받을 수 있으며, 대여 중개기관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의 블록 수수료 보상부(420)를 통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 이용 수수료를 CRD로 지불할 수 있다.
또한, CRD 보유자, 담보제공자, 유동성 제공자, 유동성 대여자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의 마켓 네트워크 운용에 따라 CRD에 기반한 플랫폼 기여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바, 다만 CRD를 보유하지만 담보로서 제공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플랫폼에 이용되지 않는 비담보 CRD 보유자는 감가상각에 의한 CRD 비용 지불이 처리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CRD를 보유한 CRD 보유자로서, CRD를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제공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CRD 담보 제공을 통해,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 실행되는 가상화폐 대여 프로세스에 따른 LQD 수수료 일부를 사용료로 획득하거나, 소정의 CRD를 플랫폼 기여 보상으로 수령할 수 있다. CRD 담보를 위한 대여 청약서 설계는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바, 세부적인 CRD 담보 및 LQD 대여 프로세스 대하여는 뒤에서 각 주체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신용 가상화폐 CRD는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될 수 있으며, 중개기관 단말(200) 및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 의한 대여 계약 체결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지급되는 LQD 가상화폐에 대한 담보로서 상기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담보로 제공된 CRD는 일정 기간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유지되며, 그 계약에 따른 사용료가 상기 플랫폼 기여 보상으로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될 수 있다.
담보로 제공된 CRD는 계약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LQD의 대여가 만기되거나 상환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되어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상환을 담보하며, 대여 만기시까지 상환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여된 유동성의 100%가 보전될 때까지는 담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담보 제공자 단말(350)에는 플랫폼 기여 보상으로서 CRD가 분배될 수는 있다.
한편, 담보로 제공되지 않은 상태의 CRD는 기간에 따라, 자동으로 일정 비율이 회수될 수 있으며, 그 회수된 CRD는 다른 노드들로 그 기여도에 따라 재분배될 수 있다.
도 5는 유동성 가상화폐인 LQD 의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 총 발행량이 유동성 대여 계약의 총량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자산 지지 토큰(ASSET BACKED TOKEN)일 수 있다.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 실행된, 상기 신용 가상화폐 CRD에 의한 보증이 포함된 유동성 가상화폐의 대여 프로세스에 의해서, 플랫폼 대여분의 LQD 발행에 의해 발생되며, 상환되는 경우 소각됨으로써 가치가 유지되는 가치 안정화 화폐(STABLE TOKEN)일 수 있으며,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될 수 있고, 각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들로부터 제공되는 LQD는 이를 대여한 대출자인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지급되며, 그 LQD의 상환시 수수료의 일부가 상기 담보 제공자 단말(350) 및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사용자들에게 지급될 수 있다. 여기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지급되는 수수료는 신용에 대한 사용료일 수 있으며,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 지급되는 수수료는 LQD 지급에 대한 유동성 사용료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료 및 보상 수수료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각 프로세스별 수수료 처리 및 보상을 위해,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은 거래 수수료 보상부(410), 블록 수수료 보상부(420) 및 대출 기여 보상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은 대여 청약 계약 실행에 의해,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에 대한 대여 채권에 대한 관리 및 회수 처리를 수행하며, 계약 체결 및 이행에 대한 수수료 수수 권한 정보를 획득하는 바, 이러한 계약 및 대여 채권 자산 및 수수료 정보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의 채권 자산 관리부(440)에서 관리될 수 있다.
대여된 LQD가 만기시까지 상환되지 않는 경우, 담보로 제공된 CRD의 신용 사용료 및 플랫폼 기여보상으로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지급되는 LQD는 일정 기간 동안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게 지급되도록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 처리되며, 이에 따라 대여된 LQD는 일정 기간 이후 100% 보전될 수 있고, 이에 대해 소요되는 기간은 사전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의 청약서 발행시 결정되어, 청약서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신용 가상화폐 CRD 및 유동성 가상화폐 LQD에 기초한 대여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임대 사용자가 원하는 임대 상품을 취급하는 중개기관 단말(200)을 선택하여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를 신청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선택된 중개기관 단말(200)이 청약 마켓 네트워크를 통해 제시된 대여 청약서에서 요구하는 임대 조건 확인 및 승인에 따라, 임대된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발급받을 수 있다. LQD 임대 사용료는 LQD로 선 공제될 수 있으며, 만기 전 언제든 LQD로 반납 가능하며, 조기 상환시 줄어든 기간의 사용료는 반환될 수 있다.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반납 후 상기 임대 사용을 통한 청약 마켓 네트워크 기여분으로서, 신용 가상화폐 CRD를 발급받을수 있으며, 만약 기간 내 미상환된 경우에는 신용 이력이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 의해 청약 마켓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중개기관 단말(200)은 담보 제공이 가능한 신용 가상화폐 CRD를 일정량 보유하고, 대출 상품을 설계하며, 영업, 관리 및 회수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저장 및 실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중개기관 단말(200)은 각 대여자 단말(100), 담보 제공자 단말(350) 또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 일부 기능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를 위한 중개기관 앱이 상기 대여자 단말(100), 담보 제공자 단말(350) 또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 설치될 수 있다.
중개기관 단말(200)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라이선스 갱신을 취득하고, 이에 따른 취급가능 대출 규모 및 조건을 업그레이드받을 수 있는 바, 그 조건 등급은 보유 신용 가상화폐 CRD의 양과 대여 채권 미회수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단말(200)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대한 중개기관 라이센스 신청,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상품 설계(임대 기간, 단위 임대 금액, 임대 총액 제한 등) 및 담보 제공자 단말(350) 또는 중개기관 단말(200)의 신용 가상화폐 CRD 담보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중개기관 단말(200)은 라이센스 코드로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의 전자서명용 암호키 등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중개기관 개설 및 영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임대 신청서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여 청약서를 생성하기 위해 신용 가상화폐 CRD 담보를 확보하기 위한 담보 제공자 단말(350)과의 통신 처리 및 내부적 담보 처리와,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대여 청약서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로 하는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지급 및 대여 계약이 체결되도록 각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및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간 정보 교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계정 관리 및 회수 처리를 수행하며, LQD 임대 사용료 중 일부를 수수료로서 수령할 수 있고, 회수 완료에 따라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신용 가상화폐 CRD를 보상으로서 수령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개기관 단말(200)은 라이선스 갱신을 처리할 수 있는 바, 라이선스는 미회수율(디폴트시 LQD 미회수율) 측정이나 취급 조건 변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조건은 기간, 단위금액, 총액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중개기관 단말(200)을 통해 CRD를 예탁하고,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제공된 LQD 임대 신청서를 열람할 수 있다. 여기서, 임대 신청서는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제공된 LQD 임대 신청서 및 관련서류가 포함될 수 있다.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특정 LQD 임대 신청에 대한 담보를 신용 가상화폐 CRD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대 신청에 대한 담보는 중개기관 단말(200)에서도 제공할 수 있는 바, 임대 신청서 최초 생성 시점에서의 담보로 제공된 CRD는 100% 상기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제공한 것일 수 있다.
담보가 제공된 이후, 중개기관 단말(200)에서는 제공된 CRD를 담보로 하는 대여 청약서 생성 및 이에 대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의 LQD 지급에 따른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의 대여 계약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유동성 가상화폐 LQD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임대되고, 그 대여 사용료가 LQD로 지불되는 동안 일부에 대응하는 임대 사용료로서 상기 LQD를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임대 만기시점에는 기여 보상으로서 신용 가상화폐 CRD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추가적으로 발행받을 수 있다.
한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LQD를 보유하며, LQD의 임대를 유동성대여자 단말(100)로 제공하여 이에 대응하는 수수료를 수수하는 단말로서, 중개기관 단말(200) 등을 통해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LQD 임대 청약서 및 그 담보 CRD를 확인하고 임대 및 LQD 제공을 결정할 수 있다.
임대 결정을 위해,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LQD 임대 청약서 정보(발행 중개기관 정보, 금액 정보, 사용료율 정보, 디폴트시 LQD 분할 회수 기간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승인 입력에 따라 임대가 결정될 수 있고, 전자지갑을 통해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의 지급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임대 종료 기간 이내에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기간 동안 회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디폴트가 발생한 경우, 청약서에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담보로 제공된 CRD의 사용료로서 발생되는 LQD가 상기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 분할 지급될 수 있으며, 정상 임대 만기시에는 플랫폼 기여도에 따른 신용 가상화폐 CRD가 지급될 수 있다.
한편,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LQD 임대를 신청하여 지급된 LQD를 사용하고, 일정 사용료 납부 및 반납을 수행하는 단말로서, LQD 중개기관 단말(200) 등을 통해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LQD 임대 청약서 및 그 임대 조건을 확인하고 승인함으로써, 임대된 LQD를 지급받을 수 있다.
LQD 임대 사용료는 지급될 LQD에서 선공제될 수 있으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임대 만기 또는 임대 만기 전 상기 LQD를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 반납할 수 있다. 만약 조기 상환되는 경우에는 임대 기간만큼의 임대 사용료가 선공제된 금액으로부터 반환될 수 있다.
또한,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임대 사용 및 반납 또한 플랫폼 기여에 해당하는 바, 반납 완료된 후 상기 임대 사용에 대응하는 보상 CRD가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지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용 가상화폐 CRD 는 프로세스 완료의 보상으로서 모든 플랫폼 기여자에게 지급될 수 있는 바, 청약, 임대 및 담보 제공을 수행함에 따른 다양한 프로세스별로 각각 지급될 수 있다.
한편, 밸런스 풀 제공자 단말(500)은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가격 조정을 위한 매수 및 매도 수행을 처리하는 풀 제어 노드 단말일 수 있으며, 대여 총량이 LQD 발행 총량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밸런스 풀 제공자 단말(500)은 기준 시장의 가격에 따라 발행 총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LQD 가격 안정화 거래로 인한 LQD 평가 변동에 의해 발생된 이익 또는 손실액은 CRD 유통량 조절이나 별도의 자금 조달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CRD 가치 안정화를 위해서 CRD 보유자에게 보유 LQD를 분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보 제공 및 대여 청약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대여 신용 담보 요청을 위한 대여 크레딧 오라클 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중개 기관의 대여 신용 담보 요청이 크레딧 오라클의 형태로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되면(S201), 각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더치 옥션 방식으로 이자율과 담보제공할 CRD를 상기 크레딧 오라클로 베팅하기 위한 베팅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중개기관 단말(200)은 크레딧 오라클 입력에 따른 최적의 CRD 사용요율별 대여 가능 LQD 수량표를 획득하며, 이에 대응하는 담보제공자의 사용요율 및 제공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을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전송한다(S203).
이에 따른 동의 확인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각 담보 제공자 단말(350)에서 제공된 담보 CRD와, 이에 대한 상기 사용요율별 대여 가능 LQD 수량표를 포함하는 대여 청약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S205), 생성된 대여 청약서는 마켓 네트워크에 공개될 수 있다.
이러한 CRD 담보 설정에 따라, LQD 대여의 미 상환시에도 CRD 보유자에게 분배되는 플랫폼 보상 LQD에 의해, LQD 대여자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의 손실이 100%보전 가능하며, 대여 상환 완료시에는 담보된 CRD가 다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회수 가능한 선순환 프로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청약서를 예시한 도면으로, 대여 청약서는 하나 이상의 청약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을 통해 형성된 청약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공유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여 청약서는 블록 체인으로 구성된 청약 네트워크의 표준 프로토콜로 기술된 스마트 계약일 수 있으며, LQD 유동성 공급자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대여가 상환되지 않더라도 대여 LQD에 대응한 담보 CRD에 대해 지급되는 플랫폼 기여 보상 LQD를 통해 일정 기간 이후 100%회수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여 청약서는, 유동성 제공자 정보, 이를 위한 LQD 상환 스케쥴, 담보 CRD 수량(100% 보전 추정 기간 포함), LQD 사용요율, 대여 수량 및 발행 중개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대여 신청에 따른 대여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LQD 대여 요청을 수신한다(S101).
여기서,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복수의 대여 중개기관 중 자신에게 최적인 중개기관을 선택하고, 선택된 중개기관에 대응하는 중개기관 단말(200)로 LQD 대여 신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단말(200)은 상기 대여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신원 인증 정보 및 대여 근거서류를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한다(S103).
중개기관 단말(200)은 신원 인증 정보 및 근거서류에 따른 검증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잇으며, 신청 내용과 검증 내용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중개기관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담보제공자에 대한 신용 담보를 요청한다(S105).
이를 위해, 중개기관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신청 정보 및 검증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담보 제공자 단말(350)에서는 적절한 자신의 사용요율과 신용 가상화폐 CRD를 정하여 상기 스마트 계약 포맷에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계약 포맷을 크레딧 오라클(CREDIT ORAC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크레딧 오라클에 의해 정의된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담보 제공자들의 사용요율과, LQD 사용요율과, 중개기관 수수료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 발행 제안서를 생성하여 상기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전송할 수 있다(S107)
그리고, 담보 제공자 단말(350)의 동의에 따라, 크레딧 오라클로부터 획득된 대여 청약서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발행 및 공개된다(S109, S111).
이에 따라, 대여 청약을 열람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서의 LQD 임대가 결정되고,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에서 승인되는 경우, 계약 체결에 따라 전술한 LQD 임대 및 상환 프로세스 및 신용 가상화폐 CRD의 보상 프로세스가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개기관 단말, 담보 제공자 단말, 유동성 제공자 단말 및 유동성 대여자 단말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개기관 단말(200)은 제어부(230),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40), 메모리(250) 및 중개기관 서비스 부(210)를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단말(2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상적인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중개기관 서비스부(210)의 중개기관 서비스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와, 상기 가상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개기관 서비스부(210)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중개기관 서비스부(210)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에 따라, 중개기관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개기관 서비스부(210)는, 가상화폐 관리부(211), 임대 상품 설계부(212), 라이선스 관리부(213), 대여 청약 처리부(214) 및 계약 실행부(214)를 포함한다.
가상화폐 관리부(211)는 대여 청약서 생성시 중개기관 단말(200)의 담보로서 제공되거나, 플랫폼 보상으로서 획득되는 신용 가상화폐 CRD를 보유 및 관리하며, 계약 체결에 따라 지급되는 가상화폐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임대 상품 설계부(212)는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는 유동성 가상화폐의 임대 또는 대출 상품을 설계하며, 영업 및 관리 처리할 수 있다. 임대 상품 설계부(212)는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상품 설계(임대 기간, 단위 임대 금액, 임대 총액 제한 등) 및 담보 제공자 단말(350)의 신용 가상화폐 CRD 담보 요청과, 담보 제공 및 관리 중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라이선스 관리부(213)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라이선스 갱신을 취득하고, 이에 따른 취급가능 대출 규모 및 조건을 업그레이드받을 수 있는 바, 그 조건 등급은 보유 신용 가상화폐 CRD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선스는 미회수율(디폴트시 LQD 미회수율) 측정이나 취급 조건 변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회수 기간, 단위금액, 총액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개기관 단말(200)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대한 중개기관 라이센스 신청, 또한, 중개기관 단말(200)은 라이센스 코드로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의 전자서명용 암호키 등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중개기관 개설 및 영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여 청약 처리부(214)는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LQD 대여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신용 가상화폐 CRD 담보를 확보하기 위한 처리와, CRD 담보 확보에 따라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LQD 대여 청약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계약 실행부(215)는 유동성 제공자(300)의 LQD 임대 결정 및 상호 승인에 따라,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신용 가상화폐 CRD의 담보 계약이 체결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계약에 따른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계정 관리 및 회수 처리를 수행하며, 사용료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보상 처리부(216)는 회수 완료에 따른 신용 가상화폐 CRD를 보상으로서 수령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제어부(303), 통신부(302), 사용자 입력부(304), 메모리(305) 및 유동성 서비스부(301)를 포함한다.
통신부(302)는 단말(3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4)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03)는 통상적인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3)는 유동성 서비스부(301)의 유동성 서비스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와, 상기 가상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유동성 서비스부(301)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유동성 서비스부(301)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에 따라, 유동성 제공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동성 서비스부(301)는, 가상화폐 관리부(3011), 중개기관 연동부(3012), 대여 청약 승인부(3014), 계약 실행부(3015) 및 보상 처리부(3016)을 포함한다.
가상화폐 관리부(3011)는 유동성 제공자가 소지한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대여 청약 승인에 따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지급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연동부(3012)는 중개기관 단말(200)을 통해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 등록된 대여 청약서를 열람하게 한다. 여기서, 대여 청약서에는 LQD 제공자, 상환 스케쥴, 담보 CRD 량, LQD 사용요율, 대여 수량 및 발행 중개기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대여 청약 승인부(3014)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대여 청약에 대한 유동성 가상화폐 LQD 제공 승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계약 실행부(3015)에 의해, 유동성 가상화폐 LQD가 임대되고, 그 반환되는 LQD 및 임대 사용료를 LQD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임대 만료 시점까지 LQD가 반환되지 않은 경우, 계약 실행부(3015)는 담보로 제공된 CRD의 신용 사용료로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지급되는 LQD를 일정 기간동안 획득함에 따라, 100% 보전받을 수 있다.
또한, 임대 만기시점에는 보상 처리부(3016)를 통해 기여 보상으로서 신용 가상화폐 CRD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추가적으로 발행받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제어부(353), 통신부(352), 사용자 입력부(354), 메모리(355) 및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를 포함한다.
통신부(352)는 단말(35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54)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53)는 통상적인 단말(3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3)는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의 담보 관리 서비스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와, 상기 가상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에 따라, 담보 관리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는, 가상화폐 관리부(3511), 중개기관 연동부(3512), 담보 관리부(3513) 및 보상 처리부(3016)을 포함한다.
가상화폐 관리부(3511)는 담보 제공자가 소지한 신용 가상화폐 CRD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CRD가 담보로 제공됨에 따라 획득되는 사용료 LQD 및 플랫폼 기여 보상으로 지급되는 CRD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연동부(3512)는 중개기관 단말(200)을 통해 CRD를 예탁하게 하고,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 등록된 대여 요청을 열람하게 한다. 여기서, 대여 요청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대여 요청에 대응하는 CRD 사용요율 및 담보 제공량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개기관 연동부(3512)는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대여 요청 정보 및 유동성 대여자의 검증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담보 제공자 단말(350)에서는 담보 관리부(3513)를 통해, 적절한 자신의 사용요율과 신용 가상화폐 CRD를 정하여 상기 스마트 계약 포맷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해 정의된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담보 제공자들의 사용요율과, LQD 사용요율과, 중개기관 수수료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 발행 제안서를 생성하여 담보 관리부(351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담보 관리부(3513)에 입력된 동의 정보에 따라, 스마트 계약에 따른 대여 청약서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발행 및 공개된다.
보다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스마트 계약 크레딧 오라클에 따른 중개 기관의 대여 신용 담보 요청이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되면, 각 담보 제공자는 담보 관리부(3513)를 통해 경매 방식으로 이자율과 담보제공 CRD를 상기 크레딧 오라클에 베팅하기 위한 베팅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중개기관 단말(200)은 크레딧 오라클 수행에 따른 최적의 사용요율별 대여 가능 수량표를 생성하며, 이에 대응하는 담보제공자의 사용요율 및 제공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을 담보 제공자 단말(350)의 담보 관리부(3513)로 전송한다.
이에 따른 동의 확인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상기 사용요율별 대여 가능 수량표를 포함하는 대여 청약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대여 청약서는 마켓 네트워크에 공개될 수 있다. 이러한 CRD 담보 설정에 따라, LQD 대여의 미 상환시에도 CRD 보유자에게 분배되는 플랫폼 보상 CRD에 의한 손실이 100%보전 가능하며, 대여 상환 완료시에는 회수 가능한 프로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여 금융 서비스가, 영업과 자금 조달, 미회수 순실 충당 등의 리스크를 제거하고, 가상화폐 대여 중개 기관이 가상화폐 보유자들로 구성된 신용 조합 내에서 활동하는 탈 중앙화된 경제로서 재구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는 유동성 대여자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대여 처리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단말(1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인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대여 처리부(110)의 대여 서비스를 위한 처리 정보와, 상기 가상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대여 처리부(110)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대여 처리부(110)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에 따라 각 단말에서의 대여 서비스 정보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대여 처리부(110)는 LQD를 임대받아 사용 및 환급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환급 완료에 따른 CRD를 보상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여 처리부(110)는 중개기관 단말(200) 등을 통해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서 제공된 LQD 임대 청약서를 확인하고 임대를 결정하거나, 상기 중개기관 단말(200)로 대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LQD 임대 청약서 정보(발행 중개기관 정보, 금액 정보, 사용료율 정보, 디폴트시 LQD 분할 회수 기간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승인 입력에 따라 임대가 결정될 수 있고, 전자지갑을 통해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지급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대여 처리부(110)는 임대 종료 기간 이내에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기간 동안 상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기간 도과에 의한 디폴트가 발생한 경우, 미상환에 의한 불리한 신용 이력이 청약 마켓 네트워크의 블록 체인상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별도의 중앙 서버 없이도, 용도가 검증 가능한 암호 화폐의 분산 처리가 일반 거래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익명성은 유지하면서도 사용처에 따른 사회적 부작용과 횡령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암호 화폐의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

  1. 중개기관 단말에 구비되어,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유동성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를 제공하는 기능; 및
    유동성 대여자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임대 신청에 따라, 상기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받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은,
    상기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의 대여 청약서에 따라 중개기관을 선택하여 상기 유동성 가상화폐의 임대를 신청하며, 상기 선택된 중개기관에 의해 제공된 대여 청약서의 임대 조건 확인 및 승인에 따라, 임대된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받고, 상기 임대된 유동성 가상화폐의 상환 처리에 따라, 상기 임대 사용을 통한 청약 마켓 네트워크 기여분으로서, 상기 신용 가상화폐를 발급받는 단말인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기관 단말은 상기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이용하여, 상기 대여 청약서에 따른 대출 상품을 설계하며, 상기 대출 상품을 영업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저장 및 실행하며, 상기 대여 청약서의 승인 또는 상기 임대된 유동성 가상화폐의 상환 처리에 따라, 상기 청약 마켓 네트워크 기여분으로서, 상기 신용 가상화폐를 발급받는 단말인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기관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로부터 대여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용 가상화폐 담보 정보를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이에 기초한 대여 청약서를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제공하는 기능을 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65289A 2018-06-07 2018-06-07 기록매체 KR20190138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89A KR20190138940A (ko) 2018-06-07 2018-06-07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89A KR20190138940A (ko) 2018-06-07 2018-06-07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940A true KR20190138940A (ko) 2019-12-17

Family

ID=6905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289A KR20190138940A (ko) 2018-06-07 2018-06-07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89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42989A1 (en) Asset-backed tokens
US20200226677A1 (en) Syndicated loan distributed ledger pass-through processing
JP2021512434A (ja) 不動産の融資、サービス、およびレポートのリアルータイムの動的管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金融商品
JP2011520191A (ja) 証券のカストディおよびプリンシパル方式レンディング改良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US202103746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etizing assets
US20220027867A1 (en) Cryptographic token with separate circulation groups
KR20190138927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KR20210060982A (ko)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06252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중계 장치
KR20200006243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를 위한 프로그램
Sandner et al. The Programmable Euro: Review and Outlook
KR20220066786A (ko) 실물자산 투자방법
KR102111711B1 (ko) 블록체인 및 에스크로 기반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61001A (ko) 블록 체인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90138940A (ko) 기록매체
KR20190138936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138926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KR20200006269A (ko) 기록매체
KR20200006297A (ko) 기록매체
KR20200006304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제공방법
KR20200006250A (ko) 기록매체
KR20200006320A (ko) 기록매체
KR20200006284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담보 처리 프로그램
KR20200006274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담보 처리방법
KR20200006308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제공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