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680A - Fine bubble generator - Google Patents

Fine bubble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680A
KR20190138680A KR1020197033659A KR20197033659A KR20190138680A KR 20190138680 A KR20190138680 A KR 20190138680A KR 1020197033659 A KR1020197033659 A KR 1020197033659A KR 20197033659 A KR20197033659 A KR 20197033659A KR 20190138680 A KR20190138680 A KR 20190138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ter
tank
bubbl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6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재구
황성현
황주현
Original Assignee
(주)해드림디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드림디앤엠 filed Critical (주)해드림디앤엠
Publication of KR2019013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6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3/04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 B01F3/04248
    • B01F3/04503
    • B01F2003/04858
    • B01F2003/04872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세 버블 발생장치는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유입받는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는, 하단에 배출관을 구비한 케이스;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유입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오버플로어 홀이 형성된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벽과 소정 간격을 두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버블조; 및 상기 지지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버블조에서 넘친 물을 분리 및 혼합하여 버블을 분쇄하여 상기 오버플로어 홀을 통하여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관통홀 및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통과시켜 상기 버블조로 유입시키는 유입홀이 형성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tank for receiving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The tank includes a case having a discharge pipe at the bottom; A bubble tank into which the air containing the air bubbles flows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e through a support means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and an overflow hol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which are mounted to the support means and separate and mix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bubble tank to crush the bubbles and discharge them to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overflow hole. It includes; a bubble grinding plate formed with an inlet hole for introducing into the bath.

Description

미세 버블 발생장치Fine 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미세 버블(본 발명에서 미세 버블은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한다)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부한 미세 버블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s (in the present invention, microbubbles include micro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abundant microbubbles.

본 발명은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마이크로 버블도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including microbubbles.

마이크로 버블은 물에 포함된 공기의 초 미세한 거품으로 일반기포보다 아주 작은 미세기포이다. 마이크로 버블은 부력이 작아서 수중에서 유영하듯 부유하며 부력에 대한 저항이 커서 수중에 장시간 유영하게 된다.Micro bubbles are tiny bubbles of air contained in water, which are much smaller than ordinary bubbles. The microbubble has a small buoyancy, so it floats as if it is swimming underwater, and its resistance to buoyancy is large, causing it to swim for a long time in the water.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여 미세 버블은 "기체 용해 효과, 자기가압효과, 대전효과"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이르러 특히 어업, 농업 분야에서는 각종 양식, 수경재배에 이용되고, 의료 분야에서는 정밀진단에 이용되며, 각종 분야에서 물리치료, 고순도 정수 처리, 환경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다.Microbubbles, including microbubbles, are used in various areas due to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gas dissolution effect, self-pressurization effect, and charging effect." It is used for precision diagnosis in the medical field, and is used in physiotherapy, high purity purified water treatment, and environmental devices in various fields.

예컨대, 세탁기의 경우 세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탁조에서 버블을 이용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bubbles are used in a washing tank to improve washing power.

그리고, 반도체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의 경우 그 세정 공정이나 식각 공정 및 스트립 공정 등에서 버블이 이용되고 있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miconductor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bubbles are used in the cleaning process, the etching process, the strip process, and the like.

또한, 욕실 등에서 목욕시 버블을 이용하면, 특별한 도구 없이도 용이하게 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등에 마시지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에, 욕실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bubble when bathing in the bathroom, not only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special tools, but also can be effective in drinking on the skin, etc., it is widely used in the bathroom.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5914호(특허문헌 1)에는 기포가 포함된 공급수를 공급받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발생실이 구비된 몸체와, 외주면이 상기 몸체의 발생실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수용되며 공급수의 진행방향으로 다수의 미세관로가 형성된 발생부재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일단은 상기 발생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과,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정역회전하도록 된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과 동조하여 회전하는 작동링크와 상기 작동링크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85914 (Patent Document 1) has a body having a generation chamber provided with an inlet and discharge outlet for supplying the feed water containing bubbl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enerating chamber of the body and A generating member which is received in close contact and has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eed water, and is provided through the body,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generat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 power source. And a driving means configured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upplied and driven motor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a pair of sensing sensors which detect the contact with the operating link and the operating link rot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ng shaft; The microphone further comprises a control mean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The bubble generation apparatus is disclosed.

특허문헌 1의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는 별도의 펌프에 의해 기포가 혼합된 공급수가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면, 공급수가 발생실을 경유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실에 구비된 발생부재의 미세관로를 통과하는 중에 기포가 미세하게 분리 및 압축되어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된다.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Patent Literature 1, when the feed water mixed with bubbles by a separate pump is supplied through an inlet, the microbubble path of the generating member provided in the generating chamber is discharged through the generating chamber. The bubbles are finely separated and compressed during the passage to generate microbubbles.

다만, 특허문헌 1은 펌프를 구동할 전원이 필요한바, 본 발명에서는 무전원이며 보다 풍부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However, Patent Document 1 requires a power source for driving a pump,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richer microbubble without a power supply.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2011년 특허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문헌 2는 선행기술의 버블 발생 장치보다 풍성한 미세 버블을 발생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보다 개선되고 우수한 미세 버블 발생 능력을 가진 장치의 연구를 수행하고 이러한 장치 개발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which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led a patent application in 2011, was able to generate abundant fine bubbles tha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ior ar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improved and has an excellent fine bubble generating abilit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the need for developing these devices was recogniz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풍부한 미세 버블을 발생할 수 있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oin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bundant fine bubbles.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 버블 발생장치는,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유입받는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는, 하단에 배출관을 구비한 케이스;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유입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오버플로어 홀이 형성된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벽과 소정 간격을 두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버블조; 및 상기 지지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버블조에서 넘친 물을 분리 및 혼합하여 버블을 분쇄하여 상기 오버플로어 홀을 통하여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관통홀 및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통과시켜 상기 버블조로 유입시키는 유입홀이 형성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nk for receiving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the tank, the case having a discharge pipe at the bottom; A bubble tank into which th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flows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e through a supporting means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n overflow hol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which are mounted to the support means and separate and mix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bubble tank to crush the bubbles and discharge them to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overflow ho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rushing plate formed with an inlet hole for introducing into the bath.

여기서, 공급되는 상수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발생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상기 케이스 상부에 체결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블 발생관에 장착되어 상기 버블 발생관으로부터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으로 공급된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상기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유입홀을 통하여 상기 버블조로 유입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오버플로어 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버블조의 외측 방사상으로 지지살이 돌출되고, 상기 지지살의 단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안착되는 지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bubble generating tube for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by allowing the air to be absorbed by the constant supplied, the tank further comprises a lid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a water supply pip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d and mounted to the bubble generating pipe to supply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from the bubble generating pipe. Th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includes: Is introduced into the bubble tank through the inlet hole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the support means, the support bar protrudes radially outward of the bubble bath so that the overflow hole is formed, the end of the support bar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as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upport.

그리고, 상기 탱크는 수직방향으로 직렬연결된 제1탱크 및 제2탱크이고, 상기 제1탱크의 배출관에 상기 제2탱크의 급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nk is a first tank and a second tank connected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second tank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first tank.

그리고, 상기 탱크는 1차탱크 및 2차탱크이고, 상기 1차탱크의 다수의 배출관 각각에 상기 2차탱크의 급수관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2차탱크의 배출관 각각에 미세 버블이 포함된 물을 가압하는 가압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가압펌프 각각에 버블노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ank is a primary tank and a secondary tank,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secondary tank is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of the primary tank, the water containing fine bubbles in each of the discharge pipe of the secondary tank A pressurization pump for pressurizing is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ubble nozz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ressure pump.

또, 상기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다수의 관통홀은 유입영역 및 유출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영역의 내경은 상기 유출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is composed of an inlet region and an outlet reg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region.

또, 상기 버블 발생관은, 제1유통로와 증압 구조물 및 제2유통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그 순서대로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제2유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 그리고 상기 배수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2유통로의 내경은 상기 배수부의 내경이나 상기 제1유통로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1유통로와 상기 제2유통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유통로에서 상기 제2유통로로 물을 통과시키는 상기 증압 구조물은 상기 제1유통로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2유통로에 인접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구조로서 그 내측 경사면에 산(山)과 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bble generating tube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equentially flow the first flow path, the boosting structure, and the second flow path, and to flow water in the order, and to the second flow path of the water supply part. And a drainage part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part is discharged, and an air supply pipe formed at a side of the drainage part to supply air to the drainage part, wherei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ath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age part or the first The pressure boosting structur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passage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to pass water from the first passage to the second passage is adjacent to the first passage.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portion to the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flow path,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hill and a valley are formed on the inner inclined surface thereof.

여기서, 상기 증압 구조물의 산과 골 각각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each of the hills and valleys of the boost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three or more odd numbers.

그리고, 상기 제2유통로의 내주면에는 흐르는 물의 회전을 유도하는 나선형태의 스크류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ssa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of the spiral shape that induces the rotation of the flowing water protrudes.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의 단부에 공기 조절 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ontrol valve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air supply pip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며, 상기 탱크에서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버블 분쇄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bble grinding nozzle mounted on the discharge pipe, the fine air bubbles pulverized in the tank to finely pulverize and discharge.

여기서, 상기 버블 분쇄노즐은, 기포가 함유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로를 포함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에는 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1유통로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와 다수의 제2유통로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들어온 물이 제1플레이트와 일정 공간을 거쳐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ubble grinding nozzle is formed in a pipe shape including an inlet for introducing water containing bubbles, and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A first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and a second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s are sequenti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water entering the inlet may pass through the first plate and a predetermined space. And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plate.

또,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는 물의 유입영역 및 물의 유출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영역의 내경은 상기 유출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may include an inflow area of water and an outflow area of water,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area may be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outflow area.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3유통로가 구비된 제3플레이트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갖는 위치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thir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ird passages for passing water is further formed in a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It is done.

그리고,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제3유통로의 개수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유통로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유통로의 개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의 개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mber of third flow paths of the third plate is the same as or less than the number of first flow paths of the first plate, and the number of first flow paths of the first plate is the second of the second plate. Characterized in less than the number of distribution channels.

또,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의 유출영역의 내각은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side angle of the outlet area of the second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ght angle.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 사이의 일정 간격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다수의 제1유통로를 통과한 물이 충진되는 제1링챔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 사이의 일정 간격은 상기 제3플레이트의 다수의 제3유통로를 통과한 물이 충진되는 제2링챔버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third plate is formed by a first ring chamber filled with water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of the first plate,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The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three plates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second ring chamber is filled with wa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ird passages of the third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에서 미세 버블을 생성하여 풍부한 미세 버블을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enerate abundant fine bubbles by generating a fine bubble in the tank.

본 발명에 의하면, 정압 증강 구조물을 통하여 수압이 증가된 상수를 내경이 작은 급수부의 제1물유통로로 유통시키고, 제1물유통로에 유통되는 물을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로 배출시킴으로써,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에 부압을 발생시켜 급수부의 제1물유통로에서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로 배출되는 물에 공기공급 파이프에서 공급된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배수부의 제2물유통로에서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ant water pressure is increased through the static pressure enhancement structure to the first water passage of the water supply portion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and the second water of the drain portion of the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flowing in the first water passage By discharging to the distribution passage,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econd water passage of the drain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is absorbed by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water passage of the water supply to the second water passage of the drain.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may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ter passage of the drain.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의 강제공급을 위한 전기모터가 필요 없이 수도꼭지에서 배출되는 상수압을 이용하여 미세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정기적으로 내부의 물을 배출할 필요 없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미세 버블을 생성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fine bubbles by using a constant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tap without the need for an electric motor for forced supply of air, and generates fine bubbles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without the need to discharge the water inside regularly You c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서 탱크가 직렬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의해 미세 버블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탱크 연결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버블 발생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증압 구조물의 제1실시예의 상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증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상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증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상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증압 구조물의 제3실시예의 상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관에 공기 조절 밸브가 조립되는 조립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버블 분쇄노즐의 제1실시예에 관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조립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조립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tank applied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grinding plat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nk is connected in series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ank applied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ne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fine 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ank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ing tube applied to the fin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generating tube applied to a fin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top views of a first embodiment of a boosting structu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top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oosting structu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top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oosting structu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top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boosting structu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trol valve assembled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bubble grinding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16;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rinding nozz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of FIG. 18,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bble grinding nozz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부연해 두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구성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바, 하기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있는 구성을 구현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것임을 밝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Before explaining the embodiments, there may be a number of ways to imple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llustrate one example of implemen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aims Say.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서 탱크가 직렬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적용된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의해 미세 버블이 생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tank applied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ubble crush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ank connected in series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ank applied to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ine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fine bubble generato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미세 버블 발생장치(5200)는 공급되는 상수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공기 기포(버블)가 함유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발생관(3200); 및 상기 버블 발생관(3200)에서 배출되는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유입받는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는, 하단에 배출관(5153)을 구비한 케이스(5151); 상기 케이스(5151) 상부에 체결되는 뚜껑(5152); 상기 뚜껑(515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블 발생관(3200)에 장착되어 상기 버블 발생관(3200)으로부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5101); 상기 급수관(5101)으로 공급된 물이 유입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오버플로어 홀(5161)이 형성된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5151) 내벽과 소정 간격을 두도록 케이스(5151) 내부에 삽입되는 버블조(5158); 및 상기 지지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버블조(5158)에서 넘친 물을 분리 및 혼합하여 버블을 분쇄하여 상기 오버플로어 홀(5161)을 통하여 상기 배출관(5153)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관통홀(3320) 및 상기 급수관(5101)으로 공급된 물을 통과시켜 상기 버블조(5158)로 유입시키는 유입홀(3310)이 형성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오버플로어 홀(5161)이 형성되도록 상기 버블조(5158)의 외측 방사상으로 지지살(5159)이 돌출되고, 상기 지지살(5159)의 단부에는 상기 케이스(5151)의 상단에 안착되는 지지구(51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5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bble generating tube 3200 which discharges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bubbles) by allowing air to be absorbed by a constant supplied thereto; And a tank receiving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wherein the tank includes: a case 5151 having a discharge tube 5503 at a lower end thereof; A lid 5152 that is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5151; A water supply pipe (5101)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d (5152) and mounted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to supply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5101) is introduced, the bubble tank is inserted into the case (515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e (5151) through a support means,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overflow hole (5161) (5158);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320 mounted on the support means and separating and mixing the overflowed water from the bubble tank 5158 to pulverize the bubble and discharge the bubble to the discharge pipe 5503 through the overflow hole 5151. And a bubble crushing plate 3300 having an inlet hole 3310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5151 is introduced into the bubble tank 5158, wherein the support means includes the overflow hole. The support bar 5159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bubble tank 5158 so that the 5161 is formed, and an end of the support bar 5159 includes a support 5160 that is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case 5151. It is characterized by.

여기서, 상기 뚜껑(5152)의 내부에 위치하는 급수관(5101)의 단부에 형성되되, 내경이 갑자기 좁아졌다가 서서히 넓어지는 형태로 급수관(5101) 하단에 형성된 버블노즐(51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5101) located inside the lid (5152),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supply pipe (5101) formed in the form of a sudden narrow narrowing gradually widening may further include a bubble nozzle (5109) have.

버블 발생관(3200)에서 배출된 공기 기포가 함유된 버블 상태의 물이 버블노즐(5109)을 통과하면서 더욱 미세하고 풍부한 미세 버블이 생성된다.Bubbl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passes through the bubble nozzle 5109 to generate finer and richer fine bubbles.

즉,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5200)는 버블 발생관(3200)에서 공급되는 상수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탱크의 급수관(5101)으로 배출하고, 급수관(5101)으로 공급된 물은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유입홀(3310)을 통하여 버블조(5158)로 유입된다. 그리고, 버블조(5158)에서 넘친 물은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3320)을 통과하면서 분리 및 혼합되어 공기 기포가 분쇄되고, 분쇄된 공기 기포를 포함하는 물은 오버플로어 홀(5161)을 통과하여 배출관(5153)으로 배출된다.That is, the fin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5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ir to be absorbed by the constant suppli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and discharges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to the water supply pipe 5151 of the tank, and supplies the water supply pipe ( The water supplied to the 5101 is introduced into the bubble tank 5158 through the inlet hole 3310 of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bubble tank 5158 is separated and mix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3300 to crush the air bubbles, and the water including the crushed air bubbles is an overflow hole. Passed through 5151, it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5515.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탱크가 적어도 둘이상이 수직방향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4와 같이, 제1탱크(5150a) 및 제2탱크(5150b)가 직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탱크(5150a) 및 제2탱크(5150b)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tanks may be connected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tank 5150a and the second tank 5150b are connected in series. Here, the first tank 5150a and the second tank 5150b have the same components.

이경우, 도 1과 같이, 하우징(5201)의 내부에 제1탱크(5150a) 및 제2탱크(5150b)가 설치되고, 수도꼭지로부터 급수파이프(5204)를 통해 제1탱크(5150a)의 급수관(5101)으로 물이 공급되며, 물이 제1탱크(5150a) 및 제2탱크(5150b)를 거치며 미세 버블이 생성되어 배출파이프(5205)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샤워기 헤드 등의 사용처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first tank 5150a and the second tank 5150b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5201, and the water supply pipe 5151 of the first tank 5150a is provided from the faucet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5204. ) Is supplied to the water, and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first tank 5150a and the second tank 5150b to generate fine bubbles, and may be connected to a place such as a shower head through an outlet (not shown) of the discharge pipe 5205. hav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탱크의 하부(케이스(5151)의 배출관(5153))에 장착되며, 탱크에서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미세 버블이 함유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분쇄노즐(3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rinding nozzle (3700) is mount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discharge pipe (5153) of the case (5151)), and finely pulverize the fine air bubbles pulverized in the tank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ing the fine bubbles )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버블 분쇄노즐(3700)은 도 1과 같이, 배출파이프(5205)의 배출구에 장착될 수도 있다.Here, the bubble grinding nozzle 3700 may be mounted to the outlet of the discharge pipe 5205, as shown in FIG.

하우징(5201) 내부에는 제1탱크(5150a) 및 제2탱크(5150b)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탱크(5150a)의 배출관(5153)이 제2탱크(5150b)의 급수관(5101)과 연결되어 구성된다.The first tank 5150a and the second tank 5150b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the housing 5201. Here, the discharge pipe 5503 of the first tank 5150a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101 of the second tank 5150b.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Embodiment for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2탱크(5150b)는 케이스(5151)와, 상기 케이스(5151) 내부에 삽입되는 버블조(5158)와, 상기 케이스(5151) 상부를 덮어 체결함으로써 케이스(5151) 내부를 밀폐하는 뚜껑(5152)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tank 5150b covers the case 5151, the bubble bath 5158 inserted into the case 5151, and the upper part of the case 5151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5151. It is composed of a lid (5152) for sealing.

즉, 케이스(5151)의 내부에는 버블조(5158)가 삽입되는데, 상기 버블조(5158)는 지지수단을 통해 케이스(5151)의 내벽과 소정의 간격을 두도록 케이스(5151) 내부에 삽입,고정된다.That is, a bubble bath 5158 is inserted into the case 5151, and the bubble bath 5158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case 5151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e 5151 through a supporting means. do.

상기 지지수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버블조(5158)의 상부 외면에 방사상으로 지지살(5159)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살(5159)의 단부에는 지지구(5160)가 형성됨으로써 버블조(5158)를 케이스(5151)에 삽입하면 지지구(5160)가 케이스(5151) 상단에 걸리게 되고, 그 상태에서 뚜껑(5152)을 케이스(5151)에 볼트 체결하면 도 5와 같이 버블조(5158)가 케이스(5151) 내벽과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2, support bars 5159 are radially protruded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bubble tank 5158 of which an upper part is opened, and a supporter 5160 is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bars 5159. When the bubble bath 5158 is inserted into the case 5151, the supporter 5160 is caught on the top of the case 5151. When the lid 5502 is bolted to the case 5151, the supporter 5160 is fastened to the case 5151. As described above, the bubble bath 5158 is fix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e 5151.

또한,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는 지지수단의 상면에 접착제, 물리적인 결합장치 등의 결합수단으로 고정된다.In addition, the bubble grinding plate 330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a physical coupling device.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3320)은 물의 유입영역(3321) 및 물의 유출영역(3322)으로 이루어지고, 유입영역(3321)의 내경은 유출영역(3322)의 내경보다 작게 설계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3300 may include an inflow area 3321 and an outflow area 3322 of wa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area 3321 may be It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area 3322.

즉, 유입영역(3321) 및 유출영역(3322)으로 이루어진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3320)로 유입된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은 내경이 작은 유입영역(3321)을 통과한 다음, 내경이 큰 유출영역(3322)으로 유출되면서 혼합되어 미세 공기 기포를 더 미세한 크기로 분쇄시킨다.That is, the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3300 including the inflow area 3321 and the outflow area 3322 passes through the inflow area 3321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Next, as the inner diameter flows out into the large outlet area 3322, the fine air bubbles are pulverized into finer sizes.

그리고,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3320)의 유출영역(3322)의 내경(d1,d2)은 유입홀(3310)에서 방사방향으로 점점 증가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즉, 유입홀(3310)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3320)의 유출영역(3322)의 내경(d1,d2)이 점점 커지도록 설계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s d1 and d2 of the outlet regions 3322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3300 may be designed to gradually increase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inlet hole 3310. That is, the inner diameters d1 and d2 of the outlet regions 3322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may be gradually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hole 3310.

또한, 뚜껑(5152)은 케이스(5151)와 볼트 체결되는데 뚜껑(5152)과 케이스(5151)의 체결면에 방수를 위해 씰링(5162)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뚜껑(5152)의 상부에는 물이 케이스(5151) 내부로 공급되는 급수관(510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id 5502 is bolted to the case 5151, and it is preferable to insert a sealing 5152 to the fastening surface of the lid 5502 and the case 5151 for waterproofing,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5502 is water. A water supply pipe 5151 supplied into the case 5151 is formed.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은 지지수단의 상면에 접착제, 물리적인 결합장치 등의 결합수단으로 고정된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3300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ans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or a physical coupling device.

또한, 도 6의 드레인관(5163)은 버블조(5158)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는 대략 버블조(5158)의 중심축상에 드레인관(5163)이 위치되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드레인관(5163)은 버블조(5158)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ain pipe 5603 of FIG. 6 may be formed in the bubble bath 5158, and although the drain pipe 5603 is shown in FIG. 6 on the central axis of the bubble bath 5158, the drain pipe 5603 is shown. )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ubble bath (5158).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급수관(5101)에 설치되어, 급수관(51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n-off valv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5101), is install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ipe (5101).

즉, 사용자가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사용하거나 사용을 중지하기 위하여 고자, 개폐밸브를 작동하여 버블 발생관(3200)에서 공급된 물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selectively opens or clos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by operating the on / off valve to stop using or stopping the use of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가 수도꼭지를 열어 물을 버블 발생관(3200)으로 공급하면, 버블 발생관(3200)에서 물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탱크의 급수관(5101)으로 배출한다.First, when the user opens the faucet and supplies water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air is absorbed into the water in the bubble generating tube 3200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into the water supply pipe 5101 of the tank. .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탱크의 급수관(5101)으로 유입되고, 케이스(5151) 내부로 분사된다.Here, as shown in FIG. 6,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flows into the water supply pipe 5151 of the tank and is injected into the case 5151.

케이스(5151) 내부로 고압 분사된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은 상부가 개방된 버블조(5158)의 하부 내면에 강하게 충돌하여 물에 미세 버블이 발생한다. Th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injected at high pressure into the case 5151 strongly impinges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bubble tank 5158 of which the upper portion is open to generate fine bubbles in the water.

이때 뚜껑(5152)에 버블노즐(5109)이 형성된 경우, 버블노즐(5109)에서 연속분사되는 물이 앞서 분사되어 버블조(5158) 내부에 머무르는 물과 강하게 충돌하면서 더욱 풍부한 미세 버블이 생성된다.In this case, when the bubble nozzle 5109 is formed on the lid 5502, water continuously sprayed from the bubble nozzle 5109 is sprayed earlier to strongly collide with water remaining in the bubble bath 5158 to generate more rich fine bubbles.

그리고, 버블조(5158) 외부로 넘치게 되는 물은 버블 분쇄 플레이트(3300)의 다수의 관통홀(3320)을 통과하면서 분리 혼합되어 버블이 보다 미세하게 분쇄된 후, 지지수단의 지지살(5159) 사이에 형성된 오버플로어 홀(5161)을 통해 케이스(5151) 내부(버블조(5158)외부와 케이스(5151) 사이)로 낙하된 후 배출관으로 빠져나간다.Then, the water overflowing to the outside of the bubble tank (5158) is separated and mix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20)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3300), the bubble is finely pulverized, the support bar (5159) of the support means After falling into the case 5151 (outside the bubble tank 5158 and the case 5151) through the overflow hole 5151 formed therebetween, it exits to the discharge pipe.

여기서, 탱크에 다른 탱크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미세 버블이 생성된 케이스(5151) 내부의 물은 배출관을 통해 다른 탱크의 급수관으로 유입된 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Here, when another tank is connected to the tank in series, water inside the case 5151 in which one microbubble is generated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other tank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hen performs the same operation.

상기와 같이 물이 직렬로 연결된 제1탱크(5150a)와 제2탱크(5150b)를 거치면서 직경이 10㎛ 미만 크기의 미세 버블이 풍부하게 생성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소음 발생이 적으며, 미세 버블에 의해 세척력이 우수해진다.As the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rst tank (5150a) and the second tank (5150b) connected in series as abundantly generated fine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less than 10㎛ size can save water, less noise , The cleaning power is excellent by fine bubbles.

또한, 미세 버블 발생기에서 물이 순간적인 분쇄현상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하여 샤워기나 욕조에 적용시 산림욕 효과를 낼 수 있고, 미세 버블의 자기가압효과에 의한 소멸과정에서 OH- 등의 프리라디칼이 발생하여 물속 세균들을 살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ion is generated by the instantaneous crushing of water in the microbubble generator, which can produce a forest bath effect when applied to a shower or a bathtub, and free radicals such as OH - are generated during the extinction process due to the self-pressurization effect of the microbubble. To sterilize the bacteria in the water.

또한,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기를 샤워기에 적용하면 미세진동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가 부드럽게 전신을 자극하여 근육의 이완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로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고, 아토피 피부질환을 개선하고 피부보습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micro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hower,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micro-vibration gently stimulate the whole body to promote muscle relaxation and metabolism, thereby quickly recovering fatigue, improving atopic skin disease and improving skin. Moisturizing effect.

그리고 본 발명은 상수압만을 이용하고 전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감전 위험이 없고, 설치비와 유지비가 절약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a constant pressure and does not use electric power, there is no risk of electric shock, an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sav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탱크 연결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ank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탱크(6100) 하단에 다수의 배출관을 형성하고, 다수의 배출관 각각에 미세 버블을 발생할 수 있는 2차탱크(6210,6220,6230)의 급수관을 직렬로 연결하고, 2차탱크(6210,6220,6230)의 배출관 각각에 미세 버블이 포함된 물을 가압하는 가압펌프(6310,6320,6330)를 연결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ank 6100, and the water supply pipes of the secondary tanks 6210, 6220, 6230, which can generate fine bubble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secondary tanks 6210. Connect the pressure pumps 6310, 6320, 6330 to pressurize water containing fine bubbles to the discharge pipes of the 6220 and 6230.

여기서, 가압펌프(6310,6320,6330)에서 가압된 물이 버블노즐(6310,6320,6330)을 통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가압펌프(6310,6320,6330) 각각에 버블노즐(6510,6520,6530)이 연결한다.Here, the bubble nozzles 6610, 6320, 6630 are applied to each of the pressure pumps 6310, 6320, 6330 so that the water pressurized by the pressure pumps 6310, 6320, 633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bubble nozzles 6310, 6320, 6330. ) To connect.

이와 같이 탱크가 연결된 미세 버블 발생장치는, 대면적 양어장, 식물재배단지 등에 사용될 수 있다.As such, th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tank may be used for a large area fish farm, plant cultivation complex, and the like.

최초 미세 버블을 발생하는 탱크(6100)를 1차 탱크로 정의하는 경우, 2차탱크(6210,6220,6230)는 1차 탱크와 동일한 탱크이거나, 1차 탱크와 다른 구조로 미세 버블을 발생하는 탱크일 수 있다.When the tank 6100 that generates the first fine bubble is defined as the primary tank, the secondary tanks 6210, 6220, and 6230 are the same tanks as the primary tank, or the structure that generates the fine bubbles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mary tank. It may be a tank.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bble gener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관은 제1유통로(11)와 증압 구조물(200) 및 제2유통로(111)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그 순서대로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제2유통로(111)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 그리고 상기 배수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 파이프(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유통로(111)의 내경(D2)은 상기 배수부의 내경(D3)이나 상기 제1유통로(11)의 내경(D1)보다 작고, 상기 제1유통로(11)와 상기 제2유통로(11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유통로(11)에서 상기 제2유통로(111)로 물을 통과시키는 상기 증압 구조물(200)은 상기 제1유통로(11)에 인접한 부분(a)에서 상기 제2유통로(111)에 인접한 부분(b)에 이르기까지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구조로서 그 내측 경사면에 산(山)과 골이 형성되어 있다.8 and 9, in the bubble gener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low path 11, the boosting structure 200, and the second flow path 111 are sequentially arranged to flow water in that order. A water supply par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rt, a drai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111 of the water supply part to discharg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and an air supply formed at a side of the drain part to supply air to the drain part; Pipe 300.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second flow path 111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3) of the drainage portion or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first flow path (11), the first flow path 11 and the first The boosting structure 200 interposed between the two flow passages 111 and passing the water from the first flow passage 11 to the second flow passage 111 is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flow passage 11.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a) to the portion (b) adjacent to the second flow path 111. A mountain and a valley are formed on the inner inclined surface thereof.

즉, 증압 구조물(200)의 중심에 제2유통로(111)가 위치된다.That is, the second flow path 111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oosting structure 200.

본 발명의 급수부는 제1유통로(11), 증압 구조물(200) 및 제2유통로(111)로 구성되는바, 도 2는 제1수평파이프(100)와 제2수평파이프(10)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구현한 경우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제1수평파이프(100)와 제2수평파이프(10)는 나사결합된다.The wate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flow passage 11, 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200 and the second flow passage 111, Figure 2 is a first horizontal pipe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pipe (10) 2 The above configuration is shown by connecting two pipes. Here,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and the second horizontal pipe 10 are screwed.

급수부의 제1유통로(11)를 통해 공급된 상수는 증압 구조물(200)에서 압이 증강되어 제2유통로(111)로 흐르며, 제2유통로(111)로 흐르는 물의 수압은 제1유통로(11)로 공급되는 상수의 수압보다 커진다.The constant suppli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1 of the water supply part is increased in pressure in the booster structure 200 and flows to the second flow path 111, 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path 111 is the first flow path. It becomes larger than the water pressure of the constant supplied to the furnace 11.

여기서, 상수는 증압 구조물(200)에 형성된 산과 골에서 부딪히면서 빠르게 제2유통로(111)로 빠져나가면서 제2유통로(111)로 흐르는 물의 수압은 상수의 수압보다 커지게 되는 것이다.Here, the constant is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 the second flow path 111 while being bumped out of the mountain and valley formed in 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200 to the second flow path 111 is greater than the water pressure of the constant.

그리고 제2유통로(111)의 내주면에는 흐르는 물의 회전을 유도하는 나선형태의 스크류(미도시)가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유통로(111)를 유동하는 물이 스크류에 의해 회전류를 형성하여 배수부(120)의 제3유통로(121)로 강하게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spiral screw (not shown) may be protru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ssage 111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flowing water. In this case,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ssage 111 may be rotated by the screw. By forming a current it can be strongly discharged to the third flow path 121 of the drain portion (120).

이때, 제2유통로(111)는 증압 구조물(200)에서 배수구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flow path 111 may be defined as extending from 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200 to the drain.

증압 구조물은 제1수평파이프(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수평파이프(100)와 별도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booster structur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이후의 설명에서는 증압 구조물을 수평파이프(100)와 별도로 제작된 부품으로 구성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ase where 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is composed of a component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horizontal pipe 100 will be described.

제1유통로(11)의 내경(D1)은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의 내경(D2)보다 크게 설계한다.The inner diameter D1 of the first flow passage 11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second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제1유통로(11)를 통해 공급된 상수는 증압 구조물(200)에서 압이 증강되어 증압 구조물(200) 중심에 있는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를 통하여 흐르며,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로 흐르는 물의 수압은 상수의 수압보다 커진다.The constant suppli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1 flow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at the center of 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200 by increasing the pressure in 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200.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passage 111 of 110 becomes greater than the water pressure of the constant.

즉, 상수가 증압 구조물(200)에 부딪히면서 빠르게 제2유통로(111)로 빠져나가면서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로 흐르는 물의 수압은 상수의 수압보다 커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while the constant hits the booster structure 200 quickly exits the second flow passage 111 is greater than the water pressure of the constant.

그리고, 배수부(120)의 제3유통로(121)의 내경(D3)은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의 내경(D2)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작은 내경의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로 흐르는 물은 갑자기 큰 내경의 제3유통로(121)로 빠져나가면서 부압이 발생된다.Since the inner diameter D3 of the third flow path 121 of the drainage part 120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second flow path 111 of the water supply part 110, the water supply part having a smaller inner diameter is provided.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passage 111 of 110 suddenly exits to the third flow passage 121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and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이 부압에 의해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에서 배수부(120)의 제3유통로(121)로 빠져나오는 물이 제1수평파이프(100)의 수평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공기공급 파이프(300)에서 공급된 공기를 빨아들인다.Water exiting from the second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portion 110 to the third flow passage 121 of the drain portion 120 by the negative pressure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first horizontal pipe 100. It sucks in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300).

즉, 배수부(120)의 제3유통로(121)에 유동되는 물에 공기가 흡수되어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된다.That is, the air is absorbed by the water flowing in the third flow passage 121 of the drainage portion 120 to become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그러므로 배수부(120)의 제3유통로(121)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공기(공기 기포 형태)를 함유한 버블 상태의 물이 된다.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hird flow passage 121 of the drainage portion 120 becomes bubbled water containing air (air bubble form).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관은 증압 구조물을 통하여 수압이 증가된 상수를 내경이 작은 급수부의 제2유통로로 유통시키고, 제2유통로에 유통되는 물을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배수부의 제3유통로로 배출시켜 배수부의 제3유통로에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그 부압을 통하여 급수부의 제2유통로에서 배수부의 제3유통로로 배출되는 물에 공기공급 파이프에서 공급된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배수부의 제3유통로에서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bubble gener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constant of which the water pressure is increased through 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to the second flow passage of the water supply portion having the small inner diameter, and the third portion of the drain having the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of the water flowing in the second flow passage. By discharging to the distribution channel to generate a negative pressure in the third flow path of the drain,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ipe is absorbed by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flow path of the water supply to the third flow path of the drain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In this case, the air containing the air bubbles can be discharged from the third passage of the drai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증압 구조물의 제1실시예의 상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증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상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증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10 and 11 are top views of a first embodiment of a boost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top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oost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of a boosting structu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2nd Example.

증압 구조물은 소정 두께를 가지고 있고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have a circular ring shape centering on the second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이때, 발명자의 경험에 비추어 증압 구조물의 산과 골 각각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수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view of the inventor's experienc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hills and valleys of the boost structure is formed with at least three or more odd numbers.

즉,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를 중심축으로 하여, 증압 구조물의 일면(205)의 360°상에 산(205a1, 205a2, 205a3)과 골(205b1, 205b2, 205b3) 각각을 3개씩 형성하는 경우, 산과 산 사이의 각도(α1, α2, α3)는 120°이고, 산과 산 사이에 골이 형성되고, 별도로 제작된 증압 구조물은 도 3b와 같은 구조가 된다. 여기서, 도 10b의 증압 구조물(200)은 제1유통로에 인접한 부분(a)부터 제2유통로(111)에 인접한 부분(b)까지의 범위를 넘어 제2유통로(111)로 기능하는 부분까지 일부 포함하도록 제작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10A, the peaks 205a1, 205a2, and 205a3 are formed on 360 ° of one surface 205 of the booster structure with the second flow path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as the central axis. When each of the valleys 205b1, 205b2, and 205b3 is formed in three, the angles α1, α2, and α3 between the mountains are 120 °, the valleys are formed between the mountains, and the booster structure separately manufactured is illustrated in FIG. 3B. It becomes a structure like Here, the boosting structure 200 of FIG. 10B functions as the second flow path 111 beyond the range from the portion (a) adjacent to the first flow passage to the portion (b) adjacent to the second flow passage 111. It shows the case that the part is made to include part.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증압 구조물의 제1실시예는 도 11과 같이, 증압 구조물을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링 형상으로 구현하고, 산(211a, 211b, 211c, 211d, 211e)과 골(212a, 212b, 212c, 212d, 212e)은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에서 증압 구조물의 외주면까지 연결되는 선상에 형성하는 것이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booster structure form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1, implements the booster structure in a circular ring shape centering on the second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and the mountains 211a, 211b, 211c, 211d, and 211e) and the valleys 212a, 212b, 212c, 212d, and 212e are formed on a line connected from the second flow path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oster structure.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경우, 산은 증압 구조물(220,230)의 외주면에서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까지 연결되는 선상에 형성하고, 골은 증압 구조물(220,23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서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까지 연결되는 선상에 형성한다(그 역도 가능).12 and 13, the acid is formed on a line connec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booster structures 220 and 230 to the second flow path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and the bone is a booster structure ( It is formed on a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from the inn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220 and 230 (or vice versa).

도 12는 산(221a,221b,221c)과 골(222a,222b,222c) 각각을 3개씩 형성한 증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이고, 도 13은 산(231a,231b,231c,231d,231e)과 골(232a,232b,232c,232d,232e) 각각을 5개씩 형성한 증압 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변형례이다.FIG. 12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boost structure in which three hills 221a, 221b and 221c and three valleys 222a, 222b and 222c are formed respectively, and FIG. 13 is a hill 231a, 231b, 231c, 231d and 231e. This is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sure-increasing structure in which five bones 232a, 232b, 232c, 232d, and 232e are formed.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 증압 구조물의 제3실시예의 상면도이다.14 is a top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boosting structure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증압 구조물(25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서 급수부(110)의 제2유통로(111)까지 연결되는 선상에 산과 골을 형성하여 증압 구조물의 제3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embodiment of the booster structure may be realized by forming a hill and a valley on a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ssage 111 of the water supply unit 110 at an inn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oster structure 250.

즉, 도 14와 같이, 산(251a,251b,251c,251d,251e)과 골(252a,252b,252c,252d,252e)의 오목한 굴곡은 증압 구조물(25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위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concave bends of the peaks 251a, 251b, 251c, 251d and 251e and the valleys 252a, 252b, 252c, 252d and 252e are located inwardly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ost structure 250. .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 발생관에 공기 조절 밸브가 조립되는 조립 사시도이다.1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ontrol valve assembled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버블 발생관에 공기 조절 밸브(520)를 장착하여 배수부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배수부의 제3유통로에서 흐르는 물에 흡수될 수 있는 공기 기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air control valve 520 to the bubble generating tube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drain, it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air bubbles that can be absorbed by the water flowing in the third flow passage of the drain. .

여기서, 공기 조절 밸브(520)는 공기공급 파이프(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공기공급 파이프(300) 내측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이 나사홈에 결합하는 나사홈을 연장 파이프(510)의 일단부에 형성한다.Here, the air control valve 520 forms a screw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300 so that the air control valve 520 can be coupled to, and extending the screw groove coupled to the screw groove extending pipe 510. 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그리고, 연장 파이프(510)의 타단부에는 공기 조절 밸브(520)가 장착된다.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ipe 510 is equipped with an air control valve 520.

이 공기 조절 밸브(52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이 유입구와 연통하는 공기 유로가 연장 파이프(510)에 연통되어 있는데, 공기 유로 상에는 개폐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The air regulating valve 520 is provided with an inflow port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ort communicates with the extension pipe 510.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formed on the air flow path.

즉, 공기 조절 밸브(520)의 외부에 돌출된 나사를 돌려서 개폐 수단의 다수의 공기홀의 개폐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연장 파이프(510)와 연통하는 공기공급 파이프(3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이다.That is,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plurality of air hol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by turning the screw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trol valve 520,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300 in communication with the extension pipe 510 will be.

도 16은 본 발명의 버블 분쇄노즐의 제1실시예에 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조립 단면도이다.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bubble grinding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의 버블 분쇄노즐은 기포가 함유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로를 포함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에는 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1유통로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와 다수의 제2유통로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들어온 물이 제1플레이트와 일정 공간을 거쳐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구성을 구현한 제1실시예를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었다.  Bubble crushing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ipe shape including an inlet in which the water containing the bubble is introduced, and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the water The first plate having a first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s are formed sequenti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water entering the inlet through the first plate and a predetermined space through the second plate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16 and 17 show a first embodiment implementing the above configuration.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은 외부에서 만들어진 미세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1), 및 상기 유입구(1101)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110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로(1102)를 포함하는 제1노즐파이프(1100); 상기 유입구(1101)에 대향되어 상기 유로(1102)에 삽입되며, 상기 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1유통로(1210)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1200); 상기 제1플레이트(1200)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1102)에 삽입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200)의 다수의 제1유통로(1210)를 통과한 물이 충진되는 제1링챔버(1300); 상기 제1링챔버(1300)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1102)에 삽입되며, 상기 제1링챔버(1300)에 충진된 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2유통로(1610)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1600); 및 상기 제2플레이트(1600)에 접촉되어 상기 유로(1102)에 삽입되며, 상기 제1노즐파이프(1100)의 유로(1102) 말단과 결합되는 제2노즐파이프(1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6 and 17, the bubble grinding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101, and the inlet 1101 through which the water containing the fine air bubbles made from the out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 first nozzle pipe 1100 including a flow path 1102 having an inner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inlet 1101; A first plate (1200) opposed to the inlet (1101) and inserted into the flow path (1102)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1210)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s; A first ring chamber 1300 contacted with the first plate 1200 and inserted into the flow path 1102 and filled with wa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 A second plate which contacts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1102 and has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s 1610 through which water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passes; (1600); And a second nozzle pipe 1800 contacted with the second plate 1600 and inserted into the flow path 1102, and coupled to an end of the flow path 1102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

또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노즐파이프(1100)의 유로(1102)의 말단을 제1유출구(1103)로 정의하는 경우, 제2노즐파이프(1800)는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end of the flow path 1102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is defined as the first outlet 1103,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coupled to the first outlet 1103. do.

참고로 덧붙이면, 본 발명에서 제1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 사이의 일정 간격은 다양한 구성에 의해 구현할 수 있지만, 제1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일정 간격을 제1링챔버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로 예시한 것이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third plate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configurations, bu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constant interval is formed by the first ring chamber.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반드시 2개의 노즐파이프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제1실시예에서는 제1노즐파이프(1100)와 제2노즐파이프(1800)라는, 두 개의 노즐파이프를 사용하여 실시한 경우를 예시하였다.In addition, although the two nozzle pipes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exemplifies a case in which the two nozzle pipes, the first nozzle pipe 1100 and the second nozzle pipe 1800, are used. It was.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노즐파이프(1100)의 유입구(1101)로는 임의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미세 공기 기포가 포함된 물이 유입되고, 그 물은 유로(1102) 상에 위치된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및 제2플레이트(1600)를 통과하면서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어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된 제2노즐파이프(1800)로 배출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let 1101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containing the fine air bubbles generated by any fine bubble generator, the water is located on the flow path 1102 More finely pulve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plate 1600 is discharged to the second nozzle pipe 1800 coupled with the first outlet 1103.

제1실시예에서 제1노즐파이프(1100)의 유로(1102)의 내경을 유입구(1101)의 내경보다 크게 한 이유는 유로(1102)상에 위치된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및 제2플레이트(1600)가 유입구(1101)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적절한 구조를 갖춘다면, 예컨대 제1노즐파이프(1100)의 유로(1102)의 내경과 유입구(1101)의 내경을 동일하게 설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1102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ort 1101. The first plate 1200 and the first ring chamber located on the flow path 1102. This is to prevent the 1300 and the second plate 1600 from being separated into the inlet 1101. Therefore, as long as it has a suitable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1102 of the 1st nozzle pipe 110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port 1101, for example.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2노즐파이프(1800)는 유로(1102)에 삽입되어 제2플레이트(1600)에 접촉되면서 제1노즐파이프(1100)의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됨으로써,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및 제2플레이트(1600)를 유입구(1101)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1102 to be coupled to the first outlet 1103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1600. The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plate 1600 serve to closely contact the inlet 1101.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노즐파이프(1800)의 단부가 제1노즐파이프(1100)의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되어, 제2노즐파이프(1800)의 단부가 제2플레이트(1600)에 접촉되면서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및 제2플레이트(1600)는 서로 밀착됨과 동시에, 제1플레이트(1200)가 유입구(1101)에 밀착된다. 그리하여 유입구(1101)를 통과한 물은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 제1링챔버(1300),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 순서로 통과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7, the end of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coupled with the first outlet 1103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second. While contacting the plate 1600, the first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plate 16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plate 1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1101. Thus,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1101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do.

여기서, 제1 및 제2플레이트(1200,1600)는 판형상(바람직하게는, 원판형상)이다.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개수는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개수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것에 의해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 및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물 통과유속을 다르게 하여 물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200 and 1600 are plate-shaped (preferably disc-shaped). The number of the second flow path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may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flow paths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and thus, the number of the second flow paths 1610 of the first plate 1200 may be increased. The mixing of water may be promoted by varying the water passage flow rates of the first flow path 1210 and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또한, 단독으로 물 혼합 및 분쇄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개수를 많게 함으로써, 물 혼합 및 분쇄작용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that can perform the water mixing and grinding action alone,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water mixing and grinding action.

여기서,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내경은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내경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low path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또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1링챔버(1300)는 링형상으로 제1과 제2플레이트(1600) 사이에 개재되어, 링 내측은 물이 채워지는 챔버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를 통과한 물은 제1링챔버(1300)에서 충진되면서 혼합되어 물에 함유된 미세 공기 기포가 더 미세한 크기로 분리된다. 그다음 제1링챔버(1300)에서 충진된 물은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로 빠져나간다.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ring chamber 130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600 in a ring shape, so that the inside of the ring functions as a chamber in which water is filled. Thus,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is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mixed to separate the fin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to a finer size. The water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then exits to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한편, 제2플레이트(1600)의 다수의 제2유통로(1610) 각각은 물의 유입영역(1611)과 물의 유출영역(1612)으로 이루어지며, 유입영역(1611)의 내경은 유출영역(1612)의 내경보다 작게 설계된다. 그리하여 물이 제2유통로(1610)의 작은 내경을 가지는 유입영역을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는 유출영역으로 빠져나오면서 물은 서로 섞이고 유출영역(1612)의 측벽에 부딪치게 된다. 이렇게 미세 공기 기포가 물과 섞이는 혼합과정 및 측벽에 대한 충돌과정을 통해 공기 기포가 더 미세하게 분쇄되는 것이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includes an inflow area 1611 and an outflow area 1612 of water,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inflow area 1611 is an outflow area 1612. It is designe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us, as water passes through the inflow region having the small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ath 1610 and exits to the outflow region having the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the water mixes with each other and strikes the side wall of the outlet region 1612. The air bubbles are more finely crushed through the mixing process in which the fine air bubbles are mixed with water and the collision process against the side walls.

여기서, 제2플레이트(1600)의 내경이 큰 유출영역(1612)은 오목한 통형상(바람직하게는, 원통형상)의 홈으로 가공되어 형성되고, 내경이 작은 유입영역(1611)은 유출영역(1612)보다 내경이 작은 구멍으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outflow region 1612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late 1600 is formed by processing into a concave cylindrical (preferably cylindrical) groove, and the inflow region 1611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has an outflow region 1612. It can be implemented as a hole having a smaller inner diameter than).

그리고,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유출영역(1612)의 내각은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함으로써, 내경이 작은 유입영역(1611)에서 내경이 큰 유출영역(1612)으로 물이 토출될 때, 물의 혼합작용을 증가시켜 기포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inside angle of the outlet area 1612 of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is preferably at right angles, from the inlet area 1611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to the outlet area 1612 having a large inner diameter. When water is discharged, the mixing action of the water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crushing effect of the bubbles.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제1링챔버(1300)에 충진된 물은 먼저 제2유통로(1610) 각각의 내경이 작은 유입영역(1611)으로 유입된 다음,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유출영역(1612)으로 유출되는 과정을 통하여 물에 함유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게 된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water filled i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first flows into the inlet area 1611 having a smaller inner diameter of each of the second flow passages 1610, and then has a relatively large inner diameter outlet region 1612. The fin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are pulverized to a finer size through the outflow process to).

한편, 제2플레이트(1600)에서 제2유통로(1610)의 물의 유출영역(1612) 길이는 물의 유입영역(1611)의 길이보다 길게 설계하는 게 바람직하다. 제2유통로(1610)의 유입영역(1611)은 단순히 물이 통과되는 영역임에 비하여, 유출영역(1612)은 물의 혼합과정이 실질적으로 발생되어 물에 함유된 미세 공기 기포가 더 미세하게 분쇄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water outlet area 1612 of the second flow path 1610 in the second plate 1600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ater inlet area 1611. The inflow area 1611 of the second flow path 1610 is simply an area through which water passes, whereas the outflow area 1612 substantially mixes water, thereby pulverizing fin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This is because it is an area.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에 의해서, 유입된 미세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제1플레이트의 제1유통로, 제1링챔버,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를 통과하면서 혼합과정 및 분쇄과정을 거침으로써 보다 미세한 크기의 버블을 풍부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the bubble grinding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water containing the introduced fine air bubbles is the first flow path of the first plate, the first ring chamber, the second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By passing through the mixing and grind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duce abundantly finer bubbles.

다음으로 버블 분쇄노즐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bubble grinding nozzle will be described.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조립 단면도이다.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rinding nozz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8.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은 제1실시예의 버블 분쇄노즐의 제1링챔버(1300)와 제2플레이트(1600) 사이에, 제3플레이트(1400) 및 제2링챔버(1500)를 순차적으로 더 개재시켜 구성하는 것이다.The bubble grinding nozz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ird plate 1400 and a second ring chamber between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the second plate 1600 of the bubble grinding nozzle of the first embodiment. 1500) are sequentially configured to further intervene.

여기서, 제1링챔버(1300)에는 제3플레이트(1400) 일면이 접촉되고, 제3플레이트(1400)의 타면에는 제2링챔버(1500)의 일면이 접촉되며, 제2링챔버(1500)의 타면에 제2플레이트(1600)가 접촉된다.Here, one surface of the third plate 1400 contacts the first ring chamber 130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contacts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plate 1400, and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The second plate 160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600.

그러므로, 제2링챔버(1500)가 제3플레이트(1400)와 제2플레이트(1600) 사이에 개재되어 제2링챔버(1500)의 링구조물 내측에 챔버가 형성된다.Therefore,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plate 1400 and the second plate 1600 to form a chamber inside the ring structure of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제3플레이트(1400)에는 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3유통로(1410)가 구비되고, 제3유통로(1410)는 제3플레이트(140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된 홀로 구현된다.The third plate 1400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flow passages 1410 through which water passes, and the third flow passage 1410 is implemented as a hole penetrated from one surface of the third plate 1400 to the other surface.

나아가 제2실시예에서는 제2노즐파이프(1800)의 단부가 제1노즐파이프(1100)의 제1유출구(1103)와 결합될 때,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제3플레이트(1400), 제2링챔버(1500), 제2플레이트(1600)가 유입구(1101)에 더 강력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제2플레이트(1600)와 제2노즐파이프(1800)의 단부 사이에 밀착링(1700)을 더 개재시킬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end of the second nozzle pipe 1800 is coupled with the first outlet 1103 of the first nozzle pipe 1100, the first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The third plate 1400, the second ring chamber 1500, and the second plate 1600 may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inlet 1101 so that the third plate 1600 and the second nozzle pipe 1800 may b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 contact ring 1700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ends.

이와 같은 제1 및 제3플레이트(1400), 제1 및 제2링챔버(1500), 제2플레이트(1600)는 통과 유량 및 챔버 충진량을 조절하여 물의 혼합을 극대화하여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함으로써, 버블 생성이 증가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third plates 1400, the first and second ring chambers 1500, and the second plate 1600 adjust the flow rate and the filling amount of the chamber to maximize the mixing of the water to further fine air bubbles. By pulverization, water with increased bubble generation can be discharged.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제3플레이트(1400)의 제3유통로(1410)의 개수는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고,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개수는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개수보다 적게 설계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플레이트(1200,1600,1400)의 유통로의 개수를 다르게 설계하여 제1 내지 제3플레이트(1200,1600,1400)의 유통로를 통과하는 물 혼합이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third flow paths 1410 of the third plate 140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flow paths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and the first plate 1200. The number of first flow paths 1210 of the second plate 1600 may be designed to be less than the number of second flow path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That is, by differently designating the number of distribution channels of the first to third plates 1200, 1600 and 1400, the water mixture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channels of the first to third plates 1200, 1600 and 1400 may be further increased. It is.

여기에서, 제3플레이트(1400)의 제3유통로(1410)의 개수를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게 설계하는 것은,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에 토출된 물이 제3플레이트(1400)의 제3유통로(1410)를 통과할 때 물 압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기포의 혼합을 활성화시켜 기포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Here, designing the number of the third flow paths 1410 of the third plate 1400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flow paths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may include the first plate 1200. When the water discharged into the first flow passage 1210 of the (3) passes through the third flow passage 1410 of the third plate 1400, the water pressure is increased to activate the mixing of the bubbles to improve the crushing effect of the bubbles To do so.

또한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의 개수를 제1플레이트(1200)의 제1유통로(1210)의 개수 및 제3플레이트(1400)의 제3유통로(1410)의 개수보다 많게 하는 것은 제2플레이트(1600)의 제2유통로(1610)에서 물의 혼합작용 및 물에 함유된 미세 공기 기포의 분쇄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number of second flow paths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first flow paths 1210 of the first plate 1200 and the third flow paths 1410 of the third plate 1400. More than the number is to increase the mixing action of the water in the second flow path (1610) of the second plate 1600 and the grinding action of the fin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제1노즐파이프(1100), 제1플레이트(1200), 제1링챔버(1300), 제2플레이트(1600) 및 제2노즐파이프(1800)를 별개의 구성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들 구성 중 일부나 전부는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실시예 역시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1200)와 제1링챔버(1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nozzle pipe 1100, the first plate 1200, the first ring chamber 1300, the second plate 1600, and the second nozzle pipe 1800 are illustrated as separate configurations. However, some or all of these configurations may be formed in one configuration.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embodiment. For example, the first plate 1200 and the first ring chamber 1300 may be integrally formed.

위와 같이 구성 일부를 일체화한 경우를 제3실시예로 나타내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블 분쇄노즐의 단면도이다.A case where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s integrat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as a third embodiment.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bble grinding nozz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2플레이트(1600)와 제2노즐파이프(1800)를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경우를 보여준 것이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case in which the second plate 1600 and the second nozzle pipe 1800 ar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도 20을 참조하면, 제2플레이트(1600)와 제2노즐파이프(1800)가 일체형으로 구현된 제3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plate 1600 and the second nozzle pipe 1800 are integrated, there is an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compon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ly understoo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 same.

본 발명은 버블 발생관에서 공기 기포가 함유된 버블 상태의 물을 생성하고, 탱크에서 미세 버블을 생성하고, 버블 분쇄노즐에서 미세 버블을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풍부한 미세 버블을 발생할 수 있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fine bubbles in the bubble generating tube to generate water in the bubble state containing air bubbles, generate fine bubbles in the tank, and finely pulverize the fine bubbles in the bubble grinding nozzle to generate abundant fine bubbles Provide the device.

Claims (16)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유입받는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는, 하단에 배출관을 구비한 케이스;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유입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오버플로어 홀이 형성된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벽과 소정 간격을 두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버블조; 및 상기 지지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버블조에서 넘친 물을 분리 및 혼합하여 버블을 분쇄하여 상기 오버플로어 홀을 통하여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관통홀 및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통과시켜 상기 버블조로 유입시키는 유입홀이 형성된 버블 분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Includes a tank for receiving water containing air bubbles,
The tank, the case having a discharge pipe at the bottom; A bubble tank into which th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flows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e through a support means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and an overflow hol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which are mounted to the support means and separate and mix the water overflowed from the bubble tank to crush the bubbles and discharge them to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overflow hole. And a bubble pulverizing plate having an inlet hole for inflow into the tank.
제1항에 있어서,
공급되는 상수에 공기가 흡수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을 배출하는 버블 발생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상기 케이스 상부에 체결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블 발생관에 장착되어 상기 버블 발생관으로부터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으로 공급된 상기 공기 기포가 함유된 물이 상기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유입홀을 통하여 상기 버블조로 유입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오버플로어 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버블조의 외측 방사상으로 지지살이 돌출되고, 상기 지지살의 단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안착되는 지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ubble generating tube for discharging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by allowing the air to be absorbed by the constant supplied;
The tank, the cap is fastened to the upper case; And a water supply pip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d and mounted to the bubble generating pipe to supply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from the bubble generating pipe.
Water containing the air bubble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is introduced into the bubble tank through the inlet hole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The support means is a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ar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of the bubble tank so that the overflow hole is formed, the end of the support bar is composed of a support that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수직방향으로 직렬연결된 제1탱크 및 제2탱크이고,
상기 제1탱크의 배출관에 상기 제2탱크의 급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nk is a first tank and a second tank connected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ine 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second tank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first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1차탱크 및 2차탱크이고, 상기 1차탱크의 다수의 배출관 각각에 상기 2차탱크의 급수관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2차탱크의 배출관 각각에 미세 버블이 포함된 물을 가압하는 가압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가압펌프 각각에 버블노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nk is a primary tank and a secondary tank,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secondary tank is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of the primary tank, pressurized water containing fine bubbles in each of the discharge pipe of the secondary tank Pressurized pump is connected, the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bble nozz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ressure pu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분쇄 플레이트의 다수의 관통홀은 유입영역 및 유출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영역의 내경은 상기 유출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bubble crushing plate is composed of an inlet region and an outlet reg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region is fin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발생관은,
제1유통로와 증압 구조물 및 제2유통로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그 순서대로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의 제2유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 그리고 상기 배수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2유통로의 내경은 상기 배수부의 내경이나 상기 제1유통로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1유통로와 상기 제2유통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유통로에서 상기 제2유통로로 물을 통과시키는 상기 증압 구조물은 상기 제1유통로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제2유통로에 인접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구조로서 그 내측 경사면에 산(山)과 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bble generating tube,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equentially flow the first flow path, the boosting structure, and the second flow path, and to flow water in that order;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r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of the water supply part Is formed in the drain portion, and the side of the drain is made of 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drain,
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path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ortion or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low path,
The boosting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to allow water to pass from the first flow path to the second flow path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flow path. A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 the adjacent portion, and a hill and a valley are formed on the inner inclined surface there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압 구조물의 산과 골 각각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홀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peaks and valleys of the boost structure is formed of at least three or more odd number bubb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통로의 내주면에는 흐르는 물의 회전을 유도하는 나선형태의 스크류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6,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iral screw which induces the rotation of the flowing water protrude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 파이프의 단부에 공기 조절 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6,
Fine bubble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ontrol valve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air supply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며, 상기 탱크에서 분쇄된 미세 공기 기포를 더욱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출하는 버블 분쇄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ubble grinding nozzle mounted on the discharge pipe, the bubble grinding nozzle for pulverizing and finely pulverizing the fine air bubbles pulverized in the tan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분쇄노즐은,
기포가 함유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유로를 포함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에는 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1유통로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와 다수의 제2유통로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들어온 물이 제1플레이트와 일정 공간을 거쳐 제2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bubble grinding nozzle,
It is made of a pipe shape including an inlet in which water containing bubbles is introduced, and a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inlet.
In the flow path, a firs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for passing water therethrough and a secon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s are sequentially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water entering the inlet may be first plate. And a second bubble generato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late through a predetermined sp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는 물의 유입영역 및 물의 유출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영역의 내경은 상기 유출영역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is composed of the water inlet region and the water outlet region, wherei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area is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area.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3유통로가 구비된 제3플레이트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을 갖는 위치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or 12,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third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ird passages for passing water is further formed in a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Fine bubble generat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제3유통로의 개수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유통로의 개수와 같거나 그보다 적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유통로의 개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의 개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number of third flow paths of the third plat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first flow paths of the first plate, and the number of first flow paths of the first plate is the second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number 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유통로의 유출영역의 내각은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angle of the outlet area of the second flow path of the second plate is a right ang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 사이의 일정 간격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다수의 제1유통로를 통과한 물이 충진되는 제1링챔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 사이의 일정 간격은 상기 제3플레이트의 다수의 제3유통로를 통과한 물이 충진되는 제2링챔버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third plate is formed by a first ring chamber filled with water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of the first plate,
The predetermined spacing between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is formed by a second ring chamber filled with water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third flow paths of the third plate.
KR1020197033659A 2017-07-26 2017-10-25 Fine bubble generator KR2019013868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563 2017-07-26
KR1020170094563A KR102059038B1 (en) 2017-07-26 2017-07-26 Micro bubble generator
PCT/KR2017/011809 WO2019022303A1 (en) 2017-07-26 2017-10-25 Micro bubble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680A true KR20190138680A (en) 2019-12-13

Family

ID=650405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563A KR102059038B1 (en) 2017-07-26 2017-07-26 Micro bubble generator
KR1020197033659A KR20190138680A (en) 2017-07-26 2017-10-25 Fine bubble genera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563A KR102059038B1 (en) 2017-07-26 2017-07-26 Micro bubble gener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059038B1 (en)
WO (1) WO201902230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9940B (en) * 2022-03-26 2022-12-13 中建西部建设北方有限公司 Micro-nano bubble generator for water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8209B2 (en) * 2000-10-04 2010-03-24 Toto株式会社 Shower equipment
JP4686258B2 (en) * 2005-05-26 2011-05-25 本多機工株式会社 Micro bubble generator
JP2007162400A (en) * 2005-12-15 2007-06-28 Kazumi Doinai Water-saving disk structure
KR100807189B1 (en) * 2007-04-23 2008-02-28 노복섭 Micro bubble nozzle
KR20110000768U (en) * 2009-07-16 2011-01-24 박재영 Micro bubble nozzle
KR200449102Y1 (en) * 2009-12-10 2010-06-17 (주)엠이씨 Micro Bubble Nozzle
KR101199501B1 (en) * 2010-11-05 2012-11-09 (주)엠이씨 Micro bubble nozzle
KR101282388B1 (en) * 2011-11-15 2013-07-17 주식회사 성윈 Micro bubble generator using water supply pressure
KR101165818B1 (en) * 2012-06-18 2012-07-16 (주) 동양이엔지 Micro bubble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303A1 (en) 2019-01-31
KR102059038B1 (en) 2019-12-26
KR20190011909A (en)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388B1 (en) Micro bubble generator using water supply pressure
JP4999996B2 (en) Bubble generator
WO20081470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JP2019025451A (en) Fine bubble water generator
KR102059039B1 (en) Micro bubble generator
CN211368092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US4941217A (en) Flow enhancing jet fitting
CN211772131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KR102046893B1 (en) Micro bubble generator
KR102059038B1 (en) Micro bubble generator
KR200449102Y1 (en) Micro Bubble Nozzle
KR200441338Y1 (en) Small bubble generating nozzle equipment
JP3213014U (en) Microbubble water generator for washing machines
RU2553875C2 (en) Device for water saturation with oxygen
JP2008142688A (en) Microbubble generator and devices, such as for bath and for cleaning
KR102004193B1 (en) Micro bubble generator
US20110252558A1 (en) Air and water massage system for tubs
KR20190137885A (en) Fine bubble generator
KR102059037B1 (en) Micro bubble supplying system
CN212357699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RU2531288C2 (en) Shower head
RU2507008C1 (en) Shower head
KR102273004B1 (en) Tube structure capable of generating bubbles
US8671472B2 (en) Air control and aromatherapy module
KR101526560B1 (en) Pressure of Water Using Ai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