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328A - tea strainer - Google Patents

tea str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328A
KR20190138328A KR1020180064604A KR20180064604A KR20190138328A KR 20190138328 A KR20190138328 A KR 20190138328A KR 1020180064604 A KR1020180064604 A KR 1020180064604A KR 20180064604 A KR20180064604 A KR 20180064604A KR 20190138328 A KR20190138328 A KR 20190138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dy portion
tea
state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4820B1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조이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이쿡 filed Critical (주)조이쿡
Priority to KR102018006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20B1/en
Priority to CN201920803399.5U priority patent/CN210697233U/en
Publication of KR2019013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3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o enable reuse and improve port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a strainer comprising: a buoyant accommodation unit which accommodates an extraction object and has an accommodation recess recessed to form a buoyancy space therein so that a second body unit on one side is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while an opened first body unit is disposed downwards; and a detachable filtration unit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cover the opened first body unit of the buoyant accommodation unit, and has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through which fluid flows so that the buoyant accommodation unit with the extraction object accommodated therein sinks below the water surface.

Description

차 여과기{tea strainer}Tea strainer

본 발명은 차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휴대성이 개선된 차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 str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 strainer that is reusable and has improved portability.

일반적으로, 차는 식물의 잎이나 뿌리, 과실 등을 물과 함께 달이거나 우려서 마실 수 있는 음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건강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차를 음용하는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In general, tea refers to a beverage that can be drunk or concerned with the leaves, roots, fruits, etc. of plants with water, and as the health interest increases, the population of drinking tea increases.

이러한 차를 음용하는 방법은 크게 찻잎과 같은 추출대상물을 티백에 넣어 1회용으로 판매되는 티백을 이용하는 방법과, 추출대상물을 직접 다기를 이용하여 우려 음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method of drinking such t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method of using a tea bag that is sold for single use by putting an extract object such as tea leaves into a tea bag, and a method of drinking an extract using a direct teapot.

상세히, 1회용 티백의 경우 여과지의 내부에 기설정된 분량의 추출대상물이 개별 수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1회용 티백은 휴대가 간편하고 차를 우려낸 후 추출대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각 티백을 개별 제조함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detail, in the case of the disposable tea ba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extraction object is individually stored in the filter paper. Such disposable tea bag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arry and can be easily removed after extracting the tea,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conomic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n increase in the cost of manufacturing each tea bag individually.

또한, 1회용 티백을 밀봉시 사용되는 접착제 성분이 함께 침출되므로 유해성분이 혼합된 차를 음용함으로 인하여 건강에 해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를 우려낸 후 건져내는 1회용 티백을 주변에 방치함으로 인해 지저분해진다. 더불어, 차를 음용시마다 1회용 티백 및 티백을 포장한 포장지 등의 쓰레기 배출량이 많고, 여과지와 추출대상물을 분리 배출하기 번거로워 환경오염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component used to seal the disposable tea bag is leached toge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s harmful to health by drinking tea mixed with harmful ingredients. In addition, the disposable tea bags that are taken out after the tea is left to become messy by being left arou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waste, such as disposable tea bags and packaging bags packed with tea bags each time drinking tea, and cumbersome to separate and discharge the filter paper and the extraction targ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더욱이, 1회용 티백을 장시간 물에 우려내는 경우 차 맛이 떨어지므로 음용자의 만족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disposable tea bag is soaked in water for a long time, the tea taste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drink is lowered.

한편, 다기를 이용하여 차를 우려내는 경우, 추출대상물을 수납하는 거름망 및 거름망을 지지하는 용기 등과 같은 다수개의 다기용품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망을 지지하는 용기 규격에 적합한 찻잔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ea is brewed using teapots, a plurality of teapots, such as a sieve for storing the extraction object and a container for supporting the sieve, are required. In addition, a cup suitable for the container standard for supporting the strainer should be provided separately.

이로 인해, 차를 우려내는 과정이 복잡하고 다기용품을 구비 및 보관하기 위한 큰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손쉽게 차를 음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다수개의 다기용품을 휴대하기가 실질적으로 어려우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차를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the process of caring for the tea is complicated and requires a large space for storing and storing the multi-purpose article,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drink tea easily. Moreover, sinc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carry such a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item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rink tea in various places.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183호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2007-000018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휴대성이 개선된 차 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 strainer that is reusable and improved portabilit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되, 개구된 제1몸체부측이 하방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의 제2몸체부를 수면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부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함몰된 수납홈이 형성되는 부양수납부; 및 상기 부양수납부의 개구된 상기 제1몸체부를 커버하도록 착탈식으로 체결되되, 상기 부양수납부의 내측에 상기 추출대상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수면 아래로 침강되도록 유체가 유동되는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착탈식 여과부를 포함하는 차 여과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object is accommodated, the buried buoyancy space for supporting the second body portion of the oth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in the state that the first body portion open side is disposed therein recessed storage Dependent storage portion is formed with a groove; And a detachable filtration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buoyancy receiving part, wherein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are formed in which the fluid flows to settle below the water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extract object is accommodated inside the buoyancy receiving part. Provide a tea strainer comprising a portion.

여기서, 상기 착탈식 여과부는 상기 제1몸체부측이 수면 아래로 침수되되 상기 제2몸체부측이 수면 위측으로 부양되도록 물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부양수납부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환산 무게중심은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water so that the first body portion is submerg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but the second body portion is suppor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converted in the state of the support storage unit and the removable filter unit assembled The center of gravity is preferably set to be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의 외면 중앙부에는 취부수단에 의해 취부되되 상기 제1몸체부측이 하방 배치된 상태로 견인되도록 견인걸이부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owing hook portion protrudes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by a mounting means so that the first body portion is pulled down.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단면적이 상기 제2몸체부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cy accommodating portion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portion than that of the second body portion.

한편, 상기 부양수납부의 외면에는 기설정된 패턴의 장식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decorative part of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torage part.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 여과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tea s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차 여과기를 수면 아래로 가라앉혀 차를 우려낸 후 내부의 물을 배출하도록 견인하여 수면 위측으로 부양되도록 배치하기만 하면 내부에 수납된 추출대상물이 물과 분리되면서 차 우림이 중단되면서도 용기를 찻잔 외부로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변이 지저분해짐을 방지하여 사용편의성 및 청결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tea strainer sinks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soaks the tea, and then disposes the tea extractor stored inside to separate the water from the water.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ase of use and cleanliness by preventing the surrounding from becoming dirty.

둘째, 차 여과기를 수면 아래로 침수시키거나 수면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조작을 반복하면서 차가 우려지는 농도 및 추출대상물로부터 추출되는 수용성 물질의 확산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음용자의 기호에 최적화되도록 차 우림 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 및 차를 음용시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ly,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submerging the tea strainer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or raising the water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 tea is concerned and the diffusion rate of the water-soluble substance extracted from the extract,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rainforest is optimized to the taste of the drinker. Can adjust the ease of use and satisfaction when drinking tea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부양수납부 및 착탈식 여과부의 환산 무게중심이 수면 아래로 위치하도록 설정됨에 따라 타측이 수면 위측으로 부양되고 일측이 수면 아래로 침수된 상태로 배치되는 차 여과기 내부의 부력이 유지됨에 따라 물의 유동에도 안정적으로 부양될 수 있어 추출대상물이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추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center of gravity of the floating storage unit and the removable filter unit is set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other side is floated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one side is buoyant inside the tea strainer disposed in a state submerg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o maintain the flow of water. Even can be stably supported to prevent the extraction object is extracted above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넷째, 착탈식 여과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수납되는 추출대상물의 교체가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없이 차를 음용할 수 있으며, 세척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Fourth,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is detachably provided so that the extraction object stored in the inside is easy to replace and easy to carry, so that you can drink tea regardless of the plac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through washing,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이용하여 차를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부양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부양상태에서 음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extracting tea using a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evitation state of the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nking state in the support state of the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a str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를 이용하여 차를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부양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의 부양상태에서 음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ea is extracted using a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state of a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And, Figure 5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nking state in the support state of the tea s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100)는 부양수납부(10) 및 착탈식 여과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1 to Figure 5, the tea str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cluding a support storage unit 10 and a removable filter 20.

상세히, 상기 부양수납부(10)는 소정의 부피를 갖되 일측의 제1몸체부(10a)측이 개구되며 타측으로 함몰되어 내부에 수납홈(13)이 형성되는 용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홈(13)에는 식물의 잎이나 뿌리, 과실 등을 건조 또는 가공하여 구비되는 추출대상물(b)이 수납된다.In detail,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but the first body portion (10a) side of one side is opened and recessed to the other side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13 therein. Here, the extraction groove (b) is provided by drying or processing the leaves, roots, fruits, etc. of the plant in the receiving groove (13).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10)는 상기 제1몸체부(10a)가 개구되어 형성된 개구부(11)를 제외한 외면이 밀폐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10)의 개구된 상기 제1몸체부(10a)가 하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양수납부(10)의 타측인 제2몸체부(10b)를 수면(w)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부력공간(15)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에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outer surface except for the opening 11 formed by opening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sealed. Accordingly, the second body portion 10b,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storage portion 10, is placed above the water surface w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body portion 10a opened in the support storage portion 10 is disposed downward. Floating buoyancy space 15 is formed in the buoyancy receiving portion 10.

그리고, 상기 착탈식 여과부(20)는 상기 부양수납부(10)의 개구된 상기 제1몸체부(10a)를 커버하도록 착탈식으로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착탈식 여과부(20)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외곽 테두리(20a)가 상기 부양수납부(10)의 개구된 상기 제1몸체부(10a)의 내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is preferably detachably fasten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Here, the removable filter 2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outer edge 20a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of the opening of the support 10.

상세히,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제1몸체부(10a)가 개구되어 형성된 상기 개구부(11)의 내면을 따라 체결홈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외곽 테두리(20a)가 상기 체결홈부(12)에 끼움 체결된다.In detail, the fastening groove 12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11 formed by opening the first body portion 10a of the support storage portion 10. Then, the outer edge 20a of the removable filter 20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2.

이때, 상기 체결홈부(12)는 상기 개구부(11)의 내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나사 체결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와 상기 부양수납부(10)가 상호 대향되는 일단부의 모서리가 상호 힌지 체결되되 각 타단부측에 선택적으로 끼움 체결되는 돌기/홈 형상의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astening groove 1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11, and may be formed in a spiral in some cases so that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may be screwed. In addition, a protrusion / groove-shape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in which the edges of one end of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and the support storage unit 10 are mutually hinged and selectively fitted to each other end. have.

즉, 본 발명은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상기 제1몸체부(10a)에 선택적으로 착탈됨에 따라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에 상기 추출대상물(b)을 수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may be selectively detach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0a so that the extractable object b may be stored or separated inside the support storage unit 10. .

여기서,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에는 복수개의 추출공(2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 여과기(100)가 유체 내로 침강되면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1)을 통하여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외측으로 상기 유체가 유동 및 상기 추출대상물(b)과 혼합된다. 이때, 상기 유체라 함은 차를 우릴 때 사용하는 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21 penetrate through the removable filter unit 20. That is, when the tea strainer 100 is settled into the fluid, the fluid flows into and out of the buoyancy storage part 10 through the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21 and is mixed with the extraction object b. At this time, the fluid is preferably understood to be water used when we tea.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측에 상기 추출대상물(b)이 수납되고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10a)가 커버된다. 이때,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1)을 통해 찻잔(c) 내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면 상기 추출대상물(b)에 포함된 수용성 물질이 추출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물질이 추출되어 혼합된 유체가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1)을 통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외측으로 유동됨에 따라 독특한 맛과 향을 갖는 차로서 음용할 수 있다.In detail, referring to FIG. 3, the extraction object b is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storage unit 10 and the first body part 10a is covered by the removable filter unit 20. At this time, when water contained in the mug (c) is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21 formed in the removable filter unit 20, the water-soluble substance contained in the extract (b) is extracted. As the water-soluble substance is extracted and mixed, the fluid flows into and out of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through the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21 and may be used as a tea having a unique taste and aroma.

이때, 상기 추출대상물(b)은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에 걸려 유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차 여과기(100)의 외측으로는 추출된 수용성 물질만이 실질적으로 물에 희석되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차를 음용시 상기 추출대상물(b)의 찌꺼기가 함께 음용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용자가 차를 음용시 찌꺼기로 인한 구강 내 이물감이 최소화되므로 음용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extraction object (b) is caught in the removable filter 20, the flow is limited, only the water-soluble material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tea strainer 100 can be substantially diluted in water and flo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egs of the extract (b) to be drinking together when drinking tea.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of drinking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ecause the foreign body in the mouth caused by the dregs drink tea is minimized.

여기서, 상기 부양수납부(10)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20)는 스테인리스 스틸,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 도자기 또는 내수성을 갖는 종이,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부양수납부(10)와 상기 착탈식 여과부(20)는 동일한 소재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호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flotation housing 10 and the removable filter 20 may be made of any one material of stainless steel, plastic, silicon, glass, ceramics or paper having water resistance, wood. In addition,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and the removable filter 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it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depending on the case.

예컨대, 상기 부양수납부(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착탈식 여과부(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양수납부(10)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모두 도자기 재질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support storage unit 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Alternatively, both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and the removable filter unit 20 may be made of porcelain material.

한편, 상기 착탈식 여과부(20)는 상기 제1몸체부(10a)가 수면(w) 아래로 침수되고 상기 제2몸체부(10b)가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되도록 물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movable filter 20 is provided with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e water so that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submerged below the water surface (w)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s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Is preferred.

상세히,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가 일정한 농도를 갖도록 추출되면, 상기 추출대상물(b)이 상기 물과 분리되도록 상기 차 여과기(100)를 수면(w) 위측으로 견인한다. 이때, 상기 추출대상물(b)은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에 의해 걸러져 상기 수납홈(13) 내에 수납된 상태로 잔존하되, 상기 수납홈(13)으로 유입되었던 물은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1)을 통해 배출된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S. 4 to 5, when the tea is extracted to have a constant concentration, the tea strainer 100 is pulled above the water surface w so that the extract (b) is separated from the water. At this time, the extraction object (b) is filtered by the removable filter unit 20 and remains in the received state in the receiving groove 13,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 is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 Through 21).

여기서, 상기 제1몸체부(10a)가 하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차 여과기(100)를 수면(w)에 안착시키면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비중에 의해 상기 제1몸체부(10a)측이 수면(w) 아래로 침수된다.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10)는 상기 제1몸체부(10a)의 개구측을 제외한 외면이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의 부력을 통해 상기 차 여과기(100)가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될 수 있다.Here, when the tea strainer 100 is seated on the water surface w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disposed downward, the first body portion 10a side may be caused b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This is submerged below the water surface w. At this time, the buoyancy receiving portion 10 is sealed the outer surface except for the opening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Therefore, the tea strainer 100 may be floa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through the buoyancy force of the air accommodated in the buoyancy receiving part 10.

여기서, 상기 차 여과기(100)가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다 함은 상기 제1몸체부(10a)측이 하방 배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몸체부(10b)측이 수면(w) 위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2몸체부(10b)가 수면(w)과 인접한 위측에 배치된 상태로 부유됨을 포괄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a strainer 100 is supported by the water surface (w) above the second body portion (10b) as the buoyancy space is formed inside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portion (10a) side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side protrudes above the water surface w or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s suspended in a state arranged above the water surface w.

즉, 상기 제2몸체부(10b)측이 상방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부양수납부(10)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므로 상기 차 여과기(100)가 수면(w)을 기준으로 배치된 깊이에 상관없이 내부에 수납된 상기 추출대상물(b)이 물과 분리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s disposed upward, air is present in the support storage unit 10, regardless of the depth at which the tea strainer 100 is disposed based on the water surface w. The extraction object (b) accommodated therein may be separated from water.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10)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조립된 상태에서 환산 무게중심(g)은 수면(w)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rsion center of gravity (g) is set to be positioned below the water surface (w)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storage unit 10 and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are assembled.

여기서, 상기 부양수납부(10)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조립된 상태라 함은 상기 부양수납부(10)의 개구된 상기 제1몸체부(10a)에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체결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산 무게중심(g)이라 함은 상기 부양수납부(10)와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중량이 합산되어 형성되는 무게중심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storage unit 10 and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is assembled is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to the opening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is fastened. In addition, the converted weight center (g) is preferably understood to be the center of gravity formed by the sum of the weight of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and the removable filter 20.

상세히, 상기 부양수납부(10)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조립된 상태의 전체 중량은 관성모멘트를 고려한 역학적인 환산 무게중심(g)의 위치를 고려하여 산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비중은 상기 환산 무게중심(g)의 위치가 수면(w)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몸체부(10b)측이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물의 유동에 의한 상기 차 여과기(1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total weight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and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is preferably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dynamic weight center (g) in consideration of the moment of inertia. In additi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removable filter 20 is preferably se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verted weight center (g) is located below the water surface (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tea strainer 100 due to the flow of wa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0b side is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또한,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비중이 물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됨이 따라 상기 착탈식 여과부(20)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체결된 상기 제1몸체부(10a)측이 수면(w) 아래에 침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is provided with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water, so that th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to which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and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are fastened (w) It may remain submerged.

따라서, 상기 제2몸체부(10b)가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물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몸체부(10a)의 테두리가 수면(w) 위측으로 노출되면서 부력이 상실됨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flow of water occurs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s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the edge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w, thereby preventing the buoyancy from being lost. can do.

이때, 상기 차 여과기(100)가 부양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대상물(b)은, 수납량에 따라 상기 수납홈(13)의 내면 및 상기 추출대상물(b)의 외면에 잔류하는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수납홈(13)의 내면측에 부착된 상태로 수납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부양수납부(10)가 하방 배치된 상기 제1몸체부(10a)측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수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extraction object (b) in the state in which the tea strainer 100 is support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ion object (b) according to the storage amount It may be stor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3). Alternatively, the support storage unit 10 may be accommodat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first body portion 10a side which is disposed below.

상세히, 상기 추출대상물(b)이 상기 수납홈(13)의 내면측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찻잔(c) 내에 수용된 물과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추출대상물(b)에 포함된 상기 수용성 물질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In detail, when the extract (b)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3 is substantially separated from the water contained in the mug (c). Therefore, the extraction of the water-soluble substance contained in the extraction target (b) is not made.

또한, 상기 추출대상물(b)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하방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1몸체부(10a)가 침수된 깊이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찻잔(c) 내에 수용된 물의 유동시에도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공간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을 만족하도록 침수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extraction target (b) is disposed below the support storage unit 10, the depth in which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submerged can be maintained. Therefore, even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mug c flows, the internal space of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may be submerged to satisfy the minimum interval for maintaining the sealed state.

이에 따라, 상기 차 여과기(100)가 물에 부양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대상물(b)이 수면(w) 아래에 침수된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수용성 물질의 추가적인 추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tea strainer 100 is buoyed in water, the addition of the water-soluble substance may be added even when the extract object b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movable filter 20 submerged under the water surface w. Extraction can be minimized.

더욱이, 상기 부양수납부(10)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조립된 평균 비중은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에는 수면(w) 아래로 가라앉으면서도 물이 배출된 상태에서는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verage specific gravity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and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is discharged while the water sinks below the water surface w when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n the set state, it is preferable to be set to be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차 여과기(100)를 수면(w)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도 상기 추출대상물(b)의 추출을 선택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용자가 상기 차 여과기(100)를 선택적으로 물에 침수시켜 차를 우려내거나 수면 위측으로 부양시켜 차 우림을 중단하는 조작을 반복하면서 기호에 맞는 농도의 차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stop the extraction of the extraction target (b) even by a simple operation to support the tea strainer 100 above the water surface (w). Therefore, the drinker can immerse the tea strainer 100 in water selectively and soak the tea or float above the water surface and repeat the operation of stopping the rainforest, so tha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tea of the concentration that suits his / h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더욱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몸체부(10b)측이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차를 음용하기 위해 상기 찻잔(c)을 기울이더라도 상기 환산 무게중심(g)이 수면(w) 아래에 설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차 여과기(100)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양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5, even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s tilted to the tea cup c in order to drink tea in the state of being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the converted center of gravity g sleeps. (w) The state set below is maintained. Therefore, the tea strainer 100 may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being tilted.

이때,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중앙부에는 기설정된 하중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중량보강부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movable filter 20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reinforcement that can provide a predetermined load additionally.

상세히, 상기 중량보강부는 기설정된 무게를 갖되 일정한 중량으로 분할되어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는 무게추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량보강부를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체결하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상기 제1몸체부(10a)가 수면(w) 아래로 침수되는 간격이 조절된다.In detail, the weight reinforcing part may have a predetermined weight but may be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weight and provided as a weight that may be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filtration part 20. Therefore, when the weight reinforcement unit is selectively fastened to one or more center portions of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the first body part 10a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s submerged below the water surface w.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is adjusted.

이와 동시에, 상기 차 여과기(100)의 환산 무게중심(g)이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수직선상에 설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를 음용하거나 상기 찻잔(c)을 이동시킬 때 상기 찻잔(c)이 움직이면서 물이 유동되더라도 상기 차 여과기(100)가 부유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conversion center of gravity g of the tea strainer 100 may be supported to be set on a vertical lin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removable filter 20. Through this, even when water is flowed while the tea cup c moves while drinking tea or moving the tea cup c, the tea strainer 100 may be stably maintained.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상기 제2몸체부(10b) 외면 중앙부에는 견인걸이부(14)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4, it is preferable that the towing hook portion 14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0b of the support storage portion 10.

상세히, 상기 추출대상물(b)의 추출을 중단 또는 완료하기 위하여 상기 차 여과기(100)를 견인한다. 이때, 차스푼, 머들러(muddler) 또는 빨대 등과 같은 취부수단(a)을 상기 견인걸이부(14)에 걸어 상기 찻잔(c)의 상측으로 견인하면 상기 제1몸체부(10a)가 하방 배치된 상태로 견인될 수 있다.In detail, the tea strainer 100 is pulled to stop or complete the extraction of the extract (b). At this time, when the mounting means (a) such as a tea spoon, a muddler or a straw is pul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ug (c) by hanging on the towing hook portion 14,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disposed below Can be towed to a state.

여기서, 상기 제1몸체부(10a)가 하방 배치되면 상기 수납홈(13)에 수납된 상기 추출대상물(b)은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내면에 구속되며 상기 추출공(21)으로 물만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disposed below, the extraction object b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3 is constra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and only water is extracted into the extraction hole 21. It can be easily discharged.

또한, 상기 견인걸이부(14)를 통해 견인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상기 제2몸체부(10b)가 상방 배치되고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체결된 상기 제1몸체부(10a)가 수면(w) 아래로 침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납홈(13)의 내면 및 상기 수면(w) 사이가 밀폐된 부력공간(15)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잡하거나 번거로운 조작 없이도 상기 차 여과기(100)를 손쉽게 부양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10a to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s automatically disposed upwards and the removable filter portion 20 is fastened by simply pulling the tow through the towing hook portion 14 is water ( w) flooded down; Through this, a buoyancy space 15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3 and the water surface 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ort the tea strainer 100 without complicated or cumbersome operation, and the ease of us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견인걸이부(14)에는 와이어 또는 체인이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취부수단(a)이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을 상기 찻잔(c)의 상측으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차 여과기(100)를 손쉽게 견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a wire or a chain may be connected to the towing hook part 14. Therefore, even when the mounting means (a) is not prepared, it is possible to easily pull the tea strainer 100 while pulling the wire or chain to the upper side of the mug (c).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차 여과기(100)가 상기 찻잔(c)의 하측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손으로 직접 취부하지 않더라도 수면(w) 위측으로 견인할 수 있어 위생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ow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w) even if the tea strainer 100 is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hand in the state sinking to the lower side of the mug (c)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hygiene.

또한, 추출이 완료된 후 상기 차 여과기(100)를 상기 찻잔(c) 외부로 분리해내지 않고 단지 수면(w) 위측으로 부양시키기만 하면 차의 추출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물이 흘러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청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extraction is completed, the tea extractor 100 may be stopped by simply lifting the water filter w above the water surface c without removing the tea filter 100 to the outside of the mug c. Therefore, since the surroundings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dirty or water flowing, the cleanlines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불어, 상기 추출대상물(b)의 추출이 최종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물에 침강시켜 차를 우려내더라도 상기 추출대상물(b)이 외부 공기와 직접 노출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추출대상물(b)에 공기 중의 부유 이물질이 혼합됨을 방지하여 위생성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extraction of the extraction target (b) is repeatedly settled in water until the extraction is completed, the car may be minimized to directly expose the extraction target (b)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is, the hygiene may be further improved by preventing the float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from being mixed with the extraction target (b).

더욱이, 상기 차 여과기(100)는 상기 착탈식 여과부(20)를 분리한 상태에서 내부에 상기 추출대상물(b)을 손쉽게 교체 수납할 수 있으며, 세척 후 실질적으로 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를 음용후 실질적으로 천연 소재인 상기 추출대상물(b) 찌꺼기만을 배출 처리하면 되므로 환경오염 요소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Furthermore, the tea strainer 100 can be easily replaced with the extraction object (b) t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is separated, and can be used substantially permanently after washing. In addition, since the car is only discharged after the extraction process (b) waste, which is a substantially natural material,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since environmental pollution is not generated substantially.

한편, 상기 부양수납부(10)는 상기 제1몸체부(10a)의 단면적(d1)이 상기 제2몸체부(10b)의 단면적(d2)보다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10a) 및 상기 제2몸체부(10b) 사이의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ross-sectional area (d1)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d2) of the second body portion (10b). Therefore, the outer surface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10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s formed to be inclined.

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차 여과기(100)가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수면(w) 아래로 침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외면이 상기 찻잔(c)의 하면에 안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체결된 상기 부양수납부(10)의 개구된 제1몸체부(10a)가 상기 찻잔(c) 내부의 상측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1)을 통하여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추출대상물(b)로부터 상기 수용성 물질이 추출되면서 차가 우러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tea strainer 100 is inclined obliquely and settles below the water surface w,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ug c. . Through this, the open first body portion 10a of the flotation housing 10 to which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is fastened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mug c. Therefor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through the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21 formed in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and the water is extracted while the water-soluble substance is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object b. Can be.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차 여과기(100)가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면(w)에 대응하는 상기 제1몸체부(10a)의 단면적(d1)이 넓고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 여과기(100)가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맞추어 더욱 안정적으로 부양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tea strainer 100 is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the cross-sectional area d1 of the first body part 10a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rface w is wide and upwards. It may be arranged in an increasingly narrow shape. Therefore, the tea strainer 100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in balance without tilting.

여기서, 차를 추가로 우리기 위해서는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외면을 손 또는 취부수단(a)을 통해 밀어 상기 차 여과기(100)가 기울어지도록 조작하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의 밀폐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추출공(21)을 통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로 물이 다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의 무게가 더해지면서 상기 차 여과기(100)가 다시 가라앉는다. 이를 통해, 상기 대상추출물(b)을 반복 추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농도의 맛과 향의 차를 제공받을 수 있다.Here, in order to further tea,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s pushed through the hand or the mounting means (a) to operate the car filter 100 inclined so that the inside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The seal is released. Therefore, water is introduced again into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through the extraction hole 21, and the tea strainer 100 sinks again while the weight of the introduced water is added. Through this, the target extract (b) can be repeatedly extracted, so that a difference in taste and aroma of various concentrations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1몸체부(10a)의 단면적(d1)이 상기 제2몸체부(10b)의 단면적(d1)보다 넓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몸체부(10a)의 외면 프로파일 단면적이 상기 제2몸체부(10b)의 외면 프로파일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act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1 of the first body part 10a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d1 of the second body part 10b is substantially the outer profil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body part 10a.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formed wider than the outer profil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portion (10b).

따라서, 상기 부양수납부(10)가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양수납부(10)가 수면(w) 아래로 침강된 상태에서는 물이 유입되는 상기 추출공(21)이 관통된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구비된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수납홈(13)측으로 물이 즉각적으로 유입되어 상기 차 여과기(100)가 가라앉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state in which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is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may be stably maintained.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buoyancy storage unit 10 is settled below the water surface w, the area provided with the removable filter unit 20 through which the extraction hole 21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is relatively large may be formed. Can be. Through this, water may immediately flow into the receiving groove 13 to maintain the tea strainer 100 in a sinking state.

한편,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외면에는 기설정된 패턴의 장식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decorative part of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예컨대, 상기 부양수납부(10)는 외면이 동물, 식물, 과일, 기하학적인 형상 등의 다양한 디자인으로 3차원 입체화되도록 사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외면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 프린팅 또는 도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몸체부(10b)가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외적으로 독특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인 심미적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storage unit 10 may be injected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in a variety of designs, such as animals, plants, fruits, geometric shapes. Alternatively, patterns of various patterns may be printed or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otation housing 10. Therefore, since the second body part 10b is able to express an externally unique design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visual aesthetic satisfaction may be improved.

또한, 상기 차 여과기(100)를 휴대하거나 찬장 또는 테이블 등에 올려놓고 보관시에도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하는 장식물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구매욕구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a strainer 100 may be used as a decoration to provide a unique aesthetic even when carrying or storing on a cupboard or a table, the user's desire to purchase may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 여과기(100)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이때, 본 변형예에서 외부커버부(3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ea str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outer cover 30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0a)측을 밀폐하는 외부커버부(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6, the outer cover portion 30 for sealing the first body portion 10a side may be further provided.

상세히,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에 상기 추출대상물(b)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10a)에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부(30)는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몸체부(10a)에 체결된다.In detail, the removable filtration unit 20 is fasten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0a in a state in which the extraction object b i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storage unit 10. In addition, the outer cover part 30 is fastened to the first body part 10a to cover the outside of the removable filter part 20.

따라서, 상기 추출대상물(b)의 휴대가 용이하며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손쉽게 차를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커버부(30)를 탈부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부양수납부(1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Therefore, the extraction object (b) is easy to carry and can be easily consumed by drinking tea at a desired time and place.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may be selectively sealed by a simple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outer cover unit 30.

따라서, 상기 추출대상물(b)을 보관시 상기 착탈식 여과부(20)에 형성된 상기 추출공을 통해 상기 추출대상물(b)이 배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수납홈(13)의 내측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xtraction object (b) is stored, the extraction object (b)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extraction hole formed in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or foreign matters ar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 can do.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 여과기(100)는 상기 제2몸체부(10b)의 외면이 밀폐되도록 형성된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상기 제1몸체부(10a)에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상기 추출공(21)이 형성된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체결된다. 그리고, 물이 수용된 찻잔(c)의 수면 아래로 가라앉혀 차를 우려낸 후 내부의 물을 배출하도록 견인하여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되도록 배치하기만 하면 내부에 수납된 추출대상물(b)이 물과 분리된다.Through this, the tea str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fluids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portion (10a) of the support receiving portion 10 formed to seal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0b)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in which the extraction hole 21 is formed is fastened. Then, after sinking below the surface of the mug (c) in which the water is accommodated, the car is pulled to drain the water inside, and then disposed to be lif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the extracted object (b) stored therein is water Is separated from.

이를 통해, 수면(w)을 기준으로 상기 제2몸체부(10b)의 배치방향을 변경하여 침수 또는 부양시키면서 내부에 수납된 추출대상물(b)을 통해 차를 우려내거나 차 우림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차 우림이 중단한 후 상기 차 여과기(100)를 상기 찻잔(c)의 외부로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변이 지저분해짐을 방지하여 사용편의성 및 청결성이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while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10b) on the basis of the water surface (w) can be concerned with the car through the extraction object (b) stored therein or stop the rain forest. . In addition, since the tea strainer 100 does not have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mug c after the rain forest is stopped, convenience and cleanliness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surroundings from becoming dirty.

또한, 상기 차 여과기(100)를 수면(w) 아래로 침수시키거나 수면(w)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조작을 반복하면서 차가 우려진 농도 및 상기 추출대상물(b)로부터 추출되는 수용성 물질의 확산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자의 기호에 최적화되도록 차 우림 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 및 차를 음용시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repeating the operation of submerging the tea strainer 100 below the water surface (w) or above the water surface (w) while repeating the concentration and the diffusion rate of the water-soluble substance extracted from the extract (b) It can be adjusted easily. Therefore, the rainforest concentration can be adjusted to be optimized for the drinker's preference, so that the ease of use and satisfaction when drinking tea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부양수납부(10)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20) 의 환산 무게중심(g)이 수면(w) 아래로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몸체부(10b)는 수면(w) 위측으로 부양되고 제1몸체부(10a)는 수면(w) 아래로 침수된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차 여과기(100) 내부의 부력이 유지된다. 이를 통해, 물의 유동에도 상기 차 여과기(100)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양될 수 있어 상기 추출대상물(b)이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추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version center of gravity (g)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and the removable filter 20 is set to be located below the water surface (w). Therefore, the second body portion 10b is supported above the water surface w and the first body portion 10a maintains the buoyancy inside the tea strainer 100 disposed in a submerged state below the water surface w. do. Through this, the tea strainer 100 may be stably supported without tilting even in the flow of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extraction object (b) from being extracted above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또한,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상기 제2몸체부(10b) 외면 중앙부에 상기 견인걸이부(14)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취부수단(a)을 통해 취부하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개구된 상기 제1몸체부(10a)가 자동으로 하방 배치된 상태로 견인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 여과기(100)를 수면(w) 위측으로 손쉽게 부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0a)의 단면적(d1)이 상기 제2몸체부(10b)의 단면적(d2)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부양시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wing hook portion 14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0b of the support storage portion 10. Therefore, when it is attached through the mounting means (a), the opening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of the buoyancy receiving portion 10 can be automatically pulled in a state arranged downward. Through this, the tea strainer 100 can be easily supported on the water surface (w) above. In addition, as the cross-sectional area (d1) of the first body portion (10a) is formed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d2) of the second body portion (10b)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during the support.

더불어, 상기 착탈식 여과부(20)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수납되는 추출대상물(b)의 교체가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없이 차를 음용할 수 있으며, 세척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In addition,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20 is detachably provided, so that the extraction object (b) contained therein is easy to replace and easy to carry, and can drink tea regardless of the plac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through washing.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더욱이, 상기 부양수납부(10)의 외면에 기설정된 패턴 또는 문양의 장식부가 형성되어 찻잔에 부양된 상태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시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하는 장식물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구매욕구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corative pattern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or patter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torage unit 10 can be used as a decoration that provides a unique aesthetics when carrying and storing as well as the state of support in the mug,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user's desire to purchase. Can be.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includ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부양수납부 11: 개구부
12: 체결홈부 13: 수납홈
14: 견인걸이부 15: 부력공간
20: 착탈식 여과부 21: 추출공
a: 취부수단 b: 추출대상물
c: 찻잔 g: 환산 무게중심
100: 차 여과기
10: support storage part 11: opening part
12: fastening groove 13: receiving groove
14: tow hook 15: buoyancy space
20: removable filter 21: extraction hole
a: mounting means b: extraction target
c: teacup g: conversion center of gravity
100: tea strainer

Claims (5)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되, 개구된 제1몸체부측이 하방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의 제2몸체부를 수면 위측으로 부양시키는 부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함몰된 수납홈이 형성되는 부양수납부; 및
상기 부양수납부의 개구된 상기 제1몸체부를 커버하도록 착탈식으로 체결되되, 상기 부양수납부의 내측에 상기 추출대상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수면 아래로 침강되도록 유체가 유동되는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착탈식 여과부를 포함하는 차 여과기.
A buoyant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extraction object, and has a recessed recess formed therein so that a buoyancy space for supporting the second body part on the other side is formed inside the opened first body part side. And
The detachable filtration unit is detachably fasten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support housing, and has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through which fluid flows to settle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state where the extract object is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storage. Tea filter inclu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여과부는 상기 제1몸체부측이 수면 아래로 침수되되 상기 제2몸체부측이 수면 위측으로 부양되도록 물보다 큰 비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부양수납부 및 상기 착탈식 여과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환산 무게중심은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movable filter is provided with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water so that the first body portion is submerg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but the second body portion is supported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filter center of gravity in the state in which the buoyancy receiving portion and the removable filter is assembled is set to be located below the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의 외면 중앙부에는 취부수단에 의해 취부되되 상기 제1몸체부측이 하방 배치된 상태로 견인되도록 견인걸이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ull hook part protruding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by a mounting means so as to be pu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portion is disposed down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납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단면적이 상기 제2몸체부측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buoyant storage portion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said first body portion wider than that of said second body portion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수납부의 외면에는 기설정된 패턴의 장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Tea s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ative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otation housing.
KR1020180064604A 2018-06-05 2018-06-05 tea strainer KR102104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04A KR102104820B1 (en) 2018-06-05 2018-06-05 tea strainer
CN201920803399.5U CN210697233U (en) 2018-06-05 2019-05-30 Tea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604A KR102104820B1 (en) 2018-06-05 2018-06-05 tea str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328A true KR20190138328A (en) 2019-12-13
KR102104820B1 KR102104820B1 (en) 2020-04-27

Family

ID=6884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604A KR102104820B1 (en) 2018-06-05 2018-06-05 tea strai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4820B1 (en)
CN (1) CN210697233U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512A (en) * 1980-10-24 1982-08-24 Moore Richard C Container for making a tea beverage
JP3074551U (en) * 2000-07-01 2001-01-19 和子 田村 Cooked cooking utensils
KR20070000183U (en) 2007-01-22 2007-02-09 최상돈 Cup holder of tea bag
KR101412125B1 (en) * 2012-11-08 2014-06-30 허원준 broth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512A (en) * 1980-10-24 1982-08-24 Moore Richard C Container for making a tea beverage
JP3074551U (en) * 2000-07-01 2001-01-19 和子 田村 Cooked cooking utensils
KR20070000183U (en) 2007-01-22 2007-02-09 최상돈 Cup holder of tea bag
KR101412125B1 (en) * 2012-11-08 2014-06-30 허원준 broth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697233U (en) 2020-06-09
KR102104820B1 (en)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0327C2 (en) Glass for beverage with internal decanting, filtering, mixing and aerating element
JP5563929B2 (en) Coffee pot
KR200471638Y1 (en) A Lid for Disposable cups
CN107319875B (en) A kind of teapot and its application method with lifting rod
KR20190138328A (en) tea strainer
US5799566A (en) Self-propelled moving-filter beverage maker
DE59903657D1 (en) DEVICE FOR BREWING BEVERAGES
KR102067245B1 (en) tea strainer
US20090007791A1 (en) Cup Having Floatable Strainer
CN105662054A (en) Tea brewing equipment
CN104983253B (en) A kind of tea separation tea steeping appliance
CN201551033U (en) Novel teapot
CN204743537U (en) Tea separates ware of making tea
CN201518982U (en) Tea obstructor
CN106263929B (en) A kind of separable teapot of tealeaves millet paste
CN214825117U (en) Multifunctional food barrel
CN2785502Y (en) Infiltration type rationing cup for abrasive particle coffee
TWM491418U (en) Adjustable siphon for beverage making
CN210300485U (en) Floating disc device for brewing
CN209450261U (en) A kind of disposable tea infusion device
CN207071007U (en) Teapot
CN215936995U (en) Disposable kungfu tea set
GB2403645A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CN212574640U (en) Ceramic teapot without opening cover and adding water
KR200297236Y1 (en) receptacl possessed of tea abstraction 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