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503A - Receptacle connector - Google Patents

Receptacl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503A
KR20190137503A KR1020180063754A KR20180063754A KR20190137503A KR 20190137503 A KR20190137503 A KR 20190137503A KR 1020180063754 A KR1020180063754 A KR 1020180063754A KR 20180063754 A KR20180063754 A KR 20180063754A KR 20190137503 A KR20190137503 A KR 2019013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hell
receptacle
substrate
right dir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9273B1 (en
Inventor
임채은
카즈노리 이치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273B1/en
Priority to CN201821908525.5U priority patent/CN209516073U/en
Publication of KR2019013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in which a coupler is formed at a front end thereof; a connection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front end expos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hole and a rear end mounted on a substrate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receptacle shell surrounding a part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nd exposing the coupler forward; and a fixing frame coupled to cover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part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nd having left and right ends are coupled to the substrate. In a lower part of the fixing frame, divided end parts divid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therebetween are formed individually, and the divided end parts are individual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pply a tightening force in a gap direction.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Receptacle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극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부 쉘의 분할 단부를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쉘이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셉터클 쉘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by joining the divided end of the lower shell divided by the gap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the lower shell exerts a tightening force in the gap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firm coupling force. And a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be retained, thereby preventing the receptacle shell from flowing by external force.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된 상태에서 전단의 결합 부위가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general, the receptacle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lug connector in which a coupling portion of the front end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이러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들 플레이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배열되는 다수의 접속 단자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와 접속 단자들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몰딩되며, 전방측 결합구를 통해 접속 단자들을 노출시킴과 아울러 후방측 하면을 통해 접속 단자들의 후단을 노출시키는 절연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Such a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is molded with a middle plate,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rranged respectively on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middle plate, and a state in which the middle plate and a por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externally wrapped, It exposes the connection terminals through the insulating housing and exposes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s through the rear lower surface.

또한, 하우징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용되는 통 형상의 리셉터클 쉘과, 상기 리셉터클 쉘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리셉터클 쉘을 기판에 결합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고정부재 등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receptacle shell in which a portion of the housing is accommodated therein, and a cylindrical fixing member for coupling the receptacle shell to a substrate by being coupl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from the outside.

그런데,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조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거나, 조립시 통 형상의 리셉터클 쉘과 고정부재의 사이에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 외력에 의해 리셉터클 쉘이 유동될 염려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 불량이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when an error occu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when a tolerance occurs between the cylindrical receptacle shell and the fixing member during assembly, there is a concern that the receptacle shell may flow due to an external force, which causes the receptacle connector to flow. There was a fear of a poor coupling between the plug and the plug connector.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공개특허 10-2017-0002206호(2017년 01월 0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안테나 기능을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02206 (January 06, 2017), which discloses a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n antenna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간극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부 쉘의 분할 단부를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쉘이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셉터클 쉘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the divided end of the lower shell divided on the basis of the gap in the spaced apart stat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so that the lower shell exerts a tightening force in the gap direction can maintain a firm coupling force, through which the receptac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prevent the shell from flowing by an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쉘과 일체로 절곡된 전방측 상부 결합단과 후방측 상부 결합단을 전후 방향에 2중 구조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수가 많지 않아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상부 쉘과 하부 쉘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double structur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and the rear upper coupling end integrally with the upper shell, the number of parts is not larg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upper shell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prevent the lower shell from flowing back, forth, and left and right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며, 전방으로 상기 결합구를 노출시키는 리셉터클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좌우측 양단이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분할 단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coupler is formed at a front end, and a connection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and a rear end is mounted to the substrate through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 receptacle shell that surrounds a portion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nd exposes the couple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 fixed frame coupled to the receptacle shell and a portion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nd having left and right ends coupled to the substrate. A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a split end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a gap therebetween, the split ends being respective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applying a tightening force in the gap direction.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의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제1전방 몸체 및, 상기 접속 단자의 후단이 하면을 통해 노출되는 제1후방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리셉터클 쉘은 상기 제1전방 몸체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ousing A coupl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vided into a first front body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and a rea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vided into a first rear body expo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and the receptacle shell Is coupled in a stat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front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protrudes in front of the fixed frame.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방과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좌우 방향측 양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방과 상기 제1후방 몸체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상부 쉘과 결합되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 쉘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frame is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ar body, the upper shell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ower side of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first 1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hell is coupled to the upper shell in a state surrounding the rear body, and the divided end di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therebetween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또한, 상기 상부 쉘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후방 몸체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쉘들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방을 좌우 방향에서 각각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후방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기판의 전단에는 상기 제3전방 몸체의 하방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후방으로 오목한 절개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shell is divided into a second front body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a second rear body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ody, the lower shell is the receptacle It is divided into a third front body coupled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she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 third rear body coupled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first rear body, the front of the substrate is the third front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ed portion recessed backwards penetrates up and down to protrude downward.

또한,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걸림 위치되며,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과 상하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front body are bent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utout and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re preferably closely contacted with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front body.

또한, 상기 제3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후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후방 몸체의 상면을 감싸는 한 쌍의 하부 결합단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하부 결합단과 상기 제1후방 몸체 및 상기 제3후방 몸체를 통해 기판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측 상부 결합단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rear body. A vertically bent and then horizontally bent to form a pair of lower coupling ends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body,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second rear body is bent vertically downward and the lower coupling end and the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rear upper coupling ends are further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rear body and the third rear bod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후방측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제1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제2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단들에는 상기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제3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rear body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rear upper coupling ends are coupled, and the upper coupling end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rear body.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 hole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the lower coupling end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so that the upper coupling end is coupled to the lower through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 through holes penetrate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전방측 상부 결합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은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하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upper coupling end is bent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front body, and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has a lower end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hird front body are wrap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coupled through.

또한,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지지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하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front body, the support ends are bent downwardly extended, and the support ends are spaced apart in front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and both ends of the third front body are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 lower end is prefer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state of wrapp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걸림단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은 후단이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의 전단과 전후 방향에서 걸림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third front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ocking end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ocking end is preferably the rear end is positio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또한, 상기 제3후방 몸체에는 상기 접속 단자들의 후단이 하부로 돌출 되도록 단자 통과홈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passage groove penetrates up and down in the third rear body such that rear end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protrude downward.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미들 플레이트가 수평하게 더 결합되며,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하면으로 노출되며,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하부 터미널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후단이 상기 상부 터미널의 후단보다 후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상부 터미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middle plate is further horizont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plate,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sphere,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 lower terminal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late, the front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terminal of the housing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han the rear end of the upper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terminal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간극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부 쉘의 분할 단부를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쉘이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셉터클 쉘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divided end of the lower shell divided on the basis of the gap spaced apar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the lower shell exerts a tightening force in the gap direction can maintain a firm coupling force, through which the receptacle shell It ha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flow by the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쉘과 일체화된 전방측 상부 결합단과 후방측 상부 결합단을 전후 방향에 2중 구조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수가 많지 않아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상부 쉘과 하부 쉘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and the rear upper coupling end integrated with the upper shell in a double structur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number of parts is not larg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 upper shell and the lower shell to the external forc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low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은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구성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substrate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substrate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substrate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substrate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related technologies and the lik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It is a front view for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은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for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eparated stat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구성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nfigura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1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하우징(100)과, 접속 단자(200)와, 리셉터클 쉘(300) 및, 고정 프레임(400)(500)을 포함한다.1 to 8,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connection terminal 200, a receptacle shell 300, and a fixed frame 400 and 500.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절연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00)의 전단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구(11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First, the housing 1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coupling hole 110 for coupling with a plug connector (not shown) is protruded forward in front of the housing 300.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전단에 결합구(11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전방 몸체(110) 및, 상기 제1전방 몸체(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후방 몸체(120)로 구분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first front body 110 in which a coupler 111 protrudes forward and a first rear body formed at a rear of the first front body 110. 120).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후술 될 접속 단자(200)들과 미들 플레이트(20)가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미들 플레이트(20)의 상방과 하방에 후술 될 접속 단자(200)가 배열된다.Here, the connection terminals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middle plate 20 are horizont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200 to be described below ar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middle plate 20. do.

그리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20)는 도전성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미들 플레이트(20)는 전방 영역측 좌우 방향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가 결합구(111)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middle plate 20 may be manufactured to a predetermined width us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middle plate 20 has a pair of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upler 1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ront region side. .

또한, 상기 미들 플레이트(20)의 후단은 하우징(100)의 후방측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기판(10)의 삽입홀(11)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middle plate 20 may protrude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0 to be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ubstrate 10.

이와 같은 하우징(100)은, 미들 플레이트(20)와 후술 될 접속 단자(200)들의 외부에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Such a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n insert molding method on the outside of the middle plate 20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전술한 결합구(111)는, 전자기기(미도시)와 연결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위로, 상기 결합구(111)의 좌우 방향으로 미들 플레이트(20)의 좌우측 양단이 노출될 수 있다.The coupler 111 described above is a portion for coupling to a plug connector (not shown) for connec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and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middle plate 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oupler 111. This can be exposed.

예를 들어, 결합구(110)를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미들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걸림 구조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upler 110 is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iddle plate 20 may be locked to the internal locking structure of the plug connector.

그리고, 결합구(110)의 하면을 통해 후술 될 하부 터미널(210)들의 전단이 하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결합구(110)의 상면을 통해 상부 터미널(220)들의 전단이 상방으로 노출된다.The front ends of the lower terminals 210 to be described later are exposed downwar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er 110, and the front ends of the upper terminals 220 are exposed upward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coupler 110.

또한, 제1후방 몸체(120)의 하부에는 후술 될 하부 터미널(210)들의 후단을 하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전방측 수직 관통홀(부호 미도시)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ody 120 may b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a front side vertical through hole (not shown) for protruding the rear ends of the lower terminals 210 to be described below.

아울러, 상기 전방측 수직 관통홀의 후방에는 후술 될 상부 터미널(220)들의 후단을 하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후방측 수직 관통홀(부호 미도시)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ar side vertical through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rear of the front vertical through hole to protrude downward of the rear ends of the upper terminals 220 to be described later.

즉, 상기 전방측 수직 관통홀과 후방측 수직 관통홀을 통해 돌출된 하부 터미널(210)들과 상부 터미널(220)들의 후단이 하우징(100)의 하방을 통해 기판(10)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That is, the rear terminals of the lower terminals 210 and the upper terminals 220 protruding through the front vertical through hole and the rear vertical through hole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00. Can be.

특히, 제1후방 몸체(1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도 8에서처럼 후술 될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들이 결합되도록 제1관통홀(1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through hole 121 penetrates up and down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rear body 120 so that the rear upper coupling ends 421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as shown in FIG. 8.

접속 단자(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접속 단자(200)의 전단이 결합구(111)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고, 접속 단자(200)의 후단이 하우징(100)의 하면을 통해 기판(10)에 실장된다.The connection terminal 20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200 is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port 111, respectively,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200 is the housing 100. It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0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속 단자(200)는 도전성 소재를 이용해 제작하며, 상기 접속 단자(200)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하부 터미널(210) 및, 다수의 상부 터미널(220)로 구분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nnection terminal 200 is manufactur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2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ower terminals 210 and a plurality of upper terminals 220 having a length before and after. have.

먼저, 상기 하부 터미널(210)은 미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터미널(210)은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12개 등)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First, the lower terminals 210 are disposed below the middle plate 20, and the lower terminals 210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12, etc.) are spaced apar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여기서, 상기 하부 터미널(210)의 전단이 결합구(111)의 하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하부 터미널(210)의 후단이 하우징(100)의 하면을 통해 기판(10)의 상면에 실장된다.Here, the front end of the lower terminal 210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er 111, the rear end of the lower terminal 21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상부 터미널(220)은, 미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터미널(220)은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12개 등)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The upper terminals 220 are disposed above the middle plate 20, and the upper terminals 220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12, etc.) are spaced apar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여기서, 상기 상부 터미널(220)의 전단이 결합구(111)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상부 터미널(220)의 후단이 하부 터미널(210)의 후단보다 후방측에서 하우징(100)의 하면을 통해 기판(10)의 상면에 실장된다.Here, the front end of the upper terminal 220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er 111, the rear end of the upper terminal 220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from the rear side than the rear end of the lower terminal 210.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s mounted.

리셉터클 쉘(300)은, 하우징(100)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전방으로 결합구(111)를 노출시키며, 상기 리셉터클 쉘(300)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공간(310)이 형성된다.The receptacle shell 300 surrounds a portion of the housing 100 from the outside, and the receptacle shell 300 exposes the coupler 111 to the front, and is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receptacle shell 300. The receiving space 310 is formed.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전도성 소재(금속 등)를 이용해 텅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수용공간(310)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111)의 외부에 일정 넓이의 삽입 간격을 형성한다.Here, the receptacle shell 3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tongue using a conductive material (metal, etc.),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10 so that a plug connector (not shown) may be inserted. The insertion gap of the width is formed.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하우징(100)의 전방에 형성된 제1전방 몸체(11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쉘(300)의 전방으로 결합구(111)의 전단이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ptacle shell 300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rst front body 110 formed at the front of the housing 100, and the front end of the coupler 111 toward the front of the receptacle shell 300. This may protrude.

한편,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통 형상의 일체형 구조로 도시 하였으나,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하나의 소재를 통 형상으로 벤딩 성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ptacle shell 300 is shown as a cylindrical integral structure, the receptacle shell 300 may be formed by bending a single material in a cylindrical shape.

예를 들어, 상기 리셉터클 쉘(300)을 하나의 소재로 벤딩 성형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쉘(300)의 일부분에 이음매(미도시)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음매 부분을 암수로 결합시켜 통 형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bending the receptacle shell 300 to a single material, a seam (not shown)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300, and the seam may be coupled by a male and female shape. It can also be prepared.

고정 프레임(400)(500)은, 리셉터클 쉘(300)과 하우징(100)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400)의 좌우측 양단이 기판(10)에 결합된다.The fixing frames 400 and 500 are respectively coupled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300 and the housing 100 is wrapped around the outside,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frame 400 are coupled to the substrate 10.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400)은 전도성 소재(금속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400)의 하부에는 도 2와 7에서처럼 간극(G)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511)가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Here, the fixed frame 4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metal, etc.), and the divided end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G therebetween as shown in FIGS. 2 and 7 at the bottom of the fixed frame 400. 511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300 spaced apart.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 프레임은 도 8에서처럼 상부 쉘(400) 및, 상기 상부 쉘(4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쉘(500)로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xing frame may include an upper shell 400 and a lower shell 50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hell 400 as shown in FIG. 8.

상기 상부 쉘(400)은, 리셉터클 쉘(300)의 상방과 제1후방 몸체(12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 쉘(400)은 좌우 방향측 양단이 기판(10)의 상면에 결합된다.The upper shell 400 is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3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ody 120, and the upper shell 400 has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s coupled to.

여기서, 상기 상부 쉘(400)은 리셉터클 쉘(30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전방 몸체(410) 및, 제1후방 몸체(12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후방 몸체(420)로 구분된다.Here, the upper shell 400 is the second front body 410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receptacle shell 300, and the second rear body coupled in a state surround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ar body 120. 420.

그리고, 상기 제2전방 몸체(4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기판(10)의 삽입홀(11)에 삽입되도록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이 하부로 절곡 연장된다.The front upper coupling end 411 is bent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ubstrate 10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cond front body 410.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의 하단은, 후술 될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기판(10)의 삽입홀(11)에 수직하게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411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ubstrate 10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510 to be described later are wrap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여기서,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의 하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411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lower side.

이와 같은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은, 기판(10)의 삽입홀(11)에 수직하게 결합되므로, 상부 쉘(400)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Since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411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ubstrate 10, the upper shell 400 prevents the upper shell 400 from being moved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by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은 후술 될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걸림 위치시키므로, 상부 쉘(400)과 하부 쉘(500)이 유동 없이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411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510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shell 400 and the lower shell 500 are align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without flow. Can be.

아울러, 제2전방 몸체(4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지지단(412)이 하부로 절곡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단(412)은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의 전방에 이격 위치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econd front body 4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extended to the support end 412, the support end 412 is spaced apart in front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411. .

여기서, 상기 지지단(412)의 하단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단(412)의 하단은 후술 될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기판(10)의 상면에 안착된다.Her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end 412 may be formed horizontally,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end 412 is a substrate (in a state that surrounds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third front body 51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It is seated on the top of 10).

이와 같은 지지단(412)은, 기판(10)의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되므로, 상기 지지단(412)의 지지력에 의해 제2전방 몸체(410)를 설정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Since the support end 412 is horizontal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e second front body 410 may be positioned at a set height by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end 412.

또한, 상기 지지단(412)은 후술 될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걸림 위치시키므로, 상부 쉘(400)과 하부 쉘(500)이 외력에 의해 유동 없이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end 412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de of the third front body 510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shell 400 and the lower shell 500 are align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ow without the external force Can be.

아울러, 제2후방 몸체(4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도 8에서처럼 한 쌍의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이 하부로 절곡 연장된다.In addition, a pair of rear side upper coupling ends 421 are bent and extended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second rear body 4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의 하단은, 후술 될 하부 결합단(521)과 제1후방 몸체(120) 및 제3후방 몸체(520)를 통해 기판(10)의 삽입홀(11)에 관통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rear upper coupling end 4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ubstrate 10 through the lower coupling end 521 and the first rear body 120 and the third rear body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mbined through.

여기서, 상기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의 하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rear upper coupling end 421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하부 쉘(500)은, 리셉터클 쉘(300)의 하방과 제1후방 몸체(120)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상부 쉘(400)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 2와 7에서처럼 간극(G)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511)가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The lower shell 500 is coupled to the upper shell 400 in a state of covering the lower side of the receptacle shell 300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ar body 120, and as shown in FIGS. 2 and 7, having a gap G therebetween. The divided end 511 di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300 in a spaced apart state.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 쉘(500)은 리셉터클 쉘(30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전방 몸체(510) 및, 제1후방 몸체(12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후방 몸체(520)로 구분된다.In more detail, the lower shell 500 is the third front body 510 is coupled to surround the top of the receptacle shell 300, and the first coupled to the state wrapped around the first rear body 120 The rear body 520 is divided into three.

상기 제3전방 몸체(510)는, 도 2와 7에서처럼 간극(G)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되는데, 상기 간극(G)을 기준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511)가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The third front body 5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G therebetween, as shown in FIGS. 2 and 7, and the divided end 511 divided based on the gap G has a receptacle shell 300. Is spaced apar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분할 단부(511)들은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해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할 단부(511)들이 간극(G)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Here, the split ends 511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300 by welding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split ends 511 exert a tightening force in the gap G direction, thereby maintaining a firm coupling force. You can.

즉, 제3전방 몸체(510)가 리셉터클 쉘(300)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리셉터클 쉘(300)이 제3전방 몸체(510)를 좌우 방향에서 가압하므로, 리셉터클 쉘(300)이 외력(플러그 커넥터 조립 등)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third front body 510 may position the receptacle shell 30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receptacle shell 300 presses the third front body 5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eceptacle shell 300 is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y an external force (plug connector assembly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3전방 몸체(510)는 기판(10)의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기판(10)의 전단에는 제3전방 몸체(510)의 하방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후방으로 오목한 절개부(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front body 510 may be coupled to protrude to the bottom of the substrate 10. For this purpose, the front of the substrate 10 may be rearward to protrude downward of the third front body 510. Concave incision 12 may be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절개부(12)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기판(10)의 상면에 걸림 위치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front body 510 are bent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utout 12 and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이때, 리셉터클 쉘(300)의 후단은 절개부(12)의 대응면에 걸림 위치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2전방 몸체(4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receptacle shell 300 is locat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cutout 12 is not moved to the rear,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front body 410 of the third front body 510 It may be coupled in a state seat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제3후방 몸체(5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한 쌍의 하부 결합단(521)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 결합단(521)들은 수직하게 1차 절곡된 후 수평하게 2차 절곡되어, 제1후방 몸체(120)의 상면을 감싼다.In addition, a pair of lower coupling ends 521 may b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rear body 5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lower coupling ends 521 may be bent vertically first and then horizontally secondary. It is bent and wraps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ar body 120.

상기 하부 결합단(521)들은, 수직하게 1차 절곡된 부위가 제1후방 몸체(120)의 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수평하게 2차 절곡된 부위가 제1후방 몸체(120)의 상면에 수평하게 밀착된다.The lower coupling end 521 has a vertically bent portion ver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rst rear body 120, and a horizontally bent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ar body 120. It adheres horizontally.

그리고, 제3후방 몸체(5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들이 결합되도록 전술한 제1관통홀(121)과 동일 선상에 제2관통홀(5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The second through hole 522 penetrates up and down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 hole 121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ear upper coupling end 421 is coupl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rear body 520. Is formed.

또한, 하부 결합단(521)들에는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들이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제1관통홀(121)과 제2관통홀(522)과 동일 선상에 제3관통홀(52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coupling end 521 has a third through hole 523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 hole 1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22 so that the rear upper coupling end 421 is vertically coupled. It penetrates up and down.

즉, 상부 쉘(400)의 후방에 형성된 제2후방 몸체(420)의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이 제3관통홀(523)과 제1관통홀(121) 및 제2관통홀(522)을 통해 기판(10)의 삽입홀(11)에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rear upper coupling end 421 of the second rear body 420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shell 400 has the third through hole 523, the first through hole 12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22. May be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ubstrate 10.

이와 같은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은 상부 쉘(400)의 제2후방 몸체(420)와 하우징(100)의 제1후방 몸체(120) 및 하부 쉘(500)의 제3후방 몸체(520)를 하나의 몸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This rear side upper coupling end 421 is the second rear body 420 of the upper shell 400 and the first rear body 120 of the housing 100 and the third rear body 520 of the lower shell 500. ) Can be combined into one body.

또한,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은 기판(10)의 삽입홀(11)에 수직하게 결합되므로, 상부 쉘(400)과 하우징(100) 및 하부 쉘(500)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rear upper coupling end 421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11 of the substrate 10, so that the upper shell 400, the housing 100 and the lower shell 500 are moved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by an external force. To prevent it from flowing in any direction.

아울러,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걸림단(512)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512)은 후단이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의 전단과 전후 방향에서 걸림 위치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end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510 is formed with a locking end 512 protru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ear end is the front end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411 In the jam position.

뿐만 아니라, 제3후방 몸체(510) 상에는 전술한 하부 터미널(210)과 상부 터미널(220)의 후단이 기판(10)의 접속 부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단자 통과홈(5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third rear body 510, the terminal passage groove 524 penetrates up and down so that the rear ends of the lower terminal 210 and the upper terminal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ubstrate 10. Can be.

상기 단자 통과홈(524)은, 하부 터미널(210)과 상부 터미널(220)의 후단이 하방으로 통과되도록 일정 넓이의 공간을 형성하므로, 하부 터미널(210)과 상부 터미널(220)을 기판(10)에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다.The terminal passage groove 524 forms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uch that the rear ends of the lower terminal 210 and the upper terminal 220 pass downward, so that the lower terminal 210 and the upper terminal 22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 ) Can be easily moun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간극(G)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부 쉘(500)의 분할 단부(511)를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쉘(500)이 간극(G)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셉터클 쉘(300)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ed end 511 of the lower shell 500 divided based on the gap G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300 so that the lower shell 500 is separated from the gap ( By acting the tightening force in the direction G)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 coupling force, through which the receptacle shell 30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y the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쉘(400)과 일체로 절곡된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과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을 전후 방향에 2중 구조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수가 많지 않아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상부 쉘(400)과 하부 쉘(500)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double structure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411 and the rear upper coupling end 421 integrally bent with the upper shell 4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number of parts is not large, the production cost It can be reduced, and the upper shell 400 and the lower shell 50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external forc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obvious that various embodiments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patent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by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s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기판 11: 삽입홀
12: 절개부 20: 미들 플레이트
100: 하우징 110: 제1전방 몸체
111: 결합구 120: 제1후방 몸체
121: 제1관통홀 200: 접속 단자
210: 하부 터미널 220: 상부 터미널
300: 리셉터클 쉘 310: 수용공간
400: 상부 쉘 410: 제2전방 몸체
411: 전방측 상부 결합단 412: 지지단
420: 제2후방 몸체 421: 후방측 상부 결합단
500: 하부 쉘 510: 제3전방 몸체
511: 분할 단부 512: 걸림단
520: 제3후방 몸체 521: 하부 결합단
522: 제2관통홀 523: 제3관통홀
524: 단자 통과홈 G: 간극
10: substrate 11: insertion hole
12: incision 20: middle plate
100: housing 110: first front body
111: Coupling Sphere 120: First Rear Body
121: first through hole 200: connection terminal
210: lower terminal 220: upper terminal
300: receptacle shell 310: receiving space
400: upper shell 410: second front body
411: front upper coupling end 412: support end
420: second rear body 421: rear upper coupling end
500: lower shell 510: third front body
511: split end 512: locking end
520: third rear body 521: lower coupling end
522: second through hole 523: third through hole
524: terminal passage groove G: gap

Claims (12)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며, 전방으로 상기 결합구를 노출시키는 리셉터클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좌우측 양단이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분할 단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A housing in which a coupl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a connection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he front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and a rear end of which is mounted on a substrate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receptacle shell wrapped in and coupled to the front to expose the coupler, and a fixing frame coupled to the receptacle shell and a portion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nd having left and right ends coupled to the substrate,
The lower end of the fixed frame, the divided end di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a gap therebetween, each of the divided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n the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ightening force (pressure) in the gap direction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o a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의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제1전방 몸체 및, 상기 접속 단자의 후단이 하면을 통해 노출되는 제1후방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리셉터클 쉘은,
상기 제1전방 몸체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A coupl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vided into a first front body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and a rea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vided into a first rear body expo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The receptacle shell,
Receptacle connector is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rst front body, the front end protrudes in front of the fixing fram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방과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좌우 방향측 양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방과 상기 제1후방 몸체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상부 쉘과 결합되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 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xed frame,
An upper shell coupled to cover an upper side of the receptacle shell and an upper side of the first rear body,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shell in a stat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ar body, and the divided end di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therebetween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ll is provid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후방 몸체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쉘들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방을 좌우 방향에서 각각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후방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기판의 전단에는,
상기 제3전방 몸체의 하방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후방으로 오목한 절개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upper shell,
It is divided into a second front body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a second rear body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ody,
The lower shells,
It is divided into a third front body coupled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she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 third rear body coupled to surround the bottom of the first rear body,
In front of the substrate,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ented portion recessed backward to penetrate up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third front body protrudes downwar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걸림 위치되며,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과 상하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Receptacle connector is bent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ut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front body in the later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후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후방 몸체의 상면을 감싸는 한 쌍의 하부 결합단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하부 결합단과 상기 제1후방 몸체 및 상기 제3후방 몸체를 통해 기판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측 상부 결합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rear body,
After being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ent to form a pair of lower coupling ends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body,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rear body,
And a pair of rear side upper coupling ends bent vertically downward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coupling end, the first rear body, and the third rear body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후방측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제1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제2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단들에는,
상기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제3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rear body,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so that the rear upper coupling ends are coupl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rear body,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es up and down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 hole so that the upper coupling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 coupling ends,
And a third through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so that the upper coupling ends are coupled to each oth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전방측 상부 결합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은,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하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front body,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is bent downward,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is,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are wrap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지지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하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front body,
The support end is bent downwardly,
The support end,
The receptacle connector is spaced apart in front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hird front body are wrap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걸림단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은,
후단이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의 전단과 전후 방향에서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front body,
The locking end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ocking end is,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is enga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후방 몸체에는,
상기 접속 단자들의 후단이 하부로 돌출 되도록 단자 통과홈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hird rear body,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passing groove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so that the rear end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protrude down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미들 플레이트가 수평하게 더 결합되며,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하면으로 노출되며,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하부 터미널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후단이 상기 상부 터미널의 후단보다 후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상부 터미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housing,
The middle plate is further joined horizontally,
The connection terminal,
A lower terminal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iddle plate, the front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of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upper terminal is disposed above the middle plate, and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is provided with an upper terminal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t the rear side than the rear end of the upper terminal.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80063754A 2018-06-01 2018-06-01 Receptacle connector KR102519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54A KR102519273B1 (en) 2018-06-01 2018-06-01 Receptacle connector
CN201821908525.5U CN209516073U (en) 2018-06-01 2018-11-20 Socket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54A KR102519273B1 (en) 2018-06-01 2018-06-01 Receptacl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503A true KR20190137503A (en) 2019-12-11
KR102519273B1 KR102519273B1 (en) 2023-04-12

Family

ID=6818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54A KR102519273B1 (en) 2018-06-01 2018-06-01 Receptacle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9273B1 (en)
CN (1) CN209516073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482A1 (en) * 2020-12-23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terface termina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3630A1 (en) * 2015-02-09 2016-08-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plate retained therein
CN205488767U (en) * 2016-02-04 2016-08-17 联想(北京)有限公司 Type -C type USB interfa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7135009A (en) * 2016-01-28 2017-08-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nector
KR101776642B1 (en) * 2016-06-24 2017-09-12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Socket connector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70123174A (en) * 2016-04-28 2017-11-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ceptacle Connector
KR20180013544A (en) * 2016-07-29 2018-02-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3630A1 (en) * 2015-02-09 2016-08-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plate retained therein
JP2017135009A (en) * 2016-01-28 2017-08-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nector
CN205488767U (en) * 2016-02-04 2016-08-17 联想(北京)有限公司 Type -C type USB interfa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70123174A (en) * 2016-04-28 2017-11-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ceptacle Connector
KR101776642B1 (en) * 2016-06-24 2017-09-12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Socket connector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80013544A (en) * 2016-07-29 2018-02-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482A1 (en) * 2020-12-23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terfac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516073U (en) 2019-10-18
KR102519273B1 (en)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210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hell
US984760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US974209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waterproof function
US1171590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ool-proof function
US958390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13519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ductive terminals
US7588443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89346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shielding shell
EP2600469B1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US1021157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orwardly extending stopper on metallic outer shell
TWI630761B (en) Connector assembly
KR10189102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holder
US20180151985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ielding plate retained tightly thereto
US999786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etallic bracket embedded within insulative mating shell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2017019475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vice securing shielding plate and insulator together before molding
WO2020017572A1 (en) Connector and outer conductor
TW201601388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2017220369A (en) connector
US10804640B2 (en)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dual shells
KR20190137503A (en) Receptacle connector
JP5473758B2 (en) connector
KR20080101759A (en) A set of circuit board connector and a method of mounting a connector to a circuit board
CN216624651U (en) Socket connector
KR102587660B1 (en) Receptacle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and receptacle connecto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