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355A - 제품 진열대 - Google Patents

제품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355A
KR20190137355A KR1020180063429A KR20180063429A KR20190137355A KR 20190137355 A KR20190137355 A KR 20190137355A KR 1020180063429 A KR1020180063429 A KR 1020180063429A KR 20180063429 A KR20180063429 A KR 20180063429A KR 20190137355 A KR20190137355 A KR 20190137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oduct
plate
spa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리
양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쁘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쁘아
Priority to KR102018006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7355A/ko
Publication of KR2019013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2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 A47F7/00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ong or non-stable articles, e.g. fishing rods, pencils, lipsticks or the like; Compartments or recesses as stabilising means with one compartment or recess for each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6Platform-type show stands with flat, inclined, or curved upper surf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을 진열하는 진열판에 진열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진열공간의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열공간에 형태 또는 폭이 다양한 제품을 손쉽고, 빠르게 교체 진열할 수 있으며, 진열 제품을 교체할 때마다 진열판에 새로 타공을 할 필요가 없어 제품 진열 비용을 최소화 한 제품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는, 제품을 진열하는 진열공간이 형성된 진열판을 포함하되, 상기 진열공간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진열대{display stand for goods}
본 발명은 제품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을 진열하는 진열판에 진열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진열공간의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열공간에 형태 또는 폭이 다양한 제품을 손쉽고, 빠르게 교체 진열할 수 있으며, 진열 제품을 교체할 때마다 진열판에 새로 타공을 할 필요가 없어 제품 진열 비용을 최소화 한 제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와 같이 그 형태가 다양하면서도 종류가 매우 많은 제품들의 전시는 제품의 판매 촉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대의 매장에서는 제품의 효율적인 전시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전문가를 채용할 정도로 제품의 전시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고, 제품의 진열대는 물품의 판매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진열대는 제품을 전시 또는 광고하기 위해 제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된 장치로, 특히 화장품과 같이 그 종류가 매우 많고, 용기의 형태도 다양한 제품들을 전시하는 경우에는 주로 진열대의 선반 위에 제품을 종류별로 올려놓고 단순하게 전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 중 무게 중심이 불안정한 제품들을 진열대에 전시하는 경우에는 제품을 세워놓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전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진열대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전시된 제품들이 굴러 떨어지거나 쓰러져 파손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이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열대에 진열하고자 하는 화장품 용기의 형태와 대응되는 홀 또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홀 또는 홈에 화장품 용기의 일부분을 삽입하여 전시하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진열대는 진열하고자 하는 화장품 용기의 교체 시, 교체되는 화장품 용기의 형태와 사이즈에 맞게 매번 타공을 해야 하므로, 지속적인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화장품 용기의 진열 위치를 변경하기 쉽지 않았고, 화장품 용기를 교체 진열하기 위한 준비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사이즈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쉽고 빠르게 교체하여 진열할 수 있는 진열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5580호(2004. 10. 22. 공고), "진열대가 내장된 포장용 상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품을 진열하는 진열판에 진열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진열공간의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열공간에 형태 또는 폭이 다양한 제품을 손쉽고, 빠르게 교체 진열할 수 있으며, 진열 제품을 교체할 때마다 진열판에 새로 타공을 할 필요가 없어 제품 진열 비용을 최소화 한 제품 진열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진열판 상에 정보제공바를 결합하고, 상기 정보제공바에 제품의 이름 또는 설명이 기재된 정보판을 자력을 통해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열 제품의 교체 시 정보판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제품 진열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진열판의 진열공간이 정보제공바를 통해 둘 이상으로 분할되어 각 공간에 제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열판의 제품 진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진열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제품 진열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진열되는 제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열판 상에서 정보제공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길이와 상관없이 제품을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도록 한 제품 진열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진열판을 진열프레임에 안착시키되, 상기 진열판이 일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로 진열프레임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진열판에 진열된 제품의 전시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 제품 진열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는, 제품을 진열하는 진열공간이 형성된 진열판을 포함하되, 상기 진열공간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는 진열판이 안착되는 진열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프레임에 의해 진열판이 일정 각도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는 진열판에 결합되는 정보제공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바는 자력에 의해 진열판 상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바는 진열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는 소비자에게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판은 자력에 의해 정보제공바에 탈,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판의 진열공간은 양측면이 평평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판의 진열공간은 양측면이 곡면을 이루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판의 진열공간은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판의 진열공간은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꺾임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품을 진열하는 진열판에 진열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진열공간의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열공간에 형태 또는 폭이 다양한 제품을 손쉽고, 빠르게 교체 진열할 수 있으며, 진열 제품을 교체할 때마다 진열판에 새로 타공을 할 필요가 없어 제품 진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진열판 상에 정보제공바를 결합하고, 상기 정보제공바에 제품의 이름 또는 설명이 기재된 정보판을 자력을 통해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열 제품의 교체 시 정보판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열판의 진열공간이 정보제공바를 통해 둘 이상으로 분할되어 각 공간에 제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열판의 제품 진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진열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열되는 제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열판 상에서 정보제공바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길이와 상관없이 제품을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다.
또한, 진열판을 진열프레임에 안착시키되, 상기 진열판이 일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로 진열프레임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진열판에 진열된 제품의 전시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열대가 내장된 포장용 상자.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B-B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진열공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 내지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진열공간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는 제품(P)을 진열하는 진열판(10)을 포함한다.
상기 진열판(10)에는 제품(P)이 삽입되는 진열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진열공간(12)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진열공간(12)은 상부의 폭이 넓고, 상대적으로 하부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진열하고자 하는 제품(P)의 사이즈 및 형태와 상관없이 상기 진열공간(12)에 제품(P)을 진열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진열판(10)에 진열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제품(P)의 형태에 맞추어 타공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품(P) 진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P)을 빠르고, 손쉽게 진열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열공간(12)은 진열판(10)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길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열공간(12)에는 제품(P)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진열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품(P)이 외부 충격에 의해 진열공간(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에서는 진열판(10)을 직사각형 판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는 진열판(10)이 안착되는 진열프레임(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열프레임(20)은 진열판(10)에 진열된 제품(P)의 전시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진열프레임(20)의 상부 일측에는 안착판(22)이 형성되어 진열판(10)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진열판(10)은 구매자의 눈에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진열프레임(20)에 의해 일정 각도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열프레임(20)의 안착판(22)과 인접하여 프레임벽(24)이 형성되는데, 상기 프레임벽(24)은 안착판(22)의 적어도 한 면 이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안착판(22)에 안착된 진열판(10)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벽(24)에는 프레임자석(M3)이 설치되는데, 상기 프레임자석(M3)의 자력을 통해 위치를 이동시킨 정보제공바(3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열프레임(20)의 안착판(22)과 인접하여 판넬고정부(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넬고정부(26)에는 제품(P)의 정보 또는 로고가 형성된 판넬(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판넬고정부(26)에는 판넬(미도시)이 부착될 수도 있고, 별도의 결합 구조가 구비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며, 또한 판넬(미도시)을 판넬고정부(26)에 기대어 세워 놓을 수도 있다. 물론, 이외에도 판넬(미도시)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는 진열판(10)에 결합되는 정보제공바(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바(30)는 진열공간(12)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진열판(10) 상에 배치되며, 진열판(10)의 진열공간(12)을 길이 방향으로 분할하게 된다. 즉, 진열판(10)의 진열공간(12)은 상기 정보제공바(30)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고, 이를 통해 각각의 분리된 공간에 다양한 제품을 진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진열판(10)의 제품(P) 진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진열 위치 또한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제공바(30)의 하부면은 진열판(10)의 진열공간(12)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진열공간(12)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바(30)는 자력에 의해 진열판(10) 상에서 고정될 수 있다. 부연설명하면, 도 5의 부분 확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제공바(30)의 하부와 상기 진열공간(12)의 측면에는 각각 자석(M1) 또는 자성체(magnetic substance)가 설치되고, 상기 자석(M1)의 자력에 의해 정보제공바(30)가 진열판(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에서는 진열판(10)과 정보제공바(30)에 모두 자석(M1)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진열판(10)과 정보제공바(30) 중 어느 한 곳에는 자성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석(M1) 또는 자성체는 진열판(10)의 상부면과 정보제공바(30)의 하부면이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진열판(10)과 정보제공바(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바(3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정보판(40)이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판(M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판(M2)은 정보제공바(30)의 무게와 설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고무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석판(M2)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자석판(M2)의 상부 표면에 두께가 얇은 투명판(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제공바(30)는 진열공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정보제공바(30)의 양측 단부는 진열프레임(20)의 프레임벽(24)에 밀착된 상태로 진열공간(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보제공바(30)의 양측 단부에 제공바자석(M4)이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벽(24)에도 프레임자석(M3)이 설치되어 있어 정보제공바(30)가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자석(M3)과 제공바자석(M4) 중 어느 하나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진열판(10) 상에서 정보제공바(3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P)의 길이와 상관없이 정보제공바(30)를 이동시키면서 제품(P)을 진열판(10)에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는 정보제공바(30)에 부착되는 정보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판(40)은 소비자에게 해당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정보판(40)에는 제품의 이름 또는 제품의 설명 등 다양항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판(40)은 자력에 의해 정보제공바(30)에 탈,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판(40)은 일부 또는 전체가 자석 또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정보제공바(30)의 자석판(M2)에 손쉽게 부착되며, 자석판(M2)에 투명판(미도시)이 더 형성된 경우 상기 투명판(미도시)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에서는 정보판(40)이 정보제공바(30) 보다 폭이 더 좁은 직사각형 판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정보판(40)은 해당 제품의 디자인,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진열공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b 내지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의 진열공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의 진열공간(12)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이 평평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P)의 크기와 상관없이 진열공간(12)에 용이하게 진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다른 형태로써, 진열판(10)의 진열공간(12)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이 곡면을 이루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12a)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꺾임부(12b)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진열공간(12)의 폭이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하는 특징을 전제로 하되, 화장품 용기와 같이 그 형태가 다양하면서도 종류가 매우 많은 제품(P)들에 맞추어 진열공간(12)의 양측면 형태를 상술한 바와 같이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품 진열대(1)의 조립 및 사용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 진열대(1)를 조립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프레임(20)의 안착부(22)에 진열판(1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진열판(10)은 진열프레임(20)의 프레임벽(24)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며, 일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진열판(10)에 정보제공바(30)를 결합하여 진열공간(12)을 분할하는데, 상기 정보제공바(30)의 하부가 진열판(10)의 진열공간(12)에 삽입되면서 서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진열판(10)과 정보제공바(30)에는 각각 자석(M1) 또는 자성체가 설치되어 있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정보제공바(30)가 고정되거나, 정보제공바(3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제공바자석(M4)과 프레임벽(24)에 설치된 프레임자석(M3)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정보제공바(30)가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열프레임(20)의 판넬고정부(26)에 판넬(미도시)를 부착 또는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진열판(10)의 진열공간(12)에 제품(P)을 진열하고, 상기 제품(P)과 인접한 정보제공바(30)의 표면에 정보판(4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정보제공바(30)의 표면에는 자석판(M2) 또는 자석판(M2)과 투명판(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정보판(40)은 일부 또는 전체가 자석 또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정보판(40)이 정보제공바(30)에 부착된다.
이후, 상기 진열판(10)의 진열공간(12)에 새로운 제품(P)을 교체, 진열하고자 할 경우 기존의 제품(P)을 진열공간(12)에서 빼내고, 새로운 제품(P)을 상기 진열공간(12)에 삽입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정보제공바(30)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기존 제품(P)의 정보판(40)을 새로운 제품(P)의 정보판(40)으로 교체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P)을 손쉽고, 빠르게 교체 진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진열대 10: 진열판
12: 진열공간 20: 진열프레임
22: 안착판 24: 프레임벽
30: 정보제공바 40: 정보판
M1: 자석 M2: 자석판
M3: 프레임자석 M4: 제공바자석
P: 제품

Claims (12)

  1. 제품을 진열하는 진열공간이 형성된 진열판을 포함하되,
    상기 진열공간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품 진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판이 안착되는 진열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제품 진열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프레임에 의해 진열판이 일정 각도로 세워져 배치되는 제품 진열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판에 결합되는 정보제공바를 더 포함하는 제품 진열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바는 자력에 의해 진열판 상에서 고정되는 제품 진열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바는 진열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위치가 조절되는 제품 진열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바에 부착되어 소비자에게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판을 더 포함하는 제품 진열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판은 자력에 의해 정보제공바에 탈, 부착되는 제품 진열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판의 진열공간은 양측면이 평평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품 진열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판의 진열공간은 양측면이 곡면을 이루는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품 진열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판의 진열공간은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품 진열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판의 진열공간은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꺾임부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품 진열대.
KR1020180063429A 2018-06-01 2018-06-01 제품 진열대 KR20190137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429A KR20190137355A (ko) 2018-06-01 2018-06-01 제품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429A KR20190137355A (ko) 2018-06-01 2018-06-01 제품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55A true KR20190137355A (ko) 2019-12-11

Family

ID=6900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429A KR20190137355A (ko) 2018-06-01 2018-06-01 제품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73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580Y1 (ko) 2004-07-21 2004-10-22 주식회사 태평양 진열대가 내장된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580Y1 (ko) 2004-07-21 2004-10-22 주식회사 태평양 진열대가 내장된 포장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5359B1 (en) Beverage display tray
US20060118502A1 (en) Merchandise display system
US10111539B2 (en) Shelf partition for displaying bagged food item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90107940A1 (en) Stock wing merchandise display
US2108349A (en) Advertising device and mailing tube
US7472792B2 (en)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US20100078401A1 (en) Retail store shelving structure
KR200405541Y1 (ko) 이동식 판매대
US20100148025A1 (en) Display mounting
US8308119B2 (en) Retail product assembly with hanger
KR20190137355A (ko) 제품 진열대
US20180237211A1 (en) Planogram display for vertically oriented product containing display cards
US20070144994A1 (en) Modular display apparatus
US6564953B2 (en) Convertible point of sale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consumer products
US10213031B2 (en) Pillow display stand and assembly
US20060108301A1 (en) Product display system
US20030159963A1 (en) Rocking package
JPH07163446A (ja) 商品陳列装置
JPH0538309A (ja) 商品陳列装置
KR102225209B1 (ko) 광고판이 구비된 테스터 화장품 진열대
JP3211785U (ja) 商品陳列スタンド
US766356A (en) Display-package.
JP4515997B2 (ja) 化粧品陳列用スタンドセット
JP3215052U (ja) 商品陳列用スタンド
US1089593A (en) Show-cas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