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048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048A
KR20190137048A KR1020190158182A KR20190158182A KR20190137048A KR 20190137048 A KR20190137048 A KR 20190137048A KR 1020190158182 A KR1020190158182 A KR 1020190158182A KR 20190158182 A KR20190158182 A KR 20190158182A KR 20190137048 A KR20190137048 A KR 20190137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dule
wireless charging
display
ai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906B1 (ko
Inventor
김석천
김태윤
구명진
이건영
백상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3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전면 패널과 상면 패널의 사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인입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되는 도어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상면 패널의 하측에 위치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최근, 공기 청정기를 가구의 일 종류로 인식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와 주변 가구와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디자인의 공기 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공기 청정기가 침실에 구비되는 경우, 장롱 또는 침대와의 조화를 중시하여, 외관 패널을 목재로 구성하는 공기 청정기가 소개되고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는 일반적인 가구와 유사하게 서랍식으로 구성되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공기 청정기의 내부 부품을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청정기의 상면을 편평하게 구성하여 수납장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의 상면에 책이나 개인 물품을 보관하거나 식탁과 같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이 공개된다.
1. 중국 공고번호 (공고일자) : CN203274184U (2013.11.06)
2. 발명의 명칭 : 실내 공기 청정기의 케이싱(Casing of indoor air purifier)
위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첫째, 공기 청정기를 가구와 같은 외관으로 구성하여, 공기 청정기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및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의 구성 및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
둘째, 공기 청정기를 수납장 또는 식탁의 용도로 사용할 때, 물 또는 음료수가 공기 청정기에 쏟아져서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된 유체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의 구동부 또는 전장장치가 고장날 수 있다.
셋째, 공기 청정기의 도어가 서랍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공기 청정기의 필터등을 교체한 후, 상기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련하여, 공기 청정기의 작동정보의 확인 및 입력부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의 도어와 상면 패널 사이에 디스플레이부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 전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장장치의 상측에 상면패널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장부가 상면 패널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 플레이트를 특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전장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써, 유체가 전장부의 내부로 투입되더라도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어가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의 전방부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의 손이 상기 도어와 상기 공기 청정기의 전방부 사이에 끼이더라도 상기 전방부가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손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 되도록 구성될 때, 상기 전방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를 마련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 청정기에 충전모듈을 구비하여 전자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기 청정기에 무선 충전모듈을 구비하여 공기 청정기에 전자기기를 거치함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유선 충전모듈을 구비하여 유에스비(USB) 포트에 전자기기를 유선 연결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는, 전면 패널과 상면 패널의 사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여 인입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되는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상면 패널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장 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필터와 팬이 배치되는 공기 조화실이 형성되며, 상기 전장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전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후방으로 후퇴하거나, 전방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가 포함된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 이동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댐퍼가 더 포함된다.
상기 댐퍼에는, 상기 전장 플레이트의 댐퍼 가이드에 연동하는 기어가 포함된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는, 배수구를 향하여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다.
상기 상면 패널에는 무선충전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는, 3개의 코일로 구성되는 코일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상기 3개의 코일에는, 2개의 바텀 코일 및 상기 2개의 바텀 코일의 상측에 중첩 배치되는 1개의 탑 코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련하여 공기 청정기의 작동정보의 확인 및 입력부의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와 상면 패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 전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장장치의 상측에 상면패널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장부가 상면 패널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 플레이트를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전장 플레이트의 후방부에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써, 유체가 전장부의 내부로 투입되더라도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장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PCB가 구비되고 상기 PCB는 지지리브에 의하여 상기 전장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유체가 PCB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의 손이 상기 도어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이에 끼이더라도 상기 전방부가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손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에 충전모듈을 구비하여 전자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공기 청정기에 무선 충전모듈을 구비하여 공기 청정기에 전자기기를 거치함으로써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청정기에 유선 충전모듈을 구비하여 유에스비(USB) 포트에 전자기기를 유선 연결하여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상면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상면 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장 플레이트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PCB와 전장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모듈이 전장 플레이트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모듈과 전장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 플레이트의 배수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텀 코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 코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패널의 상측에 모바일 기기가 거치되어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패널의 하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내부 배수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및 상기 캐비닛(100)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어셈블리(200)가 포함된다. 이하에서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도어"로 약칭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00)에는, 다수의 패널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패널에는, 하부의 베이스(101)와, 상기 하부의 베이스(10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패널(103)과, 상기 양측의 측면 패널(103)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면 패널(105) 및 상기 양측의 측면 패널(103)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면 패널(107)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01)와,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과, 상기 상면 패널(105) 및 후면 패널(107)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00)은 전방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은 목재 재질로 구성되어 외관상 가구의 심미감을 줄 수 있으므로, 외관이 수려해질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송풍팬(420, 도 5 참조)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및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를 합하여, "필터 어셈블리"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방되거나, 또는 후방으로 인입하여 닫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210)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패널(210)을 "전면 패널"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 패널(210)은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 패널(210)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면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패널(210)은 목재로 구성되어 가구와 같은 심미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210)의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101)의 사이에는, 후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30)의 상측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225)는 수용부(220)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0)의 상면 패널(105)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109)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109)는 상기 상면 패널(105)의 후방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패널(105)에는, 모바일 기기(M)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이 포함된다. 상기 영역은 모바일 기기의 무선 충전 위치를 가이드하므로 "안내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토출부(109)의 전방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면 패널(105)의 가로방향 중심부로부터 일 측면패널(103)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안내부는 하우징 커버(43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437, 도3 및 도19 참고)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에는 무선 충전위치임을 알리는 시트(S)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시트(S)에는, 스티커 또는 부드러운 천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S)는 상기 상면 패널(105)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부품이 설치되는 수용부(2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부품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가 전방으로 인출하여 개방될 때, 상기 수용부(220)에 배치되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물통(270)에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 가이드(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수용부(23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와,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필터 어셈블리(300) 및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20)이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420)에는 팬 모터(425)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0)에는, 공기 청정기의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부(112)를 형성하는 바디부(110)가 포함된다.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전방부는 도어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후방부는 팬 하우징(410) 및 하우징 커버(43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상부는 전장부(45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면 패널(103)은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에 결합된다.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부(45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 패널(107)은 상기 하우징 커버(43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111a,111b)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111a,111b)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보강리브(111a) 및 상기 제 1 보강리브(11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보강리브(111b)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보강리브(111b)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에는, 전장부(450)에서 배수되는 유체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배수유로(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111c)는 상기 제 1,2 보강리브(111a,111b)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210) 및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용부(220)가 포함된다. 상기 수용부(220)에는, 상기 도어 패널(2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도어 전면부(221)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패널(210)과 상기 도어 전면부(221)를 합하여 "도어 전면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220)에는, 상기 도어 전면부(22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측면부(222)와, 상기 도어 측면부(222)의 하측에 구비되는 도어 하면부(224) 및 상기 도어 하면부(224)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후면부(22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전면부(221)와, 도어 하면부(224)와, 도어 측면부(222) 및 상기 도어 후면부(223)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220)의 내부에는 수조(260), 물통(270), 에어필터 어셈블리(280) 및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0)의 전방부에는 에어필터 어셈블리(2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에는, 에어필터 케이스(281) 및 상기 필터케이스(281)에 결합되는 에어필터(28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220)의 대략 중앙부, 즉 상기 에어필터 어셈블리(280)의 후측에는 물통(2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은 수조(2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물통(270)을 분리하여 물을 보충하거나 상기 물통(270)을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270)의 상부에는 개방 가능한 물통 커버(2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통(270)의 저면부(275)에는 물을 배출하는 밸브공(275a)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공(275a)에는 상기 밸브공(275a)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장치(27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276)는 상기 수조(260)에 구비되는 밸브지지부(미도시)에 놓여지면 상기 밸브공(275a)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지지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밸브공(275a)을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0)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하부에는 상기 물통(270)을 지지하는 물통지지부(261)가 포함된다. 상기 물통지지부(261)는 편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수조(260)에는, 상기 물통지지부(26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플로트 장치(267)가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는 플로트 수용부(262)가 더 포함된다.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며, 일례로 상기 물통지지부(26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는 물이 저장되는 제 1 저수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로트 장치(267)는 상기 제 1 저수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수부의 물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플로트 장치(267)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통(270)의 밸브공(275a)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내부에는, 상기 플로트 수용부(26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물이 저장되는 제 2 저수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는 상기 제 1 저수부에 연통하며, 상기 제 1 저수부와 동일한 수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수부(229)에는,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의 하부는 상기 제 2 저수부(229)에 잠겨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330)는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습필터(330)는 "물레방아"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습필터(330)가 상방으로 회전할 때 제 2 저수부(229)로부터 수집된 물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습필터(330)가 하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수집된 물은 중력에 의하여 상기 가습필터(330)의 중앙부로 물을 흘려준다. 상기 가습필터(330)는 물의 흡습이 용이한 천, 펠트 또는 스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0)의 후측에는, 상기 수조(260)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상기 수조(260)의 내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살균장치(269)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살균장치(269)에는, 자외선 LE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0)의 후방부, 즉 상기 물통(270)의 후측에는 가습필터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300)에는, 가습필터 케이스(310) 및 상기 가습필터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수조(260)에 저장되는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33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어셈블리(4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20)과, 상기 송풍팬(420)의 전방에 배치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팬 흡입부를 가지는 팬 하우징(410) 및 상기 팬 하우징(410)의 후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43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420)은 상기 팬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 커버(430)에 의하여 정의되는 팬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2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원심팬에는 시로코 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420)의 축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부(4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장부(450)에는,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전장 플레이트(4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전장 부품(453)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필터(285) 및 송풍팬(420)이 설치되는 공기 조화실 및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이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실과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다. 즉,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의 상측에, 상기 공기 조화실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400)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장 부품(453)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 어셈블리(2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는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어셈블리(20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가이드(23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235)의 외측에는, 레일 커버(236)가 배치된다. 상기 레일 커버(236)에 의하여, 상기 레일 어셈블리(2235)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에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조명 브라켓(11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조명 브라켓(116)은 상기 캐비닛(100)의 베이스(101)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0)는 상기 베이스(101)와 상기 조명 브라켓(116)의 사이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에는, 조명원이 구비되는 조명 PCB(122) 및 상기 조명 PCB(122)에 결합되는 조명 케이스(124)가 포함된다. 상기 조명원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케이스(124)는 상기 조명 케이스(124)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가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공간에는 각각 조명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1)의 전방부 상면에는, 반사판(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조명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은은하게 반사 또는 확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원은 상기 반사판(1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사판(120)을 향하여 광을 하방으로 조사한다. 상기 조명원과 상기 반사판(120)의 사이에는, 상기 함몰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상면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상면 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장 플레이트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 청정기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510a)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10a)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후술할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전방부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10a)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51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10b)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 또는 운전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510b)에는, "전원 입력부", "청정세기", "쾌속청정", "가습청정", "취침모드", "공기제균", "무드조명", "잠금"과 같은 설정된 모드(또는 기능)를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 가능한 다수의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10a)는 상면 패널(105)과 도어(2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0)의 상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디스플레이 홈(108)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10a)는 상기 디스플레이 홈(108)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운전정보를 확인하거나 입력부(510b)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홈(108)은 상기 상면 패널(105)과 상기 도어(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패널(105)은 편평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납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에는 물건 또는 음식물등이 놓여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상면 패널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상면 패널의 중앙부에 배치한다면 상기 물건 또는 음식물드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510a)는 상면 패널(105)의 전방 모서리측, 즉 상면 패널(105)의 패널 전면부(105a)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10a)는 상기 도어(200)의 도어 후면부(200a)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10a)는 상기 패널 전면부(105a)와 상기 도어 후면부(200a)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510a)의 전면부는 개방될 수 있다 (도 2 참조).
상기 전장부(450)에는, 전장 플레이트(460) 및 전장 플레이트(46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포함된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는,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의 후단부는, 상기 팬 하우징(41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는 상기 팬 하우징(410)과 대략 "ㄱ"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의 안착면을 제공하는 전장 베이스(470) 및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연장부(480)가 포함된다.
다수의 전장부품에는, 디스플레이 모듈(510), 파워 PCB(520), 메인 PCB(530), 서브 PCB(540), 무선충전 모듈(600), 유선충전 모듈(560) 및 와이파이 PCB(570)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PCB(540)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PCB(530)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PCB(5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과 상기 서브 PCB(5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워 PCB(520)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좌측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 및 유선충전 모듈(560)은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우측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PCB(540)는 상기 파워 PCB(520)와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 및 유선충전 모듈(560)은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우측방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파이 PCB(570)는 상기 유선충전 모듈(560)의 전방에 위치되고, 후술될 디스플레이 커버(51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는 4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을 지지 또는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 및 보스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연장부(480)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 및 상기 베이스 연장부(480)에 의하여 설정된 크기의 전장실이 정의되고, 상기 전장실에 상기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연장부(480)에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전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481)와,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양측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483) 및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후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485)가 포함된다.
상기 전방 연장부(481)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전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소정높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연장부(481)의 상부, 즉 상기 전방 연장부(481)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놓여진다. 그리고, 상기 전방 연장부(481)의 상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일례로, 상기 전방 연장부(481)에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전단부를 따라 양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파트(481a) 및 상기 제 1 파트(481a)의 양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파트(481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481a) 및 제 2 파트(481b)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연장부(481)는 스크류(Sc)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481a) 및 상기 제 2 파트(481b)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연장부(48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는 상기 제 1 파트(481a)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는 다수 개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과 상기 스크류(Sc)에 의해서 체결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체결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크류(Sc)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체결할 것인지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전후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측방 연장부(483)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양측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방 연장부(483)에는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103)이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방 연장부(483)에는, 상기 다수의 전장부품 중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과부(483a)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 통과부(483a)는 상기 한 쌍의 측방 연장부(483)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선 통과부(483a)는 상기 측방 연장부(483)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방 연장부(483)에는 전선 리브(48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리브(483b)는, 상기 전선 통과부(483a)의 내측에 해당하는 측방 연장부(483)에 형성되어, 전선의 정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선 리브(483b)는 상기 전선 통과부(483a)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 통과부(483a)는 전선뿐만 아니라,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수구로써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연장부(485)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후단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후방 연장부(485)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 연장부(485)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후단부에서 바깥쪽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연장부(485)는 상기 하우징 커버(4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에서 양측 방향(도 1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상기 전방 연장부(481)에 안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는 상기 전방 연장부(48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에는, 상기 전방 연장부(481)와 마주보는 제 1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 및 제 1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의 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2)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17)가 1개일 경우에 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일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리브(473,474)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리브(473,474)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가이드 돌기(519h,518c)가 삽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돌기(519h,518c)는 상기 가이드 리브(473,474)에 접촉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473,474)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리브(473,474)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473,474)에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후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리브(47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리브(473)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519h)가 놓여지는 안착홈(473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73a)은 상기 제 1 가이드리브(473)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519h)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473,474)에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양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 2 가이드리브(47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리브(474)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474)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518c)가 놓여지는 안착홈(474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74a)은 상기 제 2 가이드리브(474)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519h)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가이드리브(474)는 상기 제 1 가이드리브(473)를 기준으로, 좌우대칭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 2 가이드리브(474)와 제 1 가이드리브(474) 사이의 거리(L1)는, 다른 하나의 제 2 가이드리브(474)와 제 1 가이드리브(474) 사이의 거리(L2)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474)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전방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가이드 리브(474)는 상기 측방 연장부(483)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474)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대한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전방부는 상기 전방 연장부(48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472)에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양측부는 상기 제 2 가이드리브(47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후방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리브(4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 좌우 방향으로 비틀리지 않고, 전후 방향 즉, 직선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탈 방지부(476,47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탈 방지부(476,477)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인입되거나, 전방으로 이동하여 복귀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상하방향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탈 방지부(476,477)에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보스(476)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보스(476)에 체결되는 체결부재(477)가 포함된다.
상기 체결보스(476)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477)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체결보스(476)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476)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리브(471,472)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체결보스(476)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를 좌우로 구획하는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체결보스(476)는 상기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77)에는, 스크류(477a) 및 와셔(477b)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크류(477a)에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머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와셔(477b)는 상기 머리부(477a)의 하측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와셔(477b)는 상기 머리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476)의 상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519f)이 배치되며, 상기 체결부재(477)는 상기 가이드 슬릿(519f)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체결보스(47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77)의 와셔(477b)의 직경(D1)은 상기 가이드 슬릿(519f)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상기 와셔(477b)에 간섭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즉, 상기 와셔(477b)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전방으로 이동시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댐퍼 어셈블리가 더 포함된다. 상기 댐퍼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후방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인출속도를 감속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방으로 인출될 때 일정한 속도로 감속시켜 인출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댐퍼 어셈블리는 댐핑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댐퍼 어셈블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결합되는 댐퍼(478) 및 상기 댐퍼(478)에 접촉되어 상기 댐퍼(478)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댐퍼 가이드(479)가 포함된다. 상기 댐퍼(478)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478)는, 내부에 충전된 오일 등의 점성 유체의 유동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댐퍼(478)에는, 회전식 오일 댐퍼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댐퍼(478)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커버(517, 도 12 참조)에 결합되는 플랜지부(478b)를 가지는 댐퍼 본체(478a) 및 상기 댐퍼 본체(478a)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댐퍼 가이드(479)에 기어 연동하는 댐퍼 기어(478c, 도 14 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플랜지부(478b)는 상기 댐퍼 본체(478a)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에는 상기 플랜지부(478b)에 결합되는 한 쌍의 댐퍼 결합부(519d, 도 14 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플랜지부(478b)는 상기 댐퍼 결합부(519d)의 상측에 지지되며 상기 댐퍼 기어(478c)는 상기 한 쌍의 댐퍼 결합부(519d)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댐퍼 본체(478a)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댐퍼 가이드(479)에는, 상기 댐퍼(478)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479a,479b)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479a,49b)에는 상기 댐퍼(478)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가이드부(479a)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가이드부(479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479a,479b)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479a)에는 상기 댐퍼 기어(478c)와 기어 연동할 수 있도록 랙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부(479b)는 가이드 바로 구성되며 상기 댐퍼 기어(478c)와 연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후방으로 이동한 후 전방으로 복귀할 때, 상기 댐퍼 기어(478c)에는 오일의 유동저항이 작용하여 상기 댐퍼 기어(478c)의 회전속도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이동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댐퍼 가이드(479)에는, 보강리브(479c)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강리브(479c)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2 가이드부(479a,479b)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리브(479c)는 상기 제 1,2 가이드부(479a,479b)의 전방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479c)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479c)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지지리브(471)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작동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510a) 및 작동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51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전방에서 외력에 가해지면 후방으로 이동하여 인입될 수 있고, 외력이 없어지면 전방으로 이동하여 복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에는, 디스플레이 장착부(511), 디스플레이 PCB(513), 리플렉터(515), 디스플레이 커버(517) 및 보호 필름(51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와, 디스플레이 PCB(513)와, 리플렉터(515) 및 디스플레이 커버(517)가 상방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조립되며,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 리플렉터(515) 및 디스플레이 커버(517)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는 상기 전방 연장부(481)의 상면에 놓여져서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착 베이스(511a) 및 상기 베이스(511a)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511b)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511a)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511b)는 소정의 높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 내에는 설치공간(511c)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의 하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511d)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511d)는, 상기 베이스(511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류(Sc)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부(481c)와 상기 체결부(511d)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에는 개구(511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구(511e)는 상기 테두리부(511b)의 일부분이 개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구(511e)는 상기 베이스(511a)의 후단부에 해당하는 테두리부(511b)의 일부가 개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간(511c)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의 상면에는, 다수의 LED 소자(513c)가 구비된다. 상기 LED 소자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의 일부는, 상기 설치공간(511c) 내부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개구(511e)를 통과하여 상기 설치공간(511c)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에는, 상기 설치공간(511c)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파트(513a) 및 상기 설치공간(511c) 외부에 배치되는 제 2 파트(513b)가 포함된다. 상기 LED 소자는 상기 제 1 파트(513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515)는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리플렉터(515)는 상기 제 1 파트(513a)의 상면에 배치되며,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의 상면에 양면테이프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515)는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에 구비된 LED 소자에서 조사되는 빛을 은은하게 반사 또는 확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 소자는 상기 리플렉터(515)를 향하여 광을 상방으로 조사할 수 있고, 상기 리플렉터(515)는 조사된 광을 상방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515)에는, 상기 다수의 LED 소자(513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리플렉터 홀(515a)이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는 상기 설치공간(511c)을 차폐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는 상기 설치공간(511c)뿐 아니라 상기 설치공간(511c)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 부분을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의 제 1,2 파트(513a,513b)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물이 상기 설치공간(511c) 측으로 흘러들어가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 측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515)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의 상면에는, 상기 보호 필름(516)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에는, 제 1 커버부(518)와, 제 1 커버부(51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커버부(519)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커버부(518)는 상기 설치공간(511c)을 차폐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커버부(518)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1 상면부(518a) 및 상기 제 1 상면부(518a)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면부(518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상면부(518a)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4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면부(518a)에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510a)에 표시되는 글자 또는 문양이 인쇄된 표시부(518h)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상면부(518a)의 상측에는 보호필름(516)이 적층되며, 상기 보호필름(516)이 적층된 제 1 상면부(518a)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10a)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후면부(518b)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의 개방된 후방부를 커버한다. 상기 제 2 커버부(519)는, 상기 제 1 커버부(51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를 커버한다. 즉, 상기 제 2 커버부(519)는 상기 디스플레이 PCB(513) 제 2 파트(513b)를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부(519)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는 투명 유리 재질로 성형되거나 또는 투명 재질로 사출되어 성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커버부(519)에는, 상기 제 1 커버부(518)의 제 1 후면부(518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상면부(519a) 및 상기 제 2 상면부(518a)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후면부(519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상면부(519a)는 상기 제 1 상면부(518a)보다 낮은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상면부(519a)의 최상단 높이는, 상기 제 1 상면부(518a)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에는, 상기 제 1 상면부(518a)와 상기 제 2 상면부(519a)의 사이에 단차지게 연장되는 단차부(518e,518f)가 포함된다. 상기 단차부(518e,518f)에는, 상기 제 1 상면부(518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단차부(518e) 및 상기 제 2 상면부(519a)로부터 상기 제 1 상면부(518a)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단차부(518f)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단차부(518e,518f)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유로(518g)가 형성된다.
즉, 제 1,2 단차부(518e,518f)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의 상면은 하방으로 단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면부(518a) 또는 상기 제 2 상면부(519a)로 낙하한 물은, 상기 제 1,2 단차부(518e,518f)에 의하여 상기 커버 유로(518g)로 유동하여 디스플레이 커버(517)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면부(519a)에는 제 1 함몰부(519c)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함몰부(519c)는 상기 제 2 상면부(519a)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함몰부(519c)는 상기 제 2 상면부(519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설정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함몰부(519c)는 상기 제 2 상면부(519a) 중, 상기 댐퍼(478)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519c)의 하측, 즉, 상기 제 1 함몰부(519c)의 바닥면에는 상기 댐퍼(478)가 결합되는 댐퍼 결합부(519d)가 형성된다.
상기 댐퍼 결합부(519d)는 한 쌍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함몰부(519c)의 바닥면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댐퍼 결합부(519d)는, 상기 댐퍼 기어(478c)가 상기 한 쌍의 댐퍼 결합부(519d)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설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댐퍼(478)가 상기 댐퍼 결합부(519d)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과 결합되면, 상기 댐퍼(478)는 상기 댐퍼 가이드(479)를 따라 전후방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면부(519a)에는 제 2 함몰부(519e)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함몰부(519e)는 상기 제 2 상면부(519a)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함몰부(519e)는 상기 제 2 상면부(519a)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476,477)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각각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부(519e)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크류(477a)가 통과되는 가이드 슬릿(519f)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릿(519f)은, 상기 제 2 함몰부(519e)의 바닥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477)는 상기 가이드 슬릿(519f)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한 후 상기 체결보스(478)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77)에 구비된 와셔(477b)의 직경(D1)은, 상기 가이드 슬릿(519f)의 폭(D2)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체결부재(477)가 상기 체결보스(478)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와셔(477b)의 하면부가 상기 제 2 함몰부(519e)의 바닥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후방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측 방향으로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에는 상기 와이파이 PCB(570)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PCB 안착부(519g)가 더 포함된다. 상기 PCB 안착부(519g)는, 상기 제 2 커버부(519)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CB 안착부(519g)는 상기 제 2 커버부(519)로부터 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PCB 안착부(519g)는 상기 와이파이 PCB(570)가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 케이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가 상기 전장 플레이트(460)에 설치되면, 상기 PCB 안착부(519g)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전후방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가이드 돌기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제 1 가이드 돌기(519h)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519h)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의 후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519h)는 상기 제 2 커버부(519)의 후면부(519b)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519h)는 상기 제 2 커버부(519)의 후면부(519b)의 좌우방향 기준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리브(473)의 안착홈(473a)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519h)는 상기 안착홈(473a)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에는, 제 2 가이드 돌기(518c)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518c)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518c)는 상기 제 1 커버부(518)의 후면부(518b)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518c)는 상기 제 1 커버부(518)의 후면부(518b) 양측 지점에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474)의 안착홈(474a)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518c)는 상기 안착홈(474a)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에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518c)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스프링(518d)이 더 포함된다. 상기 스프링(518d)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전방)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518d)은 "탄성 부재"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18d)은 상기 제 1 커버부(518)와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474)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518d)의 전단부는, 상기 제 1 커버부(518)의 후면부(518b)에 접촉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474)에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518d)에는 압축 코일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518c)는 상기 스프링(518d)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518d)은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518c)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518d)의 변형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518d)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방으로 이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한 후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도어(200)와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무거운 도어(200)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에 충격이 가해져 다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부드럽게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200)가 닫히고 사용자의 손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천천히 전방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도어(2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사용자의 손을 강하게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전후방향 이동시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가습 공기 청정기(10)의 도어 어셈블리(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상기 전방 연장부(481)의 상측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511)는 상기 전방 연장부(481)의 제 2 파트(481b)에 놓여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에 구비된 제 1,2 가이드 돌기(519h,518c)는 상기 제 1,2 가이드 리브(473,474)의 각 안착홈(473a,474a)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474)의 외주면에는 스프링(518d)이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518d)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와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474) 사이에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16 및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 어셈블리(200)를 개방한 후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부딪힐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부드럽게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518d)은 압축되며, 그에 따라 복원력이 축적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478)는 상기 댐퍼 가이드(479)를 따라 저항 없이 후방으로 부드럽게 이동된다.
반면에,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상기 스프링(518d)에 축적된 복원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518d)은 인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 기어(478c)는 댐퍼(478)의 내부에 충전된 점성 유체의 저항에 의하여 상기 댐퍼 가이드(479)를 따라 천천히 전방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속도는 감속된다.
따라서, 도어 어셈블리(200)를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디스플레이 모듈(510)과 도어 어셈블리(200)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방지되고,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복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을 강하게 타격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PCB와 전장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모듈이 전장 플레이트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모듈과 전장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 플레이트의 배수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품에는, 디스플레이 모듈(510), 파워 PCB(520), 메인 PCB(530), 서브 PCB(540), 무선충전 모듈(600), 유선충전 모듈(560) 및 와이파이 PCB(5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CB(510,520,530,540,570) 및 충전모듈(550,560)는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파워 PCB(520)에는 제 1 체결부(525)가 구비되며,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 1 체결부(525)에 결합되는 제 1 보스(475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체결부(525)는 상기 파워 PCB(520)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530)에는 제 2 체결부(535)가 구비되며,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 2 체결부(535)에 결합되는 제 2 보스(475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체결부(535)는 상기 메인 PCB(530)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PCB(540)에는 제 3 체결부(545)가 구비되며,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 3 체결부(545)에 결합되는 제 3 보스(475c)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체결부(545)는 상기 서브 PCB(540)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상기 PCB(510,520,530,540,570)를 둘러싸는 설치리브(475d)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설치리브(475d)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일부의 설치리브는 상기 파워 PCB(520)의 외측을 둘러싸며, 다른 설치리브는 상기 메인 PCB(530)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PCB(510,520,530,540,570)는 상기 설치리브(475d)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각 체결부와 보스간의 결합이 해제되더라도 공기 청정기(10)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설치위치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상기 PCB(510,520,530,540,57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리브(475e)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지지리브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일부의 지지리브는 상기 파워 PCB(520)의 하면을 지지하며, 다른 지지리브는 상기 서브 PCB(5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PCB(510,520,530,540,570)는 상기 지지리브(475e)에 의하여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을 수 있으므로, 전장 베이스(470)에 존재하는 유체가 PCB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450)에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 존재할 수 있는 유체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488a,488c)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구(488a,488c)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방 연장부(483)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 청정기(10)의 상면 패널(105)의 상측에 유체(물 또는 음료수)가 담긴 용기를 상면 패널(105)에 놓아둘 수 있다. 이 용기가 넘어지는 경우, 유체는 상면 패널(105)의 하측으로 흘러 전장 베이스(470)에 모여질 수 있다. 따라서, 모여진 유체는 전장부(450)의 원활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구(488a,488c)를 형성한다.
상세히, 상기 배수구(488a,488c)에는, 상기 측방 연장부(483) 중 일 측방연장부에 형성되는 제 1 배수구(488a) 및 타 측방연장부에 형성되는 제 2 배수구(488c)가 포함된다. 상기 일 측방연장부와 상기 타 연장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을 형성한다.
상기 측방 연장부(483)에는, 상기 제 1 배수구(488a)를 형성하는 제 1 배수구브라켓(488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배수구(488a)는 상기 제 1 배수구브라켓(488b)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파워 PCB(5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수구(488a)를 통하여 배출된 유체는 바디부(110)의 일 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측방 연장부(483)에는, 상기 제 2 배수구(488c)를 형성하는 제 2 배수구브라켓(488d)이 포함된다. 상기 상기 제 2 배수구(488c)는 상기 제 2 배수구브라켓(488d)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수구(488c)를 통하여 배출된 유체는 바디부(110)의 타 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은 전장 베이스(470)의 후방부 모서리측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부(109)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437)의 전방에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도3 및 도19 참고) 그리고, 유선충전 모듈(560)은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전방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선충전 모듈(560)의 하측에는 상기 유선충전 모듈(560)을 지지하는 유선모듈 브라켓(565)이 구비되며, 상기 유선충전 모듈(560)의 상측에는 상기 유선충전 모듈(560)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유선모듈 클립(566)이 구비된다. 상기 유선모듈 브라켓(565)은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선모듈 클립(566)의 양측부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유선모듈 브라켓(565)에 결합된다.
즉, 상기 유선충전 모듈(56)은 상기 유선모듈 브라켓(565)와 상기 유선모듈 클립(566)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후면부에는, 상기 유선충전 모듈(5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포트(5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USB 포트(580)에는 USB 커버(582)가 결합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상기 USB 포트(580)에 연결되어 유선충전 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은 낮은 높이의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일측에는 무선모듈 결합부(603a)가 구비되는 제 1 함몰부(60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함몰부(603)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우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모듈 결합부(603a)는 상기 제 1 함몰부(603)에 구비되므로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우측면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상기 무선모듈 결합부(603a)에 결합되는 무선모듈 보스(568)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모듈 보스(568)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스크류(Sc)에 의하여 상기 무선모듈 결합부(603a)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타측에는 끼움부(604a)가 구비되는 제 2 함몰부(604)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함몰부(604)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좌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604a)는 상기 제 2 함몰부(604)에 구비되므로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좌측면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는 상기 끼움부(604a)가 삽입되는 홈(567a)을 가지는 무선모듈 브라켓(567)이 구비된다. 상기 무선모듈 브라켓(567)은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홈(567a)은 상기 무선모듈 브라켓(567)의 상부 양측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은, 먼저 상기 끼움부(604a)가 상기 홈(567a)에 삽입되도록 배치된 후, 상기 무선모듈 결합부(603a)가 상기 무선모듈 보스(568)에 체결되는 방법으로, 상기 전장 베이스(47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모듈 보스(568)와 상기 무선모듈 브라켓(567)가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무선모듈 보스(568) 및 상기 무선모듈 브라켓(567)이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지지리브(475e)의 돌출된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설치높이는 다른 PCB(520,530,540)에 비하여 클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상면은 상기 상면 패널(105)의 저면에 접촉되는 반면, 상기 다른 PCB(520,530,540)의 상면은 상기 상면 패널(105)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이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상면 패널(105)에 거치되는 모바일 기기(M)과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간의 거리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충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패널(105)의 저면부(105a)에는, 패널 함몰부(105c)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 함몰부(105c)의 위치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패널 함몰부(105c)가 형성되는 상면 패널(105)의 일부분은 상대적으로 상하 두께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M)와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거리가 작게 형성되어, 무선충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패널 함몰부(105c)에는, 상기 패널 함몰부(105c)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리브(105b)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리브(105b)는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교차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리브(105b)는 상기 상면 패널(105)의 저면부(105a)보다 하방으로 설정거리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거리는 1~2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 함몰부(105c)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상면과 상기 패널 함몰부(105c)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발열공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600)의 작동간에, 과도하게 온도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 코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텀 코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패널의 상측에 모바일 기기가 거치되어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모듈(600)에는, 코일 어셈블리(650)가 구비되는 모듈 본체(620)와, 상기 모듈 본체(62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630) 및 상기 모듈 본체(6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61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하부 케이스(630)는 금속소재(예를 들어, 알루미늄 소재), 상기 상부 케이스(610)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본체(620)에는, 다수의 전력소자(621a)가 구비되는 모듈 PCB(621) 및 상기 모듈 PCB(621)의 상측에 설치되는 코일 어셈블리(6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모듈 PCB(621)의 상면에는 차폐부(640)가 구비되며, 상기 차폐부(640)의 상측에 상기 코일 어셈블리(650)가 설치된다. 상기 차폐부(640)는 하방으로 자기장이 전달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 어셈블리(650)에는, 전류를 자속으로 변환하는 3개의 코일이 포함된다. 상기 3개의 코일은 모바일 기기(M)에 구비되는 2차 코일과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M)의 2차 코일은 자속을 기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코일 어셈블리(650)에는, 상기 차폐부(640)의 상면에 배치되는 2개의 바텀 코일(653,655) 및 상기 2개의 바텀 코일(653,655)의 상측에 배치되는 1개의 탑 코일(651)이 포함된다.
상기 2개의 바텀 코일(653,655)에는, 전장 베이스(470)의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 1,2 바텀 코일(653,655)이 포함된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전후 방향은, 무선 충전되는 모바일 기기(M)의 세로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7 참조).
상기 제 1,2 바텀 코일(653,655)은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제 1 바텀 코일(653)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제 2 바텀 코일(65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 코일(653)은, 1개의 코일 와이어을 의미하는 바텀 코일턴(653a)이 다수 회 감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 코일(653)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형상, 링 형상 또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 코일(653)은 전장 베이스(470)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의 폭이 세로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 1 바텀 코일(653)의 중심은 CB1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텀 코일(655)의 중심은 CB2로 표시된다.
상기 바텀 코일턴(653a)의 직경은 약 0.07~0.09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바텀 코일(653)은 반경 방향으로 12개의 층으로 정렬된 바텀 코일턴(653a)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텀 코일턴(653a)은 12회 감겨져서 상기 바텀 코일(653)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어셈블리(650)에는, 상기 바텀 코일턴(653a)의 양측 단부를 구성하는 2개의 제 1 바텀코일 단부(653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바텀코일 단부(653b)는 상기 모듈 PCB(6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어셈블리(650)에는, 상기 제 2 바텀 코일(655)의 바텀 코일턴의 양측 단부를 구성하는 2개의 제 2 바텀코일 단부(655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바텀코일 단부(655b)는 상기 모듈 PCB(6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탑 코일(651)은, 1개의 코일 와이어을 의미하는 탑 코일턴(651a)이 다수 회 감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코일(651)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형상, 링 형상 또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탑 코일(651)은 전장 베이스(47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폭이 좌우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탑 코일(651)의 중심은 CT로 표시된다.
상기 탑 코일턴(651a)의 직경은 약 0.07~0.09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탑 코일(651)은 반경 방향으로 12개의 층으로 정렬된 탑 코일턴(651a)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탑 코일턴(651a)은 12회 감겨져서 상기 탑 코일(651)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어셈블리(650)에는, 상기 탑 코일턴(651a)의 양측 단부를 구성하는 2개의 탑코일 단부(651b)가 더 포함된다. 상기 탑코일 단부(651b)는 상기 모듈 PCB(6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바텀코일(653,655)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게 정렬되며,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코일(653)의 중심(CB1)과 상기 제 2 바텀코일(655)의 중심(CB2)의 거리(d2)는 약 42~50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코일(651)은 상기 제 1,2 바텀코일(653,655)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코일(651)은 상기 제 1,2 바텀코일(653,655)과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탑 코일(651)의 전후방향 폭은 좌우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2 바텀코일(653,655)의 좌우방향 폭은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코일(653)의 중심(CB1)과 상기 제 2 바텀코일(655)의 중심(CB2)을 연결하는 연장선(ℓo)를 정의할 때, 상기 탑 코일(651)의 중심(CT)은 상기 연장선(ℓo)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코일(653)의 중심(CB1)과 상기 탑 코일(651)의 중심(CT)간의 거리, 또는 상기 제 2 바텀코일(655)의 중심(CB2)과 상기 탑 코일(651)의 중심(CT)간의 거리(d1)은 약 21~25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바텀 코일(653)의 중심(CB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바텀 코일(653)의 내면의 좌우방향 폭(d5)은 19~21mm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전후방향 폭(d3)은 18~20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텀 코일(653)의 외면의 좌우방향 폭(d5)은 48~50mm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전후방향 폭(d4)은 47~49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탑 코일(651)의 중심(CT)을 기준으로, 상기 탑 코일(651)의 내면의 좌우방향 폭(d9)은 20~22mm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전후방향 폭(d7)은 24.5~26.5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코일(651)의 외면의 좌우방향 폭(d10)은 45~47mm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전후방향 폭(d8)은 48.5~50.5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탑 코일(651)의 크기와, 제 1,2 바텀 코일(653,655)의 크기 형성에 의하여, 상기 탑 코일(651)은 상기 제 1,2 바텀 코일(653,655)의 상측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각 코일(651,653,655)의 중심이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 폭(W2)이 가로방향 폭(W1)보다 크게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M)는 상면 패널(105)에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기기(M)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M)의 세로방향은 상기 상면 패널(105)의 전후방향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모바일 기기(M)의 거치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M)의 무선 충전이 시작되면, 상기 코일 어셈블리(650)에서 발생된 자속은 모바일 기기(M)의 2차 코일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2차 코일은 자속을 기전력으로 변환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패널의 하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내부 배수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은,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10)의 상면 패널(105)에 놓아둔 컵(C)이 넘어져서 유체가 상면 패널(105)의 하측으로 흘러들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유체는 디스플레이 홈(108)을 통하여 전장부(45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가 전장부(450)측으로 유입되어 전장부품에 작용하는 경우, 공기 청정기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배수구조가 요구된다.
도 29를 참조하면, 전장 베이스(470)는 설정각도(A°)만큼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전방 연장부(481)의 수직 높이(H1)는, 후방 연장부(485)의 수직높이(H2)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 연장부(483)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수직 방향의 길이가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전장 베이스(470)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전단부가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후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연장부(480)의 최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연장부(481), 상기 측방 연장부(483) 및 상기 후방 연장부(485)의 최상단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면 패널(105)은 상기 전장 플레이트(450)의 상측에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부(450)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517)의 제 1 상면부(518a) 또는 상기 제 2 상면부(519a)측으로 낙하하며, 상기 1,2 단차부(518e,518f)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고 커버 유로(518g)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유체는 제 2 함몰부(519e)의 함몰된 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하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에 존재하는 유체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전장 베이스(470)의 상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며, 제 1 배수구(488a) 또는 제 2 배수구(488c)를 통하여, 전장 베이스(47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유체는 상기 전선 통과부(483a)를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베이스(470)로부터 배출된 물은 바디부(110)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유동하며, 배수 유로(111c)를 따라 낙하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된 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가습 공기 청정기(10)의 베이스(101)에 집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습 공기 청정기(10)에 물을 쏟더라도, 가습 공기 청정기(10)의 내부로 흘러들어간 물이 전장부품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고, 유입된 물은 자연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전장부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수될 수 있다.
10 : 가습 공기 청정기 30 : 함몰부
100 : 캐비닛 110 바디부
112 : 공간부 200 : 도어 어셈블리
210 : 도어 패널 220 : 수용부
260 : 수조 270 : 물통
280 : 에어필터 어셈블리 300 : 가습필터 어셈블리
400 : 하우징 어셈블리 410 : 팬 하우징
420 : 송풍팬 450 : 전장부
460 : 전장 플레이트 470 : 전장 베이스
478 : 댐퍼 479 : 댐퍼 가이드
510 : 디스플레이 모듈 518c: 제 2 가이드 돌기
518d : 스프링 519h : 제 1 가이드 돌기

Claims (19)

  1. 상면 패널에 의해 평평한 상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상부의 전장실과 하부의 공기 조화실로 구획하는 전장 플레이트;
    상기 공기조화실에 설치되는 에어필터와 송풍팬; 및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는 무선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장 플레이트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이 안착되며, 상기 상면 패널에 의해 덮어지는 전장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 패널은,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의해 무선 충전이 가능한 영역을 표시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에어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는, 상기 전장 베이스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시트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조화실과 연통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면 패널에 접촉하는 베이스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 베이스, 상기 베이스 연장부 및 상기 상면 패널의 하면에 의해 규정되는 공기 청정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조;
    상기 전장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도록 상기 수조에 삽입되는 가습필터 어셈블리;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에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며, 상기 가습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토출부로 유동하도록 상기 송풍팬 수용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의 일부를 차폐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상면 패널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는 유선충전 모듈; 및
    상기 캐비닛의 일 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선충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포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패널에 놓이는 전자기기는, 상기 유선충전 모듈 또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에 설치되며,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PCB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2. 상면 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면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는 전장 플레이트;
    상기 전장 플레이트의 아래에 위치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전장 플레이트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송풍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필터; 및
    상기 전장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무선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 패널은 목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 패널의 저면은, 상기 무선충전 모듈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함몰되는 패널 함몰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함몰부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의 상면과 상기 패널 함몰부의 사이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되는 방열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패널의 저면은,
    상기 무선충전 모듈의 일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패널 함몰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압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리브는,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교차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열공간은 상기 교차하는 가압리브의 사이 마다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플레이트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전장 베이스; 및
    상기 무선충전 모듈을 상기 전장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및 고정시키도록, 상기 전장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무선모듈 보스와 무선모듈 브라켓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듈 브라켓은, 상기 무선충전 모듈이 끼워지는 홈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은, 코일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모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바텀 코일; 및
    상기 2개의 바텀 코일의 상측에 배치되는 1개의 탑 코일이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190158182A 2018-01-19 2019-12-02 공기 청정기 KR102232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7385 2018-01-19
KR1020180007385 2018-01-19
KR20180019440 2018-02-19
KR1020180019440 2018-02-19
KR1020180087983 2018-07-27
KR20180087983 2018-07-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62A Division KR102116570B1 (ko) 2018-01-19 2018-11-01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048A true KR20190137048A (ko) 2019-12-10
KR102232906B1 KR102232906B1 (ko) 2021-03-29

Family

ID=674807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62A KR102116570B1 (ko) 2018-01-19 2018-11-01 공기 청정기
KR1020190158169A KR102172479B1 (ko) 2018-01-19 2019-12-02 공기 청정기
KR1020190158182A KR102232906B1 (ko) 2018-01-19 2019-12-02 공기 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62A KR102116570B1 (ko) 2018-01-19 2018-11-01 공기 청정기
KR1020190158169A KR102172479B1 (ko) 2018-01-19 2019-12-02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116570B1 (ko)
CN (3) CN21104122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682B1 (ko) * 2021-04-28 2021-06-04 임원균 옥외용 친환경 에너지 공기여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2956B2 (en) 2020-06-02 2023-01-03 Lg Electronics Inc. Blo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6399A (ja) * 2012-09-25 2014-04-17 Panasonic Corp 加湿空気清浄機
KR20160063844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 모듈 및 차폐시트
JP2016114302A (ja) * 2014-12-16 2016-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20180003001A (ko) * 2016-06-30 2018-01-09 정현종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154B1 (ko) * 2006-12-14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026184B2 (ja) * 2007-07-31 2012-09-12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KR101213090B1 (ko) * 2011-07-14 2012-12-18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전력 전송장치용 코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JP6554661B2 (ja) * 2015-06-30 2019-08-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6399A (ja) * 2012-09-25 2014-04-17 Panasonic Corp 加湿空気清浄機
KR20160063844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 모듈 및 차폐시트
JP2016114302A (ja) * 2014-12-16 2016-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20180003001A (ko) * 2016-06-30 2018-01-09 정현종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682B1 (ko) * 2021-04-28 2021-06-04 임원균 옥외용 친환경 에너지 공기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570B1 (ko) 2020-05-28
KR20190137047A (ko) 2019-12-10
KR20190088871A (ko) 2019-07-29
KR102172479B1 (ko) 2020-11-02
CN211041230U (zh) 2020-07-17
KR102232906B1 (ko) 2021-03-29
CN209672502U (zh) 2019-11-22
CN211041229U (zh)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0698A1 (en) Air purifier
KR102232906B1 (ko) 공기 청정기
JP7453755B2 (ja) 空気清浄機
KR102172496B1 (ko) 가습 공기청정기
EP181640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1876216U (zh) 加湿空气净化器
CN111868444A (zh) 空调设备的室内机
US11898777B2 (en) Air cleaner
KR2008001339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1470A (ko) 공기조화기
US20070051244A1 (en) Door mount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5014418A (ja) 貯蔵庫の扉開閉構造
CN111033132B (zh) 加湿装置
CN111503726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KR102172487B1 (ko) 공기청정기
KR101482133B1 (ko) 공기조화기
CN205809675U (zh) 智能化背景墙
CN219480995U (zh) 一种多功能香薰机
CN220419896U (zh) 一种具有束线功能的自动除尘式机箱
CN113475867B (zh) 组合酒柜
CN216347013U (zh) 空调柜机的壳体组件和具有其的空调柜机
KR10227063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08375092U (zh) 一种散热性能好的抗磨损双面磨砂片开孔装置
KR20060024836A (ko) 자동판매기
CN114869079A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床头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