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031A -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031A
KR20190137031A KR1020190143804A KR20190143804A KR20190137031A KR 20190137031 A KR20190137031 A KR 20190137031A KR 1020190143804 A KR1020190143804 A KR 1020190143804A KR 20190143804 A KR20190143804 A KR 20190143804A KR 20190137031 A KR20190137031 A KR 20190137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lectronic device
contents
process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조학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라
Priority to KR102019014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7031A/ko
Publication of KR2019013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따르면, 타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저장 매체 및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통화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화 녹음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는 녹음 기능을 실행시키고,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녹음된 상기 통화의 내용에 대한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응답에 따라 녹음된 상기 통화의 내용을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OBILE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A RECORDED CALL BY INPUTTING USER INPUT AT THE END OF A CALL}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동 단말기 간 통화 중에 특정 시간 구간 동안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 됨에 따라, 멀티 캐스팅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간에 통화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더하여, 통화간에 통화가 중단될 수 있는 여러 상황에서 공백기간 동안의 통화내용을 상대방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타 이동 단말기와의 통화 내용 중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기억해야 하는 내용을 따로 저장하도록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통화 중 발생되는 통화 내용을 기초로 다양한 편의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저장 매체 및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통화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화 녹음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는 녹음 기능을 실행시키고,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녹음된 상기 통화의 내용에 대한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응답에 따라 녹음된 상기 통화의 내용을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면서, 상기 통화의 내용이 특정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화의 내용을 다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에 대한 컨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도록 제어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상대방의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상대방의 전자 장치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면서, 상기 통화의 내용이 특정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발생 시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하나 이상의 발생 시점을 별개의 데이터로 저장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통화의 내용을 저장한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통화의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의 내용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을 추출하고, 추출한 하나 이상의 문장을 다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해당 통화의 상대방 계정과 연결하여 저장하고, 상기 상대방 계정으로부터의 전화가 수신된 경우, 상대방 계정의 이름과 함께 통화의 내용 중에서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광고 정보를 통화 종료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광고 정보에 상기 통화의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변형한 광고 정보를 통화 종료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타 이동 단말기와의 통화 중에 발생된 중요 이벤트, 중요 정보 등이 통화 후에 간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타 이동 단말기와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다양한 편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S200의 단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통화의 내용으로부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가 통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통화 종료 시 광고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제1 전자 장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통화 APP 및 통화 녹음 APP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화 연결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한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시스템은 서버(200), 전자 장치(1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시스템은 단말기에 설치된 통화 상태를 제어하며, 통화 내용을 자동적으로 녹음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통화 녹음 시스템은, 전자 장치기들 사이의 통화 상태를 고려하여 통화 내용을 처리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선택된 방법으로 통화 내용을 처리할 수 있다. 통화 녹음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저장되지 않은 통화 내용이 메모리에 임시적으로 저장되거나 나중에 복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화 내용을 완전히 메모리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시스템은, 통화 내용을 녹음할 뿐 아니라 통화 내용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한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이를 서버(200)에 등록하며, 다른 사용자들이 서버(200)에 등록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녹음 시스템은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이루어진 통화 관련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1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1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혈흔 구별 방법이 프로그래밍된 애플리케이션의 탑재가 가능하며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단말은 제한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화면을 표시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구비한다. 입력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300)는 전자 장치(100)과 서버(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전자 장치(100)가 서버(2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저장매체,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통화 녹음 기능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을 전자 장치(100)로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서버(200)는 통화 녹음 기능을 가지는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은 기 출시된 통화 APP와의 신호 인터페이스 레이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신호 인터페이스 레이어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통화 관련 신호를 해독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통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해야 하는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저장매체(170), 프로세서(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100) 사이, 또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틱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저장매체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170)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매체(170)는 전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매체(170)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80)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매체(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저장매체(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프로세서(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저장매체(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100) 사이, 또는 전자 장치(100)와 다른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장치(100) 주변에, 상기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장치(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전자 장치(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저장매체(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전,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프로세서(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프로세서(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프로세서(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전자 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전자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전자 장치(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전자 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전자 장치(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매체(170)는 프로세서(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매체(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매체(170)는 플래시 저장매체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매체(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매체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매체,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매체(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프로세서(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서 통화 중에 대화 내용의 일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 혹은 Evolved Node B로 명칭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프로세서(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300)은,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도 1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1 전자 장치가 다른 제2 전자 장치와 통화를 위해 연결된다. 통화 연결이 되면, 통화 시작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S100).
S200에서, 제1 전자 장치가 통화 녹음 기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통화 내용을 녹음한다. 녹음된 통화 내용은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다.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녹음된 통화의 내용이 저장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S300에서, 제1 전자 장치가 통화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400에서, 제1 전자 장치가 통화의 내용에 대한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 통화의 내용을 처리한다. 여기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은 저장, 삭제, 또는 보류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는 삭제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 통화의 내용을 삭제하거나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사용자에 의해 통화 녹음의‘보류’가 선택된 경우, 통화의 내용을 메모리에서 완전히 삭제한다. 여기서, 통화의 내용이 영구적으로 복구할 수 없도록 삭제한다. 제1 전자 장치는 통화의 내용의 크기보다 큰 용량을 가지고 null로 채워진 파일을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통화의 내용의 크기의 용량을 가지는 파일을 null로 채워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통화의 내용에 대한 삭제 요청에 따라 대응되는 통화 파일을 삭제한다.
삭제 또는 무응답에 따라서, 통화 내용을 영구적으로 삭제하기 위해서, 제1 전자 장치는 삭제된 파일이 복구 불가하도록 파일이 저장되었던 물리적 저장 영역에서 파일을 삭제한다. 제1 전자 장치는 삭제된 파일이 저장되었던 물리적 저장 영역을 더미 값으로 덮어 씀으로써 파일을 복구 불가하도록 삭제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삭제된 파일의 크기를 기초로 산출된 크기를 가지는 제1 파일을 생성한 후, 생성한 제1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삭제된 파일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1 파일을 생성하게 되면, 운영 체제에 의해 제1 파일의 메타 데이터는 삭제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었던 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제1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의해서 삭제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었던 물리적 저장 영역은 제1 파일의 메타 데이터로 채워지게 된다. 이를 통해 통화 파일은 영구 삭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삭제된 통화 파일이 저장되었던 물리적 저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메타 데이터를 통해 복구되지 않도록 메타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삭제된 통화 파일을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통화 파일이 복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저장 공간의 여유 공간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여유 공간의 크기를 기초로 산출된 여유 공간의 크기를 가지는 제2 파일을 생성한 후, 생성한 제2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는 여유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대용량의 파일을 생성하고 삭제함으로써, 통화 파일이 존재 했던 영역을 제2 파일로 덮어쓸 수 있다. 즉, 제2 파일로 덮어씀에 따라 통화 파일의 복구는 불가능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S200의 단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는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면서, 통화의 내용의 일부를 다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통화 녹음 기능에 의해서 통화의 내용을 녹음한다(S210). S220에서 제1 전자 장치는 통화 중에 발생되는 음성, 소음, 환경 정보 등을 고려하여 특정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특정 상황이 발생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구간 동안의 통화의 내용을 다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형식의 데이터는 문자, 또는 시각적 형식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상황이란, 통화의 내용에 출현된 단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화의 내용 중에서, 통화 종료 이후에 기억해야 하는 내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계좌 번호, 시간, 일자 등의 정보를 가지는 숫자(digit)가 통화의 내용 중에 발생하게 되면, 이를 특정 상황으로 인지하고 통화의 내용을 자동적으로 텍스트 또는 다른 시각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장소, 위치 등의 정보를 가지는 지명, 지점, 위치, 건물명, 주소 등이 통화의 내용 중에 발생하게 되면, 이를 특정 상황으로 인지하고 통화의 내용을 자동적으로 텍스트 또는 다른 시각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장소는 대응되는 이미지로 변환될 수도 있다.
상품, 상표, 서비스표 등(예를 들어, 00 전자, 00세탁기, 00 카페 등)과 같이 출처 표시의 명칭이 통화의 내용 중에 발생하게 되면, 이를 특정 상황으로 인지하고, 통화의 내용을 자동적으로 텍스트 또는 시각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전자 장치는 통화의 내용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 및 변환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상세 정보를 검색한 검색 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여 변환한 데이터에 대한 상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데이터의 일부를 획득하고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특정 상황이란, 통화 중에 통신 감도가 떨어지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정상적인 통화 연결이 어려운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감도와 대응되는 통화 감도 레벨을 모니터링하여, 통화 감도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대화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렇게 변환한 데이터는 메시지 형태로 변환되어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달되게 된다.
S230에서 제1 전자 장치가 통화의 내용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S240에서 제1 전자 장치가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에 대한 컨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가 통화 내용과 일치하는 경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에 대한 컨폼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에 대한 컨폼이 입력되면, 제1 전자 장치는 변환한 상기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다시 제공하고, 변환한 데이터를 통화의 내용, 통화의 상대방 계정과 연계하여 관리한다. 이를 통해, 통화의 내용으로부터 다른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의 내용이 정확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이 제공한다. 이와 같이 통화의 내용의 진위를 사용자에 의해 확인함에 따라 통화의 내용으로부터 변환한 데이터가 오류 없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S250에서 제1 전자 장치가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통화의 상대방의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제1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다른 형식으로 변환된 통화의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통화의 상대방인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화 중에 이루어진 대화 내용을 통화의 당사자들 끼리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에 대한 검색 데이터는 통화의 내용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에 대한 검색 데이터는 상대방 계정와 연결하여 저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는 통화 녹음 기능에 의해서 통화의 내용을 녹음한다(S201). S202에서 제1 전자 장치는 통화 중에 발생되는 음성, 소음, 환경 정보 등을 고려하여 특정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발생 시점을 추출할 수 있다. 통화가 시작되어 종료될 때까지 제1 전자 장치는 특정 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발생 시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하나 이상의 발생 시점은 별개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S203).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는 통화 종료 후, 통화의 내용인 음성 데이터 상에서 특정 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발생 시점에 책갈피 기능을 하는 책갈피 데이터를 추가하여 편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책갈피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해당 시점의 통화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책갈피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제1 전자 장치는 제1 책갈피 데이터와 대응되는 시점의 통화의 내용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책갈피 데이터에서 제2 책갈피 데이터로 이동하는 입력에 따라 제1 전자 장치는 제1 책갈피 데이터와 대응되는 시점의 통화의 내용에서 제2 책갈피 데이터와 대응되는 시점의 통화의 내용으로 이동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통화의 내용으로부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가 통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전자 장치에 기 저장된 이전 통화 내용을 통해서, ‘토요일 1시’와 같은 데이터가 제2 사용자 계정과 연결되어 있고, ‘강남역’과 같은 데이터가 제3 사용자 계정과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전화 연결음이 수신된 경우, 제2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토요일 1시’가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제3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전화 연결음이 수신된 경우, 제3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강남역’이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통화의 내용을 통해 획득된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인 장소, 시간, 계좌 번호 등이 사용자 계정과 연결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통화 종료 시 광고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된 이후, 제1 전자 장치는 통화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하는 광고를 검색하고 검색한 광고를 통화 종료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1 전자 장치는 통화의 내용 뿐만 아니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 및 발생 시점을 고려하여 광고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광고 정보는 종료된 통화와 관련되어 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정보는 상대방 이름, 당사자 이름이 포함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정보는 통화의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약속 장소 또는 약속 시간 등을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가 통화 중에 특정 상황 발생 여부가 감지된 경우, 통화의 내용으로부터 변환된 ‘토요일 오후 2시에 만나자’를 화면(2)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는 화면 상에, 통화의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아이콘(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통화 중에서 추출된 ‘토요일 오후 2시에 만나자’를 통화의 상대방의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토요일 오후 2시에 만나자’는 상대방의 전자 장치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도록 한다.
도 8은 제1 전자 장치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통화 APP 및 통화 녹음 APP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은 통화 애플리케이션과 별도로 통화 녹음 기능을 제공하는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에 제1 통화 APP, 제2 통화 APP, …, 제n 통화 APP이 설치된 경우에, 통화 녹음 APP은 제1 통화 APP, 제2 통화 APP, …, 제n 통화 APP을 통해 이루어진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통화 녹음 APP은 시중에 개발되어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 제1 통화 APP, 제2 통화 APP, …, 제n 통화 APP에 의한 통화 시작 신호를 해독할 수 있다. 또는 통화 녹음 APP은 통화 시작 및 통화 종료 등의 통화 관련 신호를 운영 체제(Os)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화 녹음 APP은 통화 녹음 서버(미도시)를 통해 등록되지 않은 통화 APP으로부터의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지 않을 수 있다. 통화 녹음 APP은 통화 녹음 서버에 등록된 제휴된 통화 APP으로부터의 신호 만을 처리하며, 각 통화 APP과 미리 규약한 규약, 레이아웃, 규칙 등에 따라서 통화 녹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화 관련 신호(통화 시작, 통화 종료, 통화 중 등) 및 통화 중 음성 데이터는 운영 체제(OS)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통화 녹음 APP은 제1 전자 장치에 일반적인 통화 APP이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화 관련 신호를 통화 APP을 통해 획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며, 그에 따라 운영 체제(OS)를 통해 통화 관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통화 APP으로부터의 데이터 획득이 어려운 관계로, 전자 장치 상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서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통화의 내용 및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 검색 데이터 등은 통화의 상대방 계정과 연결되어 관리될 수 있다. 통화 내역을 보여주는 화면 또는 연락처를 보여주는 화면에서, 각 계정의 일 영역에는 이전 통화 내용, 이전 통화 내용으로부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 검색 데이터 등을 펼쳐 보여주는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에 대한 입력을 통해 이전 통화 내용, 이전 통화 내용으로부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 검색 데이터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화 연결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제1 전자 장치는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통화 연결 화면을 제공하면서, 제1 사용자의 이전 통화 내용의 일부(4)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토요일 1시 일요일 2시 예약, 수요일 점심 식사’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한 일 실시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는 거래처 4와의 이전 통화 내용 및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5)을 실행시키고, 통화 내용, 변환된 데이터와 대응되는 날짜를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받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통화 내용과 대응되는 일정(6)을 추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타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저장 매체 및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통화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화 녹음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는 녹음 기능을 실행시키고,
    통화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녹음된 상기 통화의 내용에 대한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응답에 따라 녹음된 상기 통화의 내용을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면서,
    상기 통화의 내용이 특정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화의 내용을 다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에 대한 컨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도록 제어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광고 정보를 통화 종료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광고 정보에 상기 통화의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변형한 광고 정보를 통화 종료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타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저장 매체 및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통화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시작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 녹음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화 녹음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는 녹음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통화 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녹음된 상기 통화의 내용에 대한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응답에 따라 녹음된 상기 통화의 내용을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통화의 내용이 특정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화의 내용을 다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는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다른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에 대한 컨폼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도록 제어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화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광고 정보를 통화 종료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화의 내용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하는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광고 정보에 상기 통화의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변형한 광고 정보를 통화 종료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1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43804A 2019-11-11 2019-11-11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137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04A KR20190137031A (ko) 2019-11-11 2019-11-11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04A KR20190137031A (ko) 2019-11-11 2019-11-11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674A Division KR102046610B1 (ko) 2018-05-28 2018-05-28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031A true KR20190137031A (ko) 2019-12-10

Family

ID=6900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04A KR20190137031A (ko) 2019-11-11 2019-11-11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70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070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1039523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5527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965176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80365477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19205065A1 (zh) 快速打开应用或应用功能的方法及终端
US975617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8035695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108341B2 (en) Mobile terminal and deleted information managing method thereof
KR1017142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6302982B (zh)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该移动终端的方法
US103728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environment
KR20150007723A (ko) 복수의 오브젝트들 사이에 공통된 오브젝트 속성에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20140256292A1 (en) Method of processing message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1049174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219084A1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KR20150007090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76880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US2019018025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046610B1 (ko)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523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402581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105365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137031A (ko) 전자 장치, 녹음된 통화 내용을 통화 종료 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454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