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796A - 패들보드 - Google Patents

패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796A
KR20190136796A KR1020180062953A KR20180062953A KR20190136796A KR 20190136796 A KR20190136796 A KR 20190136796A KR 1020180062953 A KR1020180062953 A KR 1020180062953A KR 20180062953 A KR20180062953 A KR 20180062953A KR 20190136796 A KR20190136796 A KR 20190136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dle board
curvature
fitting
pad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884B1 (ko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김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주 filed Critical 김병주
Priority to KR102018006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8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35/79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패들보드의 상부면에 곡률성형부를 구비하여 패들보드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목적 또는 선호도에 따라 패들보드의 단부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들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패들보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곡률성형부가 구비되어 몸체의 곡률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들보드 { A paddle board }
본 발명은 패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패들보드의 상부면에 곡률성형부를 구비하여 패들보드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목적 또는 선호도에 따라 패들보드의 단부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탠드 업 패들 보드(이하, "패들보드"라고 칭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를 이용해 강이나 바다에서 보드위에 서서 노를 저어 속도를 즐기는 해양 스포츠 활동에 이용된다.
종래의 패들 보드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 위에 떠있는 보드(1) 위에 사용자가 올라 탄 상태에서 사용자가 패들(3)을 잡고 양쪽 팔을 이용해 좌우로 번갈아 물을 저으면서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패들보드는 전단부로 갈수록 하부면이 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측으로 만곡 형성되게 되며, 만곡된 정도에 따라 사용 시 속도, 회전성, 안정성 등이 달라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패들보드는 형태가 정해져 있어 목적이나 수상 상황에 맞는 곡률을 가지는 패들보드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유지 및 구입 등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409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03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패들보드의 상부면에 곡률성형부를 구비하여 패들보드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패들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들보드의 몸체 상부면에 곡률성형부를 구비하여 목적 또는 선호도에 따라 패들보드의 단부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들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를 이중공간지로 형성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패들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패들보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곡률성형부가 구비되어 몸체의 곡률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곡률성형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률성형부는 상기 몸체에 부착 설치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부재와, 양 단부에 상기 삽입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몸체에 부착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삽입부재는 끼움구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는 양단부에 상기 삽입부재의 끼움구가 끼워지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삽입부재 사이의 간격은 끼움부재의 끼움홈부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곡률성형부는 다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곡률성형부는 간격이 서로 다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패들보드의 상부면에 곡률성형부를 구비하여 패들보드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들보드의 몸체 상부면에 곡률성형부를 구비하여 목적 또는 선호도에 따라 패들보드의 단부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중공간지로 형성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패들보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패들보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들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패들보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들보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패들보드의 상부면에 곡률성형부를 구비하여 패들보드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목적 또는 선호도에 따라 패들보드의 단부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들보드(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곡률성형부(12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주입구(112)가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여 평면이 형성되게 구성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면 부피가 감소하여 패들보드(100)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 일측에는 곡률성형부(120)가 구비되어 몸체(110)에 곡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곡률성형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 상부면에 몸체(110)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몸체(110)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가 길이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단 또는 후단이 상측으로 들리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곡률성형부(120)는 상기 몸체(110)에 부착 설치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부재(122)와 양 단부에 상기 삽입부재(122)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재(1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122)는 일측에 상기 몸체(110)에 부착되는 설치부(122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몸체(110)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부(122a)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는 끼움구(122b)가 형성되며, 한 쌍의 삽입부재(122)는 서로 끼움구(122b)가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몸체(110)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124)는 양단부에 상기 삽입부재(122)의 끼움구(122b)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부(124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122) 간의 설치간격(D)이 끼움부재(124)의 끼움홈부(124a)간의 간격(d)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끼움부재(124)의 끼움홈부(124a)에 삽입부재(122)의 끼움구(122b)가 끼워졌을 때 삽입부재(122)간의 간격이 좁아져 몸체(110)가 당겨지도록 한다.
즉, 상기 삽입부재(122)의 사이에 끼움부재(124)를 끼운 상태에서 몸체(110)에 공기를 주입하면 삽입부재(122)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몸체(110)의 상부면 시트가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몸체(110)의 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몸체(110)에 길이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된 패들보드(100)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곡률성형부(120)에 의해 몸체(110)에 사용자가 원하는 곡률을 형성할 수 있어 하나의 패들보드(100)로 사용자의 선호도나 파도 등의 수면 상태에 적합한 곡률을 가지는 패들보드(100)로 변환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곡률성형부(120)는 패들보드(100)의 몸체(110)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패들보드(100)의 곡률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삽입부재(122)가 다수열 구비되고, 끼움부재(124)가 각 한 쌍의 삽입부재(122)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곡률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곡률성형부(120)를 선택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곡률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곡률을 가지는 패들보드(100)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122)간의 설치간격(D)과 끼움부재(124)의 끼움홈부(124a)간의 간격(d)의 차이가 클수록 곡률성형부(120)의 구성 시 삽입부재(122)의 간격이 줄어드는 정도가 커지므로 보다 큰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구비되는 쌍을 이루는 삽입부재(122)간의 간격을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패들보드(10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패들보드(100)의 상부면에 곡률성형부(120)를 구비하여 패들보드(100)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목적 또는 선호도에 따라 패들보드(100)의 단부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110)를 이중공간지로 형성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패들보드의 상부면에 곡률성형부를 구비하여 패들보드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여 만곡된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목적 또는 선호도에 따라 패들보드의 단부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들보드에 관한 것이다.
100: 패들보드 110: 몸체
112: 공기주입구 120: 곡률성형부
122: 삽입부재 122a: 설치부
122b: 끼움구 124: 끼움부재
124a: 끼움홈부

Claims (8)

  1.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패들보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곡률성형부가 구비되어 몸체의 곡률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성형부는 상기 몸체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성형부는 상기 몸체에 부착 설치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부재와,
    양 단부에 상기 삽입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몸체에 부착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삽입부재는 끼움구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보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양단부에 상기 삽입부재의 끼움구가 끼워지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삽입부재 사이의 간격은 끼움부재의 끼움홈부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보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성형부는 다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성형부는 간격이 서로 다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들보드.
KR1020180062953A 2018-05-31 2018-05-31 패들보드 KR102085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53A KR102085884B1 (ko) 2018-05-31 2018-05-31 패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53A KR102085884B1 (ko) 2018-05-31 2018-05-31 패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796A true KR20190136796A (ko) 2019-12-10
KR102085884B1 KR102085884B1 (ko) 2020-04-23

Family

ID=6900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953A KR102085884B1 (ko) 2018-05-31 2018-05-31 패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8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570B1 (ko) * 2014-09-04 2015-06-10 (주)에어박스 패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4354A (ko) * 2014-04-25 2015-11-05 주순석 스탠드 업 패들 보드용 구동 장치
KR20160111252A (ko) * 2015-03-16 2016-09-26 (주)에어박스 패들보드
KR20170031003A (ko) * 2015-09-10 2017-03-20 정창희 입좌식 패들링 보트
KR200484098Y1 (ko) 2017-03-08 2017-07-31 주식회사 원풍 독립된 보조챔버가 구비된 공기주입식 패들보드
KR101800303B1 (ko) 2016-10-20 2017-11-22 (주)제트웨이크 패들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354A (ko) * 2014-04-25 2015-11-05 주순석 스탠드 업 패들 보드용 구동 장치
KR101527570B1 (ko) * 2014-09-04 2015-06-10 (주)에어박스 패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1252A (ko) * 2015-03-16 2016-09-26 (주)에어박스 패들보드
KR20170031003A (ko) * 2015-09-10 2017-03-20 정창희 입좌식 패들링 보트
KR101800303B1 (ko) 2016-10-20 2017-11-22 (주)제트웨이크 패들보드
KR200484098Y1 (ko) 2017-03-08 2017-07-31 주식회사 원풍 독립된 보조챔버가 구비된 공기주입식 패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884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10757S1 (en) Recreational tossing game set
USD895068S1 (en) Faucet
USD900825S1 (en) Keyboard dock
USD949423S1 (en) Adult novelty
USD879626S1 (en) Scoreboard for a tossing game
USD979691S1 (en) Water sports board
USD871514S1 (en) Water toy
USD934371S1 (en) Water slide
USD953496S1 (en) Urinal
USD891554S1 (en) Inflatable watersports floatation
USD940346S1 (en) Adult novelty
USD877840S1 (en) Aquatic towable flamingo float
USD867479S1 (en) Mermaid jet duck with trident
USD1013084S1 (en) Water ride
USD913459S1 (en) Toilet
USD1001916S1 (en) Water toy
USD904535S1 (en) Push up training equipment
USD954851S1 (en) Toy keyboard
USD913843S1 (en) Strap anchor
USD890022S1 (en) Belt buckle
USD941447S1 (en) Toilet tank
USD911501S1 (en) Toilet tank
US10906617B2 (en) Flotation aid
USD930089S1 (en) Treadmill
KR20190136796A (ko) 패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