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610A -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610A
KR20190136610A KR1020180062552A KR20180062552A KR20190136610A KR 20190136610 A KR20190136610 A KR 20190136610A KR 1020180062552 A KR1020180062552 A KR 1020180062552A KR 20180062552 A KR20180062552 A KR 20180062552A KR 20190136610 A KR20190136610 A KR 20190136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seller
buyer
coupon
con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용
전형순
Original Assignee
박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용 filed Critical 박덕용
Priority to KR102018006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610A/ko
Publication of KR2019013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대금정산을 거래 당사자가 직접 하도록 하여 대금 입금이 즉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구매자가 보유한 제휴회사의 재화를 거래용 토큰으로 전환하여 해당 구매자에게 충전해 주는 충전부,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계약 블록을 생성하고 구매자와 판매자의 승인을 받아 계약 블록을 인증하는 계약부,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라 판매자가 보유한 거래용 토큰을 원화로 교환해 주는 환전부, 및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을 발급하고 쿠폰 사용 조건의 등록 및 쿠폰 블록을 거래용 토큰에 결합시키는 쿠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smart contract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래 당사자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대금 입금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면 그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의 전문은 "결제(이체) 정보 + 거래 정보"와 같이 움직인다. 즉,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상품 거래가 이루어지면 일반적인 결제 프로세스는 거래인증 프로세스와 대금정산 프로세스가 함께 움직이게 된다.
그에 따라, 카드사와 같은 제 3자는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거래인증 프로세스와 대금정산 프로세스를 모두 확인받은 후에 판매자에게 대금을 입금해주게 된다. 이때, 제 3자가 거래인증 프로세스와 대금정산 프로세스를 모두 확인받은 후에 판매자에게 대금을 입금해주기까지에는 대략 2 ~ 3일 이상이 소요된다.
그로 인해, 중소영세 가맹점과 같은 판매자는 물건을 판매하고서도 대금을 늦게 받아서 자금유동성에 차질이 발생하게 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2335호(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3073호(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7166호(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발란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화를 발행 및 지급 결제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2935호(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대금정산을 거래 당사자가 직접 하도록 하여 대금 입금이 즉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는, 구매자가 보유한 제휴회사의 재화를 거래용 토큰으로 전환하여 해당 구매자에게 충전해 주는 충전부;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계약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의 승인을 받아 상기 계약 블록을 인증하는 계약부;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라 상기 판매자가 보유한 거래용 토큰을 원화로 교환해 주는 환전부; 및 상기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을 발급하고, 쿠폰 사용 조건의 등록 및 상기 쿠폰 블록을 상기 거래용 토큰에 결합시키는 쿠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계약부는, 상기 구매자와 상기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로 상기 계약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구매자 및 상기 판매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쿠폰부는, 상기 판매자의 구매자에 대한 쿠폰 마케팅으로 상기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마케팅 수단을 상기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방법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거래 내역을 근거로 계약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약 블록의 주소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거래 내역의 거래를 인식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판매자 단말로의 상기 거래의 대금에 상당하는 거래용 토큰의 이체가 완료됨에 따른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거래용 토큰 전송 사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 및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상기 거래 내역을 질의하고 승인받는 단계; 상기 승인을 받음에 따라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거래를 인증하고, 거래용 토큰과 계약 블록을 결합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거래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와 상기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로 상기 계약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구매자 및 상기 판매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저장된 발급기준을 조회하여 거래시점에서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한 쿠폰 블록을 상기 구매자 단말에게로 이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쿠폰 블록을 상기 거래용 토큰에 결합시켜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로 이체시킴에 따른 이체 사실을 기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의 구매자에 대한 쿠폰 마케팅으로 상기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마케팅 수단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거래정보와 대금정산 정보를 분리함으로써, 대금정산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에 P2P로 즉시 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판매자(가맹점)는 계약(거래) 즉시 대금을 수취할 수 있어서 중소영세 판매자(가맹점)의 자금유동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거래 흐름에서 주소로 구매자(회원) 및 판매자(가맹점)을 인식할 뿐 개인 정보가 전혀 사용되지 않으므로,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구매자(회원) 및 판매자(가맹점)가 모두 거래를 승인해야 계약이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에스크로 기능을 상시 적용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로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구매자(회원), 판매자(가맹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보유한 암호화폐 등의 재화를 선충전의 불편함없이 자동으로 거래용 토큰으로 교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판매자(가맹점)는 암호화폐의 시세 변동과 무관하게 판매대금을 수취할 수 있다.
현금과 동일한 가치를 가지는 거래용 토큰으로 대금결제를 행하므로 판매자(가맹점)는 환전부를 통해 즉시 현금화가 가능하다.
한편, 판매자(가맹점)는 발급조건을 정하여 구매자(회원; 손님)에게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쿠폰을 제시하는 별도의 절차가 없어도 쿠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조건에 부합하는 구매자(회원)가 쿠폰을 제시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을 판매자(가맹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부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약부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환전부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쿠폰부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에 의한 거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의 거래 처리 방법에서 대금지급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에서의 쿠폰 마케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도 11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의 시스템은, 구매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제휴회사 단말(30), 은행 단말(40), 및 서버(600)를 포함한다.
구매자 단말(10)은 서버(600)내의 충전부(100), 계약부(200), 및 쿠폰부(400)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판매자(가맹점) 단말(20)에게 거래용 토큰을 지급(이체)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 단말(10)은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결제 인증을 서비스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과 거래용 토큰을 활용하여 즉시 충전 및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받기 위한 프로그램 및 블록체인을 통한 쿠폰 마케팅을 서비스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서버(600)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구매자 단말(10)은 스탠드 얼론(stand alone)형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은 서버(600)내의 환전부(300), 계약부(200), 및 쿠폰부(400)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구매자(회원) 단말(10)로부터의 거래용 토큰을 수취할 수 있다.
한편, 판매자 단말(20)은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결제 인증을 서비스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과 거래용 토큰을 수취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블록체인을 통한 쿠폰 마케팅을 서비스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서버(600)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2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판매자 단말(20)은 스탠드 얼론(stand alone)형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휴회사 단말(30)은 서버(600)의 운영자와 시스템 이용 계약을 체결한 회사의 단말로서,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통해 서버(600)와 연결된다.
제휴회사 단말(30)은 예를 들어 스탠드 얼론(stand alone)형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휴회사 단말(30)로 표시하였으나, 단말 대신에 제휴회사 서버라고 하여도 된다.
제휴회사는 예를 들어 암호화폐 발행사, 포인트 카드사, 리워드사 등이 될 수 있다.
은행 단말(40)은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통해 서버(600)와 연결된다.
은행 단말(40)은 예를 들어 스탠드 얼론(stand alone)형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은행 단말(40)로 표시하였으나, 단말 대신에 은행 서버라고 하여도 된다.
서버(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가 될 수 있다.
서버(600)는 충전부(100), 계약부(200), 환전부(300), 쿠폰부(400), 및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00)는 구매자(회원)가 보유한 제휴회사의 재화를 거래용 토큰으로 전환(생성)하여 해당 구매자(회원)에게 부여(충전)해 줄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가 보유한 제휴회사의 재화를 거래용 토큰으로 전환하여 해당 구매자에게 부여해 주는 것을 거래용 토큰을 충전해 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거래용 토큰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암호화된 토큰일 수 있다.
계약부(200)는 구매자(회원)와 판매자(가맹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계약 블록을 생성하고, 구매자와 판매자의 승인을 받아 계약 블록을 인증한다. 여기서, 계약 블록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라 생성되는 것으로서, 판매자 정보 및 거래 내역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저장한 블록이라고 할 수 있다.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는 수시로 행해지므로, 그에 따라 생성되는 계약 블록은 블록체인을 갖출 수 있다.
한편, 계약부(200)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로 계약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구매자, 판매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환전부(300)는 구매자(회원)와 판매자(가맹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라 판매자(가맹점)가 보유한 거래용 토큰을 원화로 교환해 준다.
쿠폰부(400)는 거래시점에서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을 발급하고, 쿠폰 사용 조건의 등록 및 자동 적용을 수행한다. 여기서, 자동 적용이라 함은 쿠폰 사용 조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쿠폰 블록을 거래용 토큰에 자동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구매자가 상품을 구입하고자 할 때 간편하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므로, 발급된 쿠폰 블록은 블록체인을 갖출 수 있다.
한편, 쿠폰부(400)는 판매자의 구매자에 대한 쿠폰 마케팅으로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을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는 회원으로 등록된 구매자의 정보, 등록된 판매자(가맹점)의 정보, 및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거래 정보 및 대금 정산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500)는 서버(6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서버(600) 이외의 별도의 위치에 구비된 기록 매체이거나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의 시스템 자원에 의해 형성된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베이스(500)는 거래 내역에 대응하는 거래 블록을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거래 계약, 대금 정산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포함하는 계약 블록을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500)는 거래 프로세스, 대금 정산에 대응한 프로세스 또는 쿠폰 발행 프로세스를 스마트 컨트랙트의 형태로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단말 노드간 블록체인 공유에 의한 데이터 위변조가 사전에 방지되고, 별도의 중앙 서버 없이도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상술한 블록체인은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로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묶은 형태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라 한다. 블록체인에서 "블록"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가 된다. 이런 블록들은 형성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체인(사슬)"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블록체인은 P2P 네트워크의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장부를 공유하도록 블록 생성시 신규 거래기록이 모든 노드에 분산저장된다. 이에 의해, 참여자간 신규 블록의 정보와 블록 해시값이 공유되어 위변조 불가 및 진위여부 확인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부(1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충전부(100)는 시세 관리부(110), 토큰 관리부(120), 암호화폐 지갑(130), 계좌 관리부(140), 및 거래보증금 계좌(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세 관리부(110)는 제휴회사별 재화의 가치(또는 교환비율) 변동을 관리할 수 있고, 재화의 가치와 구매대금(원화)을 상호 비교하여 거래용 토큰 충전을 위하여 사용(소진)할 제휴회사의 재화를 계산할 수 있다.
토큰 관리부(120)는 구매자에게 거래용 토큰을 발행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거래용 토큰이라 함은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지불수단으로 사용되는 블록으로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후에 계약 블록과 결합되어 현금으로 환전될 수 있다.
암호화폐 지갑(130)은 구매자 단말(10)에서 암호화폐를 지급받아 제휴회사 단말(30)에게로 전달하여 줄 수 있다.
계좌 관리부(140)는 거래보증금 계좌(150)의 이체를 관리하고, 거래보증금의 소진 현황을 제휴회사 단말(30)에게로 전달하여 줄 수 있다.
거래보증금 계좌(150)는 판매자(가맹점) 단말(20)에게 지급할 원화를 제휴회사 단말(30)이 예치한 계좌를 의미한다. 즉, 제휴회사 단말(30)이 예치한 거래보증금 한도내에서 회원에게 거래용 토큰을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거래보증금 계좌(150)는 계약에 의해 제휴회사 단말(30)이 예치하며, 거래용 토큰 발행시 발행량만큼 환전부(300)의 지급준비금 계좌(340)로 이체되어 판매자(가맹점)의 환전의 재원이 되는 것으로서, 예치금 한도내에서만 거래용 토큰이 발행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계약부(2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계약부(200)는 계약 인증부(210) 및 계약 DB(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인증부(210)는 구매자 단말(10)과 판매자 단말(20)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계약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계약 블록을 생성하여 발급하고, 구매자 단말(10) 및 판매자 단말(20)의 승인을 받아 계약 인증을 행한다.
계약 DB(220)는 계약 인증부(210)에서 생성된 계약 블록을 저장하고, 계약 블록의 발급 내역 및 인증 내역 등을 저장한다.
한편, 계약 인증부(210)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로 계약 DB(220)의 계약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구매자, 판매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환전부(3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환전부(300)는 환전 DB(310), 토큰 지갑(320), 계좌 관리부(330), 및 지급준비금 계좌(34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전 DB(310)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가 이루어짐에 따른 판매자가 보유한 거래 토큰 내역 및 거래용 토큰을 현금으로 환전한 내역을 저장한다.
토큰 지갑(320)은 판매자 단말(20)의 환전을 위하여 판매자 단말(20)에게서 환전하고자 하는 거래용 토큰을 회수한다.
계좌 관리부(330)는 지급준비금 계좌(340)의 이체를 관리한다.
지급준비금 계좌(340)는 환전하고자 하는 거래용 토큰을 현금으로 환전하기 위한 재원으로서, 거래용 토큰 발행시 충전부(100)의 거래보증금 계좌(150)에서 이체할 수 있다.
즉, 지급준비금 계좌(340)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결과 판매자(가맹점) 단말(20)이 보유한 거래용 토큰을 현금으로 교환하기 위한 재원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쿠폰부(40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쿠폰부(400)는 쿠폰 관리부(410), 마케팅 DB(420), 및 쿠폰 거래 DB(430)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 관리부(410)는 마케팅 DB(420)를 조회하여 거래시점에서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을 발행하여 구매자 단말(10)의 쿠폰 모듈부(15)에게로 이체하고, 쿠폰 적용 후에 그에 상응하는 쿠폰 블록을 인증한다.
한편, 쿠폰 관리부(410)는 판매자의 구매자에 대한 쿠폰 마케팅으로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을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케팅 DB(420)는 판매자 단말(20)이 등록한 쿠폰 사용 조건을 저장한다.
쿠폰 거래 DB(430)는 쿠폰 관리부(410)에서 발행된 쿠폰 블록의 발급 내역 및 쿠폰 블록의 사용(인증) 내역을 저장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구매자 단말(10) 및 판매자 단말(20)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매자 단말(10)은 운영부(11), 충전 모듈부(12), 토큰 지갑(13), 암호화폐 지갑(14), 및 쿠폰 모듈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부(11)는 해당 구매자 단말(10)의 외부 시스템 또는 기기와의 통신, 해당 구매자 단말(10)의 내부 기능 운용, 및 보안 등을 담당한다.
충전 모듈부(12)는 거래용 토큰을 충전하기 위해 서버(600)의 충전부(100)와 연동한다.
토큰 지갑(13)은 서버(600)의 충전부(100)가 부여해 준(즉, 충전시켜 준) 거래용 토큰을 저장한다. 즉, 토큰 지갑(13)은 충전 모듈부(12)에서 충전된 거래용 토큰을 저장한다.
암호화폐 지갑(14)은 구매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를 저장한다. 즉, 암호화폐 지갑(14)은 거래 토큰을 충전하는 대가로 해당 구매자(회원)의 암호화폐를 충전부(100)의 암호화폐 지갑(130)으로 이체한다.
쿠폰 모듈부(15)는 판매자와의 거래시점에 쿠폰부(400)와 연동하여 회원의 사용 가능 쿠폰을 조회하고, 조회된 사용 가능 쿠폰을 자동으로 적용시킨다. 여기서, 자동 적용이라 함은 사용가능한 쿠폰(예컨대, 할인 정보를 포함)을 토큰에 자동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매자는 상품을 구입할 때 별도의 쿠폰을 제시하지 않고서도 거래용 토큰을 판매자에게 이체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편, 판매자 단말(20)은 운영부(21), 환전 모듈부(22), 토큰 지갑(23), 및 쿠폰 모듈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부(21)는 해당 판매자 단말(20)의 외부 시스템 또는 기기와의 통신, 해당 판매자 단말(20)의 내부 기능 운용, 및 보안 등을 담당한다.
환전 모듈부(22)는 거래용 토큰을 현금으로 환전하기 위해 서버(600)의 환전부(300)와 연동한다.
토큰 지갑(23)은 구매자 단말(10)으로부터 입금받은 거래용 토큰을 저장한다.
쿠폰 모듈부(24)는 서버(600)의 쿠폰부(400)와 연동하여 쿠폰 사용 조건을 등록할 수 있고, 쿠폰 사용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쿠폰 모듈부(24)는 쿠폰의 발급대상, 수량, 혜택(예컨대, 할인 금액, 할인율 등), 기간 등의 발급기준(예컨대, 처음 방문 손님, 10회 방문 손님, 생일인 손님 등)을 서버(600)의 쿠폰부(400)에 사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발급기준은 쿠폰사용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예시한 처음 방문 손님과 10회 방문 손님 및 생일인 손님에 대한 발급기준의 내용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에 의한 거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8은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먼저,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상품 거래가 행해짐에 따라 판매자는 자신의 단말(20)을 통해 거래 금액 및 거래 품목 등을 입력하고 결제버튼을 클릭한다. 그에 따라, 판매자 단말(20)의 운영부(21)는 그에 상응하는 거래 내역을 서버(600)의 계약부(200)의 계약 인증부(210)에게로 전송한다(S10).
계약부(200)의 계약 인증부(210)는 판매자 정보 및 거래 내역을 참조하여 계약 블록을 생성한다(S12). 여기서, 계약 블록은 판매자 정보 및 거래 내역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저장한 블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계약 인증부(210)는 생성한 계약 블록의 주소를 판매자 단말(20)의 운영부(21)에게로 전송하고 진행을 지시한다(S14).
그에 따라, 판매자 단말(20)은 해당 판매자의 토큰 지갑의 주소, 거래 내역(예컨대, 금액, 품목), 계약 블록의 주소 등 거래관련 정보를 QR코드(50)로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S16).
구매자 단말(10)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QR코드(50)를 스캔한다(S18).
QR코드(50)가 스캔됨에 따라 구매자 단말(10)은 서버(600)(특히, 계약부(200))에 접속하게 된다. 계약부(200)는 구매자 단말(10)이 전송한 계약 블록의 주소로 해당 거래를 인식한다(S20).
계약부(200)의 계약 인증부(210)는 구매자 단말(10)의 운영부(11)에게 상품을 인도받았는지를 질의한다(S22).
그에 따라, 구매자 단말(10)에서는 상품을 인도받았음을 승인(Confirm)한다(S24).
그리고, 구매자 단말(10)의 운영부(11)는 토큰 지갑(13)에게 QR 정보상의 거래 금액, 판매자(가맹점)의 토큰 지갑의 주소를 참조하여 거래용 토큰을 판매자 단말(20)에게로 이체하도록 지시한다(S26).
그에 따라, 구매자 단말(10)의 토큰 지갑(13)은 판매자 단말(20)의 토큰 지갑(23)에게로 거래대금에 상당하는 거래용 토큰을 이체한다(S28). 이로써 대금지급이 완료될 수 있다.
이어, 구매자 단말(10)의 운영부(11)는 계약부(200)의 계약 인증부(210)에게로 거래용 토큰 전송 사실을 통보한다(S30).
계약부(200)의 계약 인증부(210)는 판매자 단말(20)의 운영부(21)에게 거래용 토큰을 이체받았는지를 질의한다(S32).
그에 따라, 판매자 단말(20)에서는 거래용 토큰을 이체받았음을 승인(Confirm)한다(S34).
이에 의해, 계약부(200)의 계약 인증부(210)에서는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계약(거래)을 인증하고, 거래용 토큰과 계약 블록을 결합시킨다(S36).
그리고 나서, 계약부(200)의 계약 인증부(210)는 계약 DB(220)에 해당 계약(거래)을 저장시킨다(S38).
그리고, 계약부(200)는 구매자 단말(10)과 판매자 단말(20)에게 계약(거래)완료를 통보한다(S39).
상술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은 결제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거래인증 정보와 대금정산 정보를 분리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거래시스템은 거래인증 정보와 대금정산 정보가 동시에 움직이는 구조이므로 대금정산에 대략 2 ~ 3일 이상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제 방법에 따르면 거래인증 정보와 대금정산 정보를 분리함으로써, 대금정산은 구매자와 판매자 간에 P2P로 즉시 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판매자는 계약(거래) 즉시 대금을 수취할 수 있어서 중소영세 판매자(가맹점)의 자금유동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거래 흐름에서 주소로 구매자 및 판매자를 인식할 뿐 개인 정보가 전혀 사용되지 않으므로,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매자 및 판매자가 모두 거래를 승인해야 계약이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에스크로 기능을 상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로 계약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구매자, 판매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는 계약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의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의 거래 처리 방법에서 대금지급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10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먼저, 구매자 단말(10)의 구동시 구매자 단말(10)과 서버(600)의 충전부(100)의 시세 관리부(110)를 서로 연동시킨다(S40). 그에 따라, 구매자 단말(10)의 토큰 지갑(13) 및 암호화폐 지갑(14)은 암호화폐의 최신 시세와 항시 연동된다.
이어, 판매자 단말(20)은 구매자 단말(10)의 운영부(11)에게 대금지급을 요청한다(S42). 이때, 대금지급을 요청하기 위해, 판매자 단말(20)은 해당 판매자(가맹점)의 토큰 지갑의 주소, 거래 내역(예컨대, 금액, 품목), 계약 블록의 주소 등 거래관련 정보를 QR코드(50)로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구매자 단말(10)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QR코드(50)를 스캔하고, QR코드(50)가 스캔됨에 따라 구매자 단말(10)은 서버(600)에 접속하게 되고, 서버(600)는 구매자 단말(10)이 전송한 계약 블록의 주소로 해당 거래를 인식한다. 이는 서버(600)가 판매자의 대금지급 요청 및 그에 대한 구매자의 대금지급이 어느 거래에 해당되는 것인지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구매자 단말(10)의 운영부(11)는 QR 정보상의 거래 금액(즉, 대금지급할 금액)과 토큰 지갑(13)의 잔고를 비교한다(S44).
비교 결과, 잔고가 충분하다면(S46에서 "Yes") 구매자 단말(10)은 토큰 지갑(13)내의 토큰(즉, 대금지급할 금액에 상응하는 토큰)을 판매자 단말(20)에게로 이체한다(S48). 이와 같이 잔고가 충분할 경우에 대금지급이 수월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잔고가 부족하다면(S46에서 "No") 구매자 단말(10)의 충전 모듈부(12)는 암호화폐의 최신 시세 정보를 참조하여 대금지급할 금액 상당의 암호화폐 수량을 계산한다(S50).
구매자 단말(10)의 암호화폐 지갑(14)은 충전 모듈부(12)에서 계산된 암호화폐 수량을 서버(600)의 충전부(100)의 암호화폐 지갑(130)에게로 이체한다(S52).
그에 따라, 충전부(100)의 암호화폐 지갑(130)은 이체받은 암호화폐 수량을 토큰 관리부(120)에게로 전달하고, 토큰 관리부(120)는 전달받은 암호화폐 수량에 상응하는 거래용 토큰을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10)에게로 이체한다(S54).
이와 함께, 충전부(100)의 암호화폐 지갑(130)은 구매자 단말(10)로부터 이체받은 암호화폐 수량을 제휴회사 단말(30)(예컨대, 암호화폐 발급회사의 단말)에게로 이체한다(S56). 특히, 충전부(300)의 계좌 관리부(140)는 거래보증금 계좌(150)의 잔고가 소진되는지를 미리 체크하여 거래보증금 계좌(150)의 잔고가 소진되지 않도록 제휴회사 단말(30)로부터 예치금을 미리 받아 충전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충전부(100)의 계좌 관리부(140)는 토큰 관리부(120)에서 구매자 단말(10)에게 이체한 거래용 토큰 상당의 금액을 거래보증금 계좌(150)에서 환전부(300)의 지급준비금 계좌(340)에게로 이체한다(S58).
마지막으로, 구매자 단말(10)의 토큰 지갑(13)은 충전(이체)된 거래용 토큰을 판매자 단말(20)에게로 이체한다(S60). 이와 같이 잔고가 부족할 경우에도 거래용 토큰을 충전하여 대금지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은 대금지급 방법에 따르면 구매자는 보유한 암호화폐 등의 재화를 선충전의 불편함없이 자동으로 거래용 토큰으로 교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구매자는 거래용 토큰이 충전되는 상황을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충전된 거래용 토큰으로 대금지급을 차질없이 할 수 있다.
판매자(가맹점)는 암호화폐의 시세 변동과 무관하게 판매대금을 수취할 수 있다.
기존의 선불시스템은 반드시 사용시점 이전에 대금이 충전되어야 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시점에 거래대금과 동일한 토큰이 충전되어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한다(즉시 소진).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거래시점 이전에 대금(즉, 거래용 토큰)을 충전할 수 있다.
기존의 선불시스템은 현금으로 대금을 충전하였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휴를 통하여 암호화폐, 포인트, 마일리지, 리워드 등으로 대금(즉, 거래용 토큰)을 충전할 수 있다.
기존의 선불시스템은 판매자로의 대금지급까지 대략 2~3일 이상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금과 동일한 가치를 가지는 토큰으로 대금결제를 행하므로 판매자는 환전부(300)를 통해 즉시 현금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불편한 충전절차를 진행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하다는 충전 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한 암호화폐와 포인트 등을 실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래보증금 및 지급준비금 프로세스를 통해 판매자는 암호화폐의 시세 변동과 무관하게 판매대금을 수취할 수 있다. 또한, 실물시장 사용으로 인한 효용성 증가로 암호화폐 발행사의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에서의 쿠폰 마케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12는 도 11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먼저, 판매자 단말(20)의 쿠폰 모듈부(24)는 쿠폰의 발급대상, 수량, 혜택(예컨대, 할인 금액, 할인율 등), 기간 등의 발급기준(예컨대, 처음 방문 손님, 10회 방문 손님, 생일인 손님 등)을 서버(600)의 쿠폰부(400)에 사전 등록한다(S70). 여기서, 발급기준은 쿠폰사용 조건이라고 할 수 있으며, 마케팅 DB(420)에 저장될 것이다. 앞서 예시한 처음 방문 손님과 10회 방문 손님 및 생일인 손님에 대한 발급기준의 내용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이는 판매자의 재량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이어, 쿠폰부(400)의 쿠폰 관리부(410)는 마케팅 DB(420)에 기저장된 발급기준을 조회하여 거래시점에서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을 생성(발행)하고 생성한 쿠폰 블록을 구매자 단말(10)의 쿠폰 모듈부(15)에게로 이체한다(S72). 이는 서버(600)에서 판매자가 제시한 쿠폰조건과 구매자의 조건을 비교하여 상호간의 조건이 일치하면 가능할 것이다.
구매자 단말(10)의 쿠폰 모듈부(15)는 이체받은 쿠폰 블록을 거래용 토큰에 결합시킨다(S74). 쿠폰 블록이 결합된 거래용 토큰은 토큰 지갑(13)에 저장될 것이다. 여기서, 쿠폰 블록에는 소정의 혜택이 포함되므로, 쿠폰 블록이 결합된 거래용 토큰에는 소정의 쿠폰 혜택이 자동으로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구매자 단말(10)의 토큰 지갑(13)은 스마트 컨트랙트 절차에 따라 "거래용 토큰+쿠폰 블록"을 판매자(가맹점) 단말(20)의 토큰 지갑(23)에게로 이체한다(S76).
그리고, 서버(600)의 쿠폰부(400)의 쿠폰 관리부(410)는 쿠폰 거래 DB(430)에게 해당 이체 사실(즉, "거래용 토큰+쿠폰 블록"을 이체한 사실)을 기록한다(S78).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1 및 도 12에 따르면, 판매자는 발급조건을 정하여 구매자(회원; 손님)에게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쿠폰을 제시하는 별도의 절차가 없어도 쿠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의 거래시스템은 쿠폰 발행 대상을 특정하기 어려웠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가 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회원에게만 쿠폰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거래시스템은 쿠폰을 제시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고 쿠폰 분실로 인한 낮은 사용율로 마케팅 효과가 낮았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건에 부합하는 구매자가 쿠폰을 제시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영세중소 가맹점도 원하는 조건의 구매자에게 쿠폰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을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에는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을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의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구매자 단말 20 : 판매자 단말
30 : 제휴회사 단말 40 : 은행 단말
100 : 충전부 200 : 계약부
300 : 환전부 400 : 쿠폰부
500 : 데이터베이스 600 : 서버

Claims (7)

  1. 구매자가 보유한 제휴회사의 재화를 거래용 토큰으로 전환하여 해당 구매자에게 충전해 주는 충전부;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계약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의 승인을 받아 상기 계약 블록을 인증하는 계약부;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라 상기 판매자가 보유한 거래용 토큰을 원화로 교환해 주는 환전부; 및
    상기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을 발급하고, 쿠폰 사용 조건의 등록 및 상기 쿠폰 블록을 상기 거래용 토큰에 결합시키는 쿠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약부는,
    상기 구매자와 상기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로 상기 계약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구매자 및 상기 판매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폰부는,
    상기 판매자의 구매자에 대한 쿠폰 마케팅으로 상기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마케팅 수단을 상기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4.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판매자 단말로부터의 거래 내역을 근거로 계약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약 블록의 주소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거래 내역의 거래를 인식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판매자 단말로의 상기 거래의 대금에 상당하는 거래용 토큰의 이체가 완료됨에 따른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거래용 토큰 전송 사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자 단말 및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상기 거래 내역을 질의하고 승인받는 단계;
    상기 승인을 받음에 따라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거래를 인증하고, 거래용 토큰과 계약 블록을 결합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과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거래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와 상기 판매자 간의 상품 거래에 따른 스마트 컨트랙트로 상기 계약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구매자 및 상기 판매자에 대한 마케팅 분석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기저장된 발급기준을 조회하여 거래시점에서 구매자가 사용가능한 쿠폰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한 쿠폰 블록을 상기 구매자 단말에게로 이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상기 쿠폰 블록을 상기 거래용 토큰에 결합시켜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로 이체시킴에 따른 이체 사실을 기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의 구매자에 대한 쿠폰 마케팅으로 상기 쿠폰 블록에 누적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마케팅 수단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방법.
KR1020180062552A 2018-05-31 2018-05-31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90136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52A KR20190136610A (ko) 2018-05-31 2018-05-31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52A KR20190136610A (ko) 2018-05-31 2018-05-31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610A true KR20190136610A (ko) 2019-12-10

Family

ID=6900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52A KR20190136610A (ko) 2018-05-31 2018-05-31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661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0150A (zh) * 2020-09-30 2020-12-29 重庆市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区块链的电子票券交易系统及方法
US20210110381A1 (en) * 2019-10-15 2021-04-15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ledger based settlement
WO2021125399A1 (ko) * 2019-12-20 2021-06-24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블록체인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에스크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11170374B2 (en) 2018-10-25 2021-11-09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blockchain transactions
KR20220019519A (ko)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엠블럭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양방향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양방향 디지털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KR20180022335A (ko)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101837166B1 (ko) 2016-10-26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발란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화를 발행 및 지급 결제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52935B1 (ko) 2017-07-31 2018-04-27 임종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73B1 (ko) 2015-02-25 2016-11-04 이진희 블록체인 구조를 사용하는 암호화화폐 거래방법
KR20180022335A (ko)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101837166B1 (ko) 2016-10-26 2018-03-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발란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화를 발행 및 지급 결제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52935B1 (ko) 2017-07-31 2018-04-27 임종범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0374B2 (en) 2018-10-25 2021-11-09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blockchain transactions
US11481775B2 (en) 2018-10-25 2022-10-25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blockchain transactions
US20210110381A1 (en) * 2019-10-15 2021-04-15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ledger based settlement
US11669830B2 (en) * 2019-10-15 2023-06-06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ledger based settlement
WO2021125399A1 (ko) * 2019-12-20 2021-06-24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블록체인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에스크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9519A (ko)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엠블럭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양방향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양방향 디지털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150150A (zh) * 2020-09-30 2020-12-29 重庆市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区块链的电子票券交易系统及方法
CN112150150B (zh) * 2020-09-30 2023-08-08 重庆市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区块链的电子票券交易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8012B2 (en) Global liquidity and settlement system
US11164166B2 (en) Securely modifying exchange items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US11062366B2 (en) Securely processing exchange items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US11164228B2 (en) Method and medium for determining exchange item compliance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US11978084B2 (en)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debit network as an intermediary between distributed ledgers
KR20190136610A (ko)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거래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7347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math-based currency exchange
WO2018060951A1 (en) A system for trading in a contract-free manner
KR102120539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KR10224986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여신거래 서버 및 방법
US20210334794A1 (en) Resolving a parameter error associated with a primary blockchain
JP201913929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製造方法
KR102091190B1 (ko) 가상 화폐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005023A1 (en) Programmable Transactions
US20190172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Digital Currency Issuance, Secure Transfer and De-Issuance
KR102472450B1 (ko) 전자지갑을 이용한 결제대금 즉시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07342A (ko) 가치 고정형 암호화폐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4101A (ko) 전자계약 및 대금보호서비스 구축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처리장치 및 방법
US2024002066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a cryptocurrency backed debit card
US202204057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offline payment with virtual currency for nodes included in mobile-based blockchain distributed network
US20200265414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plit payment card account transactions
WO2023287326A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конверсионных, кроссвалютных операций и трансграничных переводов
KR20050075051A (ko) 외화의 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