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487A -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487A
KR20190136487A KR1020180062276A KR20180062276A KR20190136487A KR 20190136487 A KR20190136487 A KR 20190136487A KR 1020180062276 A KR1020180062276 A KR 1020180062276A KR 20180062276 A KR20180062276 A KR 20180062276A KR 20190136487 A KR20190136487 A KR 20190136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action
cryptocurrency
usage
blockch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형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487A/ko
Priority to PCT/KR2019/003310 priority patent/WO2019231086A1/ko
Publication of KR2019013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은, 송금자 단말에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수금자의 노드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거래 금액 정보의 사용처 지정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TRANSACTION INFORMATION OF CRYPTOCURRENCY INDICATED BY SPECIFIC PURPOSES}
본 발명은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물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디지털 암호화폐의 일종인 비트코인(bitcoin)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비트코인이란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Satoshi Nakamoto)가 만든 디지털 통화로서,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대신, 비트코인의 거래는 P2P 네트워크(peer-to peer network) 기반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공개 키(public key)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한다.
이처럼 현물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디지털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과 더불어,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리플 등이 있으며,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거래자가 비트코인을 포함하는 디지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한 거래내역의 장부가 전자지갑에 저장되며, 상기 장부는 일정 단위로 블록화 및 해쉬 변환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해쉬 비교에 의해 검증 가능한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암호 화폐는 현재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리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개별 블록은 해쉬 변환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pack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내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참여자들이 화폐를 거래한 거래내역, 그리고 이전 블록의 해시 값, 난이도, 논스(nonce) 등일 수 있으며. 매 블록은 바로 전 블록의 해시 값을 담고 있으며, 이렇게 이어진 블록들은 시간 순으로 발생한 이체 내역들을 담고 있는 하나의 블록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노드들을 통해 하나의 거래 장부가 공유될 수 있으며, 그 거래 장부는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에 의해 검증 형성되는 블록체인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거래 장부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노드 단말들 모두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유 검증 및 보존되는 바, 거래 시스템을 유지하고자 하는 과반의 노드들에 의해 거래 장부의 위변조는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해킹 등의 공격행위의 대상이 특정 단말이 아닌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거래 시스템 자체가 되어야 하고, 행위 자체가 거래 시스템 자체를 파괴하는 바, 해킹 비용에 대비한 이득가치가 낮아 해킹 자체의 성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중앙 통제 없이도 신뢰성있는 암호화폐의 분산거래를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기술은 누구나 가입하고 참여할 수 있는 익명성을 근간으로 하며, 이를 제한하는 것이 오히려 시스템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화폐거래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들, 예컨대 뇌물 수수, 불법 돈세탁, 기부금 횡령, 대금 횡령, 비자금 조성 등의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암호 화폐의 거래시의 사회적 부작용과 횡령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거래 정보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 검증 처리할 수 있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송금자 단말에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수금자의 계정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거래 금액 정보의 사용처 지정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금자의 노드 정보 및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암호 화폐 거래를 제공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하나의 노드로서 접속하는 통신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수금자의 계정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거래 금액 정보의 사용처 지정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수금자의 노드 정보 및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완료된 암호 화폐에 대응한 제3자 거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여,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 단말들에서 상기 제3자 거래에 대한 상기 용도 제한 코드의 검증 처리가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제3자 거래 정보의 거래 내역이 승인되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그 자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암호 화폐의 거래시의 사회적 부작용과 횡령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의 검증에 따라, 상기 암호 화폐를 수금한 수금자의 제3자 거래시 검증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송금시 지정한 사용처로만 거래되거나, 또는 제한한 용도의 사용처로는 거래될 수 없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노드들이 분산 검증 처리할 수 있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자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도 제한 코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거래자 단말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거래 단말기(100, 200, 300, ...)들에 의해 형성된 블록체인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 단말기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거래자 단말은 자신의 노드 접속에 따른 계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방식으로 공유되는 거래 장부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 화폐의 거래가 필요한 경우, 각 거래자 단말은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에 기록될 거래 정보를 각 거래자 단말에게 전파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상호 검증 처리에 따라, 예를 들어 일정 비율 이상의 노드 단말로부터의 승인이 처리된 경우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그 정보가 공유됨으로써, 암호 화폐의 거래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는 일정 시간 또는 단위에 대응하는 블록별로 현재의 블록이 이전에 생성된 블록에 대한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여 복수의 블록이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블록 체인(block chain)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장부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 검증은 상기 블록 체인의 해시값 검증에 따라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자 단말에서는 다음 블록의 해시값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 및 검증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록 체인의 보안 안정성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공유자들의 시스템 참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공유자 단말 사이의 공유에 대한 내역 및 화폐 발급/거래 내역 등을 포함하는 거래 정보 블록이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위변조 방지를 위한 해시값을 순차적으로 블록 체인화하기 위한 거래 검증(작업증명) 처리가 각 거래자 단말에서 분산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자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거래자 단말(100)은 이러한 블록 체인 기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블록 체인 기반의 거래 장부 데이터를 이용한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자 단말(100)은 제어부(130), 통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40), 메모리(150) 및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단말(1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40)는 거래자의 거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거래자 단말(100)이 송금자의 단말인 경우에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수금자의 노드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40)는 상기 거래 금액 정보의 사용처 지정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용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거래 금액의 익명성에 의한 횡령이나 부작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상기 용도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인 거래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상기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에서 거래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고, 이에 대응하는 승인 결과에 따라, 암호 화폐 거래 정보가 거래 장부 데이터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도 지정된 암호 화폐를 거래받은 수금자는, 수금한 거래 금액에 대한 제3자 거래시 그 용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자 단말들은, 상기 암호 화폐 거래 정보에 대한 수금자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용도 제한 코드가 포함된 암호 화폐의 제3자 거래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 단말들에서 상기 제3자 거래에 대한 검증 처리를 분산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검증 처리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상기 다른 노드 단말들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 일정 비율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3자 거래의 거래 내역이 승인되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될 수 있으며, 거래 장부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상기 검증 처리에 대한 프로세스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자 단말(100)은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의 검증에 따라, 상기 암호 화폐를 수금한 수금자의 제3자 거래시 검증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송금시 지정한 사용처로만 거래되거나, 또는 제한한 용도의 사용처로는 거래될 수 없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노드들이 분산 검증 처리할 수 있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은 송금자로서 제1 거래자 단말(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거래자 단말(100)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노드 정보를 등록한다(S1001).
노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거래자 단말(100)을 통해 접속한 송금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정 정보는 송금자의 계정 등록에 대해 사전 발급된 암호화 키로서, 송금자의 공개 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거래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수금자 노드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입력받는다(S1003).
여기서, 상기 수금자 노드 정보는 송금자의 계정 등록에 대해 사전 발급된 암호화 키로서, 수금자의 공개 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거래자 단말(100)은 상기 거래 금액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보의 입력이 확인된 경우(S1005),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를 통해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한다(S1007).
그리고, 용도 제한 코드가 생성되고, 거래 정보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제1 거래자 단말(100)은 제어부(130)를 통해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정보를 생성한다(S1009).
한편, 용도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거래자 단말(100)은 통상 거래 금액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일반 암호화폐 거래 정보를 생성한다(S1013).
이후, 제1 거래자 단말(100)은 생성된 암호화폐 거래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며(S1011), 공유된 거래 정보는 다른 노드들로부터 검증 및 승인 처리되고 일저 비율 이상 노드의 승인에 따라 생성된 블록 체인및 이에 대응한 거래 장부 데이터의 업데이트에 의해 거래 승인이 처리될 수 있다(S1015).
한편, 도 4은 상기 수금자인 제2 거래자 단말(200)의 거래 정보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2 거래자 단말(200)은 암호 화폐를 거래할 제3 노드에 대응한 제3 노드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입력받는다(S2001).
여기서, 상기 제2 거래자 단말(200)은 상기 거래 금액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 화폐가 용도 제한된 암호 화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3).
여기서, 용도 제한된 암호 화폐의 경우, 일반 암호 화폐와는 구분하여 기록될 수 있으며, 일정 단위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용도 제한 코드는 예를 들어, 암호 화폐의 일정 단위에 대응하는 사용처 제한 정보 또는 사용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거래 횟수에 따라 차감가능한 카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용도 제한된 암호 화폐에 대한 거래인 경우, 제2 거래자 단말(200)은 용도 제한 코드 및 제3자 노드 정보에 기초한 검증 처리 요청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고(S2005),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검증결과 정보를 획득한다(S2007).
예를 들어, 상기 검증 결과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전 공유된 블록에 상기 제3자의 노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업자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사업자 정보가 상기 용도 제한 코드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증 결과 처리를 위해, 제2 거래자 단말(200)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노드 단말들로 분산 검증 처리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일정 비율 이상의 검증 처리가 확인된 경우, 이를 검증결과 정보로서 획득하고 거래 장부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증결과 정보는 검증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참 또는 거짓)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 결과가 참으로 확인된 경우, 즉, 예를 들어 제3자 노드 정보의 사업자 정보가 용도 제한 코드에 의해 지정된 사업자이거나, 용도 제한 코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사업자로 식별된 경우, 제2 거래자 단말(200)은 검증결과 정보 및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 정보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할 수 있다(S2009). 다만, 제2 거래자 단말(200)은 검증 결과가 거짓인 경우 거래 요청 자체의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상기 용도 제한 코드의 잔여 카운터 정보가 1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만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용도 제한 코드의 카운터 정보가 0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해제되고, 이후의 거래는 일반 거래로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는 카운터 소진 등 일정 조건에 따라 일반 암호 화폐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용도 제한된 암호 화폐가 아닌 경우에는 제2 거래자 단말(200)은 일반 암호 화폐에 대응하는 제3자 노드로의 거래 정보를 생성하고(S2013), 생성된 일반 거래 정보를 공유한다(S2015).
이후, 공유된 암호 화폐 거래 정보가 승인되면, 제2 거래자 단말(200)은 거래 정보의 블록 체인 생성에 대응한 거래 승인결과를 거래 장부 데이터의 업데이트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S2011).
한편, 도 5는 분산 검증 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제3 거래자 단말(300)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먼저 제3 거래자 단말(300)은 제2 거래자 단말(200)로부터 공유된 검증 처리 요청으로부터 용도 제한 코드를 식별한다(S3001).
그리고, 제3 거래자 단말(300)은 블블록 체인 거래 장부 데이터로부터 용도 제한 코드에 대응하는 제3자 노드의 사업자 정보를 획득한다(S3003).
여기서, 상기 제3자 노드의 사업자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제3자 노드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응하는 사업자 상기 사업자 정보는 상호 정보, 업종 정보, 업태 정보, 등록번호 정보, 과세유형 정보, 및 현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거래자 단말(300)은 사업자 정보와 용도 제한 코드 매칭에 따른 검증 결과 생성한다(S3005).
여기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용도 지정 인덱스 또는 용도 제한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상기 사업자 정보의 상호, 업종, 업태, 등록번호, 과세 유형 및 현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용도 지정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암호 화폐의 용도는 특정 사업자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상기 사업자 정보의 상호, 업종, 업태, 등록번호, 과세 유형 및 현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기 위한 용도 제한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암호 화폐의 용도는 특정 사업자를 배제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거래자 단말(300)은 검증결과 정보를 블록 체인 거래 장부 데이터를 통해 전파할 수 있다(S3007).
여기서, 상기 검증결과 정보는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 거래 정보가 검증된 용도 지정형 거래임을 나타내기 위한 검증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거래자 단말(300)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단말들에서, 검증결과 정보의 승인에 따른 거래 장부 데이터 업데이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S3009).
또한, 제3 거래자 단말(300)은 검증결과 처리에 대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S3011).
이는 검증 처리를 분산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파워 제공에 따른 보상 제공 프로세스로서,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가 암호 화폐 풀로부터 제공되거나, 별도의 보상 코인 또는 포인트가 제공되는 등의 처리가 예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수행된 전체 검증 및 거래 내역들은 하나의 블록에 저장되며, 상기 블록에 저장되는 각각의 거래 내역은 해시로 변환된 송금자 주소(공개키1), 수금자 주소(공개키2), 용도 제한 코드 및 거래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도 제한된 암호 화폐 거래의 경우에는 송금자 주소(공개키2), 수금자(제3자) 주소(공개키3), 용도 제한 코드, 검증 결과 정보 및 거래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래 정보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새로운 블록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블록은 이전 생성된 블록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블록의 해시값은 해당 블록의 헤더를 헤시로 변환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블록 2는 이전 생성된 블록 1의 해시값(Hash 1)을 담고 있으며, 블록 3은 블록 2의 해시값(Hash 2)을 담고 있고, 이와 같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면서 블록들이 생성되어, 블록 n이 블록 n-1의 해시값(Hash n-1)을 담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가장 최근 생성된 블록 n이 이전 생성된 모든 블록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블록만을 위조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모든 블록을 수정하여 위조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체인 데이터의 생성시 사전 정의된 거래 프로세스, 용도 제한 프로세스 및 검증 프로세스가 초기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프로세스 자체에 대한 위변조 또한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거래 장부 데이터는 가장 최근 생성된 블록 n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및 저장되어,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의 모든 단말기들이 분산 공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자 단말(100)은, 거래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수금자 정보, 거래 금액 정보 및 상기 거래 금액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또는 용도 지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자 단말(100)은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를 통해 상기 용도 제한 또는 지정을 위한 용도 제한 코드 생성을 처리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용도 제한 또는 지정된 용도 지정형 거래에 대한 거래 승인을 공유 요청할 수 있으며, 그 승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용도 제한 또는 지정은 수금자의 사업자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사업자 정보를 지정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도 제한 또는 지정은 다양한 조건을 설정하는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01)는 송금하는 암호화폐에 대응하여, 사용처를 보다 구체적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래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이 송금하는 암호 화폐에 대한 지정 사용처로서, 특정 업종, 업태, 업명, 과세여부, 단가 또는 실제 최종 수금자의 노드 정보까지 지정하는 용도 지정 인덱스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거래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이 송금하는 암호 화폐에 대한 제한 사용처로서, 특정 업종, 업태, 업명, 과세여부, 단가 또는 실제 최종 수금자의 노드 정보까지 제한하는 용도 제한 인덱스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 지정 인덱스와 용도 제한 인덱스는 복합적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용도 지정 인덱스 및 용도 제한 인덱스 조합에 따른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도 제한 코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용도 제한 또는 지정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할당한다.
그리고,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0)는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카운터 정보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S4003).
이후,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상기 할당된 인덱스와 카운터 정보를 이용하여,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한다(S4005).
전술한 바와 같이, 용도 제한 코드는 미리 설정된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제한 코드 또는 지정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거래의 횟수에 따라 차감 처리 가능한 카운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도 제한 코드는 예를 들어, 제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종목 코드, 업태 코드, 업명 코드, 과세여부 코드 및 카운터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지정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사업자의 종목 코드, 업태 코드, 업명 코드, 과세여부 코드 및 카운터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각 코드의 조합에 따라 지정 및 제한이 동시에 적용된 복합 코드가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도 제한 코드의 적용을 위한 용도 코드 테이블이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상기 테이블을 이용한 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도 코드 테이블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의 거래 장부 데이터상에 사전 공유되어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도 제한 거래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를 수금한 제2 거래자 단말(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거래자 단말(100)을 통해 제2 거래자 단말(200)의 지갑 계정으로 송금한 용도 제한 거래 금액은, 제3자 거래시 그 용도가 제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거래자 단말(200)은 이에 대한 용도 제한 검증을 처리할 수 있으며, 그 검증 결과에 따른 거래 진행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거래자 단말(200)은, 제어부(230), 사용자 입력부(240), 통신부(220), 메모리(250) 및 용도 제한 검증부(210)를 포함하여,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230)는 통상적인 제2 거래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제1 거래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거래 정보에 따른 용도 제한형 또는 지정형 암호 화폐의 수금 내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수신된 용도 제한형 또는 지정형 암호 화폐를 별도의 계정으로 분류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0)는 제2 거래자 단말(2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240)는 제3자 거래를 위해 입력되는 제3자 노드 정보와, 거래 금액 정보 또는 검증 요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증 요청은 선택적으로 거래 처리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한 질의 인터페이스가 제2 거래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용도 제한 검증부(210)는 상기 용도 제한형 또는 지정형 암호 화폐의 제3자 거래를 위한 용도 제한 검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검증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검증 요청이 수신되거나, 상기 제3자 노드로의 거래 요청이 수신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용도 제한 검증부(210)는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된 제3자 노드 정보 및 제1 거래자 단말(100)에서 설정된 용도 제한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 처리요청을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용도 제한 검증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승인된 검증 결과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용도 제한 검증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상기 용도 제한 검증 처리에 일정 비율 이상 기여한 하나 이상의 노드로의 비용 지불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상기 용도 제한 코드가 부여된 암호 화폐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용도 제한 검증부(210)의 검증을 위한 비용으로서 지불 할 수 있으며, 검증 결과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지불된 비용은 검증에 기여된 비율에 따라, 단말 노드들로 분배될 수 있다. 다만, 비용 지불 처리는 사업적 측면에 따라 제1 거래자 단말(100)의 노드 또는 캐시 노드로부터의 채굴획득의 형태로 처리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비용 처리의 주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용도 제한 검증이 완료된 제3자 노드로의 암호화폐 거래 정보 저장 및 거래 결과 출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용도 제한 검증이 실패된 경우, 거래 실패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용도 제한 검증 실패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용도 제한 검증 실패의 원인으로서의 용도 제한 코드 불일치 정보 또는 검증 실패에 대한 결과 정보를 별도의 출력 매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도 제한된 암호 화폐를 수령한 제2 거래자 단말(200)에서, 제3자 노드로의 거래가 수행될 때, 제2 거래자 단말(200)에서의 검증 처리에 따라, 그 용도 또는 제공처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용도 제한 코드에 따른 검증 처리가 분산 수행되어,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거래 내역이 승인된 정보에 의해 처리되므로, 그 검증 결과 정보로부터 정상 용도로의 암호화폐 활용이 충분히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별도의 중앙 서버 없이도, 용도가 검증 가능한 암호 화폐의 분산 처리가 일반 거래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익명성은 유지하면서도 사용처에 따른 사회적 부작용과 횡령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암호 화폐의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3)

  1.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송금자 단말에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수금자의 노드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거래 금액 정보의 사용처 지정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화폐 거래 정보에 대한 수금자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용도 제한 코드가 포함된 암호 화폐의 제3자 거래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 단말들에서 상기 제3자 거래에 대한 검증 처리가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처리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상기 다른 노드 단말들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 일정 비율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3자 거래의 거래 내역이 승인되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되는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결과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전 공유된 블록에 상기 제3자의 노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업자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사업자 정보가 상기 용도 제한 코드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용도 지정형 암호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 정보는 상호 정보, 업종 정보, 업태 정보, 등록번호 정보, 과세유형 정보, 및 현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상기 사업자 정보의 상호, 업종, 업태, 등록번호, 과세 유형 및 현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용도 지정 인덱스를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상기 사업자 정보의 상호, 업종, 업태, 등록번호, 과세 유형 및 현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기 위한 용도 제한 인덱스를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금자 노드는 상기 검증 처리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에 따라, 상기 수금자의 계정 정보, 상기 거래 금액 정보 및 상기 검증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상기 제3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 거래 정보는 검증된 용도 지정형 거래임을 나타내기 위한 검증 플래그를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마다 상기 제3자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이전 생성 블록들에 대한 해시값을 포함하는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어,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블록들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되는
    용도 지정형 암호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상기 사용처의 제한 또는 지정에 대응하는 카운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터 정보는 상기 거래 금액에 대응하는 순차적인 거래 횟수에 따라 차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12.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암호 화폐 거래를 제공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하나의 노드로서 접속하는 통신부;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의 거래를 위한 수금자의 계정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거래 금액 정보의 사용처 지정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수금자의 노드 정보 및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장치.
  13.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 완료된 암호 화폐에 대응한 제3자 거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자 거래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여,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 단말들에서 상기 제3자 거래에 대한 상기 용도 제한 코드의 검증 처리가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제3자 거래 정보의 거래 내역이 승인되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KR1020180062276A 2018-05-31 2018-05-31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6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76A KR20190136487A (ko) 2018-05-31 2018-05-31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19/003310 WO2019231086A1 (ko) 2018-05-31 2019-03-21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276A KR20190136487A (ko) 2018-05-31 2018-05-31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487A true KR20190136487A (ko) 2019-12-10

Family

ID=6869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76A KR20190136487A (ko) 2018-05-31 2018-05-31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36487A (ko)
WO (1) WO20192310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9923A (zh) * 2020-05-07 2020-09-08 杭州云象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零知识证明的数字货币交易记账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000B1 (ko) * 2011-12-07 2012-11-09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속성 정보를 이용한 전자화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71108A1 (en) * 2014-09-04 2016-03-10 Idm Global, Inc. Enhanced automated anti-fraud and anti-money-laundering payment system
KR101660627B1 (ko) * 2015-02-03 2016-09-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암호화 화폐의 거래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22335A (ko) *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KR20160119029A (ko) * 2016-09-30 2016-10-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9923A (zh) * 2020-05-07 2020-09-08 杭州云象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零知识证明的数字货币交易记账方法及系统
CN111639923B (zh) * 2020-05-07 2023-09-29 杭州云象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零知识证明的数字货币交易记账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086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912B1 (ko) 블록체인 기반 트랜잭션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511150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介して資産関連活動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6219014A (ja) リソース転送システム
JP2018535500A (ja) リソース転送システム内の一時的コンセンサスネットワーク
KR20200114324A (ko)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이용한 송금 처리 시스템
KR20190136487A (ko)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6617A (ko)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90136563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200048483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가치 교환 거래 시스템
KR20190133526A (ko) 기록매체
KR102596692B1 (ko) 정보 처리 방법
KR102596691B1 (ko)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장치
KR20190136601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136585A (ko)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방법
KR20190136621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136594A (ko) 용도 지정형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 처리 장치
KR20190136575A (ko) 기록매체
KR20190136639A (ko) 기록매체
KR20190136605A (ko) 기록매체
KR20200048482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가치 교환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8487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경제 가치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48492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경제 가치 거래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33491A (ko)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90133519A (ko)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KR20190133521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