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519A -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519A
KR20190133519A KR1020180058549A KR20180058549A KR20190133519A KR 20190133519 A KR20190133519 A KR 20190133519A KR 1020180058549 A KR1020180058549 A KR 1020180058549A KR 20180058549 A KR20180058549 A KR 20180058549A KR 20190133519 A KR20190133519 A KR 20190133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of
verification
transaction
blockch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형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3519A/ko
Publication of KR2019013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부와, 정보 이용자 인증 정보 및 제증명 제공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제증명 제공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한 용도 제한 코드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로부터 식별하고, 상기 용도 제한 코드 및 상기 정보 이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증명 제공 거래에 대응한 검증 처리요청을 공유하는 정보 획득부와, 상기 검증 처리요청에 대응한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증명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공유받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A DEVICE FOR PROCESSING TRANSACTION INFORMATION OF CRYPTOCURRENCY INDICATED BY SPECIFIC PURPOSES}
본 발명은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블록 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용도가 지정된 제증명 관련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은행이나 증권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계좌이체나 주식 거래 등의 금융 서비스, 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주민등록등본과 같은 각종 증명서류를 발급받는 등의 민원 서비스 및 물품을 판매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등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기업에 입사 지원을 하기 위한 이력서 또는 자격증 검증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산업분야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다양한 제증명 문서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제증명 문서들은 개인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문서의 위조와 변조 또는 거래 사실 부인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전자적 정보의 인증서 설치가 수반되어 매우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기술로서,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노드들을 통해 하나의 거래 장부가 공유될 수 있으며, 그 거래 장부는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에 의해 검증 형성되는 블록체인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거래 장부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노드 단말들 모두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유 검증 및 보존되는 바, 거래 시스템을 유지하고자 하는 과반의 노드들에 의해 거래 장부의 위변조는 방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기술은 누구나 가입하고 참여할 수 있는 익명성을 근간으로 하며, 이를 제한하는 것이 오히려 시스템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개인 정보의 보호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한 측면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증명 정보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 및 제공할 수 있게 하면서도, 개인 정보의 보호를 위한 용도 지정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서,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제증명 정보가 익명자에게 유출될 수 있음으로 인한 사회적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도 지정형 제증명 정보의 등록 및 제공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제증명 정보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 검증 처리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부와, 정보 이용자 인증 정보 및 제증명 제공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제증명 제공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한 용도 제한 코드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로부터 식별하고, 상기 용도 제한 코드 및 상기 정보 이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증명 제공 거래에 대응한 검증 처리요청을 공유하는 정보 획득부와, 상기 검증 처리요청에 대응한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증명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공유받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증명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제증명 정보 제공 거래시의 익명자 유출로 인한 사회적 부작용과 불법행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증명 정보의 검증에 따라, 상기 제증명 정보의 제공 거래시 정보 이용자의 인증정보를 검증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제증명 정보 등록시 지정한 제공처로만 제공되거나, 또는 제한한 용도의 제공처로는 거래될 수 없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노드들이 분산 검증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자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증명 정보 처리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도 제한 코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증명 정보 등록 및 제공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유자 단말기(100, 200, 300, ...)들에 의해 형성된 블록체인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공유자 단말기는 제증명 정보 등록 및 공유를 위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공유자 단말은 자신의 노드 접속에 따른 계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방식으로 공유되는 제증명 정보의 거래 장부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증명 정보의 등록 또는 제공 거래가 필요한 경우, 각 공유자 단말은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에 기록될 제증명 정보의 등록 또는 제공 거래 정보를 각 공유자 단말에게 전파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상호 검증 처리에 따라, 예를 들어 일정 비율 이상의 노드 단말로부터의 승인이 처리된 경우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그 정보가 공유됨으로써, 제증명 정보의 등록 또는 제공 거래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는 일정 시간 또는 단위에 대응하는 블록별로 현재의 블록이 이전에 생성된 블록에 대한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여 복수의 블록이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블록 체인(block chain)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장부 데이터의 거래 내역 및 제증명 정보에 대한 위변조 여부 검증은 상기 블록 체인의 해시값 검증에 따라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공유자 단말에서는 다음 블록의 해시값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 및 검증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록 체인의 보안 안정성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공유자들의 시스템 참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공유자 단말 사이의 제증명 정보의 등록 또는 제공 거래 내역 등을 포함하는 제증명 정보 블록이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위변조 방지를 위한 해시값을 순차적으로 블록 체인화하기 위한 거래 검증(작업증명) 처리가 각 공유자 단말에서 분산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증명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한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인증 정보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 등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제증명 정보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제증명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 접속은 가능하나, 공유된 분산 거래 장부 데이터의 제공 및 사전 등록된 제증명 정보의 제공은 검증 및 지불 처리에 따라 제한적으로만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접속시 인증 정보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인증 정보 기반의 제증명 정보 요청 및 제증명 정보 제공 거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증명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제증명 정보 다운로드를 위해 소정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 암호화폐를 상기 제증명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지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자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공유자 단말(100)은 이러한 블록 체인 기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블록 체인 기반의 거래 장부 데이터를 이용한 제증명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자 단말(100)은 제어부(130), 통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40), 메모리(150), 제증명 정보 처리부(160) 및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단말(1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40)는 거래자의 제증명 등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등록을 위한 제공자의 노드 정보 및 제증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증명 정보는 제증명 정보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제증명 원본 정보 및 제증명 검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증명 원본 정보는 미리 제증명 정보 처리부(160)에서 획득된 문서 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증명 검증 정보는 상기 문서 파일 정보에 대응하여 해시 처리된 해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증명 원본 정보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상기 제증명 검증 정보와 함께 공유되어 1차적인 위변조 방지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40)는 상기 제증명 정보의 제공처 지정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용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익명성에 의한 인증되지 않은 자로의 개인정보 유출이나 부작용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도 지정형 제증명 정보의 등록 및 제공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상기 용도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인 공유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제증명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제증명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제증명 정보의 등록 또는 제공 거래 승인을 요청하는 제증명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상기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에서 제증명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증명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고, 이에 대응하는 승인 결과에 따라, 제증명 정보가 거래 장부 데이터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도 지정된 제증명 정보가 등록되면,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한 정보 이용자 단말(10)로의 제증명 정보 제공 거래시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인증 정보에 따른 그 용도 또는 제공처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자 단말들은, 상기 제증명 정보에 대한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계정으로부터 상기 용도 제한 코드가 포함된 제증명 정보 제공 거래 요청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 단말들에서 상기 정보 이용자 단말(10)로의 제증명 정보 제공 거래에 대한 검증 처리를 분산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검증 처리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상기 다른 노드 단말들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 일정 비율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한 거래 내역이 승인되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될 수 있으며, 거래 장부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갱신될 수 있고, 제증명 정보는 정상적으로 정보 이용자 단말(1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등록 처리 및 검증 처리에 대한 프로세스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자 단말(100)은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증명 정보의 검증에 따라, 상기 정보 이용자 단말(10)로의 제증명 정보 제공시 검증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미리 지정한 제공처로만 제공 거래되거나, 또는 제한한 용도의 제공처로는 거래될 수 없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노드들이 분산 검증 처리할 수 있는 제증명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증명 정보 처리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은 제1 공유자 단말(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공유자 단말(100)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노드 정보를 등록한다(S1001).
노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공유자 단말(100)을 통해 접속한 공유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정 정보는 공유자의 계정 등록에 대해 사전 발급된 암호화 키로서, 공유자의 공개 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공유자 단말(100)은 공유자 노드 정보, 제증명 정보 및 용도 정보를 입력받는다(S1003).
이후, 제1 공유자 단말(100)은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를 통해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한다(S1007).
그리고, 용도 제한 코드가 생성되고, 제증명 정보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으면, 제1 공유자 단말(100)은 제어부(130)를 통해 상기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증명 등록 정보를 생성한다(S1009).
이후, 제1 공유자 단말(100)은 생성된 제증명 등록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며(S1011), 공유된 제증명 정보는 다른 노드들로부터 검증 및 승인 처리되고 일저 비율 이상 노드의 승인에 따라 생성된 블록 체인및 이에 대응한 거래 장부 데이터의 업데이트에 의해 제증명 등록 거래의 승인이 처리될 수 있다(S1015).
한편, 도 4은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제증명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제증명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이용자 인증 정보 및 제증명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다(S2001).
여기서,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제증명 정보를 발급받아 타인에게 제출하고자 하는 본인의 단말이거나, 특정인의 제증명 정보가 필요한 기업 또는 인사 관리자의 단말이거나, 금융 기관의 서버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각 단말 노드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입력 및 해당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인증 수행은 개인 인증, 기관 인증, 이메일 인증 등 다양한 방식이 예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는 않는다.
한편, 용도 제한 코드는 이러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제공처 제한 정보 또는 제공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용도 제한 코드 및 정보 이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증 처리 요청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하고(S2005),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검증결과 정보를 획득한다(S2007).
예를 들어, 상기 검증 결과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전 공유된 블록에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인증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용도 제한 코드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증 결과 처리를 위해,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노드 단말들로 분산 검증 처리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일정 비율 이상의 검증 처리가 확인된 경우, 이를 검증결과 정보로서 획득하고 거래 장부 데이터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증결과 정보는 검증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참 또는 거짓)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 결과가 참으로 확인된 경우, 즉, 예를 들어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인증 정보가 용도 제한 코드에 의해 지정된 사업자이거나, 용도 제한 코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사업자로 식별된 경우,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검증결과 정보 및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증명 제공 정보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할 수 있다(S2009). 다만,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검증 결과가 거짓인 경우 거래 요청 자체의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공유된 제증명 제공 거래 정보가 승인되면,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제증명 제공 정보의 블록 체인 생성에 대응한 거래 승인결과를 거래 장부 데이터의 업데이트에 따라 확인할 수 있으며(S2011), 승인결과가 확인된 제증명 정보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분산 저장된 거래 장부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 이용자 단말(10)로 제공될 수 있다(S2013).
한편, 도 5는 분산 검증 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제3 공유자 단말(300)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먼저 제3 공유자 단말(300)은 정보 이용자 단말(10)로부터 공유된 검증 처리 요청으로부터 용도 제한 코드를 식별한다(S3001).
그리고, 제3 공유자 단말(300)은 블블록 체인 거래 장부 데이터로부터 용도 제한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 이용자 단말(10) 노드의 인증 정보를 획득한다(S3003).
여기서, 인증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정보 이용자 단말(10) 노드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는 개인 정보로서 주민번호 정보, 휴대폰 번호 정보, 카드번호 정보 또는 임시 코드 정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기업 정보로서 직책 정보, 상호 정보, 업종 정보, 업태 정보, 등록번호 정보, 과세유형 정보, 및 현재 상태 정보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인증 목적으로 기입한 정보 이용 목적 정보 등도 함께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인증 정보와 용도 제한 코드 매칭에 따른 검증 결과 생성한다(S3005).
여기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용도 지정 인덱스 또는 용도 제한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상기 인증 정보의 종류 또는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용도 지정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증명 정보의 용도는 특정 목적, 사용자 또는 기업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상기 인증 정보의 종류 또는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기 위한 용도 제한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증명 정보의 용도는 특정 목적, 사용자 또는 기업 등을 배제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공유자 단말(300)은 검증결과 정보를 블록 체인 거래 장부 데이터를 통해 전파할 수 있다(S3007).
여기서, 상기 검증결과 정보는 검증된 제증명 정보 제공 거래임을 나타내기 위한 검증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공유자 단말(300)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접속된 단말들에서, 검증결과 정보의 승인에 따른 거래 장부 데이터 업데이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S3009).
또한, 제3 공유자 단말(300)은 검증결과 처리에 대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S3011).
이는 제증명 정보 제공 용도매칭의 검증 처리를 분산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파워 제공에 따른 보상 제공 프로세스로서,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가 암호 화폐 풀로부터 제공되거나, 별도의 보상 코인 또는 포인트가 제공되는 등의 처리가 예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수행된 전체 검증 및 거래 내역들은 하나의 블록에 저장되며, 상기 블록에 저장되는 각각의 거래 내역 중 제증명 등록 거래 정보는 해시로 변환된 공유자 주소(공개키1), 용도 제한 코드 및 제증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증명 제공 거래 정보는 정보 이용자 주소(공개키2), 인증 정보, 용도 제한 코드, 검증 결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증명 거래 정보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새로운 블록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블록은 이전 생성된 블록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블록의 해시값은 해당 블록의 헤더를 헤시로 변환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블록 2는 이전 생성된 블록 1의 해시값(Hash 1)을 담고 있으며, 블록 3은 블록 2의 해시값(Hash 2)을 담고 있고, 이와 같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면서 블록들이 생성되어, 블록 n이 블록 n-1의 해시값(Hash n-1)을 담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가장 최근 생성된 블록 n이 이전 생성된 모든 블록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블록만을 위조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모든 블록을 수정하여 위조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체인 데이터의 생성시 사전 정의된 거래 프로세스, 용도 제한 프로세스 및 검증 프로세스가 초기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프로세스 자체에 대한 위변조 또한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거래 장부 데이터는 가장 최근 생성된 블록 n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및 저장되어,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의 모든 단말기들이 분산 공유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자 단말(100)은,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제증명 정보 등록을 위한 등록자 정보(AAA), 제증명 대상문서 정보(자격증.PDF), 및 상기 제증명 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제한 또는 용도 지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자 단말(100)은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를 통해 상기 용도 제한 또는 지정을 위한 용도 제한 코드 생성을 처리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용도 제한 또는 지정된 용도 지정형 거래에 대한 거래 승인을 공유 요청할 수 있으며, 그 승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용도 제한 또는 지정은 정보 이용자 단말(10)을 지정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도 제한 또는 지정은 다양한 조건을 설정하는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01)는 등록하는 제증명 정보 대응하여, 제공처를 보다 구체적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공유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이 등록한 제증명 정보에 대한 지정 제공처로서, 특정 개인, 특정 기업, 특정 업종, 업태, 업명 등을 지정하는 용도 지정 인덱스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유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이 등록한 제증명 정보에 대한 제한 제공처로서, 특정 개인, 특정 기업, 특정 업종, 업태, 업명 등을 제한하는 용도 제한 인덱스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 지정 인덱스와 용도 제한 인덱스는 복합적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용도 지정 인덱스 및 용도 제한 인덱스 조합에 따른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거래 인터페이스(11)를 통해, 먼저 예를 들어 개인 인증 정보로서 휴대폰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완료할 수 있으며, 제증명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이용자(수령자)의 공개키 정보(BBB), 제증명 제공자(AAA)에 대응하는 대상문서 정보(자격증.PDF)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인증 정보 입력에 따른 용도 제한 검증을 요청하고,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검증 결과에 따라 제증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도 제한 코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용도 제한 또는 지정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할당한다.
그리고,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0)는 상기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카운터 정보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S4003).
이후,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상기 할당된 인덱스와 카운터 정보를 이용하여, 용도 제한 코드를 생성한다(S4005).
전술한 바와 같이, 용도 제한 코드는 미리 설정된 용도 정보에 대응하는 제한 코드 또는 지정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공 거래의 횟수에 따라 차감 처리 가능한 카운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도 제한 코드는 예를 들어, 제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개인의 주민번호 인증 코드, 휴대폰 인증 코드 및 이메일 인증 코드나, 기업의 기업 코드, 사업자 종목 코드, 업태 코드, 업명 코드, 과세여부 코드 및 카운터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지정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개인의 주민번호 인증 코드, 휴대폰 인증 코드 및 이메일 인증 코드나, 기업의 기업 코드, 사업자의 종목 코드, 업태 코드, 업명 코드, 과세여부 코드 및 카운터 코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각 코드의 조합에 따라 지정 및 제한이 동시에 적용된 복합 코드가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도 제한 코드의 적용을 위한 용도 코드 테이블이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용도 제한 코드 생성부(110)는 상기 테이블을 이용한 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도 코드 테이블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의 거래 장부 데이터상에 사전 공유되어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제증명 정보를 발급받아 타인에게 제출하고자 하는 본인의 단말이거나, 특정인의 제증명 정보가 필요한 기업 또는 인사 관리자의 단말이거나, 금융 기관의 서버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각 단말 노드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입력 및 해당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제증명 정보 획득을 위한 지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수행은 개인 인증, 기관 인증, 이메일 인증 등 다양한 방식이 예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지불 처리는 암호화폐 관리 노드 또는 제증명 정보 제공자 단말(100)로의 암호화폐 거래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이용자 단말(10)은, 제제어부(11), 사용자 입력부(14), 통신부(12), 메모리(15) 및 제증명 정보 획득부(16)를 포함하여,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1)는 통상적인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인증 정보의 입력에 따른 정보 제공자의 분산 제증명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 및 출력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2)는 정보 이용자 단말(1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4)는 정보 이용자 단말(10)로의 제증명 정보 수신을 위해 사전 입력 또는 등록되는 인증 정보와, 제증명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제증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증명 요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제증명 정보의 제공처 지정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용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화폐의 지불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도 정보는 용도 제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도 제한 코드는 이러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제공처 제한 정보 또는 제공처 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증명 정보 획득부(16)는 상기 제증명 요청 정보에 대한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의 용도 제한 코드와, 인증 정보의 인증 확인과, 지불 정보의 처리 확인 및 제증명 정보의 검증에 따라 처리된 제증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제증명 정보를 하나 이상의 출력 매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증명 정보는 제증명 원본 정보 및 제증명 검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증명 원본 정보는 문서 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증명 검증 정보는 상기 문서 파일 정보에 대응하여 해시 처리된 해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도 지정된 제증명 정보가 등록되면,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한 정보 이용자 단말(10)로의 제증명 정보 제공 거래시 정보 이용자 단말(10)의 인증 정보에 따른 그 용도 또는 제공처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제증명 정보는 상기 용도 제한 코드에 따른 검증 처리가 분산 수행되어,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거래 내역이 승인된 정보로서, 그 검증 결과 정보로부터 위변조 여부가 충분히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별도의 중앙 서버 없이도, 용도가 검증 가능한 제증명 정보의 등록 및 제공 서비스가 처리됨으로써, 익명성은 유지하면서도 제공처에 따른 정보 유출의 사회적 부작용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제증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

  1.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부;
    정보 이용자 인증 정보 및 제증명 제공 거래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제증명 제공 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한 용도 제한 코드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로부터 식별하고, 상기 용도 제한 코드 및 상기 정보 이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한 상기 제증명 제공 거래에 대응한 검증 처리요청을 공유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검증 처리요청에 대응한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증명 정보를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공유받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이용자 단말장치.



KR1020180058549A 2018-05-23 2018-05-23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KR20190133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49A KR20190133519A (ko) 2018-05-23 2018-05-23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549A KR20190133519A (ko) 2018-05-23 2018-05-23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19A true KR20190133519A (ko) 2019-12-03

Family

ID=6883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549A KR20190133519A (ko) 2018-05-23 2018-05-23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35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30A1 (ko) * 2021-01-25 2022-07-28 주식회사 블로코엑스와이지 블록체인 기반 개인 신상 증명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30A1 (ko) * 2021-01-25 2022-07-28 주식회사 블로코엑스와이지 블록체인 기반 개인 신상 증명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07490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블로코엑스와이지 블록체인 기반 개인 신상 증명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31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based cross-entity authentication
Niranjanamurthy et al. Analysis of Blockchain technology: pros, cons and SWOT
US107280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based cross-entity authentication
JP6794527B2 (ja) 安全な台帳分散の方法及び安全な分散型台帳技術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
US202202151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digital signatures to create trusted digital asset transfers
WO20210004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based cross-entity authentication
KR102332034B1 (ko) 정보 보호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1034114B (zh) 具有记录安全性的区块链架构
EP3520319B1 (en) Distributed electronic record and transaction history
WO2019228557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identifier authentication
KR20190133526A (ko) 기록매체
WO2019225850A1 (ko) 제증명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3519A (ko)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KR20190133521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133491A (ko) 정보 처리 시스템
ES2962110T3 (es) Método para confiar contenidos de operaciones blockchain
KR20190133531A (ko) 제증명 정보 처리 장치
KR20190133517A (ko) 제증명 정보 처리 방법
KR20190133501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133537A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190133508A (ko) 기록매체
KR20190133463A (ko) 정보 처리 방법
KR20190133447A (ko) 정보 처리 장치
KR20190133541A (ko) 기록매체
KR20190133460A (ko)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