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169A - 수직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수직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169A
KR20190136169A KR1020180061487A KR20180061487A KR20190136169A KR 20190136169 A KR20190136169 A KR 20190136169A KR 1020180061487 A KR1020180061487 A KR 1020180061487A KR 20180061487 A KR20180061487 A KR 20180061487A KR 20190136169 A KR20190136169 A KR 20190136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shield shell
wir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942B1 (ko
Inventor
송용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94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제1삽입구(301)와 제2삽입구(302)가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절곡된 외부하우징(300)과, 쉴드선(112)이 밴딩되어 외피(113)에 안착되도록 선단이 노출된 와이어(110)의 일부를 감싸는 클림프링(115)과, 상기 제1삽입구(301)로 삽입되며, 일단에는 상기 와이어(110)와 결합되고, 타단에는 편평한 링형상인 제1단자부(121)가 구비된 제1터미널(120)과, 상기 외부하우징(300) 내에서 상기 제1단자부(121)와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삽입구(302)로 삽입되며, 일측이 돌출된 제2단자부(221)가 구비된 제2터미널(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므로 각 터미널을 감싸는 쉴드쉘의 형합성이 증가하고, 와이어의 쉴드선과 제1,2쉴드쉘을 모두 접속시키는 부위가 3점 이상으로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수직형 커넥터 {VERTICAL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수직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을 감싸는 쉴드쉘을 다이캐스팅으로 인한 스프링백 현상이 없도록 성형하여 형합성을 높이고, 쉴드선 및 쉴드쉘 간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는 수직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적인 성질을 가진 부품들의 연결을 견고하게 이어주면서 전기적인 성능을 유지토록 하는 매개체로서,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 전기 배선인 전선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커넥터는 자동차 부품에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에 구성되는 부품으로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터미널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결속하여 전류가 손실 없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장부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다수의 전선을 한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전압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고전압 커넥터는 고전압으로 인해서 상당히 많은 전자파가 발생되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를 위한 차폐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전압 커넥터 간 결합 시, 각각의 차폐하우징을 신뢰성 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쉴드커넥터가 사용된다.
상기 쉴드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되는 쉴드쉘로 이루어진다. 상기 쉴드쉘은 판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쉴드케이블의 쉴드층과 접속되어 내부에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쉴드쉘은 쉴드케이블과의 접촉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다.
쉴드케이블을 타 케이블(쉴드케이블 또는 종류가 다른 케이블)에 접속할 경우, 암/수의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각각의 케이블을 접속하고, 케이블이 접속된 한 쌍의 커넥터를 서로 결합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쉴드쉘은 금속박판이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됨에 따라, 스프링백 현상 및 온도에 따른 변형에 의해서 한 쌍의 커넥터에 구비된 각각의 쉴드쉘이 서로 밀착접속되기 어려우며, 수직형 커넥터의 경우에 상기 커넥터를 감싸는 쉴드쉘이 모두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더욱 문제가 된다. 결국, 한 쌍의 커넥터에 구비된 각각의 쉴드쉘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제대로 접지되지 못하고 쉴드커넥터 외부로 흘러나가 주변기기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16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커넥터에 사용되는 쉴드쉘간의 형합성을 높이고, 터미널과 쉴드쉘 간의 안정적인 연결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가 서로 직교하게 만나 연통되도록 절곡된 형상의 외부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구로 삽입되며, 일측은 와이어와 결합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을 감싸는 제1쉴드쉘이 구비된 제1조립체와, 상기 외부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터미널과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삽입구로 삽입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을 감싸는 제2쉴드쉘이 구비된 제2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쉴드쉘에는 상기 제1단자부가 노출되는 일측 바닥면에 헤드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쉴드쉘의 각 선단에는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접촉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부와 접촉고정부가 접촉된다.
상기 제1조립체는 상기 제1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단자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단자노출부가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을 감싸고, 상기 헤드부와 수직한 양측면에는 제1걸림부가 탄성변형되게 형성되며, 타측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클림프링과 고정접촉되는 제1쉴드쉘을 포함한다.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제2삽입구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2터미널이 삽입되는 제2터미널삽입구와, 타측에는 상기 제1조립체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터미널삽입구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1터미널삽입구가 구비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부 단자가 삽입되는 터미널캡과, 상기 제2하우징 및 터미널캡을 감싸되,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와 대응되게 측면 일부가 개방된 제2쉴드쉘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에는 쉴드선이 밴딩되어 외피에 안착되도록 선단이 노출되어 클림프링과 결합되고, 상기 제1터미널은 일측은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고, 타측 선단에는 편평한 링형상인 제1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터미널은 일측이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된 제2단자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쉴드쉘의 스프링은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클림프링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상으로 배치되어 접촉된다.
상기 제1쉴드쉘의 제1걸림부는 상기 제1쉴드쉘의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삽입구 쪽으로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중단부까지 연장되는 하우징쉘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2쉴드쉘은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와 대응되게 중단부에서부터 타측 선단까지 영역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면 양측에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는 접촉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날개에는 복수의 접촉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와 접촉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접촉고정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며, 일측은 상기 제2하우징 및 터미널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헤드부와 접촉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절곡부위가 없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므로 각 터미널을 감싸는 쉴드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형합성이 높아져 조립이 간단해지고 생산성이 증가한다.
또한, 다이캐스팅을 사용하지 않고 얇은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여 각 선단이 만나서 폐쇄되도록 쉴드쉘을 제작하므로 스프링백 현상이 해결되어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설계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쉴드쉘에 헤드부와 제1걸림부 및 접촉고정부와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접촉부위가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의 쉴드선과 제1쉴드쉘을 스프링 구성으로 탄성접속시키고, 제1쉴드쉘의 헤드부 및 연장부와 제2쉴드쉘의 접촉고정부와 접촉돌기를 각각 접속시키므로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여 전자파 차폐 및 접지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제1쉴드쉘의 스프링구조가 다각형으로 배치되어 와이어에 설치된 클림프링을 고정하므로 클림프링 및 와이어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와이어와 제1쉴드쉘간의 동작신뢰성이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와이어와 제1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쉴드쉘의 사시도와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2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2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2쉴드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쉴드쉘과 제2쉴드쉘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형 커넥터를 결합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수직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하우징(300)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300)에는 제1삽입구(301)와 제2삽입구(3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구(301)와 제2삽입구(302)에 의해 연장된 공간은 상기 외부하우징(300)의 내부에서 서로 직교하게 만나 연통된다. 상기 외부하우징(300)의 제1삽입구(301)에는 제1터미널(120)을 포함한 제1조립체(100)가 삽입되고, 상기 제2삽입구(302)에는 제2터미널(220)을 포함한 제2조립체(200)가 삽입된다. 상기 외부하우징(3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가 결합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조립체(100)는 상기 제1터미널(120), 제1하우징(130), 제1쉴드쉘(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2조립체(200)는 상기 제2터미널(220), 제2하우징(230), 제2쉴드쉘(240)을 포함한다. 와이어(110)는 상기 제1조립체(100)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2하우징(130,230)은 절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2쉴드쉘(140,240) 및 제1,2터미널(120,220)은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110)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중심선(111), 상기 중심선(111)을 감싸는 내피(미도시), 상기 내피(미도시)의 외부를 감싸 형성되는 쉴드선(112) 및 상기 쉴드선(112) 외부에 형성되는 외피(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쉴드선(112)이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하여 전자파가 주변 전자기기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와이어(110)의 단부에는 중심선(111), 내피(미도시), 쉴드선(112), 외피(113)가 차례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피(113)를 감싸도록 서포트링(114)이 상기 와이어(110)에 끼워진다. 상기 와이어(110)의 쉴드선(112)은 상기 서포트링(114)의 상면을 덮도록 절곡되고, 그 위로 클림프링(115)이 안착되어 상기 쉴드선(112)은 상기 서포트링(114)과 클림프링(115)의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와이어(110)는 상기 제1터미널(12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와이어(110)의 선단은 상기 제1터미널(120)에 끼워지고, 상기 제1터미널(120)과 클림프링(115) 사이에 노출된 상기 와이어(110)의 중심선(111)은 핑거캡(116)으로 감싸져 절연된다.
상기 제1터미널(120)의 일측에는 상술한 와이어(110)의 선단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1단자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단자부(121)는 편평한 링형상이며, 링형상의 가운데 형성된 홀에 너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제2터미널(220)과 나사결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130)은 대략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120) 및 상기 제1터미널(120)과 결합된 와이어(110)의 일부를 감싼다. 상기 제1하우징(130)은 상기 제1터미널(120)과 상기 제1쉴드쉘(140) 사이의 절연을 위한 것으로, 일측은 상기 제1터미널(120)의 제1단자부(121)를 감싸도록 링형상과 대응되게 단자노출부(131)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제1터미널(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하우징(130)의 타측에는 상기 제1터미널(120)이 삽입되면서 상기 와이어(110)와 결합된 클림프링(115)이 걸쳐지는데, 상기 클림프링(115)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클림프링고정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클림프링고정부(133)는 상기 제1하우징(130)의 타측 선단 외면의 가운데가 개방되어 모서리부분만 남아있는 형태이며, 상기 개방된 부분에 클림프링(115)이 걸쳐진다. 상기 단자노출부(131)가 형성된 양 측면에는 요입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부(132)는 상기 제1쉴드쉘(140)이 결합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쉴드쉘(140)의 형상에 대응되게 요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쉴드쉘(14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제1하우징(130)의 외면을 감싼다. 상기 제1쉴드쉘(140)은 얇은 사각의 금속판의 각 선단이 만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스프링백과 같은 재료의 변형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제1쉴드쉘(140)의 일측에는 상기 제1터미널(120)의 제1단자부(121)가 안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와이어(110)의 클림프링(115)이 접촉된다. 상기 제1쉴드쉘(140)의 일측 바닥면에는 헤드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42)는 상기 제1단자부(121)의 실루엣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후술할 제2쉴드쉘(240)과 접촉하여 접지된다.
상기 제1쉴드쉘(140)의 헤드부(142)가 형성된 양측면에는 각각 제1걸림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145)는 상기 제1쉴드쉘(140)의 내부로 요입된 후 요입된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5a)와 상기 연장부(145a)의 선단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4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부(145a)는 내부로 약간 요입되어 있어 상기 제2쉴드쉘(240)과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절곡부(145b)는 상기 외부하우징(300)과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145a)가 상기 제1쉴드쉘(140)의 내부로 요입됨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145a)와 접촉되는 상기 제1하우징(130)의 면에도 상기 요입부(132)가 형성되어 함께 요입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부(142)는 얇은 금속판 하나로만 이루어지므로 상기 헤드부(142)에 그루브(143)가 더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쉴드쉘(140)의 타측에는 스프링(141)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41)은 상기 제1쉴드쉘(140) 내부로 삽입된 클림프링(115)을 압착하며, 상기 쉴드선(112)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된다. 상기 스프링(141)은 6각 또는 8각 등 다각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클림프링(115) 또는 와이어(11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와이어(110)의 동작신뢰성이 증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터미널(220)은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원형칼럼 형상의 제2단자부(221)가 돌출된다. 상기 제2단자부(221)는 상기 제1단자부(121)에 삽입되어 상기 제1터미널(120)과 제2터미널(2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단자부(221)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120)에 결합된 너트(미도시)와 결합될 때, 더욱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230)은 대략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30)의 일측 선단이 개방된 제2터미널삽입구(232)가 형성되어 상기 제2터미널(220)이 삽입된다. 상기 제2하우징(230)의 타측 외면에는 상기 제1조립체(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터미널삽입구(231)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231)는 상기 제2하우징(230)의 내부에서 상기 제2터미널삽입구(232)와 수직으로 연통되어 만난다.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231)는 상기 제1조립체(100)의 형상과 대응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하우징(230)의 외면에는 하우징쉘(233)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쉘(233)은 상기 제2하우징(230)의 외면을 대략 1/4정도 덮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터미널삽입구(232) 쪽으로 연장되는 부위가 상기 제2하우징(230)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231)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23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30)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쉘(233) 사이에 이격된 부위로 상기 제2쉴드쉘(240)이 삽입고정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쉘(233)에도 역시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231)가 형성되어 상기 제1터미널(120)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제2하우징(230)의 외면에는 상기 제2쉴드쉘(24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마찰을 줄이기 위한 리브(234)가 상기 제2쉴드쉘(2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230)의 일측 선단에는 터미널캡(235)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캡(235)은 양측이 개방된 링 형상이며, 상기 터미널캡(235)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 단자를 상기 터미널캡(235)에 나사결합시켜 간단하게 커넥터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쉴드쉘(240)은 얇은 판형의 금속판을 중공의 실린더 형태로 만들어 형성된다. 상기 제2쉴드쉘(240) 역시 상기 제1쉴드쉘(140)과 마찬가지로 금속판의 각 선단이 만나도록 굽어져 형성되므로 스프링백과 같은 재료의 변형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제2쉴드쉘(240)은 상기 제2하우징(230)을 감싸므로 상기 제2하우징(230)의 형상과 유사하다. 다만, 상기 제2하우징(230)의 타측은 폐쇄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제2쉴드쉘(240)은 양방향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쉴드쉘(240)은 측면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제1터미널(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230)의 제1터미널삽입구(231)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쉴드쉘(240)의 중단부에서부터 타측 선단까지 영역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 개방되도록 절단된 양측에 접촉날개(242)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날개(242)는 상기 제1터미널(120)이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231)에 삽입되면, 상기 제1조립체(100)의 상기 제1쉴드쉘(140)의 연장부(145a)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날개(242)에는 복수의 접촉돌기(243)가 더 형성되어 상기 제1쉴드쉘(140)의 연장부(145a)와 더욱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어서 접촉안정성이 증가한다.
상기 제2쉴드쉘(240)의 각 선단에는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접촉고정부(241)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고정부(241)는 상기 제1쉴드쉘(140)의 제1걸림부(145)와 유사한 형상으로 그 선단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접촉고정부(241)는 그 선단이 상기 제2쉴드쉘(24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일측에 형성된 접촉고정부(241)는 상기 제2하우징(230)에 걸어져 고정되고, 타측에 형성된 접촉고정부(241)는 상기 제1쉴드쉘(140)의 헤드부(142)와 접촉된다.
상기 제1쉴드쉘(140)의 헤드부(142)와 상기 제2하우징(230)의 접촉고정부(241)가 접촉되고, 상기 제1쉴드쉘(140)의 연장부(145a)와 상기 제2하우징(230)의 복수의 접촉돌기(243)가 접촉되는 형상은 한 번에 복수의 지점에서 다점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접촉안정성이 매우 높아져 안정적인 접지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2쉴드쉘(240)의 외면에는 제2걸림부(24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244)는 상기 제2쉴드쉘(240)의 일부가 외면 바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부(244)는 상기 제1쉴드쉘(140)의 걸림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외부하우징(300)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직형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화살표① 방향으로, 상기 외부하우징(300)의 제2삽입구(302)에는 상기 제2하우징(230)과 제2쉴드쉘(240)이 결합된 상태로 삽입된다. 상기 제2쉴드쉘(240)은 상기 제2하우징(2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제2하우징(230)은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231)가 상기 제1삽입구(301) 방향을 향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터미널(220)은 아직 삽입되지 않는다.
그 다음 화살표② 방향으로, 상기 외부하우징(300)의 제1삽입구(301)에는 상기 제1하우징(130)과 제1쉴드쉘(140)이 결합된 상태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쉴드쉘(140)의 헤드부(142)는 상기 제2쉴드쉘(240)의 접촉고정부(241)에 접하도록 상기 외부하우징(300)의 내면과 상기 접촉고정부(241)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하우징(130)의 단자노출부(131)는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231)에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110)와 제1터미널(120)은 서로 결합된 상태이지만 아직 상기 제1삽입구(301)에는 삽입되지 않는다. 이때,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쉴드쉘(140)의 헤드부(142)와 연장부(145a)가 각각 상기 제2쉴드쉘(240)의 접촉고정부(241)와 상기 접촉날개(242)의 접촉돌기(243)와 접촉된다.
상기 제1,2삽입구(301,302)에 각각 제1,2하우징(130,230)과 제1,2쉴드쉘(140,240)이 삽입되면, 상기 와이어(110)와 결합된 상기 제1터미널(120)이 화살표③ 방향인 상기 외부하우징(300)의 제1삽입구(301)로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110)의 쉴드선(112)은 상기 클림프링(115)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클림프링(115)은 상기 제1쉴드쉘(140)의 스프링(141)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10)의 쉴드선(112)은 상기 제1쉴드쉘(140)을 통해서 상기 제2쉴드쉘(240)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제1터미널(120)이 상기 외부하우징(300) 내로 삽입되면, 화살표④ 방향으로 상기 제2터미널(220)이 삽입된다. 상기 제2터미널(220)의 상기 제2단자부(221)는 상기 제1터미널(120)의 제1단자부(121)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단자부(121)는 링형상으로 내부에는 너트(미도시)가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제2단자부(221)와 제1단자부(121)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외부하우징(300) 내에서 상기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결합이 완료된 수직형 커넥터의 전자파가 차단되어 접지되는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141)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쉴드쉘(140)의 헤드부(142)와 상기 제1걸림부(145)의 연장부(145a)가 각각 상기 제2쉴드쉘(240)의 접촉고정부(241)와 상기 접촉날개(242)의 접촉돌기(243)과 접촉된다.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상기 와이어(110)로부터 발생한 전자파는 상기 와이어(110)의 쉴드선(112)을 따라 흐른다. 상기 전자파는 상기 쉴드선(112)과 접촉된 상기 클림프링(115)으로 전달되어 상기 클림프링(115)과 접촉된 스프링(141)을 구비한 상기 제1쉴드쉘(140)을 통과한다. 상기 제1쉴드쉘(140)을 통해 흐르는 전자파는 상기 제1쉴드쉘(140)의 헤드부(142) 및 연장부(145a)를 통해서 상기 제2쉴드쉘(240)의 접촉고정부(241)와 접촉돌기(243)로 흘러들어가며, 상기 제2쉴드쉘(240)의 타단에 형성된 접촉고정부(241)을 통해 외부와 접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조립체 110 : 와이어
111 : 중심선 112 : 쉴드선
113 : 외피 114 : 서포트링
115 : 클림프링 116 : 핑거캡
120 : 제1터미널 121 : 제1단자부
130 : 제1하우징 131 : 단자노출부
132 : 요입부 133 : 클림프링고정부
140 : 제1쉴드쉘 141 : 스프링
142 : 헤드부 143 : 그루브
145 : 제1걸림부 145a : 연장부
145b : 절곡부 200 : 제2조립체
220 : 제2터미널 221 : 제2단자부
230 : 제2하우징 231 : 제1터미널삽입구
232 : 제2터미널삽입구 233 : 하우징쉘
234 : 리브 235 : 터미널캡
240 : 제2쉴드쉘 241 : 접촉고정부
242 : 접촉날개 243 : 접촉돌기
244 : 제2걸림부 300 : 외부하우징
301 : 제1삽입구 302 : 제2삽입구

Claims (9)

  1.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가 서로 직교하게 만나 연통되도록 절곡된 형상의 외부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구로 삽입되며, 일측은 와이어와 결합되는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을 감싸는 제1쉴드쉘이 구비된 제1조립체와,
    상기 외부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터미널과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삽입구로 삽입되는 제2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을 감싸는 제2쉴드쉘이 구비된 제2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쉴드쉘에는 상기 제1단자부가 노출되는 일측 바닥면에 헤드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쉴드쉘의 각 선단에는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접촉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부와 접촉고정부가 접촉되는 수직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는
    상기 제1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와이어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단자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단자노출부가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을 감싸고, 상기 헤드부와 수직한 양측면에는 제1걸림부가 탄성변형되게 형성되며, 타측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클림프링과 고정접촉되는 제1쉴드쉘을 포함하는 수직형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제2삽입구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2터미널이 삽입되는 제2터미널삽입구와, 타측에는 상기 제1조립체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터미널삽입구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제1터미널삽입구가 구비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부 단자가 삽입되는 터미널캡과,
    상기 제2하우징 및 터미널캡을 감싸되,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와 대응되게 측면 일부가 개방된 제2쉴드쉘을 포함하는 수직형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는 쉴드선이 밴딩되어 외피에 안착되도록 선단이 노출되어 클림프링과 결합되고,
    상기 제1터미널은 일측은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고, 타측 선단에는 편평한 링형상인 제1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터미널은 일측이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된 제2단자부가 구비된 수직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쉘의 스프링은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클림프링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각형상으로 배치되어 접촉되는 수직형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쉴드쉘의 제1걸림부는 상기 제1쉴드쉘의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구성된 수직형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삽입구 쪽으로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중단부까지 연장되는 하우징쉘이 더 형성되는 수직형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쉴드쉘은 상기 제1터미널삽입구와 대응되게 중단부에서부터 타측 선단까지 영역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면 양측에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는 접촉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날개에는 복수의 접촉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와 접촉안정성을 높이는 수직형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고정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며, 일측은 상기 제2하우징 및 터미널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헤드부와 접촉되는 수직형 커넥터.

KR1020180061487A 2018-05-30 2018-05-30 수직형 커넥터 KR10253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487A KR102531942B1 (ko) 2018-05-30 2018-05-30 수직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487A KR102531942B1 (ko) 2018-05-30 2018-05-30 수직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169A true KR20190136169A (ko) 2019-12-10
KR102531942B1 KR102531942B1 (ko) 2023-05-15

Family

ID=6900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487A KR102531942B1 (ko) 2018-05-30 2018-05-30 수직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9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622A (ko) * 2006-09-14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쉴드쉘과 쉴드쉘을 구비한 와이어 커넥터
KR200441681Y1 (ko) 2006-10-24 2008-09-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세트
CN206585111U (zh) * 2017-03-21 2017-10-24 成都晨风绿能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弯角连接装置及应用该装置的大电流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622A (ko) * 2006-09-14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쉴드쉘과 쉴드쉘을 구비한 와이어 커넥터
KR200441681Y1 (ko) 2006-10-24 2008-09-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세트
CN206585111U (zh) * 2017-03-21 2017-10-24 成都晨风绿能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弯角连接装置及应用该装置的大电流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942B1 (ko) 202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7932B2 (en) Connector structure
JP6222751B2 (ja) ヘッダーアセンブリ
JP6371368B2 (ja) 直角ヘッダアセンブリ
US11024984B2 (en)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able assembly
CN106911045B (zh) 屏蔽连接结构
WO2018008374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11239610B2 (en) Electrical plug with specific earthing of outer parts
US10819071B2 (en) Connector structure that is reconfigurable to accommodate either an STP cable or a UTP cable
KR20220043786A (ko) 배터리용 커넥터장치
US10505309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seal assembly
US7909645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US9231338B2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WO2015186497A1 (ja) コネクタ
US20220302618A1 (en) Branch connector
JP2013232377A (ja) 圧着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接続構造並びに電気接続箱
US11664621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with electric wires including the connector
KR20190136169A (ko) 수직형 커넥터
JP2019153495A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H10255913A (ja) ガイドブッシュ付き電気コネクタ
US11955751B2 (en) Connector
KR20210078321A (ko) 커넥터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2264994B1 (ko) 커넥터블럭용 접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접지구
US20220294151A1 (en) Connector for fitting with a docking connector comprising an electrical module plug and additional module plugs
EP4075603A1 (en) Electrical crimp ferrule, method for ferrule mount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