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783A - Apparatus for keeping foo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keeping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783A
KR20190135783A KR1020180061215A KR20180061215A KR20190135783A KR 20190135783 A KR20190135783 A KR 20190135783A KR 1020180061215 A KR1020180061215 A KR 1020180061215A KR 20180061215 A KR20180061215 A KR 20180061215A KR 20190135783 A KR20190135783 A KR 20190135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thermal image
storage device
led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3507B1 (en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riority to KR1020180061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07B1/en
Publication of KR2019013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3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terilisation or pasteurisat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torage device which can be stored safely from bacteria or fungi by performing a sterilization function when storing foods.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main body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nd which h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foods; a tray which accommodates the foods and enters the storage space; an LED ultraviolet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irradiating the ultraviolet light to sterilize the foods of the tray.

Description

음식물 보관장치{APPARATUS FOR KEEPING FOOD}Food storage device {APPARATUS FOR KEEPING FOOD}

개시된 내용은, 음식물 저장시 살균기능을 수행하여 보다 세균이나 곰팡이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food storage device that can be safely stored from bacteria or mold by performing a sterilization function when storing food.

음식물은 유아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세대에 걸쳐 생존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서 인간의 최대 관심사가 되어 왔다. 음식물의 올바른 섭취는 신체를 건강하게 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병이나 심각한 질병을 초래하기도 한다. Food has become a human concern as an essential element for survival for all generations, from infants to the elderly. Eating right foods can make your body healthy, but it can also lead to illness or serious illness.

이러한 이유로, 음식물 보관방법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취급되어 왔고 냉장고를 비롯한 이와 관련된 제품들이 다수 등장하게 되었다.For this reason, food storage methods have been very important, and many refrigerators and related products have emerged.

종래 대부분의 음식물 보관장치는 상온에서의 세균번식 등의 이유로 냉장장치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 경우 음식물 본연의 맛이 사라지는 문제가 있어 상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Conventionally, most food storage devices have been generally equipped with a refrigeration device due to bacterial propagation at room temperature,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riginal taste of food disappears, so a method of keeping fresh at room temperature has been required.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10-0878558호의 질소가스를 이용한 음식물 신선 보관장치 등이 있다.Related arts related to this include a food freshness storage device using nitrogen gas of Korea Patent No. 10-0878558.

KRKR 10-087855810-0878558 B1B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to provide a food storage device that can be stored fresh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또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o provide a food storage device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while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또한, 음식물 보관장치에 냉각장치와 습도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관된 음식물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food storage device by providing a cooling device and a humidity control device to provide a food storage device that can maintain the optimal state of the stored food.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는, 도어에 의해 일면이 개폐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기 보관공간에 인입되는 트레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트레이의 음식물을 살균하는 LED 자외선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ne sid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food therein, a tray that is accommodated food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and one side surface inside the body It may include an LED ultraviolet module disposed on and sterilizing the food of the tray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여기서, 상기 본체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 자외선모듈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배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이격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열된 복수개의 LED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is made of a hexahedral shape, the LED UV module is formed in a pair of rectangular base panel spaced apart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rear portion, and a plurality of LED light emitting arranged on the base panel It may include a diode.

또한, 상기 트레이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층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복수개의 열화상감지센서가 상기 트레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tray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ys to form a layer, and a plurality of thermal image sensors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rays, respectively, between the pair of base panels.

한편, 상기 음식물 보관장치는,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온의 온도범위에 따라 음식물의 종류별 상태값인 열화상 정보값들이 기록되는 메모리부와, 음식물의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상태표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storage devic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UV module, a memory unit for recording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values, which are status values for each type of foo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ange of room temperature, and a status display indicating the state of the food to the out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bar.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감지센서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된 열화상 정보와 비교한 다음, 일치여부에 따라 음식물의 실시간 상태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thermal image sensor in real time with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set in the memory unit, and then derive a real-time state value of foo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matches. .

그리고, 상기 실시간 상태값은 상기 상태표시바를 통해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타내어지며, 2단계 내지 5단계인 경우 상기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1단계인 경우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l-time status value is represented by the first to fifth stages through the status bar, and in the second to fifth stages,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In the first stage, the food is corrupted through an alarm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forming.

한편, 상기 제어부는, 초기값 설정시 절전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LED 자외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되, 상기 실시간 상태값에 따라 상기 LED 자외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et at the initial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ED ultraviolet module, to operate the LED ultraviolet module according to the real-time state value.

여기서, 상기 실시간 상태값은 상기 상태표시바를 통해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타내어지며, 1단계인 경우에는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고, 2단계 내지 4단계인경우 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동작시키며, 5단계인 경우에는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되 상기 LED 자외선모듈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al-time state value is represented in the first to fifth stages through the status display bar, in the case of the first stage to notify the outside that the food is corrupted through the alarm unit, in the case of the second to fourth stages to operate the LED UV module In the case of step 5,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but the operation of the LED ultraviolet module is blocked.

그리고, 상기 LED 자외선모듈의 동작에 따른 출력값은 다시 1단계 내지 5단계의 실시간 상태값으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각 단계에 따라 동일과정을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D UV module is represented as a real-time state value of steps 1 to 5 agai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same process repeatedly for each step.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상온에서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ored fresh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또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while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또한, 음식물 보관장치에 냉각장치와 습도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관된 음식물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ooling device and a humidity control device in the food storage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ored food can maintain an optimal state.

본 실시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동작과정으로서 일반모드일 때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동작과정으로서 절전모드일 때를 나타낸 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when in the normal mode as an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power saving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10)는 도어(140)에 의해 일면이 개폐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이 마련된 본체(100)와, 음식물이 수용되며 보관공간에 인입되는 트레이(200)와, 본체(100)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트레이(200)의 음식물을 살균하는 LED 자외선모듈(5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food storage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by the door 140 and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food therein, and the food is It may include a tray 200 that is accommodated and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the LED ultraviolet module 5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o sterilize the food of the tray 200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본체(100)는 원통형 구조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레이(200)의 인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tructure, but may preferably have a hexahedral shape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tray 200.

본체(100)의 내부 양 측면부(110)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레일(130)이 설치되게 되게 되는데, 이 가이드 레일(130)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트레이(200)가 슬라이딩 결합되게 된다.A plurality of guide rails 130 are installed on both inner side parts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one or a plurality of trays 200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s 130.

본체(100)의 전면에는 도어(14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도록 보관공간이 마련된다. 이 때 도어(140)에는 외부에서도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42)이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oor 140 and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so that food can be stored therein. At this time, the door 14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142 so as to check the state of the food stored inside.

도어(140)의 전면 상부에는 음식물 보관장치(10)의 전원을 ON/OFF 하는 전원버튼(320)과,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절전모드버튼(340)과, 보관할 음식물의 종류를 설정하는 음식물 설정버튼부(360)와, 음식물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00)와, 내부 음식물이 부패되었을 때 경보음이나 램프의 점멸을 통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알람부(48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400)가 전면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일 실시예일뿐이고 전면의 좌측, 우측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upper front of the door 140, the power button 320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food storage device 10, the power saving mode button 340 for setting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food setting for setting the type of food to be stored. The button unit 360, the display unit 400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food, and the alarm unit 480 for allowing the user to know immediately through the blinking of the alarm sound or lamp when the internal food is corrupted may be provided. ha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unit 40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provided at any one of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상술한 전원버튼(320)은 LED 자외선모듈(500) 등의 내부 주요 구성의 동작을 ON/OFF 하는 버튼이고, 음식물 설정버튼부(360)는, 트레이(200)가 복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트레이(200)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설정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설정버튼에 의해 트레이(200)에 보관되어 있는 음식물의 종류가 입력되며, 제어부(800, 도 4참조)는 이 입력된 값을 토대로 각 트레이(200)마(400)다 개별적으로 음식물 상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표시부에 나타낸다.The above-described power button 320 is a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LED ultraviolet module 500, etc., the food setting button unit 360, when the tray 20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trays ( A plurality of setting buttons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200. At this time, the type of food stored in the tray 200 is input by each setting button, and the control unit 800 (see FIG. 4) is based on the input value. The state is analyzed and the result is shown on the display.

절전모드버튼(340)은 음식물 보관장치(10)의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power saving mode button 340 is configur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10 will be described later.

도어(140)의 측면부에는 본체 내부가 외부의 상온과 일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150)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vent holes 150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door 140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may match the room temperature of the outside.

트레이(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의 자외선 노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평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만, 트레이(200)의 안쪽에는 음식물이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움푹파인 수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Tray 20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but preferably made of a flat plate to maximize the UV exposure area of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However, the inside of the tray 200 may be formed with a rectangular recessed receiving groove 220 so that food can be placed stably.

트레이(200)는 하나로 이루어져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레일(130)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거나, 복수개로 이루어져 층을 형성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The tray 200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y coupled to a plurality of guide rails 130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height-adjustable, or may be slidably coupled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트레이(200)의 양 사이드에는 본체의 레일(1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날개부(24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Both sides of the tray 200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wing portion 2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rail 130 of the main body to slide.

LED 자외선모듈(500)은 본체(100) 내부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0)에 설치되며, 배면부(120)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이격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패널(520)과, 베이스패널(520)에 배열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540)를 포함할 수 있다. LED ultraviolet module 500 is installed on one side, preferably the rear portion 120 inside the main body 100, a rectangular base panel 520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rear portion 120 and the bas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540 arranged in the panel 520.

LED 자외선모듈(500)은 제어부(800)와 연결되어 제어부(800)에 의해 그 동작시간이 제어되며 전원부(84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 영역대의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자외선 파장대는 살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200nm 내지 400nm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LED ultraviolet module 5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operation tim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00 and is supplied with power by the power supply unit 840 to emit light in the ultraviolet region. At this time, the ultraviolet wavelength band is preferably formed in 200nm to 400nm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steriliz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LED 발광다이오드(540)를 사용함으로써 살균력을 높이는 한편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경우 음식물의 자외선 살균처리를 위해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였으나 소비전력이 지나치게 높아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ltraviolet LED light emitting diode 540 is used to increase sterilization power while significantly lowering power consumption and extending the life semipermanently. In the conventional case, an ultraviolet lamp was used for ultraviolet sterilization of food, but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was too high and the maintenance cost was increased.

한편, 본체(100)의 배면부(120)의 한 쌍의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복수개의 열화상감지센서(60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thermal image sensors 6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base panels of the rear part 120 of the main body 100.

열화상감지센서(600)는 음식물의 열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비접촉식으로 열화상을 감지하는 촬영장치로 구성되며, 트레이(20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층을 형성할 경우, 트레이(20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is a sensor that detects heat of food and is composed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detects thermal images in a non-contact manner. When the tray 20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corresponds to the trays 200. It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position.

본 실시예서는 LED 자외선모듈(540)에 의한 간섭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레이(200)의 개수 등에 따라 본체(100)의 내부의 측면이나 윗면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o b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100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caused by the LED ultraviolet module 540,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ys 200, etc. Of course, it can be arrang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side or top of the.

음식물 보관장치(10)의 일측에는 냉각장치와 습도조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food storage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and a humidity control device.

냉각장치는 종래 일반적인 구성으로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순환팬으로 구성되며, 냉매의 순환싸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가 음식물 보관장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이 최적의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도 2의 도면부호 112는 냉각장치의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유입슬릿을 나타낸다.The cooling device is composed of a condenser, a compressor, an evaporator, and a circulation fan in a conventional general configuration. By cooling the air using a circulation cycle of the refrigerant and allowing the cooled air to circulate inside the food storage device, the stored foods are stored in an optimal state. It serves to be stored. 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112 of FIG. 2 represents a cold air inlet slit into which cold air of the cooling apparatus is introduced.

습도조절장치는 종래 일반적인 구성으로 증발판과, 분무장치와, 증발판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습도조절장치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저온 상태의 상대습도는 평균 60%인데 이 경우 과일류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습도조절장치를 통해 과일류의 최적 상태인 상대습도 80%를 유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부패방지와 함께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의 도면부호 114는 습도조절장치의 급기슬릿를 나타낸다.The humidity control device is conventionally composed of an evaporating plate, a spray device, and a blowing fan blowing toward the evaporating plate in a general configuration. In general,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low temperature state without operating the humidity control device is an average of 60%,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kept fresh fruits. Therefore, by maintaining the relative humidity of 80% of the optimum state of the fruit through the humidity control devi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ood along with preventing food corruption. Reference numeral 114 in FIG. 2 denotes an air supply slit of the humidity control devic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는 온도센서(700), 습도센서(720), 열화상감지센서(600), LED 자외선모듈(500), 메모리부(820), 제어부(800), 전원부(840) 및 기타 입력부(300)와 표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열화상감지센서(600) 등 상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4,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700, a humidity sensor 720, a thermal image sensor 600, an LED ultraviolet module 500, a memory unit 820, and a controller ( 800, a power supply unit 840, other input unit 300, and a display unit 400. Hereinafter,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uch as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will be omitted.

온도센서(700)는 음식물 보관장치(1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온도값들은 제어부(800)에 인가되며 제어부(800)에 의해 표시부(400)에 나타내어진다.Temperature sensor 700 is installed on one side inside the food storage device 10 to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In this case,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s are applied to the controller 8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0 by the controller 800.

습도센서(720)은 온도센서의 일측에 설치되며 음식물 보관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습도값들은 온도값과 함께 제어부(800)에 의해 표시부(400)에 나타내어진다.Humidity sensor 7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measures the humidity inside the food storage device. In this case, the measured humidity valu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0 by the controller 800 together with the temperature values.

메모리부(820)에는 상온의 온도범위 및 습도범위에 따라 음식물의 종류별 상태값인 열화상정보값들이 기록된다. 여기서, 열화상정보값들은 상온의 10℃ ~ 30℃의 각각의 특정온도와, 대략 10%~90% 내의 각각의 특정습도에서 채소류, 고기류, 생선류 등의 음식물들을 노출시킨 다음 열화상감지센서(600)를 통해 촬영, 출력된 이미지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In the memory unit 820, thermal image information values, which are state values for each type of food, are recorded according to a temperature range and a humidity range at room temperature. Here, the thermal image values are exposed to foods such as vegetables, meat, fish, etc. at specific temperatures of 10 ° C. to 30 ° C. of each room temperature, and at each specific humidity within approximately 10% to 90%. The image may be acquired by the photographed and output image through 600.

제어부(800)는 , LED 자외선모듈(500) 등의 내부 주요구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정보를 메모리부(820)에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와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 실시간 상태값을 도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시간 상태값은 후술할 상태표시바(420)를 통해 나타내어지게 된다.The controller 800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main components of the LED ultraviolet module 500 and the like, and thermal image information preset by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in real time to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set in the memory unit 820. Compared with, it derives real-time status value according to the match. In this case, the real-time status value is represented through the status bar 420 to be described later.

입력부(300)는 표시부(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술한 각 트레이(200)의 안치된 음식물의 종류를 설정하는 음식물 설정버튼(3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300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400 and may include a food setting button 360 for setting the types of foods placed in the trays 200 described above.

전원부(840)는 제어부(800)를 비롯한 보관장치의 주요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supply unit 840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mponents of the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control unit 800.

표시부(400)는 트레이(200)별 음식물의 상태를 나타낸 실시간 상태값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바(420)와, 설정버튼부(360)의 입력값, 현재 온도값, 습도값 등을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창(440)과,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480, 도 3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0 is a status display bar 420 displaying a real-time state value indicating the state of the food for each tray 200, so that the input value, the current temperature value, humidity value, etc. of the setting button unit 360 can be viewed It may include a display window 440 to display, and an alarm unit 480 (see Fig. 3) to inform the outside that the food is corrupted.

상태표시바(420)는 트레이(2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막대형상의 바로 구성되며 각각의 바는 음식물의 상태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별로 나타나도록 제 1 내지 5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태표시바(420)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크린 상에 퍼센트 비율로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Status bar 420 is composed of a number of bar-shaped ba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rays 200, each bar may be divided into the first to fifth stages so that the state of food appears step by step over time. ha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tus bar 420 is taken as an example to display the foo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동작과정으로서 일반모드일 때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동작과정으로서 절전모드일 때를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normal mode,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power saving mode.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장치의 일반모드와 절전모드에서의 동작과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5 and 6, an operation process in a normal mode and a power saving mode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일반모드일 경우, 초기값 설정단계(S21)에서 보관할 음식물들을 그 종류별로 복수개의 트레이(200)에 안치한 다음 전원버튼(320)을 누르고 음식물 설정버튼(360)을 통해 트레이(200)의 각 층에 해당되는 음식물의 종류를 입력한다. In the normal mode, the food to be stored in the initial value setting step (S21) is placed in a plurality of trays 200 for each type, then press the power button 320 and each layer of the tray 200 through the food setting button 360 Enter the type of food.

전원버튼(320)이 ON 되면 LED 자외선모듈(500)이 동작되어 음식물 보관장치(10) 내부의 음식물들이 살균되고, 온도센서(700)와 습도센서(72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과 습도값은 자동적으로 제어부(800)에 인가되며, 제어부(800)는 인가된 온도값 및 습도값에 따라 후술할 메모리부(820)에 저장된 열화상정보값들을 인출하게 된다.When the power button 320 is turned on, the LED ultraviolet module 500 is operated to sterilize the food in the food storage device 10,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700 and the humidity sensor 720. Is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controller 800, and the controller 800 extracts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values stored in the memory unit 82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applied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이때,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은 LED 자외선모듈(500)의 동작에 의해 느린 생화학적 변화를 거치게 되나 상당 시간이 경과하면, 음식물에 생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그 결과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감지된 열상촬영값들도 변화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ood stored inside is subjected to a slow biochemical change by the operation of the LED ultraviolet module 500, but when a considerable time passes, the biochemical change occurs in the food and as a result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The detected thermography values will also change.

이와 관련하여, S22 ~ S24 에서 제어부(800)는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정보를 메모리부(820)에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와 비교 분석한다. 이때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는 표시부(400)의 상태표시바(420)의 단계와 동일하게 5단계로 구분된다. 여기서, 1단계는 음식물의 부패정도가 심하여 섭취할 수 없는 단계이고, 2단계부터 4단계는 음식물의 생화학적 변화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으로서 섭취 가능한 단계이며, 5단계는 초기상태로서 생화학적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단계이다. In this regard, in S22 to S24, the controller 800 compares and analyzes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with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preset in the memory unit 820. In this case, the preset thermal image information is divided into five stages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the status bar 420 of the display unit 400. Here, the first stage is a step that can not be ingested because the degree of corruption of the food is severe, the second to fourth stages represent the biochemical change of the food in stages, the ingestible stage, and the fifth stage is the initial state, the biochemical change is almost This step does not happen.

실시간 열화상정보값들은 기 설정된 정보값들과 지속적으로 매칭되고, 일정 오차 범위를 기준으로 일치하게 되면 상태표시바(420)를 통해 나타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트레이(200)별로 음식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real-time thermal image information values are consistently matched with preset information values, and when matched based o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re displayed through the status bar 420. Accordingly, the user can display the state of food for each tray 200. I can figure it out.

S24에서, 상태표시바(420)가 1단계를 나타낼 경우(S24) 그 트레이(200)의 음식물은 섭취가 불가능함을 의미하므로 제어부(800)는 알람부(480)를 통해 즉시 외부에 알린다. 그리고, 상태표시바(420)이 2단계 내지 5단계인 경우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동일과정을 반복수행한다.In S24, when the status bar 420 indicates the first step (S24), the food in the tray 200 may not be ingested, so the controller 800 immediately informs the outside through the alarm unit 480. When the status bar 420 has two to five stages,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continuously detects thermal image information and repeats the same process.

도 6을 참조하면, 절전모드일 경우, 초기값 설정단계(S31)에서 보관할 음식물들을 그 종류별로 복수개의 트레이(200)에 안치한 다음 전원버튼(320)과 절전모드버튼(340)을 누르고 음식물 설정버튼(360)을 통해 트레이(200)의 각 층에 해당되는 음식물의 종류를 입력한다. 절전모드의 경우 도 5의 일반모드와 달리 LED 자외선모듈(500)이 동작하지 않고 음식물의 상태, 즉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한 실시간 상태값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foods to be stored in the initial value setting step S31 are placed in a plurality of trays 200 for each type, and then the power button 320 and the power saving mode button 340 are pressed and the food is set. The button 360 inputs the type of food corresponding to each layer of the tray 200. In the power saving mode, unlike the general mode of FIG. 5, the LED UV module 500 does not operate and operates according to a state of food, that is, a real time state value by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S32에서 열화상감지센서(600)는 각 트레이(200)에 안치된 음식물을 실시간 촬영하여 열화상정보를 검출한다.In S32,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detects thermal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foods placed in each tray 200 in real time.

S33 ~ S34 에서 제어부(800)는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정보를 메모리부(820)에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와 비교 분석한다. 이때 기 설정된 열화상정보는 표시부(400)의 상태표시바(420)와 동일하게 1단계에서 5단계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각 단계의 상태는 도 5의 일반모드와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n S33 to S34, the controller 800 compares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with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preset in the memory unit 820. In this case, the preset thermal image information is divided into five stages, in the same manner as the status display bar 420 of the display unit 400. Here, the state of each step is the same as the general mode of FIG.

제어부(800)의 비교 연산결과, 실시간 열화상정보값들이 기 설정된 정보값들과 일정 오차 범위를 기준으로 일치하게 되면 상태표시바(420)를 통해 1 내지 5단계로 나타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800, when the real-time thermal image information values match the preset information values based o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control unit 800 is displayed in steps 1 through 5 through the status display bar 420.

이때, 그 출력값이 1단계(S35-1)를 나타내면 알람부(480)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즉시 외부에 알리고, 2 내지 4단계(S35-2)를 나타내면 음식물에 생화학적 변화가 어느 정도 일어났음을 의미하므로 음식물의 세균이 박멸되도록 LED 자외선모듈을 동작시킨다(S36).At this time, if the output value indicates step 1 (S35-1), the alarm unit 480 immediately informs the outside that the food is decay, and if the 2-4 step (S35-2) indicates the biochemical change to the food to some extent Since it means that the LED ultraviolet module is operated to eradicate the germs of the food (S36).

그리고, 5단계(S35-3)인 경우에는 음식물에 세균이 번식되지 않은 신선한 상태를 의미하므로 LED 자외선모듈(500)을 동작을 차단시키고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해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도록 한다.And, in the case of step 5 (S35-3), since it means a fresh state in which germs are not propagated in food, the LED UV module 500 is blocked, and thermal imag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by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To be detected.

한편, 2 내지 4단계(S35-2)에 해당되어 LED 자외선모듈(500)이 동작되면 그 출력값은 다시 1단계 내지 5단계의 실시간 상태값으로 나타내어지고, 제어부(800)는 각 단계에 따라 동일과정을 반복수행한다. 즉 그 출력값이 1단계(S37-1)이면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고, 2 내지 4단계(S37-2)를 나타내면 LED 자외선모듈을 계속 동작시키며, 5단계인 경우에는 LED 자외선모듈(500)의 동작을 멈추고 열화상감지센서(600)에 의한 열화상정보만을 검출하도록 한다. Meanwhile, when the LED ultraviolet module 500 is operated in steps 2 to 4 (S35-2), the output value is represented as a real time value of steps 1 to 5 again, and the controller 800 is the same according to each step. Repeat the process. In other words, if the output value is 1st step (S37-1), the alarm unit notifies the outside that food is decayed, and if 2 to 4th step (S37-2) is indicated, the LED UV module continues to operate. The operation of 500 is stopped and only thermal image information by the thermal image sensor 600 is detec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전모드의 경우 일반모드에 비하여 음식물의 생화학적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나 일정 조건하에 LED 자외선모듈(500)이 동작되므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biochemical change of the food proceeds faster than the normal mode, but the LED UV module 500 operates under a certain condition, thereby keeping the food fresh while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in place of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음식물 보관장치 100: 본체
110: 측면부 120: 배면부
130: 가이드레일 140: 도어
150: 통기공 200: 트레이
320: 전원버튼 340: 절전모드버튼
400: 표시부 420: 상태표시바
440: 표시창 500: LED 자외선모듈
520: 베이스패널 540: LED 발광다이오드
600: 열화상감지센서 700: 온도센서
720: 습도센서 800: 제어부
820: 메모리부 840: 전원부
10: food storage device 100: main body
110: side portion 120: back portion
130: guide rail 140: door
150: air vent 200: tray
320: power button 340: power saving button
400: display unit 420: status display bar
440: display window 500: LED ultraviolet module
520: base panel 540: LED light emitting diode
600: thermal image sensor 700: temperature sensor
720: humidity sensor 800: control unit
820: memory unit 840: power unit

Claims (8)

도어에 의해 일면이 개폐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공간이 마련된 본체;
음식물이 수용되며 상기 보관공간에 인입되는 트레이;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트레이의 음식물을 살균하는 LED 자외선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A main body having one sid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food;
A tray that accommodates food and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And
And an LED ultraviolet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sterilize the food of the tray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 자외선모듈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배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이격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열된 복수개의 LED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s made of a hexahedron shape,
The LED ultraviolet module comprises a rectangular base panel which is formed in a pair and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rear part, and a plurality of LED light emitting diodes arranged on the base panel.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층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패널 사이에는 복수개의 열화상감지센서가 상기 트레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y consists of a plurality of layers to form a layer,
Food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rmal image sensor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the base panel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y,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보관장치는,
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온의 온도범위 및 습도범위에 따라 음식물의 종류별 상태값인 열화상 정보값들이 기록되는 메모리부와, 음식물의 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상태표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상감지센서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열화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된 열화상 정보와 비교한 다음, 일치여부에 따라 음식물의 실시간 상태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d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ultraviolet module, a memory unit in which thermal image information values, which are state values for each type of food, are recorded according to a temperature range and a humidity range of room temperature, and a status display ba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food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And comparing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thermal image sensor with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set in the memory unit, and deriving a real-time state value of foo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image is match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상태값은 상기 상태표시바를 통해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타내어지며,
2단계 내지 5단계인 경우 상기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1단계인 경우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al-time state value is represented in steps 1 to 5 through the status bar,
In step 2 to step 5, the thermal imag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and in the case of step 1, the food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form the outside that the food is corrupted through the alarm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값 설정시 절전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LED 자외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되, 상기 실시간 상태값에 따라 상기 LED 자외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et at the initial value setting, the power supply to the LED ultraviolet module is cut off,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LED ultraviolet module according to the real-time state value, food storag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상태값은 상기 상태표시바를 통해 1단계 내지 5단계로 나타내어지며,
1단계인 경우에는 알람부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되었음을 외부에 알리고, 2단계 내지 4단계인경우 상기 LED 자외선모듈을 동작시키며, 5단계인 경우에는 열화상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되 상기 LED 자외선모듈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eal-time state value is represented in steps 1 to 5 through the status bar,
In the first step, the alarm unit notifies the outside that food is corrupted. In the second to fourth step, the LED UV module is operated. In the fifth step, thermal imag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but the operation of the LED UV module is performed. Characterized in that blocking the food storag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ED 자외선모듈의 동작에 따른 출력값은 다시 1단계 내지 5단계의 실시간 상태값으로 나타내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각 단계에 따라 동일과정을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utput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D UV module is represented by the real-time state value of step 1 to step 5 again,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same process repeatedly for each step, food storage device.


KR1020180061215A 2018-05-29 2018-05-29 Apparatus for keeping food KR1020835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215A KR102083507B1 (en) 2018-05-29 2018-05-29 Apparatus for keeping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215A KR102083507B1 (en) 2018-05-29 2018-05-29 Apparatus for keeping fo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783A true KR20190135783A (en) 2019-12-09
KR102083507B1 KR102083507B1 (en) 2020-03-02

Family

ID=6883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215A KR102083507B1 (en) 2018-05-29 2018-05-29 Apparatus for keeping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50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493U (en) * 1995-03-28 1996-10-22 김부남 UV Sterilizer
KR100878558B1 (en) 2007-06-27 2009-01-15 이준항 Food safekeeping device using nitrogen gas
KR20100019155A (en) * 2008-08-08 2010-02-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Grain storage bin using uv light emitting device
JP2010193829A (en) *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Air Conditioning & Refrigeration Plant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sterilization and storage
JP2015515265A (en) * 2012-03-16 2015-05-28 リ、ソンウォン Preservation device for improving food stor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0493U (en) * 1995-03-28 1996-10-22 김부남 UV Sterilizer
KR100878558B1 (en) 2007-06-27 2009-01-15 이준항 Food safekeeping device using nitrogen gas
KR20100019155A (en) * 2008-08-08 2010-02-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Grain storage bin using uv light emitting device
JP2010193829A (en) *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Air Conditioning & Refrigeration Plant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sterilization and storage
JP2015515265A (en) * 2012-03-16 2015-05-28 リ、ソンウォン Preservation device for improving food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507B1 (en)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909B2 (en) Refrigerator
JP4433958B2 (en) refrigerator
US7866171B2 (en) Food keeping refrigerator
KR100758208B1 (en) Refrigerator capable of photosynthesis function of vegetab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071032B1 (en) Food keeping refrigerator
JP6762180B2 (en) refrigerator
KR20120011458A (en) Refrigerator
JP2018084358A (en) Refrigerant
KR100761355B1 (en) Refrigerator with vegetable box capable of photosynthesis function of vegetable
KR102083507B1 (en) Apparatus for keeping food
JP2020169747A (en) refrigerator
TWI624638B (en) Refrigerator
TWI617780B (en) Refrigerator
KR20170142980A (en) Refrigerator
JP2005164131A (en) Refrigerator
KR101072755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622535B (en) Refrigerator
JP6298982B2 (en) refrigerator
KR20120011455A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371558A1 (en) Refrigerator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JP2005114186A (en) Refrigerator
WO2023204130A1 (en) Refrigerator
JP2022095245A (en) refrigerator
JP2022137979A (en) refrigerator
JP2023130173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