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389A - 겨드랑이 베개 - Google Patents

겨드랑이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389A
KR20190135389A KR1020180121344A KR20180121344A KR20190135389A KR 20190135389 A KR20190135389 A KR 20190135389A KR 1020180121344 A KR1020180121344 A KR 1020180121344A KR 20180121344 A KR20180121344 A KR 20180121344A KR 20190135389 A KR20190135389 A KR 2019013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ushion
armpit
ma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079B1 (ko
Inventor
이재덕
석 영 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ublication of KR2019013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겨드랑이를 괼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스듬히 누운 자세에서 편의성을 제공하는 베개이다.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비스듬히 누운 자세에서 겨드랑이 공간을 괴일 수 있도록 상면부가 인체공학적 곡선 형상을 이룬 쿠션베개; 몸무게를 지탱하는 쿠션매트; 상기 쿠션베개의 일측단부와 상기 쿠션매트의 일측단부를 연결하는 힌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쿠션매트가 바닥면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쿠션베개의 하부로 접혀져서 상기 쿠션베개의 형상으로 합쳐지는 작용을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사람이 머리를 손으로 괴고 비스듬히 누운 자세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겨드랑이 내면의 곡선을 쿠션으로 지탱하도록 하되 체격에 따라 겨드랑이 베개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고 침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겨드랑이 베개{PILLOW FOR ARMPIT}
본 발명은 겨드랑이를 괼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옆으로 비스듬히 누운 자세에서 바닥면과 겨드랑이 사이 공간에 사용되는 베개이다.
베개는 사람이 자거나 누울 때 머리를 괴는 물건으로 만들어졌다(도 1). 사람의 가장 편한 휴게는 잠을 자는 것이지만 굳이 잠을 자는 것 외에도 편한 자세로 비스듬히 눕거나 벽에 기대어서 TV 시청 등을 할 수도 있다.
TV를 시청할 때는 일정한 높이로 머리를 들어야 화면을 보기에 편하므로, 바닥에 눕더라도 손으로 머리를 괴고 보는 자세가 필요하다(도 2a, 도 2b, 도 2c).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도 2a 내지 도 2c의 자세에서는 비어 있는 겨드랑이 공간 때문에 사람의 상반신 몸무게가 어깨와 손목과 팔에 가해지게 되는 바, 그런 자세로 상당 시간이 지나면 손이 저릴 정도로 불편하다는 것은 굳이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베개(10)는 궁여지책으로 종종 사용되기도 한다(도 2d).
그러나, 머리를 괴는 베개로 겨드랑이를 괴는 것은 인체공학적으로 볼 때 용도와 그에 따른 외형적 곡면 형상이 다르므로 머리를 괴는 베개에 상반신 몸무게를 의존하게 한다는 것이 사실상 무리임은 너무나 당연하다.
본 발명은 이 점에 착안하여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겨드랑이 곡면에 특화한 겨드랑이 전용의 베개 및 더 나아가 겨드랑이를 안마하는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다목적 용도를 지닌 발명이다.
KR 2018-0091410 A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특히 사람이 머리를 손으로 괴고 비스듬히 누운 자세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겨드랑이 내면의 곡선을 쿠션으로 지탱하도록 하는 겨드랑이 베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겨드랑이 베개와 쿠션매트를 결합하여 인체의 체격에 따라 겨드랑이 베개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쿠션매트를 펼쳐서 침구로 사용함과 동시에 쿠션베개를 누운 자세에서의 머리 받침용 베개로도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접철 상태로 보관 면적을 줄이는 구조적 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접거나 펼치거나 뒤집어서 발목을 괴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편의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인체의 옆 가슴부위를 안마할 수 있는 특화된 마사지로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베개는 겨드랑이를 괴일 수 있는 쿠션베개; 및 상기 쿠션베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쿠션매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람이 상기 쿠션매트 위에 옆으로 누웠을 때 상기 사람의 겨드랑이가 상기 쿠션베개에 의해 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베개는 겨드랑이를 괴일 수 있는 쿠션베개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베개의 상단부는 곡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겨드랑이를 받칠 수 있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기 쿠션베개의 일종단부까지 비스듬하게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쿠션베개의 하부면은 평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베개의 하부면을 바닥면에 놓으면 상기 받침부가 상기 겨드랑이를 괴일 수 있으며, 상기 쿠션베개를 뒤집으면 상기 쿠션베개가 허리를 받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 비스듬히 누운 자세에서 인체공학적으로 형상된 베개의 상면부에 인체의 무게를 의지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형으로 붙은 쿠션베개와 쿠션매트로서 겨드랑이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 상태에서의 면적 축소를 기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베개 일체형의 침구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성이 부여된다.
게다가, 본 발명을 뒤집어서 사용하면 머리 부분의 베개가 쿠션매트의 연장으로서 허리를 받쳐주는 경사면을 이루게 되므로 벽에 기대어 편한 자세를 취할 때도 L자 형상의 벽면과 허리 사이 공간을 괴는 데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겨드랑이를 좌 또는 우로 번갈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S자로 휘어진 척추를 교정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의 측면부에 해당하는 옆 가슴부위 내지 옆구리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수 있는 새로운 마사지 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람이 누운 상태에서 사용하는 통상적인 베개(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TV 등을 시청할 때의 자세를 나타낸 모습.
도 2d는 베개를 겨드랑이 공간에 괸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겨드랑이 베개를 침구 겸용으로 사용할 때의 도면과 사진.
도 4a는 침구를 접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겨드랑이 베개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접어서 높이를 높여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쿠션베개와 쿠션매트를 뒤집은 상태.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각 도면 및 겨드랑이 곡면을 이해하는 데 참조할 수 있는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안마기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한 사진.
본 발명은 이하 설명하는 형상 외에도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평면 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묘사된 쿠션베개의 상면부는 물결형상 곡선 형태의 만곡부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이 구성요소들을 제1, 제2 등으로 용어를 붙여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칙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사람이 반듯이 누운 자세를 일례로 도시하여 통상 사용되는 베개(10)의 모습과 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원하는 만큼의 일정한 높이로 머리를 들 수 있으며 베개(10)는 머리의 무게를 지탱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사람이 수면 상태일 때의 자세에 해당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수면 상태 외의 휴게 상태의 일면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잠자는 시간 외의 휴게 상태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주로 무엇인가를 시청하는 일들을 하게 된다. 특히 여기서의 사진들은 주로 TV를 볼 때의 자세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 사진들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수면 상태보다 더 높이 머리를 드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 비스듬히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손으로 머리를 받치게 되는데 이때 겨드랑이 공간에 무엇인가를 괴지 않으면 인체의 상반신 몸무게가 어깨, 팔, 손목에 실리게 되어 시간이 경과할수록 어깨가 아프거나 손목이 저리는 등의 불편이 심해진다는 자연현상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불편을 덜기 위해 사람들은 머리 받침용 베개를 겨드랑이 사이 공간에 끼워서 불편을 일부 해소하기도 하는 데 그 모습을 도 2d로 나타내고 있지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도가 다름에서 제대로 된 편의성을 얻을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감안하여 머리를 받치는 베개가 아니라 겨드랑이에 특화된 베개를 제공하고자 함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3 및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쿠션베개(1)의 형상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적인 형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머리를 괴는 자세에서 겨드랑이 공간을 괴일 수 있도록 상면부가 인체공학적 곡선 형상을 이룬 쿠션베개(1);
인체로부터의 몸무게를 지탱하면서 안락감을 제공하는 쿠션매트(2-1, 2-2);
쿠션베개(1)의 일측단부와 쿠션매트(2-1, 2-2)의 일측단부를 연결하는 힌지(3-1, 3-2);
힌지(3-1, 3-2)를 중심으로 쿠션매트(2-1, 2-2)가 바닥면으로 펼쳐(도 3)져 깔판이 되거나 쿠션베개(1)의 하부로 접혀(도 4a, 도 4b)져 쿠션베개(1)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겨드랑이 베개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쿠션베개(1)와 쿠션매트(2-1, 2-2)는 내부에 발포 부재, 예를 들면 스폰지를 내장하고 외부는 보료로 감싸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폰지는 에어매트와 겹쳐져서 함께 수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 에어매트는 인체 상반신의 체격에 부드럽게 치합되는 한편 필요시에는 내부에 물을 넣어 시원하게 하는 포켓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힌지(3-1, 3-2)는 쿠션베개(1) 및 쿠션매트(2-1, 2-2)의 체적 중 일부에 상당하는 보료 간을 접합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힌지(3-1, 3-2)를 중심으로 쿠션매트(2-1, 2-2)가 펼치거나 접히도록 회전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션베개(1)와 쿠션매트(2-1, 2-2)는 하나의 쿠션베개에 대하여 제1매트, 제2매트,... 등으로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연결되며 상기 2개 이상 복수개로 연결될 때 상기 힌지는 제1힌지, 제2힌지,... 등이 순차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연결되어서 쿠션베개(1)의 하단에 복수개의 층으로 지그재그 겹쳐 보관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겨드랑이 베개는 하나의 쿠션베개(1)와 1개 이상의 쿠션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쿠션베개(1)와 이웃하는 쿠션매트, 쿠션매트들 사이가 각기 힌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는 쿠션매트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매트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베개(1)와 제1쿠션매트(2-1)을 연결하는 제1힌지(3-1)는 쿠션베개(1)와 제1쿠션매트(2-1)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제1쿠션매트(2-1)와 이웃하는 제2쿠션매트(2-2)를 연결하는 제2힌지(3-2)는 제1쿠션매트(2-1)와 제2쿠션매트(2-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힌지(3-1 또는 3-2)는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베개(1)와 제1쿠션매트(2-1)을 연결하는 제1힌지(3-1)는 쿠션베개(1)와 제1쿠션매트(2-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야 하며, 그 결과 제1쿠션매트(2-1)가 쿠션베개(1)의 하부로 접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베개(1)와 제1쿠션매트(2-1)을 연결하는 제1힌지(3-1)는 쿠션베개(1)와 제1쿠션매트(2-1)의 하단부에 형성될 때, 제1쿠션매트(2-1)와 이웃하는 제2쿠션매트(2-2)를 연결하는 제2힌지(3-2)는 제1쿠션매트(2-1)와 제2쿠션매트(2-2)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매트들(2-1 및 2-2)이 지그재그로 접혀지면서 쿠션베개(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확장하면, 힌지가 상단부에 형성되면 이웃하는 힌지는 하단부에 형성되며, 힌지가 하단부에 형성되면 이웃하는 힌지는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매트(2-1, 2-2)의 상단부에는 통풍이 이루어지는 왕골 재료 또는 망사 형태의 통풍 구조로 형상될 수 있다.
이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d처럼 비스듬히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본 발명의 쿠션베개(1)의 상면부는 겨드랑이 밑에 끼움 형태로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쿠션베개(1)에 대부분의 상반신 몸무게가 의지되고, 이에 따라 머리의 무게와 상반신 몸무게가 합쳐져서 팔과 손목에 가해지던 종래의 하중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 오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종래 자세에서 기인되는 불편은 현저히 저감되고 때에 따라서는 쿠션베개(1)에 내장된 향훈재료가 인체의 무게로 펌핑되면서 외부로 뿜어져 나와 향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쿠션매트(2-1, 2-2)는 사람이 누운 자세에서 바닥으로부터 안락감을 제공하는 요와 같은 기능을 하는바, 도 3처럼 쿠션매트(2-1, 2-2)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는 쿠션매트(2-1, 2-2...)가 일반적인 요로 됨은 물론 이때 쿠션베개(1)는 머리 받침용 베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쿠션베개(1)와 매트(2-1, 2-2)는 힌지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몸체로 이어진다. 체격이 적은 사람은 이 상태로 본 발명의 겨드랑이 베개 높이가 된다.
힌지(3-1, 3-2)는 쿠션베개(1)와 쿠션매트(2-1) 간 또는 제1쿠션매트(2-1)와 제2쿠션매트(2-2) 간을 접거나 펼치는 데 적용되는 부재이다. 특히 쿠션베개(1)와 쿠션매트(2-1, 2-2)는 내부충진재로 된 쿠션부재(발포 스폰지 등)와 이를 감싸는 보료로 구성되는데, 힌지(3-1, 3-2)는 그들 보료의 일측면에 봉재 또는 일체형 부재로 결착되되 쿠션매트를 쿠션베개 밑으로 접거나 펼치는데 회전이 용이한 구조로 부착된다. 쿠션매트가 2단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힌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a에서 보듯이 제1쿠션매트 2-1은 하부 방향으로, 제2쿠션매트 2-2는 상부 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힌지 3-1은 아래쪽 측단의 보료에, 힌지 3-2는 위쪽 측단의 보료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사람이 쿠션매트(2-1, 2-2) 위에 누워서 겨드랑이 베개로 쿠션베개(1)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고 도 4a는 쿠션매트를 접는 상태, 도 4b는 쿠션매트를 완전히 접어서 쿠션베개 밑에 쌓은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향훈재료를 삽입하거나 단단한 봉과 같은 부재를 끼워서 쿠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중공이 쿠션베개(1)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4b는 제1 및 제2 쿠션매트(2-1, 2-2)가 접혀져서 쿠션베개(1)의 밑에 포개짐으로써 쿠션베개(1)의 높이를 일정부분 높인 것에 해당한다. 체격이 큰 사람인 경우 이렇게 사용하면 자신의 체형에 맞는 높이로 최적화 된다. 마찬가지의 원리로서 높이조절 폭을 크게 하기 위해 쿠션매트(1)의 수량은 더욱 많게 하거나 부피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 힌지(3-1, 3-2)는 쿠션매트(2-1, 2-2)가 접히는 방향을 지그재그로 틀면서 규격화 된 형태로 접을 수 있게 하는 도구로 작용한다. 힌지의 일실시예는 보료 간을 잇는 부재 또는 봉재로 달성될 수 있다. 도 4b의 상태에서는 평면적 부피가 줄어들므로 이 상태로 들어서 이동하거나 보관하면 유익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베개(1)와 쿠션매트(2-1), 쿠션매트들(2-1, 2-2)이 힌지(3-1, 3-2)로 고정 연결되었지만, 힌지는 쿠션베개(1)와 쿠션매트(2-1), 쿠션매트들(2-1, 2-2)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확장하면, 쿠션베개(1)와 쿠션매트(2-1), 쿠션매트들 사이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람의 키 또는 용도에 따라 겨드랑이 베개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으로 된 쿠션매트와 쿠션베개를 뒤집어 사용할 때의 모습이다.
이 용도로 사용할 때는 쿠션베개(1)의 하면부(1-1)가 사람이 벽에 기대어 TV 등을 시청할 때 벽과 방바닥의 이음새 공간(L자 형상으로 꺾임에서 생기는 공간)을 메우는 허리받침용 보조기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도 4b를 뒤집어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쿠션베개(1)의 상단부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면부는 평평한 면일 수 있다. 도 3내지 도 4b에서 쿠션베개(1)의 상단부가 좌우 대칭적인 곡선 형상을 가졌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매트(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한 곡선 형상을 가지되 최고 높이를 지난 후에는 가파르게 하강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일 때 사람이 누워서 겨드랑이를 받치기 편하다. 한편, 쿠션베개(1)의 최고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은 일부 평평할 수 있으며, 겨드랑이를 받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도 받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실물 사진이며, 도 8은 도 4b의 실물사진이므로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가 향하는 상면부에 인체의 발목을 고일 수 있도록 패턴으로 형상화(도시생략) 하면 상반신의 높이보다 하반신 특히 발목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고임으로써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는 한편 발목 부위가 불편하지 않는 편안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현편으로, 쿠션매트(2-1, 2-2)의 상기 보료 또는 스폰지의 상단부에 도시생략된 물결무늬를 형성하면 겨드랑이를 고일 때 우려될 수 있는 혈관 압착 소지를 상기 물결무늬의 파곡부(아래쪽으로 패이는 곡선부)가 경감시키므로 이런 목적으로 이를 부가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겨드랑이 베개를 통해 얻어질 수 있는 또 다른 일측면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는 사진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겨드랑이 베개의 경사면에 진동안마기(1-3)를 장착할 수 있는 데 이 경사면에 장착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편안하게 누운 그 자세 그대로 어깨 부위 안마기에 무게가 실려 어깨 근육에 집중적인 안마 내지 진동 마사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9에서 (a) 및 (b)는 이를 위해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안마기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며, (d)는 상반신 몸무게에 의해 자연적으로 어깨부위 마사지로 몸무게가 실리는 현상을 원리적으로 설명하는 사진이다.
특히 인체 상반신을 괴는 겨드랑이 베개로 사용할 때는 종래 어느 것에도 없던 인체의 측면부 옆 가슴부위 내지 옆구리를 안마 내지 마사지 할 수 있는 특화된 기능이 달성된다. 여기에 황토를 재료로 하는 볼 형태의 부재 내지 적외선 램프를 삽설하면 그로부터의 원적외선 내지 근적외선에 의해 찜질까지 부가적으로 하거나 채취를 약화하는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체의 측면부위는 혈자리로서 심기맥이 발원하는 호구(虎口), 야중(夜中), 풍관(風關) 및 방광기맥의 대저혈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안마기의 위치는 단순 근육 마사지에서 더 나아가 치료혈을 마사지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겨드랑이 베개는 그 기초적인 프레임(틀)을 제공하는 독특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위에서는, 2개의 진동안마기(1-3)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1개의 진동안마기가 설치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진동안마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1개 이상의 진동안마기가 설치되면 충분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안마기는 쿠션베개(1) 중 비스듬하게 형성된 부분 중 최고 높이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진동안마기의 종류, 사이즈, 배열 등은 겨드랑이 베개의 사이즈, 용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진동안마기(1-3)은 평상시에는 동작하지 않다가 인체가 진동안마기(1-3)에 접촉했을때 동작을 시작할 수도 있고, 진동없이 인체에 압력만을 가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는, 쿠션베개(1)에 적어도 하나의 쿠션매트가 연결되었지만, 쿠션매트 없이 쿠션베개(1)만 존재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쿠션베개(1)의 상단부는 곡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겨드랑이를 받칠 수 있는 받침부(1-2)가 형성되고, 받침부(1-2)로부터 쿠션베개(1)의 일종단부(1-5)까지 비스듬하게 경사져 형성(경사부(1-4)가 존재)되며, 쿠션베개(1)의 하부면(1-1)은 평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쿠션베개(1)의 하부면을 바닥면에 놓으면 받침부(1-2)가 상기 겨드랑이를 괴일 수 있으며, 쿠션베개(1)를 뒤집으면 쿠션베개(1)가 허리를 받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많은 구성 중 극히 일부분의 예시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쿠션베개의 내부는 발포성형부재의 일종인 스폰지 외에도 공기를 불어 넣는 튜브형 구조로 대체하거나 혼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 설명한 바와 같이 겨드랑이에 끼워지는 쿠션베개의 상면부도 단순한 평면 형태가 아니라 인체의 겨드랑이 곡선을 따라서 파도 모양처럼 곡선을 이루는 형상도 가능한 바, 본 발명의 청구범위 용어는 이런 것들을 포괄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머리를 받치는 베개
1 : 쿠션베개의 상면부
1-1 : 쿠션베개의 하면부
1-2 : 쿠션 조절용 중공
1-3 : 진동 안마기
2-1 및 2-2 : 쿠션매트
3-1 및 3-2 : 겨드랑이 베개와 쿠션매트 또는 쿠션매트 간을 연결하는 힌지

Claims (9)

  1. 겨드랑이를 괴일 수 있는 쿠션베개; 및
    상기 쿠션베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쿠션매트를 포함하되,
    사람이 상기 쿠션매트 위에 옆으로 누웠을 때 상기 사람의 겨드랑이가 상기 쿠션베개에 의해 괴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매트는 바닥면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쿠션베개 하부로 접혀져서 상기 쿠션베개의 높이를 다르게 가변시키되,
    상기 쿠션베개와 상기 쿠션매트는 제 1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쿠션베개는 인체공학적 곡선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쿠션베개 및 상기 쿠션매트의 체적 중 일부에 상당하는 보료 간을 접합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 1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쿠션매트가 펼치거나 접히도록 회전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제 1 쿠션매트가 상기 제 1 힌지를 통하여 상기 쿠션베개에 연결되고, 제 2 쿠션매트가 제 2 힌지를 통하여 상기 제 1 쿠션매트에 연결되되,
    상기 제 1 힌지는 상기 쿠션베개와 상기 제 1 쿠션매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힌지는 상기 제 1 쿠션매트와 상기 제 2 쿠션매트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쿠션매트들이 지그재그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베개와 상기 쿠션매트는 내부에 발포 부재(스폰지)를 내장하고 외부는 보료로 감싸진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쿠션매트의 상기 보료 또는 스폰지는 상단부가 물결무늬를 형성하여 겨드랑이를 고일 때의 혈관 압착이 상기 물결무늬의 파곡부에 의해 경감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매트의 상단부에는 퉁풍이 이루어지는 왕골 재료 또는 망사 형태의 통풍 구조로 형상되거나 에어쿠션 기능의 공기 포켓을 내장하여 상기 스폰지와 혼성하거나 스폰지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베개의 반대측면은 인체의 발목을 고일 수 있도록 형상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베개의 경사면에는 황토재료의 볼을 내장하거나 적외선램프를 내장하여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이 발산되도록 구성되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마 볼을 장착하여 사람이 누웠을 때 어깨를 마사지할 수 있고 겨드랑이를 고일 때 가슴 옆을 마사지 할 수 있도록 진동 안마기를 삽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8. 겨드랑이를 괴일 수 있는 쿠션베개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베개의 상단부는 곡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겨드랑이를 받칠 수 있는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기 쿠션베개의 일종단부까지 비스듬하게 경사져 형성되며, 상기 쿠션베개의 하부면은 평평하되,
    상기 쿠션베개의 하부면을 바닥면에 놓으면 상기 받침부가 상기 겨드랑이를 괴일 수 있으며, 상기 쿠션베개를 뒤집으면 상기 쿠션베개가 허리를 받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부분에는 황토재료의 볼을 내장하거나 적외선램프를 내장하여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이 발산되도록 구성되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안마 볼을 장착하여 사람이 누웠을 때 어깨를 마사지할 수 있고 겨드랑이를 고일 때 가슴 옆을 마사지 할 수 있도록 진동 안마기를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베개.















KR1020180121344A 2018-05-28 2018-10-11 겨드랑이 베개 KR102103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0256 2018-05-28
KR1020180060256 2018-05-28
KR1020180091326 2018-08-06
KR20180091326 2018-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389A true KR20190135389A (ko) 2019-12-06
KR102103079B1 KR102103079B1 (ko) 2020-04-21

Family

ID=6883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344A KR102103079B1 (ko) 2018-05-28 2018-10-11 겨드랑이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661B1 (ko) * 2023-03-28 2023-11-03 강순철 베개 속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베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433U (ko) * 1995-04-10 1996-11-19 윤기순 베개
KR200392254Y1 (ko) * 2005-05-23 2005-08-19 이지순 깔개
JP2008515587A (ja) * 2005-06-02 2008-05-15 ハン ワンソク 振動および陰イオン発生枕
KR20180000995A (ko) * 2016-06-24 2018-01-04 김광현 베개 겸용 좌식 의자 및 테이블이 부설된 휴대용 매트리스
KR20180091410A (ko) 2017-02-07 2018-08-16 김동보 기능성 숙면 베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433U (ko) * 1995-04-10 1996-11-19 윤기순 베개
KR200392254Y1 (ko) * 2005-05-23 2005-08-19 이지순 깔개
JP2008515587A (ja) * 2005-06-02 2008-05-15 ハン ワンソク 振動および陰イオン発生枕
KR20180000995A (ko) * 2016-06-24 2018-01-04 김광현 베개 겸용 좌식 의자 및 테이블이 부설된 휴대용 매트리스
KR20180091410A (ko) 2017-02-07 2018-08-16 김동보 기능성 숙면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661B1 (ko) * 2023-03-28 2023-11-03 강순철 베개 속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079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183B1 (en) S-shaped pillow for flexible body support
US6691352B2 (en) Adjustable pillow
US11154147B2 (en) Support utility cushion for head, neck, and body
WO2017076245A1 (zh) 一种符合脊椎医学理论的睡枕
KR20190135389A (ko) 겨드랑이 베개
US10264898B2 (en) Foldable pillow
US20090151076A1 (en) Comfort Pillow
KR101927653B1 (ko) 기능성 베개
KR101737588B1 (ko) 자세 교정용 침구류 패키지
KR102426779B1 (ko) 숙면 및 목과 허리 디스크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베개
US6694551B1 (en) Facial support device
KR101353497B1 (ko) 베개
KR102022362B1 (ko) 경추용 높이조절베개
KR20220114172A (ko) 분할형 쿠션
TWM598649U (zh) 多功能記憶枕
TWM294935U (en) Structure of back massaging rectifier
CN205758200U (zh) 枕头
JP2006340942A (ja) マットレス及び該マットレスを備えたベッド
JP3176695U (ja) クッション
CN205018629U (zh) 多功能睡床
CN211584239U (zh) 一种折叠式重力背肌按摩器
JP3197395U (ja)
JP3246674U (ja) 異なる厚さを有する枕
JP2019110966A (ja)
CN209405208U (zh) 肩颈舒缓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