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123A -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123A
KR20190135123A KR1020180060169A KR20180060169A KR20190135123A KR 20190135123 A KR20190135123 A KR 20190135123A KR 1020180060169 A KR1020180060169 A KR 1020180060169A KR 20180060169 A KR20180060169 A KR 20180060169A KR 20190135123 A KR20190135123 A KR 20190135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ral
oral care
determining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방은지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8006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5123A/en
Publication of KR20190135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tan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gene-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which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 receiving, by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irst survey data for distinguishing oral-related gene information or oral type; (b) determining, by a processing unit, the oral type on the basis of the gene information or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an oral care component from a database in accordance with the oral type; (c) providing, by a result transmission unit, a second survey item or a device diagnosis item for recognizing an oral con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al type; (d) receiving, by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diagnosis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survey item or the device diagnosis item; and (e) determining, by the processing unit, an oral care grade on the basis of the diagnosis result, and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component in accordance with the oral care grade.

Description

유전자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Genetic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

본 발명은 유전자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gene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구강(Oral Cavity)은 호흡과 음식물 섭취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기관이지만, 공기와 음식물을 통해서 끊임없이 외부 환경들에 노출되는 기관이기도 하다. Oral cavity is an important organ for breathing and food intake, but it is also an organ that is constantly exposed to the outside environment through air and food.

양치질을 통해서 구강의 청결이 유지되지 않으면, 치아와 잇몸 주변부에 치태(Dental Plaque)가 생성되고, 생성된 치태(Dental Plaque)는 점차 석회화되어 치아 표면에 치석(Dental Calculus)을 형성하게 한다.If the oral cavity is not maintained through brushing teeth, dental plaque is formed around the teeth and gums, and the resulting dental plaque gradually calcifies to form dental calculus on the tooth surface.

치태(Dental Plaque)와 치석(Dental Calculus)은 구강 내 세균을 증식시켜 치주염(Gingivitis), 치은염(Periodontitis) 등의 잇몸질환을 일으킨다.Dental plaque and dental calculus multiply bacteria in the oral cavity and cause gum diseases such as gingivitis and gingivitis.

천연 및 합성 물질이 치아의 클렌징(cleansing)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비누, 계면활성제 및 합성 세제는 수십년 동안 구강 클렌징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클렌징의 목적은 치석, 음식물 입자 및 잠재적 유해 미생물을 구강에서 제거하는 것이다.Natural and synthetic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cleansing teeth. Soaps, surfactants and synthetic detergents have been used for oral cleansing for decades. The purpose of cleansing is to remove tartar, food particles and potentially harmful microorganisms from the oral cavity.

현재 치석 제거에 도움이 되는 대부분의 구강케어 조성물은 사용자의 건강에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는 소량의 화학 물질, 예를 들어, 불소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e.g.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소듐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sodium monofluorophosphate), 불화주석(tin fluoride), 불화수소니코메탄올(hydrofluoride nicomethanol), 아민불소(amine fluoride) 및 불화물의 다른 유도체들), 아연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 과산화물(peroxigen compound), 효소, 질산염, 붕산염 유도체, 방부제, 트리클로산과 같은 항박테리아제 및 항진균제를 포함하고 있다.Most oral care compositions that currently assist in removing tartar include small amounts of chemicals that are considered dangerous to the user's health, such as compounds containing fluoride ions (eg sodium fluoride, sodium monofluorophosphate). (sodium monofluorophosphate), tin fluoride, hydrofluoride nicomethanol, amine fluoride and other derivatives of fluoride), compounds containing zinc ions, peroxigen compounds, enzymes, Nitrates, borate derivatives, preservatives, antibacterial agents such as triclosan and antifungal agents.

한편, 개인별 유전적 특징이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받는 영향의 정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구강케어 제품들은 일괄적인 성분과 함량을 토대로 제공되기 때문에, 개인마다 다른 구강 상태나 구강 특징에 최적화된 제품의 제공이 어렵고, 관리 또한 어려운 실정이었다.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and the degree of influence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xisting oral care products are provided based on a batch of ingredients and contents, so that the individual products are optimized for different oral conditions or oral characteristics. It was difficult to provide and management was also difficult.

또한,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구강케어 제품은 대량 생산의 특성상, 재고가 발생하기 쉽고, 그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은 고스란히 소비자의 부담으로 남는다.In addition, oral care products that are being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re prone to inventory due to the nature of mass production,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remains a burden on consumers.

따라서, 소비자 개개인의 취향이나 구강 상태에 적합한 구강케어 제품을 유통경로를 단축시켜 소비자에게 생산시점으로부터 최단시간 내에 제공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된다.Therefore, a service that can provide oral care products that are suitable for individual tastes and oral conditions of individual consumers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in the shortest time from the production point by shortening the distribution path, and can be provided at a low pri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특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만족감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맞춤형 구강케어 제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oral care product that can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based on scientific and objective data on oral characteristics.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정보 수신부에서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또는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처리부에서 상기 유전자 정보 또는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 (c) 결과 전송부에서 상기 구강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d)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처리부에서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a) receiving the oral-related gene information, or first questionnaire data for oral type classification at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b)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the oral cavity type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or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an oral care ingredient from a database according to the type; (c) providing a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device diagnosis i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vity con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type at the result transmitter; (d) receiving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device diagnosis item in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e) determining the oral care grade in the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gra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정보 수신부에서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및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처리부에서 상기 유전자 정보 및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 (c) 결과 전송부에서 상기 구강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및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d)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제2설문항목 및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처리부에서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receiving the oral-related gene information, and the first questionnaire data for oral cavity type identification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b)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the oral cavity type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and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an oral care ingredient from a database according to the type; (c) providing, by the result transmitter, a second questionnaire item and a device diagnosis item for determining an or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type; (d) receiving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item and the device diagnosis item from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e) determining the oral care grade in the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gra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케어 성분은 충치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치주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구내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치아 미백용 성분, 구취 억제용 성분, 및 시린이 방지용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ral care component is a group consisting of carie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periodontiti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stomatiti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tooth whitening component, bad breath suppression component, and a group for preventing the rash More than one can be selected fro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치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현호색 추출물, 회향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택사 추출물, 야콘뿌리 추출물, 자일리톨,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초피나무껍질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후박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감태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매실 추출물, 가시오갈피뿌리 추출물, 가시오갈피줄기 추출물, 녹차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및 카렌둘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치주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자일리톨, 자몽씨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매스틱잎 오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코코넛오일, 코코넛 추출물, 스테비아 출물, 오미자 추출물, 후박나무껍질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고삼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구내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인삼 추출물, 아위버섯균사체/인삼열매추출발효여과물, 창포뿌리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소엽잎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녹차 추출물, 티트리 추출물, 자일리톨,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매스틱잎오일, 검은콩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로즈마리잎 추출물, 및 로즈마리잎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In one embodiment, the components for controlling caries-induced gene expression are: corydalis extract, fennel extract, lettuce extract, texas extract, yacon root extract, xylitol, barberry fruit extract, bark bark extract, grape seed extract, hooves bark extract, Cypress Leaf Extract, Ecklonia cava Extract, Alder Extract, Plum Extract, Prickly Pear Extract, Prickly Pear Extract, Green Tea Extract, Sage Extract, Aloe Vera Leaf Extract, Chamomile Extract, Eucalyptus Leaf Extract, Rosemary Extract, Carrot Extract, and Kare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ula extract, the periodontitis 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is propolis extract, honey extract, olive extract, xylitol, grapefruit seed extract, pogongyoung extract, mastic leaf oil,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Coconut oil, coconut extract, st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btractive extract,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pepper bark extract, thistle extract, red ginseng extract, mugwort extract, green tea extract, and peony extract, wherein the ingredient for controlling stomatitis-induced gene expression is ginseng extract, agaric mushroom mycelium /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ation Filtrate, Iris Extract, Echo Extract, Leaf Leaf Extract, Licorice Extract, Golden Extract, Gold Silver Extract, Green Tea Extract, Tea Tree Extract, Xylitol, Hydroxyapatite, Mastic Leaf Oil, Black Bean Extract, Pr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is extract, portulaca extract, centella extract, sewage extract, rosemary leaf extract, and rosemary leaf oil,

상기 치아 미백용 성분은 울금 추출물, 코코넛오일, 코코넛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쌀겨 추출물, 히아신스 추출물, 녹차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황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보리지 추출물, 히아신스 추출물, 꿀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하이드록시 파타이트, 라벤더오일, 및 라벤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구취 억제용 성분은 회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자일리톨, 감초 추출물, 육계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상백피 출물, 녹차 추출물, 황기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궁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티트리 잎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당약 추출물, 쑥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시린이 방지용 성분은 생강 추출물, 울금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운지버섯 추출물, 능이버섯 추출물, 꽃송이버섯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흰목이버섯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고삼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꿀 추출물, 자일리톨, 및 아위버섯균사체/인삼열매추출발효여과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The tooth whitening ingredient is turmeric extract, coconut oil, coconut extract, pogongyoung extract, rice bran extract, hyacinth extract, green tea extract, sage extract, calendula extract, golden extract, gold silver extract, borage extract, hyacinth extract, honey extract, Propolis extract,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hydroxypatite, lavender oil, and lavender extract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for inhibiting bad breath, fennel extract, chamomile extract, motherwort extract, shiitake mushroom extract, Xylitol, Licorice Extract, Broiler Extract, Sage Extract, Morus Extract, Green Tea Extract, Astragalus Extract, Angelica Extract, Cheongung Extract, March Extract, Centella Extract, Tea Tree Leaf Extract, Aloe Vera Leaf Extract, Sugar Extract, Mugwort Extract, and Sewage Extrac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ts, The anti-inflammatory ingredients are ginger extract, turmeric extract, shiitake mushroom extract, fingerling mushroom extract, chopped mushroom extract, zinnia mushroom extract, ganoderma lucidum extract, white mushroom extract,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motherwort extract, parsley extract, pogongyoung extract, oliv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t, red ginseng extract, thistle extract, stevia extract,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honey extract, xylitol, and agaric mycelium / ginseng fruit fermentation filtr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은 (f)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구강 정밀 진단을 위한 제3설문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처리부에서 상기 제3설문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ral care composition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f) receiving a third survey result for the oral precision diagnosis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g)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the oral care product type based on the third survey resul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은 (h) 처리부에서 기수행된 선호도 조사 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ral care composition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h) determining the oral care product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survey performed in the processing uni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구강케어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ral care component in the step (e) may comprise 0.001 to 3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케어 조성물은 치약, 가글액, 스프레이, 구강 팩, 및 연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ral car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with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othpaste, gargle, spray, mouth pack, and ointme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또는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유전자 정보 또는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하는 처리부; 상기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하는 결과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oral-related gene information, or first questionnaire data for the classification of oral cavity type; 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n oral type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or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an oral care component from a database according to the type; According to the type includes a result transmission unit for providing a second questionnaire or device diagnostic items for determining the oral condition, where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or device diagnostic items, the processing unit Provided is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providing sys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re grad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determine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ingredients in accordance with the gra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구강 정밀 진단을 위한 제3설문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3설문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receiver may receive a third survey result for the oral precision diagnosis, and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oral care product type based on the third survey resul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기수행된 선호도 조사 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 may determine the oral care product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viously performed preference surve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개인별 구강 특성뿐만 아니라 사용자 생활 패턴에 부합하는 맞춤형 구강케어 제품 생산 제조방법을 제공하되, 온라인으로 구강 진단, 주문, 생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ustomized oral care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life patterns as well as individual oral characteristics, but because oral diagnosis, order, production is made online, the production cos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구강 특성을 파악하여 최적의 구강케어 제품 원료를 선정하고, 조성비를 조정하여, 최적의 기능을 가진 맞춤형 구강케어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or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o select the optimal oral care product raw material, adjust the composition ratio,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ustomer with a customized oral care product with the optimal func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의 제공시스템을 도식화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mouth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to select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the simple ter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The numerical range includes the numerical values defined in the range. All maximum numerical limit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 all lower numerical limits as if the lower numerical limits were clearly written. All minimum numerical limit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 all higher numerical limitations as if the higher numerical limit were clearly written. All numerical limitation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include all better numerical ranges within the broader numerical range, as the narrower numerical limitations are clearly writte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정보 수신부(101)에서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또는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처리부(103)에서 상기 유전자 정보 또는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4)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 (c) 결과 전송부(102)에서 상기 구강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d) 정보 수신부(101)에서 상기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처리부(103)에서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the oral-related gene information, or first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ication of the oral cavity type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b) determining the oral cavity type in the processing unit 103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or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the oral care component from the database 104 according to the type; (c) providing a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device diagnosis i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vity con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type at the result transmitting unit 102; (d) receiving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device diagnosis item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And (e) determining the oral care grade on the basis of the diagnosis result in the processing unit 103 and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grade.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정보 수신부(101)에서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및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처리부(103)에서 상기 유전자 정보 및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4)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 (c) 결과 전송부(102)에서 상기 구강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및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d) 정보 수신부(101)에서 상기 제2설문항목 및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처리부(103)에서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receiving the oral-related gene information, and the first questionnaire data for oral cavity typ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b) determining the oral cavity type in the processing unit 103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and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the oral care component from the database 104 according to the type; (c) providing a second questionnaire item and a device diagnosis i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vity con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type at the result transmitting unit 102; (d) receiving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item and the device diagnosis item from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And (e) determining the oral care grade on the basis of the diagnosis result in the processing unit 103 and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grad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시스템을 도식화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of a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mouth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시스템은 정보 수신부(101), 처리부(103), 결과 전송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the processing unit 103, the result transmitting unit (102).

상기 정보 수신부(101)는 사용자의 단말(201)에서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may receive a variety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1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상기 단말(201)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로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지칭하며, 중앙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망(301)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201 is a device used by a user and refers to a device for inputting data or outputting a processing result.

상기 단말(201)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컨대,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단말기 일 수 있으나,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terminal 201 is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erminal, telematics Terminals, Navigation Terminals, Personal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Slate PCs,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e.g., Watch Type Terminals) Smartwatch, Smart Glass, Head Mounted Display (HMD), Wibro Terminal,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Terminal, Smart TV,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udio Video Navigation (AVN) Terminal, A / Although it may be a terminal such as a V (Audio / Video) system, a flexible terminal, or the like, any device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data by a us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통신망(301)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 또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의 유선 통신 기술;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다양한 통신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301 may include a wireless LAN (WLAN),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a wireless broadband (Wibro), 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an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ltrasound Communication (Ultra Sound Communica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and Wi-Fi Direct; Or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 / coaxial cable, as well as data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Can send and receive

상기 처리부(103)는 정보 수신부(101)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처리하고, 소정의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 결과는 구강케어 성분이나 함량 등 구강케어 조성물과 관련되거나, 이후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신규 항목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3 may proces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ceiver 101 and calculate a predetermined result.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may be related to oral care compositions such as oral care ingredients or contents, or may be used to determine new items for further process.

상기 결과 전송부(102)는 상기 산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구강케어 조성물 성분, 함량 및 유형 등을 결정하기 위한 후속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The result transmitting unit 102 may perform a subsequent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composition, content and type of the oral care composition by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to the user.

상기 결과 전송부(102)에서 전달된 결과는 상기 단말(201)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The result transmitted from the result transmitter 102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201.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using a user interface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a menu screen including data such as an icon, a list menu, a combo box, and the like.

상기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시각화 수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lthough it may include a 3D display, an e-ink display,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various means may be utilized as well as visualization means if it is a mean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user. have.

상기 (a) 단계는 정보 수신부(101)에서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또는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step (a), the information receiver 101 may receive oral-related gene information or first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oral cavity types.

상기 유전자 정보는 사용자의 구강상피세포에서 채취된 DNA, 구강세척액을 통해 채취된 구강 미생물 DNA 또는 사용자의 피부 세포에서 채취된 DNA를 분석하여 도출된 정보로서 다양한 구강 관련 유전자 유형과 관련될 수 있다.The genetic information may be related to various oral related gene types as information derived by analyzing DNA collected from oral epithelial cells of the user, oral microbial DNA collected through oral wash solution, or DNA collected from skin cells of the user.

상기 구강상피세포를 채취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피시험자의 구강 벽면을 면봉으로 긁어 구강상피세포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관련 미생물을 채취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피시험자가 구강세척액, 가글액 등을 이용하여 가글링 한 후 구강세척액, 가글액에서 구강 미생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for collecting the oral epithelial cel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oral epithelial cells can be obtained by scraping the oral wall of the test subject with a cotton swab. In addition, the method for collecting the oral cavity-related microorganis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test subject may use a method of separating oral microorganisms from the oral cleaning solution and the gargle solution after gargling using the oral cleaning solution and the gargle solution.

상기 피부 세포를 채취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피시험자의 이마, 눈가, 뺨, 턱, 허벅지 등의 부위에 셀로판테이프를 붙인 후 제거하는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collecting the skin cel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tape stripping method may be used, in which a cellophane tape is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area of the forehead, eyes, cheeks, chin, thighs, etc. of the test subject.

상기 유전자 유형은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으나, 예컨대, 충치 유발 유전자, 치주염 유발 유전자, 구내염 유발 유전자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유전자 유형에 따라 구강케어 성분을 달리할 수 있다.The gene type may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may be divided into caries-causing genes, periodontitis-genes, stomatitis-causing gene types, and oral care components may vary according to the gene types.

상기 충치 유발 유전자는 케라틴 유전자일 수 있고,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을 고려함으로써 항균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머리카락 장애와 연관이 있는 암호화 유전자인 KRT75(케라틴75), KRT75A161T, KRT75E337K 등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치아의 법랑질이 경도가 약하고 깨지기 쉬운 이상 조직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충치 발생 가능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decay-causing gene may be a keratin gene, and can be given an antimicrobial function by conside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Studies show that mutations in KRT75 (Keratin 75), KRT75A161T, and KRT75E337K, which are coding genes associated with hair disorders,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tooth decay because the enamel of the tooth can form weak and fragile abnormal tissues. Can be.

상기 치주염 유발 유전자는 SLC23A1 유전자일 수 있고,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을 고려함으로써 구강케어 조성물에 항염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SLC23A1는 신장에서 비타민을 재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SLC23A1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혈중 비타민 C의 농도가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비타민 C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우 치주염 발생율이 증가할 수 있다.The periodontitis inducing gene is SLC23A1 It may be a gene, and by conside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can impart anti-inflammatory function to the oral care composition. The SLC23A1 functions to resorb vitamins in the kidney. The SLC23A1 Mutations in the genes can lea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C in the blood. Therefore, when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C decreases, the incidence of periodontitis may increase.

상기 구내염 유발 유전자는 HLA -B51 유전자일 수 있고,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을 고려함으로써 구강케어 조성물에 항산화 및 항염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HLA -B51는 베체트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상기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피부염이나 구강궤양의 발병 가능성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The stomatitis-inducing gene may be an HLA- B51 gene, an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s may be imparted to the oral care composition by conside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The HLA- B51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Behcet's disease,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dermatitis or oral ulceration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he mutation of the gene.

상기 피부 세포에서 유전자를 추출하는 과정은 채취한 피부 세포로부터 피부 세포의 총 RNA 또는 DNA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ita Wong, Vynga Tran, Vera Morhenn, She-pin Hung, Bogi Andersen, Elaine Ito, G. Wesley Hatfield, and Nicholas R. Benson. Use of RT-PCR and DNA Microarrys to Characterize RNA Recovered by Non-Invasive Tape Harvestion of Normal and Inflamed Skin., J Invest Dermatol 123:159-167, 2004).Extracting a gene from the skin cells may include extracting total RNA or DNA of the skin cells from the skin cells collected (Rita Wong, Vynga Tran, Vera Morhenn, She-pin Hung, Bogi Andersen, Elaine). Ito, G. Wesley Hatfield, and Nicholas R. Benson.Use of RT-PCR and DNA Microarrys to Characterize RNA Recovered by Non-Invasive Tape Harvestion of Normal and Inflamed Skin., J Invest Dermatol 123: 159-167, 2004).

상기 피부 세포로부터 총 RNA 또는 DNA를 추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Sambrook, J.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 Cold Spring Harbor Press(2001) 및 Tesniere, C. et al., Plant Mol. Biol. Rep., 9:242(1991); Ausubel, F.M.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ley & Sons(1987)).Extracting total RNA or DNA from the skin cells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Sambrook, J.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 Cold Spring Harbor Press (2001) and Tesniere, C. et al., Plant Mol. Biol. Rep., 9: 242 (1991); Ausubel, FM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ley & Sons (1987)).

상기 과정은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된 키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매장 방문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 kit provided to the user in advance,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tore vis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유전자 정보는 상기 분리된 총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한 후, 상기 cDNA를 주형으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을 수행함으로써 분석될 수 있으며,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을 분석함으로써 구강 관련 유전자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The genetic information may be analyzed by synthesizing cDNA from the isolated total RNA, and then performing real-time PCR with the cDNA as a template. Gene type can be determined.

상기 (b) 단계는 처리부(103)에서 상기 유전자 정보 또는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4)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In the step (b), the processor 103 may determine the oral cavity type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or the first survey data, and may select the oral care component from the database 104 according to the type.

상기 (b) 단계에서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 또는 제1설문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04)에 미리 저장된 구강 유형 관련 정보를 상호 대응시킴으로써 구강 유형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유형에 부합하는 구강케어 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b), the oral cavity type may be determined by correlating the user's genetic information or the first survey data and the oral cavity type related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04, and the oral car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type may be determined. .

상기 “구강 유형”은 충치 가능성, 잇몸 건강, 치아 변색 정도, 구취, 시린 정도 등 다양한 구강 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충치형, 치아 변색형, 구취형, 시린 치아형 등으로 구별할 수 있으나, 구강 유형을 더욱 세분화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The “oral type” refers to various oral characteristics such as tooth decay potential, gum health, degree of discoloration, bad breath, and degree of ache. For example, the “oral type” may be distinguished from caries, tooth discoloration, bad breath, and acute tooth type. Oral types can be further subdivided.

즉, 충치형으로 판정되면 구강케어 조성물에 항균 작용을 부여할 수 있고, 치아 변색형으로 판정되면 치아 미백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구취형으로 판정되면 구취 제거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시린 치아형으로 판정되면 지각과민 및 항염기능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That is, if it is determined to be a caries type can be given an antibacterial action to the oral care com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o be discolored teeth can be given a whitening function of teeth, if it is determined to be bad breath type can be given a bad breath removal function, ache teeth If judged to be able to impart hypersensitivity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

상기 제1설문항목은 1차로 사용자의 구강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설문으로 구강 특성과 관련된 다양한 항목의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문항목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설문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문의 항목을 달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The first survey item is a questionnaire for determining a user's oral cavity type first, and may include a questionnaire of various items related to oral characteristics. The questionnaire may use a questionnaire widely used in the art or may provide a questionnaire in various forms in consideration of product characteristics.

상기 데이터베이스(104)는 구강 유형이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설문 정보 및 유전자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강 유형별로 대응하는 추천 성분 및 비추천 성분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04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arious questionnaire information and genet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oral cavity type or condition, and store the recommended component and the non-recommended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oral cavity type.

상기 구강 유형은 사용자의 구강 관련 유전자 유형과 함께 상기 구강 진단 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환경 상태를 나타내는 콘텍스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oral cavity typ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diagnosis information and context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s health status or environmental status along with the oral cavity-related gene type of the user.

상기 구강케어 성분은 충치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치주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구내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치아 미백용 성분, 구취 억제용 성분, 및 시린이 방지용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ral care compon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ie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periodontiti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stomatiti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tooth whitening component, bad breath suppression component, and anti-infection componen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상기 충치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현호색 추출물, 회향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택사 추출물, 야콘뿌리 추출물, 자일리톨,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초피나무껍질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후박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감태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매실 추출물, 가시오갈피뿌리 추출물, 가시오갈피줄기 추출물, 녹차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및 카렌둘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치주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자일리톨, 자몽씨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매스틱잎 오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코코넛오일, 코코넛 추출물, 스테비아 출물, 오미자 추출물, 후박나무껍질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고삼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구내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인삼 추출물, 아위버섯균사체/인삼열매추출발효여과물, 창포뿌리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소엽잎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녹차 추출물, 티트리 추출물, 자일리톨,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매스틱잎오일, 검은콩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로즈마리잎 추출물, 및 로즈마리잎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치아 미백용 성분은 울금 추출물, 코코넛오일, 코코넛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쌀겨 추출물, 히아신스 추출물, 녹차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황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보리지 추출물, 히아신스 추출물, 꿀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하이드록시 파타이트, 라벤더오일, 및 라벤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구취 억제용 성분은 회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자일리톨, 감초 추출물, 육계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상백피 출물, 녹차 추출물, 황기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궁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티트리 잎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당약 추출물, 쑥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시린이 방지용 성분은 생강 추출물, 울금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운지버섯 추출물, 능이버섯 추출물, 꽃송이버섯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흰목이버섯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고삼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꿀 추출물, 자일리톨, 및 아위버섯균사체/인삼열매추출발효여과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vitie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is Hyunho red extract, fennel extract, lettuce extract, tactile extract, yacon root extract, xylitol, barberry fruit extract, bark bark extract, grape seed extract, buckthorn bark extract, cypress leaf extract As, Ecklonia cava extract, Alder tree extract, Plum extract, Prickly Pear Extract, Prickly Prunus Stem Extract, Green Tea Extract, Sage Extract, Aloe Vera Leaf Extract, Chamomile Extract, Eucalyptus Leaf Extract, Rosemary Extract, Carrot Extract, and Calendula Extrac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periodontitis 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is propolis extract, honey extract, olive extract, xylitol, grapefruit seed extract, pogongyoung extract, mastic leaf oil,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coconut oil, Coconut Extract, Stevia Extrac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hooted bark extract, thistle extract, gourd extract, mugwort extract, green tea extract, and peony extract, the composition for controlling stomatitis-induced gene expression is ginseng extract, agaric mushroom mycelium / ginseng fruit Extract Fermentation Filtrate, Iris Extract, Echo Extract, Leaf Leaf Extract, Licorice Extract, Golden Extract, Gold Coin Extract, Green Tea Extract, Tea Tree Extract, Xylitol, Hydroxyapatite, Mastic Leaf Oil, Black Bean Extract, Propolis Extract , Machi extract, Centella asiatica extract, sewage extract, rosemary leaf extract, and rosemary leaf oi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for tooth whitening turmeric extract, coconut oil, coconut extract, pogongyoung extract, rice bran extract, hyacinth extract , Green tea extract, sage extract, calendula extract, sulfu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ts, gold and silver extract, borage extract, hyacinth extract, honey extract, propolis extract,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hydroxypatite, lavender oil, and lavender extract, Ingredients are Fennel Extract, Chamomile Extract, Motherwort Extract, Shiitake Extract, Xylitol, Licorice Extract, Broiler Extract, Sage Extract, Morus Extract, Green Tea Extract, Astragalus Extract, Angelica Extract, Cheongung Extract, Macchi Extract, Centella Extract, Tea Tree Lea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ts, aloe vera leaf extracts, sugar extracts, mugwort extracts, and sewage extracts, wherein the anti-irritant ingredients are ginger extracts, turmeric extracts, shiitake mushroom extracts, fingerling mushroom extracts, mushrooms extracts, flowers Mushroom Extract, Ganoderma Lucidum Mushroom Extract, Black White Mushroom Extract ,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motherwort extract, parsley extract, pogongyoung extract, olive extract, red ginseng extract, thistle extract, stevia extract,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honey extract, xylitol, and amaranth mycelium extract One or mor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상기 (c) 단계는 결과 전송부(102)에서 상기 구강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할 수 있고; (d) 정보 수신부(101)에서 상기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e step (c), the result transmitter 102 may provide a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a device diagnosis i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vity con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type; (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may receive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 item or the device diagnosis item.

특히, 종래 기술은 단순히 상기 구강 유전자 유형 및 진단 결과에 따라 구강케어 성분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은 구강 관련 유전자 유형에 따라 후속 분석 항목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특성에 더욱 부합하는 구강케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ior art simply determines the oral care component according to the oral gene type and the diagnosis result, and accordingly provided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ral car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equent analysis item according to the oral related gene type By determining this can provide an oral care composition that more closely matches the o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즉, 상기 (c) 단계에서 추가 설문항목을 결정하거나 후속 진단항목을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c), additional questionnaire items may be determined or subsequent diagnosis items may be determined and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추가 설문항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설문조사 유형1(정상 구강 특성을 위한 심층 설문), 설문조사 유형2(충치형 구강 특성을 위한 심층 설문), 설문조사 유형3(치주염 구강 특성을 위한 심층 설문), 설문조사 유형 4(구내염 구강 특성을 위한 심층 설문), 설문조사 유형5(치아 변색형 구강 특성을 위한 심층 설문), 설문조사 유형6(구취형 구강 특성을 위한 심층 설문), 설문조사 유형7(시린이 구강 특성을 위한 심층 설문)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구강 특성에 부합하는 설문조사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The additional questionnai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urvey type 1 (in-depth questionnaire for normal oral characteristics), survey type 2 (in-depth questionnaire for dental caries), survey type 3 (depth for periodontitis oral characteristics) Survey), Survey Type 4 (In-depth Survey for Stomatitis Oral Traits), Survey Type 5 (In-depth Survey for Tooth Discoloration Oral Traits), Survey Type 6 (In-depth Survey for Poor Oral Traits), Survey Type 7 (in-depth questionnaires for oral cavity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and the type of questionnaire that matches the oral cavity characteristics may be determined.

또한, 상기 구강 진단항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둘 이상, 셋 이상, 또는 넷 이상일 수 있으며, 구강 특성에 따라 구분된 진단항목 또는 설문조사라면 개수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oral diagnosis ite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two or more, three or more, or four or more, and the number or typ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diagnostic item or a questionnaire classified according to oral characteristics.

예컨대, 상기 구강 기기진단항목은 진단항목1(충치 정밀 진단), 진단항목2(치주염 정밀 진단), 진단항목3(구내염 정밀 진단), 진단항목 4(치아 변색 정밀 진단), 진단항목 5(구취 상태 정밀 진단), 진단항목 6(치아 파손 상태 진단)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구강 특성에 부합하는 진단항목이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ral device diagnosis items are diagnosis item 1 (decayed tooth decay), diagnosis item 2 (e.g. periodontitis), diagnosis item 3 (e.g. stomatitis), diagnosis item 4 (premise discoloration of teeth), diagnosis item 5 (delicious State precision diagnosis), diagnosis item 6 (diagnosis of tooth damage), and the like, and a diagnosis item corresponding to the oral cavity characteristic may be determined.

상기 구강 기기진단은 정밀진단측정기기를 통해 심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치과나 병원 등 진단 기관에 방문하여 정밀 진단을 받고 상기 항목에 따른 정밀 진단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The oral device diagnosis may be performed in depth through a precision diagnostic measurement device. For example, a visit to a diagnostic institution such as a dentist or a hospital may receive a precise diagnosis and receive a precise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above items.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을 직접 이용하여 구강 상태를 촬영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현미경 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용 접사 렌즈, 스마트폰용 광학 현미경, 스마트폰에 연결 가능한 구강 측정기기 등을 활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진단 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necessary, using the user's mobile device, for example, a smartphone can be directly photographed and delivered to the oral state,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that implements the microscope function, macro lens for smartphone, optical microscope for smartphone, smartphone can be connected By using the oral measurement device, more accurate diagnosis results can be obtained.

상기 (e) 단계는 처리부(103)에서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e), the treatment unit 103 may determine the oral care grad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and determine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component according to the grade.

상기 구강 관리 등급은 상기 기기진단 또는 설문조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산출된 점수나 등급에 따라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이 결정될 수 있다.The oral care grade may be determined by the device diagnosis or survey, and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compone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core or grade.

상기 (d) 단계의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에 의해 구강 상태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면 구강 유형에 부합하는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이 높은 수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If the oral condition is judged to be very insufficient by the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the device diagnosis item of step (d),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oral type may be determined.

예컨대, 구강 상태가 가장 우수한 등급으로 평가되면, 상기 구강케어 성분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중량%로 결정될 수 있고, 구강 상태가 가장 미흡한 등급으로 평가되면, 상기 구강케어 성분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oral condition is evaluated as the best grade, the oral care component content may be determined to be 0.001%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if the oral condition is evaluated to the lowest grade, the oral care component content is compared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30 weight percent.

상기 제공방법은 (f) 정보 수신부(101)에서 상기 구강 정밀 진단을 위한 제3설문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처리부(103)에서 상기 제3설문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f) receiving a third survey result for the oral cavity precision diagnosis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And (g)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103, the oral care product type based on the third survey result.

상기 제공방법은 구강케어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결정하고, 추가로 제 3 설문데이터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 유형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더욱 부합하는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oviding method may provide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that more closely matches the oral condition of the user by determining the type and content of the oral care component and further determining the oral care product type based on the third questionnaire data.

상기 제3설문항목으로서 종래 알려진 바 있는 Oral Health Questionnaire, Andre Walker system, 또는 FIA system 등의 분류법이나 설문조사를 활용할 수도 있으나, 구강 특성을 정밀 진단하기 위한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As the third question item, a conventional classification or survey such as Oral Health Questionnaire, Andre Walker system, or FIA system may be used, but any method for precisely diagnosing oral characteristics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상기 제 3설문항목에 의해 구강 특성이 정밀하게 구분될 수 있고, 구강 특성에 부합하는 제품 유형으로서, 치약, 가글액, 스프레이, 구강 팩, 또는 연고제 등 제품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The oral characteristics may be precisely classified by the third questionnaire, and the product type corresponding to the oral characteristics may be a product type such as toothpaste, gargle, spray, oral pack, or ointment.

상기 (h) 단계는 처리부(103)에서 기수행된 선호도 조사 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h)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oral care product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survey performed in the processing unit 103.

상기 (g) 단계에서 결정된 구강케어 제품 유형 중 사용자의 선호도를 근거로 최종 제품을 결정하므로 사용자의 구강 특성뿐만 아니라 기호도를 고려한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final product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preference among the oral care product types determined in step (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considering not only the o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but also the preference.

예컨대, 사용자가 잔류감을 선호하지 않거나 특정 향에 대한 선호도가 명확한 경우 상기 기호도에 따라 잔류감을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does not prefer a residual feeling or if a preference for a particular scent is clear, the user's product satisfaction may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residual feeling according to the preference and adding a scent preferred by the user.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된 사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알코올의 함량, 제형의 특성, 색깔, 향기, 점성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함으로써 최적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The matters related to the user's preferenc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optimal product may be provided by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alcohol content, formulation characteristics, color, aroma, and viscosity.

상기 구강케어 조성물은 치약, 가글액, 스프레이, 구강 팩, 및 연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The oral car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to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othpaste, gargle, spray, oral pack, and oint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product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1: 정보 수신부
102: 결과 전송부
103: 처리부
104: 데이터베이스
201: 단말
301: 통신망
101: information receiver
102: result transmission unit
103: processing unit
104: database
201: terminal
301: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1)

(a) 정보 수신부에서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또는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처리부에서 상기 유전자 정보 또는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
(c) 결과 전송부에서 상기 구강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d)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처리부에서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a) receiving, at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oral-related gene information or first questionnaire data for classifying oral cavity types;
(b)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the oral cavity type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or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an oral care ingredient from a database according to the type;
(c) providing a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device diagnosis i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vity con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type at the result transmitter;
(d) receiving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device diagnosis item in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e) determining the oral care grad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in the processing unit, and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grade; providing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a) 정보 수신부에서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및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처리부에서 상기 유전자 정보 및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
(c) 결과 전송부에서 상기 구강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및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d)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제2설문항목 및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처리부에서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a) receiving, at the information receiver, gene information related to oral cavity and first survey data for classifying oral cavity type;
(b)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the oral cavity type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and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an oral care ingredient from a database according to the type;
(c) providing a second questionnaire item and a device diagnosis i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vity con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type at the result transmitter;
(d) receiving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item and the device diagnosis item from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e) determining the oral care grade on the basis of the diagnosis result in the processing unit, and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ingredient according to the grade; providing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케어 성분은 충치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치주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구내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 치아 미백용 성분, 구취 억제용 성분, 및 시린이 방지용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ral care componen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ie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periodontiti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stomatitis-induced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 tooth whitening component, bad breath inhibitor component, and anti-infection component Oral care composition providing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치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현호색 추출물, 회향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택사 추출물, 야콘뿌리 추출물, 자일리톨,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초피나무껍질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후박나무껍질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감태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매실 추출물, 가시오갈피뿌리 추출물, 가시오갈피줄기 추출물, 녹차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및 카렌둘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치주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프로폴리스 추출물, 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자일리톨, 자몽씨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매스틱잎 오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코코넛오일, 코코넛 추출물, 스테비아 출물, 오미자 추출물, 후박나무껍질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고삼 추출물, 쑥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구내염 유발 유전자 발현 조절용 성분은 인삼 추출물, 아위버섯균사체/인삼열매추출발효여과물, 창포뿌리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소엽잎 추출물, 감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녹차 추출물, 티트리 추출물, 자일리톨,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매스틱잎오일, 검은콩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로즈마리잎 추출물, 및 로즈마리잎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치아 미백용 성분은 울금 추출물, 코코넛오일, 코코넛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쌀겨 추출물, 히아신스 추출물, 녹차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황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보리지 추출물, 히아신스 추출물, 꿀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하이드록시 파타이트, 라벤더오일, 및 라벤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구취 억제용 성분은 회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자일리톨, 감초 추출물, 육계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황기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궁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티트리 잎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당약 추출물, 쑥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시린이 방지용 성분은 생강 추출물, 울금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운지버섯 추출물, 능이버섯 추출물, 꽃송이버섯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흰목이버섯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고삼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잎 추출물, 꿀 추출물, 자일리톨, 및 아위버섯균사체/인삼열매추출발효여과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components for controlling caries-induced gene expression are: corydalis extract, fennel extract, lettuce extract, texas extract, yacon root extract, xylitol, barberry fruit extract, bark bark extract, grape seed extract, hawthorn bark extract, cypress leaf extract, Ecklonia cava extract , Alder Extract, Plum Extract, Prickly Pear Extract, Prickly Pear Extract, Green Tea Extract, Sage Extract, Aloe Vera Leaf Extract, Chamomile Extract, Eucalyptus Leaf Extract, Rosemary Extract, Carrot Extract, and Calendula Extract One or more are selected,
The periodontitis-inducing gene expression control components are propolis extract, honey extract, olive extract, xylitol, grapefruit seed extract, pogongyoung extract, mastic leaf oil,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coconut oil, coconut extract, stevia extract, Schizandra extrac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k bark extract, thistle extract, red ginseng extract, mugwort extract, green tea extract, and peony extract,
Ingredients for controlling stomatitis-induced gene expression are ginseng extract, agaric mushroom mycelium / ginseng fruit fermentation filtrate, iris berry extract, eochocho extract, leaf leaf extract, licorice extract, golden extract, gilding extract, green tea extract, tea tree extract, xylitol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apatite, mastic leaf oil, black soybean extract, propolis extract, machi extract, centella extract, sewage extract, rosemary leaf extract, and rosemary leaf oil,
The tooth whitening ingredient is turmeric extract, coconut oil, coconut extract, pogongyoung extract, rice bran extract, hyacinth extract, green tea extract, sage extract, calendula extract, golden extract, gold silver extract, borage extract, hyacinth extract, honey extract,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olis extract,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hydroxy patite, lavender oil, and lavender extract,
Ingredients for inhibiting bad breath are fennel extract, chamomile extract, motherwort extract, shiitake mushroom extract, xylitol, licorice extract, broiler extract, sage extract, lettuce extract, green tea extract, Astragalus extract, Angelica extract, Cheongung extract, Macchise extract, Centella extrac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a tree leaf extract, aloe vera leaf extract, sugar extract, mugwort extract, and sewage extract,
The anti-inflammatory ingredients are ginger extract, turmeric extract, shiitake mushroom extract, fingerling mushroom extract, chopped mushroom extract, matsutake mushroom extract, ganoderma lucidum extract, white mushroom extract,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motherwort extract, parsley extract, pogongyoung extract, olive A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tract, red ginseng extract, thistle extract, stevia extract, peppermint oil, peppermint leaf extract, honey extract, xylitol, and agaric mycelium / ginseng fruit fermentation filtr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f) 정보 수신부에서 상기 구강 정밀 진단을 위한 제3설문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처리부에서 상기 제3설문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 receiving a third survey result for the oral cavity precision diagnosis in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g) determining the oral care product type on the basis of the third survey result in the process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h) 처리부에서 기수행된 선호도 조사 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h) determining the oral care product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survey performed in the processing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구강케어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 중량%가 포함된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ral care component in the step (e) is a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0.0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케어 조성물은 치약, 가글액, 스프레이, 구강 팩, 및 연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ral care composition is a toothpaste, gargle solution, spray, oral pack, and ointment formulation formulated with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providing method.
구강 관련 유전자 정보, 또는 구강 유형 구분을 위한 제1설문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유전자 정보 또는 제1설문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강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구강케어 성분을 선택하는 처리부;
상기 유형에 따라 구강 상태 파악을 위한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을 제공하는 결과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제2설문항목 또는 기기진단항목에 따른 진단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진단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관리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등급에 따라 상기 구강케어 성분의 함량을 결정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시스템.
An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oral-related genetic information or first survey data for classifying oral cavity types;
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n oral type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or the first survey data, and selecting an oral care component from a database according to the type;
According to the type includes a result transmission unit for providing a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device diagnostic items for determining the oral condition,
The information receiver receives a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questionnaire item or device diagnosis item,
The treatment unit determines the oral care grade based on the diagnosis result, the customer-customized oral care composition providing system for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oral care component according to the gra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구강 정밀 진단을 위한 제3설문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3설문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 유형을 결정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information receiver receives a third questionnaire result for oral precision diagnosis,
The processing unit provides a customized mouth care composi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re product type based on the third survey resul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기수행된 선호도 조사 결과를 근거로 구강케어 제품을 결정하는 고객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ing unit provides a customized mouth care composi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ral care product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ference survey performed.
KR1020180060169A 2018-05-28 2018-05-28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 KR201901351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69A KR20190135123A (en) 2018-05-28 2018-05-28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69A KR20190135123A (en) 2018-05-28 2018-05-28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23A true KR20190135123A (en) 2019-12-06

Family

ID=6883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169A KR20190135123A (en) 2018-05-28 2018-05-28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512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931A1 (en) * 2020-07-15 2022-01-20 주식회사 경보제약 Oral disintegrating film composition for animals, having effect of reducing halitosis, dental calculus, stomatitis, and periodontitis
KR102550785B1 (en) * 2022-10-27 2023-07-03 주식회사 바오메디텍 Composition for cleaning oral appliance with antibacterial effect
KR102610236B1 (en) * 2023-09-13 2023-12-05 강병조 Toothpaste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bad breat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931A1 (en) * 2020-07-15 2022-01-20 주식회사 경보제약 Oral disintegrating film composition for animals, having effect of reducing halitosis, dental calculus, stomatitis, and periodontitis
KR102550785B1 (en) * 2022-10-27 2023-07-03 주식회사 바오메디텍 Composition for cleaning oral appliance with antibacterial effect
KR102610236B1 (en) * 2023-09-13 2023-12-05 강병조 Toothpaste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bad brea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ple et al. A critical review of modern concepts for teeth whitening
Fiorillo et al. Stannous fluoride effects on enamel: A systematic review
Ng et al. An overview of different interdental cleaning aids and their effectiveness
Wierichs et al. Systematic review on noninvasive treatment of root caries lesions
KR102076653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hair-care product
KR20190135123A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 customized oral-care product
López-Valverde et al. Effectiveness of propolis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updated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Yu et al. Nonrestorative management of dental caries
Nardi et al. Mouthwash based on ozonated olive oil in caries prevention: A preliminary in-vitro study
Steinert et al. Daily application of a toothpaste with biomimetic hydroxyapatite and its subjective impact on dentin hypersensitivity, tooth smoothness, tooth whitening, gum bleeding, and feeling of freshness
Muntean et al. Toothpaste composition effect on enamel chroma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vitro analysis
Takenaka et al. Evidence on the use of mouthwash for the control of supragingival biofilm and its potential adverse effects
Steinert et al. Whitening effects of a novel oral care gel with biomimetic hydroxyapatite: A 4-week observational pilot study
Nassar Dental caries preventive considerations: awareness of undergraduate dental students
Hamdy et al. Effect of different mouthwashes on the surface microhardness and color stability of dental nanohybrid resin composite
D’Ambrosio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oral microbiome in wearers of fixed and removable implant or non-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healthy and pathological oral conditions: a narrative review
Berta et al. An innovative strategy for oral biofilm control in early childhood based on a resveratrol-cyclodextrin nanotechnology approach
Limeback et al. Tooth whitening with hydroxyapatite: A systematic review
Greuling et al. Abrasion behaviour of different charcoal toothpastes when using electric toothbrushes
Limeback et al. Clinical evidence of biomimetic hydroxyapatite in oral care products for reducing dentin hypersensitivity: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Qeli et al. Effectiveness of two different fluoride-based agents in the treatment of dentin hypersensitivity: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Meto et al. Antibacterial effects of MicroRepair® BIOMA-Based toothpaste and chewing gum on orthodontic elastics contaminated in vitro with saliva from healthy donors: A pilot study
Rubido et al. In vivo antiplaque effect of three edible toothpastes
Pascolutti et al. A Radical-Free Approach to Teeth Whitening
Müller-Heupt et 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over-the-counter tooth-whitening agents compared to hydrogen peroxide in vi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