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887A -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887A
KR20190134887A KR1020180051851A KR20180051851A KR20190134887A KR 20190134887 A KR20190134887 A KR 20190134887A KR 1020180051851 A KR1020180051851 A KR 1020180051851A KR 20180051851 A KR20180051851 A KR 20180051851A KR 20190134887 A KR20190134887 A KR 2019013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service
action
event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016B1 (ko
Inventor
김창원
오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Priority to KR102018005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01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7Integrating service provisioning from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 H04L67/28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와 상기 액션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복합 서비스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COMPOSITE SERVICE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ONTROL OF MULTIPLE IOT DEVICES}
아래의 설명은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를 통합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 기술이 널리 확산되어 도시 환경에서 IoT 리소스를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oT 기술의 예시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97471호(등록일 2014년 05월 14일)에는 개방형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서로 다른 제조사가 만든 IoT 디바이스는 각 디바이스 별로 설정 내지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따로 제공되고 있다. 상호 간 서비스 연계가 불가능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최종 소비자나 IoT 서비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다양한 IoT를 활용하는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다.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이벤트 및 액션 제어를 위한 모바일 용 앱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와 상기 액션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복합 서비스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복합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는 서비스 등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을 통해 서비스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복합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에는 상기 복합 서비스의 이름을 등록하기 위한 서비스명 메뉴, 상기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이벤트를 등록하기 위한 이벤트 메뉴, 및 상기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액션을 등록하기 위한 액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에서 상기 이벤트 메뉴를 입력하는 경우 이벤트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등록 화면을 통해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등록 화면에서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서브 항목으로 상기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에서 상기 액션 메뉴를 입력하는 경우 액션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액션 등록 화면을 통해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액션 등록 화면에서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서브 항목으로 상기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구성된 복합 서비스가 상기 복합 서비스 목록에 추가됨으로써 갱신된 복합 서비스 목록을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이벤트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와 상기 액션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복합 서비스로 구성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상으로 복수의 IoT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IoT 디바이스 간 연계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앱 방식의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모바일 용 서비스 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IoT 디바이스에 대한 복합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도 1의 컴퓨터 시스템(1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00)은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영구 저장 장치(130), 버스(14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그의 일부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세서, 이동 장치 또는 다른 전자 장치 내의 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서버 팜, 클라우드 컴퓨터, 콘텐츠 플랫폼, 이동 컴퓨팅 장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등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버스(140)를 통해 메모리(120)에 접속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컴퓨터 시스템(100)에 의해 사용되거나 그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 영구, 가상 또는 기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동적 RAM(DRAM: dynamic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상태 정보와 같은 임의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 또는 적절한 경우에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4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 사이에,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 사이에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버스(14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병렬, 직렬 또는 다른 토폴로지 배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 비해) 소정의 연장된 기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100)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메모리 또는 다른 영구 저장 장치와 같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컴퓨터 시스템(100) 내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같은 비휘발성 메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저장 장치(13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키보드, 마우스, 음성 명령 입력,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입력 또는 출력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 및/또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 및/또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입력이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 명령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IoT 디바이스 및/또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정보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 또는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100)은 도 1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100)은 상술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와 연결되는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컴퓨터 시스템(100)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가 포함하고 있는 카메라,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컴퓨터 시스템(10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이벤트 및 액션 제어를 위한 모바일 용 앱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모바일 용 서비스 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서비스 앱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IoT 디바이스 간 연계 동작으로 구성되는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 서비스부(210), 복합 서비스부(220), 및 저장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2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을 처리하기 위해 구현된 프로그램의 코드에 대응될 수 있다.
기본 서비스부(210)는 통합 제어 대상이 되는 복수 개의 IoT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고 IoT 디바이스 별로 각 디바이스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복합 서비스부(2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IoT 디바이스 간 연계 동작으로 구성되는 서비스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 목록부(221), 복합 서비스 목록부(222), 및 복합 서비스 등록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목록부(221)는 서비스를 위해 통합 제어 대상으로 등록되는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유지 및 출력할 수 있고, 기본 서비스부(210)를 통해 디바이스의 등록, 제거, 설정 변경 등의 수정이 가능하며 수정 발생 시 통합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서비스 목록부(222)는 복합 서비스 등록부(223)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복합 서비스 목록을 유지 및 출력할 수 있고, 복합 서비스 등록부(223)에 의해 복합 서비스의 등록, 제거, 설정 변경 등의 수정이 가능하며 수정 발생 시 복합 서비스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서비스 등록부(223)는 사용자에 의해 IoT 디바이스 간 연계 동작으로 구성되는 복합 서비스를 신규 등록하거나, 혹은 기존에 등록된 복합 서비스를 제거하거나 서비스의 연계 동작을 변경하는 등의 수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복합 서비스는 적어도 둘 이상의 IoT 디바이스 간 연계 동작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정 동작 발생 조건을 나타내는 이벤트와 이벤트에 의해 동작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서비스 등록부(223)는 이벤트 등록부와 액션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이벤트 등록부는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액션 등록부는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소(230)는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모바일 용 서비스 앱의 로컬 저장공간으로서 기본 서비스부(210)와 복합 서비스부(220)로부터 갱신되는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품 서비스 동작부(201)는 서비스 앱과의 연동을 통해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이벤트와 액션을 IoT 서비스 설정에 반영할 수 있고 복합 서비스와 관련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앱으로 회신할 수 있다.
저장소(230)에 저장된 정보는 제품 서비스 동작부(201) 및/또는 서비스 앱과 관련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로 전달되어 로컬 저장공간과 함께 외부 다른 저장공간에도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가 서비스 앱의 로컬 저장공간인 저장소(230)에는 물론이고, 제품 서비스 동작부(201) 및/또는 서비스 앱과 관련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 상의 저장공간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개별 IoT 디바이스의 기본 기능은 서비스 앱을 통해 기 등록된 상태로 간주한다. 이때, 기본 기능은 각 IoT 디바이스가 특정 동작 혹은 센싱을 할 경우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해주는 기능, 혹은 사용자가 서비스 앱을 통해 특정 동작 명령을 했을 경우 그 명령대로 동작하는 기본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가 현재 온도를 서비스 앱으로 통보하고 사용자가 서비스 앱으로 조명의 오프(off) 명령을 내릴 경우 조명이 꺼지는 것 등이 기본 동작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목록 화면(310)에는 서비스를 위해 통합 제어 대상으로 등록된 개별 디바이스 목록(311)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새로운 복합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 버튼(312)이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 목록 화면(310)은 물론이고, 서비스 앱의 홈 화면이나 서비스 설정 화면 등에 '서비스 등록' 버튼(312)이 포함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디바이스 목록 화면(310)에서 '서비스 등록' 버튼(312)이 입력되면 새로운 복합 서비스의 등록이 가능한 서비스 등록 화면(3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 화면(320)에는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복합 서비스 목록(321)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새로운 복합 서비스의 구체적인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새로운 자동 서비스 등록' 버튼(322)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등록 화면(320)에서 '새로운 자동 서비스 등록' 버튼(322)이 입력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복합 서비스의 구체적인 정보를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 등록 상세 화면(4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 상세 화면(430)에는 등록하고자 하는 복합 서비스의 이름을 지정하기 위한 '서비스명' 메뉴(431)와,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이벤트를 등록하기 위한 '이벤트' 메뉴(432)와,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액션을 등록하기 위한 '액션' 메뉴(43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비스 등록 상세 화면(430)에서 '서비스명' 메뉴(431)를 통해 등록하고자 하는 복합 서비스의 이름을 입력한 후 '이벤트' 메뉴(432)를 입력하는 경우 복합 서비스의 이벤트 등록을 위한 이벤트 등록 화면(4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벤트 등록 화면(440)에는 통합 제어 대상으로 등록된 개별 디바이스 목록이 출력됨과 아울러, 디바이스 목록 내에서 각 디바이스 별로 해당 디바이스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 목록(441)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벤트 등록 화면(440)에서는 디바이스 목록에서 이벤트 발생 대상이 되는 기기를 선택하면 해당 기기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 목록(441)이 서브 항목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는 이벤트를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이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벤트 등록 화면(44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벤트를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입력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서비스 등록 상세 화면(430)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이벤트 등록 화면(44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벤트가 '이벤트' 메뉴(432)에 자동 입력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비스 등록 상세 화면(430)에서 '액션' 메뉴(433)를 입력하는 경우 복합 서비스의 액션 등록을 위한 액션 등록 화면(5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액션 등록 화면(550)에는 통합 제어 대상으로 등록된 개별 디바이스 목록이 출력됨과 아울러, 디바이스 목록 내에서 각 디바이스 별로 해당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액션 목록(551)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액션 등록 화면(550)에서는 디바이스 목록에서 액션 발생 대상이 되는 기기를 선택하면 해당 기기로 동작시킬 수 있는 액션 목록(551)이 서브 항목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는 액션을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액션을 저장할 수 있다.
액션 등록 화면(55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액션을 선택하고 '저장' 버튼을 입력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서비스 등록 상세 화면(430)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액션 등록 화면(55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액션이 '액션' 메뉴(433)에 자동 입력되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등록 상세 화면(430)의 '이벤트' 메뉴(432)와 '액션' 메뉴(433) 상에 출력된 이벤트와 액션을 확인한 후 최종으로 '저장'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새로운 복합 서비스의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 상세 화면(430)에서 '저장' 버튼이 입력되면 서비스 등록 화면(320)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서비스 등록 화면(320)에는 기 등록된 복합 서비스 목록에 새로 등록된 복합 서비스가 추가됨으로써 갱신된 복합 서비스 목록(321)이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갱신된 복합 서비스 목록(321)에서 새로 추가된 서비스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IoT 디바이스 간 연계 동작으로 구성되는 복합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복합 서비스의 일례로 'IoT 디바이스 B'에서 '이벤트 A'가 발생하는 경우 'IoT 디바이스 E'를 통해 '액션 A'을 실행하는 '서비스 C'를 등록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 센서를 통해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이벤트: 도어 열림) 선풍기가 연결된 스마트 플러그를 온 시키는 동작(액션: 선풍기 가동)을 복합 서비스로 등록할 수 있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을 통해 등록된 '서비스 C'에 따른 IoT 디바이스 간 연계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품 서비스 동작부(201)는 '서비스 C'의 이벤트 발생 대상이 되는 기기인 IoT 디바이스 B(701)에서 '이벤트 A'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A'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앱이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앱은 현재 발생된 '이벤트 A'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기 등록된 연동 내용을 검색하여 '이벤트 A'에 대응하는 액션으로 등록된 '액션 A'에 대한 정보를 제품 서비스 동작부(20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제품 서비스 동작부(201)는 '서비스 C'의 액션 발생 대상이 되는 기기인 IoT 디바이스 E(702)를 통해 '액션 A'를 실행함으로써 복합 서비스인 '서비스 C'를 구현할 수 있다.
등록된 복합 서비스 정보가 제품 서비스 동작부(201)의 로컬 스토리지에도 저장될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이벤트 발생 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경유하지 않고 제품 서비스 동작부(201)만 거쳐서 액션이 실행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상으로 복수의 IoT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IoT 디바이스 간 연계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앱 방식의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와 상기 액션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복합 서비스로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된 복합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는 서비스 등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을 통해 서비스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복합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서비스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에는 상기 복합 서비스의 이름을 등록하기 위한 서비스명 메뉴, 상기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이벤트를 등록하기 위한 이벤트 메뉴, 및 상기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액션을 등록하기 위한 액션 메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에서 상기 이벤트 메뉴를 입력하는 경우 이벤트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등록 화면을 통해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등록 화면에서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서브 항목으로 상기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에서 상기 액션 메뉴를 입력하는 경우 액션 등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액션 등록 화면을 통해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액션 등록 화면에서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서브 항목으로 상기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구성된 복합 서비스가 상기 복합 서비스 목록에 추가됨으로써 갱신된 복합 서비스 목록을 상기 서비스 등록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6. 컴퓨터로 구현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별 디바이스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개별 디바이스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동작 가능한 액션 목록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이벤트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와 상기 액션 목록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복합 서비스로 구성하는 과정
    을 처리하는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20180051851A 2018-05-04 2018-05-04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1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51A KR102112016B1 (ko) 2018-05-04 2018-05-04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51A KR102112016B1 (ko) 2018-05-04 2018-05-04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887A true KR20190134887A (ko) 2019-12-05
KR102112016B1 KR102112016B1 (ko) 2020-05-19

Family

ID=6900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851A KR102112016B1 (ko) 2018-05-04 2018-05-04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1877A1 (ja) * 2020-02-14 2021-08-19 IoT-EX株式会社 IoT接続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155543A (ko) * 2021-05-14 2022-11-23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 간의 정보 교환의 기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03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KR20170074049A (ko) * 2015-12-21 2017-06-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기종 디바이스 상호 연동방법 및 장치
KR20170089204A (ko)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세이가 다중 디바이스 연동 제어 시스템
KR20180043041A (ko) * 2016-10-19 2018-04-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인터넷에서 멀티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연동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03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KR20170074049A (ko) * 2015-12-21 2017-06-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기종 디바이스 상호 연동방법 및 장치
KR20170089204A (ko)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세이가 다중 디바이스 연동 제어 시스템
KR20180043041A (ko) * 2016-10-19 2018-04-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인터넷에서 멀티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디바이스 연동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1877A1 (ja) * 2020-02-14 2021-08-19 IoT-EX株式会社 IoT接続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155543A (ko) * 2021-05-14 2022-11-23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 간의 정보 교환의 기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016B1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1842A1 (en) Techniques for service execution and monitoring for run-time service composition
US20200387804A1 (en) Constructing and utilizing a knowledge graph for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US20190303212A1 (en)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configuration state with cloud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techniques
US9058194B2 (en) Software application previews
CN111417925A (zh) 用于装置设计的代码模块选择
EP4161015A1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2652384B1 (ko) 메신저 봇을 이용하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220405767A1 (en) User controlled sharing of personal and contact information using a blockchain
US20190354526A1 (en) Fast distributed graph query engine
US20210365410A1 (en) Multidirectional synchronization of cloud application data
KR102112016B1 (ko)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814897B1 (ko) 파일 보호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5568A (ko)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82783B1 (ko) 메신저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922297B2 (en) Edge AI accelerator service
US20230251871A1 (en) Techniques for migrating services from a virtual bootstrap environment
US20230254287A1 (en) Techniques for a virtual bootstrap environment in a distributed virtual private network
US11863639B2 (en) Service provider managed applications in secured networks
KR102097579B1 (ko) 경로탐색 실패 로그를 기반으로 도로네트워크 데이터 이상건 추출 방법 및 시스템
JP6930862B2 (ja) クライアント改ざん判断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62379B1 (ko) 결제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로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305733B1 (en) Defining software infrastructure using a physical model
KR102002896B1 (ko)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4065A (ko) 파일 보호 방법 및 시스템
KR102423876B1 (ko)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최적화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