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630A - 리소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리소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4630A KR20190134630A KR1020197028567A KR20197028567A KR20190134630A KR 20190134630 A KR20190134630 A KR 20190134630A KR 1020197028567 A KR1020197028567 A KR 1020197028567A KR 20197028567 A KR20197028567 A KR 20197028567A KR 20190134630 A KR20190134630 A KR 201901346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bandwidth portion
- bandwidth
- network side
- slo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2—Intra-user or intra-terminal al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 H04W72/04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제1 시나리오를 지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제2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제3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UE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Claims (45)
-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서 수행되는 리소스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의 구성을 UE에게 지시함 - ,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는 것은,
시간-영역 구조를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한 번에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4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시간-영역 구조를 상기 UE에 지시함 -
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의 구성은 가입자 간격(subscriber spacing), 대역폭 부분 크기, 주파수-영역에서의 대역폭 부분의 위치, 시간-영역 지속 기간,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구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영역 구조를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한 번에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제1 대역폭 부분을 활성화할 대역폭 부분 및 상기 활성화할 대역폭 부분에 대응하는 지속 시간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속 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활성 대역폭 부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제2 대역폭 부분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할 대역폭 부분에 대한 지속 시간은 슬롯 또는 미니-슬롯 또는 심벌 또는 ms 단위로 구성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정보는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이 상기 제1 정보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으로부터 선택됨을 상기 UE에 지시함 - , 그리고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상기 후보 대역폭 부분으로부터 선택된, 사용할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대역폭 부분 내의 리소스 할당을 지시함 -
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DCI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상기 제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리소스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UE가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UE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의 구성을 UE에게 지시함 -
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의 구성은 가입자 간격(subscriber spacing), 대역폭 부분 크기, 주파수-영역에서의 대역폭 부분의 위치, 시간-영역 지속 기간,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구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정보는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이 상기 제1 정보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으로부터 선택됨을 상기 UE에 지시함 - ,
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UE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UE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상기 UE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대역폭 부분 내의 리소스 할당을 지시함 -
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DCI를 통해 상기 UE에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제4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UE에 시간-영역 구조를 지시함 -
를 더 포함하는 리소스 구성 방법. -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로서,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유닛 - 상기 제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의 구성을 UE에게 지시함 - ,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측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시간-영역 구조를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한 번에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4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정보는 시간-영역 구조를 상기 UE에 지시하는,
사용자 장비.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의 구성은 가입자 간격(subscriber spacing), 대역폭 부분 크기, 주파수-영역에서의 대역폭 부분의 위치, 시간-영역 지속 기간,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구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제1 대역폭 부분을 활성화할 대역폭 부분 및 활성화할 대역폭 부분에 대응하는 지속 시간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지속 시간이 경과하는 때, 상기 활성 대역폭 부분을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제2 대역폭 부분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할 대역폭 부분에 대한 지속 시간은 슬롯 또는 미니-슬롯 또는 심벌 또는 ms 단위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 제22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이 상기 제1 정보를 통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으로부터 선택됨을 상기 UE에 지시하며,
상기 제1 처리 유닛은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에 의해 상기 후보 대역폭 부분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사용할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제3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대역폭 부분 내의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사용자 장비.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은 DCI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상기 제3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유닛 -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UE가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UE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의 구성을 UE에게 지시함 -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UE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의 구성은 가입자 간격(subscriber spacing), 대역폭 부분 크기, 주파수-영역에서의 대역폭 부분의 위치, 시간-영역 지속 기간,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구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상기 UE에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이 상기 제1 정보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으로부터 선택됨을 상기 UE에 지시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UE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3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UE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상기 UE에 상기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33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상기 UE에 제3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대역폭 부분 내의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DCI를 통해 상기 UE에 제3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은 상기 UE에 제4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정보는 상기 UE에 시간-영역 구조를 지시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762482766P | 2017-04-07 | 2017-04-07 | |
US62/482,766 | 2017-04-07 | ||
PCT/CN2018/081775 WO2018184534A1 (en) | 2017-04-07 | 2018-04-03 | Method for configuring resource, user equipment, network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4630A true KR20190134630A (ko) | 2019-12-04 |
Family
ID=6371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8567A Ceased KR20190134630A (ko) | 2017-04-07 | 2018-04-03 | 리소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컴퓨터 저장 매체 |
Country Status (17)
Country | Link |
---|---|
US (1) | US11533154B2 (ko) |
EP (1) | EP3603274B1 (ko) |
JP (1) | JP7286545B2 (ko) |
KR (1) | KR20190134630A (ko) |
CN (2) | CN110495233B (ko) |
AU (1) | AU2018247516B2 (ko) |
BR (1) | BR112019019974A2 (ko) |
CA (1) | CA3058235A1 (ko) |
CL (1) | CL2019002707A1 (ko) |
IL (1) | IL269730A (ko) |
MX (1) | MX2019011359A (ko) |
PH (1) | PH12019502250A1 (ko) |
RU (1) | RU2760033C2 (ko) |
SG (1) | SG11201909090YA (ko) |
TW (1) | TWI753150B (ko) |
WO (1) | WO2018184534A1 (ko) |
ZA (1) | ZA20190652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51589B2 (en) * | 2011-08-05 | 2016-09-20 | Panasonic Intellecut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Terminal, transmitting device, reception quality reporting method and reception method |
WO2019097828A1 (ja) * | 2017-11-14 | 2019-05-23 | 日本電気株式会社 | 無線通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CN111107612B (zh) * | 2018-10-26 | 2021-10-1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带宽部分的配置方法及装置 |
CN111147212B (zh) * | 2018-11-02 | 2022-11-15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非激活频率资源的信道测量方法、基站及终端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39935A1 (en) | 2009-01-29 | 2023-09-06 | Sun Patent Trust | Reference signal arrangement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
US20130114571A1 (en) | 2011-11-07 | 2013-05-09 | Qualcomm Incorporated | Coordinated forward link blanking and power boosting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
CN103117830B (zh) * | 2013-01-28 | 2015-08-19 | 中国人民解放军理工大学 | 多频时分多址接入系统非实时业务时隙封装方法 |
CN103997788B (zh) * | 2013-02-18 | 2019-01-1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设备发现方法及用户设备、网络侧设备 |
CN104010363B (zh) * | 2013-02-26 | 2018-05-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定位参考信号子帧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
CN109547184A (zh) * | 2013-02-28 | 2019-03-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通信方法和装置 |
CN110855407B (zh) * | 2016-03-31 | 2020-12-0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信息的发送方法、发送装置、通信装置及可读存储介质 |
TWI660611B (zh) * | 2016-05-13 | 2019-05-21 | 聯發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種配置用於ofdm系統的統一和擴展的訊框結構的方法及使用者設備 |
CN106255215B (zh) | 2016-08-05 | 2019-12-10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通信方法及通信装置 |
US10159097B2 (en) * | 2016-09-30 | 2018-12-18 | Qualcomm Incorporated | Signaling and determination of slot and mini-slot structure |
CN108633059B (zh) * | 2017-03-25 | 2021-06-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资源配置、确定部分带宽及指示部分带宽的方法及设备 |
-
2018
- 2018-04-03 WO PCT/CN2018/081775 patent/WO2018184534A1/en unknown
- 2018-04-03 AU AU2018247516A patent/AU2018247516B2/en active Active
- 2018-04-03 BR BR112019019974A patent/BR112019019974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8-04-03 KR KR1020197028567A patent/KR20190134630A/ko not_active Ceased
- 2018-04-03 TW TW107111904A patent/TWI753150B/zh active
- 2018-04-03 MX MX2019011359A patent/MX2019011359A/es unknown
- 2018-04-03 EP EP18781824.0A patent/EP3603274B1/en active Active
- 2018-04-03 CN CN201880023518.3A patent/CN110495233B/zh active Active
- 2018-04-03 US US16/499,076 patent/US11533154B2/en active Active
- 2018-04-03 SG SG11201909090Y patent/SG11201909090YA/en unknown
- 2018-04-03 JP JP2019553037A patent/JP7286545B2/ja active Active
- 2018-04-03 CA CA3058235A patent/CA305823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4-03 RU RU2019135172A patent/RU2760033C2/ru active
- 2018-04-03 CN CN201911329365.8A patent/CN110890954B/zh not_active Ceased
-
2019
- 2019-09-24 CL CL2019002707A patent/CL2019002707A1/es unknown
- 2019-09-26 IL IL26973019A patent/IL269730A/en unknown
- 2019-09-30 PH PH12019502250A patent/PH12019502250A1/en unknown
- 2019-10-03 ZA ZA2019/06521A patent/ZA201906521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ZA201906521B (en) | 2021-01-27 |
RU2019135172A (ru) | 2021-05-07 |
PH12019502250A1 (en) | 2020-06-29 |
TW201838461A (zh) | 2018-10-16 |
CN110890954B (zh) | 2021-03-09 |
US20210091913A1 (en) | 2021-03-25 |
JP7286545B2 (ja) | 2023-06-05 |
BR112019019974A2 (pt) | 2020-04-28 |
AU2018247516A1 (en) | 2019-10-03 |
CN110495233A (zh) | 2019-11-22 |
EP3603274A1 (en) | 2020-02-05 |
JP2020516162A (ja) | 2020-05-28 |
TWI753150B (zh) | 2022-01-21 |
MX2019011359A (es) | 2019-11-07 |
CL2019002707A1 (es) | 2020-01-10 |
US11533154B2 (en) | 2022-12-20 |
IL269730A (en) | 2019-11-28 |
CN110495233B (zh) | 2024-04-26 |
CA3058235A1 (en) | 2018-10-11 |
RU2019135172A3 (ko) | 2021-07-16 |
EP3603274B1 (en) | 2023-10-04 |
EP3603274A4 (en) | 2020-03-25 |
CN110890954A (zh) | 2020-03-17 |
WO2018184534A1 (en) | 2018-10-11 |
AU2018247516B2 (en) | 2022-09-01 |
RU2760033C2 (ru) | 2021-11-22 |
SG11201909090YA (en) | 2019-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8527B1 (ko) | 정보 송신 및 수신 방법들 및 장치들 | |
CN108768599B (zh) | 上行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 |
JP7074764B2 (ja) | 送信方向構成方法、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 |
JP5548272B2 (ja) | 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のシグナリング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基地局 | |
KR101637357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200125678A (ko) | 제어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및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 |
CN111344979B (zh) | 发信号通知时隙和微时隙中的参考信号位置 | |
US10735159B2 (en) | Uplink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 |
JP2020536419A (ja) | リソース割り当て特定方法、リソース割り当て指示方法、端末およ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 |
CN106559169B (zh) | 信令配置方法和装置 | |
KR20190134630A (ko) | 리소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컴퓨터 저장 매체 | |
CN106685616A (zh) | 测量参考信号srs的发送方法及装置 | |
JP2020516162A5 (ko) | ||
US2021025874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Between Plurality of Carrier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 |
EP3383107A1 (en) | Data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EP3550914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CN107295685B (zh) | 用于传输短增强型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 |
EP4301069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 |
EP3386224A1 (en) | Downlink emergency service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and system | |
WO2011040696A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200003117A (ko) | 메시지 디코딩 방법, 송신단 기기 및 수신단 기기 | |
JP2021512511A (ja) | チャネルリソースセットの指示方法及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 |
KR20200110660A (ko) | 시간 영역 리소스의 확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 |
HK40015263A (en) | Method for configuring resource, user equipment, network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HK40004741A (en) | Numerology-dependent downlink control channel mapp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8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