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286A - Multi-type fuse module - Google Patents

Multi-type fus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286A
KR20190134286A KR1020180059739A KR20180059739A KR20190134286A KR 20190134286 A KR20190134286 A KR 20190134286A KR 1020180059739 A KR1020180059739 A KR 1020180059739A KR 20180059739 A KR20180059739 A KR 20180059739A KR 20190134286 A KR20190134286 A KR 2019013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ar
module
modules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2331B1 (en
Inventor
이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5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331B1/en
Publication of KR2019013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fuse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tage fuse module which comprises: a first fuse bar of a conductive member; a second fuse bar formed in a hollow rod shape and having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fuse bar inserted therein; and a melting part fixing the first fuse bar and the second fuse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tage fuse module has a plurality of fuse modules different in length from each other, and the fuse modules contacts a contact part sequentially from the fuse modules with the longest length so as to be reused even when the fuse module is melted by an overcurrent.

Description

다단형 퓨즈 모듈{MULTI-TYPE FUSE MODULE}Multi-stage fuse module {MULTI-TYPE FUSE MODULE}

본 발명은 다단형 퓨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부재의 제1 퓨즈바, 중공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1 퓨즈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 퓨즈바 및 제1 퓨즈바와 제2 퓨즈바를 고정하는 용융부를 포함하는 퓨즈 모듈에 있어서, 서로 길이가 다른 복수의 퓨즈 모듈을 구비하고, 접촉부가 복수의 퓨즈 모듈 중 길이가 가장 긴 퓨즈 모듈부터 순차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해 퓨즈 모듈이 용융되더라도 재사용이 가능한 다단형 퓨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fuse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a second fuse bar and a first fuse bar of the conductive member, and a hollow rod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inserted therein and the first fuse bar. A fuse module including a melting section for fixing a fuse bar and a second fuse bar, the fuse module comprising a plurality of fuse modules having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and the contact portion sequentially contacting the fuse module having the longest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thereby preventing overcurrent. By the fuse module is melted by the multi-stage fuse module that can be reused.

전자 부품의 하나인 퓨즈(fuse)는 전선에 규정 값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계속 흐르지 못하게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로서,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퓨즈가 녹아서 끊어진다.A fuse, which is one of electronic components,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uts off excessive current over a wire, and when an overcurrent flows, the fuse melts due to heat generated by the current.

퓨즈는 전기, 전자기기나 배선 등을 보호하는 차단기 역할을 하며, 주로 녹는점이 낮은 납과 주석 또는 아연과 주석의 합금을 재료로 사용한다. 하지만 녹는점이 매우 높은 텅스텐의 경우, 정밀한 가공을 통하여 실처럼 가는 텅스텐선을 만들어 미소전류용 퓨즈로 사용하기도 한다.The fuse serves as a circuit breaker to protect electricity, electronic devices and wiring, and mainly uses low melting point lead and tin or an alloy of zinc and tin as a material. However, tungsten, which has a very high melting point, may be used as a microcurrent fuse by making a fine tungsten wire through precision machining.

일반적으로 기존의 전류 퓨즈의 경우, 단순히 한자기 레벨의 보호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로에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단 한번의 동작으로 대상물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돌입전류나 잠시 동안의 비정상적인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퓨즈가 퓨징(Fusing)되어 회로를 단락시키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In general, current fuses have only a single magnetic level protection function, which protects the object with a single operation when excessive current flows through the circuit. However, if an inrush current or a momentary abnormal operation occurs momentarily, the fuse may be fused to short circuit the circuit, thereby making the whole system unusable.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624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46243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도성 부재의 제1 퓨즈바, 중공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1 퓨즈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 퓨즈바 및 제1 퓨즈바와 제2 퓨즈바를 고정하는 용융부를 포함하는 퓨즈 모듈에 있어서, 서로 길이가 다른 복수의 퓨즈 모듈을 구비하고, 접촉부가 복수의 퓨즈 모듈 중 길이가 가장 긴 퓨즈 모듈부터 순차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해 퓨즈 모듈이 용융되더라도 재사용이 가능한 다단형 퓨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fuse bar of the conductive member, the second fuse bar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is inserted therein and A fuse module including a melting part for fixing a first fuse bar and a second fuse bar, comprising: a plurality of fuse modules having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and wherein the contact portion sequentially contacts the fuse module having the longest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It is to provide a multi-stage fuse module that can be reused even if the fuse module is melted due to overcurr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은, 전도성 부재로서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퓨즈바, 중공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제1 퓨즈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 퓨즈바 및 상기 제1 퓨즈바와 상기 제2 퓨즈바를 고정하는 용융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퓨즈 모듈 및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퓨즈 모듈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은,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Multi-stage fus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use bar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d as a conductive member, the seco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ro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is insert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use modules including a fuse bar and a melting part fixing the first fuse bar and the second fuse bar, and a contact part conta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The fuse module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in length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은, 최전단에 위치한 퓨즈 모듈부터 기 설정된 크기만큼씩 순차적으로 길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may be formed to sequentially decrease in length by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fuse module positioned at the foremost e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금속의 장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 중 가장 길이가 긴 퓨즈 모듈부터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by the tension of the metal, it can be sequentially contacted from the longest fuse module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은, 상기 제1 퓨즈바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에서부터 상기 제2 퓨즈바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bar) 및 상기 제1 퓨즈바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2 퓨즈바 후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may include a bar exten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toward a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fuse bar and at least a portion of a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Each of the elastic members connecting the second fuse bar rear end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융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제2 퓨즈바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늘어난 상태로 상기 제1 퓨즈바와 상기 제2 퓨즈바를 고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lter may be fixed to the first fuse bar and the second fuse bar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extended to act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end por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use b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형 퓨즈 모듈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과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용융부가 용융됨으로써 상기 제2 퓨즈바 후단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바와 접촉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ulti-stage fus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wherein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one-to-one, respectively, and the melting unit By melting, the contact signal may be output by contacting with the bar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fuse bar.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도성 부재의 제1 퓨즈바, 중공의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1 퓨즈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 퓨즈바 및 제1 퓨즈바와 제2 퓨즈바를 고정하는 용융부를 포함하는 퓨즈 모듈에 있어서, 서로 길이가 다른 복수의 퓨즈 모듈을 구비하고, 접촉부가 복수의 퓨즈 모듈 중 길이가 가장 긴 퓨즈 모듈부터 순차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해 퓨즈 모듈이 용융되더라도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fuse bar of the conductive member, a hollow rod formed in the form, the seco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 fuse module including a fuse bar and a melting part for fixing the first fuse bar and the second fuse bar, the fus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fuse modules having different lengths from each other, and the contact portion sequentially from the fuse module having the longest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By conta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use module can be reused even if the fuse module is melted by the overcurr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에서 퓨즈 모듈(100)과 접촉부(200)가 접촉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에서, 과전류 발생시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이 단계적으로 접촉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nents of a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the fuse module 100 and the contact portion 200 are contacted in the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schematically illustrat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are contacted step by step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provided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에서 퓨즈 모듈(100)과 접촉부(200)가 접촉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nents of a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se module in a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rm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200 is in contact.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은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 접촉부(200) 및 스위칭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a contact part 200, and a switching part 300. It may include.

여기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다단형 퓨즈 모듈(10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실시예가 도 1 및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Here, the multi-stage fuse module 1000 illustrated in FIGS. 1 and 2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FIGS. 1 and 2, and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먼저,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은 후술되는 접촉부(200)와 접촉함으로써, 전류가 흐르기 위한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용융됨으로써,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퓨즈 모듈은 제1 퓨즈바(110), 제2 퓨즈바(120), 용융부(130), 바(140) 및 탄성부재(15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may form a closed circuit for current to flow by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melt when the over current flows, thereby blocking the current. Can be. To this end, the fuse module may include a first fuse bar 110, a second fuse bar 120, a melter 130, a bar 140, and an elastic member 150, respectively.

제1 퓨즈바(110)는 후술하는 접촉 단자(200)와 직접 접촉하여 후술하는 제2 퓨즈바(120)와 접촉부(200)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퓨즈바(110)는 전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use bar 110 may directly contact the contact terminal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serve to allow a current to flow in the second fuse bar 120 and the contact portion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is end, the first fuse bar 11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mber.

제1 퓨즈바(110)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단형 퓨즈 모듈(1000)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use bar 11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rod as shown in Figures 1 to 3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multi-stage fuse module 1000 is used.

제2 퓨즈바(120)는 중공의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제1 퓨즈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fuse bar 1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ro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may be inserted therein.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 마다 각각 포함된 제2 퓨즈바(120)의 일측이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 마다 각각 포함된 제2 퓨즈바(120)의 후단부가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one side of the second fuse bar 120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is connected, thereby, a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 Can be interconnecte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rear ends of the second fuse bars 12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fuse modules ( 100 (a) to 100 (c) may be conn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용융부(130)는 제1 퓨즈바(110)와 제2 퓨즈바(120)를 고정할 수 있다. The melting part 130 may fix the first fuse bar 110 and the second fuse bar 120.

일 실시예에서, 용융부(130)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용융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용융됨으로써, 제1 퓨즈바(110)와 제2 퓨즈바(1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melter 130 may include a component to be mel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nd when the overcurrent flows, the melter 130 is melted, thereby fixing the first fuse bar 110 and the second fuse bar 120. Can be relea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용융부(130)의 종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이 사용되는 환경, 필요한 정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퓨즈 모듈(1000)마다 서로 상이한 종류의 용융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정격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전단에 위치한 퓨즈 모듈(100)(이하, “제1 퓨즈 모듈(100(a)”이라 한다.)과 제1 퓨즈 모듈(100(a))이 퓨징될 경우 접촉부(200)와 연결되는 퓨즈 모듈(100)(이하, “제2 퓨즈 모듈(100(b))”이라 한다.)과 제2 퓨즈 모듈(100(b))이 퓨징될 경우 접촉부(200)와 연결되는 퓨즈 모듈(100)(이하, “제3 퓨즈 모듈(100(c))”이라 한다.)의 용융부(120)의 정격 용량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type of the melter 13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required rating, the multi-stage fuse module 1000 is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0) By having different kinds of melting parts 130, it is possible to have different sizes of rated capacity. For example, when the fuse modul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fuse module 100 (a)”) and the first fuse module 100 (a) located at the forefront are fused, the contact portion 200 may be fused. A fuse connected to the contact unit 200 when the fuse modul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fuse module 100 (b)”) and the second fuse module 100 (b)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used together. The rated capacity of the melting part 120 of the modul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fuse module 100 (c)”) may be differ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바(140)는 제1 퓨즈바(110)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에서부터 제2 퓨즈바 후단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r 140 may exten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110 toward the rear end portion 120 of the second fuse bar.

바(14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퓨즈바(110)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에서부터 연장되어 제2 퓨즈바(120)의 후단부 외측으로 일부 돌출 되로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ar 140 may exten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fuse bar 110 to partiall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fuse bar 120.

탄성부재(150)는 제1 퓨즈바(110)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2 퓨즈바(120) 후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50 may conn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fuse bar 110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fuse bar 120.

일 실시예에서, 용융부(130)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도 3a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제2 퓨즈바(120)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늘어난 상태로 제1 퓨즈바(110)와 제2 퓨즈바(12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50)는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the melter 130 is the first fuse bar 110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extended to act in the rear end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use bar 120 as shown by the arrow shown in Figure 3a. And the second fuse bar 120 may be fixed.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150 may be a spr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는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전단에 위치한 제1 퓨즈 모듈(110a)부터 기 설정된 크기만큼씩 순차적으로 길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서에 상관 없이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의 길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may be formed different in length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first fuse module 110a positioned at the foremost end may be sequentially reduced by a predetermined siz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may be set differently regardless of the order.

접촉부(200)는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의 퓨즈 모듈과 접촉할 수 있다.The contact unit 200 may be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접촉부(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의 장력에 의해 복수의 퓨즈 모듈 방향(100(a) 내지 100(c))으로 휘어짐으로써,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 중 가장 길이가 긴 퓨즈 모듈(100(a))부터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tact part 2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by the tension of the metal, whereby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 c)) may be sequentially contacted from the longest fuse module (100 (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스위칭부(300)는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복수의 스위칭 소자(300(a) 내지 300(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300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and the plurality of switche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Devices 300 (a) to 300 (c) may be included.

복수의 스위칭 소자(300(a) 내지 300(c))는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에 각각 포함된 바(140)와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일대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용융부(130)가 용융됨으로써 제2 퓨즈바(120) 후단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바(140)와 접촉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300 (a) to 300 (c) may be positioned to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contact each of the bars 14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respectively. As the melting part 130 is melted, the contact signal may be output by contacting with the bar 14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fuse bar 120.

여기서, 접촉 신호는 퓨즈 모듈(100)에 과전류가 흘러 용융?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출력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contact signal may mean a signal output to inform that the fuse module 100 is overcurrent flowing and melted.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별도의 스위칭부(300)를 포함하지 않고,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과 접촉부(200)로 형성되는 전류 경로의 선로저항(Line Impedance)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의 용융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과전류 발생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ine resistance of the current path formed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and the contact unit 200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switching unit 300 is included. The melt state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value. Hereinafter, a process of operating the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에서, 과전류 발생시 복수의 퓨즈 모듈(100(a) 내지 100(c))이 단계적으로 접촉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A to 3C schematically illustrat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fuse modules 100 (a) to 100 (c) are contacted step by step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형 퓨즈 모듈(1000)에서 최전단에 위치한 제1 퓨즈 모듈(100(a))과 접촉부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제1 퓨즈 모듈(100(a))의 용융부(130(a))가 용융되고, 이에 따라 제1 퓨즈바(110(a))와 제2 퓨즈바(120(a))를 연결하고 있던 탄성부재가(150(a)) 제2 퓨즈바(120(a))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제1 퓨즈바(110(a))가 제2 퓨즈바(120(a))의 내측으로 더욱 깊숙하게 삽입된다. 이때, 제1 퓨즈바(110(a))의 바(140(a))는 제2 퓨즈바(120(a))의 후단부 외부로 더 길게 돌출되어 스위칭부(300)에 포함된 제1 스위칭 소자(310(a))와 접촉하게 된다. 제1 스위칭 소자(310(a))는 바(140(a))와 접촉됨과 동시에 접촉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고, 외부에서는 이러한 접촉 신호를 통해 현재 제1 퓨즈 모듈(100(a))이 용융되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3A to 3C,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a case where a contact part is connected to a first fuse module 100 (a) positioned at the foremost end in the multi-stage fuse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lting part 130 (a) of the first fuse module 100 (a) is melted, and thus, the first fuse bar 110 (a) and the second fuse bar 120 (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lastic member 150 (a)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fuse bar 120 (a) so that the first fuse bar 110 (a) is inside the second fuse bar 120 (a). It is inserted deeper. At this time, the bar 140 (a) of the first fuse bar 110 (a) protrudes longer than the rear end of the second fuse bar 120 (a) to be included in the switching unit 300.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witching element 310 (a). The first switching element 310 (a) is in contact with the bar 140 (a) and at the same time outputs a contact signal to the outside, the outside of the first fuse module 100 (a) through the contact signal. It can be determined that this is molten.

이후, 접촉부(200)는 장력에 의해 휘어짐으로써 2번째로 길이가 긴 제2 퓨즈 모듈(100(b))과 접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퓨즈 모듈(100(b)) 및 접촉부(200)를 포함하는 새로운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전류의 재공급이 가능하다.Thereafter, the contact part 200 is bent by the tens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ngest fuse module 100 (b). As a result, a new current path including the second fuse module 100 (b) and the contact portion 200 is formed to enable resupply of curre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0: 퓨즈 모듈
110: 제1 퓨즈바
120: 제2 퓨즈바
130: 용융부
140: 바
150: 탄성부재
200: 접촉부
300: 스위칭부
310: 스위칭 소자
100: fuse module
110: first fuse bar
120: second fuse bar
130: melting part
140: bar
150: elastic member
200: contact portion
300: switching unit
310: switching element

Claims (6)

전도성 부재로서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퓨즈바; 중공부가 형성된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제1 퓨즈바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 퓨즈바; 및 상기 제1 퓨즈바와 상기 제2 퓨즈바를 고정하는 용융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퓨즈 모듈; 및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퓨즈 모듈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은,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퓨즈 모듈.
A first fuse bar formed in a rod shape as a conductive member; A second fuse bar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in a rod shape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inserted therein; And a melter configured to fix the first fuse bar and the second fuse bar. And
And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formed different from each other,
Multi-stage fus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은,
최전단에 위치한 퓨즈 모듈부터 기 설정된 크기만큼씩 순차적으로 길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퓨즈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sequentially reduced from the fuse module located at the foremost by a predetermined size,
Multi-stage fus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금속의 장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 중 가장 길이가 긴 퓨즈 모듈부터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퓨즈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ct portion,
It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it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by the tension of the metal, characterized in that to sequentially contact from the longest fuse module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Multi-stage fus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은,
상기 제1 퓨즈바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에서부터 상기 제2 퓨즈바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bar); 및
상기 제1 퓨즈바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2 퓨즈바 후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퓨즈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A bar extending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towar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fuse bar; And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fuse bar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fuse bar, respectively.
Multi-stage fuse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제2 퓨즈바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늘어난 상태로 상기 제1 퓨즈바와 상기 제2 퓨즈바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퓨즈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l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first fuse bar and the second fuse bar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extended to act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en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use bar,
Multi-stage fuse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형 퓨즈 모듈은,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칭 소자는,
상기 복수의 퓨즈 모듈과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용융부가 용융됨으로써 상기 제2 퓨즈바 후단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바와 접촉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퓨즈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ulti-stage fuse module,
Further comprising: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The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Locat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fuse modules, the melting part is melted to contact the ba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fuse bar,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contact signal,
Multistage Fuse Module
KR1020180059739A 2018-05-25 2018-05-25 Multi-type fuse module KR102442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39A KR102442331B1 (en) 2018-05-25 2018-05-25 Multi-type fus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39A KR102442331B1 (en) 2018-05-25 2018-05-25 Multi-type fus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86A true KR20190134286A (en) 2019-12-04
KR102442331B1 KR102442331B1 (en) 2022-09-08

Family

ID=6900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39A KR102442331B1 (en) 2018-05-25 2018-05-25 Multi-type fus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33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104U (en)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Fuse break display circuit of vehicle
KR20150046243A (en) 2012-10-17 2015-04-2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electrical wire fuse
KR20150066697A (en) * 2013-12-09 2015-06-17 (주)엠에스테크비젼 Complex fuse for preventing over-heating and over-current
KR20160110729A (en) * 2015-03-11 201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use length extender for ring main unit
KR20180006131A (en)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Multi-type fus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104U (en)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Fuse break display circuit of vehicle
KR20150046243A (en) 2012-10-17 2015-04-2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electrical wire fuse
KR20150066697A (en) * 2013-12-09 2015-06-17 (주)엠에스테크비젼 Complex fuse for preventing over-heating and over-current
KR20160110729A (en) * 2015-03-11 201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use length extender for ring main unit
KR20180006131A (en)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Multi-type f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331B1 (en)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4783B2 (en) Compact fused disconnect switch
US5345210A (en) Time delay fuse
US2734111A (en) kozacka
JP6357221B2 (en) Protective device
KR102030883B1 (en) Multi-type fuses
US7791448B2 (en) Dual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
JP2018531499A6 (en) Multistage fuse
US3840835A (en) Electric current-limiting low voltage fuse
US4114128A (en) Composite sectionalized protective indicating-type fuse
US20160189905A1 (en) Protection Device Employing Current Limiting Fuse and Vacuum Fuse
KR102442331B1 (en) Multi-type fuse module
US3491322A (en) Electric multifunction fuse
US2918551A (en) Fuses with built-in indicating plungers
JPS63126128A (en) Breaker
JPH04345724A (en) Non-destructive fuse
US20160189904A1 (en)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Vacuum Fuses
US2050277A (en) Circuit breaker
JP7416505B1 (en) protection element
CN111599559A (en) Fuse-resis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380837B1 (en) Slow acting fuse with wide range of current ratings
KR20190095752A (en) Fusing busbar
KR200492010Y1 (en) Anti-surge winding fusible resistor fuse
CN217087490U (en) Overload protection unit,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WO2022054404A1 (en) Fuse
KR930006393Y1 (en)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