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274A - Lane removal apparatus - Google Patents
Lane removal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4274A KR20190134274A KR1020180059719A KR20180059719A KR20190134274A KR 20190134274 A KR20190134274 A KR 20190134274A KR 1020180059719 A KR1020180059719 A KR 1020180059719A KR 20180059719 A KR20180059719 A KR 20180059719A KR 20190134274 A KR20190134274 A KR 20190134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e
- removal
- main body
- tilting frame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E01H1/0845—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feeding instruments for the dirt to be sucked- up, e.g. brushes,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선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removing device.
도로의 노면에 시공된 차선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선 도료층이 변색되거나, 일부가 탈리(脫離)되면서 차선 고유의 기능성이 점차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The lanes constructed on the road surface have a phenomenon in which the lane paint layer discolors over time, or a part of the lanes is detached, thereby gradually deteriorating the inherent functionality of the lane.
특히, 노후된 차선들은 노면 상에서 식별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자칫 심각한 교통 사고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ging lanes may not only cause discomfort to the driver due to a significant deterioration of the discrimination on the road surface, but may also be a factor causing serious traffic accidents.
그러므로, 도로의 차선들은 주기적인 유지보수 처리가 요구되며, 차선의 유지보수 작업은 대부분 노면 상에서 기존 노후 차선을 제거한 다음, 다시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재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Therefore, the lanes of the road require periodic maintenance treatment, and the maintenance of the lanes is mostly performed by removing the old lanes on the road surface, and then repainting the lanes by repainting.
이러한 차선 제거 작업에는 차선제거장치가 사용되며, 이 차선제거장치 측에는 차선의 도료층을 강제로 긁어내는 상태로 벗겨낼 수 있는 제거부가 구비되어 차선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차선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A lane removing device is used for the lane removing operation, and the lane remov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removing part that can be peeled off by forcibly scraping the paint layer of the lane, and is moved to remove the lane while moving along the lane direction. .
특히, 차선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차선 제거 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작업장 주변에 차선의 도료층 파편들이 불규칙하게 튀거나, 비산(飛散)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 lane removal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lane removal apparatus, the coating layer fragments of the lanes are irregularly splashed or scattered around the work place, so the work is performed in such a state as to suppress it as much as possible. It is desirable to.
(특허0001) 특허등록 제10-1168555호_포장도로의 차선 제거기.Patent registration No. 10-1168555 _ Lane remover on the pavemen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노면의 차선 제거는 물론이거니와, 차선 제거 작업 중에 발생되는 도료(塗料) 파편과 같은 제거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수거 처리할 수 있는 차선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e removal apparatus that can easily remove and remove lane debris such as paint debris generated during a lane removal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바퀴 측에 받쳐진 상태로 이동 및 틸팅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틸팅프레임부를 구비한 본체;A main body having a tilting frame part formed to be movable and tilt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wheel side;
상기 본체의 틸팅프레임부 하부 측에 배치되어 도로 노면의 차선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거구를 구비한 제거부; 및A removal unit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tilting frame part of the main body, the removal unit having a removal port formed to remove the road lane by scraping the lane; And
상기 제거부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제거 이물질들을 석션 분위기로 수거 및 포장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거포장부;A collecting and packing unit formed to collect and package the removed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removing unit in a suction atmosphere;
를 포함하는 차선제거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lane removal device comprising a.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 상에서 차선을 긁어내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차선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제거 작동 중에 발생되는 차선의 도료 파편과 같은 제거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수거 및 포장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한층 향상된 작업 효율성 및 작업장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easily remove the lane by scraping the lane on the road surface, in particular, the structure that can easily collect and pave the removal foreign matter, such as the paint debris of the lane generated during the removal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mproved work efficiency and workplace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lan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an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차선제거장치는, 본체(2), 제거부(4), 및 수거포장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lan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referring to Figures 1 to 8, Lan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본체(2)는 도로(R) 노면 상에서 차선(L) 제거 작업이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즉, 본체(2)는 도 1에서와 같이 틸팅프레임부(A)를 구비하고, 이 틸팅프레임부(A)는 바퀴(W)들 측에 받혀진 상태로 노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바퀴(W)는 전륜 또는 후륜 측이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구동원(M)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서 본체(2)의 이동이 가능하게 회전 구동되도록 형성된다.The wheel W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side receives power from a drive source M, such as an engine or a motor, in a conventional manner so that the
틸팅프레임부(A)는 후술하는 제거부(4)의 유지보수 작업과 부합하는 상태로 틸팅(tilting) 조작이 가능한 프레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tilting frame portion A is formed to have a frame structure capable of a tilting operation in a state consistent with the maintenance work of the
즉, 틸팅프레임부(A)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A1)과, 틸팅프레임(A2)으로 구성되고, 지지프레임(A1) 측에서 틸팅프레임(A2) 측이 틸팅 조작이 가능하게 서로 연결축(A3)으로 연결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That is, the tilting frame portion A includes a support frame A1 and a tilting frame A2 as shown in FIGS. 1 to 2, and the tilting frame A2 side is tilted at the support frame A1 side. It may be se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axis (A3).
이러한 틸팅프레임부(A)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A1) 측이 노면 상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틸팅프레임(A2) 측이 연결축(A3)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위로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틸팅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is tilting frame portion (A)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A1) side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ure 2, the tilting frame (A2) side is lifted up around the connection axis (A3) coupling point The tilting operation can be made in the losing direction.
그리고,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2)는 틸팅프레임부(A)의 틸팅 조작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록킹부(B)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3 to 4, the
록킹부(B)는 틸팅프레임부(A)의 틸팅 조작과 연계하여 본체(2)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록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locking portion B is formed to provide a locking structure capable of limiting abnormal movement of the
즉, 록킹부(B)는 도 3에서와 같이 걸림판(C)과, 록킹구(D)를 구비하고, 이들의 걸림 접촉력에 의해 본체(2)의 바퀴(W)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locking portion (B) is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C) and a locking port (D), as shown in Figure 3, so as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wheel (W) of the
걸림판(C)은 원판 형태를 가지며 전륜 측 바퀴(W)의 축 측에 고정 설치되고, 둘레부 측에는 록킹구(D) 측과 대응하는 걸림홈(C1)들이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The locking plate C has a disc shape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haft side of the front wheel side wheels W,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C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ocking hole D side.
록킹구(D)는 도 3에서와 같이 길이방향 일단 측에 접지돌기(D1)가 형성되고, 타단 측에 걸림돌기(D2)가 형성되며, 틸팅프레임부(A)의 지지프레임(A1) 측에 핀(D3) 결합으로 연결 고정된다.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tool D has a grounding protrusion D1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cking protrusion D2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support frame A1 side of the tilting frame part A. It is fixed by connecting the pin (D3) to.
록킹구(D)는 지지프레임(A1) 측에서 탄성부재(D4)의 탄성력에 의해 핀(D3)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회전되어, 접지돌기(D1) 측은 틸팅프레임(A2) 일측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걸림돌기(D2) 측은 걸림판(C)의 걸림홈(C1) 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된다.Locking port (D) is elastically rotated around the pin (D3) coupling poin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D4) on the support frame (A1) side, the ground projection (D1) side is elastic to one side of the tilting frame (A2) Contact, the locking projection (D2) side is set to achieve a state that can be detachably fitted to the locking groove (C1) side of the locking plate (C).
탄성부재(D4)는 여러가지 타입의 스프링류 중에서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D4 may use,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among various types of springs.
이러한 록킹부(B)는 틸팅프레임부(A)의 틸팅 상태에 따라 록킹구(D)가 다음과 같이 탄력적으로 록킹 또는 록킹 해제 상태로 전환 작동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B) may be operated to switch to the locking or unlocking state of the locking tool (D) elastically as follows according to the tilting state of the tilting frame portion (A).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틸팅프레임부(A)의 지지프레임(A1)과 틸팅프레임(A2)이 서로 수평하게 겹쳐진 상태일 때, 록킹구(D)는 접지돌기(D1) 측이 틸팅프레임(A2) 일측에 눌려지면서 걸림돌기(D2) 측이 걸림판(C)의 걸림홈(C1) 측에서 걸림 해제된 상태로 작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support frame A1 and the tilting frame A2 of the tilting frame part A are horizont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tool D tilts toward the ground protrusion D1. While being pressed by one side of the frame A2, the locking projection D2 is operated while the locking groove C1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C1 side of the locking plate C.
그리고, 록킹구(D)는 도 4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A1) 측에서 틸팅프레임(A2) 측이 위로 들어 올려지는 상태로 틸팅 조작될 때에는, 접지돌기(D1)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탄성부재(D4)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걸림돌기(D2) 측이 걸림판(C)의 걸림홈(C1) 측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는 록킹 상태로 전환 동작되며, 이러한 걸림 접촉에 의해 본체(2) 측의 바퀴(W)는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And, when the locking tool (D) is operated in a tilting state in which the tilting frame (A2) side is lifted up from the support frame (A1) side as shown in Figure 4, the contact of the ground projection (D1) is released while the elastic member Rot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elastic force of (D4) is switched to the locking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D2) side is elastically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C1) side of the locking plate (C), by the locking contact the main body ( 2) the side of the wheel (W) may be limited in rotation.
그러므로, 록킹부(B)는 틸팅프레임부(A) 측이 틸팅 조작될 때, 이와 연계하여 바퀴(W)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본체(2)가 비정상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록킹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locking part B can be stably locked so that the
제거부(4)는 본체(2) 측에 배치되어 본체(2)의 이동 중에 차선(L)을 긁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제거부(4)는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제거구(E)를 구비하고, 본체(2)의 틸팅프레임부(A) 하부 측에서 도로(R) 노면의 차선(L)을 긁어낼 수 있는 상태로 작동 가능하게 배치된다.1 and 5, the
제거구(E)는 로울러 형태를 가지며 둘레부 측에 절삭돌기(E1)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로울러 축선을 중심으로 노면 상에서 구름 운동이 가능하게 배열된 상태로 구동축(E2) 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moval hole E may have a roller shape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cutting protrusions E1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and at least two drive shafts may be arranged on a road surface with a rolling motion about the roller axis. E2) can be installed on the side.
구동축(E2)은 본체(2) 측의 구동원(M)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며, 회전시 제거구(E)들의 둘레부 측이 노면과 각각 맞닿은 상태로 구름 운동되면서 차선(L)의 도료층을 긁어내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drive shaft E2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e source M on the
제거부(4)는 도 1에서와 같이 제거구(E)들을 둘러싸는 상태로 가림막(F)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가림막(F)은 제거구(E)들의 작동시 노면 상에 발생되는 차선(L)의 도료 파편과 같은 제거 이물질(Q)들이 측방으로 튀거나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일종의 스크린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1, the removing
그리고, 제거부(4)는 틸팅프레임부(A)의 틸팅 조작에 의해 자세 전환이 가능한 상태로 본체(2) 측에 설치된다.And the
즉, 제거부(4)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틸팅프레임부(A) 중에서 틸팅프레임(A2) 측에 설치되어, 이 틸팅프레임(A2)의 틸팅 조작시 본체(2)의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제거구(E) 측이 위쪽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배치된다.That is, the
이와 같이 제거부(4) 측이 틸팅프레임부(A)의 틸팅 조작에 의해 자세 전환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면, 특히 차선(L) 제거시 마찰이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제거구(E)들의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Thus, when the
예를 들어, 제거부(4)의 제거구(E) 교체나 보수가 요구될 때, 중량물인 본체(2)를 뒤집거나 별도의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들어 올리지 않고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상태로 제거부(4)의 자세를 신속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moval port E of the
그리고, 틸팅프레임부(A)가 틸팅된 상태일 때 본체(2)의 바퀴(W)는 록킹부(B)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of the wheel W of the
한편, 수거포장부(6)는, 제거부(4)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차선(L) 도료 파편과 같은 제거 이물질(Q)들을 수거 및 포장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and
수거포장부(6)는 도 1에서와 같이 제거부(4) 측의 제거 이물질(Q)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입구(G1) 및 배출구(G2)가 형성된 수거통(G)과, 이 수거통(G)의 배출구(G2) 측에서 배출되는 제거 이물질(Q)들을 밀봉 포장 처리하기 위한 밀봉포장기(H)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llection and
수거통(G)은 내부에 수거공간이 마련된 원통의 탱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거부(4)의 내부공간 측과 연결된 상태로 상부에 유입구(G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G2)가 형성된다.Container (G)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tank provided with a collection space therein, the inlet (G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n a state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side of the
수거통(G)은 도 1에서와 같이 이동지지대(I)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이 이동지지대(I)는 이동을 위한 바퀴(W1)들을 구비하고, 본체(2) 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배치된다.The container G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erected on the moving support I side as shown in FIG. 1, and the moving support I is provided with wheels W1 for moving and connected to the
즉, 이동지지대(I)는 본체(2)가 도로(R)의 노면 상에서 이동될 때, 수거포장부(6)가 본체(2)를 따라 옮겨질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수거통(G)은 유입구(G1) 측을 통해서 제거 이물질(Q)들을 빨아들이기 위한 석션 분위기가 발생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석션 분위기 발생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별도의 석션 발생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ainer G is formed to generate a suction atmosphere for sucking the foreign substances Q removed through the inlet G1 side, and the suction atmosphere is generated by, for example, a separate suction generato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Can be.
밀봉포장기(H)는 도 1에서와 같이 포장지(P)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H1)와, 이 거치대(H1) 측의 포장지(P)를 열압착 상태로 밀봉 포장 처리하기 위한 열압착구(H2)를 구비하고, 수거통(G)의 아래쪽에서 배출구(G2)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Sealing packaging machine (H) is a cradle (H1) for mounting the wrapping paper (P), as shown in Figure 1, and the thermocompression opening for sealing and wrapping the wrapping paper (P) on the side of the holder (H1) in a thermocompression state ( H2), and is disposed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port G2 side under the container G.
거치대(H1)는 원형(다각형) 모양의 둘레부를 갖는 링 타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이동지지대(I) 측에서 수거통(G)의 배출구(G2)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포장지(P)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holder H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type having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circular shape (polygon), and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G2 side of the container G on the moving support I side as shown in FIG. 6. It is formed to mount the wrapping paper (P).
포장지(P)는 도 6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포장공간(P1)을 내측에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포장공간(P1)의 둘레부가 펼쳐진 형태를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오므라지게 뭉쳐진 상태로 거치대(H1) 측에 거치된다.The wrapping paper P has a packaging space P1 open at one side as shown in FIG. 6, and is formed to have an encapsulating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s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wrapping space P1. It is mounted on the cradle (H1) side in a state of being bunched toge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포장지(P)는 열압착에 의한 밀봉 처리가 가능하도록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는 열가소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wrapping paper P i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based material that can be melted by heat to enable a sealing process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즉, 거치대(H1)는 도 7에서와 같이 수거통(G)의 배출구(G2) 측에서 낙하 배출되는 제거 이물질(Q)들이 포장지(P)의 포장공간(P1) 개구부를 통해 담겨지고, 포장공간(P1) 측에 담겨지는 제거 이물질(Q)들의 무게에 의해 아래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펼쳐질 수 있는 상태로 포장지(P)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cradle (H1) is removed from the discharge port (G2) side of the container (G) as shown in Figure 7 removed foreign matters (Q) are contain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packaging space (P1) of the wrapping paper (P), the packaging space It is formed to mount the wrapping paper (P) in a state that can be sequentially unfold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removal foreign matters (Q) contained in the (P1) side.
열압착구(H2)는 도 6에서와 같이 두 개가 한 조로 거치대(H1) 아래쪽에 배치되며,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상태로 작동되면서 거치대(H1) 측에 거치된 포장지(P)의 개구부 둘레부 측을 열압착 상태로 눌러서 밀봉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two thermocompression openings H2 are disposed below the holder H1 in a pair, and ar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vals are narrowed with each other, and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P mounted on the holder H1 side. It is formed so that a seal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pressing a side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열압착구(H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동지지대(I) 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발전기나 배터리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전기를 공급받아서 열압착 밀봉 처리를 위한 누름 동작 및 발열이 가능하게 형성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hermocompression opening H2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by a conventional method from a mobile generator or a battery installed on the moving support I side, and is formed to enable pressing operation and heat generation for thermocompression sealing.
열압착구(H2) 측에는 도 8에서와 같이 톱니 모양의 돌기부(J1)를 갖는 압착 블레이드(J)가 설치된다.A compression blade J having a sawtooth protrusion J1 is installed on the thermocompression fitting H2 side as shown in FIG. 8.
압착 블레이드(J)는 열압착구(H2)들로 포장지(P)의 개구부 측을 눌러서 열압착 상태로 밀봉 처리할 때, 압착 밀봉영역 내에 톱니 모양의 돌기부(J1)에 의해 복수 개의 홀부들이 성형되는 상태로 절취구간(J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rimping blade J is sealed in a thermocompression state by pressing the opening side of the wrapping paper P with the thermocompression openings H2, a plurality of hole portions are formed by the jagged protrusions J1 in the crimp sealing region. The cutting section J2 may be formed in a molded state.
절취구간(J2)은 제거 이물질(Q)들이 담겨진 상태로 밀봉 처리된 포장지(P) 측이 거치대(H1)의 잔여 포장지(P)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절취선 역할을 한다.The cutting section J2 serves as a kind of cutting line to allow the sealed wrapping paper P side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remaining wrapping paper P side of the holder H1 in which the foreign matters Q are contained therein.
이러한 수거포장부(6)의 구조에 의하면, 제거부(4)로 차선(L) 제거시 발생되는 제거 이물질(Q)들을 다음과 같이 강제 수거한 다음, 수거된 제거 이물질(Q)들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밀봉 포장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llection and
즉, 본체(2)의 이동 중에 제거부(4)로 도로(R)의 차선(L)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때, 제거부(4)의 내부공간에 발생되는 차선(L)의 도료 파편과 같은 제거 이물질(Q)들은 석션 분위기에 의해 유입구(G1)를 통해서 수거통(G) 내부에 수거될 수 있다.That is, the paint of the lane L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그리고, 수거통(G) 측에 담겨진 제거 이물질(Q)들은 배출구(G2) 측을 통해서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거포장부(6) 측의 포장지(P) 개구부 측으로 낙하 배출되는 상태로 포장지(P) 내측에 일정량이 담겨질 수 있다.And, the removal foreign matters (Q) contained in the container (G) side through the outlet (G2) side as shown in Figure 6 to Figure 7, the packaging paper in a state that is discharged and discharged to the wrapping paper (P) opening side of the collection part (6) side (P) A certain amount may be contained inside.
포장지(P) 내부에 제거 이물질(Q)들이 일정량 담겨지면, 도 7에서와 같이 밀봉포장기(H)의 열압착구(H2)에 의해 포장지(P)의 개구부 측이 열압착 상태로 눌려지면서 밀봉 포장 처리될 수 있다.When the foreign matters Q are contained in the wrapping paper P in a predetermined amount, the opening side of the wrapping paper P is pressed by a thermocompression state by the thermocompression opening H2 of the sealing packaging machine H as shown in FIG. 7. The packaging can be processed.
그러므로, 밀봉된 포장지(P)는 밀봉부분의 절취구간(J2)을 따라 거치대(H1) 측의 잔여 포장지(P)로부터 떼어내는 상태로 분리한 후, 밀봉 포장 상태로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폐기 처리 장소로 옮기면 된다.Therefore, the sealed wrapping paper P is separated from the remaining wrapping paper P on the holder H1 side along the cutout section J2 of the sealing portio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and then disposed of in a sealed packaging state using a conveying means. Just move it to a place.
그리고, 거치대(H1) 측의 잔여 포장지(P)의 하부 측은 절취구간(J2)의 위쪽 부분이 밀봉된 상태이므로, 차선(L) 제거 작업과 연계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거 이물질(Q)들을 강제 수거 및 밀봉 포장 처리하는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art of the cutting section J2 is sealed in the lower side of the remaining wrapping paper P on the side of the holder H1, the foreign substances Q are remov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lane L removing operation. Force collection and sealing packaging work.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R)의 노면 상에서 이동되는 상태로 차선(L)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제거 작업시 발생된 제거 이물질(Q)들을 밀봉 포장 상태로 수거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차선(L) 제거 작업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asily remove the lane L while being moved on the road surface of the road R, but also can collect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s Q generated during the removal work in a sealed pavement state.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ane (L) removal operation.
2: 본체 4: 제거부 6: 수거포장부
R: 도로 Q: 제거 이물질 L: 차선2: main body 4: removal unit 6: collection and packing unit
R: Road Q: Removed debris L: Lane
Claims (6)
상기 본체의 틸팅프레임부 하부 측에 배치되어 도로 노면의 차선을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거구를 구비한 제거부; 및
상기 제거부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제거 이물질들을 석션 분위기로 수거 및 포장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거포장부;
를 포함하는 차선제거장치.A main body having a tilting frame part formed to be movable and tilt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wheel side;
A removal unit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tilting frame part of the main body, the removal unit having a removal port formed to remove the road lane by scraping a lane; And
A collecting and packaging unit formed to collect and package the removed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removing unit in a suction atmosphere;
Lane removal device comprising a.
상기 본체의 틸팅프레임부는,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거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 측에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이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수평한 상태 또는 위로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틸팅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틸팅프레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선제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lting frame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tilting frame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state, the tilting frame is provided with the remov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xis to the support frame to the tilting operation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or lifted up around this connection point Lane removal device comprising a.
상기 수거포장부는,
상기 제거부 측에서 발생되는 제거 이물질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수거통과, 이 수거통의 배출구 측에서 배출되는 제거 이물질을 밀봉 포장 처리하기 위한 밀봉포장기와, 상기 본체 측에 연결되며 상기 수거통 및 상기 밀봉포장기를 도로 노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받쳐주는 이동지지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선제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on and packing portion,
A container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therein for inflow and outflow of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removal unit, and a sealing packaging machine for sealing packaging the removal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side of the container; Lane removal device comprising a container and a movab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ling packaging machine on the road surface.
상기 밀봉포장기는,
포장지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이 거치대 측의 포장지의 개구부 둘레 측을 열압착 상태로 눌러서 밀봉 처리하기 위한 열압착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선제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ealed packaging machine,
A lane removing device comprising: a holder for mounting a wrapping paper, and a heat pressing device for sealing by pressing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on the holder side in a thermocompression bonding state.
상기 열압착구는,
톱니 모양의 돌기부를 갖는 압착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이 압착 블레이드는 상기 열압착구로 포장지의 개구부 둘레 측을 열압착 상태로 누를 때 밀봉 영역 내에 상기 돌기부에 의해 복수 개의 홀부들이 성형되는 상태로 절취구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제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hermocompression fitting,
And a crimping blade having a serrated projection, wherein the crimping blade has a cutting s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by the projections in a sealing area when the thermo-compression presses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opening of the wrapping paper. Lane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formed.
상기 본체는, 상기 틸팅프레임부 측과 대응하는 록킹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본체의 바퀴 측에 설치되는 걸림판과, 상기 틸팅프레임부의 틸팅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바퀴의 회전 제한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걸림판 측에 걸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록킹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선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frame portion side,
The locking unit,
And a locking plate provided on the wheel side of the main body, and a locking mechanism formed to be caught on the locking plate side in a state in which rotation of the wheel can be restricted in connection with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tilting frame unit.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9719A KR20190134274A (en) | 2018-05-25 | 2018-05-25 | Lane remova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9719A KR20190134274A (en) | 2018-05-25 | 2018-05-25 | Lane removal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4274A true KR20190134274A (en) | 2019-12-04 |
Family
ID=6900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9719A KR20190134274A (en) | 2018-05-25 | 2018-05-25 | Lane removal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34274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5587B1 (en) * | 2020-04-20 | 2020-10-14 | 전영애 | Apparatus for Removing Traffic La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8555B1 (en) | 2011-09-30 | 2012-07-27 | 윤선병 | Lane removal machine of paved road |
-
2018
- 2018-05-25 KR KR1020180059719A patent/KR2019013427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8555B1 (en) | 2011-09-30 | 2012-07-27 | 윤선병 | Lane removal machine of paved roa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5587B1 (en) * | 2020-04-20 | 2020-10-14 | 전영애 | Apparatus for Removing Traffic La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328030B (en) | Titanium base alloy waste material cyclic utilization device based on powder metallurgy | |
KR101825266B1 (en) | Hacking dry-cutter equipment for combustible waste | |
KR20190134274A (en) | Lane removal apparatus | |
CN112121909A (en) | Construction waste crushing and grading treatment device | |
CN108247202A (en) | A kind of waste discharging device and method | |
KR100540768B1 (en) | Waste pet bottle clusher for vehicle | |
CN2858768Y (en) | Centrifugal type inertial pavement snow-removing and ice-opening machine | |
EP3078775B1 (en) | Motor vehicle for cleaning of surfaces | |
CA238358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recycling tyres | |
CN210560081U (en) | Green cutting device of scraped car glass | |
CN109332161B (en) | Blocky metal raw material and metal scrap separator | |
KR101529533B1 (en) | Outdoor vacuum cleaner with vehicle rack | |
JPH105614A (en) | Breaking device for refuse bag | |
KR20160053720A (en) | Snow removing apparatus | |
US2002009658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rubber crumb from vehicle tires | |
CA3193252A1 (en) | Apparatus with drum for separating packagings and material adhering thereto, with improved environmental impact | |
JP2019513545A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ilm from film coated glass | |
EP2470303A1 (en) | Compact device for shearing or shredding and crushing materials to be crushed | |
KR102214342B1 (en) | Dust collector used for removal traffic lanes | |
KR102502426B1 (en) | Eco-friendly regeneration system of wheel balance weight for regeneration and regeneration method therefor | |
KR20150104470A (en) | Waste fluorescent lamp treating system | |
CN109011896B (en) | Processing system of VOCs technology waste gas of packaging and printing industry | |
JPH08318172A (en) | Crushing device for glass and the like and method for finely crushing glass and the like | |
CN219784860U (en) | Construction waste crushing apparatus | |
JP3221998U (en) | Mow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