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951A - 폐활량계 - Google Patents

폐활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951A
KR20190133951A KR1020180058978A KR20180058978A KR20190133951A KR 20190133951 A KR20190133951 A KR 20190133951A KR 1020180058978 A KR1020180058978 A KR 1020180058978A KR 20180058978 A KR20180058978 A KR 20180058978A KR 20190133951 A KR20190133951 A KR 20190133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cylinder
spirometry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834B1 (ko
Inventor
김서곤
김일
하명헌
남기원
고정열
이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05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834B1/ko
Priority to PCT/KR2019/003011 priority patent/WO2019225843A1/ko
Publication of KR2019013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폐활량계의 일 실시예는, 복수로 구비되고, 하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로터(floater);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며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및 상기 제2연통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는 개폐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활량계{Inspirometer}
실시예는, 사용자의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는 폐활량계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원활한 호흡에 필요한 호흡보조장치 또는 이와 관련된 치료장치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폐활량이란 한번으로 최대한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의 량 또는 반대로 한번에 최대한 들이마시고 다시 한번에 내뿜을 수 있는 최대의 공기의 량을 의미한다.
폐활량계는 폐활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건강한 인간은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폐활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호흡기관련 질환이 있는 환자는 치료와 건강의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폐활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폐활량계는 폐활량을 측정할 뿐 아니라, 호흡기 관련 재활환자가 정해진 폐활량만큼으로 호흡하는 훈련을 하도록 함으로써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폐활량계는 폐활량을 측정하는 것인 만큼, 폐활량의 측정범위가 넓을수록 그 가용범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폐활량의 측정범위를 넓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폐활량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폐활량계의 일 실시예는, 복수로 구비되고, 하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로터(floater);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며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및 상기 제2연통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는 개폐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폐활량계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린더가 배치되는 베이스;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에 결합하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마우스피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제2연통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제2통공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가 장착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홈; 및 상기 제2통공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기 장착홈과 겹치지 않는 부위에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이동을 제한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개폐레버의 이동방향으로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며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기가 각 단에서 상기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
폐활량계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통공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측정가능한 폐활량의 범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폐활량계에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폐활량의 범위를 넓히고 다단계로 할 수 있다.
이로인해, 실시예에서는 폐활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혀 다양한 사용자가 다양한 경우에 폐활량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개폐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폐활량계는 사용자의 폐활량을 측정하거나, 환자의 재활훈련을 돕기위한 기구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폐활량계는 사용자가 한번 숨을 들이쉴 때 최대로 흡입할 수 있는 공기량 즉, 폐활량을 개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폐활량계는 사용자의 폐활량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호흡기 관련 재활치료를 받는 경우에 폐활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면서 호흡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의 폐활량계는 베이스(100), 실린더(200), 통기관(300), 지지대(400), 플렉시블호스(500)(flexible hose), 마우스피스(600), 거치대(700), 플로터(800)(floater) 및 개폐레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상면에 상기 실린더(200)가 배치되고, 실린더(200), 통기관(300), 지지대(400) 등의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도 1을 참조하면, 폐활량계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린더(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200)는 사용자가 호흡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린더(200) 하부에는 제1통공(210)이 형성되고, 실린더(200) 상단은 제1연통부(31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외부의 공기는 제1통공(210)을 통해 실린더(200) 내부로 유입되고 실린더(200) 상단을 통해 제1연통부(310)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상기한 실린더(200)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기 실린더(2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통기관(300)은 내측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통로를 통해 기체가 유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관(300)은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통부(310)는 상기 실린더(200)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200)와 제1연통부(310) 사이의 연통을 위해, 실린더(200) 상단에는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1연통부(310)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310)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310)에 대하여 절곡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연통부(320)는 제1연통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제2연통부(320)도 기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는 별도로 형성되고,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 서로간 연통을 위해, 제1연통부(310)와 제2연통부(320) 각각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연통부(320)는 플렉시블호스(500)의 일측이 장착되고, 상기 플렉시블호스(500)와 연통되는 호스연결부(50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호스(500)가 제2연통부(320)의 상기 통기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연통부(320)는 설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연통부(320)에는 제2연통부(320) 내부의 유로에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제2통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통공(321)이 개방된 경우, 도 3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통부(320)에는 제1연통부(310) 및 제2통공(321)으로부터 동시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지지대(400)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310)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대(400)는 제1연통부(3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부(310), 제2연통부(320) 및 지지대(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복수의 실린더(2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400)는 베이스(100), 실린더(200), 제1연통부(310) 및 제2연통부(3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200), 제1연통부(310) 및 제2연통부(3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플렉시블호스(500)는 상기 제2연통부(320)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호스(500)는 일측이 호스연결부(501)에서 제2연통부(320)와 결합 및 연통되고, 타측에는 마우스피스(600)가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형가능한 플렉시블호스(500)를 변형시킴으로써 편안하게 폐활량계를 사용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600)는 상기 플렉시블호스(500)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호흡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숨을 들이쉬면, 공기는 실린더(200)로부터 제1연통부(310), 제2연통부(320), 플렉시블호스(500) 및 마우스피스(600)로 유동하고, 또한, 제2통공(321)이 개방되면 추가적으로 공기가 외부로부터 제2통공(321)을 통해 제2연통부(320), 플렉시블호스(500) 및 마우스피스(600)로 유동하여, 사용자는 공기를 들이마실 수 있다.
거치대(700)는 상기 마우스피스(6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거치대(700)는 상기 베이스(100) 이외에 폐활량계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거치대(700)는 마우스피스(6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의 상기 개구부에 끼움으로써, 마우스피스(600)는 거치대(7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마우스피스(600)는 거치대(700)에 예를 들어,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마우스피스(600)는 상기 거치대(700)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형상 끼워맞춤 또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700)의 중공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마우스피스(600)를 거치대(700)에 부착하고 또한, 마우스를 거치대(700)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
거치대(700)가 구비됨으로써, 폐활량계의 보관시 폐활량계 특히, 플렉시블호스(500)와 마우스피스(6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600)의 이동시 사용자의 불편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마우스피스(600)의 외부노출을 억제하여 감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플로터(800)(floater)는 상기 실린더(20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플로터(800)는 체적에 비해 가볍게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면 실린더(200) 내부에서 제1통공(210)으로부터 실린더(200) 상단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터(800)는 비중이 작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속이 빈 구껍질 형태로 구비되거나 속이 빈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체적 대비 질량이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실린더(200) 외벽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플로터(800)의 상승여부 및 상승하는 플로터(800)의 갯수를 관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폐활량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3개의 실린더(200)가 병렬로 배치되는데, 사용자가 한번 흡입하는 공기 흡입량의 최대량에 따라 상승하는 플로터(800)의 갯수와 상승폭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관찰하여 자신이 한번에 흡입할 수 있는 최대 공기량 즉, 폐활량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면 A 내지 C실린더 중 제1통공(210)에서 호스연결부(501)까지 측정되는 유로길이가 가장 짧은 A실린더에 수용된 플로터(800)가 가장먼저 상승한다.
공기흡입량이 상승하면 A실린더에 수용된 플로터(800)가 실린더(200) 상단까지 이동하고, 공기흡입량이 더욱 상승하면 상기 유로길이가 A실린더보다 더 긴 B실린더 및 마지막으로 상기 유로길이가 가장 긴 C실린더에 수용된 플로터(800)가 순차적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폐활량계의 설계에서, A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 A 및 B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 A, B 및 C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을 미리 산정함으로써, 플로터(800)의 상승한 갯수와 상승 정도를 사용자가 관찰하여 자신의 폐활량을 알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마우스피스(600)를 통해 한번에 공기를 최대로 흡입한 결과, A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 사용자는 이 경우에 대응하는 공기흡입량 이상의 폐활량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예의 폐활량계를 사용하여 자신의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재활치료를 받는 경우에 폐활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면서 호흡훈련을 할 수 있다.
한편, 폐활량계는 모든 실린더(200)의 플로터(800)가 모두 실린더(200) 상단까지 상승하는 경우를 초과하는 폐활량을 측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제약 하에서 폐활량계의 폐활량 측정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즉,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폐활량이 10% 미만일 수도 있으므로, 폐활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혀 다양한 사용자가 다양한 경우에 폐활량계를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2연통부(320)에 제2통공(321)을 형성하여 실린더(200) 이외의 부위에서 폐활량계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폐활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제2통공(321)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여 제2통공(321)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측정가능한 폐활량의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통공(321)의 개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통공(321)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증가하고, 이에따라 측정가능한 폐활량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모두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2통공(321)의 개도는 0 내지 4로 설정될 수 있다. 0은 제2통공(321)이 폐쇄된 경우이고, 4는 제2통공(321)이 최대로 개방된 경우이다. 즉, 0에서 4로 갈수록 폐쇄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제2통공(321)의 개도는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제2통공(321)이 폐쇄된 경우에 A실린더의 플로터(800)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경우에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이 되고, A, B 및 C실린더의 플로터(800)가 모두 실린더(200) 상단까지 상승한 경우에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대 폐활량이다.
제2통공(321)이 폐쇄된 경우의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에서 최대 폐활량까지의 범위를 0차범위라 한다. 마찬가지로 제2통공(321)의 개도가 1 내지 4가 되는 경우에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에서 최대 폐활량까지의 범위를 1차 내지 4차범위라 한다.
따라서, 실시예의 폐활량계는 제2통공(321)을 구비하고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하여 0차 내지 4차범위의 폐활량 측정범위를 가질 수 있다. 0차범위의 최대값은 1차범위의 최소값보다 작고, 1차범위의 최대값은 2차범위의 최소값보다 작고, 2차범위의 최대값은 3차범위의 최소값보다 작고, 3차범위의 최대값은 4차범위의 최소값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폐활량계에 제2통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폐활량의 범위를 넓히고 다단계로 할 수 있다.
이로인해, 실시예에서는 폐활량계의 측정범위를 넓혀 다양한 사용자가 다양한 경우에 폐활량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개폐레버(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2통공(321)이 4의 개도를 가진 상태를 나타내었다.
개폐레버(900)는 상기 제2연통부(320)에 결합하여 상기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2통공(321)의 개도는 제2통공(321)이 외부로 개방된 면적의 크기를 의미한다. 제2통공(321)의 개도가 크면 제2통공(321)의 개방된 면적은 크고, 개도가 작으면 상기 면적은 작다.
제2통공(321)의 개도가 클수록 제2통공(321)을 통해 제2연통부(3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시간당 유량은 증가하고, 따라서,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값과 최대 폐활량값이 모두 증가한다.
실시예에서는 제2통공(321)은 0 내지 4의 개도를 가지고 0은 제2통공(321)이 폐쇄된 상태이다. 제2통공(321)이 4의 개도를 가지는 경우,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최소 폐활량값과 최대 폐활량값이 모두 최대가 된다. 실시예에서 제2통공(321)의 개도는 0 내지 4에 제한되지 않고, 0 내지 1, 0 내지 2, 0 내지 3 또는 0 내지 5 또는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레버(900)는 개폐부(910), 연결부(920) 및 파지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910)는 상기 제2연통부(3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2통공(321)의 개방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개폐부(910)는 판형으로 구비되고, 제2연통부(3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제2통공(32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 제2통공(321)의 개방된 면적의 크기 즉,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개폐부(910)는 일정한 폭을 가진 원호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연통부(320)에 대하여 회전하여 제2통공(32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 제2통공(321)의 개방된 면적의 크기 즉,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통공(321)의 형상은 상기 개폐부와 대응하는 원호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920)는 일측은 상기 개폐부(910)와 결합하되 개폐부(910)로부터 돌출되고, 타측은 파지부(930)와 결합할 수 있다. 파지부(930)는 상기 연결부(920)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사용자는 파지부(930)를 움직여 개폐레버(900)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다. 파지부(93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폐부(910), 연결부(920) 및 파지부(930)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통부(320)에는 개폐레버(900)가 장착되어 용이하게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321)과 돌기(323)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321)은 상기 제2통공(321)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910)가 장착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홈(321)은 상기 제2통공(321)을 형성하는 벽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321)은 개폐부(910)와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개폐부(9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클리어런스(clearance)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323)는 상기 제2통공(321)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기 장착홈(321)과 겹치지 않는 부위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돌기(323)는 예를 들어, 상기 제2통공(321)의 내벽 중 상기 연결부(920)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323)는 상기 연결부(920)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900)의 자유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돌기(323)는 연결부(920)를 향하여 돌출되므로, 상기 개폐레버(900)는 하중이나 경미한 외부충격에 의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는 없고, 사용자가 일정 정도 이상의 힘을 가하여 파지부(930)를 움직여야 개폐레버(900)는 제2연통부(320)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돌기(323)는 상기 개폐레버(900)의 이동방향으로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며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323)가 각 단에서 상기 연결부(920)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900)의 자유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개폐레버(900)는 상기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 파지부(930)를 밀어올리면 개폐레버(900) 전체가 위로 이동하여 제2통공(321)의 개도는 4에서 3으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그대로 두면 연결부(920)에 대한 돌기(323)의 가압력으로 인해 개폐레버(900)는 아래로 이동하지 않고 개도 3의 위치가 유지된다.
다시, 사용자가 돌기(323)의 가압력보다 큰 힘을 가하여 파지부(930)를 밀어올리면 개폐레버(900) 전체가 위로 이동하여 제2통공(321)의 개도는 3에서 2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사용자는 파지부(930)를 일정정도 이상의 힘으로 밀어올리거나 아래로 당겨 개폐레버(90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통공(321)의 개도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폐활량계가 측정할 수 있는 폐활량의 범위를 다단계로 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베이스
200: 실린더
210: 제1통공
300: 통기관
310: 제1연통부
320: 제2연통부
400: 지지대
500: 플렉시블호스
600: 마우스피스
700: 거치대
800: 플로터
900: 개폐레버
910: 개폐부
920: 연결부
930: 파지부

Claims (6)

  1. 복수로 구비되고, 하부에 제1통공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로터(floater);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연통부와, 상기 제1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부에 대하여 절곡형성되며 제2통공이 형성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통기관;
    상기 제2연통부와 연통되고 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및
    상기 제2연통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도(opening rate)를 조절하는 개폐레버
    를 포함하는 폐활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 배치되는 베이스;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는 지지대;
    상기 플렉시블호스의 일측에 결합하는 마우스피스;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마우스피스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거치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량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제2연통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또는 회전하여 상기 제2통공의 개방된 면적을 조절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량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제2통공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가 장착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홈; 및
    상기 제2통공을 형성하는 벽면 중 상기 장착홈과 겹치지 않는 부위에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이동을 제한하는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량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개폐레버의 이동방향으로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며 다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돌기가 각 단에서 상기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레버의 자유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상기 개폐레버는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량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공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통공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측정가능한 폐활량의 범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량계.
KR1020180058978A 2018-05-24 2018-05-24 폐활량계 KR102117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78A KR102117834B1 (ko) 2018-05-24 2018-05-24 폐활량계
PCT/KR2019/003011 WO2019225843A1 (ko) 2018-05-24 2019-03-15 폐활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78A KR102117834B1 (ko) 2018-05-24 2018-05-24 폐활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51A true KR20190133951A (ko) 2019-12-04
KR102117834B1 KR102117834B1 (ko) 2020-06-03

Family

ID=6861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978A KR102117834B1 (ko) 2018-05-24 2018-05-24 폐활량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7834B1 (ko)
WO (1) WO2019225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5475B (zh) * 2021-01-04 2022-03-04 赵柏英 心内科用呼吸训练装置
CN114588598B (zh) * 2022-04-11 2023-03-21 淮阴师范学院 一种声乐演唱及播音主持肺活量练习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607A (en) * 1976-02-11 1978-09-19 Chesebrough-Pond's Inc. Inhalation device
US4391283A (en) * 1981-03-24 1983-07-05 Whitman Medical Corporation Incentive spirome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4202A (en) * 1982-03-31 1984-04-24 Howard Rubin Breathing exerciser
KR20090084308A (ko) * 2008-01-31 2009-08-05 이두용 수액 공급속도 조절기
KR101821329B1 (ko) * 2016-04-14 2018-01-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손상이 적은 흡입력 조절용 석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607A (en) * 1976-02-11 1978-09-19 Chesebrough-Pond's Inc. Inhalation device
US4391283A (en) * 1981-03-24 1983-07-05 Whitman Medical Corporation Incentive spir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834B1 (ko) 2020-06-03
WO2019225843A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700B2 (en) Nasal insert and cannula and methods for the use thereof
US20150101945A1 (en) Portable vaporizer packaging
US8678005B2 (en) Adjustable tracheostomy valve
US20120094806A1 (en) Adjustable Inhalation Resistence Exercise Device
CN110035719A (zh) 包括口部器具的呼吸辅助系统及其连接器系统
US20140135176A1 (en) Respiratory Training Assembly
KR20190133951A (ko) 폐활량계
CN210044796U (zh) 一种医用呼吸训练器
US9233274B2 (en) Combination spirometer and PEP breathing exerciser
KR20190111909A (ko) 구강 기기 모니터링
CN214415539U (zh) 一种便携式肺功能训练装置
WO2017139365A1 (en) Rebreathing oxygen supplementation device
TW202003063A (zh) 鼻腔插入器
US10463912B2 (en) Bi-directional oxygenation apparatus for a non-intubated patient
JP6169771B1 (ja) 鼻腔カニューラ
CN102256648B (zh) 用于吸入器的咬嘴
CN112619070B (zh) 一种两用呼吸训练器
JP7153440B2 (ja) 呼吸訓練装置
KR102328600B1 (ko) 환자 맞춤형 호흡 모니터링 장치
TW201109052A (en) Respiration set and pressure relief valve
CN210331325U (zh) 一种氧气呼吸罩
KR101946489B1 (ko) 코호흡 유도기 및 보관케이스
JP2019180567A (ja) 鼻腔挿入具
JP7018491B2 (ja) 吸引器具
CN206660492U (zh) 呼吸肌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