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759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그들에서 수행되는 방법들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그들에서 수행되는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759A
KR20190133759A KR1020197032567A KR20197032567A KR20190133759A KR 20190133759 A KR20190133759 A KR 20190133759A KR 1020197032567 A KR1020197032567 A KR 1020197032567A KR 20197032567 A KR20197032567 A KR 20197032567A KR 20190133759 A KR20190133759 A KR 2019013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beams
indication
network node
radio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822B1 (ko
Inventor
이카로 엘. 제이. 다 실바
세바스티안 오일러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9013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예컨대,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디바이스(10)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무선 디바이스(10)를 서빙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고;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그들에서 수행되는 방법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무선 디바이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그들에서 수행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는 것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빔들을 핸들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이동국들, 스테이션들(STA) 및/또는 사용자 장비들(UE)이라고도 알려진, 무선 디바이스들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N)와 통신한다. RAN은 서비스 영역들 또는 셀 영역들로 나누어지는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며, 각각의 서비스 영역 또는 셀 영역은, 일부 네트워크들에서, 예를 들어, NodeB, eNodeB, 또는 gNodeB라고도 불릴 수 있는, 액세스 노드, 예컨대, Wi-Fi 액세스 포인트 또는 라디오 기지국(RBS)과 같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된다. 서비스 영역 또는 셀 영역은 라디오 커버리지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지리적 영역이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의 범위(range) 내의 무선 디바이스들과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라디오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DL)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무선 디바이스는 업링크(UL)를 통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한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는, 2세대(2G)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으로부터 진화한, 3세대 통신 네트워크이다.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본질적으로 사용자 장비들과의 통신을 위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HSPA(High-Speed Packet Access)를 사용하는 RAN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고 알려진 포럼에서, 원격통신 공급업체들은 현재 및 미래 세대 네트워크들 및 구체적으로는 UTRAN에 대한 표준들을 제안하고 합의하며,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 및 라디오 용량(radio capacity)을 조사한다. 예컨대, UMTS에서와 같이, 일부 RAN들에서, 몇몇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은, 예컨대, 지상선들(landlines) 또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같은, 제어기 노드에 접속될 수 있으며, 제어기 노드는 그에 접속된 복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의 다양한 활동을 감독하고 조율한다(coordinates). RNC들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EPS(Evolved Packet System)에 대한 규격들은 3세대 3GPP(3rd 3GPP) 내에서 완성되었으며 이 작업은, 4G 네트워크 및 뉴 라디오(NR)와 같은 5G 네트워크와 같은, 향후 3GPP 릴리스들에서 계속된다. EPS는, LTE(Long-Term Evolution)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라고도 알려진,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코어 네트워크라고도 알려진,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E-UTRAN/LTE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이 EPC 코어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는 3GPP 라디오 액세스 기술이다. 그와 같이, EPS의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는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하는 본질적으로 "플랫(flat)"인 아키텍처를 갖는다.
새롭게 등장하는 5G 기술들에서, 매우 많은 송신 안테나 요소들 및 수신 안테나 요소들의 사용은, 송신 측 및 수신 측 빔포밍과 같은, 빔포밍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송신 측 빔포밍은 송신기가 선택된 방향 또는 방향들에서는 전송 신호들(transmitted signals)을 증폭시키면서 다른 방향들에서는 전송 신호들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수신 측에서, 수신기는 선택된 방향 또는 방향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증폭시키면서 다른 방향들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신호들을 억제할 수 있다.
빔포밍은 개별 접속에 대한 신호가 보다 강하도록 할 수 있다. 송신 측에서 이것은 원하는 방향(들)에서의 전송 전력(transmitted power)의 집중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수신 측에서 이것은 원하는 방향(들)에서의 증가된 수신기 감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빔포밍은 접속의 스루풋 및 커버리지를 향상시킨다. 이는 또한 원하지 않는 신호들로부터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시간-주파수 그리드에서의 동일한 자원들을 사용하는 다수의 개별 접속들을 통한 몇 개의 동시 전송들, 소위 다중 사용자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가능하게 해준다.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CSI-RS)이라고 불리는, 스케줄링된 기준 신호들은 특정의 접속에 필요할 때 전송된다. 채널 상태 정보(CSI)는 채널 품질 지시자(CQI),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 및 랭크 지시자(RI)를 포함한다. CQI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변조 스킴 및 코딩 스킴을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지시한다. 다운링크 채널 조건을 예측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CQI 피드백이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CQI 보고는 PMI 및 RI에 기초할 수 있다. PMI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지시되며, 이 프리코딩 행렬은 RI에 의해 결정되는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RI를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추가로 지시하며, 즉 RI는 무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되어야 하는 계층들의 개수를 지시한다. CSI-RS를 언제 어떻게 전송할지의 결정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결정은 소위 측정 그랜트(measurement grant)를 사용하여 관련 무선 디바이스들로 시그널링된다. 무선 디바이스가 측정 그랜트를 수신할 때, 무선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CSI-RS에 대한 측정을 행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그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빔(들)만을 사용하여 CSI-RS들을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선택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그 빔들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보고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새로운 빔(들)의 빠른 검출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그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강한 것으로 알려지지 않은 빔(들)을 또한 사용하여 CSI-RS들을 전송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NR(New Radio) 네트워크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은 다른 기준 신호들도 전송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은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소위 복조 기준 신호들(DMRS)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한 전송들은 전형적으로 그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빔(들)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NR의 경우, 100 GHz에 이르기까지의 주파수 범위들이 고려된다. 6 GHz 초과의 고주파 라디오 통신은 상당한 경로 손실 및 투과 손실(penetration loss)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은 높은 빔포밍 이득을 달성하기 위해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들을 배치(deploy)하는 것인데, 이는 고주파 신호의 작은 파장으로 인해 합리적인 해결책이다. 따라서 NR에 대한 MIMO 스킴들은 대규모 MIMO(massive MIMO)라고도 불린다. 약 30 내지 70GHz의 경우, 최대 256개의 전송(Tx) 및 수신(Rx) 안테나 요소가 가정된다. 70GHz에서 1024개의 Tx 안테나 요소를 지원하기 위한 확장이 합의되었으며 이것이 30GHz에 대해서는 논의 중에 있다. 서브 6GHz(sub-6GHz) 통신의 경우, 안테나 요소들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많은 빔포밍 및 다중화 이득을 획득하는 것이 또한 추세이다.
대규모 MIMO에 있어서, 3가지 빔포밍 접근법이 논의되었다: 아날로그, 디지털, 및 하이브리드(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조합). 아날로그 빔포밍은 NR 시나리오들에서의 높은 경로 손실을 보상하는 반면, 디지털 빔포밍(또는 프리코딩)은 합리적인 커버리지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서브 6GHz에 대한 MIMO와 유사한 부가의 성능 이득들을 제공한다. 아날로그 빔포밍이 간단한 위상 시프터들에 의존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빔포밍의 구현 복잡도가 디지털 빔포밍보다 상당히 더 적지만, 단점들은 다방향 유연성(multi-direction flexibility)에서의 그의 한계, 즉 한 번에 단일 빔만이 형성될 수 있고 빔들이 이어서 시간 도메인에서 스위칭되는 것, 광대역 전송들만(wideband transmissions), 즉 서브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것,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피할 수 없는 부정확성들 등이다. LTE에서 오늘날 사용되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도메인으로부터 디지털 도메인으로 그리고 디지털 도메인으로부터 IF 도메인으로의 고가의 변환기들을 요구하는, 디지털 빔포밍은, 한 번에 다수의 서브대역들에 걸친 다수의 빔들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레이트 및 다중화 능력들의 면에서 최상의 성능을 제공하지만, 이와 동시에 전력 소비, 통합, 및 비용의 면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그에 부가하여, 이득들은 송신 및 수신 유닛들의 개수에 따라 선형으로 스케일링되지 않는 반면 비용은 급속도로 증가한다. 따라서 비용 효율적인 아날로그 빔포밍 및 고용량 디지털 빔포밍으로부터 이득을 보기 위해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지원하는 것이 NR에 바람직하다. 디지털 프리코딩 및 아날로그 빔포밍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빔포밍에 대한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네트워크 측 또는 무선 디바이스 측에서 전송 빔들 및/또는 수신 빔들에 대해 빔포밍이 있을 수 있다.
서브어레이의 아날로그 빔은 각각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에서 단일 방향을 향해 스티어링될 수 있고, 따라서 서브어레이들의 개수는 빔 방향들의 개수, 및 각각의 OFDM 심벌 상에서의 대응하는 커버리지를 결정한다. 그렇지만, 전체 서빙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빔들의 개수는, 특히 개별 빔 폭이 좁을 때, 전형적으로 서브어레이의 개수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전체 서빙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시간 도메인에서 상이하게 스티어링된 좁은 빔들을 사용하는 다수의 전송들이 또한 필요할 가능성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다수의 좁은 커버리지 빔들을 제공하는 것은 "빔 스위핑(beam sweeping)"이라고도 불린다. 아날로그 및 하이브리드 빔포밍의 경우, 빔 스위핑은 NR에서의 기본 커버리지(basic coverage)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 목적을 위해, 상이하게 스티어링된 빔들이 서브어레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다수의 OFDM 심벌들이 할당되고(assigned)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2개의 서브어레이를 통한 Tx 빔 스위핑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3개의 서브어레이를 통한 Tx 빔 스위핑을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우리는 본 명세서에서 가정될 수 있는 SS(Synchronization Signal) 블록 및 SS 버스트 구성의 비제한적인 예를 설명한다.
SS 블록: NR-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R-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또는 NR-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는 SS 블록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 대해, SS 블록은 디폴트 서브캐리어 간격(default subcarrier spacing)에 기초한 N개의 OFDM 심벌에 대응하고, N은 상수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SS 블록으로부터 적어도 OFDM 심벌 인덱스,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슬롯 인덱스 및 라디오 프레임 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라디오 프레임과 관련하여 또는 SS 버스트 세트와 관련하여, 가능한 SS 블록 시간 위치들의 단일 세트가 주파수 대역별로 지정된다. 적어도 다중 빔 경우에 대해, 적어도 SS 블록의 시간 인덱스가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된다. CONNECTED 및/또는 IDLE 모드 측정을 돕기 위해, CONNECTED 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미사용 SS 블록들에서 DL 데이터 및/또는 제어를 수신하도록 돕기 위해 그리고 잠재적으로 IDLE 모드 무선 디바이스가 미사용 SS 블록들에서 DL 데이터/제어를 수신하도록 돕기 위해 실제 전송된 SS 블록들의 위치(들)가 통보될 수 있다.
SS 버스트: 하나 또는 다수의 SS 블록(들)이 SS 버스트를 구성한다.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블록들의 최대 개수(L)는 캐리어 주파수 의존적일 수 있으며, 예컨대:
Figure pct00001
주파수 범위 카테고리 #A(예컨대, 0 ~ 6 GHz)의 경우, 개수(L)는 L ≤ [16] 이내로 추후 결정(TBD)된다.
Figure pct00002
주파수 범위 카테고리 #B(예컨대, 6 ~ 60GHz)의 경우, 개수는 L ≤ [128] 이내로 TBD된다.
SS 버스트 세트: 하나 또는 다수의 SS 버스트(들)는 SS 버스트 세트 내의 SS 버스트들의 개수가 유한한 SS 버스트 세트(또는 시리즈)를 추가로 구성한다. 물리 계층 규격 관점에서 볼 때, SS 버스트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주기성(periodicity)이 지원된다. 무선 디바이스 관점에서 볼 때, SS 버스트 세트 전송은 주기적이다. 적어도 초기 셀 선택의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주어진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SS 버스트 세트 전송의 디폴트 주기성(예컨대, 5 ms, 10 ms, 20 ms, 40 ms, 80 ms 또는 160 ms 중 하나)을 가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주어진 SS 블록이 SS 버스트 세트 주기성으로 반복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디폴트로, 무선 디바이스는 라디오 기지국(gNB)이 동일한 개수의 물리 빔(들)을 전송한다고 가정하지도 않고, SS 버스트 세트 내의 상이한 SS 블록들에 걸쳐 동일한 물리 빔(들)을 전송한다고 가정하지도 않을 수 있다.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 예컨대, 전송된 SS 블록들의 실제 개수가 상이한 셀들에서 상이할 때, SS 블록들은 시간 정렬되거나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할 수 있거나, SS 블록들의 시작부분(beginning)이 시간 정렬될 수 있다. 도 4는 SS 블록들, SS 버스트들 및 SS 버스트 세트들/시리즈들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LTE에서, LTE에서는 eNB라고도 지칭되는, 서빙 라디오 기지국에서의 핸드오버 결정들은 상이한 셀들의 라디오 품질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성된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정들은, 셀 품질 도출(cell quality derivation)이라고도 불리는, 셀 품질이 도출되도록 셀 특정 참조 신호들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LTE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셀 특정 기준 신호들(CRS) 및 동기화 신호들, 예컨대, PSS/SSS를 사용하여 셀을 발견하고,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들을 수행하여 셀 품질을 도출한다. 인트라-주파수 및 인터-주파수 측정들 둘 다에 대해, 즉 주파수들 내에서의 및 상이한 주파수들 사이의 측정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는 채널 조건들 및 노이즈 레벨들에 따라 특정한 RRM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제한된 대역폭에서 샘플마다 코히런트 및 비-코히런트 평균들이 수행되는 (셀 검출 이후의) CRS에 기초하여, 예컨대, 40 ms마다, 주기적 스냅숏들을 수집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측정 결과들을 상위 계층들에 보고하기 전에, 예컨대, 스파이크들 또는 잘못된 측정들을 제거하기 위해 물리 계층에서 필터링을 수행한다. 측정 결과가 상위 계층들에 의해 수신될 때마다, 무선 디바이스는 계층 3(L3) 필터링을 수행한다. LTE에서, 표준화된 L3 필터링은 무선 디바이스들 간의 어느 정도의 조화(harmonization)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계층 1(L1) 필터링의 파라미터들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무선 디바이스 구현에 달려 있다. 따라서, L3 필터는 L3에 의해 구성된다. L1 필터는 보통 구성가능하지 않고, 무선 디바이스 구현에 달려 있으며, 즉 지정되지 않는다.
TS 36.300 섹션 10.6 버전 14.0.0에 표현된(captured) 바와 같은, LTE 필터링 모델은 도 5에 모사되어(reproduced) 있으며, 여기서 문자들 A, B, C, C' 및 D는 진입점들이다.
3GPP에서, RAN1 용어는 적어도 NR 동기화 시퀀스들, 예컨대, NR-PSS/NR-SSS 및 PBCH의 조합이 소위 SS 블록을 구성한다고 가정하였다. 이는 OFDM 심벌 타이밍 또는 동등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TSS(Tertiary 또는 Time Synchronization Signal) 시퀀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은 RAN1에서 여전히 추가 연구 대상(for further study, FFS)이다. 이 TSS에 대한 대안은, 각각의 SS 블록에서 또한 전송되는, PBCH의 일부로서 인코딩된 시간 인덱스이다. 타깃 셀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접속된(connected) 또는 RRC_CONNECTED 무선 디바이스는 SS 블록이, "SS 버스트"라고 표기된, SS 블록 전송들의 반복 버스트들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그러한 SS 버스트는 시간상 서로 가까이 뒤따르는 다수의 SS 블록 전송들로 이루어져 있다. 게다가, SS 버스트들의 세트는 함께 그룹화될 수 있고("SS 버스트 세트"라고 표기됨), 여기서 SS 버스트 세트들 내의 SS 버스트들은 서로 어떤 관계를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SS 버스트들 및 SS 버스트 세트들 둘 다는 그 각자의 주어진 주기성을 갖는다. 단일 빔 시나리오들에서, 네트워크는 넓은 빔에서 하나의 SS 버스트 내의 시간 반복(time-repetition)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SS 버스트 세트의 상이한 구성들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 넓은 빔에서 하나의 SS 버스트 내의 시간 반복. 가운데: SS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의 SS 버스트만을 사용하는 적은 수의 빔들을 빔 스위핑. 하부: 완전한 스위프(complete sweep)를 형성하기 위해 SS 버스트 세트 내의 하나 초과의 SS 버스트를 사용하는 보다 많은 수의 빔들을 빔 스위핑. 이 세 가지 대안 중 어느 것을 구현할지는 네트워크 벤더 선택사항이다. 그 선택사항은 i) 주기적(periodic) 및 올웨이즈 온(always on) 좁은 빔 스위핑들을 전송하는 것에 의한 오버헤드 대 ii)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위한 좁은 빔을 찾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지연들 및 시그널링 사이의 트레이드오프에 의존한다. 상부 도면에 도시된 구현은 i)를 우선순위화하는 반면, 하부 도면에 도시된 구현은 ii)를 우선순위화한다. 가운데 사례에서의 도면은 넓은 빔들의 스위핑이 사용되는 중간 사례(intermediate case)이다. 그 경우에, 셀을 커버하기 위한 빔들의 개수가 감소되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PDSCH의 좁은 이득 빔포밍을 위한 부가의 미세조정(refinement)이 필요하다.
각각의 셀에서 이들 중 어느 것이 구현되는지에 관계없이, 무선 디바이스는 SS 블록 신호들이 빔포밍되고 있을 때 셀 기반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아테네에서의 RAN2#97 회의로부터의 RAN2 합의들에 따르면, 셀 품질 도출 또는 셀 품질이 다수의 빔들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며 이하가 합의되었다:
합의
1 셀 품질이 N개의 최상의 빔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의 값은 1 또는 1 초과로 구성될 수 있다.
FFS: 적용될 필터링의 세부사항들.
FFS: 서빙 셀의 품질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예컨대, 서빙 빔만 또는 셀 품질로부터).
FFS: 합의가 부가의 RS 및 유휴(idle) RS 둘 다에 적용되는지 여부
FFS: '양호한' 빔들이라고도 하는 임계값 초과의 빔들만을 고려할지 여부
RAN2 # 97-bis 논의들에서, 추가적인 진전에 도달했으며 이하가 합의되었다:
합의들
1 무선 자원 제어(RRC)에 의해 구성된 빔 통합 및 셀 품질을 도출하기 위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검출된 빔들의 빔 품질의 선택은 L1 필터 이후에 수행되어야 한다.
2 L1 필터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빔들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을 필터링한다.
3: NR에서의 측정 모델(멀티 빔 및 단일 빔 사례 둘 다에 적용가능함)은 이하들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
a- 빔 측정들의 L1 필터링
FFS 빔 측정들의 임의의 부가의 지정된 필터링이 있는지 여부
b- 하나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빔 품질로부터의 셀 품질의 도출
c- 셀 품질의 L3 필터(RRC에 의해 구성됨)
d- 평가 보고 기준들(RRC에 의해 구성됨)
이는, 3GPP가 빔 품질 측정들을 위해 L3(또는 L2) 표준화된 필터링 방법으로 결정할 것인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측정 모델 중 하나에서 변환될(translated) 수 있다. 도 7a는 빔 측정별 L3/L2 표준화된(즉, 구성가능한) 필터들을 갖는 가능한 측정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서, 파라미터가 RRC(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빔 측정들의 부가의 지정된 필터링이 있다. 필터 파라미터들이 셀별 L3 필터 값(L3 filter per cell value)과 동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한다. 도 7b에서, 파라미터들이 RRC(또는 MAC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빔 측정들의 부가의 지정된 필터링이 없다. 따라서, 도 7b는 빔 측정별 임의의 L3/L2 표준화된, 즉, 구성가능한 필터들을 갖지 않는 가능한 측정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의 모델들 둘 다에 (검출된 빔들 중에서 N개의 최상의 빔을 선택하는 빔 통합 기능을 포함하는) 셀 품질 도출 기능이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가 RAN2 # 97-bis 논의들에서 또한 합의되었다:
합의들
1 (빔들의 개수가 1보다 크면) 다수의 빔들로부터 셀 품질을 도출하는 데 평균화가 사용된다. 평균화에 대한 세부사항들은 FFS이다.
합의
1 서빙 셀 품질은 이웃 셀 품질, 즉 N개의 최상의 빔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출된다.
무선 디바이스가 서빙 셀에 대해 그리고 특정 이웃 셀들에 대해 상이한 N 값들로 구성될 수 있는지 여부는 FFS이다.
셀 품질 도출이라고도 표기되는 셀 품질을 계산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 i) 무선 디바이스가 평균화를 수행하는 데 최상의 N개의 빔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파라미터 N 및 ii) 절대 및/또는 (최상의 빔의 품질에 대한) 상대 임계값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N>1을 갖기 위해 사용되는 논쟁들(arguments) 중 하나는 이것이 핸드오버 핑퐁들(handover ping-pongs)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 즉 서빙 셀로부터 타깃 셀로 수행되는 핸드오버가 다른 핸드오버(들)에 바로, 즉 다른 핸드오버(들)로부터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예컨대, 어떤 시간 간격 이내에 뒤따른다는 것이었다. 최상의 빔, 즉 N = 1을 사용하지 않고 N을 평균화하는 것은, 평균이 최상의 빔, N=1의 값보다 항상 더 나쁠 것이기 때문에, 트리거될 측정 보고들의 네트워크에서의 수신을 연기시키기만 할 것이다. 도 8은 이 상황의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비록 이것이 핑퐁들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것은 핸드오버 실패들 및/또는 라디오 링크 실패를 또한 가져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N개의 빔의 평균이 충분히 양호하게 될 때 - 이 무렵이면 서빙 셀의 품질이 열화되었을 수 있음 - 네트워크가 측정을 이용가능할 뿐일 것이기 때문이다. 도 8은 이웃 셀 품질을 결정하는 데 최상의 빔 및 평균화를 사용하는 경우에 트리거되는 측정 보고들의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발생할 수 있는 다른 문제는, 무선 디바이스가 어쨌든 단일 빔(즉, 최상의 빔)에 의해 서빙되며 무선 디바이스가 이웃 셀을 측정하고 이 이웃 셀로부터 무선 디바이스가 단일 빔만을 검출할 수 있더라도, 무선 디바이스가 N>1(예컨대, N = 4)에 기초하여 자신의 서빙 셀 A의 평균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그 경우에, 서빙 셀 품질은 (서빙 셀의 평균화로 인해 그리고 이웃에서 단일 빔만이 검출되었다는 사실로 인해) 이웃 셀 품질보다 더 나쁠 것이며, 이는 측정 보고들을 트리거할 수 있다. 그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가 보다 많은 안정적인 빔들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자신의 최상의 빔이 보고된 이웃 셀의 최상의 빔보다 더 양호하기 때문에 서빙 셀에 남아 있어야 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부가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구받을 것이다.
셀 품질을 계산하기 위해 N개의 최상의 빔을 선택하는 데 최상의 빔으로부터의 상대 및/또는 절대 임계값들을 사용하는 것이 RAN2#97-bis에서 제안되었다. 현재 제안된 접근법에서의 문제는 N>1이 구성될 때 이 접근법이 빔들에 걸친 어떤 종류의 평균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가 이하의 두 가지 경우를 구분할 수단을 갖지 않기 때문에 어쨌든 핸드오버 핑퐁들이 있을 수 있다.
- 사례 1: 셀 품질은 N>1에 기초하여 계산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보고된 이웃 셀들에 대해 (다른 N-1개의 빔이 상대 임계값만큼 최상의 빔보다 나쁘거나 절대 임계값보다 나쁘기 때문에) 단일 빔만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고려된다.
- 사례 2: 셀 품질은 N>1에 기초하여 계산되도록 구성되며, 보고된 이웃 셀들에 대해 다수의 빔들이 고려된다.
네트워크가 매우 적은(예컨대, 단 하나의) 양호한 빔들을 갖는 셀로 핸드오버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게 지시하고(tells), 이 단일 빔이 그로부터 얼마 후에(shortly thereafter) 열화되면, 무선 디바이스는 다른 핸드오버를 행할 필요가 있고 핑퐁이 발생할 것이다. 적어도 유사한 셀 품질에서는, 따라서 보다 많은 양호한 빔들을 갖는 이웃 셀들이 보다 적은(또는 단지 하나의) 양호한 빔들을 갖는 셀들보다 선호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네트워크가 위에서 설명된 두 가지 사례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보다 적은 양호한 빔들을 갖는 셀들보다 보다 많은 양호한 빔들을 갖는 셀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없다.
발생할 수 있는 다른 문제는 무선 디바이스가 N>1의 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특정한 셀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가 하나의 빔 및/또는 N보다 낮은 수의 빔들을 검출할 뿐이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것은 네트워크가 셀 품질을 계산하는 데 N=1을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이다. 실패한 핸드오버들 또는 핑퐁 핸드오버들을 수행하는 것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감소시키거나 제한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을 사용할 때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전에 설명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가 핸드오버 핑퐁, 핸드오버 실패들 또는 라디오 링크 실패들 간의 적절한 최적화를 적용할 수 있도록, 측정 보고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될 빔 레벨 정보로부터의 셀 품질 도출에 기초한 측정 보고들의 트리거링을 디커플링(decouple)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추가로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고;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고, 구성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본 명세서에서 또한 제공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도록 구성되고,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추가로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고;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고, 구성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여기서 프로세싱 회로부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하고;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며;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목적은 구성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여기서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는 (예컨대, N1과 같은, 제1 지시를 1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늦은 측정 보고들의 트리거링 및 결과적으로 핸드오버 실패들 및/또는 라디오 링크 실패들의 발생들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무선 디바이스는 이웃 셀들로부터의 빔들에 관한 보다 상세한 빔 레벨 정보를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제공할 수 있다(예컨대, N2와 같은, 제2 지시를 1보다 크게 설정함). 환언하면, 셀 품질 도출이 제1 빔 개수, 예컨대, 최상의 빔(N1=1)에 대해 트리거될 수 있고 보고 구성은 N2>1과 같은 제2 빔 개수에 기초하여 트리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실시예들이 이제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하이브리드 빔포밍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2개의 서브어레이를 통한 Tx 빔 스위핑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3개의 서브어레이를 통한 Tx 빔 스위핑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SS 블록들, SS 버스트들 및 SS 버스트 세트들/시리즈들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LTE 무선 디바이스 필터링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SS 버스트 세트의 상이한 구성들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빔 측정별 L3/L2 표준화된(즉, 구성가능한) 필터들을 갖는 가능한 측정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빔 측정별 임의의 L3/L2 표준화된(즉, 구성가능한) 필터들을 갖지 않는 가능한 측정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평균화를 사용하는 측정보고와 사용하지 않는 측정 보고의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묘사하는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본 명세서에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개략적인 결합된 플로차트 및 시그널링 스킴이다;
도 10b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묘사하는 플로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c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묘사하는 플로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는 빔 측정별 L3/L2 표준화된(즉, 구성가능한) 필터들을 갖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측정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b는 빔 측정별 L3/L2 표준화된(즉, 구성가능한) 필터들을 갖지 않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측정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a는 다수의 최상의 빔들을 필터링한 후의 빔 품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b는 다수의 최상의 빔들을 필터링한 후의 빔 품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를 묘사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를 묘사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를 묘사하는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하고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는 하나 이상의 RAN 및 하나 이상의 CN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는, 단지 몇 개의 가능한 구현들을 언급하면, 뉴 라디오(NR), Wi-Fi, LTE, LTE-Advanced, 5세대(5G), WCDMA(Wideband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GSM/EDGE(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UMB(Ultra Mobile Broadband)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상이한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5G 맥락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최근의 기술 동향들에 관한 것이다. 그렇지만, 실시예들은, 예컨대, WCDMA 및 LTE와 같은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추가적인 발전에서 또한 적용가능하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디바이스, 예컨대, 이동국, 비-액세스 포인트(non-AP) STA, STA, 사용자 장비 및/또는 무선 단말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10)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AN), 예컨대, RAN을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N)와 통신한다. "무선 디바이스"가 임의의 단말, 무선 통신 단말, 사용자 장비,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 D2D(Device-to-Device) 단말, 또는 노드, 예컨대, 스마트 폰, 랩톱, 모바일 폰, 센서, 릴레이, 모바일 태블릿들 또는 심지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 내의 네트워크 노드와 라디오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소형 기지국을 의미하는 비제한적인 용어라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는, NR, LTE, Wi-Fi, WiMAX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제1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의 지리적 영역, 제1 서비스 영역(11) 또는 제1 빔/빔 그룹을 통해 라디오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단순히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라고도 지칭되는,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를 포함한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예컨대, 사용되는 제1 라디오 액세스 기술 및 용어에 따라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 의해 서빙되는 서비스 영역 내의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송수신 포인트, 예컨대, WLAN(Wireless Local-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STA)과 같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액세스 노드, 액세스 제어기, 기지국, 예컨대, NodeB, 진화된 노드 B(eNB, eNode B), gNodeB와 같은 라디오 기지국, 기지국 트랜시버(base transceiver station), 라디오 원격 유닛,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기지국 라우터, 라디오 기지국의 전송 장치(transmission arrangement), 독립형 액세스 포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유닛 또는 노드일 수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서빙 네트워크 노드라고 지칭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서비스 영역은 소스 셀 또는 빔이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서빙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10)를 서빙하고 무선 디바이스(10)로의 DL 전송들 및 무선 디바이스(10)로부터의 UL 전송들의 형태로 무선 디바이스(10)와 통신한다.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3)는 제2 서비스 영역(14) 또는, NR, LTE, Wi-Fi, WiMAX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제2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의 제2 빔/빔 그룹을 통해 라디오 커버리지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RAT 및 제2 RAT는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들일 수 있다.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3)는, 예컨대, 사용되는 제2 라디오 액세스 기술 및 용어에 따라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3)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 내의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송수신 포인트, 예컨대, WLAN(Wireless Local-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AP STA)과 같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액세스 노드, 액세스 제어기, 기지국, 예컨대, NodeB, 진화된 노드 B(eNB, eNode B), gNodeB(gNB)와 같은 라디오 기지국, 기지국 트랜시버, 라디오 원격 유닛,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기지국 라우터, 라디오 기지국의 전송 장치, 독립형 액세스 포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유닛 또는 노드일 수 있다.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3)는 이웃 네트워크 노드라고 지칭될 수 있고, 여기서 제2 서비스 영역(14)은 이웃하는 빔, 셀 또는 타깃 빔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서비스 영역이 라디오 커버리지의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셀, 빔, 이동성 측정 빔, 빔 그룹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표기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은 각자의 서비스 영역을 통해 기준 신호들(RS)을 전송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은 각자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영역을 커버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만큼의 Tx-빔들을 사용하여 많은 수의 상이한 방향들로 시간상 반복하여 CSI-RS들 또는 빔 기준 신호들(BRS)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서 제1 서비스 영역(11)에 대한 제1 기준 신호, 예컨대, 제1 CSI-RS를 사용하여 제1 서비스 영역을 통해 라디오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3)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2 서비스 영역(14)에 대한 제2 기준 신호, 예컨대, 제2 CSI-RS를 사용하여 제2 서비스 영역(14)을 통해 라디오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10)는 제1 개수의 빔에 대해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고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제1 개수와 제2 개수는 디커플링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이하고 그리고/또는 분리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는 무선 디바이스(10)가 셀 품질 도출 기능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를 획득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무선 디바이스(10)가 셀 보고 기능을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추가로 획득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이 지시들을 내부적으로 획득하거나, 예컨대, 제1 및/또는 제2 지시로 미리 구성되거나, 이 지시들을 외부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및/또는 제2 지시를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빔 개수와 제2 빔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지시는 2개의 파라미터이며 N1 및 N2로서 정의된다. N1은 셀 품질 도출 기능, 즉 셀 품질 검사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에 대해 정의되는 반면, N2는 (특정 이동성 이벤트 구성의 일부일 수 있는) 빔 레벨 보고 구성에 대해 정의되며, 즉 제2 지시는 빔 레벨 보고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예컨대,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3)의 최상의, 예컨대, 가장 강한 빔만을 고려한 셀 품질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들을 트리거하는 반면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동일한 셀 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3)의 N2개의 다중 빔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N1=1 및 N2>1을 구성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가 셀 품질을 도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제1 빔 개수를 정의하기 위해 다중 빔 셀 시나리오들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 N1은 필요한 구성 및 요구된 인터-노드 조율(inter-node coordination), 즉, 상이한 노드들 간의 조율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어도 캐리어 주파수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시 및/또는 제2 지시, 예컨대, 파라미터들 N1 및 N2는 다음과 같을 수 있는 브로드캐스트 및/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 셀 내에서 무선 디바이스별;
- 다수의 셀들에 걸쳐 무선 디바이스별;
- 셀별;
- 캐리어별;
- 캐리어별 및 셀별, 예컨대, 셀 특정 값들이 캐리어별 셀 특정 값을 오버라이드하고 그리고/또는 오프셋함.
비고: 임의의 다른 조합이 배제되지 않으며, 즉, N1은 캐리어별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 N2는 셀별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 품질 도출 및 측정 보고 구성 둘 다에 대해 단지 하나의 파라미터 N이 존재한다. 따라서, 원하는 디커플링을 달성하기 위해, 평균의 효과가 최상의 빔만, 즉, N1=1 - 여기서 N1은 이전에 설명되었음 - 의 사용과 동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셀 품질 도출 기능 또는 셀 품질 도출 기능을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이하의 방식과 같이 최상의 빔 품질이 그의 최댓값으로 설정되는 반면 N-1개의 최상의 빔들의 파라미터들이 최솟값(예컨대, 선형 평균의 경우에, 제로)으로 설정되는 파라미터 설정들을 갖는 가중 평균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셀 품질 도출 = alpha(N1)*최상의 빔 RSRP + alpha(N1-1)* 두 번째 최상의 빔 RSRP + ... + alpha(1)*N번째 최상의 빔 RSRP.
따라서 N은 단순히 핑퐁 회피를 위해 보고되는 빔들의 개수를 제어할 것이다.
이를 달성하는 다른 방식은 dB 단위의 값들의 평균 대신에 빔 레벨 측정들에 대한 선형 평균을 사용하는 것이다. 선형 평균을 정의하는 것에 의해, 최상의 빔 품질은 셀 품질에 주로 영향을 미쳐, 특히 상대 품질 임계값에 대한 낮은 값의 설정과 결합되어, N=1로 설정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셀 품질 도출 = 최상의 빔 선형-RSRP + 두 번째 최상의 빔 선형-RSRP + ... + N번째 최상의 빔 선형-RSRP.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 품질 도출 기능 및 측정 보고 구성 둘 다에 대해 “양호한" 빔들을 정의하기 위한 동일한 품질 임계값(들)이 정의된다. 따라서, 원하는 디커플링을 달성하기 위해, 평균의 효과가 최상의 빔만, 즉, N1=1 - 여기서 N1은 이전에 설명되었음 - 의 사용과 동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셀 품질 도출 기능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방식과 같이 최상의 빔 품질이 그의 최댓값으로 설정되는 반면 N-1개의 최상의 빔들의 파라미터들이 최솟값(예컨대, 선형 평균의 경우에, 제로)으로 설정되는 파라미터 설정들을 갖는 가중 평균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셀 품질 도출 = alpha(N1)*최상의 빔 RSRP + alpha(N1-1)* 두 번째 최상의 빔 RSRP + ... + alpha(1)*N번째 최상의 빔 RSRP.
이 실시예들에서, 임계값(들)은 절대, (최상의 빔에 대한) 상대, 또는 절대 및 (최상의 빔에 대한) 상대 둘 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핑퐁 회피를 위해 보고되는 빔들의 품질을 단순히 제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 품질 도출에 대해 어떠한 파라미터도 제공되지 않는 경우, 파라미터 N은, 빔 보고(beam reporting)라고도 알려진, 측정 보고 구성에만 관련되어 있다. 그 경우에, N은 측정 보고를 위해 사용되고 셀 품질 도출을 위해 이웃 셀들에 대해 N=1이 가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셀 품질 도출 및 측정 보고 구성을 위한 양호한 빔들 및 빔들의 개수의 정의를 제어하는 파라미터들은 상이한 기준 신호들에 대해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셀 품질 및 측정 보고들 둘 다가 SS 블록, 예컨대, PSS, SSS, PSS/SSS 둘 다, PSS/SSS/PBCH의 DMRS, 또는 SS 블록에서 전송되는 RS(들)의 임의의 다른 조합, 또는 CSI-RS에 기초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SS 및 CSI-RS에 대한 셀 품질 도출 기능과 보고 사이에 구별(differentiation)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S가 사용되는 경우, 2개의 레벨의 파라미터들이 사용되는 반면, CSI-RS가 사용되는 경우, 다른 2개의 레벨의 파라미터들이 사용된다.
상이한 기능들에 대한 2개의 파라미터 그룹이 정의되는 실시예들(즉, 셀 품질 도출 및 측정 보고 구성)에 대해, 하나의 파라미터 세트는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반면 다른 세트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품질 도출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은 IDLE/INACTIVE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해 이용가능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반면, 측정 보고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은 CONNECTED 모드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해서만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셀 품질 도출에 대한 파라미터(들)는 셀별 시스템 정보에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는 반면, 측정 보고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은 측정 구성과 같은 전용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결합된 플로차트 및 시그널링 스킴이다.
액션(1001).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빔 트래킹 구성, 예컨대, 이웃 셀 빔 트래킹 구성과 같은 구성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각각이 측정 파라미터와 연관된, 제1 지시 및/또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구성 데이터로 무선 디바이스(10)를 구성할 수 있다. 지시 또는 지시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셀 내에서 무선 디바이스별;
- 다수의 셀들에 걸쳐 무선 디바이스별;
- 셀별;
- 캐리어별;
- 캐리어별 및 셀별, 예컨대, 셀 특정 값들이 캐리어별 셀 특정 값을 오버라이드하고 그리고/또는 오프셋함.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10)는 제1 및 제2 지시들을 획득하고, 예컨대,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로부터 구성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수신한다.
액션(1002). 무선 디바이스(10)는 셀 품질 체크를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빔 레벨 보고를 위해 제1 및 제2 지시를 적용할 수 있다. 구성 데이터는 셀당 K(i)개의 트래킹된 빔, 셀 품질을 체크하기 위한 N1개의 빔, N2개의 보고된 빔, 빔별 이웃 셀별 필터 파라미터, 빔 트래킹 트리거링 정보, 인접 셀별 CSI-RS 구성 등을 포함(contain)(또는 포함(comprise))할 수 있다. 검출가능한 셀은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최상의 빔들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을 항상 가질 것이다. 따라서, N>1의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10)는, 자신의 서빙 셀을 포함하여, 상이한 검출된 셀들에 대해 상이한 개수의 빔들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 N은 셀 품질 도출에서 고려될 빔들의 최대 개수 및/또는 보고될 빔들의 개수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무선 디바이스(10)에 대해 2개의 상이한 파라미터가 구성되는 경우에, 용어 N이 사용되지만 그것이 N1 또는 N2일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10)에 대해 상이한 임계값들이 또한 정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임계값-1 및 임계값-2. 임계값-1은 셀 품질 도출 기능에 대해 정의되는 반면, 임계값-2는 (특정 이동성 이벤트 구성의 일부일 수 있는) 빔 레벨 보고 구성에 대해 정의된다. 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무선 디바이스(10)가 너무 늦은 측정 보고들(이는 핸드오버 실패들 및/또는 라디오 링크 실패들을 가져올 수 있음)을 트리거하지 않도록, 임계값-1>임계값-2를 구성할 수 있게 해주고, 이와 동시에, 보다 세분화된(granular) 이웃 셀별 빔 레벨 정보(beam level information per neighbour cell)가 보고될 수 있도록, 임계값-2에 대해 보다 높은 값들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보다 많은 빔 레벨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해준다.
빔 레벨 보고 구성과 연관된 셀별 빔 레벨 정보는, 예컨대, RRC 및/또는 MAC 시그널링을 통해 제공되는, 빔 레벨 보고 구성에 따라 어쩌면 필터링되는, 이러한 빔들에 대한 값들인 RSRP 및/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또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또는 임의의 다른 품질 메트릭, 예컨대,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들 등일 수 있다. 빔 레벨 정보는 또한 N2개의 최상의 빔의 어떤 종류의 암시적 또는 명시적 빔 인덱스들일 수 있다.
임계값들은 절대 또는 (최상의 빔에 대한) 상대 또는 절대 및 (최상의 빔에 대한) 상대 임계값들 둘 다일 수 있다. N1개의 "양호한" 빔은 셀 품질의 계산에 사용되는 빔들이다. N2개의 "양호한" 빔은 측정 보고들에 포함되는 데 사용되는 빔들이다. “양호한” 빔들은 필터링된 빔 품질> 절대 임계값 또는 필터링된 빔 품질> 필터링된 최상의 빔 품질 - 상대 임계값인 빔들이다. 이러한 필터링된 값들은 또한 셀 품질 도출 기능 및 측정 보고/이벤트들 구성에 대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셀별 빔 레벨 정보는 (임계값-2에 의해 제어되는) N2개의 최상의 빔의 어떤 종류의 빔 관련 인덱스일 수 있다. 그와 같이, 초기 보고들이 올 수 있지만 네트워크는 보다 많은 수의 "양호한" 빔을 갖는 셀들에 대한 핸드오버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액션(1003). 이웃 셀 'a', 예컨대,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5)는 각자의 빔에 대한(예컨대, 그 이웃 셀의 빔 1 내지 빔 M(i)에 대한) 하나 이상의 빔포밍된 CSI-RS 또는 SS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액션(1004). 무선 디바이스(10)는 제2 개수의 빔에 대한 측정들, 예컨대, 빔 트래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10)는 각자의 빔에 대한 CSI-RS들 또는 SS 블록들의 신호 강도 또는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액션(1005). 무선 디바이스(10)는 이어서, 예컨대, 제2 지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2 개수의 빔에 대한 측정들을 보고할 수 있다. 즉, 무선 디바이스(10)는, N2와 같은 제2 지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전송한다.
액션(1006). 무선 디바이스(10)는, 예컨대, 제1 지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1 개수의 빔에 대해 셀 품질 도출을 추가로 수행한다.
액션(1007). 무선 디바이스(10)는 이어서 셀 품질을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 보고할 수 있다. 즉, 무선 디바이스(10)는 N1과 같은 제1 지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예컨대, 제1 개수의 빔의 품질 보고를 전송한다.
액션(1008).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보고된 셀 품질에 기초하여, 핸드오버할 이웃 셀을 지시하는 핸드오버 커맨드를 무선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보고된 이웃 셀들별 RSRP(다수의 구성된 빔들에 기초함) 및 셀별 빔 레벨 품질(다수의 구성된 빔들에 기초함,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님)과 같은 셀 품질을 포함하는 측정 보고들을 수신할 때,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핑퐁을 피하기 위해 보다 많은 개수의 보고된 빔을 갖는 핸드오버 타깃 후보들로서 이웃 셀들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셀이 보다 적은 양호한 빔들을 갖지만 그것이 다른 셀의 최상의 빔들보다 훨씬 더 양호하면, 보다 적은 빔들을 갖는 셀이 우선순위화되어야 하도록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그 자신의 품질 차이를 정의해야 한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가 이러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이 파라미터들은 나중에 보고될 수 있다. 환언하면, 비슷한 품질을 갖는 2개의 이웃 셀 A와 B가 있고 A가 B에 비해 더 많은 양호한 빔들을 갖는다면, 네트워크는 더 많은 양호한 빔들을 갖는 셀을 우선순위화해야 한다. 이는 핑퐁 핸드오버들을 피하거나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액션(1009). 무선 디바이스(10)는 이어서 핸드오버 커맨드에 기초하여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3)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디바이스(10)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액션들이 도 10b에 묘사된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액션들이 아래에 언급된 순서로 취해질 필요는 없지만, 임의의 적당한 순서로 취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는 액션들은 파선 박스들로 표시되어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와 같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10)를 서빙한다.
액션(1011). 무선 디바이스(10)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한다. 제1 지시 및 제2 지시는, 개별적으로 또는 하나의 메시지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1 지시는 제2 지시를 사용하는 함수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시는 제2 지시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구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수와 제2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지시는 제1 빔 개수가 1임을 지시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디바이스(10)는 어떠한 지시도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2 지시만을 수신할 때, 제1 빔 개수가 1임을 지시하는 것으로 제1 지시를 가정하는 것에 의해 제1 지시를 획득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및/또는 제2 지시는 빔들의 개수를 정의하는 실제 값 및/또는 최상의 빔들을 정의하는 임계값일 수 있다. 각자의 임계값은 상이한 기준 신호들에 대해 상이하게 정의되어, 따라서 측정할 빔들의 개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 품질 도출 및 측정 보고들의 구성에 대해 최상의 빔들의 상이한 지시들 또는 개념들, 또는 개수가 정의된다. 환언하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빔 개수, 예컨대, N1 = 1에 기초하여 셀 품질을 계산하도록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고, 셀당 제2 개수의 최상의 빔에 대한 측정들이 보고되어야 한다는 것을 무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다른 파라미터, 즉 제2 지시를 구성할 수 있다. 빔들의 개수를 정의하는 실제 값 N과 유사하게, 지시들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최상의 빔들을 정의하는 임계값들일 수 있으며, 이 임계값들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가 상당히 양호한 빔들, 즉 최상의 빔에 아주 가까운 품질을 갖는 빔들에 기초해서만 셀 품질을 트리거할 수 있도록, 어쩌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예컨대, 핑퐁 대 핸드오버 실패 트레이드오프를 더 잘 개선시키도록 빔들이 얼마나 더 나쁜지를 알기 위해, 더 나쁜 빔들에 대한, 예컨대, 빔 레벨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또는 동등한 빔 레벨 정보를 획득하기를 원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가 N=1과 같은 제1 지시로 암시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일부 구성 실시예들이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환언하면, 어떠한 파라미터도 무선 디바이스(10)에 제공되지 않으면, 무선 디바이스(10)는 N=1과 같은 제1 지시를 가정한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예컨대, N과 같은 단일 지시가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되면, 비록 무선 디바이스가 N개의 최상의 빔과 연관된 정보를 보고할지라도, 무선 디바이스는 셀 품질 도출을 위해 제1 지시를 N=1로 단순히 가정한다.
액션(1012). 무선 디바이스(10)는, 빔들의 개수들에 관한 제1 및 제2 지시들을 수신할 시에, 이 2개의 지시 중 최댓값을 선택하여, 그 개수의 필터들을 개시하여 빔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액션(1013). 무선 디바이스(10)는, 셀 품질 도출을 위한 빔들의 제1 개수가 측정 보고를 위한 빔들의 제2 개수보다 높으면, 최대 개수의 필터들을 셋업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셀 품질 도출을 위한 빔들의 제1 개수가 측정 보고를 위한 빔들의 제2 개수보다 낮으면, 최대 개수의 필터들을 셋업할 수 있다.
액션(1014). 무선 디바이스(10)는 이어서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한다. 셀 품질 도출 및 측정 보고를 위해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도록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된 빔들의 개수들은 셀 품질 도출을 계산하기 위해 평균화될 빔들의 최대 개수로 해석될 수 있다.
액션(1015). 무선 디바이스(10)는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추가로 수행한다.
예컨대, 무선 디바이스(10)는 셀 품질 도출을 위해서는 셀 품질 도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예컨대, 임계값 초과의 모든 값들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측정 보고를 위해서는 서브세트만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디바이스(10)는 빔들의 개수(N)의 지시 및 임계값을 수신한다. 평균이 N을 초과하지 않는, 임계값 초과의 나머지 빔들로 평균화된 최상의 빔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셀 품질 도출 또는 줄여서 셀 품질이 이어서 계산된다. 대안적으로, 무선 디바이스(10)는 셀 품질 도출을 위한 값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는 반면 모든 이용가능한 필터링된 값들을 측정 보고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디바이스(10)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로서 본 명세서에 예시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액션들이 도 10c에 묘사된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무선 디바이스(10)를 서빙한다.
액션(1021).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구성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액션(1001) 참조).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한다. 제1 개수와 제2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1a는 빔 측정별 L3/L2 표준화된(즉, 구성가능한) 필터들을 갖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측정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빔별 샘플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A가 각자의 L1 필터링에 피드된다. 계층 1 필터링된 출력 B는 빔별 L3/L2 필터들에 피드된다. L3/L2 필터들은 필터 파라미터들과 같은 RRC 또는 MAC 구성을 사용한다. L3/L2 필터링된 출력 B*는 셀 품질 도출에 피드된다. 셀 품질 도출은, 예컨대, 제1 지시 N1, 임계값-1, 통합 기능을 위한 파라미터들, 예컨대 [alpha(N1), alpha(N1-1), ..., alpha(1)] 등과 같은 RRC 구성을 사용한다. 도출물 출력(derivate output)은 RRC 구성, 예컨대, 필터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L3 필터에 피드된다. L3 도출물(derivate) C는 이어서 보고 기준들, 예컨대, 도출물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될지 여부의 평가에 피드된다. C'은 측정 보고에 대한 입력이다.
도 11b는 빔 측정별 L3/L2 표준화된(즉, 구성가능한) 필터들을 갖지 않는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측정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빔별 샘플, 예컨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A가 각자의 L1 필터링에 피드된다. 계층 1 필터링된 출력 B는 셀 품질 도출에 피드된다. 셀 품질 도출은, 예컨대, 제1 지시 N1, 임계값-1, 통합 기능을 위한 파라미터들, 예컨대 [alpha(N1), alpha(N1-1), ..., alpha(1)] 등과 같은 RRC 구성을 사용한다. 도출물 출력은 RRC 구성, 예컨대, 필터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L3 필터에 피드된다. L3 도출물 C는 이어서 보고 기준들, 예컨대, 도출물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될지 여부의 평가에 피드된다.
도 12a는 셀 품질 도출에 대한 절대 임계값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최상의 빔 및 두 번째 최상의 빔이 셀 품질 도출에 대한 '양호한' 빔들이고, 따라서 임계값이 제1 빔 개수를 지시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최상의 빔, 두 번째 최상의 빔, 세 번째 최상의 빔 및 네 번째 최상의 빔 모두가 측정 보고에 대한 절대 임계값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측정 보고에서 보고될 '양호한 빔'이며, 따라서 임계값은 제2 빔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2b는 N1이 N1=1로서 구성되는 반면, N2가 N2=3으로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 경우에, 셀 품질 도출을 위해 최상의 빔만 사용되는 반면 3개의 최상의 빔에 대한 정보가 측정 보고에서 보고된다.
도 1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디바이스(10)의 통신을 핸들링하기(예컨대, 핸드오버들을 핸들링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10)의 2개의 실시예를 묘사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무선 디바이스(10)를 서빙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부(1101),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는 획득 모듈(1102), 예컨대, 수신기, 트랜시버, 적용 모듈과 같은 구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 프로세싱 회로부(1101), 및/또는 획득 모듈(1102)은 제1 지시 및 제2 지시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시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고 제2 지시는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한다. 제1 개수와 제2 개수는 상이하다는 것에 의해 디커플링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측정 보고 모듈(1103)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 프로세싱 회로부(1101), 및/또는 측정 보고 모듈(1103)은, 예컨대, 제2 지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셀 품질 도출 모듈(1104), 예컨대, 송신기 또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 프로세싱 회로부(1101), 및/또는 셀 품질 도출 모듈(1104)은, 예컨대, 제1 지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1 개수의 빔에 대해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개수와 제2 개수는 서로 디커플링되어 있으며, 상이하다고도 지칭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제1 측정 조건, 즉 제1 빔 개수에 기초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제2 측정 조건에 기초하여 빔 레벨 정보의 측정 보고를 추가로 수행한다. 제1 측정 조건과 제2 측정 조건은 서로 디커플링되어 있으며, 상이하다고도 지칭되고, 즉 동일한 조건이 아니다. 따라서, 제1 측정 조건은 제1 개수일 수 있고, 제2 측정 조건은 제2 개수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는 메모리(1105)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지시들, 빔들의 개수, 측정들, 임계값들,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0)에 대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액션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 즉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106),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각기 구현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106)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1107), 예컨대,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1107)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액션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는 프로세싱 회로부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그에 의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0)는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고,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1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거나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와 같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의 2개의 실시예를 묘사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무선 디바이스(10)를 서빙하도록 구성된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부(1201),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구성 모듈(1202), 예컨대, 송신기 또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 프로세싱 회로부(1101), 및/또는 구성 모듈(1202)은 구성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한다. 제1 개수와 제2 개수는 상이하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전송 모듈(1203), 예컨대, 송신기 또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 프로세싱 회로부(1101), 및/또는 전송 모듈(1203)은 핸드오버 커맨드를 무선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메모리(1204)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지시들, 임계값들, 빔들의 개수들, 강도들 또는 품질들, 파라미터들,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한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 대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액션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 즉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205),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각기 구현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205)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1206), 예컨대, 디스크, USB 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스틱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120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액션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프로세싱 회로부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그에 의해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3211) 및 코어 네트워크(3214)를 포함하는, 3GPP-유형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통신 네트워크(321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3211)는, 각각이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3213a, 3213b, 3213c)을 정의하는, NB들, eNB들, gNB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과 같은, 복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3212a, 3212b, 3212c)을 포함한다. 각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212a, 3212b, 3212c)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3215)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3214)에 접속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3213c)에 위치된 사용자 장비(UE)(3291)로 표기된 무선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기지국(3212c)에 무선으로 접속하거나 대응하는 기지국(3212c)에 의해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3213a)에 UE(3292)로 표기된 제2 무선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212a)에 무선으로 접속가능하다. 이 예에서 복수의 UE들(3291, 3292)이 예시되어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 하나의 UE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또는 단 하나의 UE가 대응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212)에 접속하고 있는 상황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통신 네트워크(3210) 자체는 호스트 컴퓨터(3230)에 접속되며, 호스트 컴퓨터(3230)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로 구현된 서버(cloud-implemented server), 분산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또는 서버 팜에서의 프로세싱 자원들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32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 하에 있을 수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on behalf of) 운영될 수 있다. 원격통신 네트워크(3210)와 호스트 컴퓨터(3230) 사이의 접속들(3221, 3222)은 코어 네트워크(32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3230)로 직접 연장될 수 있거나 임의적 중간 네트워크(3220)를 경유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3220)는 공중,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이들 중 하나 초과의 조합일 수 있으며; 중간 네트워크(3220)는, 있는 경우,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일 수 있고; 특히, 중간 네트워크(3220)는 2개 이상의 서브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통신 시스템 전체는 접속된 UE들(3291, 3292) 중 하나와 호스트 컴퓨터(3230) 사이의 접속성을 가능하게 해준다. 접속성은 OTT(over-the-top) 접속(3250)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3230) 및 접속된 UE들(3291, 3292)은, 액세스 네트워크(3211), 코어 네트워크(3214), 임의의 중간 네트워크(3220) 및 가능한 추가 인프라스트럭처(도시되지 않음)를 매개체들로서 사용하여, OTT 접속(3250)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3250)은 OTT 접속(3250)이 통과하는 참여하는 통신 디바이스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212)는 접속된 UE(3291)로 포워딩(예컨대, 핸드오버)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3230)로부터 발신되는 데이터를 갖는 들어오는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관해 통보받지 않을 수 있거나 통보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212)는 호스트 컴퓨터(3230)를 향해 UE(3291)로부터 발신하는 나가는 업링크 통신의 향후 라우팅을 인식할 필요가 없다.
선행 단락들에서 논의된 UE,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호스트 컴퓨터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구현들이 이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3300)에서, 호스트 컴퓨터(3310)는 통신 시스템(330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3316)를 포함한 하드웨어(33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3310)는, 저장 및/또는 프로세싱 능력을 가질 수 있는, 프로세싱 회로부(3318)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프로세싱 회로부(3318)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합화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3310)는, 호스트 컴퓨터(3310)에 저장되거나 호스트 컴퓨터(3310)에 의해 액세스가능하고 프로세싱 회로부(3318)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3311)를 추가로 포함한다. 소프트웨어(33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은 UE(3330) 및 호스트 컴퓨터(3310)에서 종단하는 OTT 접속(3350)을 통해 접속하는, 무선 디바이스(10)의 예인 UE(33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은 OTT 접속(3350)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300)은 원격통신 시스템에 제공되고 원격통신 시스템이 호스트 컴퓨터(3310) 및 UE(3330)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하드웨어(3325)를 포함하는,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의 예인,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드웨어(3325)는 통신 시스템(330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셋업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3326)는 물론,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에 의해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도 16에 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된 UE(3330)와 적어도 무선 접속(3370)을 셋업 및 유지하기 위한 라디오 인터페이스(33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326)는 호스트 컴퓨터(3310)에 대한 접속(33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3360)은 직접적일 수 있거나 원격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도 16에 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원격통신 시스템 외부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의 하드웨어(3325)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합화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회로부(3328)를 추가로 포함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는 내부에 저장되거나 외부 접속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소프트웨어(3321)를 추가로 갖는다.
통신 시스템(3300)은 이미 언급된 UE(3330)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드웨어(3335)는 UE(3330)가 현재 위치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와 무선 접속(3370)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3337)를 포함할 수 있다. UE(3330)의 하드웨어(3335)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합화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회로부(3338)를 추가로 포함한다. UE(3330)는, UE(3330)에 저장되거나 UE(3330)에 의해 액세스가능하고 프로세싱 회로부(3338)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3331)를 추가로 포함한다. 소프트웨어(33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은, 호스트 컴퓨터(3310)의 지원 하에, UE(3330)를 통해 인간 또는 비-인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3310)에서, 실행 중인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은 UE(3330) 및 호스트 컴퓨터(3310)에서 종단하는 OTT 접속(3350)을 통해 실행 중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과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33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33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둘 다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3332)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자신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6에 예시된 호스트 컴퓨터(3310),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 및 UE(3330)가, 제각기, 도 15의 호스트 컴퓨터(3230),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3212a, 3212b, 3212c) 중 하나 및 UE들(3291, 3292) 중 하나와 동일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즉, 이러한 엔티티들의 내부 작동들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15의 것일 수 있다.
도 16에서, OTT 접속(3350)은, 임의의 중간 디바이스들 및 이 디바이스들을 통한 메시지들의 정확한 라우팅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 없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3310)와 UE(3330) 사이의 통신을 예시하기 위해 추상적으로 그려져 있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고, UE(3330) 또는 호스트 컴퓨터(3310)를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둘 다에 라우팅을 숨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OTT 접속(33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예컨대,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초하여)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들을 추가로 취할 수 있다.
UE(3330)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 사이의 무선 접속(3370)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른다.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은, 무선 접속(3370)이 마지막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접속(3350)을 사용하여 UE(3330)에 제공되는 OTT 서비스들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은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핑퐁 핸드오버들 및/또는 실패한 핸드오버들이 회피되고 그에 의해 OTT 서비스에 대한 감소된 사용자 대기 시간과 같은 이점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개선시키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인자들을 모니터링하는 목적을 위한 측정 절차가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들의 변동들에 응답하여, 호스트 컴퓨터(3310)와 UE(3330) 사이의 OTT 접속(33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임의적 네트워크 기능이 추가로 있을 수 있다. 측정 절차 및/또는 OTT 접속(3350)을 재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3310)의 소프트웨어(3311)에서 또는 UE(3330)의 소프트웨어(3331)에서 또는 둘 다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센서들(도시되지 않음)은 OTT 접속(3350)이 통과하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배치되거나 이 통신 디바이스들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들은 위에 예시된 모니터링된 수량들의 값들을 공급하는 것 또는 다른 물리 수량들의 값들 - 이들로부터 소프트웨어(3311, 3331)가 모니터링된 수량들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음 - 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측정 절차에 참여할 수 있다. OTT 접속(33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설정들, 선호된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3320)에 알려지지 않거나 지각되지 않을(imperceptible) 수 있다. 그러한 절차들 및 기능들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실시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은 스루풋, 전파 시간들, 레이턴시 및 이와 유사한 것에 대한 호스트 컴퓨터(3310)의 측정들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 U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3311, 3331)가, 전파 시간들, 에러들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OTT 접속(3350)을 사용하여 메시지들, 특히 비어 있는 또는 '더미' 메시지들이 전송되게 한다는 점에서 측정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UE로서 표기된,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단순함을 위해, 도 17에 대한 도면 참조들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이 방법의 제1 단계(34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1 단계(3410)의 임의적 서브단계(3411)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단계(34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게 운반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임의적 제3 단계(3430)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르면, 호스트 컴퓨터가 개시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UE로 전송한다. 임의적 제4 단계(3440)에서,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단순함을 위해, 도 18에 대한 도면 참조들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이 방법의 제1 단계(35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임의적 서브단계에서(도시되지 않음),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단계(35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게 운반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전송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르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를 통과할 수 있다. 임의적 제3 단계(3530)에서, UE는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단순함을 위해, 도 19에 대한 도면 참조들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이 방법의 임의적 제1 단계(3610)에서,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임의적 제2 단계(3620)에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단계(3620)의 임의적 서브단계(3621)에서,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1 단계(3610)의 추가의 임의적 서브단계(3611)에서,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된 특정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임의적 제3 서브단계(3630)에서, 호스트 컴퓨터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이 방법의 제4 단계(364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르면, U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단순함을 위해, 도 20에 대한 도면 참조들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이 방법의 임의적 제1 단계(3710)에서,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르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임의적 제2 단계(3720)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호스트 컴퓨터로의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제3 단계(373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개시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다 일반적인 용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되고, 이는 무선 디바이스와 그리고/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는, 임의의 유형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들은 NodeB, 마스터 eNB, 세컨더리 eNB, MCG(Master cell group) 또는 SCG(Secondary Cell Group)에 속하는 네트워크 노드, BS(base station), MSR BS와 같은 MSR(multi-standard radio) 라디오 노드, eNodeB, 네트워크 제어기, RNC(radio network controller), BSC(base station controller), 릴레이, 릴레이를 제어하는 도너 노드, BTS(base transceiver station), AP(access point), 전송 포인트들, 전송 노드들, RRU(Remote Radio Unit), RRH(Remote Radio Head),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내의 노드들, 코어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MSC(Mobility Switching Centre), MME(Mobile Management Entity) 등, O&M(Operation and Maintenance), OSS(Operation Support System), SON(Self-Organizing Network), 포지셔닝 노드(positioning node), 예컨대,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 MDT(Minimizing Drive Test) 등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다수의 네트워크/RAN 슬라이스들로 실질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싱될(network sliced) 수 있고, 각각의 네트워크/RAN 슬라이스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서비스들을 지원하며, 즉,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상이한 기능 세트를 지원한다는 것에 추가로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네트워크/RAN 슬라이스들이 상이한 서비스들 및 사용 사례들에 사용될 가능성을 도입하며 이러한 서비스들 및 사용 사례들은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서 지원되는 기능의 차이들을 도입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RAN 슬라이스는 각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한 서비스들/기능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 또는 네트워크 노드들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RAN 슬라이스는 RAN 노드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제한적인 용어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user equipment)가 사용되고 이는 네트워크 노드와 그리고/또는 셀룰러 또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UE와 통신하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UE의 예들은 타깃 디바이스, D2D(device to device) UE, 근접 가능 UE(proximity capable UE)(ProSe UE라고도 알려져 있음), 머신 유형(machine type) UE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할 수 있는 UE, PDA, PAD, 태블릿, 모바일 단말들, 스마트 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등이다.
실시예들은 5G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그렇지만,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신호들(예컨대, 데이터)을 수신 및/또는 전송하는 임의의 RAT 또는 다중 RAT 시스템들, 예컨대, LTE, LTE FDD/TDD(Frequency Division Duplex/Time Division Duplex), WCDMA/HSPA, GSM/GERAN, Wi Fi, WLAN, CDMA2000 등에 적용가능하다.
안테나 노드는 특정 서비스 영역 또는 방향을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빔을 생성할 수 있는 유닛이다. 안테나 노드는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통신 설계에 익숙한 자들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인 바와 같이, 그 기능 수단들 또는 모듈들은 디지털 로직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일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서, 또는 그 사이에 적절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2개 이상의 개별 디바이스에서와 같이, 다양한 기능들 중 몇몇 또는 전부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 중 몇몇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다른 기능 컴포넌트들과 공유되는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논의된 프로세싱 수단의 기능 요소들 중 몇몇은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것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와 연관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지 않으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conventional) 및/또는 커스텀(custom)인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의 설계자들은 이러한 설계 선택안들에 내재된 비용, 성능, 및 유지관리 트레이드오프들을 인식할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제1 개수의 빔에 대해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고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제1 개수와 제2 개수는 상이하다(디커플링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할 수 있다. 빔들의 개수에 관한 2개의 지시를 수신할 시에, 무선 디바이스는 이 2개의 지시 중 최댓값을 선택하여, 그 개수의 필터들을 개시하여 빔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셀 품질 도출을 위해 구성된 빔들의 개수가 측정 보고를 위한 빔들의 개수보다 높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최대 개수의 필터들을 셋업하고, 셀 품질 도출에 대한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모든 값들을 사용하여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측정 보고를 위해서는 서브세트만을 사용할 수 있다. 셀 품질 도출을 위해 구성된 빔들의 개수가 측정 보고를 위한 빔들의 개수보다 낮으면, 무선 디바이스는 최대 개수의 필터들을 셋업하고, 셀 품질 도출을 위한 값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모든 이용가능한 필터링된 값들을 측정 보고들에 포함시킨다. 이 2개의 상이한 목적으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도록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된 빔들의 개수는 사용될 빔들의 최대 개수로 해석된다. 무선 디바이스가 셀을 검출하고, 최대 개수의 필터들을 개시하여 빔 레벨 측정들을 수행하며, 평가 기간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가 구성된 값들 중 임의의 것보다 낮은 개수의 빔들을 검출하면, 이것이 셀 품질을 도출하는 데 사용되어야 하고 측정 보고들에 포함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한다.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구성 데이터를 전송하며, 즉 무선 디바이스를 데이터로 구성하며, 이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한다. 제1 개수와 제2 개수는 상이하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가 또한 제공된다.
전술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이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비제한적 예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장치들 및 기술들은 전술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은 이하의 청구항들 및 그 법적 균등물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디바이스(10)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0)를 서빙하고, 상기 방법은:
    -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1011);
    - 상기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는 단계(1014); 및
    - 상기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하는 단계(1015)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는 어떠한 지시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지시만을 수신할 때, 상기 제1 빔 개수가 1임을 지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지시를 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지시는 상기 빔들의 개수를 정의하는 실제 값 및/또는 최상의 빔들을 정의하는 임계값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빔 개수가 1임을 지시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 품질 도출을 위한 빔들의 상기 제1 개수가 측정 보고를 위한 빔들의 상기 제2 개수보다 낮으면, 최대 개수의 필터들을 셋업하고(1013), 셀 품질 도출을 위한 값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는(1014) 반면, 모든 이용가능한 필터링된 값들을 상기 측정 보고들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 품질 도출 및 측정 보고를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도록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된 빔들의 개수들은 셀 품질 도출을 계산하기 위해 평균화될 빔들의 최대 개수로 해석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2 지시를 사용하는 함수인, 방법.
  8.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고, 상기 방법은
    - 구성 데이터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10)로 전송하는 단계(1021)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네트워크(1)에서 무선 디바이스(10)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10)로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0)를 서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어떠한 지시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제2 지시만을 수신할 때, 상기 제1 빔 개수가 1임을 지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지시를 가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지시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지시는 상기 빔들의 개수를 정의하는 실제 값 및/또는 최상의 빔들을 정의하는 임계값인, 무선 디바이스(10).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빔 개수가 1임을 지시하는, 무선 디바이스(10).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 품질 도출을 위한 빔들의 상기 제1 개수가 측정 보고를 위한 빔들의 상기 제2 개수보다 낮으면, 최대 개수의 필터들을 셋업하고, 셀 품질 도출을 위한 값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는 반면, 모든 이용가능한 필터링된 값들을 상기 측정 보고들에 포함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 품질 도출 및 측정 보고를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도록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된 상기 빔들의 개수들을 셀 품질 도출을 계산하기 위해 평균화될 빔들의 최대 개수로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2 지시를 사용하는 함수인, 무선 디바이스(10).
  1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로서,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서빙하고,
    구성 데이터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
  17.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8.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10)로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지시를 고려하여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지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개수의 빔의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20.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로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는:
    구성 데이터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데이터는 셀 품질 도출을 수행할 빔들의 제1 개수를 지시하는 제1 지시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 빔들의 제2 개수를 지시하는 제2 지시를 포함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
KR1020197032567A 2017-05-04 2018-05-0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그들에서 수행되는 방법들 KR102266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1144P 2017-05-04 2017-05-04
US62/501,144 2017-05-04
PCT/SE2018/050456 WO2018203815A1 (en) 2017-05-04 2018-05-03 Wireless device,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759A true KR20190133759A (ko) 2019-12-03
KR102266822B1 KR102266822B1 (ko) 2021-06-21

Family

ID=6245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567A KR102266822B1 (ko) 2017-05-04 2018-05-0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그들에서 수행되는 방법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051191B2 (ko)
EP (2) EP3619935B1 (ko)
JP (1) JP6970212B2 (ko)
KR (1) KR102266822B1 (ko)
CN (1) CN110574412B (ko)
BR (1) BR112019022076A2 (ko)
CO (1) CO2019012340A2 (ko)
DK (1) DK3619935T3 (ko)
ES (1) ES2955042T3 (ko)
MX (1) MX2019013106A (ko)
PL (1) PL3619935T3 (ko)
SG (1) SG11201909411QA (ko)
WO (1) WO2018203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9022579A2 (pt) * 2017-05-01 2020-05-19 Ntt Docomo Inc terminal de usuário e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CN111541499B (zh) * 2017-05-05 2022-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WO2019028878A1 (en) * 2017-08-11 2019-02-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NON-NULL POWER BEAMS IN WIRELESS SYSTEMS
WO2019097020A1 (en) * 2017-11-17 2019-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for configuring measurements of cells and b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958636B (zh) * 2018-09-26 2022-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Csi报告的上报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EP3874811A1 (en) 2018-11-01 2021-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handover caused by an insecure message from a network node
WO2020118480A1 (en) 2018-12-10 2020-06-18 Qualcomm Incorporated Cell and beam selection for conditional handover procedure
CN111385824B (zh) * 2018-12-29 2022-06-10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1491302B (zh) * 2019-01-25 2022-05-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息上报方法、接收方法、装置及设备
WO2021226982A1 (en) * 2020-05-15 2021-11-18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report offset increase for avoiding ping-pong between long term evolution cells in non-stand-alone mod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7307B2 (en) * 2011-11-04 2015-03-10 Intel Corporation Beamforming coordin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US10383120B2 (en) * 2015-05-11 2019-08-13 Acer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of reporting channel information according to beamforming
US10763942B2 (en) * 2015-05-12 2020-09-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beam selection
US11223403B2 (en) * 2016-05-05 2022-01-11 Nokia Technologies Oy Mobility measurements
TWI709303B (zh) * 2016-07-01 2020-11-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系統中處理量測的方法和設備
US10951285B2 (en) * 2017-01-06 2021-03-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Hybrid mobility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mechanisms
GB201701858D0 (en) 2017-02-03 2017-03-2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RAN WG2, Meeting #97, R2_1701446, 2017.02.03.* *
3GPP TSG RAN WG2, Meeting #97, R2_1701731, 2017.02.04.* *
3GPP TSG RAN WG2, Meeting #97bis, R2_1702921, 2017.03.2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6752A2 (en) 2023-10-25
PL3619935T3 (pl) 2023-12-18
MX2019013106A (es) 2020-07-22
CN110574412A (zh) 2019-12-13
EP4266752A3 (en) 2024-01-03
CO2019012340A2 (es) 2020-04-01
ES2955042T3 (es) 2023-11-28
CN110574412B (zh) 2023-10-24
JP2020520571A (ja) 2020-07-09
US11051191B2 (en) 2021-06-29
BR112019022076A2 (pt) 2020-05-05
DK3619935T3 (da) 2023-08-28
SG11201909411QA (en) 2019-11-28
EP3619935A1 (en) 2020-03-11
KR102266822B1 (ko) 2021-06-21
US20200196173A1 (en) 2020-06-18
EP3619935B1 (en) 2023-07-05
WO2018203815A1 (en) 2018-11-08
JP6970212B2 (ja)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4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beam tracking failure recovery
KR10226682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핸들링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 및 그들에서 수행되는 방법들
US11570669B2 (en)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71664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transmission pattern
JP2019530291A (ja) 基地局、通信装置及び方法
US10327168B2 (en) Radio network nodes,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0663265B (zh) 覆盖增强下的间隙共享
US10863365B2 (en)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902141B2 (en) Radio network node,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6967601B2 (ja) セル品質導出構成
EP4238247A1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in a radio acc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