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346A - 배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346A
KR20190133346A KR1020180058138A KR20180058138A KR20190133346A KR 20190133346 A KR20190133346 A KR 20190133346A KR 1020180058138 A KR1020180058138 A KR 1020180058138A KR 20180058138 A KR20180058138 A KR 20180058138A KR 20190133346 A KR20190133346 A KR 2019013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drain
control unit
dischar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529B1 (ko
Inventor
손정우
Original Assignee
손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우 filed Critical 손정우
Priority to KR102018005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5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a single flush outlet and an additional float for delaying the valve clo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2001/147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having provisions for active interruption of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용수를 저장하고, 하단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되는 부자를 포함하는 수위조절부;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되 상기 배수구 상부에 형성되어 용수 배출을 조절하는 배수조절부; 및 상기 배수조절부와 상기 수위조절부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조절부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하는 용수배출커버; 및 상기 용수배출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저장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용수배출커버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배수 조절 장치 {DRANINAG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배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와 같이 배수 기능을 갖는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며, 배수량 조절이 가능한 배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수자원의 고갈 우려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시민들에게 물을 절약하여 사용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는 한편 이러한 결과로 수자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커지게 되었으며,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해결책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전에서 낭비되는 물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수전은 급수 배관의 말단에 위치하여 물을 개폐시키는 장치로 설치 위치나 용도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나뉠 수 있으며, 배관을 통해 보일러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전을 통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수전을 온수로 동작시켜도 바로 온수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당량의 물을 낭비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렇게 수전에서 낭비되는 물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인 "수전 및 건물의 절수형 수전 시스템"(출원번호: 10-2017-0167511)이 있으며, 이외에도 최근에 수전에서 낭비되는 물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전에서 낭비되는 물을 양변기와 같이 물을 저장하였다 배수하는 장치로 보내어 활용할 수 있는데 기존의 장치들은 저장된 물을 일시에 모두 배수하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별도의 배수량을 조절하는 장치가 구비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수전에서 낭비되는 물을 더 저장한다고 하여도 저장된 물을 일시에 모두 배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절수를 위해 수전에서 낭비되는 물을 양변기와 같이 물을 저장하였다 배수하는 장치로 보내어 활용한다고 하여도 저장된 물이 일시에 모두 배수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절수 효과가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저장된 물의 배수량을 조절하여 배수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13620호(발명의 명칭: 변기의 세척수 절약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있다.
KR 10-1713620 B1 (2017. 02. 17.)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된 물을 배수할 때 배수량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용수를 저장하고, 하단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되는 부자를 포함하는 수위조절부;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되 상기 배수구 상부에 형성되어 용수 배출을 조절하는 배수조절부; 및 상기 배수조절부와 상기 수위조절부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조절부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하는 용수배출커버; 및 상기 용수배출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저장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용수배출커버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상기 용수배출커버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공기유입구을 통해 상기 공기저장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부자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 상기 공기배출구를 개폐하는 공기배출커버; 상기 공기배출커버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바; 및 상기 부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바가 회전하도록 상기 걸림바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공기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수위조절부는 상기 부자가 상기 용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상기 부자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고정부는 상기 용수의 수면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자 형상의 지주대; 및 상기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지주대의 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며 이동하는 회전나사; 상기 회전나사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과 나사 결합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걸림돌기가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바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공기배출커버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상기 배수조절부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하는 용수배출커버; 및 상기 용수배출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내부에 저장된 용수를 일시에 배수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용수만 배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양변기에 기존 보다 더 많은 용수를 저장하는 경우에도 용수의 양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양변기에 기존 보다 더 많은 용수를 저장하는 경우에도 용수의 양을 조절하여 배출이 가능해짐으로써, 양변기에 수전에서 낭비되는 잔수를 보내어 활용이 가능해지며, 이로써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의 절수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측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조절부의 아래쪽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용수를 저장하고 하단에 배수구(11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되는 부자(310)를 포함하는 수위조절부(300); 배수구(110) 상부에 형성되는 용수배출커버(410)를 포함하고, 용수배출커버(410)의 동작에 따라 용수 배출을 조절하며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는 배수조절부(400); 및 배수조절부(400)와 수위조절부(300)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관(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위조절부(300)는 공기배출관(430)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부(330)를 포함하며, 개폐조절부(330)의 동작에 따라 공기배출관(430)을 통해 배수조절부(400)의 공기가 배출되면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부(300)는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floating)되는 부자(浮子, 310); 배수조절부(400)에 저정된 공기의 배출을 조절하는 공기배출부(320); 및 공기배출부(320)의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조절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배출부(320)가 개방되어 배수조절부(400)에 저장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수조절부(400)가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부자(310)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어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용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구성요소로서, 외부(예를 들어 수도)로부터 공급받은 용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용수는 배수조절부(400)가 개방됨으로써 본체부(100)에 형성된 배수구(1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는 필요에 따라, 수도 이외에도 수전으로부터 수전잔수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용수공급부(200)는 용수를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외부의 수도(미도시)와 연결되어 본체부(100)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가 양변기에 적용되는 경우, 용수공급부(200)는 본체부(100)에 용수를 공급할 수도 있지만, 용수 일부를 변기쪽 잔수로 공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용수공급부(200)는 중공이 형성된 용수공급관(210); 및 용수공급관(210)의 중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잔수공급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잔수공급관(220)은 본체부(100)의 하단을 관통하여 변기쪽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용수공급관(210)을 통해 본체부(100)로 용수가 공급되고,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용수 중 일부가 잔수공급관(220)을 통해 본체부(100) 하단의 변기쪽 잔수로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참고적으로 용수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용수공급조절밸브(211)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조절부(300)는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되는 구성요소로서, 배수구(110)가 폐쇄되는 타이밍을 조절하여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양 및 본체부(1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가 전부 배출되기 전에 배수조절부(400)에 형성된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 중 일부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조절부(400)는 배수구(110) 상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용수 배출을 조절 구성요소로서, 배수조절부(400)에 형성된 용수배출커버(410)가 개방되어 본체부(100)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110)를 통해 용수가 배출될 수 있고, 배수조절부(400)에 형성된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막아 용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배수조절부(4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의 배출을 조절함으로써, 배수조절부(40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조절부(400)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타이밍이나 양을 개폐조절부(330)에서 조절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폐조절부(330)의 동작에 의해 부자(310)에 형성되는 공기배출부(320)가 개방되어 배수조절부(4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부자(3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수조절부(400)가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부자(310)는 배수조절부(400)와 공기배출관(4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부자(310)에는 공기배출관(430)과 연통되도록 공기배출구(3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서 배수조절부(400)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관(430) 및 공기배출구(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는 단순히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되는 부자의 높낮이에 따라 배수구(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물탱크 내부의 용수를 한번에 배출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수조절부(400)의 공기의 배출을 조절하여 배수구(110)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본체부(1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양변기에 적용되는 경우에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를 한번에 배수하지 않고,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하여 배수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특히 수전에서 낭비되는 수전잔수를 활용하여 수자원의 절약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수전에서 낭비되는 수전잔수를 양변기의 물탱크로 보내어 활용하는 경우, 물탱크에는 기존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는 물탱크는 내부의 용수를 한번에 모두 배출하기 때문에 수전잔수를 더 저장한다고 하여도 한번에 사용하는 물의 양이 많아질 뿐 실질적인 수자원 절약을 달성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양변기에 적용되는 경우, 본체부(100)가 수전잔수를 더 저장하는 경우에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와 달리 실질적인 수자원 절약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양변기를 1회 이용할 때 소모되는 물의 양이 6리터이고, 본 발명의 본체부(100)에 저장되는 물(용수)의 양이 10리터인 경우, 1회 이용시 소모되는 물의 양인 6리터를 배출하는 타이밍에 개폐조절부(330)의 동작에 의해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막아 더 이상의 용수 배출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발명은 본체부(100)에 남은 4리터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a)에는 배수구(110)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배수구(110)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부(100)에 설치된 레버(500)를 누르면 레버(500)에 결합된 연결봉(510)이 상승하게 되고, 연결봉(510)이 상승하면 연결봉(510)에 결합된 체인(520)을 통해 배수조절부(400)가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됨으로써 배수구(110)가 개방되어 배수구(110)를 통해 용수가 배출된다.
이렇게 용수가 배출됨으로써 본체부(100) 내의 용수의 수위가 점점 낮아지게 되고,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되는 부자(310)도 용수의 수위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부자(310)의 이동에 따라 수위조절부(300)도 전체적으로 용수의 수위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위조절부(300)의 이동에 따라 수위조절부(300)에 포함된 개폐조절부(330)가 공기배출관(430)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조절부(330)의 동작에 따라 공기배출관(430)을 통해 배수조절부(40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조절부의 아래쪽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조절부(400)는 본체부(100)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110)를 개폐하는 용수배출커버(410); 및 용수배출커버(410)의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유입구(421)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조절부(400)는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한 상태에서 공기유입구(421)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저장부(4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때 레버(500)의 동작에 의해 용수배출커버(410)가 개방될 수 있고, 이후 공기저장부(420)의 공기가 공기배출관(430) 및 이와 연통된 공기배출구(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될 실시예에서, 걸림돌기(334)가 걸림바(324)의 일단에 접촉하여 걸림바(324)의 일단을 가압함으로써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을 개방하여 공기저장부(420)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데, 걸림돌기(334)는 회전나사(331)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걸림바(324)를 가압한 이후에는 회전나사(331)의 회전에 따라 다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걸림돌기(334)가 걸림바(324)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배출커버(323)의 무게의 의해}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를 다시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를 폐쇄하면 공기유입구(421)을 통해 공기저장부(42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공기저장부(420)의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공기유입구(421)를 통해서 공기저장부(420)로 용수가 유입될 수 있는데, 공기유입구(421)를 통해서 공기저장부(420)로 용수가 유입되면 공기저장부(420)가 무거워 지고, 이 무게에 의해 배수조절부(400)가 내려가게 되어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한 이후에는 공기유입구(421)가 아래쪽{배수구(110)쪽}을 향하게 되기 때문에, 공기유입구(421)를 통해 공기저장부(420)로 유입된 용수는 공기유입구(421)를 통해 다시 아래쪽으로{배수구(110)쪽으로} 배출되며, 용수가 배출된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다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즉,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공기유입구(421)을 통해 다시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저장부(4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300)는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floating)되는 부자(310); 배수조절부(4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의 배출을 조절하는 공기배출부(320); 및 공기배출부(3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조절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부(320)는 부자(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배출관(430)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321); 공기배출구(321)를 개폐하는 공기배출커버(323); 공기배출커버(323)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바(324); 및 부자(3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걸림바(324)가 회전하도록 걸림바(324)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판(3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공기배출관(322)이 부자(310)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배출관(322)의 상단에 공기배출구(3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결합판(325)에는 결합한(325)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판리브(325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관(322)이 형성된다면, 공기배출관(322)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배출관리브(322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공기배출부(320)는 개폐조절부(330)의 동작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개폐조절부(330)가 공기배출부(3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조절부(3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조절부(330)는 회전나사(331); 회전나사(331)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축(332); 중심축(332)과 나사 결합되는 연결축(333); 및 연결축(333)에 형성되며, 연결축(33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걸림돌기(3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개폐조절부(330)는 중심축(332)이 회전함에 따라 중심축(332)과 나사 결합되는 연결축(333)이 회전하게 되고, 연결축(3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34)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돌기(334)는 소정 지점에서 걸림바(324)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도 6에 걸림돌기(334)가 걸림바(324)의 일단에 접촉하여 걸림바(324)의 일단을 가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연결축(333)이 중심축(332)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기 위해 부자(3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연결축 지지판(3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축 지지판(335)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결축 지지판리브(335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걸림돌기(334)가 걸림바(324)를 가압함으로써 공기배출커버(323)가 힌지 회전하여 위로 들리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공기배출커버(323)가 위로 들리게 됨으로써 공기배출구(321)가 개방되어 배수조절부(4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공기배출관(430) 및 공기배출구(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배수조절부(4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수조절부(400)에 형성된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하게 되면, 더 이상 배수조절부(4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본체부(100) 내부의 용수가 전부 배출되지 않더라도 중간에 배수조절부(400)가 배수구(110)를 폐쇄하도록 조절함으로써 본체부(100)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고정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고정부(340)는 부자(310)가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부자(3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3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자 형상의 지주대(342); 및 지주대(3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주대(342)의 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3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부(341)는 개폐조절부(330)의 회전나사(331)와 서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대(342)는의 일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부자(310)의 일측에 끼움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끼움부(311)가 결합된 상태에서 부자(3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340)의 구성에 의해 개폐조절부(330)는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부(350)가 별도로 형성되고, 지지부(350)에 고정부(340)가 결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정부(340)와 개폐조절부(330)의 결합 관계에 의해 수위조절부(300)가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을 따라 상하 이동(플로팅)됨으로써 본체부(100)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폐조절부(330)의 중심축(332)과 연결축(333)은 그 나사의 형상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조절부(330)의 중심축(332)과 연결축(333)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면, 중심축(3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연결축(333)이 나사 결합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달리 중심축(3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중심축(332)과 연결축(333)이 나사 결합되지 않고 중심축(332)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조절부(330)의 중심축(332)과 연결축(333)의 결합 구성 및 이로 인한 동작은 수위조절부(300)가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을 따라 상하 이동(플로팅)됨으로써 본체부(100)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조절부(330)의 회전나사(331)의 회전에 의해 결국 공기배출커버(323)가 개방됨으로써 공기배출구(321)를 통해 부자(3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데, 회전나사(331)의 회전은 지주대(342)의 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341)와의 회전 결합에 의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수위조절부(300)가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을 따라 상하 이동(플로팅)하게 되는데, 본체부(100)에 저장된 용수의 수면이 낮아지면 이에 따라 회전나사(331)가 회전하여 소정 타이밍 즉, 즉, 공기저장부(4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공기저장부(4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타이밍은 앞서 일 실시예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334)가 걸림바(324)의 일단에 접촉하여 걸림바(324)의 일단을 가압함으로써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을 개방하는 타이밍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을 개방하는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본체부(100) 내부의 용수의 배출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레버(500)를 동작시켜 양변기의 물을 내린 후에 본체부(100) 내부의 용수가 배출되기 시작하는데, 이렇게 용수가 배출되는 도중 공기저장부(420)에 저장된 공기가 공기배출관(430)을 통해 배출될 때 배수조절부(400)로 배수구(110)를 차단함으로써, 본체부(100) 내부의 용수의 배출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수위조절부(300) 및 배수조절부(400)의 동작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 배수조절부(400)는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한 상태에서 공기유입구(421)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저장부(4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때 레버(500)의 동작에 의해 용수배출커버(410)가 개방될 수 있고, 이후 공기저장부(420)의 공기가 공기배출관(430) 및 이와 연통된 공기배출구(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걸림돌기(334)가 걸림바(324)의 일단에 접촉하여 걸림바(324)의 일단을 가압함으로써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을 개방하여 공기저장부(420)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데, 걸림돌기(334)는 회전나사(331)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걸림바(324)를 가압한 이후에는 회전나사(331)의 회전에 따라 다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걸림돌기(334)가 걸림바(324)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배출커버(323)의 무게의 의해}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를 다시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배출커버(323)가 공기배출구(321)를 폐쇄하면 공기유입구(421)을 통해 공기저장부(42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조절 장치는 공기저장부(420)의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공기유입구(421)을 통해서는 본체부(100) 내부의 용수가 일부 유입될 수 있는데, 이렇게 공기유입구(421)을 통해 유입된 용수는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한 이후에는 공기유입구(421)이 아래쪽{배수구(110)쪽}을 향하게 되기 때문에 유입된 용수가 공기유입구(421)을 통해 다시 아래쪽으로{배수구(110)쪽으로} 배출되며, 용수가 배출된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다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즉, 용수배출커버(410)가 배수구(11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공기유입구(421)을 통해 다시 공기를 유입하여 공기저장부(4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배수구
200: 용수공급부 210: 용수공급지주
220: 용수공급관 300: 수위조절부
310: 부자 311: 끼움부
320: 공기배출부 321: 공기배출구
322: 공기배출관 323: 공기배출커버
324: 걸림바 325: 결합판
330: 개폐조절부 331: 회전나사
332: 중심축 333: 연결축
334: 걸림돌기 335: 연결축 지지판
340: 고정부 341: 나사부
342: 지주대 350: 지지부
400: 배수조절부 410: 용수배출커버
420: 공기저장부 421: 공기유입구
430: 공기공급관 500: 레버
510: 연결봉 520: 체인

Claims (7)

  1. 용수를 저장하고, 하단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용수의 수면에 플로팅되는 부자를 포함하는 수위조절부;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되 상기 배수구 상부에 형성되어 용수 배출을 조절하는 배수조절부; 및
    상기 배수조절부와 상기 수위조절부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조절부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하는 용수배출커버; 및
    상기 용수배출커버의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저장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용수배출커버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배수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배출커버가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였을 때, 상기 공기유입구을 통해 상기 공기저장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배수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부자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
    상기 공기배출구를 개폐하는 공기배출커버;
    상기 공기배출커버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바; 및
    상기 부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바가 회전하도록 상기 걸림바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공기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가 상기 용수의 수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상기 부자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수의 수면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자 형상의 지주대; 및
    상기 지주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지주대의 측면에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배수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며 이동하는 회전나사;
    상기 회전나사의 중심에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과 나사 결합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배수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바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공기배출커버가 개방되는 배수 조절 장치.
KR1020180058138A 2018-05-23 2018-05-23 배수 조절 장치 KR10205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138A KR102053529B1 (ko) 2018-05-23 2018-05-23 배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138A KR102053529B1 (ko) 2018-05-23 2018-05-23 배수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346A true KR20190133346A (ko) 2019-12-03
KR102053529B1 KR102053529B1 (ko) 2019-12-06

Family

ID=6883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138A KR102053529B1 (ko) 2018-05-23 2018-05-23 배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712A (ko) 2021-06-21 2022-12-28 김주상 역사와 문화재에 관한 퀴즈를 통한 암호화폐 및 nft 제공 시스템과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45Y1 (ko) * 2003-12-26 2004-03-10 신원테크 (주)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90007316U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KR101713620B1 (ko) 2015-07-31 2017-03-07 카오스 (주) 변기의 세척수 절약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45Y1 (ko) * 2003-12-26 2004-03-10 신원테크 (주)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90007316U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KR101713620B1 (ko) 2015-07-31 2017-03-07 카오스 (주) 변기의 세척수 절약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712A (ko) 2021-06-21 2022-12-28 김주상 역사와 문화재에 관한 퀴즈를 통한 암호화폐 및 nft 제공 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529B1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529B1 (ko) 배수 조절 장치
KR101218592B1 (ko)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KR102053528B1 (ko) 배수 조절 장치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KR100315980B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0354526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0277610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220673Y1 (ko) 세면수 전환장치
KR200265940Y1 (ko) 폐수를 이용하는 절수형 양변기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KR20016853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275470Y1 (ko) 양변기 로우탱크의 절수용 배수밸브
KR200198086Y1 (ko) 양변기용 절수구
KR19990034064U (ko) 절수기가 설치된 수세식변기
KR200402335Y1 (ko) 변기용 절수기
KR200243367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CN208329069U (zh) 一种环保节约用水装置
KR0131347Y1 (ko) 변기용 절수기
KR100394508B1 (ko) 절수형 욕조
JPH0720225Y2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における補助水給水構造
CN2521270Y (zh) 翻水斗启动虹吸式便器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