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149A - Plastic containers - Google Patents

Plastic contain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149A
KR20190133149A KR1020197024298A KR20197024298A KR20190133149A KR 20190133149 A KR20190133149 A KR 20190133149A KR 1020197024298 A KR1020197024298 A KR 1020197024298A KR 20197024298 A KR20197024298 A KR 20197024298A KR 20190133149 A KR20190133149 A KR 20190133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tainer
side outer
short sid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오 노구치
히로유키 모리타
마사미 다키
게이타 나카소네
미츠코 오가키
히로오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1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플라스틱 용기 (1) 는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를 구비한다. 상부 용기 (10) 는, 대략 사각형의 상벽 (11) 과, 상벽 (11) 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단변 외벽 (12) 을 갖는다. 하부 용기 (20) 는, 대략 사각형의 바닥벽 (21) 과, 바닥벽 (21) 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외벽 (22) 을 갖는다. 상부 단변 외벽 (12) 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쐐기상 돌기 (16) 가 형성되고, 하부 단변 외벽 (22) 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쐐기상 돌기 (16) 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쐐기상 돌기 (16) 와 각 오목부 (26) 가 끼워맞춰짐으로써, 플라스틱 용기 (1) 에서는,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plastic container 1 has an upper container 10 and a lower container 20. The upper container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upper wall 11 and a pair of upper short side outer walls 12 extending from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upper wall 11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lower container 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tom wall 21 and a pair of lower short side outer walls 22 extending from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the bottom wall 21 in a substantially vertical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is formed with a wedge-shaped protrusion 16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four corners of the quadrangle,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is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four corners of the substantially square, The recessed part 26 into which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is fitted is formed. Each wedge-shaped protrusion 16 and each recess 26 are fitted so that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re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plastic container 1.

Description

플라스틱 용기Plastic containers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container.

특허문헌 1 은,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의 일례를 개시한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xample of the plastic container provided with an upper container and a lower container.

일본 특허공보 2013-079090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3-079090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측면부에서 간이하게 끼워맞춰 용기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용기의 낙하 등에 의해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이 빠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용기의 끼워맞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일방의 용기 내부에 타방의 용기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핀을 형성하고, 타방의 용기 내부에 이들 핀을 삽입 가능한 복수의 통부를 형성하여, 양자를 용기 내부에서 끼워맞춤으로써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부 용기나 하부 용기를 사출 성형 등으로 제조할 때에 이들 핀이나 통부를 용기 내부의 면 (이면) 에 형성하면, 사출 성형시의 함몰 등에 의해 용기의 외면 (표면) 의 형상을 흐트러뜨려 버려, 그 미관을 저해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포장 용기의 외관 (미관) 에 대해 엄격해져 오고 있는 현재는, 특히 그 요구가 엄격해지고 있어, 추가적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In the plastic container,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may be simply fitted at the side portion to form a container, and the fitting of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may be lost by dropping the container. In order to prevent the fitting of the container from being pulled out, a plurality of cylinders which protrude toward the other container are formed in one container of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nd the plurality of cylinders into which the pins can be inserted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container. Forming and fitting both inside a container is strengthening the fitting of an upper container and a lower container. However, when forming the upper container or the lower container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if these pins or cylinder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back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surface) of the container is disturbed due to depression during injection molding. In some cases, the appearance may be impaired. Particularly in the present time, which has been particularly strict about the appearance (aesthetics) of packaging containers, the demands are particularly strict, and further improvement is desired.

본 발명은,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stic container, which firmly fits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nd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그 일 측면으로서,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플라스틱 용기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구비한다. 상부 용기는, 대략 사각형의 상벽과, 당해 상벽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단변 외벽을 갖는다. 하부 용기는, 대략 사각형의 바닥벽과, 당해 바닥벽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외벽을 갖는다. 상부 단변 외벽 및 하부 단변 외벽의 일방의 외벽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타방의 외벽을 향해 돌출되는 쐐기상 돌기가 형성되고, 상부 단변 외벽 및 하부 단변 외벽의 타방의 외벽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쐐기상 돌기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쐐기상 돌기와 오목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relates to a plastic container. This plastic container has an upper container and a lower container. The upper container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upper wall and a pair of upper short side out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near both ends of the upper wall. The lower container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tom wall and a pair of lower short side out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near both ends of the bottom wall. On one outer wall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 wedge-shaped protrusion is form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of the quadrangle and protrudes toward the other outer wall, and the other outer wall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is formed. A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four corners of the quadrangle and fitted with a wedge-shaped protrusion. By fitting the wedge-shaped protrusion and the recessed portio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mounted so as not to escape.

이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일방의 외벽에,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쐐기상 돌기가 형성되고, 타방의 외벽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쐐기상 돌기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쐐기상 돌기와 오목부가 네 모서리에서 끼워맞춰짐으로써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쐐기상 돌기와 오목부를 외벽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벽 등에 끼워맞춤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용기, 특히 용기 표면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In this plastic container, one outer wall has a wedge-shaped protrusion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four corners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other outer wall has a wedge-shaped protrusion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four corners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recess is formed to fit. Then, the wedge-shaped protrusion and the recess are fitted at four corners so that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mounted so that they do not escap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fitting of an upper container and a lower container. Moreover, since such wedge-shaped protrusions and recesses are formed on the outer wall, there is no need to form fitting portions on the upper wall and the like, and the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without impairing the appearance of the container, particularly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상부 단변 외벽의 외면에 쐐기상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단변 외벽의 내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 plastic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a wedge-shape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a recess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container which firmly fits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nd which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ntainer.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쐐기상 돌기는 상부 단변 외벽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는 하부 단변 외벽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 plastic container, the wedge-shaped protrusion is preferab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recess is preferab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container which firmly fits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nd which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ntainer.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하부 단변 외벽의 상단에는, 쐐기상 돌기를 오목부에 유도하기 위한 유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유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용기를 하부 용기에 끼워맞출 때의 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said plastic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recessed part for inducing a wedge-shaped protrusion in a recessed part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a lower short side outer wal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container which firmly fits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nd which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ntainer. Moreover, since the induction recessed part is formed, the operation | work at the time of fitting an upper container to a lower container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상부 단변 외벽의 외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단변 외벽의 내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워맞춤 전에 홈부에 선상 돌기가 걸어맞춰졌을 때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임시 고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부 단변 외벽의 홈부와 하부 단변 외벽의 선상 돌기에 의해, 끼워맞춤 전에 홈부에 선상 돌기가 걸어맞춰졌을 때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임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양자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여 상부 용기를 하부 용기에 끼워맞출 때의 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e above plastic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portion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a linear protrusion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configured to be temporarily fixed when the linear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groove portion before fitting.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container which firmly fits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nd which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ntainer. Moreover, since the upper vessel and the lower vessel can be temporarily fixed when the linear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groove portion before fitting by the groove portion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both of them are positioned and The operation | work at the time of fitting a container with a lower container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하부 용기는, 바닥벽의 하부 단변 외벽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내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 단변 내벽은 하부 단변 외벽보다 그 높이가 낮다. 하부 단변 외벽과 하부 단변 내벽 사이에 상부 단변 외벽이 위치함과 함께 쐐기상 돌기와 오목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벽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보다 한층 강고하게 할 수도 있다. 하부 용기는, 하부 단변 외벽과 하부 단변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용 리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성형시의 수축으로 인해 하부 단변 외벽 또는 하부 단변 내벽이 내측으로 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여 각 외벽을 직립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단변 외벽을 하부 단변 외벽 및 하부 단변 내벽의 사이에 위치시켜 상부 용기를 하부 용기에 장착할 때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plastic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ntainer has a pair of lower short side inn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a point inside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of the bottom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is less tha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Low height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and the wedge-shaped protrusion and the recess are 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preferably mounted so as not to escap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container which firmly fits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nd which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ntainer. In addition, since the inner wall is also used, the fitting betwee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e lower container may have a reinforcing rib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In this case,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or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can be prevented from bowing inward due to shrinkage during molding, and each outer wall can be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In this way,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to prevent a problem when the upper container is mounted on the lower container.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상부 용기는, 상벽의 양측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장변 외벽과, 상벽의 상부 장변 외벽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장변 내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용기는, 바닥벽의 양측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장변 외벽과, 바닥벽의 하부 장변 외벽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장변 내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장변 외벽과 하부 장변 외벽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선상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부 장변 외벽이 상부 장변 외벽과 상부 장변 내벽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부 장변 외벽의 선상 돌기와 하부 장변 외벽의 선상 돌기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변 내벽뿐만 아니라, 장변 내벽 및 장변 외벽도 사용하여 끼워맞추고 있기 때문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을 보다 한층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lastic container described above, the upper container includes a pair of upper long side out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wall, and a pair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a point inside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of the upper wall,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have an upper long side inner wall of. The lower container includes a pair of lower long side out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and a pair of lower long side inner walls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a point inside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of the bottom wall, respectively. It is desirable to have.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are each formed with linear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each other, an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and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and the linear long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By fitting the linear protrus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mounted so as not to escape. In this case, not only the short side inner wall but also the long side inner wall and the long side outer wall are 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can be more firmly fitted. Moreover, the plastic container which does not inhibit the aesthetics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container can be provided.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바닥벽에는, 수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를 포함하는 취출구 구조와, 취출구를 덮음과 함께 개폐 가능한 덮개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체는, 바닥벽의 취출구 구조에 당해 덮개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압하 (押下) 조작용의 압하부와, 취출구를 덮는 덮개부를 갖고, 압하부의 일방에는 제 1 힌지를 개재하여 고정부가 연접하여 형성되고, 압하부의 타방에는 제 2 힌지를 개재하여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압하부를 압하하였을 때에 제 2 힌지를 축으로 하여 덮개체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 (回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플라스틱 용기에 수납된 수납물, 예를 들어 껌 또는 캔디 등의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이 덮개체의 압하부의 이면측에 돌기 등을 형성함과 함께 하부 용기의 내면에 돌기를 걸어맞출 수 있는 구멍부를 형성하고, 덮개체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가 되었을 때에 이 돌기가 구멍부에 걸어맞춰져, 덮개체의 열림 위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 용기에 수납된 수납물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plastic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wall is provided with the ejection opening structure containing the ejection opening for taking out a thing, and the cover body which can open and close while covering the ejection opening. The lid ha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lid to the outlet structure of the bottom wall,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down operation, and a lid portion covering the extraction opening, and fixed to one of the pressing portions via a first hi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 is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ver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art via a second hinge, and the lid can be rotat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ith the second hinge as the axis when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Do. With such a structure, foods, such as a gum | gum or a candy, which were accommodated in the plastic container, can be taken out easily. In addition, a projection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lid, and a hole for engaging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When the lid is in the open posi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hole. It may be engag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open position of the lid. In this case, the thing accommodated in the plastic container can be taken out more easily.

또, 본 발명은, 다른 측면으로서,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플라스틱 용기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구비한다. 상부 용기는, 대략 사각형의 상벽과, 당해 상벽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단변 외벽을 갖는다. 하부 용기는, 대략 사각형의 바닥벽과, 당해 바닥벽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외벽을 갖는다. 바닥벽에는, 수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를 포함하는 취출구 구조와, 취출구를 덮음과 함께 개폐 가능한 덮개체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는, 바닥벽의 취출구 구조에 당해 덮개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압하 조작용의 압하부와, 취출구를 덮는 덮개부를 갖는다. 압하부의 일방에는 제 1 힌지를 개재하여 고정부가 연접하여 형성되고, 압하부의 타방에는 제 2 힌지를 개재하여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압하부를 압하하였을 때에 제 2 힌지를 축으로 하여 덮개체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 가능하다.Moreover, this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container as another aspect. This plastic container includes an upper container and a lower container. The upper container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upper wall and a pair of upper short side out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near both ends of the upper wall. The lower container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tom wall and a pair of lower short side out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near both ends of the bottom wall. The bottom wall is provided with a blowout structure including a blowout opening for taking out the object, and a cover body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covering the blowout opening. The lid ha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lid to the outlet structure of the bottom wall,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operation, and a lid portion covering the outlet. On one side of the pressing section, the fixing section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first hinge,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section, a lid section is formed via a second hinge. In this plastic container, the lid is rotat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ith the second hinge as the axis when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이 플라스틱 용기에서는, 바닥벽에 취출구 구조와 덮개체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체는, 바닥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압하 조작용의 압하부와, 취출구를 덮는 덮개부를 갖는다. 그리고, 압하부의 일방에는 제 1 힌지를 개재하여 고정부가 연접하여 형성되고, 압하부의 타방에는 제 2 힌지를 개재하여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압하부를 압하하였을 때에 제 2 힌지를 축으로 하여 덮개체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플라스틱 용기에 수납된 수납물, 예를 들어 껌 또는 캔디 등의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바닥벽측에 취출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용기의 표면측의 외관 디자인을 자유롭게 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말끔한 외관 형상으로 할 수 있다.In this plastic container, the outlet structure and the cover body are formed in the bottom wall, and the cover body has a fixing part for fixing to the bottom wall, a pressing part for pressure reduction operation, and a cover part covering the outlet port.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via the first hing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with the lid portion via the second hinge, and when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the lid is closed with the second hinge as the axis. It rotates from a position to an open position. Thereby, the foodstuff stored in a plastic container, such as gum or candy, can be taken out easily. Moreover, since the blowout port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side, the external appearance design of the surface side of a plastic container can be selected freely, and it can be made a neat external shape.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압하부의 내면측에 걸어맞춤 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취출구 구조에는 걸어맞춤 돌기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체가 열림 상태일 때에 걸어맞춤 돌기가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춰져, 열림 위치에 있는 덮개부의 동작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용기의 수납물의 취출이 보다 한층 용이해진다.In the above plastic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ngaging hole that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ejection opening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when the lid is in the open state to fix the operation of the lid in the open position. This makes it easier to take out the objec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취출구 구조에는, 덮개부의 열림 각도를 규정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덮개체가 열림 상태일 때에 덮개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수납물의 취출이 보다 한층 용이해진다.In said plastic conta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ib which defines the opening angle of a lid part is formed in the outlet port structure. Thereby, since the movement of a lid | cover part can be prevented when a lid | cover body is open state, taking out the thing of a container becomes easier.

상기의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취출구 구조에는, 덮개부가 닫힘 위치일 때에 당해 덮개부의 들뜸을 억제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덮개체가 닫힘 상태일 때에 덮개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로부터 수납물이 부주의하게 나와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취출구 구조에는, 하부 용기의 내측이면서 또한 취출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공동 (空洞) 에 당해 플라스틱 용기의 수납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된 연장벽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 용기에 수납된 수납물이 취출구 구조의 취출구 이외의 장소에 끼이거나 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라스틱 용기가 낙하되어 버렸을 때에 그 충격으로 수납물이 이지러져 버리거나 균열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plastic container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a rib is formed in the outlet structure to suppress lifting of the lid when the lid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reby, since the movement of a lid | cover part can be prevented when a lid | cover is closed, it is suppressed that an inadvertent thing comes out from a container unintentionally. Moreover, the outlet wall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the extension wall part comprised so that the thing of the said plastic container may not enter in the cavity formed in the lower container an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utlet por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jects stored in the plastic container from being caught or put in place other than the outlet of the outlet structure. Moreover, when a plastic container falls, it can suppress that an object collapses or cracks by the impact.

본 발명은,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의 끼워맞춤이 강고하며 또한 용기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lastic container in which the fitting of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is strong and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containe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용기의 바닥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의 (a)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용기를 분해한 상태의 일부 (플라스틱 용기의 단부) 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의 (b) 는, 도 3 의 (a) 에 있어서의 IIIb-IIIb 선을 따른 상부 단변 외벽의 단면도이다. 도 3 의 (c) 는,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하부 용기를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 의 (d) 는, 도 3 의 (a) 에 있어서의 IIId-IIId 선을 따른 하부 장변 외벽의 단면도이다.
도 4 의 (a)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용기의 바닥벽측의 취출구 구조를 하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4 의 (b) 는, 그 평면도 (하면도) 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용기의 덮개체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상부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하부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의 (a) 및 (b) 는,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하부 용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9 는,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하부 용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하부 용기에 장착되는 상부 용기의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whol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wall of the plastic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3: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part (end part of a plastic container) of the state which disassembled the plastic container shown in FIG.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long the IIIb-IIIb line in FIG. 3A. FIG.3 (c) is a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lower container shown to FIG. 3 (a) from a different direction. FIG. 3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along the IIId-IIId line in FIG. 3A.
4: (a) is a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ejection opening structure of the bottom wall side of the plastic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FIG. 4 (b) is the top view (lower view).
FIG. 5: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open state of the cover body of the plastic container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container of a plastic contain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lower container of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a modification.
(A) and (b) is another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lower container of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a modification.
9 is a plan view of the lower container of the plas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seen from above.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ntainer attached to the lower container shown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In description, the same code | symbol may be used for the same element or the element which has the same function,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용기의 바닥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용기 (1) 는,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소정의 수납물 (예를 들어 껌 또는 캔디 등의 식품 등) 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용기이다. 하부 용기 (20) 의 이면측 (바닥벽측) 에는 취출구 구조 (30) (도 4 참조)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취출구 (31) 를 덮개체 (40) 가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부 용기 (10) 및 하부 용기 (20) 는, 예를 들어 ABS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덮개체 (40) 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PP) 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whol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wall of the plastic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plastic container 1 includes an upper container 10 and a lower container 20, and a predetermined object (for example, food such as gum or candy) is provided therein. Etc.) is a container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blowout outlet structure 30 (see FIG. 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side (bottom wall side) of the lower container 20, and the blowout outlet 31 is attached to cover the cover 40.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can be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for example, injection molding ABS resin. In addition, the cover body 40 can be formed, for example from polypropylene (PP) resin.

상부 용기 (10) 는, 대략 사각형의 상벽 (11) 과, 상벽 (11) 의 양단 (11a) 부근 (약간 내측의 위치) 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단변 외벽 (12) (도 3 참조) 과, 상벽 (11) 의 양측 (11b)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장변 외벽 (13) 과, 상벽 (11) 의 상부 장변 외벽 (13) 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장변 내벽 (14) (도 6 참조) 을 가지고 있다. 상부 장변 외벽 (13) 은, 상부 장변 내벽 (14) 보다 그 높이가 높게 되어 있고, 상부 장변 내벽 (14) 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간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장변 외벽 (13) 과 상부 장변 내벽 (14) 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용기 (10) 에서는, 상벽 (11), 상부 단변 외벽 (12), 및, 상부 장변 내벽 (14) 에 의해, 그 내부에 수납용의 공극이 획정 (劃定) 된다. 또, 상부 용기 (10) 의 상벽 (11) 의 내면에는 사출 성형의 게이트부를 제외하고, 다른 돌기물 등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 6 참조), 그 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의 예에서는, 상벽 (11) 과 상부 장변 외벽 (13) 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능선부가 R 상으로 되어 있지만, 직각 형상이어도 된다. 또, 상부 용기 (10) 의 외표면 (상벽 (11)) 에는 장식적인 모양을 실시해도 되고, 예를 들어 PET 필름에 알루미늄 증착을 실시하여 금속풍의 모양 등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상부 용기 (10) 의 상벽 (11) 의 내면에는 특별히 돌기 등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표면 모양을 말끔한 상태의 것으로 할 수 있다.The upper container 10 is a pair of upper short side outer walls 12 extending substantially vertically downward from a substantially rectangular upper wall 11 and near both ends 11a of the upper wall 11 (a slightly inner position). (See FIG. 3), a pair of upper long side outer walls 13 extending substantially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vicinity of both sides 11b of the upper wall 11, and an inner side of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of the upper wall 11, respectively. It has a pair of upper long side inner wall 14 (refer FIG. 6) extended from the point of to respectively substantially downward perpendicularly.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is higher than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14, an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1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and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14 are formed to exten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direction. In the upper container 10, the space | gap for accommodation is defined in the inside by the upper wall 11,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and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14. As shown in FIG. Moreover, except for the gate part of injection molding, other protrusions etc. are not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1 of the upper container 10 (refer FIG. 6), and are formed so that the surface may be flat. 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a figure, although the ridge part i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1 and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becomes R shape, it may be rectangular shape. Moreover, a decorative pattern may be given to the outer surface (upper wall 11) of the upper container 10, for example, aluminum film may be vapor-deposited on PET film, and metal pattern may be formed. Even in such a case, since it is a structure which does not form a protrusion especially i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1 of the upper container 10, it can be set as the state of the surface neat.

하부 용기 (20) 는, 대략 사각형의 바닥벽 (21) 과, 바닥벽 (21) 의 양단 (21a)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외벽 (22) 과, 바닥벽 (21) 의 하부 단변 외벽 (22) 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내벽 (23) (도 3 의 (c) 참조) 과, 바닥벽 (21) 의 양측 (21b)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장변 외벽 (24) (도 3 의 (a) 및 (c) 참조) 과, 바닥벽 (21) 의 하부 장변 외벽 (24) 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장변 내벽 (25) (도 3 의 (a) 및 (c) 참조) 을 가지고 있다. 하부 단변 외벽 (22) 은, 하부 단변 내벽 (23) 보다 그 높이가 높게 되어 있고, 하부 단변 내벽 (23) 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간되도록 되어 있다. 또, 하부 장변 외벽 (24) 은, 하부 장변 내벽 (25) 보다 그 높이가 낮게 되어 있고, 하부 장변 내벽 (25) 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간되도록 되어 있다.The lower container 20 include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tom wall 21, a pair of lower short side outer walls 22 extending substantially vertically upward from the vicinity of both ends 21a of the bottom wall 21, and a bottom wall, respectively. A pair of lower short side inner walls 23 (see (c) of FIG. 3)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of the upper part 21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21. From the pair of lower long side outer walls 24 (refer to FIG. 3 (a) and (c)) extending from the vicinity of (21b) in a substantially vertical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and from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of the bottom wall 21. It has a pair of lower long side inner side walls 25 (refer FIG. 3 (a) and (c)) extended from the inner point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upward direction, respectively. The height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is higher than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oreover, the height of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is lower than the lower long side inner wall 25,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long side inner wall 2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췄을 때, 하부 단변 외벽 (22) 과 하부 단변 내벽 (23) 사이에는 상부 단변 외벽 (12) 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 하부 장변 외벽 (24) 과 하부 장변 내벽 (25) 사이에는 상부 장변 내벽 (14) 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When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re fitted as described later,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14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and the lower long side inner wall 25.

다음으로, 도 3 의 (a) ∼ (d) 를 참조하여,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를 끼워맞추는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의 (a)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용기를 분해한 상태의 일부 (좌단부) 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의 (b) 는, 도 3 의 (a) 의 IIIb-IIIb 선을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 의 (c) 는,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하측 용기를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일부 사시도이다. 도 3 의 (d) 는, 도 3 의 (a) 의 IIId-IIId 선을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3 (a)-(d), the structure which fits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FIG.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left end) of a state in which the plastic container shown in FIG. 1 is disassembled. FIG. 3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b-IIIb in FIG. 3A. FIG.3 (c)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lower container shown to FIG. 3 (a) from a different direction. FIG. 3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d-IIId in FIG. 3A.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용기 (10) 에는, 상부 단변 외벽 (12) 의 외면의 양단의 하방에 2 개의 쐐기상 돌기 (16) 가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상부 단변 외벽 (12) 에는 합계 4 개의 쐐기상 돌기 (16) 가 형성되어 있다. 쐐기상 돌기 (16) 는, 예를 들어 그 상면이 평면이다 (도 3 의 (a) 및 (b) 참조). 도 3 의 (a) 에서는, 일방의 상부 단변 외벽 (12) 만 나타내고 있지만, 타방의 상부 단변 외벽도 동일한 쐐기상 돌기를 가지고 있고, 상벽 (11) 의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이들 쐐기상 돌기 (1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용기 (10) 의 상부 단변 외벽 (12) 의 외면에는, 쐐기상 돌기 (16) 보다 상방측에 2 개의 선상 돌기 (17)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의 (a) 및 (b) 참조). 도 3 의 (b) 는, 상부 단변 외벽 (12), 쐐기상 돌기 (16) 및 선상 돌기 (17) 의 단면 (斷面) 을 나타낸다. 또한, 선상 돌기 (17) 는, 상부 장변 외벽 (13) 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된다.As shown to Fig.3 (a), the upper container 10 is provided with two wedge-shaped protrusions 16 under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and two upper short side outer walls ( In total, four wedge-shaped protrusions 16 are formed in 12).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is flat (see FIGS. 3A and 3B). In FIG. 3A, only on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is shown, but the other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lso has the same wedge-shaped protrusions, and at thes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four substantially rectangular corners of the upper wall 11.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is formed. Moreov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of the upper container 10, two linear protrusions 17 are formed in the upper side rather than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FIG.3 (a) and (b)). Reference). FIG.3 (b)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and the linear protrusion 17. As shown in FIG. The linear projections 17 ext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한편, 하부 용기 (20) 에는, 하부 단변 외벽 (22) 의 내면의 양단의 하방에, 상부 용기 (10) 의 쐐기상 돌기 (16) 와 끼워맞추기 위한 2 개의 오목부 (26) (구멍부) 가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하부 단변 외벽 (22) 에는 합계 4 개의 오목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의 (a) 및 (c) 에서는, 일방의 하부 단변 외벽 (22) 만 나타내고 있지만, 타방의 하부 단변 외벽도 동일한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바닥벽 (21) 의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이들 오목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의 (c) 참조). 또, 하부 용기 (20) 의 하부 단변 외벽 (22) 의 내면에는, 오목부 (26) 보다 상방측에 2 개의 선상 돌기 (27) 가 형성되어 있다. 선상 돌기 (27) 는, 하부 장변 외벽 (24) 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 의 (c) 는, 하부 단변 외벽 (22) 을 내측으로부터 본 부분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lower container 20, two recesses 26 (holes) for fitting with the wedge-shaped protrusions 16 of the upper container 10 below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Is formed, and a total of four recesses 26 are formed in the two lower short side outer walls 22. 3 (a) and 3 (c), only on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is shown, but the other lower short side outer wall has the same concave portion, and corresponds to the four substantially rectangular corners of the bottom wall 21. These recessed parts 26 are formed in the point (refer FIG.3 (c)). Moreover, two linear protrusions 27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of the lower container 20 above the recessed part 26. The linear projection 27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3C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viewed from the inside.

이와 같은 끼워맞춤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용기 (1) 에서는,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가 장착될 때에, 상부 용기 (10) 의 상부 단변 외벽 (12) 이 하부 용기 (20) 의 하부 단변 외벽 (22) 과 하부 단변 내벽 (23)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부 단변 외벽 (12) 의 쐐기상 돌기 (16) 가 하부 단변 외벽 (22) 의 오목부 (26) 에 끼워맞춰지며 또한 상부 단변 외벽 (12) 의 선상 돌기 (17) 가 하부 단변 외벽 (22) 의 내면의 선상 돌기 (27) 와 끼워맞춰진다. 이 때, 선상 돌기 (27) 는 선상 돌기 (17) 의 상방에 접하도록 그 상방에 위치하고, 하부 단변 외벽 (22) 이 상부 단변 외벽 (12) 을 하방을 향하여 누른다. 이것들에 의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사각 형상의 네 모서리가 강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의 끼워맞춤이 강고해지고,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하부 단변 내벽 (23) 이 상부 단변 외벽 (12) 을 하부 단변 외벽 (22) 측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의 끼워맞춤은 보다 강고해져 있다. 또한, 플라스틱 용기 (1) 에서는, 이 끼워맞춤에 의해, 하부 용기 (20) 의 하부 단변 외벽 (22) 이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이고, 하부 단변 외벽 (22) 이 플라스틱 용기 (1) 의 단면 (端面) 을 구성한다.In the plastic container 1 having such a fitting structure, when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re mounted,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of the upper container 10 is lower than the lower container 20. While located between the short side outer wall 22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is fitted into the recess 26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nd The linear protrusion 17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is fitted with the linear protrusion 27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t this time, the linear protrusions 27 are positioned above the linear protrusions 17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presses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downward. As a result, the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a plan are firmly fixed, and the fitting of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is strengthened, and it is in a state where it cannot escape.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elastically supports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towar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side, the above fitting is more firm. Moreover, in the plastic container 1, by this fitting,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of the lower container 2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ide,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is the cross section of the plastic container 1 ( The outer surface).

또, 장변 방향에서는, 상부 용기 (10) 는, 상부 장변 외벽 (13) 의 내면의 하방에 5 개의 선상 돌기 (18) (도 6 참조) 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상부 장변 외벽 (13) 에는 합계 10 의 선상 돌기 (18)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용기 (20) 에는,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장변 외벽 (24) 의 외면의 대략 중앙부에 5 개의 선상 돌기 (28) 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도 3 의 (c) 에서는 그 중의 하나를 도시), 2 개의 하부 장변 외벽 (24) 에는 합계 10 의 선상 돌기 (28) 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in the long side direction, the upper container 10 has five linear protrusions 18 (refer FIG. 6) formed in order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and two upper long side outer walls 13 In total, 10 linear protrusions 18 are form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3 (c), five linear protrusions 28 are formed in the lower container 20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in order (FIG.3 ( In c), one of them) and two lower long side outer walls 24 are formed with a total of 10 linear projections 28.

이와 같은 끼워맞춤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용기 (1) 에서는,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가 장착될 때에, 하부 장변 외벽 (24) 이 상부 장변 외벽 (13) 과 상부 장변 내벽 (14)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부 장변 외벽 (13) 의 선상 돌기 (18) 와 하부 장변 외벽 (24) 의 선상 돌기 (28) 가 끼워맞춰진다. 이 때, 선상 돌기 (28) 는 선상 돌기 (18) 의 상방에 접하도록 그 상방에 위치하고, 하부 장변 외벽 (24) 이 상부 장변 외벽 (13) 을 하방을 향하여 누른다. 이와 같이, 단변 방향에서의 끼워맞춤에 더하여, 이 장변 방향에서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가 보다 한층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게 된다.In the plastic container 1 having such a fitting structure, when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re mounte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is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and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14. While being positioned in between, the linear projections 18 of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and the linear projections 28 of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are fitted. At this time, the linear protrusions 28 are located above the linear protrusions 18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presses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downward. In this manner, in addition to the fitting in the short side direction, the fitting in the long side direction allows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to be mounted so as not to escape further.

다음으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플라스틱 용기 (1) 로부터 수납물을 꺼내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의 (a) 는, 플라스틱 용기 (1) 의 바닥벽 (21) 측의 취출구 구조 (30) 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4 의 (b) 는, 하방으로부터 본 그 평면도이다. 도 5 는, 플라스틱 용기 (1) 의 덮개체 (40) 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5, the structure for taking out a thing from the plastic container 1 is demonstrated. 4: (a) is a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ejection opening structure 30 of the bottom wall 21 side of the plastic container 1 from below, and FIG. 4 (b) is the top view seen from below.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lid 40 of the plastic container 1.

플라스틱 용기 (1) 에는,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에 더하여, 바닥벽 (21) 에, 수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 (31) 를 포함하는 취출구 구조 (30) 와, 취출구 (31) 를 덮음과 함께 개폐 가능한 덮개체 (40) 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 구조 (30) 는, 개구인 취출구 (31) 와, 리브 (32) 와, 고정부 (33) 와, 걸어맞춤 구멍 (34) 과, 스페이스 (35) 와, 리브 (36) 를 구비하고 있다.In the plastic container 1, in addition to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 blower outlet structure 30 including a blower outlet 31 for taking out an object in the bottom wall 21, and a blower outlet 31. ) And a cover body 40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The ejection opening structure 30 includes an ejection opening 31 that is an opening, a rib 32, a fixing portion 33, an engagement hole 34, a space 35, and a rib 36. .

덮개체 (40) 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대략 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바닥벽 (21) 의 취출구 구조 (30) 에 고정부 (33) 를 개재하여 당해 덮개체 (40) 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41) 와, 압하 조작용의 압하부 (42) 와, 취출구 (31) 를 덮는 덮개부 (43) 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5 참조). 압하부 (42) 의 일방에는 제 1 힌지 (44) 를 개재하여 고정부 (41) 가 연접하여 형성되고, 압하부 (42) 의 타방에는 제 2 힌지 (45) 를 개재하여 덮개부 (43) 가 형성되어 있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하부 (42) 를 용기 내부측 (도시 하방, 스페이스 (35) 내에) 에 압하하였을 때에 제 2 힌지 (45) 를 축으로 하여 덮개부 (43) 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서는, 취출구로부터 수납물을 꺼낼 때의 취출구 구조의 개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 과는 상하가 반대로 되어 있다.The lid 40 has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that is horizontally long as a whole, and ha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lid 40 to the outlet structure 30 of the bottom wall 21 via the fixing portion 33. 41, the pressing part 42 for pressing operation, and the cover part 43 which covers the ejection opening 31 are provided (refer FIG. 2 and FIG. 5). One side of the pressing part 42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fixing part 41 via the 1st hinge 44, and the other part of the pressing part 42 is provided through the 2nd hinge 45 and the cover part 43 is carried out. 5 is formed, and the lid portion 43 has the second hinge 45 as the axis when the pressing portion 42 is pressed down inside the container (in the space 35 below). Rotates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In addition, in FIG. 5, in order to demonstrate the opening-and-closing of the ejection-outlet structure at the time of taking out a thing from a ejection opening, upper and lower sides are reversed from FIG.

이 때, 압하부 (42) 의 내면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 (46) 가, 취출구 구조 (30) 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 (34) 에 걸어맞춰져, 덮개체 (40) 의 열림 상태 (도 5 상태) 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열림 위치에 있는 덮개부 (43) 의 동작을 고정시킨다. 또, 취출구 구조 (30) 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리브 (32)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져 구성된 리브 (32) 에 의해, 덮개부 (43) 의 열림 각도가 규정된다. 한편, 덮개체 (40) 가 닫힘 상태일 때에는, 취출구 구조 (30) 의 취출구 (31) 부근에 형성된 리브 (36) 에 의해, 덮개체 (40) 의 들뜸이 억제되게 되어 있어, 수납물이 부주의하게 밖으로 나와 버리지 않게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46 formed i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pressing part 42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34 formed in the ejection opening structure 30, and the open state of the cover body 40 (FIG. 5 state) It is configured to keep). In short, the operation of the lid 43 in the open position is fixed. Moreover, the rib 32 is formed in the outlet port structure 30 as mentioned above, and the opening angle of the cover part 43 is prescribed | regulated by this inclined rib 32.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d 40 is in the closed state, the lifting of the lid 40 is suppressed by the ribs 36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outlet 31 of the outlet port structure 30. It is not supposed to come out.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 (1) 에서는, 일방의 외벽에,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쐐기상 돌기 (16) 가 형성되고, 타방의 외벽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쐐기상 돌기 (16) 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26) 가 형성된다. 그리고, 쐐기상 돌기 (16) 와 오목부 (26) 가 네 모서리에서 끼워맞춰짐으로써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쐐기상 돌기 (16) 와 오목부 (26) 를 외벽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벽 등에 끼워맞춤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용기, 특히 용기 표면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Thus, in the plastic container 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located in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of a substantially square is formed in one outer wall, and the substantially outer rectangle is formed in the other outer wall.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a concave portion 26 into which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is fitted is formed.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re attached so that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and the recess 26 are fitted at four corners. For this reason, the fitting of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can be strengthened. In addition, since the wedge-shaped protrusions 16 and the recessed portions 26 are formed on the outer wall, it is not necessary to form fitting portions on the upper wall and the like, and the structure does not impair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container, especially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can do.

상부 단변 외벽 (12) 의 외면에 쐐기상 돌기 (16) 가 형성되고, 하부 단변 외벽 (22) 의 내면에 오목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and the recessed part 26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an firmly fit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nd which does not inhibit the aesthetics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container can be provided.

쐐기상 돌기 (16) 는 상부 단변 외벽 (12) 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26) 는 하부 단변 외벽 (22) 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and the recessed part 26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an strengthen the fitting of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nd does not inhibit the aesthetics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container can be provided.

하부 용기 (20) 는, 바닥벽 (21) 의 하부 단변 외벽 (22) 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내벽 (23) 을 갖고, 하부 단변 내벽 (23) 은 하부 단변 외벽 (22) 보다 그 높이가 낮고, 하부 단변 외벽 (22) 과 하부 단변 내벽 (23) 사이에 상부 단변 외벽 (12) 이 위치함과 함께 쐐기상 돌기 (16) 와 오목부 (26) 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함과 함께,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단변 내벽 (23) 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의 끼워맞춤을 보다 한층 강고하게 할 수도 있다.The lower container 20 has a pair of lower short side inner walls 23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a point inside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of the bottom wall 21,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is Its height is lower tha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nd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and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and the concave portion 26 are positioned. Is fitted so that the upper vessel 10 and the lower vessel 20 cannot be pulled ou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container which firmly fits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and which does not inhibit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container. In addition, since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is also used, the fitting of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상부 용기 (10) 는, 상벽의 양측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장변 외벽 (13) 과, 상벽 (11) 의 상부 장변 외벽 (13) 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장변 내벽 (14) 을 갖고, 하부 용기 (20) 는, 바닥벽 (21) 의 양측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장변 외벽 (24) 과, 바닥벽 (21) 의 하부 장변 외벽 (24) 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장변 내벽 (25) 을 가지고 있다. 상부 장변 외벽 (13) 과 하부 장변 외벽 (24) 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선상 돌기 (18, 28) 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부 장변 외벽 (24) 이 상부 장변 외벽 (13) 과 상부 장변 내벽 (14)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부 장변 외벽 (13) 의 선상 돌기 (18) 와 하부 장변 외벽 (24) 의 선상 돌기 (28) 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가 더욱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단변 내벽뿐만 아니라, 장변 내벽 및 장변 외벽도 사용하여 끼워맞추고 있기 때문에, 상부 용기 (10) 와 하부 용기 (20) 의 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할 수 있고, 또 용기의 외관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upper container 1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from a pair of upper long side outer walls 13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wall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nd a point inside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of the upper wall 11, respectively. The lower container 20 has a pair of lower long side outer walls 24 and a bottom which exten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the vicinity of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21, respectively. It has a pair of lower long side inner wall 25 which extends in a substant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from the point inside inner side of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of the wall 21, respectively. On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an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linear projections 18 and 28 protruding toward each other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is formed by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and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fourteen members, the linear protrusions 18 of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13 and the linear protrusions 28 of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24 are 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 20) is mounted so that it does not come out more. In this case, since not only the short side inner wall but also the long side inner wall and the long side outer wall are fitted together, the fitting of the upper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ntainer 20 can be strengthened, and the appearance of the container is impai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ic container that does not.

바닥벽 (21) 에는, 수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 (31) 를 포함하는 취출구 구조 (30) 와, 취출구 (31) 를 덮음과 함께 개폐 가능한 덮개체 (40) 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체 (40) 는, 바닥벽 (21) 의 취출구 구조 (30) 에 당해 덮개체 (40) 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41) 와, 압하 조작용의 압하부 (42) 와, 취출구 (31) 를 덮는 덮개부 (43) 를 가지고 있다. 압하부 (42) 의 일방에는 제 1 힌지 (44) 를 개재하여 고정부 (41) 가 연접하여 형성되고, 압하부 (42) 의 타방에는 제 2 힌지 (45) 를 개재하여 덮개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압하부 (42) 를 압하하였을 때에 제 2 힌지 (45) 를 축으로 하여 덮개체 (40) 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플라스틱 용기 (1) 에 수납된 수납물, 예를 들어 껌 또는 캔디와 같은 식품 (수납물) 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이 덮개체 (40) 의 압하부 (42) 의 이면측에 돌기 등을 형성함과 함께 하부 용기 (20) 에 돌기를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 구멍 (34) 을 형성하고, 덮개체 (40) 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가 되었을 때에 이 돌기가 걸어맞춤 구멍 (34) 에 걸어맞춰져, 덮개체 (40) 의 열림 위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 용기 (1) 에 수납된 수납물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The bottom wall 21 is provided with a blowout structure 30 including a blowout opening 31 for taking out a stored object, and a lid 40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covering the blowout opening 31. ) Is a lid covering the fixing portion 41 for fixing the lid 40 to the outlet structure 30 of the bottom wall 21, the pressing portion 42 for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outlet 31. It has a portion 43. One side of the pressing part 42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fixing part 41 via the 1st hinge 44, and the other part of the pressing part 42 is provided through the 2nd hinge 45 and the cover part 43 is carried out. Is formed. When the pressing part 42 is pressed down, the lid 40 is rotatable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ith the second hinge 45 as the axis. By such a structure, the thing accommodated in the plastic container 1, for example, food (package), such as gum or candy, can be taken out easily. Moreover, while forming a projection etc. in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press-down part 42 of this cover body 40, the engagement hole 34 which can engage a processus | protrusion in the lower container 20 is formed, and the cover body ( When the projection 40 is in the open posi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the projection may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le 34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open position of the lid 40. In this case, the thing accommodated in the plastic container 1 can be taken out more easily.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 도 6 ∼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상부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하부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의 (a) 및 (b) 는,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의 하부 용기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Next, the modification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6-8.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container of a plastic contain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lower container of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a modification. (A) and (b) is another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lower container of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a modification.

도 6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 (1a) 에서는, 단변측의 걸어맞춤 구조가 플라스틱 용기 (1) 와 약간 상이하고, 그 이외의 구성은 플라스틱 용기 (1) 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플라스틱 용기 (1a) 에서는, 상부 단변 외벽 (12) 의 외면에, 선상 돌기 (17) 에 더하여, 그 아래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 (18a) 와 경사부 (19a)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플라스틱 용기 (1a) 에서는, 이와 같은 홈부 (18a) 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상부 용기 (10a) 와 하부 용기 (20a) 를 끼워맞출 때에 홈부 (18a) 에 하부 용기 (20a) 의 선상 돌기 (27) (도 7 및 도 8 참조) 를 일단 걸어맞춰, 상부 용기 (10a) 와 하부 용기 (20a) 를 임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단변 외벽 (12) 의 홈부 (18a) 와 하부 단변 외벽 (22) 의 선상 돌기 (27) 에 의해, 끼워맞춤 전에 상부 용기 (10a) 와 하부 용기 (20a) 를 임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양자의 위치 결정을 실시한 다음에 상부 용기 (10a) 를 하부 용기 (20a) 에 끼워맞출 수 있어, 그 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 (19a) 는, 하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는 면이고, 상부 용기 (10a) 를 하부 용기 (20a) 에 끼워맞출 때, 슬라이드를 하기 쉬워지는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6-8, in the plastic container 1a which concerns on a modification, the engagement structure of the short side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plastic container 1, and the structure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that of the plastic container 1 The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plastic container 1a, in addition to the linear projection 17,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groove part 18a and the inclination part 19a extended laterally below it. In the plastic container 1a, since it has such a groove part 18a, the linear protrusion 27 of the lower container 20a to the groove part 18a at the time of fitting the upper container 10a and the lower container 20a is fitted. (See FIG. 7 and FIG. 8) Once it engages,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can temporarily fix the upper container 10a and the lower container 20a. In this way, by the linear projections 27 of the groove portion 18a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the upper container 10a and the lower container 20a can be temporarily fixed before fitting. Therefore, after performing the positioning of both, the upper container 10a can be fitted to the lower container 20a, and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19a is a surface that is inclined inwardly downward and has a function of easily sliding when the upper container 10a is fitted to the lower container 20a.

변형예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 (1a) 에서는, 도 7 및 도 8 의 (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단변 외벽 (22) 의 상단의 양단에, 쐐기상 돌기 (16) 를 오목부 (26) 에 유도하기 위한 유도 오목부 (26a) 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용기 (10a) 와 하부 용기 (20a) 를 끼워맞출 때, 이 유도 오목부 (26a) 에 한 번, 쐐기상 돌기 (16) 를 위치시켜, 양 용기의 위치 맞춤을 실시한 다음에, 양자를 끼워맞출 수 있으므로, 상부 용기 (10a) 를 하부 용기 (20a) 에 끼워맞출 때의 작업을 보다 확실하며 또한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e plastic container 1a which concerns on a modifica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a) and (b), the wedge-shaped protrusions 16 are reces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n induction recess 26a for guiding to 26 is formed. When fitting the upper container 10a and the lower container 20a,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is once placed in the guide recess 26a to align both containers, and then both are inserted. Since it can fit, the operation | work at the time of fitting the upper container 10a to the lower container 20a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and correctly.

이 플라스틱 용기 (1a) 에서는, 취출구 구조 (30) 의 취출구 (31) 와는 반대측의 공동에 수납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연장벽부 (39)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이 공동에 수납물이 들어가, 플라스틱 용기를 훼손하거나, 수납물 자체가 끼이거나 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plastic container 1a, an extension wall portion 39 is formed so that the storage portion does not enter the cavity opposite to the ejection opening 31 of the ejection opening structure 30. Thereby, a thing can enter into this cavity, and it can suppress that a plastic container is damaged, or that the thing itself is jammed.

또, 플라스틱 용기의 변형예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구성을 추가로 가져도 된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하부 용기 (20b) 의 하부 단변 외벽 (22) 과 하부 단변 내벽 (23) 사이에 추가로 1 쌍의 보강용 리브 (2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용 리브 (29) 에 의해, 하부 용기 (20b) 의 성형시의 수축으로 인해 하부 단변 외벽 (22) 또는 하부 단변 내벽 (23) 이 내측으로 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여 각 외벽을 직립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단변 외벽 (12) 을 하부 단변 외벽 (22) 및 하부 단변 내벽 (23) 의 사이에 위치시켜 상부 용기 (10b) 를 하부 용기 (20b) 에 장착할 때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보강용 리브 (29) 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용기 (10b) 의 상부 단변 외벽 (12) 에 절결 (19b) 을 형성해도 된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취출구 구조 (30) 의 연장벽부 (39a) 가 하부 장변 내벽 (25) 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부 (33) 의 용기 내측에 형성되는 공극에 수납물이 들어가 버리거나, 끼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라스틱 용기가 낙하되어 버렸을 때에 그 충격으로 수납물이 이지러져 버리거나 균열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the modification of a plastic container may further have a structure shown in FIG. 9 and FIG. 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9 and FIG. 10, a pair of reinforcing ribs 29 are further formed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of the lower container 20b. By this reinforcing rib 29,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or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is prevented from bending due to shrinkage during molding of the lower container 20b, and each outer wall is kept upright. I can keep it. Thereby, the problem at the time of attaching the upper container 10b to the lower container 20b can be prevented by placing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2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3. In addition, in this modification,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ing rib 29, as shown in FIG. 10, the notch 19b may be formed in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2 of the upper container 10b. Moreover, in this modification, the extension wall part 39a of the blowout structure 30 extends to the lower long side inner wall 25. For this reason, it can prevent that an object enters or pinches into the space | gap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of the fixing | fixed part 33. In addition, when the plastic container is dropped,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at the object is distorted or cracked due to the impact.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련된 플라스틱 용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용기 (10, 10a, 10b) 측에 쐐기상 돌기 (16) 를 형성하고, 하부 용기 (20, 20a, 20b) 측에 그것에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26) 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반대로 하부 용기 (20, 20a, 20b) 측에 쐐기상 돌기 (16) 를 형성하고, 상부 용기 (10, 10a, 10b) 측에 그것에 끼워맞춰지는 오목부 (26)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was demonstrated, the plastic contain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can be applied. For example, in the said embodiment, the recessed part 26 which forms the wedge-shaped protrusion 16 in the upper container 10, 10a, 10b side, and fits it in the lower container 20, 20a, 20b side. To form a wedge-shaped protrusion 16 on the lower container 20, 20a, 20b side, and to form a recess 26 fitted to it on the upper container 10, 10a, 10b side. You may also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껌 또는 캔디와 같은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lastic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an article such as gum or candy, for example.

1, 1a : 플라스틱 용기
10, 10a, 10b : 상부 용기
11 : 상벽
11a : 양단
11b : 양측
12 : 상부 단변 외벽
13 : 상부 장변 외벽
14 : 상부 장변 내벽
16 : 쐐기상 돌기
17 : 선상 돌기
18 : 선상 돌기
20, 20a, 20b : 하부 용기
21 : 바닥벽
22 : 하부 단변 외벽
23 : 하부 단변 내벽
24 : 하부 장변 외벽
25 : 하부 장변 내벽
26 : 오목부
27 : 선상 돌기
28 : 선상 돌기
29 : 보강용 리브
30 : 취출구 구조
31 : 취출구
32 : 리브
33 : 고정부
34 : 걸어맞춤 구멍
35 : 스페이스
36 : 리브
39, 39a : 연장벽부
40 : 덮개체
41 : 고정부
42 : 압하부
43 : 덮개부
44 : 제 1 힌지
45 : 제 2 힌지
46 : 걸어맞춤 돌기
1, 1a: plastic container
10, 10a, 10b: upper container
11: upper wall
11a: both ends
11b: both sides
12: upper short side outer wall
13: upper long side outer wall
14: upper long side inner wall
16: wedge protrusion
17: linear protrusion
18: linear protrusion
20, 20a, 20b: lower container
21: bottom wall
22: lower short side outer wall
23: lower short side inner wall
24: lower long side outer wall
25: lower long side inner wall
26: recess
27: linear protrusion
28: linear protrusion
29: reinforcing rib
30: outlet structure
31: outlet
32: rib
33: fixing part
34: fastening holes
35: space
36: rib
39, 39a: extension wall portion
40: cover body
41: fixed part
42: pressing part
43: cover part
44: first hinge
45: second hinge
46: engagement protrusion

Claims (14)

대략 사각형의 상벽과, 상기 상벽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단변 외벽을 갖는 상부 용기와,
대략 사각형의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외벽을 갖는 하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단변 외벽 및 상기 하부 단변 외벽의 일방의 외벽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타방의 외벽을 향해 돌출되는 쐐기상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단변 외벽 및 상기 하부 단변 외벽의 타방의 외벽에는, 대략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쐐기상 돌기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상 돌기와 상기 오목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An upper container having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upper wall, and a pair of upper short side outer walls extending in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s from near both ends of the upper wall,
A lower container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tom wall and a pair of lower short side outer walls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near both ends of the bottom wall,
On one outer wall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 wedge-shaped protrusion is form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four corners of a quadrangle and protrudes toward the other outer wall, and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re formed. On the other outer wall, a recess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four corners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wedge-shaped projection is fitted therein,
A plastic container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mounted so that the upper wedge and the concave are fitted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변 외벽의 외면에 상기 쐐기상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단변 외벽의 내면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wedge-shaped protrusion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upper short side outer wall, The recessed part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lower short side outer wal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상 돌기는 상기 상부 단변 외벽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하부 단변 외벽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aid wedge-shaped protrusion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said upp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said recessed part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said lower short side outer wall.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단변 외벽의 상단에는, 상기 쐐기상 돌기를 상기 오목부에 유도하기 위한 유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or 3,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lower short side, a plastic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guide recess for guiding the wedge-shaped protrusion to the recess.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변 외벽의 외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단변 외벽의 내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전에 상기 홈부에 상기 선상 돌기가 걸어맞춰졌을 때에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가 임시 고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is formed with a groov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is formed with a linear projection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linear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groove portion before fitting A plastic container, wherei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configured to be temporarily fix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는, 상기 바닥벽의 상기 하부 단변 외벽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내벽을 갖고,
상기 하부 단변 내벽은 상기 하부 단변 외벽보다 그 높이가 낮고, 상기 하부 단변 외벽과 상기 하부 단변 내벽 사이에 상기 상부 단변 외벽이 위치함과 함께 상기 쐐기상 돌기와 상기 오목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lower container has a pair of lower short side inn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a point inside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of the bottom wall,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has a lower height tha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upper short side outer wall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and the wedge-shaped protrusion and the recess are fitted to the upper container. A plastic container, mounted to prevent the lower container from coming ou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용기는, 상기 하부 단변 외벽과 상기 하부 단변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용 리브를 가지고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lower container has a reinforcing rib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hort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short side inner wall.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는, 상기 상벽의 양측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장변 외벽과, 상기 상벽의 상기 상부 장변 외벽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장변 내벽을 갖고,
상기 하부 용기는, 상기 바닥벽의 양측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장변 외벽과, 상기 바닥벽의 상기 하부 장변 외벽보다 내측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장변 내벽을 갖고,
상기 상부 장변 외벽과 상기 하부 장변 외벽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선상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장변 외벽이 상기 상부 장변 외벽과 상기 상부 장변 내벽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상부 장변 외벽의 선상 돌기와 상기 하부 장변 외벽의 선상 돌기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장착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upper container includes a pair of upper long side out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near both sides of the upper wall, and a pair of upper long sides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points inside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of the upper wall, respectively. With an inner wall,
The lower container includes a pair of lower long side outer walls each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and a pair of lower long sides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a point inside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of the bottom wall, respectively. Has a lower long side inner wall,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an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are each provided with linear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each other, and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long side outer wall and the upper long side inner wall, The linear container and the linear protrusion of the lower long side outer wall are fitted so that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mounted so as not to escape.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에는, 수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를 포함하는 취출구 구조와, 상기 취출구를 덮음과 함께 개폐 가능한 덮개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바닥벽의 상기 취출구 구조에 당해 덮개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압하 조작용의 압하부와, 상기 취출구를 덮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압하부의 일방에는 제 1 힌지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부가 연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하부의 타방에는 제 2 힌지를 개재하여 상기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하부를 압하하였을 때에 상기 제 2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기 덮개체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bottom wall is provided with a blowout structure including a blowout opening for taking out the object, a cover body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covering the blowout opening,
The lid ha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lid to the outlet structure of the bottom wall,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operation, and a lid portion covering the outlet, and interposed with a first hinge on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fixing part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ver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art via a second hinge, and when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down, the lid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ith the second hinge as the axis. Rotatable, plastic container.
대략 사각형의 상벽과, 상기 상벽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상부 단변 외벽을 갖는 상부 용기와,
대략 사각형의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양단 부근으로부터 각각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하부 단변 외벽을 갖는 하부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벽에는, 수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를 포함하는 취출구 구조와, 상기 취출구를 덮음과 함께 개폐 가능한 덮개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체는, 상기 바닥벽의 상기 취출구 구조에 당해 덮개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압하 조작용의 압하부와, 상기 취출구를 덮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압하부의 일방에는 제 1 힌지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부가 연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하부의 타방에는 제 2 힌지를 개재하여 상기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하부를 압하하였을 때에 상기 제 2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기 덮개체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
An upper container having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upper wall, and a pair of upper short side outer walls extending in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s from near both ends of the upper wall,
A lower container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tom wall and a pair of lower short side outer walls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near both ends of the bottom wall,
The bottom wall is provided with a blowout structure including a blowout opening for taking out the object, and a cover body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covering the blowout opening.
The lid ha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lid to the outlet structure of the bottom wall,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operation, and a lid portion covering the outlet, and interposed with a first hinge on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fixing part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ver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art via a second hinge, and when the pressing part is pressed down, the lid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ith the second hinge as the axis. Rotatable, plastic contain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부의 내면측에 걸어맞춤 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취출구 구조에는 상기 걸어맞춤 돌기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체가 열림 상태일 때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춰져, 열림 위치에 있는 상기 덮개부의 동작을 고정시키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engaging hole which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ejection opening structure,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when the lid is in the open state, thereby fixing the operation of the lid in the open positio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 구조에는, 상기 덮개부의 열림 각도를 규정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The said container outlet structure is a plastic container in which the rib which defines the opening angle of the said cover part is formed.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 구조에는, 상기 덮개부가 닫힘 위치일 때에 당해 덮개부의 들뜸을 억제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The said container outlet structure is a plastic container in which the rib which suppresses lifting of the said cover part is formed in the said cover part closed position.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 구조에는, 상기 하부 용기의 내측이면서 또한 상기 취출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공동에 당해 플라스틱 용기의 수납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된 연장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The ejection outlet structure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wall portion configured to prevent the contents of the plastic container from entering a cavity formed inside the lower container and opposite to the ejection opening.
KR1020197024298A 2017-03-23 2018-03-22 Plastic containers KR2019013314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8169 2017-03-23
JPJP-P-2017-058169 2017-03-23
PCT/JP2018/011433 WO2018174165A1 (en) 2017-03-23 2018-03-22 Plastic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149A true KR20190133149A (en) 2019-12-02

Family

ID=6358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298A KR20190133149A (en) 2017-03-23 2018-03-22 Plastic container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65826B2 (en)
KR (1) KR20190133149A (en)
CN (1) CN110446663B (en)
WO (1) WO2018174165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9090A (en) 2011-10-03 2013-05-02 Toppan Printing Co Ltd Plastic cas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78563B (en) * 1967-02-14 1970-02-10 Schmalbach Lubeca Closing lid made of plastic
JPS5236838Y2 (en) * 1971-09-16 1977-08-22
JPS5599191U (en) * 1978-12-28 1980-07-10
JPH0659245U (en) * 1993-01-08 1994-08-16 株式会社エフピコ Packaging container
JPH10297683A (en) * 1997-04-25 1998-11-10 Dainippon Printing Co Ltd Shaking-out container
DE10260225B4 (en) * 2002-11-15 2018-01-25 Schoeller Wavin Systems Services Gmbh Plastic containers, in particular buckets
CN1505999A (en) * 2002-12-09 2004-06-23 上海德恒贸易有限公司 Container for processing make-up or cosmetics and its attachment
JP4108469B2 (en) * 2002-12-27 2008-06-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Granular material case
JP2005008197A (en) * 2003-06-18 2005-01-13 Toppan Printing Co Ltd Metering container
JP2005095316A (en) * 2003-09-24 2005-04-14 Shiseido Co Ltd Compact case with hooked back
CN1291893C (en) * 2003-11-11 2006-12-27 陈焕章 Box capable of being opened partially
JP2005304572A (en) * 2004-04-16 2005-11-04 Yoshida Industry Co Ltd Airtight container
JP2006123991A (en) * 2004-10-29 2006-05-18 Daisen Sangyo Kk Packaging container
JP2007168796A (en) * 2005-12-19 2007-07-05 Aska Company Container
JP4877945B2 (en) * 2006-06-30 2012-02-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Pill container
JP3153084U (en) * 2009-06-12 2009-08-20 株式会社ロッテ Packaging container
JP4803325B2 (en) * 2011-02-25 2011-10-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Airtight card-like container
CN103832662B (en) * 2012-11-22 2016-03-30 海尔集团公司 Receiver
US10405636B2 (en) * 2013-07-29 2019-09-10 Sungil Kang Cosmetic container having air entrance/exit member
CN204383938U (en) * 2015-01-05 2015-06-10 黄石卫生材料药业有限公司 Double-deck kit of parts
CN106136556B (en) * 2015-03-24 2019-07-23 共聚生化科技(昆山)有限公司 Cosmetic container with air-tightn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9090A (en) 2011-10-03 2013-05-02 Toppan Printing Co Ltd Plastic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5826B2 (en) 2022-05-12
CN110446663B (en) 2021-10-26
WO2018174165A1 (en) 2018-09-27
CN110446663A (en) 2019-11-12
JPWO2018174165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67484T3 (en) A container with a base and a lid
KR20180111968A (en) Item storage case
US20190263561A1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door
US8418329B2 (en) Urn with latch
US20170355485A1 (en) Transportation container
US20110049144A1 (en) Collapsible crate
KR102200048B1 (en) Easy food stacking container
KR20190133149A (en) Plastic containers
JP6457848B2 (en) Transport container
KR102208458B1 (en) Cover Coupled Structure of Packaging Containers
JP7429419B2 (en) packaging containers
KR102043105B1 (en) Slide type container
KR20130080195A (en) Disposable lunch package
JP6901133B2 (en) container
JP6293002B2 (en) Folding container
JP7083707B2 (en) Packaging box
KR102593598B1 (en) Food storage container with increased adhesion
KR102287094B1 (en) Food storage container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KR200246139Y1 (en) A receptacle with protuberance for don`t take off the handle
KR200262144Y1 (en) Structure of handle for food container
KR102431858B1 (en) Packing method
KR101880352B1 (en) cessel for protecting for electornic device
JP4142864B2 (en) Folding container
RU148047U1 (en) FORMED PACKAGING FOR EGGS AND GOODS, LIKE AN EGG, AND COVER FOR IT
JPH11198936A (en) Pallet for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