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271A -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271A
KR20190132271A KR1020190057807A KR20190057807A KR20190132271A KR 20190132271 A KR20190132271 A KR 20190132271A KR 1020190057807 A KR1020190057807 A KR 1020190057807A KR 20190057807 A KR20190057807 A KR 20190057807A KR 20190132271 A KR20190132271 A KR 2019013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bandwidth
uplink bandwidth
terminals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한
권영대
노위상
장재선
이경용
홍석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9013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04W72/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8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 장치에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제어하는 방법은, 중계기에서 측정한 RSSI 값을 각각의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RSSI 값을 토대로 각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한 중계기별 접속 단말 개수를 토대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managing relay station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중계기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과 무선링크를 형성한다. 상기 기지국은 전파가 도달하는 커버리지를 형성하고, 이동단말이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건물 지하, 내부 등과 같이, 기지국의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중계기를 음영지역에 설치하여,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음영지역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중계기들은, 설치된 위치에서 기지국(또는 주 허브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기지국(또는 주 허브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방사한다. 또한, 중계기들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기지국(또는 주 허브 장치)로 전송한다. 이렇게 통신 사업자들은 중계기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음영지역에서 양질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역방향(즉, 업링크) 신호가 기지국으로 제공되는 경우 여러 중계기들에서 획득한 역방향 신호가 역방향 잡음과 합쳐져 기지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기지국 내에 많은 수의 중계기가 설치될수록, 역방향 커버리지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중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조에서 역방향 커버리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중계기 관리 장치에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제어하는 방법은, 중계기에서 측정한 RSSI 값을 각각의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RSSI 값을 토대로 각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한 중계기별 접속 단말 개수를 토대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RSSI 값과 접속 단말 개수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단계는, 접속 단말 개수에 비례하여 업링크 대역폭이 증가되도록,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할 수 있다.
중계기는, 할당된 업링크 대역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중계기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단계는, 각 중계기의 접속중인 단말 개수의 총 합을 확인하고,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와 상기 총 합을 나누어 단말 접속 비율을 중계기별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단말 접속 비율에 대응시켜 중계기별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단계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제어하는 중계기 관리 장치는, 중계기에서 측정한 RSSI 값을 각각의 중계기로부터 RSSI 획득부; 및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할당하고, 상기 RSSI 값을 토대로 각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중계기별 접속 단말 개수를 토대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대역폭 할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역방향 커버리지의 서비스 품질을 안정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중계기에서 측정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을 토대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중계기를 통한 역방향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가 할당된 대역폭에 해당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통과시키고 할당되지 대역폭에 해당하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달을 억제함으로써, 동일한 대역폭의 업링크 신호가 기지국에서 취합될 때 발생하는 업링크 잡음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 장치인 MHU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HU에서 ROU의 업링크 대역폭을 동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별로 균등하게 분할된 업링크 대역폭을 시각화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설정된 업링크 대역폭을 시각화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주 허브 장치(Master Hub Unit, 이하 'MHU'로 지칭함)(200) 및 복수의 광 중계 장치(Remote Optical Unit, 이하 'ROU'로 지칭함)(310, 320, 330, 340)를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eNodeB, gNodeB 등과 같은 이통신시스템의 기지국으로서, 업링크 신호, 다운링크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기지국(100)은, 순방향(다운링크) 채널 및 역방향(업링크)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한다. 상기 역방향 채널은,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U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PRACH와 PUCCH는 공통 영역(도 4 및 도 5 참조)에 해당하고, PUSCH은 장비 영역(도 4 및 도 5 참조)에 해당한다. 상기 장비 영역에 해당하는 PUSCH 영역은 ROU(310, 320, 330, 340)별로 대역폭이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ROU(310, 320, 330, 340)는 광 중계기로서,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기지국(100)의 커버리지를 확대한다. 상기 ROU(310, 320, 330, 340)는 이동단말에서 송출하는 무선신호세기인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하고, 이 RSSI 값을 MHU(200)로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ROU(310, 320, 330, 340)에서 측정한 RSSI 값은 ROU(310, 320, 330, 340)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즉, ROU(310, 320, 330, 340)에 많은 수의 단말이 접속중인 상태이면, ROU(310, 320, 330, 340)는 상대적으로 강한 RSSI 값을 측정한다.
상기 ROU(310, 320, 330, 340)는 MHU(200)로부터 할당된 업링크 대역폭을 확인하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MHU(200)로 전송하고, 할당되지 않은 대역폭에 해당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MHU(200)로 전송하지 않고 억제한다. 한편, ROU(310, 320, 330, 340)는 MHU(200)로부터 수신한 다운링크 데이터는 대역폭에 따른 억제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방사한다. 이때, ROU(310, 320, 330, 340)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증폭하여 방사할 수 있다.
MHU(200)는 ROU(310, 320, 330, 340)를 운용하고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 장치로서, 기지국(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MHU(200)는 기지국(1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특정 위치에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HU(200)는 기지국(100)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HU(200)는 복수의 ROU(310, 320, 330, 340)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100)으로 전송하고,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로 전송한다. 상기 ROU(310, 320, 330, 340)는 ROU(310, 320, 330, 340)로부터 수신한 RSSI 값을 토대로, 각 ROU(310, 320, 330, 340)의 업링크 대역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 장치인 MHU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MHU(200)는 중계기인 ROU(310, 320, 330, 340)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MHU(20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MHU(2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MHU(200)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MHU(200)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RF 신호 또는 광통신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HU(200)는 제1통신부(210), 제2통신부(220), 데이터 중계부(230), 대역폭 설정부(240), RSSI 획득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MHU(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중계부(230), 대역폭 설정부(240), RSSI 획득부(250)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60)는 메모리,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저장 수단으로서, RSSI 값과 단말 개수가 매핑된 매핑 데이터를 저장한다. RSSI 값을 토대로 ROU(310, 320, 330, 340)에 접속중인 이동단말의 개수를 추정할 수 있는데, ROU에 접속중인 단말이 많을수록 ROU(310, 320, 330, 340)에서 측정되는 RSSI 값이 커진다. 이에 따라, 상기 매핑 데이터에는 RSSI 값이 클수록 단말 개수가 증가되는 데이터가 기록된다.
제1통신부(210)는 기지국(100)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통신부(210)는 기지국(100)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MHU(200)가 기지국(100)과 통합되어 구현되는 경우, 제1통신부(21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2통신부(220)는 광케이블을 통해서 각각의 ROU(310, 320, 330, 340)와 통신한다. 상기 제2통신부(220)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복수의 ROU(310, 320, 330, 340)로 전송하고, 더불어 업링크 데이터를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로부터 수신한다.
데이터 중계부(230)는 제1통신부(210)와 제2통신부(220)를 이용하여 ROU(310, 320, 330, 340)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100)으로 전송하고, 기지국(100)으로버터 수신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ROU(310, 320, 330, 3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SSI 획득부(250)는 제2통신부(220)를 통해서,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로부터 RSSI 값을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상기 RSSI 값은 ROU(310, 320, 330, 340)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대역폭 설정부(240)는 각각의 ROU(310, 320, 330, 340)에 업링크 대역폭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대역폭 설정부(240)는 초기에는 동일한 업링크 대역폭을 가지도록,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별로 업링크 대역폭을 설정한다. 이때, 대역폭 설정부(240)는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별로 최대 대역폭과 최소 대역폭을 확인하고, 이 최대 대역폭과 최소 대역폭 사이에 업링크 대역폭이 할당되도록, ROU(310, 320, 330, 340)별로 업링크 대역폭을 설정한다. 상기 ROU(310, 320, 330, 340)별 최대 대역폭과 최소 대역폭은 채널 이득을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되어 MHU(200)에 저장될 수 있다.
대역폭 설정부(240)는 RSSI 획득부(250)에서 수신한 RSSI 값을 토대로, 해당 ROU(310, 320, 330, 340)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파악한다. 이때, 대역폭 설정부(240)는 상기 RSSI 값과 매핑되는 단말 개수를 저장부(260)에서 확인함으로써, 해당 ROU(310, 320, 330, 340)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파악한다. 대역폭 설정부(240)는 단말 개수의 변동 여부에 따라, 상기 ROU(310, 320, 330, 340)에 설정된 업링크 대역폭을 확대하거나 업링크 대역폭을 축소시킨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을 통해서, MHU(200)에서 업링크 대역폭을 동적으로 변동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HU에서 ROU의 업링크 대역폭을 동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HU(200)가 초기 구동되면, 대역폭 설정부(240)는 제2통신부(220)와 연결되는 ROU(310, 320, 330, 340)의 개수를 확인하고, 더불어 ROU 전체에 할당된 업링크 대역폭을 확인한다. 그리고 대역폭 설정부(240)는 상기 업링크 대역폭 중에서 공통 영역을 제외한 장비 영역을 상기 ROU(310, 320, 330, 340)의 개수만큼 균등으로 분할하여, 각 ROU(310, 320, 330, 340)별로 업링크 대역폭을 균등하게 초기 설정한다(S301).
다음으로, 대역폭 설정부(240)는 초기 설정된 업링크 대역폭이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별로 할당되도록, 제2통신부(220)를 이용하여 각 ROU(310, 320, 330, 340)로 대역폭 할당 정보를 전송하여, ROU(310, 320, 330, 340)별로 균등한 업링크 대역폭을 할당한다(S303). 이때, 대역폭 설정부(240)는 각 ROU(310, 320, 330, 340)별로 업링크 주파수 영역을 설정한 후, 업링크 주파수 영역이 포함된 업링크 대역폭 정보를 해당 ROU(310, 320, 330, 3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 설정부(240)는 f1에서 f2까지의 업링크 주파수 영역이 설정된 업링크 대역폭 정보를 ROU#1(3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f3에서 f4까지의 업링크 주파수 영역이 설정된 업링크 대역폭 정보를 ROU#2(3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는 수신한 업링크 대역폭 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업링크 대역폭을 설정하여 할당한다. 그리고 각 ROU(310, 320, 330, 340)는 수신되는 업링크 데이터 중에서 할당된 대역폭을 통해서 수신되는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MHU(200)로 전달하고, 할당되지 않은 대역폭을 통해서 수신되는 데이터는 MHU(200)로 전달하지 않고 억압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별로 균등하게 분할된 업링크 대역폭을 시각화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업링크 대역폭에는 공통 영역과 장비 영역으로 구분된다. 공통 영역은, PRACH 및 PUCCH이 포함되는 영역이고, 장비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위해 할당된 영역으로서, PUSCH을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장비 영역이 네 개의 ROU로 균등 분할되어, 업링크 대역폭이 설정된 상태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초기에는 ROU(310, 320, 330, 340)별로 할당된 업링크 대역폭이 서로 동일하다.
이렇게 초기에 균등한 업링크 대역폭이 ROU(310, 320, 330, 340)에 할당된 상태에서, 각 ROU(310, 320, 330, 340)는 접속중인 단말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에 대한 RSSI 값을 측정하고, 이 측정한 RSSI 값을 MHU(200)로 전송한다. ROU(310, 320, 330, 340)에서 진행되는 RSSI 값의 보고는 일정 주기 간격으로 계속된다.
MHU(200)의 RSSI 획득부(250)는 제2통신부(220)를 통해서 각 ROU(310, 320, 330, 340)로부터 RSSI 값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되면(S305), 대역폭 설정부(240)로 RSSI 값의 수신을 보고한다.
그러면, 대역폭 설정부(240)는 각 ROU(310, 320, 330, 340)의 RSSI 값을 확인하고, 각 RSSI 값에 대응되는 단말 개수를 저장부(260)에서 확인함으로써, 현재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ROU(310, 320, 330, 340)별로 확인한다(S307). 다음으로, 대역폭 설정부(240)는 ROU(310, 320, 330, 340)별로 확인한 단말 개수 중에서 임계 개수(예컨대, 2개)를 초과하여 접속 단말 개수가 변동되는 ROU(310, 320, 330, 34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09). 대역폭 설정부(240)는 ROU(310, 320, 330, 340)의 접속 단말 개수에 대한 과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즉, 초기 상태에서 단말 개수의 비교를 진행하는 경우), 이전에 ROU(310, 320, 330, 340)별로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각각 '0'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대역폭 설정부(240)는 상기 판별결과 임계 개수를 초과하여 접속 단말 개수가 변동되는 ROU(310, 320, 330, 340)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의 ROU(310, 320, 330, 340)별 업링크 대역폭을 그대로 유지한다.
반면에, 대역폭 설정부(240)는 상기 판별 결과 임계 개수를 초과하여 접속 단말 개수가 변동되는 ROU(310, 320, 330, 340)가 존재하면, ROU(310, 320, 330, 340)별 대역폭을 재설정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대역폭 설정부(240)는 각 ROU(310, 320, 330, 340)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합하여 총 단말 수를 산출하고, 특정 ROU(310, 320, 330, 340)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에 상기 총 단말 수를 나눔으로써, 각 ROU(310, 320, 330, 340)에 대한 단말 접속 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대역폭 설정부(240)는 상기 산출한 단말 접속 비율에 대응하여 장비 영역의 대역폭이 해당 ROU(310, 320, 330, 340)에 각각 할당되도록, ROU(310, 320, 330, 340)별 업링크 대역폭을 재설정한다(S311). 예를 들어, ROU#1(310)의 단말 접속 비율이 30%이면, 대역폭 설정부(240)는 전체 업링크 대역폭 중에서 30%를 ROU#1(310)를 위한 업링크 대역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ROU#2(320)의 단말 접속 비율이 15%이며, 대역폭 설정부(240)는 전체 업링크 대역폭 중에서 15%를 ROU#2(320)를 위한 업링크 대역폭으로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대역폭 설정부(240)는 업링크 대역폭을 재설정할 때, 사전에 설정된 최대 대역폭과 최소 대역폭을 확인하고, 이 최대 대역폭과 최소 대역폭 사이에 업링크 대역폭이 재설정되도록, ROU(310, 320, 330, 340)별로 업링크 대역폭을 재설정한다. 부연하면, 접속중인 단말이 없어도 ROU(310, 320, 330, 340)는 최소 대역폭이 할당되고, 접속중인 단말이 최대치를 초과하더라도 ROU(310, 320, 330, 340)는 최대 대역폭을 초과한 대역폭이 할당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대역폭 설정부(240)는 재설정한 대역폭이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별로 할당되도록, 제2통신부(220)를 이용하여 각 ROU(310, 320, 330, 340)로 대역폭 할당 정보를 전송하여, ROU(310, 320, 330, 340)별로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되게 제어한다(S313). 이때, 대역폭 설정부(240)는 재설정한 대역폭이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로 할당되도록, 각 ROU(310, 320, 330, 340)별로 업링크 주파수 영역을 다시 설정한 후, 재설정한 업링크 주파수 영역이 포함된 업링크 대역폭 정보를 해당 ROU(310, 320, 330, 3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ROU(310, 320, 330, 340)는 수신한 업링크 대역폭 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업링크 대역폭을 재설정한다. 그리고 각 ROU(310, 320, 330, 340)는 수신되는 업링크 데이터 중에서 재설정하여 할당된 대역폭을 통해서 수신되는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MHU(200)로 전달하고, 할당되지 않은 대역폭을 통해서 수신되는 데이터는 MHU(200)로 전달하지 않고 억압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설정된 업링크 대역폭을 시각화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업링크 대역폭과 도 5의 업링크 대역폭을 비교하면, ROU#1(310)과 ROU#3(330)은 도 4와 비교하여 업링크 대역폭이 확대되었고, ROU#2(320)와 ROU#4(340)는 업링크 대역폭이 축소됨을 알 수 있다. 도 5를 통해서, ROU#1(310)과 ROU#3(330)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단말이 접속된 상태임을 알 수 있고, ROU#2(320)와 ROU#4(340)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단말이 접속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HU(200)는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RSSI 값을 토대로 추정하고, 접속 단말의 개수가 많아진 ROU(310, 320, 330, 340)의 업링크 대역폭을 확대하고, 접속 단말의 개수가 적어진 ROU(310, 320, 330, 340)의 다운링크 대역폭을 축소시켜, 중계기의 로드를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업링크 커버리지의 품질을 안정화시킨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기지국 200 : MHU
210 : 제1통신부 220 : 제2통신부
230 : 데이터 중계부 240 : 대역폭 설정부
250 : RSSI 획득부 260 : 저장부
310, 320, 330, 340 : ROU

Claims (9)

  1. 중계기 관리 장치에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중계기에서 측정한 RSSI 값을 각각의 중계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RSSI 값을 토대로 각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한 중계기별 접속 단말 개수를 토대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 커버리지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RSSI 값과 접속 단말 개수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커버리지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단계는,
    접속 단말 개수에 비례하여 업링크 대역폭이 증가되도록,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커버리지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중계기는, 할당된 업링크 대역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중계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커버리지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업링크 대역폭을 중계기의 개수만큼 균등 분할하고, 균등 분할한 업링크 대역폭을 각각의 중계기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계기 커버리지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단계는,
    각 중계기의 접속중인 단말 개수의 총 합을 확인하고,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와 상기 총 합을 나누어 단말 접속 비율을 중계기별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단말 접속 비율에 대응시켜 중계기별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단계;는 포함하는 중계기 커버리지 제어 방법.
  7.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제어하는 중계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중계기에서 측정한 RSSI 값을 각각의 중계기로부터 RSSI 획득부; 및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할당하고, 상기 RSSI 값을 토대로 각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추정한 후, 상기 추정한 중계기별 접속 단말 개수를 토대로 각 중계기의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대역폭 할당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RSSI 값과 접속 단말 개수가 매핑된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할당부는,
    상기 저장부의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할당부는,
    각 중계기의 접속중인 단말 개수의 총 합을 확인하고, 중계기에 접속중인 단말 개수와 상기 총 합을 나누어 단말 접속 비율을 중계기별로 산출한 후, 상기 산출한 단말 접속 비율에 대응시켜 중계기별 업링크 대역폭을 재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 장치.
KR1020190057807A 2018-05-18 2019-05-17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1322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94 2018-05-18
KR20180057394 2018-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271A true KR20190132271A (ko) 2019-11-27

Family

ID=6873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807A KR20190132271A (ko) 2018-05-18 2019-05-17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22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8089A (zh) * 2023-11-21 2023-12-22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一种自适应调整增益的方法和直放站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8089A (zh) * 2023-11-21 2023-12-22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一种自适应调整增益的方法和直放站系统
CN117278089B (zh) * 2023-11-21 2024-03-26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一种自适应调整增益的方法和直放站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2225B2 (en) Adaptive rate and reach optimization for wireless access networks
US10485004B2 (en) Optimizing network resource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73792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white space allocation
JP4276399B2 (ja) 基地局制御局装置、無線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102239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ower Distribution
US107915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hannel allocation
US11477803B2 (en) Accommoda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hannel
US20150245364A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KR20160101558A (ko) 위성 및 지상 망 겸용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408992B (zh) 用于使用分布式天线系统测量用户的业务量的设备和方法
US1099984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or using partial and bulk spectrum in a 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CBRS) network
JP2018526911A (ja) 通信リソース割振り
US10291373B2 (en) D2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JP201016650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方法
KR20190132271A (ko) 중계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254714A1 (en)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area reception quality control method, controller, and program
US11044000B2 (en) Scheduling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JP2020184739A (ja) 共用周波数を利用可能な無線システム、共用周波数を用いた無線通信における無線資源割当方法、および基地局
US20180176814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92949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buffer status information of neighboring cell
WO2019100244A1 (zh) 波束分配方法及装置
JP2018518882A (ja) 電力情報交換方法および装置
US20160353501A1 (en) D2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es thereof
KR20200144950A (ko)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623489A (zh) 基于相邻小区中信号测量的波束优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