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078A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078A
KR20190132078A KR1020180057300A KR20180057300A KR20190132078A KR 20190132078 A KR20190132078 A KR 20190132078A KR 1020180057300 A KR1020180057300 A KR 1020180057300A KR 20180057300 A KR20180057300 A KR 20180057300A KR 20190132078 A KR20190132078 A KR 20190132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unit
cultivation bed
cultivation
siph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3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석
양미나
이동진
최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2078A/en
Publication of KR2019013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0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cultivation chamber and a machine chamber inside; a light source portion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chamber to emit light; a cultivation bed portion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cultivation chamber to accommodate a nutrient solution therein; a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portion disposed in the machine chamber to accommodate the nutrient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portion; a nutrient solution supply portion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portion to the cultivation bed portion; a nutrient solution recovering portion recovering the nutrient solution from the cultivation bed portion to the nutrient accommodation portion; and a drain-pan portion disposed below the cultivation bed portion to make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portion flow into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utrient solution can be easily supplied and discharged to a cultivation bed portion.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PLANT CULTIVATING APPARATUS}Plant cultivation apparatus {PLANT CULTIV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저장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저장실에 저장된 식물을 성장시킨다.A gener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ms a predetermined storage compartment hav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and grows a plant stored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compartment.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42141호, "가정용 채소재배를 위한 광원 분리식 엘이디 식물장고"에 관련 기술이 개시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342141, "Light source type LED plant janggo for home vegetable cultivation" discloses a related technology.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채소재배용 트레이와 용수 보관통을 연결하는 용수 공급관과 용수 회수관이 개시되지만, 채소재배용 트레이를 식물장고로부터 분리 시 용수 공급관과 용수 회수관을 채소재배용 트레이로부터 해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lthough a water supply pipe and a water recovery pipe connecting the vegetable cultivation tray and the water storage container are disclosed, it is inconvenient to release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recovery tube from the vegetable cultivation tray when the vegetable cultivation tray is separated from the plant storage. have.

본 발명은, 재배용 베드에 저장되는 양액의 공급 및 배수가 간편해지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supply and drainage of nutrient solution stored in a cultivation bed is simplified.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재배 베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재배 베드부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수집하기 위한 물받이부를 포함하여 재배 베드부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low the cultivation bed part, and can smoothly recover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part, including a drip tray for collecting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part.

또한, 재배 베드부의 내부에 저장된 양액을 손쉽게 배출하기 위해 사이펀 유로를 형성하여, 재배 베드부에 양액을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공급하는 것만으로 재배 베드부에 저장된 양액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iphon flow path for easily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cultivation bed, it is possible to drain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cultivation bed to the outside only by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cultivation bed at a certain level or more.

또한, 재배 베드부에서 양액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재배 베드부를 이동 시 재배 베드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받이부에 의해 배수되는 양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raining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cultivation bed part, when the cultivation bed part is moved, the nutrient solution drained by the drip tray part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bed part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재배 베드부에 사이펀 유로를 구성하여 양액을 공급 여부에 따라 양액의 공급 및 배수가 이뤄질 수 있으므로, 재배 베드부에 양액의 공급 및 배수가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ly and drainage of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mad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by forming a siphon flow path in the cultivation bed part, the supply and drainage of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cultivation bed part is easy.

본 발명에 따르면, 재배 베드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받이부를 구비하여 재배 베드부에서 양액이 배출될 시에도 재배 베드부의 이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ement of the cultivation bed can be provided even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by having a drip tray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베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베드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베드부의 내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베드부에서 양액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ultivation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ultivation be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portion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8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be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ip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 forming a body.

상기 본체부(10)는 내부 프레임(12)과 외부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 may include an inner frame 12 and an outer frame 11.

상기 외부 프레임(11)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12)은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12)과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사이에는 후술할 배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프레임(12)과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은 상기 내부 프레임(12)의 내측에 형성되는 후술할 재배실과 외부 공간을 구획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 재배실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 outer frame 11 may form an appearance. The inner frame 12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frame 11. A piping space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12 and the outer frame 11. In addition, an insulat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12 and the outer frame 11.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may be divided into a cultivation chamber and an external space to be described later formed inside the inner frame 12 to minimize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ultivation chamber maintained at a preset temperature.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은 개구되며, 개구된 일측에는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부(10)의 개구된 일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본체부(10)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부(10)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면,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내부 프레임(12)의 내측에 형성되는 재배실은 밀폐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may be opened, and a door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opened side. The door may selectively shield one open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door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main body 10 to shield an opened side of the main body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oor shields the opened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cultivation chamber formed inside the inner frame 12 by the door may be sealed.

상기 내부 프레임(12)의 내부에는 구획부(13)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mpartment 13 may be included in the inner frame 12.

상기 구획부(13)는 상기 내부 프레임(12)의 내층 공간을 다수의 재배실(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13)는 상기 재배실(15)에 배치되는 후술할 재배 베드부(20)와 광원 냉각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13)에는 후술할 광원부(30)가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구획부(13)의 상방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와 상기 광원 냉각부(40)가 위치하고, 상기 구획부(13)의 하방에는 상기 광원부(30)가 위치할 수 있다.The partition part 13 may partition the inner layer space of the inner frame 12 into a plurality of culture rooms 15. In addition, the partition part 13 may support the cultivation bed part 20 and the light source cooling part 40 to be described later disposed in the cultivation room 15. The light source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ixed to the partition unit 1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ltivation bed part 20 and the light source cooling part 4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artition part 13, and the light source part 30 may be located below the partition part 13. have.

또한, 상기 구획부(13)는 재배실(15)과 후술할 전장실(17)을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재배실(15)이 구비되고, 상기 재배실(15)의 하방에는 전장실(17)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unit 13 may partition the cultivation room 15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7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cultivation chambers 15 may be provided, and a full length chamber 17 may be provided below the cultivation chamber 15.

상기 본체부(10)에는 재배실(15)과, 전장실(17)과, 배관실(16)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main body 10, a cultivation chamber 15, an electric equipment chamber 17, and a piping chamber 16 may be formed.

상기 재배실(15)과 상기 전장실(17)은 상기 내부 프레임(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배실(15)과 상기 전장실(17)은 상기 구획부(1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배관실(16)은 상기 내부 프레임(12)과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실(16)은 상기 내부 프레임(12)에 의해 상기 재배실(15) 및 상기 전장실(17)과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12)의 후방에는 상기 배관실(16)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프레임(12)의 전방에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된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프레임(12)의 양측방과 상방에는 상기 내부 프레임(12)과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며, 이때 형성되는 공간을 단열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재배실(15)은 식물이 성장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17)은 다수의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배관실(16)은 상기 재배실(15)에서 성장하는 식물에 양액을 공급하는 배관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은 상기 재배실(15)과 외부 공간을 단열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room 15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7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frame 12. The cultivation room 15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7 may b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unit 13. The pipe chamber 16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12 and the outer frame 11. The pipe chamber 16 may be partitioned from the cultivation chamber 15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chamber 17 by the inner frame 1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ing chamber 16 may be disposed behind the inner frame 12. In addition, an opening side of the inner frame 12 may be arrang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In addition, spaces spaced apart between the inner frame 12 and the outer frame 11 are formed at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12, and the space formed at this time may be defined as an adiabatic space. The cultivation room 15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where plants grow. The electrical compartment 17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are accommodated. The pipe room 16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in which a pipe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to a plant growing in the cultivation room 15 is disposed. The heat insulation space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that insulates the cultivation room 15 and the external space.

상기 본체부(10)는 재배 베드부(20)와, 광원부(30)와, 광원 냉각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art 10 may include a cultivation bed part 20, a light source part 30, and a light source cooling part 40.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상기 구획부(13)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후술할 광원 냉각부(4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트레이(21)와, 트레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1)는 내부에 식물을 성장시키기 위한 양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22)는 상기 트레이(21)를 커버하고, 성장하는 식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22)에는 다수의 포트홀(221)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포트홀(221) 각각에 식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포트홀(221)에 배치된 식물은 상기 트레이(21)에 수용된 양액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장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bed 20 may be detachably mounted from the main body 10.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partition portion 13. The cultivation bed unit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The cultivation bed 20 may include a tray 21 and a tray cover 22. The tray 21 may accommodate a nutrient solution for growing a plant therein. The tray cover 22 may cover the tray 21 and support a growing plant. A plurality of port holes 221 are formed in the tray cover 22, and a plant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 holes 221. Plant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ort holes 221 may be grown by receiving nutrients from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tray 21.

상기 광원부(30)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성장하는 식물에게 광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식물은 상기 광원부(30)에서 공급되는 광 에너지에 의해 광합성 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광원부(30)는 상기 구획부(13)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0)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과,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재배실(15)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에는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 예를 들어 램프, 제어부, 전원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원에서 광을 발생시키면 열이 발생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방열부(31)로 방열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31)로 전달된 열은 후술할 광원 냉각부(4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부(31)는 상기 구획부(13)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광원 냉각부(40)로 노출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30 may supply light energy to a plant growing i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he plant may be photosynthetic by light energy suppli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30, and may receive energy necessary for growth of the plant.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disposed below the partition unit 13.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include a light source (not shown) for generating light and a heat radiating unit 31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may irradiate light to the cultivation chamber 15. The light source may include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light, for example, a lamp, a controller, a power supply, and the like. When light is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heat is generated, and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may be radiated by the heat radiating unit 31. The heat transferred to the heat radiating unit 31 may be cooled by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heat radiating unit 31 may be exposed to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by passing through a part of the partition unit 13.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광원부(30)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구획부(13)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구획부(13)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30)의 방열부(31)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냉각부(40)의 상방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광원부(3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고,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와 상기 구획부(13)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may cool the hea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unit 30.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may be disposed above the partition unit 13.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may be disposed above the partition 13 to cool the heat dissipation unit 31 of the light source unit 30. The culture bed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may cool the hea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30 and support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hat is,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and the partition unit 13,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air to circulate therein.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내부에 유동 가이드(41)와 냉각 유로(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외부 프레임(11)에 형성되는 유입부(111) 및 유출부(112)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유입부(1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방열부(31)를 냉각하고, 상기 방열부(31)를 냉각하며 온도가 상승되는 공기를 상기 유출부(112)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41)는 상기 유입부(11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열부(31)를 향하도록 공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41)는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42)는 상기 유입부(11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출부(112)로 향해 유동되는 공기 유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42)는 상기 유동 가이드(41)에 의해 다수의 냉각 유로(42)로 분기될 수 있다. 분기된 다수의 냉각 유로(42)에 의해 하나의 유입부(111)로 유입된 공기는 다수의 방열부(31) 각각을 냉각한 후, 하나의 유출부(11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11)와 상기 방열부(31)와 연통되는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배관실(16)과 구획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부(111)와 상기 유출부(112)에는 유출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미도시)와, 공기를 강제 유동 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may include a flow guide 41 and a cooling passage 42 therein.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may communicate with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formed in the outer frame 11.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circulates air flowing into the inlet 111 to cool the heat dissipation unit 31, cools the heat dissipation unit 31, and cools the heat dissipation unit 31. 112). The flow guide 41 may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air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1 faces the heat radiating part 31. In this embodiment, the flow guide 41 may be formed to be bent. The cooling passage 42 may be understood as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1 flows toward the outlet 112. The cooling passage 42 may be branched into the plurality of cooling passages 42 by the flow guide 41. The air introduced into one inlet 111 by the plurality of branched cooling passages 42 may cool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 radiating units 31 and then be discharged to one outlet 112.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11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31 may be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from the piping chamber 1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are provided with a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 and out, and a blowing fan (not shown) for forced flow of air. Can be.

상기 본체부(10)는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controller 50.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작동 신호를 입력받고, 수신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여 서버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동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50)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와, 사용자로부터 작동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50 may be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10. The controller 50 ma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nd operat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based on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The controller 50 may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he controller 50 ma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a server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operat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based on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an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communication.

이하에서는 상기 전장실(17)에 수용되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ccommodated in the said electric field chamber 17 is demonstrated in detail.

상기 전장실(17)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작동하기 위한 구성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17)에는 양액 저장부(60)와, 양액 공급부(61)와, 양액 회수부(62)와, 공조기(6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양액 저장부(60)와, 상기 양액 공급부(61)와, 상기 양액 회수부(62)와, 상기 공조기(63)는 상기 전장실(1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7, a configuration for operat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disposed there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7 may be provided with a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 a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2, and an air conditioner 63.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2, and the air conditioner 63 may be dispos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chamber 17.

상기 양액 저장부(60)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으로 공급되는 양액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양액 저장부(60)는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공급되는 양액이 저장되고, 상기 재배 베드부(20)로부터 회수되는 양액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양액 저장부(60)에 저장되는 양액에 다양한 양분을 추가하여,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양액 저장부(60)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양액을 보충하거나, 양분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s stored.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may store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part 20, and may store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ed from the cultivation bed part 20. The user may add nutrients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torage unit 60 to provide nutri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t may be possible to replenish the nutrient solution, or add nutrients.

상기 양액 공급부(61)는 상기 양액 저장부(60)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양액 공급부(61)는 양액 공급부(611)와, 양액 절환부(612)와, 양액 필터부(613)와, 양액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 may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 may include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a nutrient solution switching unit 612, a nutrient solution filter unit 613, and a nutrient solution pump (not shown).

상기 양액 공급부(611)는 상기 양액 저장부(60)로부터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부로 양액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양액 절환부(612)는 다수의 양액 공급부(6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양액 절환부(612)는 상기 양액 저장부(60)에서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향해 유동하는 양액을 분기하여, 서로 다른 재배 베드부(20)로 양액이 전달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양액 절환부(612)에는 3개의 양액 공급부(611)가 연결되며, 3개의 양액 공급부(611)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재배 베드부(20)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양액 필터부(613)는 상기 양액 저장부(60)에서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공급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양액 필터부(613)는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다수의 이물질이 필터링 될 때 상기 양액 필터부(613)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양액 펌프는 상기 양액 저장부(60)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양액 펌프는 상기 양액 공급부(611)와 연결되며, 상기 양액 저장부(60)의 내부에 저장된 양액을 흡입하여 상기 양액 공급부(61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양액 펌프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양액은 상기 양액 절환부(612) 및 상기 양액 공급부(611)를 유동한 후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양액 공급부(61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양액 저장부(60)에 연결되어 상기 양액 저장부(60)로부터 양액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액 공급부(6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향해 절곡되며, 상기 양액 공급부(611)의 타측 단부를 통해 양액이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액 공급부(6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액 공급부(611)는 상기 내부 프레임(12)과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관실(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12)에는 상기 양액 공급부(611)의 일부가 상기 재배실(15)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양액 공급부(6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관통홀(121)을 통과한 후 상기 재배실(15)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1)은 후술할 돌출부(23)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extends from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part 60 toward the cultivation bed part 20, and the nutrient solution may flow therein. The nutrient solution switching unit 612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The nutrient solution switching unit 612 branches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toward the cultivation bed unit 20 from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is transferred to different cultivation bed units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trient solution switching unit 612 is connected to the thre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the thre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may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nutrient solution filter unit 613 may be provid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he nutrient solution filter unit 613 is configured to be replace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nutrient solution filter unit 613 when a plurality of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The nutrient solution pump may flow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in a direction toward the cultivation bed part 20. The nutrient solution pump is connected to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and may suction and transfer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o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The nutrient solution forcibly flown by the nutrient solution pump may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after flowing the nutrient solution switching unit 612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may be connected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o supply nutrient solution from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he oth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may be bent toward the cultivation bed part 20, and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For example, the oth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may be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bed part 20.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may be disposed in the piping chamber 16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12 and the outer frame 11. A through hole 121 may be formed in the inner frame 12 to allow a por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to be inserted into the culture chamber 15. That is,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is disposed on the cultivation room 15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and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part 20. The through hole 121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protrusion 2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양액 회수부(62)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식물의 성장에 사용된 양액을 상기 양액 저장부(60)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양액 회수부(62)는 양액 회수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액 회수부(612)의 일측 단부는 후술할 물받이부(2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양액 회수부(612)의 타측 단부는 상기 양액 저장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28)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일시로 집수되는 공간이며, 상기 물받이부(28)에 집수된 양액이 상기 양액 회수부(612)를 통해 상기 양액 저장부(6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양액 회수부(612)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상기 양액 저장부(60)로 유동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양액 필터(미도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액 회수부(612)는 상기 내부 프레임(12)과 상기 외부 프레임(11)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관실(16)에 배치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2 may recover the nutrient solution used for plant growth i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2 may include a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12. One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12 may be connected to the drip tray 28 to be described later. The oth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12 may be connected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he drip tray 28 is a spac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s temporarily collected, and the nutrient solution collected in the drip tray 28 is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12. Flow to (60).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12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nutrient solution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from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12 may be disposed in the piping chamber 16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12 and the outer frame 11.

상기 공조기(63)는 상기 재배실(15)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거나, 양액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조기(63)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 냉매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조기(63)는 상기 양액 저장부(60)에 연결되어, 상기 양액 저장부(60)에 저장되는 양액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공조기(63)는 냉매 배관을 상기 재배실(15)에 구비하여, 상기 재배실(15) 내부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63 may adjust the air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room 15 or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nutrient solution.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63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 expander, and a refrigerant pi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conditioner 63 may be connected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idea, the air conditioner 63 may include a refrigerant pipe in the cultivation chamber 15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chamber 1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의 재배 베드부(20)에는 식물이 파종되며, 파종된 식물은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양액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plants are sown in the cultivation bed part 20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eded plants supply nutrients from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cultivation bed part 20. I can receive it.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양액 공급부(61)를 통해 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식물의 성장에 사용된 양액은 양액 회수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양액 저장부(60)로 회수될 수 있다.The cultivation bed unit 20 may be supplied with nutrient solution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used for growing the plant i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may be recovered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hrough a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not shown).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상방에는 광원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0)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에 파종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광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0)가 작동되면, 상기 광원부(30)에서 광 에너지가 발생되어 상기 재배 베드부(20)에 파종된 식물에 광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30)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통해 상기 재배실(15)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disposed above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supply light energy necessary for the growth of plants sown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When the light source unit 30 is operated, light energy may be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unit 30 to supply light energy to plants planted i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room 15 may be adjusted through the heat energy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30.

상기 광원부(30)에는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부(31)가 구비되고, 상기 방열부(31)는 광원 냉각부(4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광원 냉각부(40)는 상기 유입부(11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다수의 유동 가이드(41)에 의해 외부 공기가 분기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방열부(31)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31)를 냉각한 공기는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30 may include a heat radiating unit 31 for radi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heat radiating unit 31 may be cooled by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40 may cool the heat dissipation unit 31 in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1 and the outside air is branched by a plurality of flow guides 4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The air cooled by the heat dissipation unit 3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재배 베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베드부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베드부의 내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ultivation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ultivation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 portion AA of Figure 4, Figure 7 B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 por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베드부(20)는 트레이(21)와 트레이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베드부(20)에는 양액 공급부(611)를 통해 상기 트레이(21)로 양액이 유입되거나, 상기 트레이(21)의 내부에 수용된 양액이 배출되는 돌출부(23)가 포함될 수 있다.4 to 8, the cultivation bed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y 21 and a tray cover 22. In addition, the cultivation bed part 20 may include a protrusion 23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tray 21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or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tray 21 is discharged.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트레이(2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의 내부는 상기 트레이(21)의 양액 수용 공간(2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1)의 개구된 일면은 상기 트레이 커버(22)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돌출부(23)의 개구된 일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3)의 개구된 일면을 통해 양액이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3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tray 21.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23 may communicate with the nutrient solution receiving space 211 of the tray 21. One open surface of the tray 21 may be covered by the tray cover 22, and one open surface of the protrusion 23 may be opened. That is, nutrient solu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cultivation bed part 20 through one ope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23.

상기 돌출부(23)에는 양액 공급부(611)의 일부가 통과하는 호스 통과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스 통과홀(231)은 상기 돌출부(23)의 측벽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스 통과홀(231)은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상기 본체부(10)로부터 탈부착 시, 상기 양액 공급부(611)가 통과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A hose passage hole 231 through which a part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passes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23. The hose through hole 231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protrusion 23. The hose passage hole 231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passes through when the cultivation bed part 2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art 10.

상기 돌출부(23)의 내부에는 내부 사이펀관(234)과, 사이펀 고정부(237)가 형성될 수 있다.An inner siphon tube 234 and a siphon fixing part 237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23.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은 상기 돌출부(23)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의 내부에는 양액 통과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액 통과홀(235)은 상기 돌출부(23)의 저면을 관통하고,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양액 수용 공간(211)에 수용된 양액은 상기 양액 통과홀(235)을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의 외측에는 후술할 외부 사이펀관(24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과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의 사이에는 사이펀 유로(2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수용된 양액은 상기 사이펀 유로(245)와, 상기 양액 통과홀(235)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inner siphon tube 234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23. In addition, a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may be formed in the inner siphon tube 234.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23, and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of the cultivation bed part 20 passes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be. An outer siphon tube 24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siphon tube 234. A siphon flow path 245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iphon tube 234 and the outer siphon tube 244.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may pass through the siphon flow passage 245 and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sequentially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사이펀 고정부(237)는 상기 돌출부(23)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고정부(237)는 복수개로 제공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사이펀 고정부(237)의 사이에 후술할 사이펀 지지부(2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사이펀 고정부(237)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는 상기 사이펀 고정부(237)의 사이에 끼임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펀 고정부(237)는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의 일부를 고정하고,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 리브"로 이해할 수 있다.The siphon fixing part 237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23. The siphon fixing part 237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siphon support part 24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phon fixing parts 23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iphon support part 243 is slidably moved between the siphon fixing parts 23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iphon support part 243 may be clamped between the siphon fixing parts 237. That is, the siphon fixing part 237 may be understood as a "guide rib" for fixing a part of the siphon support part 243 and allowing the siphon support part 243 to slide.

상기 돌출부(23)의 내부에는 사이펀부(24)와, 필터부재(25)와, 오버플로어관(2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부(24)는 상기 돌출부(23)의 내부에서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과 연동하여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수용된 양액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25)는 상기 사이펀부(24)로 토출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어관(26)은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공급되는 양액이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유입된 양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The siphon portion 24, the filter member 25, and the overflow tube 26 may be disposed in the protrusion 23. The siphon part 24 may discharge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to the outside in cooperation with the inner siphon tube 234 in the protrusion 23. The filter member 25 may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siphon portion 24. The overflow tube 26 may be understood as a passage for prevent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from flowing above the set water level and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above the set water level.

이하에서는 상기 돌출부(23)의 내부에 배치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disposed in the protrusion 2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사이펀부(24)는 사이펀 본체부(241), 양액 유입구(242), 사이펀 지지부(243), 외부 사이펀관(2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phon part 24 may include a siphon body part 241, a nutrient solution inlet 242, a siphon support part 243, and an external siphon tube 244.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는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2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는 상기 돌출부(23)의 내측에 끼임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는 상기 돌출부(23)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iphon body 241 may form a body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protrusion 23. The siphon body portion 241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siphon body portion 241 may be configured to be clamped inside the protrusion 23. The siphon body 241 may maintain a state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23.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에는 상기 양액 공급부(611)로부터 양액이 유입되는 양액 유입구(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액 유입구(242)는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의 일부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액 유입구(242)는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의 일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일부가 상기 트레이(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양액 유입구(242)에 의해 상기 양액 공급부(611)로 유입되는 양액의 일부가 외부 공간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iphon body part 241 may have a nutrient solution inlet 242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flows from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art 611.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may be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siphon body portion 241 is opened.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siphon body part 241 is opened and the opened part is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tray 21. A por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into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may be prevented from splashing into the external space by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formed to be ben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tray 21.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에는 사이펀 지지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는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는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는 서로 이격되는 사이펀 고정부(237)의 사이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될 수 있다. The siphon support part 243 may be formed in the siphon body part 241. The siphon support part 243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siphon body part 241. In this embodiment, the siphon support 243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iphon body 241. In addition, the siphon support part 243 may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siphon fixing parts 237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에는 외부 사이펀관(2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은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은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과 상기 양액 유입구(24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은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양액 유입구(242)는 상기 사이펀 본체부(24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액 유입구(242)와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의 사이에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펀 지지부(243)는 상기 양액 유입구(242)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이 배치되는 공간을 서로 구분할 수 있다. An outer siphon tube 244 may be formed in the siphon body portion 241. The outer siphon tube 244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siphon body 24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siphon tube 244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iphon body portion 241. In addition, the outer siphon tube 244 and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outer siphon tube 244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iphon body portion 241, and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iphon body portion 241. In addition, the siphon support part 24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and the external siphon tube 244. That is, the siphon support 243 may distinguish a space where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is disposed from a space where the external siphon tube 244 is disposed.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의 저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의 외면과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의 내면은 서로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에 상기 사이펀 유로(2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의 저면과 상기 돌출부(23)의 저면은 서로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으로 양액이 유동할 수 있다. The inner siphon tube 234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siphon tube 244. To this end,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siphon tube 244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up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iphon tube 234 disposed inside the outer siphon tube 24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iphon tube 24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iphon flow passage 245 may be formed in the space. have.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siphon tube 24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2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nutrient solution may flow into the space.

상기 외부 사이펀관(244)은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과 연동하여 사이펀 유로(24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유로(245)는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수용된 양액이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유입되어 상기 양액에 가해지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수용된 양액이 상기 사이펀 유로(245)를 통해 상기 양액 통과홀(235)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유로(245)를 통해 양액이 유동되기 시작하면, 연속적으로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수용된 양액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수용된 양액의 대부분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유로(245)는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수용되는 양액이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유입될 경우에, 양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outer siphon tube 244 may form a siphon flow path 245 in conjunction with the inner siphon tube 234. The siphon flow passage 245 is a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receiving space 211 is introduced into the nutrient solution receiving space 211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applied to the nutrient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space 211 or more. It may flow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through hole 235 through. When the nutrient solution starts to flow through the siphon flow path 245,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is continuous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most of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be. The siphon flow path 245 may discharge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outside when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is introduc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상기 필터부재(25)는 상기 사이펀 유로(2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25)는 상기 사이펀 유로(245)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25)는 상기 사이펀 유로(245)와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25)는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의 이물질이 상기 사이펀 유로(245)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양액 저장부(60)로 회수되는 양액이 청결해지도록 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25 may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phon flow passage 245. The filter member 25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siphon flow path 245. That is, the filter member 2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phon flow passage 245 and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space 211. The filter member 25 may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from flowing into the siphon flow path 245 to clean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ed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상기 오버플로어관(26)은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어관(26)은 상기 돌출부(23)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어관(26)은 상기 내부 사이펀관(234)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오버플로어관(26)은 상기 돌출부(2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어관(26)의 내측에는 오버플로어 유로(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어 유로(261)는 상기 오버플로어관(26)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3)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어 유로(261)는 상기 사이펀 유로(245)보다 높은 수위에 도달한 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유로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펀 유로(245)를 통해 양액이 배출되지 못하거나, 상기 사이펀 유로(245)를 통해 배출되는 양액의 양이 공급되는 양액의 양보다 적은 경우에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수위가 상승된 양액이 상기 오버플로어 유로(2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overflow tube 26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phon tube 234. The overflow tube 26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protrusion 23 protrudes upward. The overflow tube 26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more than the inner siphon tube 23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verflow tube 26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protrusion 23. An overflow passage 261 may be formed inside the overflow tube 26. The overflow passage 261 is formed inside the overflow tube 26 and may penetrate the protrusion 23. The overflow flow passage 261 may be understood as a flow passage for discharging nutrient solution having reached a higher level than the siphon flow passage 245. For example,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flow passage 245 or the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flow passage 245 is less than the amount of the supplied nutrient solution, the level is raised above the set level.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verflow passage 261.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의 본체부(10)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유동하는 물받이부(2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28)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28)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양액 통과홀(2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양액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부(28)의 일부는 상기 양액 회수부(612)와 연결되어 상기 양액 통과홀(235)을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상기 양액 저장부(60)로 유동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portion 10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p tray 28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flows. The drip tray 28 may be disposed below the cultivation bed 20. The drip tray 28 may accommodate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of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n addition, a part of the drip tray 28 may be connected to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12 to flow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이하에서는 상기 물받이부(28)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rip tray 2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물받이부(28)는 물받이 본체부(281), 함몰부(282), 제1경사부(283), 제2경사부(284), 양액 토출구(28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p tray 28 may include a drip main body 281, a depression 282, a first slope 283, a second slope 284, and a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 285.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는 상기 물받이부(28)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는 내측으로 상기 양액 통과홀(235)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drip body 281 may form the body of the drip tray 28. The drip tray main body 281 may be formed to allow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to flow inward.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에는 상기 함몰부(2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82)에는 상기 트레이(2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1)가 상기 함몰부(282)에 배치되면,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양액 통과홀(235)을 통과해서 배출되는 양액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되는 양액이 원활하게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로 배출될 수 있다. The depression 282 may be formed in the drip main body 281. The recessed part 282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drip main body 281. A portion of the tray 21 may be disposed in the recess 282. When the tray 21 is disposed in the recess 282, the protrusion 23 may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drip tray main body 281. That is,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may be prevented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d nutrient solution may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drip main body 281.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에는 제1경사부(283)와 제2경사부(28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283)와 상기 제2경사부(284)는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의 저면 일부는 상기 제1경사부(283)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의 나머지 저면 일부는 상기 제2경사부(28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The drip body 281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ortion 283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284. 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4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drip main body portion 281.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p body portion 281 may be defin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and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p body portion 281 may be defined by the second slope portion 284. .

상기 제1경사부(283)는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의 저면 일부가 후술할 양액 토출구(285)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284)는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의 나머지 저면 일부가 상기 제1경사부(283)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경사부(284)는 상기 제1경사부(283)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283)는 상기 양액 토출구(285)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283)는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로 배출되는 양액을 상기 양액 토출구(285)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부(284)는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로 배출되는 양액 중 상기 물받이 본체부(281)의 내측으로 튀는 양액의 일부를 상기 제1경사부(283)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물받이부(28)의 내부로 배출되는 양액은 상기 제1경사부(283) 및 상기 제2경사부(284)에 의해 상기 양액 토출구(285)로 유동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toward a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 28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p main body 281.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of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p main body 281. That is,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4 may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may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285. 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may flow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drip main body 281 in the direction toward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 285.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4 is a por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splashing inwardly of the drip main body 281 of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drip main body 281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It can be made to flow. That is,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into the drip tray 28 may flow to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 285 by the first slope 283 and the second slope 284.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베드부에서 양액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ip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양액 공급부(611)를 통해 양액(N)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양액은 사이펀부(24)의 양액 유입구(24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양액 유입구(242)를 통과한 양액은 상기 트레이(21)의 양액 수용 공간(211)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유입된 양액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포트홀(221)에 파종된 식물은 뿌리를 통해 수위가 높아진 양액으로부터 양분을 얻을 수 있다. 9 and 10, when the nutrient solution N is supplied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the supplied nutrient solu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of the siphon unit 24. The nutrient solutio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inlet 242 may be introduced into the nutrient solution receiving space 211 of the tray 21. When the water level of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nutrient solution receiving space 211 is increased, the plant sown in the port hole 221 of the cultivation bed 20 may obtain nutrients from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water level is increased through the root.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으로 유입되는 양액이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 저장된 양액은 상기 사이펀 유로(245)를 통과해서 양액 통과홀(235)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양액이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에서 일정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양액의 수압차에 의해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의 양액은 상기 사이펀 유로(245)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유로(245)로 유입이 시작된 양액은 연속적으로 상기 양액 통과홀(235)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 유로(245)로 양액의 대부분이 유입되고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양액은 상기 양액 통과홀(235)으로 미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in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space 211 is suppli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space 211 may pass through the siphon flow passage 245 to be discharged into the nutrient solution passing hole 235. . In detail, when the nutrient solution rises above the predetermined level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may be introduced into the siphon flow path 245 by the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of the nutrient solution. The nutrient solution that has started to flow into the siphon flow path 245 may be continuously discharged to the nutrient solution passing hole 235. When most of the nutrient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siphon flow path 245 and air is introduced, the nutrient solution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상기 사이펀 유로(245)로 유입된 양액은 상기 양액 통과홀(235)을 통과한 후 물받이부(28)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양액 통과홀(235)으로 배출되는 양액은 상기 양액 토출구(285)로 바로 유동되거나, 상기 물받이부(28)의 제1경사부(283) 및 제2경사부(284)에 의해 상기 양액 토출구(285)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양액 토출구(285)로 배출되는 양액은 상기 양액 회수부(612)를 통해 상기 양액 저장부(60)로 회수될 수 있다.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siphon flow path 245 may pass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water receiver 28. In detail,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235 flows directly to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 285 or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283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84 of the drip tray 28. The flow direction may be guid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285.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 285 may be recovered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60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612.

상기 사이펀 유로(245)로 양액이 모두 배출되면, 상기 양액 공급부(611)를 통해 상기 양액 수용 공간(211)으로 양액을 재 공급할 수 있다.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to the siphon flow path 245,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supplied to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ion space 211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611.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재배 베드부(20)에 공급되는 양액을 상기 사이펀부(24)를 통해 수월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재배 베드부(20)에 양액이 고여서 발생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unit 24, the problem caused by the nutrient solution is accumulated i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can be prevented. have.

한편, 상기 물받이부(28)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28)로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양액이 배출되는 중 상기 재배 베드부(20)가 이동될 경우, 상기 물받이부(28)로 배출되는 양액이 상기 물받이부(28)를 벗어나 양액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부(28)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시킬때,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물받이부(28)에 의해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상기 물받이부(28) 이외의 영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 베드부(20)로부터 양액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재배 베드부(20)에 파종된 식물의 관리가 수월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p tray 28 is disposed below the cultivation bed unit 20 may be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unit 20. Whe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s moved while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s discharged to the drip tray unit 28,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drip tray unit 28 is connected to the drip tray unit 28. The nutrient solution can escape. Accordingly, the drip tray 28 may exten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bed 20. That is, when sliding the cultivation bed unit 20 from the main body 10, the cultivation bed unit 20 by the drip tray 28 extending in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to the area other than the drip tray 28.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from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he cultivation bed unit 20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unit 10, so that the management of plants sown i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t can have an easy advantage.

1: 식물 재배 장치 10: 본체부
20: 재배 베드부 21: 트레이
22: 트레이 커버 23: 돌출부
24: 사이펀부 25: 필터부재
28: 물받이부 30: 광원부
40: 광원 냉각부 50: 제어부
1: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 main body
20: planting bed part 21: tray
22: tray cover 23: protrusion
24: siphon portion 25: filter member
28: drip tray 30: light source
40: light source cooling unit 50: control unit

Claims (10)

내측에 재배 공간과 전장실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재배 공간의 상방에 배치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재배 공간의 하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양액이 저장되는 재배 베드부;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고, 상기 재배 베드부로 공급될 양액이 저장되는 양액 저장부;
상기 양액 저장부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재배 베드부로 공급하는 양액 공급부;
상기 재배 베드부로부터 상기 양액 저장부로 양액을 회수하는 양액 회수부; 및
상기 재배 베드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재배 베드부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상기 양액 회수부로 유동시키는 물받이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 main body unit having a cultivation space and an electrical equipment room inside;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above the cultivation space and irradiating light;
A cultivation bed unit disposed below the cultivation space and having a nutrient solution stored therein;
A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dispos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and storing nutrient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unit;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a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to the culture bed;
A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nutrient solution from the cultivation bed unit to the nutrient solution storage unit; An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disposed below the cultivation bed, and includes a drip tray for flowing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to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내측으로 수집되는 물받이 본체부;
상기 물받이 본체의 저면 일부가 상기 양액 회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포함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rip tray part,
A drip main body for collecting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part inward;
And a slanted portion incli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ing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p tray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재배 베드부는, 상기 함몰부 상에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drip tray part,
A depression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with a portion of the cultivation bed,
The cultivation bed por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disposed on the depress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베드부의 일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재배 베드부가 상기 함몰부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재배 베드부의 물받이 본체부에 삽입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part of the cultivation bed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And a part of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drip main body of the cultivation bed part while the cultivation bed part is disposed on the depress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양액 공급부가 통과하기 위한 호스 통과홀이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trusions,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formed with a hose passage hole for pass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베드부의 일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에 저장된 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사이펀부;
상기 사이펀부를 통해 배출될 양액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사이펀부를 통해 미 배출되는 양액이 상기 물받이부를 향해 유동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어관이 포함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part of the cultivation bed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Inside the protrusion,
A siphon unit for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cultivation bed unit;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nutrient solution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portion; And
Plant overflow apparatus comprising an overflow tube for the non-drained nutrient solution flows through the siphon portion toward the drip tr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부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내부 사이펀 관;
상기 내부 사이펀 관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사이펀 관; 및
상기 내부 사이펀 관과 상기 외부 사이펀 관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펀 유로가 포함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iphon portion,
An inner siphon tube projecting upwardly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bed portion;
An outer siphon tu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siphon tube; And
And a siphon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inner siphon tube and the outer siphon tub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베드부에는, 양액이 배출되기 위한 양액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펀 유로는, 상기 양액 통과홀과 연통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ultivation bed portion,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for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The siphon flow pat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nutrient solution passing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베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 본체부는, 상기 재배 배드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재배 베드부에서 양액이 배출되는 양액 통과홀이 상기 재배 베드부의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ultivation bed portion is provid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drip tray main body extends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ultivation bed part, and the nutrient solution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bed part is located inside the body part of the cultivation bed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부를 냉각하기 위한 광원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냉각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광원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광원부를 향해 유동되도록 유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 및
상기 광원부를 냉각한 외기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토출하는 유출부;가 포함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further includes a light source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light source unit,
In the light source cooling unit,
An inlet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the light source;
A flow guide for guiding a flow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to flow toward the light source; And
And an outlet part for discharging the outside air cooled by the light source par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art.
KR1020180057300A 2018-05-18 2018-05-18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201901320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00A KR20190132078A (en) 2018-05-18 2018-05-18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00A KR20190132078A (en) 2018-05-18 2018-05-18 Plant cultiv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078A true KR20190132078A (en) 2019-11-27

Family

ID=6873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300A KR20190132078A (en) 2018-05-18 2018-05-18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2078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7985C1 (en) * 2020-12-30 2021-10-25 Александр Иосифович Селянский Method and device for growing plants in single or multi-tiered hydroponic installations
KR20220008082A (en)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20008113A (en)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20008098A (en)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20037242A (en) * 2020-09-17 2022-03-24 삼성물산 주식회사 Drwa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
WO2023096464A1 (en) * 2021-11-29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11758858B2 (en) 2020-07-13 2023-09-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082A (en)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20008113A (en)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20008098A (en) * 2020-07-13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US11758858B2 (en) 2020-07-13 2023-09-1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KR20220037242A (en) * 2020-09-17 2022-03-24 삼성물산 주식회사 Drwa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
RU2757985C1 (en) * 2020-12-30 2021-10-25 Александр Иосифович Селянский Method and device for growing plants in single or multi-tiered hydroponic installations
WO2023096464A1 (en) * 2021-11-29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078A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N111567390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111567392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111567389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115250899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US9591815B2 (en) Plant cultivation device, box, end section unit
KR102589645B1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CN111567391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JP2013034402A (en) Hydroponic device
JP2009005634A (en) System for supplying humidified air flow to each stage of raising shelf of multistage plant-raising device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U2019303291A1 (en) Cultivation device and cultivation method for solanaceous seedlings
KR102650746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20210047702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JP6063667B2 (en) Hydroponics equipment
US20230113737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CN111567381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982910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JP2016163596A (en) Hydroponics apparatus
KR20190089405A (en) Plant sel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08113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CN212692218U (en) Refrigeration device
JP2016136873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KR102589627B1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102075903B1 (en) Fa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