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910B1 -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910B1
KR101982910B1 KR1020160173961A KR20160173961A KR101982910B1 KR 101982910 B1 KR101982910 B1 KR 101982910B1 KR 1020160173961 A KR1020160173961 A KR 1020160173961A KR 20160173961 A KR20160173961 A KR 20160173961A KR 101982910 B1 KR101982910 B1 KR 10198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room
hydroponic culture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1128A (en
Inventor
김정웅
황언화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910B1/en
Publication of KR2018007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서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식물이 수경재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경재배실, 상기 수경재배실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기계실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사용함으로써, 식물 생장을 위한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부 및 상기 수경재배실에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서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식물이 수경재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경재배실, 상기 수경재배실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응축냉매관 내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사용함으로써, 식물 생장을 위한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부 및 상기 수경재배실에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type hydroponic culture room.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to which cool air is supplied,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in which a plant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as a separate space from the storage chamber so as to be hydroponically cultivable,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for plant growth by using condensation heat generated in a machine room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to which cool air is supplied;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in which plants provided in the main body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for plant growth by using water generated by an exothermic reaction in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and a water supply part for supplying water, And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the light.

Description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typ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본 발명은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히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지 않고, 기계실 내 응축기 및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활용하거나, 본체 구현예에 구비된 응축냉매관에서 발열되는 열을 활용함으로써 수경재배실 내의 온도 제어가 가능한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type hydroponic culture cha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type hydroponic culture cha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typ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capable of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hydroponic cultivation room by utilizing heat generated in the refrigerant pipe.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에 따라서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한다.The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room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uses the cool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circulating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refrigeration cycle to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by storing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본체에 마련되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팽창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Generally, a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a door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and a compressor, an evaporator, a condenser, and an expansion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최근에는 야채나 과일을 얻을 수 있는 식물을 집안 내부에서 키울 수 있는 소위 '식물공장'기능을 하는 식물 재배장치 또는 식물재배기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러한 식물재배장치 또는 식물재배기를 냉장고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자는 논의가 되고 있다.Recently, a plant growing apparatus or a plant growing apparatus which functions as a so-called " plant plant " capable of growing vegetables and fruits inside the house has become popular. By applying such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or a plant growing apparatus to a refrigerator, It is being discuss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rs.

저장실 내부에는 야채나 과일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서랍 형태의 특선실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선실은 저장실의 다른 부분과 다른 저장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그 내부에서 야채나 과일이 보다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다.Inside the storage room, there can be a drawer-shaped special room for storing vegetables or fruit, which keeps the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different from other parts of the storage room so that vegetables and fruits are kept fresh .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저장실 내부에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수경재배실을 구비하거나, 특선실의 온도 및 습도를 활용하여 해당 특선실 내부에 수경재배실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 hydroponic culture room for cultivating plants in the storage room is provided, or a hydroponic culture room is provided in the special room by utiliz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pecial room.

그러나 냉장고 내부에 설치하는 수경재배실의 경우 냉장고 내부 공간을 차지하여 적재용량이 줄어들고, 수경재배용 양액이 누설될 위험이 있어 특선실 내 또는 저장실 내 식품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case of hydroponic cultivation room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the load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may be reduced and the nutrient for hydroponic cultivation may leak, which may contaminate the food in the special room or the storage room.

아울러, 특선실 내부 또는 저장실 내부의 저온 조건 하에서는,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의 종류가 매우 한정되어 있고, 생장 속도도 더디기 때문에 작물의 수확에도 어려움이 존재한다. In addition, under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side the special room or inside the storage room, the kinds of crops that can be cultivated are very limited, and the growth speed is also slow, which makes crops difficult to harvest.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경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작물을 재배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열원이 구비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eparate heat source is provided to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growing the crop.

그러나, 수경재배실이 저장실과 구분되는 별도의 공간이 아닌 이상, 저장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냉기에 의해 해당 열원의 발열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unless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ing effect of the heat source may be lowered by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storage room.

아울러, 저장실과 구분되는 공간 내에 열원이 설치된다 하더라도, 해당 열원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 및 열원을 가동하기 위한 전력 소모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heat source is installed in the space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st for manufacturing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heat source and the power consumption for operating the heat source are increased.

본 발명은 냉장고 구현예에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 수경재배실을 설치함으로써 냉장고의 적재용량을 늘리고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수경재배실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작물 수확시 사용자가 편리하도록 설계된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is provided in a separate space from the storage room to increase the load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and to prevent the cool air inside the storage room from flowing into the hydroponic culture roo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hydroponic cultivation room designed to be convenient for a user to harvest.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수경재배실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열원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냉동 사이클 작동 시 기계실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수경재배실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열원 구성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어 냉장고의 제조 비용 및 전력 소모를 낮출 수 있는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heat source device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nventional hydroponic culture room, and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heat source configuration by supplying the condensation heat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hydroponic cultivation room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power consumption.

아울러, 본체 구현예에 구비된 응축냉매관에서 발생되는 열을 수경재배실로 공급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축할 수 있는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supplying heat generated from a condensed refrigerant tube provided in a main body embodiment to a hydroponic culture chambe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저장실 내부 또는 특선실 내부에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수경재배실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서, 수경재배실이 냉장고 내부 공간을 차지하여 적재용량이 줄어들고, 수경재배용 양액이 누설될 위험이 있어 저장된 식품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a hydroponic cultivation room for cultivating plants in the storage room or the special room is provided. As a result,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takes up the in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or, reducing the load capacity, and there is a risk of leakage of the nutrient solution for hydroponic cultivation, which may contaminate the stored food.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냉장고 구현예에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 서랍형의 수경재배실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냉장고의 적재용량을 개선시키면서, 냉장고의 저장실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수경재배실을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작물 수확시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drawer typ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is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from the storage room in the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orage room of the refrigerator neatly while improving the loading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and to open and close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by a draw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harvesting the crop.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동 사이클 작동 시 기계실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수경재배실로 공급함으로써 수경재배실 온도를 조절한다. 즉, 추가적인 에너지의 소모 없이 냉장고의 저장실을 운용하여 발생하는 열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is controlled by supplying the condensation heat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That is, the heat generated by operating the storage room of the refrigerator can be used without consuming additional energy.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응축냉매관이 수경재배실이 위치한 본체의 구현예에 구비됨으로써, 냉매관에서 발생되는 열을 통해 수경재배실 내의 온도를 제어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is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hydroponic culture room is located, there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 the hydroponic culture room through the heat generated in the refrigerant tub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실을 포함하는 냉장고는 종래 구비되던 별도의 열원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종래 수경재배실 내부에 설치된 열원장치와 같이 작물이 생장하기 위해 적합한 온도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provide a suitable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crops as it is in a conventional heat source device provided in a hydroponic cultivation room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heat source device can d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서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식물이 수경재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경재배실, 상기 수경재배실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기계실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사용함으로써, 식물 생장을 위한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부 및 상기 수경재배실에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to which cool air is supplied,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in which a plant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as a separate space from the storage chamber so as to be hydroponically cultivable,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for plant growth by using condensation heat generated in a machine room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으로서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 식물이 수경재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경재배실, 상기 수경재배실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응축냉매관 내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사용함으로써, 식물 생장을 위한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부 및 상기 수경재배실에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to which cool air is supplied,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in which a plant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provided as a separate space from the storage chamber,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for plant growth by using heat generated by an exothermic reaction in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and a water supply part for supplying water,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구현예에 저장실과 별도의 공간에 수경재배실이 설치되었으며 이 때 수경재배실은 전후방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서랍형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적재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is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from the storage room. In this case, the hydroponic culture room has a drawer type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At the same tim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수경재배실에 장착되는 열원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작물 재배에 적합한 상온조건으로 수경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기계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열 또는 수경재배실이 설치된 본체 구현예에 위치하는 응축냉매관의 열을 활용함으로써, 냉장고의 제조 비용 및 소비전력을 감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densation heat or hydroponic cultivation room generated inside the machine room is installed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can be adjusted to a normal temperature condition suitable for growing the crop without using the heat source device mounted in the conventional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By utilizing the heat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loc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refrigerator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후면도.
도 3은 도 2의 기계실 내 압축기와 응축기 간 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덕트실 내에서의 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흐름을 이용한 수경재배실 내 온도 제어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부를 나타낸 냉장고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수경재배실이 인출되었을 때 물탱크부의 전원이 off되거나 작동이 중단된 상태 및 수경재배실이 인입되었을 때 물탱크부의 전원이 on되거나 작동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the flow of heat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in the machine room of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heat in the duct chamber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flow of refrigerant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emperature control in a hydroponic culture room using a refrigerant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water supply uni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of the water tank unit is turned off or the operation is stopped when the drawer type hydroponic culture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out, and the water tank unit is turned on or in operation when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s pulled.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기계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을 활용한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drawer typ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utilizing condensation heat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의 후면도.도 3은 도 2의 기계실 내 압축기와 응축기 간 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덕트실 내에서의 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having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hydroponic culture chamber and a condenser.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heat in the duct chamber of FIG. 2.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00)의 측면에 마련되는 수경재배실(120)에는 기계실(160)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이 덕트실(140)을 통과함으로써 공급된다. 1 to 4, the condensation heat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160 is supplied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12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body 100 through the duct chamber 140.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는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Bottom freezer) 타입의 냉장고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제어 방법은 바텀 프리즈 타입과 다른 도어 배치 구조를 갖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제어 방법은 냉동실이 상부에 배치되고 냉장실이 하부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Top mount) 타입 또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각각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is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ing chamber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a freezing chamber. However, the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to all refrigerators having a door arrangement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ttom freeze type.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top mount type in which a freezing chamber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and a refrigerating chamber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r a side-by-side type in which a freezing chamber and a refrigerating chamber are disposed in left- It can also be applied to refrigerators.

다시 도 1을 참조해보면, 상기 수경재배실은 저장실 측면에 배치하고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서랍형의 구조를 가진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has a drawer-type structure that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chamber and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또한, 하부로는 수경재배실과 마주하고 측방으로는 저장실과 마주하는 공간에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0)을 포함하고, 수경재배실의 하부에는 배양액 공급부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130)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들은 냉장고의 전방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includes a storage space 110 in which a variety of objects can be stored in a space facing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and a side facing the storage room, and a space 130 ), The spaces being accessible from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 및 저장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저장실과 분리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응축기와 압축기가 내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100)가 마련된다. 그리고 냉장고에는 본체(100) 외에도 수경재배실(120)이 더 마련되며, 수경재배실(120)은 본체(100)의 저장실 및 기계실과 각각 분리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다. 이러한 수경재배실(120)은,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식물의 수경재배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00 including a storage chamber to which cool air is supplied and a machine room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and having a space separated from the storage chamber and having a condenser and a compressor.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hydroponic culture room 120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hydroponic culture room 120 forms a space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and the machine room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The hydroponic culture room 12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hydroponically grow plants in a space formed therei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종래 저장실 내에 구비되던 수경재배실에 의해 저하되었던 냉장고 적재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고, 작물 수확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improve refrigerator loading efficiency, which has been lowered by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storage room, and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in crop harvesting.

상기 수경재배실의 천정부에는 식물에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121)가 존재한다.In the ceiling portion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there is a light source unit 121 for irradiating the plant with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상기 광원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피크파장영역을 갖는 빛을 조사하며, 피크파장영역에 대한 조절이 가능한 LED를 광원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피크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LED를 집합체로서 구비하고, 이들 중 현재 수경재배하고 있는 식물의 생장에 보다 유리한 피크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LED를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emits light having at least two peak wavelength regions, and an LED capable of adjusting the peak wavelength region can be used as the light source unit. That is, a plurality of LEDs for emitting light having different peak wavelengths are provided as an aggregate, and an LED for irradiat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more favorable for the growth of plants currently hydroponically cultivated can be selectively lighted.

여기서, 광원부는 적어도 500에서 580nm사이의 피크파장을 가지는 빛, 예를 들어, 녹색 빛을 조사할 수 있는 LED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각각 개별적으로 온오프 제어된다. Here, the light source portion includes an LED capable of emitting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of at least 500 to 580 nm, for example, green light.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dividually on and off controlled.

또한, 천정부에 구비되는 광원부(121)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수경재배실 하부에 있는 식물까지 도달되기 위해서는 광투과성 재질인 트레이가 수경재배실에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는 수경재배실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가 광투과성 재질이며, 수경재배실 내벽면 표면이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면으로 구성되면, 광원에서 조사된 광 중 식물에 도달하는 광량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각 트레이마다 바로 상부에 광원을 설치하지 않고 수경재배실의 최상부 천장에만 광원을 설치하더라도 수경재배실 내부의 모든 식물에 광을 골고루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1 provided at the ceiling portion to reach plants below th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a tray, which is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As shown in FIG. When the tray is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the wall surface in the hydroponic culture room is constituted by a reflecting surface capable of reflecting light,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plant amo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can be further increas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if a light source is installed only on the top ceiling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without installing a light source directly on each tray, light can be uniformly irradiated to all the plants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기계실(160)이 마련된다. 기계실(160)은 본체(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저장실과 분리된 공간을 내부에 형성된다. 기계실(160) 내부에는,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에 있어서 발열이 일어나는 과정인 냉매의 압축과 응축이 이루어지는 압축기와 응축기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 과정은 기체 상의 냉매를 기계적으로 압축하여 고압으로 압축하는 것으로 1기압의 냉매가 대략 3기압까지 압축되며, 등엔트로피 곡선을 따라 냉매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냉매의 온도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응축 과정은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응축, 즉 액화되며 방열하는 것으로, 냉동 사이클의 상기 두 과정에서 발생한 열은, 저장실에서 흡수된 열과 압축 과정에서 행한 일 등이 모두 포함되므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온도를 조성하기 위한 열원으로서 충분하다.A machine room 160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00. The machine room 16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00 and has a space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In the machine room 160, there is formed a space for compressing and condensing the refrigerant, which is a process of generating heat in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tor, and a space required for the condenser to operate. The compression process compresses the gaseous refrigerant mechanically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at a high pressure so that the refrigerant at 1 atm is compressed to about 3 atmospher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rises along with the refrigerant compression along the isentropic curve. In addition, the condensation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the gas refrigerant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condensed, that is, liquefied and dissipated,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above two processes of the refrigeration cycle includes the heat absorb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the work performed in the compression process. It is sufficient as a heat source for forming a necessary temperature.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기계실(160) 내 냉동사이클 작동시 발생되는 열은 송풍팬(162)에 의해 유동하는 가열된 공기의 형태로서, 제1연통구(142)를 통해 상기 덕트실(140) 내부로 들어와 덕트실(140) 내부를 따라 유동한 후 제2연통구(145)를 통해 수경재배실(1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in the machine room 16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in the form of heated air flowing by the air blowing fan 162 and flow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opening 142 into the duct chamber 140, And then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duct chamber 14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ng port 145. In this case,

상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상승된 수경재배실 내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단속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수경재배실의 온도는 현재 수경재배하고 있는 식물의 생장 조건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The temperature in the hydroponic culture room raised by the supplied heat can be detected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is controlled so as to maintain a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hydroponic plant.

식물마다 생장에 필요한 최적의 기온은 다른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각 식물의 최적의 생장 온도는 수경재배실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관리된다. 수경재배실의 제어부는 마이콤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마이콤에는 각 식물에 대응하여 최적의 생장 온도가 저장된다.The optimum temperature for growth of each plant is different, and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each plant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The control section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can be operated by a microcomputer, and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is stored in the microcomputer corresponding to each plant.

사용자는 냉장고의 저장실 또는 수경재배실 전면에 마련된 터치 디스플레이 등의 제어패널을 통해 현재 식생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식물의 생장을 위한 최적의 생장온도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마이콤에는 상기 식물의 최적의 생장온도, 즉 온도 제어의 목표치가 로딩된다.The user can select the kind of plants that are currently vegetated through a control panel such as a touch display provided in the storage room of the refrigerator or the hydroponic culture room or directly input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for plant growth. Then,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the plant, that is, the target value of temperature control, is loaded in the microcomputer.

마이콤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출력, 즉 측정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현재 수경재배실의 온도가 목표치에 못 미치는 경우, 기계실의 온기가 지속적으로 수경재배실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수경재배실의 온도가 목표치를 넘게 되는 경우 기계실에 온기가 공급되는 차단하도록 제어한다.The microcomputer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output of the temperature sensor, that is, the measured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is lower than the target value, the warmth of the machine room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 Converse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exceeds the target valu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warm air is supplied to the machine room.

이러한 온기 공급 여부의 제어는 댐퍼(15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제어와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할 덕트실의 구조를 설명하며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of the supply of heat can be performed by the damper 151, and the control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structure of a duct chamber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계실 내부의 냉동사이클은,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161)와,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163) 및 응축기에서 발열되는 열을 식히기 위한 송풍팬(16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은 도 3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발생하도록 공기를 가압한다. 그리고 송풍팬에 의해 가압된 공기는 송풍팬의 전방으로 유동하며 응축기(163)의 열을 흡수하고, 또한 압축기(163)를 지나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도 흡수하게 된다. 즉 기존의 송풍팬 구조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설치 위치는, 단순히 응축기의 방열을 돕는 것에서 더 나아가, 압축기의 열도 흡수함으로써 보다 더 고온의 공기를 만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열을 흡수한 공기는 제1연통구(142) 를 통해 덕트실(140)에 유입된다.3, the refrigeration cycle in the machine room includes a compressor 161 for compressing refrigerant, a condenser 163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and a blower fan 162 for cool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condenser . The air blowing fan presses the air so as to generate an air flow in the direction shown by the arrows in Fig. The air pressurized by the blowing fan flows forward of the blowing fan to absorb the heat of the condenser 163 and also absorbs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pressor through the compressor 163. In other words, unlike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fan structu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ntilation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facilitates the heat radiation of the condenser, but also absorbs the heat of the compressor, thereby producing higher temperature air. The heat absorbed air flows into the duct chamber 14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2.

도 3에는 송풍팬의 토출면이 응축기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송풍팬의 흡입면이 응축기를 향하고 있어 응축기를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가 송풍팬에 유입된 후 송풍팬에서 토출되어 압축기를 지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3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blowing fan discharges air toward the condenser. However, since the suction surface of the blowing fan faces the condenser, the heated air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discharged from the fan and passed through the compressor.

도 2를 참조하면, 덕트실(140)은 수경재배실(120)과 나란히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공간에 마련되어 기계실과 수경재배실(12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덕트실(140)은, 상하로 나란히 연장되며 좌우로 배치된 제1공간(140-1)과 제2공간(140-2)을 포함하는 덕트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본체는 하부로는 기계실과 중첩되는 부분까지 연장되고 상부로는 상기 수납공간(110)의 밑부분까지 연장된다. 2, the duct chamber 140 is provided in a space extending to face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120 so as to form a passage connecting between the machine room and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120. Referring to FIG. 4, the duct chamber 140 includes a duct body including a first space 140-1 and a second space 140-2, which exten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duct body extends to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machine room at a lower portion and extends to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0 at an upper portion.

상기 덕트본체의 제1공간(140-1)은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계실과 마주하고, 상기 기계실과 마주하는 부분에 상술한 제1연통구(14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간의 앞면은 상기 수경재배실과 마주한다. 상기 제2공간(140-2)은 상기 제1공간과 나란히 배치되며, 앞면이 상기 수경재배실과 마주하고, 상기 제1공간과 마주하는 면의 대향면은 상기 냉장고의 외부와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향면에는 제2연통구(145)가 마련되어, 이를 통해 덕트실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one side of the first space 140-1 of the duct body faces the machine room, an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2 is provided at a portion facing the machine room.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pace faces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The second space 140-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pace,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pace 140-2 faces th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space faces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On the opposite surface, a second communication hole 145 is provided to allow the air in the duct chamb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기계실과 마주하는 제1공간 및 상기 냉장고 외부와 마주하는 제2공간은 구획부(141)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141)의 하단부로서 상기 제1연통구(142)와 대응하는 높이 부분에는 제3연통구(141-3)가 마련된다. 상기 제1연통구, 제3연통구 및 제2연통구(145)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pace facing the machine room and the second sp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ing part (141). A third communication hole 141-3 is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2 as a lower end of the partition 141.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45 may be provid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도 4의 (b)와 (c)를 참조하면, 상기 댐퍼(151)는 상기 제3연통구(141-3)를 차폐하는 위치와, 상기 제1공간(140-1)의 하부를 차폐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b) and 4 (c), the damper 151 shields the third communicating hole 141-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40-1 Position.

앞서 설명한 제어부는, 수경재배실의 온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151)가 제3연통구(141-3)를 차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제1연통구(142)를 통해 기계실(160)로부터 유입된 따뜻한 공기는, 제1공간(140-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온기는 제1공간(140-1)의 전방에 마련된 공기유입통로(143),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식물이 식생되어 있는 수경재배실(120)의 트레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통로(143)를 통해 수경재배실(120) 내부로 유입되어 수경재배실(120) 내부의 공기를 데워 수경재배실(120)의 온도를 상승시킨다.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s low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controls the damper 151 to move to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141-3, as shown in FIG. 4 (b) So as to be located at a shielding position. The warm air introduced from the machine room 16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2 moves upward along the first space 140-1. These warmths ar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ace defined by the air inflow passage 143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first space 140-1, more specifically, the tray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120 in which vegetation is vegetate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120 through the air inflow passage 143 formed in the bottom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120 and warms the air inside the hydroponic culture room 120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120.

제2공간(140-2)의 전방으로서, 상기 수경재배실과 마주하는 벽면에는, 상기 수경재배실의 트레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유출통로(14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통로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으로 인해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상기 수경재배실 내부의 공기는 즉시 상기 공기유출통로(144)를 통해 제2공간으로 유출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pace 140-2 is provided with an air outflow passage 14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ace defined by the tray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Therefore, the air in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which is increased in pressure due to the inflow of air into the inside through the air inflow passage, immediately flows out 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air outflow passage 144.

그리고 이렇게 제2공간으로 유출된 공기는 제2공간의 하부에 마련된 제2연통구(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into the secon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45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

한편 상기 제어부는, 수경재배실의 온도가 해당 식물의 식물 생장 조건에 대응하는 최적의 온도로서, 상기 마이콤에 로딩된 설정 온도보다 더 상승하는 경우, 기계실의 공기가 수경재배실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를 한다. 이러한 제어는 상기 댐퍼(151)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의 하부를 막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은 차폐하고 상기 구획부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제3연통구(141-3)를 개방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is the optimum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plant growth condition of the plant and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loaded on the microcomputer, . This control allows the damper 151 to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damper 151 block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as shown in FIG. 4 (c), so that the first space is shielded and the third The communication port 141-3 is opened.

그러면 기계실에서 제1연통구(142)를 통해 덕트실(14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3연통구를 지나서 상기 제2연통구(145)로 토출된다. 즉 댐퍼(151)의 위치에 따라, 기계실의 공기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경재배실에 유입되어 수경재배실을 데우고 배출되거나,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경재배실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하여 바로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chamber 14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42 in the machine room is discharg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45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amper 151, the air in the machine room flows in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as shown in FIG. 4 (b), warms up the hydroponic culture room and is discharged, Bypas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and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술한 제1연통구, 제2연통구 및 제3연통구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연통구를 통해 덕트실로 유입된 공기가 수경재배실을 거치지 않고 제3연통구를 통해 바이패스하여 제2연통구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다른 위치로도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The posi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chamb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not passed through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to any other position as long as it can be discharged smoothly to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by bypassing through the sphere.

또한 앞서 설명하였던 공기유입통로(143)와 공기유출통로(144)의 배치 높이 역시, 공기의 유동 해석 등을 통해 수경재배실 내에서의 공기의 순환과 섞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위치라면, 도시된 위치 외에도 다양한 위치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air inlet passage 143 and the air outlet passage 144 as described above is also a position where the circulation and mixing of air in the hydroponic culture room can be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ir flow,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to various positions other than the illustrated positions.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는, 종래 구비되던 별도의 열원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냉장고 내 기계실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을 이용하여 작물이 생장하기 위해 적합한 온도를 그대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경재배실의 온도 제어를 함에 있어서도,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측정하여 단순히 댐퍼가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제어하는 것 만으로 수경재배실 내부의 온도를 식물 생장에 대한 최적의 온도로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can provide a proper temperature for growing crops by using the heat of condensation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in the refrigerator without having a separate heat source device, Power can be reduced. Also, i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it is possible to easily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at the optimal temperature for plant growth simply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and simp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damper.

[응축냉매관에서 방열되는 열을 활용한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drawer typ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utiliz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흐름을 이용한 수경재배실 내 온도 제어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flow of refrigerant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velopment view illustrating temperature control in a hydroponic culture room using a refrigerant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며 식물이 수경재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경재배실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후방 하부에 마련된 기계실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에는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된다.5,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to which cool air is supplied, and a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hydroponically growing plants, And a machine room provided at a rear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of the refrigeration cycle ar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은,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1) 및 압축기(161)의 일측에 배치되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응축기(163)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응축냉매관(170)과, 상기 응축냉매관(170)의 냉매를 팽창시켜 압력을 낮춰주는 캐필러리 튜브와, 상기 캐필러리 튜브에 의해 압력이 낮아진 냉매가 유입하여 증발하는 증발기(164)를 포함한다. 증발기(164)는 냉동실과 이너케이스 사이의 냉각실에 구비되어, 냉동실을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냉동실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열을 흡수하고, 이에 따라 냉동실은 차가워진 공기가 순환하여 냉동이 이루어진다.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161) disposed inside a machine room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condenser (163)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ompressor (161) to radiate the compressed refrigerant, A condenser tube 170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 capillary tube 170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170 to lower the pressure, and a refrigerant whose pressure is lowered by the capillary tube, And an evaporator (164). The evaporator 164 is provided in a cooling chamber between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inner case and absorbs heat of air circulating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by heat exchange with air flowing in the freezer compartment so that the cold air is circula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

응축기(163)의 유출측에서 나온 응축냉매관은 밸브(172)에 의해 분기되어 제1응축냉매관(170-1)과 제2응축냉매관(170-2)으로 나뉘어진다. 제1응축냉매관(170-1)은 냉장고 도어에 마주하는 도어테두리를 따라 매설되는 핫라인을 구성하고, 핫라인을 구성한 뒤 다시 제2응축냉매관(170-2)과 합류점(173)에서 합류하여 캐필러리 튜브를 지나 증발기(164)로 유입된다,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emerging from the outlet side of the condenser 163 is divided by the valve 172 into the first condensed refrigerant tube 170-1 and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tube 170-2. The first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1 constitutes a hot line buried along the rim of the door facing the refrigerator door and forms a hot line and joins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2 at the confluence point 173 Passes through the capillary tube and flows into the evaporator 164,

그리고 상기 제2응축냉매관(170-2)은 상기 냉장고 본체와 상기 수경재배실이 마주하는 냉장고 측벽에 매설되어 본체(100)의 측벽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알루미늄 테이프에 의해 매립되고, 앞서 설명한 제1응축냉매관(170-1)과 모세관의 상류측에서 상호 합류된다. 여기서, 응축냉매관(170)은 응축기(163)로부터 방열된 열이 고내로 다시 유입되는 단열부하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 및 관경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2 is embedded in a sidewall of the refrigerator facing the refrigerator main body and the hydroponic culture compartment and is buried in a sidewall of the main body 100 in a zigzag shape along an up- And merges with the first condensing refrigerant pipe 170-1 described above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apillary tube.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 is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length and diameter in consideration of an adiabatic loading amount of the heat radiated from the condenser 163 back into the cavity.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응축기(163)를 경유한 냉매 중 일부는 본체(100)의 측벽에 매입된 제2응축냉매관(170-2)을 경유하면서 방열된다. 제2응축냉매관(170-2)이 매립된 본체의 측벽에는 수경재배실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응축냉매관으로부터 방열된 열에 의해 수경재배실 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방열되는 열에 의해 상승된 수경재배실 내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a part of the refrigerant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163 is radi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2 buried in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00. [ Since the hydroponic culture room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body in which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2 is embedded, the temperature in the hydroponic culture room is raised by the heat radiated from the condensed refrigerant pipe. The temperature in the hydroponic culture room raised by the heat released by the heat can b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여기서,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경재배실 내의 온도가 식물의 생육을 위한 소정의 온도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어부가 상기 제2응축냉매관(170-2)으로 이동하는 냉매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밸브(172)를 조절하여 응축된 냉매가 제2응축냉매관(170-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1응축냉매관(170-1) 쪽으로 유동하도록 제어한다. Here, when the temperature in the hydroponic culture room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for growing the pla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low amount of the refrigerant moving to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2 And controls the valve 172 to prevent the condensed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2 and to flow toward the first condensed refrigerant pipe 170-1.

증발기로 유입된 냉매는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고 압축기(161)의 흡입측에 형성된 어큐뮬레이터의 내부로 유입된다. 어큐뮬레이터에서 기체상태의 냉매는 다시 압축기(161)로 흡입되어 압축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vaporator is absorbed by the surrounding latent heat and evaporated, and flows into the accumulator form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161. The refrigerant in the gaseous state in the accumulator is again sucked into the compressor 161 and compressed, and then the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냉장고는, 종래 구비되던 별도의 열원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응축냉매관에서 방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작물이 생장하기 위해 적합한 온도를 그대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 냉장고 후면에 배치하였던 응축냉매관의 위치를 수경재배실과 인접하는 냉장고 측면으로 배치하고, 여기에 흐르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provide a suitable temperature for growing a crop by using the heat radiated from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without providing a conventional separate heat source device, Power can be reduce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by arr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in the past to the side of the refrigerator adjacent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and adjusting the amount of refrigerant flowing there.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별도의 발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제2응축냉매관의 매설 위치를 냉장고 본체의 후면에서 수경재배실과 인접하는 측면으로 변경하며, 상기 제2응축냉매관으로 흐르는 냉매를 필요한 경우 제1응축냉매관 쪽으로만 바이패스 시키는 밸브(172)를 추가함으로써,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온도의 제어를 위한 식물 종류의 입력과 마이컴에 의해 밸브가 제어되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댐퍼(151)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buried position of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tube is chang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body to the side adjacent to the hydroponic room, without adding a separate heat-generating component,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tube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at an optimum state by adding the valve 172 for bypassing only to the first condensed refrigerant pipe. The input of the plant typ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the manner in which the valve i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are the same as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mper 151 described above,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수경재배실의 물 공급 구조][Water Supply Structure of Hydroponic Cultivation Room]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에 구비된 수경재배실에 어떻게 물이 공급될 수 있는지 그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how th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hydroponic culture room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부를 나타낸 냉장고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수경재배실이 인출되었을 때 물탱크부의 전원이 off되거나 작동이 중단된 상태 및 수경재배실이 인입되었을 때 물탱크부의 전원이 on되거나 작동 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a water supply uni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ater tank unit is turned off or stopped when a drawer type hydroponic culture cha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aken out,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of the water tank unit is turned on or in operation when the water tank is brought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부는 기계실 내부에 마련되는 물탱크부(180), 상기 물탱크부(180)의 물을 수전(184)을 통해 상기 수경재배실 내 상부 트레이로 공급하는 공급펌프(181) 및 상기 공급펌프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작동편(182a)과 잭(182b)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tank 180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a supply pump 183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180 to the upper tray in the hydroponic culture room through a water receiver 184, (181) and an operating piece (182a) and a jack (182b) for controlling whether the supply pump is operated or not.

물탱크부(180)는 기계실에 위치하며, 상술한 증발기(164)에서 발생한 제상수, 즉 증발기(164)에 부착된 성에가 제상되어 발생한 제상수를 수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증발기(164) 주변에는 증발기(164) 주변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제상수를 물탱크부(180)로 이송하기 위한 관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부(180)에는, 수경재배실에 공급된 후 다시 돌아온 물이 필터 등에 의해 걸러진 후 다시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물탱크부(180)의 물이 부족할 때에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공급되는 정화수의 일부가 물탱크부(180)로 보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로 정화된 물, 즉 정화수 또는 얼음이 공급될 수 있도록 냉장고에 마련된 장치이며, 이 디스펜서에 디스펜서 도관이 연결됨으로써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정화수가 물탱크부(180)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The water tank 180 is located in the machine room and can be used as a water source for the defrost water generated by the evaporator 164, that is, the defrost water generated by the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164. A channel for collecting the defrost water generated around the evaporator 164 and for conveying the collected defrost water to the water tank 18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evaporator 164. , Water that has been supplied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and then returned to the water chamber may be filtered and then refilled. 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80 is insufficient, part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may be replenished with the water tank 180. Here, the dispenser is a devic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so that purified water, that is, purified water or ice, can be supplied even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not opened. The dispenser conduit is connected to the dispenser, so that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dispenser 180, respectively.

상기 물탱크부(180)의 물은 도관(183)을 통해 수경재배실에 공급되는데, 상술한 도관(183)은 냉장고 본체(100)와 수경재배실(120) 사이의 측벽에서 수경재배실 쪽 면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수경재배실(120)의 상부까지 연결된다. 그리고 수경재배실의 상부에는 수전이 마련되어 있어 도관의 물을 수경재배실의 최상단의 트레이에 공급하게 된다.The water in the water tank 180 is supplied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through a conduit 183 so that the conduit 183 can pass from the side wall between the refrigerator body 100 and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120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120 in such a manner that it is installed on the surface. In addition, there is a faucet at the top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to supply the water from the conduit to the tray at the top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최상단의 트레이에 공급된 물은, 최상단의 트레이를 채운 후 소정의 수위를 넘어서는 경우 그 바로 하단의 트레이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은 최상단에서부터 최하단의 트레이까지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다시 물탱크부(180)로 리턴하게 된다.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most tray is supplied to the tray immediately below the uppermost tray when the uppermost tray is filled. In this manner, the water is sequentially supplied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lowermost tray, and is returned to the water tank portion 180 again.

물탱크부(180)의 높이는 트레이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물탱크부(180)의 물은 펌프(181)에 의해 가압되어 트레이로 공급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수경재배실의 서랍을 열어 트레이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물이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여야만 펌프(181)가 작동하여 수경재배실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ince the height of the water tank portion 180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ray, the water in the water tank portion 180 is pressurized by the pump 181 and supplied to the tray. However, when the user opens the drawer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room and pulls out the tray, the supply of water should be block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when the tray is fully drawn, the pump 181 is operated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작동편(182a)와 잭(182b) 구조를 적용하여 펌프의 작동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물탱크부(180)의 물이 수경재배실에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즉 수경재배실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트레이의 작동편(182a)이 잭(182b)과 맞물려 펌프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거나 펌프가 작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반면 수경재배실의 트레이를 인출하면 상기 작동편(182a)이 잭(182b)으로부터 이탈하여 펌프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펌프가 작동하는 것이 차단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182a and the jack 182b is applied to control whether the pump is operated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180 is supplied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s closed, the operating piece 182a of the tray is engaged with the jack 182b to allow power supply to the pump, or the pump is allowed to oper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y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is drawn out, the operation piece 182a is separated from the jack 182b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pump or the operation of the pump is blocked.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경재배실의 트레이 후방에는 작동편(182a)이 후방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수경재배실의 후면 벽에는 상기 작동편(182a)와 대응하여 마주하는 위치에 잭(182b)이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작동편(182a)이 잭(182b)으로부터 이탈된다. 잭(182b)은 작동편이 이탈된 경우 작동편이 이탈되었음을 알리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operation piece 182a is provided at the back of the tray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so as to protrude rearward. The rear wall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s opposed to the operation piece 182a And a jack 182b is provided at the position. When the tray is drawn out, the operating piece 182a is released from the jack 182b. The jack 182b may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ng member has disengaged when the operating member is disengaged,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pump.

반면 수경재배실의 트레이가 정위치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작동편(182a)이 잭(182b)과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잭에서 제어부에 아무런 신호를 전송하지 않거나, 작동편(182a)이 맞물려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필요할 때 펌프(181)를 작동시키는 제어를 허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piece 182a engages with the jack 182b when the tray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s pulled in the right position. In this state, no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jack to the control unit, or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member 182a is engage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ereby allowing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pump 181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잭(182b)이 전기적인 신호로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잭(182b)은 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의 단락을 결정하는 스위치의 기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잭(182b)이 작동편(182a)에 의해 맞물리거나 눌린 상태에서는 펌프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치가 닫히고(연결되고), 작동편(182a)이 잭(182b)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는 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스위치가 열리는(차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ck 182b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as an electrical signal. However, the jack 182b may be implemented as a function of a switch for determining a short circuit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pump. That is, when the jack 182b is engaged or pressed by the operating piece 182a, the switch is closed (connected)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pump, and when the operating piece 182a is detached from the jack 182b, It is possible that the switch is opened (blocked) so that the power source is shut off.

또한 이 외에도, 잭(182b)은 도관(183)의 물 유동 경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방식으로 물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잭(182b)이 작동편(182a)과 체결된 상태에서는 잭이 도관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지만, 잭(182b)으로부터 작동편(182a)이 이탈하면 도관을 폐색하여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면 펌프가 작동하더라도 물은 폐색된 도관에서 유동이 저지되고, 이에 따라 도관의 수압이 높아지면 펌프는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In addition, jack 182b is also capable of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in such a manner as to open or shut off the water flow path of conduit 183. That is, when the jack 182b is engaged with the operation piece 182a, the jack keeps the conduit open. However, when the operation piece 182a is released from the jack 182b, the conduit is closed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have. Then, even if the pump is operated, the water is blocked from flowing in the occluded conduit, so that if the pressure of the conduit is increased, the pump may be shut down.

잭이 도관을 개폐하는 위치는 도관의 중간 경로일 수도 있고, 도관의 선단부, 즉 수전 또는 노즐 쪽일 수도 있다.The position at which the jack opens and closes the conduit may be the intermediate path of the conduit, or it may be at the distal end of the conduit, i. E.

이러한 잭과 작동편 구조에 따르면, 수경재배실칸이 인입된 상태에서 공급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은 상부 트레이로 향하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jack and operating element structure, the water supplied by the feed pump with the hydroponic culture silencer being drawn is directed to the upper tray.

이 때, 상기 상부 트레이에는 상부 트레이 내의 물이 소정 수위를 넘어서는 경우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홀이 마련되고, 이로써 상기 홀을 통해 빠져나간 물은 상부 트레이의 하부에 있는 하부 트레이에 공급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tray is provided with a hole through which water can escape when the water in the upper tray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so that the water that has escaped through the hole is supplied to the lower tra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추가적으로, 물공급부는 물탱크부(180)에 연결되어 물탱크부(180)에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부(180)의 물은 제상수나 순환수, 그리고 필요할 경우에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쪽 물을 보충 받아 지속적으로 보충이 이루어지지만, 배양액은 식물이 흡수하여 농도가 옅어지거나 그 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물과 달리 배양액은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신경 쓰고 보충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배양액공급부는 냉장고의 전방에서 접근 가능한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수경재배실로의 상시 배양액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rt may further include a culture liquid supply part connected to the water tank part 180 to supply the culture liquid to the water tank part 180.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80 is constantly replenished by replenishing defrost water, circulating water, and, if necessary, the dispenser side water of the refrigerator, but the culture liquid is absorbed by the plants and the concentration thereof becomes weaker or less. Therefore, unlike water, the user must constantly care for and replenish the culture. Therefore, the culture liquid supply unit is disposed in a space accessible from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always supply the culture liquid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그리고 배양액이 저장되는 용기에는 배양액이 부족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두어 배양액의 보충 여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수단으로 알릴 수 있다. The container in which the culture medium is stored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lack of the culture medium,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or audibly inform the user whether the culture medium is replenished.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냉장고 본체
110: 수납공간
120: 수경재배실
121: 광원부
130: 배양액 공급부
140: 덕트실
140-1: 제1공간
140-2: 제2공간
141: 구획부
141-3: 제3연통구
142: 제1연통구
143: 공기유입통로
144: 공기유출통로
145: 제2연통구
151: 댐퍼
160: 기계실
161: 압축기
162: 송풍팬
163: 응축기
164: 증발기
170: 응축냉매관
170-1: 제1응축냉매관
170-2: 제2응축냉매관
172: 밸브
173: 합류점
180: 물탱크부
181: 펌프
182a: 작동편
182b: 잭
100: refrigerator body
110: Storage space
120: Hydroponic cultivation room
121: Light source
130:
140: Duct room
140-1: First space
140-2: Second space
141:
141-3: Third communication hole
142: first communicating hole
143: air inlet passage
144: air outflow passage
145: Second communicating port
151: Damper
160: Machine room
161: Compressor
162: blowing fan
163: Condenser
164: Evaporator
170: condensed refrigerant tube
170-1: First condensed refrigerant tube
170-2: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tube
172: valve
173: Confluence point
180: Water tank part
181: Pump
182a:
182b: Jack

Claims (13)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과 분리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응축기와 압축기가 내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실 및 상기 기계실과 분리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식물의 수경재배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경재배실; 및
상기 기계실에서 발생하는 응축열을 사용하여 상기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수경재배실에 구비되어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기계실과 상기 수경재배실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실; 및
상기 덕트실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기계실과 상기 수경재배실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A main body including a storage room to which cool air is supplied, and a machine room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room, wherein th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and a condenser and a compressor are provided inside;
A hydroponic cultivation room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space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and the machine room and to be hydroponically cultivated in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using condensation heat generated in the machine room,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A duct chamber forming a passage connecting between the machine chamber and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And
And a damper installed in the duct chamber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passage connecting between the machine chamber and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n response to a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frigerator.
냉기가 공급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과 분리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응축기와 압축기가 내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저장실 및 상기 기계실과 분리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식물의 수경재배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경재배실; 및
응축 냉매관을 유동하는 응축 냉매의 열을 사용하여 상기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수경재배실에 구비되어 수경재배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냉각 사이클의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냉각 사이클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수경재배실과 마주하는 상기 본체의 측면을 통과하지 않는 경로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경재배실과 마주하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는 다른 면에 매설되는 제1응축냉매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응축냉매관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냉각 사이클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수경재배실과 마주하는 상기 본체의 측면을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경재배실과 마주하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매설되는 제2응축냉매관;
상기 제1응축냉매관에서 상기 제2응축냉매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응축냉매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매의 유동량과 상기 제2응축냉매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매의 유동량을 조절하도록 작동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응축냉매관은, 상기 제2응축냉매관을 유동하는 냉매의 열이 상기 수경재배실로 방열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상기 수경재배실의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2응축냉매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장고.
A main body including a storage room to which cool air is supplied, and a machine room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room, wherein th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and a condenser and a compressor are provided inside;
A hydroponic cultivation room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form a space separated from the storage room and the machine room and to be hydroponically cultivated in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using heat of condensed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ndensed refrigerant pipe,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provid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irculated by the cooling cycle moves, and a passage for the passage not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hydro- A first condensed refrigerant pipe embedded in a surface different from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facing each other;
A first condensing refrigerant pipe provided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nd branched from the first condensing refrigerant pipe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irculated by the cooling cycle moves, A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tube buried i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to form the condensed refrigerant tube;
The first condensing refrigerant pipe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condensing refrigerant pipe is branched so as to adjust the flow amount of the refrigerant moving through the first condensed refrigerant pipe and the flow amount of the refrigerant moving through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A working valv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valve,
Wherein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is arranged such that heat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is radiated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lv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Refrige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냉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응축냉매관을 경유하도록 상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상기 수경재배실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냉매가 상기 제2응축냉매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제1응축냉매관을 통해서만 유동하도록 상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lv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nt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densed refrigerant pipe and the temperature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The first condensing refrigerant tub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ensing refrigerant tube, and the second condensing refrigerant tub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ensing refrigerant tube,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실은,
상기 수경재배실 공간과 나란히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덕트본체;
상기 덕트본체를 상기 기계실과 마주하는 제1공간 및 상기 냉장고 외부와 마주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덕트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기계실과 마주하는 덕트본체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기계실과 상기 제1공간을 연통하는 제1연통구;
상기 덕트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냉장고 외부와 마주하는 덕트본체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2공간을 냉장고 외부와 연통하는 제2연통구; 및
상기 구획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통하는 제3연통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uct chamber,
A duct body extending to face the hydroponic culture room space side by side;
A compartment partitioning the duct body into a first space facing the machine room and a second sp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 first communication hole provided in the duct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machine room and the first space, th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machine room;
A second communication hole provided in the duct main body and facing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second space with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nd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provided below the partition and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Refrigera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3연통구를 개폐하거나 상기 제1공간의 하부를 개폐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amper opens / closes the third communication port or opens / closes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Refriger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3연통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1연통구 사이를 개방하는 위치와 상기 제3연통구와 상기 제1연통구 사이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3연통구 사이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amper is configured to close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while closing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between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while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position,
Refriger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실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복수 개의 트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수경재배실은, 상기 저장실 측면에 배치되며,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서랍형 수경재배실인,
냉장고.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y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s a drawer type hydroponic cultivation chamber arrang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chamber and capable of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Refrigera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실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기계실 내부에 마련되는 물탱크부;
상기 물탱크부의 물을 상기 서랍형 수경재배실 내 상부단에 위치한 상부 트레이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물탱크부의 물을 상기 상부 트레이 측으로 안내하는 도관;
상기 서랍형 수경재배실에 구비된 복수 개의 상기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작동편; 및
상기 서랍형 수경재배실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편과 접촉되는 잭;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펌프는 상기 작동편이 상기 잭에 접촉되어 맞물리는 경우에만 상기 공급펌프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공급펌프의 작동이 가능한,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tank portion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A supply pump for supply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portion to the upper tray side located at the upper end in the drawer type hydraulic culture chamber;
A conduit for guiding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upper tray;
An operating piec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ys provided in the drawer type hydraulic culture chamber; And
And a jack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piece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type hydraulic culture chamber is drawn,
Wherein the supply pump is op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supply pump only when the opera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jack and to engage the supply pump,
Refriger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내의 물이 소정 수위를 넘어서는 경우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홀을 통해 빠져나간 물은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부에 있는 하부 트레이에 공급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tray is provided with holes through which water can escape when the water in the upper tray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An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holes is supplied to a lower tray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ay,
Refriger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실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부는,
기계실 내부에 마련되는 물탱크부;
상기 수경재배실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물탱크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수경재배실에 공급하는 수전; 및
상기 수전과 상기 물탱크부를 연결하여 상기 물탱크부의 물을 상기 수전으로 안내하는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에 구비된 증발기에 부착된 성에가 제상되어 발생한 제상수와 상기 수경재배실에 공급된 후 회수되는 물과 상기 냉장고에 구비된 디스펜서에 공급되는 정화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물탱크부에 공급되는,
냉장고.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tank portion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part to the hydroponic culture room; And
And a conduit connecting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the water tank unit to guid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to the water receiving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efrost water generated by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attached to the evaporato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the water recovered after being supplied to the hydrocolloid culture chamber, and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dispense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felled,
Refrigerat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실에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서로 다른 피크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은 각각 개별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냉장고.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to said hydroponic culture chamber,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emitting light having different peak wavelengths,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individually on / off-
Refrigera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실에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수경재배실의 천정부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는 광투과성 재질인,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having a predetermined wavelength to said hydroponic culture chamber,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s disposed at a ceiling portion of the hydroponic culture room,
The tray is made of a light-
Refrigerat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재배실의 내측면에는 반사면이 구비된,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hydroponic culture chamber is provided with a reflective surface,
Refrigerator.
KR1020160173961A 2016-12-19 2016-12-19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KR101982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61A KR101982910B1 (en) 2016-12-19 2016-12-19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61A KR101982910B1 (en) 2016-12-19 2016-12-19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128A KR20180071128A (en) 2018-06-27
KR101982910B1 true KR101982910B1 (en) 2019-05-27

Family

ID=6279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61A KR101982910B1 (en) 2016-12-19 2016-12-19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9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14191A1 (en) * 2021-07-16 2023-01-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elf-cleaning methods for an indoor gardening appliance
KR102547142B1 (en) * 2022-09-28 2023-06-23 주식회사 파미 A smart hydroponics applicable to cultivation of various types of pla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791A (en) * 2008-12-26 2010-07-15 Japan Greenfarm Co Ltd Plant cultivation device for domestic use
KR200455827Y1 (en) * 2011-05-09 2011-09-27 홍국영 Home Appliance Plant Grow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56U (en) * 1993-02-13 1994-09-24 Refrigerator with plant cultivation room
KR960024185A (en) * 1994-12-20 1996-07-20 배순훈 Refrigerator vegetable room with photosynthetic means
KR101451343B1 (en) * 2013-01-29 2014-10-16 조수희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and spro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791A (en) * 2008-12-26 2010-07-15 Japan Greenfarm Co Ltd Plant cultivation device for domestic use
KR200455827Y1 (en) * 2011-05-09 2011-09-27 홍국영 Home Appliance Plant Gr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128A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092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water-cultivating-space
CN111567390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625045B1 (en)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11567392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715806B1 (en) Ice making system of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KR102016206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JP2004191042A (en) Refrigerator
CN106642906A (en) Horizontal type frost-free refrigerator
KR20080070511A (en) 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of
KR101982910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KR20190132078A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1881675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sliding water-cultivating-space
JP6928504B2 (en) refrigerator
JP4562763B2 (en) refrigerator
CN111567381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JP3647343B2 (en) refrigerator
JP2007127410A (en) Refrigerator
JP3205308B2 (en) refrigerator
JP4111942B2 (en) refrigerator
CN110966816B (en) Humidity-adjustable refrigerating device
JP3527713B2 (en) refrigerator
CN212692218U (en) Refrigeration device
JP3478795B2 (en) refrigerator
CN220187170U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108562087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