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765A - 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765A
KR20190130765A KR1020180055288A KR20180055288A KR20190130765A KR 20190130765 A KR20190130765 A KR 20190130765A KR 1020180055288 A KR1020180055288 A KR 1020180055288A KR 20180055288 A KR20180055288 A KR 20180055288A KR 20190130765 A KR20190130765 A KR 2019013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aped frame
disaster
side pane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4922B1 (en
Inventor
진양석
조세현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아머티리얼스
Priority to KR102018005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922B1/en
Publication of KR2019013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7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9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for emergency relief in a disaster and a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The installation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of forming first to fourth lateral U-shaped frames;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lateral wall; a third step of forming fifth to eighth lateral U-shaped frames; and a fourth step of completing the building by inserting a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fth to eighth lateral U-shaped frames formed on a roof panel into the first to fourth lateral panels. Therefore, disaster victims or rescuers who are not professional can assemble a building quickly on the site without special equipment or help from experts.

Description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 및 이의 설치 방법{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해, 재난 지역에서 특별한 장비 없이 재난자 본인이나 구조자들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건축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quickly and simply build by the disaster person or rescuers without special equipment in the disaster, disaster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relief emergency rescue building and its installation method.

지진, 해일, 산사태와 같은 자연 재해 또는 재난이나 전쟁, 테러, 대형 화재 등의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대형 재난 사태의 경우 많은 난민이 발생하며, 이러한 난민을 수용하기 위해 긴급 구호용 시설이 필요하다.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sunamis and landslides, or disasters caused by humans such as disasters, wars, terrorism, and large fires, generate many refugees, and emergency relief facilities are needed to accommodate them.

이러한 긴급 구호용 시설은 신속하게 설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재해 또는 재난 현장에서 일정 사이트를 구축한 후 천막이나 경량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ince such emergency relief facilities need to be installed quickly, it is common to build a site at a disaster or disaster site, and then install it using a tent or a lightweight structure.

상기 천막으로 설치되는 긴급 구호용 시설은 가볍고 설치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구성이 좋지 않고 특히 단열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우므로 기후 조건이 온화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활용성에 문제가 있다. Emergency relief facilities installed by the t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light and easy to install, but poor durability and in particular difficult to solve the thermal problem, there is a problem in the utilization in areas where the climatic conditions are not mild.

또한, 경량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긴급 구호용 시설은 현장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설치 및 시공 기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 및 해체를 위하여 특수한 장비가 필요하며 전문 기술을 가진 작업자에 의해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긴급 구호용 건축물로서 경량 구조물은 내구성과 수명은 좋으나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고 특수 장비와 작업자의 동원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설치 비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In addition, emergency relief facilities that are installed using lightweight structures require a long time for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and require special equipment for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by skilled workers is required. There is a limit to that. Therefore, as an emergency relief building, lightweight structures have good durability and lifespan, but require a long time for installation and require the mobilization of special equipment and workers.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221328호 "인명 대피용 옥상 구조물(Life evacuated for rooftop structures")(특허문헌 1)은 고층 건물의 옥상과 연결되는 출입구와 그 인근 출입구를 연결하여 화재 및 재난 발생시 옆 건물로 이동을 하거나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추락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명 대피용 옥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As a related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221328 "Life evacuated for rooftop structures" (Patent Document 1) is connected to the entrance and the neighboring entrance connected to the rooftop of the high-ris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ftop structure for evacuation of a life, which enables to move to a next building or to receive a rescue in case of a fire or disaster, as well as to prevent a fall accident.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782139호 "건축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특허문헌 2)은 화재 위험이 없는 평상시에는 추락 방지를 위한 발코니 난간대로 사용되다가 화재가 발생 되었을 때에는 화재로 인해 고립된 주민이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화재 재난 피난 시설로 구조 변경되는 건축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82139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Patent Document 2) is a balcony railing to prevent the fall in normal fire risk It relates to a fire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in a building that is restructured to a fire disaster evacuation facility so that, in the event of a fire, the isolated residents can be safely evacuated to the ground.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20868호 "방재구조물 고정장치(A fixing apparatus for disaster preventing structure)"(특허문헌 3)는 폭우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나 지하수의 누출과 같은 비상사태 시 물이나 토사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토사로 충진된 방재구조물을 서로 고정시켜줌으로써 외력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재구조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20868 "A fixing apparatus for disaster preventing structure" (Patent Document 3) is a natural disaster such as heavy rains and floods or emergency such as leakage of ground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prevention structure fixing devic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y fixing the disaster prevention structures filled with earth and sand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or earth and sand.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0-0097252호 "이동식 목조건축물(Movable type wooden construction building)"(특허문헌 4)은 휘어진 원목을 기둥과 들보에 사용하는 것과 같이 버려지는 목재를 반영구적으로 야외에 설치하는 사방이 개방된 이동식 정자 개념의 목조건축물에 창문을 갖는 벽체를 형성하고 바닥에 열발생장치를 구성시킴으로써 눈비나 바람을 피할 수 있고 한겨울에도 따뜻하게 지낼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자원낭비와 수해로 발생하는 재해를 예방하여 환경과 자연을 보호하며 동시에 견고하고 미려한 이동식 목조건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97252 "Movable type wooden construction building" (Patent Document 4) is a semi-permanent outdoor to the discarded wood, such as using a bent wood for columns and beams By forming a wall with a window on a wooden building with a mobile sperm concept installed on all sides of the building and a heat generating device on the floor, it can avoid rain or wind and provide a resting place to stay warm even in win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ooden building which can prevent disasters caused by floods, protect the environment and natur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solid and beautiful mobile wooden building.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2는 건축물에서 화재 및 재난 발생시 이동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특허문헌 3은 자연재해시의 방재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재해 및 재난 지역에서 가건물 형태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However, the patent documents 1 and 2 relates to a structure for movement in the event of a fire and disaster in a building, the patent document 3 relates to a disaster prevention structure during natural disasters, the limitation of providing a temporary building in the disaster and disaster area have.

한편, 상기 특허문헌 4는 이동식 목조건축물에 관한 것이나 재해 및 재난시 신속하게 제공되지 못하며, 화재 등에 취약한 한계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atent document 4 relates to a mobile wooden building construction, but can not be provided quickly during disasters and disasters, there is a limit that is vulnerable to fire.

[선행기술문헌][Preceding technical literature]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221328호 "인명 대피용 옥상 구조물(Life evacuated for rooftop structures)"(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221328 "Life evacuated for rooftop structures"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782139호 "건축물에서의 화재 재난 피난 시설(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782139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in a structure"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020868호 "방재구조물 고정장치(A fixing apparatus for disaster preventing structure)"(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20868 "A fixing apparatus for disaster preventing structure"

(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0-0097252호 "이동식 목조건축물(Movable type wooden construction building)"(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97252 "Movable type wooden construction building"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볍고, 단열성, 내구성, 이동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며, 특히 재해 또는 재난 현장에서 특수한 장비나 전문 인력의 도움이 없이도 재해 재난자 본인이나 구조인원들이 간단한 수공구나 맨손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빠른 시간에 설치할 수 있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characterized by light weight, excellent insulation, durability, mobility, especially in the event of disaster or disaster site, without the help of special equipment or specialized personnel disaster victims or rescue personnel simple hand tools By making it possible to assemble with bare hand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ology for emergency disaster rescue buildings that can be installed quickly and simpl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하부 패널, U자형 틀, 측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U자형 틀은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 패널은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A lower panel, a U-shaped frame, a side panel, and a roof panel, wherein the U-shaped frame consists of a first side U-shaped frame to a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side panel comprises a first side panel to a fourth side panel. In setting method of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to be made of,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패널을 재해재난 지역의 지면에 놓고, 상기 하부 패널의 내측면으로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Placing a lower panel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on the ground of the disaster area, and forming a first side U-shaped frame to a fourth side U-shaped frame as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의 U자 단면으로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을 끼워 넣고 상기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에 구비된 홈을 상하로 맞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측벽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및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grooves provided in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are fitted up and down to fix it. Thereby installing the sidewalls; And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 패널의 내측면으로 제 5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8 측부 U자형 틀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및A third step of forming a fifth side U-shaped frame to an eighth side U-shaped frame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oof panel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지붕 패널에 형성된 제 5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8 측부 U자형 틀의 U자 단면이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완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 fourth step of completing the U-shaped cross-section of the fif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eighth side U-shaped frame formed in the roof panel so as to fit ov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의 홈에는 홈 보강재로 표면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The grooves of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provides a method of installing a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reinforced with a groove reinforcement.

이때, 상기 홈 보강재는 섬유강화복합재료 성형물, 플라스틱 성형물 또는 금속 절곡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oov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made of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molding, plastic molding or metal bent.

또한, 상기 홈 보강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ov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aterial made of an elastic bod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하부 패널, U자 형태의 보조자재, 측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U자 형태의 보조자재는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내지 제 4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 패널은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으로서,A lower panel, a U-shaped auxiliary material, a side panel and a roof panel, wherein the U-shaped auxiliary material is made of an auxiliary material of the first side U-shaped to the fourth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The side panel is a method of installing a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consisting of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 부의 각 상부면에 복수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하부 패널을 재해재난 지역의 지면에 놓고 하부 패널의 상부 내측면으로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내지 제 4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e lower panel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in each upper surface of the rim portion on the ground of the disaster area, the first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to the fourth inner side of the lower panel A first step of forming an auxiliary material of the side U-shape;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내지 제 4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의 U자 단면으로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을 끼워 넣고 상기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에 구비된 교대형 돌기 및 홈을 맞물려 고정시킴으로써 측벽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및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cross-section of the first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to the fourth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and provided on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A second step of installing the side walls by engaging the large projections and the grooves; And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내지 제 4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으로 경사를 형성하기 위한 지붕 패널의 돌기를 삽입하여 완성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A third step of inserting and completing projections of a roof panel for forming an inclination into grooves formed in at least two upper surfaces of the first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and the fourth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It provides a method of installing a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comprising a.

이때,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하부 패널 중 테두리에 체결된 고정 부재의 내측으로 제 1 측부 패널을 삽입하기 위해 단면이 U자로 형성되는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를 넓이 방향(W)에 따라 배열된 고정 부재와 평행하도록 놓은 뒤, 수직 고정 볼트로 전단과 후단에 각각 2개씩 고정하는 제 1-1 단계; 및 At this time, the first step, the width of the first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for inserting the first side panel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member fastened to the edge of the lower panel (W) 1-1 to put parallel to the fixing member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nd then fix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with a vertical fixing bolt; And

상기 제 2 측부 패널을 삽입하기 위한 제 2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를 제 1 측부 U자형 틀에 대해서 하부 패널의 상부면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한 뒤, 수직 고정 볼트로 고정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for inserting the second side panel is disposed symmetrically abou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and then fixed with a vertical fixing bolt. -2 step;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2 단계 이후, 상기 제 1 측부 패널을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의 홈에 삽입하고, 제 2 측부 패널을 제 2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의 홈에 삽입하는 제 1-3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first step, after the first and second steps, the first side pane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auxiliary material having the first side U shape, and the second side panel is inserted with the second side U shape auxiliary. Inserting into the groove of the material step 1-3;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3 단계 이후, 제 3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및 제 4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를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및 제 2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되, 상기 하부 패널 중 테두리에 체결된 고정 부재의 내측으로 길이 방향(L)에 따라 배치하는 제 1-4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first step, after the first step 1-3, the auxiliary material of the third side U-shape and the auxiliary material of the fourth side U-shape, the auxiliary material of the first side U-shape and the second side U A first step (4)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uxiliary material having a shape of a child, and arranged along a length direction (L) toward an inner side of the fixing member fastened to an edge of the lower panel;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 1-4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 3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는 전면, 제 4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는 배면에 배열되며, 길이 방향(L)에 따라 배열된 고정 부재와 평행하도록 놓은 뒤, 수직 고정 볼트로 전단과 후단에 각각 2개씩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irst step 1-4, the third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is the front side, the fourth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is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the fixing member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fter placing it in parallel with, it can be fixed by two vertical fixing bolts at the front and the rear.

또한, 상기 제 1-4 단계는, 상기 제 3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및 제 4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의 길이는 그 양 끝단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및 제 2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의 양 끝단과 교차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1-4, the length of the auxiliary material of the third side U-shape and the auxiliary material of the fourth side U-shape of the first side U-shape dispos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at both ends thereof. It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sect both ends of the auxiliary material and the auxiliary material of the second side U-shape.

또한, 상기 제 1-4 단계는, 상기 제 3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및 제 4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의 단면을 이루는 U자형 구조 중 내측의 돌기는 제 1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 및 제 2 측부 U자 형태의 보조자재의 단면을 이루는 U자형 구조 중 내측의 돌기 사이로 삽입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1-4, the inner projection of the U-shaped structure forming a cross-section of the auxiliary material of the third side U-shaped and the fourth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of the first side U-shaped The U-shaped struct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material and the second side U-shaped auxiliary material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structure inserted between the inner projections.

또한, 상기 제 1 단계의 제 1 측부 패널 및 제 2 측부 패널 각각은, 양 끝단에 양각 형태의 측벽 고정 돌기와, 음각 형태의 측벽 홈이 하나씩 형성되는 경우, 제 1 측부 패널 및 제 2 측부 패널에서 측벽 고정 돌기와 측벽 홈은 하부 패널의 상부면을 중심으로 상호 간에 대각으로 교체하도록 형성되며, 전면부 측벽에 해당하는 제 3 측부 패널 및 후면부 측벽에 해당하는 제 4 측부 패널에 각기 형성된 돌기 수용 홈 및 직교형 돌기와 맞물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side panel and the second side panel of the first step may include an embossed sidewall fixing protrusion and an engraved sidewall groove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side panel and the second side panel. The side wall fixing projections and the side wall grooves are formed so as to be diagonally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abou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the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third side panel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wall and the fourth side panel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engagement with the orthogonal projection.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부 패널, 측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복합재료패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composite panel for manufacturing the lower panel, the side panel, and the roof panel.

이때, 상기 복합재료패널은 중앙 코어부 및 표면 시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mposite panel may include a central core portion and a surface she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은 가볍고, 단열성 및 내구성이 좋으며, 이동성이 우수한 복합재료패널을 이용하여, 특수장비나 전문 인력의 도움 없이도 비전문가인 재난 재해자 본인이나 구조자들이 간단한 수공구나 맨손으로 현장에서의 빠른 시간 안에 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난연성(또는 불연성) 재료를 사용한 복합재료패널을 적용하고, 조립 구조의 특성상 건축물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고 또한, 내구성과 수명이 우수하므로 해체 후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composite panel of light weight, good insulation and durability, and excellent mobility, without the help of special equipment or expert personnel, disaster victims themselves or rescuers who are not exper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ssemble quickly in the field with bare hands. In addition, by applying a composite panel using a flame retardant (or non-flammable) material, and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by varying the installation size of the building due to the nature of the assembly structure, and also excellent durability and life, reuse after dismantling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있어서 측부 패널의 홈을 상하로 맞끼워 고정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있어서 측부 패널의 홈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있어서 하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의 내측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있어서 측부패널들, 하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의 조립 형상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복합재료패널(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o fit the grooves of the side panel up and down in the emergency disaster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groove structure of the side panel in the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ner shape of the lower panel and the roof panel in the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assembling shape of side panels, a lower panel, and a roof panel in a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stalling a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omposite panel 100 commonly used in the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em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은 하기의 순서로 시공될 수 있다. 즉,First, a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in the following order. In other words,

하부 패널, U자형 틀, 측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U자형 틀은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 패널은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A lower panel, a U-shaped frame, a side panel, and a roof panel, wherein the U-shaped frame consists of a first side U-shaped frame to a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side panel comprises a first side panel to a fourth side panel. In setting method of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to be made of,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패널을 재해재난 지역의 지면에 놓고, 상기 하부 패널의 내측면으로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Placing a lower panel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on the ground of the disaster area, and forming a first side U-shaped frame to a fourth side U-shaped frame as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의 U자 단면으로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을 끼워 넣고 상기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에 구비된 홈을 상하로 맞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측벽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및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grooves provided in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are fitted up and down to fix it. Thereby installing the sidewalls; And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 패널의 내측면으로 제 5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8 측부 U자형 틀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및A third step of forming a fifth side U-shaped frame to an eighth side U-shaped frame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oof panel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지붕 패널에 형성된 제 5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8 측부 U자형 틀의 U자 단면이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완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 fourth step of completing the U-shaped cross-section of the fif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eighth side U-shaped frame formed in the roof panel so as to fit ov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의 홈에는 홈 보강재로 표면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rooves of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reinforced with a groove reinforcing material.

하기에서는 이를 도면을 이용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있어서 측부 패널의 홈을 상하로 맞끼워 고정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rst, Figure 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o fit the grooves of the side panel up and down in the emergency disaster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부 패널에 구비된 홈을 상하로 맞끼워서 고정시킴으로써 4면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하부 패널 및 지붕 패널에 형성된 제1 내지 제 8 측부 U자형 틀에 볼트, 핀 등을 이용해 고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ide walls of the four sides can be formed by fitting the grooves provided in each side panel up and down to be fixed. The side wall may be fixed to the first to eighth side U-shaped frames formed on the lower panel and the roof panel using bolts, pins, and the like.

또한, 도면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있어서 측부 패널의 홈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In addi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groove structure of the side panel in the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에 형성된 홈은 운반 및 설치 중에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홈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grooves formed in each panel can be easily broken during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so that the groove portion can be reinforced to prevent this.

보강 방법은 전체를 하나의 섬유강화복합재료 성형물, 플라스틱 성형물 또는 알루미늄이나 강재 등의 금속 절곡물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이용해서 보강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method can reinforce the whole using the reinforcement material which consists of one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molding, a plastic molding, or metal bending materials, such as aluminum or steel materials.

또한, 상기 보강재는 패널을 제작할 때에 미리 설치하여 고정시켜 놓을 수도 있고, 패널과 함께 따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끼워 넣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installed and fixed in advance when the panel is manufactured, or may be transported separately with the panel and fitted in the field.

또한, 상기 보강재를 이용하여 상기 홈 부분을 보강하는 동시에 탄성체 등의 실링재를 이용해 밀착시켜 공기나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밀폐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reinforcing material to reinforce the groov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by using a sealing material such as an elastic body may be sealed to prevent air or water infiltrate.

또한,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있어서 하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의 내측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In addi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ner shape of the lower panel and the roof panel in the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패널의 내측면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이 설치될 수 있고, 지붕 패널의 내측면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 5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8 측부 U자형 틀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지붕 패널과 하부 패널 및 벽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panel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inner side of the roof panel at regular intervals the fifth Side U-shaped frame to eighth side U-shaped frame may be installed, which serves to seal between the roof panel and the lower panel and the wall.

상기 U자형 틀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섬유강화복합재료 인발 성형물, 알루미늄 압출물, 강재 절곡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shaped mol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or metal,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 pulled molding, an aluminum extruded product, a steel bent material, or the like.

상기 U자형 틀은 하부 패널 또는 지붕 패널에 미리 고정될 수 있으나, 패널 적재의 편의성과 운송 효율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The U-shaped frame may be fixed to the lower panel or the roof panel in advance, but is more preferably installed in the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panel loading and transportation efficiency.

이를 위하여 미리 지붕 패널 및 하부 패널에 상기 U자형 틀을 장착할 위치에 너트를 설치하여 두고, 상기 U자형 틀에는 연결용 홀을 준비하여 둘 수 있다. To this end, the nut is installed in a position to mount the U-shaped frame on the roof panel and the lower panel in advance, and a connection hole may be prepared in the U-shaped frame.

현장에서는 패널의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U자형 틀을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측부 패널 및 U자형 틀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맞닿는 부분에 측벽 패널의 옆면에 적절한 가공을 통하여 볼트 헤드를 회피하도록 하여 측부 패널이 U자형 틀의 바닥면 또는 윗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field, a fixed U-shaped frame at a fixed position on the panel can be fixed with bolts. At this time, the side pane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U-shaped frame by avoiding the bolt head through the appropriate processing o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anel to the part where the bolt for fixing the side panel and the U-shaped frame.

또한, 상기 측부 패널과 지붕 패널 및 하부 패널을 연결할 때에 그 연결 부위에 밀폐용 탄성체 압출물을 추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ide panel and the roof panel and the lower panel are connected, a sealing elastic extrudate may be added to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있어서 측부패널들, 하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의 조립 형상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In addi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ssembling the shape of the side panels, the lower panel and the roof panel in the disaster relief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부 패널(Wall 1 내지 Wall 4)에 구비된 홈을 상하로 맞끼워 서로 고정시키고 이를 다시 하부 패널(Floor) 및 지붕 패널(Ceiling)에 설치된 U자형 틀에 고정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재해재난 긴급 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by fixing the grooves provided in each side panel (Wall 1 to Wall 4) up and down to each other and fixed to the U-shaped frame installed in the lower panel (Floor) and the roof panel (Ceiling) Overall, the construction of a single disaster relief building can be completed.

이어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respect to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14 is the installation of the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 method.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은 하부 패널(10), U자형 틀(20), 측부 패널(30), 지붕 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보호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the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1 includes a lower panel 10, a U-shaped frame 20, a side panel 30, and a roof panel 40. The protection plate 50 may further include.

상기 U자형 틀(20)은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20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부 패널(30)은 제 1 측부 패널(30a) 내지 제 4 측부 패널(3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선택 사항인 상기 보호 플레이트(50)는 제 1 측 보호 플레이트(50a) 및 제 2 측 보호 플레이트(5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haped frame 20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20a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20d, and the side panel 30 may include the first side panel 30a to the fourth side panel. 30b. In addition, the optional protection plate 50 may be composed of a first side protection plate 50a and a second side protection plate 50b.

이하에서는 도 5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의 구조 및 이의 설치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4 centering on the components of FIG. 5, the structure of the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1 and its install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 (a)를 참조하면, 하부 패널(10)은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 부의 각 상부면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고정홀(11)을 구비함으로써, 지면에 놓여진 후, 고정부재(12)를 통해 지면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2)는 핀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천막을 지면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핀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a), the lower panel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by having n fixing holes 11 (n is a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on each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After being placed, it may be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ixing member 12. The fixing member 12 may be in the form of a pin, for example, may be in the form of a fixing pin used to fix the tent to the ground.

다음으로, 도 6 (b)를 참조하면, 하부 패널(10) 중 테두리에 체결된 고정부재(12)의 내측으로 제 1 측부 패널(30a)을 삽입하기 위해 단면이 U자로 형성되는 제 1 측부 U자형 틀(20a)을 넓이 방향(W)에 따라 배열된 고정부재(12)와 평행하도록 놓은 뒤, 도 7 (a)와 같이 수직 고정 볼트(21)로 전단과 후단에 각각 1~2개씩 고정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6 (b), a first side portion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for inserting the first side panel 30 a into an inner side of the fixing member 12 fastened to the edge of the lower panel 10. After placing the U-shaped frame 20a in parallel with the fixing members 12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 1 to 2 each at the front and rear ends with the vertical fixing bolts 21 as shown in FIG. Can be fixed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측부 패널(30b)을 삽입하기 위한 제 2 측부 U자형 틀(20b)을 제 1 측부 U자형 틀(20a)에 대해서 하부 패널(10)의 상부면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한 뒤, 수직 고정 볼트(21)로 고정할 수 있다.In the same way,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20b for inserting the second side panel 30b is symmetric abou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10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20a. After arrange | positioning so that it may fix with the vertical fixing bolt 21.

이후, 도 7 (b)와 같이 제 1 측부 패널(30a)을 제 1 측부 U자형 틀(20a)의 홈에 삽입하고, 제 2 측부 패널(30b)을 제 2 측부 U자형 틀(20b)의 홈에 삽입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7B, the first side panel 30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20a, and the second side panel 30b of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20b is inserted. Insert into the groove.

한편, 제 3 측부 U자형 틀(20c) 및 제 4 측부 U자형 틀(20d)을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및 제 2 측부 U자형 틀(20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되, 하부 패널(10) 중 테두리에 체결된 고정부재(12)의 내측으로 길이 방향(L)에 따라 놓을 수 있다.Meanwhile, the third side U-shaped frame 20c and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20d ar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20a and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20b. The panel 10 may be pl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ward the inside of the fixing member 12 fastened to the rim.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측부 U자형 틀(20c)은 전면, 제 4 측부 U자형 틀(20d)은 배면에 배열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L)에 따라 배열된 고정부재(12)와 평행하도록 놓은 뒤, 도 7 (a)와 같이 수직 고정 볼트(21)로 전단과 후단에 각각 1~2개씩 고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hird side U-shaped frame 20c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side and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20d may be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may be parallel to the fixing member 12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s shown in FIG. After laying, as shown in Figure 7 (a) it can be fixed by one or two at the front and rear end with a vertical fixing bolt 21, respectively.

한편, 제 3 측부 U자형 틀(20c) 및 제 4 측부 U자형 틀(20d)의 길이는 그 양 끝단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및 제 2 측부 U자형 틀(20b)의 양 끝단과 교차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s of the third side U-shaped frame 20c and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20d are the first side U-shaped frames 20a and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s arrang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both ends thereof.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sect both ends of (20b).

이와 함께, 제 3 측부 U자형 틀(20c) 및 제 4 측부 U자형 틀(20d)의 단면을 이루는 U자형 구조 중 내측의 돌기는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및 제 2 측부 U자형 틀(20b)의 단면을 이루는 U자형 구자 중 내측의 돌기 사이로 삽입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도 10과 같이 제 1 내지 제 4 측부 패널(30a 내지 30d) 사이에는 공극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same time, the inner protrusions of the U-shaped struct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third side U-shaped frame 20c and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20d are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20a and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By forming the structure inserted between the inner protrusions among the U-shaped spheres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20b, it is possible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no gap occurs between the first to fourth side panels 30a to 30d as shown in FIG. desirable.

한편, 도 7 (b)와 같이, 제 1 측부 패널(30b) 및 제 2 측부 패널(30b)은 공통적으로, 측벽 고정 돌기(31), 측벽 홈(32), 지붕 패널 홈(33)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B, the first side panel 30b and the second side panel 30b have a side wall fixing protrusion 31, a side wall groove 32, and a roof panel groove 33 in common. can do.

보다 구체적으로, 양 측벽을 구성하는 제 1 측부 패널(30b) 및 제 2 측부 패널(30b) 각각은 양 끝단에 양각 형태의 측벽 고정 돌기(31)와, 음각 형태의 측벽 홈(32)이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side panel 30b and the second side panel 30b constituting both sidewalls has an embossed sidewall fixing protrusion 31 and an intaglio sidewall groove 32 at one end thereof. Can be formed.

또한, 제 1 측부 패널(30b) 및 제 2 측부 패널(30b)에서 측벽 고정 돌기(31)와 측벽 홈(32)은 하부 패널(10)의 상부면을 중심으로, 상호 간에 대각으로 교체하도록 형성되며, 전면부 측벽에 해당하는 제 3 측부 패널(30c) 및 후면부 측벽에 해당하는 제 4 측부 패널(30d)에 각기 형성된 돌기 수용 홈(34) 및 직교형 돌기(35)와 맞물려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wall fixing protrusion 31 and the side wall grooves 32 in the first side panel 30b and the second side panel 30b are formed so as to be replac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10. And a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4 and an orthogonal protrusion 35 respectively formed in the third side panel 30c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wall and the fourth side panel 30d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wall. .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측부 패널(30a)의 측벽 고정 돌기(31)는 제 3 측부 패널(30c)의 돌기 수용 홈(34)에 맞물리고, 제 1 측부 패널(30a)의 측벽 홈(32)은 제 4 측부 패널(30d)의 직교형 돌기(35)와 맞물릴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ide wall fixing protrusion 31 of the first side panel 30a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receiving groove 34 of the third side panel 30c and the side wall groove 32 of the first side panel 30a. Can be engaged with the orthogonal protrusion 35 of the fourth side panel 30d.

또한, 제 2 측부 패널(30b)의 측벽 홈(32)은 제 3 측부 패널(30c)의 직교형 돌기(35)와 맞물리고, 제 2 측부 패널(30b)의 측벽 고정 돌기(31)는 제 4 측부 패널(30d)의 돌기 수용 홈(34)과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wall groove 32 of the second side panel 30b is engaged with the orthogonal protrusion 35 of the third side panel 30c, and the side wall fixing protrusion 31 of the second side panel 30b is first formed.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engaged with the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4 of the four side panel (30d).

한편, 제 1 측부 패널(30a) 내지 제 4 측부 패널(30d)이 각각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30d)에 삽입시, 각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30d)의 양 끝단의 양 측면에서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향하는 위치로 수평 고정 볼트(22)를 체결함으로써,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30d) 내부의 U자형 홈 내부에 제 1 측부 패널(30a) 내지 제 4 측부 패널(30d)이 이동되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측부 패널(30a) 내지 제 4 측부 패널(30d), 그리고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30d)에는 수평 고정 볼트(22)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홀이 사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6에서 설명하는 복합재료패널(100)의 특성상 볼트홀이 없어도 쉽게 체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side panel 30a to the fourth side panel 30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20a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30d, each first side U-shaped frame ( 20a)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30d by fastening the horizontal fixing bolt 22 to the posi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both sides of both ends of the first end U-shaped frame 30d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20a to the fourth side U. The first side panel 30a to the fourth side panel 30d can be fixed without moving in the U-shaped groove inside the female frame 30d. Here, the first side panel 30a to the fourth side panel 30d, and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20a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30d have a thread to which the horizontal fixing bolt 22 is fastened. The formed bolt holes may be formed in advance, or may be easily fastened even without the bolt hol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panel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이러한 특성은 상술한 수직 고정 볼트(21)가 제 1 측부 U자형 틀(20a)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30d)에 삽입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is property can be equally applied when the above-mentioned vertical fixing bolt 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side U-shaped mold 20a to the fourth side U-shaped mold 30d.

한편, 제 1 측부 패널(30a) 내지 제 4 측부 패널(30d)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창문홀, 출입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창문홀 및 출입홀과 매칭되어 체결되는 창문 부재 및 출입문 부재는 별도로 이송되어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first side panel 30a to the fourth side panel 30d may include a window hole and an entrance hole, and a window member and an entrance door that are matched with each window hole and the entrance hole. The member may be separately transported and installed.

이러한 과정에 의해 도 10과 같이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을 구성하는 하부 패널(10), U자형 틀(20), 측부 패널(30)이 모두 설치되면, 다음으로는 지붕 패널(40)이 형성된다.When the lower panel 10, the U-shaped frame 20, and the side panel 30, which constitute the disaster relief emergency rescue building 1, are all installed by the above process, the roof panel 40 is next. Is formed.

여기서 지붕 패널(40)은 제 1 측부 패널(30a) 및 제 2 측부 패널(30b)의 각 지붕 패널 홈(33)에 체결되기 위한 지붕 패널 하향 체결단(41)이 2개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oof panel 40 may have two roof panel downward fastening ends 41 for fastening to the roof panel grooves 33 of the first side panel 30a and the second side panel 30b.

즉, 지붕 패널 하향 체결단(41)은 지붕 형상으로 중앙에 힌지 또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어 ㅅ자로 굽힘이 가능한 지붕 패널(40)의 내측으로 넓이 방향(W)으로 평행하기 길이 방향(L)으로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붕 패널 하향 체결단(41)은 제 1 측부 패널(30a)의 하나의 지붕 패널 홈(33)과 제 2 측부 패널(30b)의 하나의 지붕 패널 홈(33)에 길이 방향(L)과 평행하게 체결될 수 있다. That is, the roof panel downward fastening end 41 is formed of a hinge or a flexible material at the center in the shape of a roof an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width direction W toward the inside of the roof panel 40 which can be bent by S. Two may be formed, and each roof panel downward fastening end 41 has one roof panel groove 33 of the first side panel 30a and one roof panel groove 33 of the second side panel 30b. It may be fasten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한편, 지붕 패널(40)이 상술한 구조에 의해 측부 패널(30)을 구성하는 제 1 측부 패널(30a) 및 제 2 측부 패널(30b)에 고정되는 경우, 도 12와 같이 제 1 측부 패널(30a) 및 제 2 측부 패널(30b) 각각과 지붕 패널(40) 사이에 빈 공간(50c)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of panel 40 is fixed to the first side panel 30a and the second side panel 30b constituting the side panel 30 b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side panel ( An empty space 50c may be formed between each of the 30a) and the second side panel 30b and the roof panel 40.

이를 위해, 지붕 패널(40) 내측면에 형성된 2개의 지붕 패널 하향 체결단(41) 간의 사이 간격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하여, 빈 공간(50c)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도 13과 같이 2개의 보호 플레이트(50)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gap between the two roof panel downward fastening end 4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of panel 40 can be adjusted in a sliding manner, thereby minimizing the empty space 50c. Likewise, two protective plates 50 may be used to finish the treatment.

여기서 제 1 측 보호 플레이트(50a)는 제 1 측부 패널(30a)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삼각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 1 측부 패널(30a)과 지붕 패널(40) 간의 빈 공간(50c)으로서의 미리 설정된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1 측부 패널(30a)의 상부면과 지붕 패널(40)의 하부면과 맞닿는 테두리면에는 밀폐를 위한 탄성부재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side protection plate 50a is a triangular plate shap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anel 30a in advance as an empty space 50c between the first side panel 30a and the roof panel 40. It is formed to cover the set area, and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anel 30a and the edge surface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roof panel 40 are preferably finish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sealing.

또한, 제 2 측 보호 플레이트(50b)도 제 1 측 보호 플레이트(50a)와 동일한 구조와 역할을 위해 제 2 측부 패널(30b)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삼각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rotection plate 50b may also be formed in a triangular plate shap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anel 30b for the same structure and role as the first side protection plate 50a.

한편, 측벽 고정 돌기(31), 측벽 홈(32), 지붕 패널 홈(33), 돌기 수용 홈(34) 및 직교형 돌기(35)의 테두리 면에는 나무, 알루미늄, 탄성 부재 등으로 마감처리 함으로써, 측벽 및 지붕과의 밀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edges of the side wall fixing protrusion 31, the side wall groove 32, the roof panel groove 33, the protrusion receiving groove 34, and the orthogonal protrusion 35 are finished with wood, aluminum, an elastic member, or the like. It is desirable to form a sealed structure with the side walls and the ro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 패널(40)은 ㅅ자 형상이 아닌 일자 형상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측부 패널(30a) 및 제 2 측부 패널(30b) 간에 높이 차를 갖거나, 제 3 측부 패널(30b) 및 제 4 측부 패널(30d) 간에 높이 차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붕 패널(40) 상부면의 우수와 낙진 등을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이 설치된 지면으로 내려앉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f panel 40 may be formed of a straight panel rather than a square. In this case, the roof panel may be formed by hav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ide panel 30a and the second side panel 30b or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side panel 30b and the fourth side panel 30d. 40) It may play a role of causing rainwater and fallout of the upper surface to fall to the ground where the emergency rescue building (1) is installed.

한편, 본 발명의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1)의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하부 패널(10), 측부 패널(30), 지붕 패널(40), 보호 플레이트(50)는 공통적으로 도 15와 같은 복합재료패널(100)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축조할 수 있으며 단열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며, 이동의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panel 10, the side panel 30, the roof panel 40, and the protection plate 50, which are used as components of the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monly complex as shown in FIG. 15. By having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panel 100, it can be built in a very short time, excellent in insulation and workability, and can also provide convenience of movement.

즉, 도 15를 참조하면, 복합재료패널(100)은 중앙 코어부(111), 표면 시트(112)로 이루어지며, 공통된 구조 및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5, the composite panel 100 is formed of a central core portion 111 and a surface sheet 112, and may be formed using a common structure and material.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 코어부(111)는 기능성 패널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페놀 수지 등의 수지를 발포시켜 경량화한 발포 폼 소재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메타아라미드 등과 같은 수지나 종이,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으로 허니컴 형상의 셀을 형성하여 제조한 허니컴(honeycomb) 소재가 이용됨으로써, 발포 폼 구조 또는 허니컴 구조에 의해 경량으로 차음성, 흡음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표면 시트(112)는 중앙 코어부(111)의 양면에 각각 접착되어 있으며,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매트상 보강재가 고분자 매트릭스에 내재된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is a functional panel, and is a foamed foam material made of foam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uretha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styrene, phenol resin, and the like to reduce weight, polypropylene, polycarbonate, Honeycomb material manufactured by forming a honeycomb-shaped cell made of a resin such as meta-aramid, or a light metal such as aluminum, or aluminum is used, and thus, the foamed structure or the honeycomb structure is lightweight and excellent in sound insulation, sound absorption and heat insulation. Properties can be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sheet 112 is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respectively, the fabric or mat-like reinforcement made of fibers may be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embedded in the polymer matrix.

표면 시트(112)는 중앙 코어부(111)의 양면에 접착제 또는 열접착을 통해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표면 시트(112)는 중앙 코어부(111)과 맞닿는 내측 또는 중앙 코어부(111)과 맞닿지 않는 외측에 따라 내부 보강재(112a)와 외부 스킨재(112b)로 구분될 수 있다.The surface sheet 112 is integrated on both surfaces of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through an adhesive or heat bonding. The surface sheet 112 may be divided into an inner reinforcing material 112a and an outer skin material 112b according to an inner side that contacts the center core portion 111 or an outer side that does not contact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내부 보강재(112a)는 중앙 코어부(111)를 보강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소재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 XPS(Extruded Polystyrene), PPS(Polyphenylene sulf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페놀 수지(Phenolic resin),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중 하나의 재료 또는 복합 재료의 보드(board)나 폼(foam)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 코어부(111)에 부착되어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 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 내부 보강재(112a)는 외부 스킨재(112b)에 내재되어 표면 시트(112)의 기계적 물성을 보강하는 기능도 가진다.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is a material for reinforcing or adding a function of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extruded polystyrene (XPS),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propylene (PP) ), PE (Polyethylene), Phenolic resin (Phenolic resin), Melamine resin (Melamine resin) of the material or a board (foam) form of a composite material is formed, attached to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or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formed of such a material is embedded in the outer skin material (112b) also has a function to reinfor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urface sheet (112).

결과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인서트 부품이나 다른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술한 고정 부재에 해당하는 고정홀(11), 수직 고정 볼트(21), 수평 고정 볼트(22) 등을 샌드위치 패널에 해당하는 복합재료패널(100)에 구멍을 뚫어 고정하는 경우에도 가공된 구멍이 원하는 형상으로 깨끗하게 유지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나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양호하여 체결이 견고하게 장기간 동안 유지된다.As a result, the sandwich panel includes a fixing hole 11, a vertical fixing bolt 21, a horizontal fixing bolt 22, etc.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insert part or another object to reinforce the shape stability of the sandwich panel. Even when a hole is fixed to the composite panel 100 corresponding thereto, the processed hole remains clean in a desired shape, and the fastening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due to good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or load.

여기서, 내부 보강재(112a)는 중앙 코어부(111)의 테두리, 전체면, 양면 중 하나에 접착제 또는 열접착을 통해 각각 접착될 수 있다. Here,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may be adhered to each of the edge, the entire surface, both sides of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through an adhesive or heat bonding.

이와 같이 형성된 내부 보강재(112a)는 복합재료패널(100) 상호 간의 체결을 위하여 리벳(rivet), 네일(nail), 스크류(screw) 등과 같은 기계적 조인트(mechanical joint)를 사용할 때 강한 결합력을 부여할 수 있다.The internal reinforcement 112a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give a strong bonding force when using mechanical joints such as rivets, nails, screws, etc. to fasten the composite panels 100 to each other. Can be.

특히 내부 보강재(112a)는 중앙 코어부(1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중앙 코어부(111)의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내부 보강재(112a)가 PET 폼(foam)으로 제작되면 PET 폼 재질은 75 내지 200kg/m3의 밀도를 가짐으로써, EPS 재질에 비해 중량이 크나, 압축강도가 EPS 대비 매우 높은 성질을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PS의 압축강도는 10~20 N/cm2이고, PET 폼의 압축강도 80~90N/cm2에 해당한다. In particular, since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prevents the central core part 11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wear resistance of the central core part 111 may be improved. That is, when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is made of PET foam, the PET foam material has a density of 75 to 200kg / m 3 , and the weight is larger than that of the EPS material, but the compressive strength is very high compared to EPS. Can be. In general, the compressive strength of EPS is 10 ~ 20 N / cm 2, corresponds to a compressive strength of 80 ~ 90N / cm 2 of PET form.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PET 폼은 EPS 대비 무거워서 패널전체에 PET 폼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 중앙 코어부(111)와 외부 스킨재(112b) 사이에서 테두리나 양면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T foam is heavier than EPS, so it is preferable to form only a border or both sides between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and the outer skin material 112b without using the PET foam material throughout the panel.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외부 스킨재(112b)는 내부 보강재(112a)에 의해 강도가 보강된 복합재료패널(100)의 표피재를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material 112b constitutes a skin material of the composite panel 100 whose strength is reinforced by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외부 스킨재(112b)는 섬유강화 복합재 시트로서, 강화섬유 직물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 함침 및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시트 형태의 섬유강화 복합재이며, 강화섬유 및 기지재를 복합화하여 기계적 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소재이다.The outer skin material 112b is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sheet, which is a sheet-shaped fiber reinforced composite prepared by applying, impregnating, and polymerizing a resin composition to a reinforcing fiber fabric, and significantly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by compounding reinforcing fibers and matrix materials. It is made material.

여기서, 강화섬유는 일방향 파이버(fiber), 연속상 섬유 직물(woven fabric)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는데 특징이 있다. 직물(woven fabric)은 파이버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교차하면서 배열되어 있으므로 복수 개의 방향으로 강화 효과를 가지면서 높은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직조, 이축, 다축 등 다양한 형태의 직물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제조 부품의 형태에 따라 물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Here, the reinforcing fibers are characterized by using unidirectional fibers, continuous woven fabrics or nonwoven fabrics. Woven fabric is a fiber that is arranged to cross in a certain direction to achieve a high mechanical properties while having a reinforcing effect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various types of fabric, such as weaving, biaxial, multi-axis, etc. can be used as desired The physical properties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rt.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화섬유 직물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기계적 물성의 측면에서, 상기 강화섬유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사가 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섬유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fiber fabri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erms of mechanical properties, the fiber yarn constituting the reinforcing fiber fabric is one or two or more fiber yar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fibers, glass fibers, and aramid fibers. desirab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속상 섬유 직물로서 섬유사를 평직, 능직, 주자직 등의 직조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직물을 사용한다. 사용하는 연속상 섬유 직물의 선택은 요구하는 최종 제품의 물리적 성질, 기계적 물성과 기능에 따라 소재 및 직조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제품에 고강성이 요구될 때에는 탄소섬유를 적용하고, 충격 강도가 요구될 때에는 주로 아라미드 섬유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연속상 섬유 직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s the continuous fiber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abric produced by a weaving method such as plain weave, twill weave or runner weave is used. The choice of continuous-phase fiber fabrics to be used can select the material and weaving method depend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functions of the final product required. For example, carbon fiber is applied when high stiffness is required for the final product, and aramid fiber is mainly selected when impact strength is requir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ixture of the above continuous fiber fabrics.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재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재(matrix resin)로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기지재는 강화섬유에 함침되어 복합화함으로써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발현하게 된다.Next, the resin composition used for manufacture of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shee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s the matrix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ermoplastic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may be used, and the matrix material is expressed by impregnating with reinforcing fibers to expres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이때,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열경화성 수지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비닐 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열경화성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as the thermoplastic resin, polyamide resi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polycarbonate resin,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polyketone resin, polyphenylene sulfide resin,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polyolefin resin One or two or more res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sins are preferr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On the other hand, the thermosetting resin is preferably one or two or more res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vinyl ester resins, epoxy resins, thermosetting urethane resi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이용되는 수지는 중합 촉매, UV 안정제, 색상 조절 첨가제, 충격 강도 보강제, 내열 안정제, 점도 조절제, 난연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in used may further include a polymerization catalyst, UV stabilizer, color control additive, impact strength enhancer, heat stabilizer, viscosity regulator, flame retardant and the like.

한편, 외부 스킨재(112b)가 표피층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adhesive may be used to make the outer skin material 112b form an epidermal layer.

여기서, 접착제층에 대해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접착제층은 심재인 내부 보강재(112a)로 보강된 중앙 코어부(111)의 표면에 외부 스킨재(112b)가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착제층은 섬유강화 복합재 시트 또는 심재 상에 1액형 우레탄계 수지 접착제, 2액형 우레탄계 수지 접착제 및 에폭시계 수지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중앙 코어부(111)와 내부 보강재(112a)을 결합하는 부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Here, looking at th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couple the outer skin material 112b to the surface of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reinforced by the inner reinforcing material (112a) that is the core material. Such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one or two or more resin adhes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one-component urethane-based resin adhesive, a two-component urethane-based resin adhesive, and an epoxy-based resin adhesive onto a fiber-reinforced composite sheet or core material. The adhesive may be used as a member for coupling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and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합재료패널(100)의 구성물인 중앙 코어부(111), 내부 보강재(112a) 및 외부 스킨재(112b)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능성 패널, 기지재 및 접착제층에 난연제를 혼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lame retardancy of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the inner reinforcing material (112a) and the outer skin material (112b) constituting the composite panel 100, a flame retardant to the functional panel, the base material and the adhesive layer Can be mixed.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부 보강재(112a)에 의해 중앙 코어부(111)의 외곽부를 구성함으로써, 내부 보강재(112a)가 중앙 코어부(111)의 단점에 대한 보강으로 기계적 강도 보완, 내마모성 보완, 내구성 보완이 가능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By constructing the outer portion of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by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by this structure, the internal reinforcing material (112a) to reinforce the disadvantages of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to complement the mechanical strength, wear resistance, durability supplement This can give a possible effect.

외부 스킨재(112b)는 중앙 코어부(111) 및 내부 보강재(112a)에 의해 형성된 심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대한 외장재(facing material)로 사용할 수 있다. The outer skin material 112b may be used as a facing material f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re formed by the central core part 111 and the inner reinforcing material 112a.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중앙 코어부(111), 내부 보강재(112a), 외부 스킨재(112b)를 각각 제조한 뒤, 하나의 사출기의 금형 내에 내장하고, 각 구성요소의 사이에 용융 가소화된 상태의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내에서 구조물들은 그 사이에 플라스틱 수지가 충진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야 한다. 이때, 플라스틱 수지는 금형에 내장된 구조물들의 표면을 따라 흘러들어가 그 구조물들을 접합함과 동시에 성형된다. 그리고, 금형은 플라스틱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수지는 금형 내에서 고화되어 구조물들 사이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anufacturing the central core portion 111, the inner reinforcing material (112a), the outer skin material (112b), respectively, embedded in a mold of one injection machine, between each component It can be produced by injecting a plastic resin in a melt plasticized state. In this case, the structures in the mold must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plastic resin can be filled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plastic resin flows along the surfaces of the structures embedded in the mold and is bonded at the same time as the structures are joined. Then, the mold maintain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plastic resin. Thus, the plastic resin solidifies in the mold to form the plastic between the structur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플라스틱 수지는 비강화 고분자 소재 또는 고분자 소재에 비연속상 강화재가 분산된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tic resin means any one of a non-reinforced polymer material or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discontinuous phase reinforcement is dispersed in the polymer material.

이 경우, 플라스틱 수지는 Polyethylene 수지(PE), Poly vinyl chloride 수지(PVC), Polypropylene 수지(PP), Polystyrene 수지(PS), Polyacrylonitrile 수지, Styrene-acrylonitrile 수지(S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ABS), Polymethyl metacrylate 수지(PMMA),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olycarbonate, PC), 폴리카보네이트/ABS 수지(polycarbonat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카보네이트/ASA 수지(polycarbonate/ASA),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PA), 폴리아미드/ABS 수지(polyamide/ABS),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olybutylene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polyphenylene sulfide, PPS), 액정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LCP), 개질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Modified Poly Penyleneoxide, MPPO), 폴리설폰 수지(polysulfone, PSU), 폴리에테르설폰 수지(polyethersulfone, 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polyetheretherketone, PEEK), 신디오탁틱폴리스티렌 수지(syndiotactic polystyrene)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lastic resin may be made of polyethylene resin (PE), poly vinyl chloride resin (PVC), polypropylene resin (PP), polystyrene resin (PS), polyacrylonitrile resin, Styrene-acrylonitrile resin (S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 ABS), polymethyl metacrylate resin (PMMA), polyolefin resin,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TPU), polycarbonate resin (PC), polycarbonate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carbonate / ASA resin (polycarbonate / ASA), polyamide resin (polyamide, PA), polyamide / ABS resin (polyamide / ABS),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polybutylene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 Polyphenylene sulfide resin (PPS), liquid crystal polymer (LCP), modified poly phenylene oxide (MPPO), polysulfone Resin (polysulfone, PSU), polyethersulfone resin (polyethersulfone, PES), polyetheretherketone resin (polyetheretherketone, PEEK), syndiotactic polystyrene (syndiotactic polystyrene) and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 10 : 하부 패널
11 : 고정홀 20 : U자형 틀
21 : 수직 고정 볼트 22 : 수평 고정 볼트
20a 내지 20d : 제 1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
30 : 측부 패널 31 : 측벽 고정 돌기
32 : 측벽 홈 33 : 지붕 패널 홈
34 : 돌기 수용 홈 35 : 직교형 돌기
30a 내지 30d : 제 1 내지 제 4 측부 패널
40 : 지붕 패널 50 : 보호 플레이트
50a : 제 1 측 보호 플레이트 50b : 제 2 측 보호 플레이트
100 : 복합재료패널
1: Emergency disaster rescue building 10: Lower panel
11: fixing hole 20: U-shaped frame
21: vertical fixing bolt 22: horizontal fixing bolt
20a to 20d: first to fourth side U-shaped frame
30 side panel 31 side wall fixing protrusion
32: side wall groove 33: roof panel groove
34: projection receiving groove 35: orthogonal projection
30a to 30d: first to fourth side panels
40: roof panel 50: protective plate
50a: 1st side protection plate 50b: 2nd side protection plate
100: composite material panel

Claims (13)

하부 패널, U자형 틀, 측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U자형 틀은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 패널은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패널을 재해재난 지역의 지면에 놓고, 상기 하부 패널의 내측면으로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의 U자 단면으로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을 끼워 넣고 상기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에 구비된 홈을 상하로 맞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측벽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및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 패널의 내측면으로 제 5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8 측부 U자형 틀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및
지붕 패널에 형성된 제 5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8 측부 U자형 틀의 U자 단면이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완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의 홈에는 홈 보강재로 표면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A lower panel, a U-shaped frame, a side panel, and a roof panel, wherein the U-shaped frame consists of a first side U-shaped frame to a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side panel comprises a first side panel to a fourth side panel. In setting method of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to be made of,
Placing a lower panel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on the ground of the disaster area, and forming a first side U-shaped frame to a fourth side U-shaped frame as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grooves provided in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are fitted up and down to fix it. Thereby installing the sidewalls; And
A third step of forming a fifth side U-shaped frame to an eighth side U-shaped frame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oof panel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A fourth step of completing the U-shaped cross-section of the fif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eighth side U-shaped frame formed in the roof panel so as to fit ov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 grooves of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installation method of the emergency disaster rescu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reinforced with a groove reinforce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 보강재는 섬유강화복합재료 성형물, 플라스틱 성형물 또는 금속 절곡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oove reinforcement is made of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molding, a plastic molding or a metal b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 보강재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oove reinforcement is provided with a sealing material made of an elastic body.
하부 패널, U자형 틀, 측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U자형 틀은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 패널은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 부의 각 상부면에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하부 패널을 재해재난 지역의 지면에 놓고 고정부재를 통해 지면으로 고정한 후, 상기 고정부재가 위치한 내측면으로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의 U자 단면으로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을 끼워 넣고 상기 제 1 측부 패널 내지 제 4 측부 패널에 구비된 교대형 돌기 및 홈을 맞물려 고정시킴으로써 측벽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및
제 1 측부 U자형 틀 내지 제 4 측부 U자형 틀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으로 경사를 형성하기 위한 지붕 패널의 돌기를 삽입하여 완성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A lower panel, a U-shaped frame, a side panel, and a roof panel, wherein the U-shaped frame consists of a first side U-shaped frame to a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the side panel comprises a first side panel to a fourth side panel. In setting method of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to be made of,
The lower panel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s n fixing holes (n is a natural number of two or more) on each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on the ground of the disaster area, and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ixing member. A first step of forming a first side U-shaped frame to a fourth side U-shaped frame with an inner side where the member is located;
Insert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into the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to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and engage the alternate protrusions and grooves provided in the first side panel to the fourth side panel. A second step of installing the side walls by fixing; And
A third step of inserting and completing projections of a roof panel for forming an inclination into grooves formed in at least two or mor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to fourth side U-shaped frames; How to install a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하부 패널 중 테두리에 체결된 고정 부재의 내측으로 제 1 측부 패널을 삽입하기 위해 단면이 U자로 형성되는 제 1 측부 U자형 틀을 넓이 방향(W)에 따라 배열된 고정 부재와 평행하도록 놓은 뒤, 수직 고정 볼트로 전단과 후단에 각각 2개씩 고정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제 2 측부 패널을 삽입하기 위한 제 2 측부 U자형 틀을 제 1 측부 U자형 틀에 대해서 하부 패널의 상부면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한 뒤, 수직 고정 볼트로 고정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tep,
In order to insert the first side panel into the fixing member fastened to the rim of the lower panel,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placed in parallel with the fixing member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 Step 1-1 fixing each of the two front and rear ends with a vertical fixing bolt; And
Steps 1-2 of arranging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for inserting the second side panel to be symmetrical abou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and then fixing it with a vertical fixing bolt. ; How to install a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comprising 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2 단계 이후, 제 1 측부 패널을 제 1 측부 U자형 틀의 홈에 삽입하고, 제 2 측부 패널을 제 2 측부 U자형 틀의 홈에 삽입하는 제 1-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tep,
After the step 1-2, inserting the first side panel into the groove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and inserting the second side panel into the groove of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Installation method of a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제 1-3 단계 이후, 제 3 측부 U자형 틀 및 제 4 측부 U자형 틀을 제 1 측부 U자형 틀 및 제 2 측부 U자형 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되, 하부 패널 중 테두리에 체결된 고정부재의 내측으로 길이 방향(L)에 따라 배치하는 제 1-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step,
After the steps 1-3, the third side U-shaped frame and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ar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and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and fastened to the edge of the lower panel. 1-4 steps of placing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stallation method of a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4 단계는,
제 3 측부 U자형 틀은 전면, 제 4 측부 U자형 틀은 배면에 배열되며, 길이 방향(L)에 따라 배열된 고정부재와 평행하도록 놓은 뒤, 수직 고정 볼트로 전단과 후단에 각각 2개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to fourth steps,
The third side U-shaped frame is arranged at the front side and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is arranged at the rear side, placed parallel to the fixing member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n fixed two at the front and the rear end with a vertical fixing bolt. Installation method of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4 단계는,
제 3 측부 U자형 틀 및 제 4 측부 U자형 틀의 길이는 그 양 끝단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측부 U자형 틀 및 제 2 측부 U자형 틀의 양 끝단과 교차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s 1-4,
The lengths of the third side U-shaped frame and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are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sect both ends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and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dispose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both ends thereof. A method of installing a disaster relief emergency buildin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4 단계는,
제 3 측부 U자형 틀 및 제 4 측부 U자형 틀의 단면을 이루는 U자형 구조 중 내측의 돌기는 제 1 측부 U자형 틀 및 제 2 측부 U자형 틀의 단면을 이루는 U자형 구자 중 내측의 돌기 사이로 삽입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teps 1-4,
The inner protrusions of the U-shaped structure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third side U-shaped frame and the fourth side U-shaped frame between the inner protrusions of the U-shaped spheres forming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side U-shaped frame and the second side U-shaped frame. A method of installing an emergency disaster rescue building, comprising the inserted structur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제 1 측부 패널 및 제 2 측부 패널 각각은, 양 끝단에 양각 형태의 측벽 고정 돌기와, 음각 형태의 측벽 홈이 하나씩 형성되는 경우, 제 1 측부 패널 및 제 2 측부 패널에서 측벽 고정 돌기와 측벽 홈은 하부 패널의 상부면을 중심으로, 상호 간에 대각으로 교체하도록 형성되며, 전면부 측벽에 해당하는 제 3 측부 패널 및 후면부 측벽에 해당하는 제 4 측부 패널에 각기 형성된 돌기 수용 홈 및 직교형 돌기와 맞물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Each of the first side panel and the second side panel of the first step may have side wall fixing protrusions having an embossed shape at one end thereof, and side wall fixings formed at the first side panel and the second side panel when the negative side wall grooves are formed one by one. The projections and the side wall grooves are formed to be diagonally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abou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and the projection receiving grooves and the orthogonal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the third side panel corresponding to the front side wall and the fourth side panel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wall An installation method for a disaster disaster emergency rescue building, which is formed in engagement with a mold protrusion.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 측부 패널 및 지붕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복합재료패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composite panel for manufacturing the lower panel, the side panel, and the roof pane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패널은 중앙 코어부 및 표면 시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재난 긴급구조용 건축물의 설치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mposite panel comprises a central core portion and a surface sheet.
KR1020180055288A 2018-05-15 2018-05-15 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649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88A KR102064922B1 (en) 2018-05-15 2018-05-15 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88A KR102064922B1 (en) 2018-05-15 2018-05-15 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65A true KR20190130765A (en) 2019-11-25
KR102064922B1 KR102064922B1 (en) 2020-01-10

Family

ID=6873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288A KR102064922B1 (en) 2018-05-15 2018-05-15 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92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3680B1 (en) 2014-02-05 2014-07-09 大國段ボール工業株式会社 Cardboard divider kit
JP6048775B1 (en) 2015-12-19 2016-12-21 有限会社アスタ Assembled room private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922B1 (en)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7630B2 (en) Foam wall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6205728B1 (en) Laminated composite building component
US20170096819A1 (en) Stucco wall structure
US8782991B2 (en) Building roof structure having a round corner
US20230279624A1 (en) Composite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08005307A2 (en) Panel structure
EP2718514B1 (en) A modular building
US20230228113A1 (en) Swimming Pool with Composite Wall
CZ314795A3 (en) Elongated, hollow, rectangular extruded thermoplastic building ele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US20100050549A1 (en) Joint of parallel sandwich panels
WO2009125289A2 (en) Straight joint for sandwich panel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20100050542A1 (e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a reinforced roof structure from sandwich panels
KR20180113260A (en) Sandwich panel system with durability and ease of construction
KR102064922B1 (en) Module type emergency rescue structure for disaster and installing method for the same
EP2078121A1 (en) Thermal insulating composite panel,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building structures from such panels
US20090307995A1 (en) Roof construction joints made of sandwich panels
JP7145458B2 (en) Interi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panel
FI98398C (en) Wall element
KR10194655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locatable pixel type building using composites structural insulated panel and relocatable pixel type building prepared by the same
KR101375028B1 (en) the insulation complex panel with structural wood and the construct method of wall therewith
KR102107518B1 (en) Sound-proof and shielding panel structure using lightweight composite panel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US8875475B2 (en) Multiple panel beams and methods
US20140272311A1 (en) Composite sandwich panels and method of forming round corners in composite sandwich panels
KR101968667B1 (en) Lightweight sandwich panel and profile extrudate for prefabricated building, prefabricated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260085A1 (en) Columnar structural component and method of fo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