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329A -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329A
KR20190130329A KR1020180054834A KR20180054834A KR20190130329A KR 20190130329 A KR20190130329 A KR 20190130329A KR 1020180054834 A KR1020180054834 A KR 1020180054834A KR 20180054834 A KR20180054834 A KR 20180054834A KR 20190130329 A KR20190130329 A KR 20190130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artificial
water quality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955B1 (ko
Inventor
우도영
Original Assignee
우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도영 filed Critical 우도영
Priority to KR102018005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9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05Control of chemical properties of a component, e.g. control of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저장하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된 인공수조; 인공수조의 내부에 부상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부유체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부유체회전수단; 인공수조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 인공수조와 연결되어 맑은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 및 부유체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수질측정센서로부터 전달된 수질측정값을 분석해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물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인공수조에 맑은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인공수조의 내부 물을 오버플로우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수질개선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수질 악화시 인공수조 내부의 물을 저으면서 녹조를 제거하며, 맑은물로 교체함으로써 수질을 용수에 적합한 수질로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는 물을 모아두기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 깊은 물웅덩이로서 과거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가뭄 및 홍수 조절뿐만 아니라, 농촌 경관 확보와 관광자원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물웅덩이의 다른 종류로서 둠벙은 저수지보다 소규모 형태로서 민자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둠벙의 경우 수질관리를 위한 국가예산이 투입되지 않는 등 상당기간 물이 고인 상태로 유지되며, 자연적인 물 유입이 없어 수질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그런데, 저수지, 둠벙과 같은 물웅덩이에 녹조가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면, 용수에서 필요로 하는 수질등급을 상회하는 등 활용가치가 현격히 떨어지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2941호 (공고일자: 2017년 05월 24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저수지 또는 둠벙 등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질개선장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된 인공수조; 인공수조의 내부에 부상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부유체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부유체회전수단; 인공수조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 인공수조와 연결되어 맑은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 및 부유체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수질측정센서로부터 전달된 수질측정값을 분석해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물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인공수조에 맑은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인공수조의 내부 물을 오버플로우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질개선장치에 있어서, 부유체의 하부에는, 인공수조의 내부에 발생되는 녹조 등의 부유물을 채집하기 위한 채집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질개선장치에 있어서, 물공급수단은, 인공수조의 일측과 연결되어 인공수조에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지하수 공급부와, 인공수조의 타측과 연결되어 오버플로우된 물을 정화시켜 저장하며 인공수조에 정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화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질개선장치에 있어서, 지하수 공급부는, 인공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지하수조와, 인공수조의 일측과 지하수조를 연결하기 위한 제1관로와, 지하수조와 제1관로 사이에 설치되되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지하수를 인공수조에 공급하기 위한 제1모터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질개선장치에 있어서, 정화수 공급부는, 인공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정화수조와, 인공수조의 타측과 정화수조를 연결하기 위한 제2관로와, 정화수조와 제2관로 사이에 설치되되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정화수를 인공수조에 공급하기 위한 제2모터펌프와, 인공수조의 배수홀과 정화수조를 연결하여 오버플로우되어 자연배수되는 물을 필터링시킨 후 정화수조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질개선방법은, 물을 저장하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된 인공수조; 인공수조의 내부에 부상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인공수조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 인공수조와 연결되어 맑은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 및 수질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수질악화시 물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수질개선장치의 수질개선방법에 있어서, 수질측정센서를 이용해 인공수조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단계; 수질측정센서의 수질측정값을 제어수단에 전달하는 데이타입력단계; 기 설정된 수질기준과 측정된 인공수조의 수질을 분석하는 수질비교단계; 측정된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제어수단의 제어로 물공급수단을 작동시켜 인공수조에 맑은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인공수조의 내부 물을 오버플로우시키는 맑은물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질개선방법에 있어서, 수질개선장치는, 부유체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부유체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며, 측정된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제어수단이 부유체회전수단을 작동시켜 부유체를 회전 제어하여 인공수조의 내부에 발생된 녹조 등의 부유물을 채집하는 부유물채집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수질 악화시 인공수조 내부의 물을 저으면서 녹조를 제거하며, 맑은물로 교체함으로써 수질을 용수에 적합한 수질로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장치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유체 하부에 설치되는 채집수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부유체회전수단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와이어 감김 측정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뒷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장치의 수질개선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장치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유체 하부에 설치되는 채집수단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부유체회전수단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와이어 감김 측정부를 확대해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뒷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장치는 인공수조(10); 부유체(200); 부유체회전수단(300); 수질측정센서(400); 물공급수단(500); 제어수단(600); 및 중앙통제센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수조(10)는 물을 저장하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되는데, 땅을 파 매립되거나 땅 위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며 외부 물을 급수하거나 빗물로 일정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인공수조(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외부로부터 밀폐됨이 바람직하며, 하부에 가뭄 등 필요시 저장된 물을 반출하여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출관(11)이 설치되어 그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관(11) 상에는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12)가 마련될 수 있다. 인공수조(10)의 상부에는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자연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홀(10a)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부유체(200)는 그 상부에 태양광발전설비(1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력체(210)가 결합되어 인공수조(10)의 내부에 부상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체(2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특정 형태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부유체(200)의 중앙에는 후술할 부유체회전수단(300)의 포스트(310)가 관통되는 관통홀(200a)이 형성되어 수위 변화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또, 관통홀(200a)의 주변으로는 수면(L)의 냉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부유체(200)의 판면 방향을 따라 냉기통과홀(200b)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태양광발전설비(100)는 빛이 조사(照射)되면 광전효과에 의해 광 기전력을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으로서 복수의 태양전지(Solar Cell)로 구성된 전지모듈(Module)과, 축전지 및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발전설비(100)는 전지모듈이 부유체(200)의 냉기통과홀(200b)과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부유체(200)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수조(10)의 내부에 발생되는 녹조 등의 부유물을 채집하기 위한 채집수단(22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채집수단(220)은 부유체(200)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체(221)와, 고정체(221) 내부에 외륜이 지지되는 베어링(222)과, 베어링(222)의 내륜에 일단(상측)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체(223)와, 회전체(223)의 타단(하측)에 고정되어 회전체(223)와 연동되며 수면(L)이 내측으로 통하는 그물망(224-5)의 입구(224-5a)가 설치되는 그물망 조립체(224)로 이루어진다. 채집 수단(220)은 복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물망(224-5)은 그 입구(224-5a) 측 형태를 유지하도록 금속재질 또는 친환경 PE재질의 고정틀(224-1)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물망(224-5)의 저부에는 채집된 부유물질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무게추(224-2)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틀(224-1)의 일측면 양쪽에는 물에 대한 저항이 균형을 이루어 그물망(224-5)의 방향성을 잡기 위한 한 쌍의 방향추종편(224-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방향추종편(224-3)은 만곡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정틀(224-1)의 타측면 한쪽에는 어느 하나의 방향추종편(224-3)과 대칭되는 단일의 대향추종편(224-4)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부유체회전수단(300)에 연동하여 부유체(200)가 회전하여 그물망 조립체(224)가 연동되는데, 한 쌍의 방향추종편(224-3)에 의해서 물에 대한 저항이 균형을 이루어 그물망(224-5)의 아랫부분이 뒤로 따라오는 형태를 취함과 동시에 그 입구(224-5a) 측이 완전히 개방된채 부유체(200)와 동일한 정방향(동쪽에서 서쪽으로) 괘적을 그리면서 수면(L)의 부유물 및 녹조류를 채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부유체(200)가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그물망 조립체(224) 역시 고정되는바, 그물망(224-5)의 아랫부분이 무게추(224-2)에 의해 아래로 쳐지면서 그 입구(224-5a) 측이 폐쇄되며, 따라서 채집된 부유물 및 녹조류를 그물망(224-5) 내측에 가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유체회전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2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한 종단은 인공수조(10)의 바닥을 관통하여 지반에 고정되고 또 다른 종단은 인공수조(10)의 상부로 돌출되는 포스트(310)와, 지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동력장치(331)(332)와, 양단이 제1·2동력장치(331)(332)와 부유체(200)의 고정바(23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제1·2와이어(333)(334)와, 제1와이어(333)와 대응되게 고정설치되어 감김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와이어 감김 측정부(340)를 포함한다.
포스트(310)의 중간부분은 부유체(200)의 관통홀(200a)을 통과하여 직립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2동력장치(331)(332)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 감속기(미도시),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끊을 수 있는 클러치(미도시) 및 모터(미도시)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미도시)로 구성된다. 제1동력장치(331)와 제2동력장치(332)는 서로 반대로 작동함으로써 부유체(20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와이어 감김 측정부(3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수조(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341)와, 고정부재(341)의 일측에 지지되며 제1와이어(33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343)와, 연장부재(343)의 일측에 제1와이어(333)가 일정간격으로 감기도록 설치되며 제1와이어(333)의 감김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345)와, 연장부재(343)의 타측에 고정되어 어느 하나의 롤러(345)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재(34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41)는 'ㄱ'자 형상의 지지부(341a)와, 지지부(341a)에 상향 설치된 기립부(341b)로 이루어진다.
연장부재(343)는 일정 길이의 직사각 형태로서 기립부(341b)에 고정 설치된다. 연장부재(343)는 복수의 롤러(345)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직사각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롤러(345)는 연장부재(343)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축(343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되 길이방향으로 이격설치되고, 설치높이를 차등(지그재그) 배치하여 제1와이어(333)의 감김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때 롤러(345)의 1회전당 제1와이어(333)의 감김량을 추정할 수 있다.
센서부재(347)는 어느 하나의 롤러(345)의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연동 회전되는 바아(347a)와, 연장부재(343)의 타측에 설치된 브라켓(343b)에 지지되고 바아(347a)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감지센서(347b)로 이루어진다. 이때, 감지센서(347b)는 근접센서, 광센서 등 공지된 것들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제어수단(600)과 케이블(C)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347b)가 근접센서가 이용될 경우는 바아(347a)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어수단(600)은 와이어 감김 측정부(340) 및 제1·2동력장치(331)(332)와 연결되어 바아(347a)가 설치된 어느 하나의 롤러(345)의 회전수를 통해 부유체(200)의 회전각도를 유추하며, 계절 및 시간대별 태양의 궤도에 따라 프로그램에 기 입력된 기준각도에 따라 한 쌍의 제1·2동력장치(331)(332)의 가동을 수 초(second) 내지 수 분(minute) 단위로 정역 제어할 수 있다.
수질측정센서(400)는 인공수조(10)의 수질을 측정하도록 인공수조(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공급수단(500)은 인공수조(10)와 연결되어 인공수조(10)의 수질이 악화될 경우, 맑은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공급수단(500)은 인공수조(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인공수조(10)에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지하수 공급부(510)와, 인공수조(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오버플로우된 물을 정화시켜 저장하며 인공수조(10)에 정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화수 공급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하수 공급부(510)는 인공수조(10)의 외부에 설치된 지하수조(511)와, 인공수조(10)의 일측과 지하수조(511)를 연결하기 위한 제1관로(512)와, 지하수조(511)와 제1관로(512) 사이에 설치되되 제어수단(600)과 연결되어 지하수를 인공수조(10)에 공급하기 위한 제1모터펌프(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수 공급부(520)는 인공수조(10)의 외부에 설치된 정화수조(521)와, 인공수조(10)의 타측과 정화수조(521)를 연결하기 위한 제2관로(522)와, 정화수조(521)와 제2관로(522) 사이에 설치되되 제어수단(600)과 연결되어 정화수를 인공수조(10)에 공급하기 위한 제2모터펌프(523)와, 인공수조(10)의 배수홀(10a)과 정화수조(521)를 연결하여 오버플로우되어 자연배수되는 물을 필터링시킨 후 정화수조(521)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관로(52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로(524)에는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는 여과부(524-1)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수단(600)은 부유체회전수단(300)과 연결되어 계절별 태양의 궤도에 따라 부유체(200)를 회전 제어하거나, 수질측정센서(400)로부터 전달된 수질측정값을 분석해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물공급수단(500)을 제어하여 인공수조(10)에 맑은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인공수조(10)의 내부 물을 오버플로우시킬 수 있다.
중앙통제센터(700)는 원격지에서 제어수단(600)과 연결되어 물 관리를 위한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며, 용도별 수질기준을 설정하여 전산으로 입력 및 관리하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장치의 수질개선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장치의 수질개선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먼저, 수질측정센서(400)를 이용해 인공수조(10)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단계(S10)가 실시되며, 수질측정센서(400)의 수질측정값을 제어수단(600)에 전달하는 데이타입력단계(S20)가 실시된다.
다음은 중앙통제센터(700)에 기 설정된 수질기준과 측정된 인공수조(10)의 수질을 분석하는 수질비교단계(S30)로서, 측정된 수질이 수질기준을 만족할 시 수질개선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다만, 측정된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제어수단(600)이 부유체회전수단(300)을 작동시켜 부유체(200)를 회전 제어하여 인공수조(10)의 내부에 발생되는 녹조 등의 부유물을 채집하는 부유물채집단계(S40)가 실시된다. 이처럼 부유체(200)가 회전하게 되면, 인공수조(10) 내부의 물에 파랑이 일면서 교반되어 용존산소량이 증가하는 등 수질 개선효과가 있다.
다시, 수질측정센서(400)를 이용해 인공수조(10)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단계(S50)가 실시되고, 수질측정센서(400)의 수질측정값을 제어수단(600)에 전달하는 데이타입력단계(S60)가 실시된다.
아울러, 중앙통제센터(700)에 기 설정된 수질기준과 측정된 인공수조(10)의 수질을 분석하는 수질비교단계(S70)로서, 측정된 수질이 수질기준을 만족할 시 수질개선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다만, 측정된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제어수단(600)의 제어로 물공급수단(500)을 작동시켜 인공수조(10)에 맑은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인공수조(10)의 내부 물을 오버플로우시키는 맑은물공급단계(S80)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오버플로우된 물은 필터링된 후 정화수조(521)로 안내되며, 공급되는 맑은물은 지하수와 정화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어수단(600)은 제1모터펌프(513)와 제2모터펌프(523)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수질 악화시 인공수조 내부의 물을 저으면서 녹조를 제거하며, 맑은물로 교체함으로써 수질을 용수에 적합한 수질로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인공수조
100: 태양광발전설비
200: 부유체
300: 부유체회전수단
400: 수질측정센서
500: 물공급수단
600: 제어수단
700: 중앙통제센터

Claims (7)

  1. 물을 저장하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된 인공수조;
    상기 인공수조의 내부에 부상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부유체회전수단;
    상기 인공수조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
    상기 인공수조와 연결되어 맑은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 및
    상기 부유체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수질측정센서로부터 전달된 수질측정값을 분석해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물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인공수조에 맑은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인공수조의 내부 물을 오버플로우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는,
    상기 인공수조의 내부에 발생되는 녹조 등의 부유물을 채집하기 위한 채집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인공수조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인공수조에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지하수 공급부와,
    상기 인공수조의 타측과 연결되어 오버플로우된 물을 정화시켜 저장하며 상기 인공수조에 정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화수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공급부는,
    상기 인공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지하수조와,
    상기 인공수조의 일측과 지하수조를 연결하기 위한 제1관로와,
    상기 지하수조와 상기 제1관로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지하수를 상기 인공수조에 공급하기 위한 제1모터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공급부는,
    상기 인공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정화수조와,
    상기 인공수조의 타측과 정화수조를 연결하기 위한 제2관로와,
    상기 정화수조와 상기 제2관로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정화수를 상기 인공수조에 공급하기 위한 제2모터펌프와,
    상기 인공수조의 배수홀과 상기 정화수조를 연결하여 오버플로우되어 자연배수되는 물을 필터링시킨 후 상기 정화수조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관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장치.
  6. 물을 저장하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된 인공수조; 상기 인공수조의 내부에 부상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상기 인공수조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 상기 인공수조와 연결되어 맑은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 및 상기 수질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수질악화시 상기 물공급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수질개선장치의 수질개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질측정센서를 이용해 상기 인공수조 내부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단계;
    상기 수질측정센서의 수질측정값을 상기 제어수단에 전달하는 데이타입력단계;
    기 설정된 수질기준과 측정된 상기 인공수조의 수질을 분석하는 수질비교단계;
    측정된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로 상기 물공급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인공수조에 맑은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인공수조의 내부 물을 오버플로우시키는 맑은물공급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개선장치는, 상기 부유체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부유체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며,
    측정된 수질이 수질기준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로 상기 부유체회전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부유체를 회전 제어하여 상기 인공수조의 내부에 발생된 녹조 등의 부유물을 채집하는 부유물채집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방법.
KR1020180054834A 2018-05-14 2018-05-14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KR10212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34A KR102126955B1 (ko) 2018-05-14 2018-05-14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34A KR102126955B1 (ko) 2018-05-14 2018-05-14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29A true KR20190130329A (ko) 2019-11-22
KR102126955B1 KR102126955B1 (ko) 2020-06-25

Family

ID=6873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34A KR102126955B1 (ko) 2018-05-14 2018-05-14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9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369A (ja) * 1997-02-26 1998-09-08 Daiwa Kogyo Kk プール施設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10020486A (ko) * 2009-08-24 2011-03-03 이기웅 정수 시스템
KR101732941B1 (ko) 2015-03-16 2017-05-24 우도영 수상 회전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101838724B1 (ko) * 2015-02-27 2018-03-14 우도영 친환경 수상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369A (ja) * 1997-02-26 1998-09-08 Daiwa Kogyo Kk プール施設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10020486A (ko) * 2009-08-24 2011-03-03 이기웅 정수 시스템
KR101838724B1 (ko) * 2015-02-27 2018-03-14 우도영 친환경 수상구조물
KR101732941B1 (ko) 2015-03-16 2017-05-24 우도영 수상 회전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955B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0096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рыб
KR200438336Y1 (ko) 수질센서 관리장치
WO2019173876A1 (en) Soil ecosystem management and intelligent farming arrangement
CN111997020A (zh) 一种漂浮式环保河道垃圾收集桶装置
KR101182259B1 (ko) 집수 우수를 인공함양하기 위한 시스템
CN211185127U (zh) 一种建设海绵城市用的绿色屋顶
CN210470556U (zh) 一种多功能雨水生态利用装置
CN205042245U (zh) 一种学校实验室雨水收集过滤分析系统
KR20190130329A (ko)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CN106386640A (zh) 用于鲟鱼养殖的绿化系统
KR101161297B1 (ko) 시설하우스 빗물이용장치
CN113389261A (zh) 一种可调节的水利工程施工用蓄水池
CN106400943A (zh) 一种景观化雨水储存池
JP4364909B2 (ja) 緑化装置
CN214794001U (zh) 一种浮漂式在线监测水质装置
CN103526799B (zh) 可伸缩选择性取水装置
CN102450234A (zh) 一种新型底栖动物采样器
CN215102727U (zh) 一种河道水污染治理用生态浮岛
CN206319395U (zh) 一种景观化雨水储存池
CN106592748A (zh) 水下初雨调蓄利用系统
KR20170109464A (ko) 다목적 빗물 저장고
CN211690266U (zh) 一种园林用河道杂物自动清理装置
CN211064687U (zh) 一种水花鱼苗培育网箱
CN206333206U (zh) 用于鲟鱼养殖的绿化系统
JP2000257050A (ja) 取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