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701A -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701A
KR20190129701A KR1020190041070A KR20190041070A KR20190129701A KR 20190129701 A KR20190129701 A KR 20190129701A KR 1020190041070 A KR1020190041070 A KR 1020190041070A KR 20190041070 A KR20190041070 A KR 20190041070A KR 20190129701 A KR20190129701 A KR 2019012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keywords
user
matching
impor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274B1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영태
Publication of KR2019012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 공개된 정보 제공처들의 검색주소 또는 검색소스들을 제공받아 영역별로 세분화하고 카테고리화하여 관심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영역들에 대해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어 또는 구문에 관한 관심영역별 키워드를 추출하고 대구분 및 소구분 별로 분류하는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관심영역에 관한 키워드를 선택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참조키워드를 설정하는 참조키워드 설정부, 상기 키워드들과 의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사키워드를 설정하는 유사키워드 설정부,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워드에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 일상적 또는 비전문적 키워드들을 제외하도록 미리 제외키워드를 설정하거나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매칭 상대를 미리 제외시키는 제외키워드 설정부, 상기 참조키워드, 상기 유사키워드 및 상기 제외키워드를 참조해서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선택한 또는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추가하여 선택한 키워드인 선택키워드를 설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자율적 의도에 의해 설정되는 정량적 또는 서수적 정보인 중요도를 설정하는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 설정부, 및 매칭서비스웹포털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를 분석하여 상호 매칭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지적 표현으로 매칭정보를 나타내는 매칭분석 및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The system and algorithm to provide with the matching information among users by using keyword's significance}
본 발명은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특정영역의 관련 키워드를 매개체로 하여 해당 특정영역에 대해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관심을 갖는 다른 사용자와의 상호 매칭 정도를 해당 사용자에게 인지적 표현으로 제공해 주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상에서 사용자들이 영리/비영리의 목적 또는 그런 관계에서 관심을 갖는 영역의 관련자들 또는 다른 사용자들과 검색, 접촉, 교류를 하고 있으나 정작 본인이 검색하는 관심영역에서 최적으로 매칭이 되는 상대 사용자를 직접 발견하거나 찾게 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특히, 구인구직, 결혼중매, 보건의료 등의 포털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모이고는 있지만 최적으로 매칭이 되는 사용자를 찾게 되는 경우는 주로 관련 전문 컨설턴트 또는 대행 요원들의 도움으로 가능한 경우가 많으며 이를 위해 많은 인원, 시간, 비용 등이 소모되고 있다.
이렇듯 관심영역이 서로 같다고 할 수 있는 포털 내에서도 상호의 구체적인 관심사안이 최적으로 매칭이 되는 다른 사용자를 찾는다는 것은 현재의 온라인 환경에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최적의 매칭을 찾는 사용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할 목적으로, 사용자들 간에 상호 인지된 키워드들을 매개체로 하여 최적으로 매칭이 되는 상대 사용자를 찾아 주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들이 관심을 갖는 세부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하며, 키워드를 구분하고 추천함에 있어 비교적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형태로 예시하는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 선택키워드 들에 대해 명확히 정의하고 구분하여 시스템에서 처리하고, 이러한 키워드들을 사용자가 쉽게 식별하고 인지하도록 예시하는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설정한 선택키워드의 중요도를 나타내거나 또는 사용자간의 키워드의 중요도에 따른 매칭정보를 나타내는 인지적 표현을 구현하거나 예시하는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과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 공개된 정보 제공처들의 검색주소 또는 검색소스들을 제공받아 영역별로 세분화하고 카테고리화하여 관심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영역들에 대해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어 또는 구문에 관한 관심영역별 키워드를 추출하고 대구분 및 소구분 별로 분류하는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관심영역에 관한 키워드를 선택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참조키워드를 설정하는 참조키워드 설정부, 상기 키워드들과 의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사키워드를 설정하는 유사키워드 설정부,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워드에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 일상적 또는 비전문적 키워드들을 제외하도록 미리 제외키워드를 설정하거나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매칭 상대를 미리 제외시키는 제외키워드 설정부, 상기 참조키워드, 상기 유사키워드 및 상기 제외키워드를 참조해서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선택한 또는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추가하여 선택한 키워드인 선택키워드를 설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자율적 의도에 의해 설정되는 정량적 또는 서수적 정보인 중요도를 설정하는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 설정부, 및 매칭서비스 웹포털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를 분석하여 상호 매칭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지적 표현으로 매칭정보를 나타내는 매칭분석 및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는 외부 온라인 사이트에서 수집되거나 매칭서비스 웹포털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들로부터 사용자간의 매칭을 위한 자료수집, 이들에 대한 분석, 분류, 선택, 식별, 기억, 연결, 분리, 제외, 병합, 재조정, 저장, 추출 또는 예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 설정부는 상기 참조키워드, 상기 제외키워드 또는 상기 유사키워드에 대한 예시와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선택한 키워드를 상기 선택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는, 입력된 키워드 분석시 단어의 앞, 뒤, 중간에 대소문자, 특수문자, 특수기호, 암호 또는 특수코드를 삽입하거나 대체하거나 자르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인터넷 포털을 포함한 현재의 온라인 환경에서는 최적의 매칭 상대를 찾는 데에 적잖은 어려움과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중요 키워드를 매개체로 최적의 매칭을 찾게 되면 그 작업이 쉬워지고 간편해 짐은 물론이고 비교적 객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매칭결과를 얻게 됨으로써 이전에 소요돼왔던 인원, 시간, 비용 등이 현격히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구인구직, 결혼중매, 보건의료 등 인기포털 뿐만이 아니라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다수의 분야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관심영역, 선택키워드 등을 자율적으로 설정 또는 변경하면서 매칭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와 미치는 효과는 한정할 수 없이 크다.
본 발명은 키워드를 매개체로 하여 매칭을 하는 방법에 국한하였으나, 사진 또는 이미지, 색 또는 빛의 파장, 음향, 전자신호 등을 매개체로 한 첨단 매칭 기법으로 전개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문자, 언어, 문서와 단어문구 간의 전환, 그리고 인지적 표현을 위한 멀티미디어 적용 등 사용자간의 의사전달에 대한 발전된 기술로도 전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매칭시스템의 개념을 사용자 관점과 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가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대구분 및 소구분으로 시스템이 제공하는 키워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간의 매칭 결과를 예시적인 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매칭시스템의 개념을 사용자 관점과 시스템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1) 사용자 관점 및 (2) 시스템 관점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사용자 관점에서는 관심영역(대구분 및 소구분)을 설정하고,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를 설정하고, 다른 사용자와의 매칭결과를 확인한다. (2) 시스템 관점에서는 관심영역(대구분 및 소구분)을 사용자에게 예시하고, 사용자가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특히, 대구분 및 소구분을 세분화하여 설정하는 단계에서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를 사용자에게 예시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를 인식하고, 다른 사용자와의 매칭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동작한다.
도 2는 사용자가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대구분 및 소구분으로 시스템이 제공하는 키워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대구분 및 소구분을 선택 시에 다중선택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대구분 또는 소구분을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고, 외국어 입력을 지원하며, 사용자가 직접 구문을 입력하는 기능도 지원한다. 또한, 전체 예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인구직을 위해 사용자간 매칭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라 가정하고, 국내 반도체 기업에서 "포토"공정의 연구개발 분야 인력을 채용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이러한 분야의 취업을 희망하는 사용자간에 매칭이 되는 경우(본 예시에서 사용자는 개인 및 기업이 해당함)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대구분> 영역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종교, 교육, 법률 등의 구분영역을 예시하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대구분> 영역에서 경제, 사회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소구분-1> 영역으로서 증권, 취업, 주택,... 등을 예시하고, 사용자는 <소구분-1> 영역에서 취업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에서는 <소구분-2> 영역으로서 채용, 인터넷 기사, 뉴스, 논문, 서적, 잡포털,... 등을 예시하고, 사용자는 <소구분-2> 영역에서 채용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시스템에서는 <소구분-3> 영역으로서 반도체, 자동차, 조선, 금융,... 등을 예시하고, 사용자는 <소구분-3> 영역에서 반도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에서는 <소구분-4> 영역으로서 연구개발, 생산, 설비, 판매, 구매,... 등을 예시하고, 사용자는 <소구분-4> 영역으로서 연구개발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에서는 <소구분-5> 영역으로서 회로, 공정, 장비, 소재,... 등을 예시하고, 사용자는 <소구분-5> 영역으로서 공정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에서는 <소구분-6> 영역으로서 포토, 식각, 산화, 박막,... 등을 예시하고, 사용자는 <소구분-6> 영역으로서 포토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키워드를 더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분야에 대해 키워드를 선택하고 저장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개인 또는 기업)와의 매칭을 이루기 위한 기본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 동작과 달리, 사용자가 만약 초기 관심영역 설정 단계에서 "채용"을 직접 입력하면 해당 키워드의 검색수, 빈도수 등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우선 순위 결정에 의해 <소구분-2> 또는 <소구분-3>의 단계를 바로 예시하거나, 시스템에서 그 결정이 애매한 경우에는 이의 상위 단계(예를 들어, <소구분-1> 단계)를 시스템이 예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각 대구분 및 소구분 설정 단계에서 시스템은 해당 단계에서의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를 예시하고, 각 구분의 설정시에 사용자는 해당 구분에서의 관심영역 그룹에 대한 중요도를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그 설정을 생략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키워드를 직접 입력할 때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컨텍스트 자동완성, KMP, 또는 Aho-Corasick 등의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예시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서 예시한 참조키워드 또는 유사키워드 또는 제외키워드를 상위 또는 하위 구분 단계에서 사용자가 가져와서 참조키워드 또는 유사키워드 또는 제외키워드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 및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주로 관심을 갖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종교 등 각 부문의 세부영역에 대해 사용자들이 검색을 하면서 사용하는 키워드에 관해 자료수집, 분석, 식별, 분류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각각의 세부분야에 대해특정 키워드의 사용횟수, 키워드의 순위 등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해당 분야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분류하고, 이를 임시항목 또는 정상항목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또는 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부문의 세부 관심영역과 그에 관한 선택키워드를 설정하기 위한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 등에 관한 자료수집을 위해 웹스크래핑(Web Scraping), 빅데이터(Big Data),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등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을 도입하여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중 매칭시스템,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 선택키워드에 관한 용어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매칭시스템은, 매칭서비스 웹포털, 외부 온라인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등과 연동되어 동작하며, 사용자간의 매칭을 위한 자료수집, 분석, 분류, 선택, 식별, 기억, 연결, 분리, 제외, 병합, 재조정, 저장, 추출, 예시 등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핵심적 요소이다.
참조키워드란, 사용자의 선택키워드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특정하는 관심영역(대구분 및 소구분)에 대해 상기 매칭시스템이 예시하는 참조용 단어 또는 구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자율 또는 편의에 의해 임시로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참조키워드는 주로 대구분, 소구분의 예시에 사용되는 키워드들로서, 사용자가 특정(선택 또는 입력)하는 관심영역에 대해 어학사전, 데이터베이스 또는 시스템에서 의미, 종류, 검색수, 빈도수 등에 의해 우선 또는 구분하여 제시하는 키워드들이다.
유사키워드란, 참조키워드, 제외키워드 또는 선택키워드와 의미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또는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단어 또는 구문으로서 상기 매칭시스템이 예시를 하거나 사용자의 자율 또는 편의에 의해 임시로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선택키워드로 변경되어 설정되는 경우 선택키워드와 동일하게 또는 매칭시스템의 예시를 참조로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키워드 중요도에 반영될 수 있다. 유사키워드는 사용자가 참조키워드, 제외키워드 또는 선택키워드를 입력 또는 설정할 때에 해당 키워드와 유사한 의미 또는 동의이음어를 시스템이 예시하는 키워드로서, 해당 키워드에 대해 어학사전, 데이터베이스 또는 시스템에서 의미, 종류, 검색수, 빈도수 등에 의해 우선 또는 구분하여 제시하는 키워드들이다.
제외키워드란, 선택키워드에 포함이 안 될 일상적 또는 비전문적 또는 관심대상에서 제외되는 단어 또는 구문으로서 상기 매칭시스템이 예시를 하거나 사용자의 자율 또는 편의에 의해 임시로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설정된 조건에 의해 매칭 상대를 사전에 미리 제외시키는 항목으로 작용할 수 있다.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에 관한 일 예시로서, 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 키워드가 <소구분-2>의 "채용"인 경우에, 참조키워드는 "채용포털", "채용분석", "채용률", "채용학력" 등과 같이 관심영역 <소구분-2>의 상위 개념으로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혀주기 위한 키워드이다. 유사키워드는 "구인구직", "일자리", "인력모집", "채용공고", "직무설명서" 등과 같이 참조키워드와 유사한 또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 동의이음어에 해당하며, 제외키워드는 "일자리위원회", "비수도권(예: 제주도)", "해외취업", "아르바이트" 등과 같이 사용자가 매칭에서 제외시키고자 하는 키워드이다.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에 관한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 입력 또는 설정 키워드가 <소구분-6>의 "포토"인 경우에, 참조키워드는 "포토기술", "포토개발", "포토개선", "포토분석" 등과 같이 관심영역 <소구분-6>의 상위 개념으로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혀주기 위한 키워드이다. 유사키워드는 "포토리소그래피", "Photolithography", "사진", "감광", "노광", "Exposure", "포토마스크", "포토레지스트" 등과 같이 참조키워드와 유사한 또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 동의이음어에 해당하며, 제외키워드는 "사진편집", "앨범", "사진관", "사진작가", "extinction" 등과 같이 사용자가 매칭에서 제외시키고자 하는 키워드이다.
선택키워드란, 상기 매칭시스템이 예시한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또는 제외키워드를 참조로 해서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선택한 또는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새로이 추가한 단어 또는 구문을 의미하며, 각각의 선택키워드 별로 사용자가 매칭시스템의 예시를 참조하며 키워드의 중요도를 설정하게 된다.
중요도란, 각 키워드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적 표현으로 나타낸 것으로서상기 매칭시스템의 예시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자율적 의도에 의해 설정하는 정량적 또는 서수적 입력정보이고, 키워드의 사용횟수, 사용빈도, 비율, 가중치, 우선순위 등의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관심영역의 대구분, 소구분 및 마지막 구분 단계에서 선택한 키워드 또는 직접 입력한 키워드에 대해 중요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인지적 표현이란, 문자, 숫자, 심볼, 라벨, 모양, 색, 소리 등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대상의 가치 또는 정도를 상기 매칭시스템이 또는 사용자가 인식하거나 인식하게 해주는 방법 또는 그 결과물이다.
매칭정보란,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를 기반으로 상대와 매칭이 되는 정도를 인지적 표현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문자, 숫자, 심볼, 라벨, 모양, 색, 소리 등 지각적 매체 결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간의 매칭 결과를 예시적인 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A의 관점에서 가중치(Wt)와 비율(Rt)을 고려한 1) B향 A의 매칭률, 2) A향 B의 매칭률, 3) C향 A의 매칭률, 4) A향 C의 매칭률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B의 관점에서 가중치(Wt)와 비율(Rt)을 고려한 5) A향 B의 매칭률, 6) B향 A의 매칭률, 7) C향 B의 매칭률, 8) B향 C의 매칭률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 C의 관점에서 가중치(Wt)와 비율(Rt)을 고려한 9) A향 C의 매칭률, 10) C향 A의 매칭률, 11) B향 C의 매칭률, 12) C향 B의 매칭률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매칭시스템(100)은 매칭분석 및 시스템 제어부(110),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120), 참조키워드 설정부(130), 유사키워드 설정부(140), 제외키워드 설정부(150),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 설정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매칭시스템(100)은 매칭서비스 웹포털(200) 및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매칭시스템(100)의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120)는 외부 온라인 사이트(400)에서 제공되는 각종 공개된 정보 제공처들의 검색주소 또는 검색소스들을 수집하거나 제공받는다.
매칭시스템(100) 내의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120)는 온라인 사이트(400) 상에 존재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종교 등 일반인이 통상 관심을 가지며 접속하는 공개된 정보 제공처들의 검색주소 또는 검색소스들을 수집하거나 제공받아, 영역별로 세분화 및 카테고리화 하여 대구분, 소구분-1, 소구분-2, 소구분-3,... 등으로 각각의 관심영역 리스트를 정리한다.
또한,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120)는 이들 영역들에 대해 웹스크래핑기술 등을 이용해서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어 또는 구문에 대한 사용횟수 또는 미리 정해 놓은 우선순위 등에 의하여 관심영역별 즉, 대구분별 및 소구분별 키워드로 분류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을 한다.
상기 관심영역별 단어 또는 구문 자료수집 대상으로는, 온라인상에 공유하고 있는 이력서, 프로필, 개인기록부, 기사, 온라인 기고, 댓글, 문서파일, TEXT, HTML, Encrypt 등의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시스템(100)의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120)에서 정리된 키워드는 각 관심영역별 즉, 대구분별 및 소구분별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 등을 예시할 자료가 되며 각 키워드에 대한 사용자들(510, 520)의 사용횟수, 사용빈도 등의 내역을 사용자들(510, 520)의 설정과 함께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300)에 업데이트하고 저장한다.
사용자(510)가 매칭시스템(100)에 연결된 매칭서비스 웹포털(200)에 접속을 하고 매칭시스템(100)에서 예시 또는 사용자가 임시로 추가한 관심영역(대구분 또는 소구분)에 대해 설정을 할 때에 매칭시스템(100)은 유사키워드와 함께 참조키워드 또는 제외키워드를 예시하여 사용자(510)가 선택키워드를 정하는 데에 참조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매칭시스템(100)의 참조키워드 설정부(130)는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120)에서 정리된 키워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키워드를 설정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단어 또는 구문을 예시하도록 미리 참조키워드를 설정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매칭시스템(100)의 유사키워드 설정부(140)는 참조키워드, 제외키워드 또는 선택키워드와 의미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또는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단어 또는 구문을 예시하도록 미리 유사키워드를 설정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매칭시스템(100)의 제외키워드 설정부(150)는 선택키워드에 포함이 안 될 일상적 또는 비전문적 또는 관심대상에서 제외되는 단어 또는 구문을 예시하도록 미리 제외키워드를 설정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매칭시스템(100)의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 설정부(160)는 매칭시스템(100)이 예시한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또는 제외키워드를 참조로 해서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선택한 또는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새로이 추가한 단어 또는 구문을 선택키워드로 설정하고, 매칭시스템(100)의 예시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자율적 의도에 의해 설정하는 정량적 또는 서수적 입력정보인 중요도를 설정하여 이들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510)가 참조키워드를 참조하거나 또는 제외키워드를 설정할 때에 매칭시스템(100)은 유사키워드를 예시하여 사용자가 참조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매칭시스템(100)으로부터 참조키워드, 제외키워드 또는 유사키워드에 대한 예시를 받지 않고 선택키워드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사키워드가 선택키워드로 변경되어 설정되는 경우, 선택키워드와 동일하게 또는 매칭시스템(100)의 예시를 참조로 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중요도 설정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510)가 참조키워드, 제외키워드, 유사키워드 등을 임시로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며, 매칭시스템(100)은 이 정보를 받아 키워드 사용횟수, 우선순위 등의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해당 키워드 별로 추가 또는 변경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510)가 제외키워드를 설정할 때에 해당 제외키워드를 선택키워드로 설정한 다른 사용자(520)를 매칭 대상에서 제외시킬지 여부에 대해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510)가 선택키워드를 설정할 때에 각 선택키워드에 대한 중요도를 함께 설정하게 되는데 이를 편리하게 하도록 매칭시스템(100)이 인지적 표현으로 예시를 하고, 이를 참조한 사용자(510)가 자율적 의도에 의해 각 중요도를 설정하면, 매칭분석 및 시스템 제어부(110)에서 매칭서비스 웹포털(200)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300) 등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520)의 선택키워드 및 해당 중요도를 분석하여 상호 매칭의 정도에 따라 정리 및 분류를 하고, 이를 사용자(510)에게 인지적 표현으로 매칭정보를 나타내어 사용자(510)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키워드 분석 및 분류와 관련해서는, 본 발명에서 구문을 단어로 변환할 때에 구문내의 단어와 단어 사이 또는 단어의 앞, 뒤, 중간에 대소문자, 특수문자, 특수기호, 암호, 특수코드 등을 삽입하거나 대체하거나 자르기하는 방법 또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상에서 국가자격 종목 중의 하나인 "세무사"라는 1개의 입력단어로 그 단어에 국한된 유효정보를 검색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인터넷포털(네이버, 다음, 구글 등)에서는 검색창에 "세무사"를 입력하면 "세무사"만의 정보뿐만 아니라 "ㅇㅇ세무사협회", "ㅇㅇ세무사사무소", "ㅇㅇ세무사학원", "세무회계", "전산세무" 등의 결과물 정보를 함께 임의로 제시해 주고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다양하게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는 이점은 있으나 빠른 시간 내에 "세무사"만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아내는데 적잖은 어려움을 준다. 또한 일부 특수문자(" ", ",", "." 등)를 포함하는, 즉 " 세무사 ", " 세무사", "세무사 ", "세무사,", "세무사." 등의 단어가 입력구문의 앞 또는 뒤에 포함되는 정보를 검색한다 해도 대부분의 인터넷포털 상에서는 입력된 단어 또는 구문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한 " ", ",", "." 등의 일부 특수문자는 무시하고 주된 입력 단어 또는 구문에만 맞춰서 결과물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런 상황적 필요성을 갖는 경우를 위하여, 예를 들어 일부 특수문자(" ", ",", "." 등) 대신에 미리 사용자에게 약속된 통합 특수문자(예: $)를 해당 부위에 삽입해서 입력하면 검색자료에서 해당 부위의 특수문자 " ", ",", "." 등을 대신하는 통합문자로 인식하는, 즉 "$세무사$", "$세무사", "세무사$"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시스템이 각각에 대해서 " 세무사 ", " 세무사", "세무사 ", 또는 ",세무사," , ",세무사" , "세무사,", 또는 ".세무사.", ".세무사", "세무사." 등으로 대체하여 통합 인식을 해서 해당 단어 또는 구문이 포함된 정보만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동의이음어, 외래어 등에 대한 예시는 데이터베이스(300)의 언어사전을 참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관심영역(대구분 및 소구분), 참조키워드, 유사키워드, 제외키워드, 선택키워드 등을 예시하기 위해 보조 메뉴, 펼침 메뉴, 텍스트 메뉴, 이미지 메뉴, 그래픽 메뉴, 플래시 메뉴, 상단 메뉴, 하단 메뉴, 왼쪽 메뉴, 오른쪽 메뉴 등 해당 메뉴 또는 후속 메뉴를 표기 또는 스크롤링 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선택키워드의 중요도 또는 그 중요도에 따른 사용자간의 매칭 결과정보 등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 숫자, 심볼, 라벨, 모양, 색, 소리 등의 인지적 표현으로 중요도 또는 매칭의 정도를 매칭시스템(100)이 또는 사용자가 인식하거나 인식하게 해주는 방법 또는 그 처리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매칭시스템
110: 매칭분석 및 시스템 제어부
120: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
130: 참조키워드 설정부
140: 유사키워드 설정부
150: 제외키워드 설정부
160: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 설정부
200: 매칭서비스 웹포털
300: 데이터베이스
400: 온라인 사이트
510: 사용자-1
520: 사용자-n (매칭 상대 사용자)

Claims (4)

  1. 온라인 상에 공개된 정보 제공처들의 검색주소 또는 검색소스들을 제공받아 영역별로 세분화하고 카테고리화하여 관심영역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영역들에 대해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단어 또는 구문에 관한 관심영역별 키워드를 추출하고 대구분 및 소구분 별로 분류하는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사용자가 관심영역에 관한 키워드를 선택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참조키워드를 설정하는 참조키워드 설정부;
    상기 키워드들과 의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사키워드를 설정하는 유사키워드 설정부;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워드에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 일상적 또는 비전문적 키워드들을 제외하도록 미리 제외키워드를 설정하거나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매칭 상대를 미리 제외시키는 제외키워드 설정부;
    상기 참조키워드, 상기 유사키워드 및 상기 제외키워드를 참조해서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선택한 또는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추가하여 선택한 키워드인 선택키워드를 설정하고,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자율적 의도에 의해 설정되는 정량적 또는 서수적 정보인 중요도를 설정하는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 설정부; 및
    매칭서비스 웹포털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를 분석하여 상호 매칭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지적 표현으로 매칭정보를 나타내는 매칭분석 및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는 사용자간의 매칭을 위한 자료수집, 분석, 분류, 선택, 식별, 기억, 연결, 분리, 제외, 병합, 재조정, 저장, 추출 또는 예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키워드 및 중요도 설정부는 상기 참조키워드, 상기 제외키워드 또는 상기 유사키워드에 대한 예시와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선택한 키워드를 상기 선택키워드로 설정하는,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 및 키워드 분석부는, 입력된 키워드 분석시 단어의 앞, 뒤, 중간에 대소문자, 특수문자, 특수기호, 암호 또는 특수코드를 삽입하거나 대체하거나 자르기하는,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190041070A 2018-05-11 2019-04-08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237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110 2018-05-11
KR20180054110 2018-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701A true KR20190129701A (ko) 2019-11-20
KR102237274B1 KR102237274B1 (ko) 2021-04-07

Family

ID=6872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070A KR102237274B1 (ko) 2018-05-11 2019-04-08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2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3517A (zh) * 2019-12-30 2020-05-12 浙江阿尔法人力资源有限公司 人选标签预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651600A (zh) * 2020-06-02 2020-09-11 携程计算机技术(上海)有限公司 语句多意图识别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76877A (ko) 2019-12-16 2021-06-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법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8010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링커 주제별 키워드 검색 및 귓속말 메시지 서비스 프로그램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4398514A (zh) * 2021-12-24 2022-04-2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80999A (ko) * 2020-12-08 2022-06-15 엔에이치엔애드 (주) 복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CN115618850A (zh) * 2022-09-30 2023-01-17 广东亿佛手健康科技有限公司 基于穴位医疗微服务的局部语法表达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59A (ko) * 2004-07-08 2006-01-12 조중현 키워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정보 제공방법
KR20080037413A (ko) * 2006-10-26 2008-04-30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온라인 문맥기반 광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059A (ko) * 2004-07-08 2006-01-12 조중현 키워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정보 제공방법
KR20080037413A (ko) * 2006-10-26 2008-04-30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온라인 문맥기반 광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877A (ko) 2019-12-16 2021-06-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법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N111143517A (zh) * 2019-12-30 2020-05-12 浙江阿尔法人力资源有限公司 人选标签预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143517B (zh) * 2019-12-30 2023-09-05 浙江阿尔法人力资源有限公司 人选标签预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98010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링커 주제별 키워드 검색 및 귓속말 메시지 서비스 프로그램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1651600A (zh) * 2020-06-02 2020-09-11 携程计算机技术(上海)有限公司 语句多意图识别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651600B (zh) * 2020-06-02 2023-04-07 携程计算机技术(上海)有限公司 语句多意图识别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80999A (ko) * 2020-12-08 2022-06-15 엔에이치엔애드 (주) 복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CN114398514A (zh) * 2021-12-24 2022-04-2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398514B (zh) * 2021-12-24 2022-11-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618850A (zh) * 2022-09-30 2023-01-17 广东亿佛手健康科技有限公司 基于穴位医疗微服务的局部语法表达方法及系统
CN115618850B (zh) * 2022-09-30 2023-11-10 广东亿佛手健康科技有限公司 基于穴位医疗微服务的局部语法表达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274B1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9701A (ko) 키워드의 중요도에 의한 사용자간의 매칭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659084B1 (en) System, methods, and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from unstructured data
US8468167B2 (en) Automatic data validation and correction
US7130848B2 (en) Methods for document indexing and analysis
US83924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synonyms and using synonyms to search
US9092428B1 (en) System, methods and user interface for discover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in text content
CN111767716B (zh) 企业多级行业信息的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20040029085A1 (en) Summarisation representation apparatus
US20130124515A1 (en) Method for document search and analysis
US201703719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personalizing profiles in a social network
CN110941702A (zh) 一种法律法规和法条的检索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
US20120179702A1 (en) Method for setting metadata, system for setting metadata, and program
AU2021203728A1 (en) User interface operation based on token frequency of use in text
CA2900532C (en) User interface operation based on similar spelling of tokens in text
KR20200064490A (ko) 프로필 자동생성서버 및 방법
JP5345987B2 (ja) 文書検索装置、文書検索方法および文書検索プログラム
JP3583631B2 (ja) 情報マイニング方法、情報マイニング装置、および情報マイニ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Dominguès et al. Toponym recognition in custom-made map titles
US20220138259A1 (en) Automated document intake system
CN114090777A (zh) 文本数据处理方法及装置
Přichystal Mobile application for customers’ reviews opinion mining
Alvares et al. Sentiment analysis using opinion mining
KR102546690B1 (ko) 맞춤형 문서 파일 검색 및 검색 키워드 중심 선별정보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2401269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learning-based presentation generation and interpretable organization of presentation library
KR102594717B1 (ko) 검색키워드 다중 표기에 따른 우선순위 중심 선별문서 채택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