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688A - 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 Google Patents

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688A
KR20190129688A KR1020190001838A KR20190001838A KR20190129688A KR 20190129688 A KR20190129688 A KR 20190129688A KR 1020190001838 A KR1020190001838 A KR 1020190001838A KR 20190001838 A KR20190001838 A KR 20190001838A KR 20190129688 A KR20190129688 A KR 20190129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ignition
main body
heat exchange
ign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8660B1 (en
Inventor
김태봉
Original Assignee
김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7294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12968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봉 filed Critical 김태봉
Priority to KR102019000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60B1/en
Publication of KR20190129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6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3/00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Q13/04Ignit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ortable burners, e.g. torches, fire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coal ignition device having a heat exchang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of ignition of charcoal, heat in an ignition device body is heat-exchanged to be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a temperature of hot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gnition device body is lowered to remove a burn risk, and the hot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event interior air pollution.

Description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Charcoal ignition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본 발명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숯불 착화기에서,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를 배출시 그 배출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coal igniter having a heat exchange function to lower the discharge temperature when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during charcoal ignition in a charcoal igniter using gas as fuel.

일반적으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를 불에 구워 제공하는 식당 등 업체에서는 소비자의 선호로 인해 숯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종래에는 다양한 숯불 착화기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In general, companies such as restaurants that provide roast meat such as beef, pork, chicken, etc. are used to provide charcoal fire due to consumer's preference, and thus various charcoal igniters have been started.

그러나, 종래에 개시된 숯불 착화기들은 숯불 착화시 착화기 본체내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관계로, 착화기 본체 표면의 고열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뜨거운 열기로 인해 화상 위함이나 실내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the charcoal igniter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is that the heat inside the igniter main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ignition of charcoal ignition, the burn or the indoor air is not maintained comfortably due to the high heat of the igniter body surface or the hot heat discharged to the outside I could not have a problem.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285호(공고일 2011.04.18.)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3285 (Announcement date April 18, 201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499호(공고일 2011.12.22.)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7499 (Notice date 2011.12.22.) 등록특허공보 제10-1249548호(공고일 2013.04.01.)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49548 (Notice date 2013.04.01.) 등록특허공보 제10-1786376호(공고일 2017.10.17.)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786376 (Notice date 2017.10.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숯불 착화시 착화기 본체내의 열기를 열교환시키면서 외부로 배기시키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뜨거운 열기로 인한 화상 위함이나 실내 공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한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afe heat exchange function to prevent burn risk or indoor air pollution due to hot heat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exhausting the heat in the igniter main body to the outside during heat exchange during charcoal ignition To provide a charcoal igniter.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는, 숯불 착화구를 가지는 본체부에서, 상기 숯불 착화구내의 숯통에 투입된 숯을 착화시키도록 공기 혼합 가스 공급시 점화기의 점화 동작으로 화염을 분출하여 상기 숯불 착화구내의 숯통에 투입된 숯을 착화시키는 화염 분출 노즐을 포함하는 숯불 착화기에 있어서, 상기 숯불 착화구에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연통관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본체부내 전방측에는 상기 숯불 착화구에서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제 2 송풍부를 구성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송풍부에 의해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가 송풍될 때 그 송풍 경로를 제공하면서 냉각 처리하는 열교환 처리부를 구성하는 것이다.Charcoal igniter having a heat exchange func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 charcoal ignition, the flame is ejected by the ignition operation of the igniter when supplying the air mixture gas to ignite the char in the charcoal in the charcoal ignition In the charcoal igniter comprising a flame ejection nozzle for igniting the charcoal injected into the charcoal barrel in the charcoal ignition, the charcoal ignition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tube to exten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charcoal ignition on the front side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blower that blows heat generated during charcoal ignition to the outside to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cooled while providing a blowing path when the heat generated during charcoal ignition is blown by the second blower.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또한, 상기 본체부는 격벽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송풍부와 연통되는 상부 공간과, 상기 상부 공간과 격리되는 하부 공간,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공간을 연결하는 측부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lower by using partition walls, a lower space isolated from the upper space, and a side spac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paces.

또한, 상기 열교환 처리부는, 상기 연통관을 통해 상기 하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숯불 착화시의 열기를 상기 측부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제 1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에 의해 상기 측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열기를 상기 상부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제 2 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과 후면에는 각각 상기 제 2 송풍부의 송풍 동작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측으로 열기 냉각을 위한 외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the first flow path for guiding the heat during the charcoal ignition exhausted into the lower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to the side space; And a second flow path for guiding heat exhausted into the side space by the first flow path to the upper space. And at both sid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respectively, to allow inflow of outside air for hot air cooling to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during the blowing operation of the second blower part. To form one or more outside air inlets.

또한, 상기 제 2 송풍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을 내장하여둔 것으로 제 2 흡입구와 제 2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흡입구는 상기 상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열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것이다.The second blower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suction port and a second discharge port in which a sirocco fan is rotated by a motor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pace,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ot air discharge por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숯불 착화시 착화기 본체내의 열기를 열교환시키면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기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착화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뜨거운 열기의 온도를 낮춰 화상 위험을 없애고, 뜨거운 열기의 외부 배출로 인한 실내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naturally exhaust the heat inside the igniter body during heat exchange while the charcoal ignition,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hea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gniter body to eliminate the risk of burns, The effect of preventing indoor air pollution caused by external emissions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혼합 가스 공급부에 대한 확대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스 분배부에 대한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염 분출 노즐의 화염 분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염 분출 노즐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열교환 처리부에 대한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8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에 설치되는 감지로드와 스위칭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에 설치되는 감지로드와 스위칭부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arcoal ignit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arcoal ignit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harcoal igniter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a mixed gas supp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top view of a gas distribu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flame ejection state of the flame ejection nozz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lame jet nozz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tawa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t exchange treatment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blow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 operation of a sensing rod and a switching unit installed in a second blow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rod and the switch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blow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disclose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include modifications of the required forms. For example, the region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schematic attributes, and the shape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is intended to illustrate a particular form of region of the devic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even if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Also, although reference numerals are not indicated,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숯불 착화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혼합 가스 공급부에 대한 확대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arcoal ignit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arcoal ignit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arcoal igniter, Figure 4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the mixed gas supp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스 분배부에 대한 평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염 분출 노즐의 화염 분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화염 분출 노즐에 대한 단면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열교환 처리부에 대한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8에 대한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gas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flame ejection state of a flame ejection nozz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a flame ejection nozzle, and FIG.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eat exchange trea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of FIG. 8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에 설치되는 감지로드와 스위칭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송풍부에 설치되는 감지로드와 스위칭부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cond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 operation of a sensing rod and a switch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rod and the switch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blow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기는, 본체부(10), 화염 분출 노즐(20), 혼합 가스 공급부(30), 가스 분배부(40), 제 2 송풍부(50), 제어부(80), 조작부(93)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열교환 처리부(60), 이물질 제거부(70), 작동 감지부로서 감지로드(91)와 스위칭부(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Charcoal ign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the flame spray nozzle 20, the mixed gas supply unit 30, the gas distribution unit 40, the second blower 50, the control unit 8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93, in addition to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60, foreign matter removal unit 7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nsing rod 91 and the switching unit 92 as the operation detection unit.

상기 본체부(10)는 상부에 숯불 착화구(11)가 결합됨은 물론 회전형 덮개(12)가 결합되는 것이다.The main body 10 is a charcoal ignition 1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s well as the rotatable cover 12 is coupled.

이때,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숯불 착화구(11)에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그 하단에는 결합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a)에는 외주면에 걸림턱(13a)이 형성되는 연통관(13)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the charcoal ignition 11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a) is formed, the coupling portion (11a) is caugh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ommunication tube 13 in which the jaw 13a is formed can be fitted.

더불어, 상기 숯불 착화구(11)에는 평면형 또는 원통형으로서 숯이 올려지는 숯통(G1)이 안착되며, 상기 숯통(G1)이 안착되는 상기 숯불 착화구(11) 주변에는 상기 숯에 대한 착화 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로부터 분출되는 화염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염구(11b)를 형성하여둔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coal ignition device (11) is a charcoal barrel (G1) on which the char is raised as a flat or cylindrical is seated, the ignition efficiency for the charcoal around the charcoal ignition (11) on which the charcoal barrel (G1) is seated At least one flame port 11b through which the flame ejected from the flame spray nozzle 20 passes is formed so as to increase.

즉, 상기 숯통(G1)에 숯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숯을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서 분출되는 화염으로 착화시, 그 착화에 따른 열은 상기 연통관(13)을 통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하단으로 배기될 수 있고, 이렇게 배기되는 열은 상기 열교환 처리부(60)를 통해 냉각 처리되면서 상기 제 2 송풍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harcoal is seated in the charcoal barrel (G1), when the char is ignited with the flame ejected from the flame jet nozzle 20, the heat according to the ignition is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3) 10 may be exhausted to the inner lower end, and the heat exhaus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blower 50 while being cooled by the heat exchanger 60.

여기서, 상기 숯불 착화구(11)의 주변에 상기 화염구(11b)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로부터 분출되는 화염 및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숯불 착화구(11)가 상기 덮개(12)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화염 분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숯의 착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인 것이다.Here, the reason for forming the flame sphere (11b) in the vicinity of the char fire ignition 11 is to let the flame and air blown out from the flame spray nozzle 20, which is the char ignition ( 11) is to increase the ignition efficiency of the char when the flame is ejected in the closed state by the cover (12).

즉, 상기 화염구(11b)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숯의 상부측으로만 화염이 전달되지만, 상기 화염구(11b)가 형성되면, 상기 화염구(11b)를 통해 일부 화염이 빠져 나가면서 상기 숯의 측부에도 가해지므로, 상기 숯불 착화구(11)내 숯통(G1)에 넣어진 숯은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을 통해 분출되는 화염, 그리고 상기 화염구(11b)를 통해 빠져 나가면서 가해지는 화염으로 인해 전체적인 착화가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f the flame sphere (11b) is not formed, the flame is transmitted only to the upper side of the char, but if the flame sphere (11b) is formed, some flames escape through the flame sphere (11b) Since it is also applied to the side of the charcoal, the charcoal put in the charcoal barrel (G1) in the charcoal ignition (11) is applied to the flame ejected through the flame ejection nozzle 20, and exit through the flame port (11b). Losing flames allow the entire ignition to be even.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은 상기 덮개(12)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30)에서 상기 가스 분배부(40)를 통해 공기 혼합 가스를 공급받을 때 점화기(21)의 점화 동작이 이루어질 때 화염을 분출하는 것이다.The flame spray nozzle 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12, as shown in Figures 6 and 7 attached, the air mixture through the gas distribution unit 40 in the mixed gas supply unit 30, When the gas is supplied, the flame is ejected when the ignition operation of the igniter 21 is made.

즉,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은 상기 가스 분배부(4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제 7 관체(46)에 나선 결합되는 결합부(22)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점화기(21)가 형성되는 공기 혼합 가스 수용공간(A4)이 마련되는 원판형 구조물이고, 상기 점화기(21)는 한 쌍으로서 상기 본체부(10)의 후면측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인출되는 복수의 전원라인(L1)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점화기(21)의 점화 동작시 화염을 상기 숯불 착화구(11)의 방향으로 분출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lame ejection nozzle 20 has a coupling portion 22 which is helically coupled to a seventh tubular body 4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cluded in the gas distribution portion 40, and the air in which the igniter 21 is formed. It is a disk-shaped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mixed gas receiving space (A4), the igniter 21 as a pair to a plurality of power lines (L1) drawn out from the rear power supply (not shown)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ignition operation of the igniter 21 is to eject the flame in the direction of the char fire ignition (11).

상기 혼합가스 공급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이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송풍부(31)에 의해 공기 송풍이 이루어진 이후에 시차를 두고 가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 공기 혼합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mixed gas supply unit 3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which is the time difference after the air blowing by the first blowing unit 31, as shown in Figure 1 to 4 attached The gas is supplied so that the gas mixture may be supplied to the flame spray nozzle 20.

이에따라, 상기 혼합가스 공급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방측에 형성되고 제어부(80)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M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시로코팬(F1)을 내장하여둔 것으로 제 1 흡입구(311a)와 제 1 토출구(311b)를 가지는 제 1 하우징(311)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송풍부(31)에 더하여, 상기 제 1 하우징(311)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 1 하우징(311)의 토출구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스공급배관(32), 그리고 상기 가스공급배관(32)에 배치되며 상기 시로코팬(F1)의 송풍 회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를 공급하도록 개방되는 가스공급밸브(33)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80)는 숯불 착화기의 조작부(93)로부터 작동 신호 입력시 상기 모터(M1)의 온 구동과 상기 가스공급밸브(33)의 개방을 순차 제어하기 위한 작동 프로그램을 탑재하여둔 것이다.Accordingly, the mixed gas supply unit 30 is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has a built-in sirocco fan (F1) tha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of the motor (M1)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80 In addition to the first blower part 31 including a first housing 311 having a first suction port 311a and a first discharge port 311b, the first housing 31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ousing 311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311. The gas supply pipe 32 disposed in the discharge port direction of the housing 311 and the gas supply pipe 32 are disposed in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80 after the blowing rotation of the sirocco fan F1 is performed. And a gas supply valve 33 which is opened to supply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ler 80 drives the motor M1 on and the gas supply valve 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part 93 of the charcoal igniter. Equipped with an operation program for sequentially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33. It will be placed.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311)의 상기 제 1 토출구(311b)에는 제 1 관체(34)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관체(34)의 타단에는 상기 가스 분배 배관(40)을 연결하여둔 것이다.One end of the first tube 34 is coupl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311b of the first housing 311, and the gas distribution pipe 4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ube 34. I put it.

상기 가스 분배부(40)는 상기 덮개(1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축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혼합가스 공급부(30)에 의해 공기 혼합 가스가 공급시, 이를 분배하여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gas distribution part 40 performs an axial function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lid 12, and when the air mixed gas is supplied by the mixed gas supply part 30, the gas distribution part 40 distributes the gas ejection nozzle 20. It is configured to supply).

즉, 상기 가스 분배부(40)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30)로부터 이중 라인으로 관체를 분기시킨 후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 하나의 관체를 연결하여, 공기 혼합 가스를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관체(34)의 타단에 연결되는 T자형의 제 2 관체(41)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본체부(10)의 후방 상면으로 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3 관체(42, 42')를 포함한다.That is, the gas distribution unit 40 is connected to one pipe to the flame ejection nozzle 20 after branching the pipe in a double line from the mixed gas supply unit 30, as shown in Figs. By dispersing and supplying the air mixed gas, the air mixture gas is branched from the second T-shaped tube 41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tube 34 and drawn out to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pair of third tubes 42, 42 'made of a flexible material.

또한, 상기 제 3 관체(42, 42')에는 각각 L자형의 제 4 관체(43, 43')를 통해 상기 덮개(12)에 대한 축 기능을 수행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 5 관체(44, 44')를 연결하여둔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tubular body 42, 42 'has a pair of opposing fifth tubular bodies 44 that perform axial functions for the lid 12 through L-shaped fourth tubular bodies 43, 43', respectively. , 44 ').

그리고, 상기 제 5 관체(44, 44') 사이에는 T자형의 제 6 관체(45)로부터 상기 덮개(12)의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측으로 연장되는 제 7 관체(46)를 연결하여둔 것이다.The seventh tubular body 46 extending between the fifth tubular body 44 and 44 'from the sixth tubular body 45 having a T-shape to the inside of the lid 12 and extending toward the flame ejection nozzle 20. Is connected.

여기서, L자형을 이루는 상기 제 4 관체(43, 43')에는 각각 연장 관체(43a, 43a')를 체결하되, 상기 제 5 관체(44, 44')는 상기 연장 관체(43a, 43a')에 일단이 나선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홈(T1)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 6 관체(45)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T2)에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것이다.Herein, the extension pipes 43a and 43a 'are fastened to the fourth pipe bodies 43 and 43' which form an L-shape, respectively, and the fifth pipes 44 and 44 'are the extension pipes 43a and 43a'. One end is coupled to the spiral,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T1),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cking projection (T2) formed on one end of the sixth tube (45).

상기 제 2 송풍부(50)는 상기 본체(10)내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숯불 착화구(11)에서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blower 5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in the main body 10, and is configured to blow out the heat generated when the char is ignited in the char ignition outlet 11 to the outside.

즉, 상기 제 2 송풍부(50)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가동되는 것으로서 그 가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열기는 강제 흡입될 수 있으며, 강제 흡입되는 상기 열기는 상기 열교환 처리부(60)에 의해 냉각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blower unit 5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as shown in FIGS. 10 and 11, and the internal heat of the main body unit 10 is forcedly suctioned by the operation. The hot air that is forcedly sucked may be cooled by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60.

이때, 상기 제 2 송풍부(50)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F2)을 내장하여둔 것으로 제 2 흡입구(51a)와 제 2 토출구(51b)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51)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하우징(51)의 제 2 흡입구(51a)는 후술하는 상부 공간(A1)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하우징(51)의 제 2 토출구(51b)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마련되는 열기 토출구(14)와 연통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blowing unit 50 is a built-in sirocco fan (F2) rotated by a motor (M2)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80, the second suction port 51a and the second And a second housing 51 having a discharge port 51b formed therein, wherein the second suction port 51a of the second housing 51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pace A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housing 51 The second discharge port 51b may communicate with the hot air discharge port 14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51)의 상기 제 2 흡입구(51a)측에는 상기 시로코팬(F2)의 회전력에 따라 유동하는 감지로드(9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로드(91)는 상기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부(92)에 연결되면서, 상기 스위칭부(92)는 상기 시로코팬(F2)의 회전력에 의한 상기 감지로드(91)의 유동 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의 접점 신호를 상기 제어부(80)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In addition, a sensing rod 91 may be formed at a side of the second suction port 51a of the second housing 51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irocco fan F2, and the sensing rod 91 may be formed in the controll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92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80, the switching unit 92 is an on or off contact depending on whether the sensing rod 91 flows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irocco fan (F2) It is configured to outpu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스위칭부(92)에 의해 오프 접점 신호가 입력시 상기 제 2 송풍부(50)가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혼합가스 공급부(30)에 의한 공기 혼합 가스의 공급을 중지시키는 안전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80 determines that the second blower unit 50 is stopped when the off contact signal is inputted by the switching unit 92, and thus, the control unit 80 determines that the mixed gas supply unit 30 A safety program can be installed to stop the supply.

즉, 상기 제 2 송풍부(5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그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 2 흡입구(51a)를 통한 공기 또는 열기 유입 압력이 약하거나 또는 없게 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감지로드(91)의 유동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본체부(10)내의 열기를 외부로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으로서,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본체부(10)내의 열기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안전을 위해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30)를 통한 공기 혼합 가스의 공급을 중지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econd blower unit 50 does not operate properly or stops its operation, the air or hot air inflow pressure through the second inlet 51a is weak or absent, and thus the sensing rod ( The flow of 91 is also not generated, which can be recognized as not properly discharging the heat in the body portion 10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ntrol unit 80 discharges the heat in the body portion 10 If this is not done properly, the supply of the air mixed gas through the mixed gas supply unit 30 will be stopped for safety.

한편, 상기 열교환 처리부(60)는 상기 본체부(10)내에서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상의 유로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송풍부(50)에 의해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가 송풍될 때 그 송풍 경로를 제공하면서 상기 열기를 냉각 처리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60 is to explain the flow path in the spac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in the body portion 10, which is attached to the second blower 50 as shown in Figs. When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ignition of charcoal is blown by cooling the heat while providing the air blowing path.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0)는 격벽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송풍부(50)와 연통되는 상부 공간(A1)과, 상기 상부 공간(A1)과 격리되는 하부 공간(A2),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공간(A1, A2)을 연결하는 측부 공간(A3)으로 분할하되, 상기 열교환 처리부(60)는 상기 연통관(13)을 통해 상기 하부 공간(A2)으로 배기되는 숯불 착화시의 열기를 상기 측부 공간(A3)으로 가이드하는 제 1 유로(U1), 그리고 상기 제 1 유로(U1)에 의해 상기 측부 공간(A3)으로 배기되는 열기를 상기 상부 공간(A1)으로 가이드하는 제 2 유로(U2)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U1, U2)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10)의 양측면과 후면에는 각각 상기 제 2 송풍부(50)의 송풍 동작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U1, U2)측으로 열기 냉각을 위한 외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기 유입구(6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o this end, the main body 10 has an upper space A1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lower 50 using partition walls, a lower space A2 isolated from the upper space A1, and the upper portion. And divided into the side space (A3) connecting the lower space (A1, A2),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60 is the heat during charcoal ignition exhausted to the lower space (A2)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3) A first flow path U1 for guiding the side space A3 and a second flow path U2 for guiding the heat exhausted into the side space A3 by the first flow path U1 to the upper space A1. ),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blowing operations of the second blower unit 50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10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U1 and U2, respectively. At least one outside air inlet 61 to enable inflow of outside air for hot air cooling to the two flow paths U1 and U2. Can be formed.

상기 이물질 제거부(70)는 서랍형 구조물로서, 이는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 공간(A2)에서 상기 숯불 착화구(11)에 결합되는 연통구(13)를 통해 낙하되는 이물질(예;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미세 먼지 등)을 수납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70 is a drawer-type structure, which is foreign matter fall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13 is coupled to the charcoal ignition 11 in the lower space (A2)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Eg, fine dust generated when burning charcoal)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착화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우선 숯불 착화구(11)내에 숯통(G1)을 집어넣은 후, 상기 숯통(G1)에 숯들을 투입하여둔다.As such, the charcoal ign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o 11 attached, first put the charcoal barrel (G1) in the charcoal ignition sphere 11, and then put the charcoal into the charcoal barrel (G1) Do it.

다음으로, 상기 숯불 착화구(11)의 상부를 덮개(12)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조작부(93)의 작동버튼을 누르면,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 신호에 따라 제어부(80)는 제 1 송풍부(31)와 제 2 송풍부(50)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Next, when the operation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93 is press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coal ignition device 11 is closed with the cover 12,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first blower unit according to a push signal of the operation button. 31) and the second blower 50 is operated.

그러면, 상기 제 1 송풍부(31)에 포함되는 모터(M1)의 구동으로부터 시로코팬(F1)이 회전하여 제 1 흡입구(311a)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이렇게 흡입된 외기는 제 1 토출구(311b)를 통해 가스 분배부(40)로 토출된다.Then, the sirocco fan F1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M1 included in the first blower 31 to suck the outside air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311a, and the sucked outside air is the first discharge port 311b. Is discharged to the gas distribution unit 40 through.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 1 송풍부(31)의 작동으로부터 상기 가스 분배부(40)로 외기 토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혼합 가스 공급부(30)에 포함되는 가스공급밸브(33)를 열림 제어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송풍부(31)에 포함되는 제 1 하우징(311)의 내부로 인입된 가스공급배관(32)을 통해 상기 제 1 토출구(311b)측에는 2차 가스 공급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80, when the external air is discharged to the gas distribution unit 40 from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wer 31, the gas supply valve 33 included in the mixed gas supply unit 30 As a result, the secondary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311b through the gas supply pipe 32 introduced into the first housing 311 included in the first blower 31. .

그러면, 상기 제 1 토출구(311b)에서 상기 가스 분배부(40)로 1차 외기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2차 가스 토출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가스는 상기 제 1 하우징(311)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제 1 토출구(311b)를 통해 1차 토출되는 외기에 혼합되고, 이러한 공기 혼합 가스는 이중 라인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스 분배부(40)에 의해 분배된 후 상기 덮개(12)에 마련되는 화염 분출 노즐(20)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Then, since the secondary gas is discharged in a state where the primary external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ort 311b to the gas distribution unit 40, the gas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311. A flame ejection nozzle which is mixed with the outside air discharged primarily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311b and is provided in the cover 12 after being distributed by the gas distribution part 40 formed of a double line. It can be supplied to (20).

이때,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는 점화기(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점화기(21)는 제어부(80)의 제어동작에 따라 점화되면서, 상기 화염 분출 노즐(20)에서는 화염을 분출하게 되고, 이렇게 분출된 화염은 상기 숯불 착화구(11)내 숯통(G1)에 넣어진 숯이 착화되고, 더불어 상기 숯불 착화구(11)에 형성되는 화염구(11b)를 통과하는 화염에 의해 상기 숯에 대한 착화 효율은 높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igniter 21 is formed in the flame ejection nozzle 20, the igniter 21 is igni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80, and the flame ejection nozzle 20 ejects the flame. In this way, the flame is discharged charcoal is put into the charcoal barrel (G1) in the charcoal ignition 11, and the char by the flame passing through the flame port (11b) formed in the charcoal ignition 11 The ignition efficiency for the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와 같이 숯통(G1)에 넣어진 숯의 착화가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열기는 연통부(13)를 통해 상기 본체부(10)내의 하부공간(A2)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공간(A2)과 격벽을 통해 분리된 상기 본체부(10)내의 상부공간(A1)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송풍부(50)가 가동되고 있으므로, 상기 제 2 송풍부(50)의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흡입력으로부터 상기 하부공간(A1)내의 열기는 측부공간(A3)과 상기 상부공간(A1)을 통과하면서 열교환 처리부(60)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유로(U1, U2)와 외기 유입구(61)에 의해 냉각 처리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generated when the ignition of the char is put into the charcoal barrel (G1)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lower space (A2) in the main body portion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ion 13, wherein the lower space ( Since the second blower unit 50 disposed in the upper space A1 in the main body unit 10 separated through A2) and the partition wall is operated, the second blower unit 50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lower unit 50. The heat in the lower space A1 from the suction force passes through the side space A3 and the upper space A1 and forms first and second flow paths U1 and U2 and the outside air inlet 61 forming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60. By cooling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즉, 상기 열교환 처리부(60)에 포함되는 제 1 유로(U1)는 상기 연통관(13)을 통해 상기 하부 공간(A2)으로 배기되는 숯불 착화시의 열기를 상기 측부 공간(A3)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제 2 유로(U2)는 상기 제 1 유로(U1)에 의해 상기 측부 공간(A3)으로 배기되는 열기를 상기 상부 공간(A1)으로 가이드하는 것이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U1, U2)에 의해 가이드되는 열기는 상기 외기 유입구(61)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flow path U1 included in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60 guides heat during charcoal ignition exhausted into the lower space A2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3 to the side space A3. The second flow path U2 guides the heat exhausted into the side space A3 by the first flow path U1 to the upper space A1, but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U1 and U2. Heat guided by) may be cooled by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61.

이에따라, 상기 제 2 송풍부(50)의 제 2 흡입구(51a)로 냉각 처리된 공기는 제 2 토출구(51b)를 거쳐 상기 본체부(10)의 열기 토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서는 일정 온도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열기만이 배출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열기 배출에 따른 화상 위험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air cooled by the second suction port 51a of the second blower part 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t air discharge port 14 of the main body part 10 via the second discharge port 51b, Only the heat cooled to a temperature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discharg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risk of burns due to the hot air discharg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charcoal igniter having a heat exchang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본체부 11; 숯불 착화구
11a; 결합부 11b; 화염구
12; 덮개 13; 연통관
13a; 걸림턱 14; 열기 토출구
20; 화염 분출 노즐 21; 점화기
22; 결합부 30; 혼합가스 공급부
31; 제 1 송풍부 311; 제 1 하우징
311a; 제 1 흡입구 311b; 제 1 토출구
32; 가스공급배관 33; 가스공급밸브
34; 제 1 관체 40; 가스 분배부
41; 제 2 관체 42, 42'; 제 3 관체
43, 43'; 제 4 관체 43a, 43a'; 연장 관체
44, 44'; 제 5 관체 T1; 걸림홈
T2; 걸림돌기 45; 제 6 관체
46; 제 7 관체 50; 제 2 송풍부
51; 제 2 하우징 51a; 제 2 흡입구
51b; 제 2 토출구 60; 열교환 처리부
61; 외기 유입구 70; 이물질 제거부
80; 제어부 91; 감지로드
92; 스위칭부 93; 조작부
A1; 상부 공간 A2; 하부 공간
A3; 측부 공간 A4; 수용공간
U1; 제 1 유로 U2; 제 2 유로
M1,M2; 모터 F1,F2; 시로코팬
G1; 숯통 L1; 전원라인
10; Main body 11; Charcoal fire
11a; Coupling portion 11b; Fireball
12; Cover 13; Communicator
13a; Hanging jaw 14; Hot air outlet
20; Flame spray nozzle 21; Igniter
22; Coupling part 30; Mixed gas supply
31; A first blower 311; First housing
311a; First inlet 311b; First discharge port
32; Gas supply piping 33; Gas Supply Valve
34; First tube 40; Gas distribution
41; Second tube 42, 42 '; Third body
43, 43 '; Fourth tube 43a, 43a '; Extension tube
44, 44 '; Fifth tube T1; Home
T2; Studs 45; 6th tube
46; Seventh tube 50; 2nd blower
51; Second housing 51a; Second inlet
51b; Second discharge port 60; Heat exchanger
61; Outdoor air inlet 70; Foreign material removal part
80; Control unit 91; Detection rod
92; Switching unit 93; Control panel
A1; Upper space A2; Subspace
A3; Side space A4; Space
U1; First flow path U2; 2nd Euro
M1, M2; Motors F1, F2; Sirocco Fan
G1; Charcoal L1; Power line

Claims (4)

숯불 착화구를 가지는 본체부에서, 상기 숯불 착화구내의 숯통에 투입된 숯을 착화시키도록 공기 혼합 가스 공급시 점화기의 점화 동작으로 화염을 분출하여 상기 숯불 착화구내의 숯통에 투입된 숯을 착화시키는 화염 분출 노즐을 포함하는 숯불 착화기에 있어서,
상기 숯불 착화구에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연통관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본체부내 전방측에는 상기 숯불 착화구에서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제 2 송풍부를 구성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송풍부에 의해 숯불 착화시 발생하는 열기가 송풍될 때 그 송풍 경로를 제공하면서 냉각 처리하는 열교환 처리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In the main body having a charcoal ignition, the flame is ejected by ignition operation of the igniter when the air mixture gas is supplied to ignite the charcoal injected into the charcoal in the charcoal ignition ignition to ignite the char in the charcoal in the charcoal ignition In charcoal igniter comprising a nozzle,
The charcoal ignition fitting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tube to extend into the body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comprises a second blower for blowing the heat generated when the char ignition in the char ignition to the outside,
Charcoal igniter having a heat exchang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ignition of charcoal ignited by the second blower is configured to provide a heat exchange processing for cooling while providing the blowing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격벽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송풍부와 연통되는 상부 공간과, 상기 상부 공간과 격리되는 하부 공간,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공간을 연결하는 측부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unit has a heat exchange function by using partitions to divide the upper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lowing unit, the lower space isolated from the upper space, and the side spac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paces. Charcoal igni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처리부는,
상기 연통관을 통해 상기 하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숯불 착화시의 열기를 상기 측부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제 1 유로; 및, 상기 제 1 유로에 의해 상기 측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열기를 상기 상부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제 2 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과 후면에는 각각 상기 제 2 송풍부의 송풍 동작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측으로 열기 냉각을 위한 외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 exchange processing unit,
A first flow passage guiding heat during charcoal ignition exhausted into the lower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to the side space; And a second flow path for guiding heat exhausted into the side space by the first flow path to the upper space. Including,
At least one outside air inlet port on both sid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to allow inflow of outside air for hot air cooling to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during the blowing operation of the second blower part, respectively. Charcoal igniter having a heat exchang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풍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시로코팬을 내장하여둔 것으로 제 2 흡입구와 제 2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흡입구는 상기 상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마련되는 열기 토출구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blower includes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suction port and a second discharge port in which a sirocco fan is rotated by a motor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ler.
And the second suction port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pace,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communicates with a hot air discharge por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KR1020190001838A 2019-01-07 2019-01-07 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KR102188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38A KR102188660B1 (en) 2019-01-07 2019-01-07 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38A KR102188660B1 (en) 2019-01-07 2019-01-07 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88A true KR20190129688A (en) 2019-11-20
KR102188660B1 KR102188660B1 (en) 2020-12-08

Family

ID=6872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838A KR102188660B1 (en) 2019-01-07 2019-01-07 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880A (en) * 2022-02-10 2023-08-17 이동호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fire
KR102631474B1 (en) 2023-04-03 2024-01-31 주식회사 청정 Charcoal ignition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716B1 (en) * 2009-10-19 2010-03-05 임재규 Apparatus for setting light to charcoal
KR20100010321U (en) * 2009-04-13 2010-10-21 박도석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KR200457499Y1 (en) 2011-02-01 2011-12-22 조재환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KR101249548B1 (en) 2011-12-12 2013-04-01 조재환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KR101786376B1 (en) 2016-08-19 2017-10-17 조상훈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with gas burner having air blow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21U (en) * 2009-04-13 2010-10-21 박도석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KR200453285Y1 (en) 2009-04-13 2011-04-18 박도석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KR100945716B1 (en) * 2009-10-19 2010-03-05 임재규 Apparatus for setting light to charcoal
KR200457499Y1 (en) 2011-02-01 2011-12-22 조재환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KR101249548B1 (en) 2011-12-12 2013-04-01 조재환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KR101786376B1 (en) 2016-08-19 2017-10-17 조상훈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with gas burner having air blow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880A (en) * 2022-02-10 2023-08-17 이동호 Ignition device for charcoal fire
KR102631474B1 (en) 2023-04-03 2024-01-31 주식회사 청정 Charcoal igni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60B1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1124A (en) Flue aspirated oven
KR100523016B1 (en) Gas burning type hair drier
EP1407188B1 (en) Gas burner for dryer
KR20190129689A (en) Charcoal ignition apparatus for supplying a mixed gas of air using blowing
CA2188116C (en) Motor vehicle heating device
KR20190129688A (en) Charcoal ignition apparatus of having heat exchange function
KR102188662B1 (en) Control method of charcoal ignition apparatus
KR102230242B1 (en) Ignition devcie for charcoal
KR102188661B1 (en) Charcoal Ignition apparatus with dual gas supply lines
AU2004219831B2 (en) Gas combustion-controlling method and gas combustion device
JP4565203B2 (en) Gas stove
US7172413B2 (en) Laundry dryer having gas combustion apparatus
CN210241564U (en) Safety ignition system and gas equipment
KR101864493B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207622008U (en) Burner of gas stove
NZ507719A (en) Draft inducer fan, typically for fuel fired heater, with baffle at inboard end to direct air from outboard cooling fan to motor bearing
KR100297161B1 (en) A safety control device combustion of a gas boiler
US20200173689A1 (en) Inward fired low nox premix burner
KR200474843Y1 (en) combustion apparatus
CN100383332C (en) Hot-air supplying equipment for drying machine
KR200212864Y1 (en) draft-tube in gas combustor
KR100282349B1 (en) Draft tube of gas burner burner
KR100282355B1 (en) structure for stability of burning of draft-tube in gas combustor
JP4190312B2 (en) Ignition mechanism
CN118310017A (en) Combustor nozzle with jet injection function for multiple ti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346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1027

Effective date: 202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