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640A - 체외 진단 스트립의 자동 구별 방법, 검사 항목의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변경된 색상을 읽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색상 분석기 - Google Patents

체외 진단 스트립의 자동 구별 방법, 검사 항목의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변경된 색상을 읽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색상 분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640A
KR20190129640A KR1020180054585A KR20180054585A KR20190129640A KR 20190129640 A KR20190129640 A KR 20190129640A KR 1020180054585 A KR1020180054585 A KR 1020180054585A KR 20180054585 A KR20180054585 A KR 20180054585A KR 20190129640 A KR20190129640 A KR 2019012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trip
black
information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재
Original Assignee
윤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재 filed Critical 윤성재
Priority to KR102018005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9640A/ko
Publication of KR2019012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제조사에서 만든 다종 다양한 화학 반응 스트립의 색상변화를 한 가지 종류의 색상 센서 하드웨어장치(70)을 이용하여 판독하기 위한 기술이다. 색상 센서 하드웨어장치(70)는 스트립 설정부(31)에서 색상 센서부(22)의 색상센서 각각에 대한 흑백보정기준정보(400);흑백보정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에 할당된 시험항목의 변화량를 파악하기 위한 시험항목별판정정보(500);그리고 스트립 설정부(31)에서 측정 및 조합 알고리즘을 구비한 게이트웨이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시약의 배치 순서나 시약의 갯수가 서로 다른 스트립(21)을 하나의 기기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으며, 이용하는 스트립이나 분석하려는 대상 검체가 바뀌어도 색상 센서 하드웨어를 그대로 이용하고 변경된 스트립에 맞는 게이트웨이 앱을 변경하여 검체의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외 진단 스트립의 자동 구별 방법, 검사 항목의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변경된 색상을 읽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색상 분석기 {The method of automatic distinction of in vitro diagnostic strips, the method to set the parameters of inspection items and how to read the color changed, and the color analyzer which aplied these methods}
본 발명은 사람 또는 반려동물이나 지하수, 기타 분석이 필요한 임의의 검체에 대하여 반응하는 다양한 스트립의 화학적 반응에 의한 색상 변화를 읽어 내어 변화의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다양한 제조사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여러가지 배치 방법과 다른 모양과 서로 다른 시약으로 구성되어 특정한 검체의 성분에 반응하는 스트립을, 하나의 색상 센서로 판독하여 그 특정 값을 읽어내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 색상분석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만들어진 스트립 판독용 장치들은 검체의 특수 성분의 함량에 따라 변화하는 색상의 미세한 차이를 읽어들여 사람이 구분할 수 있는 정량적인 숫자나 비율 등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기술들은 측정하고자하는 검체의 특성이나 종류에 따라 스트립을 제조하는 회사에서 임의의 구성으로 조합한 시약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순서에 따라 스트립을 배치하여 제조하였고, 해당 스트립을 읽어서 그 값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색상 분석 또는 측정 값 변환기)를 같이 만들어 제공하는 형태를 보였다.
이제까지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런 형태의 스트립과 장치들은 서로 1:1 로 그 특성에 맞도록 제작하였고, 이를 사용하기 위한 응용 기능도 장치에 종속되어 있어서 서로 다른 스트립 제조사나 서로 다른 장치 제조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 여러 회사의 장치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불편을 감수하였다.
또한 스트립의 모양과 특성에 따라 읽고 분석하는 기능이 장치에 포함되어 따로 따로 동작하도록 만들어졌으므로 사용자는 서로 다른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장치를 구입하여야 하고, 장치의 제조사는 여러 종류의 장치를 소량으로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제작비의 부담을 가지게 되고 이는 결국 높은 장치 가격으로 인하여 시장의 활성화와 기술의 저변 확대를 방해하는 이유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요인은 새롭게 발전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신 기술의 시장 진출을 저해하고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컨텐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빅데이터(Bigdata)의 인공지능 처리 알고리즘나 UX/UI(사용자의 경험)에 의한 풍부한 서비스 제공에 한계를 낳는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면 사람의 소변을 분석하는 요화학 스트립을 분석하는 소변 분석기의 경우에는 한 종류의 장치는 장치에 맞도록 특별히 제조된 한가지의 스트립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도록 기계적으로 프로그램이 되어 제작되므로 반려동물이나 가축 등 다른 용도로는 적용할 수 없는 등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국내외에 존재하는 수많은 스트립 제조 회사의 여러 가지 다양한 화학적 반응 분석용 스트립 들을 단순한 하나의 기기 장치를 이용하여 읽어 들이고, 분석해 낸 색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의 처리는 게이트웨이의 앱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고안하였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색상을 읽어 들이는 "색상 센서부"와 색상을 근사치의 수치로 변환하기 위한 "색상 보정부", 측정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저장부", 측정 데이터를 기계적으로 분석하는 "기계적 분석부", 읽어들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정보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구성 형태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의 하드웨어 장치에서는 색상을 읽어 들이는 "색상 센서부"와 센싱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전송부"만을 구성하고, 데이타 처리와 정보의 빅데이타 처리, 인공지능 처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은 게이트웨이 앱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색상 판독을 담당하는 하드웨어 장치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담당하는 게이트웨이로 분리함으로 인하여 하드웨어 장치는 방수와 밀폐기능 및 극한의 운용 환경에 견디는 능력을 강화하고, 내구성을 보완함으로써 이용 환경을 아주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장치에서 읽어들인 데이타 처리와 통계적으로 분석한 데이터의 정보화, 정보의 빅데이타 처리, 인공지능 처리, 사용자의 경험에 바탕을 둔 서비스 설계, 사용자 맞춤형 정보의 제공 등은 게이트웨이 앱에서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앱스토어에서 필요한 앱들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서 실시간으로 응용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기의 개발과 기술의 적용으로 4차 산업혁명이 가져다 주는 신기술의 혜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스트립 색상분석장치의 구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하여 구성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고안한 구조적 개념을 도식한 블록도이다.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트립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별해 내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색상 검출 센서 별로 흑백 보정응 위한 특성값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면이다.
도 7은 시험 항목별로 색상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스트립 제조사의 기준값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면이다.
도 8은 색상 검출 센서에 배정된 시험항목의 특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서로 상관 관계를 맺어주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서 데이터 구조사이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장치와 사용자, 게이트웨이의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동작 절차를 그려놓은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절차 완성을 위하여 색상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하드웨어 장치의 흑백 보정이 미리 진행되지 않아서 색상을 추출할 기준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측정한 데이터를 보존하면서 흑백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고안의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트립 분석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기존의 장치에서는 (19)의 검사점이 하나인 스트립, (20)의 검사점이 최대 11개인 스트립을 색상분석기로 읽어내기 위해서는 (19), (20)을 각각 읽을 수 있도록 고안된 (60)과 같은 형태의 색상분석 장치가 스트립 종류마다 따로따로 필요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고안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스트립 분석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스트립 생상 분석장치에서는 기존 형태와 같은 검사점이 하나인 스트립(19), 검사점이 11개인 스트립(20)을 읽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점이 최소 13개 이상인 스트립(21)도 읽어낼 수 있도록 색상 검사점을 13개가 넘도로록 설계하여 (70)의 색상 센서 하드웨어는 최소 13개 이상의 검사점을 읽을 수 있도록 색상 센서부(22)를 구성한다. 색상 센서부는 도 3과 같이 왼쪽을 기준으로 (1)(101)내지 13(113)의 번호를 부여 받은 센서를 가지고 있어야한다.
색상 센서부(22)는 스트립 읽기 명령을 받으면 색상을 센싱하여 단순히 데이터 전송부(41)에 센싱된 데이터를 넘겨주고, 데이터 전송부(41)에서는 게이트웨이(50)의 데이터 수신부(42)와 규정된 전송절차에 맞추어 데이터를 보내면 색상 센서 하드웨어장치(70)의 역할은 완료된다. 이때 색상 센서 하드웨어장치(70)는 (AA:BB:CC:DD:EE:FF)형식으로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16진수로된 12자리의 MAC 주소 구분자를 가진다.
게이트웨이(50)은 기능 구조상 데이터 수신부(42), 색상 보정부(23), 데이터 저장부(24), 스트립 설정부(31), AI,클라우드 연결부(32), 사용자 맞춤 정보 표시부(33) 등으로 구성되며, 종래의 방식(도 1)과는 다르게 데이터 수신부(42), 색상 보정부(23), 스트립 설정부(31)가 서로 상호 작용하여 최소 13개 이상의 검사점을 가지는 스트립(21)을 종류에 상관 없이 하나의 센서 하드웨어 장치로(70)로 읽어들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스트립 색상 분석 장치(60)에 사용되는 스트립(19 또는 20)과는 다르게 13개 이상의 검사점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스트립(100)은 각 검사점의 시약의 배치가 반드시 고정되어 획일적이지 않아도 않아도 된다.
도 3에서는 13개의 검사점을 가지는 스트립(100)을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립은 왼쪽을 시작으로하여 각각 (1)내지 (13)까지의 서로 다른 시약이 묻은 검사점을 가지고 있는데, 오른손잡이의 경우는 왼손으로 스트립 색상 분석 장치(70)의 뚜껑을 열고 오른 손으로 스트립(21)을 오른쪽부터 맞추어 올려놓거나,왼손잡이의 경우는 오른손으로 스트립 색상 분석 장치(70)의 뚜껑을 열고 왼손으로 스트립(21)을 왼쪽부터 맞추어 올려놓은 다음 뚜겅을 닫으면 자동으로 스트립 색상 분석 장치(70)가 스트립의 색상을 읽어낸다.
도 4는 모두 N개의 검사점을 가지는 스트립에 대하여 각 스트립의 왼쪽 첫번째가 1번(201)을 나타내도록 번호를 부여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왼쪽 첫번째 검사점의 색상 측정 값이 항상 D1(301)이라는 번호를 갖도록 원칙을 정한다.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면 도 4의 각 검사점 (N-12)(201)내지 (N)(213)에 대하여 도 5와 같이 D1(301)내지 (D13(313)의 측정 값에 대한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각 색상 측정점에 대한 색상 센서의 물리적인 특성이 서로 다른점에 착안하여 차이점을 보정할 수 있도록 스트립 색상 분석 장치(70)을 공장 출하시에 색상 센서 (1)(101)내지 13(113)에 대한 흑백보정 계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소를 고안하였다. 이와 같은 색상 센서 (1)(101)내지 13(113)에 대한 흑백보정 계수는 공장 출하시에 측정하여 비 휘발성의 메모리에 기록하여 제공하거나 게이트웨이(50) 설정 기능에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출하 이후의 흑백보정 방법에 대하여는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배정된 색상 센서의 특성 값은 다음과 같다.
401 : 배정된 색상 센서의 순서를 나타내며, 색상센서의 수가 13개인 도 4의 스트립을 기준으로 (N-12)(201)내지 (N)(213)의 값을 가진다.
402 : 흑색보정을 위한 RED 영역의 16비트 값
403 : 흑색보정을 위한 GREEN 영역의 16비트 값
404 : 흑색보정을 위한 BLUE 영역의 16비트 값
405 : 백색보정을 위한 RED 영역의 16비트 값
406 : 백색보정을 위한 GREEN 영역의 16비트 값
407 : 백색보정을 위한 BLUE 영역의 16비트 값
각각에 대한 예시는 411내지 417이다.
도 7에서는 도 3 에서 정의한 색상 센서 (1)(101)내지 13(113)에 대한 시험항목을 배정하기 위한 저장소를 고안한 것으로
501 : 배정된 색상 센서의 순서를 값으로 가지며, 색상 센서의 수가 13개인 도 4의 스트립을 기준으로 (N-12)(201)내지 (N)(213)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최소값은 1이고, 최대값은 제공되는 스트립의 시약의 갯수이다. 즉,
1 =< Index =< 배정된 색상 센서의 수
502 : 시험 항목의 이름
503 : 시험 항목에 대한 설명
504 : 시험 항목 당 검사 판정 기준의 수, 시약의 갯수 N
505 : 시험 항목의 1번째 검사 기준의 색상값, RRGGBB 형식으로 16비트 값 3개
506 : 시험 항목의 2번째 검사 기준의 색상값, RRGGBB 형식으로 16비트 값 3개
507 : 시험 항목의 N번째 검사 기준의 색상값, RRGGBB 형식으로 16비트 값 3개
여기서 시험 항목 당 검사 판정 기준의 수(504), 즉, 스트립의 시약의 갯수 N에 따라 506 내지 507의 갯수는 가변적이다. 각각에 대한 예시와 설명은 511 내지 517이다.
도 8에서는 13개의 시험항목을 가지는 스트립(100)에 대한 각각의 시험 검사점(시약)대하여 시험항목을 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5번째 시험 검사점(시약)(105)에 대한 하드웨어 센서의 흑백보정 계수는 도 6에서 도시한 내용(400)과 같고, 각각의 시험 검사점에 할당된 시험항목은 도 7에 도시한 내용(500)과 같다. 이러한 상관 관계는 본 고안에서 특별히 제시하는 것으로 도 2에서보는 바와 같이 단순히 색상을 읽어내는 센서 하드웨어(70)와 읽혀진 데이터를 처리하는 게이트웨이(50)를 분리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징으로 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서 이 센서 하드웨어의 검사점 N개 이하의 갯수의 시험항목을 가지는 스트립을 모두 읽어 낼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5번째 시험 검사점(시약)(105)에 대한 하드웨어 센서의 색상 센싱 값을 도 6에서 도시한 내용(400)과 같은 흑백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보정한 다음 그 보정 결과를 5번째 시험 검사점(105)에 할당된 시험항목(500)의 값을 적용하여 관련 값을 산출하면 해당 시약에 대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센서 하드웨어 장치(70)를 구매한 소비자는 장치를 판매한 제조회사가 스트립에 맞도록 신규, 추가 개발된 게이트웨이의 앱을 앱스토어에서 내려 받기만 하면 다양한 검사용 스트립에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센서 하드웨어 장치(70)와 게이트웨이(50)의 앱 사이에서 본 고안에서 개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 동작하여야하는 처리 절차에 대하여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센서 하드웨어 장치(70)에서 데이타를 수신한 게이트웨이(50)에 장치를 공장 출하시에 제공하여야 하는 흑백보정계수가 존재하지 않거나 새로운 흑백보정계수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흑백보정(800) 절차를 수행한다.
도 10은 이미 센서 하드웨어 장치(70)에서 측정 데이타를 읽어들인 게이트웨이(50)가 사용자가 전송한 측정 데이터를 손실하지 아니하고(811) 흑백 보정 절차를 완수하여 보정계수를 얻기 위한 절차를 완료한 이후에 기존 데이터를 복구하는 단계(835)를 거치도록 하였다.
19 : 종래의 검사에서 사용하던 검사점이 1 개인 기존 형태의 스트립
20 : 종래의 검사에서 사용하던 검사점이 11 개인 기존 형태의 스트립
21 :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13개의 검사점을 가지는 체외진단용 스트립
22 : 색상 센서부, 23 : 색상 보정부
24: 데이터 처리 저장부, 25 : 기계적 분석부, 26 : 정보 표시부
31 : 스트립설정부, 32 : AI,클라우드 연결부, 33: 사용자 맞춤정보 표시부
41 : 데이터 전송부, 42 : 데이터 수신부
101 내지 113 : 특정 성분 검출을 위해 시약이 발라진 스트립의 모양
201 내지 213 : 한 스트립당 N개의 검사항목이 있는 스트립에서 검사항목의 위치를 오른쪽으로부터 산정하기 위한 번호 배치 순서
301 내지 313 : 한 스트립당 13개 이하의 검사 항목이 있는 스트립에서 검사항목의 검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타의 번호 배치 순서
401 내지 407 : 색상 센서 하드웨어의 N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측정점의 흑백보정용 RGB 값 저장소 번호
411 내지 417 : 상기 401내지 407에 들어가는 실제 값을 설명하기 위하여 색상 센서 하드웨어의 N번째 순서에 해당하는 실제 측정점의 흑백보정용 RGB 값을 나타냄
501 내지 507 : 색상 센서의 시험 항목을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 번호
511 내지 517 : 상기 501내지 507에 들어가는 실제 값을 설명하기 위하여 임의의 시험 항목에 대한 공통 특성을 정의하여 실제로 할당하여야하는 값을 나타냄
701내지 706, 731내지 744 : 색상 센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스트립의 색상을 읽어 들이고 이를 검체의 분석 대상인 화학 성분의 정도를 산정하기 위한 본 고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 알고리즘을 단계별로 표시한 것 중에서 게이트웨이 에서 수행하여야 할 단계를 표시한 것
701내지 706, 731내지 744 : 색상 센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스트립의 색상을 읽어 들이고 이를 검체의 분석 대상인 화학 성분의 정도를 산정하기 위한 본 고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 알고리즘을 단계별로 표시한 것 중에서 게이트웨이 에서 수행하여야 할 단계를 표시한 것
711내지 715, 721내지 727 : 색상 센서를 이용하여 스트립을 읽는 단계에서 흑백보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센서하드웨어의 흑백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색상 센서 하드웨어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표시함.
810내지 812, 831내지 840 : 색상 센서를 이용하여 스트립을 읽는 단계에서 흑백보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센서 하드웨어의 흑백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게이트웨이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표시함.
821내지 830내지 : 색상 센서를 이용하여 스트립을 읽는 단계에서 흑백보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센서 하드웨어의 흑백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센서 하드웨어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표시함.
60 : 기존 방식의 일체형 색상 센서
70 : 본 고안의 특징을 갖도록 구성한 색상 센서 하드웨어
100, 200, 300 :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고안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스트립 구조도
400 : 색상 센서의 측정점 별로 흑백 보정 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
500 : 시험 항목별 특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
600 : 본 고안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스트립의 측정점 별로 색상 센서의 흑백보정 값을 기록하고, 측정점 마다 연결된 시험항목을 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사전 설정 알고리즘 흐름도
700 :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장치와 사용자, 게이트웨이의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동작 절차를 그려놓은 색상센서의 색상 판독 절차도
800 : 색상 센서 하드웨어의 흑백 보정을 위한 절차 표시도

Claims (6)

  1. 검체 특정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화학적으로 변화하는 색상으로 표시되는 스트립의 변화 정도를 읽어내는 색상 분석 장치;에서 색상을 읽어내는 센서 하드웨어 장치와 읽어낸 데이터를 처리하는 게이트웨이 앱으로 분리하고;
    색상 센서 하드웨어 장치는 시험 항목 수 만큼의 엘이디와 색상 센서로 이루어져서 단순히 센서 값을 읽기만 하는 색상 센서부와 읽혀진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하지 아니하고 게이트웨이의 데이터 수신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전송부로 구성하고;
    게이트웨이 앱은 데이터 수신부와 색상 보정부와 데이터 저장부와 스트립 설정부와 사용자 맞춤 정보 표시부와 AI 및 클라우드 연결부로 구성하는 색상 분석장치로 구성하고;
    스트립 설정부는 색상 센서의 출력 특성을 기록한 흑색 보정계수와 백색 보정계수로 구성된 흑백보정기준정보; 및,
    스트립의 임의의 위치에 할당된 시험 항목의 특성을 기록한 시험항목별판정정보;를 이용하여 설정 정보를 구성하고,
    색상 측정을 위한 알고리즘과 스트립의 시험 항목 조합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검체를 측정하는 시약이 발라진 스트립의 측정 항목의 갯수는 최소 1개에서 최대 N개까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검체가 묻은 스트립을 색상 센서 하드웨어에 올려 놓을 때,
    오른손잡이는 오른쪽에서부터 1번 측정 항목이 일치하도록 올리는 것;과
    왼손잡이는 왼쪽에서부터 1번 측정 항목이 일치하도록 올리는 것;을 가능하도록 흑백보정기준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센서 하드웨어 장치의 설정 정보로 색상 센서의 출력 특성에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스트립 설정부
  3. 제 1항에 있어서,
    검체를 측정하는 시약이 발라진 스트립의 측정 항목의 위치가 1에서부터 최대 N까지의 임의의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이러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임의의 측정 항목의 시험항목별판정정보를 흑백보정기준정보와 같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센서 하드웨어 장치로 읽어낸 색상정보의 측정항목별 판정 기준으로 이용하도록 조정하는 스트립 설정부
  4. 제 2항에 있어서,
    흑백보정기준정보를 흑색보정정보의 RED, 흑색보정정보의 GREEN, 흑색보정정보의 BLUE;, 및
    백색보정정보의 RED, 백색보정정보의 GREEN, 백색보정정보의 BLUE;로 나누어 센서 하드웨어 장치의 센서의 수 만큼 저장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시험항목별판정정보를 시험항목의 이름, 시험항목에 대한 설명, 시험항목의 검사점의 기준의 수, 기준의 만큼의 기준 색상값을 RRGGBB의 16진수의 3배 만큼씩 할당하여 저장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립의 흑백보정기준정보가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읽어 낼 수 없는 경우에게이트웨이에서 색상 센서 하드웨어장치에 명령을 전달하는 1 단계;와, 한 번은 백색보정용 스트립을 넣고, 자동으로 색상을 측정하여 게이트웨이에 전달하는 2 단계;와 다른 한 번은 흑색보정 스트립을 넣고 자동으로 색상을 측정하여 게이트웨이에 전달하는 3 단계;를 거쳐서 자동으로 흑백보정기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게이트웨이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흑백자동보정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색상분석장치
KR1020180054585A 2018-05-11 2018-05-11 체외 진단 스트립의 자동 구별 방법, 검사 항목의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변경된 색상을 읽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색상 분석기 KR20190129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85A KR20190129640A (ko) 2018-05-11 2018-05-11 체외 진단 스트립의 자동 구별 방법, 검사 항목의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변경된 색상을 읽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색상 분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85A KR20190129640A (ko) 2018-05-11 2018-05-11 체외 진단 스트립의 자동 구별 방법, 검사 항목의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변경된 색상을 읽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색상 분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40A true KR20190129640A (ko) 2019-11-20

Family

ID=6872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585A KR20190129640A (ko) 2018-05-11 2018-05-11 체외 진단 스트립의 자동 구별 방법, 검사 항목의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변경된 색상을 읽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색상 분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9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237B2 (en) Test strip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ading the same
EP3087534B1 (en) Analysis device, system and program
CN112930572B (zh) 用于执行分析测量的方法和装置
JP7228585B2 (ja) 分析測定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500551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 colorimetric assay
KR101624583B1 (ko) 소변 검사 방법 및 관련 장치
IL273958A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analytical measurement based on color formation reaction
US20180052053A1 (en) Universal color tag and tracing system
WO2014178062A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sing body fluids
JP7185701B2 (ja) 試料中の分析物を検出するためのカメラを較正し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3120191A1 (en) Informative diagnostic kit and device for immunochromatographic detection
CN109374697A (zh) 一种电化学甲醛传感器检测的批量标定方法
JP2022506376A (ja) 分析測定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90129640A (ko) 체외 진단 스트립의 자동 구별 방법, 검사 항목의 매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및 변경된 색상을 읽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사용한 색상 분석기
AU2008229761B9 (en) A measuring instrument
US6668661B2 (en) Pressure distribution image analysis process
CN114667452A (zh) 确定体液中分析物的浓度的方法
CN112880831B (zh) 一种色差测量方法、装置及色差测量仪
CA3141047A1 (en) Method of determining a concentration of an analyte in a bodily fluid and mobile device configured for determining a concentration of an analyte in a bodily fluid
CN106018881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加速度传感器的测试方法及系统
JPWO2020094436A5 (ko)
KR20140135921A (ko) 소변 검사용 소변 스트랩
RU2794865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аналитических измерений
AU2003261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ndardization of a measuring instrument
KR20190118907A (ko) 복수의 진단 카트리지 세트의 반응특성 정보 변경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