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317A -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317A
KR20190129317A KR1020180053782A KR20180053782A KR20190129317A KR 20190129317 A KR20190129317 A KR 20190129317A KR 1020180053782 A KR1020180053782 A KR 1020180053782A KR 20180053782 A KR20180053782 A KR 20180053782A KR 20190129317 A KR20190129317 A KR 2019012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tandardized
value
values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6635B1 (en
Inventor
김중현
Original Assignee
애트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트민(주) filed Critical 애트민(주)
Priority to KR102018005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635B1/en
Publication of KR2019012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6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is generated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measured by different test methods and test devices for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By applying the test values of a test item of a specific patient to the standardized model of the test item, converting the test values into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and providing the values to the doctor or patient, a method for allowing doctors or patients to intuitively evaluate or check a degree of a disease through the conver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Description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및 그 제공장치{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TECHNICAL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및 그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병원이나 검사기관마다 서로 다른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통해 측정하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고,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을 해당 검사항목의 표준화 모델을 통해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여 의사나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의사나 환자가 상기 변환한 표준화 수치값을 통해 질병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평가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and a device for provi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a population measured by different test methods and test devices for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By creating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and converting the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hrough the standardized model of the test item, and providing it to the doctor or patient,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onverted by the doctor or patient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 intuitive evaluation or identification of a disease level.

대부분의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는 기존의 종이차트로 관리되던 의무기록 관리 방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정보를 일체의 수정 없이 모두 전산화하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전자의무기록은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진료하면서 발생되는 모든 형태의 의료정보, 건강상태, 병력, 검사결과, 문진내용, 진술문, 처방, 약물반응, 입퇴원 기록 등을 기존의 종이차트에서 관리하던 내용 그대로 전산화시키는 것을 말한다.Most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apply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at computerize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in hospitals without any modification by integrating IT technology with the medical record management method that was managed by existing paper charts. .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are used to manage all forms of medical information, health status, medical history, test results, medical records, statements, prescriptions, drug reactions, and discharges from hospitals. Computerized as it is.

또한 개인의 건강상태에 관련된 사항이 기록되며, 이에 의거해서 질병예방, 관리, 건강유지, 증진을 목표로 한 지도가 행하여지는 지표로서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지도내용은 건강생활, 식사, 노동, 정신위생, 개인위생, 수진지도 등에 걸치며, 보건 의료 시설에서 많이 이용한다.In addition, personal health records are used as indicators to guide the disease prevention, management,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based on personal health conditions. The contents of the guidance of the personal health record are based on health life, meals, labor, mental hygiene, personal hygiene, sujin guidance, and are widely used in health care facilities.

한편 최근 들어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각종 병원이나 검사기관을 통한 건강검진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s health interests of the general public increase rapidly, health check-ups through various hospitals and inspection institutions are actively performed.

이때 건강검진결과, 전자의무기록, 개인건강기록 등에 기재되는 각종 검사항목에 대한 건강검사정보는 검사를 수행하는 병원이나 검사기관에서의 검사방법이나 검사장치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alth examination information on various examination items described in the medical examination result,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the personal health record, and the lik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examination method or the inspection apparatus at the hospital or inspection institution that performs the examination.

그러므로 의사나 환자들이 각종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확인하여 질병 발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측정한 검사값을 해당 검사방법이나 장치에 의해 정상 범위로 판정할 수 있는 참고값과 비교하여 정상 또는 이상여부를 판정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for doctors or patients to check the test values of various test items to check for disease occurrence, whether the test values are normal or abnormal by comparing the measured test values with reference values that can be judged as a normal range by the test method or apparatus. Will be determin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각종 검사항목별 검사값은 각각의 검사방법이나 검사장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측정한 결과와 정상여부 판정을 위한 참고값을 정확하게 적용하지 않으면 환자의 질병 상태 평가에 실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st values for various test items as described above are different for each test method or test apparatus, so if the measurement results and reference values for the determination of normality are not applied correctly, mistakes in evaluating the disease state of the patient are made. There was a problem that occur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병원이나 검사기관마다 서로 다르게 측정되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한 다음,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을 해당 검사항목의 표준화 모델을 통해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여 의사나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measured differently for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and then through the standardized model of the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hat can be converted to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and provided to doctors or patients.

특히, 본 발명은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실제 검사수치와 비율(%)이 아닌, 표준화 정규분포를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을 통해 나타냄으로써, 의사나 환자가 질병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test value of a particular patient through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using a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rather than the actual test value and percentage (%), so that the doctor or patient can intuitively check the extent of the disease and easily understand it. I would like to suggest a solu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Next, the prior art existing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n the technical matters to be made differently from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0975383호(2010.08.11.)는 건강관리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사 기관으로부터 검사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검사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검사자의 건상 상태를 평가하고 건강 상태에 따른 각종 처방 관련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서비스 사용자(개인 병원, 피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First of all, Korean Patent No. 0975383 (2010.08.11.) Relates to a health car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he test result data is input from an inspection institution, and the test result data is analyzed to evaluate the health condition of the examine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report on a prescription related to a condition and providing the result to a service user (a private hospital or an examinee).

하지만 본 발명은 병원이나 검사기관마다 서로 다른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통해 측정하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표준화 모델을 생성한 다음,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모델을 통해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여 의사나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의사나 환자가 표준화 정규분포를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을 통해 질병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평가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의 실제 검사수치와 비율로 나타낸 검사결과 표준화 결과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건상 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처방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술 구성과 비교해 볼 때 기술적 특징의 차이점이 분명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standardized model based on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measured by different test methods and test devices for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and then the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through the standardized model By converting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nd providing it to a doctor or patient, sinc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the doctor or patient can intuitively evaluate or confirm the degree of disease through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using a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Differences in technical features are evident when compared wit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evaluating the subject's condition and preparing a prescription-related report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results of actual test values and ratios.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249364호(2013.04.09.)는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자서식 생성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상정보를 추출, 통합 변환하기에 용이하도록 전자의무기록(EMR) 데이터를 통합된 구조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하기 위한 전자서식을 생성하는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자서식 생성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243564 (April 09, 2013) relates to an electronic form gener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an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integrates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data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and integration of clinical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form gener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an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form for storing and storing in a structured structure.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전자의무기록에 사용되는 용어 항목, 값 항목, 이미지 항목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표준화할 때, 기초 데이터에 대한 마스터와 동음이의어에 대한 구분과 각 용어간의 동의어 관계를 설정하는 기술적 구성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병원이나 검사기관마다 서로 다른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통해 측정하는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표준화 모델로 생성하고,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모델을 통해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기술적 구성과는 전혀 다르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standardizing the basic data for term items, value items, and image items use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the technical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synonyms between the terms and the master and homonyms for the basic data Therefore,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measured by different test methods and test apparatuses for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as a standardized model, and standardized test item test values for a specific patient through the standardized model. I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technical configuration provided by converting to numerical value.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실제 검사수치와 비율로 나타낸 검사결과 표준화 결과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건상 상태를 평가하고 처방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는 구성, 전자의무기록에 사용되는 용어 항목, 값 항목, 이미지 항목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로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고,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을 해당 검사항목의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정규분포를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기준으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질병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재가 없기 때문에 기술적 차이점이 분명한 것이다.That is, the above prior arts are configured to evaluate the condition of the examinee's health and to write a prescription-related report by using the standardized results of the test results expressed in actual test values and ratios, and the term items, value items, and image items used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Although a configuration for standardizing basic data is provided, a standardized model is generated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which is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added to the standardized model of the test item. The technical difference is obvious because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atient, which can evaluate the patient's condition by the same criteria, and intuitively check the degree of the disease and easily understand it by applying the conver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using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각각의 병원이나 검사기관마다 서로 다른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통해 측정하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ach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measured by different test methods and test devices for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모집단을 통해 사전에 설정한 해당 검사항목의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수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표준화 수치값을 의사나 환자에게 제공하여, 동일한 기준으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by applying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to the standardized model of the test item set in advance through the population, and provides the calcula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o the doctor or patient, the same criteria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 patient's condition.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실제 검사수치와 비율(%)로 나타내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표준화 정규분포를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을 통해 나타냄으로써, 의사나 환자가 질병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represented by the actual test value and the percentage (%), by expressing through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using a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the doctor or patient to indicate the degree of diseas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which can be intuitively identified and easily understo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준화 수치값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른 건강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health state of a patient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provided as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nd providing the user with health ca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의 플랫폼(즉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을 통해 검사결과 제공기관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 연결하고, 각각의 병원이나 검사기관으로부터 수신한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고, 환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수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표준화 수치값을 의사나 환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test result provider and the user terminal through a platform on the network (that is,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generates a standardized model based on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received from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And calculating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by applying a specific test value to the standardized model at the request of a patient, and providing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o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doctor or a patient. For other purposes.

또한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플랫폼 운영자 측으로부터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생성되는 표준화 모델을 참조하여,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등과 관련된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referring to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developers based on the test value of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from the platform operator side, by developing a variety of web or mobile-based applications related to medical services, healthcare, healthcare, etc.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capable of servic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은,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에서,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표준화 모델 생성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이 입력되면 상기 검사값을 상기 생성한 해당 항목의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수치값을 산출하는 표준화 모델 적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한 표준화 수치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의사나 환자가 상기 표준화 수치값을 토대로 질병의 정도를 판단하거나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is generated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a population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And a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step of applying a standardized model to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of the corresponding item when the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calculating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allow a doctor or a patient to determine or confirm the degree of disease based o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또한 상기 표준화 모델 적용 단계에서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Z값((측정값-평균)/표준편차)을 산출하고, 상기 생성한 표준화 모델의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상기 산출한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일치하는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확인한 확률에 해당하는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the step of applying the standardized model, converting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may include a Z value ((measured value-average) / standard deviation) indicating how far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s from the mean. Calculate the probability, and confirm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Z value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of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and correspond to the probability of checking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rsion 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또한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 단계는,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토대로 각각의 검사항목별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함으로써, 각 검사항목에 대한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표준 참고값은, 각각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라 모집단의 95%가 해당되는 범위로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을 평균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대표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a standardized model,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for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and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performed , By determining the standard deviation and standard reference value, to create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is uniquely set to 95% of the population corresponding to each test method and test device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by averaging, or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uniquely set in any one representative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device.

또한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 단계는,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검사항목별 명칭이 서로 상이한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표준화된 검사항목 명칭으로 일치시키며, 신규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수집되거나 일정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수집되는 경우 상기 생성한 표준화 모델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a standardized model, if the name of each test item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matching the standardized test item name that is set, by the test item according to the new test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and managing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when a test value is collected or a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a new population is collect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은,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에서, 각각의 환자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응용 서비스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단계는,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generates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ith reference to data standardized for each patient's test value. And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wherei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step includes web or mobile based application of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는,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표준화 모델 생성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이 입력되면 상기 검사값을 상기 생성한 해당 항목의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수치값을 산출하는 표준화 모델 적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한 표준화 수치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의사나 환자가 상기 표준화 수치값을 토대로 질병의 정도를 판단하거나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and And a standardized model applic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by applying the test value to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of the corresponding item when a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octor or patient to determine or confirm the degree of the disease based o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또한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Z값((측정값-평균)/표준편차)을 산출하고, 상기 생성한 표준화 모델의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상기 산출한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일치하는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확인한 확률에 해당하는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converting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alculates a Z value ((measured value-average) / standard deviation) indicating how far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s from the average, Confirm the probability that matches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Z value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of the standardized model, and convert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nto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obability identified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또한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는,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토대로 각각의 검사항목별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함으로써, 각 검사항목에 대한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표준 참고값은, 각각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라 모집단의 95%가 해당되는 범위로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을 평균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대표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performing a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for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By determining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to generate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is uniquely set to the range that 95% of the population corresponding to each test method and test device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that is present is determined by averaging, or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uniquely set in any one representative test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또한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는,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검사항목별 명칭이 서로 상이한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표준화된 검사항목 명칭으로 일치시키며, 신규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수집되거나 일정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수집되는 경우 상기 생성한 표준화 모델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if the name of each inspection item collected from each inspection result provid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matching the standardized inspection item name is set, the inspection by inspection item according to the new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and managing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when a value is collected or a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a new population is collect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는, 각각의 환자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응용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부는,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generates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service,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ith reference to data standardized for each patient, and uses the generated information as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o, wherein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eb or mobile-based application do.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및 그 제공장치에 따르면, 각각의 병원이나 검사기관으로부터 수집하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한 후,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을 해당 검사항목의 표준화 모델을 통해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여 의사나 환자에게 제공할 때, 종래에서처럼 실제 검사수치와 비율(%)이 아닌, 표준화 정규분포를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결과값을 단순히 비율로 나타낼 경우 질병의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참고값 구간의 넓이에 따라 과도하여 반영되거나 과소평가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질병의 호전이나 악화정도의 판단에 있어 정확도 및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same, after generating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a population collected from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When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s test item i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hrough the standardized model of the corresponding test item and provided to the doctor or patient, the standardized value using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not the actual test value and the percentage (%) as in the prior art Since it is provided as a value, if the result value is simply expressed as a ratio as in the prior art, the degree of disease may not be accurately reflected,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excessively reflected or underestima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reference value interval may be prevented. In decid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accuracy and confidence.

또한 본 발명은 각 검사항목별로 표준화된 데이터를 의사나 환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의사나 환자가 검사방법이나 검사장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혼동하지 않고 동일한 기준으로 질병 상태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octor or patient with the standardized data for each test item, the doctor or patient can facilitate the disease state on the same basis without confusing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meas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r the test apparatu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etermined.

또한 본 발명은 비율로 표시하여 의사나 환자가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렵고 혼돈이 발생할 수 있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정규분포를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의사나 환자가 질병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octor or patient at a time to express the ratio, unlike the conventional way in which chaos can occur, the doctor or patient because the test value of a particular patient provides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using a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Has the effect of intuitively checking the extent of the disease and easy to underst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표준화 모델 생성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표준화 모델 적용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른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른 표준화 수치값의 표시와 종래방식에 따른 비율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proces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FIG. 1.
4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or of FIG. 3.
5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ized model application unit of FIG. 3.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standard deviation and standard reference value determination using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splay of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atio displ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8 is a flowchart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및 그 제공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and its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In addition, specific structural to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These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It is preferable not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 복수의 검사결과 제공기관(200),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 개발자 단말(400), 데이터베이스(5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 plurality of test result providing institutions 200,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 developer terminal 400, and a database 500. It is composed.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급 병의원, 검사기관을 포함한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수집하고,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상기 검사항목은 혈당, 콜레스테롤 등을 포함한 개인의 각종 건강관리정보를 말하며, 상기 수집되는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은 각 병원이나 검사기관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검사값을 수집할 때 정상범위의 95%에 해당하는 범위의 최저값 및 최대값을 나타내는 참고값 정보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collects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from a test result providing institution 200 including a hospital and a test institution at each level through a network, an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ing institution 200. Standardiz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values of the test items of the collected population and stored in the database 500 for management. In this case, the test item refers to various health care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including blood sugar, cholesterol, and the like, and test values for test items of the collected popul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and when collecting the test values, Reference value information indicating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ange corresponding to 95% of the range may be provided.

즉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각각의 병원이나 검사기관마다 서로 다른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통해 측정되는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가지는 의미(semantic)를 해석하여 일관성 있는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표준화된 데이터를 의사나 환자에게 제공하여 질병의 정도에 대한 판정이나 확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에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표준화시킨 후,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입력되면 해당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nterprets the semantics of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measured through different test methods and test apparatuses for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thereby providing consistent standardized data. After standardizing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in the population, the standardized data is required to be provided to the doctor or patient to easily determine or confirm the degree of disease. When a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input, the test value i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nd provided.

이에 따라 의사나 환자는 각각의 병원이나 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검사방법이나 검사장치에 따라 검사값이 상이하게 도출되더라도,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표준화 수치값을 토대로 혼동하지 않고 동일한 기준으로 질병의 정도에 대하여 용이하게 판정하거나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octor or the patient may not be confused based o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provided by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even though the test values are der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r the test apparatus used in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or confirm the degree of the disease on the same basis.

한편,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각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할 때, 각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에서 측정한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의 표준편차를 구한 후, 각 검사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Z값을 산출하여 일반 검사값 정규분포를 생성한다(도 5의 (a) 참조). 상기 Z값은 (측정값-평균)/표준편차의 식을 통해 산출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s measured by each test result provider 200 when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of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200 After obtain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in a population, a Z value indicating how far from the mean each test value is calculated to generate a normal test value normal distribution (see FIG. 5A). The Z value is calculated through the formula of (measured value-average) / standard deviation.

이때 상기 일반 검사값 정규분포는 병원이나 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평균과 분산이 모두 다르며, 이를 손쉽게 비교하기 위하여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At this time, since the normal test value normal distribu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and the test apparatus used in the hospital or the test institute, both the average and the variance are different, and a standardization work is necessary to easily compare it.

이를 위하여,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생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일반 검사값 정규분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0과 1로 고정시켜 놓는 표준화 정규분포 작업을 수행한다(도 5의 (b) 참조).To this end,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fixes a mean and a standard deviation between 0 and 1 in at least one normal test value normal distribution generated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a population. The distribution operation is performed (see FIG. 5B).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 변환작업 결과를 토대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변환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검사항목별로 가장 최적의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한다(도 5의 (c) 참조). 즉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performs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operation for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and the test device, For each test item, the most optimal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standard deviation, and standard reference value are determined (see (c) of FIG. 5). That i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is generated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이때 상기 표준화 수치값은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해당되는 확률을 수치값으로 변환한 값이며, 상기 표준 참고값은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사용하는 모집단의 95%가 해당되는 범위의 최저값 및 최대값이다.In this case,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is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a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a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into a numerical value, and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is a minimum value and a maximum value in a range where 95% of the population used i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is applicable. Value.

상기 표준 참고값은 각각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라 모집단의 95%가 해당되는 범위로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을 평균하여 표준 참고값을 설정하는 방식, 어느 하나의 대표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으로 표준 참고값을 설정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tandard reference value is a method of setting a standard reference value by averaging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eference values that are uniquely set in a range corresponding to 95% of the population according to each test method and test apparatus. The test method and the method of setting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as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eference values uniquely set in the inspection apparatus may be used.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한 이후, 새로운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값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각각의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and then continuously collects test values according to a new test method and test device. It is desirable to update and manage the standardized model for each inspection item.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각 검사항목별로 생성한 표준화 모델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때, 새로운 검사방식이나 장치를 이용한 검사값 이외에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값을 수집하여 표준화 모델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updates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ed for each test item, the standardized model collects test values of a new population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o the test values using a new test method or device. You can also perform an update.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각 병원이나 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검사항목의 명칭이 다른 것을 통일시키기 위하여 각 검사항목별로 표준화된 명칭을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수집할 때 수집한 검사항목별 명칭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된 검사항목 명칭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stores a standardized name for each test item in the database 500 to unify the names of test items used in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and the test result. When collecting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from the provider 200 may be matched with the standardized test item name stored in the database 500 if the test item nam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한 이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이 입력되면 해당 환자의 검사항목에 대한 표준화 모델을 통해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한 표준화 수치값을 의사나 환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and then, after generating a standardized model for the specific patient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a network. When the test item test value is input, the standardized value for the test item of the patient i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nd the conver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held by the doctor or the patient.

이때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해당 검사항목에 대한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할 때, 해당 환자의 검사값에 대한 표준편차와 정규분포의 Z값을 우선 확인한 다음, 상기 확인한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모집단의 표준화 작업에 의해 산출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상기 산출한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일치하는 확률을 확인한다.In this case,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converts a test value of a test item of a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by applying the test value of the test item to a standardized model,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normal of the test value of the patient are normalized. The Z value of the distribution is first identified, and then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Z value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is compared by comparing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Z value with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calculated by the standardization of the population. Check the probability that matches

그리고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확인한 확률에 해당하는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여 결과값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표준화 수치값을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의사나 환자가 상기 표준화 수치값을 토대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a probability identified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and a result value is generated. The genera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300 to be a doctor or a patient. To evaluate or confirm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based o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수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표준화 수치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때, 종래에서와 같이 각각의 검사항목별로 실제 검사수치와 비율(%)로 제공하지 않고(도 6의 (a) 참조), 각각의 검사항목별 실제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한 결과를 제공한다(도 6의 (b) 참조). 이에 따라 의사나 환자들은 결과값을 단순히 비율로 나타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의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질병의 호전이나 악화정도의 판단에 있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pplies a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a specific patient to the standardized model to calculate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o the user terminal 300. Instead of providing the actual inspection values and percentages (%) for each inspection item as in the related art (refer to FIG. 6A), the results of converting the actual inspection value for each inspection item 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re provided. (See (b) of FIG. 6). As a result, doctors and patients can solve the problem of not accurately reflecting the degree of disease that can occur if the result is simply expressed as a ratio, and can increase the accuracy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disease improvement or worsening.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생성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참조하여, 각 사용자들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른 건강관리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refers to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generated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evaluates the health status of each user, and health ca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May provide additional services to the user.

예를 들어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따라 서로 달라지는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환자별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등과 관련된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응용 서비스는 현재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by using standardized data of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that differs according to test methods and test devices, we can provide various web- or mobile-based application services related to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and healthcare for each patient. It can be.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service is preferably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currently used in a smartphone, a computer, and the like.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은 각급 병의원, 검사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서로 다른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통해 측정하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로 전송한다.The test result providing institution 200 is a computer device operated by a hospital, an inspection institution, or the like, and provides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of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a population measured through different test methods and test devices. To the device 100.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의사나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 PC, 데스크톱 컴퓨터 등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서,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로 전송하여 표준화된 결과값(즉 표준화 수치값)을 요청한다.The user terminal 300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a notebook PC, a desktop computer, etc. held by a doctor or a patient. It transmits to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requests a standardized result value (that is,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로부터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수치값을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사전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표준화 수치값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from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for the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300 preferably displays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advanc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로부터 사용자 본인의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may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on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related to the user's medical service, health care, and health care from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즉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각 환자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토대로 질병 유무를 확인한 결과, 질병이 확인되거나 질병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로부터 이와 관련된 처방, 운동방법, 식이요법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terminal 300 confir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ease on the basis of data standardized for each patient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when the disease is confirmed or a disease is expected,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provid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a prescription, exercise method, diet.

상기 개발자 단말(400)은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따라 서로 달라지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생성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활용하여,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등과 관련된 각종 응용 서비스 지원을 위한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를 수행한다.The developer terminal 400 utilize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generated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a popula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 test method and a test device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t develops and distributes web or mobile based applications to support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related to services, healthcare, and healthcare.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는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수행하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로 생성되는 표준화 모델을 저장하여 관리하며, 새로운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값 또는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값을 수집하여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표준화 모델을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database 500 stores and manages a standardized model generated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performed by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stores the standardized model in a new test method and test device. It stores and manages the standardized model that is continuously updated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by collecting the test value of the new population at each test value or a predetermined period.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500)는 각 병원이나 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검사항목의 명칭이 서로 다른 것을 통일시키기 위한 각 검사항목별로 표준화된 명칭을 저장하여 관리하며, 각 환자들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활용한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등의 응용 서비스 지원과 관련된 각종 콘텐츠 및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여 관리한다.In addition, the database 500 stores and manages standardized names for each test item to unify the names of test items used in each hospital or test institution, and standardizes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It stores and manages various contents related to supporting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and healthcare using data and various operation programs used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한편, 이러한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을 위한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 process for converting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proces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에서는 환자들의 질병을 확인하기 위한 각종 검사를 수행하고, 일정기간동안의 모집단에 대하여 수행한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로 전송한다(①).As shown in FIG. 2, the test result providing institution 200 performs various tests to identify diseases of patients, and standardizes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performed on a popul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a network. It transmits to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①).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 수집하고, 수집한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 변환작업을 수행한다(②). 즉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따라 서로 상이하여 평균, 분산, 표준편차, Z값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를 손쉽게 비교하기 위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collects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200 and performs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for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collected population. (②). That is, the test values for the test items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2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and the test apparatus, so that the average, variance, standard deviation, Z value, etc. are all different for easy comparison. It is to perform standardization work.

이때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하는 검사항목의 명칭이 서로 다른 경우 사전에 설정된 표준화된 명칭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names of the test items collected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2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change the preset standardized name.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각 검사항목별로 생성한 표준화 정규분포 결과를 토대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변환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검사항목별로 가장 적합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한다(③). 즉 검사방법이나 검사장치에 따라 상이하게 측정되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performs a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result generated for each test item, so that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and standard deviation are most suitable for each test item. And standard reference values (3). That i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is generated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which are meas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r the test apparatus.

이때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생성되는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은 새로운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값이 수집될 때마다 또는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값을 수집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generated based on the test values of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whenever a test value according to a new test method and test device is collected or a new test value is collected at regular intervals. Can be updated.

이와 같이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 생성작업을 수행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서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로 전송하면(④),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performs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200, the user terminal 300 needs to be standardized. When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transmitted to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④),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performs a task of converting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⑤).

즉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특정 환자의 검사값에 대한 표준편차와 정규분포의 Z값을 확인하고, 상기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사전에 설정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상기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일치하는 확률을 확인한 다음,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확인한 확률에 해당하는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That is,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checks the Z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normal distribution of a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and compares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Z value with a preset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By checking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Z value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and then converts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obability confirmed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이렇게 생성된 특정 환자의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된 데이터(즉 표준화 수치값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환자 또는 해당 환자를 담당하는 의사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어 화면상에 표시되고(⑥), 이를 확인한 환자나 의사가 표준화된 데이터를 토대로 질병의 정도를 평가하거나 확인한다(⑦).The standardized data (ie,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information) about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thus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held by the patient or the doctor in charge of the patient through the network and displayed on the screen (⑥ ), Or the patient or doctor who confirms this, assesses or confirms the degree of the disease based on the standardized data (⑦).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300)은 실제 검사값의 측정값을 표준화한 표준화 수치값과 표준 참고값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의사나 환자가 한 번에 이해하기 쉽고, 질병의 호전 또는 약화정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실제 검사수치와 비율로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할 때 참고값의 구간 넓이의 과대 또는 과소 반영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의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and the standard reference values that standardize the measured values of the actual test values, it is easy for the doctor or the patient to understand at a time, and in evaluat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or weakness of the disease. You can increase the accurac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not accurately reflecting the degree of the disease caused by over or under reflection of the section width of the reference value when using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onventional actual test values and ratios.

한편,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생성한 표준화 모델을 활용하여,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각 환자별로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등과 관련된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⑧).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uses a standardized model generated based on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and analyzes the data standardizing the test values of a specific patient to evaluate the health state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each patient can provide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based on web or mobile related to medical service, health care, healthcare, etc. (⑧).

도 3은 상기 도 1의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3의 표준화 모델 적용부(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른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른 표준화 수치값의 표시와 종래방식에 따른 비율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120 of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ized model applying unit 130 of FIG. 3 in detail, and FIG. 6 is a normalized numerical value, a standard deviation, and a standard reference value using a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splay of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atio displ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데이터 수집부(110),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 표준화 모델 적용부(130), 통신 인터페이스부(140), 응용 서비스 제공부(150), 내부 메모리(160), 제어부(170) 등으로 구성된다.3 to 5,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ata collecting unit 110, a standardized model generating unit 120, a standardized model applying unit 130,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40. ),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150, the internal memory 160, the controller 170, and the like.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구성 부분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입력하거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to each component, an input unit for a user to input various functions or check a state, and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t may further include an updat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update of the various operating programs used at (100).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모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수집하여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로 출력한다.The data collector 110 collects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performed by the test result provider 200 through the network for the population and outputs the test values to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or 120.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에서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한 이후, 표준화 작업을 수행한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하여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새로운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값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거나, 또는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값을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after the standardization work for the inspection value for each inspection item in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120, the inspection result provider 200 to update the information to perform the standardization work ) Can continuously collect test values according to new test methods and test devices, or collect test values of a new population at regular intervals.

즉 새로운 검사방식이나 장치를 이용한 검사값을 수집하거나,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값을 수집하여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에서 각 검사항목별로 생성하는 표준화 모델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o collect the test value using a new test method or device, or to collect the test value of a new population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120 can update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ed for each test item. .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수행하며, 상기 표준화 정규분포를 토대로 각각의 검사항목별로 최적의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한다. 즉 병원이나 검사기관에서 수행하는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따라 서로 상이한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120 performs a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of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200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and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For each test item, the optimal normalized value, normal distribution, standard deviation, and standard reference value are determined. That i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is generated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a different population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and the test apparatus performed by a hospital or an inspection institution.

이때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항목 명칭 표준화부(121), 일반 검사값 정규분포 생성부(122), 표준화 정규분포 생성부(123),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생성부(124)로 구성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120 includes an inspection item name standardization unit 121, a general inspection value normal distribution generation unit 122, a normalization normal distribution generation unit 123, and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unit 124 is configured.

상기 검사항목 명칭 표준화부(121)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한 검사항목별 명칭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된 검사항목 명칭을 참조하여, 검사항목의 명칭을 일치시킨다.The inspection item name standardization unit 121 is standardized stored in the database 500 when the inspection item names collected from each inspection result provider 200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est item names are matched with reference to the test item names.

상기 일반 검사값 정규분포 생성부(122)는 상기 검사항목 명칭 표준화부(121)를 통해 검사항목 명칭을 표준화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하여 평균, 분산, 표준편차 및 Z값을 구하고, 이를 토대로 일반 검사값 정규분포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집단의 특정 검사항목의 검사값을 이용한 정규분포를 생성하는 것이다.The general test value normal distribution generator 122 averages the test values for the test items of the population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which standardizes the test item names through the test item name standardization unit 121. Obtain the variance, standard deviation, and Z-value, and then generate a normal test value normal distribu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a normal distribution using test values of specific test items of a population is generated.

상기 표준화 정규분포 생성부(123)는 상기 일반 검사값 정규분포 생성부(122)에서 생성한 일반 검사값 정규분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0과 1로 고정시키는 표준화 정규분포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원이나 검사기관에서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검사값의 평균이나 분산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를 손쉽게 비교하기 위하여 표준화 정규분포로 변환하는 것이다.The normalized normal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23 performs a normalized normal distribution operation to fix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to 0 and 1 in the general check value normal distribution generated by the general check value normal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22.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5, since the mean or the variance of test valu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and the test apparatus in a hospital or an inspection institution are all different, it is converted into a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for easy comparison. It is.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생성부(124)는 상기 표준화 정규분포 생성부(123)에서 생성한 표준화 정규분포 변환작업 결과를 토대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변환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검사항목별 표준화 정규분포를 참조하여 가장 최적의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함으로써,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해당되는 확률을 수치값으로 변환한 값을 표준화 수치값이라 하며,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의 95%가 해당되는 범위의 최저값 및 최대값을 표준 참고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표준 참고값은 각각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최저 및 최대 참고값을 평균하여 설정하거나, 어느 하나의 대표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24 performs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operation generated by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generating unit 123. Fo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 5, by determining the most optimal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standard deviation, and standard reference value with reference to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for each test item,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Based on the test value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is generated. In this case,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a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a numerical value from a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is called a normalized numerical value, and sets a minimum and maximum value of a range corresponding to 95% of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as a standard reference value. . In addition,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may be set by averaging the minimum and maximum reference values uniquely set according to each test method and test apparatus, or set to a reference value uniquely set in any representative test method and test apparatus. Can be.

한편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신규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값이 수집되거나,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값이 수집되면,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검사항목별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업데이트하여,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최적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120 is built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if the inspection value according to a new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apparatus is collected, or the inspection value of a new population is collected at regular intervals, is establish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for each inspection item can be updated to update the normal distribution, standard deviation, and standard reference value, so that the standardization model for each inspection item can be managed optimally.

상기 표준화 모델 적용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입력되면, 상기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한 해당 검사항목에 대한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한다.When the standardized model application unit 130 receives a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that needs to be standardiz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40, the standardized model application unit 130 transmits the test value to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120.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by applying to the standardized model of the created test item.

이때 상기 표준화 모델 적용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 항목 인식부(131)와 표준화 데이터 매핑부(132)로 구성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standardization model application unit 130 includes a standardization item recognition unit 131 and a standardization data mapping unit 132.

상기 표준화 항목 인식부(13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입력되면, 상기 검사값이 어느 항목인지를 인식하고, 인식한 항목과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데이터 매핑부(132)로 출력한다.The standardization item recognition unit 131 recognizes which item is the test value and recognizes when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requiring standardiz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40. And a check value are output to the standardized data mapping unit 132.

상기 표준화 데이터 매핑부(132)는 상기 표준화 항목 인식부(131)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환자의 검사값과 인식한 검사항목을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검사항목의 표준화 모델을 확인하고,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한다.The standardized data mapping unit 132 checks the standardized model of the corresponding test item stored in the database 500 based on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and the recognized test item input from the standardized item recognition unit 131. In addition,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s applied to the standardized model to convert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여기서,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할 때, 상기 표준화 모델 적용부(130)는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Z값을 우선 산출하고,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에서 결정한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상기 산출한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일치하는 확률을 확인한 다음,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확인한 확률에 해당하는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결과값의 생성을 처리한다.Here, when converting a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a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he standardized model application unit 130 first calculates a Z value indicating how far a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from the average, and then normalizes the standardized value. The probability of matching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Z value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determined by the model generator 120 is determined, and then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corresponds to the probability confirmed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It handles the generation of the result by converting it 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또한 상기 표준화 모델 적용부(130)는 상기 변환한 표준화 수치값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의사나 환자가 표준화 수치값과 표준 참고값을 토대로 질병의 정도를 판단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odel applying unit 130 transmits the conver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40 so that the doctor or patient can determine the disease based o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nd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Allow them to judge or verify the degree.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는 특정 환자의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된 데이터는, 도 6의 (a)에 나타낸 종래 방식과 같이 실제 검사수치와 비율(%)로 제공되지 않고,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검사값의 측정값을 표준화한 표준화 수치값과 표준화 참고값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의사나 환자는 표준화 수치값과 표준화 참고값을 통해 질병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손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tandardized data about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is not provided as an actual test value and a percentage (%)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shown in FIG. As shown in (b),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and standardized reference values are standardized values of actual test values. Thus,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and standardized reference values allow doctors and patients to intuitively identify and easily understand the extent of disease.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 상기 사용자 단말(300), 상기 개발자 단말(400),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검사항목별 검사값 및 표준화 수치값의 송수신, 동작 프로그램의 제공 및 업데이트에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 응용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40 perform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spection result provider 200, the user terminal 300, the developer terminal 400, and the database 500 through a network to inspect each inspection item. Transmit and receive values an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transmit and receive data related to providing and updating operation programs,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related to application services.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부(150)는 각각의 환자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평가된 건강상태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활용하여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150 evaluates a patient's health state by referring to data standardized for each patient's test value, and utilizes the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500 based on the evaluated health state. Generates information including a service,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provide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40.

이때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부(150)는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information including a medical service,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a web or mobile based application.

상기 내부 메모리(160)는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 표준화 모델 적용부(130) 및 응용서비스 처리부(15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기 이전에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internal memory 160 stores various operation programs used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includes the data collecting unit 110,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ng unit 120, and the standardized model applying unit 130. And the data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service processor 150 to the user terminal 300 or temporarily store the data before being stored in the database 50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의 각 구성 부분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에서의 모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의 수집 및 각 검사항목별로 생성되는 표준화 모델의 업데이트를 위한 검사값의 지속적인 수집을 제어하고,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120)에서의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에 대한 표준화 모델 생성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70 collectively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includes a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performed on a population of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Controls the continuous collection of test values for the collection and updating of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ed for each test item, and generates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in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or 120 To control.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표준화 모델 적용부(130)에서의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수치값 변환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한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부(150)에서의 각각의 환자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참조한 건강상태 평가,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등의 응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생성 및 전송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onversion and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40 for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that needs to be standardized in the standardized model application unit 130, and the application service system Controls data generation and transmission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health status evaluation, medical service, health care, and health care with reference to data standardized for each patient in study 150.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의 동작프로그램 관리 및 업데이트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controls operation program management and update of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Next, an embodiment of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At this time, each step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in order by the environmen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병원, 검사기관을 포함한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에서 일정기간동안의 모집단에 대하여 수행한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로 전송한다(S100).First,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performed by the respective test result provider 200 including the hospital and the test agency for the popul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re transmitted to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network ( S100).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모집단에 대하여 수행한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수집한 후(S200), 상기 수집한 모집단에 대하여 수행한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 변환작업을 수행한다(S300).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collects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performed on the population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200 (S200), and then performs each test item on the collected population.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for each test value is performed (S300).

상기 S300 단계에서 수행하는 표준화 정규분포 변환작업은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검사방법이나 검사장치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 측정값이 가지는 의미를 해석하여 일관성 있는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함이다.The normalized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operation performed in step S300 is a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because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200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st method or the test apparatus. This is to set the criteria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and converting it into a consistent standardized data.

또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S200 단계를 통해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수집한 각 검사항목의 명칭이 서로 다른 경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된 명칭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s matched with a standardized name stored in the database 500 when the name of each test item collected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200 through the step S200 is different. You can.

이처럼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 변환작업을 수행한 이후,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표준화 정규분포를 토대로 각각의 검사항목별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하여,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 생성을 수행한다(S400).As described above, after performing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conversion operation on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through the step S300,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has a standardized value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normalized normal distribution. By determining the value normal distribution,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is generated (S400).

상기 S400 단계에서 생성되는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은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새로운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값을 수집하거나,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값을 수집하는 경우 업데이트하여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generated in step S400 collects test values according to a new test method and test apparatus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or collects test values of a new population every predetermined period. Of course, it can be updated.

이제,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모집단의 각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한 이후,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500).Now, after generating the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test value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through the step S400,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is a specific patient that needs standardization from the user terminal 3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eck value is input (S500).

상기 S500 단계의 판단결과 표준화가 필요한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입력되면,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S400 단계에서 결정한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를 참조하여,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200)으로부터 입력받은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6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00, when a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requiring standardization is input,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refers to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determined in step S400, and provides the test result provider 200 In step S600, a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received from the step i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즉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Z값을 우선 산출하고, 상기 S400 단계에서 결정한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와 상기 산출한 Z값을 비교하여 상기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일치하는 확률을 확인하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확인한 확률에 해당하는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That is,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first calculates a Z value indicating how far a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from an average, and then calculates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distribution and the calculated Z value determined in step S400. Comparing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probability corresponding to the Z value is confirmed, and converts the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obability identified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상기 S600 단계를 통해 특정 환자의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수치값을 포함한 표준화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의사나 환자가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에 포함된 표준화 수치값과 표준 참고값을 토대로 질병의 정도를 판단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700).When the standardized data including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for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s generated through the step S600,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standardized data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300 to the doctor. B, the patient can determine or confirm the degree of the disease based o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nd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included in the standardized data (S700).

한편, 상기 S700 단계 이후,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100)는 각각의 환자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환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여 관리중인 각종 콘텐츠를 활용하여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등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S800).On the other hand, after the step S700,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current state of health of the patient with reference to the standardized data of each patient, the database 5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of health By using various contents stored and managed in the) to generate information related to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healthcare, etc.,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erform an application service for provid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 S800).

이때 상기 S800 단계의 응용서비스 제공은 사용환경이나 시스템 구성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At this time, it is clear that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in step S800 may not be us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or system configuration.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에서와 같이 결과값을 단순히 비율로 나타낼 경우 질병의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참고값 구간의 넓이에 따라 과도하여 반영되거나 과소평가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고, 질병의 호전이나 악화정도의 판단에 있어 정확도 및 신뢰를 높일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degree of disease when the result value is simply expressed as a ratio as in the related art, and may prevent the possibility of being excessively reflected or underestima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reference value section. Accuracy and confidence can be increased in determining deterioration.

또한 본 발명은 각 검사항목별로 표준화된 데이터를 의사나 환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검사방법이나 검사장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검사값을 혼동하지 않고 동일한 기준으로 질병 상태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octor or the patient with standardized data for each test item, the disease state can be easily determined based on the same criteria without confusing test values meas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r the test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비율로 표시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표준화 정규분포를 이용한 표준화 수치값을 통해 검사값을 표준화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의사나 환자가 질병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손쉽게 이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displaying the ratio, since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provided by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using a normalized normal distribution, so that the doctor or patient can intuitively check the extent of the disease and easily understan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I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0 :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 110 : 데이터 수집부
120 : 표준화 모델 생성부 130 : 표준화 모델 적용부
14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50 : 응용 서비스 제공부
160 : 내부 메모리 170 : 제어부
200 : 검사결과 제공기관 300 : 사용자 단말
400 : 개발자 단말 500 : 데이터베이스
100: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10: data collection unit
120: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130: standardized model application unit
14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50: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160: internal memory 170: control unit
200: test result provider 300: user terminal
400: developer terminal 500: database

Claims (10)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에서,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표준화 모델 생성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이 입력되면 상기 검사값을 상기 생성한 해당 항목의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수치값을 산출하는 표준화 모델 적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한 표준화 수치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의사나 환자가 상기 표준화 수치값을 토대로 질병의 정도를 판단하거나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A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nd applying a standardized model to calculate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by applying the test value to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of the corresponding item when a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a doctor or a patient can determine or confirm the degree of disease based o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모델 적용 단계에서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Z값((측정값-평균)/표준편차)을 산출하고, 상기 생성한 표준화 모델의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상기 산출한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일치하는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확인한 확률에 해당하는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applying the standardized model to convert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 Z value ((measured value-average) / standard deviation) indicating how far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s from the average is calculated and corresponds to the calculated Z value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of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And confirming a probability that matches a probability, and converting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a probability identified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 단계는,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토대로 각각의 검사항목별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함으로써, 각 검사항목에 대한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표준 참고값은, 각각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라 모집단의 95%가 해당되는 범위로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을 평균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대표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step,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of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an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standard deviations and standard reference values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By making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by averaging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eference values uniquely set in a range corresponding to 95% of the population according to each test method and test apparatus, or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y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that is uniquely set in any one representative test method and test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 단계는,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검사항목별 명칭이 서로 상이한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표준화된 검사항목 명칭으로 일치시키며,
신규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수집되거나 일정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수집되는 경우 상기 생성한 표준화 모델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step,
If the name of each test item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tches with the standardized test item nam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updating and managing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when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according to the new test method and the test apparatus are collected or the test values for the test item for a new population are collected at regular intervals. Standardized method of converting medical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은,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에서, 각각의 환자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응용 서비스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 단계는,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변환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In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s generated by referring to data obtained by standardizing test values for each patient, and the gener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an application servic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step,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eb or mobile-based application.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을 토대로 각 검사항목별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표준화 모델 생성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환자의 검사항목 검사값이 입력되면 상기 검사값을 상기 생성한 해당 항목의 표준화 모델에 적용하여 표준화 수치값을 산출하는 표준화 모델 적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출한 표준화 수치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의사나 환자가 상기 표준화 수치값을 토대로 질병의 정도를 판단하거나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
A standardized mode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est values for the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And
And a standardized model applic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by applying the test value to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of the corresponding item when a test item test value of a specific patient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a doctor or a patient can determine or confirm the degree of disease based on the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Z값((측정값-평균)/표준편차)을 산출하고, 상기 생성한 표준화 모델의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상기 산출한 Z값에 해당하는 확률과 일치하는 확률을 확인하고, 상기 특정 환자의 검사값을 상기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에서 확인한 확률에 해당하는 표준화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Converting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A Z value ((measured value-average) / standard deviation) indicating how far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s from the mean is calculated, and corresponds to the calculated Z value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of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And confirming a probability that matches the probability, and converting the test value of the specific patient into a standardized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obability identified in the normalized numerical value normal distribu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는,
상기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에 대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한 표준화 정규분포를 토대로 각각의 검사항목별 표준화 수치값 정규분포, 표준편차 및 표준 참고값을 결정함으로써, 각 검사항목에 대한 표준화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표준 참고값은, 각각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라 모집단의 95%가 해당되는 범위로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을 평균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대표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참고값의 최저값 및 최대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of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of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the test result provider, and standardized numerical values, standard deviations and standard reference values for each test item based on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By making a standardized model for each test item,
The standard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by averaging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eference values uniquely set in a range corresponding to 95% of the population according to each test method and test apparatus, or
A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uniquely set in any one representative test method and the test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모델 생성부는,
각각의 검사결과 제공기관으로부터 수집한 검사항목별 명칭이 서로 상이한 경우 기 설정되어 있는 표준화된 검사항목 명칭으로 일치시키며,
신규의 검사방식 및 검사장치에 따른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수집되거나 일정주기마다 새로운 모집단의 검사항목별 검사값이 수집되는 경우 상기 생성한 표준화 모델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andardized model generation unit,
If the name of each test item collected from each test result provid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tches with the standardized test item nam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updating and managing the generated standardized model when the test values for each test item according to the new test method and the test apparatus are collected or the test values for the test item of the new population are collected at regular intervals.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는,
각각의 환자별 검사값을 표준화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응용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용 서비스 제공부는,
의료서비스, 건강관리, 헬스케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화된 의료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ith reference to data standardized for each patient, and transmit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Includ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services, health care, healthc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eb or mobile-based application.
KR1020180053782A 2018-05-10 2018-05-10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 KR1021966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782A KR102196635B1 (en) 2018-05-10 2018-05-10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782A KR102196635B1 (en) 2018-05-10 2018-05-10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17A true KR20190129317A (en) 2019-11-20
KR102196635B1 KR102196635B1 (en) 2020-12-30

Family

ID=6872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782A KR102196635B1 (en) 2018-05-10 2018-05-10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63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1817A (en) * 2019-12-31 2020-05-15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Medical data standardiz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98454B1 (en) * 2020-04-10 2021-01-05 주식회사 케어링크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health checkup items based on machine lear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2088A1 (en) * 1997-01-15 1998-07-23 Chir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rapeutic outcomes
KR20090037752A (en) * 2007-10-12 2009-04-16 애트민(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KR20180010077A (en) * 2016-07-20 2018-01-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ferences value of medical te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2088A1 (en) * 1997-01-15 1998-07-23 Chir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rapeutic outcomes
KR20090037752A (en) * 2007-10-12 2009-04-16 애트민(주)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information
KR20180010077A (en) * 2016-07-20 2018-01-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ferences value of medical tes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1817A (en) * 2019-12-31 2020-05-15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Medical data standardiz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161817B (en) * 2019-12-31 2023-09-19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Medical data standardized processing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98454B1 (en) * 2020-04-10 2021-01-05 주식회사 케어링크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health checkup items based on machine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635B1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996B2 (en) Medical vital sign indication tool, system and method
US6193654B1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determining neonatal severity of illness and mortality risk
US201701094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consistent and/or Duplicate Data in Health Records
Aakre et al. Prospective validation of a near real-time EHR-integrated automated SOFA score calculator
CN109310317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edicine diagnosis
JP2008546117A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quantification of disease prognosis
KR20100067786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locking medical device information
KR102196635B1 (en)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ized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y using the same
Simonetti et al.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implementation and burnout among VA primary care employees
KR20210135403A (en) System for managing personalized health data based on the internet
Utter et al. Designing an abstraction instrument: lessons from efforts to validate the AHRQ patient safety indicators
JP2021039683A (en) Medical care assistance method, medical care assisting system, learning model generation method, and medical care assisting program
KR20130094484A (en) Medical instrumen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Haywood Patient‐reported outcome II: selecting appropriate measures for musculoskeletal care
JP2004533068A (e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ntegrating tests
CN103238153A (en) Communication protocol that supports structured collection procedures used in diabetes care
KR102287081B1 (en) Medical service management and delivery device using a portable digital stethoscope
Haron et al. Validating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measuring nurse's performance scale
KR100984665B1 (en)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medical information
Jordan et al. Multimedia abstract generation of intensive care data: the automation of clinical processes through AI methodologies
KR200346526Y1 (en) Monitoring system of healh status using urine analyser
Reis et al. Monitoring system for emergency service in a hospital environment
US202203196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State of Health of a Patient
Vischer et al. A model for early failure prediction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in a stepped validation approach
US20120277633A1 (en) Control System for Childbirth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