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690A -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690A
KR20190128690A KR1020197030450A KR20197030450A KR20190128690A KR 20190128690 A KR20190128690 A KR 20190128690A KR 1020197030450 A KR1020197030450 A KR 1020197030450A KR 20197030450 A KR20197030450 A KR 20197030450A KR 20190128690 A KR20190128690 A KR 20190128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ch
subcarriers
prb
subframe
enhancemen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런마오 류
팡잉 샤오
닝쥐안 창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장비 내의 방법이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물리 자원 서브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물리 자원 서브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함 -; 표시에 응답하여 물리 자원 서브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도메인을 포함함 -; 및 서브캐리어 표시 도메인에 따라 PU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관련 방법
본 개시는 무선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관련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MTC)의 훨씬 더한 강화에 관한 새로운 작업 항목(비특허 문헌: RP-170732: New WID on Even further enhanced MTC for LTE 참조)은 2017년 3월에 개최된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RAN#75 총회에서 승인되었다. 연구 프로젝트의 목표들 중 하나는 MTC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서브-물리 자원 블록들(sub-physical resource blocks)(서브-PRB들)에 기초하여 자원 할당을 지원(즉, 하나보다 작은 PRB에 기초하여 자원 할당을 지원)하는 것이다.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는 서브-PRB 자원 할당을 지원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MAC)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들(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PUSCH들)의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함 -; 표시에 응답하여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를 수신하는 단계 -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를 포함함 -; 및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 따라 PUSCH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PUSCH는 서브프레임(n+ki)에서 송신되며, 여기서 i=0, 1, ..., N*(12/Nsc)-1이고, 서브프레임(n)은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머신 타입 통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machine type communicatio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MPDCCH)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고, Nε{n1, n2, ..., nmax}은 DCI에서 표시되는 반복 수 필드에 의해 결정되고, {n1, n2, ..., nmax}는 값들의 사전 정의된 그룹이고, Nsc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서 표시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고, 서브프레임(n+k0)은 서브프레임(n+x) 다음에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제1 서브프레임이고, k0<k1<k2<...<kN -1은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N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값들이고, x는 상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Nacc*(12/Ns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PUSCH의 전송 블록 크기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NPRB에 적어도 기초하여 결정되며, NPRB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3일 때 3이거나, NPRB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6일 때 6이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가 제공되며, 사용자 장비는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가 상술한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들(PUSCH들)의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함 -;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를 포함함 -; 및 사용자 장비로부터 PUS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PUSCH는 서브프레임(n+ki)에서 수신되며, 여기서 i=0, 1, ..., N*(12/Nsc)-1이고, 서브프레임(n)은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머신 타입 통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MPDCCH)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고, Nε{n1, n2, ..., nmax}은 DCI에서 표시되는 반복 수 필드에 의해 결정되고, {n1, n2, ..., nmax}는 값들의 사전 정의된 그룹이고, Nsc는 서브캐리어 수 표시 필드에서 표시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고, 서브프레임(n+k0)은 서브프레임(n+x) 다음에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제1 서브프레임이고, k0<k1<k2<...<kN -1은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N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값들이고, x는 상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Nacc*(12/Ns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PUSCH의 전송 블록 크기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NPRB에 적어도 기초하여 결정되며, NPRB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3일 때 3이거나, NPRB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6일 때 6이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이 제공되며, 기지국은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기지국이 상술한 제3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서 사용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PRB의 서브캐리어 분포를 예시한다.
이하는 첨부 도면들 및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은 아래에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게다가, 단순화를 위해, 본 출원과 직접 관련되지 않는 공지된 기술분야의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을 이해할 시에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에서 사용되는 방법(100)의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S110): 기지국으로부터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들(PUSCH들)의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S120): 표시에 응답하여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며,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를 포함한다.
단계(S130):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 따라 PUSCH를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130)에서, PUSCH는 서브프레임(n+ki)에서 송신되며, 여기서 i=0, 1, ..., N*Q-1이고, 서브프레임(n)은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머신 타입 통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MPDCCH)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고, Nε{n1, n2, ..., nmax}은 DCI에서 표시되는 반복 수 필드에 의해 결정되고, {n1, n2, ..., nmax}는 값들의 사전 정의된 그룹이다. Q는 고정 값 또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Q=12/Nsc이며, 여기서 Nsc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서 표시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다. 서브프레임(n+k0)은 서브프레임(n+x) 다음에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제1 서브프레임이고, k0<k1<k2<...<kN -1은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N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값들이고, x는 상수이다.
여기서, Nsc는 UE가 커버리지 강화 모드 A 또는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서 동작할 때 12이다.
{n1, n2, ..., nmax}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는 nmax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3GPP TS 36.331은 nmaxs의 그룹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 대해:
pusch-maxNumRepetitionCEmodeB-r13 ENUMERATED {r192, r256, r384, r512, r768, r1024, r1536, r2048} OPTIONAL, --Need OR.
nmax의 값은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술한 세트로부터 UE를 위해 구성된다.
TS 36.213은 상기 각각의 nmax에 대해 8개의 값의 세트를 정의한다:
192 {4, 8, 16, 32, 64, 128, 256, 512}
256 {4, 8, 16, 32, 64, 128, 192, 256}
384 {4, 16, 32, 64, 128, 192, 256, 384}
...
2048 {4, 16, 64, 128, 256, 512, 1024, 2048}
기지국(또한 eNB로 언급됨)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는 nmax에 따라 nmax에 대응하는 상술한 세트로부터 PUSCH에 대한 값을 선택하고, DCI를 통해 UE에 값을 표시하며, 값은 N(PUSCH의 반복된 송신 수)이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FDD) 시스템에 대해, x=4이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Nacc*Q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된다. Q는 고정 값 또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Q=12/Nsc이며, 여기서 Nsc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서 표시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PUSCH의 전송 블록 크기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NPRB에 적어도 기초하여 결정되며, NPRB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3일 때 3이거나, NPRB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6일 때 6이다.
상기 설명된 방법(100)에 따라,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200)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200)는 송수신기(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장비(200)가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방법(100)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UE(200)는 기지국으로부터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들(PUSCH들)의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한다.
게다가, UE(200)는 표시에 응답하여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며,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를 포함한다.
게다가, UE(200)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 따라 PUSCH를 송신한다.
상기 설명된 방법(100)에 따라, 본 개시는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방법(300)의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300)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S310):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들(PUSCH들)의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S320):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며,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를 포함한다.
단계(S330): 사용자 장비로부터 PUSCH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330)에서, PUSCH는 서브프레임(n+ki)에서 수신되며, 여기서 i=0, 1, ..., N*Q-1이며, 서브프레임(n)은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머신 타입 통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MPDCCH)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고, Nε{n1, n2, ..., nmax}은 DCI에서 표시되는 반복 수 필드에 의해 결정되고, {n1, n2, ..., nmax}는 값들의 사전 정의된 그룹이다. Q는 고정 값 또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Q=12/Nsc이며, 여기서 Nsc는 서브캐리어 수 표시 필드에서 표시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다. 서브프레임(n+k0)은 서브프레임(n+x) 다음에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제1 서브프레임이고, k0<k1<k2<...<kN -1은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N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값들이고, x는 상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Nacc*Q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된다. Q는 고정 값 또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Q=12/Nsc이며, 여기서 Nsc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서 표시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PUSCH의 전송 블록 크기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NPRB에 적어도 기초하여 결정되며, NPRB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3일 때 3이거나, NPRB는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6일 때 6이다.
상기 설명된 방법(300)에 따라, 본 개시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400)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400)은 송수신기(410),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43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430)는 기지국(400)이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방법(300)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4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300)은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들(PUSCH들)의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한다.
게다가, 기지국(300)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며,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를 포함한다.
게다가, 기지국(300)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PUSCH를 수신한다.
방법(100)에 대해 상기 설명된 양태들, 특징들, 및 예들은 또한 UE(200), 방법(300), 및 기지국(400)에 적용가능하다.
일부 예들은 상기 설명된 방법(100), UE(200), 방법(300), 및 기지국(400)의 기술적 해결법들의 더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아래에 주어진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브- PRB 자원 할당에서의 반복 수, 스크램블링 시퀀스 , 및 리던던시 버전의 결정
MTC와 관련되는 기존 3GPP 표준 사양들에서, PUSCH에 대한 가장 작은 자원 할당 유닛은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이다. RRC 연결된 상태에서의 MTC UE는 2개의 커버리지 강화 모드, 즉 커버리지 강화 모드 A(CE 모드 A) 및 커버리지 강화 모드 B(CE 모드 B)를 지원한다. 커버리지 강화 모드 A는 좋은 채널 조건들을 갖거나, 커버리지 강화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작은 커버리지 강화를 필요로 하고, 반복된 송신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상당히 적은 반복된 송신들을 필요로 하는 UE를 위해 사용되고; 커버리지 강화 모드 B는 나쁜 채널 조건들을 갖거나, 큰 또는 상당히 큰 커버리지 강화를 필요로 하거나, 많은 또는 상당히 많은 반복된 송신들을 필요로 하는 UE를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또한 eNB로 언급됨)은 PUSCH를 반복적으로 송신함으로써 PUSCH의 커버리지를 확장한다. 특정 구현은 이하와 같다: eNB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PUSCH의 반복된 송신 수의 최대 값을 구성하고, 하나의 반복된 PUSCH 송신 수 세트는 반복된 송신 수의 각각의 구성가능 최대 값에 대해 정의된다. 커버리지 강화 모드 A에서의 UE에 대해, 하나의 반복된 PUSCH 송신 수 세트는 4개의 값을 포함하는 반면에,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서의 UE에 대해, 하나의 반복된 PUSCH 송신 수 세트는 8개의 값을 포함한다.
UE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PUSCH의 반복된 송신 수의 최대 값을 획득하며, 반복된 PUSCH 송신 수 세트는 최대 값으로부터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PUSCH 송신에 사용되는 반복된 송신 수(
Figure pct00001
)는 DCI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기존 MTC 시스템에서, 파라미터 Nacc가 정의된다. Nacc는 시간 도메인 내의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언급하고, 이러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되는 PUSCH들은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을 사용한다. 파라미터는 고정 값이다. FDD 시스템에 대해, Nacc=4이고; TDD 시스템에 대해, Nacc=5이다.
MTC UE는 DCI를 통해, 이러한 PUSCH 송신에서의 반복된 송신 수(
Figure pct00002
) 및 PUSCH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절대 서브프레임 수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반복된 PUSCH 송신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절대 서브프레임들의 전체 수(
Figure pct00003
)는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N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에서 PUSCH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서브프레임 상의 PUSCH에 적용된다.
리던던시 버전은 이하의 방식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반복된 PUSCH 송신이 수행되는 절대 서브프레임들의 전체 수(
Figure pct00004
)는 N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의 다수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PUSCH들의 4 리던던시 버전(RV0, RV1, RV2, 및 RV3)은 RV0, RV2, RV3, 및 RV1의 순서로, N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의 제1 그룹에서 시작하여 마지막 그룹까지 N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의 다수의 그룹에, 주기적으로 적용된다. N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의 동일한 그룹에서 PUSCH 송신에 이용가능한 각각의 서브프레임 상의 PUSCH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을 사용한다.
기존 MTC UE에 대한 가장 작은 자원 할당 유닛은 하나의 PRB이며,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12 서브캐리어의 대역폭을 점유하고; 기존 LTE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kHz이고; 하나의 PRB의 물리 대역폭은 180 kHz이다. UE가 나쁜 채널 조건들을 가질 때, PUSCH에 대한 원하는 수신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가능 방법들은 UE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또는 PUSCH의 반복된 송신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UE는 송신 전력 제한들을 갖거나, 송신 전력 최대를 갖는다. 나쁜 채널 조건들 또는 나쁜 커버리지를 갖는 MTC UE에 대해, 기존 LTE 시스템들은 이미 송신 전력 최대를 사용한다. 더욱이, 동일한 전력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들에 적용되어, 수신된 신호 강도 또는 수신된 신호 수신에 대한 상이한 품질을 야기한다. 주파수 대역폭이 더 클수록, 수신 품질이 더 낮아진다. 더욱이, 커버리지 강화를 필요로 하는 동일한 UE에 대해, 작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은 큰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보다 더 적은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소비한다.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MTC UE의 PUSCH에 대한 최소 할당 대역폭은 하나의 PRB이다. 더 좋은 스펙트럼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미만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나쁜 채널 조건들을 갖는 송신 UE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PUSCH의 자원 할당에 대한 가장 작은 유닛은 12 미만의 서브캐리어이어야 하며, 즉, 서브-PRB 강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서브-PRB 강화 기능은 하나 미만의 PRB 또는 12 미만의 서브캐리어의 PUSCH 및/또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에 대한 자원 할당 또는 구성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커버리지 강화 모드 B 및/또는 커버리지 강화 모드 A 내의 UE 상에 기능 강화를 수행하는 것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들은 1, 2, 3, 4, 6, 12 등이고, 즉, 12로 나누어 떨어지고, 할당된 다수의 서브캐리어는 주파수 도메인 내의 연속 서브캐리어들이다. 임의로, 할당된 다수의 서브캐리어는 또한 하나의 PRB 내의 비연속 서브캐리어들일 수 있다.
PUSCH에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들은 하나 미만의 PRB이며, 즉,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수는 12 미만이다. 그러나,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MTC UE의 PUSCH에 대한 가장 작은 할당 유닛은 하나의 PRB, 즉, 12 서브캐리어이다. PUSCH의 반복 수의 값의 디자인은 하나의 PRB에 대한 주위 최소 할당 자원에 의해 수행된다.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유닛이 하나 미만의 PRB일 때,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에 대해, 동일한 수신된 신호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PUSCH를 위해 요구되는 반복된 송신 수는 증가되어야 한다.
표준화 작업을 가능한 한 많이 감소시키기 위해, 간단한 방식은 기존 LTE 시스템들 및 그것의 구성 및 표시 방법들에서 PUSCH에 대한 반복 수 값 세트를 사용하고, PUSCH의 실제 반복된 송신 수를 계산할 때, 반복된 PUSCH 송신 수의 구성된 값 또는 표시된 값에 값(Q)을 곱해서 PUSCH를 위해 실제로 요구되는 반복된 송신 수; 즉, 실제로 반복된 PUSCH 송신 수 = PUSCH 반복 수의 구성된 값 또는 표시된 값 * Q를 획득하는 것이다. Q는 고정 값 또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Q=12/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수(Nsc)이다.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3이고, MPDCCH에 의해 표시되는 이러한 PUSCH의 반복된 송신 수가 16이면, Q=12/Nsc=4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PUSCH의 실제 반복된 송신 수는 16*Q=64이다.
임의로, 고정 값(Q)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UE는 PUSCH에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따라 표 1로부터 Q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PUSCH의 실제 반복된 송신 수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수는 3이고, MPDCCH에 의해 표시되는 이러한 PUSCH의 반복된 송신 수는 16이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때 Q=4이다. 이러한 PUSCH의 실제 반복된 송신 수는 16*Q=16*4=64이다.
임의로, PUSCH의 반복 수 값은 서브-PRB 자원 할당에 의해 지원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최소 수에 따라 리디자인될 수 있고, 최대 반복 수 값은 기존 최대 반복 수 값의 배수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PUSCH의 허용가능 반복된 송신 수의 기존 최대 값이 2048이면, 이때 반복된 PUSCH 송신 수의 리다지인된 최대 값은 2048*(12/최소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일 수 있다. 서브캐리어들의 최소 수가 3이면, 허용가능 최대 수는 8192이다. 그러나, 각각의 PUSCH 반복 수 세트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서의 UE에 대해, 하나의 반복된 PUSCH 송신 수 세트는 8개의 값을 여전히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3 비트는 PUSCH의 반복된 송신 수를 표시하기 위해 DCI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PUSCH의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 리던던시 버전의 결정에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N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에서 PUSCH 송신에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되고,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또한 N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에서 PUSCH 송신에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된다. Nacc는 고정 값이다. FDD에 대해, Nacc=4이고; TDD에 대해, Nacc=5이다.
서브-PRB 자원 할당을 가진 UE에 대해, 간단한 구현은 서브-PRB 자원 할당에서 M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을 획득하기 위해 Nacc에 값(P)을 곱하는 것이다. 서브-PRB 자원 할당에 대해,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M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에서 PUSCH 송신에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될 수 있다. Macc=Nacc*P이며, 여기서 P는 고정 값 또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12/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수(Nsc).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3이면, 이때 P=12/3=4이고; 이러한 방식으로, Macc=Nacc*4. 즉,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Nacc*4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에서 PUSCH 송신에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된다. 서브캐리어들의 수(Nsc)는 이러한 PUSCH에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다. PUSCH의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 리던던시 버전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단계들 또는 절차들은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의 것들과 유사하고 불변인 채로 남아 있다.
임의로, 고정 값(P)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UE는 PUSCH에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따라 표 2로부터 P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PRB 자원 할당에서의 M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수는 3이고,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때 P=4이다. 서브-PRB 자원 할당에서의 Mac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에 관해, Macc=Nacc*4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값들(P 및 Q)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임의로, 서브-PRB 자원 할당에서, 반복된 PUSCH 송신 수에 대한 상술한 결정 방법이 사용되는 반면에,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 리던던시 버전에 대한 결정 방법은 변경되지 않으며; 즉, 서브-PRB 자원 할당을 사용하는 PUSCH의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 리던던시 버전은 기존 LTE 시스템들 내의 MTC UE의 PUSCH의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 리던던시 버전에 대한 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서브- PRB 자원 할당에서의 서브캐리어들의 표시 및 전송 블록 크기의 결정
MTC와 관련되는 기존 3GPP 표준 사양들에서, PUSCH에 대한 가장 작은 자원 할당 유닛은 하나의 물리 자원 블록(PRB)이다. RRC 연결된 상태에서의 MTC UE는 2개의 커버리지 강화 모드, 즉 커버리지 강화 모드 A(CE 모드 A) 및 커버리지 강화 모드 B(CE 모드 B)를 지원한다. 커버리지 강화 모드 A는 좋은 채널 조건들을 갖거나, 커버리지 강화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작은 커버리지 강화를 필요로 하고, 반복된 송신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상당히 적은 반복된 송신들을 필요로 하는 UE를 위해 사용되고; 커버리지 강화 모드 B는 나쁜 채널 조건들을 갖거나, 큰 또는 상당히 큰 커버리지 강화를 필요로 하거나 많은 또는 상당히 많은 반복된 송신들을 필요로 하는 UE를 위해 사용된다.
기존 MTC UE에 대한 가장 작은 자원 할당 유닛은 하나의 PRB이며, 즉, 주파수 도메인에서 12 서브캐리어의 대역폭을 점유하고, 기존 LTE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kHz이고, 하나의 PRB의 물리 대역폭은 180 kHz이다. UE가 나쁜 채널 조건들을 가질 때, PUSCH에 대한 원하는 수신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가능 방법들은 UE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또는 PUSCH의 반복된 송신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UE는 송신 전력 제한을 갖거나, 송신 전력 최대를 갖는다. 나쁜 채널 조건들 또는 나쁜 커버리지를 갖는 MTC UE에 대해, 기존 LTE 시스템들은 이미 송신을 위해 최대 전력을 사용한다. 다른 한편, 동일한 전력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들에 적용되어, 상이한 수신된 신호 강도 또는 신호 수신 품질을 야기한다. 주파수 대역폭이 더 클수록, 수신 품질이 더 낮아진다. 더욱이, 큰 커버리지 강화를 필요로 하는 동일한 UE에 대해, 작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은 큰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송신보다 더 적은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소비한다.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MTC UE의 PUSCH에 대한 최소 할당 대역폭은 하나의 PRB이다. 더 좋은 스펙트럼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미만의 PRB의 주파수 대역폭은 나쁜 채널 조건들을 갖는 송신 UE를 위해 사용될 필요가 있다. 즉, PUSCH의 자원 할당에 대한 가장 작은 유닛은 12 미만의 서브캐리어이어야 하며, 즉, 서브-PRB 강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서브-PRB 강화 기능은 하나 미만의 PRB 또는 12 미만의 서브캐리어에 기초하여 PUSCH 및/또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 대한 자원 할당 또는 구성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커버리지 강화 모드 B 및/또는 커버리지 강화 모드 A 내의 UE 상에 기능 강화를 수행하는 것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들은 1, 2, 3, 4, 6, 12 등이며, 즉, 12로 나누어 떨어지고, 할당된 다수의 서브캐리어는 주파수 도메인 내의 연속 서브캐리어들이다. 임의로, 할당된 다수의 서브캐리어는 또한 하나의 PRB 내의 비연속 서브캐리어들일 수 있다.
서브-PRB 자원 할당은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 주로 적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커버리지 강화 모드 B를 논의를 위한 일 예로서 사용한다. 동일한 것은 커버리지 강화 모드 A 또는 다른 적용 시나리오들에 적용된다.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서 UE의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포맷은 DCI 포맷 6-0B이며; 참조는 비특허 문헌: 3GPP TS 36.212 V14.0.0(2016-09)에 이루어질 수 있다. 기존 MTC UE의 최대 동작 대역폭은 1.4 MHz 또는 6 PRB이다. 3GPP Rel-13에서, 시스템 대역폭은 다수의 협대역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협대역은 6개의 연속 PRB를 가진 주파수 폭을 갖는다. 예를 들어, 20 MHz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시스템에 대해, 시스템의 송신 대역폭은 100 PRB이고, 100 PRB는 MTC가 MTC 시스템들의 그룹을 위해 디자인될 때 16 협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특정 시점에서, MTC UE는 협대역들 중 하나 상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MTC UE의 PUSCH에 대한 최소 할당 대역폭은 하나의 PRB이고, DCI 포맷 6-0B는 자원 블록 할당 필드:
Figure pct00007
+ 3 비트 + 3 비트를 가지며, 그것은 PUSCH에 할당되는 자원들의 크기 및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Figure pct00008
는 업링크 송신 대역폭의 크기이며,
Figure pct00009
는 어느 협대역 상에서 PUSCH가 동작하는 것을 표시하고, 3 비트는 협대역 내의 어느 PRB 또는 어느 2개의 PRB가 PU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3 비트 정보의 정의는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기존 LTE 시스템들은 하나의 PRB의 가장 작은 입도에서 자원 할당만을 지원한다. 서브-PRB 자원 할당을 지원하기 위해, 적어도 DCI 포맷 6-0B 내의 자원 블록 할당 필드는 하나의 PRB 내의 서브캐리어들의 입도에서 자원 할당을 지원하기 위해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하의 3개의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방식 1
자원 블록 할당 필드는 서브캐리어 할당 필드로 변경되고, 특정 정보는
Figure pct00011
+ 3 비트 + 3 비트이며,
Figure pct00012
+ 3 비트는 기존 LTE에서의 것과 동일한 정의를 갖고, 추가 부가된 3 비트는 하나의 PRB의 12 서브캐리어 내의 어느 서브캐리어들이 PU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은 주파수 도메인 내의 연속 서브캐리어들이고, 서브캐리어들의 수는 12로 나누어 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들은 1, 2, 3, 4, 6, 및 12이다. 3 및 4는 4가 제거될 수 있도록 가깝다. 사물 인터넷에 대한 2개의 기술은 기존 LTE 시스템들에 존재하고 각각 MTC 및 NB-IoT이다. MTC 및 NB-IoT는 상이한 적용 시나리오들을 갖는다: MTC는 중급 내지 고급 시장들에 적용되고, NB-IoT는 저가 시장들에 적용된다. 그러므로, MTC는 1 서브캐리어의 대역폭을 갖는 PUSCH를 지원할 필요가 없다. 12 서브캐리어의 상황은 제1의 3 비트 정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3 및 6 서브캐리어의 자원 할당만이 표시될 필요가 있다. 하나의 PRB 내의 서브캐리어들의 분포는 연속적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PRB 내의 12 서브캐리어는 3개의 연속 서브캐리어의 4개의 비오버래핑 서브캐리어 그룹으로 분할되고, 6개의 연속 서브캐리어의 2개의 서브캐리어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 비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6개의 조합만이 있다. 제2의 3 비트 정보, 즉, 표 4는 표 3에서의 하나의 PRB의 상황에만 적용되고 2개의 PRB의 상황에 적용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13
임의로, 부가 3 비트는 1, 2, 3, 4, 6, 및 12의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 서브캐리어 위치들 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식 2
자원 블록 할당 필드는 서브캐리어 할당 필드로 변경되고, 특정 정보는
Figure pct00014
+ 6 비트이며,
Figure pct00015
는 기존 LTE에서와 것과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방식 1과 비교하면, 이러한 방식은 3개의 서브캐리어 및 6개의 서브캐리어의 자원 할당만을 지원하고, 6 비트는 하나의 협대역의 6개의 PRB 내의 3개의 서브캐리어 및 6개의 서브캐리어의 가능한 위치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6개의 PRB 각각 내의 3개의 서브캐리어 및 6개의 서브캐리어의 분포는 도 5에 도시된다. UE는 기존 커버리지 강화 모드 B 또는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의 서브-PRB 강화에서 동작하도록, 높은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다. UE가 기존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서 동작하면, 기존 DCI 포맷 6-0B가 사용된다. UE가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의 서브-PRB 강화에서 동작하면, 서브-PRB 강화를 위해 사용되는 새롭게 정의된 DCI 포맷 6-0B 또는 다른 DCI 포맷이 사용된다. 6 비트 정보의 정의는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임의로, 6 비트는 1, 2, 3, 4, 6, 및 12의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 서브캐리어 위치들 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식 3
자원 블록 할당 필드는 서브캐리어 할당 필드로 변경되고, 특정 정보는
Figure pct00017
+ 6 비트이며,
Figure pct00018
는 기존 LTE에서의 것과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의 DCI 포맷 6-0B에서의 자원 할당 필드의 3 비트 정보(즉, 표 1에서의 정보) 및 방식 2에서 지원되는 3개의 서브캐리어 및 6개의 서브캐리어의 자원 할당의 가능한 위치 정보는 총 42 가능성을 획득하기 위해 통합된 방식으로 배열되며, 그것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6 비트 정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ct00019
임의로, 6 비트는 1, 2, 3, 4, 6, 및 12의 할당가능 서브캐리어 수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 서브캐리어 위치들 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브- PRB 강화 기능에 대한 구성 방법
서브-PRB 강화 기능은 PUSCH들에 주로 적용된다. PUSCH들의 송신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RRC 연결 설정 전의 후속 PUSCH들 및 RRC 연결 설정 후의 PUSCH들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논의는 이하의 2개의 경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경우 1
서브-PRB 강화 기능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RRC 연결 설정 전의 후속 PUSCH들 및 RRC 연결 설정 후의 PUSCH들에 적용된다. 즉, 서브-PRB 강화 기능은 모든 PUSCH들을 송신하도록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서브-PRB 강화 기능을 Msg3 및 후속 PUSCH들의 송신에 적용하기 위해, eNB는 Msg3 및 후속 PUSCH들을 송신하기 위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사용하는지를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통해 UE에 통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MTC UE는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RAR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UE는 MTC UE가 서브-PRB 강화 기능을 지원하는지를 eNB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 1(Msg1)를 통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 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들(Preamble)은 상이한 그룹들로 분할되거나, 상이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들(Preamble)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지원하는 기존 MTC UE 및 MTC UE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각각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eNB는 RAR을 통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지원하는 MTC UE에, Msg3 및 후속 PUSCH들을 송신하기 위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사용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UE가 RRC 연결된 상태에 진입한 후에, eNB는 UE 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가 PUSCH들을 송신하기 위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사용하는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기존 LTE 시스템들에서, PUSCH 베어링 Msg3의 스케줄링 정보는 RAR 업링크 승인 정보(UL 승인)에 위치된다. 기존 MTC에서의 RAR 업링크 승인 정보의 콘텐츠는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0
커버리지 강화 모드 A에 대해, 업링크 승인 정보는 총 20 비트의 정보를 갖고;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 대해, 업링크 승인 정보는 총 12 비트의 정보를 갖는다. UE Msg3 및 후속 PUSCH들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비트들은 서브-PRB들에 기초하여 자원 할당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RAR 업링크 승인 정보에 추가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논의를 위해 커버리지 강화 모드 B를 일 예로서 사용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서의 사용자가 서브-PRB 강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게 하기 위해, 3 비트는 기존 DCI 포맷 6-0B 내의 자원 할당 필드에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즉, 6 비트 정보는 협대역에서의 PRB의 위치 및 PRB에서의 3개의 연속 서브캐리어 또는 6개의 연속 서브캐리어의 위치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 8에서의 마지막 열은 서브-PRB 강화 기능을 지원하는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서의 사용자의 RAR 업링크 승인 정보이며, 그것은 총 15 비트의 정보를 갖는다.
Figure pct00021
그 다음, 서브-PRB 강화 기능, 즉 UE가 2개의 RAR 업링크 승인 정보 포맷을 어떻게 구별하는지?를 지원하는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에서의 UE에 대해, 하나의 방식은 상이한 RA-RNTI들(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s: 랜덤 액세스-라디오 네트워크 일시 식별자들)을 사용함으로써 2개의 포맷을 구별하는 것이다. 즉, eNB는 Msg3 및 후속 PUSCH들을 송신하기 위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사용하고, RAR 메시지들을 가지고 있는 PDSCH들을 스케줄링할 책임이 있는 MPDCCH들을 송신하기 위해 상이한 RA-RNTI들을 사용하는 UE의 RAR 메시지들을 준비한다. 다른 방식은 UE가 Msg3 및 후속 PUSCH들을 송신하기 위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사용하는지를 표시하도록 MAC RAR 메시지에서 예약된 비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기존 MTC에서의 MAC RAR 메시지 포맷에서, 제1 비트는 예약된 비트이다. 비트가 "0"일 때, 그것은 MAC RAR이 커버리지 강화 모드 A 및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인 것을 표시하고; 비트가 "1"일 때, 그것은 MAC RAR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지원하는 커버리지 강화 모드 B인 것을 표시한다.
임의로, 정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MAC RAR 내의 업링크 승인 정보 포맷이 서브-PRB 강화 기능을 가진 업링크 승인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MAC RAR에 사용된다.
임의로, 정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MAC RAR이 서브-PRB 강화 기능을 가진 MAC RAR인지 또는 MAC RAR 내의 업링크 승인 정보 포맷이 서브-PRB 강화 기능을 가진 업링크 승인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MAC RAR에 대응하는 MAC PDU(Protocol Data Unit) 헤더 또는 서브헤더에 사용된다.
경우 2
서브-PRB 강화 기능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RRC 연결 설정 전의 후속 PUSCH들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RRC 연결 설정 후의 PUSCH들에만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RRC 연결 설정 전의 모든 PUSCH들의 송신은 기존 송신 방법을 사용하여, 서브-PRB 강화를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UE가 RRC 연결을 설정한 후에, eNB는 UE 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지원하는 UE가 PUSCH들을 송신하기 위해 서브-PRB 강화 기능을 사용하는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상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HDD),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시스템들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대응하는 기능들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는 프로그램들을 판독하고 그들을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소위 "컴퓨터 시스템"은 디바이스에 내장되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으며, 그것은 운영 시스템들 또는 하드웨어(예를 들어, 주변 장치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반도체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자기 기록 매체, 짧은 시간 동안 동적으로 저장되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기록 매체, 또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임의의 다른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다양한 특징들 또는 기능 모듈들은 회로들(예를 들어, 모놀리식 또는 멀티 칩 집적 회로들)을 통해 구현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에 기재되는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디자인되는 회로들은 일반 목적 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igital signal processors)(DSP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들)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게이트들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또는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목적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기존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회로는 디지털 회로 또는 아날로그 회로일 수 있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때문에 기존 집적 회로들을 대체하는 새로운 집적 회로 기술들이 출현할 때,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또한 이러한 새로운 집적 회로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V 장비, 주방 장비, 세정 장비, 에어컨, 사무실 장비, 벤딩 머신들, 및 다른 가전 제품들과 같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고정 또는 비이동 전자 디바이스들은 단말 디바이스들 또는 통신 디바이스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특정 구조들은 상기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주요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임의의 디자인 수정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다양한 수정들은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들에 개시되는 기술적 수단의 적절한 조합들에서 기인한 실시예들은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들에 설명되는 동일한 효과를 가진 구성요소들은 서로 대체될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 장비에서의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상기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들(PUSCH들)의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함 -;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상기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를 포함함 -; 및
    상기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 따라 상기 PUSCH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USCH는 서브프레임(n+ki)에서 송신되며, i=0, 1, ..., N*(12/Nsc)-1이고,
    서브프레임(n)은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머신 타입 통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MPDCCH)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고,
    Nε{n1, n2, ..., nmax}은 상기 DCI에서 표시되는 반복 수 필드에 의해 결정되고,
    {n1, n2, ..., nmax}는 값들의 사전 정의된 그룹이고, Nsc는 상기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에서 표시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고,
    서브프레임(n+k0)은 서브프레임(n+x) 다음에 상기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제1 서브프레임이고, k0<k1<k2<...<kN -1은 상기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N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값들이고, x는 상수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Nacc*(12/Ns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USCH의 전송 블록 크기는 상기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NPRB에 적어도 기초하여 결정되며, NPRB는 상기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3일 때 3이거나, NPRB는 상기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6일 때 6인 방법.
  5.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장비.
  6.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표시를 매체 액세스 제어(MAC) 랜덤 액세스 응답(RAR)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MAC RAR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는 상기 서브-물리 자원 블록 강화 모드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 3("Msg3") 및 후속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들(PUSCH들)의 송신에 적용되는 것을 표시함 -;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DCI는 PUSCH를 위해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 및 상기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서브캐리어 표시 필드를 포함함 -; 및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PUSCH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USCH는 서브프레임(n+ki)에서 수신되며, i=0, 1, ..., N*(12/Nsc)-1이고,
    서브프레임(n)은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머신 타입 통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MPDCCH)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이고,
    Nε{n1, n2, ..., nmax}은 상기 DCI에서 표시되는 반복 수 필드에 의해 결정되고,
    {n1, n2, ..., nmax}는 값들의 사전 정의된 그룹이고, Nsc는 상기 서브캐리어 수 표시 필드에서 표시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고,
    서브프레임(n+k0)은 서브프레임(n+x) 다음에 상기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제1 서브프레임이고, k0<k1<k2<...<kN -1은 상기 PUSCH를 송신하는데 이용가능한 N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값들이고, x는 상수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동일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또는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은 Nacc*(12/Nsc) 연속 절대 서브프레임들 상의 PUSCH들에 적용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USCH의 전송 블록 크기는 상기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NPRB에 적어도 기초하여 결정되며, NPRB는 상기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3일 때 3이거나, NPRB는 상기 PUSCH를 위해 할당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6일 때 6인 방법.
  10. 송수신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이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기지국.
KR1020197030450A 2017-03-23 2018-03-20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관련 방법 KR201901286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80639.6 2017-03-23
CN201710180639.6A CN108633024B (zh) 2017-03-23 2017-03-23 用户设备、基站和相关方法
PCT/CN2018/079595 WO2018171581A1 (zh) 2017-03-23 2018-03-20 用户设备、基站和相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690A true KR20190128690A (ko) 2019-11-18

Family

ID=6358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450A KR20190128690A (ko) 2017-03-23 2018-03-20 사용자 장비, 기지국,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44778B2 (ko)
EP (1) EP3606218B1 (ko)
KR (1) KR20190128690A (ko)
CN (1) CN108633024B (ko)
CA (1) CA3056836A1 (ko)
RU (1) RU2764059C2 (ko)
WO (1) WO20181715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382A (ko) * 2021-01-14 202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리지 개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8000957T5 (de) * 2017-03-24 2019-12-12 Intel IP Corporation Teil-PRB Ressourcenzuordnung für Pusch in noch weiter verbesserter MTC
US11398882B2 (en) * 2017-05-04 2022-07-26 Lg Electronics Inc. Early termination of repeated transmissions between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392095A (zh) * 2017-08-02 2019-02-2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终端、基站以及信息传输的方法
US11317431B2 (en) 2017-08-02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equipment for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terminal, base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O2019028816A1 (en) * 2017-08-11 2019-02-14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BETWEEN STANDARD SUB-PRB AND PRB POWERS FOR EMTC PURPOSES
WO2019036492A1 (en) * 2017-08-14 2019-02-21 Cohere Technologies ASSIGNMENT OF TRANSMISSION RESOURCES BY DIVISION OF BLOCKS OF PHYSICAL RESOURCES
US11483066B2 (en) * 2019-03-04 2022-10-25 Infinera Corporation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ptical subcarriers
WO2020198432A1 (en) * 2019-03-28 2020-10-01 Apple Inc. Indication of the number of repetitions for dci format 3/3a for emtc
CN112771967B (zh) * 2019-04-03 2023-04-07 北京欧珀通信有限公司 一种传输参数确定方法及装置、用户设备
WO2020223979A1 (zh) * 2019-05-09 2020-1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冗余版本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3677013A (zh) * 2020-05-15 2021-1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usch资源分配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919490B (zh) * 2020-06-30 2023-08-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49222A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채널 송신 방법 및 장치
CN116458228A (zh) * 2020-11-12 2023-07-18 高通股份有限公司 对具有频域资源分配字段的子物理资源块的指示
WO2022178787A1 (zh) * 2021-02-25 2022-09-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道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18934C2 (ru) * 2008-01-07 2014-06-1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нисходящих данны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сурсных блоков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02055707B (zh) * 2009-11-02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测量导频映射方法及装置
KR20130049582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다중 캐리어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4098358A1 (ko) * 2012-12-18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60088594A1 (en) * 2014-09-18 2016-03-24 Gang Xiong Device and method of supporting reduced data transmission bandwidth
US10469222B2 (en) * 2014-12-16 2019-1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MTC device for transmitting DMRS for uplink data demodulation
EP3400667B1 (en) * 2016-01-08 2020-06-24 Intel IP Corporation Down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devices
EP3403358B1 (en) * 2016-01-11 2021-11-03 Sony Group Corporation Signaling subcarrier spacing i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382A (ko) * 2021-01-14 202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리지 개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6218B1 (en) 2023-02-22
EP3606218A4 (en) 2020-12-02
US11044778B2 (en) 2021-06-22
CN108633024B (zh) 2023-07-11
RU2019132957A (ru) 2021-04-23
WO2018171581A1 (zh) 2018-09-27
US20200100316A1 (en) 2020-03-26
EP3606218A1 (en) 2020-02-05
CN108633024A (zh) 2018-10-09
CA3056836A1 (en) 2018-09-27
RU2764059C2 (ru) 2022-01-13
RU2019132957A3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4778B2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related method
KR102551556B1 (ko)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894654B2 (en) Defining sub-subchannels for data communication using separately provided frequency and time resources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EP337203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uplink
EP3248312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pdcch monito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WI765090B (zh) 終端装置、基地台裝置、及通訊方法
US1129761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JP2019071626A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伝達構成
JP2017153134A (ja) 無線通信の半永続的スケジューリ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36262B2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related method
EP3641391B1 (en) Cqi index reporting using a 64qam mode cqi table, a 256qam mode cqi table and a 1024qam mode cqi table
KR20190039799A (ko) 단축된 tti를 갖는 전송의 시그널링
CN110832804A (zh) 用于短传输时间间隔的搜索空间和配置
JP2019096921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1099630A1 (ja)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US20180249473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20220225303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EP3432530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200296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