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042A - 블록형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블록형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042A
KR20190126042A KR1020190138811A KR20190138811A KR20190126042A KR 20190126042 A KR20190126042 A KR 20190126042A KR 1020190138811 A KR1020190138811 A KR 1020190138811A KR 20190138811 A KR20190138811 A KR 20190138811A KR 20190126042 A KR20190126042 A KR 2019012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assembled
corner
protrusi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776B1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90138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7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건조대를 구성하는 식기안치부, 측벽, 기둥과 같은 일부 부위 또는 모든 부위를 일정 크기로 나누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블록 형태로 형성하여 식기건조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형태 및 크기에 맞추어 사용자가 직접 조립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설치 장소가 변경될 경우 또는 필요 시 해체가 가능하여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하여 재 설치가 가능하고 주방의 싱크대 뿐만 아니라 욕실, 다용도실, 침실과 같은 여러 장소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해체된 부품들을 열탕소독 또는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형 식기건조대{Block type dish drying rack}
본 발명은 블록형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건조대를 구성하는 식기안치부, 측벽, 기둥과 같은 일부 부위 또는 모든 부위를 일정 크기로 나누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블록 형태로 형성하여 식기건조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형태 및 크기에 맞추어 사용자가 직접 조립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주방의 싱크대 뿐만 아니라 욕실, 다용도실, 침실과 같은 여러 장소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해체된 부품들을 열탕소독 또는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블록형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건조대는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된 식기를 세척 후 식기건조대에 안치하여 물기를 건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1단 내지 다단의 구조로 형성되며 싱크대 상판에 얹어 놓거나 싱크대벽장 하부에 고정하거나 기둥을 설치하여 조립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식기건조대의 경우 가로, 세로, 높이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서 다양한 주방 싱크대 구조 및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크기 및 위치에 설치가 불가능 하였다.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및 형태로 최대한 맞추기 위하여 식기건조대를 여러 개 구입하여 서로 연결하거나 제품의 일부분을 절단 또는 구부리는 등의 외형을 변형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개특허 특2003-0067652호, 공개특허 10-2017-0030787호와 같은 선행기술이 발명되었으나 가로크기, 세로크기, 높이, 단수 등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변경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금속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종래의 식기건조대는 용접에 의한 조립 작업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고가의 제조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용접부위에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공개실용신안 20-2014-0004604호와 같은 선행기술이 고안되었으나 식기안치부의 물기로 인한 물때나 곰팡이 등의 이물질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이물질의 제거 또한 식기건조대의 큰 부피와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세척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식기건조대와 함께 사용되는 다양한 용도의 액세서리(행주걸이, 와인걸이, 접시꽃이, 수저통, 컵홀더, 미세망, 다용도수납통, 다용도걸이, 다용도거치대 등)의 경우 일체형으로 되어 있거나 한정된 액세서리만 공급되어 불필요한 액세서리가 사용되지 않고 방치 되거나 필요한 액세서리가 없어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액세서리의 일체형 구조로 인하여 식기건조 외의 다양한 공간 및 용도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건조대를 구성하는 식기안치부, 측벽, 기둥과 같은 일부 부위 또는 모든 부위를 일정 크기로 나누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블록 형태로 형성하여 식기건조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형태 및 크기에 맞추어 사용자가 직접 조립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와 크기로 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를 사용자가 골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설치 장소가 변경될 경우 또는 필요 시 해체하여 형태 및 크기를 변경해 주방, 욕실, 다용도실, 침실과 같은 여러 장소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된 부품들을 열탕소독 또는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이 뛰어나면서도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금속재의 용접으로 인한 용접부의 부식현상을 없애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이며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 조립된 상태에서도 유격이 발생되거나 임의로 해체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바닥부재삽입돌기와 바닥부재삽입홀이 일 측 또는 다 측에 형성되어 여러 개가 연결되면서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바닥부재삽입돌기 및 바닥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 및 바닥부재삽입홀이 일 측 또는 다 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이 일 측 또는 다 측에 형성되어 여러 개가 연결되면서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측벽부재와,
상기 측벽부재의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이 일 측 또는 다 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모서리부재삽입돌기 및 모서리부재삽입홀이 일 측 또는 다 측에 형성되어 여러 개가 연결되면서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하며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 일 측에 적어도 두 개의 받침부재삽입홀이 형성된 모서리부재와,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재삽입돌기와 기둥부재삽입홀이 일 측 또는 다 측에 형성되어 여러 개가 연결되면서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하며 상기 기둥부재삽입돌기와 기둥부재삽입홀은 상기 모서리부재의 모서리부재삽입돌기 및 모서리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기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바닥부재삽입돌기 및 바닥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 및 바닥부재삽입홀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 또는 상기 바닥부재삽입홀이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재의 일 측에 조립 또는 연결 되어 추가적인 조립 또는 연결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 바닥마감부재와,
상기 측벽부재의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상기 측벽부재삽입홀 또는 상기 측벽부재삽입홀이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 또는 상기 모서리부재의 일 측에 조립 또는 연결 되어 추가적인 조립 또는 연결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 모서리마감부재와,
상기 모서리부재의 모서리부재삽입돌기와 대응되어 하부에 조립 또는 씌워지는 미끄럽지 않은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약간의 신축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에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와 바닥부재삽입홀이 한 쌍 보다 많을 경우 모든 방향에서 조립 또는 연결이 가능하도록 각 방향의 구조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 바닥부재에는 여러 개의 액세서리삽입홀이 형성되며, 두 개 이상의 상기 바닥부재가 조립 또는 연결된 후에도 상기 액세서리삽입홀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부재 및 기둥부재의 일 측에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와 측벽부재삽입홀의 평면에서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위치에 원기둥삽입돌기가 형성된다.
일 측에 원기둥돌기부재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원기둥삽입돌기가 형성된 원기둥돌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서리부재 및 기둥부재의 일 측에 상기 원기둥돌기부재의 원기둥돌기부재삽입돌기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원기둥돌기부재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되는 1방향모서리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는 상기 원기둥삽입돌기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원기둥삽입홀이 제 1방향과 제 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의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이 일 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되는 2방향모서리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는 상기 원기둥삽입돌기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원기둥삽입홀이 제 1방향과 제 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의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이 제1 측 및 제2 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재의 바닥부재삽입돌기 및 바닥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바닥부재삽입돌기 및 바닥부재삽입홀이 제1 측과 제2 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의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 및 측벽부재삽입홀이 형성된 중간측벽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측벽부재는 정 중앙의 세로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 하여도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측벽부재의 조립 또는 연결이 가능하도록 제1 측과 제2 측의 구조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와 상기 측벽부재삽입홀에는 삽입되는 방향의 직각과 유사한 방향으로 걸림돌기와 걸림홀이 각각 형성되어 삽입이 완료된 후 걸림홀에 걸림돌기가 걸려 임의로 해체되지 않는다.
상기 걸림돌기의 몸체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와 일부 이격되어 상기 측벽부재삽입홀에 삽입 시 탄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삽입되며, 상기 걸림홀에 안착되면서 원상복구 된다.
상기 걸림돌기의 삽입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께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의 두께와 같거나 작으며 삽입이 진행되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면이 구비되어 두께가 증가하여 상기 걸림돌기의 끝 부분은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의 두께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에서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내는 연질의 물받이부재와, 적어도 한 개의 흡착고무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고무삽입홀에 대응되어 흡착고무가 조립되고 상기 물받이부재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물받이부재에서 모인 물을 일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물받이부재에 연장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물받이연장부재와, 상기 모서리부재의 받침부재삽입홀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받침부재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 개의 흡착고무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고무삽입홀에 대응되어 흡착고무가 조립되고 상기 모서리부재와 조립 또는 연결 후에 임의로 해체되지 않도록 한 쌍의 받침부재고정걸이가 형성되어 상기 물받이부재를 받쳐 고정하는 물받이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재의 액세서리삽입홀과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액세서리삽입돌기가 형성된 삽입형액세서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부재의 몸체 두께와 대응되어 측벽부재 일 측에 끼워지는 액세서리끼움홈이 형성된 걸이형액세서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재, 상기 측벽부재, 상기 모서리부재, 상기 바닥마감부재, 상기 모서리마감부재, 상기 미끄럼방지부재, 상기 기둥부재, 상기 삽입형액세서리부재, 상기 걸이형액세서리부재, 상기 물받이부재, 상기 물받이연장부재, 상기 물받이받침부재, 상기 중간측벽부재,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모든 부재는 섭씨 100도씨 이상의 일반적인 끓는 물에서 적어도 수초 동안 열탕 소독이 가능한 내열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 된다.
본 발명의 블록형 식기건조기에 따르면, 식기건조대를 구성하는 식기안치부, 측벽, 기둥과 같은 일부 부위 또는 모든 부위를 일정 크기로 나누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블록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공간의 형상 및 크기에 제한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설치공간에 제품을 맞추기 위하여 절단, 구부림과 같은 비정상적인 외형의 추가 변형을 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 설치 후 외관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없애면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부품만 구입이 가능하여 제품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발생되는 용접부의 부식이 없고 물때, 곰팡이와 같은 오염물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이면서 부득이 발생된 오염물의 경우는 해체하여 세척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필요 시 끓는 물에서 열탕 소독이 가능하여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생산에 있어서 용접과 같은 고비용, 비효율적 생산방식을 없애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사용시 임의로 해체되거나 유격의 발생 없이 견고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일반적인 식기건조대에 비해 작은 크기로 나누어 생산이 가능하여 제품 포장 비용 및 생산된 제품의 보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구성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와 상세 'D'를 부분 확대한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상세 'A'를 부분 확대한 상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상세 'B'를 부분 확대한 상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상세 'C'를 부분 확대한 상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상세 'E'를 부분 확대한 상세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상세 'F'를 부분 확대한 상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바닥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측벽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모서리부재의 제1 방향, 제2 방향의 사시도 및 제2 실시례에 의한 모서리부재와 원기둥돌기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바닥마감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모서리마감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기둥부재의 제1 방향, 제2 방향의 사시도 및 제2 실시례에 의한 기둥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삽입형액세서리부재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중간측벽부재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1방향모서리부재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2방향모서리부재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에 의한 물받이받침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 수, 또는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또는 A, B, C와 같은 알파벳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조립"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거나 조립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조립"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방향”이나 “제1 측”과 같이 기재된 것은 평면상에서의 상, 하, 좌, 우 또는 정면상에서의 상, 하, 좌, 우 또는 측면상에서의 상, 하, 좌, 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에서 구현 가능한 모든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돌기”나 “홀”과 같이 기재된 것은 그 단면의 모양이 원형이나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의 일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도 1의 구성을 분해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상기 도 1의 구성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와 상세 'D'를 부분 확대한 상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상세 'A'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2에 도시된 상세 'B'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2에 도시된 상세 'C'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4에 도시된 상세 'E'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4에 도시된 상세 'F'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20에는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각 부재의 개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식기건조대를 구성하는 식기안치부, 측벽, 기둥과 같은 일부 부위 또는 모든 부위를 일정 크기로 나누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블록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 구성 및 결합방식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바닥부재삽입돌기(11)와 바닥부재삽입홀(12)이 형성된 바닥부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10)는 여러 개 연결되어 조립과 해체가 수시로 가능하고 상기 바닥부재(10)가 조립되는 개수에 따라 평면에서의 가로, 세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물론, 단 한 개로도 아래에서 설명될 다른 부재들과 조립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와 상기 바닥부재삽입홀(12)은 상기 바닥부재(10)를 여러 개 연결하여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어야 하며 본 실시례에서는 네 쌍으로 형성하여 네 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상기 바닥부재(10)의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와 상기 바닥부재삽입홀(12)이 한 쌍보다 많을 경우 모든 방향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각 방향의 조립 구조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례와 같이 네 방향으로 형성 될 경우 제1 방향, 제2 방향, 제3 방향, 제4 방향이 대응되는 하나의 조립부와 조립될 때 각 방향이 상기 하나의 대응되는 조립부와 모두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조와 형상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부재(10)의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와 상기 바닥부재삽입홀(12) 한 쌍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여러 개가 조립된 후에도 상기 바닥부재(10)의 몸체(살) 간격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6 또는 도 10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재(10)에는 여러 개의 액세서리삽입홀(13)이 형성되는데, 두 개 이상의 상기 바닥부재(10)가 조립된 후에도 상기 액세서리삽입홀(13)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하나의 삽입형액세서리부재(80)에 액세서리삽입돌기(81)가 상기 액세서리삽입홀(13)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두 개 이상 형성될 경우 상기 바닥부재(10)를 여러 종류로 제작하지 않고 한 종류로 제작하여도 다양한 방향에서 일정간격으로 삽입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례와 같이 상기 바닥부재(10)의 몸체(살)가 교차되는 부분 또는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의 시작지점 형상은 하중 또는 외력에 의한 절단, 파손 또는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반지름을 갖는 Round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 내지 도 6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상기 바닥부재(10)가 서로 연결되어 조립된 후 그 가장자리에 조립되어 안치된 식기 또는 물건을 기대어 놓거나 식기 또는 물건의 낙하를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측벽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부재(20)는 상기 바닥부재(10)의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이 일 측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 내지 제2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의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여러 개가 연결되면서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벽부재(20)에 형성되는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이 형성되기 위한 최초 돌출부 형상은 중력에 의한 하중에 보다 잘 견딜 수 있도록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장방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에 가까워 질수록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의 두께 또는 폭과 동일하게 연결 되는 형태로, 상기 돌출부의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대각 또는 Round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례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이 일 측에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또 다른 일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은 양 측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비대칭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바닥부재(10)와 상기 측벽부재(20)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아래에서 설명될 모서리부재(30) 또는 모서리마감부재(50)가 상기 측벽부재(20)와 조립될 때 좌, 우 또는 상, 하와 같이 서로 반대되는 곳에 조립하여도 한가지 형상의 부재로 방향성을 가지지 않고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와 측벽부재삽입홀(22)에는 상기 측벽부재(20)가 서로 조립된 후 임의로 빠짐 되지 않도록 삽입되는 방향의 직각과 유사한 방향으로 걸림돌기(24)와 걸림홀(2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에 의한 해체가 용이하고 부품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에 상기 걸림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삽입홀(22)에 상기 걸림홀(23)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홀(23)은 상기 걸림돌기(24)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삽입이 완료된 후 상기 걸림홀(23)에 상기 걸림돌기(24)가 걸려 임의로 해체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걸림홀(23)의 폭은 상기 걸림돌기(24)의 폭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24)가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에 형성될 경우 상기 걸림돌기(24)의 몸체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와 일부 이격 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측벽부재삽입홀(22)에 삽입 시 탄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삽입되어 상기 걸림홀(23)에 안착되면서 원상복구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24)가 형성된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의 보다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상기 걸림돌기(24)의 삽입이 시작되는 부분의 두께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의 두께와 같거나 작으며 삽입이 진행되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면이 구비되어 두께가 증가하여 상기 걸림돌기(24)의 끝 부분은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의 두께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24) 몸체의 두께를 포함한 상기 걸림돌기(24)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는 상기 측벽부재삽입홀(22)에 대응되어 삽입이 원활하도록 상기 측벽부재삽입홀(22)의 폭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또는 도 8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중간측벽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중간측벽부재(150)는 상기 측벽부재(20)의 모든 특징과 형태를 포함하여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이 형성된 반대방향에 또 한 쌍의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이 형성되어 제1 측과 제2 측으로 상기 바닥부재(10)를 더 연장하여 연결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측벽부재(150)의 제1 측과 제2 측의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은 서로 대칭되도록 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비대칭 형태로 하여 상기 중간측벽부재(150) 제1 측과 제2 측의 조립 또는 연결되는 위치가 서로 뒤바뀌어도 상기 바닥부재(10)와 상기 측벽부재(20)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1 측과 제2 측의 조립 구조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재(20) 내지 상기 중간측벽부재(150)의 몸체에는 본 실시례와 같이 민무늬와 같은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외관을 더욱 돋보이고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물결무늬, 빗살무늬, 함몰, 돌출, 구멍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디자인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 또는 도 5 또는 도 7 내지 도 8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측벽부재(20)와 상기 제1 방향과 평면상에서의 각도를 달리하여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른 상기 측벽부재(20)가 만나는 지점에서 두 개의 상기 측벽부재(20)를 연결하는 상기 모서리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모서리부재(30)에는 상기 측벽부재(20)의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23)과 상기 걸림돌기(24)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서리부재(30)에 형성되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상기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의 모든 특징은 상기 측벽부재(20)에 형성된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상기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의 특징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부재(30)에는 적어도 한 쌍의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 및 모서리부재삽입홀(32)이 형성되어 여러 개가 연결되면서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를 형성하고 그와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모서리부재삽입홀(32)을 형성 하였으나 상기 설명된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와 바닥부재삽입홀(12) 또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와 측벽부재삽입홀(22)과 같이 한 쌍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례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가 중력의 방향인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바닥부재(10)와 상기 측벽부재(20)와 상기 모서리부재(30)가 모두 조립되었을 때 설치된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조립물을 이격 시켜 주어 상기 바닥부재(10)가 설치된 바닥면에 닿지 않아 식기 또는 안치되는 물건을 보다 위생적으로 안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4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상기 모서리마감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서리마감부재(50)는 상기 측벽부재(20)의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20)의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재(20) 또는 상기 모서리부재(30)의 일 측에 조립되어 추가적인 연결 및 조립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마감부재(50)에 형성되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상기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의 모든 특징은 상기 측벽부재(20)에 형성된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상기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의 특징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와 대응되어 하부에 끼워지며 연질이면서 미끄럽지 않은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재(60)를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 하단에 조립 또는 끼워서 제품의 미끄러짐이나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물건을 안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부재(30) 몸체 내부에 상기 모서리부재삽입홀(32)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재삽입홀(32)의 길이방향이 상기 모서리부재(30) 몸체의 길이방향과 일치할 경우, 상기 모서리부재(30)가 연결되어 다수개가 조립될 때 상기 모서리부재삽입홀(32)에 또 다른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가 삽입되어 연결 및 조립되는데 이때, 조립 후에 각 부재간 사이가 떨어져 틈새가 생기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몸체 길이는 상기 모서리부재삽입홀(32)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의 길이는 상기 모서리부재삽입홀(32)의 길이 보다 짧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돌기”부를 제외한 몸체 길이는 상기 측벽부재(20)의 동일방향의 길이와 달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 및 모서리부재삽입홀(32)에 상기 걸림돌기(24) 및 걸림홀(23)과 같은 모양을 형성하여 삽입된 후 임의로 해체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적층 조립 또는 연결되는 방향이 중력의 반대방향일 경우에는 제작 및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례와 같이 생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모서리부재(30)의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에는 적어도 두 개의 받침부재삽입홀(33)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물받이받침부재(130)를 연결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부재삽입홀(33)의 이격 방향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상, 하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모서리부재(30)가 좌, 우와 같이 각각 일 측으로 형성된 조립물의 경우 상기 물받이받침부재(130)의 삽입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연결 또는 조립하면 아래에서 설명될 물받이부재(110)를 부착 또는 조립 후 상기 물받이부재(110)에 기울림이 발생하여 상부의 식기 또는 물건에서 발생된 물기가 상기 물받이부재(110)의 떨어졌을 때 배출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도 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본 실시례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총 2단으로 구성된 조립물에서 1단부의 하단에 상기 물받이부재(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물받이받침부재(130)를 상기 받침부재삽입홀(33)에 조립 또는 연결할 때 좌측의 두 개는 상단에 조립 또는 연결하고 우측의 두 개는 하단에 조립 또는 연결하여 상기 물받이부재(110)를 우측으로 기울어 지도록 하여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상기 물받이부재(110)에 떨어졌을 때 중력에 의하여 우측으로 자연 배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물기가 고여있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서리부재(30) 및 아래에서 설명될 기둥부재(70)의 일 측에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와 측벽부재삽입홀(22)의 평면에서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위치에 원기둥삽입돌기(34)가 형성된다.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는 아래에서 설명될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 또는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와 같은 부재를 연결 또는 조립하거나 다양한 주방용품 또는 물건을 걸어 두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는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 또는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가 연결된 후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방향에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 또는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 또는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의 돌출 길이는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 최상단부터 상기 모서리부재(30) 또는 상기 기둥부재(70) 몸체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보다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 또는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의 원기둥삽입홀(161)이 형성된 몸체의 길이가 같거나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는 본 실시례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재(30) 및 상기 기둥부재(70)에 일체형태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례로 일 측에 원기둥돌기부재삽입돌기(36)가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가 형성된 원기둥돌기부재(3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서리부재(30) 및 상기 기둥부재(70)의 일 측에 상기 원기둥돌기부재(35)의 원기둥돌기부재삽입돌기(36)와 대응되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원기둥돌기부재삽입홀(37)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상기 바닥부재(10)의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재(10)의 일 측에 조립 또는 연결되어 추가적인 연결 및 조립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 바닥마감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마감부재(40)의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의 모든 특징은 상기 바닥부재(10)에 형성된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마감부재(40)는 본 실시례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또는 연결된 후 안치된 식기 또는 물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 및 바닥부재삽입홀(12)과 각도를 달리하여 일 측에 안치된 식기 또는 물건을 막아주는 몸체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닥부재삽입돌기(11)가 형성된 몸체부분과 상기 바닥부재삽입홀(12)이 형성된 몸체 부분이 이격 되어 있을 경우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고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각 몸체를 이어주는 보강살(몸체)이 추가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9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재삽입돌기(71)와 기둥부재삽입홀(72)이 형성되어 여러 개가 연결되면서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하며 상기 기둥부재삽입돌기(71)와 기둥부재삽입홀(72)은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 및 모서리부재삽입홀(32)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상기 기둥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둥부재(70)의 몸체 길이는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몸체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둥부재삽입홀(72)의 길이는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둥부재삽입돌기(71)의 길이는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모서리부재삽입홀(32)의 길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모서리부재(30)와 상기 기둥부재(70)가 서로 연결 또는 조립될 때 각 부재의 몸체 사이가 떨어져 틈새가 생기지 않고 밀착될 수 있으며 각 부재가 조립되는 순서나 위치에 상관없이 서로 대응되어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70)에는 상기 모서리부재(30)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특징을 가진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가 형성되거나 상기 원기둥돌기부재삽입홀(3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재(70)의 몸체는 길이와 직각되는 방향의 단면의 형태가 본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불규칙곡선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상부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내는 연질의 상기 물받이부재(110)와, 적어도 한 개의 흡착고무삽입홀(133)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고무삽입홀(133)에 대응되어 흡착고무(140)가 조립되고 상기 물받이부재(110)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물받이부재(110)에서 모인 물을 일 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물받이부재(110)에 연장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물받이연장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 7 또는 도 20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받침부재삽입홀(33)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받침부재삽입돌기(131)가 형성되고 적어도 한 개의 흡착고무삽입홀(133)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고무삽입홀(133)에 대응되어 상기 흡착고무(140)가 조립되고 상기 모서리부재(30)와 조립 후에 임의로 해체되지 않도록 한 쌍의 받침부재고정걸이(132)가 형성되어 상기 물받이부재(110)를 받쳐 고정하는 상기 물받이받침부재(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받침부재(130)의 받침부재고정걸이(132)는 제1 측과 제2 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이 서로 대칭되어 이격 되면서 형성되는데 이격 되는 거리는 삽입되는 방향의 가장 말단부가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의 대응되는 부분의 폭보다 같거나 길며 삽입되는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상기 받침부재고정걸이(132)의 경사면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면서 그 거리가 좁아지다가 상기 받침부재고정걸이(132)의 몸체 두께를 포함한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의 이격 거리가 상기 모서리부재삽입돌기(31)의 대응되는 부분의 폭보다 짧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받침부재고정걸이(132)의 몸체 두께를 포함한 가장 두꺼운 부분의 양 측의 거리가 상기 물받이받침부재(130) 삽입 시 상기 받침부재고정걸이(132)의 몸체가 탄성에 의하여 휘어짐에 있어서 항복점을 넘지 않는 범위 안에 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받침부재(130)의 받침부재고정걸이(132)와 연결된 몸체 부분은 상기 모서리부재(30)의 받침부재삽입홀(33)에 삽입될 때 탄성에 의하여 휘어지며 삽입이 완료된 후 복원 되면서 상기 받침부재고정걸이(132)에 의하여 삽입의 반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또는 도 8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상기 모서리부재(30) 및 상기 기둥부재(70)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되는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는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원기둥삽입홀(161)이 제 1방향과 제 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20)의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이 일 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또는 도 9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상기 모서리부재(30) 및 상기 기둥부재(70)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되는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는 상기 원기둥삽입돌기(34)와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원기둥삽입홀(161)이 제 1방향과 제 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20)의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서로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이 제1 측 및 제2 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와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에 형성되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상기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의 모든 특징은 상기 측벽부재(20)에 형성된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과 상기 걸림홀(23) 및 걸림돌기(24)의 특징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에 형성되는 상기 측벽부재삽입돌기(21) 및 측벽부재삽입홀(22)은 본 실시례와 같이 한 쌍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측과 제2 측으로 형성될 경우 각 쌍이 이루는 각도를 고정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와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에 형성되는 상기 원기둥삽입홀(161)은 상기 모서리부재(30) 또는 상기 기둥부재(70) 또는 상기 원기둥돌기부재(35)에 연결된 후 상기 원기둥삽입홀(16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방향에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원기둥삽입홀(161)은 제1 측과 제2 측이 서로 분리되어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측과 상기 제2 측이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 또는 도 6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상기 바닥부재(10)의 액세서리삽입홀(13)과 대응되어 조립 또는 연결 및 해체가 수시로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액세서리삽입돌기(81)가 형성된 상기 삽입형액세서리부재(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형액세서리부재(80)는 본 실시례와 같이 접시꽃이의 목적으로만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액세서리삽입돌기(81)의 개수와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행주걸이, 컵홀더, 미세망거치대, 도마걸이, 다용도수납대, 다용도걸이, 식기거치대, 휴대기기거치대와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모든 액세서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형액세서리부재(80)는 상기 액세서리삽입돌기(81)를 상기 액세서리삽입홀(13)에 용이하게 조립 또는 연결 또는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삽입형액세서리부재(80) 몸체에 탄성이 작용하여 외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형태가 변형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상기 측벽부재(20) 및 상기 중간측벽부재(150)의 몸체 두께와 대응되어 상기 측벽부재(20) 및 상기 중간측벽부재(150) 일 측에 끼워지는 액세서리끼움홈(91)이 형성된 상기 걸이형액세서리부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형액세서리부재(90)에 형성되는 액세서리끼움홈(91)의 폭은 상기 측벽부재(20) 및 상기 중간측벽부재(150)의 몸체 두께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조립 또는 연결 또는 끼워진 후 유격이 없거나 최소화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형액세서리부재(90)는 본 실시례와 같이 다용도수납통, 와인잔걸이, 다용도걸이와 같은 목적으로만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액세서리끼움홈의 형상 및 몸체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행주걸이, 컵홀더, 미세망거치대, 도마걸이, 식기거치대, 휴대기기거치대와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모든 액세서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식기건조대는 보다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재(10), 상기 측벽부재(20), 상기 모서리부재(30), 상기 원기둥돌기부재(35), 상기 바닥마감부재(40), 상기 모서리마감부재(50), 상기 미끄럼방지부재(60), 상기 기둥부재(70), 상기 삽입형액세서리부재(80), 상기 걸이형액세서리부재(90), 상기 물받이부재(110), 상기 물받이연장부재(120), 상기 물받이받침부재(130), 상기 중간측벽부재(150), 상기 1방향모서리연결부재(160), 상기 2방향모서리연결부재(17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모든 부재는 섭씨 100도씨 이상의 일반적인 끓는 물에서 적어도 수초 동안 열탕 소독이 가능한 내열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닥부재
11: 바닥부재삽입돌기 12: 바닥부재삽입홀 13: 액세서리삽입홀
20: 측벽부재
21: 측벽부재삽입돌기 22: 측벽부재삽입홀 23: 걸림홀 24: 걸림돌기
30: 모서리부재
31: 모서리부재삽입돌기 32: 모서리부재삽입홀 33: 받침부재삽입홀
34: 원기둥삽입돌기 35: 원기둥돌기부재 36: 원기둥돌기부재삽입돌기
37: 원기둥돌기부재삽입홀
40: 바닥마감부재
50: 모서리마감부재
60: 미끄럼방지부재
70: 기둥부재
71: 기둥부재삽입돌기 72: 기둥부재삽입홀
80: 삽입형액세서리부재
81: 액세서리삽입돌기
90: 걸이형액세서리부재
91: 액세서리끼움홈
110: 물받이부재
120: 물받이연장부재
130: 물받이받침부재
131: 받침부재삽입돌기 132: 받침부재고정걸이 133: 흡착고무삽입홀
140: 흡착고무
150: 중간측벽부재
160: 1방향모서리연결부재
161: 원기둥삽입홀
170: 2방향모서리연결부재

Claims (1)

  1.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부재(10),
    상기 바닥부재와 연결되어 바닥부재 외곽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재(20),
    상기 측벽부재들이 만나 형성하는 모서리부위 또는 상기 측벽부재 일 측 끝단에 구비되는 모서리부재(30),
    상기 모서리부재와 결합하는 기둥부재(70),
    상기 측벽부재와 결합하지 않는 바닥부재의 측면을 마감하는 바닥마감부재(40),
    상기 측벽부재 또는 상기 모서리부재의 일측에 조립되어 상기 측벽부재 또는 상기 모서리부재에 추가적인 조립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모서리마감부재(50) 및
    상기 모서리부재 또는 상기 기둥부재의 일 측 또는 다 측에 조립되는 미끄럼방지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형 식기건조대.


KR1020190138811A 2019-11-01 2019-11-01 블록형 식기건조대 KR102216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11A KR102216776B1 (ko) 2019-11-01 2019-11-01 블록형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11A KR102216776B1 (ko) 2019-11-01 2019-11-01 블록형 식기건조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23A Division KR102060226B1 (ko) 2017-09-28 2017-09-28 블록형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042A true KR20190126042A (ko) 2019-11-08
KR102216776B1 KR102216776B1 (ko) 2021-02-16

Family

ID=6854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811A KR102216776B1 (ko) 2019-11-01 2019-11-01 블록형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7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95Y1 (ko) * 2003-04-22 2003-07-23 최순철 주방용 식기건조대
KR101502158B1 (ko) * 2014-10-07 2015-03-12 (주) 네이처닉 식기건조대
KR20160070458A (ko) * 2014-12-10 2016-06-20 최정민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측판 커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995Y1 (ko) * 2003-04-22 2003-07-23 최순철 주방용 식기건조대
KR101502158B1 (ko) * 2014-10-07 2015-03-12 (주) 네이처닉 식기건조대
KR20160070458A (ko) * 2014-12-10 2016-06-20 최정민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측판 커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776B1 (ko) 202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429B2 (en) Pot and pan storage unit
CN111329429B (zh) 碗碟支撑件、碗篮和洗碗机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102060226B1 (ko) 블록형 식기건조대
KR20190126042A (ko) 블록형 식기건조대
KR20170115812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KR200405626Y1 (ko) 주방용 착탈식 선반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US20170215691A1 (en) Utility rack
KR200307608Y1 (ko) 식기건조대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KR200320995Y1 (ko) 주방용 식기건조대
KR20220061653A (ko) 식기건조대
EP3206539A1 (en) Modular structure for supporting objects, in particular tablewares
KR200411307Y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EP1787568A1 (en) Cutlery basket and basket set for a dishwashing machine comprising quick access zone
KR20100005067U (ko) 서랍과 선반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200343373Y1 (ko) 다용도 선반
JP2003024264A (ja) 食器や調理器具を収容するための収容体
KR102447181B1 (ko)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KR200360989Y1 (ko) 씽크대 찬장용 선반
JP2006198244A (ja) パイプ棚用ホルダー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