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787A - 청소기의 노즐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787A
KR20190125787A KR1020180050043A KR20180050043A KR20190125787A KR 20190125787 A KR20190125787 A KR 20190125787A KR 1020180050043 A KR1020180050043 A KR 1020180050043A KR 20180050043 A KR20180050043 A KR 20180050043A KR 20190125787 A KR20190125787 A KR 2019012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nozzle
water
air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109B1 (ko
Inventor
고무현
우남일
장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109B1/ko
Priority to AU2019202618A priority patent/AU2019202618B2/en
Priority to US16/389,399 priority patent/US11357381B2/en
Priority to CN201920579504.1U priority patent/CN210185497U/zh
Priority to DE102019205988.0A priority patent/DE102019205988B4/de
Publication of KR2019012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87A/ko
Priority to AU2021201907A priority patent/AU20212019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109B1/ko
Priority to AU2023204193A priority patent/AU20232041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47L11/283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47L11/161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separate drive for the cleaning brushes
    • A47L11/2025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having separate drive for the cleaning brushe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47L11/305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Nozzl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소기의 노즐은,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 탱크; 및 상기 노즐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탱크의 물을 공급받아 바닥면을 청소하는 회전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탱크는, 외부 공기를 상기 물 탱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홀과, 상기 물 탱크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홀을 개폐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의 노즐{Nozzle for cleaner}
본 명세서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기는 노즐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즐은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노즐의 종류에 따라서, 노즐에 걸레가 부착되어 걸레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05244호에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흡입구 조립체는, 흡입구가 마련된 흡입구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 본체는, 전방의 제1흡입로와, 후방의 제2흡입로와, 제1흡입로와 제2흡입로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통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 본체의 하단에는 걸레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 본체의 내측에는 걸레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가 마련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걸레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물을 머금은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걸레로 물을 직접 공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을 닦을 수 있고, 걸레로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걸레로 공급되는 물을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고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기의 노즐은,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 탱크; 및 상기 노즐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탱크의 물을 공급받아 바닥면을 청소하는 회전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탱크는, 외부 공기를 상기 물 탱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홀과, 상기 물 탱크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홀을 개폐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물 탱크가 상기 노즐 본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밸브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밸브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공기홀이 개방되면 상기 물 탱크의 물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공기홀이 닫히면, 상기 물 탱크에서의 물 배출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는 복수의 공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 위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공기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물 탱크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공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 위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공기홀 들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물 탱크에는, 상기 공기홀을 구비하는 가스켓이 결합되고, 상기 가스켓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에서 상기 공기홀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물 탱크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일 지점에서 상기 공기홀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에서 상기 공기홀의 형성되는 부분은 물 탱크 내의 수압에 의해서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스켓을 가압하면 상기 공기홀이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홀을 통해 상기 물 탱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공기홀은, 제 1 공기홀과, 상기 제 1 공기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1 공기홀을 개폐하고, 상기 물 탱크는 상기 제 1 공기홀과 상기 제 2 공기홀을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는, 물이 저장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탱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 바디는, 상기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로는 바디 커버에 의해서 커버되며, 상기 바디 커버에 상기 제 1 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 바디에 상기 제 2 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바디 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기홀은 상기 물 탱크의 만 수위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공기홀은 상기 물 탱크의 만 수위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노즐이 물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물 탱크의 물이 걸레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물 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물 탱크에 가스켓을 설치함으로써, 공기가 물 탱크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물이 물 탱크에서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내에서의 구동 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의 사시도.
도 6은 물 탱크가 노즐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가 배출구를 개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에 의해서 공기 홀이 개폐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가스켓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공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노즐 내에서의 구동 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1)(이하 "노즐"이라 함)은, 노즐 본체(10)와, 상기 노즐 본체(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노즐(1)은, 일 예로 핸디형 청소기에 연결되거나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노즐(1)은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원을 전력 소비부로 공급하거나, 청소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노즐(1)이 연결되는 청소기는 청소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노즐(1)이 연결되는 청소기는 흡입 모터를 포함하므로,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상기 노즐(1)로 작용하여 상기 노즐(1)에서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즐(1)은 바닥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청소기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연결관(20)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후측 중앙부에 연결되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노즐(1)은, 상기 노즐 본체(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청소부(40, 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회전 청소부(40, 41)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 청소부(40, 41)는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노즐(1)은 제 1 회전 청소부(40)와, 제 2 회전 청소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 청소부(40, 41)는, 걸레(420, 421)와, 상기 걸레(420, 421)가 부착되며 회전 동작하는 회전판(410, 4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걸레(420, 421)는 제 1 걸레(420)와 제 2 걸레(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레(420)와 상기 제 2 걸레(421)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10, 411)은, 상기 제 1 걸레(420)가 부착되는 제 1 회전판(410)과, 상기 제 2 걸레(421)가 부착되는 제 2 회전판(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판(410)과 상기 제 2 회전판(411)도 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 회전판(410)은 일 예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면에 상기 걸레(420, 421)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10)는, 외형을 형성하는 노즐 하우징(nozzle housing: 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100)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유로(112, 11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유로(112, 114)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유로(112)와, 상기 제 1 유로(112)와 연통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유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112)는 일 예로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114)는 상기 제 1 유로(1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유로(114)는 상기 제 1 유로(112)의 중앙부에서 상기 연결관(20)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100)은, 노즐 베이스(nozzle base: 110)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노즐 커버(nozzle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는 상기 제 1 유로(11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측에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와 함께 상기 제 2 유로(112)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레(420, 42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 본체(10)는, 물 탱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이 상기 각 걸레(420, 42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물 탱크(200) 내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70)를 일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조작부(270)를 타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 배출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10, 41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노즐 본체(10)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 1 회전판(4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 장치(170)와, 상기 제 2 회전판(411)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 장치(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 장치(170)와 상기 제 2 구동 장치(171) 사이에 상기 제 2 유로(11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 장치(170)는 구동 모터(172, 174)와, 상기 구동 모터(172, 174)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173, 1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73, 175) 내에는 상기 구동 모터(172, 174)의 동력을 상기 회전판(410, 411)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최종 기어가 상기 회전판(410, 41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된 물이 통과하기 위한 물 통과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물 통과홀(117)을 통과하기 전에 상기 구동 장치(170, 171)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리브(119)가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 리브(119)는 일 예로 폐루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 리브(119)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물 통과홀(117)이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노즐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하우징(10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커버(13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3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본체(1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물이 저장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탱크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는 앞쪽이 낮고 뒷쪽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1) 전체에서 앞쪽이 낮고 뒷쪽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의 앞쪽이 높이가 낮으면 좁은 틈새로 인입이 가능하서 청소 가능한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는, 제 1 바디(210)와, 상기 제 1 바디(210)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바디(210)와 함께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제 2 바디(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챔버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미도시)와, 상기 유입구를 커버하는 유입구 커버(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전 청소부(40, 41) 각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물 탱크(200)는 복수의 배출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출구(21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214)는 상기 물 탱크(200) 내부에 위치되는 밸브(도 6의 230 참조)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노즐 본체(10)에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탱크(200)는 상기 제 1 결합부(245)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노즐 본체(10)가 결합되는 결합 리브(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는, 상기 각 구동 장치(170, 171)의 상측을 커버하는 구동부 커버(142, 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부 커버(142, 144)는 상기 노즐 커버(130)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상기 각 구동부 커버(142, 144)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에 설치된 각 구동 장치(170, 171)의 상측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에는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구동부 커버(142, 14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42, 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242, 244)은 상기 물 탱크(200)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구동부 커버(142, 144)가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커버(130)에 장착되면, 상기 각 수용 공간(232, 233)에 수용됨으로써, 구성 요소 들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구동부 커버(142, 144)를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에 의해서 상기 노즐(1)의 높이 증가를 최소화시키면서 상기 물 탱크(200) 내에서 물의 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는, 사용자가 상기 물 탱크(200)를 상기 노즐 본체(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 버튼(160)을 지지하는 버튼 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지지부(150)는, 상기 구동부 커버(142, 14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로(114)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버튼 지지부(150)에서 상기 조작 버튼(160)의 하방에는 상기 물 탱크(200)의 제 1 결합부(245)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245)가 상기 제 2 결합부(1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버튼(160)을 조작하면, 상기 제 2 결합부(162)가 상기 제 1 결합부(245)와 이격되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는 상기 물 탱크(2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2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밸브 작동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작동부(124)는 상기 노즐 커버(13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내부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물 탱크가 노즐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가 배출구를 개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230)는, 개폐부(234) 및 고정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2)는, 상기 제 1 하우징(2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고정용 리브(21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2)는 상기 고정용 리브(2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234)가 일정 높이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개폐부(234)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측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구(214)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234)는 탄성 부재(236)에 의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63)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으로서 일단은 상기 고정부(23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부(234)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 부재(236)는 상기 개폐부(234)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힘을 상기 개폐부(234)로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234)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은 상기 배출구(21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234)가 상기 배출구(214)를 막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출구(214)에 고무 재질의 패킹부(220)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패킹부(220)에 개구(2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234)가 상기 개구(222)를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밸브 작동부(122)는 상기 물 탱크(200)가 상기 노즐 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패킹부(220)의 개구(222)를 관통하여 상기 물 탱크(2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작동부(122)가 상기 패킹부(220)의 개구(2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 작동부(122)가 상기 개폐부(234)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개폐부(234)가 상기 개구(222)에서 이격된다.
상기 밸브 작동부(122)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작동부(122)의 내부에는 물 유로(124)가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슬롯(12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200) 내의 물은 상기 슬롯(123)을 지나 상기 물 유로(214)로 유입되고, 상기 물 유로(214)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 커버(130)에서,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차단 리브(119)와 대응되는 위치에도 차단 리브(1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커버(130)의 차단 리브(149)는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차단 리브(119)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리브(119, 149)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안내 유로(118)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 유로(118)의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차단 리브(119, 149)의 내측 영역에 실링 부재(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133)는 차단 리브(119, 149) 들의 접촉면을 통해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 작동부(122)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물 통과홀(117)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 작동부(122)를 지난 물은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면(110a)으로 낙하된 후에 상기 물 통과홀(117)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 베이스(110)의 상면(110a)으로 낙하된 물이 상기 물 통과홀(117) 측으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면(110a)은 물이 낙하되는 지점에서 상기 물 통과홀(117)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내 유로(118)에는 물을 머금기 위한 심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심지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된 물을 흡수하고, 물 공급량이 증가되면 상기 심지의 물이 상기 물 통과홀(117) 측으로 낙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의 많은 경우에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추되는 초기에 수압에 의해서 물이 원활히 걸레로 공급되나,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수압이 약해서 물 공급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심지는 물이 청소 과정에서 걸레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10, 411)에는 상기 물 통과홀(117)에서 배출된 물이 통과하는 개구(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10, 411)은 회전 동작하므로, 물이 상기 개구(414)를 원활히 통과하기 위하여, 복수의 개구(414)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414)는 상기 물 통과홀(117)에 비하여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판(410, 411)이 회전 동작하는 과정에서 원심력이 발생하므로, 물이 원심력에 의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개구(414)를 상기 물 통과홀(117)에 비하여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시키면, 상기 물 통과홀(117)을 통과한 물이 상기 개구(414)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410, 410)의 상면에서 상기 개구(414)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물 차단 리브(4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차단 리브(415)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차단 리브(415)의 내측 영역에 상기 복수의 개구(41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차단 리브(415)에 의해서 상기 물 통과홀(117)을 통과한 물이 상기 개구(414)를 통과하지 않고 외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에 의해서 공기 홀이 개폐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조작부가 공기홀을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조작부가 제 1 공기홀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의 (c)는 조작부가 제 1 공기홀 및 제 2 공기홀을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 탱크(200)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물 탱크(200) 내부의 공간이 대기압과 동일하거나 유사해져야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밸브 작동부(122)가 상기 물 탱크(200)의 밸브(230)를 조작하여 물 탱크(200) 내부로 인입되더라도 상기 물 탱크(200) 내부 공간은 외부 공간과 연통되지 못하므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홀(274, 276)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에 두 개의 공기홀(274, 276)이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물 탱크(200)에는 상기 조작부(27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70)는 일 예로 상기 설치부(2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작부(270)가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70)의 위치에 따라서, 공기홀(274, 276)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조작부(270)가 제1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270)는 공기홀(274, 276)을 닫는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청소 시작 전 또는 청소 과정에서 걸레(420, 42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부(270)를 조작하여 도 7의 (b)와 같이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1 공기홀(274)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기홀(274)이 개방되면, 상기 물 탱크(200) 내부 공간이 대기압 상태로 되어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기홀(274)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므로, 물이 상기 걸레(420, 421)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270)를 도 7의 (b)와 같이 제3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공기홀(274) 뿐만 아니라 제 2 공기홀(276)도 개방될 수 있어 상기 물 탱크(2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어 상기 물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기홀(276)의 크기는 상기 제 1 공기홀(274)의 크기 보다 작거나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물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공기홀(274)의 직경은 1.5mm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조작부(270)가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공기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270)가 중립 위치에서는 두 공기홀을 모두 닫고, 제 1 위치로 이동하면 두 공기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고,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두 공기홀 중 다른 하나가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노즐이 물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면 물 탱크의 물이 걸레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서 물 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가스켓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물 탱크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200a)는, 조작부(270)와, 가스켓(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80)는 외부 공기를 상기 물 탱크(200a) 내부 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80)은 외력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스켓(280)은 폴리 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가스켓(280)은 일 예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가 상기 설치부(272)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80)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282)가 형성되고, 단부에는 슬릿(28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280)의 단부는 상기 물 탱크(200) 내에서 물과 접촉할 수 있다.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가스켓(280)의 단부에 형성된 슬릿(284)이 막히도록 상기 가스켓(280)은 일 지점에서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스켓(28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280)의 단부로 수압이 작용하여 상기 슬릿(284)이 막히므로, 상기 물 탱크(200) 내부의 물이 상기 슬릿(284)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슬릿(284)이 상기 물 탱크(200)의 수압에 의해서 막힌 상태가 되므로, 상기 가스켓(28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기가 상기 슬릿(284)을 통해 상기 물 탱크(200)의 내부로 공급되지 않는다.
청소 시작 전 또는 청소 과정에서 걸레(420, 42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부(270)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270)를 이동시켜 상기 조작부(270)가 상기 가스켓(280)을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270)가 상기 가스켓(280)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가스켓(280)이 변형되어 상기 슬릿(274)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슬릿(274)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외기가 상기 슬릿(274)을 통해 상기 물 탱크(20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릿(274)을 공기홀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슬릿(274)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릿(274) 주변의 물의 표면 장력 및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힘이 상기 물 탱크(200) 내의 수압 보다 크게 되어, 물이 상기 슬릿(274)을 통해 상기 물 탱크(20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270)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물 탱크(200)의 물이 상기 가스켓(2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70)를 조작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켓(280)의 슬릿(284)을 통해 공기가 상기 물 탱크(20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걸레(420, 421)로 안정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의 공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물 탱크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물 탱크(200b)는, 조작부(270)와, 상기 물 탱크(200b) 내부로 공급될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29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200b)는, 물이 저장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탱크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는, 상기 챔버를 하는 제 1 바디(210) 및 제 2 바디(2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는, 공기 유로(296)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부가 함몰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유로(296)는 바디 커버(29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에서는 일 예로 제 2 바디(250a)가 상기 공기 유로(196)를 형성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공기 유로(296)는 물 탱크(200b)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의 노즐은, 앞쪽 보다 뒷쪽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노즐을 이용하여 좁은 공간의 청소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조작부(270)는, 상기 바디 커버(29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70)를 쉽게 인식하고,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270)는 상기 노즐의 중앙부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290)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제 1 공기홀(2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70)는 상기 제 1 공기홀(29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70)가 상기 제 1 공기홀(292)을 개방시키면 상기 제 1 공기홀(29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유로(296)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일 예로, 제 2 바디(250a))에는 상기 공기 유로(296)의 공기를 상기 물 탱크(200b)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 2 공기홀(29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의 앞쪽이 뒷쪽 보다 낮으므로, 상기 조작부(270)의 위치에 의해서 상기 제 1 공기홀(292)은 상기 물 탱크(200b)의 만 수위 보다 낮게 위치된다.
반면, 상기 제 2 공기홀(294)은 상기 물 탱크(200b)의 만 수위 높이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공기홀(292)이 상기 물 탱크(200b)의 만 수위 보다 낮게 위치되더라도, 상기 제 2 공기홀(294)이 상기 물 탱크(200b)의 만 수위 높이 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상기 물 탱크(200b) 내의 물이 상기 제2공기홀(194)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1: 노즐 10: 노즐 본체
200: 물 탱크 270: 조작부
274, 276: 공기홀 280: 가스켓

Claims (10)

  1.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를 구비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 탱크; 및
    상기 노즐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탱크의 물을 공급받아 바닥면을 청소하는 회전 청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탱크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와,
    외부 공기를 상기 물 탱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홀과,
    상기 물 탱크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홀을 개폐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물 탱크가 상기 노즐 본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밸브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밸브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공기홀이 개방되면 상기 물 탱크의 물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청소기의 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는 복수의 공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 위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공기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시키는 청소기의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공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 위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공기홀 들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청소기의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에는, 상기 공기홀을 구비하는 가스켓이 결합되고,
    상기 가스켓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에서 상기 공기홀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물 탱크 내부에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일 지점에서 상기 공기홀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홀은, 제 1 공기홀과, 상기 제 1 공기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공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1 공기홀을 개폐하고,
    상기 물 탱크는 상기 제 1 공기홀과 상기 제 2 공기홀을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의 노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는, 물이 저장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탱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 바디는, 상기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로는 바디 커버에 의해서 커버되며,
    상기 바디 커버에 상기 제 1 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 바디에 상기 제 2 공기홀이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바디 커버에 설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기홀은 상기 물 탱크의 만 수위 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의 노즐.
KR1020180050043A 2018-04-30 2018-04-30 청소기의 노즐 KR10249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43A KR102490109B1 (ko) 2018-04-30 2018-04-30 청소기의 노즐
AU2019202618A AU2019202618B2 (en) 2018-04-30 2019-04-16 Nozzle for cleaner
US16/389,399 US11357381B2 (en) 2018-04-30 2019-04-19 Nozzle for cleaner
CN201920579504.1U CN210185497U (zh) 2018-04-30 2019-04-25 用于清洁器的喷嘴
DE102019205988.0A DE102019205988B4 (de) 2018-04-30 2019-04-26 Düse für Reiniger
AU2021201907A AU2021201907B2 (en) 2018-04-30 2021-03-26 Nozzle for cleaner
AU2023204193A AU2023204193A1 (en) 2018-04-30 2023-06-30 Nozzle fo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043A KR102490109B1 (ko) 2018-04-30 2018-04-30 청소기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87A true KR20190125787A (ko) 2019-11-07
KR102490109B1 KR102490109B1 (ko) 2023-01-18

Family

ID=6820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043A KR102490109B1 (ko) 2018-04-30 2018-04-30 청소기의 노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57381B2 (ko)
KR (1) KR102490109B1 (ko)
CN (1) CN210185497U (ko)
AU (3) AU2019202618B2 (ko)
DE (1) DE10201920598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50996S (ja) * 2020-05-21 2023-08-16 湿式フロアクロス用掃除機ヘッド
JP1752962S (ja) * 2020-05-21 2023-09-12 湿式フロアクロス用掃除機ヘッド
USD984770S1 (en) * 2020-05-27 2023-04-25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vacuum clea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468B1 (ko) * 2008-07-21 2011-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1408733B1 (ko) * 2007-05-15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KR101769232B1 (ko) * 2016-01-14 201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244B1 (ko) 2000-10-31 2003-11-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부 조립체
KR100814507B1 (ko) 2006-08-31 2008-03-18 에스이씨주식회사 회전 물 걸레 겸용 전방위 진공 스팀 청소기
WO2011059120A1 (ko) * 2009-11-10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스팀 발생장치
KR101595727B1 (ko) * 2015-06-16 2016-02-19 김종란 회전식 물걸레 진공청소기
KR102401781B1 (ko) * 2016-01-19 2022-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33B1 (ko) * 2007-05-15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KR101014468B1 (ko) * 2008-07-21 2011-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1769232B1 (ko) * 2016-01-14 201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02618A1 (en) 2019-11-14
AU2021201907A1 (en) 2021-04-29
CN210185497U (zh) 2020-03-27
US11357381B2 (en) 2022-06-14
US20190328200A1 (en) 2019-10-31
AU2021201907B2 (en) 2023-03-30
AU2023204193A1 (en) 2023-07-20
KR102490109B1 (ko) 2023-01-18
DE102019205988A1 (de) 2019-10-31
AU2019202618B2 (en) 2021-02-25
DE102019205988B4 (de)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905B1 (ko) 청소기의 노즐
CN111989018B (zh) 清洁器的吸嘴
US20210290026A1 (en) Nozzle for cleaner
AU2021201907B2 (en) Nozzle for cleaner
US20190328196A1 (en) Nozzle for cleaner
KR102589363B1 (ko) 걸레
KR20240004143A (ko) 청소기의 노즐
KR102180679B1 (ko) 걸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