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636A - 듀얼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듀얼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636A
KR20190125636A KR1020180049670A KR20180049670A KR20190125636A KR 20190125636 A KR20190125636 A KR 20190125636A KR 1020180049670 A KR1020180049670 A KR 1020180049670A KR 20180049670 A KR20180049670 A KR 20180049670A KR 20190125636 A KR20190125636 A KR 2019012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smetic
dual
dual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282B1 (ko
Inventor
김봉준
조현대
선진규
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4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2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힌지결합된 제1 외용기(10)와 제2 외용기(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외용기(10)는 제1 뚜껑(11); 상기 제1 뚜껑(1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및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제1 화장료(15)를 구비한 제1 내용기(1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외용기(20)는 제2 뚜껑(21); 상기 제2 뚜껑(2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및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제2 화장료(25)를 구비한 제2 내용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수개의 화장료를 컴팩트한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의 간편한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화장료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화장품 용기{Dual cosmetic case}
본 발명은 듀얼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결합된 두 개의 화장품 외용기가 서로 마주보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각각의 화장품 외용기는 최상부의 뚜껑과 다수개의 수용공간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수용공간에는 화장료가 수용된 내용기와 퍼프등의 화장도구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화장료를 컴팩트한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간편한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화장료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듀얼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고형,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화장료 타입에 맞추어 이를 보관하는 화장품 용기도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또한, 화장료는 다양한 제품류로 분류되며, 고형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인 스킨, 로션, 에센스, 오일, 글로스, 틴트, 액상 파운데이션, 액상 메이크업제 등은 대부분 각각 하나의 수용공간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담겨져 사용되고 있어, 사용자가 두가지 이상의 화장료를 사용하고 싶을때는 각각의 화장품 용기를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6005호에는 수납부를 덮는 덮개에 제2수납부를 형성하여 화장도구 또는 화장료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콤팩트 용기 하나만 구비하여도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용기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수납부가 밀폐되지 않아 수납부 내에 내장된 화장료의 유,수분이 대기중으로 휘발, 증발되고 이로 인해 화장료가 딱딱하게 굳어 화장료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두가지 화장료를 동시에 사용하려면 각 화장료가 수용된 내용기의 개폐동작을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수행해야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60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수용공간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서로 마주보게 착탈식으로 결합시키되, 뚜껑에 의해 화장료의 휘발을 방지하고 수용공간에 화장료와 화장도구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화장료를 컴팩트한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간편한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화장료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듀얼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는,
서로 결합하는 제1 외용기(10)와 제2 외용기(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외용기(10)는,
제1 뚜껑(11), 상기 제1 뚜껑(1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및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제1 화장료(15)를 구비한 제1 내용기(1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외용기(20)는,
제2 뚜껑(21), 상기 제2 뚜껑(2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및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제2 화장료(25)를 구비한 제2 내용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결합되며,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반대위치에 개폐용이부(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탈착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탈착수단은 자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및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는 각각 내측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는 상기 제1 뚜껑(11)의 테두리의 어느 한 지점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는 상기 제2 뚜껑(21)의 테두리의 어느 한 지점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뚜껑(11)의 테두리, 제1 상부용기부(12) 및 제1 하부용기부(13)의 회전중심에는 제1 회전축(P1)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뚜껑(21)의 테두리, 제2 상부용기부(22) 및 제2 하부용기부(23)의 회전중심에는 제2 회전축(P2)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에는 상기 제1 뚜껑(11)과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용기부(13)에는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에는 상기 제2 뚜껑(21)과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2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부용기부(23)에는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외용기(10) 또는 상기 제2 외용기(20)는 화장도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는,
서로 결합된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서랍식 수용부가 동일면상에 또는 상하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랍식 수용부는 동일 방향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서로 직각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반대위치에 결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결착부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의 각각의 수용부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의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는 화장료를 구비한 내용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3 외용기(30) 또는 상기 제4 외용기(4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화장도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는,
서로 결합하는 제1 외용기와 제2 외용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외용기는, 제1 뚜껑 및 상기 제1 뚜껑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제1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외용기는, 제2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제2 용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용기부 또는 상기 제2 용기부는,
다수개의 용기부가 각각 동일면상에 또는 상하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용기부 또는 상기 제2 용기부의 다수개의 용기부는,
각각 하나의 단일 형상으로 된 용기부이거나, 또는
하나의 단일 형상을 이루도록 분할된 형상의 분할 용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기부에는 화장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뚜껑(51)과 제2 뚜껑(6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
상기 제1 뚜껑(51)과 제2 뚜껑(61)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화장료를 컴팩트한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의 간편한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화장료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를 반으로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거울을 보며 화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듀얼 화장품 용기의 제1 뚜껑과 제2 뚜껑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2개의 함침재와 2개의 퍼프가 구비된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5는 1개의 함침재와 1개의 퍼프, 및 고형 화장료와 브러쉬가 구비된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어느 하나의 함침재와 퍼프 대신, 고형 화장료 및 브러쉬가 구비된 도 6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외부 형태디자인의 일 예 및 반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외부형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듀얼 화장품 용기의 제1 뚜껑과 제2 뚜껑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2개의 함침재와 2개의 퍼프가 구비된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5는 1개의 함침재와 1개의 퍼프, 및 고형 화장료와 브러쉬가 구비된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어느 하나의 함침재와 퍼프 대신, 고형 화장료 및 브러쉬가 구비된 도 6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외부 형태디자인의 일 예 및 반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1)는, 제1 외용기(10)와 제2 외용기(20)가 서로 결합되어 결합부(C)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가 결합부(C)를 중심으로 반으로 펼쳐지도록 열리고 닫히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가 서로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제1 용기(10) 또는 제2 용기(20)의 각각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만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외용기(10)와 제2 외용기(20)는 동일한 배치구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목적이나 방법 또는 구비되는 화장품의 종류나 화장도구에 따라 그 형태나 두께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외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이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과형(4)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외형을 가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외용기(10)는, 제1 뚜껑(11), 제1 뚜껑(1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제1 화장료(15)를 구비한 제1 내용기(16)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외용기(20)는, 제2 뚜껑(21), 제2 뚜껑(2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제2 화장료(25)를 구비한 제2 내용기(2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용기(10)의 제1 뚜껑(11)과 제2 외용기(20)의 제2 뚜껑(2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테두리 외곽 어느 한 지점에서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에는 힌지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반대위치에 개폐용이부(h)를 각각 구비하여,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을 펼쳐 여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폐용이부(h)를 표면으로부터 내입되는 홈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맞닿는 테두리 부위에 자석부재와 같은 탈착수단(11b, 21b)을 더 구비하여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이 서로 쉽게 탈착되어 펼쳐지거나 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외용기(10)의 제1 뚜껑(11)과 제2 외용기(20)의 제2 뚜껑(21)은 서로 마주보는 상부면에 각각 거울(11a,21a)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화장시 거울을 보며 화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뚜껑(11)의 테두리의 어느 한 지점, 바람직하게는 뚜껑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힌지결합되는 테두리의 위치로부터 90°각도 되는 위치에는 제1 회전축(P1)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홈(11c)이 형성되고, 제2 뚜껑(21)의 테두리의 어느 한 지점, 바람직하게는 뚜껑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힌지결합되는 테두리의 위치로부터 90°각도 되는 위치에는 제2 회전축(P2)이 결합되는 제2 결합홈(21c)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결합홈(11c)과 제2 결합홈(21c)은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이 서로 밀폐되게 닫힌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뚜껑(11,12)의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이격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및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에는 각각 내측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구비된다.
또한,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에는 제1 결합홈(11c)에 대응되는 제1 상부결합홈(12c)과 제1 하부결합홈(13c)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 결합홈(11c,12c,13c)에 결합되는 회전축(P1)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제1 뚜껑(11)에 대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에는 제2 결합홈(21c)에 대응되는 제2 상부결합홈(22c)과 제2 하부결합홈(23c)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 결합홈(21c,22c,23c)에 결합되는 회전축(P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제2 뚜껑(21)에 대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상부용기부(12)에는 제1 뚜껑(11)과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11)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1 상부결합홈(12c)과 대응되는 반대위치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1 하부용기부(13)에는 제1 상부용기부(12)와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12)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1 하부결합홈(13c)과 대응되는 반대위치의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측면에 각 결착버튼(B11, B12)이 형성되는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의 해당 위치의 상부테두리에는 결착버튼과 연통된 홀이 형성되고, 결착버튼의 누름해제시 결착돌기는 홀을 통해 상부테두리 외부로 돌출되고 결착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결착돌기는 상부테두리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또한, 제1 뚜껑(11)과 제1 상부용기부(12)의 하부테두리에는, 돌기결합홈(미도시)이 결착버튼의 결착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돌기결합홈으로부터 회전방향으로 회전가이드(g)가 소정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가이드(g)는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가 회전하여 각각 제1 뚜껑(11)과 제1 상부용기부(12)에 결합시,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뚜껑(11) 및 제1 하부용기부(13)와 제1 상부용기부(12)가 서로 결합위치를 정밀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한, 돌기결합홈이 회전가이드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은,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의 결착버튼의 결착돌기가 제1 뚜껑(11)과 제1 상부용기부(12)의 각각의 돌기결합홈의 정위치에서 멈춤되어 밀착결합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상부용기부(22)에는 제2 뚜껑(21)과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21)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2 상부결합홈(22c)과 대응되는 반대위치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2 하부용기부(23)에는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22)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2 하부결합홈(23c)과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반대위치의 측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측면에 각 결착버튼(B21, B22)이 형성되는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의 해당 위치의 상부테두리에는 결착버튼과 연통된 홀이 형성되고, 결착버튼의 누름해제시 결착돌기는 홀을 통해 상부테두리 외부로 돌출되고 결착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결착돌기는 상부테두리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또한, 제2 뚜껑(21)과 제2 상부용기부(22)의 하부테두리에는, 돌기결합홈(미도시)이 결착버튼의 결착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돌기결합홈으로부터 회전방향으로 회전가이드(g)가 소정길이로 구비되어,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가 각각 제2 뚜껑(21)과 제2 상부용기부(22)에 대해 정밀하게 결합위치를 맞추고 정위치에서 멈추어 밀착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화장료(15)를 구비한 제1 내용기(16)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 화장료(25)를 구비한 제2 내용기(26)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화장료(16)와 제2 화장료(26)는 동종이든 이종이든 불문하며, 고형 화장료, 분말 화장료, 겔형 화장료, 함침재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 등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가 구비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에서는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2 상부용기부(22)에 화장료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즉, 화장료는 제1 하부용기부(13)와 제2 하부용기부(23)에 수용하여도 무방하고, 제1 상부용기부(12), 제1 하부용기부(13), 제2 상부용기부(22), 제2 하부용기부(23)에 구비된 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에 수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의 제1 상부용기부(12), 제1 하부용기부(13), 제2 상부용기부(22), 제2 하부용기부(23)에 구비된 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에는 구비되는 화장료에 따라 퍼프(17,27), 브러쉬(18) 등의 다양한 화장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4개의 수용공간 중 2개의 수용공간에 액상화장료가 함침된 함침재(15,25)만이 수용될 경우에는 나머지 2개의 수용공간에는 각각 퍼프(17,27)가 구비될 수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4개의 수용공간 중 2개의 수용공간에 액상화장료가 함침된 함침재(25)와 고형화장료(19)가 각각 수용될 경우에는 나머지 2개의 수용공간에는 퍼프(27)와 브러쉬(18)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는 사용방법이나 목적 등에 따라 각각의 용기부(12,13,22,23)에 모두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1)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제1 외용기(10)와 제2 외용기(20)를 펼친 후, 제1 용기(10)의 제1 상부용기부(12)를 제1 뚜껑(11)에 대해 각도(θ1)만큼 회전시키고, 제1 하부용기부(13)는 제1 뚜껑(11)에 대해 각도(θ2)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제2 용기(20)의 제2 상부용기부(22)를 제2 뚜껑(21)에 대해 각도(θ1)만큼 회전시키고, 제2 하부용기부(23)는 제2 뚜껑(21)에 대해 각도(θ2)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2)는, 힌지결합된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로 구성되고,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서랍식 수용부(32,33, 또는 42,43)가 상하로 배치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면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의 각각의 수용부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제3 외용기(30)의 적어도 2개의 서랍식 수용부(32,33)는 각각 동일 방향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서로 직각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4 외용기(40)의 적어도 2개의 서랍식 수용부(42,43)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서로 마주보는 상부면에 각각 거울(31,4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힌지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반대위치에 결착부(31b,41b)를 구비하며, 결착부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의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는 제3 화장료(35)나 제4 화장료(45)를 구비한 내용기가 구비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퍼프(37,47)와 같은 화장도구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2)의 서랍식 수용부(32,33,42,43)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에는 구비되는 화장료(35,45,49)에 따라 퍼프(37,47), 브러쉬(48) 등의 다양한 화장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4개의 수용공간 중 2개의 수용공간에 액상화장료가 함침된 함침재로 된 제3 화장료(35)와 제4 화장료(45)가 수용될 경우에는 나머지 2개의 수용공간에는 각각 퍼프(37,47)가 구비될 수 있고, 도 7에서와 같이 4개의 수용공간 중 2개의 수용공간에 제3 화장료(35)와 고형화장료(49)가 각각 수용될 경우에는 나머지 2개의 수용공간에는 퍼프(37)와 브러쉬(48)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2) 역시, 사용방법이나 목적 등에 따라 각각의 서랍식 수용부(32,33,42,43)에 모두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1)를 통해 개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2) 역시, 제1 화장료와 제2 화장료는 동종이든 이종이든 불문하며, 고형 화장료, 분말 화장료, 겔형 화장료, 함침재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 등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에는 구비되는 화장료에 따라 퍼프, 브러쉬 등 다양한 화장도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방법 및 목적 등에 따라 각각의 수용부에 모두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용기(50)와 제2 외용기(60)가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되, 제1 외용기(50)는, 제1 뚜껑(51) 및 제1 뚜껑(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용기부로 형성된 제1 용기부(52)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외용기(60)는, 제2 뚜껑(61) 및 제2 뚜껑(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용기부로 형성된 제2 용기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용기(50)의 제1 뚜껑(51)과 제2 외용기(60)의 제2 뚜껑(6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테두리 외곽 어느 한 지점에서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뚜껑(51)과 제2 뚜껑(61)에는 힌지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반대위치에 개폐용이부를 각각 구비하여, 제1 뚜껑(51)과 제2 뚜껑(61)을 펼쳐 여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뚜껑(51)과 제2 뚜껑(61)은 맞닿는 테두리 부위에 자석부재와 같은 탈착수단을 더 구비하여 제1 뚜껑(51)과 제2 뚜껑(61)이 서로 쉽게 탈착되어 펼쳐지거나 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외용기(50)의 제1 뚜껑(51)과 제2 외용기(60)의 제2 뚜껑(61)은 서로 마주보는 상부면에 각각 거울(51a,61a)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화장시 거울을 보며 화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용기부(52)는, 다수개의 용기부가 각각 동일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용기부가 각각 상하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용기부(62) 역시, 다수개의 용기부가 각각 동일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용기부가 각각 상하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부(52) 또는 제2 용기부(62)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용기부는, 각각 하나의 단일 형상으로 된 용기부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단일 형상을 이루도록 세트로 구비되는 분할된 형상의 분할 용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용기부(62)의 다수개의 용기부 중 어느 하나의 용기부는 단면이 원형인 단일 형상이고, 제1 용기부(52)의 다수개의 용기부 중 어느 하나의 용기부는 단면이 반원형인 분할 형상으로 된 분할 용기부로, 2개의 반원 형상의 분할 용기부(52a,52b)가 모여 하나의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기부에는 제5 화장료(65)나 제6 화장료(59)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용기부에는 퍼프(57)나 브러쉬 등의 화장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분할 용기부(52a,52b)는 자성부재로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고, 각 분할 용기부(52a,52b)의 하부저면에 수용부공간을 별도로 구비하여 해당 수용부공간내에 화장도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용부공간들은 서로 암수결합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1)를 통해 개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화장품 용기(3) 역시, 제5 화장료와 제6 화장료는 동종이든 이종이든 불문하며, 고형 화장료, 분말 화장료, 겔형 화장료, 함침재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 색조 화장료, 틴트재, 립글로스 등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에는 구비되는 화장료에 따라 퍼프, 브러쉬 등 다양한 화장도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방법 및 목적 등에 따라 각각의 수용부에 모두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3: 화장품 용기
10: 제1 외용기 20: 제2 외용기
11: 제1 뚜껑 21: 제2 뚜껑
11a: 거울 21a: 거울
11b: 탈착수단 21b: 탈착수단
11c: 제1 결합홈 21c: 제2 결합홈
12: 제1 상부용기부 22: 제2 상부용기부
12c: 제1 상부결합홈 22c: 제2 상부결합홈
13: 제1 하부용기부 23: 제2 하부용기부
13c: 제1 하부결합홈 23c: 제2 하부결합홈
15: 제1 화장료 25: 제2 화장료
16: 제1 내용기 26: 제2 내용기
17,27,37,47,57: 퍼프 28,48: 브러쉬
30: 제3 외용기 40: 제4 외용기
31,41: 거울 32,33,42,43: 서랍식 수용부
31b,41b: 결착부
35: 제3 화장료 45: 제4 화장료
50: 제1 외용기 60: 제2 외용기
51: 제1 뚜껑 61: 제2 뚜껑
52: 제1 용기부 62: 제2 용기부
52a,52b: 분할 용기부
59: 제6 화장료 65: 제5 화장료
C: 힌지결합부 h: 개폐용이부
B11,B12,B21,B22: 결착버튼 P1: 제1 회전축
P2: 제 회전축

Claims (25)

  1. 서로 결합하는 제1 외용기(10)와 제2 외용기(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외용기(10)는,
    제1 뚜껑(11), 상기 제1 뚜껑(1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및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제1 화장료(15)를 구비한 제1 내용기(1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외용기(20)는,
    제2 뚜껑(21), 상기 제2 뚜껑(2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및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는 제2 화장료(25)를 구비한 제2 내용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결합되며,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반대위치에 개폐용이부(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11)과 제2 뚜껑(21)은, 탈착수단에 의해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자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 및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는 각각 내측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 제1 하부용기부(13)는 상기 제1 뚜껑(11)의 테두리의 어느 한 지점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 제2 하부용기부(23)는 상기 제2 뚜껑(21)의 테두리의 어느 한 지점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11)의 테두리, 제1 상부용기부(12) 및 제1 하부용기부(13)의 회전중심에는 제1 회전축(P1)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뚜껑(21)의 테두리, 제2 상부용기부(22) 및 제2 하부용기부(23)의 회전중심에는 제2 회전축(P2)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에는 상기 제1 뚜껑(11)과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용기부(13)에는 상기 제1 상부용기부(12)와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에는 상기 제2 뚜껑(21)과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2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부용기부(23)에는 상기 제2 상부용기부(22)와의 개폐를 위한 결착버튼(B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용기(10) 또는 상기 제2 외용기(20)는 화장도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2. 서로 결합된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서랍식 수용부가 동일면상에 또는 상하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랍식 수용부는 동일 방향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서로 직각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는, 결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반대위치에 결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의 각각의 수용부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용기(30)와 제4 외용기(40)의 각각의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는 화장료를 구비한 내용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19. 제12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용기(30) 또는 상기 제4 외용기(4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용부에 화장도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20. 서로 결합하는 제1 외용기(50)와 제2 외용기(6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외용기(50)는,
    제1 뚜껑(51) 및 상기 제1 뚜껑(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용기부로 형성된 제1 용기부(5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외용기(60)는,
    제2 뚜껑(61) 및 상기 제2 뚜껑(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용기부로 형성된 제2 용기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부(52) 또는 상기 제2 용기부(62)는,
    다수개의 용기부가 각각 동일면상에 또는 상하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부(52) 또는 상기 제2 용기부(62)의 다수개의 용기부는,
    각각 하나의 단일 형상으로 된 용기부이거나, 또는
    하나의 단일 형상을 이루도록 분할된 형상의 분할 용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부(52)와 제2 용기부(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기부에는 화장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24.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51)과 제2 뚜껑(6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51)과 제2 뚜껑(61)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장품 용기.
KR1020180049670A 2018-04-30 2018-04-30 듀얼 화장품 용기 KR10208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670A KR102089282B1 (ko) 2018-04-30 2018-04-30 듀얼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670A KR102089282B1 (ko) 2018-04-30 2018-04-30 듀얼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636A true KR20190125636A (ko) 2019-11-07
KR102089282B1 KR102089282B1 (ko) 2020-03-16

Family

ID=6857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670A KR102089282B1 (ko) 2018-04-30 2018-04-30 듀얼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21B1 (ko) * 2021-07-19 2022-10-31 주식회사 맘앤인펀트 엘이디 조명 및 선풍기를 갖는 화장품 정리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6108B2 (en) * 2019-11-21 2024-02-13 Concept Workshop Worldwide, Llc Modular and refillable container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40Y1 (ko) * 2004-11-23 2005-03-11 주식회사 태평양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
KR20080036819A (ko) * 2006-10-24 2008-04-29 (주)쉘-라인 화장품 용기
KR101066005B1 (ko) 2011-01-06 2011-09-19 조아라 화장품 용기
KR101170110B1 (ko) * 2009-10-21 2012-08-03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20170078280A (ko) * 2015-12-29 2017-07-07 김규진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식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40Y1 (ko) * 2004-11-23 2005-03-11 주식회사 태평양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
KR20080036819A (ko) * 2006-10-24 2008-04-29 (주)쉘-라인 화장품 용기
KR101170110B1 (ko) * 2009-10-21 2012-08-03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101066005B1 (ko) 2011-01-06 2011-09-19 조아라 화장품 용기
KR20170078280A (ko) * 2015-12-29 2017-07-07 김규진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식 콤팩트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21B1 (ko) * 2021-07-19 2022-10-31 주식회사 맘앤인펀트 엘이디 조명 및 선풍기를 갖는 화장품 정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282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8280A (ko)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식 콤팩트 용기
TW200936072A (en) Cosmetics container system
KR20130140105A (ko) 화장 용품을 위한 케이스
KR20190125636A (ko) 듀얼 화장품 용기
JP2020500614A (ja) 化粧品容器
KR200436252Y1 (ko) 콤팩트 케이스
KR101775948B1 (ko)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케이스
KR200442207Y1 (ko) 멀티 팔레트와 다이얼 회전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239126Y1 (ko) 립스틱 케이스
KR200396881Y1 (ko) 절첩식 색조 화장품 용기
KR200396883Y1 (ko) 수평 회전 개폐식 색조 화장품 용기
KR20160058496A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및 휴대용 보관용기
KR20160003132U (ko)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KR20070021626A (ko) 화장품 케이스
KR101896281B1 (ko) 회전식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0460281Y1 (ko)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240002638A (ko) 회전이 가능한 아이메이크업 듀얼 용기
KR101947711B1 (ko) 다단 색조화장품 용기
KR101918480B1 (ko) 다단 색조화장품 용기
KR20090008597U (ko) 색조 화장품 용기
KR101787343B1 (ko) 회전 개폐형 다색 립메이크업 용기
KR101448714B1 (ko) 화장품 용기
JP2004001832A (ja) パレット型容器
KR20120019151A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2226968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