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127A -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127A
KR20190125127A KR1020180049465A KR20180049465A KR20190125127A KR 20190125127 A KR20190125127 A KR 20190125127A KR 1020180049465 A KR1020180049465 A KR 1020180049465A KR 20180049465 A KR20180049465 A KR 20180049465A KR 20190125127 A KR20190125127 A KR 20190125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wall
washing machine
mounted washing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to KR102018004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127A/ko
Priority to CN201910150605.1A priority patent/CN110409135A/zh
Priority to US16/388,717 priority patent/US20190330783A1/en
Publication of KR2019012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되, 하부에 거리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포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과 세탁수 및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포로부터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물의 투입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의 세탁기, 탑 로딩 방식과 프론트 로딩 방식이 결합된 복합 형태의 세탁기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욕실이나 화장실 등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벽걸이형 세탁기는 소형화를 위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벽걸이형 세탁기는 벽면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설치 과정의 불완전성 또는 벽걸이형 세탁기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벽걸이형 세탁기가 벽에서 분리되어 낙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벽걸이형 세탁기의 파손 또는 사용자의 상해가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461388호(2014.11.07. 등록)
본 발명은 설치 상태가 감지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낙하 가능성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되, 하부에 거리 센서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의 하부에는 저면을 향해 개방되고 위쪽으로 설정 깊이를 갖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리 센서는 상기 수용홈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하부에는 광 투과성을 갖는 차폐벽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통해 설치 상태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 값과,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할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초기 차이 값의 차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될 때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초기 거리 값과, 이후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 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리 값이 상기 초기 거리 값보다 설정 값을 초과하여 작아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되, 상부에 거리 센서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고, 2개의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통해 설치 상태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고,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 값과,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할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초기 차이 값의 차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될 때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초기 거리 값과, 이후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 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리 값이 상기 초기 거리 값보다 설정 값을 초과하여 작아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와,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되, 하부에 거리 센서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를 벽체에 설치하되,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가 설치된 공간의 아래쪽에는 상기 거리 센서와 마주보고 설정 거리 이격되게 반사판을 위치시키는 벽걸이형 세탁기 설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는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될 때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초기 거리 값과, 이후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 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리 값이 상기 초기 거리 값보다 설정 값을 초과하여 작아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고,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는 2개의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통해 설치 상태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고,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는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 값과,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할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초기 차이 값의 차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설치 상태가 감지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낙하 가능성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에 따른 세탁기의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거리 센서를 갖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벽결이형 세탁기의 상태가 감지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벽걸이형 세탁기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세탁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개폐되도록 도어(200)와 연결되는 커버(300)와, 커버(3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400)과, 프론트 패널(400)의 일측에 수용되고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함(500)과,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600)과, 드럼(600)을 감싸고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와,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면은 벽체와 가까운 면을 의미하고, 전면은 후면과 반대되는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버튼(102)과,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기(10)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102)은 캐비닛(100)의 전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닛(1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전원 버튼(10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캐비닛(100)의 전면 좌측이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커버(300)와 연결되는 커버 연결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연결부(104)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커버(300)가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300)는 캐비닛(100) 내부의 후면에서 전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커버 연결부(104)의 직경이 커버(30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커버(300)는 커버 연결부(104)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버(300)는 캐비닛(10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연결되는 리어 패널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 연결부(106)는 캐비닛(100)의 개방된 후면 테두리에 대응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리어 패널(800)과 볼트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리어 패널 연결부(106)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0)의 전면에는 도어(2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200)는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커버 연결부(104)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어 내부 프레임(230)은 커버 연결부(104)와 접촉될 수 있으며,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캐비닛(100)에 연결된 커버(30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커버(300)와의 연결을 위한 도어 힌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 연결부(232)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힌지(36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과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사이 공간에는 디스플레이(202)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2)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면이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어 외부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20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미표기)을 포함하거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02)는 입력 또는 출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를 통한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2)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세탁 및 헹굼 등의 과정을 선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잔여 세탁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 외부 프레임(24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2)는 보호 유리(204)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는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투명하게 제공되어 디스플레이(202)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호 유리(204)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유리(204)의 일측에는 홀(미표기)이 제공될 수 있고, 홀(미표기)을 통해 도어 개방 버튼(2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 개방 버튼(210)은 전자식 개폐방식을 사용하여 캐비닛(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서,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제공될 수 있고, 보호 유리(204)의 홀(미표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0)는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커버(300)의 일측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유닛(250)은 개폐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도어(200) 개방 시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0)가 폐쇄되어있을 경우에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된 홈(미표기)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조작하여 도어(200)가 개방되면, 도어 개방 유닛(250)은 커버(300)의 일측 홈(미표기)에서 이탈되고, 이완된 채로 커버(300)의 일측 홈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유닛(250)의 이완된 길이만큼 도어(200)와 커버(300)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도어(200)가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유닛(250)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 내부 프레임(230)에 형성된 가이드 구조물 내에 위치하거나, 미리 정한 스트로크 범위로 직선 이동하여 돌출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푸셔 스템 조립체(pusher stem assembly)일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는 도어 개방 유닛(25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부가 도어 내부 프레임(2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가 폐쇄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는 도어 개방 버튼(210)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개방 버튼(210)을 작동하면, 도어 개방 유닛(250) 및 도어 걸림부(260)가 커버(30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는 커버(3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갖는 도어 개방 유닛(250)이 이완되어 커버(30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0)와 커버(300)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제공되어, 자동으로 도어(200)가 닫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300) 측으로 도어(2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어(20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200)의 가장 외측인 보호 유리(204)의 일측을 누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개방 유닛(250)이 압축되어 커버(300)의 홈(미표기)으로 수용될 수 있고, 도어 걸림부(260)의 돌출된 부분이 커버(300)의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핸들 없이 도어(200)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할 수 있다.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의 중심 측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중심 측에 도어 글라스(280)가 제공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80)는 세탁기(10) 외부에서 내부의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내부 프레임(230) 및 도어 외부 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 글라스(280)는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측은 커버(300)의 개방된 측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어(200)는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300)는 프론트 패널(400)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302)와,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와, 전원 버튼(102)을 제어하는 전원 처리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는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세탁물 투입구(302)의 직경은 도어 글라스(280)의 돌출된 부분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막을 수 있고,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하면, 도어 글라스(280)가 세탁물 투입구(302)에서 이탈되어, 세탁물 투입구(302)를 통한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302)의 상측에는 세제함(500)을 투입할 수 있는 세제함 투입구(30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세제함 투입구(304)는 세제함(5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중심에 세탁물 투입구(302)를 구비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300)는 일측이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전원 처리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처리부(306)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 전원 버튼(102)의 작동에 따라 전원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원 버튼(102)과 연결된 PCB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커버(300)는 도어 걸림부(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잠금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유닛(330)은 후크 형태의 도어 걸림부(26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어 걸림부(2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걸림부(260)가 도어 잠금 유닛(330)에 결합됨에 따라, 도어(200)가 세탁물 투입구(30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 힌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힌지(360)는 도어(200)의 일측과 커버(300)의 일측이 연결된 채로 개방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어 힌지(360)의 일측은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힌지(360)는 세탁물 투입구(302)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긴 곡선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도어(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 힌지 연결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 힌지(36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따라 도어(20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0)의 후면에는 프론트 패널(400)이 제공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400)은 터브(7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부(410)와,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와, 세제함(500)과 결합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세제함 개스킷(430)과, 세제함(500) 내부로 급수하는 피팅(440)과, 도어(200)와 접촉되는 부분이 밀폐되도록 제공되는 도어 개스킷(450)과,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410)는 드럼(600) 및 터브(700)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커버(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커버(300)와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중심 측에 세탁물 투입구(302)에 대응되는 개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410)의 개방부는 드럼(6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드럼(600)과 터브(700) 사이 공간이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410)의 일측에는 세제함(500)을 수용하는 세제함 수용부(420)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세제함(500)은 커버(300)의 세제함 투입구(304)를 거쳐 세제함 수용부(420)에 수용될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에 의해 가압되는 세제함 개스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개스킷(430)은 세제함 수용부(420) 단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세제함(500)을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세제함 개스킷(430)을 통해 세제함(500) 내부의 세제, 유연제, 및 세제함(500)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 수용부(4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피팅(440)이 제공될 수 있다. 피팅(440)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세제함(500)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세제함(500)을 통해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되므로, 드럼(600) 및 터브(700)로 공급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차폐부(410)의 개방부에는 도어(200)의 도어 글라스(280)에 의해 가압되는 도어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스킷(450)은 차폐부(410)의 개방부 단부(예: 개방부의 환형 단부)에 배치되어 도어 글라스(280)를 밀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무 소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폐쇄될 경우,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를 관통한 도어 글라스(280)가 도어 개스킷(450)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가 도어(200)의 외부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피팅(440)은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5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는 세 방향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으며,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로부터 연장되는 공급 유로 중 2개는 세제함(500)에 연결된 피팅(440)에 연결되고, 1개는 도어 개스킷(450)을 통해 직접 드럼(60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함(50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세제함 손잡이(502)와,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가 투입되는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손잡이(50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커버(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200) 개방 후, 사용자가 세제함 손잡이(502)를 파지하여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함(500)의 전면 중앙에 세제함 손잡이(50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세제함 손잡이(50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제함 수용부(420)는 세제함(500)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세제함(500)은 내부의 중앙이 구획되어,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팅(440)은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는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세제 투입 공간(504)과 유연제 투입 공간(506)의 세제 및 유연제는 선택적으로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한 후 세제함(500)을 세제함 수용부(420)로부터 인출하고,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에 각각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가 채워진 세제함(500)은 다시 세제함 수용부(420)로 삽입될 수 있고, 세탁 과정에 따라,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은 각각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600) 및 터브(700)에 선택적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패널(400)은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다. 드럼(600)은 세탁물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드럼 입구부(610)를 포함하고, 후면에 스파이더(6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둘레에는 터브(700)와 유체 연통되기 위한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입구부(610)는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드럼 입구부(610)는 드럼(600) 전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드럼 입구부(610)가 차폐부(410)의 개방된 부분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패널(400) 및 드럼(60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이 커버(300)의 세탁물 투입구(302) 및 프론트 패널(400)의 개방된 부분을 거쳐 드럼(6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600)은 스파이더(680)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후술할 구동 모터(9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드럼(600)과 별도로 제공되어, 드럼(6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의 후면에는 스파이더(6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스파이더(68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더(680)는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이더(680)는 드럼(600)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3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암은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더(680)의 중앙은 후술할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후술할 제2 풀리(914)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파이더(680) 및 스파이더(680)에 결합된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600)의 구체적인 회전 방법은 후술하겠다.
드럼(600)의 외측에는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700)가 제공될 수 있다. 터브(700)는 드럼(6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드럼(600)의 직경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700)는 드럼(600)의 외측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드럼(6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럼(600)의 내부 세탁수가 드럼(60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통해 터브(7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드럼(600)과 터브(70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터브(7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7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의 내측에 히터(702)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700) 내측 홈에 히터(702)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702)는 터브(700) 내부에 담수된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터브(700)는 리어 패널(8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은 벽체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결합되기 위한 앵커가 연결되는 앵커 연결부(802)와, 캐비닛(100)을 고정하는 캐비닛 고정부(804)와, 터브(7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80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터브(700)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은 별도의 앵커를 통해 벽체에 거치될 수 있다. 앵커는 앵커 연결부(802)를 통과하여 벽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앵커가 리어 패널(800)을 벽체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터브(700)와 리어 패널(800)이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터브(700)를 지지하는 별도의 댐퍼 또는 탄성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절감되고, 세탁기(1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터브(700)가 제공되는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터브(700)를 감싸도록 캐비닛(1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패널(800)의 둘레를 따라 계단 형태를 갖도록 캐비닛 고정부(804)가 제공될 수 있고, 캐비닛 고정부(804)에 캐비닛(10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패널(80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810)과, 터브(700)에 담수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벽걸이형 세탁기(10)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세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810)이 도면을 기준으로 터브(700)의 우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어 유닛(8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라인(904)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상술한 전장 장비들과 제어 유닛(810), 구동 모터(91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리어 패널(8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전원 라인(904)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원 라인(904)이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외부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세탁기(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리어 패널(800)의 하부에는 배수 유닛(820)이 제공될 수 있다. 배수 유닛(820)은 터브(70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리어 패널(800)의 전면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배수 유닛(820)은 세탁수를 가압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수 호스(90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호스(902)는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을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배수 유닛(820)의 압력을 통해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과정이 종료된 후, 배수 유닛(820)이 작동되면, 배수 유닛(820)의 압력 변화로 인해 세탁수가 배수 호스(902)를 통해 캐비닛(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910)와, 구동 모터(910)와 연결되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제2 풀리(914)와 연결되어 드럼(600)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916)과,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를 연결하는 벨트(91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 패널(800)의 전면에는 구동 모터(910)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모터(910)는 제어 유닛(8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810) 및 배수 유닛(8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의 축(shaft)(미표기)은 리어 패널(800)을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구동 모터(910)의 축(미표기)과 제1 풀리(9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풀리(912)는 벨트(918)를 통해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풀리(914)는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드럼 회전축(916)은 스파이더(680)와 연결된 채로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서 제2 풀리(914)와 드럼 회전축(916)이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피팅(440)을 통해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담수되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와 연결된 제1 풀리(912)가 회전하게 되고, 제1 풀리(912)의 회전에 의해, 제2 풀리(914)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풀리(914)와 연결된 드럼 회전축(916) 또한 회전하게 되므로, 드럼(600)이 캐비닛(100) 및 터브(700)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될 수 있다.
한편, 리어 패널(800)의 후면에는 배기 라인(9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기 라인(920)은 배수 유닛(82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터브(700) 및 배수 유닛(8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라인(920)은 배수 호스(902)과 연결되고, 리어 패널(8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어 패널(800)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배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1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200)를 개방하여, 드럼(60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고, 프론트 패널(400)에서 세제함(50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제함(500)은 중앙이 구획되어, 세제 및 유연제를 각각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제 및 유연제를 투입한 세제함(500)을 다시 프론트 패널(400)에 삽입한 후, 사용자는 도어(200)를 폐쇄하고, 전원 버튼(102) 및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세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세탁 작동이 시작되면, 급수 밸브 어셈블리(480)를 통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는 피팅(440)을 통해 세제함(500)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세탁수는 세제 투입 공간(504) 및 유연제 투입 공간(506)을 통과한 후 드럼(600) 및 터브(700)의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즉, 드럼(600) 및 터브(700)에 담수되는 세탁수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터브(700)에 세탁수가 모두 채워지면, 제어 유닛(810)은 구동 모터(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910)는 제1 풀리(912) 및 제2 풀리(914)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풀리(914)는 드럼 회전축(916)을 통해 드럼(60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910)를 통해 드럼(60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드럼(600)의 회전에 의해, 드럼(600)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용이하게 세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A-A에 따른 세탁기의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벽걸이형 세탁기(10)에는 거리 센서(115)가 제공될 수 있다. 거리 센서(115)는 세탁기(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거리 센서(115)는 벽걸이형 세탁기(1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1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11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고 위쪽으로 설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리 센서(115)는 수용홈(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거리 센서(115)의 일측은 수용홈(110)의 개방된 방향을 통해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외면을 향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홈(11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에 형성될 수 있다.
거리 센서(115)는 복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거리 센서(115)는 벽걸이형 세탁기(10)의 하부에, 벽걸이형 세탁기(10)의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거리 센서(115)는 수용홈(110)의 개방된 방향을 통해 마주보는 면과의 거리를 감지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거리 센서(115)는 빛, 음파 등을 조사한 후 반사된 빛, 음파 등을 통해 거리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의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벽걸이형 세탁기(10')에는 거리 센서(115')가 제공될 수 있다. 거리 센서(115')는 벽걸이형 세탁기(1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홈(1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110')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고 위쪽으로 설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0')의 하부에는 광 투과성을 갖는 차폐벽(112)이 제공될 수 있다. 수용홈(110')의 단부에 차폐벽(112)이 제공되는 점 외에 거리 센서(115')의 구성 및 동작은 도 5와 동일 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의 거리 센서를 갖는 벽걸이형 세탁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벽결이형 세탁기의 상태가 감지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벽걸이형 세탁기(10, 10')는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거리 센서(115, 115')는 벽걸이형 세탁기(10, 10')와 설치 공간의 저면(LW)이 이격된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거리 센서(115, 115')에서 수신되는 거리를 통해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수평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센서(115, 115')는 세탁기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가 수평 상태로 설치된 후, 이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각각의 거리 센서(115, 115')에서 감지되는 거리는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810)은 거리 센서(115, 115')에서 감지되는 거리가 동일하거나, 거리의 차이가 설정 범위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유닛(810)은 거리 센서(115, 115')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벽걸이형 세탁기(10, 10')의 설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음 등과 같은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수평 상태로 설치 되었어도, 각각의 거리 센서(115, 115')에서 감지되는 거리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는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설치되는 공간의 저면(LW)이 수평이 아닌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거리 센서(115, 115')가 세탁기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가 상이하게 제공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810)은 거리 센서(115, 115')가 처음 동작할 때, 각각의 거리 센서(115, 115')가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초기 차이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810)은 거리 센서(115, 115')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이 초기 차이 값과 동일하거나, 초기 차이 값에 대한 차이가 설정 범위 이하이면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유닛(810)은 거리 센서(115, 115')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과 초기 차이 값의 차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벽걸이형 세탁기(10, 10')의 설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음 등과 같은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810)은 거리 센서(115, 115')에서 감지되는 거리를 통해 세탁기의 설치 상태의 안정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걸이형 세탁기(10, 10')의 설치 상태가 불안정하면 벽걸이형 세탁기(10, 10')의 후면과 설치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면서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아래쪽으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810)은 거리 센서(115, 115')가 처음 동작될 때, 거리 센서(115, 115')가 제공하는 초기 거리 값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거리 센서(115, 115')가 제공하는 거리 값이 초기 거리 값보다 설정 값을 초과하여 작아지면, 벽걸이형 세탁기(10, 10')의 설치 상태에 이상이 있어 낙하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알림 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도 9를 벽걸이형 세탁기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설치된 공간의 아래쪽에는 반사판(RP)이 제공될 수 있다. 반사판(RP)은 일 면이 거리 센서(115, 115')와 마주보고, 벽걸이형 세탁기(10, 10')와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반사판(RP)은 거리 센서(115, 115')와 마주보는 면이 빛을 반사 가능하게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리 센서(115, 115')는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반사판(RP)과 이격된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810)은 도 7 및 도 8과 유사하게 거리 센서(115, 115')가 감지한 거리를 이용해 벽걸이형 세탁기(10, 10')의 수평 상태 또는 낙하 위험성을 감지할 수 있다. 벽걸이형 세탁기(10, 10')의 아래쪽에 반사판(RP)이 설치되면, 벽걸이형 세탁기(10, 10')가 설치된 공간의 저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거리 센서(115, 115')는 반사판(RP)과 이격된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걸이형 세탁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거리 센서(115")는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리 센서(115")는 벽걸이형 세탁기(10")가 설치된 공간의 상면(UW)과 벽걸이형 세탁기(10")가 이격된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 센서(115")가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점 외에, 거리 센서(115")가 벽걸이형 세탁기(10")에 제공되는 구조 및 기능은 도 5 또는 도 6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 유닛(810)은 도 8과 유사하게 거리 센서(115")가 제공하는 거리 값을 통해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설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벽걸이형 세탁기(10")가 설치된 공간의 위쪽에는 반사판(RP)이 설치되어, 거리 센서(115")는 반사판(RP)과 벽걸이형 세탁기(10")가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고, 제어 유닛(810)은 이를 통해 벽걸이형 세탁기(10")의 설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캐비닛 200: 도어
300: 커버 400: 프론트 패널
450: 도어 개스킷 500: 세제함
600: 드럼 700: 터브
800: 리어 패널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되,
    하부에 거리 센서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의 하부에는 저면을 향해 개방되고 위쪽으로 설정 깊이를 갖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리 센서는 상기 수용홈에 위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하부에는 광 투과성을 갖는 차폐벽이 위치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통해 설치 상태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6. 제4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 값과,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할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초기 차이 값의 차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될 때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초기 거리 값과, 이후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 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리 값이 상기 초기 거리 값보다 설정 값을 초과하여 작아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8.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 및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되,
    상부에 거리 센서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고,
    2개의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통해 설치 상태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고,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 값과,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할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초기 차이 값의 차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될 때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초기 거리 값과, 이후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 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리 값이 상기 초기 거리 값보다 설정 값을 초과하여 작아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12.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벽체에 거치되는 리어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에 지지되며,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와,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되, 하부에 거리 센서가 제공되는 벽걸이형 세탁기를 벽체에 설치하되,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가 설치된 공간의 아래쪽에는 상기 거리 센서와 마주보고 설정 거리 이격되게 반사판을 위치시키는 벽걸이형 세탁기 설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는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될 때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초기 거리 값과, 이후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 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리 값이 상기 초기 거리 값보다 설정 값을 초과하여 작아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설치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고,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는 2개의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의 차이 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통해 설치 상태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설치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는 폭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2개가 제공되고,
    상기 벽걸이형 세탁기는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 값과, 2개의 상기 거리 센서가 처음 동작할 제공하는 거리의 차이에 해당하는 초기 차이 값의 차이가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벽걸이형 세탁기 설치 방법.
KR1020180049465A 2018-04-27 2018-04-27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 KR20190125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465A KR20190125127A (ko) 2018-04-27 2018-04-27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
CN201910150605.1A CN110409135A (zh) 2018-04-27 2019-02-28 壁装式洗衣机及其安装方法
US16/388,717 US20190330783A1 (en) 2018-04-27 2019-04-18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Install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465A KR20190125127A (ko) 2018-04-27 2018-04-27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127A true KR20190125127A (ko) 2019-11-06

Family

ID=6829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465A KR20190125127A (ko) 2018-04-27 2018-04-27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330783A1 (ko)
KR (1) KR20190125127A (ko)
CN (1) CN1104091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88B1 (ko) 2012-09-28 2014-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24975D1 (de) * 2004-07-22 2010-02-25 Candy Spa Trommel für Waschmaschine, Waschtrockner, Trockner o.ä.
CN202937485U (zh) * 2012-12-12 2013-05-15 上海电机学院 一种吊扇监测装置
CN203568621U (zh) * 2013-07-23 2014-04-30 杭州华诚机械有限公司 升降机轨道防歪斜的检测装置
KR101555761B1 (ko) * 2013-12-23 2015-09-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낙하 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88B1 (ko) 2012-09-28 2014-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09135A (zh) 2019-11-05
US20190330783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14B1 (ko) 세탁기
KR102270522B1 (ko) 세탁기
KR20180136086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KR20180136095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커버
KR102368505B1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180136088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102368502B1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20180136108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084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US20180363226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its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ethod
KR2019012512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 설치 방법
KR20180136106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US20180363196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water supply valve assembly
KR2018013608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US20180363224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water supply fittings thereof
US20180363217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detergent container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nd front panel of wall-mounted washing machine
KR20040050489A (ko) 세탁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36109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20180136107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KR20180136091A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US20180361641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tub-intergrated rear panel and manufacturing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363218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US20180363216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water supply valve assembly
KR102071890B1 (ko) 세탁기
US20180363219A1 (en) Wall-mounted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