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094A -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5094A KR20190125094A KR1020180049392A KR20180049392A KR20190125094A KR 20190125094 A KR20190125094 A KR 20190125094A KR 1020180049392 A KR1020180049392 A KR 1020180049392A KR 20180049392 A KR20180049392 A KR 20180049392A KR 20190125094 A KR20190125094 A KR 201901250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nofiber web
- methylimidazolium
- dimethylimidazolium
- capacitive sensor
- t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의 입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의 제조 방법 중 나노섬유웹 준비 단계를 세분화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의 제조 방법 중 전기방사 공정 장치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비교예 5에 따른 나노섬유웹 표면의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나노섬유웹 표면의 전계 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의 20 사이클 동안의 주기적인 힘 인가에 따른 시간 대 커패시턴스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의 커패시턴스-압력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에서, 이온성 액체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커패시턴스-압력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및 커패시턴스 변화(ΔC)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이온성 액체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히스테리시스(%) 및 커패시턴스 변화(ΔC)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의 크리프(creep)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따른 일정 커패시턴스에서의 응력완화을 시간 대 압력 곡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120: 하부전극 121: 하부전극 전극연결부
130: 상부전극 131: 상부전극 전극연결부
140: 샌드위치 구조체 150: 절연층
200: 전기방사 공정 장치 210: 시린지펌프
220: 니들 230: 회전형 실린더 콜렉터 및 접지
240: 전원
Claims (15)
-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 상에 형성되는 공극(void)을 포함하는 나노섬유웹 및 상기 나노섬유웹(nano-fiber web) 상에 형성되는 상부전극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체; 및
상기 샌드위치 구조체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샌드위치 구조체를 캡슐화 하는 절연층
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유웹 내에 이온성 액체(ionic liquid)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piezocapacitive)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금속 포일 페이퍼(foil paper), 전도성 섬유 직-편물(conductive fabric) 및 탄성 전도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탄성 절연층 및 접착성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절연층 및 접착성 절연층은 절연 페이퍼, 절연 필름 및 절연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는,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의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연결부는 상기 절연층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공중합체(polyester-polyurethane) 및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공중합체(polyether-polyuretha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1-메틸-3-메틸이미다졸리움(1-Methyl-3-methylimidazolium),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1-Ethyl-3-methylimidazolium), 1-프로필-3-메틸이미다졸리움(1-Propyl-3-methylimidazolium),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1-Butyl-3-methylimidazolium), 1-헥실-3-메틸이미다졸리움(1-Hexyl-3-methylimidazolium), 1-메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Methyl-2,3-dimethylimidazolium), 1-에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Ethyl-2,3-dimethylimidazolium), 1-프로필-2,3-메틸이미다졸리움(1-Propyl-2,3-dimethylimidazolium), 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Butyl-2,3-dimethylimidazolium), 1-헥실-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Hexyl-2,3-dimethylimidazolium) 중 하나의 양이온과, 비스 (트리풀루오르메틸슬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헥사플로오르포스페이트 (Hexafluorophospate), 메틸슬페이트(Methyl sulfate), 에틸슬페이트(Ethyl sulfate), 테트라플로오르보레이트 (Tetrafluoroborate), 트리플로오르메탄슬페이트 (Trifluoromethanesulfonate), 아오다이드(Iodide), 브로마이드(Bromide), 클로라이드 (Chloride)중 하나의 음이온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이온성 액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는 0.1% 내지 5% 범위의 커패시턴스-압력 히스테리시스(capacitance-pressure hysteresi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 나노섬유웹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나노섬유웹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부착하여 샌드위치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샌드위치 구조체의 외부에 절연층을 부착하여 캡슐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을 준비하는 단계는,
제1 용매에 폴리머를 넣고 용해하는 제1 폴리머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1 폴리머 용액에 제2 용매를 첨가하는 제2 폴리머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제2 폴리머 용액에 이온성 액체를 첨가하는 제3 폴리머 용액 제조 단계; 및
상기 제3 폴리머 용액을 전기방사 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매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DMAc),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DMF), N-메틸피롤리디논(N-methylpyrrolidinone, NMP) 및 디메틸술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매는 아세톤(aceto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t-부틸알코올(t-butyl alcohol),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alcohol, iPA, 2-propanol),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THF),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diacetate),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PGMEA),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트리플루오로아세토나이트릴 (trifluoroacetonitrile),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피리딘(pyridine) 및 피롤리딘(pyrrolidi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매는 상기 전기방사 시 용매의 휘발성을 및 전기방사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공중합체(polyester-polyurethane) 및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공중합체(polyether-polyuretha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1-메틸-3-메틸이미다졸리움(1-Methyl-3-methylimidazolium),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1-Ethyl-3-methylimidazolium), 1-프로필-3-메틸이미다졸리움(1-Propyl-3-methylimidazolium),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1-Butyl-3-methylimidazolium), 1-헥실-3-메틸이미다졸리움(1-Hexyl-3-methylimidazolium), 1-메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Methyl-2,3-dimethylimidazolium), 1-에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Ethyl-2,3-dimethylimidazolium), 1-프로필-2,3-메틸이미다졸리움(1-Propyl-2,3-dimethylimidazolium), 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Butyl-2,3-dimethylimidazolium), 1-헥실-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Hexyl-2,3-dimethylimidazolium) 중 하나의 양이온과, 비스 (트리풀루오르메틸슬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헥사플로오르포스페이트 (Hexafluorophospate), 메틸슬페이트(Methyl sulfate), 에틸슬페이트(Ethyl sulfate), 테트라플로오르보레이트 (Tetrafluoroborate), 트리플로오르메탄슬페이트 (Trifluoromethanesulfonate), 아오다이드(Iodide), 브로마이드(Bromide), 클로라이드 (Chloride)중 하나의 음이온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이온성 액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제조 방법.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상기 폴리머의 중량 대비 0.1 중량% phr 내지 5.0 중량% phr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9392A KR102042856B1 (ko) | 2018-04-27 | 2018-04-27 |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9392A KR102042856B1 (ko) | 2018-04-27 | 2018-04-27 |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5094A true KR20190125094A (ko) | 2019-11-06 |
KR102042856B1 KR102042856B1 (ko) | 2019-11-11 |
Family
ID=6853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9392A Active KR102042856B1 (ko) | 2018-04-27 | 2018-04-27 |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285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79530A (zh) * | 2020-09-14 | 2021-01-05 | 电子科技大学 | 基于双面微结构电极和纸张的柔性压力传感器及制备方法 |
CN112923954A (zh) * | 2021-01-25 | 2021-06-08 | 西安工业大学 | 基于三明治式纺丝薄膜的一体式柔性传感器及制造方法 |
CN115452205A (zh) * | 2022-08-11 | 2022-12-09 | 北京服装学院 | 一种基于共轭取向静电纺丝技术的导电柔性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
CN115901028A (zh) * | 2022-09-02 | 2023-04-04 | 河北工业大学 | 具有贴附性和透气性的柔性触觉传感器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34368A (ja) * | 2011-07-07 | 2013-02-14 |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 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アクチュエータ |
KR101502762B1 (ko) | 2014-04-02 | 2015-03-1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노섬유 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
KR101708113B1 (ko) | 2015-05-28 | 2017-02-1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감도 압력 센서 |
KR20170025694A (ko) * | 2015-08-31 | 2017-03-08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커패시터형 촉각센서 및 그 제조방법 |
KR101730396B1 (ko) | 2015-07-15 | 2017-05-1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방사하여 얻은 나노섬유 웹 형태의 pla 압전소재를 이용한 압력측정 센서 |
-
2018
- 2018-04-27 KR KR1020180049392A patent/KR10204285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34368A (ja) * | 2011-07-07 | 2013-02-14 |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 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アクチュエータ |
KR101502762B1 (ko) | 2014-04-02 | 2015-03-1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노섬유 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압력센서 |
KR101708113B1 (ko) | 2015-05-28 | 2017-02-1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감도 압력 센서 |
KR101730396B1 (ko) | 2015-07-15 | 2017-05-1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방사하여 얻은 나노섬유 웹 형태의 pla 압전소재를 이용한 압력측정 센서 |
KR20170025694A (ko) * | 2015-08-31 | 2017-03-08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커패시터형 촉각센서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79530A (zh) * | 2020-09-14 | 2021-01-05 | 电子科技大学 | 基于双面微结构电极和纸张的柔性压力传感器及制备方法 |
CN112179530B (zh) * | 2020-09-14 | 2021-09-28 | 电子科技大学 | 基于双面微结构电极和纸张的柔性压力传感器及制备方法 |
CN112923954A (zh) * | 2021-01-25 | 2021-06-08 | 西安工业大学 | 基于三明治式纺丝薄膜的一体式柔性传感器及制造方法 |
CN115452205A (zh) * | 2022-08-11 | 2022-12-09 | 北京服装学院 | 一种基于共轭取向静电纺丝技术的导电柔性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
CN115901028A (zh) * | 2022-09-02 | 2023-04-04 | 河北工业大学 | 具有贴附性和透气性的柔性触觉传感器及其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2856B1 (ko) | 2019-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2856B1 (ko) | 나노섬유웹 압정전용량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
Yang et al. | Direct spinning of high-performance graphene fiber supercapacitor with a three-ply core-sheath structure | |
Wen et al. | Silk fibroin-based wearable all-fiber multifunctional sensor for smart clothing | |
Zheng et al. | Nanocellulose-mediated hybrid polyaniline electrodes for high performance flexible supercapacitors | |
Qi et al. | Novel carbon nanotube/cellulose composite fibers as multifunctional materials | |
Shalu et al. | Thermal stability, complexing behavior, and ionic transport of polymeric gel membranes based on polymer PVdF-HFP and ionic liquid,[BMIM][BF4] | |
Lu et al. | Electrospun polyaniline nanofiber networks toward high‐performance flexible supercapacitors | |
Zhao et al. | Graphene-based single fiber supercapacitor with a coaxial structure | |
Wang et al. | Effect of PEDOT: PSS content on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EDOT: PSS/poly (vinyl alcohol) composite fiber | |
Xu et al. | Direct spinning of fiber supercapacitor | |
Sun et al. | Macroscopic, flexible, high-performance graphene ribbons | |
CN107478360A (zh) | 电容式柔性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 |
CN107574493B (zh) | 一种基于电纺的螺旋缠绕结构柔性可拉伸应变传感器 | |
Huang et al. | Electrospinning of magnesium-ion linked binder-less PEDOT: PSS nanofibers for sensing organic gases | |
Kim et al. | Conformable and ionic textiles using sheath-core carbon nanotube microyarns for highly sensitive and reliable pressure sensors | |
KR102209295B1 (ko) | 정류특성의 다이오드를 이용한 매트릭스 방식의 섬유기반 압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4963089A (zh) | 一种柔软透气的电极薄膜材料、触觉传感器及其制备方法 | |
Zhang et al. | Na+‐doped zinc oxide nanofiber membrane for high speed humidity sensor | |
US20240159704A1 (en) | Composite membrane for western blotting containing a pvdf nanofiber we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Fall et al. | Spinning of stiff and conductive filaments from cellulose nanofibrils and PEDOT: PSS nanocomplexes | |
JP2010014694A (ja) | 負荷検知繊維 | |
Joshi et al. | Ultrathin, Breathable, Permeable, and Skin‐Adhesive Charge Storage Electronic Tattoos Based on Biopolymer Nanofibers and Carbon Nanotubes | |
Huang et al. | Regenerated silk fibroin-modified soft graphene aerogels for supercapacitive stress sensors | |
Huang et al. | Direct ink writing of Pickering emulsions generates ultralight conducting polymer foams with hierarchical structure and multifunctionality | |
Kareri et al. | Image processing analysis of supercapacitors with twisted fiber structures and a gel electroly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