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571A -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571A
KR20190124571A KR1020180048701A KR20180048701A KR20190124571A KR 20190124571 A KR20190124571 A KR 20190124571A KR 1020180048701 A KR1020180048701 A KR 1020180048701A KR 20180048701 A KR20180048701 A KR 20180048701A KR 20190124571 A KR20190124571 A KR 20190124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information
reaction
accoun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600B1 (ko
Inventor
강수영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18004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0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을 위한 채팅방을 생성하고, 소셜 네트워크의 제2 계정에 포스트되는 피드를 수신하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말풍선의 유형들에 기초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가공하고, 분할된 정보가 해당하는 유형의 말풍선으로 표시되도록 채팅방에 가공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OPERATING METHOD OF SERVER AND APPLICATION FOR INTERWORKING BETWEEN INSTANT MESSAGING SERVICE(IMS) AND SOCIAL NETWORK SERVICE(SNS)}
아래 실시예들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들 간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nstant Message Service; IMS)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1:1로 직접 대화하듯이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대화창을 통해 여러 명이 함께 대화할 수도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는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메신저 대화창을 통해 이모티콘, 플래시콘, 기프트콘 등을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파일을 전송하는 기능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터넷 상에서 이용자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해 주는 서비스로서, 특정 관심 분야 또는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서로 구별되므로 사용자들은 서비스 별로 계정을 관리하거나, 해당 계정에 게시되는 정보에 접근(access)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MS)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상기 제1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제2 계정과 연동됨-을 위한 채팅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상기 제2 계정에 포스트되는 피드(feed)에 포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및 상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유형들은 상기 피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유형; 상기 피드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유형; 상기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 및 상기 피드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표시하는 제4 유형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유형들에 대응하여 분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를 포스트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3 계정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방에서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말풍선의 작성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팅방에는 상기 제1 계정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공식 계정 및 봇(bot) 계정중 적어도 하나가 참여하고, 상기 제1 계정 이외의 다른 사용자 계정은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제3 유형의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상기 피드에 등록된 감정 리액션의 수 및 댓글 리액션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 유형의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 유형의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의 모드를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상기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의 입력 영역은 댓글 리액션을 위한 제1 서브 영역 및 감정 리액션을 위한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유형의 영역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 유형의 영역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추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2 계정에 포스트되는 상기 피드에 등록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 상기 리액션의 세부 정보는 감정 리액션에 대응하는 세부 정보 및 댓글 리액션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상기 채팅창에서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을 통하여 포스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상기 제2 계정에 상기 포스트 정보를 포스트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역 내 제1 서브 영역을 통하여,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역 내 제2 서브 영역을 통하여, 추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에 상기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은 상기 입력 영역과 인접한 반투명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반투명 레이어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되어, 상기 반투명 레이어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채팅방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의 수신에 반응하여, 추천 피드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및 상기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상기 제1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과 연동됨-을 위한 채팅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계정에 포스트되는 피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및 상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정보가 해당하는 유형의 말풍선 또는 해당하는 유형의 영역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채팅방에 상기 분할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유형들에 대응하여,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의 유형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정보의 유형들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는 해시태그, 이모티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비디오, 음성, 및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감정 리액션 및 댓글 리액션을 포함하는 리액션 정보; 및 랜딩 페이지로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 유형의 영역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제3 유형의 영역을 통하여, 상기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게 상기 리액션을 상기 피드에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액션 커맨드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채팅방을 통하여, 상기 제2 계정에 포스팅된 피드들의 목록과 상이한 목록의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상기 채팅방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에 포함된 정보가 표시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의 조합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계정에 포스트된 피드를 채팅방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입력되는 리액션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되어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유형의 말풍선에 등록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를 채팅창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피드로 포스트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추천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채팅창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제공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IMS(Instant Message Service) 서버(110),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다른 사용자 단말들(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MS 서버(110), SNS 서버(130), 사용자 단말(160), 및 다른 사용자 단말들(180)은 통신망(5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계정(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60)의 사용자(150)의 제1 계정)으로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 서버(110)는 사용자(150)와 다른 사용자 단말들(180)의 사용자들(170) 중 어느 한 사용자와의 1:1 채팅 서비스 및/ 또는 사용자(150)와 사용자들(170)과의 그룹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와의 연동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계정(예를 들어, 사용자(150))의 제2 계정)에 포스팅되었거나 포스트되는 피드(feed)를 제공하기 위한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150)는 채팅방을 통하여 SNS 서버(130)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에 포스트된 피드, 추천 피드 및/또는 관심글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계정'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의 계정을 나타내고, '제2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의 계정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1 계정과 제2 계정은 동일 사용자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계정과 제2 계정을 통해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는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계정과 제2 계정은 동일할 수도 있다.
'피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스팅된 다양한 종류의 게시물(들)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피드는 예를 들면, 다양한 이종 데이터 소스(ex. 웹, 비디오, 뉴스, 지도, 경보(alarm) 등), 엔터테인먼트(ex. 뉴스, 비디오, 개인 홈페이지, 블로그, 독자, 가젯 구독 등), 소셜 활동(ex. 이메일, 프로필 정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등의 텍스트 메시징, 마이크로블로그, 지리적 위치, 사진 댓글, 소셜 그래프 및 다른 소셜 네트워킹 정보 등) 및 서드파티 사이트에서의 활동(ex. 사용자가 사용자의 승인을 지시하는 평가, 리뷰 및 소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스팅(posting)' 또는 '포스트(post)'는 블로그 등에서 어떤 기사나 사진, 영상 등을 번호 혹은 이름을 붙여 게시하는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와의 연동을 통해 수신한 피드를 IMS 메시지 형태(예를 들어, 말풍선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160)에게 전달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피드를 분석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가 채팅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유형의 말풍선에 대응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가공(예를 들어, 분할)할 수 있다. 이하, 피드에 포함된 정보는 IMS 서버(110)에 의하여 가공(예를 들어, 분할)된 결과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 서버(110)는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을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60)에 제공할 수 있다.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은 예를 들어, 피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유형의 말풍선, 피드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유형의 말풍선,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의 말풍선, 및 피드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표시하는 제4 유형의 말풍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는, IMS 서버(110)는 채팅방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말풍선을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60)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에는 텍스트, 멀티미디어, 리액션 등의 정보가 각각 매핑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IMS 서버(110)는 단일 영역을 포함하는 말풍선과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말풍선을 함께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6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은 제1 계정과 연동된 SNS의 제2 계정의 피드를 제1 계정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생성되며, 따라서 다른 사용자와의 대화를 위해 생성되는 일반적인 채팅방과는 상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제1 계정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공식 계정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챗봇 계정) 간에 채팅방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공식 계정은 SNS 서버(130)의 운영 주체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계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상에 사용자(150)의 친구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는 생성된 채팅방에 참여가 제한될 수 있다. 다만, 피드의 자연스러운 노출을 위하여, 채팅방 내에 표시되는 말풍선의 작성자 정보가 해당 채팅방에 실제 참여하지 않은 사용자로 결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예를 들어, 피드를 포스트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3 계정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채팅방에서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말풍선의 작성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계정은 제2 계정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를 포스팅한 계정이 제2 계정인 경우, 채팅방에서 자기 자신이 작성한 것으로 표시되는 말풍선들을 통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피드를 포스팅한 계정이 타인의 제3 계정인 경우, 채팅방에서 해당 타인이 작성한 것으로 표시되는 말풍선들을 통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의 사용자(150)은 채팅창에 표시된 정보(피드)에 대응하여 리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리액션은 예를 들어, 채팅창에 표시된 정보(피드)에 대응하여 "좋아요", "멋있어요" 등과 같이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 리액션 및/또는 채팅창에 표시된 정보(피드)에 대응하여 댓글을 입력하는 댓글 리액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정 리액션과 댓글 리액션은 채팅창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버튼의 선택 등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예를 들어,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의 말풍선을 통하여 사용자(150)로부터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수신할 수 있다.
제3 유형의 말풍선을 통하여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수신한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에게 해당 리액션을 제2 계정에 포스트되는 피드에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액션 커맨드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액션 커맨드(action command)'는 SNS 서버(130)에서 특정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어에 해당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에서의 액션 커맨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제3 유형의 말풍선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유형의 말풍선에는 감정 리액션의 수나 댓글 리액션의 수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유형의 말풍선을 선택함에 따라 감정 리액션이나 댓글 리액션이 추가적으로 등록되는 경우, 감정 리액션의 수나 댓글 리액션의 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방에 이미 표시된 제3 유형의 말풍선의 틀은 그대로 유지하되, 해당 말풍선 안에 표시되는 감정 리액션의 수나 댓글 리액션의 수가 변경될 수 있다. IMS 서버(110)가 사용자(150)로부터 수신한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처리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IMS 서버(11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감정 리액션이나 댓글 리액션이 직접 등록되는 경우에도, 제3 유형의 말풍선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제3 유형의 말풍선을 통하여 갱신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유형의 말풍선을 통하지 않고 갱신되는 경우에도, IMS 서버(110)는 제3 유형의 말풍선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설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가 제2 계정에 포스트된 피드에 리액션을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3 유형의 말풍선에 표시되는 리액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로부터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리액션의 갱신은 피드에 새로운 리액션이 등록되거나, 기존에 등록되었던 리액션이 수정되거나, 기존에 등록되었던 리액션이 취소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형의 말풍선을 통하여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는 경우, SNS 서버(130)는 IMS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액션 커맨트에 대한 회신으로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의 갱신 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는 경우, SNS 서버(130)는 푸시 형식으로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3 유형의 말풍선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제3 유형의 말풍선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16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SNS 서버(130)에 의하여 IMS 서버(110)로 전송되는 제1 신호와 IMS 서버(110)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60)로 전송되는 제2 신호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채팅방에서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을 지원하는 경우, IMS 서버(110)는 해당 말풍선에서 리액션 정보가 포함된 영역을 갱신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을 통하여 입력된 포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영역은 채팅방 내 메시지 입력창, 이모티콘 입력창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에 포스트 정보를 포스트하는 요청을 SNS 서버(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의 채팅창을 통해 입력된 포스트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을 통해 동일하게 노출될 수 있다. 다만, 포스트 정보가 채팅방 내에서 표시되는 위치 또는 순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을 통해 노출되는 위치 또는 순서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메시지가 시간 연대기적 순서에 따라서 정보가 표시되므로, 최근에 입력된 포스트 정보일수록 채팅방 내 메시지 히스토리의 최하단에 표시된다. 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최신 정보를 더 많이 노출하도록, 최근에 입력된 포스트 정보일수록 포스트 히스토리의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 정보'는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제1 계정을 위한 채팅방에 표시되는 동시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피드로도 동일하게 생성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포스트 정보는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을 통해 작성 및/또는 첨부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 정보는 예를 들어, 이모티콘 및/또는 해시 태그를 포함하는 채팅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 정보,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을 통해 첨부(attach)되는 음악, 비디오, 이미지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정보, 감정 및 댓글을 포함하는 리액션 정보,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MS 서버(110)가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을 통하여 포스트 정보를 입력 받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에 포스트되도록 하는 과정은 아래의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밖에도, IMS 서버(110)는 채팅방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의 수신에 반응하여, SNS 서버(130)에게 추천 피드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160)은 채팅방 내 최근에 표시된 말풍선들이 표시되는 방향(예를 들어, 위쪽 방향)의 터치 제스처를 수신하여, 채팅방 내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입력은 예를 들어, 가장 최신의 말풍선이 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으로 입력 되는 동일한 방향(위쪽 방향)의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미리 정해진 입력은 전술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IMS 서버(110)는 SNS 서버(130)에서의 요청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추천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IMS 서버(110)가 추천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IMS 서버(11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 10과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능(예를 들어, 관심 글, 친구 목록 등)을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들(180) 각각은 디스플레이, 메모리,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및/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이다. 사용자 단말(16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들(180) 각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을 프로세서를 통해 처리하거나, 처리 결과를 IMS 서버(110) 및/또는 SNS 서버(1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들(180)에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동을 위한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60)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을 위한 채팅방을 제공한다(210). 제1 계정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공되는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과 연동된다.
어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에 대해 포스트되는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수신한다(220). 이때, 피드에 포함된 정보는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또는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에 대응하여 분할된 것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한다(230). 어플리케이션은 제1 유형의 말풍선을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거나, 제2 유형의 말풍선을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거나, 제3 유형의 말풍선을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거나, 제4 유형의 말풍선을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제1 유형의 영역, 제2 유형의 영역, 제3 유형의 영역, 제4 유형의 영역,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을 이용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제3 유형의 말풍선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제3 유형의 말풍선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채팅방에 포함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모드가 적어도 하나의 리액션을 입력 받기 위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은 제3 유형의 말풍선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의 모드를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2 모드의 입력 영역은 예를 들어, 채팅방의 메시지 입력창과 같이 댓글 리액션을 위한 제1 서브 영역 및 '좋아요' 버튼 또는 '좋아요' 아이콘 등과 같이 감정 리액션을 위한 제2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은 '좋아요' 이외에도 '싫어요' 등 다양한 감정 리액션을 수신하는 버튼 또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은 '즐겨찾기'를 위한 버튼 또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즐겨찾기'로 선택된 피드들을 모아서 채팅창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즐겨찾기' 기능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즐겨찾기' 기능과 연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즐겨찾기' 입력이 수신되면 SNS 서버로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즐겨찾기'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혹은 IMS 서버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즐겨찾기'로 선택된 피드들에 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자체적으로 저장되거나, IMS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리액션들을 입력 받기 위한 복수의 서브 영역들을 포함하는 모드로 전환되는 대신, 특정 리액션을 입력 받기 위한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유형의 말풍선 내 미리 정해진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채팅방의 메시지 입력창의 모드가 감정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리액션 입력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별도로 제공되는 대신, 제3 유형의 말풍선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바로 리액션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유형의 말풍선 내 미리 정해진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감정 리액션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유형의 말풍선이 선택됨에 따라 감정 리액션이 입력되는 바, 제3 유형의 말풍선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도 바로 갱신될 수 있다.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이 이용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은 제3 유형의 말풍선 대신 제3 유형의 영역이 선택되는 것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에서 피드에 포함된 정보가 표시되는 일 예가 도시된다.
IMS 서버는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말풍선들에 기초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가공 또는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피드는 채팅방이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320, 330, 340)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은 피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유형의 말풍선(320), 피드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유형의 말풍선(330),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의 말풍선(340), 또는 피드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표시하는 제4 유형의 말풍선(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팅방에는 말풍선들의 작성자를 나타내는 프로필 정보(31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프로필 정보(310)는 피드를 등록한 SNS 계정의 프로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피드를 등록한 SNS 계정의 프로필 정보는 예를 들어, 프로필 이미지(profile image), 사용자 이름, 또는 사용자 아이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말풍선(320)은 피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는 텍스트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텍스트에 더하여 해시 태그(hash tag) 및/또는 이모티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유형의 말풍선(330)은 이미지, 비디오, 음성, 및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말풍선(33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play)할 수 있는 재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재생 버튼은 제2 유형의 말풍선(330) 내에 포함된 버튼일 수도 있고, 제2 유형의 말풍선(330)의 인접한 위치에 별도로 노출되는 버튼 형태의 추가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제3 유형의 말풍선(340)은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리액션 정보는 예를 들어, 감정 리액션에 관한 정보 및 댓글 리액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정 리액션의 수는 감정 리액션을 나타내는 하트 모양의 아이콘(341)과 함께 표시되고, 댓글 리액션의 수는 댓글 리액션을 나타내는 말풍선 모양의 아이콘(343)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유형의 말풍선(340)은 제3 유형의 말풍선에 등록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를 표현하는 '>' 모양의 추가 인터페이스(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형의 말풍선(340)에서 아이콘(341) 및 아이콘(343)과 함께 리액션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 영역과 추가 인터페이스(345)를 포함하는 영역은 각자 다른 진입점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추가 인터페이스(345)를 선택하는 경우, 채팅창에는 제3 유형의 말풍선에 등록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예를 들어, 감정 리액션에 대응하는 정보 및 댓글 리액션에 대응하는 정보)가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리액션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트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채팅창에는 감정 리액션 및 댓글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감정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진입점과 댓글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진입점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진입점의 선택에 반응하여, 해당하는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유형의 말풍선(미도시)이 이용될 수 있다. 링크 URL의 경우, 랜딩 페이지의 상세 내용을 볼 수 있는 진입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 앱 브라우저에 의해 앱 내에서 해당 내용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형의 말풍선(330)은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랜딩 페이지로의 링크(링크 URL)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랜딩 페이지로의 링크는 제2 유형의 말풍선(330)에 인접한 위치에서 별도의 형태를 갖는 제4 유형의 말풍선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유형의 말풍선이 랜딩 페이지에 대한 진입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제2 유형의 말풍선(330) 내에 링크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유형의 말풍선(330)에 링크가 포함되었음을 지시하도록 별도의 마크(예를 들어, '>' 모양의 추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유형의 말풍선(330)이 랜딩 페이지에 대한 진입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제1 유형의 말풍선(320)에 인접한 위치에 링크를 포함하는 제4 유형의 말풍선이 표시되거나, 제1 유형의 말풍선(320) 내에 링크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채팅방에 '피드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스팅된 피드 전체를 공유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피드의 공유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의 공유,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상에서의 공유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피드 전체를 공유하는 대신, 개별 유형에 포함된 정보만을 공유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드에는 텍스트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또는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각 정보는 해당하는 유형의 말풍선 혹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개별 유형의 정보를 공유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별 유형의 정보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혹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공유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에 포함된 정보가 표시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의 조합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에 기초하여, 서버가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할하여 해당하는 유형의 말풍선들로 표시한 예시들이 도시된다.
도 4의 (a)는 텍스트 정보 및 리액션 정보 각각을 포함하는 말풍선의 조합에 해당하고, 도 4의 (b)는 텍스트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 및 리액션 정보 각각을 포함하는 말풍선들의 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의 (c)는 텍스트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비디오) 및 리액션 정보 각각을 포함하는 말풍선들의 조합에 해당하고, 도 4의 (d)는 텍스트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를 포함하는 말풍선들의 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의 (e)는 해시 태그 및/또는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 및 복수의 멀티미디어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이미지들) 각각을 포함하는 말풍선들의 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형태의 말풍선에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이미지들 중 대표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가 표시되고, 추가 이미지들이 존재함을 지시하는 별도의 마크(예를 들어, '+5')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은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말풍선들이 표시되는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의 (f) 내지 (h)는 랜딩 페이지로의 링크(링크 URL)를 포함하는 말풍선들의 다양한 표현 형태를 나타낸다. 도 4의 (f)는 텍스트 정보, 링크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미리보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링크 URL), 및 리액션 정보 각각을 포함하는 말풍선들의 조합에 해당하고, 도 4의 (g)는 링크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미리보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링크 URL), 및 리액션 정보 각각을 포함하는 말풍선들의 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말풍선은 해당하는 링크의 미리보기 데이터(예를 들어, 오픈그래프 데이터 등)를 활용하여 미리보기 정보를 말풍선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f) 및 도 4의 (g)와 같이 링크 URL 에 포함된 미디어가 동영상인 경우, 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화살표 모양의 재생(PLAY) 버튼을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재생 버튼의 선택에 반응하여, 해당하는 동영상이 채팅창에서 바로 재생되거나, 또는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는 랜딩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다.
도 4의 (h)는 텍스트 정보, 링크 정보(예를 들어, 랜딩 페이지로의 링크 URL), 및 리액션 정보 각각을 포함하는 말풍선들의 조합에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말풍선은 예를 들어, 대표 이미지 없이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과 같은 일부의 미리보기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미리보기 정보 없이 링크 URL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드에 포함된 정보가 표시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의 조합들은 전술한 예시들 외에도 다양한 조합들이 가능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을 이용하여 전술한 조합들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계정에 대해 포스트된 피드를 채팅방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들(510, 560) 및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들(520, 530, 540, 550)이 도시된다.
화면(51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에 대해 포스트된 피드를 나타낸다. IMS 서버는 SNS 서버로부터 화면(510)에 나타난 피드를 수신하여 화면(520)과 같이 채팅방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채팅방에 표시되는 피드에 포함된 정보는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또는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에 대응하여 IMS 서버에 의해 분할된 것일 수 있다. IMS 서버는 SNS 서버에 새로운 피드가 등록됨에 반응하여, 해당 피드에 대한 정보를 바로 채팅방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IMS 서버는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 간에 생성된 채팅방에 입장함에 따라, 새로운 피드를 대한 정보를 채팅방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화면(520)에 표시된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예를 들어, 감정 리액션 및 댓글 리액션)를 포함하는 제3 유형의 말풍선을 선택할 수 있다. IMS 서버는 사용자가 화면(520)에서 제3 유형의 말풍선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채팅방 내 입력 영역(예를 들어, 채팅 입력 영역)의 모드를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모드로 전환하고, 제2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5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530)은 제2 모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드의 입력 영역은 예를 들어, 댓글 리액션을 위한 제1 서브 영역(531) 및 감정 리액션을 위한 제2 서브 영역(5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정 리액션을 위한 제2 서브 영역(533)을 선택했다고 하자. IMS 서버는 입력된 리액션을 피드에 등록하는 요청을 SNS 서버에게 전송하고, SNS 서버에서의 처리 결과(예를 들어, 갱신된 감정 리액션의 수 "21")를 수신하여 화면(540)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화면(530)에서 댓글 리액션을 위한 제1 서브 영역(531)을 선택하여 댓글("부럽다! 잘 놀다와")을 입력했다고 하자. IMS 서버는 입력된 댓글을 화면(540)의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540)에 표시된 올리기 버튼(543)을 선택하면, IMS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댓글을 피드에 등록하는 요청을 SNS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SNS 서버는 수신한 댓글을 제2 계정을 위한 피드로 포스트하고, 댓글 리액션의 수를 "7"로 갱신한 후, 처리 결과(예를 들어, 갱신된 댓글 리액션의 수 "7")을 IMS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IMS 서버는 제3 유형의 말풍선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SNS 서버로부터 처리 결과를 수신한 IMS 서버는 처리 결과를 반영한 시스템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550)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시스템 메시지는 예를 들어, 말풍선 형태의 시스템 메시지(551)로 표시될 수도 있고, 일반 텍스트 형태의 시스템 메시지(553)로 표시될 수도 있다. 말풍선 형태의 시스템 메시지(551)의 경우, 메시지 작성자는 SNS의 공식 계정 또는 봇 계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시스템 메시지는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MS 서버는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을 통하여 입력받은 리액션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에 대해 포스트된 피드에 등록하는 요청을 SNS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팅방에서 입력된 리액션 정보는 화면(560)과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스트된 피드에 동일하게 등록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입력되는 리액션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되어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채팅창에 표시된 다수의 사용자들의 채팅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의 채팅 메시지에 대응하여 리액션 정보를 입력한 경우가 도시된다.
사용자 A는 화면(610)과 같이 채팅창에 표시된 다수의 피드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의 피드 메시지에 대한 리액션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남OO가 메시지 작성자로 표시된 피드 메시지에 대응한 리액션 말풍선을 선택했다고 하자. IMS 서버는 리액션 말풍선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의 모드를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모드로 전환하고, 화면(620)과 같이 제2 모드의 입력 영역(625)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제2 모드의 입력 영역(625)에 리액션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화면(630)과 같이 댓글 리액션을 위한 제1 서브 영역(631)에 "부럽다! 잘 놀다와 "와 같은 댓글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631)에 댓글이 입력되는 경우 올리기 버튼(635)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올리기 버튼(635)은 댓글이 입력되기 전부터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올리기 버튼(635)을 선택하거나, 또는 감정 리액션을 위한 제2 서브 영역(633)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댓글 입력 시 사용자 A는 멀티미디어 파일이나 문서 파일 등의 파일을 첨부하거나, 위치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631)은 추가 정보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리액션은 채팅창에서 시간 연대기적 순서에 따라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액션 정보가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시스템 메시지(645)는 시간 순서에 따라 가장 늦게 입력된 정보에 해당하므로 화면(640)과 같이 피드 메시지 히스토리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메시지(645)는 어떠한 피드 메시지에 대하여 리액션 정보가 등록되었는지를 지시하기 위하여, 피드 메시지를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어, 작성자 정보, 시간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시스템 메시지는 도 6과 같이 시간 순서대로 표시되는 타임 라인 기반과 달리, 해당하는 피드 메시지의 주변(예를 들어, 하단)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유형의 말풍선에 등록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를 채팅창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유형의 말풍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추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IMS 서버가 제3 유형의 말풍선에 등록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710)에 표시된 제3 유형의 말풍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추가 인터페이스(715)를 선택했다고 하자. IMS 서버는 추가 인터페이스(715)를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제3 유형의 말풍선에 등록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를 화면(720)과 같이 채팅창에서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팝업창은 화면 전체 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화면 일부 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리액션의 세부 정보는 감정 리액션에 대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좋아요" 아이콘과 같은 감정 목록) 및/또는 댓글 리액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댓글 작성자, 댓글, 댓글 작성 시간 등을 포함하는 댓글 목록)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720)에서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표시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는 팝업창 내에서 화면(730)과 같은 스와이프(swipe) 동작 또는 스크롤(scroll) 동작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730)과 같이 감정 목록은 스와이프 동작을 통해 팝업창 내에서 노출되고, 댓글 목록은 스크롤 동작을 통해 팝업창 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730)에 표시된 영역 조절 인터페이스(735)를 드래그함으로써 화면 내 팝업창이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화면 내 팝업창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화면(740)과 같이 채팅창으로 복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딤(deem) 영역 탭(tab), 또는 백 키(back key)를 선택함으로서 채팅창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피드로 포스트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들(810, 820, 830)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840)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IMS 서버는 일반 채팅을 위한 입력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입력 영역을 구성하여, 텍스트 정보와 추가 정보(멀티미디어 정보, 위치 정보, 파일 등)를 동시에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 서버는 채팅창의 입력 영역 내 제1 서브 영역(815)을 통하여,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아 화면(810)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IMS 서버는 입력 영역 내 제2 서브 영역(813)을 통하여, 추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서브 영역(813)을 선택하는 경우, 화면(820)과 같이 채팅창에서 추가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825)가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825)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추가 정보의 종류들(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카메라, 지도, 음악(MUSIC))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역과 구별되는 영역(829)을 통하여 기 입력된 추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영역(829)은 채팅창의 입력 영역과 인접한 반투명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829)은 종래 채팅방의 이모티콘 미리보기 창이 될 수 있다. 화면(820)과 같이, 기 입력된 추가 정보는 영역(829)의 반투명 레이어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되어, 반투명 레이어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올리기 버튼(827)을 선택한 경우, 화면(810)에서 입력된 정보 (예를 들면,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화면(830)과 같이 채팅방에 메시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IMS 서버는 화면(830)과 같이 표시된 메시지 정보와 함께 해당 메시지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에 대해 포스트하는 요청을 SNS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SNS 서버는 IMS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정보를 화면(840)과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에 대한 포스트 정보로 포스트할 수 있다. 또한, 화면(830)의 사용자가 올린 메시지에도 감정 리액션 및 댓글 리액션을 위한 메시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화면(830)에 표시되는 메시지 정보와 화면(840)에 표시되는 포스트 정보는 화면 뷰잉(viewing) 및 노출 순서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창의 화면(830)에서는 최신 메시지가 최하단에 노출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의 화면(840)에서는 최신 메시지(최신글)이 최상단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스트 정보의 노출 순서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서비스 정책 및 서비스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추천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연동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채팅방에서 추천 피드를 제공받는 과정이 도시된다.
IMS 서버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추천 피드의 요청을 SNS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사용자의 입력은 최하단 메시지가 있는 화면에서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스트되는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한 화면(910)에서 사용자가 더 많은 피드 내용을 보기 위해 가장 최근의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915와 같이 위쪽으로 움직였다고 하자. 이 경우, IMS 서버는 화면(920)에 나타난 "더 많은 스토리를 보고 싶어"와 같이 피드의 추가 연동을 유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25)를 채팅창에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925)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채팅창에서 새로운 피드의 추가 노출을 유도하는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IMS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25)의 선택에 반응하여 추천 피드의 요청을 SNS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화면의 상향으로의 입력(915)에 반응하여 추천 피드의 요청이 바로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새로운 추천 피드를 요청하는 인터페이스(925)가 채팅방에 노출되는 조건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SNS 서버는 수신한 추천 피드의 요청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인기글, 인기 소식, 추천 친구, 추천 스토리텔러 등과 같은 추천 컨텐츠를 추천 피드로서 IMS 서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SNS 서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자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의 피드를 연동할 수 있다. IMS 서버는 SNS 서버가 전송한 요청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추천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화면(930)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추천 피드는 채팅창에서의 마지막 메시지의 다음(아래) 메시지로 노출될 수 있다. 추천 피드에 대한 메시지의 작성자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공식 계정 또는 봇 계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925)의 제공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포스트된 피드를 추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채팅창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제공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채팅방을 나타낸 화면(1010)이 도시된다.
사용자가 화면(1010)의 우측 상단에 표시된 더보기 메뉴 버튼(1015)을 선택하는 경우, IMS 서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더보기 메뉴 버튼(1015)을 이용하는 대신, 스와이핑 입력 등 다양한 형태로 입력의 방식이 변형될 수 있다.
IMS 서버는 채팅방을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계정에 포스팅된 피드들의 목록(list)과 상이한 목록의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MS 서버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획득하여, 채팅방으로 제공할 수 있다.
IMS 서버는 예를 들어, 모아보기(내글 모아보기, 특정 친구의 글 모아보기, 시스템 메시지 모아보기 등), 관심글(좋아요 글 목록, 즐겨찾기 글 목록 등), SNS 친구 목록, SNS 친구 소식 정보 등에 의해 화면(1020)을 구성할 수 있다. 화면(1020)에 표시된 컨텐츠는 해당 사용자의 제2 계정에 포스트된 컨텐츠와 오픈된 피드에 접근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혹은 IMS 서버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정보에 접근하여 획득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화면(1020)에 표시된 메뉴 중 "관심글"을 선택하는 경우, IMS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제2 계정에 포스트된 컨텐츠와 오픈된 피드 중 관심글에 해당하는 내용을 화면(1030)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을 위한 사용자 단말(1101), IMS 서버(1103), 및 SNS 서버(1105) 간의 동작이 도시된다.
IMS 서버(1103)는 SNS 서버(1105)와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1110). 연동에 의해 사용자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과 연동될 수 있다. 제1 계정과 제2 계정의 연동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관계 조건이나 미리 정해진 방식의 연동 요청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상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공식 계정 (또는 봇 계정)을 친구로 등록하는 경우, 연동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상에서 'SNS 연동'을 명시적으로 요청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IMS 연동'을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연동이 수행될 수 있다.
IMS 서버(1103)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을 위한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1120).
사용자 단말(1101)의 사용자는 제1 계정을 통해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으며(1130), IMS 서버(1103)는 SNS 서버(1105)로부터 제2 계정에 대해 포스트되는 피드를 수신할 수 있다(1140). 이때, '제2 계정에 대해 포스트되는 피드'는 제2 계정에 대해 이미 포스트되어 있거나, 현재 포스트되는 피드, 및 제2 계정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 및/또는 추천된 피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IMS 서버(1103)는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또는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에 기초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할할 수 있다(1150). IMS 서버(1103)는 예를 들어,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또는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에 대응하여, 피드에 포함된 정보의 유형들을 결정할 수 있다.
IMS 서버(1103)는 분할된 정보가 해당하는 유형의 말풍선으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1101)에 대응하는 채팅방에 분할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1160).
사용자 단말(1101)은 IMS 서버(1103)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분할된 정보)를 해당하는 유형의 말풍선으로 채팅창에 표시할 수 있다(1170).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MS)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상기 제1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제2 계정과 연동됨-을 위한 채팅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상기 제2 계정에 포스트되는 피드(feed)에 포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및 상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형들은
    상기 피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유형;
    상기 피드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유형;
    상기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 및
    상기 피드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표시하는 제4 유형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유형들에 대응하여 분할된 것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를 포스트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3 계정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방에서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말풍선의 작성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에는
    상기 제1 계정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공식 계정 및 봇(bot) 계정중 적어도 하나가 참여하고, 상기 제1 계정 이외의 다른 사용자 계정은 참여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제3 유형의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상기 피드에 등록된 감정 리액션의 수 및 댓글 리액션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 유형의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 유형의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의 모드를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상기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입력하기 위한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의 입력 영역은
    댓글 리액션을 위한 제1 서브 영역 및 감정 리액션을 위한 제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유형의 영역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상기 제3 유형의 영역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추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제2 계정에 포스트되는 상기 피드에 등록된 리액션의 세부 정보- 상기 리액션의 세부 정보는 감정 리액션에 대응하는 세부 정보 및 댓글 리액션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상기 채팅창에서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 내 입력 영역을 통하여 포스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상기 제2 계정에 상기 포스트 정보를 포스트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역 내 제1 서브 영역을 통하여,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역 내 제2 서브 영역을 통하여, 추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에 상기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과 구분되는 영역은
    상기 입력 영역과 인접한 반투명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반투명 레이어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되어, 상기 반투명 레이어 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의 수신에 반응하여, 추천 피드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및 상기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14.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제1 계정-상기 제1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2 계정과 연동됨-을 위한 채팅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계정에 포스트되는 피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말풍선들, 및 상기 채팅방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유형들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단일 말풍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정보가 해당하는 유형의 말풍선 또는 해당하는 유형의 영역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채팅방에 상기 분할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유형들에 대응하여,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의 유형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정보의 유형들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에 포함된 정보는
    해시태그, 이모티콘,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비디오, 음성, 및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감정 리액션 및 댓글 리액션을 포함하는 리액션 정보; 및
    랜딩 페이지로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 정보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피드에 등록되는 리액션이 갱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제3 유형의 영역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에 포함된 리액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유형의 말풍선 또는 제3 유형의 영역을 통하여, 상기 피드에 대한 리액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게 상기 리액션을 상기 피드에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액션 커맨드를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을 통하여, 상기 제2 계정에 포스팅된 피드들의 목록과 상이한 목록의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상기 채팅방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2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48701A 2018-04-26 2018-04-26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4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701A KR102047600B1 (ko) 2018-04-26 2018-04-26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701A KR102047600B1 (ko) 2018-04-26 2018-04-26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571A true KR20190124571A (ko) 2019-11-05
KR102047600B1 KR102047600B1 (ko) 2019-11-21

Family

ID=6857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701A KR102047600B1 (ko) 2018-04-26 2018-04-26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6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250B1 (ko) * 2020-01-03 2021-04-27 주식회사 카카오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220072661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서버 및 컨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 및 단말기
KR20220156395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카카오 액세스 카드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11829593B2 (en) 2021-04-30 2023-11-28 Bytemix Corp.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dget i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681A (ko) * 2012-06-21 2013-12-31 네이버 주식회사 메신저 채팅창을 통한 외부 서비스 서버와의 연동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681A (ko) * 2012-06-21 2013-12-31 네이버 주식회사 메신저 채팅창을 통한 외부 서비스 서버와의 연동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250B1 (ko) * 2020-01-03 2021-04-27 주식회사 카카오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1451504B2 (en) 2020-01-03 2022-09-20 Kakao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nstant messaging server
KR20220072661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서버 및 컨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 및 단말기
US11829593B2 (en) 2021-04-30 2023-11-28 Bytemix Corp.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dget i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thereof
KR20220156395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카카오 액세스 카드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600B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6630B2 (en) Multi-user media presentation system
US20220232354A1 (en) Creating and utilizing map channels
JP6539856B2 (ja) 電子通信スレッドにおける拡張メッセージ要素の提供
KR102047600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166254B1 (ko) 크로스 플랫폼 환경들에서 콘텐츠들을 공유 및 동기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68692A1 (en) Dual-Modality Client Application
US20180041461A1 (en) One-to-many icebreaker post generating real-time private one-on-one chat threads
KR102067656B1 (ko)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장치
US201401363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interaction and content sharing across multiple networks
US11799817B2 (en) Digital communications platform enabling organization and viewing of personal and social contributions on the internet
JP6313438B2 (ja) プロフィール提供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ユーザ端末
KR20160112260A (ko) 이모티콘 탐색 방법 및 단말
US20150121248A1 (en) System for effectively communicating concepts
KR20240042145A (ko) 동영상 게시 방법, 장치, 전자 설비 및 저장 매체
US20190138165A1 (en) Web parts integration in social networking system
KR20160075457A (ko) 채팅 메시지를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서버
KR102347071B1 (ko) 익명 기반 프로필을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50138513A (ko) 채팅 메시지를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서버
US20200053037A1 (en) Message delivery system with sender-defined opening time
US20200274843A1 (en) Context-aware feedback
JP7423590B2 (ja) コンテンツの推薦方法及びユーザー端末
US202101360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30161800A (ko) 광고 메시지의 반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서버
KR20230159105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